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955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955B1
KR102292955B1 KR1020150025955A KR20150025955A KR102292955B1 KR 102292955 B1 KR102292955 B1 KR 102292955B1 KR 1020150025955 A KR1020150025955 A KR 1020150025955A KR 20150025955 A KR20150025955 A KR 20150025955A KR 102292955 B1 KR102292955 B1 KR 102292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uiders
stoppers
curvature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3600A (ko
Inventor
박기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5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955B1/ko
Priority to US14/804,955 priority patent/US9516775B2/en
Publication of KR20160103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01L51/56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H01L2227/32
    • H01L2251/5338
    • H01L2251/56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을 조절하는, 곡률 가변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납하며, 상기 곡률 가변 부재가 구비된, 바텀 샤시; 를 포함하되, 상기 곡률 가변 부재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제1 이동 제어부;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며, 상기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의 이동 경로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와이어 가이더들; 및 상기 와이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와이어 스톱퍼들; 을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 가이더들 사이의 배치 간격은 상기 와이어 스톱퍼들 사이의 배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을 변경시키는 곡률 변경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가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분야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각 사용 분야에서 다양한 특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단순히 화상을 표시하는 것과 관련된 특성뿐만 아니라 입체감, 몰입감 등을 고려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요구를 만족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다양한 형태로 개선하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은 시청자의 몰입도를 향상시기 위해 디스플레이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는 곡률 가변 부재를 포함한 표시 장치를 제공함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을 조절하는, 곡률 가변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납하며, 상기 곡률 가변 부재가 구비된, 바텀 샤시; 를 포함하되, 상기 곡률 가변 부재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제1 이동 제어부;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며, 상기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의 이동 경로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와이어 가이더들; 및 상기 와이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와이어 스톱퍼들; 을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 가이더들 사이의 배치 간격은 상기 와이어 스톱퍼들 사이의 배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각 와이어 가이더들은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의 크기는 상기 각 와이어 스톱퍼들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제어부가 상기 와이어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에 의해 상기 곡률 가변 부재가 벤딩될 수 있다.
상기 곡률 가변 부재는 상기 복수의 와이어 가이더들에 의해 제1 내지 제3 벤딩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와이어 가이더들은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와이어 스톱퍼들은 상기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 와이어 스톱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벤딩 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가이더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제2 벤딩 영역은 상기 제2 및 제3 와이어 가이더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제3 벤딩 영역은 상기 제3 및 제4 와이어 가이더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와이어 스톱퍼는 상기 제1 벤딩 영역에, 상기 제2 와이어 스톱퍼는 상기 제2 벤딩 영역에, 상기 제3 와이어 스톱퍼는 상기 제3 벤딩 영역에, 상기 제4 와이어 스톱퍼는 상기 제3 벤딩 영역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벤딩 영역의 곡률은 상기 제1 내지 제4 와이어 스톱퍼 사이의 배치 간격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벤딩 영역의 곡률은 상기 제1 내지 제4 와이어 스톱퍼 사이의 배치 간격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곡률 가변 부재는, 상기 각 와이어 가이더들에 대응하며, 상기 와이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보조 와이어 스톱퍼들; 및 상기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제2 이동 제어부; 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 가이드 유닛들 사이의 배치 간격은 상기 보조 와이어 스톱퍼들 사이의 배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의 크기는 상기 각 보조 와이어 스톱퍼들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 제어부가 상기 와이어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에 의해 상기 곡률 가변 부재가 언벤딩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와이어 스톱퍼들은, 상기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에 각각 대응하는 제5 내지 제8 와이어 스톱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5 와이어 스톱퍼는 상기 제1 와이어 가이더를 중심으로 대향하며, 상기 제2 및 제6 와이어 스톱퍼는 상기 제2 와이어 가이더를 중심으로 대향하며, 상기 제3 및 제7 와이어 스톱퍼는 상기 제3 와이어 가이더를 중심으로 대향하며, 상기 제4 및 제8 와이어 스톱퍼는 상기 제4 와이어 가이더를 중심으로 대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을 조절하는, 곡률 가변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납하며, 상기 곡률 가변 부재가 구비된, 바텀 샤시; 를 포함하되, 상기 곡률 가변 부재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이동 제어부;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며, 상기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의 이동 경로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 및 상기 제2 및 제3 와이어 가이더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곡률 유지부; 상기 와이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및 