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1455A -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 - Google Patents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1455A
KR20240061455A KR1020220143144A KR20220143144A KR20240061455A KR 20240061455 A KR20240061455 A KR 20240061455A KR 1020220143144 A KR1020220143144 A KR 1020220143144A KR 20220143144 A KR20220143144 A KR 20220143144A KR 20240061455 A KR20240061455 A KR 20240061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llover
housing
switch
sph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수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3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1455A/ko
Priority to PCT/KR2023/017029 priority patent/WO2024096488A1/ko
Publication of KR20240061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1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5Means for returning or tending to return controlling members to an inoperative or neutral position, e.g. by providing return springs or resilient end-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니트 하우징(100)과,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에 상하 반전 가동 가능하게 회동축 연결되는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을 포함하고 스위칭 동작이 가능한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와,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상하 반전 가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피어 롤오버 구동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 측에 그리고 다른 일부가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 측에 배치되는 롤오버 감지부(250)를 포함하고, 상기 롤오버 감지부(25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롤오버 하우징(210)의 상하반전 회전축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SPHERE ROLLOVER SWITCHING UNIT}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스위치로서, 선택 동작 및/또는 복합 동작 구현을 이루되 상하 반전 회동 위치 전환을 이루는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이루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는 스티어링 휠과, 스티어링 컬럼과, 스티어링 롤 커넥터(Sterring Roll Connector) 어셈블리와 그리고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 등을 구비한다.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가 조향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회전은 스티어링 컬럼을 통하여 차륜에 전달되어 차량의 조향각을 설정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근래 생산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는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윈도우 스위치, 조향 라이트를 온/오프시키는 조향 라이트 스위치 및 오디오를 구동시키는 오디오 스위치,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스위치 등이 배치되고,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는 라이트 및 포그램프, 와이퍼, 각종 오디오 장치 및 차량 윈도우 스위치 등을 구비하는 것으로 운전자로 하여금 각종 장치의 조작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각종 장치의 조작 중에도 전방 주의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하는데, 이는 스티어링 휠의 상부에 버튼 스위치로 구현되거나 스티어링 휠 측면의 차량용 레버 스위치로서 구현되거나 다양한 기능이 콘솔 스위치로 집중된다.
근래 자동차의 스위치에 있어서 다양한 기능의 스위치가 복합적으로 집약되는 경향을 나타내는데, 기능의 증대만큼 구조가 복잡해지고 복잡한 구조로 인한 오작동 가능성도 증대된다.
특히, 감성 동작을 요구하는 자동차 스위치의 경우 다양한 동작 변화를 요하는 상황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작동성을 보다 강화하는 구성의 스위치 장치의 감성 품질에 대한 요구가 점점 증대되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설계 방법 및 이에 따른 구조의 스위칭 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대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팩트하고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복합적인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내구성을 증진시키고 보다 정확한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하고 유격을 제거 내지 최소화시켜 진동 내지 소음 발생을 방지하고 및/또는 롤오버 동작을 통하여 스위칭 동작 전후의 구조 변화를 통하여 스위칭 장치를 보호 내지 외형적 변형을 통한 제품성을 향상시키는 구조의 스위칭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유니트 하우징(100)과,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에 상하 반전 가동 가능하게 회동축 연결되는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을 포함하고 스위칭 동작이 가능한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와,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상하 반전 가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피어 롤오버 구동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 측에 그리고 다른 일부가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 측에 배치되는 롤오버 감지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를 제공한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감지부(25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롤오버 하우징(210)의 상하반전 회전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롤오버 감지부(250)는: 롤오버 감지 센서부(251)과, 롤오버 감지 센서 대응부(253)를 구비하고, 상기 롤오버 감지 센서 대응부(253)가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회전축 상으로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 측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하우징은: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회동을 지지하는 하우징 바디(12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바디(120)는: 위치 고정 장착되는 하우징 바텀 바디(121)와, 상기 하우징 바텀 바디(121)의 일면 상에 연장 형성되는 하우징 서포트 바디(123)를 포함하고, 상기 롤오버 감지 센서 대응부(253)는 상기 하우징 서포트 바디(123)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서포트 바디(123)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 바텀 바디(121)와 연결되는 하우징 버티컬 서포트 바디(1231)와, 일측이 상기 하우징 버티컬 서포트 바디(1231)의 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회동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하우징 버티컬 사이드 바디(1232)를 포함하고,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은: 양측이 상기 하우징 서포트 바디(123)에 상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와, 상기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와 상기 하우징 서포트 바디(123)의 사이에 배치되는 롤오버 유니트 베어링(213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버티컬 사이드 바디(1232)는, 적어도 어느 일측에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사이드 서포트 힌지(12321)를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서포트 힌지(12321)에는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 측을 향하여 연장 배치되는 사이드 서포트 힌지 익스텐션(12323)이 구비되고, 상기 롤오버 감지 센서 대응부(253)는 상기 사이드 서포트 힌지 익스텐션(12323)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는: 상하 반전 가능한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21110)와, 일단은 상기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21110)의 양측에 배치되고, 타단의 각각은 상기 하우징 버티컬 사이드 바디(1232) 및 상기 하우징 버티컬 서포트 바디(1231)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21120a,21120b)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21120a,21120b) 중 어느 하나에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 익스텐션 수용부(21121a)가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 서포트 힌지 익스텐션(12323)는 상기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 익스텐션 수용부(21121a)에 수용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감지 센서부(251)는 상기 롤오버 감지 센서 대응부(253)에 마주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감지 센서부(251)는 상기 롤오버 하우징(210)의 상하반전 회전축으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21120a,21120b) 중 어느 하나에 샤프트 바디 구동 대응부(21121b)가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 바디 구동 대응부(21121b)에는 상기 스피어 롤오버 구동부(30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상기 스피어 롤오버 구동부(300)의 롤오버 구동 액츄에이터(330)에서 생성된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유니트 베어링(2130)은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21120a,21120b)와 사이드 서포트 힌지(12321) 사이 양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는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축으로 로터리 동작 가능한 롤오버 유니트 로터리 스위치부(2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유니트 로터리 스위치부(230)는: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일면 상부에 배치되는 로터리 스위치 노브(2360)와,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에 로터리 동작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로터리 스위치 노브(2360)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는,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와, 상기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의 로터리 동작에 의해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생성하는 로터리 스위치(23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유니트 로터리 스위치부(230)는, 상기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와 상기 로터리 스위치(2340) 사이에 배치되는 로터리 스위치 로터 전달부(2350)를 구비하고, 상기 로터리 스위치 로터 전달부(2350)는, 상기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의 일측에 형성되는 로터 전달 구동부(2351)와, 상기 로터리 스위치(234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상기 로터 전달 구동부(2351)에 치합되는 로터 전달 피동부(235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유니트 로터리 스위치부(230)는: 상기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의 회동시 디텐팅 동작을 실행하는 로터리 스위치 디텐트부(233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유니트 로터리 스위치부(230)는: 상기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를 사전 설정 위치로 복귀시키는 로터리 스위치 셀프 리턴부(232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 셀프 리턴부(2320)는: 상기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의 외주에 배치되는 셀프 리턴 롤러(2321)와, 사전 설정 프로파일을 구비하며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셀프 리턴 롤러(2321)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셀프 리턴 웨지 가이드(232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 셀프 리턴부(2320)는, 상기 셀프 리턴 웨지 가이드(2323)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셀프 리턴 롤러(2321)의 가동을 저지하는 셀프 리턴 롤러 스톱퍼(2325)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는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회전축을 향한 가압 동작에 의하여 가동 가능한 푸시 스위치(2440)를 구비하는 롤오버 유니트 푸시 스위치부(2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유니트 푸시 스위치부(240)는: 사용자에 의하여 가압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시 스위치 노브(2410)와, 일단이 상기 푸시 스위치 노브(2410) 측과 연결되는 푸시 스위치 샤프트(2420)와, 일단은 상기 푸시 스위치 