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3088A - Virtual golf device setting user's personal environment - Google Patents

Virtual golf device setting user's personal environ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3088A
KR20240063088A KR1020240054711A KR20240054711A KR20240063088A KR 20240063088 A KR20240063088 A KR 20240063088A KR 1020240054711 A KR1020240054711 A KR 1020240054711A KR 20240054711 A KR20240054711 A KR 20240054711A KR 20240063088 A KR20240063088 A KR 20240063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golf
screen
virtual
golf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547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의범
김갑수
Original Assignee
(주)에스지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지엠 filed Critical (주)에스지엠
Priority to KR1020240054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3088A/en
Publication of KR20240063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3088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63B2024/0093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the load of the exercise apparatus being controlled by performance parameters, e.g. distance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47Visualisation of executed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개인환경을 설정하는 가상 골프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상 골프 장치는 사용자가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면, 상기 실제 골프공이 실제 골프코스에 있다고 가정했을 때의 움직임을 산출하는 산출부, 가상의 골프코스에서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된대로 움직이는 가상의 골프공을 보여주는 표시부 및, 사용자에 대한 개인환경의 설정을 위한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환경은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서 사용자마다 각각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인환경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rtual golf device that sets the user's personal environment. The virtual golf device includes a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movement of the real golf ball assuming that it is on a real golf course when the user hits a real golf ball, and a virtual golf device that moves as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on a virtual golf course. It includes a display unit showing the ball, and a setting unit for setting a personal environment for the user, wherein the personal environment can be set differently for each user for a plurality of users, and user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can be displayed for each user. It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eparately storing data, and the personal environment can be automatically set using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Description

사용자 개인환경을 설정하는 가상 골프 장치{VIRTUAL GOLF DEVICE SETTING USER'S PERSONAL ENVIRONMENT}Virtual golf device that sets the user's personal environment {VIRTUAL GOLF DEVICE SETTING USER'S PERSONAL ENVIRONMENT}

본 발명은 가상 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 골프 플레이에 있어서의 옵션, 인터페이스 등에 대한 개인환경을 사용자마다 자기에 맞게 맞춤형으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가상 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golf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enable each user to play screen golf in various ways desired by customizing the personal environment for screen golf play options, interface, etc. It relates to a configured virtual golf device.

최근 골프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골프를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골프는 실외 골프장에서의 골프뿐만 아니라, 가상 골프 장치 등을 이용하여 골프를 플레이 할 수 있는 스크린 골프의 인기도 높아지고 있다. 스크린 골프에서는 스크린을 통하여 골프장의 영상이 표시되므로 마치 야외에서 실제의 골프 경기를 하고 있는 듯한 인상을 주면서도, 야외의 골프장에서 경기하는 것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세이브되기 때문에 스크린 골프는 시간이나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야외 골프를 하기 어려운 바쁜 현대인들에게 대단히 인기가 높다. Recently, as the popularity of golf has increased, the number of people who enjoy golf is increasing. In addition to golf at outdoor golf courses, the popularity of screen golf, which allows you to play golf using virtual golf devices, is also increasing. In screen golf, images of the golf course are displayed on a screen, giving the impression that you are playing a real golf game outdoors. Screen golf is also suitable for time and economic reasons because it saves time and money compared to playing on an outdoor golf course. It is very popular with busy modern people who have difficulty playing outdoor golf due to back problems.

스크린 골프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사용자들의 기대치가 높아지면서, 스크린 골프도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스크린 골프에서는 실제 골프장에서는 제공하기 어려운 여러가지 정보가 제공되고 다양한 플레이 옵션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마다 취향이 달라서 정보 제공 방식이나 플레이 옵션 등에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여러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As the number of people using screen golf increases and users' expectations rise, there is a need for screen golf to provide more diverse services to stimulate user interest. In screen golf, various information that is difficult to provide on an actual golf course is provided and there may be various play options. However, each user has different tastes, so there may be differences in information provision methods or play options.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service that can meet all the diverse needs of these users.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49738호(2021.05.1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6361호(2013.05.0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58848호(2020,09,2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47401호(2021.04.30)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behind the present invention is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249738 (May 10, 202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46361 (May 7, 2013), and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158848 ( 2020,09,22), and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47401 (2021.04.30).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스크린 골프 플레이와 관련된 개인환경을 사용자 맞춤형으로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가상 골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provides a virtual golf device configured to allow users to play screen golf in various ways desired by allowing users to customize their personal environment related to screen golf play. The purpos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Additionally,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ttached drawing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는 사용자가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면, 상기 실제 골프공이 실제 골프코스에 있다고 가정했을 때의 움직임을 산출하는 산출부, 가상의 골프코스에서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된대로 움직이는 가상의 골프공을 보여주는 표시부 및, 사용자에 대한 개인환경의 설정을 위한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환경은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서 사용자마다 각각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인환경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A virtual golf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movement of the actual golf ball assuming that the actual golf ball is on a real golf course when the user hits a real golf ball, and a virtual golf device. It includes a display unit that shows a virtual golf ball moving on the course as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and a setting unit for setting a personal environment for the user, wherein the personal environment can be set differently for each user for a plurality of users. and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that stores user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separately by user, and the personal environment can be automatically set using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상기 가상 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인환경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사용자의 골프 플레이 기록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골프 실력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골프실력에 맞추어서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the virtual golf device, the personal environment may determine the user's golf skill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user's golf play record among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be automatically set to match the determined golf skill. there is.

상기 가상 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인환경은 사용자의 골프 실력과 관련없는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항목은 사용자가 과거에 선택한 것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In the virtual golf device, the personal environment includes items unrelated to the user's golf skills, and the items may be set to be the same as those selected by the user in the past.

본 발명의 가상 골프 장치에 따르면, 스크린 골프 플레이와 관련된 개인환경을 사용자 맞춤형으로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virtual golf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onal environment related to screen golf play can be customized to the user,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play screen golf in various ways desir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여러가지 개인환경을 설정하는 예를 보여주는 스크린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골프 플레이 정보가 다르게 표시되는 예를 보여주는 스크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그린 영역의 홀컵에 깃대가 배치되는지 여부에 차이가 있는 예를 보여주는 스크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그린 영역의 경사 정보가 표시되는지 여부에 차이가 있는 예를 보여주는 스크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그린 영역에서 퍼팅 방향을 나타내는 퍼팅가이드가 여러가지 방식으로 표시되는 예를 보여주는 스크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제1 및 제2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골프공의 타격위치를 알려주는 가이드 정보가 여러가지 방식으로 표시되는 예를 보여주는 스크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통상의 이미지와 시각 개선 이미지의 예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스크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통상의 이미지와 시각 보호 이미지의 예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스크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복수의 가상 골프 장치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가상 골프 장치에서 개인환경을 설정하는 예를 보여주는 스크린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structure of a virtual golf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menu screen showing an example of setting various personal environments.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showing an example in which golf play information is displayed differently.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showing an example of a difference in whether a flagpole is placed on the hole cup in the green area.
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showing an example of a difference in whether slope information of a drawn area is displayed.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showing an example of a putting guide indicating the putting direction in a green area being displayed in various ways.
7 to 10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first and second methods.
Figures 11 to 13 are diagrams showing screens showing examples of guide information indicating the hitting position of a golf ball being displayed in various ways.
Figure 14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a normal image and an example of a vision improvement image.
Figure 15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a normal image and an example of a vision protection image.
Figure 16 is a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structure of a virtual golf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structure of a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virtual golf devices ar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FIG. 18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menu screen showing an example of setting personal environment in the virtual golf device of FIG. 17.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The purpos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ed content is thorough and complete and to enable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lthough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in this specification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the elements from one another. Additionally,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top of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it can be formed directly on top of the other element or that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m.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drawings, the sizes of elements, or the relative sizes between elements, may be somewhat exaggerated for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the shapes of elem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change somewhat due to variation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unless otherwise specifi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some degree of mod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structure of a virtual golf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가상 골프 장치는 타격플레이트(10), 제어부(20), 감지부(30), 입력부(40), 사운드부(50) 및 표시부(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virtual golf device includes a hitting plate 10, a control unit 20, a detection unit 30, an input unit 40, a sound unit 50, and a display unit 60.

타격 플레이트(10)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하여 위치하는 영역이며, 타격 플레이트(10)에는 상하로 이동가능한 오토 티가 설치되어 있어서 오토 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타격용 골프공이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hitting plate 10 is an area where the user is positioned to hit a golf ball, and an auto tee that can move up and down is installed on the hitting plate 10, so that a golf ball for hitting can be automatically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auto tee. there is.

제어부(20)는 가상 골프 장치의 각 구성품 사이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는 타격 플레이트(10)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오토 티를 컨트롤하여, 사용자가 타격하는 시점에 맞추어 상기 오토 티에서 타격용 골프공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골프코스를 선택한 경우, 해당 골프코스에서 플레이할 수 있도록 제어부(20)는 관련 동작을 실행한다. 즉 제어부(20)는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수단을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골프코스의 영상을 형성한 후 이를 표시부(60)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virtual golf devic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0 can control the auto tee installed on the hitting plate 10 so that a golf ball for hitting is provided from the auto tee according to the time when the user hits. Additionally,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golf course, the control unit 20 executes related operations so that the user can play on the golf course. That is, the control unit 20 can form an image of a specific golf cours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an image processing means and then transmit the image to the display unit 60 to be displayed.

