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4539B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4539B1
KR102674539B1 KR1020210177441A KR20210177441A KR102674539B1 KR 102674539 B1 KR102674539 B1 KR 102674539B1 KR 1020210177441 A KR1020210177441 A KR 1020210177441A KR 20210177441 A KR20210177441 A KR 20210177441A KR 102674539 B1 KR102674539 B1 KR 102674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mode
display device
curvatur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9076A (ko
Inventor
이상희
이유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7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4539B1/ko
Priority to US17/663,392 priority patent/US11756464B2/en
Priority to PCT/KR2022/007551 priority patent/WO2023113117A1/en
Publication of KR20230089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076A/ko
Priority to US18/229,566 priority patent/US2023041070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5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7Special input arrangements or commands for improving display capabil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배면 중앙에 위치하는 벤딩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평면인 플랫(flat) 모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 1 곡률인 제 1 벤딩(bending) 모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 2 곡률인 제 2 벤딩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벤딩모듈을 제어하되, 상기 제 2 곡률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최대 곡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곡면 구조로 가변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등이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의 일 예로,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시판되고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자발광 소자이기 때문에 액정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하여 백라이트가 없고 응답 속도, 시야각 등에서 장점이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이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백라이트가 없기 때문에 휨 변형 가능하여 곡면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곡면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몰입감을 높일 수 있으나 여러 사람이 보는 경우 평면으로 펼쳐 있는 편이 더 영상의 감상에 편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곡률을 변경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배면 중앙에 위치하는 벤딩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평면인 플랫(flat) 모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 1 곡률인 제 1 벤딩(bending) 모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 2 곡률인 제 2 벤딩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벤딩모듈을 제어하되, 상기 제 2 곡률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최대 곡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상기 플랫 모드, 상기 제 1 벤딩 모드 및 상기 제 2 벤딩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벤딩 모드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게임 컨텐트를 출력 중인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 2 벤딩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벤딩 모드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영화 컨텐트, 드라마 컨텐트 또는 웹 브라우저 컨텐트 중 하나를 출력 중인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플랫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을 조정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곡률 설정 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곡률 설정 메뉴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을 100R 단위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100R 단위로 조정된 곡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조정된 곡률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벤딩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진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스 디바이스는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모션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팝업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 전환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이 온(on)인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 상기 모드의 전환 속도를 제 1 속도로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이 오프(off)인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 상기 모드의 전환 속도를 제 2 속도로 제어하되, 상기 제 2 속도는 상기 제 1 속도보다 느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에서 출력하는 라이트의 밝기를 변화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는 6개의 LED바(bar)를 포함하며, 상기 6개의 LED바는 세로축을 기준으로 대칭형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제어부를 커버하기 위한 백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는 상기 백커버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일단은 상기 벤딩모듈에 결합되고 좌우로 연장된 한 쌍의 링크; 및 상기 본체의 좌우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링크의 타단이 연결되는 링크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벤딩모듈은 상기 본체 배면에서 연장된 가이드 샤프트; 및 상기 가이드 샤프트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무빙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무빙블록이 상기 가이드 샤프트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한 쌍의 링크 사이의 각도가 변화하고 상기 본체의 곡률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배면 중앙에 위치하는 벤딩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평면인 플랫(flat) 모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 1 곡률인 제 1 벤딩(bending) 모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 2 곡률인 제 2 벤딩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벤딩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곡률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최대 곡률인 것을 특징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플랫(flat) 모드 또는 벤딩(bending) 모드로 변형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앰비언트 라이트를 이용하여 영상에서 느낄 수 있는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라이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곡률 설정 메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를 전환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원격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모션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 전환 속도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 전환에 따라 라이트의 밝기를 변화시키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부(11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 입력부(130), 제어부(180), 디스플레이(150), 오디오 출력부(160) 및/또는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10)는 튜너부(111) 및 복조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면과 달리, 방송 수신부(11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 중,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부(11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너부(111)는 안테나(미도시) 또는 케이블(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튜너부(111)는 선택된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튜너부(111)는 선택된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튜너부(111)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8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1)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1)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12)는 튜너부(11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12)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1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8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60)를 통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외부의 변화를 감지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여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음성센서(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습도계, 온도계 등),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센싱부(120)에서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상태를 점검하고 문제가 발생시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자체적으로 조정하여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80)에 제공되는 영상의 컨텐츠, 화질, 사이즈 등을 센싱부에서 감지한 시청자나, 주변의 조도 등에 따라 다르게 제어하여 최적의 시청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TV가 진보해감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탑재된 기능이 많아지고 센싱부(20) 또한 그와 함께 증가하고 있다.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30)는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베젤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자체에 외부로 노출된 물리적 형태의 버튼 형태의 입력부(130)는 최소화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많아지고 있다. 대신에 배면이나 측면에 최소의 물리적 버튼이 위치하고 터치패드나 후술할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을 통해 원격 제어장치(20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8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40)는 제어부(18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18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등은,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80) 내에 저장부(14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SDRAM 등)나,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인터페이스부(171)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복수의 픽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8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W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복수의 픽셀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3차원 디스플레이(150)는 무안경 방식과 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전면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 측면 등을 커버하며 디스플레이 모듈을 패키지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최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평면에서 더 나아가 곡면의 화면을 구현하기 위해 LED(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와 같이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이용할 수 있다.
