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2495A - 도로용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용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495A
KR20060112495A KR1020050034993A KR20050034993A KR20060112495A KR 20060112495 A KR20060112495 A KR 20060112495A KR 1020050034993 A KR1020050034993 A KR 1020050034993A KR 20050034993 A KR20050034993 A KR 20050034993A KR 20060112495 A KR20060112495 A KR 20060112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axle
vehicle
suspension arm
indepen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9270B1 (ko
Inventor
서용우
Original Assignee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4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9270B1/ko
Publication of KR20060112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5/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et of tandem wheels or axles having interrelated movements
    • B60G5/02Resilient suspensions for a set of tandem wheels or axles having interrelated movements mounted on a single pivoted arm, e.g. the arm being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004Mounting arrangements for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2Pneumatic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2Trucks; Load vehicles
    • B60G2300/026Heavy duty trucks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를 통하여 화물이나 중장비를 운송하는 화물차량에 적용되는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피동차륜(W)이 장착된 단일 차축(72) 및 댐퍼(76)가 장착된 단일 서스펜션 아암(74)을 갖는 독립식 현가장치(7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독립식 현가장치(7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화물차량의 전방이나 후방차체(50, 50', 60, 60')의 하부에 제각기 설치되며,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이러한, 현가장치(70)는 피동차륜(W)에 의한 단일 차축(72)의 진동시, 단일 서스펜션 아암(74)의 타단부가 일단부의 힌지(H)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한다. 이때, 서스펜션 아암(74)의 타단부에 장착된 댐퍼(76)는, 차축(72)의 진동을 완충한다. 이에 따라, 피동차륜(W)에 의하여 발생하는 차축(72)의 진동은 차체(50, 50', 60, 60')의 다른 부분으로 전이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소진된다. 따라서, 차축(72)의 진동에 의하여 차체(50, 50', 60, 60')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화물이나 중장비를 안정적으로 운송할 수 있는 화물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축(72)을 통하여 차체(50, 50', 60, 60')에 많은 수량의 피동차륜(W)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화물차량의 적재중량을 종래 보다 현저하게 증량시킬 수도 있다.
도로, 화물, 차륜, 독립, 현가

Description

도로용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INDEPENDENCE TYPE SUSPENTION SYSTEM OF CARGO VEHICLES FOR LOAD}
도 1은 일반적인 도로용 화물차량의 현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다른 종류의 일반적인 도로용 화물차량의 현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독립식 현가장치가 적용된 도로용 화물차량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독립식 현가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독립식 현가장치가 적용된 다른 종류의 도로용 화물차량을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50' : 전방차체 60, 60' : 후방차체
70 : 현가장치 72 : 차축
74 : 서스펜션 아암 76 : 댐퍼
H : 힌지 T : 트레일러
W : 차륜
본 발명은 화물이나 중장비를 운송하는 화물차량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행차체에 연결된 후방차체를 이용하여, 화물이나 중장비를 운송하는 도로용 화물차량에 피동차륜을 제공하는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를 통하여 화물이나 중장비를 운송하는 화물차량은, 화물이나 중장비의 하중으로 인하여 후방차체에 복수개의 피동차륜이 장착된다. 이러한, 복수개의 피동차륜은 화물이나 중장비의 하중을 지면에 대하여 지지한다. 따라서, 많은 수량의 피동차륜을 갖는 화물차량은, 피동차륜에 의하여 보다 많은 하중을 견딜 수 있다. 즉, 보다 많은 화물이나 보다 무거운 중장비를 운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후방차체에 장착되는 피동차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도로용 화물차량의 현가장치에 의하여 미도시된 화물차량의 후방차체에 연결된다. 이러한, 도 1의 현가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피동차륜(W)을 갖는 하나의 차축(12)이 두 개의 서스펜션 아암(14)에 일체로 고정되는 일체식 현가장치이다. 이때, 도시된 두 개의 서스펜션 아암(14)은 미도시된 화물차량의 후방차체 하부 양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차축(12)은 후방차체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차축(12)의 양단에 고정된 피동차륜(W)은 후방차체의 양측 단부에 제각각으로 배치된다.
