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1872A - 에어펄스를 이용한 여과집진기 - Google Patents

에어펄스를 이용한 여과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1872A
KR20240061872A KR1020220143717A KR20220143717A KR20240061872A KR 20240061872 A KR20240061872 A KR 20240061872A KR 1020220143717 A KR1020220143717 A KR 1020220143717A KR 20220143717 A KR20220143717 A KR 20220143717A KR 20240061872 A KR20240061872 A KR 20240061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loth
venturi
compressed air
filt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억
Original Assignee
다원에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원에코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원에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3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1872A/ko
Publication of KR20240061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187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81Venturi's or systems showing a venturi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에어 펄스형 여과집진기는 유인팬의 가동에 의하여 본체에 장착되어지는 여과포를 통한 집진이 이루어지고 공기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벤츄리 효과를 이용한 충격기류에 의하여 탈진이 이루어지도록 한 통상의 에어 펄스형 여과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방으로 상기 여과포와 동일수평선상으로 이루어지는 벤츄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벤츄리부의 상측단으로는 여과포 장착틀의 통공부와 연통되어지는 압축공기수용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공기수용챔버는 구획벽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벤츄리부는 각각의 압축공기수용챔버와 각각 연통되게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여과포는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 및 보강수단에 의하여 보강된다.

Description

에어펄스를 이용한 여과집진기{dust collector using air pulse}
본 발명은 여과포를 이용하여 먼지 등의 입자상 오염물질을 여과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여과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에어 펄스형의 여과집진기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인팬(미 도시됨)에 의하여 먼지 등의 입자상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배기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상 오염물질의 제거 후 청정가스가 유출되는 유출구(120)가 형성되지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공간에 여과포장착수단(130)에 의하여 수직으로 매달리게 장착되어지는 원통자루형의 여과포(200)와, 공기압축기(400)로부터 발생되는 공기를 여과포(200)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압축공기이송수단(500)과, 압축공기이송수단(500)의 공기유출구(510)를 통하여 유출되는 압축공기를 여과포(200) 내부로 고속 분사시켜 제트 충격 기류에 의하여 여과포(200)의 외표면에 부착되어진 입자상 오염물질의 탈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벤츄리(300)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여과집진기는 탈진을 위한 벤츄리(300)가 여과포(200)와 동일한 수량으로 구비되어지는 개별 벤츄리를 통한 탈진 방식으로, 여과포와 동일 수량의 벤츄리 구비에 따른 원가 상승의 문제는 물론 여과포와 벤츄리를 일일이 조립해야 하는 조립 작업의 어려움과, 수명이 다한 여과포의 교체 시 여과포와의 분해 작업 및 재조립에 따른 유지,관리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의 여과집진기는 통상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영역(800)으로 여과포(200)가 장착되고, 집진영역(800)과 세정영역(900)의 경계에 벤츄리(300)가 장착되어져 집진영역(800)에서 입자상 오염물질이 집진된 배기가스의 세정기류(600)의 일부와 탈진을 위한 압축공기의 충격기류(700)의 일부가 세정영역(900)에서 혼재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집진과 탈진이 동시에 이루어질 경우 탈진을 위한 충격기류(700)가 세정기류(600)에 의한 영향으로 탈진률을 저하시킬 수 있어 충격기류(700)를 발생을 위하여 실제 필요한 용량 이상의 압축 공기량이 소요되어야 했던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여과집진기에 장착되어지는 여과포(200)는 본체(100)의 내공간에 수직으로 매달리게 장착되어지는 원통자루형 