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8238A - 기판 접속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 접속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8238A
KR20240068238A KR1020220149413A KR20220149413A KR20240068238A KR 20240068238 A KR20240068238 A KR 20240068238A KR 1020220149413 A KR1020220149413 A KR 1020220149413A KR 20220149413 A KR20220149413 A KR 20220149413A KR 20240068238 A KR20240068238 A KR 20240068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oard
substrate
main body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9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욱
김민근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68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8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의 조립이 용이한 기판 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는, 기판이 삽입되는 제1 수용부와 외부 전원 단자가 삽입되는 제2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홀더, 상기 제1 수용부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기판과 연결되는 기판 접촉부와 상기 제2 수용부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 전원 단자와 연결되는 전원 연결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커넥터 핀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 접촉부는 상기 기판이 상기 제1 수용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수용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기판을 탄성 지지하여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기판 접속용 커넥터 {Connector for Connecting Board}
본 발명은 기판 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의 조립이 용이한 기판 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비롯한 각종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여러 전기장치들은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을 비롯하여 각종 전기, 전자부품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인쇄회로기판과 다른 부품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커넥터의 구성은 접촉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기판에 커넥터를 설치하고, 커넥터에 다른 부품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기판과 다른 부품 사이의 전원과 신호의 연결이 수행된다.
도 1은 종래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커넥터(1)는 회로기판(B)의 소정 배선에 접속된 전기단자를 수납한 수용부(2)와, 그 수용부(2)으로부터 연장된 회로기판(B)에 접속된 기부(3)를 포함한다. 그리고 회로기판(B)과 커넥터 본체(1)의 고정은 회로기판(B)과 기부(3)에 나사(4)가 삽입되어, 너트(미도시) 등에 의해서 체결되도록 한다.
이처럼 커넥터 본체(1)와 회로기판(B)은 별도의 도구 즉, 나사(4)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구조이므로, 체결 및 분리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려,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의 고정작업이나 도구 없이 기판이 삽입된 후 체결됨에 따라 조립되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기판을 커넥터 홀더에 구속시키는 분리방지수단이 마련되어 전기적 접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기판이 커넥터 홀더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는 기판이 삽입되는 제1 수용부와 외부 전원 단자가 삽입되는 제2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홀더, 상기 제1 수용부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기판과 연결되는 기판 접촉부와 상기 제2 수용부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 전원 단자와 연결되는 전원 연결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커넥터 핀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 접촉부는 상기 기판이 상기 제1 수용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수용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기판을 탄성 지지하여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기판이 안착되도록 일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되 일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기판 삽입홈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체결되며 상기 기판을 덮는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본체와 덮개부를 일체로 연결하며 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폴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덮개부에서 상기 본체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고리 형태의 제1 체결부, 상기 본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부에 삽입되어 걸림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기판을 상기 본체에 체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방지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분리방지수단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삽입홀, 상기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관통홀, 상기 덮개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덮개부가 상기 본체에 체결되면 상기 삽입홀과 관통홀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기판 삽입홈의 양측면 중 적어도 일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기판 삽입홈에 안착된 상기 기판의 반대측 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는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체결시 상기 기판 접촉부를 지지하여 상기 기판 측으로 밀착시키는 누름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은 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단부의 일부분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커넥터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수용부의 상기 기판 삽입홈에 상기 커넥터 연결부가 삽입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판은 단부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두 곳에서 일정길이 함몰되어 형성된 한쌍의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수용부의 상기 기판 삽입홈에 상기 한쌍의 슬릿 사이의 상기 기판이 삽입되며, 상기 본체의 상기 기판 삽입홈의 양측이 상기 한쌍의 슬릿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핀은, 상기 기판 접촉부와 