이때, 서스펜션 아암(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후방차체의 하부면에 고정된 행어브래킷(14a)에 힌지(H)결합된다. 그리고, 타단부는 완충스프링(16)에 의하여 후방차체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또한, 서스펜션 아암(14)은 미도시된 후 방차체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서스펜션 아암(14)은 피동차륜(W)에 의하여 차축(12)이 진동함에 따라, 타단부가 일단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한다. 물론, 완충스프링(16)은 편축회전하는 서스펜션 아암(14)에 의하여 신축되면서 차축(12)의 진동을 완화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도 1의 일체식 현가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서스펜션 아암(14)상에 하나의 차축(12)이 고정됨에 따라, 차축(12)의 일단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타단부로 전이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차축(12) 및 서스펜션 아암(14)에 피로가 가중되어, 현가장치의 수명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후방차체 심한 요동으로 인하여, 안정을 필요로 하는 화물의 수송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차축(12)의 양단부가 후방차체의 하부 양측에 위치함에 따라, 후방차체가 갖는 폭의 중간부분에 해당하는 두개의 서스펜션 아암(14) 사이에는 피동차륜(W)을 장착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도 1의 현가장치는 보다 많은 수량의 피동차륜(W)을 화물차량의 후방에 제공할 수 없다. 물론, 도 1의 현가장치를 채용한 화물차량은, 피동차륜(W)의 수량으로 인하여, 보다 적은 중량의 화물이나 중장비만을 수송한다.
한편, 도 2는 도 1과 상이한 다른 종류의 화물차량용 후륜 현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러한, 도 2의 후륜 현가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피동차륜(W)이 결합되는 두개의 차축(22)이, 길게 형성된 하나의 서스펜션 아암(24) 양단에 제각기 일체로 고정되는 일체식 현가장치이다.
이러한, 서스펜션 아암(24)은 두 개로 구성되어, 후방차체(2)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차체(2)의 하부 양측에 제각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도 2의 서스펜션 아암(24)은 후방차체(2)의 길이 방향으로 두 개의 차축(22)을 제공한다. 물론, 서스펜션 아암(24)은 이러한 두 개의 차축(22)을 통하여 복수개의 피동차륜(W)을 후방차체(2)에 연결한다.
그러나, 이러한 도 2의 일체식 현가장치는, 하나의 서스펜션 아암(24)에 두 개의 차축(22)이 고정됨에 따라, 도 1의 현가장치 보다는 많은 수량의 피동차륜(W)을 화물차량에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두 개의 차축(22) 중 하나의 차축(22)에서 진동이 발생할 경우, 이 진동이 서스펜션 아암(24)을 통하여 다른 하나의 차축(22)에 전이되는 문제가 있다. 물론, 이러한 문제는 차축(22) 및 서스펜션 아암(24)에 피로를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후방차체에 심한 요동을 제공한다. 따라서, 도 2의 현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전술한 현가장치와 동일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후방차체의 일측에서 발생하는 차륜의 진동이 후방차체의 일측에서 독립적으로 소진됨에 따라, 이 일측의 진동이 타측으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화물차량의 후방차체 하부에 보다 많은 수량의 피동차륜을 제공할 수 있는 도로용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로용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는, 주행차체에 연결된 후방차체를 이용하여, 화물이나 중장비를 운송하는 도로용 화물차량에 피동차륜을 제공하는 현가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피동차륜이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오직 하나의 단일 차축과; 전술한 차체의 하부에 힌지결합되는 일단부 및, 전술한 단일 차축이 직교상태로 체결되는 동시에, 단일 차축의 진동에 의하여 이 일단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는 타단부를 가지며, 전술한 차체의 하부에 차체의 길이방향과 평행을 이루면서, 단일 차축을 차체에 독립적으로 연결하는 오직 하나의 단일 서스펜션 아암 및; 이 서스펜션 아암의 타단부를 전술한 차체에 일체로 연결하고, 전술한 차축에 의하여 서스펜션 아암의 타단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술한 주행차체는 예컨대, 트럭의 주행부(운전석, 엔진 및 주행륜을 갖는 전방차체) 일 수 있으며, 전술한 후방차체는 예컨대, 전술한 트럭의 주행부 후방에 영구적으로 연결되어, 전방차체와 단일체를 취하는 트럭의 적재부 일 수 있다. 특히, 덤프트럭의 적재부 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전술한 주행차체는 예컨대, 주행륜을 갖는 견인용 트랙터일 수 있으며, 전술한 후방차체는 예컨대, 이러한 트랙터의 후단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견인되는 트레일러 일 수 있다. 즉, 트랙터의 후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트레일러 일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차축은 예컨대, 일측 단부에 하나의 피동차륜만이 고정되도 록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피동차륜을 차축의 양단부에 하나씩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보다는 차축의 양단부에 두 개씩 고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차축에는 4 개의 피동차륜이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차축의 양단에 고정되는 피동차륜은 두 개를 밀착시켜서, 한쌍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서스펜션 아암은 예컨대, 수직으로 세워져서 길게 형성된 금속판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길게 형성된 사각의 원통관이나 사각의 블럭을 적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서스펜션 아암은 전술한 금속판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서스펜션 아암은 예컨대, 전술한 차체의 하부에 행어브래킷을 설치하고, 이 행어브래킷에 일단부를 밀착시킨 후, 전술한 힌지를 이 행어브래킷에 횡방향으로 관통시켜서 힌지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서스펜션 아암은 힌지에 의하여 행어브래킷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됨에 따라, 차체의 하부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고정단의 형태를 취한다. 이때, 서스펜션 아암의 타단부는 고정되지 않음에 따라 자유단의 형태를 취한다.