구조로, 상측단으로는 탈진용 압축공기의 유입을 위한 개구부(210)가 형성되도록 하고 하측단으로는 여과를 위한 막힘부(220)가 형성되도록 봉제의 방식으로 제작되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개별 벤츄리를 통한 탈진방식은 벤츄리(300)와 여과포(200)가 동일 수직선상으로 조립되어져 탈진 시 벤츄리(300)를 통과한 고속의 압축공기에 의한 충격기류(700)가 여과포(200)의 막힘부(220)까지 전달되어져 막힘부(220)의 봉제된 부분이 쉽게 틋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이때의 여과포(200)는 여과포장착수단(130)에 의하여 상측단만이 고정된 상태에서 직하방으로 길죽하게 매달려 있게 장착되어지기 때문에 집진 및 탈진 시 가해지는 배기가스 또는 압축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매달려 있던 여과포가 쉽게 흔들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여과포의 흔들림은 여과포의 길이가 통상 1m 이상으로 길죽한데 비하여 여과포 간의 이격 간격이 좁기 때문에 여과포끼리 서로 쉽게 부딪혀 충돌되게 됨으로써 여과포의 손상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여과집진기가 소각로 등 산성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배기가스의 집진 시 여과포의 원단 조직이 산에 의한 부식 등으로 충돌에 의한 손상이 더욱 쉽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여과포의 수명이 쉽게 단축되게 되고, 이러한 여과포의 수명 단축은 여과포의 교체 주기 단축으로 유지, 보수 비용이 높아지게 되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에어 펄스형 여과집진기의 경우 우수한 집진 및 탈진에도 불구하고 제작 단가는 물론 유지,관리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벤츄리에 의하여 다수의 여과포에 탈진을 위한 충격기류를 일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하여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일시에 해결할 수 있는 에어 펄스형 여과집진기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여과집진기는 하나의 벤츄리부 형성으로 다수 개의 여과포 탈진을 위한 충격기류의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에 탈진을 위하여 개별 벤츄리를 여과포와 동일 수량으로 구비함에 따른 원가 상승의 문제점과 개별 벤츄리 장착에 따른 설치,보수,관리의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을 모두 일시에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체에 형성되어진 벤츄리부를 통한 압축공기의 공급 시 개별 벤츄리보다 훨씬 많은 주위의 공기가 유입되어 적은 양의 압축공기로도 높은 탈진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벤츄리부를 통하여 공급되어지는 압축공기가 압축공기수용챔버를 통하여 여과포 내부로 주입되기 때문에 탈진을 위한 충격기류가 여과포의 막힘부까지 작용되지 않게 됨으로써 여과포가 쉽게 틋어져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여과포의 틋어짐에 의한 수명 단축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어 집진 및 탈진 효율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유지,관리 비용을 더욱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여과포의 보강수단 및 고정수단의 강구로 산성의 유해가스가 포함된 배기가스의 집진 시에도 여과포의 손상을 최초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집진 상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집진 시 벤츄리의 작용 상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집진 시 여과포의 횡단면 상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탈진 시 벤츄리의 작용 상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탈진 시 여과포의 횡단면 상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집진과 탈진 동시 작동시 벤츄리의 작용 상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여과포에 보강수단이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여과포에 고정수단이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11은 종래 여과집진기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12는 종래 여과집진기의 집진 및 탈진 상태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인팬(미 도시됨)에 의하여 먼지 등의 입자상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배기가스가 본체(10)의 유입구(11)를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본체(10)의 내공간에 수직으로 매달리게 장착 되어진 원통자류형의 여과포(20)에 의하여 배기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상 오염물질의 집진 후 유출구(12)를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여과포(20)의 외표면에 부착되어진 입자상 오염물질은 