제2 와이어 스톱퍼;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률 가변 부재는 상기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에 의해 제1 내지 제3 벤딩 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이동 제어부가 상기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힘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가이더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제1 벤딩 영역, 및 상기 제3 및 제4 와이어 가이더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제3 벤딩 영역의 곡률은 줄어들며, 상기 제2 및 제3 와이어 가이더에 의해 정의되는 제2 벤딩 영역의 곡률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을 조절하는, 곡률 가변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납하며, 상기 곡률 가변 부재가 구비된, 바텀 샤시; 를 포함하되, 상기 곡률 가변 부재는,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측 및 하측에서 이동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이동 제어부; 상기 와이어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 기구;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며, 상기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의 상면 및 하면에 일정한 배치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와이어 가이더들; 상기 와이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와이어 스톱퍼들; 을 포함하되, 각 와이어 스톱퍼들은 상기 복수의 와이어 가이더들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된 와이어 스톱퍼들 사이의 배치 간격은 상측에 배치된 와이어 가이더들 사이의 배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배치된 와이어 스톱퍼들 사이의 배치 간격은 하측에 배치된 와이어 가이더들 사이의 배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청자의 기호에 맞게 디스플레이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으며, 최소한의 기구 부품을 사용하여 구현하였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제조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언벤딩된 곡률 가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벤딩된 곡률 가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보조 와이어 스톱퍼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언벤딩된 곡률 가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보조 와이어 스톱퍼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벤딩된 곡률 가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c는 방향 전환 기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언벤딩된 곡률 가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곡률 유지부를 포함하는, 언벤딩된 곡률 가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곡률 유지부를 포함하는, 벤딩된 곡률 가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언벤딩된 곡률 가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벤딩된 곡률 가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6c는 복수의 곡률 가변 부재를 포함하는 바텀 샤시의 정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아닌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1) 및 디스플레이 모듈(11)을 수납하는 바텀 샤시(1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1)은 실질적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1)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1)이 영상을 표시하도록 다양한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패널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1)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1)의 가장자리 상면과 측면을 감싸는 프레임 형상의 탑 샤시(11-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1)은 디스플레이 특성의 손실없이 휘거나, 접거나, 말 수 있는 유연한 기판 상에 제작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칭한다. 일 실시예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1)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형광 또는 인광 유기물 박막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자와 정공이 유기물 박막에서 결합하면서 빛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밝고 선명한 화질을 가지고 시야각에 의한 제한이 없으며 전력 소모가 적은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다. 특히, 유기물 박막을 적층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한 특성이 우수하다. 다만,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1)로서 적용될 수 있다.
바텀 샤시(12)는 디스플레이 모듈(11)을 수납할 수 있다. 특히, 바텀 샤시(12)는 디스플레이 모듈(11)의 탑 샤시(11-2)와 결착되어 표시 장치(10)를 형성할 수 있다. 바텀 샤시(1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1)과 같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텀 샤시(12)는 열적 스트레스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1)과 유사한 수준의 열 팽창 계수를 가질 수 있다.
바텀 샤시(12)는 디스플레이 모듈(11)의 곡률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곡률 가변 부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곡률 가변 부재(13)는 곡률 조절 입력에 대응하여 곡률을 조절할 수 있다. 바텀 샤시(12)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므로 곡률 가변 부재(13)의 곡률 변경에 따라 바텀 샤시(12)의 곡률 역시 조절될 수 있다. 그 결과, 바텀 샤시(12) 상에 수납된 디스플레이 모듈(11)의 곡률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11)의 곡률, 벤딩축, 벤딩 형태 등은 곡률 가변 부재(13)의 위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곡률 가변 부재(13)가 바텀 샤시(12)의 중앙에 배치된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1)은 수평 방향을 따라 벤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바텀 샤시(12)의 중앙에 배치된 곡률 가변 부재(13)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곡률 가변 부재(13)는 다양한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모듈(11)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언벤딩된 곡률 가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벤딩된 곡률 가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곡률 가변 부재는 와이어(W), 이동 제어부(M1), 복수의 와이어 가이더들(WG1~WG4), 및 복수의 와이어 스톱퍼들(WS1~WS4)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W)는 단단한 특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W)는 철사를 여러 겹 꼬아 만든 밧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W)는 높은 강도를 가져 잘 끊어지지 않는다.