이때, 전술한 서스펜션 아암은 예컨대 2개로 구성하여, 전술한 차체의 양측에 대향상태로 하나씩 설치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4 개로 구성하여, 전술한 차체의 양측에 대향상태로 두개씩 나란히 정렬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서스펜션 아암은 전술한 차체의 양측에서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이와 같은, 서스펜션 아암은 전방차체 보다는 후방차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 하며, 후방차체의 후방에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하지만, 전방차체의 후방이나 후방차체의 중간 부분에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차축은 예컨대, 전술한 차체가 갖는 폭의 절반에 해당하는 길이 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현가장치가 후방차량의 하부 양측에 대향상태로 제각기 설치될 경우, 즉 복수개의 현가장치가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제각기 설치될 경우, 대향하는 각각의 차축이 서로의 길이에 의하여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차축은 전술한 서스펜션 아암의 중간부분을 직교상태로 관통하도록 구성하거나, 이와 달리 서스펜션 아암의 중간부분에 환상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이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차축은 용접이나 볼팅으로 서스펜션 아암에 고정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댐퍼는 예컨대, 전술한 서스펜션 아암의 편축회전에 의한 응력에 따라 신축자재하는 탄성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체는 예컨대, 주입된 기체에 의하여 작동하는 에어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에어스프링은 내부에 공기가 충전된 팩형태의 에어백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독립식 현가장치의 가장 큰 특징은, 차축 및 서스펜션 아암이 오직 하나로 구성된 점이다. 이에 대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종래의 화물차량에 적용되는 현가장치는, 하나의 차축에 두개의 서스펜션 아암으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서스펜션 아암에 두개의 차축으로 구성된 일체식 현가장치였다. 하지만, 전술한 본 발명의 현가장치는, 오직 하나의 단일 차축 및, 오직 하나 의 단일 서스펜션 아암을 갖는 독립식 현가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도로용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독립식현가장치가 장착된 도로용 화물차량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독립식 현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독립식 현가장치가 장착된 도로용 화물차량은, 주행륜(DW)을 갖는 전방차체(50)와; 이전방차체(50)의 후방에 연결되는 후방차체(60)와; 이 후방차체(60)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피동차륜(W) 및; 이 후방차체(60)에 피동차륜(W)을 독립적으로 연결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독립식 현가장치(70);를 포함한다.
이때, 도시된 전방차체(50)는 주행륜(DW : 조향기능이나 구동기능의 차륜)을 갖는 견인용 트랙터이다. 그리고, 후방차체(60)는 이 트랙터의 후단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부에 적재부를 갖는 피견인용 트레일러(T)이다.
그리고, 전술한 독립식 현가장치(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구성되어 평면상 트레일러(T)의 후방 양측에 대향상태로 제각기 독립된 상태를 취하면서 설치된다. 이에 따라, 독립식 현가장치(70)는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T)의 하부 후방에 두 개가 한조를 이루면서 나란히 설치된다. 이러한, 현가장치(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차륜(W)을 후방차체(60)에 독립적으로 연결하는 동시에, 이 연결된 피동차륜(W)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독립적으로 제각기 완충한 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은 독립식 현가장치(70)를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독립식 현가장치(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차륜(W)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오직 하나의 단일차축(72)과; 이 차축(72)을 트레일러(T)에 연결하는 오직 하나의 단일 서스펜션 아암(74) 및; 이 서스펜션 아암(74)으로 전달되는 차축(72)의 진동을 흡수하여 완충하는 댐퍼(76);를 포함한다. 이러한, 독립식 현가장치(70)에 대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일 차축(7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T)가 갖는 폭(N)의 절반에 해당하는 길이(N/2) 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양단부에는 두 개씩의 피동차륜(W)이 피동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하나의 차축(74)은 4개의 피동차륜(W)을 갖는다. 이러한, 차축(7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 아암(74)에 직교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차축(7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 아암(74)의 중간부분에 직교상태로 고정된다.
