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9342A - 마이크로 led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led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9342A
KR20240059342A KR1020220140495A KR20220140495A KR20240059342A KR 20240059342 A KR20240059342 A KR 20240059342A KR 1020220140495 A KR1020220140495 A KR 1020220140495A KR 20220140495 A KR20220140495 A KR 20220140495A KR 20240059342 A KR20240059342 A KR 20240059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 led
unit
display device
optical material
polyme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0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종
최정식
이지훈
차승환
최광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0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9342A/ko
Priority to PCT/KR2023/014112 priority patent/WO2024090791A1/ko
Publication of KR20240059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93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단위 기판; 상기 단위 기판의 상면에 실장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 상기 단위 기판의 상면과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을 덮는 보호 필름; 상기 보호 필름의 상면에 구비되는 블랙 필름; 및 상기 블랙 필름의 상면에 구비되는 광학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물질은, 투명 소재의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LED 모듈은, 블랙 필름의 상면에 투명 소재의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광학 물질을 구비하고, 상기의 고분자 물질이 고 굴절률을 갖거나 소정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마이크로 LED 모듈 간 경계 부분에서 갭이 발생하더라도 휘선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 LED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MICRO LED MODUL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모듈 간 경계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갭을 통해 LED 빛이 새어나가 마이크로 LED 모듈 간 경계 부분만 밝게 보이는 휘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마이크로 LED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의 표시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등을 포함한다.
현재 상용화된 주요 표시 장치는 LCD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 대표되고 있으나, LCD의 경우에는 스스로 광을 발광하지 못하므로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이 요구되어 플렉서블(flexible)의 구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고, OLED는 자발광이 가능하나 수명이 짧고, 양산 수율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하나의 픽셀을 구성하는 칩들의 크기가 100 마이크로미터 이하인 마이크로 LED로 구성된 표시 장치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 지고 있다. 마이크로 LED는 자발광 디스플레이기 때문에 별도의 백라이트나 컬러 필터가 필요 없으며, 다양한 종류의 소재를 기판으로 사용할 수 있어 플렉서블에 유리하다. 또한 얇은 구조로 같은 양의 빛을 적은 소비전력으로 통과시킬 수 있어 구조적 이점으로 인하여 LCD와 OLED 대비 소비전력의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마이크로 LED의 경우에는 기업들의 마케팅, 광고를 위한 전시장이나 행사장과 같은 넓은 장소에서 대형 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복수의 마이크로 LED 모듈을 배열하여 대형 화면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복수의 마이크로 LED 모듈을 배열하여 대형 화면을 구현하기 때문에 모듈 간 경계 부분에 갭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갭을 통해 LED 빛이 새어나가 모듈 간 경계 부분만 밝게 보이는 현상이 발생하고, 전체 화면이 고르게 보이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휘선이라고 하는데, 더구나 대형 화면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수개에서 수백개의 마이크로 LED 모듈들을 배열하게 되므로 이러한 문제는 더욱 커지게 되어 휘선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 LED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블랙 필름의 상면에 투명 소재의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광학 물질을 구비하고, 상기의 고분자 물질이 고 굴절률을 갖거나 소정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마이크로 LED 모듈 간 경계 부분에서 갭이 발생하더라도 휘선을 개선할 수 있는 마이크로 LED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블랙 필름의 상면에 구비되는 광학 물질을 통해 블랙 필름이 벗겨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면상에 휘도의 차이가 발생하여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이크로 LED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단위 기판; 상기 단위 기판의 상면에 실장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 상기 단위 기판의 상면과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을 덮는 보호 필름; 상기 보호 필름의 상면에 구비되는 블랙 필름; 및 상기 블랙 필름의 상면에 구비되는 광학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물질은, 투명 소재의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LED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고분자 물질은, 적어도 1.3 이상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물질은, 적어도 5 마이크로미터(μm) 이상의 두께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물질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이미드(PI), 에폭시(epoxy), 아크릴(acrylic) 및 실리콘(silic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 브라켓; 및 상기 설치 브라켓에 격자로 타일링(tiling)된 복수의 마이크로 LED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LED 모듈은, 단위 기판; 상기 단위 기판의 상면에 실장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 상기 단위 기판의 상면과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을 덮는 보호 필름; 상기 보호 필름의 상면에 구비되는 블랙 필름; 및 상기 블랙 필름의 상면에 구비되는 광학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물질은, 투명 소재의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고분자 물질은, 적어도 1.3 이상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물질은, 적어도 5 마이크로미터(μm) 이상의 