이동 제어부는 와이어(W)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 제어부(M1)는 다양한 에너지를 이용하여 와이어(W)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제어부(M1)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포함하여 기계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와이어(W)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와이어(W)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구비됨으로써, 모터의 회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이동 제어부(M1)는 열적 에너지, 전기적 에너지 등 다양한 에너지를 이용하여 와이어(W)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와이어 가이더들(WG1~WG4)은 바텀 샤시(12)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 가이더들(WG1~WG4)은 와이어(W)의 이동 경로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와이어(W)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각 와이어 가이더들(WG1~WG4)은 와이어(W)가 통과하는 관통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와이어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이동 제어부(M1)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관통홀의 크기는 와이어(W) 단면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 가이더들(WG1~WG4)은 단단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W)는 와이어 가이더들(WG1~WG4)을 통과하며 이동 제어부(M1)에 의해 이동한다.
복수의 와이어 스톱퍼들(WS1~WS4)은 와이어(W)에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 스톱퍼들(WS1~WS4)은 와이어(W)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 와이어 스톱퍼들(WS1~WS4)은 와이어(W)가 통과하는 와이어 가이더(WG1~WG4)의 관통홀보다 큰 크기를 가짐에 따라, 와이어 가이더(WG1~WG4)의 관통홀을 통과할 수 없다. 그 결과, 와이어 스톱퍼(WS1~WS4)가 와이어 가이더(WG1~WG4)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고, 와이어 스톱퍼(WS1~WS4)와 결합된 와이어(W)의 이동 역시 제한된다.
와이어 스톱퍼들(WS1~WS4) 사이의 배치 간격(d1’~d3’)은 와이어 가이더들(WG1~WG4) 사이의 배치 간격(d1~d3)보다 작을 수 있다. 배치 간격(d1’~d3’)이 상대적으로 작은 와이어 스톱퍼들(WS1~WS4)에 지속적으로 이동하는 힘이 가해지면, 와이어 스톱퍼들(WS1~WS4)의 이동을 제한하는 와이어 가이더들(WG1~WG4)의 배치 간격(d1~d3)이 와이어 스톱퍼들(WS1~WS4) 사이의 간격(d1’~d3’)으로 줄어들도록 곡률 가변 부재가 벤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제어부(M1)는 와이어 스톱퍼들(WS1~WS4)이 와이어 가이더들(WG1~WG4)을 통과하지 못함에 따라 와이어(W)의 이동이 제한됨에도, 지속적으로 와이어(W)를 이동시키는 힘을 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와이어(W)와 결합된 와이어 스톱퍼들(WS1~WS4)의 이동하려는 힘 때문에 와이어 스톱퍼들(WS1~WS4)의 이동을 방해하는 와이어 가이더들(WG1~WG4)에 일정한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와이어 스톱퍼들(WS1~WS4)은 와이어 가이더들(WG1~WG4) 사이의 배치 간격(d1~d3)이 와이어 스톱퍼들(WS1~WS4) 사이의 배치 간격(d1’~d3’)으로 줄어드는 방향으로 와이어 가이더들(WG1~WG4)에 일정한 힘을 가할 수 있다. 그 결과, 와이어 가이더들(WG1~WG4)이 형성된 바텀 샤시(12) 및 와이어(W)가 벤딩되어 곡률 가변 부재가 벤딩될 수 있다. 곡률 가변 부재가 벤딩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1)이 벤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곡률 가변 부재는 복수의 와이어 가이더들로서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WG1~WG4)를 포함하고, 복수의 와이어 스톱퍼들로서 제1 내지 제4 와이어 스톱퍼(WS1~WS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WG1~WG4)는 제1 내지 제4 와이어 스톱퍼(WS1~WS4)와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와이어 스톱퍼(WS1~WS4) 사이의 간격(d1’~d3’)은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WG1~WG4)의 간격(d1~d3)보다 작을 수 있다.
