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7629A -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 - Google Patents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7629A
KR20240067629A KR1020220148857A KR20220148857A KR20240067629A KR 20240067629 A KR20240067629 A KR 20240067629A KR 1020220148857 A KR1020220148857 A KR 1020220148857A KR 20220148857 A KR20220148857 A KR 20220148857A KR 20240067629 A KR20240067629 A KR 20240067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loating parasitic
vertical floating
parasitic stub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훈
석창헌
최재홍
이효종
Original Assignee
(주) 알엔투테크놀로지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알엔투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 알엔투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240067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76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4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variable factor of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78Combination of fed elements with parasitic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포함하여 수직형 커플러 선로와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 사이에 캐패시턴스를 추가로 발생시켜, 격리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외측면 및 제2 외측면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제1 외측면과 제2 외측면에 각각 배치된 접지 전극들; 상기 본체의 제1 외측면과 제2 외측면에 각각 배치된 포트 전극들;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포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직형 커플러 선로들;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형 커플러 선로로부터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위치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Coupler having vertical floating parasite stub}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결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격리도 특성이 향상된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의 중계기는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높은 출력에 실어서 보내게 되는데, 높아진 출력의 신호를 결합하거나, 분리, 수취하는데 결합기(coupler)가 사용된다. 결합기는 커플러 선로의 결합 면적 및 간격에 의해 결합도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결합기는 커플러 선로의 길이가 신호의 중심 주파수의 파장/4 (λ/4) 인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구성은 결합기의 기본적인 구성이다. 파장/4 (λ/4) 길이의 커플러 선로를 포함하는 결합기는 구현이 용이하고 다른 밀리미터파 소자 또는 마이크로파 소자와의 결합이 용이하므로, 광범위하게 널리 사용된다.
종래의 결합기 설계는, 파장/4 (λ/4) 주파수 길이를 갖는 커플러 선로 사이에 발생하는 캐패시턴스와 상기 커플러 선로와 접지 사이에 발생하는 캐패시턴스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는 라디오 주파수(RF) 특성 개선에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격리도 특성 향상을 위한 기생 스터브가 커플러 선로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격리도 특성 향상을 위한 기생 스터브의 설계 변경에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 2009-0072461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포함하여 수직형 커플러 선로와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 사이에 캐패시턴스를 추가로 발생시켜, 격리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외측면 및 제2 외측면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제1 외측면과 제2 외측면에 각각 배치된 접지 전극들; 상기 본체의 제1 외측면과 제2 외측면에 각각 배치된 포트 전극들;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포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직형 커플러 선로들;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형 커플러 선로로부터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위치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들 중 일부는 상기 수직형 커플러 선로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직형 커플러 선로들은 상기 포트 전극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비아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들은, 상기 수직형 커플러 선로의 중앙 영역과 중첩되도록 위치한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 상기 수직형 커플러 선로의 단부 영역과 중첩되도록 위치한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 및 상기 수직형 커플러 선로와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한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는, 상기 수직형 커플러 선로를 상면에 포함하는 제1 그린 시트; 상기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상면에 포함하는 제2 그린 시트; 상기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 및 상기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상면에 포함하는 제3 그린 시트; 및 제4 그린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4 그린 시트를 기준으로 양측에 상기 제3 그린 시트, 상기 제2 그린 시트 및 상기 제1 그린 시트가 각각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는, 수직형 커플러 선로와는 분리된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짐에 따라, 수직형 커플러 선로와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 사이에 캐패시턴스를 추가로 발생시켜, RF 특성인 격리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기는 수직형 커플러 선로와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 사이의 캐패시턴스를 조절이 가능하므로, 결합기의 캐패시턴스를 더 넓은 범위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수직형 커플러 선로와 연결되지 않는 이격되어 부유된 아일랜드 형상으로 구현하여,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의 위치, 크기, 형상, 배치 등의 설계 제약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결합기의 캐패시턴스의 조절이 용이하고 폭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λ/4 길이의 수직형 커플러 선로와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 사이의 캐패시턴스가 발생함에 따라 격리도 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고,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에 비하여 20 dB 이상 개선된 격리도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는, 수직형 커플러 선로를 구현함으로써 기존 커플러 선로 사이에서 발생하는 캐패시턴스보다 강한 캐패시턴스를 구현할 수 있고, 커플러 선로간 간격을 조절하는데 용이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예시적으로 기재되었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의 투영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를 구성하는 제1 그린 시트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를 구성하는 제2 그린 시트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를 구성하는 제3 그린 시트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를 구성하는 제4 그린 시트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기의 격리도 특성을 비교예와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용어 "전기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의 의미는 직접적으로 접촉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전기를 통하게 하는 연결을 의미하는 것이다. 용어 "수직형"은 본 명세서에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의미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좌측" 및 "우측"은 본 명세서에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을 의미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의 투영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10)는, 본체(20), 접지 전극들(30), 포트 전극들(40), 수직형 커플러 선로들(50), 및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들(60)을 포함한다.
