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4092A - 리클라이너 장치와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리클라이너 장치와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4092A
KR20240064092A KR1020220145731A KR20220145731A KR20240064092A KR 20240064092 A KR20240064092 A KR 20240064092A KR 1020220145731 A KR1020220145731 A KR 1020220145731A KR 20220145731 A KR20220145731 A KR 20220145731A KR 20240064092 A KR20240064092 A KR 20240064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wedge spring
wedges
spring
lever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5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원
나경목
Original Assignee
대원정밀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정밀공업(주) filed Critical 대원정밀공업(주)
Priority to KR1020220145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4092A/ko
Publication of KR20240064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409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0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the cushion, e.g. back-rest hinged on the bottom to the cushion and linked on the top to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클라이너 장치와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웨지스프링의 조립이 이루어진 후, 인터널 기어와 익스터널기어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리클라이너의 조립 편의성을 증대시킨 리클라이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웨지스프링의 탄성력이 제1,2웨지로 전달되지 않도록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레버소켓의 일측에 걸림지지된 상태에서 인터널기어에 익스터널기어의 조립이 이루어진 후, 레버소켓의 회전에 의해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레버소켓에서 제1,2웨지로 이동되어 접촉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리클라이너 장치와 그 조립방법{Recliner assembly structur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리클라이너 장치와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레버소켓에 웨지스프링이 가조립되고, 인터널기어와 익스터널기어의 조립 후, 레버소켓의 회전에 의해 웨지스프링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는 리클라이너 장치와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클라이너(Recliner)는, 차량 시트의 쿠션(안장)과 백(등받이)을 연결하는 결합부에 설치되어 백의 기울기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써, 인터널기어, 익스터널기어, 한 쌍의 웨지, 레버소켓, 캠 등등의 많은 부품이 결합된 하나의 조립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트에 결합되기 전에 리클라이너를 구성하는 많은 부품들이 서로 조립되어 하나의 조립체로 구성된 다음, 시트의 쿠션과 백을 연결하는 샤프트(또는 회전축)의 양단에 장착된다.
상기 리클라이너는, 시트 백(미 도시)과 결합되며 내치차가 형성된 인터널기어와, 외치차가 형성된 익스터널기어를 구비하되, 인터널기어와 익스터널기어는 구조적으로 서로 다른 기어크기(기어 잇수)와, 서로 다른 피치원지름(PCD : Pitch Circle Diameter)에 의하여 조립 상태에서 인터널기어에 익스터널기어가 결합되어, 사이공간에 개재된 한쌍의 웨지(Wedge)에 의하여 편심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록킹(Locking) 상태 혹은 리클라이너 작동을 위한 언록킹(Unlocking)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리클라이너는 경사각 조절되는 시트 백에서 미세한 덜컹거림 없이 반복적으로 정교하고 원활한 구동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각 부품의 정밀가공은 물론 각 부품의 조립과정에서 정밀하고 세심한 조립작업을 필요로 한다. 특히, 인터널기어와 익스터널기어의 편심 조립 및 유지, 한쌍의 웨지에 대한 위치 배치, 웨지스프링의 조립에 따른 제1,2웨지의 회전작동성 등등은, 리클라이너의 작동(Unlocking) 및 록킹 (Locking)에 대한 최종 품질에 큰 영향일 미치게 된다.
즉, 인터널기어와 익스터널기어가 조립되지 못하게 되면, 리클라이너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한쌍의 웨지에 대한 위치 배치, 웨지스프링에 의한 제1,2웨지의 회전작동이 원활하게 못하게 되면, 리클라이너의 작동성에 문제가 발생될 뿐 아니라, 추돌과 같은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강도가 확보가 되지 않아 안전 상의 문제가 발생된다.
종래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리클라이너(100`)는, 리클라이너 부품의 정확한 조립 및 조립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리클라이너 부품의 조립을 위한 설치홀(6a)이 구비된 익스터널기어(6)가 인터널기어(3)에 조립된 후, 익스터널기어의 설치홀(6a)을 통해, 제1,2웨지(1,2), 레버소켓(4) 및 웨지스프링(5)이 순차적으로 조립되고,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널기어(3) 또는 익스터널 기어(6) 중 어느 하나에 덮개플레이트(8)가 레이저 용접, 압입 등에 의해 일체로 연결설치되어 익스터널기어의 설치홀(6a)이 폐쇄됨으로써, 조립설치된 제1,2웨지(1,2), 레버소켓(4) 및 웨지스프링(5) 등등의 내부부품에 대한 축방향 외부 이탈이 덮개플레이트(8)에 의해 구속됨과 동시에, 이들 내부 부품의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었다. 미설명부호 7 은 익스터널기어에 압입설치되는 베어링, 9 는 커버이다.