곡률 가변 부재는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WG1~WG4)에 의해 제1 내지 제3 벤딩 영역(R1~R3)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벤딩 영역(R1)은 제1 및 제2 와이어 가이더(WG1, WG2)에 의해 정의되며, 제2 벤딩 영역(R2)은 제2 및 제3 와이어 가이더(WG2, WG3)에 의해 정의되며, 제3 벤딩 영역(R3)은 제3 및 제4 와이어 가이더(WG3, WG4)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벤딩 영역(R1)은 제1 및 제2 와이어 가이더(WG1, WG2) 사이의 영역이며, 제2 벤딩 영역(R2)은 제2 및 제3 와이어 가이더(WG2, WG3) 사이의 영역, 제3 벤딩 영역(R3)은 제3 및 제4 와이어 가이더(WG3, WG4) 사이의 영역일 수 있다.
와이어(W)는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WG1~WG4)를 관통할 수 있다. 와이어(W)의 일단은 제4 와이어 스톱퍼(WS4)와, 타단은 제1 와이어 가이더(WG1)의 일측에 배치된 제1 이동 제어부(M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와이어 스톱퍼(WS1)는 제1 벤딩 영역(R1)에, 제2 와이어 스톱퍼(WS2)는 제2 벤딩 영역(R2)에, 제3 와이어 스톱퍼(WS3)는 제3 벤딩 영역(R3)에, 제4 와이어 스톱퍼(WS4)는 제3 벤딩 영역(R3)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동 제어부(M1)는 와이어(W)를 제1 방향(DR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와이어(W)와 결합된 제1 내지 제4 와이어 스톱퍼(WS1~WS4)도 함께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와이어(W)는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WG1~WG4)를 통과하지 못하는 제1 내지 제4 와이어 스톱퍼(WS1~WS4)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동 제어부(M1)는 와이어(W)를 제1 방향(DR1)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지속적으로 가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4 와이어 스톱퍼(WS1~WS4)는 제1 방향(DR1)에 위치한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WG1~WG4)에 일정한 힘을 가하여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WG1~WG4)가 구비된 곡률 가변 부재를 벤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WG1~WG4) 사이의 배치 간격(d1~d3)이 제1 내지 제4 와이어 스톱퍼(WS1~WS4) 사이의 배치 간격(d1’~d3’)으로 줄어들 수 있다. 곡률 가변 부재가 벤딩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1)이 벤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벤딩 영역(R1~R3)의 곡률은 제1 내지 제4 와이어 스톱퍼(WS1~WS4)의 배치 간격(d1’~d3’)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내지 제3 벤딩 영역(R1~R3)은 제1 내지 제4 와이어 스톱퍼(WS1~WS4)의 배치 간격(d1’~d3’)을 원호로 갖는 원의 곡률(l1~l3)을 갖도록 벤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벤딩 영역(R1~R3)의 곡률들(l1~l3)은 제1 내지 제4 와이어 스톱퍼(WS1~WS4) 사이의 배치 간격(d1’~d3’)에 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와이어 스톱퍼(WS1~WS4) 사이의 배치 간격(d1’~d3’)이 커질수록 제1 내지 제3 벤딩 영역(R1~R3)의 각 곡률들(l1~l3)은 커질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4 와이어 스톱퍼(WS1~WS4) 사이의 배치 간격(d1’~d3’)이 줄어들수록 제1 내지 제3 벤딩 영역(R1~R3)의 각 곡률들(l1~l3)은 줄어들 수 있다.