본체(20)는 복수의 그린 시트들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20)는 세라믹 유전체로 구성된 표면실장형일 수 있다. 또한, 본체(20)는 정방형 또는 직방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20)는 정사각형의 네 개의 측면, 상면 및 하면을 가지는 정방형일 수 있다. 또는, 본체(20)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고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장측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고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단측면, 상면 및 하면을 가지는 직방형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직방형의 형상의 본체(20)가 도시되어 있으며, 하기에서는 이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20)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외측면(21) 및 제2 외측면(22)을 가질 수 있다. 제1 외측면(21)은 제2 외측면(22)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장측면일 수 있다. 제1 외측면(21)과 제2 외측면(22)은 다른 측면에 의하여, 즉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단측면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체(20)는 상면(23) 및 하면(24)을 가질 수 있다.
접지 전극(30)은 결합기(10)를 외부 접지와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접지 전극(30)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접지 전극(30)은, 예를 들어 본체(20)의 제1 외측면(21)과 제2 외측면(22)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접지 전극(30)은 본체(20)의 제1 외측면(21)의 중앙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접지 전극(30)은 본체(20)의 제2 외측면(22)의 중앙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접지 전극(30)은 본체(20)의 상면(23) 및 하면(24)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지 전극(30)은 외부와의 전기적 경로가 제1 외측면(21)과 제2 외측면(22)에서 전기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더 나아가 상면(23) 및/또는 하면(24)에서 전기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서는 접지 전극(30)이 두 개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이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접지 전극(30)의 개수 및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변형된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포트 전극(40)은 결합기(10)를 외부 전원과 연결하여 전원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포트 전극(40)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포트 전극(40)은 본체(20)의 제1 외측면(21) 및 제2 외측면(22)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포트 전극(40)은 본체(20)의 제1 외측면(21)에서 접지 전극(30)을 기준으로 양쪽에 서로 대항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포트 전극(40)은 본체(20)의 제2 외측면(22)에서 접지 전극(30)을 기준으로 양쪽에 서로 대항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포트 전극(40)은 접지 전극(30)과는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포트 전극(40)은 본체(20)의 상면(23) 및 하면(24)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트 전극(40)은 외부와의 전기적 경로가 제1 외측면(21)과 제2 외측면(22)에서 전기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더 나아가 상면(23) 및/또는 하면(24)에서 전기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서는 포트 전극(40)이 네 개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이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포트 전극(40)의 개수 및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변형된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접지 전극(30)과 포트 전극(40)은 전도상(Conductive Phase), 바인더(Binder), 비이클(Vehicle) 및 첨가제(Additives)로 구성된 전도성 페이스트에 디핑(dipping) 및 인쇄(printing)함에 의하여 본체(20)의 제1 외측면(21)과 제 2외측면(22)에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접지 전극(30)과 포트 전극(40)은 LTCC 공정에 의하여 본체를 형성한 후에, 상기 본체에 전도성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이며, 접지 전극(30)과 포트 전극(40)을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접지 전극(30)은 결합기(10)가 부착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의 접지 패드와 전기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접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포트 전극(40)은 결합기(10)가 부착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의 전원 패드와 전기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수직형 커플러 선로(50)는 본체(20)의 내부에 위치하고, 포트 전극(40)과 전기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수직형 커플러 선로(50)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직형 커플러 선로(50)는 커플링 동작을 수행하도록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수직형 커플러 선로(50) 중 어느 하나에 전압이 인가될 수 있고,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다른 수직형 커플러 선로(50)에서 커플링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결합기(10)가 작동할 수 있다. 수직형 커플러 선로(50)는 각각 파장/4 (λ/4) 주파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원하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수직형 커플러 선로(50)는 수직으로 세워지게 됨에 따라, 종래의 선과 선 사이의 커플링 현상을 이용하는 것과는 달리, 상대적으로 면적이 큰 면과 면 사이의 커플링 현상을 이용하게 되므로, 커플링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0)는 본체(20)의 내부에 위치하고, 수직형 커플러 선로(50)로부터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위치할 수 있다.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즉 단수 또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0)는 접지 전극(30) 및 포트 전극(40)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0)는 수직형 커플러 선로(50)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0)는 부유(floating)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0)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종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0)는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 및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0)들 중 일부는, 예를 들어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는, 수직형 커플러 선로(50)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체(20)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0)들 중 일부는, 예를 들어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는, 수직형 커플러 선로(50)의 일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할 수 있다.