즉, 종래의 리클라이너(100`)는, 제1,2웨지(1,2), 레버소켓(4), 웨지스프링(5) 등의 내부 부품에 대한 조립을 위하여, 익스터널 기어(6)가 중앙이 뚫려 있는 형태 즉, 익스터널 기어(6)에 내부 부품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설치홀(6a)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같이, 익스터널기어의 중앙에 내부 부품 조립을 위한 설치홀(6a)이 구비될 경우, 익스터널기어(6)의 자체 강도가 저하될 뿐 아니라, 익스터널기어의 열처리 공정 시, 설치홀에 의해 익스터널기어의 형상에 변형(진원도 불량)이 발생되거나, 외주면에 형성된 외치차의 치형 형상윤곽에 변형이 발생되어, 익스터널기어의 품질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익스터널 기어의 조립성 및 작동성이 저하 및, 리클라이너의 작동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리클라이너는, 내부 부품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별도의 덮개플레이트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조립공정이 복잡해지고, 부품수의 증가로 인해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419700(2014.07.09)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84190(2012.09.13)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739469(2017.05.18)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30028(2013.11.11)
본 발명의 목적은 웨지스프링의 조립이 이루어진 후, 인터널 기어와 익스터널기어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리클라이너의 조립 편의성을 증대시킨 리클라이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널기어의 수용부내에 제1,2웨지, 레버소켓이 순차적으로 조립되고, 레버소켓에 웨지스프링이 가조립되며, 익스터널기어의 조립 후, 레버소켓의 회전에 의해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제1,2웨지에 접촉지지되도록 조립되는 리클라이너 장치와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웨지스프링의 탄성력이 제1,2웨지로 전달되지 않도록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레버소켓의 일측에 걸림지지된 상태에서 인터널기어에 익스터널기어의 조립이 이루어진 후, 레버소켓의 회전에 의해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레버소켓에서 제1,2웨지로 이동되어 접촉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레버소켓에 웨지스프링이 가조립된 후, 레버소켓의 회전에 의해 제1,2웨지에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접촉지지되는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제1,2웨지, 캠, 레버소켓, 웨지스프링 등의 내부 부품이 별도의 커버플레이트 없이 리클라이너의 조립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웨지스프링의 탄성력이 제1,2웨지로 전달되지 않도록 레버소켓에 가조립되므로, 인터널기어에 제1,2웨지, 레버소켓 및 웨지스프링이 순차적으로 설치된 후 익스터널기어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익스터널 기어 자체에 의해 제1,2웨지, 레버소켓 및 웨지스프링 등의 구성부품들이 감싸져 그 위치가 구속되어지므로, 리클라이너의 부품수가 감소되고 조립성 및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익스터널 기어에 내부 부품의 조립설치를 위한 설치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익스터널 기어의 강도가 향상되고, 익스터널 기어의 열처리 공정 시, 외치차의 치형윤곽에 대한 변형 및 익스터널 기어 자체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 안정적인 치형 확보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익스터널기어의 품질, 조립성 및 작동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인터널기어에 제1,2웨지, 레버소켓 또는, 제1,2웨지, 캠, 레버소켓이 설치되고, 레버소켓에 웨지스프링이 가조립되며, 웨지스프링이 가조립된 상태에서 익스터널기어가 인터널기어에 조립된 후, 레버소켓의 회전에 의해 제1,2웨지에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접촉지지되는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인터널기어에 익스터널기어가 선조립된 상태에서 제1,2웨지, 캠, 레버소켓, 웨지스프링이 조립되던 종래의 리클라이너 조립공정에 비하여,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내부 부품에 대한 정확한 조립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단순 덮개기능을 구비하는 커버플레이트의 조립공정이 생략될 수 있어, 조립공정이 단순화되고, 이를 통해 조립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캠포함)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캠포함)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웨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버소켓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익스터널 기어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8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공정을 보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웨지스프링의 가조립 후, 레버소켓의 회전에 따른 웨지스프링의 위치결정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10은 종래 리클라이너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를,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캠이 포함된 리클라이너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 구조는, 웨지스프링의 탄성력이 제1,2웨지로 전달되지 않도록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레버소켓에 걸림지지된 상태에서 인터널기어에 익스터널기어의 조립이 이루어진 후, 레버소켓의 회전에 의해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레버소켓에서 이탈되어 제1,2웨지로 이동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10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널기어(30), 제1,2웨지(10,20), 레버소켓(40), 웨지스프링(50), 익스터널기어(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거나,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널기어(30), 캠(80), 제1,2웨지(10,20), 레버소켓(40), 웨지스프링(50), 익스터널기어(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널기어(30)는 시트백(도시없음)에 연결설치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웨지(10,20), 레버소켓(40) 및 웨지스프링(50) 등의 부품이 조립되는 수용부(31)이 형성되고, 수용부(31)의 내주면에 익스터널 기어의 외치차(62) 일측이 결합되는 내치차(32)가 형성되고, 수용부 중앙에 버링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2웨지(10,20)는, 도 1 내지 도 5 및, 도 8(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널 기어의 내치차(32)와 버링부(33) 사이에 위치하도록 수용부(31)내에 삽입되고, 상호 마주하는 일측에 웨지스프링의 양단(51,52)이 접촉되어 지지되는 지지면(11,2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2웨지(10,20)는, 지지면(11,21)에 양단이 접촉지지된 웨지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동되어 리클라이너의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작동되고, 레버소켓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호 근접되어지도록 작동되어 리클라이닝 작동(언록킹)이 이루어지도록 작동된다.
