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0495A -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 - Google Patents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0495A
KR20240060495A KR1020230145742A KR20230145742A KR20240060495A KR 20240060495 A KR20240060495 A KR 20240060495A KR 1020230145742 A KR1020230145742 A KR 1020230145742A KR 20230145742 A KR20230145742 A KR 20230145742A KR 20240060495 A KR20240060495 A KR 20240060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device
emergency
housing
unit
interior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5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병훈
이기봉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60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049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9Lighting devices mounted in the vehicle interior and adapted for por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00Hand hammers; Hammer heads of special shape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271Tools for breaking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6/00In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너 하우징 바디(110)와, 상기 이너 하우징 바디(110)에 배치되는 이너 하우징 터미널(130)과, 상기 이너 하우징 터미널(130)의 외주에 이격 배치되는 이너 하우징 쉴드부(120)를 구비하는 이너 하우징(100)을 구비하고, 상기 이너 하우징 쉴드부(120)는 상기 이너 하우징 바디(110)에 인서트 몰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10)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EMERGENCY DEVICE INTERIOR LIGHTING CONSOLE UNIT}
본 발명은 차량 등 모빌리티의 인테리어 램프에 관한 것으로, 비상 상황에 대처 가능한 안전 기구를 탑재할 수 있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의 모빌리티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현재 자동차 산업은 전동화 자동차의 증대와 자동차의 전자기기화가 진행 되면서, 기존의 내연기관 자동차와 다르게 전자부품의 비중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산업 동향속에서 전세계적으로 이상 기후 현상이 늘어나면서, 고온, 폭우 등의 자연재해가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운전자가 자연재해, 특히 폭우로 인한 차량 침수 상황 내지 발화로 인한 차량 화재 상황에 노출되는 경우, 탈출을 시도하게 된다. 하지만, 차량 시스템은 차량 배터리의 전원이 차단되면, 차량의 도어, 창문이 동작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탑승자는 위험상황으로부터 탈출하기 위해서는 창문 혹은 윈드쉴드를 파괴하여 탈출하여야만 한다.
차량 운행 中 침수 및 화재 등으로 인한 자동차 도어 잠김 등의 비상상황 발생 시, 탈출 장비의 부재로 인해 차량내 별도 주변 물건의 활용 또는 운전자 본인의 힘을 통한 차량 탈출을 시도하게 되며, 대체 수단이 존재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위험 상황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크리티컬한 이벤트에 노출될 위험성이 증대되고 있다. 즉, 종래에 침수 및 화재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자동차 전원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전자부품들의 동작이 멈추게 되어 자동차 도어가 열리지 않게 되고, 창문에 외력을 가할 물건이 없거나 힘이 약한 노약자 및 여성운전자의 경우 창문을 깰 수 있는 충분한 조건이 만족되지 않아 위급한 상황에서의 생존율이 극단적으로 낮아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등 모빌리티의 탑승자의 위험 상황 발생시 탈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단을 탑재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차량 실내에 배치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되는 콘솔 라이트부(200)와, 상기 하우징(100)에 탑재 수용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 분리 가능하고 비상탈출시 사용 가능한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10)을 제공한다.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에 있어서,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는: 상기 하우징(100)에 탑재 배치 가능한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과,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에 위치하고 비상탈출시 사용 가능하고 사전 설정 강성을 구비하는 이머젼시 툴(520)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에 있어서, 상기 이머젼시 툴(520)은, 압력을 집중시킬 수 있는 툴 포인트(5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에 있어서,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는: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에 배치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라이트(560)와,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라이트(560)에 전원을 공급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에 있어서, 상기 콘솔 라이트부(2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600)가 구비되고,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가 상기 하우징(100)에 탑재되는 경우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는 상기 전원부(600)에 전기적 연결 상태 형성 가능할 수도 있다.