종래에 주로 이용되던 LCD는 LCD가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어려워 백라이트 유닛을 통해 빛을 공급받았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과 광원에서 공급된 빛을 균일하게 전면에 위치하는 액정에 공급해주는 장치이다. 백라이트 유닛이 점점 얇아지면서 박형의 LCD를 구현할 수 있었으나, 백라이트 유닛을 휘어지는 소재로 구현이 어렵고 백라이트 유닛이 휘어지는 경우 액정에 균일한 빛의 공급이 어려워져 화면의 밝기가 변화하는 문제가 있다.
반면 LED나 OLED의 경우 픽셀을 이루는 소자가 각각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하지 않아 휘어지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각 소자가 자체발광 하므로 이웃하는 소자와의 위치관계가 달라지더라도 자체 밝기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LED나 OLED를 이용하여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구현할 수 있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은 2010년 중반에 본격적으로 등장하여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는 LCD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OLED는 형광성 유기활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자체발광 현상을 이용하여 만든 디스플레이로, 화질 반응 속도가 LCD에 비해 빨라 동영상을 구현할 때 잔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OLED는 자체 발광기능을 가진 적색(Red)과 녹색(Green), 청색(Blue) 등 세 가지의 형광체 유기화합물을 사용하며, 음극과 양극에서 주입된 전자(電子)와 양의 전하를 띤 입자가 유기물 내에서 결합해 스스로 빛을 발하는 현상을 이용한 발광형 디스플레이 제품이므로 색감을 떨어뜨리는 백라이트(후광장치)가 필요 없다.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 패널은 LED소자 하나를 하나의 픽셀로 이용하는 기술로서, 종래에 비해 LED소자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구현할 수 있다. 종래에 LED TV라 불리우던 장치는 LED를 LCD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이용한다는 것이지 LED자체가 화면을 구성하지 못했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표시패널과 표시패널 배면에 위치하는 결합마그넷, 제1 전원 공급부 및 제1 신호모듈을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복수 개의 픽셀들(R,G,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과 다수의 게이트라인들이 교차되는 영역마다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 또는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적색(Red, 이하 'R') 서브 픽셀, 녹색(Green, 'G') 서브 픽셀 및 청색 (Blue, 'B')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화이트(White, 이하 'W')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5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60)는 제어부(18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는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선방식뿐만 아니라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방식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방식의 일 예로 전술한 방송수신부(110)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방송신호뿐만 아니라 이동통신신호 근거리 통신신호, 무선인터넷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다양한 원격제어장치(200)와 통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유/무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전력(Bluetooth Low Energy; BLE), 직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와 같은 셀룰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과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는 ASIC과 같은 전용 장치(dedicated device)이거나 다른 하드웨어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튜너부(111), 복조부(112),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15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60)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8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튜너부(111)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2D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진폭 편이 변조(Amplitude Shift Keying; ASK)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변조(modulation) 및/또는 복조(demodulation)할 수 있다. 여기서,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은, 데이터 값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을 다르게 하여 신호를 변조하거나, 반송파의 진폭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값으로 복원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하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복조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와 같은 고유 식별자나, TCP/IP와 같은 복잡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영상표시장치와 간편하게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촬영부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는 디스플레이(150) 상부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8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80)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5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8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5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6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부품에 전원을 배분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 전원과 직접연결하여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배터리를 포함하여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유선의 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하며 이동이 어렵거나 이동 범위가 제한된다. 후자의 경우 이동이 자유로우나 배터리만큼의 무게가 증가하고 부피가 커지며 충전을 위해 일정시간 전원케이블과 직접 연결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거치부(미도시)와 결합해야 한다.