또한, 상기 지지면(11,21)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스프링의 끝단(51 or 52)이 접촉되어 가이드되는 제1지지면(11a,21a)과, 상기 제1지지면(11a,21a)에 연장되어 웨지스프링의 양단(51,52)이 접촉지지되는 제2지지면(11b,21b)을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면(11b,21b)에 웨지스프링의 양단(51,52)이 접촉지지된 상태에서 웨지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제1,2웨지(10,2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동된다.
상기 제1지지면(11a,21a)은 웨지스프링의 일측 끝단(51 or 52)이 접촉되어 제2지지면(11b,21b)으로 가이드되도록 하는 것으로, 경사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거나, 제2지지면(11b,21b)과 단차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되, 제1지지면(11a,21a)과 제2지지면(11b,21b) 사이의 단차가 모따기 또는 모깍기 타입으로 형성되어, 레버소켓(40)의 회전에 따라 웨지스프링의 일측 끝단(51 or 52)이 제1지지면(11a,21a)에 접촉되어 압축(수축)될 시, 웨지스프링(50)의 압축탄성력에 의해 제1지지면(11a,21a)에 접촉된 웨지스프링의 일측 끝단(51 or 52)이 제2지지면(11b,21b)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웨지스프링(50)에 의한 제1,2웨지(10,20)의 작동에 따른 리클리이닝 작동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레버소켓(40)은 웨지스프링(50)의 가조립위치를 설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즉, 상기 레버소켓(40)은, 도 6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스프링(50)의 탄성력이 제1,2웨지(10,20)로 전달되지 않도록 웨지스프링의 양단(51,52)이 걸림지지되는 걸림턱(43)과, 웨지스프링의 양단(51,52)이 제1,2웨지(10,20)에 접촉지지될 시, 웨지스프링의 양단(51,52)이 수용되는 삽입홈(4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레버소켓(40)은 미 도시된 구동샤프트와 축 결합되어 제1,2웨지(10,2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는 레버소켓(40)은 제1,2웨지(10,20)가 웨지스프링(50)을 수축/이완시키며 회전작동되고, 웨지스프링의 가조립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걸림턱(43), 레버소켓의 회전 및 제1,2웨지(10,20)로 웨지스프링(50)의 탄성력이 전달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삽입홈(44)이 포함되도록 구성되며, 구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삽입홈(44)은 웨지스프링의 양단(51,52)이 제1,2웨지(10,20)에 접촉지지되어 작동될 시, 레버소켓(40)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공간이므로, 그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레버소켓(40)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샤프트와 스프라인 축 결합되는 결합부(41)와, 상기 결합부(41)에 연결설치된 고정판(42)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판(42)에 걸림턱(43)과 삽입홈(44)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버소켓(40)은 결합부(41)와 고정판(42)이 일체로 성형되도록 구성되거나, 결합부(41)와 고정판(42)이 스프라인 결합 또는 요철결합 등에 의해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41)는, 구동샤프트(도시없음)와 스프라인 축 결합되는 샤프트 결합홀(41a)이 구비되고, 통공구조로 이루어진 인터널 기어의 버링부(33)내로 삽입 또는 삽입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42)은 구동샤프트(도시없음)에 의한 결합부(41)의 회전력을 제1,2웨지(10,20)로 전달하는 기능 및, 가조립된 웨지스프링(50)을 조립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동시에 구비할 수 있다 .