제어부(20)는 산출부(21), 설정부(22), 저장부(23)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20)는 산출부(21)를 통하여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 등에 근거하여 상기 물리적 상태대로 골프공이 실제 골프장에서 비행한다고 가정했을 때의 궤적을 산출하는 산출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20)는 설정부(22)를 통하여 사용자가 스크린 골프 플레이를 함에 있어서의 플레이 옵션이나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개인환경을 설정하고 또한 상기 설정된 개인환경된대로 가상 골프 장치가 동작하도록 하는 설정동작을 실행한다. 제어부(20)에는 저장부(23)가 구비되어 있고, 저장부(23)에는 산출동작, 설정동작 등을 포함하여 제어부(20)의 동작을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The control unit 20 includes a calculation unit 21, a setting unit 22, and a storage unit 23. The control unit 20, through the calculation unit 21, performs a calculation operation to calculate a trajectory assuming that the golf ball flies on an actual golf course according to the physical state based on the physical state of the golf ball hit by the user.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 sets the user's personal environment such as play options or interface when playing screen golf through the setting unit 22 and also performs a setting operation to make the virtual golf device operate according to the set personal environment. Run. The control unit 20 is equipped with a storage unit 23, and the storage unit 23 stores various data necessary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control unit 20, including calculation operations and setting operations.

감지부(30)는 골프공의 타격시에 있어서 골프 클럽의 움직임이나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움직임 등을 감지하여 골프공 등에 관한 물리적 상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감지부(30)로서 골프 클럽이나 골프공의 움직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나 감지센서 등의 감지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감지수단에는 이미지 센싱, 발광/수광 센싱, 레이저 센싱 등 다양한 센싱 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이러한 센싱 방식으로 골프 클럽의 움직임이나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나 감지센서 등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또한 1대만 사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여러 대가 사용될 수도 있다. The detection unit 30 is used to determine physical state information about the golf ball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golf club or the movement of the golf ball hit by the user when hitting the golf ball. As the detection unit 30, the golf Sensing means such as a camera or detection sensor that can capture the movement of a club or golf ball may be used. Various sensing methods such as image sensing, light emission/reception sensing, and laser sensing may be applied to the sensing means, and through these sensing methods, the movement of the golf club or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golf ball hit by the user can be determined. The cameras, detection sensors, etc. may be used alone or together, and only one unit may be used, or multiple units may be used as needed.

입력부(4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키보드나 마우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스크린 골프에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사용자의 로그인을 필요로 하는 로그인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고, 로그인 시스템이 적용되면 사용자가 자신의 아이디나 패스워드를 입력할 때에 입력부(40)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골프에서 사용자가 플레이 하고자 하는 골프코스나 플레이 난이도 등을 선택하는 경우 등에도 입력부(40)가 사용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40 is used to receive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a keyboard or mouse can be used. A login system that requires the user to log in before providing the service can be applied to screen golf, and when the login system is applied, the input unit 40 can be used when the user enters his or her ID or password. Additionally, the input unit 40 can be used in screen golf, such as when the user selects the golf course he or she wants to play or the difficulty level of play.

사운드부(50)는 스피커 등과 같은 음향기기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게임의 진행 상황을 안내하고 게임의 진행에 따른 각종 효과음을 재생한다. The sound unit 50 may include an audio device such as a speaker, and through this, guides the user to the progress of the game and plays various sound effect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game.

표시부(60)는 빔 프로젝터와 스크린 등과 같은 기기를 포함한다. 빔 프로젝터는 골프코스와 골프공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골프 관련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하며, 스크린은 투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본 명세서에서는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일부 대상에 대해 '가상'이라는 용어를 붙여서 표현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스크린 속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며,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대상물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가상의 골프공'이란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골프공이라는 의미이고, 현실 세계에서 사용자가 타격하는 실제의 골프공과 혼동되지 않도록 '가상'이라는 용어를 붙여서 표현한 것이다. The display unit 60 includes devices such as a beam projector and a screen. The beam projector projects golf-related images on the screen so that the golf course and golf ball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screen displays the projected images to show to the user. In this specification, some objects displayed on the screen may be expressed with the term 'virtual'. This is used to mean that they are displayed as images on the screen, and to avoid confusion with objects that exist in the real world. It is used. For example, 'virtual golf ball' means a golf ball displayed on a screen, and the term 'virtual' is added to avoid confusion with the actual golf ball that a user hits in the real world.

가상 골프 장치는 스크린 골프장에 설치되어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며, 사용자가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할 때에 가상 골프 장치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동작한다.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면 감지부(30)는 골프클럽의 움직임이나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속도나 이동방향 등과 같은 물리적 상태를 감지한다. 감지부(30)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20)에 전달되고, 제어부(20)는 전달된 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야외의 실제 골프장에서 골프공을 타격했다고 가정했을 때에 골프공이 어떠한 궤적을 나타낼 것인지를 산출한다. 골프공의 궤적은 골프공의 움직임만으로 산출될 수 있고 또는 타격시의 골프클럽의 움직임까지 감안하여 산출될 수도 있다. 표시부(60)에서는 상기 산출된 궤적대로 가상의 골프공이 움직이는 영상을 표시하며, 이때에 가상의 골프공은 산출된 궤적으로 비행한 후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코스의 특정지점에 착지하게 되고, 사용자는 가상의 골프공이 착지된 지점에서 넥스트 타격을 이어가게 된다. The virtual golf device is a device that is installed on a screen golf course to allow screen golf to be played. When a user plays screen golf, the virtual golf device operates in the following process. When the user hits a golf ball, the sensor 30 detects the physical state, such as the movement of the golf club or the speed or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golf ball hit by the user.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3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0, and the control unit 20 determines the trajectory of the golf ball based on the transmitted information assuming that the user hits the golf ball on an outdoor actual golf course. Calculate whether to display. The trajectory of a golf ball can be calculated only by the movement of the golf ball, or it can also be calculat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movement of the golf club at the time of hitting. The display unit 60 displays an image of a virtual golf ball moving according to the calculated trajectory. At this time, the virtual golf ball flies along the calculated trajectory and lands at a specific point of the virtual golf course on the screen, and the user The next hit continues from the point where the virtual golf ball lands.

도 2는 여러가지 개인환경을 설정하는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menu screen for setting various personal environments.

도 2를 참조하면, 스크린 골프 플레이에 있어서 사용자는 제어부(20)의 설정부(22)를 통하여 플레이 옵션이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개인환경을 자신이 원하는대로 개인 맞춤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스크린에 표시되는 거리 정보를 어떠한 단위(미터, 야드 등)로 표시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멀리건의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멀리건이란 미스샷에 대하여 이를 취소하고 다시 샷을 할 수 있도록 기회가 주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멀리건을 3으로 설정한 경우, 사용자는 플레이를 하는 동안 3번까지는 워스트 샷을 취소하고 다시 샷을 시도할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컨시드의 인정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컨시드란 퍼팅한 골프공이 홀컵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 있으면 홀컵에 들어간 것으로 인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컨시드를 1.5m로 설정한 경우, 홀컵으로부터 반경 1.5m 이내에 위치하는 골프공은 홀컵에 들어간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사용자는 스크린에 표시하는 티의 색깔, 골프공의 크기, 골프공의 색깔 등을 자신이 원하는대로 설정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티나 골프공 등이 자신이 식별하기 좋은 조건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골프공 사운드나 각종 사운드 효과를 설정할 수 있다. 골프공을 타격하거나 타격된 골프공이 비행하거나 골프공이 굴러갈 때 발생하는 사운드를 작은 크기로 하거나 보통 크기로 할 수 있고 또는 사운드가 발생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각종 사운드에 특수 효과를 가미하여 소리가 더 울리게 하거나 에코가 들어가도록 하거나 이러한 특수 효과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거나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골프공 사운드나 각종 사운드 효과에 대한 소스 데이터를 풍부하게 구비하면, 사용자마다 다른 사용자와는 다른 자신만의 독특한 사운드가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크린에 표시되는 골프공의 이미지를 실제 골프장에서 사용되는 특정 제조사의 골프공 이미지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실제의 골프공은 매우 많은 제조사에서 다양한 제품이 제조되고 있어서 골프공의 모양이나 색깔도 제품마다 차이가 있다. 종래에는 실제 골프공에 있어서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스크린에 표시되는 골프공은 대부분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하였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공의 이미지를 실제로 제조사에서 제조하고 있는 골프공 제품의 이미지로 선택할 수 있다. 실제 사용되는 골프공이 그대로 스크린에 표시된다면,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하면서도 실제의 골프를 하고 있는 것 같은 리얼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크린에 표시되는 텍스트의 색깔이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로는 골프 플레이에 관련된 정보(현재 골프공의 위치에서 홀컵까지의 거리 정보 등)나 캐디가 플레이 중에 이야기하는 멘트 등이 있을 수 있다. 시력이 좋지 않은 사용자라면 자신이 식별하기 쉬운 색깔과 크기가 큰 텍스트를 선택할 수 있고, 텍스트가 플레이에 집중하는데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는 사용자라면 크기가 작은 텍스트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에는 실제 골프에서와 같이 캐디가 등장하여 골프 플레이를 격려하거나 또는 어드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캐디의 멘트 내용 등을 자신이 원하는대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친절한 멘트를 하는 캐디를 선택하거나, 또는 좋은 플레이가 나왔을 때에 흥분하여 '나이스샷'을 열정적으로 외치는 캐디를 선택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침착하게 플레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엄격하게 멘트하는 캐디를 선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in screen golf play, the user can customize personal environments such as play options and user interface as desired through the setting unit 22 of the control unit 20. For example, the user can select what units (meters, yards, etc.) to display the distanc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Users can also set the number of mulligans. A mulligan means that you are given the opportunity to cancel a missed shot and take another shot. If the mulligan is set to 3, the user can cancel the worst shot and try the shot again up to 3 times during play. Additionally, users can set the scope of acceptance. Concede means that if the putted golf ball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hole cup, it is recognized as having entered the hole cup. If the allow is set to 1.5m, a golf ball located within a radius of 1.5m from the hole cup is considered to have entered the hole cup. In addition, the user can set the color of the te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size of the golf ball, the color of the golf ball, etc. as desired, and as a result, the user can create conditions for the tee or golf ball to be easily identified. Users can also set golf ball sounds or various sound effects. The sound generated when hitting a golf ball, flying a golf ball, or rolling a golf ball can be set to small or normal size, or set to not make the sound, and the sound can be adjusted by adding special effects to various sounds. You can make it sound louder, add an echo, or prevent these special effects from occurring. Here, if you have abundant source data for golf ball sounds or various sound effects, each user can generate their own unique sound that is different from other users. Additionally, the user can set the image of the golf ball displayed on the screen to be an image of a golf ball from a specific manufacturer used on an actual golf course. In reality, golf balls are manufactured in a variety of products by many manufacturers, so the shape and color of golf balls also vary from product to product. Conventionally, despite differences in actual golf balls, most of the golf balls displayed on the screen were the same or very simila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image of the virtual golf ball on the screen can be compared to the golf ball product actually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er. You can select by image. If the golf balls actually used ar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reality of playing real golf can be improved while playing screen golf. Users can also set the color or size of text displayed on the screen. The text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golf play (information on the distance from the current golf ball position to the hole cup, etc.) or comments made by the caddy during play. Users with poor eyesight can select text with a color and size that is easy for them to identify, and users who feel that text interferes with their ability to concentrate on playing can select text with a small size. Additionally, a caddy appears on the screen, just like in real golf, to encourage golf play or provide advice, and the user can select the content of the caddy's comments as desired. For example, choose a caddy who gives kind comments, or a caddy who gets excited when a good play is made and passionately shouts 'nice shot', or a caddy who gives strict comments so that you can stay calm and focus on your play. You can choose.

