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5828A - 출수온도 전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출수온도 전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65828A KR20240065828A KR1020220147031A KR20220147031A KR20240065828A KR 20240065828 A KR20240065828 A KR 20240065828A KR 1020220147031 A KR1020220147031 A KR 1020220147031A KR 20220147031 A KR20220147031 A KR 20220147031A KR 20240065828 A KR20240065828 A KR 202400658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let
- water
- drinking water
- unit
- operating unit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9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3
- 239000000571 c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5000008504 concen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EGUKCSWCFPDGT-UHFFFAOYSA-N h2o hydrate Chemical compound O.O JEGUKCSWCFPDG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2—Aesthetics, adverti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9—Temperature control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출수온도 전환장치는, 출수되는 음용수의 온도를 전환하기 위해 정수기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출수온도 전환장치로, 내부에 음용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음용수가 수용공간으로 인입되도록 인입유로를 형성하는 제 1 인입부와 제 2 인입부가 이격 배치되고, 인입된 음용수가 출수되도록 출수유로를 형성하는 출수부가 배치되는 하우징과, 수용공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 각도에 따라 제 1 인입부 또는 제 2 인입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회전프레임과, 회전프레임에 회전력을 제공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조작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출수온도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용수 인입유료가 형성되는 복수의 인입부가 상호 이격 배치되고, 복수의 인입부로부터 인입되는 음용수 중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온도 또는 종류의 음용수를 코크를 향해 선택적으로 출수하고 코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하여 하나의 코크만으로 다양한 온도와 종류의 음용수를 제공함으로써, 정수기의 부피를 줄이고, 생산에 필요한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출수온도 전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가정, 사무실 등 실내에 주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물을 공급받아 음용 할 수 있다.
물통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정수기나, 원수를 받아 정수하여 사용하는 직수 정수기 등 다양한 종류의 정수기가 사용되는데, 다른 정수기와 비교했을 때 비교적 부피가 작고 관리가 쉬운 직수 정수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직수 정수기는 부피가 작아지는 만큼 정수기를 구성하는 부품들도 간소화되어 음용수가 공급되는 코크도 한 개인 정수기가 대부분이다.
정수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냉수와 온수, 또는 정수를 각각 공급받거나,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위와 같은 문제로 원하는 여러 종류의 음용수를 공급받지 못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최근에는 한 개의 코크만으로도 다양한 온도의 음용수가 출수 되는 정수기가 개발되어 사용 중이다.
종래의 정수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용수를 하나의 코크를 통해 출수하기 위해 코크에 연결된 음용수 공급관을 직접 가열하거나, 냉각하는 온도조절장치를 구비하는 방식으로 음용수의 온도를 조절하여 음용수를 공급했다.
하지만, 종래의 정수기는 음용수의 온도를 사용자가 공급받길 원하는 온도까지 도달시키기 위해 음용수 공급관을 가열, 냉각하는데 일정시간 소요되고, 더욱이 다양한 음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공급관을 추가로 배치하는데 설계상의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종래의 정수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와 종류 음용수를 필요할 때 즉시 공급받기 어렵고,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온도와 종류의 음용수를 공급받는데 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현재,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음용수의 온도 전환 방법이 개선된 출수온도 전환장치를 개발하려는 연구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음용수 인입유료가 형성되는 복수의 인입부가 상호 이격 배치되고, 복수의 인입부로부터 인입되는 음용수 중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온도 또는 종류의 음용수를 코크를 향해 선택적으로 출수하고 코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하여 하나의 코크만으로 다양한 온도와 종류의 음용수를 제공 가능한 출수온도 전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출수온도 전환장치는, 출수되는 음용수의 온도를 전환하기 위해 정수기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출수온도 전환장치로, 내부에 음용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음용수가 수용공간으로 인입되도록 인입유로를 형성하는 제 1 인입부와 제 2 인입부가 이격 배치되고, 인입된 음용수가 출수되도록 출수유로를 형성하는 출수부가 배치되는 하우징과, 수용공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 각도에 따라 제 1 인입부 또는 제 2 인입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회전프레임과, 회전프레임에 회전력을 제공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조작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회전프레임은 수용공간 중심에서 조작유닛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조작유닛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 1 인입부에 밀착되어 제 1 인입부의 인입유로를 통해 인입되는 음용수를 차단하는 제 1 차단유닛과, 회전축의 둘레면에서 형성되어 있으며 조작유닛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 2 인입부에 밀착되어 제 2 인입부의 인입유로를 통해 인입되는 음용수를 차단하는 제 2 차단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차단유닛과 제 2 차단유닛은 상, 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동시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조작유닛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 1 인입부와 제 2 인입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조작유닛이 제 1 각도범위에 위치할 때 제 2 인입부는 제 2 차단유닛에 의해 차단되고, 조작유닛이 제 2 각도범위에 위치할 때 제 1 인입부와 제 2 인입부는 제 1 차단유닛과 제 2 차단유닛에 의해 일부 차단되고, 조작유닛이 제 3 각도범위에 위치할 때 제 1 인입부는 제 1 차단유닛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조작유닛은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며, 일부가 정수기의 외부로 노출되어 배치되는 조작유닛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유닛은 조작유닛 바디에서 돌출 형성되어 조작유닛 바디를 회전 조작 가능하도록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회전프레임은 