즉, 상기 고정판(42)은, 일측에 걸림턱(43)과 삽입홈(44)이 형성되어 웨지스프링(50)의 가조립 및 위치설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42)은, 걸림턱(43)과 삽입홈(44)이 형성되지 않은 또다른 일측에 제1,2웨지(10,20)를 회전이동시키는 접촉돌기(45)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43)은, 웨지스프링(50)이 소정의 압축력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웨지스프링의 양단(51,52)이 걸림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43)은 웨지스프링의 일측단(51)이 걸림지지되는 제1걸림턱(43a)과, 웨지스프링의 타측단(52)이 걸림지지되는 제2걸림턱(43b)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걸림턱(43a)과 제2걸림턱(43b) 사이에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스프링의 양단(51,52)이 이격되어 압축(수축)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는 사이공간(S)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제1,2걸림턱(43a,43b)는 사이공간(S)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2걸림턱(43a,43b)에 웨지스프링의 양단(51,52)이 각각 걸림지지될 경우, 도 8(d)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스프링(50)은 소정의 압축상태를 유지하게 될 뿐 아니라, 웨지스프링(50)의 탄성력이 제1,2웨지(10,20)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즉, 제1,2웨지(10,20)에 웨지스프링의 양단(51,52)이 접촉되지 않게 된다.(가조립상태)
상기 삽입홈(44)은, 웨지스프링의 양단(51,52)이 제1,2웨지(10,20)에 접촉지지되어 웨지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제1,2웨지(10,20)의 작동이 이루어질 시, 웨지스프링(50)과 레버소켓(40) 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소정크기를 구비하며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삽입홈(44)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공간(S)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웨지스프링의 양단(51,52)이 제1,2웨지(10,20)의 일측에 각각 접촉지지되어, 웨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1,2웨지(10,2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동될 시, 도 8(e`) 및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웨지(10,20)의 일측에 각각 접촉지지된 웨지스프링의 양단(51,52)이 삽입홈(44)내 일측에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돌기(45)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웨지의 타측 끝단(12)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형성된 제1접촉돌기(45a)와, 제2웨지의 타측 끝단(22)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형성된 제2접촉돌기(45b)를 포함하여, 구동샤프트(도시없음)에 의해 레버소켓(40)이 일방향으로 회전될 시, 제1접촉돌기(45a)가 제1웨지의 타측 끝단(12)에 접촉되거나, 제2접촉돌기(45b)가 제2웨지의 타측 끝단(22)에 접촉되어, 레버소켓(40)의 회전방향으로 제1,2웨지(10,2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웨지스프링(50)은, 제1,2웨지(10,20)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레버소켓(40)에 가조립된 후, 제1,2웨지(10,20)에 접촉지지되도록 조립된다.
즉, 상기 웨지스프링(50)은, 제1,2웨지(10,20)와 레버소켓(40)이 도 8(c)에 된 바와 같이 인터널기어의 수용부(31)내로 순차적으로 삽입된 후, 도 8(d)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소켓(40)에 가조립되고, 익스터널기어(60)의 조립 후, 레버소켓(40)의 회전에 의해 도 8(e`)에 된 바와 같이, 제1,2웨지(10,20)에 양단(51,52)이 접촉지지되도록 조립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지스프링(50)은, 웨지스프링의 양단(51,52)이 제1,2웨지(10,20)에 접촉지지되도록 바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제1,2웨지(10,20) 및, 레버소켓(40)의 조립이 이루어진 후, 소정의 압축된 상태에서 레버소켓의 걸림턱(43)에 웨지스프링의 양단(51,52)이 걸림지지되도록 가조립되고, 익스터널기어(60)의 조립 후, 레버소켓(40)의 회전에 의해 제1,2웨지(10,20)의 제1지지면(11a,21a)에 의해, 웨지스프링의 양단(51,52)이 레버소켓의 걸림턱(43)에서 삽입홈(44)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2웨지(10,20)의 제2지지면(11b,21b)에 접촉지지되어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익스터널 기어(60)는, 웨지스프링(50)의 설치 후 인터널기어(30)에 조립된다.