충전거치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접속할 수 있고, 또는 무선방식을 이용하여 근접하면 내장된 배터리가 충전될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nfrared Radiation) 통신,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일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태의 본체(100')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 영역(SS1)을 제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2 단변 영역(SS2)을 제1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1 장변 영역(LS1)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 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2 장변 영 역(LS2)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3 측면 영역에 대향하는 제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 란한 방향이고, 제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1 방향(DR1) 및/또는 제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 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 (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 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 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액정이 아닌 LED 나 OLED를 이용하여, 도 2의 (a) 또는 도 2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형상이 전환될 수 있다. 즉 백라이트 유닛이 생략되어 일정범위 내에서 형상이 변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도 2의 (b)와 같이 휘어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휘어진 상태로 고정된 커브드 디스플레이 형태가 아니라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곡률을 조절할수 있는 가변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포함하는 본체(100')의 곡률을 변화시킬 수 있는 곡률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본체(100')와 본체(100')를 바닥에 거치하기 위한 스탠드(260), 제어부(180) 및 곡률조정부(210, 220, 2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포함하는 본체(100')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배면을 커버하는 커버버텀(102)를 포함한다. 커버버텀(102)의 내측면에 디스플레이 모듈(150)에서 발생한 열을 배출하기 위한 방열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버텀(102)은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배면을 커버하며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강성을 보강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배면을 보호한다.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배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의 구동 IC를 커버할 수 있다. 커버버텀(102)의 배면에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메인기판이 실장될 수 있고, 메인기판과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구동IC를 연결하기 위하 커버버텀(102)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기판 등의 제어부(180)가 실장될 수 있도록 별도의 브라켓(102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커버버텀(102)의 배면에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제어하는 제어부 이외에 본체(100')의 곡률을 변화시키는 곡률조정부가 더 실장될 수 있다.
곡률조정부는 한 쌍의 링크(21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중앙에 위치하며 한 쌍의 링크(210) 일단에 결합하는 벤딩모듈(220), 그리고 한 쌍의 링크(210)의 타단과 커버버텀(102)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링크 브라켓(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로서,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링크(210)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곡률이 변화될 수 있다. 벤딩모듈(220)의 무빙블록(221)의 위치 변화에 따라 한 쌍의 링크(2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 쌍의 링크(210)의 타단은 링크 브라켓(230)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링크 브라켓(230)에 고정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곡률이 단부에서 크게 나타나 자연스러운 곡면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벤딩모듈(220)이 한 쌍의 링크(210)의 각도를 조절하면 그에 따라 링크 브라켓(230) 상에 링크(210)의 타단이 슬라이드 이동하며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자연스러운 곡면을 구현할 수 있다.
벤딩모듈(220)은 링크(210)의 일단과 연결되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무빙블록(221), 무빙블록(221)이 좌우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샤프트(222) 및 벤딩모듈(220)을 수납하는 모듈 브라켓(228)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210)는 벤딩모듈(220)에서 연장된 링크 고정부(21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링크 고정부(215)에 체결하는 링크 고정핀(213)을 중심으로 링크(210)가 회전하며, 링크(210)의 일단과 타단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본체(100')의 수평단부(SS1, SS2)를 전면 방향으로 당기면 벤딩모듈(220)은 본체(100')의 수평단부(SS1, SS2)에 위치하는 링크(210)의 타단이 전면방향으로 이동하고, 링크(210)는 링크 고정핀(213)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일단은 배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다시 평면으로 사용하기 위해 본체(100')의 수평단부(SS1, SS2)를 배면 방향으로 밀면 링크(210)의 타단은 배면 방향으로 이동하고 일단은 전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링크 고정핀(213)이 결합하는 위치는 타단 보다 일단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으며, 일단의 이동 거리는 타단의 이동거리보다 짧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곡률 변경을 사용자가 본체(100')의 수평단부(SS1, SS2)에 힘을 가해 수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링크(210)는 벤딩모듈(220)을 통해 동기화되어 동시에 움직이므로 사용자가 본체(100') 일측(SS1)을 당기거나 누르면 타측(SS2)도 동시에 움직일 수 있다.