회전축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제 1 차단유닛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제 1 지지부와, 회전축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제 2 차단유닛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고, 제 1 차단유닛과 제 1 지지부 및 제 2 차단유닛과 제 2 지지부는 하우징의 내벽에 접하여 회전축이 하우징에 축 고정되어 회전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조작유닛은 조작유닛 바디에 배치되어 조작유닛의 각도 범위에 따라 출수되는 음용수의 정보를 점등하는 제 1 표시등과 제 2 표시등을 포함하고, 조작유닛의 각도 범위에 따라 제 1 표시등 및 제 2 표시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시등이 점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우징은 수용공간 상단에 끼움홈을 포함하고, 회전프레임은 회전축의 상단에 구비되며, 끼움홈에 삽입 배치되는 끼움 돌기를 포함하고, 끼움홈과 끼움 돌기의 일측이 접하여 회전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끼움홈의 단면은 제 1 내각을 가지는 부채꼴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끼움 돌기의 단면은 제 2 내각을 가지는 부채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2 내각은 제 1 내각보다 작아 회전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출수온도 전환장치와, 출수온도 전환장치와 연결되어 음용수의 출수하도록 조작하는 버튼이 구비된 코크를 포함하고, 조작유닛의 조작에 따라 제 1 인입구 및 제 2 인입구을 통해 각각 다른 종류의 음용수 또는 각각 다른 온도의 음용수가 인입되어, 출수되는 음용수의 전환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출수온도 전환장치는 음용수 인입유료가 형성되는 복수의 인입부가 상호 이격 배치되고, 복수의 인입부로부터 인입되는 음용수 중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온도 또는 종류의 음용수를 코크를 향해 선택적으로 출수하고 코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하여 하나의 코크만으로 다양한 온도와 종류의 음용수를 제공함으로써, 정수기의 부피를 줄이고, 생산에 필요한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수온도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수온도 전환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의 (a), (b),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수온도 전환장치의 조작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의 (a), (b),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수온도 전환장치의 내부공간에서 회전프레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의 (a), (b),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수온도 전환장치의 끼움홈과 끼움 돌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의 (a), (b), (c)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수온도 전환장치의 표시등이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수온도 전환장치의 제 3 인입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수온도 전환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의 (a), (b),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수온도 전환장치의 조작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의 (a), (b),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수온도 전환장치의 내부공간에서 회전프레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의 (a), (b),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수온도 전환장치의 끼움홈과 끼움 돌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의 (a), (b), (c)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수온도 전환장치의 표시등이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수온도 전환장치의 제 3 인입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출수온도 전환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수온도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수온도 전환장치(100)는 정수기(1)의 내부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출수온도 전환장치(100)를 조작하여 음용수를 원하는 온도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음용수는 사용자가 코크(2)에 구비된 버튼(3)을 누름으로써, 출수온도 전환장치(100)에서 출수될 수 있다. 출수된 음용수는 출수관을 따라 유동하며 코크(2)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수온도 전환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출수온도 전환장치(100)는 정수기(1) 내부에 지지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과 결합하는 회전프레임(200)과, 회전프레임(200)과 결합하여 회전프레임(200)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작유닛(30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11)과, 수용공간(111) 상측에 형성되는 끼움홈(113)과, 끼움홈(113)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제한면(114)과, 끼움홈(113)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제한면(115)과, 하우징(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마개(116)와, 마개(116)의 중앙에 형성되는 마개홀(117)과,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 인입부(120)와,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2 인입부(130)와, 제 1 인입부(120)와 제 2 인입부(130)에 형성되는 인입유로(121,131)와, 하우징(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출수부(150)와, 출수부(150)에 형성되는 출수유로(151)를 포함한다. 수용공간(111)은 원통의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110)의 내벽에 의해 형성되며 음용수와 회전프레임(200)을 수용할 수 있다. 수용공간(111) 상측에는 부채꼴 형상의 끼움홈(113)이 형성된다. 끼움홈(113)의 일측에는 제 1 제한면(114)과 타측에는 제 2 제한면(115)이 형성된다. 끼움홈(113)에는 회전프레임(200)의 상부가 삽입된다. 마개(116)의 중앙에는 마개홀(117)이 형성된다. 마개홀(117)에는 회전프레임(200)의 하부가 삽입된다. 마개(116)는 하우징(110)의 하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데, 회전프레임(200)의 상부를 끼움홈(113)에 삽입하고 하부는 마개홀(117)에 삽입한 후 마개(116)를 하우징(110)에 결합함으로써 회전프레임(200)이 수용공간(1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제 1 인입부(120)는 중공된 원통의 형상으로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된다. 제 2 인입부(130)는 제 1 인입부(120)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며 중공된 원통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제 1 인입부(120)와 제 2 인입부(130)는 제 1 인입부(120)와 제 2 인입부(130)의 내벽에 의해 각각 인입유로(121,131)가 형성된다. 각각의 인입유로(121,131)에는 상호 다른 경로로부터 제공된 음용수가 유동되며, 유동된 음용수가 수용공간(111)으로 인입될 수 있다. 출수부(150)는 중공된 원통의 형상으로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된다. 출수부(150)에는 출수부(150)의 내벽에 의해 출수유로(151)가 형성된다. 출수유로(151)는 수용공간(111)에 인입된 음용수가 출수 되는 경로다. 따라서 복수의 인입부(120,130)통해 인입된 음용수는 수용공간(111)을 지나 하나의 출수부(150)를 통해 출수 될 수 있다.