전원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 홀더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고정홀, 상기 커넥터 홀더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을 통과하며 용융시 상기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의 둘레 부분에 용착되는 용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 접촉부는 상기 제1 수용부와 이격되는 간격이 상기 기판의 두께보다 좁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핀은, 상기 고정부와 기판 접촉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와 기판 접촉부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굴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핀은, 상기 기판 접촉부의 일측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되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수용부에서 점차 이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 핀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가이드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판 접속용 커넥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는 별도의 고정작업이나 도구 없이 기판이 삽입된 후 체결됨에 따라 조립되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기판을 커넥터 홀더에 구속시키는 분리방지수단이 마련되어 전기적 접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기판이 커넥터 홀더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의 커넥터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의 커넥터 홀더에 커넥터 핀이 고정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에 기판이 연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에 기판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에 기판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의 커넥터 핀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에 기판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에 슬릿이 형성된 기판이 연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기판 접속용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의 커넥터 홀더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의 커넥터 홀더에 커넥터 핀이 고정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에 기판이 연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에 기판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에 기판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의 커넥터 핀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에 기판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에 슬릿이 형성된 기판이 연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판 접속용 커넥터(10)는 기판(20)이 삽입되는 제1 수용부(110)와 외부 전원 단자(미도시)가 삽입되는 제2 수용부(150)를 구비하는 커넥터 홀더(100), 제1 수용부(110) 내부로 연장되어 기판(20)과 연결되는 기판 접촉부(230)와 제2 수용부(150) 내부로 연장되어 외부 전원 단자와 연결되는 전원 연결부(250)를 구비하는 복수의 커넥터 핀(200)을 포함하고, 기판 접촉부(230)는 기판(20)이 제1 수용부(110)에 삽입되도록 제1 수용부(110)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기판(20)을 탄성 지지하여 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접속용 커넥터(10)는 일예로 자동차에 장착되는 부품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기판(20)과 연결되어 기판(20)을 외부 전원 단자와 연결시키기 위한 기판 접속용 커넥터(1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기판 접속용 커넥터(10)는 커넥터 홀더(100)와 커넥터 핀(200)을 포함하며 커넥터 핀(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홀더(100)는 커넥터 핀(200)에 기판(20)과 외부 전원 단자가 쉽고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기판(20)과 외부 전원 단자가 각각 삽입되는 제1 수용부(110)와 제2 수용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부(110)와 제2 수용부(150)는 기판(20)의 설치 공간과 외부 전원 단자의 조립 방향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결되도록 구비되거나 제1 수용부(110)에 대해 제2 수용부(150)가 각도를 갖고 경사지게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용부(110)와 제2 수용부(150)가 직각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수용부(110)는 기판(20)이 삽입되어 체결되며,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120)와 본체(120)에 체결되는 덮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20)는 기판(20)이 안착되도록 일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되 일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기판 삽입홈(122)을 구비할 수 있다.
기판 삽입홈(122)은 개구된 일측으로 기판(20)이 삽입되어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으며, 후술할 커넥터 핀(200)이 바닥면에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120)는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후술할 커넥터 핀(200)의 고정홀(211)에 삽입되는 용착돌기(12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용착돌기(125)는 커넥터 핀(200)과 대응되게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덮개부(130)는 본체(120)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체결되어 기판(20)과 함께 기판 삽입홈(122)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덮개부(130)는 본체(120)와 폴딩부(140)를 매개로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그 반대측에는 체결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폴딩부(140)는 본체(120)와 덮개부(130)를 일체로 연결하여 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덮개부(130)의 두께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수단은 덮개부(130)를 본체(120)에 체결시킬 수 있는 한 어떠한 구조로도 마련될 수 있으며, 일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30)에 구비되는 제1 체결부(131)와 본체(120)에 구비되는 제2 체결부(121)로 구성되는 스냅핏 구조로 마련되어 쉽게 체결될 수 있다.
제1 체결부(131)는 덮개부(130)에서 본체(120) 측으로 돌출되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제2 체결부(121)가 삽입되는 체결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부(121)는 본체(120)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 체결부(131)의 체결홀(132)에 삽입되어 걸림 체결되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측 단부가 본체(120)에서 단차지게 형성되는 돌기 형태일 수 있다.