위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만의 개인환경을 설정할 수 있고, 설정부(22)는 사용자가 설정한대로 개인환경을 세팅하여 사운드부(50)나 표시부(60) 등에 사용자의 설정사항이 반영되도록 필요한 동작을 실행한다. 한편, 개인환경으로 설정가능한 항목은 위에서 언급하지 않은 다른 항목이 더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 중의 기후 조건(풍향, 풍속 등)과 같은 플레이 옵션을 개인환경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 중에 스크린에 표시되는 각종 정보 섹션의 존부, 정보 섹션의 위치, 정보 섹션의 형태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인환경으로 사용자마다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가령 바람이 부는 플레이 옵션을 선택한 경우에, 풍향이나 풍속을 어떻게 표시할 것인지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풍향과 풍속을 "동남풍; 1 - 3 m/s" 등과 같은 텍스트로 표시하도록 선택하거나 또는 애니메이션으로 풍향과 풍속을 표시하도록 선택하거나 할 수 있다. As above, the user can set his or her own personal environment, and the setting unit 22 sets the personal environment as set by the user and performs the necessary actions so that the user's settings are reflected in the sound unit 50 or the display unit 60. Run. Meanwhile, there may be other items not mentioned above that can be set as personal environment. For example, play options such as weather conditions (wind direction, wind speed, etc.) during play can be set as personal settings. 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such as the presence or absence of various information sections displayed on the screen during play, the location of the information section, and the shape of the information section, can be set differently for each user as a personal environment. For example, when the windy play option is selected, the user can select a user interface for how to display wind direction or wind speed. That is, you can choose to display the wind direction and speed as text such as "Southeast wind; 1 - 3 m/s", or you can choose to display the wind direction and speed as an animation.

전술한 항목 이외에도 개인환경으로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이 더 있으며, 이 중 몇 가지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items, there are additional items that the user can set as personal environments, and several of these will be explain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골프 플레이 정보가 다르게 표시되는 예를 보여주는 스크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showing an example in which golf play information is displayed differently.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스크린에 표시되는 골프 플레이 정보에 대해서 상기 정보의 정보량 또는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을 개인환경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프 플레이에 대한 정보를 제1, 2, 3, 4 등급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사용자는 제1 내지 제4 등급의 정보 중 어떠한 등급의 정보가 제공될 것인지에 대해서 선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user can set the amount of information or the method of providing the information for the golf 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as a personal preference. For example, assuming that information about golf play can be divided into 1st, 2nd, 3rd, and 4th levels, the user can select which level of information to be provided among the first to fourth levels of information.

도 3(a)를 참조하면, 제1 등급을 선택하는 경우 정보 등급이 가장 낮아서 정보의 양이나 정확도가 떨어진다. 구체적으로, 현재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공이 위치하는 지점과 최종 목표지점인 홀컵 사이의 거리 정보(1)와 높이 정보(2)가 제공되는데, 거리와 높이가 특정값으로 표시되는 것이 아니고 소정의 수치 범위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골프공과 홀컵 사이의 거리나 높이를 대략적으로만 파악할 수 있고, 약간의 오차범위를 염두에 두고 전략을 세워야 한다.Referring to Figure 3(a), when the first level is selected, the information level is the lowest, so the amount or accuracy of information decreases. Specifically, distance information (1) and height information (2) are provided between the point where the virtual golf ball is currently located on the screen and the final target point, the hole cup. However, the distance and height are not displayed as specific values, but as predetermined values. Displayed as a range. Therefore, users can only roughly determine the distance or height between the golf ball and the hole cup, and must devise a strategy with a slight margin of error in mind.

도 3(b)를 참조하면, 제2 등급을 선택하는 경우 제1 등급에 비하여 정보의 양이 증가한다. 구체적으로, 현재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공이 위치하는 지점과 최종 목표지점인 홀컵 사이의 거리 정보(1)와 높이 정보(2)가 제공되며, 이에 더하여 미니맵에 타격의 목표지점 정보(3)를 표시해준다. 목표지점은 최종 타깃인 홀컵까지의 거리 및 골프코스의 특성 등을 감안하여 이번 타격에서 목표로 삼을 수 있는 지점을 나타낸다. 거리와 높이에 대해서는 제1 등급과 마찬가지로 특정값으로 표시되지 않고 소정의 수치 범위로만 표시된다.Referring to Figure 3(b), when selecting the second level, the amount of information increases compared to the first level. Specifically, distance information (1) and height information (2) are provided between the point where the virtual golf ball is currently located on the screen and the final target point, the hole cup, and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target point of hitting (3) is provided on the mini-map. It displays. The target point indicates the point that can be targeted for this stroke, taking into account the distance to the final target, the hole cup,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lf course. As with the first grade, distance and height are not displayed as specific values, but only within a certain numerical range.

도 3(c)를 참조하면, 제3 등급을 선택하는 경우 제1, 2 등급에 비하여 정보의 양과 정확도가 증가한다. 구체적으로, 현재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공이 위치하는 지점과 최종 목표지점인 홀컵 사이의 거리 정보(1)와 높이 정보(2)가 제공되며, 미니맵에 타격의 목표지점 정보(3)를 표시해준다. 거리와 높이에 대해서는 제1, 2 등급과 다르게 거리와 높이가 수치 범위가 아닌 특정값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골프공과 홀컵 사이의 거리나 높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를 근거로 타격에 대한 전략을 정확하게 세울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c), when selecting the third level, the amount and accuracy of information increase compared to the first and second levels. Specifically, distance information (1) and height information (2) are provided between the point where the virtual golf ball is currently located on the screen and the final target point, the hole cup, and the target point information for hitting (3) is displayed on the minimap. . Regarding distance and height, unlike grades 1 and 2, distance and height are displayed as specific values rather than numerical ranges. Therefore, users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distance or height between the golf ball and the hole cup, and accurately establish a hitting strategy based on this.

도 3(d)를 참조하면, 제4 등급을 선택하는 경우 제1, 2, 3 등급에 비하여 정보의 양과 정확도가 더욱 증가한다. 구체적으로, 현재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공이 위치하는 지점과 최종 목표지점인 홀컵 사이의 거리 정보(1)와 높이 정보(2)가 제공되며, 미니맵에 넥스트 타격의 목표지점 정보(3)를 표시해준다. 이에 더하여 현재 목표지점에서 최종 타깃인 홀컵까지의 거리 정보(4)가 제공되며, 또한 현재 타격에 있어서의 권장 거리 정보(5)가 제공된다. 권장 거리는 풍속, 풍향 등과 같은 기후 조건이나 사용자의 골프 실력 등과 같은 특이 변수(풍속 등은 플레이할 때마 달라질 수 있고, 사용자의 골프 실력은 사용자가 누구이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이 그때 그때의 상황에 달라질 수 있는 변수를 편의상 '특이 변수'라 명명함)를 고려하여 현재 단계에서의 타격시 목표거리로 삼을 것을 권장할만한 거리를 나타낸다. 제4 등급의 정보가 제공되면, 사용자는 현재의 타격에 관하여 필요한 거의 모든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를 근거로 타격에 대한 전략을 확실하게 세울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d), when selecting the fourth level, the amount and accuracy of information further increase compar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levels. Specifically, distance information (1) and height information (2) are provided between the point where the virtual golf ball is currently located on the screen and the final target point, the hole cup, and the target point information for the next hit (3) is displayed on the minimap. I do it. In addition, distance information (4) from the current target point to the final target, the hole cup, is provided, and recommended distance information for the current hit (5) is provided. The recommended distance may vary depending on weather conditions such as wind speed, wind direction, etc., or special variables such as the user's golf skill (wind speed, etc. may vary each time you play, and the user's golf skill may vary depending on who the user is, and the situation at that time). It indicates the distance that is recommended to be set as the target distance when hitting at the current stage, taking into account the variables that may vary (for convenience, they are called 'specific variables'). When level 4 information is provided, the user can accurately determine almost all necessary information regarding the current strike and can clearly establish a strategy for the strike based on this information.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상세한 정보를 원한다면 제3, 4 등급을 선택하고, 고난이도에서 도전하는 마음으로 플레이하고자 한다면 제1, 2 등급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정보의 등급이 4가지로 나누어진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는 한 가지 예일 뿐이며 등급의 개수와 각 등급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내용은 위에서 설명한 예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골프 플레이 정보가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지만, 사용자는 개인환경을 설정하여 상기 골프 플레이 정보가 다른 방식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골프 플레이 정보는 스크린이 아닌 캐디의 음성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From the user's point of view, if they want detailed information, they can select grades 3 and 4, and if they want to play at a high difficulty level with a sense of challenge, they can select grades 1 and 2. Here, the case in which information levels are divided into four levels is explained, but this is only one example, and the number of levels and the content of information provided in each level may be structured differently from the example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golf play information is provided here by being displayed on the screen, the user can set personal preferences to have the golf play information provided in a different way. For example, the golf play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hrough the caddy's voice rather than on a screen.