회전프레임(200)은 회전프레임(200)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축(201)과, 회전축(201)의 하단에 형성되는 회전축 삽입부(202)와, 회전축(201)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 1 차단유닛(210)과, 제 1 차단유닛(210)에 배치되는 제 1 패킹(211)과, 회전축(201)에 구비되는 제 2 차단유닛(220)과, 제 2 차단유닛(220)에 배치되는 제 2 패킹(221)과, 제 1 차단유닛(210)의 반대편에 구비되는 제 1 지지부(240)와, 제 2 차단유닛(220)의 반대편에 구비되는 제 2 지지부(250)와, 회전축(201)의 상측에 형성되는 끼움 돌기(270)를 포함한다. 회전축(201)은 회전프레임(200)이 끼움홈(113)과 마개(116)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프레임(200)을 회전 가능하게 축을 제공한다. 회전축 삽입부(202)는 회전축(201)의 하부에 형성되어 마개홀(117)을 통과한다. 마개홀(117)을 통과한 회전축 삽입부(202)는 조작유닛(300)과 연결된다. 제 1 차단유닛(210)은 회전축(201)의 상단에 구비되고 회전축의 둘레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 1 차단유닛(210)은 제 1 인입부(120)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한다. 제 1 차단유닛(210)는 제 1 인입부(120)와 접하는 면에 제 1 패킹(211)이 탈착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 1 패킹(211)에는 제 1 패킹 돌출부(212)가 형성된다. 제 1 패킹 돌출부(212)는 제 1 인입부(120)의 인입유로(121)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소정 두께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 2 차단유닛(220)은 제 1 차단유닛(2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 1 차단유닛(210)이 돌출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 2 차단유닛(220)은 제 2 인입부(130)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한다. 제 2 차단유닛(220)에는 제 2 인입부(130)와 접하는 면에 제 2 패킹(221)이 탈착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 2 패킹(221)에는 제 2 패킹 돌출부(222)가 형성된다. 제 2 패킹 돌출부(222)는 제 2 인입부(130)의 인입유로(131)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소정 두께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 1 차단유닛(210)과 제 2 차단유닛(220)은 회전프레임(200)의 회전각도에 따라 인입유로(121,131)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제 1 지지부(240)는 하우징(110)의 제 1 차단유닛(210)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회전축(201)의 둘레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 1 지지부(240)는 하우징(110)의 내벽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내벽에 접할 수 있다. 제 2 지지부(250)는 하우징(110)의 제 2 차단유닛(220)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회전축(201)의 둘레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 2 지지부(250)는 하우징(110)의 내벽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내벽에 접할 수 있다. 끼움 돌기(270)는 끼움홈(113)보다 작은 내각을 가지는 부채꼴 형상으로 회전프레임(200)의 상부에 구비된다. 끼움 돌기(270)은(270)는 끼움홈(113)에 삽입되어 회전프레임(2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끼움 돌기(270)의 일측에는 접촉면(271)이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지지부(240,250)는 복수의 차단유닛(210,220)과 함께 하우징(110) 내벽에 접하여 회전프레임(200)이 회전될 때, 회전프레임(200)의 축이 수용공간(111)에 고정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부(240,250)와 복수의 차단유닛(210,220)의 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빈공간은 회전프레임(200)이 수용공간(111)에서 회전할 때, 인입된 음용수가 수용공간(111)에서 유동할 수 있는 경로가 될 수 있다.