샤프트(2420)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푸시 스위치(2440)를 가압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시 스위치 플런저(24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푸시 스위치 샤프트(2420)는: 일단은 외부를 향하여 그리고 타단은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회전축을 향하여 배치되는 푸시 스위치 샤프트 바디(2421)와, 상기 푸시 스위치 샤프트 바디(2421)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푸시 스위치 플런저(2430)와 접촉하는 푸시 스위치 샤프트 베이스(242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푸시 스위치 플런저(2430)는: 상기 푸시 스위치 샤프트 베이스(2423)와 접촉하는 플런저 바디(2431)와, 상기 푸시 스위치(2440)) 측을 향하여 상기 플런저 바디(243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 바디(2431)의 가동 거리를 제한하는 플런저 스톱퍼(243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푸시 스위치(2440)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푸시 스위치 샤프트(2420)의 가동 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 균등 각분할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는 빛을 생성하여 상기 푸시 스위치 노브(2410)를 향하여 출력하는 푸시 스위치 광원부(246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롤오버 유니트 기판(220)을 구비하고, 상기 푸시 스위치 광원부(2460)는: 상기 롤오버 유니트 기판(22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푸시 스위치 광원(2461)와, 일단은 상기 푸시 스위치 광원(2461)와 마주하고 타단은 상기 푸시 스위치 노브(2410)를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푸시 스위치 광원(2461)에서 출사된 빛을 상기 푸시 스위치 노브(2410)로 전달하는 푸시 스위치 광원 전달부(246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푸시 스위치 노브(2410)는: 상기 푸시 스위치 광원 전달부(2463)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노브 이너 바디(2411)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노브 이너 바디(2411)의 외주에 형성되어 일면이 외부로 노출 배치되는 노브 아우터 바디(241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노브 이너 바디(2411)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 배치되고, 상기 노브 이너 바디(2411)는 상기 푸시 스위치 광원 전달부(2463)을 통하여 전달되는 빛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노브 아우터 바디(2413)는 상기 푸시 스위치 광원 전달부(2463)을 통하여 전달되는 빛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피어 롤오버 구동부(300)는: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롤오버 구동 하우징(310)과, 상기 롤오버 구동 하우징(3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롤오버 구동 액츄에이터(330)와, 일측은 상기 롤오버 구동 액츄에이터(330)와 치합되고 타측은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 측에 치합되어 상기 상기 롤오버 구동 액츄에이터(330)에서 생성된 구동력을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 측으로 전달하는 롤오버 구동 전달 기어부(3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유니트 기판(400)이 배치되고,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는 롤오버 유니트 기판(220)을 포함하고, 상기 롤오버 유니트 기판(220)은: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롤오버 유니트 이너 기판(2210)과, 일단은 상기 롤오버 유니트 이너 기판(2210) 측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니트 기판(400)과 연결되는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은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회전축 길이 중앙 지점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으로부터 인출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의 하우징 바디(120)는 하우징 바디 플립 공간(126)을 구비하고, 상기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 회동시 상기 하우징 바디 플립 공간(126)에서 상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이 플립 반전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 플립 공간(126)은: 상기 하우징 바디(120)의 하우징 바디 콘벡스부(1261)와, 상기 하우징 바디(120)의 하우징 바디 콘케이브부(1263)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하우징 바디 콘벡스부(1261)는 상기 하우징 바디 플립 공간(126)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회동축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 바디 플립 공간(126)을 형성하는 내측면까지의 프로파일 반경상 최대값 위치가 상기 하우징 바디 콘케이브부(1263)에 구비될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관심 일면이 외부로 노출 배치되고, 상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이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로부터 인출되는 지점이 상기 하우징 바디 콘벡스부(1261)에 근접 배치되는 경우, 상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은 두 개의 플립 영역(Wf1,Wf2)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관심 일면이 상기 하우징 바디(120)의 내부를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이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로부터 인출되는 지점이 상기 하우징 바디 콘케이브부(1263)에 근접 배치되는 경우, 상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은 한 개의 플립 영역(Wf3)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은 상기 유니트 기판(400)의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와 마주하는 면의 반대면에 전기적 연결될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기판(400)은 기판 관통구(401)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바디(120)의 하단에는 하우징 바디 연장부(128)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바디 연장부(128)에는 하우징 바디 연장 관통구(129)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바디 연장부(128)는 상기 기판 관통구(401)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은 상기 하우징 바디 연장 관통구(129)를 관통하여 배치될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는: 상기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의 외측에 배치되는 롤오버 유니트 아우터 바디(21140)를 포함하고, 상기 롤오버 유니트 아우터 바디(21140)는 상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을 인출시키는 아우터 바디 커넥션 인출구(2114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바디 커넥션 인출구(21145)의 외측에는 아우터 바디 챔퍼링 커넥션 가이드부(21147)가 구비되고, 상기 아우터 바디 챔퍼링 커넥션 가이드부(21147)는 상기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의 상하 반전 회동시 상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을 안내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는, 상기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의 상하 반전 회동시 상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과 접촉 가능한 하우징 커넥션 가이드(127)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실내 스티어링 휠 또는 콘솔 스위치 장치 등에 장착되어 운전자 차량의 차량용 변속 레인지 스위치 장치, 네비게이션 장치, 오디오 멀티미디어 장치 내지 공조 장치 등의 차량의 실내 사용되는 전기적 동작을 선택 내지 조정할 수 있도록 복합적인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의 상하 반전 회동 동작의 감지를 보다 간결한 구조를 통하여 신속 정확하게 감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의 상하 반전 회동 동작 중 구성요소들의 간섭, 특히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으로 인한 발생 가능한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안정적인 권취 풀림 동작을 이루어 꺾임 내지 결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의 스피어 롤오버 구동부의 측부 배치를 통한 유지 보수 및 모듈화를 통한 조립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의 상하 반전 전후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의 푸시 스위치 노브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의 하우징 바디 등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의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의 롤오버 로터리 스위치부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의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 및 롤오버 유니트 푸시 스위치부의 일부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의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의 롤오버 감지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의 롤오버 유니트 푸시 스위치부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의 스피어 롤오버 구동부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의 스피어 롤오버 구동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의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의 접속 조립 과정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의 롤오버 유니트 로터리 스위치부 및 롤오버 유니트 푸시 스위치부의 노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의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의 상하 반전 회동 과정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의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의 안내를 위한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의 로터리 스위치 디텐트부의 개략적인 부분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는 유니트 하우징(100)과,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와, 스피어 롤오버 구동부(300)를 포함하고, 유니트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유니트 기판(400)이 배치된다.
유니트 하우징(100)에는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이 배치되고,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는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을 포함한다.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은 상하 반전 가동 가능하게 회동축 연결되고,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는 스위칭 동작이 가능하다. 스피어 롤오버 구동부(300)는 유니트 하우징(100)에 배치되고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상하 반전 가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는 롤오버 감지부(250)를 포함하고, 롤오버 감지부(250)의 적어도 일부는 롤오버 하우징(210)의 상하반전 회전축 상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니트 하우징(100)은 차량 등에 위치 고정되어 후술되는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안정적인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유니트 하우징(100)은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바디(120)와 하우징 베이스(130)를 구비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30)는 서로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커버(110)의 일면 상에는 하우징 커버 관통구(111)가 구비된다. 후술되는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일부가 하우징 커버 관통구(111)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 가능하다.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3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는 하우징 바디(120)가 배치된다. 하우징 바디(120)는 하우징 바텀 바디(121)와 하우징 서포트 바디(123)와 하우징 로워 바디(125)를 포함한다.
하우징 바텀 바디(121)와 하우징 로워 바디(125)는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데, 이 내부 공간에 유니트 기판(400)이 배치된다.
하우징 서포트 바디(123)의 일면 상에는 하우징 서포트 바디(123)가 연장 형성 배치되는데, 하우징 서포트 바디(123)와 하우징 바텀 바디(121)가 서로 개별 구성을 취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체 형성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우징 서포트 바디(123)는 롤오버 유니트(200)의 회동 동작을 지지하는 구조를 취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서포트 바디(123)는 롤오버 유니트(200)의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를 취한다.
하우징 서포트 바디(123)는 하우징 버티컬 서포트 바디(1231)와, 하우징 버티컬 사이드 바디(1232)를 포함한다.