두께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물질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이미드(PI), 에폭시(epoxy), 아크릴(acrylic) 및 실리콘(silic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LED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는, 블랙 필름의 상면에 투명 소재의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광학 물질을 구비하고, 상기의 고분자 물질이 고 굴절률을 갖거나 소정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마이크로 LED 모듈 간 경계 부분에서 갭이 발생하더라도 휘선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블랙 필름의 상면에 구비되는 광학 물질을 통해 블랙 필름이 벗겨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면상에 휘도의 차이가 발생하여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표시 장치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LED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LED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2의 A-A`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LED 모듈을 통해 휘선을 개선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표시 장치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표시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표시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1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 입력부(130), 제어부(180), 디스플레이 모듈(150), 오디오 출력부(160) 및/또는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10)는 튜너부(111) 및 복조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100)는 도면과 달리, 방송 수신부(11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 중,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표시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1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너부(111)는 안테나(미도시) 또는 케이블(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튜너부(111)는 선택된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튜너부(111)는 선택된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튜너부(111)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8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1)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1)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12)는 튜너부(11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12)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1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8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통해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60)를 통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표시 장치(100) 내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외부의 변화를 감지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여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음성센서(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습도계, 온도계 등),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센싱부(120)에서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표시 장치(100)의 상태를 점검하고 문제가 발생시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자체적으로 조정하여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제공되는 영상의 컨텐츠, 화질, 사이즈 등을 센싱부(120)에서 감지한 시청자나, 주변의 조도 등에 따라 다르게 제어하여 최적의 시청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TV가 진보해감에 따라 표시 장치(100)에 탑재된 기능이 많아지고 센싱부(120) 또한 그와 함께 증가하고 있다.
입력부(130)는 표시 장치(100)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30)는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표시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최근에는 표시 장치(100)의 베젤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자체에 외부로 노출된 물리적 형태의 버튼 형태의 입력부(130)는 최소화한 형태의 표시 장치(100)가 많아지고 있다. 대신에 배면이나 측면에 최소의 물리적 버튼이 위치하고 터치패드나 후술할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을 통해 원격 제어장치(20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8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40)는 제어부(18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18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등은,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80) 내에 저장부(14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SDRAM 등)나,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인터페이스부(171)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LED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3차원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무안경 방식과 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는 전면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0)과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배면 측면 등을 커버하며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패키지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에 주로 이용되던 LCD는 LCD가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어려워 백라이트 유닛을 통해 빛을 공급받았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과 광원에서 공급된 빛을 균일하게 전면에 위치하는 액정에 공급해주는 장치이다. 백라이트 유닛이 점점 얇아지면서 박형의 LCD를 구현할 수 있었으나, 백라이트 유닛을 휘어지는 소재로 구현이 어렵고 백라이트 유닛이 휘어지는 경우 액정에 균일한 빛의 공급이 어려워져 화면의 밝기가 변화하는 문제가 있다.
반면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의 경우 픽셀을 이루는 소자가 각각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하지 않아 휘어지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각 소자가 자체발광 하므로 이웃하는 소자와의 위치관계가 달라지더라도 자체 밝기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구현할 수 있다.
