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5624A -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75624A KR20230075624A KR1020210161993A KR20210161993A KR20230075624A KR 20230075624 A KR20230075624 A KR 20230075624A KR 1020210161993 A KR1020210161993 A KR 1020210161993A KR 20210161993 A KR20210161993 A KR 20210161993A KR 20230075624 A KR20230075624 A KR 202300756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wire
- display device
- stand
- support par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1 electroluminesc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1710179734 6,7-dimethyl-8-ribityllumazine synthase 2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710186609 Lipoyl synthase 2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710122908 Lipoyl synthase 2, chloroplastic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710101072 Lipoyl synthase 2, mitochondrial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67 cellular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475 halogen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phosphor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0 silicon-bas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체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를 바닥에 거치하는 스탠드에 있어서, 바닥에 접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지지부; 상기 본체가 안착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지지부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 및 하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 와이어를 포함하는 스탠드는 공중에 떠있는 디자인을 통해 장식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텐세그리티 원리를 이용한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등이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의 일 예로,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시판되고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자발광 소자이기 때문에 액정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하여 백라이트가 없고 응답 속도, 시야각 등에서 장점이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 받고 있다.
최근에 OLED와 같은 소재는 배면의 백라이트 구조가 없이 자체 발광하기 때문에 자체 무게가 가벼워지고 슬림하고 심플한 디자인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텐세그리티 원리를 이용한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체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를 바닥에 거치하는 스탠드에 있어서, 바닥에 접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지지부; 상기 본체가 안착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지지부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 및 하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 와이어를 포함하는 스탠드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지지부는 가운데가 개방된 링형상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개방부를 관통하는 링 형상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교차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의 개방된 방향은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연결된 하부가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연결된 상부 보다 중심에서 바깥쪽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와이어가 결합하는 복수개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모서리에서 중심을 향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와이어는 4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후방단부 이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를 바닥에 거치하는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바닥에 접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지지부; 상기 본체가 안착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지지부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 및 하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연결된 하부가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연결된 상부 보다 중심에서 바깥쪽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와이어가 결합하는 복수개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모서리에서 중심을 향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후방단부 이상으로 돌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공중에 떠있는 디자인의 스탠드를 통해 장식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이외에 스피커와 같은 다른 전자제품을 안착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여 높이 조정도 가능하다.
제2 와이어를 사다리꼴로 배치하여 제2 플레이트의 흔들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탠드의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탠드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탠드의 제2 와이어의 결합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탠드의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탠드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탠드의 제2 와이어의 결합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부(11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 입력부(130), 제어부(180), 디스플레이(150), 오디오 출력부(160) 및/또는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10)는 튜너부(111) 및 복조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면과 달리, 방송 수신부(11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 중,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부(11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너부(111)는 안테나(미도시) 또는 케이블(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튜너부(111)는 선택된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제1 플레이트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튜너부(111)는 선택된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제1 플레이트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튜너부(111)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제1 플레이트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8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1)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제1 플레이트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1)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12)는 튜너부(11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12)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1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8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60)를 통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외부의 변화를 감지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여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음성센서(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습도계, 온도계 등),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센싱부(120)에서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상태를 점검하고 문제가 발생시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자체적으로 조정하여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제공되는 영상의 컨텐츠, 화질, 사이즈 등을 센싱부에서 감지한 시청자나, 주변의 조도 등에 따라 다르게 제어하여 최적의 시청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TV가 진보해감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탑재된 기능이 많아지고 센싱부(20) 또한 그와 함께 증가하고 있다.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30)는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베젤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자체에 외부로 노출된 물리적 형태의 버튼 형태의 입력부(130)는 최소화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많아지고 있다. 대신에 배면이나 측면에 최소의 물리적 버튼이 위치하고 터치패드나 후술할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을 통해 원격 제어장치(20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8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40)는 제어부(18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18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등은,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80) 내에 저장부(14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SDRAM 등)나,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인터페이스부(171)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복수의 픽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8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W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복수의 픽셀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3차원 디스플레이(150)는 무안경 방식과 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전면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0)과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배면 측면 등을 커버하며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패키지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최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평면에서 더 나아가 곡면의 화면을 구현하기 위해 LED(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와 같이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이용할 수 있다.
종래에 주로 이용되던 LCD는 LCD가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어려워 백라이트 유닛을 통해 빛을 공급받았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과 광원에서 공급된 빛을 균일하게 전면에 위치하는 액정에 공급해주는 장치이다. 백라이트 유닛이 점점 얇아지면서 박형의 LCD를 구현할 수 있었으나, 백라이트 유닛을 휘어지는 소재로 구현이 어렵고 백라이트 유닛이 휘어지는 경우 액정에 균일한 빛의 공급이 어려워져 화면의 밝기가 변화하는 문제가 있다.