공기압축기(4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벤츄리 효과를 이용한 충격기류에 의하여 탈진이 가능하도록 한 통상의 에어 펄스형 여과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내공간에 다수의 장착홀(13a)을 갖는 여과포 장착틀(13)이 형성되고, 상기 여과포 장착틀(13)의 일측단면에는 장착되는 다수의 여과포에 충격기류를 일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벤츄리부(50)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여과포 장착틀(13)의 상측단으로는 구획벽(31)에 의하여 각각의 벤츄리부(50) 상측단과 연통되어지는 다수의 압축공기수용챔버(30)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포 장착틀(13)은 본체(10)의 상측부에 형성되어 상측으로는 집진 된 청정가스가 수용되어지는 세정영역공간(70)이 형성되어지고 하측으로는 여과포(20)가 장착되어 집진이 이루어지는 집진영역공간(80)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본체(10)에 용접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일체형으로 형성시키거나 또는 조립식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여과포 장착틀(13)은 여과포 장착홀(13a)이 형성되는 수평면과 수평면의 직하방으로 절곡되어져 벤츄리부(50)의 형성을 위한 수직면의 형성을 위하여 "ㄱ"자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벤츄리부(50)는 중앙의 협소부(51)를 중심으로 상,하측으로 상부확장부(52)와 하부확장부(53)가 형성되어진 구조로, 하부확장부(53)는 공기압축기(4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유입되면서 주위의 공기를 포함하여 다량의 공기를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고, 협소부(51)는 유입된 압축공기의 고속 분출을 위함이고, 상부확장부(52)는 협소부(51)를 통과한 고속의 공기가 상기 압축공기수용챔버(30)로의 원활한 이송을 위함인 것으로 이러한 벤츄리부(50)의 구조를 통하여 적은 양의 압축공기 공급으로도 우수한 탈진 효율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벤츄리부(50)는 여과포 장착틀(13)의 일측단에 절곡판을 사용하여 용접 등 다양한 방식을 사용하여 여과포 장착틀(13)에 고정식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방식을 사용하여 형성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여과집진기는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인팬의 가동에 의하여 배기가스가 여과포(2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통과하면 여과포(20)의 외표면으로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이 여과되어 집진영역(70) 내에서 집진되어 제거된 후 유출구(12)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게 되는 것이고, 도6 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압축기(40)의 가동에 의하여 공기압축기(40)로부터 발생되는 압축공기가 하나의 벤츄리부(50)를 통하여 고속으로 분사되어져 압축공기수용챔버(30)를 통하여 여과포장착틀(13)에 장착되어진 다수개의 여과포(20) 내부로 유입되어지면 충격기류에 의하여 탈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 및 탈진이 동시에 이루어질 경우에도 하나의 압축공기수용챔버(30a)에 연통되어 있는 하나의 벤츄리부(50a)에서는 집진된 세정기류(1)의 흐름이 이루어지고 또 다른 압축공기수용챔버(30b)에 연통되어 있는 또 다른 벤츄리부(50b)에서는 탈진을 위한 충격기류(2)의 흐름이 서로 시간을 두고 각각 번갈아가면서 다르게 이루어져 충격기류(2)가 세정기류(1)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탈진을 위한 압축공기의 유입 시 벤츄리부(50)의 하부확장부(53)를 통하여 주변의 여분공기(α)까지 포함하여 협소부(51)로 유입되게 됨으로써 적은 공기량으로 다량의 탈진용 공기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벤츄리부(50)의 하부확장부(53)를 통하여 여분공기까지 포함되어 유입되어지는 다량의 압축공기는 협소부(51)를 통과하면서 최고 속도의 제트(JET) 기류가 형성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제트(JET) 기류는 상부확장부(52)를 통과하면서 수직 상향으로 분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벤츄리부(50)를 통하여 수직 상향으로 분출되어지는 다량의 제트(JET) 기류는 벤츄리부(50)의 상부확장부(52)에 연통되어져 있는 압축공기수용챔버(30)를 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여과포 장착틀(13)에 장착되어져 있는 다수 개의 여과포(20) 내부로 거의 동시에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다수개의 여과포(20) 각각에 공급되게 되는 공기량은 벤츄리부(50)와 여과포(20)와의 이격 거리에 따른 압력손실의 차이로 어느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강속의 제트(JET) 기류 상태로 공급되어지기 때문에 탈진 효과의 차이는 미미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포(20)의 수량은 여과집진기의 집진 풍량 및 여과포(20)의 규격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여과포(20)의 