도 4는 그린 영역의 홀컵에 깃대가 배치되는지 여부에 차이가 있는 예를 보여주는 스크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showing an example of a difference in whether a flagpole is placed on the hole cup in the green area.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퍼팅 단계에서 목표지점인 홀컵의 위치에 깃대를 표시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 개인환경으로 설정할 수 있다. 깃대를 표시하도록 하는 경우,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크린 속 그린 영역에는 홀컵과 깃대가 모두 표시된다. 깃대를 표시하지 않도록 하는 경우,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크린 속 그린 영역에는 홀컵만이 표시된다. 골프는 골프공을 홀컵에 홀인할 때까지의 총 타수의 많고/적음에 따라 순위가 정해지는 스포츠이기 때문에, 홀컵은 골프공 타격에 있어서 목표지점을 나타낸다.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깃대를 통하여 목표지점의 위치를 보다 잘 인식할 수 있고, 깃대를 타켓으로 삼아 골프공을 타격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 중에서는 깃대가 플레이의 집중력을 떨어뜨린다고 생각하여 깃대가 표시되는 것을 원하는 않는 사용자가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본인의 입장에 따라 깃대의 표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user can set personal preferences as to whether or not to display the flagpole at the position of the hole cup, which is the target point during the putting stage. When displaying the flagpole, both the hole cup and the flagpole are displayed in the green area of the screen, as shown in FIG. 4(a). When the flagpole is not displayed, only the hole cup is displayed in the green area of the screen, as shown in FIG. 4(b). Since golf is a sport in which rankings are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total strokes until the golf ball is holed into the hole cup, the hole cup represents the target point when hitting the golf ball. From the user's perspective, the location of the target point can be better recognized through the flagpole, and the golf ball can be hit using the flagpole as the target. However, some users may not want the flagpole to be displayed because they think it reduces concentration in play. Users can choose whether or not to display the flagpole depending on their position.

깃대의 존부는 시각적인 차이뿐만 아니라 스크린 골프 플레이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퍼팅된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공의 이동 경로에 깃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가상의 골프공과 깃대가 충돌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고, 상기 충돌상황을 반영하여 가상의 골프공의 궤적이 산출된다. 따라서 깃대는 가상 골프공의 이동경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일종의 돌발변수라고 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돌발변수가 적용되기를 희망하는지 여부에 따라 깃대의 표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lagpole not only makes a visual difference, but can also affect the outcome of screen golf play. If there is a flagpole in the path of the virtual golf ball on the putting screen, a situation in which the virtual golf ball and the flagpole collide may occur, and the trajectory of the virtual golf ball is calculated by reflecting the collision situation. Therefore, the flagpole can be viewed as a kind of unexpected variable that can affect the moving path of the virtual golf ball, and the user can choose whether to display the flagpole depending on whether they want this unexpected variable to be applied.

도 5는 그린 영역의 경사 정보가 표시되는지 여부에 차이가 있는 예를 보여주는 스크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showing an example of a difference in whether slope information of a drawn area is displayed.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퍼팅 단계에서 그린 영역의 경사 정보를 제공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 개인환경으로 설정할 수 있다. 경사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경우,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퍼팅이 이루어지는 그린 영역의 경사(경사방향이나 경사도 등)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제공되지 않는다. 경사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린 영역의 경사를 나타내는 정보가 제공된다. 상기 경사 정보를 위해 그린 영역에 복수의 횡라인(6a)과 종라인(6b)으로 이루어진 그리드(6)가 표시되고, 또한 횡라인(6a)과 종라인(6b)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7)가 표시된다. 이동체(7)는 횡라인(6a)을 따라 이동하는 횡이동체(7a)와 종라인(6b)을 따라 이동하는 종이동체(7b)를 포함한다. 이동체(7)는 소정의 속도를 갖는데, 이동체(7)의 이동방향은 그린 영역의 경사방향을 나타내고 이동체(7)의 이동속도는 경사도를 나타낸다. 즉 이동체(7)는 경사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고, 경사가 크면 클수록 그 이동속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그리드(6)와 이동체(7)가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는 이동체(6)의 이동방향과 이동속도를 통하여 해당 그린 영역에 있어서 경사 방향과 경사도를 파악할 수 있고 파악된 정보를 퍼팅에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퍼팅을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면 그리드(6)와 이동체(7)가 표시되도록 개인환경을 설정하고, 고난이도에 도전하는 마음으로 플레이하고자 한다면 그리드(6)와 이동체(7)가 표시되지 않도록 개인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user can set personal preferences as to whether to provide slope information of the green area during the putting stage. When slope information is not displayed, as shown in FIG. 5(a), no information is provided about the slope (direction or degree of slope, etc.) of the green area where putting takes place. When displaying slope inform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slope of the drawn area is provided, as shown in FIG. 5(b). A grid 6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lines 6a and vertical lines 6b is displayed in the area drawn for the slope information, and a moving object 7 moving along the horizontal lines 6a and vertical lines 6b is displayed. ) is displayed. The moving body 7 includes a horizontal moving body 7a moving along the horizontal line 6a and a paper moving body 7b moving along the vertical line 6b. The moving object 7 has a predetermined speed,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object 7 represents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green area and the moving speed of the moving object 7 represents the inclination. That is, the moving object 7 moves from a place with a high slope to a place with a low slope, and as the slope increases, its moving speed increases. Therefore, when the grid 6 and the moving object 7 are provided, the user can determine the direction and slope of the slope in the green area through the moving direction and moving speed of the moving object 6 and use the identified information for putting. there is. From the user's perspective, if you want to make putting easier, set your personal environment so that the grid (6) and moving object (7) are displayed, and if you want to play at a high level of difficulty, set the grid (6) and moving object (7) not to be displayed. You can set your personal environment.

도 6은 그린 영역에서 퍼팅 방향을 나타내는 퍼팅가이드가 여러가지 방식으로 표시되는 예를 보여주는 스크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showing an example of a putting guide indicating the putting direction in a green area being displayed in various ways.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퍼팅 단계에서 퍼팅 정보를 나타내는 퍼팅가이드를 표시할 것인지 여부 또는 상기 퍼팅가이드를 어떻게 표시할 것인지에 대해 개인환경으로 설정할 수 있다. 퍼팅가이드는 그린 영역의 지형 특성(경사 방향, 경사도 등)을 고려하여 어느 방향으로 퍼팅할 것인지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실제의 골프장에서 사용자는 육안으로 그린 영역의 지형 특성을 파악하여 스스로 퍼팅 방향을 결정할 수 있지만, 스크린 골프에서는 그린 영역이 스크린 속 영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그린 영역의 지형 특성을 파악하기가 곤란하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스크린 골프에서는 사용자에게 퍼팅 방향을 알려주는 퍼팅가이드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퍼팅가이드가 표시되지 않도록 개인환경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퍼팅 가이드는 제공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퍼팅가이드가 표시되도록 개인환경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퍼팅 가이드는 제공되며, 퍼팅가이드는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올바른 퍼팅에 의하여 가상의 골프공이 움직이는 예상 궤적(8a)을 나타내도록 표시될 수 있다. 또는 퍼팅가이드는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화살표(8b)로 표시될 수 있고, 상기 화살표의 방향으로 퍼팅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의 길이로 퍼팅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퍼팅가이드가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는 가상의 골프공의 예상궤적 또는 퍼팅방향/퍼팅강도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퍼팅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Referring to FIG. 6, the user can set personal settings as to whether to display a putting guide indicating putting information during the putting step or how to display the putting guide. The putting guide serves to indicate which direction to putt by considering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green area (slope direction, slope, etc.). On a real golf course, users can visually determine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green area and determine their own putting direction, but in screen golf,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green area because the green area is displayed as an image on the screen. Considering this, screen golf may provide a putting guide that informs the user of the putting direction. If the user sets personal settings so that the putting guide is not displayed, the putting guide is not provided. If the user sets the personal environment to display the putting guide, the putting guide is provided, and the putting guide shows the expected trajectory 8a of the virtual golf ball moving by correct putting, as shown in FIG. 6(a). can be displayed as follows. Alternatively, the putting guide may be indicated by an arrow 8b as shown in FIG. 6(b), and the direction of the arrow may indicate the putting direction and the length of the arrow may indicate the putting strength. When a putting guide is provided in this way, 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the expected trajectory or putting direction/putting strength of the virtual golf ball, and by using this, the likelihood of successful putting increases.

도 7 내지 도 10은 제1 및 제2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 내지 도 13은 골프공의 타격위치를 알려주는 가이드 정보가 여러가지 방식으로 표시되는 예를 보여주는 스크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S. 7 to 10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first and second methods, and FIGS. 11 to 13 are diagrams illustrating screens showing examples of guide information indicating the hitting position of a golf ball being displayed in various ways. am.

사용자는 골프 플레이에 있어서 서로 다른 제1 방식/제2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제1, 2 방식의 선택에 맞추어 여러가지 개인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제1, 2 방식에 대해 설명하고, 이어서 제1, 2 방식에 맞추어 개인환경을 설정하는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ethods when playing golf, and can set various personal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ethods. Below, methods 1 and 2 will first be described, and then details on setting up a personal environment according to methods 1 and 2 will be described.