반면 LED나 OLED의 경우 픽셀을 이루는 소자가 각각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하지 않아 휘어지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각 소자가 자체발광 하므로 이웃하는 소자와의 위치관계가 달라지더라도 자체 밝기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LED나 OLED를 이용하여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구현할 수 있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은 2010년 중반에 본격적으로 등장하여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는 LCD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OLED는 형광성 유기활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자체발광 현상을 이용하여 만든 디스플레이로, 화질 반응 속도가 LCD에 비해 빨라 동영상을 구현할 때 잔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OLED는 자체 발광기능을 가진 적색(Red)과 녹색(Green), 청색(Blue) 등 세 가지의 형광체 유기화합물을 사용하며, 음극과 양극에서 주입된 전자(電子)와 양의 전하를 띤 입자가 유기물 내에서 결합해 스스로 빛을 발하는 현상을 이용한 발광형 디스플레이 제품이므로 색감을 떨어뜨리는 백라이트(후광장치)가 필요 없다.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 패널은 LED소자 하나를 하나의 픽셀로 이용하는 기술로서, 종래에 비해 LED소자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구현할 수 있다. 종래에 LED TV라 불리우던 장치는 LED를 LCD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이용한다는 것이지 LED자체가 화면을 구성하지 못했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표시패널과 표시패널 배면에 위치하는 결합마그넷, 제1 전원 공급부 및 제1 신호모듈을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복수 개의 픽셀들(R,G,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과 다수의 게이트라인들이 교차되는 영역마다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 또는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적색(Red, 이하 'R') 서브 픽셀, 녹색(Green, 'G') 서브 픽셀 및 청색 (Blue, 'B')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화이트(White, 이하 'W')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5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60)는 제어부(18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는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선방식뿐만 아니라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방식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방식의 일 예로 전술한 방송수신부(110)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방송신호뿐만 아니라 이동통신신호 근거리 통신신호, 무선인터넷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다양한 원격제어장치(200)와 통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유/무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전력(Bluetooth Low Energy; BLE), 직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와 같은 셀룰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과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는 ASIC과 같은 전용 장치(dedicated device)이거나 다른 하드웨어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튜너부(111), 복조부(112),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15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60)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8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튜너부(111)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2D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진폭 편이 변조(Amplitude Shift Keying; ASK)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변조(modulation) 및/또는 복조(demodulation)할 수 있다. 여기서,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은, 데이터 값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을 다르게 하여 신호를 변조하거나, 반송파의 진폭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값으로 복원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하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복조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와 같은 고유 식별자나, TCP/IP와 같은 복잡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영상표시장치와 간편하게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촬영부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는 디스플레이(150) 상부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8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80)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5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8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5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6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부품에 전원을 배분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 전원과 직접연결하여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배터리를 포함하여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유선의 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하며 이동이 어렵거나 이동 범위가 제한된다. 후자의 경우 이동이 자유로우나 배터리만큼의 무게가 증가하고 부피가 커지며 충전을 위해 일정시간 전원케이블과 직접 연결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거치부(미도시)와 결합해야 한다.
충전거치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접속할 수 있고, 또는 무선방식을 이용하여 근접하면 내장된 배터리가 충전될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nfrared Radiation) 통신,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일 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일 예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태의 본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 영역(SS1)을 제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2 단변 영역(SS2)을 제1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1 장변 영역(LS1)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 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2 장변 영 역(LS2)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3 측면 영역에 대향하는 제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 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 란한 방향이고, 제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1 방향(DR1) 및/또는 제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 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 (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 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 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포함하는 본체(100')는 벽체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거치될 수도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를 바닥에 거치하기 위해 본체(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스탠드(300)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스탠드(300)는 본체(100')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와 수직부의 하단부에서 넓은 면적을 가지며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1 플레이트(30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복수개의 다리를 가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스탠드(300)도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바닥에다 거치하는 경우 눈높이를 고려하여 스탠드(300)의 길이가 길어지고 스탠드(300)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외관을 차별화하는 요소로서 인테리어 측면에서 소비자들의 제품 선택 기준이 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프리미엄 가전시장이 확대되면서 통상적인 막대형 스탠드(300)에서 벗어나 조형적인 요소가 가미되어 디자인적으로 우수한 스탠드(300)에 대한 니즈가 있다.
도 2에 도시된 스탠드(300)는 하부에 위치하는 제1 지지부(302)와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303)는 이격되어 있으며 제1 지지부(302)와 제2 지지부(303)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와이어(306)의 인장력을 이용하여 스탠드(300) 위에 위치하는 본체(100')를 지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스탠드(300)는 바닥에 접하는 제1 플레이트(301), 제1 플레이트(30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지지부(302), 본체(100')가 안착되는 제2 플레이트(304), 제2 플레이트(304)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303)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301)와 제1 지지부(302)는 스탠드(300)의 하부구조를 이루고 제2 플레이트(304)와 제2 지지부(303)는 스탠드(300)의 상부 구조를 이룬다. 제1 지지부(302)는 하부에 위치하는 제1 플레이트(301)에서 상부로 연장되고 제2 지지부(303)는 상부에 위치하는 제2 플레이트(304)로부터 하부로 연장된다.