수직형 커플러 선로(50), 및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0)에 대하여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20)는 복수의 그린 시트들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20)는 제4 그린 시트(14)를 기준으로 양측에 제3 그린 시트(13), 제2 그린 시트(12), 및 제1 그린 시트(11)가 각각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20)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본체(20)는 수직형 커플러 선로(50)를 우측방향 상면에 포함하는 좌측 제1 그린 시트(11),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를 우측방향 상면에 포함하는 좌측 제2 그린 시트(12),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 및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을 우측방향 상면에 포함하는 제3 그린 시트(13), 절연층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4 그린 시트(14),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 및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을 좌측방향 상면에 포함하는 제3 그린 시트(13),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를 좌측방향 상면에 포함하는 좌측 제2 그린 시트(12), 및 수직형 커플러 선로(50)를 좌측방향 상면에 포함하는 좌측 제1 그린 시트(11)가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수직형 커플러 선로(50),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는 제4 그린 시트(14)를 기준으로 각각 한 쌍으로서 대칭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그린 시트(11), 제2 그린 시트(12), 제3 그린 시트(13), 및 제4 그린 시트(14)는 상술한 순서로서 순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또는 다양한 다른 순서로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그린 시트의 수량이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린 시트들은 저온 동시 소성 세라믹(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LTCC) 공정을 통하여 본체(2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저온 동시소성 세라믹 공정은, 주로 유리와 세라믹을 혼합한 재료를 그린 시트(세라믹 테이프)라고 하는 종이보다 얇은 형태로 만들어 여러 개로 자른 후, 각각의 그린 시트 위에 단순 전극이나 소자의 역할에 맞도록 금이나, 은, 구리 등과 같은 금속도체를 형성하고, 이후, 구성하고자 하는 형태에 따라 각 그린 시트들을 적층하여 소성 세라믹과 금속을 동시에 구워서 형성하는 공정이다. 상기 복수의 그린 시트들은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그린 시트들에 의하여, 구성 요소의 전기적 절연이 구현될 수 있다. 제2 그린 시트(12)에 의하여 수직형 커플러 선로(50)와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제3 그린 시트(13)에 의하여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와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고, 또한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와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제4 그린 시트(14)에 의하여 대향하여 위치한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고, 또한, 대향하여 위치한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기(10)에 포함되는 제1 그린 시트(11)의 상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그린 시트(11)는 수직형 커플러 선로(50)를 상면에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린 시트(11)는 제1 기저부(110) 및 제1 기저부(110) 상에 형성된 수직형 커플러 선로(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린 시트(11)는 좌측 제1 그린 시트(11)와 우측 제1 그린 시트(11)로 구성된 한 쌍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제1 그린 시트(11)는 수직형 커플러 선로(50)를 덮어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층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수직형 커플러 선로(50)는 제1 기저부(110)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직형 커플러 선로(50)는 본체(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수직형 커플러 선로(50)는 접지 전극(30)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수직형 커플러 선로(50)는 포트 전극(40)과 전기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체(20)의 제1 외측면(21)에 배치된 두 개의 포트 전극(40)은 하나의 수직형 커플러 선로(5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을 위하여, 포트 전극(40)은 본체(20)의 제1 외측면(21)에 배치되고, 수직형 커플러 선로(50)는 본체(20)의 제1 외측면(21)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체(20)의 제2 외측면(22)에 배치된 두 개의 포트 전극(40)은 하나의 수직형 커플러 선로(5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을 위하여, 포트 전극(40)은 본체(20)의 제2 외측면(22)에 배치되고, 수직형 커플러 선로(50)는 본체(20)의 제1 외측면(21)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수직형 커플러 선로(50)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접지 전극(30) 및 포트 전극(40)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수직형 커플러 선로(50)는 제1 기저부(110)를 기준으로 접지 전극(30) 및 포트 전극(40)의 반대 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접지 전극(30) 및 포트 전극(40)은 제1 기저부(110)에 먼저 형성되지 않고, 제1 그린 시트(11) 내지 제4 그린 시트(14)를 결합한 후에 형성되므로, 분리된 제1 그린 시트(11)의 제1 기저부(110)에 형성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수직형 커플러 선로(50)는 제1 기저부(110)의 긴 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즉 본체(20)의 긴 변인 제1 변과 긴 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직형 커플러 선로(50)의 연장 방향과 접지 전극(30) 및 포트 전극(40)의 연장 방향은 일정한 각도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수직일 수 있다.