다음, 단일 서스펜션 아암(74)은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T)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배치되어, 트레일러(T)의 길이방향과 평행을 이룬다. 그리고, 서스펜션 아암(74)은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T)의 하부에 힌지(H)결합되는 고정단 형태의 일단부 및, 자유단 형태의 타단부를 갖는다. 이때, 서스펜션 아암(74)의 일단부는 트레일러(T)의 하부에 용접이나 볼팅으로 고정된 행어브래킷(74a)에 힌지(H) 고정된다. 이에 따라, 서스펜션 아암(74)의 타단부는 일단부의 힌지(H)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한다.
이러한, 서스펜션 아암(7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차축(72)을 수용하는 축홈(74b)을 중간부분 상측에 갖는다. 이에 따라, 차축(72)은 이 축홈(74b)에 끼워진 후, 트레일러(T)의 하부에 단부가 고정되는 U-볼트나 슬리브 등의 고정구(미도시)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때, 고정구는 차축(72)의 양단측에 하나씩 고정한다. 따라서, 차축(72)은 서스펜션 아암(74)에 의하여 지지되는 동시에, 고정구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은, 서스펜션 아암(74)은 단일 차축(72)을 후방차체에 독립적으로 연결한다.
마지막으로, 댐퍼(7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 아암(74)의 타단부에 하부를 고정하고, 상부는 트레일러(T)의 하부에 고정한다. 이에 따라, 자유단 형태를 갖는 서스펜션 아암(74)의 타단부는, 댐퍼(76)를 통하여 트레일러(T)의 하부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댐퍼(76)는 도시된 바와 같은 어어백 형태의 에어스프링이다. 따라서, 댐퍼(76)는 피동차륜(W)에 의한 차축(72)의 진동으로 편축회전하는 서스펜션 아암(74)의 타단부에 의하여 신축한다. 즉, 댐퍼(76)는 편축회전하는 서스펜션 아암(74)의 타단부가 응력을 가함에 따라 신축한다. 따라서, 댐퍼(76)는 서스펜션 아암(74)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소진시킨다.
이때, 댐퍼(7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 아암(74)의 타측에 두 개씩 설치한다. 이러한, 댐퍼(76)는 평판(76a)을 이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를 한조로 구성한 후, 이 평판(76a)을 서스펜션 아암(74)의 타단에 고정한다. 물 론, 댐퍼(76)는 도시된 바와 달리 하나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평판(76a)의 중앙에 하나의 댐퍼(76)를 장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댐퍼(76)는 도시된 바와 달리 세개로 구성하여, 평판(76a)상에 병렬상태로 장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현가장치(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레일러(T)의 하부에 제각각으로 설치되므로, 트레일러(T)의 하부에서 제각기 독립적인 상태를 취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독립식 현가장치(70)는,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브레이크(B) 및 쇽업소버(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브레이크(B)는 트랙터(50)의 유압회로에 연결되어, 트랙터(50)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쇽업소버(S)는 실린더 형태의 유압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도면상 미설명 부호 62는 트레일러(T), 즉 후방차체(60)의 후단에 절첩식으로 연결되는 트랩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독립식 현가장치가 장착된 도로용 화물차량은, 현가장치(70)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식으로 구성됨에 따라, 많은 수량의 피동차륜(W)을 갖는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가장치(70)가 4개로 구성될 경우, 후방차체(60), 즉 트레일러(T)는 총 16개의 피동차륜(W)을 후방에 갖는다. 따라서, 트레일러(T)는 많은 수량의 피동차륜(W)이 하부를 지지함에 따라, 보다 많은 중량의 화물이나 중장비를 적재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현가장치(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피동차륜(W)을 갖는 오직 하나의 차축(72) 및, 이 차축(72)을 지지하는 오직 하나의 서스펜션 아암(74)과 함께, 트레일러(T)의 후방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므로, 차축(72)에 고정된 피동차륜(W)의 진동이 다른 현가장치(7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도 4를 참고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독립식 현가장치(Ⅰ)의 진동은 제2 내지 제4독립식 현가장치(Ⅱ~Ⅳ)로 전달되지 않는다. 즉, 제1 내지 제4독립식 현가장치(Ⅰ~Ⅳ)에서 제각각으로 발생하는 진동은, 서로 전이되지 않고 그 자리에서 소진된다. 물론, 이러한 진동은 현가장치(70)의 댐퍼(76) 및 쇽업소버(S)에 의하여 소진된다.