조작유닛(300)은 조작유닛 바디(301)와, 조작유닛 바디(301)의 측부에 구비되는 조작유닛 바디 측부(302)와, 회전축 삽입부(202)가 삽입되는 조작유닛 바디 홀(303)과, 조작유닛 바디 측부(302)에 형성되는 돌출부(304)를 포함한다. 조작유닛 바디(301)는 부채꼴 형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형성되고 마개(116)의 하측에 배치된다. 조작유닛 바디(301)는 정수기(1)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된다. 조작유닛 바디 측부(302)는 조작유닛 바디(301)의 둘레면에 형성된다. 조작유닛 바디 홀(303)은 조작유닛 바디(301)의 중심에 형성되며 회전프레임(200)이 삽입된다. 돌출부(304)는 조작유닛 바디 측부(302)에 둘레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출부(304)는 사용자가 조작유닛(300)을 조작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부로 노출된 조작유닛(300)을 회전 조작하면 조작유닛(300)의 회전력이 회전프레임(200)에 전달되고 회전프레임(200)이 회전 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04)의 회전 정도를 보고 수용공간(111)으로 인입되는 음용수의 비율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수기의 내부에서 전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출수온도 전환장치는 분해와 조립을 어렵지 않아 유지보수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출수온도 전환장치(100)는 도시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음용수를 인입, 수용, 차단, 출수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3의 (a), (b),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수온도 전환장치의 조작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의 (a), (b),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수온도 전환장치의 내부공간에서 회전프레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의 (a)와 4의 (a)는 조작유닛(300)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 1 각도범위(θ1)에 위치한 작동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이때 조작유닛(300)에 연결된 회전프레임(200)이 함께 회전되어 제 2 차단유닛(220)제 2 인입부(130)와 접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패킹(221)에 형성된 제 2 패킹 돌출부(222)가 제 2 인입부(130)의 인입유로(131)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인입부(130)를 통해 인입되는 음용수도 차단된다. 도 3의 (b)와 도4의 (b)는 조작유닛(300)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 2 각도범위(θ2)에 위치한 작동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이때 조작유닛(300)에 연결된 회전프레임(200)이 함께 회전되어 제 1 차단유닛(210)과 제 2 차단유닛(220)이 제 1 인입부(120)와 제 2 인입부(130)의 일부 영역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패킹(211) 및 제 2 패킹(221)에 형성된 제 1 패킹 돌출부(212) 및 제 2 패킹 돌출부(222)가 제 1 인입부(120)와 제 2 인입부(130)의 인입유로(121,131)를 일부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 1인입부(120)와 제 2 인입부(130)를 통해 인입되는 음용수도 일부 차단된다. 도 3의 (c)와 4의 (c)는 조작유닛(300)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 3 각도범위(θ3)에 위치한 작동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이때 조작유닛(300)에 연결된 회전프레임(200)이 함께 회전되어 제 1 차단유닛(210)이 제 1 인입부(120)와 접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패킹(211)에 형성된 제 1 패킹 돌출부(212)가 제 1 인입부(120)의 인입유로(131)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 1인입부(121)를 통해 인입되는 음용수도 차단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유닛(300)을 조절함으로써, 제 1 인입부(120)와 제 2인입부(130)를 통해 수용공간(111)으로 인입되는 음용수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음용수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전환할 수 있고, 하나의 출수부(150)로 출수되어 하나의 코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도 5의 (a), (b),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수온도 전환장치의 끼움홈과 끼움 돌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의 (a)와 같이 조작유닛(300)이 제 1 각도범위(θ1)에 위치하여 회전프레임(200)도 함께 회전했을 때 끼움 돌기(270)의 접촉면(271)은 끼움홈(113)의 제 1 제한면(114)에 맞닿는다. 이때, 접촉면(271)과 제 1 제한면(114)이 맞닿음으로써, 조작유닛(300)이 제 1 각도범위(θ1)의 일측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의 (b)와 같이 조작유닛(300)이 제 2 각도범위(θ2)에 위치하여 회전프레임(200)도 함께 회전했을 때 끼움 돌기(270)의 접촉면(271)은 끼움홈(113)의 어느 제한면(114,115)에도 맞닿지 않는다.
도 5의 (c)와 같이 조작유닛(300)이 제 3 각도범위(θ3)에 위치하여 회전프레임(200)도 함께 회전했을 때 끼움 돌기(270)의 접촉면(271)은 끼움홈(113)의 제 2 제한면(115)에 맞닿는다. 이때, 접촉면(271)과 제 2 제한면(115)이 맞닿음으로써, 조작유닛(300)이 제 3 각도범위(θ3)의 타측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끼움홈(113)에 형성된 제한면(114,115)에 접촉면(271)이 맞닿음으로써, 조작유닛(300)이 지정된 각도범위(θ1,θ2,θ3)를 벗어나 필요이상으로 회전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의 (a), (b), (c)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수온도 전환장치의 표시등이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출수온도 전환장치(100')는 정수기(1)에 설치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과 결합하는 회전프레임(200)과, 회전프레임(200)과 결합하여 회전프레임(200)을 조작하는 조작유닛(30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회전프레임(200)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다.
