KR20240076221A - 감전 방지 콘센트 - Google Patents

감전 방지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6221A
KR20240076221A KR1020220158520A KR20220158520A KR20240076221A KR 20240076221 A KR20240076221 A KR 20240076221A KR 1020220158520 A KR1020220158520 A KR 1020220158520A KR 20220158520 A KR20220158520 A KR 20220158520A KR 20240076221 A KR20240076221 A KR 20240076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shock
shock prevention
plug terminal
plug
terminal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8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연
Original Assignee
이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연 filed Critical 이시연
Priority to KR1020220158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76221A/ko
Publication of KR20240076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622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감전 방지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러그에 의해 눌리는 것이 가능하고 내측에 복수의 경사 돌기를 포함하는 이동 커버; 상기 플러그의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는 플러그 단자 삽입구; 및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구 상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경사 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구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감전 방지 가리개;를 포함하는, 감전 방지 콘센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감전 방지 콘센트{ELECTRIC SHOCK PREVENTION CONSEN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감전 방지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와 플러그는 각종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플러그와 콘센트로 이루어진다. 콘센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를 꽂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벽 등에 매립하여 사용하는 매립형과, 별도로 유니트화되어 전원과 연결된 상태로 독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멀티 탭 타입이 있다.
그러나, 어린아이나 치매 노인 등이 철사나 금속젓가락을 콘센트의 단자홀에 삽입함에 따른 안전사고가 왕왕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콘센트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13133호 (2005.12.0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콘센트에 플러그 외에 철사 등의 이물질을 삽입하여도 콘센트에 흐르는 전기에 의한 감전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면서 콘센트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해주는 감전 방지 콘센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러그에 의해 눌리는 것이 가능하고 내측에 복수의 경사 돌기를 포함하는 이동 커버; 상기 플러그의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는 플러그 단자 삽입구; 및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구 상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경사 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구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감전 방지 가리개;를 포함하는, 감전 방지 콘센트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경사 돌기 각각은 제 1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경사면은 상기 복수의 감전 방지 가리개 각각에 형성되는 제 2 경사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경사면이 내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 2 경사면이 상기 제 1 경사면과 미끌어지면서 상기 복수의 감전 방지 가리개가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구 마다 한 쌍의 감전 방지 가리개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감전 방지 가리개가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구 상측에서 양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구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감전 방지 가리개 각각은, 상기 복수의 경사 돌기 각각에 형성되는 제 1 경사면에 대응하는 제 2 경사면; 및 상기 제 2 경사면에서 연장되여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구 상측에 위치하는 가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감전 방지 가리개 각각은 상기 제 2 경사면과 연결되고 탄성부재와 접하는 수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커버의 주위에는 외측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커버의 내측에는 상기 이동 커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커버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의 양단에는 상기 이동 커버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제 1 턱 및 제 2 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콘센트에 플러그 외에 철사 등의 이물질을 삽입하여도 콘센트에 흐르는 전기에 의한 감전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면서 콘센트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해주는 감전 방지 콘센트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전 방지 콘센트와 감전 방지 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러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감전 방지 콘센트의 이동 커버가 눌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감전 방지 콘센트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외측 커버와 이동 커버의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의 경사 돌기와 감전 방지 가리개 간의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2의 감전 방지 콘센트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의 외측 커버와 이동 커버의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6의 경사 돌기와 감전 방지 가리개) 간의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전 방지 콘센트(100)와 감전 방지 콘센트(100)에 삽입되는 플러그(50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감전 방지 콘센트(100)의 이동 커버(120)가 눌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감전 방지 콘센트(100)는 전기 장치의 플러그(500)가 연결되어 전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감전 방지 콘센트(100)는 외측 커버(110)와 외측 커버(110) 내에 형성되는 이동 커버(120)로 구성될 수 있다. 