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7919B1 - 스티로폼을 소재로 하여 성형이 용이한 판재의 제조방법과그에 의해 제조된 스티로폼판재 - Google Patents

스티로폼을 소재로 하여 성형이 용이한 판재의 제조방법과그에 의해 제조된 스티로폼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7919B1
KR100707919B1 KR1020050052268A KR20050052268A KR100707919B1 KR 100707919 B1 KR100707919 B1 KR 100707919B1 KR 1020050052268 A KR1020050052268 A KR 1020050052268A KR 20050052268 A KR20050052268 A KR 20050052268A KR 100707919 B1 KR100707919 B1 KR 100707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ofoam
fabric
fiber layer
polypropylene
poly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2121A (ko
Inventor
서연권
Original Assignee
서연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연권 filed Critical 서연권
Priority to KR1020050052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7919B1/ko
Publication of KR20060132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20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3/203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2043/185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5/00Use of 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5/04Polymers of styrene
    • B29K2025/06PS, i.e. poly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711/00Use of natural products or their composit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601/00 - B29K2709/00,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711/12Paper, e.g.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713/00Use of textile products or fabrics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E, PE+PS, PS,PP등의 소재로 발포된 폼을 소재로(이하 스티로폼이라한다)하여 성형이 용이한 판재의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판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스티로품을 이용한 판재로 센드위치패널이란 판재가 있으나 이러한 판재는 단순히 스티로폼 양면에 금속재의 패널이 부착되어 있어 성형시키는데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활용도에 있어서도 가건축물의 벽체로 사용되거나 컨테이너 박스의 판재로 사용되는 정도로 한정되어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에 의해 발포 성형된 스티로폼에 접합층을 갖춘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섬유층을 적층시켜 가온 가압에 의해 일체를 이루게 하여 성형 가능한 스티로폼판재를 제조함으로서 통상의 스티로폼이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여 내수성과 단열성, 방음성, 완충성을 갖춤과 동시에 성형성 까지 갖추게 되어 스티로폼의 활용 범위를 자동차의 다양한 내장재는 물론 건축물의 내장재로서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성형 가능한 스티로폼판재는 각 구성요소가 단일소재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재활용이 가능하고, 부직포나 직물의 소재를 이루고 있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우레탄(PU) 소재 및 상기 소재 중 선택된 두 가지 성분이 7:3 내지 3:7 비율로 혼합시켜 제품의 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티로폼을 소재로 하여 성형이 용이한 판재의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스티로폼판재{Method for making a styrofoam board which is easy to shape and a styrofoam board made by the method}
도 1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제조공정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공정을 거친 스티로폼판재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성형공정, 2 - 적층공정,
3 - 히팅공정, 4 - 프레스성형공정,
5 - 섬유층, 6 - 접합층,
7 - 스티로폼,
10 - 스티로폼판재.
본 발명은 성형이 용이한 판재의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스티렌(Poly-styene : PS)이나,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 PP),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 PE), 폴리우레탄(Poly-u retgane : PU) 등과 최근에는 폴리에틸렌(PE)과 폴리스티렌(PS)이 혼합된 발포폴리스티렌 칩에 의해 발포된 폼(이하 "스티로폼"이라함)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직포 또는 직포를 열융착시킴과 동시에 압력을 가해 용도에 적합한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성형성을 갖춘 스티로폼을 소재로 한 성형이 용이한 판재의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로폼(sturofoam)은 거품폴리스티렌, 발포스티렌, 스티로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며, 폴리스티렌 칩에 펜탄이나 부탄 등 탄화수소가스를 주입시킨 뒤, 이를 증기로 부풀린 발포제품으로 체적의 98%가 공기이고, 나머지 2%가 수지인 자원절약형 소재이다.
상기와 같은 스티로폼은 부피에 비해 경량이면서도 내수성과 단열성 및 방음성과 완충성 등이 우수하여 일회용 접시나 그릇등과 같은 용기류의 소재로 사용되며, 또한 육류포장용기 달걀포장용기 전자제품이나 기타 부서지기 쉬운 물품의 운송용 포장재등과 같은 완충소재로 사용되고, 또한 우수한 단열성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단열재 및 냉동창고나 냉·온수파이프 등의 보온재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스티로폼을 소재로 하여 용기류나 물품포장재 및 보온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용도에 적합하도록 형상을 갖춰야 하므로 그에 따른 금형을 다양하게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스티로품을 소재로 하여 제작되는 용기류나 물품포장재 및 보온재의 문 제점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스티로폼을 소재로 한 용기류의 경우에는 외부압력에 취약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어 사용하는데 한정되고, 물품포장재의 경우에는 제작된 가전제품이나 유리재 및 수지재로 성형된 장식품을 포장하기 위해서는 그 외형에 따라 금형을 제작해야 하는데, 특히 가전제품이나 장식품은 유행에 민감하여 한 해에도 수십 수백 종의 신제품이 쏟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이를 포장하기 위해 그 때마다 금형을 제작해 왔다.