하우징 버티컬 서포트 바디(1231)는 일단이 하우징 바텀 바디(121)와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하우징 버티컬 서포트 바디(1231)의 타단 측에는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이 상대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구조를 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 버티컬 서포트 바디(1231)는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홈 구조를 취하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하우징 버티컬 사이드 바디(1232)는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회동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하우징 버티컬 사이드 바디(1232)의 일측은 하우징 버티컬 서포트 바디(1231)의 측단에 연결된다.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은 하우징 버티컬 사이드 바디(1232) 및 하우징 버티컬 서포트 바디(1231)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장착 지지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버티컬 사이드 바디(1232)는 사이드 서포트 힌지(12321)를 구비하는데, 사이드 서포트 힌지(12321)는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사이드 서포트 힌지(12321)는 사이드 서포트 힌지 익스텐션(12323)를 포함하는데, 사이드 서포트 힌지 익스텐션(12323)은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 측을 향하여 연장 배치된다. 사이드 서포트 힌지 익스텐션(12323)은 롤오버 유니트(200)의 상하반전 회전축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이드 서포트 힌지 익스텐션(12323)에는 후술되는 롤오버 감지부(25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다.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는 유니트 하우징(100)에 상하 반전 가동 가능하게 회동축 연결되는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을 포함하고 스위칭 동작이 가능한다.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은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와, 롤오버 유니트 베어링(2130)를 포함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롤오버 유니트 헤미스피어(2120)를 더 포함한다. 롤오버 유니트 헤미스피어(2120)는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의 어느 일면 상에 배치되어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상하 반전 회동에 따라 하우징 커버 관통구(111)를 통하여 외부 노출 가능하다. 롤오버 유니트 헤미스피어(2120)는 롤오버 유니트 헤미스피어 프레임(2123)과 롤오버 유니트 헤미스피어 바디(2121)를 포함하는데, 롤오버 유니트 헤미스피어 프레임(2123)은 후술되는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21110)과 맞물리어 공간을 구획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롤오버 유니트 헤미스피어(2120)의 롤오버 유니트 헤미스피어 바디(2121)은 조명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고, 후술되는 스위치 구조와 다른 구성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는 양측이 하우징 서포트 바디(123)에 상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롤오버 유니트 베어링(2130)은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와 하우징 서포트 바디(123)의 사이에 배치되어 양자 간의 상대 회동을 원활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롤오버 유니트 베어링(2130)은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의 회전축 양단에 배치되어 어느 일측으로의 뒤틀림없이 안정적인 지지 구조 및 상대 회동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는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21110)와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21120a,21120b)를 포함한다.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21110)는 유니트 하우징(100)에 대하여 상하 반전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21110)에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배치되어 소정의 스위칭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21110)의 중앙에는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 관통구(21111)가 구비되는데,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 관통구(21111)를 통하여 후술되는 롤오버 유니트 푸시 스위치부(240)의 일부 구성이 관통 배치 가능하다.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 관통구(21111)의 외측에는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 로터리 관통구(21113)가 배치되는데,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 로터리 관통구(21113)에는 롤오버 유니트 로터리 스위치부(230)의 구성요소가 회동 가능하게 안착 배치된다.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21110)의 외주에는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 커넥션 인출부(21115)가 배치된다.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 커넥션 인출부(21115)는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211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 커넥션 인출부(21115)의 회전축 중앙 지점으로부터 수직한 지점에 형성된다.
즉,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 커넥션 인출부(21115)는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21110)가 회전하는 경우 회전축으로부터 최대 반경을 이루는 지점에 배치된다.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P위치선로부터 S위치선을 거쳐 R위치선까지 이동하는 동안 상하 반전 회동시 좌우 대칭 지점에 형성되는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 커넥션 인출부(21115)를 통하여 후술되는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의 꼬임이 방지 내지 최소화될 수도 있다.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21120a,21120b)는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21110)에 배치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21120a,21120b)의 일단은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211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21120a,21120b)의 타단 각각은 하우징 서포트 바디(123)에 배치된다.
즉,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21120a,21120b)는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21110)의 양측에 배치되고, 각각의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21120a,21120b)는 하우징 버티컬 사이드 바디(1232) 및 하우징 버티컬 서포트 바디(1231)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21120a,21120b) 중 어느 하나에는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 익스텐션 수용부(21121a)가 배치된다. 도 6 상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경우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 익스텐션 수용부(21121a)는 도면 부호 21120a로 지시되는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a)에 배치된다.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a)는 도 6 상 왼쪽에 배치되는 하우징 사이드 서포트 바디(1232)와 마주하여 배치되는데, 하우징 사이드 서포트 바디(1232)에 배치되는 사이드 서포트 힌지 익스텐션(12323)이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 익스텐션 수용부(21121a)에 수용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21120a,21120b) 중 어느 하나에 샤프트 바디 구동 대응부(21121b)가 배치된다. 도 6 상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경우 샤프트 바디 구동 대응부(21121b)는 도면 부호 21120b로 지시되는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b)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b) 측은 후술되는 스피어 롤오버 구동부(300) 측과 맞물리어 상하 반전 회동력을 전달받는다.
앞서 기술한 롤오버 유니트 베어링(2130)은 두 개가 각각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21120a,21120b)와 사이드 서포트 힌지(12321) 사이 양측에 배치되어 안정적인 회동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양측 회동 지지 구조를 통하여 편심으로 인한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의 상하 반전 회동시의 뒤틀림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는 롤오버 유니트 이너 바디(21130)와 롤오버 유니트 아우터 바디(21140)를 더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롤오버 유니트 이너 바디(21130)는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21110)의 상단에 배치된다. 롤오버 유니트 이너 바디(21130)의 중앙에는 롤오버 유니트 이너 바디 관통구(21131)가 구비되는데, 후술되는 롤오버 유니트 푸시 스위치부(240)의 일부 구성이 롤오버 유니트 이너 바디 관통구(21131)를 통하여 관통 배치 가능하다.
롤오버 유니트 이너 바디(21130)의 외주에는 이너 바디 힌지 수용부(21133)가 형성된다. 이너 바디 힌지 수용부(21133)에는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가 수용 배치되어 구성요소 간의 간섭이 방지된다.
롤오버 유니트 이너 바디(21130)의 외주에는 롤오버 유니트 이너 바디 커넥션 인출구(21135)가 형성된다.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은 롤오버 유니트 이너 바디 커넥션 인출구(21135)를 통하여 내외부로 인출되어 스위칭 구성요소와 유니트 기판을 통한 외부 장치로의 전기적 신호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롤오버 유니트 아우터 바디(21140)의 중앙에는 롤오버 유니트 아우터 바디 관통구(21141)가 배치되어 다른 구성요소들의 관통 배치를 허용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롤오버 유니트 아우터 바디(21140)는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2111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데, 롤오버 유니트 아우터 바디(21140)는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21110)의 상하단에서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21110)를 수용하는 방식으로 맞물림 결합된다.
롤오버 유니트 아우터 바디(21140)의 외주에는 롤오버 아우터 바디 커넥션 인출구(21145)가 형성된다.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이 아우터 바디 커넥션 인출구(21145)를 통하여 인출 가능하다. 아우터 바디 커넥션 인출구(21145)의 외주에는 아우터 바디 챔퍼링 커넥션 가이드부(21147)가 배치된다.
아우터 바디 챔퍼링 커넥션 가이드부(21147)는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의 상하 반전 회동시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을 안내한다. 즉, 아우터 바디 챔퍼링 커넥션 가이드부(21147)는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 구조를 취하여,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의 상하 반전 회동시 아우터 바디 커넥션 인출구(21145)로부터 인출되는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을 안내한다.
이러한 구성은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의 상하 반전 회동시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이 과도하게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는 롤오버 유니트 로터리 스위치부(230)를 포함한다.
즉,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는 롤오버 유니트 로터리 스위치부(230)를 포함한다. 롤오버 유니트 로터리 스위치부(230)는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축으로 로터리 동작 가능하다.
롤오버 유니트 로터리 스위치부(230)는 로터리 스위치 노브(2360)와,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와, 로터리 스위치(2340)를 포함한다.
로터리 스위치 노브(2360)는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일면 상부에 배치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로터리 스위치 노브(2360)는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의 롤오버 유니트 이너 바디(21130)의 상부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터리 스위치 노브(2360)는 로터리 스위치 아우터 노브(2361)와 로터리 스위치 미디엄 노브(2363)와, 로터리스위치베이스 노브(2365)를 포함한다.
로터리 스위치 아우터 노브(2361)는 외부에 노출되어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 아우터 노브(2361)의 외면에는 소정의 그루브 홈과 굴곡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그립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안정적인 로터리 스위칭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로터리 스위치 아우터 노브(2361)에는 아우터 노브 관통구(23611)가 배치된다. 아우터 노브 관통구(23611)는 로터리 스위치 아우터 노브(2361)의 중심부를 가로지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로터리 스위치 베이스 노브(2365)는 롤오버 유니트 이너 바디(21130)의 상부에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 베이스 노브(2365)는 롤오버 유니트 이너 바디(21130)에 대하여 상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 베이스 노브(2365)의 중앙에도 로터리 스위치 베이스 노브 관통구(23651)가 형성되어 다른 구성요소의 관통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로터리 스위치 미디엄 노브(2363)는 로터리 스위치 아우터 노브(2361)와 로터리 스위치 베이스 노브(2365)의 사이에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 미디엄 노브(2363)의 중앙에도 로터리 스위치 미디엄 노브 관통구(23631)가 형성된다.