LED 패널은 LED소자 하나를 하나의 픽셀로 이용하는 기술로서, 종래에 비해 LED소자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마이크로 LED의 경우 하나의 픽셀을 구성하는 칩들의 크기가 100 마이크로미터(μm)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결합마그넷, 제1 전원 공급부 및 제1 신호모듈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60)는 제어부(18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표시 장치(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는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선방식뿐만 아니라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방식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방식의 일 예로 전술한 방송수신부(110)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방송신호뿐만 아니라 이동통신신호 근거리 통신신호, 무선인터넷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다양한 원격제어장치(200)와 통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표시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표시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표시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유/무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전력(Bluetooth Low Energy; BLE), 직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와 같은 셀룰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표시 장치(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과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는 ASIC과 같은 전용 장치(dedicated device)이거나 다른 하드웨어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튜너부(111), 복조부(112),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60)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8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80)는 표시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튜너부(111)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표시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2D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진폭 편이 변조(Amplitude Shift Keying; ASK)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변조(modulation) 및/또는 복조(demodulation)할 수 있다. 여기서,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은, 데이터 값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을 다르게 하여 신호를 변조하거나, 반송파의 진폭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값으로 복원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하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복조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표시 장치(100)는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와 같은 고유 식별자나, TCP/IP와 같은 복잡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영상표시장치와 간편하게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100)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촬영부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 상부에 표시 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8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와 표시 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80)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표시 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8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15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6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부품에 전원을 배분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 전원과 직접연결하여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배터리를 포함하여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유선의 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하며 이동이 어렵거나 이동 범위가 제한된다. 후자의 경우 이동이 자유로우나 배터리만큼의 무게가 증가하고 부피가 커지며 충전을 위해 일정시간 전원케이블과 직접 연결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거치부(미도시)와 결합해야 한다.
충전거치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를 통해 표시 장치와 접속할 수 있고, 또는 무선방식을 이용하여 근접하면 내장된 배터리가 충전될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nfrared Radiation) 통신,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표시 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일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표시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LED 모듈(300)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LED 모듈(300)의 측면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LED 모듈(300)은 단위 기판(310),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320), 보호 필름(330), 블랙 필름(340) 및 광학 물질(3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기판(310)은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한 표시 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하여 단위 기판(310)은 유리나 폴리이미드(PI, Polyimi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절연성이 있고 유연성이 있는 재질, 예를 들어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T(Polyethylene Terephthlate) 등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위 기판(310)은 투명한 재질 또는 불투명한 재질 어느 것이나 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320)은 단위 기판(310)의 상면에 실장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 LED 칩(320)은 단위 기판(310)의 행방향(x축 방향) 또는 열방향(y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픽셀들은 적색(Red, 이하 'R') 픽셀(320R), 녹색(Green, 이하 'G') 픽셀(320G) 및 청색(Blue, 이하 'B') 픽셀(320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R 픽셀(320R), G 픽셀(320G) 및 B 픽셀(320B)은 하나의 마이크로 LED 칩(320)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이크로 LED 칩(320)은 화이트(White, 이하 'W') 픽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LED 모듈(300)은 단위 기판(310)과 단위 기판(310)의 상면에 실장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320)을 덮는 보호 필름(33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 필름(330)은 광을 발광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320)을 덮도록 코팅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 필름(330)의 상면에는 블랙 필름(340)이 구비될 수 있다. 블랙 필름(3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LED 모듈(300)의 마이크로 LED 칩(320)을 통해 발광되는 빛에서 블랙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100)의 전원을 오프 시 시각적 암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하에서 설명할 마이크로 LED 모듈(300) 간 경계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휘선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마이크로 LED 칩(320)에서 발광되는 빛의 직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마이크로 LED 모듈(300)은 블랙 필름(340)의 상면에 구비되는 광학 물질(3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학 물질(350)은 투명 소재의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분자 물질은 적어도 1.3 이상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고, 고분자 물질의 두께(t)는 적어도 5 마이크로미터(μm) 이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이하에서 설명할 복수의 마이크로 LED 모듈(300) 간 경계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휘선을 개선시킬 수 있다.
