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3445A - 연속 인쇄를 위한 롤러의 위치보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연속 인쇄를 위한 롤러의 위치보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3445A
KR20240063445A KR1020220145067A KR20220145067A KR20240063445A KR 20240063445 A KR20240063445 A KR 20240063445A KR 1020220145067 A KR1020220145067 A KR 1020220145067A KR 20220145067 A KR20220145067 A KR 20220145067A KR 20240063445 A KR20240063445 A KR 20240063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roller
unit
sheet
print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5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해
Original Assignee
한영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해 filed Critical 한영해
Priority to KR1020220145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3445A/ko
Publication of KR20240063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344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2Conveying or guiding webs through presses or machines
    • B41F13/025Regis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41F33/0009Central contro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9/00Rotary intaglio printing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인쇄를 위한 롤러의 위치보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연속 인쇄를 위하여 인쇄시트가 권취된 권취롤러부와 상기 권취롤러부에서 공급된 인쇄시트에 잉크가 도포되면서 인쇄되도록 표면에 인쇄패턴이 형성되어 인쇄패턴의 오목한 부분에 잉크를 채우고 볼록한 부분에 잉크를 제거한 상태로 인쇄시트에 오목한 부분의 잉크를 도포하는 인쇄롤러와 상기 인쇄롤러의 오목한 부분의 잉크가 인쇄시트에 도포되도록 압력을 가하며, 인쇄시트가 외주면에 일부분에 밀착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인쇄부 및 상기 인쇄부에서 도포된 잉크를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부와 건조부가 잉크 색상에 따라 순차적으로 도포될 수 있도록 이송하는 복수개의 이송롤러가 형성된 연속 인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시트의 장력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하여 인쇄시트 양단에 형성된 레지스터 마크를 인식하고, 각각의 거리를 측정하는 위치 감지부와, 상기 위치 감지부에서 측정된 거리에 따라 인쇄시트의 장력상태를 감지하여 롤러 위치제어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 및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로 인쇄시트를 이송하는 롤러 양단의 위치를 각각 제어할 수 있는 롤러 위치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속 인쇄를 위한 롤러의 위치보정 장치 및 방법{Precision position alignment apparatus of roller for continuous printing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속 인쇄를 위한 롤러의 위치보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 인쇄과정에서 인쇄시트의 장력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인쇄시트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자동으로 롤러의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보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포장지 등의 각종 인쇄물에 이용되는 인쇄방법은 그라이바 인쇄(gravure printing)이다. 그라비아 인쇄는 롤러 이송에 의한 대량 고속인쇄 방식이다. 인쇄방식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외면에 동판이 피복된 원통형의 롤러 표면에 인쇄모양을 화학처리로 부식시켜 된 인쇄롤러를 인쇄기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키게 되면 롤러 하부가 잉크통에 닿는 상태로 외전하여 잉크가 묻게 되고 고정된 스크레이퍼에 의해 음각부에 묻은 잉크 외에 잉크는 긁게(doctor)에 의해 긁어내어 다시 잉크통으로 흘러내리고, 음각부의 잉크가 인쇄물에 전이되면서 인쇄된다. 이때, 인쇄 도수(색상의 수)에 따라 그라비아 롤러의 수가 결정되어 순차 공정을 거쳐 인쇄된다. 만약 그라비아 인쇄 과정에서 8도의 인쇄를 하는 경우 1도당 1대의 유니트(인쇄기)가 필요하므로 8대의 유니트가 연속적으로 작동한다. 이 과정에서 인쇄 필름은 각 유니트를 거치면서 롤(roll)을 통해 장력이 가해지면서 롤을 기준으로 인쇄 필름의 양단이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각 유니트 별로 롤 양단의 틀어짐을 눈으로 일일이 확인한 후 수작업으로 보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 경우 작업자의 수작업이 번거로운 문제뿐만 아니라 고속 인쇄작업 과정 중에서 작업자가 눈으로 확인하여 보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미 작업의 불량이 발생한 이후 이므로 불량인쇄분을 폐기한 후 다시 인쇄해야하였다.