이때, 도 3의 확대도를 참고하여 현가장치(70)가 진동을 소진시키는 것에 대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트랙터(50)에 의한 트레일러(T)의 주행시, 피동차륜(W)은 회전하면서 노면의 굴곡으로 인하여 차축(72)에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서스펜션 아암(74)의 타단부는 진동하는 차축(72)에 의하여 힌지(H)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한다. 이때, 서스펜션 아암(74)의 중간 및 타단부에 고정된 쇽업소버(S) 및 댐퍼(76)는 신축하면서 진동을 흡수한다. 따라서, 차축(72)의 진동은 완충되면서 소진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독립식 현가장치가 적용된 다른 종류의 도로용 화물차량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주행륜(DW)을 갖는 전방차체(50')에 후방차체(60')가 영구적으로 결합되면서 동일체를 이루는 덤프트럭(DT)을 도시한 것이다. 즉, 도시된 화물차량은 전방차체(50')에 적재함이 영구적으로 결합되어, 적재함이 전방차체와 단일체를 취하는 덤프트럭(DT)이다.
이때, 도시된 덤프트럭(DT)은 전술한 독립식 후륜 현가장치(70)를 갖는다. 이러한, 현가장치(70)는 덤프트럭(DT)의 후방차체(60') 하부 양측에 2개가 설치된다. 따라서,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로용 화물차량은 후방에, 주행륜(DW) 이외의 피동차륜(W)을 갖는다.
이러한, 피동차륜(W)의 수량은 덤프트럭(DT)의 적재중량을 결정하므로, 덤프트럭(DT)의 적재중량을 고려하여 적용한다. 물론, 현가장치(70)는 덤프트럭(DT)의 적재중량을 고려한 피동차륜(W)의 수량에 따라 결정된다. 즉, 현가장치(70)는 덤프트럭(DT)의 적재중량에 따라, 전술한 2개 보다 더 많이 설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현가장치(70)를 더 설치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덤프트럭(DT)의 후방차체(60') 전방측이나, 도시된 바와 달리 후방차체(60')의 중간측에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다른 종류의 도로용 화물차량에 적용된 독립식 현가장치(70)는 전술한 도 3 및 도 4에서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따라서, 이러한 독립식 현가장치(70)의 작동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한편, 전술한 현가장치(70)는 전술한 후방차체(60, 60) 뿐만 아니라, 필요시 전방차체(50, 50')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즉, 전술한 현가장치(70)는, 전술한 도 3의 트랙터나, 전술한 도 5의 덤프트럭(DT)의 전방차체(50, 50')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이때, 현가장치(70)는 전방차체(50, 50')의 후방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전방차체(50, 50')의 전방에는 대부분 능동회전하는 주행륜(DW) 이나, 방향을 결정하는 조향륜이 설치되기 때문이다. 물론, 전술한 현가장치(70)는 이러한 주행륜(DW)이나 조향륜이 설치되지 않는 부분의 전방차체(50, 5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트랙터의 하부 중간, 즉 도면상 주행륜(DW)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전술한 현가장치(70)를 전방차체(50, 50')에 설치하는 것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독립식 현가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피동차륜이 장착된 단일 차축 및 댐퍼를 갖는 단일 서스펜션 아암이, 차체의 하부에 제각기 독립적으로 복수개 설치되므로, 차체의 일측에 설치된 차축의 진동이 차체의 타측에 설치된 다른 차축으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차축의 진동에 의하여 화물차량의 차체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화물이나 중장비를 안정적으로 운송할 수 있는 화물차량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독립식 현가장치는,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피동차륜이 장착된 단일 차축 및 댐퍼를 갖는 단일 서스펜션 아암이, 차체의 하부에 독립적으로 복수개 설치되므로, 차체에 종래 보다 많은 수량의 피동차륜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화물차량의 적재중량을 종래 보다 현저하게 증량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주행차체(50, 50')에 연결된 후방차체(60, 60')를 이용하여, 화물이나 중장비를 운송하는 도로용 화물차량에 피동차륜(W)을 제공하는 현가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피동차륜(W)이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오직 하나의 단일 차축(72)과;
    상기 차체(50, 50', 60, 60')의 하부에 힌지(H)결합되는 일단부 및, 상기 단일 차축(72)이 직교상태로 체결되는 동시에, 단일 차축(72)의 진동에 의하여 이 일단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는 타단부를 가지며, 차체(50, 50', 60, 60')의 하부에 차체(50, 50', 60, 60')의 길이방향과 평행을 이루면서, 단일 차축(72)을 차체(50, 50', 60, 60')에 독립적으로 연결하는 오직 하나의 단일 서스펜션 아암(74) 및;