다만, 수동 구동방식은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직접적으로 사용자가 힘을 가하게 되므로, 파손우려가 있어, 벤딩모듈(220)에 모터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곡률을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샤프트(222)가 나선형태로 이루어지고 무빙블록(221)에 가이드 샤프트(222)의 나선에 상응한 나선홈이 형성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모터가 가이드 샤프트(222)를 회전하면 무빙블록(221)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벤딩모듈(220)의 무빙블록(221)이 배면 방향으로 이동하면 무빙블록(221)에 결합된 링크(210)의 일단은 배면 방향으로 이동하고 링크(210)의 타단은 전면 방향으로 이동하며 한 쌍의 링크(210)의 각도가 변화할 수 있다. 벤딩모듈(220)이 링크(210)의 각도 변화를 유도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벤딩상태 또는 다시 플랫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벤딩모듈(220) 및 제어부를 커버하기 위한 백커버(10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본체(100')를 바닥에 거치할 수 있는 스탠드(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260) 대신에 벽에 설치 가능한 벽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스탠드(260) 와 벽브라켓은 백커버(103)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무빙블록(221)은 본체(100')의 배면에서 돌출된 가이드 샤프트(222)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링크(210)의 일단은 무빙블록(221)에 결합하며, 무빙블록(221)의 이동에 따라 각도가 변화할 수 있도록 작동핀(226)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도 1 내도 도 5에서는 곡률을 변경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이하, 벤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bendable display device)를 중심으로 서술하였으나 이하에서는 벤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실시 가능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라이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도면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의 (a)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후면 구조를 나타내고, 도 6의 (b)는 구체적인 라이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본체(100') 및 제어부(미도시)를 커버하기 위한 백커버(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백커버(103)와 달리 도 6의 (a)와 같이 좀 더 넓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601, 602, 603, 604, 605, 6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601, 602, 603, 604, 605, 606)는 6개의 LED바(ba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LED바는 LED 소자를 길게 나열한 램프로, 스틱(stick)이나 관을 통해 일정 간격으로 LED를 나열하여 전류를 흘려보내 발광하는 전자 램프에 해당한다. 길이는 다양하며, 알루미늄 LED바, 렌즈형 LED바, 방수형 LED바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재질에 따라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601, 602, 603, 604, 605, 606)는 백커버(103)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601, 602, 603, 604, 605, 606)는 세로축(vertical axis, y-axis)을 기준으로 대칭형으로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LED바(601) 및 제 2 LED바(602)는 가로보다 세로가 긴 막대기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제 3 LED바(603), 제 5 LED바(605)와 제 4 LED바(604), 제 6 LED바(606)는 서로 엑스(X)자 형태를 형성하게 백커버(103)에 부착될 수 있다. 특히, 제 3 LED바(603) 및 제 4 LED바(604)는 제 5 LED바(605) 및 제 6 LED바(606)보다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으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이 도 6의 라이트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는 본체(100')의 제 1 장변(LS1), 제 2 장변(LS2),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에 하나씩 부착되는 4개의 LED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에서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참조하여, 도 7 내지 도 13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하기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부의 제어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도면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특히, 도 7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 변화의 동작 시나리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모듈이 평면인 플랫(flat) 모드(701),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 1 곡률인 제 1 벤딩(bending) 모드(702),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 2 곡률인 제 2 벤딩 모드(703)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곡률은 1800R, 제 2 곡률은 1000R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 2 곡률은 디스플레이 모듈이 가질 수 있는 최대 곡률에 대응할 수 있고, 제 1 곡률 및 제 2 곡률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조될 당시에 결정되거나 도 8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플랫 모드(701)인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예를 들어, 리모컨)로부터 곡률 버튼을 선택하는 제 1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곡률 버튼을 선택하는 제 1 제어 신호는 사용자가 리모컨의 곡률 버튼을 숏 프레스(short press)하는 입력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플랫 모드(701)인 상태에서, 곡률 버튼을 선택하는 제 1 제어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을 플랫 모드(701)에서 제 1 벤딩 모드(702)로 전환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을 변화시키도록 벤딩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벤딩모듈을 제어하는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 1 벤딩 모드(702)인 상태에서, 곡률 버튼을 선택하는 