수직형 커플러 선로(50)는 포트 전극(40)과 전기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을 위한 비아 홀(52)을 포함할 수 있다. 비아 홀(52)은 제1 기저부(110)를 관통하여 비아 홀(52)을 통하여 포트 전극(40)과 전기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비아 홀(52)은 제1 기저부(110)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에 전도성 물질을 충진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수직형 커플러 선로(50)의 형상 및 배치는 예시적이며, 다양한 형상과 배치를 가지는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기(10)에 포함되는 제2 그린 시트(12)의 상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그린 시트(12)는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를 상면에 포함할 수 있다. 제2 그린 시트(12)는 제2 기저부(120) 및 제2 기저부(120) 상에 형성된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그린 시트(12)는 좌측 제2 그린 시트(12)와 우측 제2 그린 시트(12)로 구성된 한 쌍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접지 전극(30), 포트 전극(40), 및 수직형 커플러 선로(50)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접지 전극(30), 포트 전극(40), 및 수직형 커플러 선로(50)가 제2 그린 시트(12)의 제2 기저부(120)에 형성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는 제2 기저부(120)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는 본체(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는 접지 전극(30)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는 포트 전극(40)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와 수직형 커플러 선로(50)는 제2 기저부(120)를 사이에 두고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는 부유(floating)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는 제2 기저부(120)의 긴 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즉 본체(20)의 긴 변인 제1 변과 긴 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의 연장 방향과 접지 전극(30) 및 포트 전극(40)의 연장 방향은 일정한 각도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수직일 수 있다.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는 중앙부에 원형 영역을 가지고, 양단부로 연장된 연장 영역을 가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원형 영역의 원의 지름은 연장 영역의 폭에 비하여 클 수 있다.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은 제2 그린 시트(12)의 상측에서 바라볼 때, 즉 본체(20)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수직형 커플러 선로(50)와 중첩(overlap)되도록 위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수직형 커플러 선로(50)의 중앙 영역과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은 제2 그린 시트(12)의 상측에서 바라볼 때 접지 전극(30)과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는 제2 그린 시트(12)의 상측에서 바라볼 때 포트 전극(40)과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중첩의 의미는 결합기(10)의 측면에서 바라보는 관점에서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의 형상 및 배치는 예시적이며, 다양한 형상과 배치를 가지는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기(10)에 포함되는 제3 그린 시트(13)의 상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그린 시트(13)는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 및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를 상면에 포함할 수 있다. 제3 그린 시트(13)는 제3 기저부(130) 및 제3 기저부(130) 상에 형성된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 및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그린 시트(13)는 좌측 제3 그린 시트(13)와 우측 제3 그린 시트(13)로 구성된 한 쌍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 및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접지 전극(30), 포트 전극(40), 수직형 커플러 선로(50),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접지 전극(30), 포트 전극(40), 수직형 커플러 선로(50), 및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가 제2 그린 시트(12)의 제2 기저부(120)에 형성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 및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는 제3 기저부(130)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 및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는 본체(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 및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는 접지 전극(30)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 및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는 포트 전극(40)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 및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는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 및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와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는 제3 기저부(130)를 사이에 두고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 및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는 부유(floating)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는 제3 기저부(130)의 긴 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즉 본체(20)의 긴 변인 제1 변과 긴 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의 연장 방향과 접지 전극(30) 및 포트 전극(40)의 연장 방향은 일정한 각도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수직일 수 있다.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는 제3 기저부(130)의 긴 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즉 본체(20)의 긴 변인 제1 변과 긴 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의 연장 방향과 접지 전극(30) 및 포트 전극(40)의 연장 방향은 일정한 각도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수직일 수 있다.