로터리 스위치 미디엄 노브(2363)의 외주에는 로터리 스위치 미디엄 노브 홀더(23633)를 포함하고, 로터리 스위치 미디엄 노브 홀더(23633)는 로터리 스위치 베이스 노브(2365)의 외주에 형성되는 로터리 스위치 베이스 노브 홀더(23653)와 맞물린다. 이러한 맞물림 구조를 통해 로터리 스위치 미디엄 노브(2363)와 로터리 스위치 베이스 노브(2365) 간의 상대 회동이 제한되고 일체 가동 가능하게 한다.
한편 롤오버 유니트 로터리 스위치부(230)의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는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에 로터리 동작 가능하게 배치되고 로터리 스위치 노브(2360)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된다. 앞서 기술한 로터리 스위치 베이스 노브(2365)의 로터리 스위치 베이스 노브 관통구(23651)의 외주에는 로터리 스위치 베이스 하우징 맞물림부가 형성된다.
로터리 스위치 베이스 하우징 맞물림부는 후술되는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의 로터 샤프트(2311) 상단에 형성되는 로터 샤프트 맞물림부와의 맞물림 체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는 로터 바디(2311)와 로터 샤프트(2313)를 포함한다.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는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의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21110)의 일면 상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로터리 샤프트(2313)는 로터 바디(2311)의 일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된다.
로터리 샤프트(2313)의 중앙에는 로터리 샤프트 관통구(23131)가 배치되어 다른 구성요소의 관통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로터리 샤프트(2313)의 외주에는 로터리 샤프트 베어링 안착부(23133)가 형성되고, 로터리 샤프트 베어링 안착부(23133)에는 로터 베어링(2315, 도 7 참조)이 배치되어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와 롤오버 유니트 이너 바디(21130)와의 상대 회동을 원활하게 한다. 로터리 샤프트 베어링 안착부(23133)의 외측에는 로터리 샤프트 베어링 안착부 스톱퍼가 구비되어 로터 베어링(2315)의 이탈을 방지한다.
로터리 스위치(2340)는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의 로터리 동작에 의해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생성한다. 로터리 스위치(2340)는 로터리 스위치 가동부(2341)와 로터리 스위치 고정부(2343)를 포함한다. 로터리 스위치 가동부(2341)는 자석으로 형성되고, 로터리 스위치 고정부(2343)는 자기 센서로 형성된다.
로터리 스위치 고정부(2343)는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롤오버 유니트 이너 기판(2210) 상에 배치된다. 다만 이들은 로터리 동작을 감지하는 범위에서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롤오버 유니트 로터리 스위치부(230)는 로터리 스위치 로터 전달부(2350)를 포함한다. 로터리 스위치 로터 전달부(2350)는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와 로터리 스위치(2340) 사이에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 로터 전달부(2350)는 로터 전달 구동부(2351) 및 로터 전달 피동부(2353)를 포함한다.
로터 전달 구동부(2351)는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의 일측에 형성되고, 로터 전달 피동부(2353)에는 로터리 스위치(234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로터 전달 피동부(2353)는 로터 전달 구동부(2351)와 치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터 전달 구동부(2351)는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의 로터 바디(2311)의 외주에 형성되고, 로터 전달 피동부(2353)는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 로터리 관통구(21113)에 가동 가능하게 안착되어 로터 전달 구동부(2351)와 치합된다. 로터 전달 피동부(2353)에는 로터리 스위치(2340)의 로터리 스위치 가동부(2341)가 배치된다.
이와 같은 로터리 스위치 노브(2360)와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의 로터리 회동력은 로터리 스위치 로터 전달부(2350)을 통하여 로터리 스위치(2340)의 회동 상태를 감지를 이룬다.
한편, 본 발명의 롤오버 유니트 로터리 스위치부(230)는 촉각적 감지를 강화시키고 경우에 따라 원위치 복귀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 8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오버 유니트 로터리 스위치부(230)는 로터리 스위치 디텐트부(2330)를 더 구비한다. 로터리 스위치 디텐트부(2330)는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의 회동시 디텐팅 동작을 실행한다.
로터리 스위치 디텐트부(2330)는 디텐트 수용부(2331)와, 디텐트 탄성부(2333)와, 디텐트(2335)와, 디텐트 홈(2337)을 포함한다.
디텐트 수용부(2331)는 로터 바디(2311)의 외측에 배치된다. 디텐트 수용부(2331)에는 디텐트 탄성부(2333)가 수용 배치된다. 디텐트 탄성부(2333)의 다부에는 디텐트(2335)가 배치되고, 디텐트(2335)는 디텐트 탄성부(2333)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어 디텐트 홈(2337)과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디텐트 홈(2337)은 사전 설정된 프로파일을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회전 상태의 촉각적 인지를 가능하게 한다.
또 한편, 본 발명의 롤오버 유니트 로터리 스위치부(230)는 로터리 스위치 셀프 리턴부(232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로터리 스위치 셀프 리턴부(2320)는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를 사전 설정 위치로 복귀시킨다.
로터리 스위치 셀프 리턴부(2320)는 셀프 리턴 롤러(2321)와, 셀프 리턴 웨지 가이드(2323)를 포함한다. 셀프 리턴 롤러(2321)는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의 외주에 배치된다. 셀프 리턴 롤러(2321)는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의 외주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셀프 리턴 롤러(2321)는 앞서 기술한 로터리 스위치 디텐트부(2330)의 반대편에 배치되나 안정적인 가동을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위치 선정이 가능하며, 셀프 리턴 롤러(2321)의 개수도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셀프 리턴 롤러(2321)는 자유 회동을 이루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나 셀프 리턴 웨지 가이드(2323)와의 상대 가동을 허용하는 단순 저널 베어링의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셀프 리턴 웨지 가이드(2323)는 사전 설정 프로파일을 구비하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셀프 리턴 웨지 가이드(2323)는 원주 방향으로 삼각웨지 프로파일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로터 바디(2311)의 회전량이 증대될 수록 가중되는 삼각웨지 프로파일 경사각으로 인하 반발 하중 증대가 발생하는데, 이를 통한 사용자는 회동 조작 반력 증대로 회전량 내지 회전 상태의 촉각적 인지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셀프 리턴 웨지 가이드(2323)는 셀프 리턴 롤러(2321)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셀프 리턴 웨지 가이드(2323)의 사전 설정 프로파일을 변화시킴에 따라 다양한 조작감의 제공도 가능하다.
또한, 로터리 스위치 셀프 리턴부(2320)는 셀프 리턴 롤러 스톱퍼(2325)를 더 구비하는데, 셀프 리턴 롤러 스톱퍼(2325)는 셀프 리턴 웨지 가이드(2323)의 외측에 배치되고 셀프 리턴 롤러(2321)의 가동을 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셀프 리턴 롤러 스톱퍼(2325)는 로터 바디(2311)의 원주 상 셀프 리턴 웨지 가이드(2323)의 양단에 배치되는 구성을 취하나, 이의 개수는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는 롤오버 유니트 푸시 스위치부(240)를 구비할 수도 있다. 롤오버 유니트 푸시 스위치부(240)는 푸시 스위치(2440)를 포함하는데, 푸시 스위치(2440)는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회전축을 향한 가압 동작에 의하여 가동 가능하다.
롤오버 유니트 푸시 스위치부(240)는 푸시 스위치 노브(2410)와, 푸시 스위치 샤프트(2420)와, 푸시 스위치 플런저(2430)를 포함한다.
푸시 스위치 노브(2410)는 사용자에 의하여 가압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스위치 노브(2410)는 노브 이너 바디(2411)와 노브 아우터 바디(2413)를 포함한다. 노브 이너 바디(2411)는 후술되는 푸시 스위치 광원 전달부(2463)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한다.