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접속부(570)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110) 측에 배치되어 일단은 상기 전원부(600)에 접속되는 디바이스 베이스 접속부(571)와,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에 위치하고, 일단은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 측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디바이스 베이스 접속부(571)와 상호 접속되는 디바이스 바디 접속부(573)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에 있어서,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는, 상기 전원부(600)와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제어부(54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디케이터부(53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에 있어서,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디케이터부(530)는: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와 전기적 연결 가능한 인디케이터 라이트(531)와, 상기 하우징(100)에 배치되고 상기 인디케이터 라이트(531)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인디케이터 윈도우(53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에 있어서,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제어부(540)는 상기 전원부(600)와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와 상기 인디케이터 라이트(531)를 전기적 연결시킬 수도 있다.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에 있어서,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는,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이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디바이스 인출 감지부(590)을 더 구비하고, 상기 디바이스 인출 감지부(590)가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의 인출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제어부(540)가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와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라이트(56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에 있어서,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는: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을 상기 하우징(100) 내에 홀딩하기 위한 디바이스 홀딩부(580,580a)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홀딩부(580,580a)는: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에 배치되는 디바이스 제 1홀딩부(581,581a)와, 상기 하우징(100)에 배치되고 상기 디바이스 제 1 홀딩부(581)에 대응하여 맞물림 가능한 디바이스 제2홀딩부(583,583a)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제 1홀딩부(581,581a) 및 상기 디바이스 제2홀딩부(583,583a) 중의 적어도 하나는 자성체일 수도 있다.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를 수용하는 디바이스 수용부(111)를 구비하는 하우징 베이스(110)와, 상기 디바이스 수용부(111)를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베이스(110)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하우징 커버(12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베이스(110)와 상기 하우징 커버(120) 사이에 상대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하우징 연결부(13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연결부(130)는 상기 하우징 커버(120)와 상기 하우징 베이스(110) 간의 가동 속도를 감쇠시키는 연결 댐퍼부(133)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수반한다.
첫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은, 비상상황에서 비상 탈출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차량 실내, 특히 차량 천정부에 위치하는 오버 헤드콘솔(OHCL) 또는 인테리어램프(Interior Lamp)로 구현되며 탈출용 장비로서 이머젼시 디바이스를 내장하여 탑승객이 위험 상황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은, 비정상 전원 공급 상황에서, 내장된 충전식 배터리를 전력원으로 표시 인디케이터가 지속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인디케이터부를 통하여, 탑승자에게 장비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은, 전원부와의 전원 신호 차단시 디바이스 인디케이터부로의 신호 절환 및 이머젼시 디바이스 라이트의 가동을 허용하는 구성을 통하여 비상 상황에서 용이한 사용 및 대처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의 하우징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의 이머젼시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의 개방 및 이머젼시 디바이스의 