그리고 블랙 필름(340)의 상면에 구비되는 광학 물질(350)을 통해 마이크로 LED 모듈(300)의 구조적 안정감 및 화질 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마이크로미터(μm) 단위의 두께로 형성되는 블랙 필름(340)의 상면에 광학 물질(350)을 구비하여 블랙 필름(340)이 벗겨지거나 혹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블랙 필름(340)은 마이크로 LED 칩(320)을 통해 발광되는 빛에서 블랙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과 시각적 암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역할을 하므로, 블랙 필름(340)이 벗겨지거나 혹은 손상되는 경우에는 상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그렇게 되면 부분적으로 휘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화면상에 얼룩으로 나타나게 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화질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블랙 필름(340)의 상면에 구비되는 광학 물질(350)을 통해 블랙 필름(340)을 보호하는 층이 형성되어 블랙 필름(340)의 손상에 따른 화질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LED 모듈(300)에서 투명 소재의 고분자 물질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이미드(PI), 에폭시(epoxy), 아크릴(acrylic) 및 실리콘(silic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고분자 물질은 상기의 고분자 물질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 다른 고분자 물질 또는 수지 물질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등의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고분자 물질은 투명성이 있고 빛이 투과되며 굴절률이 공기의 굴절률보다 큰 특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분해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설치 브라켓(360) 및 설치 브라켓(360)에 격자로 타일링(tiling)된 복수의 마이크로 LED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마이크로 LED 모듈(300)의 개수는 도 2에 도시된 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개에서 수백개가 배열되어 본 발명의 표시 장치(100)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설치 브라켓(360)은 격자로 타일링된 복수의 마이크로 LED 모듈(3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360)은 프레임 조립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다양한 개수로 배열될 수 있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모듈(300)을 지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프레임들을 조립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 LED 모듈(300)은 단위 기판(310), 단위 기판(310)의 상면에 실장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320), 단위 기판(310)의 상면과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320)을 덮는 보호 필름(330), 보호 필름(330)의 상면에 구비되는 블랙 필름(340) 및 블랙 필름(340)의 상면에 구비되는 광학 필름(3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2의 A-A`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LED 모듈(300)을 통해 휘선을 개선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마이크로 LED 모듈(300)간 경계 부분에 갭이 형성되지 않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 복수의 마이크로 LED 모듈(300)을 배열하는 경우, 마이크로 LED 모듈(300) 간 경계 부분에 갭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공정 과정에서 마이크로 LED 모듈(300) 간 경계 부분에 갭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갭을 통해 마이크로 LED 칩(320)에서 발광되는 빛이 새어나가 마이크로 LED 모듈(300) 간 경계 부분만 밝게 보이는 휘선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LED 모듈(300)을 통해 휘선을 개선하는 방안을 설명한다.
먼저, 도 6은 마이크로 LED 모듈(300) 간 경계 부분에 이격 간격(d1)이 발생한 경우의 휘선을 개선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광학 물질(350)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의 휘선 문제를 설명하기 위함이고, 도 6의 (b)는 본 발명의 광학 물질(350)이 구비된 마이크로 LED 모듈(300)의 휘선 개선을 설명하기 위함이다.
도 6의 (a)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 물질(350)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마이크로 LED 칩(320)에서 발광되는 빛이 이격 간격(d1)을 통해 새어나가 L1 영역만큼의 휘선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블랙 필름(340) 상면의 공기층에서 공기의 굴절률은 1이기 때문에 마이크로 LED 칩(320)에서 발광되는 빛은 굴절 없이 직진하여 L1 영역만큼의 휘선이 발생한다.
반면, 도 6의 (b)와 같이 블랙 필름(340)의 상면에 광학 물질(350)이 구비된 마이크로 LED 모듈(300)의 경우에는 마이크로 LED 칩(320)을 통해 발광되는 빛이 이격 간격(d1)을 통해 새어나가더라도, L1 영역보다 더 짧은 L2 및 L3 영역만큼만 휘선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광학 물질(350)은 공기의 굴절률보다 큰 적어도 1.3 이상의 굴절률을 갖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므로, 광학 물질(350)로 입사되는 빛은 본 발명의 고 굴절률을 갖는 고분자 물질에 의해 굴절되어 L3 영역 내로 향하게 된다.