하우징(11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11)과, 수용공간(111) 상측에 형성되는 끼움홈(113)과, 끼움홈(113)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제한면(114)과, 끼움홈(113)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제한면(115)과, 하우징(1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센서(311,312,313,314,315,316,317)가 구비된 마개(116')와, 마개(116')의 중앙에 형성되는 마개홀(117)과,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 인입부(120)와,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2 인입부(130)와, 제 1 인입부(120)와 제 2 인입부(130)에 형성되는 인입유로(121,131)와, 하우징(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출수부(150)와, 출수부(150)에 형성되는 출수유로(151)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수용공간(111)과, 제 1 제한면(114)과, 제 2 제한면(215)과, 마개홀(117)과, 제 1 인입부(120)와, 제 2 인입부(130)와, 인입유로(121,131)와, 출수부(150)와, 출수유로(151)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다.
마개(116')의 중앙에는 마개홀(117)이 형성되고, 둘레면에 제 2 각도범위(θ2) 방향으로 센서(311,312,313,314,315,316,317)가 구비된다.
조작유닛(300')은 조작유닛 바디(301')와, 조작유닛 바디(301')의 측부에 구비되는 조작유닛 바디 측부(302')와, 회전축 삽입부(202)가 삽입되는 조작유닛 바디 홀(303')과, 조작유닛 바디 측부(302')에 형성되는 돌출부(304')와, 조작유닛 바디 측부(302')에 구비되는 제 1 표시등(305) 및 제 2 표시등(306)과, 복수의 센서감지부(311,312,313,314,315,316,317)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조작유닛 바디(301')와, 조작유닛 바디 측부(302')와, 조작유닛 바디 홀(303')과, 돌출부(304')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다.
제 1 표시등(305)은 조작유닛(300')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제 1 표시등(305)은 조작유닛 바디 측부(302')의 일측에서 점등된다. 제 2 표시등(306)은 조작유닛(300')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제 2 표시등(306)은 조작유닛 바디 측부(302')의 타측에서 점등된다. 이때 표시등(305,306)이 점등되어 나타나는 빛은 특정 색상이나, 무늬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센서감지부는 제 1 내지 제 7 센서감지부(311,312,313,314,315,316,317)를 포함하는데, 필요에 따라 센서감지부의 갯수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센서감지부는(311,312,313,314,315,316,317)는 같은 간격으로 이격 되어 조작유닛 바디(301')의 상면에 배치된다. 마개(116')에 구비된 센서(310)를 복수의 센서감지부(311,312,313,314,315,316,317) 중 하나가 감지하면 표시등(305,306)은 점등될 수 있다.
도 6의 (a)의 경우 조작유닛(300')은 제 2 각도범위(θ2)에 있고, 센서(310)가 제 4 센서감지부(314)와 접하고 있다. 조작유닛(3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회전프레임(200)은 제 1 인입부(120)와 제 2 인입부(130)를 일부 차단한다. 이때 제 2 인입부(130)로 인입되는 음용수의 정보를 제 1 표시등(305)을 점등하여 나타내고, 제 1 인입부(120)로 인입되는 음용수의 정보를 제 2 표시등(306)에 점등하여 나타낸다. 따라서 음용수가 같은 비율로 인입될 때는 표시등(305,306)도 같은 비율로 점등되는 것으로 나타낸다.
도 6의 (b)의 경우 조작유닛(300')은 제 3 각도범위(θ3)에 있고 센서(310)가 제 1 센서감지부(311)와 접하고 있다. 조작유닛(3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회전프레임(200)은 제 1 인입부(120)를 차단한다. 이때 제 2 인입부(130)로 인입되는 음용수의 정보를 제 1 표시등(305)에 점등하여 나타낸다. 따라서 음용수가 제 2 인입부(130)로만 인입될 때는 제 1 표시등(305)만 점등되는 것으로 나타낸다.
도 6의 (c)의 경우 조작유닛(300')은 도 6의 (a)와 같은 제 2 각도범위(θ2)에 있고 센서(310)가 제 3 센서감지부(313)와 접하고 있다. 하지만 도 6의 (a)와 다르게 조작유닛(300')의 회전각도에 따라 회전프레임(200)은 제 2 인입부(130)보다 제 1 인입부(120)를 비교적 많이 차단한다. 이때 제 2 인입부(130)로 인입되는 음용수의 정보를 제 1 표시등(305)을 점등하여 나타내고, 제 1 인입부(120)로 인입되는 음용수의 정보를 제 2 표시등(306)에 점등하여 나타낸다. 따라서 음용수가 다른 비율로 인입될 때는 표시등(305,306)도 음용수와 같은 비율로 점등되는 것으로 나타낸다.