상기 익스터널 기어(60)는, 도 1 내지 도 4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널 기어의 내치차(32) 일측에 치합되는 외치차(62)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 기어샤프트(도시없음)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축홀(61)만이 형성되어 웨지스프링(5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종래의 익스터널 기어는, 인터널기어에 선조립된 후, 제1,2웨지, 레버소켓, 웨지스프링 등등 내부 부품에 대한 조립 및, 기어샤프트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앙이 뚫려 있는 형태 즉, 중앙에 제1,2웨지, 레버소켓, 웨지스프링의 조립 및 기어샤프트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큰 직경의 설치홀이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익스터널 기어(60)는 인터널기어에 선조립되는 것이 아니라, 제1,2웨지, 레버소켓 및 웨지스프링의 조립 후 인터널 기어에 조립되도록 되어 있어, 기어샤프트(도시없음)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축홀(61)만이 구비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축홀(61)은 기어샤프트(도시없음)의 삽입만이 이루어지고, 제1,2웨지(10,20), 레버소켓(40) 및 웨지스프링(50)의 삽입/이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작은 직경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익스터널 기어(60)는 인터널 기어의 내치차(32) 일측에 치합되는 외치차(62)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일측 중앙에 제1,2웨지(10,20), 레버소켓(40) 및, 웨지스프링(50)이 수용되는 중앙홈(63)이 형성되며, 중앙홈(63)에 연통되어 축홀(61)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익스터널 기어(60)는, 일측이 축홀(61)만을 구비하도록 이루어져 있어, 레버소켓의 결합부(41)로 기어샤프트의 결합은 이루어지면서, 중앙홈(63)내로 수용된 제1,2웨지(10,20), 레버소켓(40) 및, 웨지스프링(50)의 외부 이탈은 방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 익스터널 기어(60)의 중앙홈(63)에는 내주면을 따라 제1,2웨지(10,20)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베어링(70)이 압입설치되며, 상기 베어링(70)의 기능 및 베어링의 압입설치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레버소켓과 웨지스프링에 의해 제1,2웨지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리클라이너 구조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므로, 리클라이너의 구성이 한정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본 발명은 인터널기어, 제1,2웨지, 레버소켓, 웨지스프링 및 베어링이 압입설치된 익스터널기어를 포함하는 리클라이너 구조 또는,
인터널기어, 캠, 제1,2웨지, 레버소켓, 웨지스프링 및 베어링이 압입설치된 익스터널기어를 포함하는 리클라이너 구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 구조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31)의 둘레를 따라 내치차(32)가 형성된 인터널기어(30); 인터널기어의 수용부(31)내로 삽입되는 제1,2웨지(10,20); 인터널기어의 버링부(33)내에 결합부(41)가 끼움결합되고, 걸림턱과 삽입홈이 구비된 고정판(42)이 결합부(41)와 일체로 작동되도록 설치된 레버소켓(40); 제1,2웨지(10,20)를 탄성력에 의해 작동시키는 웨지스프링(50); 인터널기어의 수용부(31)내로 삽입되는 익스터널기어(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 구조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31)의 둘레를 따라 내치차(32)가 형성된 인터널기어(30); 인터널기어의 수용부(31)내로 삽입되는 제1,2웨지(10,20); 인터널기어의 버링부(33)와 제1,2웨지(10,20) 사이에 위치하고 버링부(33)에 일측이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캠(80); 인터널기어의 버링부(33)내에 결합부(41)가 끼움결합되고, 걸림턱과 삽입홈이 구비된 고정판(42)이 결합부(41)와 일체로 작동되도록 설치된 레버소켓(40); 제1,2웨지(10,20)를 탄성력에 의해 작동시키는 웨지스프링(50); 인터널기어의 수용부(31)내로 삽입되는 익스터널기어(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캠(80)은, 레버소켓(40)의 회전력을 익스터널기어(60)에 전달하는 기능 및, 제1,2웨지(10,20)와 인터널기어의 버링부(33)에 일측이 밀착접촉되어 리클라이너의 록킹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캠(80)은, 제1,2웨지와 버링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리클라이너의 록킹이 유지되도록 구성되면 충분하므로, 그 구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캠(80)은, 인터널기어의 버링부(33)가 삽입되고 제1,2웨지(10,20)의 일측이 접촉되는 캠몸체(81)와, 제1,2웨지(10,20)가 접촉되지 않는 캠몸체(81)의 또다른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레버소켓(40)의 일측이 접촉되는 캠돌기(8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캠몸체(81)는 인터널기어의 버링부(33)가 삽입되는 캠중앙홀(81a)과, 제1,2웨지(10,20)의 일측에 각각 접촉지지되는 웨지접촉면(81b)을 포함한다 .
상기 캠돌기(82)는 회전작동되는 레버소켓(40)의 일측 즉, 레버소켓(4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접촉돌기(45a) 또는 제2접촉돌기(45b)가 접촉되어, 레버소켓의 회전력을 캠몸체(81)에 전달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즉, 레버소켓(40)의 회전에 의해 제1접촉돌기(45a)가 제1웨지의 타측 끝단(12)에 접촉되어 제1웨지(10)가 레버소켓(40)의 회전방향으로 작동될 경우, 레버소켓의 제2접촉돌기(45b)가 캠돌기(82)에 접촉되어 레버소켓의 회전방향으로 캠(8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캠(80)의 구성 및 작동은 공지의 기술에 해당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캠(80)이 수용부(31)내로 삽입설치될 경우, 인터널기어의 수용부(31)는 캠(80) 및 제1,2웨지(10,20)의 설치에 대응되도록 그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형상의 변경은 단순설계에 해당되므로, 본원발명에 따른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해당된다.
