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0077A -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0077A
KR20240070077A KR1020220151449A KR20220151449A KR20240070077A KR 20240070077 A KR20240070077 A KR 20240070077A KR 1020220151449 A KR1020220151449 A KR 1020220151449A KR 20220151449 A KR20220151449 A KR 20220151449A KR 20240070077 A KR20240070077 A KR 20240070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frame
rear wheel
rotatably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1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대
Original Assignee
(주)워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워커 filed Critical (주)워커
Priority to KR1020220151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70077A/ko
Publication of KR20240070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0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12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rocking arm pivoted on each fork leg
    • B62K25/22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rocking arm pivoted on each fork leg with more than one arm on each fork leg
    • B62K25/26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rocking arm pivoted on each fork leg with more than one arm on each fork leg for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60G13/005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axle or suspension arm of the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12Cycles; Motor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승차감을 상승시킬 수 있는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를 이루는 프레임 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된 충격이 상기 프레임 부재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는,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제2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고, 일단부의 반대 방향 단부에는 후륜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륜 연결부; 상기 후륜 연결부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속된 쇽암(SHOCK ARM)부; 일단부는 상기 쇽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고, 일단부의 반대 방향 단부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제2 연장부와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제3 연장부가 서로 연결되는 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는 쇽링크(SHOCK LINK)부; 일단부는 상기 쇽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고, 일단부의 반대 방향 단부는 상기 후륜 연결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제1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는 쇽업소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VEHICLE SHOCK ABSORBER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승차감을 상승시킬 수 있는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오토바이는 이륜차로서 근래 들어 급속히 늘어가는 자동차 교통 문화 속에서 번잡해진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오토바이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동 수단으로서 그 수요가 늘어가고 있음과 동시에 소형 수화물 운반용 또는 음식배달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달용 이륜차는 업무적 특성상 수화물 또는 음식(이하, 운반물)을 고객에게 안전하게 배달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운반물의 배달을 위하여 운반물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경우, 도로 등의 환경에 의해 외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이 적재된 운반물로 전달되어 헝클어지거나 손상 등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발생하는 운반물의 손상을 막기 위하여 개별적인 포장 조건을 달리하여 운반물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작은 충격에도 손상이 발생하기 쉬운 물건이나, 특히 음식물의 경우에는 운반물의 특성에 따른 개별 포장을 한다고 하더라도, 운송에 더욱 신경을 써야만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이 운반물에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완충시켜 이륜차의 승차감을 상승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완충시켜 이륜차의 승차감을 상승시킬 수 있는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는, 몸체를 이루는 프레임 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된 충격이 상기 프레임 부재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는,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제2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고, 일단부의 반대 방향 단부에는 후륜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륜 연결부; 상기 후륜 연결부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속된 쇽암(SHOCK ARM)부; 일단부는 상기 쇽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고, 일단부의 반대 방향 단부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제2 연장부와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제3 연장부가 서로 연결되는 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는 쇽링크(SHOCK LINK)부; 일단부는 상기 쇽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고, 일단부의 반대 방향 단부는 상기 후륜 연결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제1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는 쇽업소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부재는, 서로 평행하게 사선으로 연장된 한 쌍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과 평행하게 하부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 한 쌍의 서브 프레임; 사선으로 연장된 상기 메인 프레임에서 낮은 위치의 단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상부 프레임; 일단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높은 위치의 단부에 고정되고, 반대쪽 단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중앙 영역에 고정되는 한 쌍의 배터리 안착부; 및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배터리 안착부 및 상기 서브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배터리 안착부 및 상기 서브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보강부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 프레임의 낮은 위치의 영역에 배치되어 한 쌍의 상기 서브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지지대; 및 한 쌍의 상기 배터리 안착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지지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안착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높은 위치의 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중앙 영역에 고정되는 제3 연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후륜 연결부는, 몸체를 이루는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는 제1 프레임 고정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일단부의 반대 방향 단부에 형성되고, 후륜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 결합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일단부와 일단부의 반대 방향 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쇽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는 제1 쇽암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쇽암부는, 몸체를 이루는 제2 베이스부; 상기 제2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상기 후륜 연결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는 제1 회전부; 상기 제2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상기 쇽링크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는 제2 회전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상기 쇽업소버가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는 제3 회정부는 포함한다.