외측 커버(110)는 실내 벽에 노출되어 감전 방지 콘센트(100)의 내부에 있는 구성요소를 보호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동 커버(120)는 플러그(500)에 의해 눌리는 것이 가능하고, 이동 커버(120)가 이동함에 따라서 감전 방지 콘센트(100) 내의 플러그 단자 삽입구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측 커버(110)의 내측에는 이동 커버(12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111)은 이동 커버(120)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장방형의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 홈(111) 내에는 이동 커버(120)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도 3의 121)가 형성되어서 가이드 홈(111)을 따라서 이동 커버(120)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감전 방지 콘센트(100)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감전 방지 콘센트(100)의 외측 커버(110) 내에 위치하는 이동 커버(120)에는 플러그(500)의 플러그 단자(550)가 관통하는 플러그 단자 관통공(125a, 125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커버(120)의 내측(도 3에서 하측)에는 복수의 경사 돌기(126a, 126b, 126c, 126d)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경사 돌기(126a, 126b, 126c, 126d)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커버(120)에는 가이드 돌기(121)가 형성되어서 외측 커버(110)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111)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돌기(121)와 가이드 홈(111)의 제 2 턱(113) 사이에는 스프링(123)이 배치되어 플러그(500)를 감전 방지 콘센트(100)에서 빼낸 경우에 이동 커버(120)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 홈(111)과 가이드 돌기(121)는 복수로 형성하여 이동 커버(120)가 외측 커버(110) 내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동 커버(120)의 플러그 단자 관통공(125a, 125b)에 대응하는 하측에는 플러그 단자 삽입구(140a, 140b)가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단자 삽입구(140a, 140b)는 플러그(500)의 플러그 단자(550)가 삽입되어서 플러그(500)를 통해 전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기적 컨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플러그 단자 삽입구(140a, 140b)에는 플러그 단자 컨택부(145a, 145b)가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단자 삽입구(140a, 140b) 상에는 상기 복수의 경사 돌기(126a, 126b, 126c, 126d)와 접촉하고 복수의 경사 돌기(126a, 126b, 126c, 126d)에 의해 눌리는 경우 플러그 단자 삽입구(140a, 140b)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감전 방지 가리개(130a, 130b, 130c, 130d)가 위치할 수 있다. 감전 방지 가리개(130a, 130b, 130c, 130d)는 플러그 단자 삽입구(140a, 140b) 각각에 대해서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감전 방지 가리개(130a, 130b)는 제 1 플러그 단자 삽입구(140a) 상에 마련되고, 제 3 및 제 4 감전 방지 가리개(130c, 130d)는 제 2 플러그 단자 삽입구(140b)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외측 커버(110)와 이동 커버(120)의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커버(120)가 플러그(500)에서 눌리지 않은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동 커버(120)의 가이드 돌기(121)의 상부(121a)는 가이드 홈(111)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 1 턱(112)에 의해 걸려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동 커버(120)의 가이드 돌기(121)와 가이드 홈(111)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턱(113)의 사이에는 스프링(123)이 배치되어서 이동 커버(120)를 상측으로 최대한 밀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이동 커버(120)의 가이드 돌기(120)의 상부(121a)는 제 1 턱(112)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스프링(123)을 안정적으로 배치시키기 위하여 가이드 돌기(121)의 하부(121b)에는 소정 깊이로 형성된 홈(121c)이 형성되어 스프링(123)의 일부를 그 내에 수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프링(123)을 안정적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500)에 의해 눌려서 가이드 돌기(121)의 하부(121b)가 가이드 돌기(121)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턱(113)에 도달하는 경우에 압축된 스프링(123)이 홈(121c) 내에 안착됨으로써 스프링(123)이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경사 돌기(126a)와 감전 방지 가리개(130a) 간의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커버(120)의 내측에 위치하는 경사 돌기(126a)에는 제 1 경사면(127a)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경사면(127a)의 경사 각도는 특정 각도로 한정되지 않으나 경사 돌기(126a)의 이동 변위와 감전 방지 가리개(130a)의 개폐 변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감전 방지 가리개(130a)에는 제 1 경사면(127a)에 대응하는 제 2 경사면(13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경사면(131a)의 경사 각도는 제 1 경사면(127a)의 경사 각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감전 방지 가리개(130a)는 제 2 경사면(131a)과 제 2 경사면(131a)에서 연장되어 플러그 단자 삽입구(140a) 상측에 위치하는 가림부(132a)를 포함할 수 있다. 가림부(132a)의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플러그 단자 삽입구(140a)에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면 된다.