또한, 스티로품은 건축물의 단열 보온재로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사용되고 있는 실정을 설명하면 콘크리드 옹벽일 경우에는 내벽에 일정두께(보통 50㎜)의 스티로폼을 가부착한 후 목재 소재로 된 내장재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냉·온수파이프의 보온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면상 반원형으로 스티로폼이 발포성형 하여 두개의 스티로품 보온재로 파이프를 감싼 후에 스티로폼 보온재를 보호하기 위하여 비닐이나 천으로 감아주는 후 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상과 같이 스티로폼은 내수성, 단열성, 방음성, 완충성 등이 우수하여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폭넓게 사용되어 왔으나, 외부 충격이나 압력에 취약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사용하는 용도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건축물의 보온재로 사용할 경우에는 스티로폼 자체의 형상과 색상을 포함한 모양이 일정하여 직접적으로 내장재로서 사용하지 못하고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지닌 합판을 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특히 건축보온재로 사용할 때 건축물의 곡면에는 설치하지 못해 건축보온재로서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와 같은 스티로품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경우에는 그 활용범위를 보다 폭넓게 사용할 수 있는데 이를 일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현대인들의 필수품이라 할 수 있는 자동차의 경우 최근에는 차내의 인테리어나 안전성 및 쾌적한 승차감등이 중시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차내에는 여러 종류의 내장재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내장재로는 헤드 라이너, 도어트림, 리어 쉘프, 트렁크 매트, 카 매트, 바닥재, 보닛 라이너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내장재는 필수적으로 여러 가지 기능을 갖춰야 하는데, 그 기능으로는 주로 차내를 보다 안락하게 보이도록 장식하는 내장기능, 차내의 열을 보존하거나 외부의 열기(냉기)를 차단하는 단열기능, 외부의 소음이나 내부의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음 및 흡음기능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충격완화기능 등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차량에 사용되는 내장재는 위의 여러 가지 기능을 갖추면서도 경량이어야 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복잡한 내부구조 및 차종의 변화에 따른 구조변화에 잘 적응할 수 있는 성형성을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내장재는 일반적으로 크게 두 게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내장재의 단면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펠트의 양면에 비닐지와 이형지가 부착되어 있는 하나의 층과, 후판지의 한 쪽면에 스펀지와 섬유편물이 부착되어 있는 다른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펠트는 흡음 및 차음기능을 하며, 이형지와 비닐지는 펠트면의 흐트러짐이나 오염을 방지하는 기능, 후판지는 굽힘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여 프레스 가공시 성형성을 갖추게 하는 기능, 스펀지와 섬유편물은 충격흡수기능과 미려함을 제공하기 위한 마감처리기능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차량용 내장재는 단면상 여러 가지 소재를 적층시켜 일체를 이루는 판재로 제조해야 함으로 그 제조공정이 매우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무제점과, 상기 소재들 중에는 재생할 수 없는 소재가 많아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스티로폼이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폴리 프로필렌(Poly Propylene:PP), 폴리 에틸렌(Poly Ethylene:PE), 폴리 우레탄(Poly Uretgane:PU)등과 같은 발포칩에 의해 발포된 폼(스티로폼)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직포 또는 직포로 이루어진 섬유층을 열융착시킴과 동시에 압력을 가해 용도에 적합한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성형성을 갖춘 스티로폼을 소재로 한 성형이 용이한 판재의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판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직포 또는 직포로 이루어진 섬유층의 일면에 접합층을 갖추도록 하는 성형공정과, 상기 성형공정을 거친 부직포 또는 직포로 이루어진 섬유층을 일반적인 스티로폼에 적층시키는 적층공정과, 상기 적층공정을 거쳐 일면 또는 양면에 섬유층이 적층된 상태의 스티로폼에 120℃에서 250℃로 히팅하는 히팅공정과, 상기 히팅공정을 거친 스티로폼에 냉각 압착시키는 프레스성형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섬유층의 일면에 갖춰지는 접합층은 스티로폼의 소재와 동일한 소재로 이뤄져 있으므로 열융착에 의해 일체를 이룰 수 있으며, 특히 동일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재활용이 가능하고, 스티로폼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된 