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5053A - 고강도 건축용 패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강도 건축용 패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5053A
KR20240065053A KR1020240057902A KR20240057902A KR20240065053A KR 20240065053 A KR20240065053 A KR 20240065053A KR 1020240057902 A KR1020240057902 A KR 1020240057902A KR 20240057902 A KR20240057902 A KR 20240057902A KR 20240065053 A KR20240065053 A KR 20240065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oven
woven fabric
metal plat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57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수
김광일
Original Assignee
김학수
김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수, 김광일 filed Critical 김학수
Priority to KR1020240057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5053A/ko
Publication of KR20240065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505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32B2266/0228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직포 패널과 금속패널을 결합하여 고강도 건축용 패널을 제조하는 고강도 건축용 패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직포를 적층하여 부직포 패널을 형성하고, 부직포 패널 사이에 금속판을 삽입하여 강도를 강화시킨 고강도 건축용 패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100% 폴리에스터 부직포를 적층하고 압착하여 일정두께의 부직포 패널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부직포 패널에 스티로폼을 적층하고 압착하여 부직포 혼합패널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부직포 혼합패널과 대응되는 크기의 금속판에 일정한 직경의 다수의 타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부직포가 외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부직포 혼합패널을 전면과 배면에 배치하고, 상기 전면과 배면의 부직포 혼합패널 사이에는 상기 금속판을 배치한 후, 상기 전면의 부직포 혼합패널의 저면과 상기 금속판의 상하부면과 상기 배면의 부직포 혼합패널의 상부면에 바인더를 도포하는 단계; (e) 상기 바인더가 도포된 전면 부직포 혼합패널과 상기 바인더가 도포된 금속판과 상기 바인더가 도포된 배면 부직포 혼합패널을 순서대로 적층하고 열압착하여 건축용 패널을 제조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조된 건축용 패널을 상온에서 압착하면서 냉각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강도 건축용 패널 제조방법{THE METHOD MANUFACTURING OF CONSTRUCTION PANEL TO USE WASTED MATERIAL}
본 발명은 부직포 패널과 금속패널을 결합하여 고강도 건축용 패널을 제조하는 고강도 건축용 패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직포를 적층하여 부직포 패널을 형성하고, 부직포 패널 사이에 금속판을 삽입하여 강도를 강화시킨 고강도 건축용 패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급속한 산업발달과 함께 금속판과 유리섬유와 같은 무기질이나 합성수지류를 심재로 한 다양한 샌드위치 패널이 제조되고 있다.
또한, 금속판에 기능성을 주기 위한 다양한 제품들도 제시되고 있는데, 금속판의 양면에 다양한 물질들을 부착하여 기능성을 부여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특허 제0915548호는 부직포나 벽지나 수지 또는 각종 코팅지와 같은 기능성 소재가 부착된 스틸판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틸의 고유 강성을 이용하면서 부드럽고 고급스러운 소재를 덧붙여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사용될 수 있는 스틸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 샌드위치 패널이 스티로폼 등 발포폼을 이용하기 때문에 쉽게 불이 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에 따라, 건축패널로서 난연성 및 강도가 강한 패널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07919호(2007.04.09.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0915548호(2009.08.28. 등록)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9033호(2012.02.01. 공개) 등록특허공보 제10-2208078호(2021.01.21.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건축용 패널로서 강도가 크고 내마모성과 내식성 및 난연성을 가지는 고강도 건축용 패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100% 폴리에스터 부직포를 적층하고 압착하여 일정두께의 부직포 패널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부직포 패널에 스티로폼을 적층하고 압착하여 부직포 혼합패널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부직포 혼합패널과 대응되는 크기의 금속판에 일정한 직경의 다수의 타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부직포가 외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부직포 혼합패널을 전면과 배면에 배치하고, 상기 전면과 배면의 부직포 혼합패널 사이에는 상기 금속판을 배치한 후, 상기 전면의 부직포 혼합패널의 저면과 상기 금속판의 상하부면과 상기 배면의 부직포 혼합패널의 상부면에 바인더를 도포하는 단계; (e) 상기 바인더가 도포된 전면 부직포 혼합패널과 상기 바인더가 