앞에 설명되지 않은 제 2 센서감지부(312)와, 제 5 센서감지부(315)와, 제 6 센서감지부(316)와, 제 7 센서감지부(317)도 센서(310)와 접하면 제 1 인입부(120)와 제 2 인입부(130)로 인입되는 음용수의 정보를 제 1 표시등(305)과 제 2 표시등(306)을 점등시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정수기(1)가 주변이 어두운 곳에 배치되어 사용될 때, 표시등(305,306)은 조작유닛(300')의 회전 정도를 나타낼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수온도 전환장치의 제 3 인입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출수온도 전환장치(100'')는 정수기(1)에 설치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과 결합하는 회전프레임(200)과, 회전프레임(200)과 결합하여 회전프레임(200)을 조작하는 조작유닛(30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조작유닛(300')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다.
하우징(11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11)과, 수용공간(111) 상측에 형성되는 끼움홈(113)과, 끼움홈(113)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제한면(114)과, 끼움홈(113)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제한면(115)과, 하우징(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마개(116')와, 마개(116')의 중앙에 형성되는 마개홀(117)과,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 인입부(120)와,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2 인입부(130)와,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3 인입부(140)와, 제 1 인입부(120)와 제 2 인입부(130)와 제 3 인입부(140)에 형성되는 인입유로(121,131,141)와, 하우징(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출수부(150)와, 출수부(150)에 형성되는 출수유로(151)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수용공간(111)과, 끼움홈(113)과, 제 1 제한면(114)과, 제 2 제한면(115)과, 마개(116')와, 마개홀(117)과, 제 1 인입부(120)와, 제 2 인입부(130)와, 인입유로(121,131)와, 출수부(150)와, 출수유로(151)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다.
제 3 인입부(140)는 중공된 원통의 형상으로 제 1 인입부(120)와 제 2 인입부(130)의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중공된 원통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제 3 인입부(140)에는 내벽에 의해 인입유로(141)가 형성된다. 인입유로(141)에는 제 1 인입부(120)와 제 2 인입부(130)의 인입유료(121,131)와는 상호 다른 음용수가 수용공간(111)으로 유동될 수 있게 한다.
회전프레임(200)은 회전프레임(200)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축(201)과, 회전축(201)의 하단에 형성되는 회전축 삽입부(202)와, 회전축(201)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 1 차단유닛(210)과, 제 1 차단유닛(210)에 배치되는 제 1 패킹(211)과, 회전축(201)에 구비되는 제 2 차단유닛(220)과, 제 2 차단유닛(220)에 배치되는 제 2 패킹(221)과, 회전축(201)에 구비되는 제 3 차단유닛(230)과, 제 3 차단유닛(230)에 배치되는 제 3 패킹(231)과, 제 1 차단유닛(210)의 반대편에 구비되는 제 1 지지부(240)와, 제 2 차단유닛(220)의 반대편에 구비되는 제 2 지지부(250)와, 제 3 차단유닛(230)의 반대편에 구비되는 제 3 지지부(260)와, 회전축(201)의 상측에 형성되는 끼움 돌기(27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회전축(201)과, 회전축 삽입부(202)와, 제 1 차단유닛(210)과, 제 1 패킹(211)과, 제 2 차단유닛(220)과, 제 2 패킹(221)과, 제 1 지지부(240)와, 제 2 지지부(250)와, 끼움 돌기(270)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다.
제 3 차단유닛(230)은 제 2 차단유닛(220)의 하측에 배치되며, 회전축(210)의 둘레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 3 차단유닛(230)은 제 3 인입부(140)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고 제 1 차단유닛(210) 및 제 2 차단유닛(220)이 돌출된 다른 돌출되어 방향으로 구비된다. 제 3 차단유닛(230)에는 제 3 인입부(140)가 접하는 면에 제 3 패킹(231)이 탈착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 3 패킹(231)에는 제 3 패킹 돌출부(232)가 형성된다. 제 3 패킹 돌출부(232)는 제 3 인입부(140)의 인입유로(141)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소정 두께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 3 지지부(260)는 하우징(110'')의 제 3 차단유닛(230)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회전축(201)의 둘레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 3 지지부(260)는 하우징(110'')의 내벽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내벽에 접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지지부(240,250,260)와 복수의 차단유닛(210,220,230)은 하우징(110'') 내벽에 접하여 회전프레임(200)이 회전될 때, 회전프레임(200)의 축이 수용공간(111)에 고정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부(240,250,260)와 복수의 차단유닛(210,220,230)의 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빈공간은 회전프레임(200)이 수용공간(111)에서 회전할 때, 인입된 음용수가 수용공간(111)에서 유동할 수 있는 경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도 본 발명의 일시예와 같은 원리로 조작유닛(300')이 회전됨으로써, 회전프레임(200)이 회전된다. 회전프레임(2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 1 인입부(120)와 제 2 인입부(130)와 제 3 인입부(140)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인입부(120,130,140)를 통해 수용공간(111)으로 인입되는 음용수로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와 종류로 음용수로 전환하여 출수부(150)를 통해 하나의 코크로 공급할 수 있다.