도 7을 참조하면, 타격 플레이트(10)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격 플레이트(10)는 제1 타격영역(HA1)과 제2 타격영역(HA2)으로 구분되고, 제2 타격영역(HA2)은 2개의 서브 영역(Sub1, Sub2)으로 구분될 수 있다. 타격 플레이트(10)의 구분 영역은 실제 골프장에서의 다양한 지형 속성을 갖는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제의 골프장에는 페어웨이, 러프, 벙커 등의 다양한 지형 속성을 갖는 영역이 있다. 상기 러프는 페어웨이에 비하여 잔디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는 영역인데, 이와 같이 잔디가 긴 러프에서는 잔디가 짧은 페어웨이보다는 타격하기 어려워서 타격 난이도가 높다. 또한, 상기 벙커는 주로 모래로 이루어진 영역을 나타내는데, 모래 때문에 골프공의 타격이 어려워서 벙커에서는 잔디 지역(페어웨이, 러프)에 비하여 타격 난이도가 높아진다. Referring to FIG. 7, the striking plate 1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Specifically, the hitting plate 10 is divided into a first hitting area (HA1) and a second hitting area (HA2), and the second hitting area (HA2) can be divided into two sub-areas (Sub1 and Sub2). . The division area of the hitting plate 10 may correspond to an area having various topographical properties on an actual golf course. For example, a real golf course has areas with various terrain properties such as fairways, rough, and bunkers. The rough is an area where the grass is longer than the fairway. In this way, the rough with long grass is more difficult to hit than the fairway with short grass, so the difficulty of hitting is high. In addition, the bunker represents an area mainly made of sand, and the sand makes it difficult to hit a golf ball, so the difficulty of hitting a bunker increases compared to a grass area (fairway, rough).

타격 플레이트(10)는 페어웨이, 러프, 벙커와 같은 실제 골프장에서의 다양한 지형 속성을 갖는 영역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1 타격영역(HA1)은 실제 골프에서 타격 난이도가 가장 낮은 페어웨이에 대응하고, 제2 타격영역(HA2)은 페어웨이에 비하여 타격 난이도가 높은 비페어웨이(본 명세서에서, 러프, 벙커 등 페어웨이에 비하여 타격 난이도가 높은 영역을 통칭하여 '비페어웨이'라고 명명한다)에 대응하며, 제2 타격영역(HA2)의 2개의 서브 영역(Sub1, Sub2)은 서로 타격 난이도가 상이한 러프와 벙커에 대응한다. 제1 타격영역(페어웨이 대응 영역)(HA1)과 제2 타격영역(HA2) 중 러프 대응 영역(Sub1)은 길이가 서로 다른 인조잔디로 형성하고, 제2 타격영역(HA2) 중 벙커 대응 영역(Sub2)은 모래에서 타격하는 것 같은 타격감을 줄 수 있는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The hitting plate 10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areas with various topographical properties on an actual golf course, such as fairways, rough, and bunkers. For example, the first hitting area (HA1) corresponds to a fairway with the lowest hitting difficulty in actual golf, and the second hitting area (HA2) corresponds to a non-fairway (in this specification, rough, bunker) with a higher hitting difficulty than the fairway. Areas with higher hitting difficulty than the fairway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non-fairways'), and the two sub areas (Sub1, Sub2) of the second hitting area (HA2) are rough and bunker with different hitting difficulties. corresponds to The rough response area (Sub1) of the first hitting area (fairway response area) (HA1) and the second hitting area (HA2) is formed of artificial turf of different lengths, and the bunker response area ( Sub2) can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give a hitting feeling like hitting in sand.

도 8을 참조하면, 스크린에는 가상의 골프코스가 디스플레이되는데, 가상의 골프코스는 실제의 골프코스를 재현하여 형성된다. 즉 실제 골프코스에 페어웨이, 러프, 벙커 등과 같은 다양한 속성을 갖는 영역이 존재하듯이, 스크린의 가상 골프코스에도 가상 페어웨이(FA), 가상 러프(RA), 가상 벙커(BA) 등과 같은 다양한 지형 속성을 갖는 영역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타격 플레이트(10)의 페어웨이/러프/벙커와 혼동되지 않도록 스크린 속 지형은 가상 페어웨이/가상 러프/가상 벙커라고 명명한다). Referring to FIG. 8, a virtual golf cours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virtual golf course is formed by reproducing an actual golf course. In other words, just as a real golf course has areas with various properties such as fairways, rough, and bunkers, the virtual golf course on the screen also has various terrain properties such as virtual fairway (FA), virtual rough (RA), and virtual bunker (BA). An area having can be displayed (the terrain on the screen is named virtual fairway/virtual rough/virtual bunker to avoid confusion with the fairway/rough/bunker of the hitting plate 10).

위와 같이,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코스에 페어웨이 영역과 비페어웨이 영역이 디스플레이되고 타격 플레이트(10)가 페어웨이 대응영역(HA1)과 비페어웨이 대응영역(HA2)으로 구분되어 있을 때에, 사용자는 제1 방식과 제2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플레이할 수 있다.As above, when the fairway area and the non-fairway area are displayed on the virtual golf course on the screen and the hitting plate 10 is divided into the fairway corresponding area (HA1) and the non-fairway corresponding area (HA2), the user uses the first method. You can play in either of the following ways: and the second way.

도 9를 참조하면, 제1 방식에서는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공(VB)이 위치하는 영역이 페어웨이 영역인지 또는 비페어웨이 영역인지에 따라 그에 맞추어 실제의 골프공(RB)을 타격 플레이트(10)의 페어웨이 대응영역 또는 비페어웨이 대응영역에 놓고 타격한다. 즉 도 9(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크린 속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페어웨이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실제 골프공(RB)을 타격 플레이트(10)의 페어웨이 대응영역에 놓고 타격한다. 또한 도 9(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크린 속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러프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실제 골프공(RB)을 타격 플레이트(10)의 러프 대응영역에 놓고 타격한다. 또한 도 9(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크린 속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벙커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실제 골프공(RB)을 타격 플레이트(10)의 벙커 대응영역에 놓고 타격한다.Referring to FIG. 9, in the first method, the actual golf ball (RB) is placed on the hitting plate 10 according to whether the area in the screen where the virtual golf ball (VB) is located is a fairway area or a non-fairway area. Place the ball in the fairway response area or non-fairway response area and hit. That is, as shown in FIG. 9(a), when the virtual golf ball (VB) on the screen is located in the virtual fairway, the user places the actual golf ball (RB) in the fairway corresponding area of the hitting plate 10 and hits. do. In addition, as shown in FIG. 9(b), when the virtual golf ball (VB) on the screen is located in the virtual rough, the user places the actual golf ball (RB) in the rough corresponding area of the hitting plate 10 and hits. do. Additionally, as shown in FIG. 9(c), when the virtual golf ball (VB) on the screen is located in a virtual bunker, the user places the actual golf ball (RB) in the bunker corresponding area of the hitting plate 10 and hits. do.

도 10을 참조하면, 제2 방식에서는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공(VB)이 위치하는 영역이 페어웨이 영역인지 또는 비페어웨이 영역인지 여부와 상관없이 실제의 골프공(RB)을 페어웨이 대응영역에 놓고 타격한다. 즉 도 10(a), (b), (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크린 속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페어웨이, 가상 러프, 가상 벙커에 위치하는 경우에 모두 사용자는 실제 골프공(RB)을 타격 플레이트(10)의 페어웨이 대응영역에 놓고 타격한다.Referring to FIG. 10, in the second method, the actual golf ball (RB) is placed in the fairway corresponding area and hit, regardless of whether the area where the virtual golf ball (VB) is located on the screen is a fairway area or a non-fairway area. do. That is, as shown in Figures 10(a), (b), and (c), when the virtual golf ball (VB) on the screen is located in a virtual fairway, virtual rough, or virtual bunker, the user can play a real golf ball ( RB) is placed on the fairway corresponding area of the hitting plate (10) and struck.

제1 방식에서는 타격 플레이트(10)에 실제 골프공(RB)이 놓여있는 영역과 스크린의 가상 골프코스에 가상 골프공(VB)이 위치하는 영역이 서로 상응한다. 제2 방식에서는 타격 플레이트(10)에 실제 골프공(RB)이 놓여있는 영역과 스크린의 가상 골프코스에 가상 골프공(VB)이 위치하는 영역이 서로 상응하는 경우(도 10(a))와 타격 플레이트(10)에 실제 골프공(RB)이 놓여있는 영역과 스크린의 가상 골프코스에 가상 골프공(VB)이 위치하는 영역이 서로 상응하지 않는 경우(도 10(b), (c) 참조)가 있다. 제2 방식에서 타격 플레이트(10)에 실제 골프공(RB)이 놓여있는 영역과 스크린의 가상 골프코스에 가상 골프공(VB)이 위치하는 영역이 서로 상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산출부(21)에서 산출동작을 수행할 때에 산출된 골프공의 비거리를 소정 비율로 감소시키는 비거리 조정과정이 적용될 수 있다(도 10(b)에 도시된 경우가 도 10(c)에 도시된 경우에 비하여 비거리 감소 비율이 작게 설정될 수 있다).In the first method, the area where the actual golf ball (RB) is placed on the hitting plate 10 and the area where the virtual golf ball (VB) is located on the virtual golf course on the screen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second method, the area where the actual golf ball (RB) is placed on the hitting plate 10 and the area where the virtual golf ball (VB) is located on the virtual golf course on the screen correspond to each other (FIG. 10(a)) If the area where the actual golf ball (RB) is placed on the hitting plate 10 and the area where the virtual golf ball (VB) is located on the virtual golf course on the screen do not correspond to each other (see Figures 10 (b) and (c) ). In the second method, if the area where the actual golf ball (RB) is placed on the hitting plate 10 and the area where the virtual golf ball (VB) is located on the virtual golf course on the screen do not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calculation unit 21 When performing a calculation operation, a distance adjustment process that reduces the calculated distance of the golf ball by a predetermined ratio can be applied (the case shown in FIG. 10(b) has a reduced distance compared to the case shown in FIG. 10(c) The ratio can be set small).