섬유층에 의해 성형성을 갖추게 됨으로 프레스성형공정을 거친 스티로품의 형상은 일정한 형상을 이룰 수 있어 스티로폼의 활용 범위를 보다 확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판재의 강도를 임의적으로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섬유층을 이루고 있는 부직포나 직물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소재 중 선택된 두 가지 소재가 일정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소재 중 선택된 두 가지 소재의 혼합비를 7:3 내지 3:7로 혼합하여 사용하면 판재의 강도는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섬유층의 일면에 접합층을 형성하는 성형공정; 성형공정 섬유층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이 혼합된 소재군 중 어느 하나의 소재의 발포폴리스티렌 칩에 의해 발포된 스티로폼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시키는 적층공정; 적층공정을 거친 스티로폼에 120℃~250℃의 열을 20초~60초 정도 가열하여 접합층이 용융상태를 이루게 하여 섬유층이 스티로폼과 가접합을 이루게 하는 히팅공정; 히팅공정을 거쳐 섬유층이 스티로폼과 가접합된 상태에서 열과 압력을 가한 후 냉각시켜 스티로폼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섬유층을 접합시키는 프레스성형공정을 거쳐 경질의 판재형상을 성형하도록 한 제조방법이다.
상기 성형공정은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섬유층의 일면에 카딩기(원사소면기)를 이용하여 스티로품의 소재인 발포폴리스티렌 칩의 용융점보다 낮은 용융점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의 원사를 적층시켜서 120℃에서 180℃의 열을 가해 섬유층의 일면과 일체를 이루는 용융된 상태의 접합층이 성형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성형공정은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섬유층의 일면에 스티로폼의 소재인 발포폴리스티렌 칩의 용융점보다 낮은 용융점은 갖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의 소재의 액상의 수지를 코팅하거나 파우더를 뿌리고 120℃에서 180℃의 열을 적층된 액상의 수지나 파우더에 가해 부직포나 직물의 일면과 일체를 이루는 용융된 상태의 접합층이 성형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섬유층의 소재는 스티로품과 접합층의 소재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접합층보다 용융점이 20℃~40℃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성형이 용이한 판재는 상기 성형이 용이한 판재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어 단면 구조상 스티로폼의 상하면에 접합층을 매개로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섬유층이 일체를 이루고 있다.
또한, 단면 구조상 스티로폼의 상하면에 접합층을 매개로 스티로폼과 일체를 이루고 있는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섬유층은 난연(難燃)처리 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로품의 전체 제조공정도 이고, 예시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공정을 거친 스티로품의 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성형공정(1)은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섬유층(5)의 일면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원사나 코팅된 액상의 수지 또는 파우더를 적층시켜서 120℃~180℃의 열을 적층된 원사나 코팅된 액상의 수지 또는 파우더에 가하면, 적층된 원사나 파우더, 코팅된 액상의 수지는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섬유층(5)의 일면과 일체를 이루는 용융된 상태의 접합층(6)이 성형된다.
상기 성형공정(1) 중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섬유층(5)의 소재는 접합층(6)과 동일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용융점이 접합층(6)의 용융점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상대적으로 접합층(6)은 섬유층(5)의 소재보다 저융점의 소재가 바람직하며, 그 소재의 형태는 단섬유인 원사, 액상인 수지, 분말상태인 파우더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접합층(6)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재는 원사, 수지, 파우더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스티로폼(7)과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섬유층(5)의 용융점 보다 낮은 저융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의 저융점 소재가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공정(1)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접합층(6)의 소재가 원사일 경우에는 카딩기(원사 소면기)를 이용하여 부직포(또는 직물)의 일면에 접합층(6)을 형성하고, 접합층(6)의 소재가 파우더일 경우에는 분사기를 통해 접합층(6)이 형성되면서 120℃~180℃의 히팅로울러를 거치면, 접합층(6)은 용융상태를 이루면서 섬유층(5)의 표면에 압착되어 일체를 이루며, 또한 접합층(6)의 소재가 액상의 수지일 경우는 액상의 상태로 분사 도포시키는 것으로 일체를 이룬다.