공개특허 제10-2006-0116374호에는 다색 그라비아 인쇄의 레지스터 오차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한 개의 도안에 대하여 연속 인쇄를 하는 경우 발생하는 레지스터 오차를 감지하여 오차를 보정하여 정확한 인쇄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특히 공개특허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유니트의 인쇄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스캐닝 헤드(S/H)가 레지스터마크를 감지한다. 상기 스캐닝 헤드(S/H)에서 감지한 신호와 펄스 제너레이터(P/G)가 조합되어 레지스터 오차를 검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보정은 회전롤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인쇄포인트를 맞추는 것이다.
연한색의 색상을 인쇄함에 발생될 수 있는 오차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777849호에는 카메라를 이용한 인쇄오차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에 촬영된 레지스터 마크 위치와 레지스터 마크를 향해 조사된 빛을 비교하여 인쇄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인쇄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알람부에서 알람이 발생되어 피인쇄물의 위치를 정정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인쇄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측정하여 인쇄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만 오차를 측정하기 위하여 레지스터 마크를 기준으로 카메라와 같은 측정기를 이용하여 오차를 측정하고,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인쇄롤을 좌우로 조정하여 오차를 보정하는 것이다. 이는 인쇄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나, 연속 인쇄공정에서 각 유니트의 롤을 통과하는 인쇄시트에 가해지는 장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롤의 양단에 인쇄시트의 위치와 틀어짐과 같은 변형은 여전히 작업자가 수동으로 감지하고 조정하기 때문에 재설정 시간이 길어지고, 재설정 후 재설정의 테스트가 필요하므로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KR 10-2006-0116374 A KR 10-1777849 B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속 인쇄과정에서 인쇄시트의 장력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자동으로 롤러의 위치 제어하는 연속 인쇄를 위한 롤러의 위치보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인쇄를 위한 롤러의 위치보정 장치는 연속 인쇄를 위하여 인쇄시트가 권취된 권취롤러부와 상기 권취롤러부에서 공급된 인쇄시트에 잉크가 도포되면서 인쇄되도록 표면에 인쇄패턴이 형성되어 인쇄패턴의 오목한 부분에 잉크를 채우고 볼록한 부분에 잉크를 제거한 상태로 인쇄시트에 오목한 부분의 잉크를 도포하는 인쇄롤러와 상기 인쇄롤러의 오목한 부분의 잉크가 인쇄시트에 도포되도록 압력을 가하며, 인쇄시트가 외주면에 일부분에 밀착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인쇄부 및 상기 인쇄부에서 도포된 잉크를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부와 건조부가 잉크 색상에 따라 순차적으로 도포될 수 있도록 이송하는 복수개의 이송롤러가 형성된 연속 인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시트의 장력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하여 인쇄시트 양단에 형성된 레지스터 마크를 인식하고, 각각의 거리를 측정하는 위치 감지부와, 상기 위치 감지부에서 측정된 거리에 따라 인쇄시트의 장력상태를 감지하여 롤러 위치제어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 및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로 인쇄시트를 이송하는 롤러 양단의 위치를 각각 제어할 수 있는 롤러 위치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 위치제어부는 롤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롤러의 일측 롤러봉이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제1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1가이드 플레이트에서 연장되어 관통홀이 형성된 제2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롤러봉의 이동을 제어하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실린더가 구동하여 롤러봉이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 위치제어부는 가압롤러 혹은 이송롤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인쇄를 위한 롤러의 위치보정 방법은 인쇄시트 양단에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제1 위치 감지부와, 제2 위치 감지부를 포함하는 위치 감지부에서 인쇄시트의 양단 레지스터 마크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위치 감지부에서 측정한 인쇄시트 일측단의 레지스터 마크까지 거리와 제2 위치 감지부에서 