인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의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디케이터부 작동 전후 상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의 디바이스 접속부의 구성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의 전원부로부터의 전원 신호의 인가 여부 상태에 대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의 이머젼시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의 디바이스 홀딩부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의 이머젼시 디바이스 라이트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의 디바이스 인출 감지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10)은 하우징(100)과, 콘솔 라이트부(200)와,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차량 실내에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의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10)은 오버헤드 콘솔로 구현된다.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10)이 오버헤드 콘솔 타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차량 천장에 배치되는 오버헤드 콘솔 타입의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우징(100)은 차량 등 모빌리티의 천장에 배치된다. 하우징(100)은 하우징 베이스(110)를 포함하는데, 하우징 베이스(110)는 일면이 차량의 실내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오버헤드 콘솔 타입의 경우 하우징 베이스(110)의 타면은 차량 천장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오버헤드 콘솔 타입의 하우징 베이스(110)에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배치된다. 콘솔 라이트부(200)는 하우징(100)에 구비되는데, 콘솔 라이트부(200)는 콘솔 라이트 버튼(220)와 콘솔 라이트(210)를 포함한다. 콘솔 라이트 버튼(220)의 조작에 의하여 콘솔 라이트(210)의 온/오프 내지 다양한 작동 모드에 다른 광출력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콘솔 라이트 버튼(220)은 물리적 버튼 스위치일 수도 있고, 정전용량 스위치와 같은 전기적 버튼 스위치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 베이스(110)에는 다양한 스위치 기능 선택이 가능한 콘솔 스위치부(300)가 배치될 수도 있다. 콘솔 스위치부(300)는 이머젼시 스위치(310)와 셀렉션 스위치(320)를 포함한다. 이머젼시 스위치(310)는 비상시 고객센터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비상 접속 연락 가능한 운용센터(미도시)와의 통신을 위한 스위치 버튼이고, 셀렉션 스위치(320)는 차량의 옵션 내지 사양에 따라 다양한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이 설정되도록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로 경우에 따라 패신저 시트에 대한 에어백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 베이스(110)에는 썬루프 내지 글라스루프의 가동을 선택하는 루프 스위치(330)이 배치되는데, 루프 스위치(330)는 프론트 루프 스위치(331)와 리어 루프 스위치(333)를 포함한다. 프론트 루프 스위치(331)와 리어 루프 스위치(333)의 작동 신호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작동부, 즉 썬루프 내지 글라스루프 측에 전달되어 소정의 개폐 작동을 실행한다.
하우징(100)은 하우징 커버(120)를 구비한다. 하우징 베이스(110)에는 후술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를 수용하는 디바이스 수용부(111)가 구비된다. 하우징 커버(120)는 하우징 베이스(110)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하우징 커버(120)는 가동 동작을 통하여 하우징 베이스(110)의 디바이스 수용부(111)를 개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 커버(120)는 하우징 베이스(110)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는 구조로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커버(120)는 하우징 베이스(110)에 힌지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하우징 베이스(110)와 하우징 커버(120) 사이에는 하우징 연결부(130)가 배치된다. 하우징 커버(120)와 하우징 베이스(110) 간의 상대 가동은 하우징 연결부(130)를 통하여 형성된다. 하우징 커버(120)와 하우징 베이스(110)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연결부(130)는 양자 간의 힌지 회동 구조를 형성한다.
하우징 연결부(130)는 연결 힌지부(131)와 연결 댐퍼부(133)를 포함한다. 연결 힌지부(131)는 커버 힌지(1311)와 하우징 힌지(1313)을 포함한다. 커버 힌지(1311)는 하우징 커버(120)의 측부에 배치되고, 하우징 힌지(1313)는 하우징 베이스(110)의 디바이스 수용부(111) 내측에 배치된다.
하우징 힌지(1313)과 커버 힌지(1311)의 사이에는 연결 탄성부(135)가 구비되어, 하우징 커버(120)가 디바이스 수용부(111)를 폐쇄시키는 경우 압축되어 탄성 복원력이 저장된다. 이때, 하우징 커버(120)와 하우징 베이스(110) 사이에는 연결 래칫(137)이 배치되는데, 연결 래칫(137)은 하우징 커버(120)까 디바이스 수용부(111)를 완전하게 폐쇄시켜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닫힘 상태 유지 수단으로 작동한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통하여, 사용자가 하우징 커버(120)를 가압하여 하우징 커버(120)와 하우징 베이스(110)를 맞물림시키는 래칫 유지 상태를 해제시키는 경우, 연결 탄성부(135)에 저장된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하우징 커버(120)는 하우징 베이스(110)로부터 완전하게 벌어지는 힌지 동작을 실행하고, 이에 의해 디바이스 수용부(111)는 완전하게 개방 상태를 형성한다.