도 8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공정을 보인 예시도를,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웨지스프링의 가조립 후, 레버소켓의 회전에 따른 웨지스프링의 위치결정과정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100)는, 인터널기어의 수용부내에 제1,2웨지, 레버소켓 또는, 인터널기어의 수용부내에 제1,2웨지, 캠, 레버소켓이 순차적으로 조립되고, 레버소켓의 걸림턱에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접촉지지되도록 웨지스프링이 가조립된 다음, 인터널기어에 익스터널기어가 조립되고, 레버소켓의 회전에 따른 웨지스프링과 웨지의 접촉 및, 웨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레버소켓의 걸림턱에 접촉지지된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삽입홈내로 이동되어 제1,2웨지에 접촉지지되어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도 8(a),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널기어의 수용부내로 제1,2웨지 또는, 제1,2웨지와 캠이 삽입되는 웨지 조립단계; 웨지 조립단계 후,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널 기어의 버링부에 결합부가 끼움되도록 레버소켓이 설치되는 레버소켓 설치단계;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이격되도록 웨지스프링의 압축(수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레버소켓의 걸림턱에 웨지스프링 양단이 접촉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웨지스프링 설치단계; 웨지스프링 설치 단계 후,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널 기어의 수용부내로 익스터널기어가 삽입되는 익스터널기어 조립단계; 익스터널기어 조립단계 후, 레버소켓의 회전에 의해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소켓의 걸림턱에 접촉지지된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삽입홈내로 이동되면서 탄성확장되어 제1,2웨지에 접촉지지되는 웨지스프링 위치결정단계;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웨지스프링 위치결정단계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소켓에 웨지스프링이 가조립된 상태에서, 레버소켓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웨지스프링 위치결정단계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소켓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웨지스프링의 일측 끝단이 제2웨지에 접촉되는 제1단계; 웨지스프링의 일측 끝단이 제2웨지의 제1지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레버소켓이 일방향으로 더 회전되어 웨지스프링이 압축력이 증가되는 제2단계;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웨지에 접촉된 웨지스프링의 일측 끝단이 웨지스프링의 압축에 따른 탄성력(복원력)에 의해 제1지지면을 따라 삽입홈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웨지의 제2지지면에 접촉지지되는 제3단계; 웨지스프링의 일측 끝단이 제2웨지의 제2지지면에 접촉지지된 상태에서, 레버소켓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웨지스프링의 또다른 일측 끝단이 제1웨지이 제1지지면에 접촉되는 제4단계; 웨지스프링의 또다른 일측 끝단이 제1웨지의 제1지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레버소켓이 반대방향으로 더 회전되어 웨지스프링이 압축력이 증가되는 제5단계; 제1웨지에 접촉된 웨지스프링의 또다른 일측 끝단이 웨지스프링의 압축에 따른 탄성력(복원력)에 의해 제1지지면을 따라 삽입홈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웨지의 제2지지면에 접촉지지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제1,2웨지의 제2지지면에 접촉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익스터널 기어 조립 후, 소정의 힘으로 레버소켓을 일정각도로 일방향 회전시킨 다음, 다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웨지스프링의 양단과 제1,2웨지와의 접촉 및, 웨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레버소켓의 걸림턱에 접촉지지된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레버소켓의 삽입홈 방향으로 자동 이동되면서 제1,2웨지에 접촉지지되어, 리클라이너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익스터널 기어 조립 후, 소정의 힘으로 레버소켓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켰다가 놓는 동작만으로도, 웨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레버소켓의 삽입홈 방향으로 자동 이동되면서 제1,2웨지에 접촉지지되어 리클라이너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웨지스프링의 신속하고 정확한 위치결정을 위하여, 레버소켓을 양방향으로 일정각도 각각 회전시켜,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제1,2웨지의 제2지지면에 접촉지지되도록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클라이너(100)에 있어서, 인터널기어(30)와 익스터널기어(60)의 조립 및, 제1,2웨지(10,20)의 조립위치는, 리클라이너의 작동(Unlocking) 및 록킹(Locking)에 중요한 요소로써, 본 발명은 익스터널기어(60)에, 제1,2웨지(10,20), 레버소켓(40), 웨지스프링(50) 또는, 제1,2웨지(10,20), 레버소켓(40), 웨지스프링(50), 캠(80) 등의 조립을 위한 큰 사이즈의 설치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 즉, 구동샤프트(회전축)와의 결합을 위한 축홀만이 구비되도록 익스터널기어(60)의 일측이 막혀 있는 상태에서도, 제1,2웨지(10,20), 레버소켓(40), 웨지스프링(50) 또는, 제1,2웨지(10,20), 레버소켓(40), 웨지스프링(50), 캠(80) 등의 구성부품에 대한 조립이 이루어지면서, 인터널기어(30)와 익스터널기어(60)가 조립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널기어(30)에서 익스터널기어(60)가 분리되지 않도록 인터널기어(30)에 커버(90)가 조립/용접되는 커버조립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조립단계는, 웨지스프링 위치결정단계 전 또는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90)에 익스터널기어(60)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구성은, 리클라이너에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이 기재된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 제1웨지 (11) : 지지면