도포된 금속판과 상기 바인더가 도포된 배면 부직포 혼합패널을 순서대로 적층하고 열압착하여 건축용 패널을 제조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조된 건축용 패널을 상온에서 압착하면서 냉각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a) 단계는, 부직포와 부직포 사이에 바인더를 도포하여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b) 단계는, 부직포 패널과 스티로폼 사이에 바인더를 도포하여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타공의 직경은 5 ~ 20 mm이고, 상기 타공간의 거리는 10 ~ 2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금속판의 전면과 배면에는 부직포 혼합패널과의 접착을 좋게 하기 위한 표면거칠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e) 단계에서 열압착은, 180 ~ 200℃의 온도에서 3분간 유압프레스에 의해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f) 단계에서 상온에서 압착은, 2분 내지 3분간 유압프레스에 의해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건축용 패널의 강도가 강하기 때문에 큰 강도를 요하는 건축물의 건축에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건축용 패널은, 금속의 외면에 부직포 패널이 부착되기 때문에, 금속의 부식이 방지되어 바닷가 등에 설치되는 구조물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건축용 패널은, 부직포 패널의 외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내장재 및 외장재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건축용 패널은, 내부에 금속판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로 절곡하여, 건축용 패널, 기둥, 슬레이트 등의 건축용 제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의 전체 공정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에서 부직포 패널의 제조방법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에서 부직포 혼합패널의 제조방법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에서 금속판에 타공을 형성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에서 타공이 형성된 금속판에 표면거칠기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에서 부직포 혼합패널과 금속판을 열압착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건축용 패널을 도시한 측면도 및 확대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의 전체 공정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에서 부직포 패널의 제조방법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에서 부직포 혼합패널의 제조방법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에서 금속판에 타공을 형성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에서 타공이 형성된 금속판에 표면거칠기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에서 부직포 혼합패널과 금속판을 열압착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건축용 패널을 도시한 측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은, (a) 100% 폴리에스터 부직포를 적층하고 압착하여 일정두께의 부직포 패널을 제조하는 단계(S1)와, (b) 상기 부직포 패널에 스티로폼을 적층하고 압착하여 부직포 혼합패널을 제조하는 단계(S2)와, (c) 상기 부직포 혼합패널과 대응되는 크기의 금속판에 일정한 직경의 다수의 타공을 형성하는 단계(S3)와, (d) 상기 부직포가 외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부직포 혼합패널을 전면과 배면에 배치하고, 상기 전면과 배면의 부직포 혼합패널 사이에는 상기 금속판을 배치한 후, 상기 전면의 부직포 혼합패널의 저면과 상기 금속판의 상하부면과 상기 배면의 부직포 혼합패널의 상부면에 바인더를 도포하는 단계(S4)와, (e) 상기 바인더가 도포된 전면 부직포 혼합패널과 상기 바인더가 도포된 금속판과 상기 바인더가 도포된 배면 부직포 혼합패널을 순서대로 적층하고 열압착하여 건축용 패널을 제조하는 단계(S5)와, (f) 상기 제조된 건축용 패널을 상온에서 압착하면서 냉각하는 단계(S6)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100% 폴리에스터 부직포를 이용하여 부직포 패널(10)을 제조하는 단계(S1)를 거친다. 부직포 패널은 신규의 부직포(11)인 100% 폴리에스터 부직포를 사용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11)에 바인더(12)를 도포하고, 일정두께가 될 때까지 적층하고 압착하여 부직포 패널(10)을 제조한다. 부직포 패널(10)은 압착롤러 또는 유압 프레스로 압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바인더(12)는 유기 또는 무기 바인더가 사용될 수 있다. 바인더(12)는 통상적인 유·무기 바인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유기 바인더로 폴리스티렌계, 폴리에틸렌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 바인더로 실리콘 수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부직포 패널(10)에 스티로폼(13)을 적층하고 압착하여 부직포 혼합패널(10')을 제조하는 단계(S2)를 거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 혼합패널(10')은 스티로폼(13)을 부직포 패널(11)과 적층하고 압착하여 만들어진다. 먼저 부직포 패널(10) 또는 스티로폼(13)에 바인더(12)를 도포한다. 어느 한쪽의 면에 바인더(12)를 도포하거나 양면에 모두 바인더(12)를 도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부직포 패널(10)과 스티로폼(13)을 적층한 후 압착하여 부직포 혼합패널(10')을 제조한다. 바인더(12)는 부직포 패널 제조시 사용된 유·무기 바인더를 이용한다.