또한, 이러한 개방 상태를 이루는 경우 하우징 커버(120)의 커버 힌지(1311)의 어느 일측으로 하우징 베이스(110)와 하우징 커버(120) 사이에 연결 댐퍼부(133)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 댐퍼부(133)는 하우징 커버(120)와 하우징 베이스(110) 간의 가동 속도를 감쇠시킨다. 연결 댐퍼부(133)를 통하여 하우징 커버(120)를 하우징 베이스(110)로부터 개방시킬 때 개폐 속도를 감쇠시킴으로써 이머젼시 디바이스(500)가 디바이스 수용부(111)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원치 않게 디바이스 수용부(111)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과, 이머젼시 툴(520)을 구비한다.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은 하우징(100)의 디바이스 수용부(111)에 탑재 배치 가능하고, 내부 공간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수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은 'ㄱ'자 형상을 구비하는데,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의 일단에는 이머젼시 툴(520)이 구비된다.
이머젼시 툴(520)은 비상탈출시 사용 가능한데, 사전 설정 강성을 구비하여 이를 통해 윈도우 글라스 등을 타격시 적절한 타격력을 제공하여 탈출 경로 확보를 가능하게 한다. 경우에 따라, 이머젼시 툴(520)에는 툴 포인트(521)가 구비되고, 이를 통한 압력 가중에 의하여 보다 용이하게 윈도우 글라스 파쇄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는 비상탈출시 주변의 탈출 경로 확보에 유용한 가용 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라이트(560)와,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을 구비한다. 이머젼시 디바이스 라이트(560)는 LED 등의 광원 부재로 형성되며,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에 장착 배치된다.
이머젼시 디바이스 라이트(560)는 본 실시예에서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의 단부에 배치되는데, 앞서 기술된 이머젼시 툴(520)이 구비되는 단부와 다른 단부에 배치된다.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머젼시 디바이스 라이트(560)는 라이트 광원(561)과 라이트 광원 전달부(563)를 포함한다. 라이트 광원(561)은 라이트 광원 기판(565)상에 배치되는 LED로 구현되고 입력되는 전원 신호에 따라 빛을 생성 출사한다. 라이트 광원 전달부(563)는 라이트 광원(561)에서 출사되는 빛의 적절한 배광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주변 환경에 대처 가능하게 한다.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는 비상 상황에서의 사용시 이머젼시 디바이스 라이트(5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머젼시 디바이스 라이트(560)의 가동을 이루는 전원을 공급한다. 도면에서 이머젼시 디바이스 라이트(560)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와 연결되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소정의 회로 기판 상의 회로부를 통하여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로부터 이머젼시 디바이스 라이트(560)로의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는 배터리로 구현되며, 입력되는 충전 전원 신호에 따라 가동되어 외부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내장되는 배터리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를 통하여 소정의 광출력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의 충전은 전원부(600)를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10)은 전원부(600)를 구비하고, 전원부(600)는 콘솔 라이트부(200)에 전원을 인가한다(도 11 참조). 이때 이머젼시 디바이스 제어부(540)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디케이터부(53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을 오프 상태로 절환시킨다.
전원부(600)는 모빌리티의 자체 동력원으로부터 생성되는 전력일 수도 있고,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전원부(600)는 콘솔 라이트부(200)의 콘솔 라이트(210)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상태를 형성한다.
즉, 콘솔 라이트 버튼(220)의 온/오프 동작을 통하여 작동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전원부(600)와 콘솔 라이트부(200)의 콘솔 라이트(210)에 콘솔 라이트 전원 신호가 인가되고, 인가된 전원 신호에 따라 콘솔 라이트(210)는 빛을 출사시킴으로써, 모빌리티 실내의 조명 상태를 변화시킨다.
여기서, 전원부(600)는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 측과의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다.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가 하우징(100)에 탑재되는 경우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는 전원부(600)에 전기적 연결 상태 형성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는 디바이스 접속부(570)를 포함하고, 디바이스 접속부(570)는 디바이스 바디 접속부(573)와 디바이스 베이스 접속부(571)을 포함한다.