배열 상태에 따라 상기 벤츄리부(50)의 수량도 한개 또는 다수 개로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주로 소형 여과집진기의 경우 하나의 벤츄리부(50)를 형성하여 하나의 벤츄리부(50)를 통하여 세정기류(1)와 충격기류(2)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번갈아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집진과 탈진이 일정 시간 간격으로 번갈아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이때 집진을 위한 유인팬과 탈진을 위한 공기압축기가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온/오프를 번갈아 가동되면서 집진과 탈진이 번갈아 반복적으로 가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주로 중.대형 여과집진기의 경우 구획벽(31)에 의하여 다수의 벤츄리부(50)가 형성되도록 하여 다수의 벤츄리부(50a)(50b)를 통하여 세정기류(1)와 충격기류(2)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차례대로 서로 번갈아 가면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집진과 탈진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유인팬과 공기압축기가 연속으로 온으로 가동되어 집진과 탈진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통상 이 경우 하나의 벤츄리부(50a)에서 집진이 이루어지면 나머지 다른 벤츄리부(50b)에서는 탈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압축기(40)로부터 발생되는 압축공기는 다수개의 압축공기개폐수단(61)이 균일하게 형성된 압축공기이송수단(60)을 사용하여 각각의 벤츄리(50)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균일한 탈진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포 장착틀(13)에 형성되어진 장착홀(13a)은 균일한 이격 간격을 두고 열과 행을 갖도록 형성되어 장착홀(13a)에 조립되어지는 여과포(20)가 균일한 이격 간격을 두고 열과 행을 갖는 형태로 장착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다양한 장착수단에 의하여 다수 개의 여과포가 고정 및 해체가 가능한 조립식으로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여과포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포(20)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자루형으로 일단에는 여과포 장착틀(13)의 통공부(13a)에 결합되는 개구부(2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막힘부(22)가 형성되어진 것으로, 상기 막힘부(22)에는 보강수단(70)을 형성시켜 탈진 시 여과포(20) 내부로 유입되어지는 공기압에 의한 막힘부(2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보강수단(91)으로는 막힘부(22) 자체를 탄성력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여 탄성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공기압에 의한 충격 흡수력을 갖도록 하거나 또는 막힘부(22)의 내면에 탄성패드(91a)를 덧데어지게 형성시키거나 또는 막힘부(22)의 외표면에 보강캡(91b)을 형성시키는 등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포(20)와 여과포(20) 사이에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진 시 흔들림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여과포 고정수단(92)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92)은 고정끈(92a) 등을 사용하여 여과포와 여과포의 막힘부를 서로 연결하거나, 또는 고정바(92b)를 사용하여 여과포를 고정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바(92b)는 볼트와 너트 등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여과포의 막힘부를 고정바에 고정시키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여과집진기는 탈진 시 공급되어지는 압축공기가 여과포(20)와 동일수평선 상으로 직립되게 형성되어진 벤츄리(50)에 의하여 주변의 잉여 공기가 더해진 양의 압축공기 제트(JET) 기류가 형성되어지고, 이 상태에서 여과포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진 압축공기수용챔버(30)에 의하여 다수개의 여과포(20)로 공급되어지기 때문에 하나의 벤츄리(50)에 의해서도 다수 개의 여과포(20)를 효율적으로 탈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벤츄리부(50)를 통하여 공급되어지는 직상향의 압축공기 제트(JET) 기류는 압축공기수용챔버(30)에 의하여 수평기류로 이동하면서 다수 개의 여과포(20)로 공급되어지기 때문에 탈진 시 압축공기로 인한 여과포(20)의 막힘부(22)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보강수단(91) 및 고정수단(92)의 형성으로 여과포의 손상을 보다 더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여과집진기는 하나의 벤츄리부 형성으로 다수 개의 여과포 탈진을 위한 충격기류의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에 탈진을 위하여 개별 벤츄리를 여과포와 동일 수량으로 구비함에 따른 원가 상승의 문제점과 개별 벤츄리 