다음으로, 부직포 혼합패널(10')과 대응되는 크기의 금속판(14)에 일정한 직경(d)의 다수의 타공(142)을 형성하는 단계(S3)를 거친다. 금속판(14)은 부직포 패널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구성이다. 금속판(14)은 다수의 타공(14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금속판(14)은 플레이트형 금속판 본체(141)와 일정 직경(d)과 일정 간격(D)으로 형성되는 타공(142)으로 이루어진다. 일정 직경(d)은 5 mm ~ 29 mm 정도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타공(142) 간의 거리는 10 mm ~ 20 mm 정도로 형성된다. 또한, 도 5와 같이 부직포 혼합패널(10')과의 접합을 좋게 하기 위하여 표면거칠기(143)가 이루어질 수 있다. 표면거칠기(143)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부직포 측이 외측에 위치하면서 부직포 혼합패널(10')을 전면과 배면에 배치하고, 전면과 배면의 부직포 혼합패널(10') 사이에 금속판(14)을 배치한 후, 전면의 부직포 혼합패널(10')의 저면과 금속판(14)의 상하부면과 상기 배면의 부직포 혼합패널(10')의 상부면에 바인더를 도포하는 단계(S4)를 거친다. 부직포 혼합패널(10') 사이에 금속판(14)을 적층하여 건축용 패널(10")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부직포(11') 측은 금속판(14)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스티로폼(13') 측이 금속판(14)과 접촉하도록 배치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14)의 전면과 배면 양면에 모두 부직포 혼합패널(10')이 위치하도록 하고, 각 접합되는 부분에는 바인더가 도포된다. 바인더(12)는 접촉면인 스티로폼(13') 면과 금속판(14) 모두에 도포하거나, 접촉면 중 어느 일면에만 바인더(12)를 도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바인더(12)가 도포된 전면 부직포 혼합패널(10')과 바인더(12)가 도포된 금속판(14)과 바인더(12)가 도포된 배면 부직포 혼합패널(10')을 순서대로 적층하고 열압착하여 건축용 패널을 제조하는 단계(S5)를 거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14)의 전면과 배면에 부직포 혼합패널(10')이 배치되도록 적층한다. 부직포 혼합패널(10')은 스티로폼(13') 측이 금속판(14)과 접하고, 부직포(11') 측은 외부와 접하도록 한다. 배치순서에 따라 금속판(14)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강이나 바다 등지에 설치되는 건축물에 사용될 수 있다. 금속판(14)이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 특히 바닷물에 노출되는 경우 금속판(14)은 쉽게 산화되어 녹슬게 되어 강도가 약화되나,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패널(10")의 경우는 부직포 패널(10')이 외부에 노출되고 금속판(14)은 부직포 및 스티로폼의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부식의 가능성이 상당히 낮아질 수 있다. 열압착은 통상 유압 프레스(100)로 이루어지고, 180 ~ 200℃의 온도로 3분동안 열압착하여 건축용 패널(10")을 제조한다. 열압착에 의해 스티로폼(13")은 타공(142)을 통해서 서로 접착되고, 타공(142)에 의해 상부 및 하부 측의 부직포 혼합패널(10')이 서로 연결되는데, 연결부(131")에 의해 상부 및 하부 측의 부직포 혼합패널(10')이 서로 일체로 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건축용 패널(10")은 강한 전단력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강도면에서도 더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열압착하여 건축용 패널(10")이 제조되면, 제조된 건축용 패널(10")을 상온에서 압착하면서 냉각하는 단계(S6)를 거친다. 건축용 패널(10")은 열을 제거하고 상온에서 압착되면서 냉각된다. 건축용 패널(10")이 압착된 상태에서 상온으로 냉각되므로, 압착된 상태가 아닌 상태로 냉각하는 경우 형태의 변형을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압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온에서 냉각하게 된다. 유압 프레스(100) 등으로 압착하면서 냉각하는 시간은 2 ~ 3분 정도이다. 그 이후에는 제품을 컨베이어를 통해서 외부로 반출하게 된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패널(10")은 성형틀(2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패널 형태, 내측이 빈 기둥형태, 내측이 빈 철도용 침목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패널(10")은 부직포 패널과 스티로폼 및 금속판이 서로 결합되기 때문에 강도가 크질 수 있고, 부직포가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금속판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건축용 패널(10")의 내구성이 좋아지게 된다.
위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부직포 패널 11 : 부직포
12 : 바인더 13 : 스티로폼
14 : 금속판
10' : 부직포 혼합패널 11' : 압착된 부직포
13' : 압착된 스티로폼
10" : 건축용 패널 11" : 재압착된 부직포.