상기 쇽링크부는, 몸체를 이루는 제3 베이스부; 상기 제3 베이스부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쇽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는 제2 쇽암 결합부; 및 상기 제3 베이스부의 일단부의 반대 방향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연장부와 상기 제3 연장부가 서로 연결되는 영역에 형성된 링크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는 제2 프레임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쇽업소버는, 몸체를 이루고, 길이가 탄성적으로 가변되는 제4 베이스부; 상기 제4 베이스부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쇽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는 제3 쇽암 결합부; 및 상기 제4 베이스부의 일단부의 반대 방향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는 제3 프레임 고정부를 포함한다.
후륜으로부터 노면의 진동 및 충격이 상기 후륜 연결부에 전달되면, 노면으로부터 전달된 진동 및 충격에 따라 상기 후륜 연결부의 제1 베이스부가 상기 후륜 연결부의 제1 프레임 고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쇽암부이 회전하면서 상기 쇽업소버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륜차의 후륜으로부터 전달되는 노면의 진동 및 충격이 프레임 부재에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본원발명은 차량의 승차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의 다른 방향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의 프레임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의 프레임 부재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의 링크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의 링크부재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의 다른 방향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의 프레임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의 프레임 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의 링크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의 링크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전기를 통해 주행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완충 구조체는, 프레임 부재(100) 및 링크부재(200)를 포함한다.
프레임 부재(100)는, 차량용 완충 구조체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이륜차의 뼈대를 형성한다.
그리고, 프레임 부재(100)는 STEEL과 알루미늄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부재(100)는, 본 발명의 차량용 완충 구조체를 경량화 시키면서 이륜차의 전체적인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차량용 완충 구조체가 적용된 이륜차는 최고 시속 100km/h의 속도로 주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 부재(100)는 메인 프레임(110)과, 서브 프레임(120)과, 상부 프레임(130)과, 배터리 안착부(140) 및 보강부(150)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1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서로 평행하게 사선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110)은 승객이 앉는 영역이다.
서브 프레임(120)은, 메인 프레임(110)과 대응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메인 프레임(110)과 평행하게 하부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한 쌍으로 이루어진 서브 프레임(120)의 사이에는 제1 지지대(121)가 배치된다.
제1 지지대(121)는, 사선으로 이루어진 서브 프레임(120)에서 낮은 위치의 영역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서브 프레임(120)에 각각 고정된다.
이로 인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서브 프레임(120)은 제1 지지대(121)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30)은, 메인 프레임(110) 및 서브 프레임(120)과 대응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선으로 연장된 메인 프레임(110)에서 낮은 위치의 단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상부 프레임(130)은 메인 프레임(110)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선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륜차는 배터리의 탑재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는 배터리 안착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 안착부(140)는, 메인 프레임(110)과 서브 프레임(120) 및 상부 프레임(130)과 대응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일단부는 상부 프레임(130)의 높은 위치의 단부에 고정되고, 반대쪽 단부는 메인 프레임(110)의 중앙 영역에 고정된다.
즉, 배터리 안착부(140)는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바구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배터리가 안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안착부(140)는 배터리 안착부(140)에 안착되는 배터리의 크기 및 전기 이륜차의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안착부(140)는 제1 연장부(141)와, 제2 연장부(142) 및 제3 연장부(143)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141)는, 상부 프레임(130)의 높은 위치의 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연장부(142)는, 제1 연장부(141)의 단부로부터 메인 프레임(110) 및 서브 프레임(120)이 배치된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또한, 제2 연장부(142)에는 링크부재(200)가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는 링크 결합부(142a)가 형성되어 있다.
제3 연장부(143)는, 제2 연장부(142)의 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메인 프레임(110)의 중앙 영역에 고정된다.