노브 아우터 바디(2413)의 적어도 일부는 노브 이너 바디(2411)의 외주에 형성된다. 노브 아우터 바디(2413)의 일면은 외부로 노출 배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단면 상에서 볼 때, 노브 아우터 바디(2413)는 노브 이너 바디(2411)를 감싸는 구조를 취하고, 노브 이너 바디(2411)는 푸시 스위치 노브(2410)의 측면에 노출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노브 이너 바디(2411)의 적어도 일부는 측면 상에서 외부로 노출 배치되고, 노브 이너 바디(2411)는 푸시 스위치 광원 전달부(2463)을 통하여 전달되는 빛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도 있다. 즉, 노브 이너 바디(2411)가 빛을 전달하는 재질로 형성되고 노브 아우터 바디(2413)가 빛을 차단하는 재료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푸시 스위치 광원부(2460)에서 생성되는 빛을 노브 이너 바디(2411)을 통하여만 출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노브 아우터 바디(2413)가 푸시 스위치 광원 전달부(2463)을 통하여 전달되는 빛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노브 아우터 바디(2413)가 빛을 전달하는 재질로 형성되고 노브 이너 바디(2411)가 빛을 차단하는 재료로 형성되되는 경우, 후술되는 푸시 스위치 광원부(2460)에서 생성되는 빛을 노브 아우터 바디(2413)을 통하여만 출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노브 이너 바디(2411) 및 노브 아우터 바디(2413)가 광을 전달하되 서로 상이한 색상의 재질로 형성되어 서로 상이한 색상의 빛 출사를 이루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도 가능하다.
푸시 스위치 샤프트(2420)는 그 일단이 푸시 스위치 노브(2410) 측과 연결된다. 푸시 스위치 샤프트(2420)는 푸시 스위치 샤프트 바디(2421)와, 푸시 스위치 샤프트 베이스(2423)를 포함한다.
푸시 스위치 샤프트 바디(2421)는 일단이 외부를 향하여 그리고 타단이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회전축을 향하여 배치된다. 푸시 스위치 샤프트 바디(2421)의 중앙에는 푸시 스위치 샤프트 바디 관통구(2422)가 형성된다. 푸시 스위치 샤프트 바디 관통구(2422)를 통하여 푸시 스위치 광원부(2460)로부터 출사된느 빛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하여 상부로 전다 배치되도록 하거나, 이에 푸시 스위치 광원부(2460)의 일부 구성요소가 관통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푸시 스위치 샤프트 베이스(2423)는 푸시 스위치 샤프트 바디(2421)의 단부에 배치되고 푸시 스위치 플런저(2430)와 접촉한다.
푸시 스위치 플런저(2430)는 일단이 푸시 스위치 샤프트(2420)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타단이 푸시 스위치(2440)를 가압 가능하게 푸시 스위치(2440)의 상부에 배치된다.
푸시 스위치 플런저(2430)는 플런저 바디(2431)와, 플런저 스톱퍼(2433)를 포함한다. 플런저 바디(2431)는 푸시 스위치 샤프트 베이스(2423)와 접촉하고, 플런저 스톱퍼(2433)는 푸시 스위치(2440)) 측을 향하여 플런저 바디(2431)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플런저 스톱퍼(2433)는 플런저 바디(2431)의 가동 거리를 제한한다. 즉, 푸시 스위치 노브(2410) 및 푸시 스위치 샤프트(2420)를 통하여 전달되는 가압력이 푸시 스위치 플런저(2430)로 전달되어 하방 이동하는데, 이때 푸시 스위치 플런저(2430)가 과도하게 가동하여 푸시 스위치(244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푸시 스위치(2440)는 푸시 스위치 탄성부(2441)와 푸시 스위치 가동부(2443)와 푸시 스위치 고정부(2445)를 포함한다.
푸시 스위치 탄성부(2441)는 러버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데, 푸시 스위치 탄성부(2441)는 푸시 스위치 탄성 베이스부(24415)와, 푸시 스위치 탄성 지지부(24113)와 푸시 스위치 탄성 가동부(24411)를 포함한다.
푸시 스위치 탄성 가동부(24411)의 저면에 푸시 스위치 가동부(2443)가 배치되는데, 푸시 스위치 고정부(2441)는 푸시 스위치 가동부(2443)의 대향 위치로 롤오버 유니트 기판(220)의 롤오버 유니트 이너 기판(2210) 상에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푸시 스위치(244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푸시 스위치 샤프트(2420)의 가동 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 균등 각분할 배치된다. 이와 같은 푸시 스위치(2440)의 균등 각분할 배치를 통하여 푸시 스위치 플런저(2430)의 가동 동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푸시 스위치 샤프트의 소정의 가동 유격이 허용되고 틸팅 동작이 허용되는 경우, 복수 개의 푸시 스위치(2440)의 신호 조합을 통하여 틸팅 동작 모드로 다양한 스위칭 신호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또 한편, 본 발명의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롤오버 유니트 푸시 스위치부(240)는 푸시 스위치 광원부(2460)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푸시 스위치 광원부(2460)는 생성된 빛을 푸시 스위치 노브(2410)를 향하여 출력한다. 푸시 스위치 노브(2410)의 구조는 상기한 바와 같다.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는 롤오버 유니트 기판(220)을 구비하는데, 롤오버 유니트 기판(220)의 적어도 일부는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된다.
푸시 스위치 광원부(2460)는 푸시 스위치 광원(2461)와, 푸시 스위치 광원 전달부(2463)를 포함한다. 푸시 스위치 광원(2461)은 롤오버 유니트 기판(220)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푸시 스위치 광원 전달부(2463)는 본 실시예에서 로드 타입으로 구현된다. 푸시 스위치 광원 전달부(2463)의 일단은 푸시 스위치 광원(2461)와 마주하고 푸시 스위치 광원 전달부(2463)의 타단은 푸시 스위치 노브(2410)를 향하여 배치된다. 푸시 스위치 광원 전달부(2463)는 푸시 스위치 광원(2461)에서 출사된 빛을 푸시 스위치 노브(2410)로 전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는 스피어 롤오버 구동부(300)는 포함한다. 스피어 롤오버 구동부(300)는 유니트 하우징(100)에 배치되고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상하 반전 가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스피어 롤오버 구동부(300)는 롤오버 구동 하우징(310)과, 롤오버 구동 액츄에이터(330)와, 롤오버 구동 전달 기어부(320)를 포함한다.
롤오버 구동 하우징(310)은 유니트 하우징(100)에 위치 고정 배치된다. 롤오버 구동 하우징(310)은 롤오버 구동 하우징 바디(311)와 롤오버 구동 하우징 커버(313)를 포함하고, 롤오버 구동 하우징 바디(311)와 롤오버 구동 하우징 커버(313)는 맞물리어 다른 구성요소들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롤오버 구동 하우징 바디(311)의 일측에는 롤오버 구동 하우징 바디 관통구(3111)가 배치되고, 롤오버 구동 하우징 바디 관통구(3111)를 통하여 롤오버 구동 액츄에이터(330)에서 생성된 구동력이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 측으로 전달된다.
롤오버 구동 액츄에이터(330)는 롤오버 구동 하우징(310)의 내부에 배치된다. 롤오버 구동 액츄에이터(330)는 전기 모터로 구현되는데, 롤오버 구동 액츄에이터(330)의 단부에는 롤오버 구동 액츄에이터 샤프트(331)가 배치되고 롤오버 구동 액츄에이터 샤프트(331)는 롤오버 구동 전달 기어부(320)와 치합된다.
롤오버 구동 전달 기어부(320)의 일측은 롤오버 구동 액츄에이터(330)와 치합되고 롤오버 구동 전달 기어부(320)의 타측은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 측에 치합된다. 롤오버 구동 전달 기어부(320)는 롤오버 구동 액츄에이터(330)에서 생성된 구동력을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 측으로 전달한다.
롤오버 구동 전달 기어부(320)는 롤오버 구동 전달 제 1 기어(321)와, 롤오버 구동 전달 제 2 기어(323)와 롤오버 구동 전달 제 3 기어(325)와 롤오버 구동 전달 스피어 기어(329)를 포함한다. 롤오버 구동 전달 제 3 기어(325)에는 롤오버 구동 전달 엔드 기어(3251)이 내측 형성되는데, 이는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b) 측과 치합 연결되는데,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b)의 외주 일부에는 롤오버 구동 전달 스피어 기어(329)가 배치되고, 롤오버 구동 전달 스피어 기어(329)는 롤오버 구동 전달 엔드 기어(3251)와 맞물리어 롤오버 구동 액츄에이터(330)에서 생성된 구동력을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 측으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스피어 롤오버 구동부(300)를 통한 구동력에 의하여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가 상하 반전 회동 운동을 취하는데, 본 발명의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는 보다 정확한 회동 감지와 더불어 컴팩트한 구성을 위한 롤오버 감지부(250)를 포함한다. 롤오버 감지부(250)의 적어도 일부는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 측에 그리고 롤오버 감지부(250)의 다른 일부는 유니트 하우징(100) 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롤오버 감지부(250)의 적어도 일부는 롤오버 하우징(210)의 상하반전 회전축 상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롤오버 감지부(250)는 롤오버 감지 센서부(251)와 롤오버 감지 센서 대응부(253)를 구비한다.