    상기 서스펜션 아암(74)의 타단부를 상기 차체(50, 50', 60, 60')에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차축(72)에 의하여 서스펜션 아암(74)의 타단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댐퍼(7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72)에 고정되는 상기 피동차륜(W)은, 두개가 한쌍을 이루면서 차축(72)의 양단부에 제각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축(72)은,
    상기 차체(50, 50', 60, 60')가 갖는 폭(N)의 절반에 해당하는 길이(N/2) 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아암(74)은,
    상기 차체(50, 50', 60, 60')의 하부 양측에 대향상태로 제각기 설치되어, 상기 피동차륜(W)을 갖는 차축(72)과 함께 차체(50, 50', 60, 60')의 양측에서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아암(74)은,
    상기 차체(50, 50', 60, 60')의 하부 양측에 두개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76)는,
    상기 서스펜션 아암(74)의 편축회전에 의한 응력에 따라 신축자재하는 탄성체로 구성하되;
    상기 탄성체는, 주입된 기체에 의하여 작동하는 에어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
KR1020050034993A 2005-04-27 2005-04-27 도로용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 KR100649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993A KR100649270B1 (ko) 2005-04-27 2005-04-27 도로용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993A KR100649270B1 (ko) 2005-04-27 2005-04-27 도로용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755U Division KR200389308Y1 (ko) 2005-04-27 2005-04-27 도로용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495A true KR20060112495A (ko) 2006-11-01
KR100649270B1 KR100649270B1 (ko) 2006-11-27

Family

ID=37620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993A KR100649270B1 (ko) 2005-04-27 2005-04-27 도로용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92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535B1 (ko) * 2011-01-19 2013-03-18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03623A1 (en) * 2014-07-16 2017-07-20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Wheel suspension device
US10780874B2 (en) 2017-08-14 2020-09-22 Hendrickson Usa, L.L.C. Suspension assembly with disc brake actuator prote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535B1 (ko) * 2011-01-19 2013-03-18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9270B1 (ko) 2006-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061B1 (ko) 프레임 일체형 후방 현가 장치
US20070273072A1 (en) Tandem suspension for steerable axles
JP2004099017A (ja) ステアリングギヤフレームを利用した前輪懸架装置
KR100649270B1 (ko) 도로용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
KR101244535B1 (ko)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
CN111660745A (zh) 用于车辆的具有复合材料弹簧的悬架系统
KR100316893B1 (ko) 차량용 토션 빔 타입 현가장치의 토션 빔 마운팅 구조
KR200389308Y1 (ko) 도로용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
WO2014178760A1 (en) A chassis component for a heavy vehicle frame structure and a truck or a tractor with such a chassis component
JP2004505842A (ja) 車両の車輪のサスペンションの構成
KR100313801B1 (ko)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JPH1142917A (ja) 車両用懸架装置
JP2001287525A (ja) トーションバー・エア・ライド・サスペンション
KR200300862Y1 (ko) 보조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현가장치
KR102063548B1 (ko) 롤링 저감 기능을 가지는 트레일러
KR100300717B1 (ko) 자동차의뒤2축식고무서스펜션
KR20040057454A (ko) 트레일러의 현수장치 구조
KR200371209Y1 (ko) 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피 견인부
KR100316936B1 (ko) 차량용 현가장치
JPH11139127A (ja) 車両の独立懸架式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155765Y1 (ko) 뒤 현가장치의 어퍼 아암 차체장착브라켓
JP2002046442A (ja) 車両用リア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200187362Y1 (ko) 자동차용 리어로어암의 고정구조
KR100498696B1 (ko) 토션빔 타입 현가장치
KR20040110800A (ko) 자동차의 u자형상 스트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