그리고,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3 연장부(143) 사이에는 제2 지지대(143a)가 배치된다.
제2 지지대(143a)는, 한 쌍의 상기 배터리 안착부(140)를 서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제2 지지대(143a)는 양단부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3 연장부(143)에 각각 고정된다.
이로 인해, 한 쌍으로 이루어진 배터리 안착부(140)는 제2 지지대(143a)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링크 결합부(142a)는 제2 연장부(142)와 제3 연장부(143)가 서로 연결되는 영역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제1 연장부(141)와 제2 연장부(142) 및 제3 연장부(143)로 이루어진 배터리 안착부(140)는 전체적으로 바구니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배터리가 안착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제2 연장부(142) 사이에는 바닥부(144)가 결합된다.
바닥부(144)는,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배터리가 안착되는 것으로서, 제2 연장부(142)의 상면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배터리는 배터리 안착부(14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보강부(150)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메인 프레임(110)과 배터리 안착부(140) 및 서브 프레임(120)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보강부(150)는 메인 프레임(110)과 배터리 안착부(140) 및 서브 프레임(120)을 고정시킨다.
이로 인해 보강부(150)는 이륜차의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이 메인 프레임(110)과, 서브 프레임(120) 및 배터리 안착부(140)에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링크부재(200)는, 프레임 부재(100)에 결합되어 외부, 즉 이륜차의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 프레임 부재(100)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킨다.
구체적으로 링크부재(200)는 프레임 부재(100)의 후방에 결합되고, 후륜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링크부재(200)는 이륜차의 후륜으로부터 전달되는 노면의 진동 및 충격이 프레임 부재(100)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링크부재(200)는 STEEL과 알루미늄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링크부재(200)는, 본 발명의 차량용 완충 구조체를 경량화 시키면서 이륜차의 전체적인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차량용 완충 구조체가 적용된 이륜차는 최고 시속 100km/h의 속도로 주행할 수 있다.
이러한 링크부재(200)는 후륜 연결부(210)와, 쇽암(SHOCK ARM)부(220)와, 쇽링크(SHOCK LINK)부(230) 및 쇽업소버(240)를 포함한다.
후륜 연결부(210)는, 일단부가 제2 지지대(143a)에 고정되고, 일단부의 반대 방향 단부에는 후륜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후륜 연결부(210)는 이륜차의 후륜을 프레임 부재(10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후륜 연결부(210)는, 제1 베이스부(211)와, 제1 프레임 고정부(212)와, 바퀴 결합부(213) 및 제1 쇽암 결합부(214)를 포함한다.
제1 베이스부(211)는, 후륜 연결부(210)의 몸체를 이룬다.
제1 프레임 고정부(212)는, 제1 베이스부(211)의 일단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2 지지대(143a)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된다.
즉, 제1 베이스부(211)는 제1 프레임 고정부(212)를 매개로 하여 제2 지지대(143a)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바퀴 결합부(213)는, 제1 베이스부(211)의 일단부의 반대 방향, 즉, 제1 베이스부(211)에서 제1 프레임 고정부(212)가 형성된 단부의 반대방향 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바퀴 결합부(213)에는 후륜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바퀴 결합부(213)는 이륜차의 후륜이 제1 베이스부(211)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쇽암 결합부(214)는, 제1 베이스부(211)의 일단부와 일단부의 반대 방향 단부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1 베이스부(211)의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1 쇽암 결합부(214)는 쇽암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된다.
쇽암부(220)는, 후륜 연결부(210)의 하부에 배치되고, 후륜 연결부(210)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속된다.
구체적으로 쇽암부(220)는 제1 베이스부(211)의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 쇽암 결합부(214)가 회전 가능하게 구속된다.
이러한 쇽암부(220)는 제2 베이스부(221)와, 제1 회전부(222)와, 제2 회전부(223) 및 제3 회전부(224)를 포함한다.
제2 베이스부(221)는, 쇽암부(220)의 몸체를 이룬다.