이 때, 빛이 광학 물질(350)을 통과하면서 그 세기가 약해지게 되므로, 광학 물질(350)을 통과한 빛에 의한 L3 영역은 L2 영역보다 빛의 세기가 약하다. 결국, 광학 물질(350)이 구비되지 않은 도 6의 (a)보다 유의미하게 휘선을 개선할 수 있다.
여기서, 굴절률이 클수록 L3 영역이 더 짧게 형성되어 휘선 개선의 효과를 높일 수 있으나, 굴절률이 너무 크면 광학 물질(350)을 통과한 빛이 왜곡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분자 물질의 굴절률은 적어도 1.3 이상의 굴절률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굴절률이 1.3 이상 1.6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광학 물질(350)의 두께(t)는 적어도 5 마이크로미터(μm) 이상의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 광학 물질(350)의 두께(t)를 너무 얇게 형성하면 광학 물질(350)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광학 물질(350)의 두께(t)는 적어도 5 마이크로미터(μm) 이상의 두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광학 물질(350)의 두께(t)가 두꺼울수록 도 6의 (b)에서 L2 및 L3 영역이 더 짧게 형성되고, 광학 물질(350)을 통과하는 빛의 세기를 더 약하게 할 수 있어 휘선 개선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만, 광학 물질(350)의 두께(t)를 너무 두껍게 형성하면 빛의 투과율이 낮아 선명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광학 물질(350)의 두께(t)는 휘선 개선 및 선명도를 고려하여 적정 두께로 블랙 필름(340)의 상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마이크로 LED 모듈(300) 간 경계 부분에 높이 단차(h1)가 발생한 경우의 휘선을 개선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광학 물질(350)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의 휘선 문제를 설명하기 위함이고, 도 7의 (b)는 본 발명의 광학 물질(350)이 구비된 마이크로 LED 모듈(300)의 휘선 개선을 설명하기 위함이다.
도 7의 (a)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 물질(350)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마이크로 LED 칩(320)을 통해 발광되는 빛은 높이 단차(h1) 때문에 새어나와 L4 영역만큼 휘선이 발생하게 된다.
반면, 도 7의 (b)와 같이 블랙 필름(340)의 상면에 광학 물질(350)이 구비된 마이크로 LED 모듈(300)의 경우에는 마이크로 LED 칩(320)을 통해 발광되는 빛은 광학 물질(350)로 입사되어 굴절되며 L4 영역보다 더 짧은 L5 영역만큼만 휘선이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광학 물질(350)을 통과하면서 빛의 세기가 약해지기 때문에 휘선 개선의 효과는 도 7에 도시된 것보다 더 높을 수 있다. 그리고 광학 물질(350)의 두께(t)를 적어도 5 마이크로미터(μm) 이상 적정 두께로 블랙 필름(340)의 상면에 구비된다면 휘선 개선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8은 마이크로 LED 모듈(300) 간 경계 부분에 이격 간격(d2)과 높이 단차(h2)가 모두 발생한 경우의 휘선을 개선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광학 물질(350)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의 휘선 문제를 설명하기 위함이고, 도 8의 (b)는 본 발명의 광학 물질(350)이 구비된 마이크로 LED 모듈(300)의 휘선 개선을 설명하기 위함이다.
도 8의 (a)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 물질(350)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마이크로 LED 칩(320)을 통해 발광되는 빛은 이격 간격(d2)과 높이 단차(h2) 때문에 새어나가 L6 영역만큼 휘선이 발생하게 된다.