롤오버 감지 센서부(251)는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되고, 롤오버 감지 센서 대응부(253)는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회전축 상으로 유니트 하우징(100) 측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된다. 즉,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상하 반전 회동 운동에 따라 롤오버 감지 센서부(251)도 함께 반전 회전 운동을 이루고, 위치 고정 배치되는 롤오버 감지 센서 대응부(253)와의 상대 회전 운동에 의한 각변화를 롤오버 감지 센서부(251)가 감지하되, 롤오버 감지 센서 대응부(253)는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회전축 상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롤오버 감지 센서 대응부(253)는 하우징 서포트 바디(123)에 위치하는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롤오버 감지 센서 대응부(253)는 사이드 서포트 힌지 익스텐션(12323)에 배치된다. 사이드 서포트 힌지 익스텐션(12323)은 사이드 서포트 힌지(12321) 상에 배치되고, 사이드 서포트 힌지(12321)는 하우징 서포트 바디(123)의 하우징 버티컬 사이드 바디(1232)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롤오버 감지 센서 대응부(253)의 축상 배치 구조를 통하여 보다 정확한 회전 운동 감지를 실행할 수 있다. 롤오버 감지 센서 대응부(253)가 사이드 서포트 힌지 익스텐션(12323)에 배치되어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 측으로 유입 배치되는 구조를 통하여 대응되는 롤오버 감지 센서부(251)의 배치 설계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21110)와,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21120a,21120b)를 포함한다.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21110)는 상하 반전 가능하고,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21120a,21120b)의 일단은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21110)의 양측에 배치되고,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21120a,21120b) 타단의 각각은 하우징 버티컬 사이드 바디(1232) 및 하우징 버티컬 서포트 바디(1231)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21120a,21120b) 중 어느 하나인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a)에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 익스텐션 수용부(21121a)가 배치된다.
사이드 서포트 힌지 익스텐션(12323)이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 익스텐션 수용부(21121a)에 수용 배치됨으로써, 롤오버 감지 센서부(251)는 롤오버 감지 센서 대응부(253)에 마주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염가의 2차원 자기 센서를 통하여도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의 상대 회전 운동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롤오버 유니트 기판(220)은 롤오버 유니트 이너 기판(2210)과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을 포함하고, 롤오버 유니트 이너 기판(2210)은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유니트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유니트 기판(400)이 배치되고,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는 롤오버 유니트 기판(220)을 포함하며, 롤오버 유니트 기판(220)은 유니트 기판(400)을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유니트 기판(400)은 경우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의 간섭 방지 내지 장착을 위한 기판 관통구(401)를 구비할 수도 있다. 유니트 기판(400)의 외부 전기 장치와의 접속은 유니트 기판(400)의 배면에 형성된 기판 커넥터(403)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롤오버 유니트 기판(220)은 롤오버 유니트 이너 기판(2210)과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을 포함한다. 롤오버 유니트 이너 기판(2210)은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된다.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의 일단은 롤오버 유니트 이너 기판(2210) 측과 연결되고,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의 타단은 유니트 기판(400)과 연결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의 단부에는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 접속부(2221)가 구비되고,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 접속부(2221)는 내부의 롤오버 유니트 이너 기판(2210)과 접속된다.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은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회전축 길이 중앙 지점에 수직한 방향으로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으로부터 인출되며, 롤오버 유니트 바디(2210)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과정에서 꺾임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은 앞서 기술로 대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는 구성 간의 간섭으로 인한 불쾌감을 유발하는 소음 내지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은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회전축 길이 중앙 지점에 수직한 방향으로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으로부터 인출되는 구조에 있어 스피어 롤오버유 니트(200)가 상하 반전 회동하는 경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의 급격한 와인딩 및 언와인딩 내지 플립 과정에서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과 다른 구성요소 간의 간섭으로 인한 접촉 소음 내지 불쾌감을 방지 내지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는 하우징 바디 플립 공간(126)을 구비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바디 플립 공간(126)은 유니트 하우징(100)의 하우징 바디(120)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하우징 바디 플립 공간(126)에서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 상하 반전 회동시 상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이 플립 반전 가능하다.
이때, 하우징 바디 플립 공간(126)은 하우징 바디(120)의 하우징 바디 콘벡스부(1261)와 하우징 바디(120)의 하우징 바디 콘케이브부(1263)에 의하여 구획된다.
여기서, 하우징 바디 콘벡스부(1261)는 하우징 바디(120)의 하우징 바디 플립 공간(126)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고, 하우징 바디 콘케이브부(1263)는 내측면이 오목한 구조를 취하여 하우징 바디(120)의 하우징 바디 플립 공간(126)를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즉, 하우징 바디 콘벡스부(1261)는 하우징 바디 플립 공간(126)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회동축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볼 때,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회동축을 중심으로부터 하우징 바디 플립 공간(126)을 형성하는 내측면까지 프로파일 반경을 측정할 수 있다. 하우징 바디 콘벡스부(1261)의 내측면을 따른 프로파일 반경(Rcvx)과 하우징 바디 콘케이브부(1263)의 내측면을 따른 프로파일 반경(Rccv)의 비교가 가능하다. 이때, 프로파일 반경의 최대값은 하우징 바디 콘케이브부(1263)의 내측면의 지점에서 프로파일 반경 (Rccv)의 최대값을 갖는다.
한편,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관심 일면이 외부로 노출 배치되고,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이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로부터 인출되는 지점이 하우징 바디 콘벡스부(1261)에 근접 배치되는 경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은 두 개의 플립 영역(Wf1,Wf2)을 구비한다.
달리 표현하면,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일면 상의 롤오버 유니트 헤미스피어(2120)가 내부를 향하여 배치되고, 롤오버 유니트 로터리 스위치부(230) 등이 외부로 노출 배치되는 경우, 도 17에서와 같이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로부터 인출되는 지점이 하우징 바디 콘케이브부(1263)보다 하우징 바디 콘벡스부(1261)에 근접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배치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이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외주를 감싸며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고,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은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로부터 인출되는 지점을 포함하여 도 17의 도면 부호 Wf1, Wf2로 지시되는 두 개의 영역에서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의 배향 방향이 반전 플립되는 구성을 취한다.
이 경우, 도 17 상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좌우 영역 분할 시,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이 유니트 기판(400)에 접속되는 지점은 하우징 바디 콘벡스부(1261)가 형성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인장되는데 요구되는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의 상당 부분은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 측을 감싸는 플립 과정에서 하우징 바디 콘벡스부(1261)의 외주면과의 접촉을 통한 안정적인 가이드 구조를 형성하여 불필요한 소음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 발생을 방지 내지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앞선 경우와 반대로,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관심 일면이 하우징 바디(120)의 내부를 향하여 배치되고,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이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로부터 인출되는 지점이 하우징 바디 콘케이브부(1263)에 근접 배치되는 경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은 한 개의 플립 영역(Wf3)을 구비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일면 상의 롤오버 유니트 헤미스피어(2120)가 외부를 향하여 배치되고, 롤오버 유니트 로터리 스위치부(230) 등이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도 19에서와 같이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로부터 인출되는 지점은 하우징 바디 콘벡스부(1261)보다 하우징 바디 콘케이브부(1263)에 근접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배치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이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외주 표면과 이격되어 소정의 인장 상태를 형성하며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고,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은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로부터 인출되는 지점을 포함하여 도 19의 도면 부호 Wf3 로 지시되는 한 개의 영역에서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의 배향 방향이 반전 플립되는 구성을 취한다.
이 경우, 도 19 상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좌우 영역 분할 시,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이 유니트 기판(400)에 접속되는 지점은 하우징 바디 콘벡스부(1261)가 형성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즉,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가 도 17의 경우로부터 상하 반전 회동하는 경우 도 18에서와 같이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의 상당 부분은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 측과 이격되어 여유있는 상태로 하우징 바디 콘케이브부(1263)의 표면을 따라 안내된다.