측정한 인쇄시트 타측단의 레지스터 마크까지 거리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각 거리가 동일하면 인쇄시트 양단의 장력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각 거리가 일치하지 않으면 인쇄시트 양단의 장력을 조절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각 거리값을 비교하여 거리차이가 발생한 만큼 인쇄시트의 양단이 틀어짐의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정보를 콘트롤러로 전송하여 롤러 위치제어부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위치제어부는 롤러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연속 인쇄를 위한 롤러의 위치보정 장치는 롤러의 위치를 보정하여 인쇄시트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때문에 기존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위치를 보정하는 것에 비교하면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롤러의 위치보정 장치는 자동으로 위치를 조절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다가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지하지 않고 정확하게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연속 인쇄를 위한 롤러의 위치보정 장치를 이용한 위치 보정방법은 인쇄 품질의 향상과 함께 인쇄시트가 구겨지거나 찢어지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재료비 절감, 생산성 향상, 공정의 자동화로 인한 인건비 절감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레지스터 마크를 스캐닝 헤드를 이용하여 오차를 검출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인쇄를 위한 롤러의 위치보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가압롤러 측에 롤러 위치제어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 위치제어부가 이송롤러 측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이송롤러와 롤러 위치제어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의 위치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의 위치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트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함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인쇄를 위한 롤러의 위치보정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가압롤러 측에 롤러 위치제어부(14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 연속 인쇄를 위한 가압롤러의 위치보정 장치(100)는 권취롤러(110), 인쇄부(120), 건조부(130), 롤러 위치제어부(140), 위치 감지부(160) 및 콘트롤러(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연속 인쇄를 위한 인쇄롤러의 위치보정 장치(100)는 권취롤러(110)에 권취된 인쇄시트(1)가 인쇄부(120)로 이송되면서 색상이 인쇄시트(1)에 도포되면서 인쇄가 되는 과정에서 인쇄물(인쇄시트, 1)의 장력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인쇄시트(1)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자동으로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쇄시트(1)는 PE, OPP, CPP, PVC, Nylon 등 각종 인쇄를 위한 필름 및 종이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발명에서 상기 인쇄시트(1)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쇄부(120)는 권취롤러(110)에서 풀려 공급되는 인쇄시트(1)의 일측에 다양한 색이 순차적으로 도포되도록 복수개(n)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쇄부(120)는 인쇄시트(1)에 잉크를 도포하는 인쇄롤러(121) 및 가압롤러(123)를 포함한다. 상기 인쇄부(120)는 인쇄시트(1)가 인접한 위치에 다른 색상을 잉크를 도포하기 위한 인쇄부(120)에 전달되기 위하여 복수개의 이송롤러(115), 장력조절부(135) 등을 포함한다.
상기 건조부(130)는 인쇄시트(1)에 인쇄내용에 따라 도포된 잉크가 건조되도록 한다. 상기 건조부(130)는 열풍건조, 자외선조사 등의 방법으로 도포된 잉크가 건조된 후 다음 색상의 인쇄부(120)로 전달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쇄시트(1)는 각 인쇄부(120)로 전달되는 과정이 고속으로 진행되며, 각 롤러를 통과하면서 롤러들과의 마찰을 통해서 장력이 발생하여 인쇄시트(1)의 위치가 불규칙하게 변할 수 있다. 장력조절부(135)는 복수개의 롤러가 회전수 및 방향을 전환하면서 인쇄시트(1)에 가해지는 장력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이나, 이 롤러들과의 마찰을 통해서도 장력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시트(1)의 상태에 따라 롤러의 위치를 제어하여 인쇄시트(1)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부재인 롤러 위치제어부(140)가 필요하다.