디바이스 베이스 접속부(571)는 하우징 베이스(110) 측에 배치된다. 하우징 베이스(110)의 디바이스 수용부(111)를 구획하는 내측 저면(112)에 위치한다. 디바이스 바디 접속부(573)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에 위치한다.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가 디바이스 수용부(111)에 안착 수용되는 경우 디바이스 바디 접속부(573)와 디바이스 베이스 접속부(571)는 대응 위치를 점하며 상호 접속된다. 경우에 따라 디바이스 바디 접속부(573) 내지 디바이스 베이스 접속부(571)에는 마그네트가 배치되어 접속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제어부(540)를 더 구비한다. 이머젼시 디바이스 제어부(540)는 전원부(600)와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한다. 도 12에 도시되는바와 같이, 이머젼시 디바이스 제어부(540)는 전원부(600)에서 입력되는 전원 신호가 오프 상태로 절환되는 경우, 이머젼시 디바이스 제어부(540)는 전원부(600)와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시키고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와 이머젼시 디바이스 라이트(560)를 온 상태로 절환시킨다.
물론 경우에 따라 이머젼시 디바이스(500)는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하고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와 이머젼시 디바이스 라이트(560)간의 수동에 의한 절환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디케이터부(530)를 더 구비한다.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디케이터부(530)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의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비상시 사용자가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디케이터부(530)는 인디케이터 라이트(531)와, 인디케이터 윈도우(533)를 포함한다.
인디케이터 라이트(531)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와의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다. 인디케이터 라이트(531)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에 배치되는데,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의 일면 상에 위치한다. 인디케이터 라이트(531)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와 연결되는데, 이들은 직결되는 구조를 취하여 상시 점등 상태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제어부(540)가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와 인디케이터 라이트(531) 사이에 개재된다. 즉, 전원부(600)로부터의 전원 신호가 도 11의 온 상태로부터 도 12의 오프 상태로 절환되는 경우, 이머젼시 디바이스 제어부(540)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와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디케이터부(530) 간의 연결 상태를 절환시켜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디케이터부(530)의 인디케이터 라이트(531)에 전원 인가를 허용함으로써, 소정의 비상 상황에서 빛의 출사를 가능하게 한다. 인디케이터 윈도우(533)는, 이머젼시 디바이스(500)가 디바이스 수용부(111)에 탑재되는 경우 인디케이터 라이트(531)의 대응되도록 하는 하우징 커버(120)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이머젼시 디바이스 제어부(540)는 전원부(600)와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와 상기 인디케이터 라이트(531)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도 12의 오프 상태로부터 디바이스 수용부(111)로부터 인출되어 독립 사용되는 경우, 이머젼시 디바이스(500)에 내장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가 작동하여 비상 상황시 소정의 라이트를 가동시킬 수도 있다(도 13 참조).
도 13에는 디바이스 수용부(111)에서 인출되어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한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의 구성이 도시된다.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를 디바이스 수용부(111)에서 인출하여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디바이스 인디케이터부(530)는 오프 절환되어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도 13에 이머젼시 디바이스 제어부(540)와 디바이스 인디케이터부(530) 간에 신호선이 점선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이머젼시 디바이스 라이트(560)와 인디케이터 라이트(531)가 동시 작동할 수도 있고 택일적으로 작동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동작이 가능하다.
인디케이터 라이트(531)에서 출사되는 빛은 인디케이터 윈도우(533)을 통하여 외부로 출사되어 사용자의 시각적 인지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상 상황에서 이머젼시 디바이스(500)의 위치 파악을 용이하게 하여 이머젼시 디바이스(500)의 보다 신속한 조작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는 인출 상황 감지를 통한 신속한 동작 구현을 이루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즉,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는 디바이스 인출 감지부(590)을 더 구비하고, 디바이스 인출 감지부(590)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이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 인출 감지부(590)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과 하우징 베이스(110) 측에 배치된다. 즉, 디바이스 인출 감지부(590)는 디바이스 인출 감지 센서(591)와 디바이스 인출 감지 마그네트(593a)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인출 감지 센서(591)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에 배치되어 이머젼시 디바이스 제어부(540)와 연결되고, 디바이스 인출 감지 마그네트(593a)는 하우징 베이스(110)의 디바이스 수용부(111) 내측에 배치된다.