FPCB로 구현되는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일지라도 소정의 강성(stiffness)를 구비하는 바, 하우징 바디 콘케이브부(1263)에 의하여 형성되는 하우징 바디 플립 공간(126)의 수용 공간에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이 배치되고, 하우징 바디 콘케이브부(1263) 표면을 따라 안내된다.
그런 후,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은 소정의 텐션 배치되는 구조를 이루고 도 19의 도면 부호 Wf3 로 지시되는 한 개의 영역에서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로부터 인출되는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의 배향 방향이 반전 플립되는 구성을 취한다.
이와 같은 공간에 의한 플립 반전 공간의 제공과, 공간을 구성하는 내측면을 따른 가이드 과정을 통하여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은 안정적인 가이드 구조를 형성하고 불필요한 소음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 발생을 방지 내지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와 유니트 기판(400)의 연결 구조는 배면 연결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 4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은 유니트 기판(400)의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와 마주하는 면의 반대면에 전기적 연결되낟.
이 때, 유니트 기판(400)은 기판 관통구(401)를 구비하고, 하우징 바디(120)의 하단에는 하우징 바디 연장부(128)가 구비된다.
또한, 하우징 바디 연장부(128)에는 하우징 바디 연장 관통구(129)가 구비되는데, 하우징 바디 연장부(128)는 기판 관통구(401)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은 하우징 바디 연장 관통구(129)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이와 같은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와 유니트 기판(400)의 배면 연결 구조를 통하여,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의 벤딩 공간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상하 회전 반전시 안정적인 가동을 이루고, 불필요한 소음 발생을 방지 내지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롤오버 유니트 이너 기판(2210)은 유니트 이너 기판(2211)과 유니트 서포트 기판(2213)을 포함한다. 유니트 이너 기판(2211)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롤오버 유니트 로터리 스위치부(230) 및 롤오버 유니트 푸시 스위치부(240)의 스위칭 소자들이 배치될 수 있다. 유니트 서포트 기판(2213)은 유니트 이너 기판(2211)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유니트 서포트 기판(2213)은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a)에 형성된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 익스텐션 수용부(21121a)의 내측편에 인접 배치되고, 유니트 서포트 기판(2213)의 일면 상에 롤오버 감지 센서부(251)가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롤오버 감지 센서 대응부(253)와 롤오버 감지 센서부(251)는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의 회동축 상에서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다.
경우에 따라 롤오버 감지 센서 대응부(253)와 롤오버 감지 센서부(251)는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지 않고, 롤오버 감지 센서부(251)가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의 회동축 상에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롤오버 감지 센서부(251)는 롤오버 하우징(210)의 상하반전 회전축으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롤오버 감지 센서부(251)는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 이너 메인 기판(2211) 상에 배치되는 3차원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유니트 서포트 기판(2213)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서포트 힌지 익스텐션(12323)의 연장을 통해 롤오버 감지 센서 대응부(253)가 롤오버 감지 센서부(25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롤오버 감지 센서부(251)는 롤오버 감지 센서 대응부(253)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롤오버 감지 센서부(251)는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의 회동축 선상에 배치되나, 롤오버 감지 센서부(251)는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의 회동축으로부터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롤오버 감지 센서부(251)는 유니트 이너 기판(2211)의 일면 상에 직접 배치되어 롤오버 감지 센서 대응부(253)와의 상대 회동을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유니트 하우징(100)의 하우징 바디(120)는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한 권취 내지 풀림 가이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바디(120)의 내부에 하우징 커넥션 가이드(127)가 더 구비될 수도 있는데, 하우징 커넥션 가이드(127)는 본 실시예에서 곡면 구조를 취하나 단순 리브 내지 핀의 형태로 복수 지점에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하우징 커넥션 가이드(127)는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의 상하 반전 회동시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과 접촉 가능하고 이를 통해 불필요한 공간으로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상하 반전 회동 운동 동안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가 권취 내지 풀림 동작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권취 풀림 과정에서 불필요한 동작으로 인한 작동 오류 발생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스위칭 동작을 통하여 본 실시예의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로 구현되어 차량의 변속 레인지를 선택하는 변속 레인지 스위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의 스위칭 장치로 구현 및 적용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유니트 하우징 200...스피어 롤오버 유니트
300...스피어 롤오버 구동부 400...유니트 기판

Claims (39)

  1. 유니트 하우징(100)과,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에 상하 반전 가동 가능하게 회동축 연결되는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을 포함하고 스위칭 동작이 가능한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와,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상하 반전 가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피어 롤오버 구동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 측에 그리고 다른 일부가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 측에 배치되는 롤오버 감지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감지부(25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롤오버 하우징(210)의 상하반전 회전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롤오버 감지부(250)는:
    롤오버 감지 센서부(251)과,
    롤오버 감지 센서 대응부(253)를 구비하고,
    상기 롤오버 감지 센서 대응부(253)가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회전축 상으로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 측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하우징은: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회동을 지지하는 하우징 바디(12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바디(120)는:
    위치 고정 장착되는 하우징 바텀 바디(121)와,
    상기 하우징 바텀 바디(121)의 일면 상에 연장 형성되는 하우징 서포트 바디(123)를 포함하고,
    상기 롤오버 감지 센서 대응부(253)는 상기 하우징 서포트 바디(123)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서포트 바디(123)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 바텀 바디(121)와 연결되는 하우징 버티컬 서포트 바디(1231)와,
    일측이 상기 하우징 버티컬 서포트 바디(1231)의 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회동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하우징 버티컬 사이드 바디(1232)를 포함하고,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은:
    양측이 상기 하우징 서포트 바디(123)에 상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와,
    상기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와 상기 하우징 서포트 바디(123)의 사이에 배치되는 롤오버 유니트 베어링(2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버티컬 사이드 바디(1232)는, 적어도 어느 일측에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사이드 서포트 힌지(12321)를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서포트 힌지(12321)에는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 측을 향하여 연장 배치되는 사이드 서포트 힌지 익스텐션(12323)이 구비되고,
    상기 롤오버 감지 센서 대응부(253)는 상기 사이드 서포트 힌지 익스텐션(12323)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는:
    상하 반전 가능한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21110)와,
    일단은 상기 롤오버 유니트 메인 바디(21110)의 양측에 배치되고, 타단의 각각은 상기 하우징 버티컬 사이드 바디(1232) 및 상기 하우징 버티컬 서포트 바디(1231)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21120a,2112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21120a,21120b) 중 어느 하나에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 익스텐션 수용부(21121a)가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 서포트 힌지 익스텐션(12323)는 상기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 익스텐션 수용부(21121a)에 수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감지 센서부(251)는 상기 롤오버 감지 센서 대응부(253)에 마주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감지 센서부(251)는 상기 롤오버 하우징(210)의 상하반전 회전축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유니트 샤프트 바디(21120;21120a,21120b) 중 어느 하나에 샤프트 바디 구동 대응부(21121b)가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 바디 구동 대응부(21121b)에는 상기 스피어 롤오버 구동부(30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상기 스피어 롤오버 구동부(300)의 롤오버 구동 액츄에이터(330)에서 생성된 구동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는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축으로 로터리 동작 가능한 롤오버 유니트 로터리 스위치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유니트 로터리 스위치부(230)는: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일면 상부에 배치되는 로터리 스위치 노브(2360)와,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에 로터리 동작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로터리 스위치 노브(2360)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는,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와,
    상기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의 로터리 동작에 의해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생성하는 로터리 스위치(2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유니트 로터리 스위치부(230)는,
    상기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와 상기 로터리 스위치(2340) 사이에 배치되는 로터리 스위치 로터 전달부(2350)를 구비하고,
    상기 로터리 스위치 로터 전달부(2350)는,
    상기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의 일측에 형성되는 로터 전달 구동부(2351)와,
    상기 로터리 스위치(234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상기 로터 전달 구동부(2351)에 치합되는 로터 전달 피동부(2353)를 포함하는 것을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유니트 로터리 스위치부(230)는:
    상기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의 회동시 디텐팅 동작을 실행하는 로터리 스위치 디텐트부(233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유니트 로터리 스위치부(230)는:
