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209Y1 - 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피 견인부 - Google Patents

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피 견인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209Y1
KR200371209Y1 KR20-2004-0020778U KR20040020778U KR200371209Y1 KR 200371209 Y1 KR200371209 Y1 KR 200371209Y1 KR 20040020778 U KR20040020778 U KR 20040020778U KR 200371209 Y1 KR200371209 Y1 KR 2003712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er
king pin
shock absorber
hinge
tow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7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공용
Original Assignee
한국특장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특장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특장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07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2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2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2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2Bolt or shackle-type couplings
    • B60D1/025Bolt or shackle-type couplings comprising release or locking lever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58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3/00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피견인부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견인차와 체결되는 피견인부의 완충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피 견인부는;
상기 트레일러의 피 견인부 선단 하부 양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된 힌지 브라켓과;
상기 힌지 브라켓과 힌지 핀에 의해 힌지 결합되도록 선단 양측에 힌지부시가 배치되고, 중앙부에는 하부를 향해 돌출된 킹 핀이 설치된 킹 핀 플레이트와;
상기 피 견인부와 킹 핀 플레이트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에어 백으로 이루어진 완충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트레일러의 도로 주행중 피 견인부의 진동, 충격을 최소화하므로서, 진동, 충격에 민감한 적재물의 완충효과를 극대화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피 견인부{TRACTION AREA OF A TRAILER HAVE SHOCK ABSORBING EQUIPMENT}
본 고안은 트레일러의 피 견인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 견인부 와 킹 핀 플레이트 후단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 백이 배치된 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피 견인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견인차의 커플러와 결합되는 킹 핀에 의해 피 견인되는 트레일러의 피 견인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가 알려져 오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트레일러(1)의 피 견인부(10)가 그 대표적인 것으로, 종래의 트레일러(1)는 전방의 피 견인부(10)와 후방에 다수 배치된 바퀴(21)에 의해 도로상을 주행하도록 하는 주행부(20)와, 이 피 견인부(10)와 주행부(20)를 연결하는 메인 프레임(30)으로 이루어진다.(이하, 다른구성은 동일하므로, 피 견인부(1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세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종래의 피 견인부(10)는 메인 프레임(30)의 선단부 하측에 킹 핀 플레이트(15)가 장착되고, 이 킹 핀 플레이트(15)의 중앙에 킹 핀(11)이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킹 핀(11)은 견인차(2)의 커플러(2a;일명 떡판)에 체결되며, 이 킹 핀(11)을 중심으로 트레일러(1)가 피 견인되며, 견인차(2)의 주행방향에 따라 방향전환을 하며 주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킹 핀 플레이트(15)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커플러(2a)와 결합되므로 견인차의 도로 주행중 진동이 발생하면, 이 진동에 예민한 운반물, 즉, 반도체 장비 또는 엔진, 아연도 강판등에 치명적인 결함이 다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커플러와 킹 핀 플레이트의 진동은 견인차에 탑승한 운전자에게 까지 영향을 미쳐, 대다수의 운전자들이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견인차의 커플러와 킹 핀 플레이트간에 진동을 최소화하여 적재물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견인차의 커플러와 킹 핀 플레이트간에 진동을 최소화하므로서, 견인차에 탑승한 운전자의 허리통증도 최소화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트레일러를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피 견인부를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 전체를 보인 참고 일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트레일러10;피 견인부
11;킹 핀100;완충장치
110;힌지 브라켓130;킹 핀 플레이트
131;힌지 핀133;힌지부시
150;에어 백170;쇽 업서버
본 고안은;
견인차의 커플러와 체결되도록 하측으로 돌출된 킹핀이 설치된 트레일러의 피견인부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피 견인부는 선단 하부 양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된 힌지 브라켓과;
상기 힌지 브라켓과 힌지 핀에 의해 힌지 결합되도록 선단 양측에 힌지부시가 배치되고, 중앙부에는 하부를 향해 돌출된 킹 핀이 설치된 킹 핀 플레이트와;
상기 킹 핀 플레이트 후단과 피 견인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에어 백으로 이루어진 완충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완충장치는 상기 킹 핀 플레이트의 후단과 피 견인부의 보강 부재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직으로 배치된 쇽 업서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에어 백의 외형은 원통형 또는 사각형 매트(mat)형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예시도를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피 견인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피 견인부를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 전체를 보인 참고 일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측면도이다.(이하, 설명 편의상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 명칭을 붙여 설명하되, 부호만 달리 붙여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 하면,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피 견인부는 완충장치(100)를 포함한다.
이 완충장치(100)는 힌지 브라켓(110)과 킹 핀 플레이트(130)와 에어 백(150)으로 이루어진다.
힌지 브라켓(110)은 피 견인부(10) 선단의 폭방향으로 배치된 제 1지지 프레임(10a)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단 중심부에 힌지 홀(111)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힌지 핀(131)의 관통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 힌지 브라켓(110)은 피 견인부(10)를 평면에서 바라볼 때,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되는데, 이 힌지 브라켓(110)의 하측, 다시 말해서, 피 견인부(10)의 하측에는 킹 핀 플레이트(130)가 배치된다.
킹 핀 플레이트(130)는 선단 양측에 상기한 힌지 브라켓(110)과 힌지 핀(131)에 의해 힌지 결합되도록 힌지부시(133)가 양측으로 배치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하부를 향해 돌출된 킹 핀(11)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 킹 핀 플레이트(130)의 후단과 피 견인부(1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 백(150)이 설치되어 있다.
에어 백(150)은 피 견인부(10) 상측에 폭 방향으로 배치된 제 2지지프레임(10b)과 킹 핀 플레이트(130) 후방에 배치된 제 3지지프레임(10c)에 볼트 체결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100)는 다수의 쇽 업서버(170)(Shock Absorber)를 더 포함한다.
이 쇽 업서버(170)는 피 견인부(10)의 제 4지지 프레임(10d)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며, 타단은 킹 핀 플레이트(130)의 후단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계속 해서, 도시한 바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100)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도시한 바와 같이, 피 견인부(10)의 킹 핀 플레이트(130)는 견인차(미도시)의 커플러(2a) 상면에 접촉하며 킹 핀(11)이 체결된다.
이 견인차의 주행에 따라 트레일러(1)는 피 견인되며 주행하게 된다.
이 때, 커플러(2a)와 접촉하는 킹 핀 플레이트(130)는 도로 주행중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진동은 1차적으로 킹 핀 플레이트(130)와 피 견인부(10) 사이에 배치된 에어 백(150)에 의해 완충된다.
다시 말해서, 피 견인부(10) 선단의 힌지 브라켓(110)에 힌지 핀(131)에 의해 힌지결합된 힌지부시(133)를 회동점으로 하여 킹 핀 플레이트(130)의 후방이 소정각도 상, 하 회동을 하게 되고, 이 회동에 의한 충격을 에어 백(150)이 흡수하는 것이다.
나아가, 킹 핀 플레이트(130) 후방에 배치된 쇽 업서버(170)는 2차적으로 미묘한 진동을 흡수하여, 트레일러(1)에 적재된 적재물에 진동에 의한 충격이 전달되지 않아 적재물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견인차(미도시)에 탑승한 운전자에게도 주행중 진동에 의한 충격이 전달되지 않아 운전자는 안락한 분위기에서 운행할 수 있으므로, 그 신뢰성을 높인 이점도 있다.
이와 같은 완충장치(100)는 당 업계의 제조기술로서 얼마든지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백(150)의 수량을 증가하여 트레일러(1)의 주행중 진동에 민감한 적재물에 충격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100)의 에어 백(150)은 상술한 원통형 외관 이외에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매트형상의 에어백을 설치하여도 본 고안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피견인부에 의하면, 견인차의 커플러와 킹 핀 플레이트간에 진동을 최소화하여 적재물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한 효과가 있다.
또한, 견인차의 커플러와 킹 핀 플레이트간에 진동을 최소화하므로서, 견인차에 탑승한 운전자의 허리통증도 최소화 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견인차의 커플러와 체결되도록 하측으로 돌출된 킹핀이 설치된 트레일러의 피견인부에 있어서,
    상기 피 견인부는;
    선단 하부 양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된 힌지 브라켓과;
    상기 힌지 브라켓과 힌지 핀에 의해 힌지 결합되도록 선단 양측에 힌지부시가 배치되고, 중앙부에는 하부를 향해 돌출된 킹 핀이 설치된 킹 핀 플레이트와;
    상기 킹 핀 플레이트 후단과 피 견인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에어 백으로 이루어진 완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피 견인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장치는 상기 킹 핀 플레이트의 후단과 피 견인부의 보강 부재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직으로 배치된 쇽 업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피 견인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백의 외형은 원통형 또는 사각형 매트 형상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피 견인부.
KR20-2004-0020778U 2004-07-21 2004-07-21 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피 견인부 KR2003712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778U KR200371209Y1 (ko) 2004-07-21 2004-07-21 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피 견인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778U KR200371209Y1 (ko) 2004-07-21 2004-07-21 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피 견인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209Y1 true KR200371209Y1 (ko) 2004-12-29