(11a) : 제1지지면 (11b) : 제2지지면
(12) : 타측 끝단 (20) : 제2웨지
(21) : 지지면 (21a) : 제1지지면
(21b) : 제2지지면 (22) : 타측 끝단
(30) : 인터널기어 (31) : 수용부
(32) : 내치차 (33) : 버링부
(40) : 레버소켓 (41) : 결합부
(41a) : 샤프트 결합홀 (42) : 고정판
(43) : 걸림턱 (43a) : 제1걸림턱
(43b) : 제2걸림턱 (44) : 삽입홈
(45) : 접촉돌기 (45a) : 제1접촉돌기
(45b) : 제2접촉돌기 (46) : 오-링
(50) : 웨지스프링 (51,52): 양단
(60) : 익스터널기어 (61) : 축홀
(62) : 외치차 (63) : 중앙홈
(70) : 베어링 (80) : 캠
(81) : 캠몸체 (81a) : 캠중앙홀
(81b) : 웨지접촉면 (82) : 캠돌기
(90) : 커버 (91) : 커버 가이드
(100) : 리클라이너

Claims (10)

  1. 인터널기어;
    인터널기어의 수용부내로 삽입되는 제1,2웨지;
    인터널기어의 버링부내에 일측이 끼움결합되는 레버소켓;
    제1,2웨지를 탄성력에 의해 작동시키는 웨지스프링;
    인터널기어의 수용부내로 삽입되는 익스터널기어;를 포함하여,
    웨지스프링의 탄성력이 제1,2웨지로 전달되지 않도록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레버소켓에 걸림지지된 상태에서 인터널기어에 익스터널기어의 조립이 이루어진 후, 레버소켓의 회전에 의해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레버소켓에서 제1,2웨지로 이동되어 접촉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인터널기어의 버링부와 제1,2웨지 사이에 캠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레버소켓은, 웨지스프링의 탄성력이 제1,2웨지로 전달되지 않도록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걸림지지되는 걸림턱과,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제1,2웨지에 접촉지지될 시,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수용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4. 청구항 3 에 있어서;
    걸림턱은, 웨지스프링의 일측단이 걸림지지되는 제1걸림턱과, 웨지스프링의 타측단이 걸림지지되는 제2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은 사이공간(S)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삽입홈은, 사이공간(S)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5. 청구항 3 에 있어서;
    레버소켓은, 걸림턱과 삽입홈이 형성되지 않은 또다른 일측에 제1,2웨지를 회전이동시키는 접촉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돌기는 제1웨지의 타측 끝단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형성된 제1접촉돌기와, 제2웨지의 타측 끝단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형성된 제2접촉돌기를 포함하여,
    레버소켓이 일방향으로 회전될 시, 제1접촉돌기가 제1웨지의 타측 끝단에 접촉되거나, 제2접촉돌기가 제2웨지의 타측 끝단에 접촉되어, 레버소켓의 회전방향으로 제1,2웨지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6. 청구항 1 에 있어서;
    레버소켓은, 웨지스프링의 탄성력이 제1,2웨지로 전달되지 않도록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걸림지지되는 걸림턱과,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제1,2웨지에 접촉지지될 시,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수용되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익스터널 기어는, 인터널 기어의 내치차 일측에 치합되는 외치차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일측 중앙에 제1,2웨지, 레버소켓 및, 웨지스프링이 수용되는 중앙홈이 형성되며, 중앙홈에 연통되어 기어샤프트가 삽입되는 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7.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6 에 있어서;
    제1,2웨지는,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접촉되는 지지면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면은, 웨지스프링의 끝단이 접촉되어 가이드되는 제1지지면과, 제1지지면에 연장되어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접촉지지되는 제2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8. 청구항 7 에 있어서;
    제1지지면은 경사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거나,
    제1지지면은 제2지지면과 단차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되, 제1지지면과 제2지지면 사이의 단차가 모따기 또는 모깍기 타입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9. 인터널기어의 수용부내로 제1,2웨지 또는, 제1,2웨지와 캠이 삽입되는 웨지 조립단계;
    웨지 조립단계 후, 인터널 기어에 레버소켓이 설치되는 레버소켓 설치단계;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이격되도록 웨지스프링의 압축(수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레버소켓의 걸림턱에 웨지스프링 양단이 접촉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웨지스프링 설치단계;
    웨지스프링 설치 단계 후, 인터널 기어의 수용부내로 익스터널기어가 삽입되는 익스터널기어 조립단계;
    익스터널기어 조립단계 후, 레버소켓의 회전에 의해 레버소켓의 걸림턱에 접촉지지된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삽입홈내로 이동되면서 탄성확장되어 제1,2웨지에 접촉지지되는 웨지스프링 위치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조립방법.