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은 제3 그린 시트(13)의 상측에서 바라볼 때, 즉 본체(20)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수직형 커플러 선로(50)와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수직형 커플러 선로(50)의 단부 영역과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은 제3 그린 시트(13)의 상측에서 바라볼 때 포트 전극(40)과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는 제3 그린 시트(13)의 상측에서 바라볼 때 접지 전극(30)과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와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은 서로 물리적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은 제3 그린 시트(13)의 상측에서 바라볼 때, 즉 본체(20)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수직형 커플러 선로(50)와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은 제3 그린 시트(13)의 상측에서 바라볼 때 포트 전극(40)과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는 제3 그린 시트(13)의 상측에서 바라볼 때 접지 전극(30)과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 및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의 형상 및 배치는 예시적이며, 다양한 형상과 배치를 가지는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기(10)에 포함되는 제4 그린 시트(14)의 상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4 그린 시트(14)는 제4 기저부(140)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절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접지 전극(30), 포트 전극(40), 수직형 커플러 선로(50),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 및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가 각각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접지 전극(30), 포트 전극(40), 및 수직형 커플러 선로(50),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 및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가 제4 그린 시트(14)의 제4 기저부(140)에 형성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는, 접지 전극이 형성된 그린시트를 포함하는 종래 기술과는 상이하게, 접지 전극이 형성된 그린시트를 배제한 특징이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 그린 시트(11) 내지 제4 그린 시트(14)는 하기와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저부(110) 내지 제4 기저부(140)는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세라믹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저부(110) 내지 제4 기저부(140)는 주로 유리와 세라믹을 혼합하여 종이에 비하여 얇은 형태로 구현한 그린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저부(110) 내지 제4 기저부(140)는, 예를 들어, Al2O3, AlN(Aluminum Nitride), SiO2, Si3N4, CaO, ZnO, 및 Ba2O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저부(110) 내지 제4 기저부(140)는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형 커플러 선로(50)는 단순 전극이나 소자의 기능을 수행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형 커플러 선로(50)는, 예를 들어 금(Au),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직형 커플러 선로(50)는, 예를 들어 증착 방법, 전도성 시트를 부착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전도성 페이스트로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 및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는 단순 전극이나 소자의 기능을 수행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 및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는, 예를 들어 금(Au),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 및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는, 예를 들어 증착 방법, 전도성 시트를 부착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전도성 페이스트로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 및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는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결합기(10)는 하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제1 그린 시트(11), 제2 그린 시트(12), 제3 그린 시트(13), 및 제4 그린 시트(14)를 준비한다.
제1 그린 시트(11)에 수직형 커플러 선로(50)를 형성한다. 제2 그린 시트(12)에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를 형성한다. 제3 그린 시트(13)에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 및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를 형성한다. 수직형 커플러 선로(50),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1),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2), 및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63)는 증착 방법, 전도성 시트를 부착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전도성 페이스트로 도포되어 형성할 수 있다.
제1 그린 시트(11), 제2 그린 시트(12), 제3 그린 시트(13), 제4 그린 시트(14), 제3 그린 시트(13), 제2 그린 시트(12), 및 제1 그린 시트(11)를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고, 다양한 다른 순서로 적층될 수 있으며, 그린시트의 수량이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저온 동시 소성 세라믹(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LTCC) 공정을 통하여 본체(20)를 형성한다. 이어서, 제1 그린 시트(11)가 최좌측 및 최우측에 위치하도록, 본체(20)를 위치시킨다.
이어서, 접지 전극(30)과 포트 전극(40)은 증착 방법, 전도성 시트를 부착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전도성 페이스트로 도포되어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지 전극(30)과 포트 전극(40)은 전도상(Conductive Phase), 바인더(Binder), 비이클(Vehicle) 및 첨가제(Additives)로 구성된 전도성 페이스트에 디핑(dipping) 및 인쇄(printing)함에 의하여 본체(20)의 제1 외측면(21)과 제 2외측면(22)에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20)에 접지 전극(30)과 포트 전극(40)을 형성한다. 접지 전극(30)과 포트 전극(40)은 본체(20)의 양측에 배치된 제1 그린 시트(11)에 각각 형성한다.