제1 회전부(222)는, 제2 베이스부(221)에 형성되고, 후륜 연결부(210)가 회전 가능하게 구속된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전부(222)는 후륜 연결부(210)의 제1 쇽암 결합부(214)가 회전 가능하게 구속된다.
즉, 제1 회전부(222)는 제1 베이스부(211)가 제1 프레임 고정부(21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베이스부(21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2 베이스부(221)를 회전시킨다.
제2 회전부(223)는, 제2 베이스부(221)에서, 제1 회전부(222)와 겹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되고, 쇽링크부(230)가 회전 가능하게 구속된다.
제3 회전부(224)는, 제2 베이스부(221)에서 제1 회전부(222) 및 제2 회전부(223)와 겹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되고, 쇽업소버(240)가 회전 가능하게 구속된다.
쇽링크부(230)는, 일단부가 쇽암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고, 일단부의 반대 방향 단부는 프레임 부재(100)의 제2 연장부(142)와 프레임 부재(100)의 제3 연장부(143)가 서로 연결되는 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된다.
이러한 쇽링크부(230)는 제3 베이스부(231)와, 제2 쇽암 결합부(232) 및 제2 프레임 고정부(233)를 포함한다.
제3 베이스부(231)는, 쇽링크부(230)의 몸체를 이룬다.
제2 쇽암 결합부(232)는, 제3 베이스부(231)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쇽암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된다.
구체적으로 제2 쇽암 결합부(232)는 제3 베이스부(231)의 일단부가 쇽암부(220)의 제2 회전부(223)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된다.
즉, 제2 쇽암 결합부(232)는 제1 베이스부(211)가 제1 프레임 고정부(21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베이스부(211) 및 제2 베이스부(22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3 베이스부(231)를 회전시킨다.
제2 프레임 고정부(233)는, 제3 베이스부(231)의 일단부의 반대 방향 단부에 형성되어 제2 연장부(142)와 제3 연장부(143)가 서로 연결되는 영역, 즉 링크 결합부(142a)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된다.
따라서, 제3 베이스부(231)는 제1 베이스부(211)가 제1 프레임 고정부(21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베이스부(211) 및 제2 베이스부(22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2 프레임 고정부(233)를 매개로 하여 링크 결합부(142a)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제2 프레임 고정부(233)는 제2 쇽암 결합부(232)로부터 양방향으로 갈라지면서 연장된다.
따라서, 쇽링크부(230)는 평면상 'Y'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 프레임 고정부(233)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2 프레임 고정부(233)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배터리 안착부(140)에 각각 구속될 수 있다.
쇽업소버(240)는, 일단부가 쇽암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고, 일단부의 반대 방향 단부는 프레임 부재(100)의 제1 지지대(121)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된다.
한편, 제1 베이스부(211)에서 제1 쇽암 결합부(214)를 기준으로 프레임 부재(100)의 상부 프레임(130) 및 배터리 안착부(140)가 배치된 방향에 쇽업소버(240)가 관통되는 관통공(211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쇽업소버(240)의 일단부 반대 방향 단부는 관통공(211a)을 관통하여 프레임 부재(100)의 제1 지지대(121)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된다.
이러한 쇽업소버(240)는 제4 베이스부(241)와, 제3 쇽암 결합부(242) 및 제3 프레임 고정부(243)를 포함한다.
제4 베이스부(241)는, 쇽업소버(24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길이가 탄성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즉, 제4 베이스부(241)는 이륜차의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진동 및 충격이 전달되면 탄성적으로 가변된다.
이로 인해, 제4 베이스부(241)는 이륜차의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진동 및 충격이 프레임 부재(100)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킨다.
제3 쇽암 결합부(242)는, 제4 베이스부(241)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쇽암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된다.
구체적으로 제3 쇽암 결합부(242)는 제4 베이스부(241)의 일단부가 쇽암부(220)의 제3 회전부(224)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된다.
즉, 제3 쇽암 결합부(242)는 제1 베이스부(211)가 제1 프레임 고정부(21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베이스부(211)와 제2 베이스부(221) 및 제3 베이스부(23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4 베이스부(241)를 회전시킨다.