상기 롤러 위치제어부(140)는 가압롤러(123)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롤러 위치제어부(140)는 가압롤러(123)의 각 끝단(121a, 121b)을 앞으로 당기거나 뒤로 밀수 있다. 상기 위치제어부(140)는 인쇄시트(1)가 인쇄롤러(121)와 가압롤러(123)를 통과한 후 가압롤러(123)의 일측 외주면에 밀착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인쇄시트(1)의 장력을 측정하여 가압롤러(123)의 위치를 제어한다. 인쇄시트(1)의 장력 상태에 따라 밀착된 롤러의 위치를 변경시켜줘야 인쇄시트(1)가 구겨지거나 인쇄상태가 불량으로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롤러 위치제어부(140)는 제1가이드플레이트(142), 제2가이드플레이트(144)를 설치하고, 제1가이드 플레이트(142)에 가이드홀(141)이 형성되어 가압롤러(123) 일측의 롤러봉(123a, 123b)이 가이드홀(141)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144)에는 관통홀(143)이 형성되어 실린더(145)의 구동에 따라 실린더로드(146)가 구동되어 각 롤러봉(123a, 123b)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실린더로드(146)의 끝단이 각 롤러봉(123a, 123b)의 링(147)에 결합된다.
상기 위치 감지부(160)는 이미지 인식 카메라, 레이저 센서, 이미지 인식 센서 등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 감지부(160)는 인쇄시트(1)의 양단에서 이격된 위치에 각각 설치되거나, 인쇄시트(1) 중심에서 양단의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위치 감지부(160)는 인쇄시트(1)의 양단에 인쇄되는 레지스터 마크(A, B 영역에 인쇄되는 라인 혹은 마크를 의미함)까지 거리를 측정하여 고속으로 이동되는 인쇄시트(1)의 불량상태(예, 틀어짐)를 감지한다. 이 경우, 인쇄시트(1)의 장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레지스터 마크를 인쇄하여도 되고, 기존 인쇄 품질 평가를 위하여 표기된 레지스터 마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러(170)는 인쇄시트(1)에 이미지 혹은 텍스트 등 형상이 선별된 잉크 색상에 따라 순차적으로 인쇄됨에 따라 인쇄의 품질상태를 측정하여 롤러의 회전방향, 회전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여 각 인쇄부(120)의 구동 상태와 인쇄품질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콘트롤러(170)는 위치 감지부(160)에서 인쇄시트(1)의 장력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전자적 신호로 전달하고, 불량상태를 판단하여 실린더(145)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 위치제어부가 이송롤러(125, 126) 측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서 이송롤러(125)와 롤러 위치제어부(140)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에 개시된 연속 인쇄를 위한 롤러의 위치보정 장치(200)는 롤러 위치제어부(140)가 이송롤러(125,126)측에 설치된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작용을 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에 대한 도시 및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각 구성의 위치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인쇄시트(1)가 외주면 일부분에 인접하여 이송하는 이송롤러(125) 측에 롤러 위치제어부(140)를 설치한다. 상기 이송롤러(125)는 마주하는 위치에 이송롤러(126)가 위치하여도 되고, 단일 이송롤러(125)가 고속으로 이송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이송롤러(125)는 인쇄시트(1)가 외주면 일부분에 접촉되어 고속으로 이송되는 과정에 롤러와의 마찰 등으로 장력이 발생한다. 이때, 이송롤러(125)의 위치 변화로 인쇄시트(1)의 불량상태(예, 틀어짐)를 감지하여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송롤러(125)의 위치변화는 제1 위치 감지부(161)와 제2 위치 감지부(163)에서 인쇄시트(1)의 인쇄영역 양단에 형성된 레지스터 마크(A, B 영역에 인쇄되는 라인 혹은 마크를 의미함)까지 거리를 측정하여 판단한다. 상기 이송롤러(125)는 인쇄시트(1)의 이송방향에 수직인 좌우 이동은 인쇄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송롤러(125)의 좌우이동 뿐만 아니라 인쇄시트(1)의 양단의 장력상태를 측정하여 이송롤러(125)의 양단의 위치(앞/뒤)를 제어하여 인쇄시트(1)가 양단의 장력 차이로 틀어진 상태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 양단의 위치(앞/뒤)의 기준은 롤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수직방향에 대하여 인쇄시트의 인쇄면을 기준으로 인쇄면측을 앞으로 정의하고, 인쇄뒷면을 뒤로 정의한다. 즉, 이송롤러(125)의 일측단이 앞으로 이동한다는 의미는 인쇄시트(1)의 인쇄면 측으로 당겨진다는 것이고, 이송롤러(125)의 일측단의 뒤로 이동한다는 의미는 인쇄시트(1)의 인쇄뒷면 측으로 향한다는 것이다. 상기 인쇄시트(1)는 인쇄공정에 따라 인쇄부(120)가 8개 정도 형성되어 고속으로 이송되면서 인쇄된다. 이 과정에서 인쇄시트(1)의 양단의 장력 차이로 틀어지면 중간 공정에서 인쇄상태가 불량일 뿐만 아니라 인쇄시트(1)가 찢어지게 된다.