도 7에 표현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제 3 인입부(140)를 증설하고 회전프레임(200)에 제 3 차단유닛(230), 지지부(260)를 하나씩 추가하는 것과 같이 어렵지 않은 방법으로도 인입할 수 있는 음용수를 추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가지의 음용수를 이용하며 출수되는 음용수의 온도 및 종류를 전환하고 하나의 코크로 음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예로는 제 1 인입부(120)에는 냉수 공급관을 연결하고, 제 2 인입부(130)에는 온수 공급관을 연결하고, 제 3 인입부(140)에는 음료 원액을 공급하는 관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조작유닛(300')을 조작하여 인입유로(121,131,141)를 통해 수용공간(111)으로 인입시킬 냉수와 음료 원액 또는 온수와 음료 원액 또는 냉수와 온수를 선택할 수 있다. 인입된 음용수는 수용공간(111)에서 온도와 종류를 전환하고 출수부(150)를 통해 하나의 코크를 통해 음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정수기
2 : 코크
3 : 버튼 100,100',100'' : 출수 온도전환 장치
110,110',110'' : 하우징 111 : 수용공간
113 : 끼움홈 114 : 제 1 제한면(114)
115 : 제 2 제한면 116, 116' : 마개
117 : 마개홀 120 : 제 1 인입부
121,131,141 : 인입유로 130,130',130'' : 제 2 인입부
140 : 제 3 인입부 150 : 출수부
151 : 출수유로 200 : 회전프레임
201 : 회전축 202 : 회전축 삽입부
210 : 제 1 차단유닛 211 : 제 1 패킹
212 : 제 1 패킹 돌출부 220 : 제 2 차단유닛
221 : 제 2 패킹 222 : 제 2 패킹 돌출부
230 : 제 3 차단유닛 231 : 제 3 패킹
232 : 제 3 패킹 돌출부 240 : 제 1 지지부
250 : 제 2 지지부 260 : 제 3 지지부
270 : 끼움 돌기 271 : 접촉면
300,300' : 조작유닛 301,301' : 조작유닛 바디
302,302' : 조작유닛 바디 측부 303,303' : 조작유닛 바디 홀
304,304' : 돌출부 305 : 제 1 표시등
306 : 제 2 표시등 310 : 센서 감지부
311 : 제 1 센서 312 : 제 2 센서
313 : 제 3 센서 314 : 제 4 센서
315 : 제 5 센서 316 : 제 6 센서
317 : 제 7 센서 θ1 : 제 1 각도범위
θ2 : 제 2 각도범위 θ3 : 제 3 각도범위
3 : 버튼 100,100',100'' : 출수 온도전환 장치
110,110',110'' : 하우징 111 : 수용공간
113 : 끼움홈 114 : 제 1 제한면(114)
115 : 제 2 제한면 116, 116' : 마개
117 : 마개홀 120 : 제 1 인입부
121,131,141 : 인입유로 130,130',130'' : 제 2 인입부
140 : 제 3 인입부 150 : 출수부
151 : 출수유로 200 : 회전프레임
201 : 회전축 202 : 회전축 삽입부
210 : 제 1 차단유닛 211 : 제 1 패킹
212 : 제 1 패킹 돌출부 220 : 제 2 차단유닛
221 : 제 2 패킹 222 : 제 2 패킹 돌출부
230 : 제 3 차단유닛 231 : 제 3 패킹
232 : 제 3 패킹 돌출부 240 : 제 1 지지부
250 : 제 2 지지부 260 : 제 3 지지부
270 : 끼움 돌기 271 : 접촉면
300,300' : 조작유닛 301,301' : 조작유닛 바디
302,302' : 조작유닛 바디 측부 303,303' : 조작유닛 바디 홀
304,304' : 돌출부 305 : 제 1 표시등
306 : 제 2 표시등 310 : 센서 감지부
311 : 제 1 센서 312 : 제 2 센서
313 : 제 3 센서 314 : 제 4 센서
315 : 제 5 센서 316 : 제 6 센서
317 : 제 7 센서 θ1 : 제 1 각도범위
θ2 : 제 2 각도범위 θ3 : 제 3 각도범위
Claims (11)
- 출수되는 음용수의 온도를 전환하기 위해 정수기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출수온도 전환장치로,
내부에 음용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음용수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인입되도록 인입유로를 형성하는 제 1 인입부와 제 2 인입부가 이격 배치되고, 인입된 음용수가 출수되도록 출수유로를 형성하는 출수부가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제 1 인입부 또는 제 2 인입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회전프레임; 및
상기 회전프레임에 회전력을 제공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조작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수온도 전환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기 수용공간 중심에서 상기 조작유닛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유닛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제 1 인입부에 밀착되어 상기 제 1 인입부의 인입유로를 통해 인입되는 음용수를 차단하는 제 1 차단유닛; 및
상기 회전축의 둘레면에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유닛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제 2 인입부에 밀착되어 상기 제 2 인입부의 인입유로를 통해 인입되는 음용수를 차단하는 제 2 차단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수온도 전환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단유닛과 제 2 차단유닛은 상, 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동시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조작유닛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 1 인입부와 제 2 인입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수온도 전환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이 제 1 각도범위에 위치할 때 상기 제 2 인입부는 상기 제 2 차단유닛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조작유닛이 제 2 각도범위에 위치할 때 상기 제 1 인입부와 제 2 인입부는 상기 제 1 차단유닛과 제 2 차단유닛에 의해 일부 차단되고, 상기 조작유닛이 제 3 각도범위에 위치할 때 상기 제 1 인입부는 상기 제 1 차단유닛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수온도 전환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은,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며, 일부가 상기 정수기의 외부로 노출되어 배치되는 조작유닛 바디를 포함하는 출수온도 전환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은,