Family

ID=49443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778U KR200371209Y1 (ko) 2004-07-21 2004-07-21 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피 견인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2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6714A (ko) * 2015-05-20 2016-11-30 이길봉 장애물 회피를 위한 적재베드 승강형 저상 트레일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6714A (ko) * 2015-05-20 2016-11-30 이길봉 장애물 회피를 위한 적재베드 승강형 저상 트레일러
KR101700504B1 (ko) * 2015-05-20 2017-01-26 이길봉 장애물 회피를 위한 적재베드 승강형 저상 트레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8090B2 (en) Vehicle frame
US6170849B1 (en) McCall air ride 5th wheel hitch system
WO2006092971A1 (ja) 車両端部構造
US4872653A (en) Shackle for use in limiting the movement of an end of a leaf spring in a wheeled vehicle
WO2015193972A1 (ja) 車両のフレーム
US20010035629A1 (en) Hitch
US7810870B2 (en) Vehicle body structure
KR200371209Y1 (ko) 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피 견인부
US20050263984A1 (en) Trailer hitch device
KR100649270B1 (ko) 도로용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
JP3039094B2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の取付部構造
JP3601352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389308Y1 (ko) 도로용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
KR200300862Y1 (ko) 보조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현가장치
US7192045B2 (en) Fifth wheel trailer hitch
KR20110136524A (ko)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CN217716949U (zh) 一种叉车整车疲劳耐久测试用加载装置
KR100461632B1 (ko) 화물자동차의범퍼구조
JP3893811B2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構造
KR200251526Y1 (ko) 프레임 장착 자동차용 바디 마운팅 구조
US6367867B1 (en) Cab-to-box damper assembly for vehicles
KR20090043280A (ko) 후륜 현가장치의 토우조정장치
KR100515665B1 (ko) 차량의 토션 빔 액슬형 리어 서스펜션
CN201065056Y (zh) 半挂车的悬挂装置
KR200174092Y1 (ko) 트랙터용 트레일러의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