제3 프레임 고정부(243)는, 제4 베이스부(241)의 일단부의 반대 방향 단부에 형성되어 제1 지지대(121)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된다.
즉, 제4 베이스부(241)는 제1 베이스부(211)가 제1 프레임 고정부(21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베이스부(211)와 제2 베이스부(221) 및 제3 베이스부(23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3 프레임 고정부(243)를 매개로 하여 제1 지지대(121)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재(200)의 작동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완충 구조체가 적용된 이륜차의 후륜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륜 연결부(210)는 제1 프레임 고정부(212)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쇽링크부(230)는 제2 프레임 고정부(233)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쇽업소버(240)는 제3 프레임 고정부(243)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후륜 연결부(210)에 형성된 제1 쇽암 결합부(214)와, 쇽링크부(230)의 제2 쇽암 결합부(232) 및 쇽업소버(240)의 제3 쇽암 결합부(242)는, 쇽암부(220)의 제1 회전부(222)와, 제2 회전부(223) 및 제3 회전부(224)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속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완충 구조체가 적용된 이륜차의 주행 중 후륜으로부터 노면의 진동 및 충격이 후륜 연결부(210)에 전달되면, 노면으로부터 전달된 진동 및 충격에 따라 후륜 연결부(210)의 제1 베이스부(211)가 제1 프레임 고정부(21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쇽암부(220)는 도 8에 도시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3 회전부(224)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된 쇽업소버(240)를 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차량용 완충 구조체가 적용된 이륜차는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이 쇽업소버(240)에 의해 감소되어 이륜차의 승차감을 효율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링크부재(200)는 다수개의 구성(후륜 연결부(210), 쇽암부(220), 쇽링크부(230), 쇽업소버(240))들이 회전 가능하게 구속됨으로써, 후륜 연결부(210) -> 쇽암부(220) -> 쇽암링크부 -> 쇽업소버(240)를 따라 전달되는 과정에서 진동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쇽암링크부는 도 8에 도시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쇽암부(220)를 지지한다.
즉, 쇽암링크부는 쇽암부(22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쇽업소버(240)는 쇽암부(220)를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쇽암부(220)에 간접적으로 연결된 후륜이 노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는, 이륜차의 후륜으로부터 전달되는 노면의 진동 및 충격이 프레임 부재(100)에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이처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예시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프레임 부재 110: 메인 프레임
120: 서브 프레임 121: 제1 지지대
130: 상부 프레임 140: 배터리 안착부
141: 제1 연장부 142: 제2 연장부
142a: 링크 결합부 143: 제3 연장부
143a: 제2 지지대 144: 바닥부
150: 보강부 200: 링크부재
210: 후륜 연결부 211: 제1 베이스부
211a: 관통공 212: 제1 프레임 고정부
213: 바퀴 결합부 214: 제1 쇽암 결합부
220: 쇽암부 221: 제2 베이스부
222: 제1 회전부 223: 제2 회전부
224: 제3 회전부 230: 쇽링크부
231: 제3 베이스부 232: 제2 쇽암 결합부
233: 제2 프레임 고정부 240: 쇽업소버
241: 제4 베이스부 242: 제3 쇽암 결합부
243: 제3 프레임 고정부

Claims (9)

  1. 몸체를 이루는 프레임 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된 충격이 상기 프레임 부재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는,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제2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고, 일단부의 반대 방향 단부에는 후륜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륜 연결부;
    상기 후륜 연결부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속된 쇽암(SHOCK ARM)부;
    일단부는 상기 쇽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고, 일단부의 반대 방향 단부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제2 연장부와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제3 연장부가 서로 연결되는 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는 쇽링크(SHOCK LINK)부;
    일단부는 상기 쇽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고, 일단부의 반대 방향 단부는 상기 후륜 연결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제1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는 쇽업소버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완충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는,
    서로 평행하게 사선으로 연장된 한 쌍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과 평행하게 하부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 한 쌍의 서브 프레임;
    사선으로 연장된 상기 메인 프레임에서 낮은 위치의 단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상부 프레임;
    일단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높은 위치의 단부에 고정되고, 반대쪽 단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중앙 영역에 고정되는 한 쌍의 배터리 안착부; 및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배터리 안착부 및 상기 서브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배터리 안착부 및 상기 서브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보강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완충 구조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의 낮은 위치의 영역에 배치되어 한 쌍의 상기 서브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지지대; 및