제2 수용부(150)는 외부 전원 단자가 삽입되는 수용공간(152)을 구비할 수 있으며, 내부에 외부 전원 단자와 연결되는 커넥터 핀(200)의 전원 연결부(25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수용부(150)는 수용공간(152)이 일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고 타측에는 복수의 커넥터 핀(200)이 각각 삽입되는 가이드홀(151)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홀(151)은 커넥터 핀(200)이 커넥터 홀더(100)에 인서트 되어 일체로 구비되는 경우 단면이 커넥터 핀(200)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커넥터 핀(200)이 커넥터 홀더(100)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경우 단면이 커넥터 핀(200)의 단면 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커넥터 핀(200)이 외부 전원 단자와 연결될 때 커넥터 핀(200)의 유동을 제한하며 지지할 수 있다.
커넥터 핀(200)은 커넥터 홀더(100)의 몰딩 성형시 인서트 되어 커넥터 홀더(1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커넥터 홀더(100)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아래에서는 커넥터 핀(200)이 커넥터 홀더(100)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커넥터 핀(200)은 기판(20)과 외부 전원 단자에 접촉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핀(200)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용부(110)와 제2 수용부(150)가 직각되게 배치되는 경우 기판(20)과 연결되는 단부와 외부 전원 단자와 연결되는 단부가 직각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핀(200)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은 고정부(210), 기판 접촉부(230), 전원 연결부(250)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210)는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어 본체(120)의 일면에 안착되며 고정수단을 통해 본체(12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수단은 고정부(210)를 커넥터 홀더(100)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며, 일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1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211)과 커넥터 홀더(100)에 형성되는 용착돌기(125)를 포함할 수 있다.
용착돌기(125)는 커넥터 홀더(100)의 고정부(210)가 안착되는 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커넥터 핀(200)에 형성된 고정홀(211)과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어 고정홀(2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처럼 용착돌기(125)가 고정홀(211)에 삽입되어 커넥터 핀(200)이 커넥터 홀더(100)에 위치 고정될 수 있고, 커넥터 핀(200)이 커넥터 홀더(100)에 완전히 고정될 수 있도록 용착돌기(125)가 커넥터 핀(200)에 열용착될 수 있다. 즉, 용착돌기(125)는 고정홀(211)을 통과한 후 열을 가하면 용융되어 고정홀(211)과 고정홀(211)의 둘레 부분에 흘러내리고 이 상태로 경화되어 커넥터 핀(200)에 용착될 수 있으며, 커넥터 핀(200)은 커넥터 홀더(100)와 용착된 용착돌기(125a) 사이에서 완전히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용착된 용착돌기(125a)는 고정부(210)의 커넥터 홀더(100)에 안착되는 면의 반대측 면의 일부분에 밀착되며 커넥터 핀(200)이 커넥터 홀더(100)에 일체로 구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핀(200)은 고정부(210)의 일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기판 접촉부(230)와, 고정부(210)의 타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전원 연결부(250)를 구비할 수 있다.
기판 접촉부(230)는 고정부(210)의 일단부가 제1 수용부(110)의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기판(20)이 제1 수용부(110)에 삽입되도록 제1 수용부(110)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 접촉부(230)는 기판 삽입홈(122)의 바닥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이 소정간격은 기판(20)의 두께보다 좁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20)이 기판 삽입홈(122)의 바닥면과 기판 접촉부(230) 사이로 삽입되면서 기판 접촉부(230)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판 접촉부(230)는 기판(20)을 탄성 지지하여 기판(20)과의 접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210)는 본체(120)의 일면에 안착되며 기판 접촉부(230)는 기판 삽입홈(122)의 바닥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됨에 따라 고정부(210)와 기판 접촉부(230)는 단차가 발생하게 되고, 고정부(210)와 기판 접촉부(230) 사이에 굴곡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굴곡부(220)는 고정부(210)와 기판 접촉부(230) 사이에 구비되며 기판 접촉부(230)의 탄성 변형이 용이하도록 고정부(210)와 기판 접촉부(230)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다. 이때, 기판 접촉부(230)는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어 기판(20)에 면접촉할 수 있다.