제 1 제어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 1 벤딩 모드(702)에서 제 2 벤딩 모드(703)로 전환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플랫 모드(701)인 상태에서 제 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벤딩 모드(702), 제 2 벤딩 모드(703) 순서로 디스플레이 모듈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 2 벤딩 모드(703)인 상태에서 제 2 제어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 2 벤딩 모드(703)에서 제 1 벤딩 모드(702)로 전환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 1 벤딩 모듈(702)인 상태에서 제 2 제어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 1 벤딩 모드(702)에서 플랫 모드(701)로 전환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 2 벤딩 모드(703)인 상태에서 제 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벤딩 모드(702), 플랫 모드(701) 순서로 디스플레이 모듈을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제 2 제어 신호는 제 1 제어 신호와 동일한 제어 신호이거나 상이한 제어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제어 신호는 원격 제어 장치의 곡률 업(up) 버튼을 선택하는 신호에 대응할 수 있고, 제 2 제어 신호는 원격 제어 장치의 곡률 다운(down) 버튼을 선택하는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플랫 모드(701), 제 1 벤딩 모드(702) 및 제 2 벤딩 모드(703)인 상태에서 제 3 제어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곡률 설정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 3 제어 신호는 제 1 제어 신호 및 제 2 제어 신호와 달리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의 곡률 버튼을 롱 프레스(long press)하는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8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곡률 설정 메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도면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임의의 모드인 상태에서 도 7에서 상술한 제 3 제어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곡률 설정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의 왼쪽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곡률 설정 메뉴를 통하여 플랫 모드 편집 아이콘(801), 제 1 벤딩 모드 편집 아이콘(802) 및 제 2 벤딩 모드 편집 아이콘(803)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랫 모드 편집 아이콘(801), 제 1 벤딩 모드 편집 아이콘(802) 및 제 2 벤딩 모드 편집 아이콘(803)을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 1 벤딩 모드 편집 아이콘(802)를 숏 프레스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 제 1 벤딩 모드 편집 아이콘(802)을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플랫 모드 및 제 2 벤딩 모드 역시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곡률을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의 오른쪽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밴딩 모드 편집 아이콘(802)을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제 1 벤딩 모드 편집 팝업창(804)을 출력할 수 있다.
제 1 벤딩 모드 편집 팝업창(804)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을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한 슬라이더(80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슬라이더(805)를 조절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벤딩 모드의 곡률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더(805)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은 1000R부터 플랫까지 100R 단위로 미세하게 조정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하여 슬라이더(805)를 왼쪽(오목하게)에서 오른쪽(평평하게)으로 이동시키며 제 1 벤딩 모드의 곡률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벤딩 모드 편집 팝업창(804)을 통하여 사용자가 설정하는 제 1 벤딩 모드의 곡률을 프리뷰(806)로 출력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자 설정에 맞는 플랫 모드, 제 1 벤딩 모드 및 제 2 벤딩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출고 당시 설정된 플랫 모드, 제 1 벤딩 모드 및 제 2 벤딩 모드의 기 설정된 곡률 이외에도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설정한 곡률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술한 메모리에 사용자가 설정한 곡률을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저장된 곡률에 기초하여 이후 사용자로부터 제 1 벤딩 모드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을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된 곡률로 전환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를 전환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도면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플랫 모드, 제 1 벤딩 모드 및 제 2 벤딩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현재 출력 중인 영상을 고려하여 도 7에서 상술한 곡률 변화의 동작 시나리오보다 우선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조작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 1 벤딩 모드(901)인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902)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 신호(902)는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의 곡률 버튼을 숏 프레스하는 입력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도 9a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 1 벤딩 모드(901)인 상태에서, 게임 컨텐트를 출력 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출력 중인 컨텐트의 정보를 컨텐트를 수신할 때 함께 수신하는 정보(예를 들어, 메타데이터)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벤딩 모드(901)의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게임 컨텐트를 출력 중인 상태에서, 제어 신호(902)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 2 벤딩 모드(903)로 전환할 수 있다.