    한 쌍의 상기 배터리 안착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완충 구조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안착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높은 위치의 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중앙 영역에 고정되는 제3 연장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완충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 연결부는,
    몸체를 이루는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는 제1 프레임 고정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일단부의 반대 방향 단부에 형성되고, 후륜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 결합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일단부와 일단부의 반대 방향 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쇽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는 제1 쇽암 결합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완충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쇽암부는,
    몸체를 이루는 제2 베이스부;
    상기 제2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상기 후륜 연결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는 제1 회전부;
    상기 제2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상기 쇽링크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는 제2 회전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상기 쇽업소버가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는 제3 회정부는 포함하는 차량용 완충 구조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쇽링크부는,
    몸체를 이루는 제3 베이스부;
    상기 제3 베이스부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쇽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는 제2 쇽암 결합부; 및
    상기 제3 베이스부의 일단부의 반대 방향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연장부와 상기 제3 연장부가 서로 연결되는 영역에 형성된 링크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는 제2 프레임 고정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완충 구조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쇽업소버는,
    몸체를 이루고, 길이가 탄성적으로 가변되는 제4 베이스부;
    상기 제4 베이스부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쇽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는 제3 쇽암 결합부; 및
    상기 제4 베이스부의 일단부의 반대 방향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는 제3 프레임 고정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완충 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후륜으로부터 노면의 진동 및 충격이 상기 후륜 연결부에 전달되면, 노면으로부터 전달된 진동 및 충격에 따라 상기 후륜 연결부의 제1 베이스부가 상기 후륜 연결부의 제1 프레임 고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쇽암부이 회전하면서 상기 쇽업소버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차량용 완충 구조체.

KR1020220151449A 2022-11-14 2022-11-14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 KR20240070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449A KR20240070077A (ko) 2022-11-14 2022-11-14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449A KR20240070077A (ko) 2022-11-14 2022-11-14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0077A true KR20240070077A (ko) 2024-05-21

Family

ID=91320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1449A KR20240070077A (ko) 2022-11-14 2022-11-14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700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5990B2 (en) Vehicle body structure
US7306069B2 (en) Frame structure in saddle type veh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rame
CN101774402B (zh) 一种汽车全浮前悬置装置
US20220250685A1 (en) All-terrain vehicle and body thereof
CN104044830B (zh) 用于运输摩托车的固定架
CN204056786U (zh) 用于运输摩托车的固定架
US7328767B2 (en) Power train suppor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otive vehicle
US20200282785A1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with composite spring
CN104827926B (zh) 电动车及用于电动车的电池箱固定组件
KR20240070077A (ko) 차량용 완충장치 구조체
JP6713346B2 (ja) 鉄道車両用車体支持装置
JP2016043722A (ja) 電動三輪車
US4229021A (en) Passenger motor vehicle
KR20120007608U (ko) 보조쇽업소버 장착을 위한 보조브래킷
KR100441165B1 (ko) 캐스터 완충장치
KR102074343B1 (ko) 소형전기차의 후륜 현가모듈
KR20060112495A (ko) 도로용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
EP0802108B1 (en) Motor truck having a cab
US2072521A (en) Motor vehicle
KR200389308Y1 (ko) 도로용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
WO2022208887A1 (ja) 一人乗り電動車両
CN215361698U (zh) 一种摩托车减震车架
CN221137491U (zh) 一种无人物流车用底盘悬架结构
JPH0796725A (ja) 空気ばね式懸架装置
EP0048659A1 (fr) Véhicule terrestre à coque suspend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