이머젼시 디바이스(500)가 디바이스 수용부(111)에서 인출되는 경우, 디바이스 인출 감지 마그네트(593a)와 디바이스 인출 감지 센서(591) 간의 근접 상태가 변화되고, 디바이스 인출 감지 센서(591)이 자기력을 감지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비감지 신호가 이머젼시 디바이스 제어부(540)로 전달되고, 이머젼시 디바이스 제어부(540)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와 이머젼시 디바이스 라이트(560) 간의 전기적 연결을 통하여 별도의 스위치 조작없이 신속하게 온 상태로 절환되도록 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또 한편,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는 하우징 베이스(110)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원치 않게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한 위치 유지를 통한 진동에 의한 불필요한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는 디바이스 홀딩부(580,580a)을 더 구비한다. 디바이스 홀딩부(580,580a)는 이머젼시 디바이스(500)의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을 하우징(100)의 하우징 베이스(110)에 형성된 디바이스 수용부(111) 내에서 홀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 홀딩부(580,580a)는 디바이스 제 1홀딩부(581,581a)와, 디바이스 제2홀딩부(583,583a)를 포함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 제 1홀딩부(581,581a)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에 배치되고, 디바이스 제2홀딩부(583,583a)는 하우징(100)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 제2홀딩부(583,583a)는 하우징 베이스(110)의 디바이스 수용부(111)를 구획하는 내측 저면(112)에 노출되거나 또는 내측 저면(112)의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2홀딩부(583,583a)는 디바이스 제 1 홀딩부(581,581a)에 대응한다. 이때, 디바이스 제2홀딩부(583,583a)는 디바이스 제 1 홀딩부(581,581a)에 대응하여 상호 간에 맞물림 가능하다.
이때, 디바이스 제 1홀딩부(581,581a) 및 디바이스 제2홀딩부(583,583a) 중의 적어도 하나는 자성체일 수 있다. 즉, 도 14에서 디바이스 제 1홀딩부(581)는 자성체로 형성되고 디바이스 제2홀딩부(583)는 강자성체로 형성되어 상호 자기력에 의한 위치를 유지시킬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디바이스 제 1홀딩부 및 디바이스 제2홀딩부 간의 결속력을 강화시키도록 도 15에서처럼 디바이스 제 1홀딩부(581a)및 디바이스 제2홀딩부(583a)가 모두 자성체로 형성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
100...하우징 200...콘솔 라이트부
500...이머젼시 디바이스부

Claims (17)

  1. 차량 실내에 배치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되는 콘솔 라이트부(200)와,
    상기 하우징(100)에 탑재 수용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 분리 가능한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1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는:
    상기 하우징(100)에 탑재 배치 가능한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과,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에 위치하고 비상탈출시 사용 가능하도록 사전 설정 강성을 구비하는 이머젼시 툴(5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10).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머젼시 툴(520)은, 압력을 집중시킬 수 있는 툴 포인트(5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10).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는: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에 배치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라이트(560)와,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라이트(560)에 전원을 공급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10).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 라이트부(2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600)가 구비되고,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가 상기 하우징(100)에 탑재되는 경우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는 상기 전원부(600)에 전기적 연결 상태 형성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10).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는 디바이스 접속부(570)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 접속부(570)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110) 측에 배치되어 일단은 상기 전원부(600)에 접속되는 디바이스 베이스 접속부(571)와,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에 위치하고, 일단은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 측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디바이스 베이스 접속부(571)와 상호 접속되는 디바이스 바디 접속부(57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10).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는, 상기 전원부(600)와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제어부(5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10).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는,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디케이터부(5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10).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디케이터부(530)는: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와 전기적 연결 가능한 인디케이터 라이트(531)와,