감전 방지 가리개(130a)의 작동을 보조하기 위하여 탄성부재(135a)가 감전 방지 가리개(130a) 마다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35a)는 감전 방지 가리개(130a)가 경사 돌기(126a)의 눌림에 의해 이동하였다가 경사 돌기(126a)의 눌림이 해제되는 경우 감전 방지 가리개(130a)가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탄성부재(135a)의 배치를 위하여 감전 방지 가리개(130a)에는 제 2 경사면(131a)가 연결되는 수직면(133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감전 방지 가리개(130a)의 반대측에는 대향면(150a)이 형성되어서, 수직면(133a)과 대향면(150a)의 사이에 탄성부재(135a)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감전 방지 콘센트(100)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러그(500)가 누름(도 6의 상측 화살표 방향)에 따라서 이동 커버(120)가 이동하게 되면, 이동 커버(120)에 형성된 복수의 경사 돌기(126a, 126b, 126c, 126d) 각각이 대응하는 감전 방지 가리개(130a, 130b, 130c, 130d)와 접촉하고 경사 돌기(126a, 126b, 126c, 126d)가 감전 방지 가리개(130a, 130b, 130c, 130d)를 점점 누름에 따라서 감전 방지 가리개(130a, 130b, 130c, 130d)가 그 하측에 위치하는 플러그 단자 삽입구(140a, 140b)를 개방하는 방향(도 6의 좌우측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500)가 누르지 않는 경우에는 감전 방지 가리개(130a, 130b, 130c, 130d)에 의해서 플러그 단자 삽입구(140a, 140b)가 폐쇄되어 있어서 플러그 단자(550) 이외의 철사나 젓가락과 같은 이물질이 플러그 단자 삽입구(140a, 140b)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500)가 누르는 경우에만 플러그 단자 삽입구(140a, 140b)가 개방되어서 플러그 단자(550)가 플러그 단자 삽입구(140a, 140b)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외측 커버(110)와 이동 커버(120)의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커버(120)가 플러그(500)에서 눌린 상태이며, 이동 커버(120)의 가이드 돌기(121)의 하부(121b)는 가이드 홈(111)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턱(113)에 의해 걸려 있는 상태일 수 있다. 플러그(500)에 의해 눌림으로써, 이동 커버(120)의 가이드 돌기(121)와 가이드 홈(111)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턱(113)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123)이 최대한 눌려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이동 커버(120)의 가이드 돌기(120)의 하부(121b)는 제 2 턱(113)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121)의 하부(121b)에는 소정 깊이로 형성된 홈(121c)이 형성되어 가이드 돌기(121)의 하부(121b)가 가이드 돌기(121)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턱(113)에 도달하는 경우에 압축된 스프링(123)이 홈(121c) 내에 안착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경사 돌기(126a)와 감전 방지 가리개(130a) 간의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경사 돌기(126a)가 이동함에 따라서, 경사 돌기(126a)의 제 1 경사면(127a)과 감전 방지 가리개(130a)의 제 2 경사면(131a)은 서로 미끌어지면서 감전 방지 가리개(130a)는 플러그 단자 삽입구(140a)가 개방되는 방향(도 8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경사 돌기(126a)가 최대로 이동하게 되면 감전 방지 가리개(130a)의 가림부(132a)의 단부는 플러그 단자 삽입구(140a)의 삽입면(141a)의 위치와 같거나 보다 더 노출하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러그(500)가 감전 방지 콘센트(100)에 삽입되는 경우 감전 방지 가리개(130a)에 의해 플러그(500)의 플러그 단자(550)의 삽입이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전 방지 가리개(130a)의 수직면(133a)과 대향면(150a)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135a)는 최대한 압축되며, 압축된 탄성부재(135a)가 배치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직면(133a)과 대향면(150a) 사이에는 소정 거리 만큼 이격될 수 있다.