이에 따라,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10)를 완성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기의 격리도(Isolation) 특성을 비교예와 비교한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비교예는 수평형 커플러 선로를 포함하고,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포함하지 않는 결합기이다. 도 8은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결합기는 0GHz 초과 내지 12GHz의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비교예의 결합기에 비하여 격리도(Isolation)의 수치가 음의 값으로 더 크게 나타났으며, 즉 절대값이 더 크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4.8 GHz의 주파수에서 실시예는 -51.02 dB 이었고, 비교예는 -34.65 dB 이었다. 6.0 GHz의 주파수에서 실시예는 -54.78 dB 이었고, 비교예는 -32.12 dB 이었다. 8.0 GHz의 주파수에서 실시예는 -50.59 dB 이었고, 비교예는 -27.38 dB 이었다. 격리도는 절대값의 크기가 클수록 결합기의 특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기는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포함함에 따라 격리도 특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결합기,
11: 제1 그린 시트,
12: 제2 그린 시트,
13: 제3 그린 시트,
14: 제4 그린 시트,
20: 본체,
21: 제1 외측면,
22: 제2 외측면,
23: 상면,
24: 하면,
30: 접지 전극,
40: 포트 전극,
50: 수직형 커플러 선로,
52: 비아 홀
60: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
61: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
62: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
63: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
110: 제1 기저부,
120: 제2 기저부,
130: 제3 기저부,
140: 제4 기저부,

Claims (5)

  1. 서로 대향하는 제1 외측면 및 제2 외측면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제1 외측면과 제2 외측면에 각각 배치된 접지 전극들;
    상기 본체의 제1 외측면과 제2 외측면에 각각 배치된 포트 전극들;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포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직형 커플러 선로들;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형 커플러 선로로부터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위치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들;을 포함하는,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들 중 일부는 상기 수직형 커플러 선로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위치하는,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형 커플러 선로들은 상기 포트 전극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비아 홀을 포함하는,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들은,
    상기 수직형 커플러 선로의 중앙 영역과 중첩되도록 위치한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
    상기 수직형 커플러 선로의 단부 영역과 중첩되도록 위치한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 및
    상기 수직형 커플러 선로와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한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수직형 커플러 선로를 상면에 포함하는 제1 그린 시트;
    상기 제1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상면에 포함하는 제2 그린 시트;
    상기 제2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 및 상기 제3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상면에 포함하는 제3 그린 시트; 및
    제4 그린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4 그린 시트를 기준으로 양측에 상기 제3 그린 시트, 상기 제2 그린 시트 및 상기 제1 그린 시트가 각각 배치되어 구성된,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
KR1020220148857A 2022-11-09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 KR20240067629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7629A true KR20240067629A (ko) 2024-05-1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7787B2 (ja) アンテナ装置
JP4305282B2 (ja) アンテナ装置
US10418708B2 (en) Wideband antenna
US6995710B2 (en) Dielectric antenna for high frequency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707242B1 (ko) 유전체 칩 안테나
US6603429B1 (en) Multi-band planar antenna
JP2001077623A (ja) 共振構造を重ねたアンテナと、このアンテナを含むマルチ周波数無線通信装置
US9225057B2 (en) Antenna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EP3361570B1 (en) Split ring resonator antenna
JPWO2009081803A1 (ja) アンテナ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無線通信機
JP6949640B2 (ja) アレイアンテナ基板
JPWO2019159899A1 (ja) マルチバンドアンテナ、無線通信モジュールおよび無線通信装置
JP4535640B2 (ja) 開口面アンテナおよび開口面アンテナ付き基板
KR20240067629A (ko) 수직형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
KR20240067628A (ko) 부유 기생 스터브를 가지는 결합기
KR102163069B1 (ko) 결합기
JP3072845B2 (ja) ディレイライン
KR101420193B1 (ko) 비대칭 결합 선로들을 가지는 결합기
JP2009105865A (ja) フィルタ装置
JP4775298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無線通信機器
JP4203404B2 (ja) 導波管構造体の分岐構造およびアンテナ基板
JP2021019283A (ja) アンテナ装置
US11978967B2 (en) UWB antenna
KR101310745B1 (ko) 나선형 결합 선로를 가지는 결합기
KR100714613B1 (ko) 발룬이 내장된 광대역 평형 칩 안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