상기 성형공정(1)을 거친 부직포 또는 직물로 이루어진 섬유층(5)은 접합층(6)이 스티로폼(7)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하도록 적층되는 적층공정(2)을 거쳐 스티로폼판재를 이루게 되는데, 이때, 스티로폼(7)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의 소재인 발포칩에 의해 발포된 스티로폼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접합층(6)의 용융점보다 높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의 소재 발포폴리스티렌 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적층공정(2)을 거친 일면 또는 양면에 부직포 또는 직물로 이루어진 섬유층(5)이 적층된 스티로폼판재(10)에 140℃~250℃의 열을 20초~60초 정도 가열하여 접합층(6)이 용융상태를 이루게 하는 히팅공정(3)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단면상 스티로폼(7)의 상하면에 적층된 섬유층(5)에 140℃~250℃의 열을 20초~60초 정도 가하면, 섬유층(5)을 통해 접합층(6)과 스티로폼(7)에 열이 전도되어 접합층(6)은 용융상태를 이루어 스티로폼(7)의 표면과 가접합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하 섬유층(5)과 접합층(6) 사이에 위치한 스티로폼(7)은 그 형상에는 변화가 없으나 전도되는 열에 의해 부드러운 상태로 변화되어 프레스성형공정(4)으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이 히팅공정(3)을 거쳐 부드러운 상태인 스티로폼판재(10)는 프레스성형공정(4)을 거쳐 경질의 스티로폼판재(10)로 성형되는데, 이렇게 성형된 스티로폼판재(10)는 필요에 따라 가열 압착시킴에 따라 그 형상을 임의적으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프레스성형공정(4)에 투입된 스티로폼판재 (10)는 접합층(6)이 용융된 상태이고, 스티로폼(7)은 섬유층(5)에 가해진 140℃~250℃의 열이 전도되어 형상에 변화가 없으나 부드러운 상태로 변화된 상태에서 냉각기능을 갖춘 판재형상의 금형에 부드러운 상태의 스티로폼판재(10)를 넣고 압력을 가하면 섬유층(5)의 표면온도가 스티로폼(7)에 전달되면서 압착되어 스티로폼(7)의 밀도는 높아지면서 냉각되어 경질의 스티로폼판재(10)가 성형된다.
여기서, 스티로폼(7)의 양면 또는 단면에 적층되는 섬유층(5)은 스티로폼(5)의 소재와 동일한 소재의 직물지나 부직포로 할 경우에는 별도의 접합층(6)을 갖추지 않아도 히팅공정(3)을 거치게 되면 스티로폼(7)의 표면과 섬유층(5)의 표면이 먼저 용융된 상태를 이루고 있어 프레스성형공정(4)에 의해 성형이 용이한 스티로폼판재(10)가 성형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스티로폼(7)의 양면 또는 단면에 종이판을 적층시켜 성형이 용이한 스티로폼판재(10)를 성형할 수 있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티로폼(7)과 접하는 종이판의 일면에 스티로폼(7)과 동일한 소재의 단섬유인 원사, 액상인 수지, 분말인 파우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층시키거나 도포 또는 분사시켜 히팅공정(3)을 통해 용융된 상태를 이루면서 프레스성형공정(4)을 거치게 되 스티로폼(7)과 종이판은 열과 압력에 의해 접합되어 성형이 용이한 스티로품판재(10)가 성형되어 진다.
이와 같이 성형된 스티로폼판재(10)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내장재를 성형하고자 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스티로폼판재(10)에 섬유층(5)의 용융점 이하까지 열을 가한 후 자동차용 내장재의 형상을 갖춘 금형에 열을 가 한 스티로폼판재를 넣고 압력을 가하면 섬유층의 표면온도가 접합층과 스티로폼의 내부에 까지 전도되어 스티로폼은 압축되면서 자동차용 내장재의 형상으로 변형되면서 급속히 냉각되어 변형된 형상으로 경화됨으로서 자동차용 내장재의 형상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성형 가능한 스티로폴판재는 그 외면이 섬유층(5)을 이루고 있으므로 별도의 마감재가 필요 없이 건축물의 내벽에 직접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섬유층을 난연(難燃)가공처리 할 경우에는 보다 효과적으로 건축용 내장재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의 소재의 발칩에 의해 발포 성형된 스티로폼에 접합층을 갖춘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섬유층을 적층시켜 가온 가압에 의해 일체를 이루게 하여 성형 가능한 스티로폼판재를 제조함으로서 통상의 스티로폼이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여 내수성과 단열성, 방음성, 완충성을 갖춤과 동시에 성형성까지 갖추게 되어 스티로폼의 활용 범위를 자동차의 다양한 내장재는 물론 건축물의 내장재로서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성형 가능한 스티로폼은 각 구성요소가 단일소재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재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판재의 강도를 임의적으로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섬유층을 이루고 있는 부직포나 직물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두 가지 소재를 일정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선택된 두 가지 소재의 혼합비를 7:3 내지 3:7로 혼합하여 사용하면 판재의 강도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두 가지의 소재로 혼합된 발포칩에 의해 발포된 스티로폼의 일면 또는 양면에 섬유층을 형성하는 성형공정과, 상기 스티로폼에 120℃~250℃의 열을 가하는 히팅공정과, 상기 히팅공정을 거친 스티로폼에 압력을 가해 경질의 판재형상을 이루게 하는 프레스공정으로 이루어진 성형이 가능한 스티로폼판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성형공정을 거친 섬유층에 카딩기(원사소면기)를 이용하여 스티로폼의 소재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 