또한, 기판 접촉부(230)는 기판 삽입홈(122)의 바닥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기 때문에 기판(20)이 기판 삽입홈(122)의 일측으로 삽입될 때 기판 접촉부(230)의 일측단과 충돌이 발생할 수 있어서 일측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절곡부(240)는 기판 접촉부(230)의 일측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되 일측으로 갈수록 기판 삽입홈(122)의 바닥면에서 점차 이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20)이 기판 삽입홈(122)의 일측으로 삽입될 때 절곡부(240)에 지지되며 절곡부(240)의 경사면을 따라 삽입되어 기판 삽입홈(122)과 기판 접촉부(230) 사이로 쉽게 삽입된다.
전원 연결부(250)는 고정부(210)의 타단부가 제2 수용부(150)의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수용부(150)의 수용공간(152)에 삽입되는 외부 전원 단자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연결부(250)는 수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210)와 경사 연결부(251)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경사 연결부(251)는 고정홀(211)의 타단부에서 절곡되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고정부(210)와 전원 연결부(250)를 완만하게 연결함에 따라 커넥터 핀(200)의 내구를 향상시킬 수 있다.
기판(20)은 FPCB 또는 PCB일 수 있으며, 일면에 수지부(24)가 몰딩되어 형성된 경우 제1 수용부(110)의 기판 삽입홈(1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수지부(24)의 일부를 제거하여 커넥터 연결부(21)를 노출시키는 작업이 추가될 수 있다.
커넥터 연결부(21)는 기판(20)의 일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단부의 일부분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그 일면에는 커넥터 핀(200)과 접촉되는 단자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연결부(21)는 기판 삽입홈(122)의 폭과 대응되거나 기판 삽입홈(122)의 폭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기판 삽입홈(122)에 삽입되며, 기판(20)이 기판 삽입홈(122)의 폭과 대응되거나 기판 삽입홈(122)의 폭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경우 일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기판(20)이 기판 삽입홈(122)의 폭 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경우 단부의 일부분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 연결부(21)에는 커넥터 핀(200)의 개수와 대응되는 복수의 단자부(22)가 형성될 수 있고, 일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단자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20)이 기판 삽입홈(122)의 폭 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경우 기판(20)은 단부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두 곳에서 일정길이 함몰되어 형성된 한쌍의 슬릿(25)을 구비할 수 있고, 한쌍의 슬릿(25) 사이에 커넥터 연결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수용부(110)의 기판 삽입홈(122)에 커넥터 연결부(21)가 삽입되면서 본체(120)의 기판 삽입홈(122)의 양측이 한쌍의 슬릿(25)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한쌍의 슬릿(25)이 형성된 기판(20)은 커넥터 연결부(21)가 기판 삽입홈(122)에 삽입될 때 한쌍의 슬릿(25) 중 한쪽에 폴딩부(140)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수용부(110)는 본체(120)에 대해 덮개부(130)를 수직 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기판(20)과 조립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슬릿(25) 중 나머지 한쪽에는 체결수단이 체결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마련된다.
아래에서는 커넥터 홀더(100)에 기판(20)을 삽입하여 체결시키는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체(120)는 기판 삽입홈(122)에 기판(20)이 삽입될 때 기판 삽입홈(122)의 바닥면과 커넥터 핀(200)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기판 삽입홈(122)의 양측면 중 적어도 일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23)는 양측면 중 적어도 일면에서 단차지게 돌출되며 형성되어 기판 삽입홈(122)의 바닥면과 이격되되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고, 기판 삽입홈(122)에 기판(20)이 삽입되면 기판 삽입홈(122)에 안착된 기판(20)의 반대측 면을 지지하여 기판(20)이 덮개부(130) 측으로 들리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기판(20)은 기판 삽입홈(122)과 기판 접촉부(230) 사이로 삽입된 후 1차적으로는 기판 접촉부(230)가 탄성 지지하여 커넥터 핀(200)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2차적으로는 덮개부(130)에 구비된 누름부(134)가 기판 접촉부(230)를 기판(20) 측으로 지지함에 따라 기판(20)이 커넥터 핀(200)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누름부(134)는 덮개부(130)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덮개부(130)가 본체(120)에 체결시 기판 접촉부(230)를 지지하여 기판 접촉부(230)를 기판(20) 측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즉, 덮개부(130)는 본체(120)에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되면 기판 접촉부(230)와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으며, 덮개부(130)에서 돌출되는 누름부(134)의 돌출량은 덮개부(130)가 기판 접촉부(230)와 이격되는 소정간격 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부(110)는 기판(20)이 기판 삽입홈(122)에 삽입된 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리방지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분리방지수단은 기판(20)을 본체(120) 또는 덮개부(130)에 체결시켜 기판 삽입홈(12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방지수단은 기판(20)에 형성된 관통홀(23)과 덮개부(130)에 형성된 삽입핀(133)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23)은 기판(20)의 커넥터 연결부(21)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삼각 또는 사각 형상의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원이 아닌 다른 형태로 형성되어 기판(20)을 제1 수용부(110)에 구속시키면서 기판(20)의 회전을 방지할 수도 있다.