상기 제1 위치 감지부(161)와 제2 위치 감지부(163)는 인쇄시트(1)의 양단의 장력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한 후 콘트롤러(170)에서 인쇄시트(1)의 상태에 따라 롤러 위치제어부(140)의 실린더(145)를 제어한다. 상기 실린더(145)는 제어 신호에 따라 실린더로드(146)로 이송롤러(125)의 일측을 전/후 이동시킨다. 도면 상에는 위치 변화가 크게 도시되었으나, 실제 거리 이동은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145)는 이송롤러(125)의 양단의 위치를 조절하여 인쇄시트(1)의 양단 틀어짐에 대응하도록 하여 이송 중에 구겨지거나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양단의 장력차이를 자동으로 보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의 위치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의 위치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인쇄시트(1)를 기준으로 각 끝단 레지스터 마크(A, B 영역에 인쇄되는 라인 혹은 마크를 의미함)까지 거리를 측정한다. 이때, A 영역의 레지스터 마크는 제1 위치 감지부(161)에서 측정하고, B영역의 레지스터 마크는 제2 위치 감지부(163)에서 측정한다. 상기 인쇄시트(1)는 양단의 장력이 동일한 경우에 제1 위치 감지부(161)에서 A영역 레지스터 마크까지 거리 H와 제2 위치 감지부(163)에서 B영역 레지스터 마크까지 거리 H가 동일하다. 이 경우에는 인쇄시트(1)에 인접한 롤러의 위치제어가 필요없다.
도 6의 (b)는 인쇄시트(1)에 가해지는 장력으로 불량상태(예, 틀어짐)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인쇄시트(1)의 틀어짐을 크게 나타내었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일일이 인쇄시트(1)의 상태를 체크하여 수동으로 롤러의 좌우 위치를 변경시켰으나, 본 발명에서는 제1 위치 감지부(161)와 제2 위치 감지부(163)에서 각 대응되는 영역의 레지스터 마크까지 거리를 측정하여 인쇄시트(1)의 장력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제1 위치 감지부(161)에서 A영역 레지스터 마크까지 거리 H+α와 제2 위치 감지부(163)에서 B영역 레지스터 마크까지 거리 H-β가 측정되고, 거리차이가 발생한 만큼 인쇄시트(1)의 양단이 틀어짐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인쇄시트(10)의 양단의 장력을 조절하지 않으면 고속으로 이송되는 중에 인쇄시트(1)가 구겨지거나 찢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감지부(161)과 제2 위치 감지부(163)는 측정된 값(거리)을 콘트롤러(170)로 전송하여 롤러 위치제어부(140)를 구동시킨다. 상기 롤러 위치제어부(140)는 롤러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콘트롤러(170)의 신호에 따라 각각 구동된다. 상기 롤러 위치제어부(140)의 구동으로 롤러의 일측(제1 위치 감지부, 161)에 대응되는 위치가 앞 또는 뒤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의 타측(제2 위치 감지부, 163)에 대응되는 위치도 앞 또는 뒤로 이동될 수 있다.