장착에 따른 설치,보수,관리의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을 모두 일시에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체에 형성되어진 벤츄리부를 통한 압축공기의 공급 시 개별 벤츄리보다 훨씬 많은 주위의 공기가 유입되어 적은 양의 압축공기로도 높은 탈진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벤츄리부를 통하여 공급되어지는 압축공기가 압축공기수용챔버를 통하여 여과포 내부로 주입되기 때문에 탈진을 위한 충격기류가 여과포의 막힘부까지 작용되지 않게 됨으로써 여과포가 쉽게 틋어져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여과포의 틋어짐에 의한 수명 단축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어 집진 및 탈진 효율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유지,관리 비용을 더욱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여과포의 보강수단 및 고정수단의 강구로 산성의 유해가스가 포함된 배기가스의 집진 시에도 여과포의 손상을 최초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세정기류 2...충격기류
10...본체 11...유입구
12...유출구 13...여과포 장착틀
13a...장착홀 20...여과포
21...개구부 22...막힘부
30...압축공기수용챔버 31...구획벽
40...공기압축기 50...벤츄리부
51...협소부 52...상부확장부
53...하부확장부 60...압축공기이송수단
61...압축공기개폐수단 70...세정영역공간
80...집진영역공간 91...보강수단
92...고정수단

Claims (1)

  1. 유인팬의 가동에 의하여 본체에 장착되어지는 여과포를 통한 집진이 이루어지고 공기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벤츄리 효과를 이용한 충격기류에 의하여 탈진이 이루어지도록 한 통상의 에어 펄스형 여과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방으로 상기 여과포와 동일수평선상으로 이루어지는 벤츄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벤츄리부의 상측단으로는 여과포 장착틀의 통공부와 연통되어지는 압축공기수용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공기수용챔버는 구획벽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벤츄리부는 각각의 압축공기수용챔버와 각각 연통되게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여과포는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 및 보강수단에 의하여 보강되는 에어펄스를 이용한 여과집진기.
KR1020220143717A 2022-11-01 2022-11-01 에어펄스를 이용한 여과집진기 KR202400618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717A KR20240061872A (ko) 2022-11-01 2022-11-01 에어펄스를 이용한 여과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717A KR20240061872A (ko) 2022-11-01 2022-11-01 에어펄스를 이용한 여과집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1872A true KR20240061872A (ko) 2024-05-08

Family

ID=9107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717A KR20240061872A (ko) 2022-11-01 2022-11-01 에어펄스를 이용한 여과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18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5409A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having reverse pulse filter cleaning capability
CA1151081A (en) Bag-type filter apparatus with internal air diffuser
KR101220434B1 (ko) 가이드 밴이 구비된 집진기
WO2005061077A1 (ja) 集塵装置用カートリッジエレメント
CN212790345U (zh) 一种具有自动低压清灰功能的袋式除尘器
CN113244731A (zh) 一种环保设备用矿厂除尘净化器
KR100559371B1 (ko) 집진기
KR200400487Y1 (ko) 집진기
CN109173715B (zh) 脱硝除尘一体化除尘器
KR100957030B1 (ko) 충격기류방식 여과집진기의 탈진공기 분사장치
CN200974003Y (zh) 脉冲喷吹布袋除尘器
KR102204348B1 (ko) 인입 개스로 셀프워싱하는 집진기
KR20240061872A (ko) 에어펄스를 이용한 여과집진기
KR20090016184A (ko) 탈진장치가 구비된 여과집진기
US5458665A (en) Apparatus for filtering gases
KR20210048894A (ko) 집진 효율성과 경제성이 향상된 에어 펄스형 여과집진기
CN105903302B (zh) 一种干法网式和水柱法相结合的净化系统
US20020100261A1 (en) Plate venturi for a dust collector filter cleaning system
KR100544095B1 (ko) 집진기
KR102140138B1 (ko) 하강 플로우 타입 여과 집진기용 필터
CN215352547U (zh) 一种矿山用单机布袋除尘器
CN216136870U (zh) 低压长袋脉冲除尘器及除尘系统
KR100584046B1 (ko) 집진기용 조립형 백케이지
KR102166486B1 (ko) 여과집진기용 횡필터
CN220345317U (zh) 脉冲脱尘式布袋除尘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