삽입핀(133)은 관통홀(23)과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며 덮개부(130)에서 돌출되어 형성되어 덮개부(130)가 본체(120)에 체결되면 관통홀(23)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리방지수단은 본체(120)에 형성된 삽입홀(124)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삽입홀(124)은 기판(20)에 형성된 관통홀(23)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덮개부(130)가 본체(120)에 체결될 때 삽입핀(133)이 삽입되며 기판(20)을 본체(120)에 체결시킬 수 있다.
한편, 아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커넥터 홀더(100)에 커넥터 핀(200)과 기판(20)을 조립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커넥터 홀더(100)는 본체(120)와 덮개부(130)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고 폴딩부(140)가 본체(120)와 덮개부(130)와 같이 평평한 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커넥터 홀더(100)는 복수의 커넥터 핀(200)이 조립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10)가 커넥터 홀더(100)에 안착되며 고정홀(211)에 용착돌기(125)가 삽입된다. 그 다음 용착돌기(125)를 커넥터 핀(200)에 용착시키며 커넥터 홀더(100)에 커넥터 핀(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기판 접촉부(230)는 기판 삽입홈(122)의 바닥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도 4와 같이 기판 삽입홈(122)의 바닥면과 기판 접촉부(230) 사이로 기판(20)의 커넥터 연결부(21)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기판(20)은 기판 접촉부(230)의 바닥면과 지지부(123) 사이로 삽입되고 커넥터 핀(200)의 절곡부(240)에 지지되며 기판 접촉부(230)의 바닥면과 기판 접촉부(230) 사이로 가이드될 수 있다. 기판 접촉부(230)는 기판(20)이 삽입되면서 탄성 변형되어 기판(20)을 탄성 지지한다.
그리고, 기판(20)은 수지부(24)가 몰딩되어 형성된 경우 기판 삽입홈(122)에 삽입되기 전에 커넥터 연결부(21)와 대응되는 위치의 수지부(24)가 일부분 제거될 수 있다.
또한, 기판(20)의 관통홀(23)과 본체(120)의 삽입홀(124)이 일치하도록 기판(20)이 삽입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부(140)가 변형되며 덮개부(130)가 본체(120)에 체결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삽입홀(124)은 기판(20)의 관통홀(23)과 본체(120)의 삽입홀(124)에 삽입되며 기판(20)을 제1 수용부(110)에 체결시키고, 누름부(134)가 기판 접촉부(230)를 기판(20) 측으로 지지하여 기판(20)의 단자부(22)와 커넥터 핀(2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기판(20)에 한쌍의 슬릿(25)이 형성된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삽입홈(122)에 기판(20)이 삽입될 때 본체(120)에 대해 덮개부(130)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기판(20)이 삽입될 수 있고, 기판(20)이 삽입된 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부(140)가 변형되며 덮개부(130)가 본체(120)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기판 접속용 커넥터
20: 기판
21: 커넥터 연결부
22: 단자부
23: 관통홀
24: 수지부
25: 슬릿
100: 커넥터 홀더
110: 제1 수용부
120: 본체
121: 제2 체결부
122: 기판 삽입홈
123: 지지부
124: 삽입홀
125: 용착돌기
130: 덮개부
131: 제1 체결부
132: 체결홀
133: 삽입핀
134: 누름부
140: 폴딩부
150: 제2 수용부
151: 가이드홀
152: 수용공간
200: 커넥터 핀
210: 고정부
211: 고정홀
220: 굴곡부
230: 기판 접촉부
240: 절곡부
250: 전원 연결부
251: 경사 연결부

Claims (16)

  1. 기판이 삽입되는 제1 수용부와 외부 전원 단자가 삽입되는 제2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홀더; 및
    상기 제1 수용부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기판과 연결되는 기판 접촉부와, 상기 제2 수용부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 전원 단자와 연결되는 전원 연결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커넥터 핀;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 접촉부는 상기 기판이 상기 제1 수용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수용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기판을 탄성 지지하여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기판이 안착되도록 일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되 일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기판 삽입홈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체결되며 상기 기판을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본체와 덮개부를 일체로 연결하며 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폴딩부를 더 포함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덮개부에서 상기 본체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고리 형태의 제1 체결부; 및