상기 조작유닛 바디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조작유닛 바디를 회전 조작 가능하도록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출수온도 전환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기 회전축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차단유닛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제 1 지지부; 및
상기 회전축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차단유닛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차단유닛과 제 1 지지부 및 제 2 차단유닛과 제 2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접하여, 상기 회전축이 상기 하우징에 축 고정되어 회전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수온도 전환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은,
상기 조작유닛 바디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유닛의 각도 범위에 따라 출수되는 음용수의 정보를 점등하는 제 1 표시등과 제 2 표시등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유닛의 각도 범위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등 및 상기 제 2 표시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시등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수온도 전환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용공간 상단에 끼움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끼움홈에 삽입 배치되는 끼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홈과 끼움 돌기의 일측이 접하여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수온도 전환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의 단면은 제 1 내각을 가지는 부채꼴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 돌기의 단면은 제 2 내각을 가지는 부채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내각은 상기 제 1 내각보다 작아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수온도 전환장치.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출수온도 전환장치; 및
상기 출수온도 전환장치와 연결되어 음용수의 출수하도록 조작하는 버튼이 구비된 코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유닛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 1 인입구 및 제 2 인입구을 통해 각각 다른 종류의 음용수 또는 각각 다른 온도의 음용수가 인입되어, 출수되는 음용수의 전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수온도 전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7031A KR20240065828A (ko) | 2022-11-07 | 2022-11-07 | 출수온도 전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
CN202223388449.9U CN218860354U (zh) | 2022-11-07 | 2022-12-16 | 出水温度转换装置及包括其的净水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7031A KR20240065828A (ko) | 2022-11-07 | 2022-11-07 | 출수온도 전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65828A true KR20240065828A (ko) | 2024-05-14 |
Family
ID=87376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47031A KR20240065828A (ko) | 2022-11-07 | 2022-11-07 | 출수온도 전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65828A (ko) |
CN (1) | CN218860354U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2898B1 (ko) | 2016-06-10 | 2018-08-02 | (주)한우물 | 온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
-
2022
- 2022-11-07 KR KR1020220147031A patent/KR20240065828A/ko unknown
- 2022-12-16 CN CN202223388449.9U patent/CN218860354U/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2898B1 (ko) | 2016-06-10 | 2018-08-02 | (주)한우물 | 온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218860354U (zh) | 2023-04-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73076B1 (ko) | 정수기 | |
EP3246475B1 (en) | Water outlet device for dispensing filtered water and tap water | |
US8800892B2 (en) | Regulating device for a water outflow, particularly from sanitary fittings | |
US6219860B1 (en) | Faucet assembly having overlapping spouts for releasing filtered and unfiltered water therefrom | |
KR20240065828A (ko) | 출수온도 전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 |
CN104110824A (zh) | 热水器 | |
CA2138972A1 (en) | Mixing faucet | |
CN207921392U (zh) | 水龙头阀芯及净化水和原水双水路水龙头 | |
KR101320113B1 (ko) | 온수기용 듀얼 벤추리 | |
US20100126612A1 (en) | Water flow temperature control system | |
CN213146100U (zh) | 混水装置和饮水设备 | |
KR20130098818A (ko) | 온수기용 듀얼 벤추리 | |
AU2010219366A1 (en) | A multi tap arrangement | |
JP2006307519A (ja) | 切替部材 | |
JP6713218B2 (ja) | 混合水栓 | |
CN102730773B (zh) | 净水器装置 | |
CN215980940U (zh) | 一种出水控制装置 | |
JPH11293729A (ja) | 水切換装置 | |
KR0117910Y1 (ko) | 정수기 | |
KR200260321Y1 (ko) | 에너지 절약형 냉ㆍ온수 혼합 수도꼭지 | |
CN213551255U (zh) | 出水龙头结构及饮水设备 | |
KR100187469B1 (ko) | 냉온정수기의 냉수탱크에 대한 정수공급구조 | |
KR20240065432A (ko) | 필터의 수명을 표시하는 유량계가 구비된 정수기 시스템 | |
JP3627350B2 (ja) | 流量チェッカーおよび浄水器 | |
KR20230146807A (ko) | 수전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