즉, 도 9a의 실시예는 도 7의 동작 시나리오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 1 벤딩 모드(901)인 상태에서 제어 신호(902)에 따라 제 2 벤딩 모드(903)으로 전환할 수 있다.
반면, 도 9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 1 벤딩 모드(901)인 상태에서, 영화 컨텐트, 드라마 컨텐트 또는 영상 출력 컨텐트 중 하나를 출력 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영화 컨텐트는 단순히 영화(movie)만을 특정하지 않으며, 웹툰, 드라마, 웹 브라우저 등 사용자가 정적으로 시청하기 용이한 다양한 영상 출력 컨텐트를 의미할 수 있다. 도 9a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출력 중인 컨텐트의 정보를 컨텐트를 수신할 때 함께 수신하는 정보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벤딩 모드(901)의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영화 컨텐트를 출력 중인 상태에서, 제어 신호(902)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플랫 모드(904)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 신호(902)는 도 9a와 동일한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 중인 영상의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 1 벤딩 모드(901)에서 제 2 벤딩 모드(903) 또는 플랫 모드(904)로 전환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모듈이 게임 컨텐트를 출력할 때는 사용자의 제어 신호(902)의 의도를 디스플레이 모듈을 최대 곡률로 전환하고자 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영화 컨텐트를 출력할 때는 사용자의 제어 신호(902)의 의도를 디스플레이 모듈을 평면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동일한 제어 신호(902)를 입력하더라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현재 출력 중인 컨텐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다른 곡률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원격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도면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 신호(1000)를 수신하는 경우, 원격 제어 장치를 진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플랫 모드(1001), 제 1 벤딩 모드(1002) 및 제 2 벤딩 모드(1003) 중 하나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 신호(1000)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어 신호(1000)를 수신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을 플랫 모드(1001), 제 1 벤딩 모드(1002) 및 제 2 벤딩 모드(1003) 중 하나의 모드로 전환함과 동시에 원격 제어 장치에게 원격 제어 장치를 진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원격 제어 장치를 손에 쥐고 있는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플랫 모드(1001), 제 1 벤딩 모드(1002) 및 제 2 벤딩 모드(1003) 중 하나의 모드로 전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모션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도면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모션 센서(motion sen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모션 센서는 오브젝트(object)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든 전자 장치로, 오브젝트의 움직임과 위치를 인식하여 입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이러한 센서들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를 입력 및 분석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션 센서(1104)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단 중앙부에 내장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플랫 모드(1101)인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 1 벤딩 모드(1103)으로 전환하는 제어 신호(1102)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플랫 모드(1101)에서 제 1 벤딩 모드(1103)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모션 센서(1104)를 통하여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센서(1104)는 디스플레이 모듈 앞에 반려동물이나 어린아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플랫 모드(1101)에서 제 1 벤딩 모드(1103)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 전환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플랫 모드(1101)에서 제 1 벤딩 모드(1103)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알람(1105)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알람(1105)으로 팝업 창을 출력하거나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 신호(1102)를 수신하는 경우, 모션 센서(1104)를 활성화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모션 센서(1104)는 평소에는 전력 세이빙(saving)을 위하여 모션 센서(1104)를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하고, 제어 신호(1102)를 수신하는 경우 모션 센서(1104)를 활성화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 전환 속도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도면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이 온(on)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 모드의 전환 속도를 제 1 속도로 제어하고,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이 오프(off)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 모드의 전환 속도를 제 2 속도로 제어하되, 제 2 속도는 제 1 속도보다 느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을 켜고 끄는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을 플랫 모드(1201), 제 1 벤딩 모드(1202) 및 제 2 벤딩 모드(1203) 중 하나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플랫 모드(1201) 에서 제 1 벤딩 모드(1202)로 전환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N초이고, 제 1 벤딩 모드(1202)에서 제 2 벤딩 모드(1203)로 전환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N초에 대응할 수 있다.