앞선 도면에서 나타나지 않은 다른 경사 돌기(126b, 126c, 126d)와 감전 방지 가리개(130b, 130c, 130d)도 앞선 설명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플러그 단자 삽입구(140a)에 대해서는 제 1 및 제 2 경사 돌기(126a, 126b)와 제 1 및 제 2 감전 방지 가리개(130a, 130b)에 의해서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개폐되며, 제 2 플러그 단자 삽입구(140b)에 대해서는 제 3 및 제4 경사 돌기(126c, 126d)와 제 3 및 제 4 감전 방지 가리개(130c, 130d)에 의해서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러그(500)의 삽입에 의해 눌리는 이동 커버(120)에 형성되는 경사 돌기(126a, 126b, 126c, 126d)와 경사 돌기(126a, 126b, 126c, 126d) 각각에 대응되는 감전 방지 가리개(130a, 130b, 130c, 130d) 간의 작동에 의하여, 플러그(500)가 아닌 이물질이 플러그 단자 삽입구(140a, 140b)로 들어오는 것은 방지하고, 플러그(500)의 플러그 단자(550) 만 플러그 단자 삽입구(140a, 140b)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물질에 의한 감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특히, 영유아나 치매 노인과 같은 약자에게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감전 방지 콘센트
110 : 외측 커버
111 : 가이드 홈
112 : 제 1 턱
113 : 제 2 턱
120 : 이동 커버
121 : 가이드 돌기
123 : 스프링
125a, 125b : 플러그 단자 관통공
126a, 126b, 126c, 126d : 경사 돌기
127a : 제 1 경사면
130a, 130b, 130c, 130d : 감전 방지 가리개
131a : 제 2 경사면
132a : 가림부
133a : 수직면
135a, 135b, 135c, 135d : 탄성 부재
140a. 140b : 플러그 단자 삽입구
141a : 삽입면
145a, 145b : 플러그 단자 컨택부
150a : 대향면
500 : 플러그
550 : 플러그 단자

Claims (10)

  1. 플러그에 의해 눌리는 것이 가능하고 내측에 복수의 경사 돌기를 포함하는 이동 커버;
    상기 플러그의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는 플러그 단자 삽입구; 및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구 상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경사 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구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감전 방지 가리개;를 포함하는, 감전 방지 콘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경사 돌기 각각은 제 1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경사면은 상기 복수의 감전 방지 가리개 각각에 형성되는 제 2 경사면과 접촉하는, 감전 방지 콘센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면이 내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 2 경사면이 상기 제 1 경사면과 미끌어지면서 상기 복수의 감전 방지 가리개가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감전 방지 콘센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구 마다 한 쌍의 감전 방지 가리개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감전 방지 가리개가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구 상측에서 양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구가 개방되는, 감전 방지 콘센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전 방지 가리개 각각은,
    상기 복수의 경사 돌기 각각에 형성되는 제 1 경사면에 대응하는 제 2 경사면; 및
    상기 제 2 경사면에서 연장되여 상기 플러그 단자 삽입구 상측에 위치하는 가림부;를 포함하는, 감전 방지 콘센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전 방지 가리개 각각은 상기 제 2 경사면과 연결되고 탄성부재와 접하는 수직면을 포함하는, 감전 방지 콘센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커버의 주위에는 외측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커버의 내측에는 상기 이동 커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감전 방지 콘센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복수로 형성되는, 감전 방지 콘센트.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동 커버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감전 방지 콘센트.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의 양단에는 상기 이동 커버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제 1 턱 및 제 2 턱이 형성되는, 감전 방지 콘센트.
KR1020220158520A 2022-11-23 2022-11-23 감전 방지 콘센트 KR202400762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520A KR20240076221A (ko) 2022-11-23 2022-11-23 감전 방지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520A KR20240076221A (ko) 2022-11-23 2022-11-23 감전 방지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6221A true KR20240076221A (ko) 2024-05-30

Family

ID=91275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8520A KR20240076221A (ko) 2022-11-23 2022-11-23 감전 방지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7622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3133A (ko) 2005-07-01 2005-12-01 김경은 방수 안전 콘센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3133A (ko) 2005-07-01 2005-12-01 김경은 방수 안전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4977B1 (ko) 전도체 단자 및 그 조립 방법
JP3688338B2 (ja) 電気的な接続兼結合端子
CN109565129A (zh) 电力连接器系统
EP2034564B1 (en) Mold case attached with retainer
KR101916327B1 (ko) 일체형 접지단자를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RU2608761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KR101306175B1 (ko) 콘센트장치
KR102111689B1 (ko) 안전성을 향상시킨 콘센트
US5391085A (en) Electrical socket assembly including safety device
KR20140109117A (ko)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KR20240076221A (ko) 감전 방지 콘센트
EP0297698A2 (en) Electrical connectors
KR200192441Y1 (ko) 콘센트 안전장치
GB2233509A (en) Shuttered electrical socket
JPS5919627B2 (ja) スイッチ接点を遮蔽または分離するプラグ
WO2017217208A9 (ja) コネクタ
KR200171822Y1 (ko) 콘센트의 안전장치
KR102146060B1 (ko) 소켓장치
KR102291956B1 (ko) 콘센트의 안전 소켓 모듈
CN108963535B (zh) 一种插座及其安全门
JP2010102943A (ja) コネクタ
KR20170085941A (ko) 커넥터
JP4271549B2 (ja) コンセントの安全装置
KR101977190B1 (ko) 콘센트안전장치
JP6710109B2 (ja) 回路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