도 7의 (c)는 인쇄시트(1)를 기준으로 제1 위치 감지부(161)를 이용하여 각 끝단 레지스터 마크(A, B 영역에 인쇄되는 라인 혹은 마크를 의미함)까지 거리를 측정한다. 상기 인쇄시트(1)는 양단의 장력이 동일한 경우에 제1 위치 감지부(161)에서 A영역 레지스터 마크까지 거리 K와 B영역 레지스터 마크까지 거리 K가 동일하다. 이 경우에는 인쇄시트(1)에 인접한 롤러의 위치제어가 필요없다.
도 7의 (d)는 제1 위치 감지부(161)를 이용하여 인쇄시트(1)에 가해지는 장력으로 불량상태(예, 틀어짐)를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제1 위치 감지부(161)에서 A영역 레지스터 마크까지 거리 K-ε와 B영역 레지스터 마크까지 거리 K+δ가 측정되고, 거리차이가 발생한 만큼 인쇄시트(1)의 양단이 틀어짐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감지부(161)는 측정된 값(거리)을 콘트롤러(170)로 전송하여 롤러 위치제어부(140)를 구동시킨다. 상기 롤러 위치제어부(140)는 롤러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콘트롤러(170)의 신호에 따라 각각 구동된다.
본 발명의 연속 인쇄를 위한 인쇄롤러의 위치보정 장치는 실시간으로 롤러의 위치를 보정하여 인쇄시트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때문에 기존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위치를 보정하는 것에 비교하면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롤러의 위치 보정 범위가 사방(좌우 이동, 전후 이동)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인쇄 품질의 향상과 함께 인쇄시트가 구겨지거나 찢어지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재료비 절감, 생산성 향상, 공정의 자동화로 인한 인건비 절감 등의 효과가 있다.
이 외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 또는 분할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 또는 분할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범위 안에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연속 인쇄를 위한 인쇄롤러의 위치보정 장치
110: 권취롤러 120: 인쇄부
130: 건조부 140: 롤러 위치제어부
160: 위치 감지부 170: 콘트롤러

Claims (4)

  1. 연속 인쇄를 위하여 인쇄시트가 권취된 권취롤러부와
    상기 권취롤러부에서 공급된 인쇄시트에 잉크가 도포되면서 인쇄되도록 표면에 인쇄패턴이 형성되어 인쇄패턴의 오목한 부분에 잉크를 채우고 볼록한 부분에 잉크를 제거한 상태로 인쇄시트에 오목한 부분의 잉크를 도포하는 인쇄롤러와
    상기 인쇄롤러의 오목한 부분의 잉크가 인쇄시트에 도포되도록 압력을 가하며, 인쇄시트가 외주면에 일부분에 밀착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인쇄부 및
    상기 인쇄부에서 도포된 잉크를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부와 건조부가 잉크 색상에 따라 순차적으로 도포될 수 있도록 이송하는 복수개의 이송롤러가 형성된 연속 인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시트의 장력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하여 인쇄시트 양단에 형성된 레지스터 마크를 인식하고, 각각의 거리를 측정하는 위치 감지부;
    상기 위치 감지부에서 측정된 거리에 따라 인쇄시트의 장력상태를 감지하여 롤러 위치제어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로 인쇄시트를 이송하는 롤러 양단의 위치를 각각 제어할 수 있는 롤러 위치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인쇄를 위한 인쇄롤러의 위치보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위치제어부는 롤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롤러의 일측 롤러봉이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제1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제1가이드 플레이트에서 연장되어 관통홀이 형성된 제2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롤러봉의 이동을 제어하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실린더가 구동하여 롤러봉이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인쇄를 위한 인쇄롤러의 위치보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위치제어부는 가압롤러 혹은 이송롤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인쇄를 위한 인쇄롤러의 위치보정 장치.