반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을 켬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가 전환되는 경우에는, 전환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N+a초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을 켬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모듈을 플랫 모드(1201)에서 제 1 벤딩 모드(1202)로 전환하거나, 플랫 모드(1201)에서 제 2 벤딩 모드(1203)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를 전환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N+a초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a는 양수)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 1 벤딩 모드(1202) 또는 제 2 벤딩 모드(1203)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을 끔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모듈을 플랫 모드(1201)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를 전환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N+a초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을 켬과 동시에 갑작스럽게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이 변화하는 상황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이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플랫 모드(1201)를 디폴트(default)로 설정한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디폴트 모드로 제 1 벤딩 모드(1202) 또는 제 2 벤딩 모드(1203)가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에도 역시 갑작스러운 곡률 변화를 막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이 켜져 있을 때보다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이 꺼져 있을 때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를 전환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길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 전환에 따라 라이트의 밝기를 변화시키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도면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본체의 후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 변화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에서 출력하는 라이트의 밝기를 변화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신호(1300)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플랫 모드(1301), 제 1 벤딩 모드(1302) 및 제 2 벤딩 모드(1303) 중 하나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플랫 모드(1301)일 때,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의 밝기 제 1 밝기로 제어하고,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 1 벤딩 모드(1302)일 때,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의 밝기를 제 2 밝기로 제어하고,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 2 벤딩 모드(1303)일 때,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의 밝기를 제 3 밝기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밝기는 제 1 밝기보다 밝고, 제 3 밝기는 제 2 밝기보다 밝을 수 있다. 반면, 사용자 설정에 따라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밝기는 제 2 밝기보다 밝고, 제 2 밝기는 제 3 밝기보다 밝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가 플랫 모드(1301)일 때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를 제 1 밝기로 설정하고,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가 제 1 벤딩 모드(1302)일 때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를 제 2 밝기로 설정하고,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가 제 2 벤딩 모드(1303)일 때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를 제 3 밝기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 변화와 더불어 라이트 밝기 변화를 통해 더욱 몰입감있는 컨텐트 감상이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701: 플랫 모드
702: 제 1 벤딩 모드
703: 제 2 벤딩 모드

Claims (15)

  1.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배면 중앙에 위치하는 벤딩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평면인 플랫(flat) 모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 1 곡률인 제 1 벤딩(bending) 모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 2 곡률인 제 2 벤딩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벤딩모듈을 제어하되, 상기 제 2 곡률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최대 곡률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이 온(on)인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가 전환되는 경우, 상기 모드의 전환 속도를 제 1 속도로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이 오프(off)인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이 온 상태로 전환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가 전환되는 경우, 상기 모드의 전환 속도를 제 2 속도로 제어하되, 상기 제 2 속도는 상기 제 1 속도보다 느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상기 플랫 모드, 상기 제 1 벤딩 모드 및 상기 제 2 벤딩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벤딩 모드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게임 컨텐트를 출력 중인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 2 벤딩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벤딩 모드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영화 컨텐트, 드라마 컨텐트 또는 웹 브라우저 컨텐트 중 하나를 출력 중인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플랫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을 조정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곡률 설정 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곡률 설정 메뉴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을 100R 단위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100R 단위로 조정된 곡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조정된 곡률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벤딩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진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모션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팝업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 전환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에 관한 모드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에서 출력하는 라이트의 밝기를 변화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는 6개의 LED바(bar)를 포함하며,
    상기 6개의 LED바는 세로축을 기준으로 대칭형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제어부를 커버하기 위한 백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는 상기 백커버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벤딩모듈에 결합되고 좌우로 연장된 한 쌍의 링크; 및
    상기 본체의 좌우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링크의 타단이 연결되는 링크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벤딩모듈은
    상기 본체 배면에서 연장된 가이드 샤프트; 및