발포칩의 용융점보다 낮은 용융점을 갖는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의 원사를 적층시켜 공지의 히팅공정을 통해 접합층을 형성하되, 상기 접합층을 갖춘 섬유층을 스티로폼에 적층시켜 섬유층과 스티로폼이 가접합 상태를 이루게 하고, 상기 가접합을 이루고 있는 섬유층과 스티로폼을 공지의 프레스공정을 거쳐 냉각되면서 경질의 판재형상을 이루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이 가능한 스티로폼판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성형공정은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섬유층의 일면에 스티로폼의 소재인 발칩의 용융점보다 낮은 용융점은 갖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의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액상의 수지를 코팅하거나 파우더를 뿌리고 120℃에서 180℃의 열을 가 부직포나 직물의 일면과 일체를 이루는 용융된 상태의 접합층이 성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이 가능한 스티로폼판재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섬유층의 소재는 스티로과 접합층의 소재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소재 중 선택된 두 가지의 성분이 7:3이나 3:7로 혼합된 소재로 이루어지고, 접합층보다 용융점이 20℃~40℃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이 가능한 스티로폼판재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스티로폼의 양면 또는 단면에 접합되는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섬유층은 스티로폼 동일소재이거나 동일소재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이 가능한 스티로폼판재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스티로폼의 양면 또는 단면에 종이판을 적층시키되, 상기 종이판의 일면에 스티로폼의 소재와 동일 수지, 원사, 파우더 중 하나를 코팅하여 열과 압력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이 가능한 스티로폼판재의 제조방법.
  7. 제 1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단면 구조상 스티로폼의 상하면에 접합층을 매개로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섬유층이 일체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을 갖춘 판재.
  8. 7 항에 있어서, 섬유층은 난연(難燃)가공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을 갖춘 스티로폼판재.
KR1020050052268A 2005-06-17 2005-06-17 스티로폼을 소재로 하여 성형이 용이한 판재의 제조방법과그에 의해 제조된 스티로폼판재 KR100707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268A KR100707919B1 (ko) 2005-06-17 2005-06-17 스티로폼을 소재로 하여 성형이 용이한 판재의 제조방법과그에 의해 제조된 스티로폼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268A KR100707919B1 (ko) 2005-06-17 2005-06-17 스티로폼을 소재로 하여 성형이 용이한 판재의 제조방법과그에 의해 제조된 스티로폼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121A KR20060132121A (ko) 2006-12-21
KR100707919B1 true KR100707919B1 (ko) 2007-04-13

Family

ID=37811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268A KR100707919B1 (ko) 2005-06-17 2005-06-17 스티로폼을 소재로 하여 성형이 용이한 판재의 제조방법과그에 의해 제조된 스티로폼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791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035B1 (ko) * 2008-03-12 2010-01-27 서연권 이형소재를 혼합성형하여 얻어지는 판재와 그 제조방법
WO2011028020A2 (ko) * 2009-09-02 2011-03-10 (주)폴머 섬유보강 발포 수지 성형물과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단열 공법 및 단열 거푸집 공법
KR101216549B1 (ko) 2010-08-03 2012-12-31 김기태 단열재와 섬유시트가 결합된 복합단열패널 및 그 복합단열패널을 이용한 외단열 시공 방법
KR101704262B1 (ko) 2015-09-15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밀도 조절이 가능한 성형물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성형물
KR20180082687A (ko) * 2017-01-10 2018-07-19 주식회사 하도에프앤씨 차량 내외장재용 열 가소성 소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내외장재 성형품
KR20230045312A (ko) 2021-09-28 2023-04-04 김학수 고강도 건축용 패널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182B1 (ko) * 2006-10-19 2008-04-22 (주)재현 층간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027989B1 (ko) * 2010-08-26 2011-04-13 주식회사 세림티티시 천연섬유를 이용한 차량용 내장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0331A (ko) * 1996-04-18 1997-11-07 최백경 피브이씨(pvc) 유연성 원단에 색체무늬층을 형성시키는 방법과, 이로부터 얻어진 제품
KR19990046686A (ko) 1999-04-15 1999-07-05 전운장 흡,차음용적층체
KR20010055066A (ko) 1999-12-09 2001-07-02 장종협 성형품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제조 방법