  4. 인쇄시트 양단에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제1 위치 감지부와, 제2 위치 감지부를 포함하는 위치 감지부에서 인쇄시트의 양단 레지스터 마크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위치 감지부에서 측정한 인쇄시트 일측단의 레지스터 마크까지 거리와 제2 위치 감지부에서 측정한 인쇄시트 타측단의 레지스터 마크까지 거리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각 거리가 동일하면 인쇄시트 양단의 장력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각 거리가 일치하지 않으면 인쇄시트 양단의 장력을 조절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각 거리값을 비교하여 거리차이가 발생한 만큼 인쇄시트의 양단이 틀어짐의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정보를 콘트롤러로 전송하여 롤러 위치제어부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위치제어부는 롤러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인쇄를 위한 인쇄롤러의 위치보정 방법.
KR1020220145067A 2022-11-03 2022-11-03 연속 인쇄를 위한 롤러의 위치보정 장치 및 방법 KR202400634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067A KR20240063445A (ko) 2022-11-03 2022-11-03 연속 인쇄를 위한 롤러의 위치보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067A KR20240063445A (ko) 2022-11-03 2022-11-03 연속 인쇄를 위한 롤러의 위치보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3445A true KR20240063445A (ko) 2024-05-10

Family

ID=91072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5067A KR20240063445A (ko) 2022-11-03 2022-11-03 연속 인쇄를 위한 롤러의 위치보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344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6374A (ko) 2005-05-09 2006-11-15 동우아펙스산업 주식회사 다색 그라비아 인쇄의 레지스터 오차 제어방법
KR101777849B1 (ko) 2016-12-20 2017-09-13 이황노 카메라를 이용한 인쇄오차 감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6374A (ko) 2005-05-09 2006-11-15 동우아펙스산업 주식회사 다색 그라비아 인쇄의 레지스터 오차 제어방법
KR101777849B1 (ko) 2016-12-20 2017-09-13 이황노 카메라를 이용한 인쇄오차 감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7170B2 (en) Digital printing system
US8706017B2 (en) Duplex web printer system registration technique
US7207269B2 (en) Coating material applying method and coating material applying apparatus for applying a coating material to surfaces of prints, and a printing machine having the coating material applying apparatus
EP2749414A1 (en) Web control to reduce waste and corresponding method
JPH03207655A (ja) 印刷機及び該印刷機の印刷ユニツトにおいて見当の調節を修正する方法
JP2011251533A (ja) 印刷機を見当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522114B1 (ko) 인쇄 기계용 컬러들을 레지스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RU2053128C1 (ru) Машина для трафаретной печати
US20090283002A1 (en) Method for printing correction
US8160361B2 (en) Method for the detection of marks and printing machine
CN216783111U (zh) 一种数字打印机中的喷墨打印头保护系统
JP2007069607A (ja) 印刷修正方法
CN114379221A (zh) 用于测量转动体的表面的隆起部的设备
KR20240063445A (ko) 연속 인쇄를 위한 롤러의 위치보정 장치 및 방법
US72196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setting and controlling longitudinal and lateral register as well as parallelness of the printing register in a multicolor printing machine
EP1604820B1 (en) Method of registering different colours in flexography, and flexographic printer comprising a device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EP1396341B1 (de) Verfahren und Steuerungseinrichtung zum Bestimmen eines Registerfehlers
EP4275904A1 (en) Print quality control system for offset printing machine
EP3581382B1 (en) Controlling longitudinal positioning of a foil web as used in a printing process
WO2024003640A1 (en) Digital printing system and process
US12001902B2 (en) Correcting distortions in digital printing by implanting dummy pixels in a digital image
CN117529406A (zh) 数字印刷系统和方法
US20210309020A1 (en) Correcting distortions in digital printing by implanting dummy pixels in a digital image
JP2002040733A (ja) 多色印刷機で見当合わせを調節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1403113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measurement of dimension change for a she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