제2 지지부(303)는 상부에서 연장되나 제1 지지부(302) 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지점이 필요하다. 즉 제1 지지부(302)의 제1 지점(302a)과 제2 지지부(303)의 제2 지점(303a)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 지점(302a)의 위치가 제2 지점(303a)보다 더 높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교차 배치를 위해 제1 지지부(302)와 제2 지지부(303)는 비스듬하게 연장되거나 곡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링의 가운데 개구부를 통과하며 서로 고리처럼 교차 배치될 수 있으며 교차되는 위치에 제1 지점(302a)과 제2 지점(303a)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지지부(302)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제2 지지부(303)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306) 및 하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301)와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304)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 와이어(307)를 포함한다.
제1 와이어(306)와 제2 와이어(307)는 와이어와 같이 당기는 힘(인장력)에 강한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와이어(306)와 제2 와이어(307)는 휘어질 수 있어 양 단부에 결합된 부재 사이의 간격이 짧아질 수 있으나 늘어나지 않아 두 부재 사이의 간격을 제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탠드(300)의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단면도로서, (a)는 도 2의 A-A단면도이다. 제1 지지부(302)와 제2 지지부(303) 사이는 이격되어 있고 제1 와이어(306)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플레이트(301)와 제2 플레이트(304)는 이격되어 있으며 제2 와이어(307)로 연결된다.
제1 지지부(302)는 하부에 위치하는 제1 플레이트(301)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지지부(303)는 상부에 위치하는 제2 플레이트(304)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지지부(302)의 상부는 제2 지지부(303)의 하부 보다 위쪽에 위치하여 제1 와이어(306)의 상단은 제1 지지부(302)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지점(302a)과 연결되고 하단은 제2 지지부(303)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지점(303a)과 연결된다.
즉, 제1 와이어(306)를 통해 제2 지지부(303)가 제1 지지부(302)에 매달리는 형태를 이룬다. 제1 지지부(302)의 제1 지점(302a)높이(H1)-제1 와이어(306)의 길이(L1)가 제2 지지부(303)의 제2 지점(303a)의 위치(H2)가 되며 제2 지점(303a)은 H1-L1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제1 와이어(306)로 지지된다. 제1 와이어(306)는 제2 지지부(303)와 제2 플레이트(304)의 높이를 결정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설치 높이는 제1 와이어(306)와 제2 와이어(307)의 길이를 조절하여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제1 플레이트(301)와 제2 플레이트(304) 사이의 거리는 제2 와이어(307) 길이(L2)로 고정되며 그 이상 이격될 수 없다. 특히 제2 와이어(30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를 구하여 제1 플레이트(301)가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균형을 이루도록 균형을 이룬다.
제2 와이어(307)는 상단은 제2 플레이트(304)와 연결(304a)되고, 하단은 제1 플레이트(301)와 연결(301a)된다. 제1 플레이트(301)와 제2 플레이트(304)는 제2 와이어(307)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제1 플레이트(301)는 제2 플레이트(304)로부터 제2 와이어(307) 길이 이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없다.
제1 와이어(306)만으로는 제2 지지부(303)와 제2 플레이트(304)의 수평위치를 고정하기 힘들고 제2 플레이트(304)가 일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어, 제2 와이어(307)가 필요하며 복수개의 제2 와이어(307)가 균형을 이루어 테이블과 같이 제2 플레이트(304)가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2 지지부(303)와 제2 플레이트(304)를 기준으로 제1 와이어(306)는 상측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제공하고, 제2 와이어(307)는 하측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제공하며 제1 와이어(306)의 장력과 제2 와이어(307)의 장력이 균형을 이루며 제2 플레이트(304)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탠드(300)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제1 플레이트(301)와 제1 지지부(302)를 결합하고, 제1 지지부(302)와 제2 지지부(303)는 제1 와이어(306)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지지부(302)와 제2 지지부(303)를 제1 와이어(306)로 연결한 후에 제1 지지부(302)를 제1 플레이트(301)에 연결할 수도 있다.