13" : 재압착된 스티로폼
14 : 금속판
100 : 유압프레스

Claims (1)

  1. (a) 복수 개의 100% 폴리에스터 부직포에 바인더를 도포하고 적층 및 압착하여 일정두께의 부직포 패널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부직포 패널에 스티로폼을 적층하고, 상기 부직포 패널과 스티로폼 사이에 바인드를 도포하고 열압착하여 부직포 혼합패널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부직포 혼합패널과 대응되는 크기의 금속판에 타공의 직경이 5 ~ 20 mm이고, 상기 타공 간의 거리는 10 ~ 20 mm 인 다수의 타공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판의 전면과 배면에는 상기 부직포 혼합패널과의 접착을 좋게 하기 위한 표면거칠기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금속판의 전면과 배면에, 상기 부직포가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스티로폼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부직포 혼합패널을 각각 배치한 후, 상기 전면의 부직포 혼합패널의 저면과 상기 금속판의 상하부면과 상기 배면의 부직포 혼합패널의 상부면에 바인더를 도포하는 단계;
    (e) 상기 바인더가 도포된 전면 부직포 혼합패널과 상기 바인더가 도포된 금속판과 상기 바인더가 도포된 배면 부직포 혼합패널을 순서대로 적층하고, 180 ~ 200℃의 온도에서 3분간 유압프레스에 의해 열압착하여 건축용 패널을 제조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조된 건축용 패널을 상온에서 2분 내지 3분간 유압프레스에 의해 압착하면서 냉각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
KR1020240057902A 2021-09-28 2024-04-30 고강도 건축용 패널 제조방법 KR20240065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57902A KR20240065053A (ko) 2021-09-28 2024-04-30 고강도 건축용 패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015A KR20230045312A (ko) 2021-09-28 2021-09-28 고강도 건축용 패널 제조방법
KR1020240057902A KR20240065053A (ko) 2021-09-28 2024-04-30 고강도 건축용 패널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015A Division KR20230045312A (ko) 2021-09-28 2021-09-28 고강도 건축용 패널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5053A true KR20240065053A (ko) 2024-05-14

Family

ID=859287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015A KR20230045312A (ko) 2021-09-28 2021-09-28 고강도 건축용 패널 제조방법
KR1020240057902A KR20240065053A (ko) 2021-09-28 2024-04-30 고강도 건축용 패널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015A KR20230045312A (ko) 2021-09-28 2021-09-28 고강도 건축용 패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04531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919B1 (ko) 2005-06-17 2007-04-13 서연권 스티로폼을 소재로 하여 성형이 용이한 판재의 제조방법과그에 의해 제조된 스티로폼판재
KR100915548B1 (ko) 2008-10-29 2009-09-07 (주)뉴스틸 부직포나 벽지나 수지 또는 각종 코팅지와 같은 기능성 소재가 부착된 스틸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120009033A (ko) 2010-07-21 2012-02-01 주식회사 이코니 무기심재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2208078B1 (ko) 2018-12-03 2021-01-28 에스엠화진 주식회사 적층 시트와 그를 이용한 인서트 사출 가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919B1 (ko) 2005-06-17 2007-04-13 서연권 스티로폼을 소재로 하여 성형이 용이한 판재의 제조방법과그에 의해 제조된 스티로폼판재
KR100915548B1 (ko) 2008-10-29 2009-09-07 (주)뉴스틸 부직포나 벽지나 수지 또는 각종 코팅지와 같은 기능성 소재가 부착된 스틸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120009033A (ko) 2010-07-21 2012-02-01 주식회사 이코니 무기심재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2208078B1 (ko) 2018-12-03 2021-01-28 에스엠화진 주식회사 적층 시트와 그를 이용한 인서트 사출 가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312A (ko)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1872B2 (en) Lightweight panel construction
US20120003462A1 (en) Nail-plated composite structural system
US20130330521A1 (en) Optimal sandwich core structures and forming tools for the mass production of sandwich structures
JP4888157B2 (ja) 多層シート材、コンクリート用防食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924556U (zh) 一种木质复合地板
KR20240065053A (ko) 고강도 건축용 패널 제조방법
KR100593562B1 (ko) 층간소음 방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73850B1 (ko) 구조용 직교 집성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얻어진 구조용 직교 집성판
KR20180071924A (ko) 건식난방패널 및 이 건식난방패널 제조방법
KR20010058698A (ko) 흡음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그 흡음 단열재
US11585089B2 (en) Lightweight, wood-free structural insulation sheathing
CN212336469U (zh) 钢壳复合板叠合楼盖
EP3680893A1 (en) Sound absorbing/insulating honeycomb panel
KR101568964B1 (ko) 소음방지용 바닥재
JP2016094800A (ja) 建築用パネル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芯材部品
CN202924558U (zh) 电梯自动门用夹芯门板
JP2002161596A (ja) 建物用壁構造における耐震壁用面材及び当該面材の製造方法
JPH04267142A (ja) 複合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5199557A (ja) 合板とその製造方法
CN213233994U (zh) 一种蜂巢状多孔硅藻生态板
CN215519622U (zh) 一种金属保温板
KR100407509B1 (ko) 건축용 패널 제조방법
JP5753149B2 (ja) 木質系硬質セメント板
JPH01295840A (ja) 積層板体の成形方法
CN115853218A (zh) 一种纤维水泥制品洁净装饰板及其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