    상기 본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부에 삽입되어 걸림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기판을 상기 본체에 체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방지수단을 구비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방지수단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삽입홀;
    상기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덮개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덮개부가 상기 본체에 체결되면 상기 삽입홀과 관통홀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핀;을 포함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기판 삽입홈의 양측면 중 적어도 일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기판 삽입홈에 안착된 상기 기판의 반대측 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체결시 상기 기판 접촉부를 지지하여 상기 기판 측으로 밀착시키는 누름부를 구비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단부의 일부분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커넥터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수용부의 상기 기판 삽입홈에 상기 커넥터 연결부가 삽입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단부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두 곳에서 일정길이 함몰되어 형성된 한쌍의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수용부의 상기 기판 삽입홈에 상기 한쌍의 슬릿 사이의 상기 기판이 삽입되며, 상기 본체의 상기 기판 삽입홈의 양측이 상기 한쌍의 슬릿에 각각 삽입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핀은,
    상기 기판 접촉부와 전원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 홀더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고정홀; 및
    상기 커넥터 홀더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을 통과하며 용융시 상기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의 둘레 부분에 용착되는 용착돌기;를 포함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접촉부는 상기 제1 수용부와 이격되는 간격이 상기 기판의 두께보다 좁게 구비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핀은,
    상기 고정부와 기판 접촉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와 기판 접촉부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굴곡부;를 더 포함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핀은,
    상기 기판 접촉부의 일측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되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수용부에서 점차 이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 핀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KR1020220149413A 2022-11-10 기판 접속용 커넥터 KR20240068238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8238A true KR20240068238A (ko) 2024-05-1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1729B2 (ja) 電気接続箱および該電気接続箱の組立方法
JP5714716B2 (ja) 電源制御装置
JP6256711B2 (ja) 電気接続箱
JP2016096021A (ja) 基板端子付プリント基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接続箱
US20230363095A1 (en) Housing for an electronic circuit which is arrang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US8867220B2 (en) Packaging board with visual recognition windows
JP4237552B2 (ja) バッテリ接続プレート
KR20240068238A (ko) 기판 접속용 커넥터
JPH0757822A (ja) コネクタ
JP4228939B2 (ja) 電気接続箱の製造方法
JP5459195B2 (ja) 回路構成体および電気接続箱
CN212231805U (zh) 一种汽车门把手pcb限位结构以及门把手
KR20110002790U (ko) 커넥터 어셈블리
JP2007151296A (ja) コネクタ付基板
JP4091497B2 (ja) 電気接続箱とその組立方法
KR200426215Y1 (ko) 버스바조립체
JPH0831510A (ja) コネクタ構造
KR101948067B1 (ko) 배터리용 직렬연결장치
JP7107738B2 (ja) 回路基板実装用バスバーのガイド支持構造、実装基板、および、電気接続箱
KR200150955Y1 (ko) 커넥터 접속구조
JP5935095B2 (ja) 電気接続箱
JP5935095B6 (ja) 電気接続箱
KR200447847Y1 (ko)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된 커넥터어셈블리
WO2020173713A1 (en) An electronic control module (ecm) and mounting arrangement of a guide plate in the ecm
KR20090012397U (ko) 기판실장형 터미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