    상기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를 사전 설정 위치로 복귀시키는 로터리 스위치 셀프 리턴부(232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 셀프 리턴부(2320)는:
    상기 로터리 스위치 로터(2310)의 외주에 배치되는 셀프 리턴 롤러(2321)와,
    사전 설정 프로파일을 구비하며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셀프 리턴 롤러(2321)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셀프 리턴 웨지 가이드(23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 셀프 리턴부(2320)는,
    상기 셀프 리턴 웨지 가이드(2323)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셀프 리턴 롤러(2321)의 가동을 저지하는 셀프 리턴 롤러 스톱퍼(232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는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회전축을 향한 가압 동작에 의하여 가동 가능한 푸시 스위치(2440)를 구비하는 롤오버 유니트 푸시 스위치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유니트 푸시 스위치부(240)는:
    사용자에 의하여 가압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시 스위치 노브(2410)와,
    일단이 상기 푸시 스위치 노브(2410) 측과 연결되는 푸시 스위치 샤프트(2420)와,
    일단은 상기 푸시 스위치 샤프트(2420)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푸시 스위치(2440)를 가압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시 스위치 플런저(2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스위치 샤프트(2420)는:
    일단은 외부를 향하여 그리고 타단은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회전축을 향하여 배치되는 푸시 스위치 샤프트 바디(2421)와,
    상기 푸시 스위치 샤프트 바디(2421)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푸시 스위치 플런저(2430)와 접촉하는 푸시 스위치 샤프트 베이스(24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스위치 플런저(2430)는:
    상기 푸시 스위치 샤프트 베이스(2423)와 접촉하는 플런저 바디(2431)와,
    상기 푸시 스위치(2440)) 측을 향하여 상기 플런저 바디(243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 바디(2431)의 가동 거리를 제한하는 플런저 스톱퍼(24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스위치(2440)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푸시 스위치 샤프트(2420)의 가동 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 균등 각분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는 빛을 생성하여 상기 푸시 스위치 노브(2410)를 향하여 출력하는 푸시 스위치 광원부(2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롤오버 유니트 기판(220)을 구비하고,
    상기 푸시 스위치 광원부(2460)는:
    상기 롤오버 유니트 기판(22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푸시 스위치 광원(2461)와,
    일단은 상기 푸시 스위치 광원(2461)와 마주하고 타단은 상기 푸시 스위치 노브(2410)를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푸시 스위치 광원(2461)에서 출사된 빛을 상기 푸시 스위치 노브(2410)로 전달하는 푸시 스위치 광원 전달부(24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스위치 노브(2410)는:
    상기 푸시 스위치 광원 전달부(2463)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노브 이너 바디(2411)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노브 이너 바디(2411)의 외주에 형성되어 일면이 외부로 노출 배치되는 노브 아우터 바디(24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이너 바디(2411)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 배치되고,
    상기 노브 이너 바디(2411)는 상기 푸시 스위치 광원 전달부(2463)을 통하여 전달되는 빛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아우터 바디(2413)는 상기 푸시 스위치 광원 전달부(2463)을 통하여 전달되는 빛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2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어 롤오버 구동부(300)는: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롤오버 구동 하우징(310)과,
    상기 롤오버 구동 하우징(3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롤오버 구동 액츄에이터(330)와,
    일측은 상기 롤오버 구동 액츄에이터(330)와 치합되고 타측은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 측에 치합되어 상기 상기 롤오버 구동 액츄에이터(330)에서 생성된 구동력을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 측으로 전달하는 롤오버 구동 전달 기어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2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유니트 기판(400)이 배치되고,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는 롤오버 유니트 기판(220)을 포함하고,
    상기 롤오버 유니트 기판(220)은: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롤오버 유니트 이너 기판(2210)과,
    일단은 상기 롤오버 유니트 이너 기판(2210) 측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니트 기판(400)과 연결되는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은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회전축 길이 중앙 지점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의 하우징 바디(120)는 하우징 바디 플립 공간(126)을 구비하고,
    상기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 회동시 상기 하우징 바디 플립 공간(126)에서 상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이 플립 반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 플립 공간(126)은:
    상기 하우징 바디(120)의 하우징 바디 콘벡스부(1261)와,
    상기 하우징 바디(120)의 하우징 바디 콘케이브부(1263)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하우징 바디 콘벡스부(1261)는 상기 하우징 바디 플립 공간(126)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회동축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 바디 플립 공간(126)을 형성하는 내측면까지의 프로파일 반경상 최대값 위치가 상기 하우징 바디 콘케이브부(1263)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관심 일면이 외부로 노출 배치되고, 상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이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로부터 인출되는 지점이 상기 하우징 바디 콘벡스부(1261)에 근접 배치되는 경우,
    상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은 두 개의 플립 영역(Wf1,Wf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34.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의 관심 일면이 상기 하우징 바디(120)의 내부를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이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로부터 인출되는 지점이 상기 하우징 바디 콘케이브부(1263)에 근접 배치되는 경우,
    상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은 한 개의 플립 영역(Wf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35.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은 상기 유니트 기판(400)의 상기 스피어 롤오버 유니트(200)와 마주하는 면의 반대면에 전기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기판(400)은 기판 관통구(401)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바디(120)의 하단에는 하우징 바디 연장부(128)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바디 연장부(128)에는 하우징 바디 연장 관통구(129)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바디 연장부(128)는 상기 기판 관통구(401)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은 상기 하우징 바디 연장 관통구(129)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37.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 유니트 하우징(210)의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는:
    상기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의 외측에 배치되는 롤오버 유니트 아우터 바디(21140)를 포함하고,
    상기 롤오버 유니트 아우터 바디(21140)는 상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을 인출시키는 아우터 바디 커넥션 인출구(211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바디 커넥션 인출구(21145)의 외측에는 아우터 바디 챔퍼링 커넥션 가이드부(21147)가 구비되고, 상기 아우터 바디 챔퍼링 커넥션 가이드부(21147)는 상기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의 상하 반전 회동시 상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는, 상기 롤오버 유니트 바디(2110)의 상하 반전 회동시 상기 롤오버 유니트 커넥션 기판(2220)과 접촉 가능한 하우징 커넥션 가이드(12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10).
KR1020220143144A 2022-10-31 2022-10-31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 KR202400614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144A KR20240061455A (ko) 2022-10-31 2022-10-31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
PCT/KR2023/017029 WO2024096488A1 (ko) 2022-10-31 2023-10-30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144A KR20240061455A (ko) 2022-10-31 2022-10-31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1455A true KR20240061455A (ko) 2024-05-08

Family

ID=90930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144A KR20240061455A (ko) 2022-10-31 2022-10-31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61455A (ko)
WO (1) WO202409648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8737A (ja) * 1996-12-20 1998-07-21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自動車用スイッチ
US7578135B2 (en) * 2004-11-23 2009-08-25 Mattheis Steven G Recessed climate controller
KR101043499B1 (ko) * 2009-07-09 2011-06-2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로터리 스위치 유니트
CN109786164A (zh) * 2017-11-15 2019-05-21 大明电子有限公司 一种汽车方向盘的滚轮开关
JP2020009648A (ja) * 2018-07-10 2020-01-16 矢崎総業株式会社 ダイヤルスイッチ及び車載機器操作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6488A1 (ko) 202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3759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102165848B1 (ko) 리모트 쉬프트 레버 스위칭 유니트
JP2007506233A (ja) ロータリースイッチ
JP6674540B2 (ja) 車両用マルチオペレーティングスイッチユニット
JPH11506992A (ja) 方向指示キャンセル機構
CN102770932B (zh) 电气开关
CN101452790B (zh) 操纵杆开关
KR20240061455A (ko) 스피어 롤오버 스위치 유니트
JP4692724B2 (ja) 車輌空調用コントロ−ル操作装置
KR20120071027A (ko) 스티어링 휠 햅틱 스위치 장치
KR102571093B1 (ko) 차량용 파워시트 스위치 유닛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파워시트 스위치 모듈
KR100835142B1 (ko) 스크롤 푸싱 스위치 모듈
US7482545B2 (en) In-vehicle knob switch
KR20180042517A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20210111402A (ko) 리모트 쉬프트 레버 스위칭 유니트
KR101542257B1 (ko) 차량용 레버 스위치
KR20210151586A (ko) 턴오버 스위치 유니트 및 차량용 변속 레인지 턴오버 유니트
CN101599385A (zh) 杠杆开关装置
KR101188955B1 (ko) 로터리 스위치 유니트
KR100862001B1 (ko) 와이퍼 스위치
KR20200134852A (ko) 스위칭 유니트
KR101414293B1 (ko)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KR20210016229A (ko) 미러 스위치 유니트
KR20200132378A (ko) 스위칭 유니트
KR20100110486A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