제1 방식을 선택하는지 또는 제2 방식을 선택하는지에 따라 타격 플레이트(10)에 있어서 골프공을 어디에 놓고 타격해야 하는지가 달라질 수 있고, 사용자가 실수로 실제 골프공을 타격 플레이트(10)의 잘못된 위치에 놓고 타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스크린에 올바른 골프공의 타격 위치를 알려주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보의 제공 여부는 개인환경을 통하여 사용자가 설정할 있고, 또한 상기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에 어떠한 방식으로 제공될 지에 대해서도 사용자가 개인환경을 통하여 설정할 수 있다.Depending on whether the first method or the second method is selected, where the golf ball should be placed and hit on the hitting plate 10 may vary, and the user may accidentally hit the actual golf ball in the wrong place on the hitting plate 10. There may be cases where you are positioned and hit. To prevent this problem, the screen can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rrect golf ball hitting location. Whether or not the information is provided can be set by the user through personal environment, and when the information is provided, the user can also set through personal environment how the information will be provided.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크린에는 골프공을 놓고 타격할 위치를 알려주는 인디케이터(I)가 표시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I)는 타격 플레이트(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I)는 페어웨이 대응영역(I1), 러프 대응영역(I2), 벙커 대응영역(I3)을 포함하는 타격 플레이트 형상으로 표시되며, 또한 인디케이터(I)는 페어웨이 대응영역(I1)/러프 대응영역(I2)/벙커 대응영역(I3) 중에서 올바른 타격위치를 나타내는 식별자(I4)를 포함한다. 인디케이터(I)는 올바른 타격위치임을 나타내기 위해서 '○' 식별자(I4)를 표시하고, 잘못된 타격위치임을 나타내기 위해서 '×' 식별자(I4)를 표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공(VB)이 가상 러프(RB)에 위치하고 있고, 제1 방식을 선택한 경우에 사용자는 실제 골프공을 타격 플레이트의 러프 대응영역에 놓고 타격해야 한다. 이에 대해 인디케이터(I)는 페어웨이 대응영역(I1)과 벙커 대응영역(I3)에 잘못된 타격위치임을 나타내기 위해서 '×' 식별자(I4)를 표시하고, 러프 대응영역(I2)에 올바른 타격위치임을 나타내는 위해서 '○' 식별자(I4)를 표시하고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an indicator (I)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to indicate where to place the golf ball and hit it. The indicator (I) may be expr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triking plate (10). The indicator (I) is displayed in the shape of a hitting plate including the fairway corresponding area (I1), rough corresponding area (I2), and bunker corresponding area (I3), and the indicator (I) also corresponds to the fairway corresponding area (I1)/rough. Includes an identifier (I4) indicating the correct hitting location among the area (I2)/bunker response area (I3). The indicator (I) displays an identifier '○' (I4) to indicate a correct hitting position, and displays an identifier '×' (I4) to indicate an incorrect hitting position. Referring to FIG. 11, the virtual golf ball (VB) on the screen is located in the virtual rough (RB), and when the first method is selected, the user must place the actual golf ball in the rough corresponding area of the hitting plate and hit. In response to this, the indicator (I) displays an '×' identifier (I4) to indicate an incorrect hitting position in the fairway response area (I1) and the bunker response area (I3), and the correct hitting position in the rough response area (I2). To indicate this, the identifier '○' (I4) is displayed.

도 12를 참조하면,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공(VB)이 가상 러프(RB)에 위치하고 있고, 제2 방식을 선택한 경우에 사용자는 실제 골프공을 타격 플레이트의 페어웨이 대응영역에 놓고 타격해야 한다. 이에 대해 인디케이터(I)는 러프 대응영역(I2)과 벙커 대응영역(I3)에 잘못된 타격위치임을 나타내기 위해서 '×' 식별자(I4)를 표시하고, 페어웨이 대응영역(I1)에 올바른 타격위치임을 나타내는 위해서 '○' 식별자(I4)를 표시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12, the virtual golf ball (VB) on the screen is located in the virtual rough (RB), and when the second method is selected, the user must place the actual golf ball in the fairway corresponding area of the hitting plate and hit. In response to this, the indicator (I) displays an '×' identifier (I4) to indicate an incorrect hitting position in the rough response area (I2) and bunker response area (I3), and the correct hitting position in the fairway response area (I1). To indicate this, the identifier '○' (I4) is displayed.

도 13을 참조하면, 인디케이터(I)는 타격 플레이트 전체를 표시할 필요없이 올바른 타격위치에 해당하는 영역만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러프(VR)에 위치하고 있고, 제1 방식하에서 러프 대응영역이 올바른 타격위치일 때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I)는 타격 플레이트의 페어웨이 대응영역과 벙커 대응영역을 제외하고 나머지 러프 대응영역만을 표시하고, 여기에 식별자(I4)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다른 표시방법으로서 올바른 타격위치와 잘못된 타격위치의 명도, 채도, 투명도 등을 차이나게 하여 영역들 사이의 인식(認識) 정도가 달라지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러프(VR)에 위치하고 있고, 제1 방식하에서 러프 대응영역이 올바른 타격위치일 때에, 명도, 채도, 투명도 등을 조절하여 타격 플레이트의 페어웨이 대응영역과 벙커 대응영역을 약하게 식별되게 하고 나머지 러프 대응영역만이 강하게 식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indicator (I) can display only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correct hitting position without having to display the entire hitting plate. For example, when the virtual golf ball (VB) is located in the virtual rough (VR) and the rough corresponding area is the correct hitting position under the first method, as shown in FIG. 13, the indicator (I) is in the fairway of the hitting plate. Excluding the response area and bunker response area, only the remaining rough response area can be displayed, and an identifier (I4) can be displayed here.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s another display method, the brightness, saturation, transparency, etc. of the correct hitting position and the incorrect hitting position can be changed to display a different degree of recognition between areas. For example, when the virtual golf ball (VB) is located in the virtual rough (VR) and the rough corresponding area is the correct hitting position under the first method, brightness, saturation, transparency, etc. are adjusted to match the fairway corresponding area of the hitting plate. The bunker response area can be displayed to be weakly identified, and only the remaining rough response area can be displayed to be strongly identified.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타격 플레이트의 러프 대응영역/벙커 대응영역 보다는 페어웨이 대응영역에서 타격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난이도를 낮추고자 한다면 제2 방식을 개인환경을 통하여 설정하고, 고난이도에서 도전하는 마음으로 플레이하고자 한다면 제1 방식을 개인환경을 통하여 설정할 수 있다.From the user's point of view, it is easier to hit in the fairway response area than in the rough response area/bunker response area of the hitting plate, so if you want to lower the difficulty, set the second method through your personal environment and play with a challenging mind at a high level of difficulty. If so, the first method can be set through personal environment.

한편, 사용자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모드를 개인환경을 통하여 설정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 이미지가 달라질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can set various display modes through personal environment, and the video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may vary depending on the display mode.

도 14는 통상의 이미지와 시각 개선 이미지의 예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스크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통상의 이미지와 시각 보호 이미지의 예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스크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4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a normal image and an example of a vision-enhancing image, and FIG. 15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showing a comparison of a normal image with an example of a vision-protecting image.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노말 모드와 색각 모드 중 어느 하나를 개인환경을 통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노말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 스크린에는 현재 플레이 중인 가상의 골프코스,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을 나타내는 가상의 골프공이 소정의 궤적으로 비행하는 모습, 현재 플레이 중인 가상의 골프코스를 축소하여 나타내는 미니맵(우측 상단) 등이 통상의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색각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 도 14(a)와 동일한 대상에 대하여 일부 대상이 색약자를 위한 시각 개선 기능을 갖는 영상 이미지로 디스플레이 된다. 예를 들면, 미니맵이 색약자를 위한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색약자를 위한 이미지는 색약자가 인식하기 어려운 컬러의 사용을 배제하고 나머지 컬러들을 사용하여 대상 이미지를 표현한다. 예를 들면, 빨간색을 인식하기 어려운 적색약 사용자에 대해서는 빨간색을 사용하지 않고 파란색과 노란색만을 기본컬러로 하여 이들을 조합한 컬러로서 미니맵을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적색약 사용자는 미니맵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여기에서 미니맵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미니맵 이외의 다른 표시 대상에 대해서도 일부 컬러의 사용을 제한하고 색약자들이 인식하기 용이한 이미지로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the user can select either normal mode or color vision mode through personal environment. Referring to FIG. 14(a), when selecting the normal mode, the screen displays a virtual golf course currently being played, a virtual golf ball representing a golf ball hit by the user flying along a predetermined trajectory, and a virtual golf course currently being played. A mini map (top right) showing a reduced golf course may be displayed as a normal image. Referring to FIG. 14(b), when the color vision mode is selected, some of the same objects as in FIG. 14(a) are displayed as video images with a vision improvement function for color blind people. For example, the minimap may be displayed as an image for color blind people. Images for color blind people exclude the use of colors that are difficult for color blind people to recognize and use the remaining colors to express the target image. For example, for red pill users who have difficulty recognizing red, a minimap can be created using only blue and yellow as basic colors without using red, and a combination of these colors. Accordingly, red pill users can view the minimap. It can be easily recognized. Although the explanation is given here using the minimap as an example, the use of some colors can be restricted for display objects other than the minimap and images can be formed that are easy for color blind people to recognize.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노말 모드와 고대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개인환경을 통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 15(a)를 참조하면, 노말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 스크린에는 현재 플레이 중인 가상의 골프코스,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을 나타내는 가상의 골프공이 소정의 궤적으로 비행하는 모습 등이 통상의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고대비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 도 15(a)와 동일한 대상에 대하여 일부 대상이 시각 보호 기능을 갖는 이미지로 디스플레이 된다. 시각 보호 기능을 갖는 이미지는 그레이 계열의 컬러로 표시되는 명암영역으로 나타나는 반면(도 15(b)에서 가상의 골프코스가 명암영역으로 표시됨), 소정의 궤적으로 비행하는 가상의 골프공은 명도나 채도가 높은 단일 컬러로 표시된다. 따라서 가상의 골프공과 가상의 골프코스 사이의 밝기 차가 커서 콘트라스트가 매우 높아지며, 매우 선명한 고대비 이미지(High-Contrast Image)가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화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상의 골프코스가 그레이 계열 컬러로 명암으로만 표시되므로 여러가지 컬러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눈에 피로감을 줄여줄 수 있고, 가상의 골프공의 궤적이 명암영역과 확연하게 대비되어 선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가상의 골프공 이외에도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는 다른 대상이 컬러로 표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the user can select either normal mode or high contrast mode through personal environment. Referring to FIG. 15(a), when selecting the normal mode, the screen displays normal images such as the virtual golf course currently being played and a virtual golf ball representing the golf ball hit by the user flying along a predetermined trajectory. It can be displayed as . Referring to FIG. 15(b), when the high contrast mode is selected, some of the same objects as in FIG. 15(a) are displayed as images with a vision protection function. While an image with a visual protection function appears as a light and dark area displayed in a gray color (a virtual golf course is displayed as a light and dark area in Figure 15(b)), a virtual golf ball flying in a predetermined trajectory has brightness or dark areas. It is displayed as a single color with high saturation. Therefore, the brightness difference between the virtual golf ball and the virtual golf course is large, so the contrast is very high, and a very clear high-contrast image can be formed. As a result, the virtual golf course, which occupies most of the screen, is displayed only in light and dark in gray colors, which reduces eye fatigue compared to using multiple colors, and the trajectory of the virtual golf ball clearly matches the light and dark areas. It can be displayed clearly with contrast. In addition to the virtual golf ball, other objects of interest to the user may be expressed in color.