    상기 가이드 샤프트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무빙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무빙블록이 상기 가이드 샤프트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한 쌍의 링크 사이의 각도가 변화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배면 중앙에 위치하는 벤딩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평면인 플랫(flat) 모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 1 곡률인 제 1 벤딩(bending) 모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 2 곡률인 제 2 벤딩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벤딩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곡률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최대 곡률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이 온(on)인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가 전환되는 경우, 상기 모드의 전환 속도를 제 1 속도로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이 오프(off)인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이 온 상태로 전환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드가 전환되는 경우, 상기 모드의 전환 속도를 제 2 속도로 제어하되, 상기 제 2 속도는 상기 제 1 속도보다 느린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210177441A 2021-12-13 2021-12-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674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441A KR102674539B1 (ko) 2021-12-13 2021-12-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7/663,392 US11756464B2 (en) 2021-12-13 2022-05-13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22/007551 WO2023113117A1 (en) 2021-12-13 2022-05-27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8/229,566 US20230410707A1 (en) 2021-12-13 2023-08-02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441A KR102674539B1 (ko) 2021-12-13 2021-12-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076A KR20230089076A (ko) 2023-06-20
KR102674539B1 true KR102674539B1 (ko) 2024-06-13

Family

ID=86694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441A KR102674539B1 (ko) 2021-12-13 2021-12-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756464B2 (ko)
KR (1) KR102674539B1 (ko)
WO (1) WO202311311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1917B2 (ja) 2004-07-12 2011-06-01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機器
US20170124937A1 (en) * 2015-11-04 2017-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894073B1 (ko) * 2012-07-17 2018-09-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곡률을 조정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US20180276942A1 (en) 2017-03-27 2018-09-27 Incredible Technologies, Inc. Electronic gaming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screen
KR101978743B1 (ko) * 2012-10-19 2019-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서버 제어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333B1 (ko) 2013-11-28 2021-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5160099A1 (en) * 2014-04-15 2015-10-22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KR101565088B1 (ko) * 2014-04-30 2015-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계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WO2016027999A1 (en) * 2014-08-20 2016-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92955B1 (ko) 2015-02-24 2021-08-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20170127535A1 (en) * 2015-10-29 2017-05-04 Industrial Bank Of Kore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urvature of viewer adaptive type flexible display in order to increase immersive feeling
GB201519171D0 (en) * 2015-10-30 2015-12-16 Woodenshark Llc Lightpack (UK)
US9924604B2 (en) 2015-11-04 2018-03-20 Nanolumens Acquisition, Inc. Modular flexible convex display system and methods
KR102325805B1 (ko) 2017-06-30 2021-1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US10852928B2 (en) 2018-12-14 2020-12-01 Sony Corporation Surface curvature control of display screen based on motion of support portions
US11513393B2 (en) * 2019-06-10 2022-11-29 Dell Products L.P. Display backlight illumination of a housing perimet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1917B2 (ja) 2004-07-12 2011-06-01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機器
KR101894073B1 (ko) * 2012-07-17 2018-09-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곡률을 조정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1978743B1 (ko) * 2012-10-19 2019-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서버 제어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 제어 방법
US20170124937A1 (en) * 2015-11-04 2017-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180276942A1 (en) 2017-03-27 2018-09-27 Incredible Technologies, Inc. Electronic gaming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56464B2 (en) 2023-09-12
WO2023113117A1 (en) 2023-06-22
US20230410707A1 (en) 2023-12-21
KR20230089076A (ko) 2023-06-20
US20230186809A1 (en)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86932B2 (ja) 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JP7395652B2 (ja) 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674539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1833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1682329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3011300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662317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1890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30179948A1 (en) Bend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3012147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16688A (ko)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EP4325868A2 (en) Movable tv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30075624A (ko)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4690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4444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25308A (ko) 전자 장치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4000921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039030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13071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0921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87680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1134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13775A (ko)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24855A (ko) 케이스에 삽입 가능한 배터리 내장형 tv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11433A (ko) 전자기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