반면, 도 8의 (b)와 같이 블랙 필름(340)의 상면에 광학 물질(350)이 구비된 마이크로 LED 모듈(300)의 경우에는 마이크로 LED 칩(320)을 통해 발광되는 빛이 이격 간격(d2)과 높이 단차(h2)에 의해 새어나가더라도, L6 영역보다 더 짧은 L7 및 L8 영역만큼만 휘선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광학 물질(350)을 통과하는 빛은 그 세기가 약해지기 때문에 광학 물질(350)을 통과한 빛에 의해 발생하는 L8 영역은 빛의 세기가 약하므로, 결국 광학 물질(350)이 구비되지 않은 도 8의 (a)보다 유의미한 휘선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광학 물질(350)의 두께(t)를 적어도 5 마이크로미터(μm) 이상 적정 두께로 블랙 필름(340)의 상면에 구비된다면 휘선 개선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마이크로 LED 모듈(300)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100)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모듈(300)을 배열함에 있어 발생할 수 있는 휘선 문제를 개선함으로써, 마이크로 LED 모듈(300) 간 경계 부분만 밝게 보이는 현상을 방지하여 휘선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표시 장치
110 : 방송수신부
120 : 센싱부
130 : 입력부
140 : 저장부
150 : 디스플레이 모듈
160 : 오디오 출력부
170 : 인터페이스부
171 :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172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73 : 사용장비력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190 : 전원 공급부
200 : 원격 제어장치.
300 : 마이크로 LED 모듈
310 : 단위 기판
320 : 마이크로 LED 칩
320R : R 픽셀
320G : G 픽셀
320B : B 픽셀
330 : 보호 필름
340 : 블랙 필름
350 : 광학 물질
360 : 설치 브라켓

Claims (8)

  1. 단위 기판;
    상기 단위 기판의 상면에 실장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
    상기 단위 기판의 상면과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을 덮는 보호 필름;
    상기 보호 필름의 상면에 구비되는 블랙 필름; 및
    상기 블랙 필름의 상면에 구비되는 광학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물질은,
    투명 소재의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LED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물질은,
    적어도 1.3 이상의 굴절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LED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물질은,
    적어도 5 마이크로미터(μm) 이상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LED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물질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이미드(PI), 에폭시(epoxy), 아크릴(acrylic) 및 실리콘(silic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LED 모듈.
  5. 설치 브라켓; 및
    상기 설치 브라켓에 격자로 타일링(tiling)된 복수의 마이크로 LED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LED 모듈은,
    단위 기판;
    상기 단위 기판의 상면에 실장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
    상기 단위 기판의 상면과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LED 칩을 덮는 보호 필름;
    상기 보호 필름의 상면에 구비되는 블랙 필름; 및
    상기 블랙 필름의 상면에 구비되는 광학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물질은,
    투명 소재의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물질은,
    적어도 1.3 이상의 굴절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물질은,
    적어도 5 마이크로미터(μm) 이상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물질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이미드(PI), 에폭시(epoxy), 아크릴(acrylic) 및 실리콘(silic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220140495A 2022-10-27 2022-10-27 마이크로 led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2024005934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495A KR20240059342A (ko) 2022-10-27 2022-10-27 마이크로 led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PCT/KR2023/014112 WO2024090791A1 (ko) 2022-10-27 2023-09-19 마이크로 led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495A KR20240059342A (ko) 2022-10-27 2022-10-27 마이크로 led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9342A true KR20240059342A (ko) 2024-05-07

Family

ID=90831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495A KR20240059342A (ko) 2022-10-27 2022-10-27 마이크로 led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9342A (ko)
WO (1) WO202409079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11685B1 (ja) * 2017-10-12 2018-10-24 ルーメン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ディスプレイ用ledモジュール組立体
JP7243897B2 (ja) * 2018-05-24 2023-03-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自発光型表示体
KR102660614B1 (ko) * 2018-09-10 2024-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26130B1 (ko) * 2018-10-23 2020-06-2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면봉지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모듈과 이의 제조방법
KR20210083875A (ko) * 2019-12-27 2021-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0791A1 (ko) 202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215983B1 (en) Display device
KR20240059342A (ko) 마이크로 led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2674539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674540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662316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KR20240016688A (ko)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20230125595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682329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40011433A (ko) 전자기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WO2023191118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0921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1890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4444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075624A (ko)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1833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25308A (ko) 전자 장치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WO2023080294A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34702A (ko) 플렉서블 케이블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KR2024000921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4690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13775A (ko)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1134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2147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25307A (ko) Tv 및 tv의 제어 방법
KR2024004134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