위와 같이, 사용자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모드 중 자신이 원하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사항에 따라 스크린에는 서로 다른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As above, the user can select the display mode he or she wants among various display modes, and different screen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depending on the user's selection.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6 is a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structure of a virtual golf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는 복수의 부스(101, 102, 103)를 포함한다. 각 부스(101, 102, 103)는 모두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첫번째 부스(101)는 타격 플레이트(101a), 키오스크 화면이 구비된 시뮬레이터 기기(101b), 스크린(101c) 등을 가지고 있고, 다른 부스(102, 103)도 동일한 구성품을 가지고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각 부스(101, 102, 103)에는 골프공의 움직임 등을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 등을 비롯한 다른 기기가 더 구비되어 있다. 각 부스(101, 102, 103)에서는 다수의 사용자가 번갈아가면서 골프를 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각 부스(101, 102, 103)에서는 사용자 혼자서 다른 부스의 사용자와 이격되어 있는 상태로 솔로 플레이를 즐길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시뮬레이터 기기(101b)에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설정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부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에 맞는 개인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 virtual golf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booths 101, 102, and 103. Each booth (101, 102, 103) is configured identically. For example, the first booth 101 has a hitting plate 101a, a simulator device 101b with a kiosk screen, a screen 101c, etc., and the other booths 102 and 103 also have the same component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each booth (101, 102, 103) is further equipped with other devices, including cameras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golf balls. In each booth (101, 102, 103), multiple users can take turns playing golf. Alternatively, at each booth (101, 102, 103), the user can enjoy solo play while being separated from users of other booths. The simulator device 101b of the virtual golf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equipped with a setting unit that is the same or similar to the one described above, and through the setting unit, the user can set a personal environment that suits him or her.

도 17은 복수의 가상 골프 장치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가상 골프 장치에서 개인환경을 설정하는 예를 보여주는 스크린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7 is a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structure of a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virtual golf devices ar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FIG. 18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menu screen showing an example of setting personal environment in the virtual golf device of FIG. 17.

도 17을 참조하면, 가상 골프 장치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은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100) 및 서버유닛(200)을 포함한다. 스크린 골프장(100)에는 스크린 골프 플레이를 즐길 수 있도록 도 1 내지 도 16 등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가상 골프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스크린 골프장(100)에 구비된 상기 가상 골프 장치는 서버유닛(200)과 유무선 통신망 등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각 스크린 골프장(100)은 로그인이 이루어지면 사용자에게 스크린 골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의 역할을 한다. 서버유닛(200)은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100)을 운영하는 서비스 업자가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100)에 구비되어 있는 가상 골프 장치를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중앙서버가 될 수 있다. 서버유닛(200)에는 설정부(210)와 저장부(220)가 구비된다. 설정부(210)를 통하여 사용자는 스크린 골프 플레이를 함에 있어서의 플레이 옵션이나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개인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저장부(220)에는 여러가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7, a system in which virtual golf devices ar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includes a plurality of screen golf courses 100 and server units 200. The screen golf course 100 is equipped with a virtual golf device as shown in FIGS. 1 to 16 to enable screen golf play. The virtual golf device provided in the screen golf course 100 is connected to the server unit 2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ach screen golf course 100 serves as a service provider that provides screen golf services to users when they log in. The server unit 200 may be a central server used by a service provider operating a plurality of screen golf courses 100 to manage virtual golf devices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screen golf courses 100. The server unit 200 is provided with a setting unit 210 and a storage unit 220. Through the setting unit 210, the user can set personal environments such as play options or interface when playing screen golf. Various data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저장부(220)에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각 사용자별로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사용자 A, B가 있다고 가정하면, 사용자 A에 대한 저장영역(P1)과 사용자 B에 대한 저장영역(P2)은 서로 구분되어 있다. 각 사용자에 대한 저장영역에는 신상정보, 플레이 정보, 설정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In the storage unit 220,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users is stored separately for each user. For example, assuming there are different users A and B, the storage area for user A (P1) and the storage area for user B (P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Personal information, play information, setting information, etc. are stored in the storage area for each user.

스크린 골프 서비스는 사용자의 로그인 이후에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신상정보는 사용자가 로그인을 실행할 때에 해당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여 로그인의 승인 여부를 결정할 때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 정보로는 해당 사용자의 과거 플레이 기록이나 과거 플레이 기록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사용자의 개인기록(클럽별 평균비거리, 평균타수 등)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설정 정보는 사용자가 설정한 개인환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설정부(210)와 저장부(220)가 서버유닛(210)에 구비됨으로써, 서버유닛(200)에 연결되어 있는 스크린 골프장(100)의 가상 골프 장치들은 서버유닛(200)에 유선 및/또는 무선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설정부(210)의 동작과 저장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함께 공통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The screen golf service may be provided after the user logs in,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o approve the login by verifying the user's identity when the user logs in. The play information may include the user's past play records or the user's personal records (average distance for each club, average number of strokes, etc.) that can be obtained from past play records. The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personal environment set by the user. As the setting unit 210 and the storage unit 220 are provided in the server unit 210, the virtual golf devices of the screen golf course 100 connected to the server unit 200 are wired and connected to the server unit 200. /Or, while connected wirelessly, the operation of the setting unit 210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can be commonly used.

설정부(210)를 통하여 설정하는 개인환경에는 매우 많은 세부항목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매우 많은 수의 세부항목을 일일이 설정하는 것은 대단히 번거로울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환경을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는 옵션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개별설정/자동설정/추천설정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개인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개별설정'은 개인환경의 각 항목을 일일이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번거롭더라도 자신의 플레이 옵션이나 인터페이스 등을 디테일하게 설정하길 원하는 경우에 선택할 수 있다. '자동설정'은 개인환경의 전체 항목을 설정부(210)에서 자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는 '자동설정'을 클릭함으로써 모든 세부항목에 대한 개인환경 설정을 자동으로 끝낼 수 있다. '추천설정'은 초보자에게 적합한 설정, 중급 실력자에게 적합한 설정, 고급 실력자에게 적합한 설정과 같이 사용자의 골프 실력에 맞추어 복수의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특정 항목을 선택하면 선택된 골프 실력 등급에 맞추어 세부항목에 대한 개인환경 설정을 자동으로 끝낼 수 있다. 자동설정과 추천설정은 서로 구분 항목으로 되어 있지만, 기본적인 동작 방식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초보자에게 적합한 개인환경으로 각 세부항목에 대해 미리 A1 이라는 설정내용이 결정되어 있고, 중급자에게 적합한 개인환경으로 각 세부항목에 대해 미리 A2 이라는 설정내용이 결정되어 있고, 고급자에게 적합한 개인환경으로 각 세부항목에 대해 미리 A3 이라는 설정내용이 결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 A가 추천설정의 '초보'를 선택하면 A1으로 개인환경의 세부항목이 설정되고, 사용자 B가 추천설정의 '중급'을 선택하면 A2로 개인환경의 세부항목이 설정된다. 이에 대해 사용자 A, B가 자동설정을 선택하는 경우, 설정부(210)에서는 저장부(220)에 있는 사용자 A, B의 플레이 정보를 참조하여 먼저 사용자 A, B의 골프실력을 판단하고, 그 결과 설정부(210)가 사용자 A에 대해서 골프 실력이 초보라고 판단하면 A1으로 개인환경의 세부항목이 설정되고, 사용자 B에 대해서 골프 실력이 고급이라고 판단하면 A3로 개인환경의 세부항목이 설정된다. There are many detailed items in the personal environment set through the setting unit 210. Therefore, it may be very cumbersome for the user to set a very large number of detailed items one by one, bu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 option to simply set the personal environment can be provided. Referring to Figure 18, the user can set personal environment through any one of individual settings/automatic settings/recommended settings. 'Individual settings' is for setting each item of the personal environment one by one, and can be selected if the user wants to set his or her play options or interface in detail even if it is inconvenient. 'Automatic setting' is for automatically setting all items of the personal environment in the setting unit 210, and the user can automatically complete the personal environment setting for all detailed items by clicking 'Automatic setting'. 'Recommended settings' allows the user to select one of multiple items according to the user's golf skills, such as settings suitable for beginners, settings suitable for intermediate skills, and settings suitable for advanced players.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item, the selected golf You can automatically complete personal environment settings for detailed items according to your skill level. Although automatic settings and recommended settings are separate items, the basic operation method can be configured similarly. To explain specifically with an example, as a personal environment suitable for beginners, the setting content called A1 has been determined in advance for each detailed item, and as a personal environment suitable for intermediate users, the setting content called A2 has been determined in advance for each detailed item, As a personal environment suitable for advanced users, it is assumed that the settings of A3 have been determined in advance for each detailed item. In this state, if user A selects 'Beginner' of the recommended settings, the detailed items of the personal environment are set to A1, and if user B selects 'Intermediate' of the recommended settings, the detailed items of the personal environment are set to A2. In this regard, when users A and B select automatic setting, the setting unit 210 first determines the golf skills of users A and B by referring to the play information of users A and B in the storage unit 220, and then determines the golf skills of users A and B. If the result setting unit 210 determines that user A's golf skills are beginner, the detailed items of the personal environment are set to A1, and if the result setting unit 210 determines that the golf skills of user B are advanced, the detailed items of the personal environment are set to A3. .