제2 플레이트(304)는 제1 플레이트(301)와 제2 와이어(307)로 연결하며 제2 와이어(30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304)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제2 와이어(307)의 인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제2 와이어(307)의 단부는 너트와 같이 회전에 따라 제2 플레이트(304)에서 위치가 변화할 수 있는 체결구(307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와이어(307)는 사각형 형상의 제2 플레이트(304) 모서리에 인접하여 결합할 수 있다. 4개의 제2 와이어(307)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나, 도 4와 같이 제2 플레이트(304)에서 제1 플레이트(301)로 갈수록 바깥쪽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1 플레이트(301), 제2 플레이트(304) 및 제2 와이어(307)는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게 되며, 하부가 넓은 경우 흔들림이 줄어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크기에 따라 제1 플레이트(301) 및 제2 플레이트(304)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며 설치 높이에 따라 인장력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정적인 설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304)는 제2 플레이트(304)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체결홀(30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와이어(307)는 도 5의 (a)에 도시된 체결홀(3041) 중 ①보다 ④ 쪽에 위치하는 체결홀(3041) 에 체결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흔들림을 줄일 수 있다. 복수개의 체결홀(3041)을 포함하는 제2 플레이트(304)는 제2 와이어(307)의 결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본체(100')에서 하부로 연장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플레이트(304)의 상부에 위치하는 플레이트 커버(312)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 커버(312)는 제2 플레이트(304)의 크기에 상응하게 형성할 수 있다. 플레이트 커버(312)는 체결홀을 커버하여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04)는 플레이트 커버(312)의 둘레를 감싸는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플레이트 커버(312)가 제2 플레이트(304)의 상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04) 위에 베이스 커버를 얹어 놓는 것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본체(100')를 스탠드(300) 위에 쉽게 결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배면 방향을 도시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설치된 공간의 후면 벽과 거리를 유지하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배면 방향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댐퍼(305)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305)는 도 6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실리콘 소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한 댐퍼(305)는 사용자의 눈에 잘 띄지 않아 제2 플레이트(304)가 벽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댐퍼(305)는 제2 플레이트(304)의 후방에 결합되며 댐퍼(305)의 연장길이는 적어도 제1 플레이트(301)의 후단보다 더 돌출되어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배면의 벽체에 닿을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탠드(3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공중에 떠있는 디자인의 스탠드(300)를 통해 장식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이외에 스피커와 같은 다른 전자제품을 안착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여 높이 조정도 가능하다.
제2 와이어(307)를 사다리꼴로 배치하여 제2 플레이트(304)의 흔들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0: 방송수신부
120: 센싱부
130: 입력부
140: 저장부
150: 디스플레이 모듈
160: 오디오 출력부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
200: 원격 제어장치.
100': 본체
300: 스탠드
301: 제1 플레이트
302: 제1 지지부
303: 제2 지지부
304: 제2 플레이트
306: 제1 와이어
307: 제2 와이어
3041: 체결홀
3071: 체결구
110: 방송수신부
120: 센싱부
130: 입력부
140: 저장부
150: 디스플레이 모듈
160: 오디오 출력부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
200: 원격 제어장치.
100': 본체
300: 스탠드
301: 제1 플레이트
302: 제1 지지부
303: 제2 지지부
304: 제2 플레이트
306: 제1 와이어
307: 제2 와이어
3041: 체결홀
3071: 체결구
Claims (11)
- 본체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를 바닥에 거치하는 스탠드에 있어서,
바닥에 접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지지부;
상기 본체가 안착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지지부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 및
하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 와이어를 포함하는 스탠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가운데가 개방된 링형상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개방부를 관통하는 링 형상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교차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의 개방된 방향은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연결된 하부가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연결된 상부 보다 중심에서 바깥쪽 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와이어가 결합하는 복수개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모서리에서 중심을 향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와이어는 4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후방단부 이상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를 바닥에 거치하는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바닥에 접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지지부;
상기 본체가 안착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지지부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 및
하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 와이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연결된 하부가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연결된 상부 보다 중심에서 바깥쪽 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와이어가 결합하는 복수개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결합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모서리에서 중심을 향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후방단부 이상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1993A KR20230075624A (ko) | 2021-11-23 | 2021-11-23 |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1993A KR20230075624A (ko) | 2021-11-23 | 2021-11-23 |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5624A true KR20230075624A (ko) | 2023-05-31 |
Family
ID=86544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1993A KR20230075624A (ko) | 2021-11-23 | 2021-11-23 |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75624A (ko) |
-
2021
- 2021-11-23 KR KR1020210161993A patent/KR2023007562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30113872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30109319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KR20230075624A (ko) |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102705315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102705314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674539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722280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EP4429228A1 (en) | Display device | |
KR102717727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40013775A (ko) |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40009217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40011347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40044444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US12058507B2 (en) | Sound output equipment and display device | |
EP4425911A1 (en) | Display device | |
KR20230118337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KR20230146902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US20230179948A1 (en) | Bend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240018903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40009218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US20240064461A1 (en) | Movable tv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230039030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30121477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KR20240149920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40151182A (ko) | 디스플레이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