KR100437869B1 (ko) * 2002-12-21 2004-06-30 서연권 성형이 용이한 차량용 내장재 및 건축용 시트의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내장재 및 건축용시트, 및 차량 및 건축용 판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0331A (ko) * 1996-04-18 1997-11-07 최백경 피브이씨(pvc) 유연성 원단에 색체무늬층을 형성시키는 방법과, 이로부터 얻어진 제품
KR19990046686A (ko) 1999-04-15 1999-07-05 전운장 흡,차음용적층체
KR20010055066A (ko) 1999-12-09 2001-07-02 장종협 성형품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제조 방법
KR100437869B1 (ko) * 2002-12-21 2004-06-30 서연권 성형이 용이한 차량용 내장재 및 건축용 시트의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내장재 및 건축용시트, 및 차량 및 건축용 판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035B1 (ko) * 2008-03-12 2010-01-27 서연권 이형소재를 혼합성형하여 얻어지는 판재와 그 제조방법
WO2011028020A2 (ko) * 2009-09-02 2011-03-10 (주)폴머 섬유보강 발포 수지 성형물과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단열 공법 및 단열 거푸집 공법
WO2011028020A3 (ko) * 2009-09-02 2011-07-21 (주)폴머 섬유보강 발포 수지 성형물과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단열 공법 및 단열 거푸집 공법
KR101216549B1 (ko) 2010-08-03 2012-12-31 김기태 단열재와 섬유시트가 결합된 복합단열패널 및 그 복합단열패널을 이용한 외단열 시공 방법
KR101704262B1 (ko) 2015-09-15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밀도 조절이 가능한 성형물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성형물
KR20180082687A (ko) * 2017-01-10 2018-07-19 주식회사 하도에프앤씨 차량 내외장재용 열 가소성 소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내외장재 성형품
KR20230045312A (ko) 2021-09-28 2023-04-04 김학수 고강도 건축용 패널 제조방법
KR20240065053A (ko) 2021-09-28 2024-05-14 김학수 고강도 건축용 패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121A (ko) 200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7919B1 (ko) 스티로폼을 소재로 하여 성형이 용이한 판재의 제조방법과그에 의해 제조된 스티로폼판재
CA1243256A (en) Thermoformable composite articles
US7857934B2 (en) Method of manufacture of a structural polymer core assembly
US5514458A (en) Large-size panel of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for automotive vehicle interior,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RU2585026C2 (ru) Изделие, выполненное из многослойного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ES2467933T3 (es) Proceso de producción de un recubrimiento moldeado de varias capas
KR20070056000A (ko) 열성형 가능한 음향 물품
US20080145635A1 (en) Automotive interior structural components with integral close-out panel
US5900300A (en) High modulus and stiffness polymer foam/GMT composites
JP4178160B2 (ja) 成形容易な車両用内装材及び建築用シートの製造方法と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車両用内装材及び建築用シート
KR101874305B1 (ko) 차량용 플로워카페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95573B1 (ko) 흡, 차음용 적층체
KR20180047882A (ko) 단일소재의 차량용 내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28830Y1 (ko) 내장재 적층체
KR100437869B1 (ko) 성형이 용이한 차량용 내장재 및 건축용 시트의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내장재 및 건축용시트, 및 차량 및 건축용 판재
KR100939035B1 (ko) 이형소재를 혼합성형하여 얻어지는 판재와 그 제조방법
KR100397398B1 (ko) 벽체 및 자동차 내장재용 패널과 그 제조방법
KR102660696B1 (ko) 열-구조 복합재를 얻는 공정
JP2721820B2 (ja)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積層体
KR102512960B1 (ko) Rv 차량의 트렁크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66705A (ko) 자동차용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631804B1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WO2011092314A1 (en) Sheet with three-dimensional pattern provided with three-dimensional projecting structures and method for producing it
KR200405654Y1 (ko) 접이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WO2000020186A1 (en) A molded automotive structural member and process for mak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