    상기 하우징(100)에 배치되고 상기 인디케이터 라이트(531)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인디케이터 윈도우(5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10).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제어부(540)는 상기 전원부(600)와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와 상기 인디케이터 라이트(531)를 전기적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10).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는,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이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디바이스 인출 감지부(590)을 더 구비하고,
    상기 디바이스 인출 감지부(590)가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의 인출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제어부(540)가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전원부(550)와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라이트(56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10).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는: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을 상기 하우징(100) 내에 홀딩하기 위한 디바이스 홀딩부(580,580a)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10).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홀딩부(580,580a)는: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 하우징(510)에 배치되는 디바이스 제 1홀딩부(581,581a)와,
    상기 하우징(100)에 배치되고 상기 디바이스 제 1 홀딩부(581)에 대응하여 맞물림 가능한 디바이스 제2홀딩부(583,583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10).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제 1홀딩부(581,581a) 및 상기 디바이스 제2홀딩부(583,583a) 중의 적어도 하나는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10).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이머젼시 디바이스부(500)를 수용하는 디바이스 수용부(111)를 구비하는 하우징 베이스(110)와,
    상기 디바이스 수용부(111)를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베이스(110)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하우징 커버(1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10).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베이스(110)와 상기 하우징 커버(120) 사이에 상대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하우징 연결부(1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10).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연결부(130)는 상기 하우징 커버(120)와 상기 하우징 베이스(110) 간의 가동 속도를 감쇠시키는 연결 댐퍼부(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10).
KR1020230145742A 2022-10-27 2023-10-27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 KR202400604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324 2022-10-27
KR20220140324 2022-10-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0495A true KR20240060495A (ko) 2024-05-08

Family

ID=91074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5742A KR20240060495A (ko) 2022-10-27 2023-10-27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04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7643A (en) Combination courtesy light and detachable flashlight assembly
CA2695245A1 (en) Lighting system
US20130041555A1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for electric actuators for door-related accessories in vehicle
GB2396592A (en) Overhead storage system for a motor vehicle
GB2475559A (en) A storage compartment and movable control panel cover
WO2006067460A1 (en) Removable lighting system for a vehicle luggage compartment
US4819134A (en) Interior automobile light
US20020132556A1 (en) Toy vehicle remote controller
KR20240060495A (ko) 이머젼시 디바이스 인테리어 라이팅 콘솔
TR201612302A2 (tr) Aci̇l durumlarda kullanilacak entegre çikarilabi̇li̇r lamba üni̇tesi̇ne sahi̇p tavan lambasi terti̇bati
KR102431628B1 (ko) 암레스트의 안전삼각대 및 리플렉터 조립체
JP2018057134A (ja) 給電装置
KR101923779B1 (ko) 비상탈출용 망치 보관함
CN101316735A (zh) 带有内装后视镜功能的车门安装板
JP4543892B2 (ja) 車両用コントロールスイッチユニット
CN105762882B (zh) 一种车载便携终端充电装置及车辆中控台
JP5337465B2 (ja) オーバーヘッドモジュール
KR0151647B1 (ko) 자동차용 비상조명장치
KR940006740Y1 (ko) 승용차 뒷좌석 아암레스트 내부공간을 이용한 리모트콘트롤 안착장치
CN104113094A (zh) 一种车载便携终端充电装置及车辆中控台
KR200265577Y1 (ko)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
KR200143566Y1 (ko) 자동차용 트렁크등 및 글로브박스등 제어장치
JP3837349B2 (ja) 車両用収納装置
KR19980042870U (ko) 착탈식 승용차용 도어 열림 경고등
KR0135953Y1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도어핸들의 표시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