앞에서 설명한 개인환경의 세부항목에 대해서, 초보, 중급, 고급에 대해서 어떠한 옵션을 설정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메뉴 항목에서는 멀리건이나 컨시드 항목 등에 대해서는 초급에서는 멀리건 횟수나 컨시드 인정 범위가 최대가 되게 하고 고급으로 갈수록 멀리건 횟수나 컨시드 인정 범위가 작아지게 한다. 또한 캐디 멘트 항목의 경우에도 초급에서는 '친철한 멘트'가 제공되도록 설정하고 고급에서는 '엄격한 멘트'가 제공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플레이 정보 항목은 초급에서는 가능한 상세한 골프 플레이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고 고급으로 갈수록 가능한 간략한 골프 플레이 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깃대 표시 여부의 항목에 대해서는, 깃대가 예측하기 어려운 '돌발 변수'로 작용할 수 있고 초보자는 이러한 '돌발 변수'를 피하는 것이 좋다는 점을 감안하여, 초급/중급에서는 깃대가 표시되지 않도록 하고 고급에서는 깃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한 항목에 대해서는, 초급/중급에서는 그린 영역의 경사 정보와 퍼팅가이드가 표시되도록 하고, 고급에서는 그린 영역의 경사 정보나 퍼팅가이드가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2 방식의 선택 항목에 대해서는, 초보자에게는 러프 대응영역/벙커 대응영역에 골프공을 놓고 타격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초급에서는 제2 방식을 선택하는 옵션을 설정하고 중급/고급에서는 제1 방식을 선택하는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Regarding the details of the personal environment described above, looking at what options can be set for beginners, intermediates, and advanced users, in the menu item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2, for mulligans and concession items, the number of mulligans and concessions are recognized in beginners. The range is maximized, and the number of mulligans or allowable ranges decreases as you get more advanced. Additionally, in the case of the caddy comment item, you can set it to provide 'friendly comments' at the beginner level and 'strict comments' at the advanced level. The play information item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can provide as detailed golf play information as possible at the beginner level and provide as simple golf play information as possible at advanced levels. Regarding the item of displaying the flagpole or not, as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ure 4, the flagpole may act as an 'unexpected variable' that is difficult to predict, and considering that it is better for beginners to avoid such 'unexpected variable', the flagpole is displayed at beginner/intermediate levels. You can prevent this from happening and have the flagpole displayed in advanced settings. For the item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the green area slope information and putting guide can be displayed in the beginner/intermediate level, and the green area slope information and putting guide can not be displayed in the advanced level. Regarding the selection items of the first and second method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3, it may be difficult for beginners to place a golf ball in the rough response area/bunker response area and hit, so beginners may select the second method. You can set options and at intermediate/advanced levels, you can set the option to select the first method.

개인환경의 항목 중에는 사용자의 골프 실력보다는 사용자의 개인 성향에 따라 선택되는 항목이 있다. 예를 들면, 도 2의 '거리 표시', '골프공 사운드' 등과 같은 선택 항목은 사용자의 골프 실력과 크게 관련이 없는 항목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항목은 사용자가 과거에 선택한 내용이 저장부(220)의 설정 정보에 남아 있으면, 해당 사용자가 과거에 선택한 것과 동일한 내용으로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과거 선택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면 랜덤으로 특정 옵션을 선택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Among the items in the personal environment, there are items that are selected based on the user's personal preference rather than the user's golf skills. For example, selection items such as 'distance display' and 'golf ball sound' in FIG. 2 can be said to be items that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user's golf skills, and these items contain the contents of the user's past selections in the storage ( 220), the same content that the user selected in the past can be selected. Alternatively, if there is no record of past selections, a method of randomly selecting a specific option may be applied.

위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we have looked at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perspe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스크린 골프장
200: 서버유닛
10: 타격 플레이트
20: 제어부
30: 감지부
40: 입력부
50: 사운드부
60: 표시부
100: Screen golf course
200: Server unit
10: striking plate
20: control unit
30: detection unit
40: input unit
50: Sound department
60: display unit

Claims (3)

사용자가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면, 상기 실제 골프공이 실제 골프코스에 있다고 가정했을 때의 움직임을 산출하는 산출부;
가상의 골프코스에서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된대로 움직이는 가상의 골프공을 보여주는 표시부; 및
사용자에 대한 개인환경의 설정을 위한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환경은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서 사용자마다 각각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인환경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는
가상 골프 장치.
When a user hits an actual golf ball, a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movement of the actual golf ball assuming it is on an actual golf course;
a display unit showing a virtual golf ball moving as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on a virtual golf course; and
a setting unit for setting personal environment for the user;
Contains,
The personal environment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user for a plurality of users,
It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that stores user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separately,
The personal environment can be automatically set using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Virtual golf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환경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사용자의 골프 플레이 기록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골프 실력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골프실력에 맞추어서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는 가상 골프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ersonal environment is a virtual golf device that determines the user's golf skill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user's golf play record among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is automatically set to match the determined golf ski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환경은 사용자의 골프 실력과 관련없는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항목은 사용자가 과거에 선택한 것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는 가상 골프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virtual golf device wherein the personal environment includes items unrelated to the user's golf skills, and the items can be set to be the same as what the user has selected in the past.
KR1020240054711A 2021-08-02 2024-04-24 Virtual golf device setting user's personal environment KR2024006308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54711A KR20240063088A (en) 2021-08-02 2024-04-24 Virtual golf device setting user's personal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656A KR20230020076A (en) 2021-08-02 2021-08-02 Virtual golf device setting user's personal environment
KR1020240054711A KR20240063088A (en) 2021-08-02 2024-04-24 Virtual golf device setting user's personal environmen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656A Division KR20230020076A (en) 2021-08-02 2021-08-02 Virtual golf device setting user's personal environ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3088A true KR20240063088A (en) 2024-05-09

Family

ID=852235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656A KR20230020076A (en) 2021-08-02 2021-08-02 Virtual golf device setting user's personal environment
KR1020240054711A KR20240063088A (en) 2021-08-02 2024-04-24 Virtual golf device setting user's personal environment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656A KR20230020076A (en) 2021-08-02 2021-08-02 Virtual golf device setting user's personal environ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020076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076A (en) 2023-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32604A1 (en) Virtual golf device and virtual sports device
JP5229836B2 (en) GAME SYSTEM, GAME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240063088A (en) Virtual golf device setting user's personal environment
KR102344919B1 (en) Virtual golf device and virtual golf system using the same
KR102378556B1 (en) Virtual golf system with slanted swing plate
JP7495730B2 (en) Virtual golf device providing multiple play modes and virtual golf system using the same
KR102442476B1 (en) Virtual golf device providing golf play information
KR102565110B1 (en) Virtual golf device providing putting practice mode and method for operating virtual golf device
KR102617566B1 (en) Virtual golf device showing the area around hole cup
KR102321472B1 (en) Virtual golf device providing multiple play mode and virtual golf system using the same
KR102419263B1 (en) Interface apparatus for virtual sports, virtual golf device and virtual sports device using the same
KR102451272B1 (en) Virtual golf device setting user's play options
KR102644005B1 (en) Virtual golf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virtual golf device
US20220176227A1 (en) Virtual golf device, virtual golf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virtual golf device
KR102551388B1 (en) Virtual sports device providing sight improvement images
KR102540397B1 (en) Method for forming putting guide and virtual golf device using the same
KR20240037405A (en) Virtual golf device capable of using various golf balls and method of operating virtual golf device
KR20240060560A (en) Virtual sports device providing contents images
KR20240057491A (en) Virtual golf device and virtual golf system providing golf related information
KR20230132002A (en) Virtual golf device providing putting guide images
KR20230147232A (en) Virtual golf device showing user's condition
KR20230162863A (en) Virtual golf device and virtual golf system setting goal
KR20230132003A (en) Virtual golf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230112768A (en) Method for providing putting guide and virtual golf device using the same
KR20230132005A (en) Virtual golf device predicting resu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