  10. 청구항 9 에 있어서;
    웨지스프링 위치결정단계는,
    레버소켓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웨지스프링의 일측 끝단이 제2웨지에 접촉되는 제1단계;
    웨지스프링의 일측 끝단이 제2웨지의 제1지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레버소켓이 일방향으로 더 회전되어 웨지스프링이 압축력이 증가되는 제2단계;
    제2웨지에 접촉된 웨지스프링의 일측 끝단이 웨지스프링의 압축에 따른 탄성력(복원력)에 의해 제1지지면을 따라 삽입홈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웨지의 제2지지면에 접촉지지되는 제3단계;
    웨지스프링의 일측 끝단이 제2웨지의 제2지지면에 접촉지지된 상태에서, 레버소켓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웨지스프링의 또다른 일측 끝단이 제1웨지이 제1지지면에 접촉되는 제4단계;
    웨지스프링의 또다른 일측 끝단이 제1웨지의 제1지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레버소켓이 반대방향으로 더 회전되어 웨지스프링이 압축력이 증가되는 제5단계;
    제1웨지에 접촉된 웨지스프링의 또다른 일측 끝단이 웨지스프링의 압축에 따른 탄성력(복원력)에 의해 제1웨지의 제1지지면을 따라 삽입홈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웨지의 제2지지면에 접촉지지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웨지스프링의 양단이 제1,2웨지의 제2지지면에 접촉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조립방법.
KR1020220145731A 2022-11-04 2022-11-04 리클라이너 장치와 그 조립방법 KR20240064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731A KR20240064092A (ko) 2022-11-04 2022-11-04 리클라이너 장치와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731A KR20240064092A (ko) 2022-11-04 2022-11-04 리클라이너 장치와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4092A true KR20240064092A (ko) 2024-05-13

Family

ID=91073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5731A KR20240064092A (ko) 2022-11-04 2022-11-04 리클라이너 장치와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409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190B1 (ko) 2012-04-18 2012-09-19 대원정밀공업(주) 밀림 방지형 리클라이너
KR101330028B1 (ko) 2012-02-20 2013-11-18 대원정밀공업(주) 리클라이너 조립 장치 및 방법
KR101419700B1 (ko) 2014-05-20 2014-07-16 대원정밀공업(주) 소형 라운드 리클라이너
KR101739469B1 (ko) 2011-04-13 2017-05-24 대원정밀공업(주) 리클라이너의 작동성능 향상을 위한 검사식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469B1 (ko) 2011-04-13 2017-05-24 대원정밀공업(주) 리클라이너의 작동성능 향상을 위한 검사식 조립방법
KR101330028B1 (ko) 2012-02-20 2013-11-18 대원정밀공업(주) 리클라이너 조립 장치 및 방법
KR101184190B1 (ko) 2012-04-18 2012-09-19 대원정밀공업(주) 밀림 방지형 리클라이너
KR101419700B1 (ko) 2014-05-20 2014-07-16 대원정밀공업(주) 소형 라운드 리클라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199B1 (ko) 자동차 시트용 피팅
US6648414B2 (en) Reclin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062505B1 (en) Recliner adjuster mechanism for a seat
JP5694569B2 (ja) 車両シート用継手
EP1308643B1 (en) Clutch unit
US8944508B2 (en) Seat reclining device
JP5332170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7588294B2 (en) Seat reclining device for vehicle
US6755470B2 (en) Seat recli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EP2683576B1 (en) Vehicle seat and recliner fitting for vehicle seat
EP2452850A1 (en) Seat recliner and seat having the same
EP1806072A1 (en) Reclining device
KR102136118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CN1982118A (zh) 用于车辆的座椅斜倚装置
KR101709599B1 (ko)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
CN111231786A (zh) 用于车辆座椅的倾斜装置
KR101635354B1 (ko)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
EP2272707B1 (en) Seat reclining apparatus for vehicle
KR20240064092A (ko) 리클라이너 장치와 그 조립방법
KR101938576B1 (ko)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
KR102458239B1 (ko) 조립성이 향상된 리클라이너 장치 및 그 조립방법
EP0316193B1 (en) Seat mechanism
JP2010184035A (ja) 車両用シートの連結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3320452B (zh) 车辆、车辆座椅及其调角器布置
JP4672361B2 (ja) 車両用リクライニング装置及びその組付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