상술한 점에 따를 때, 제조사는 디스플레이 모듈(11)의 영역별 곡률(l1~l3) 설계 시, 스톱퍼들(WS1~WS4) 사이의 배치 간격(d1’~d3’)을 고려할 수 있다. 제조사는 스톱퍼들(WS1~WS4) 사이의 배치 간격(d1’~d3’)을 조정함으로써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디스플레이 모듈(11)의 영역별 곡률(l1~l3)을 결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3a는 보조 와이어 스톱퍼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언벤딩된 곡률 가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보조 와이어 스톱퍼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벤딩된 곡률 가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c는 방향 전환 기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언벤딩된 곡률 가변 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a 및 2b와 관련하여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며, 도 2a 및 2b와 관련하여 상술한 설명은 본 도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곡률 가변 부재는 보조 와이어 스톱퍼들(WS5~WS8) 및 제2 이동 부재(M2)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보조 와이어 스톱퍼들(WS5~WS8)은 곡률 가변 부재를 언벤딩하기 위하여 와이어(W) 상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보조 와이어 스톱퍼들(WS5~WS8) 역시, 와이어 스톱퍼들(WS1~WS4)과 유사하게 와이어(W)를 이동시키는 힘을 이용하여 곡률 가변 부재를 언벤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각 보조 와이어 스톱퍼들(WS5~WS8)의 크기는 와이어 가이더들(WG1~WG4)의 각 관통홀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보조 와이어 스톱퍼들(WS5~WS8) 사이의 배치 간격(d4~d6)은 와이어 가이더들(WG1~WG4) 사이의 배치 간격(d1~d3)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각 보조 와이어 스톱퍼들(WS5~WS8)은 각 와이어 가이더들(WG1~WG4)과 대응할 수 있다.
제2 이동 제어부(M2) 역시, 제1 이동 제어부(M1)와 유사하게 와이어(W)를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한다. 제2 이동 제어부(M2)는 제1 이동 제어부(M1)와 대향하여 배치되어 제1 방향(DR1)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DR2)으로 와이어(W)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로서, 곡률 가변 부재는 보조 와이어 스톱퍼들로서 제5 내지 제8 와이어 스톱퍼(WS5~WS8)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제5 와이어 스톱퍼(WS5)는 제1 벤딩 영역(R1)의 외측에, 제6 와이어 스톱퍼(WS6)는 제1 벤딩 영역(R1)에, 제7 와이어 스톱퍼(WS7)는 제2 벤딩 영역(R2)에, 제8 와이어 스톱퍼(WS8)는 제3 벤딩 영역(R3)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5 내지 제8 와이어 스톱퍼(WS5~WS8)는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WG1~WG4)와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제5 와이어 스톱퍼(WS5)는 제1 와이어 가이더(WG1)를 중심으로 제1 와이어 스톱퍼(WS1)와, 제6 와이어 스톱퍼(WS6)는 제2 와이어 가이더(WG2)를 중심으로 제2 와이어 스톱퍼(WS2)와, 제7 와이어 스톱퍼(WS7)는 제3 와이어 가이더(WG3)를 중심으로 제3 와이어 스톱퍼(WS3)와, 제8 와이어 스톱퍼(WS8)는 제4 와이어 가이더(WG4)를 중심으로 제4 와이어 스톱퍼(WS4)와 각각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이동 제어부(M1)에 의해 와이어(W)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WG1~WG4) 사이의 배치 간격(d1~d3)이 제1 내지 제4 와이어 스톱퍼(WS1~WS4) 사이의 배치 간격(d1’~d3’)으로 줄어듦에 따라, 곡률 가변 부재가 벤딩된다.
만일, 제2 이동 제어부(M2)에 의해 와이어(W)가 제1 방향(DR1)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DR2)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5 내지 제8 와이어 스톱퍼(WS5~WS8)는 제2 방향(DR2)에 배치된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WG1~WG4)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이때, 제2 이동 제어부(M2)는 와이어(W)를 제2 방향(DR2)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지속적으로 가할 수 있고, 제5 내지 제8 와이어 스톱퍼(WS5~WS8)는 제2 방향(DR2)에 위치한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WG1~WG4)에 일정한 힘을 가하여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WG1~WG4)가 구비된 바텀 샤시(12)를 언벤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1 내지 제4 와이어 스톱퍼(WS1~WS4) 사이의 배치 간격(d1’~d3’)과 실질적으로 동일했던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WG1~WG4) 사이의 배치 간격(d1~d3)은, 제5 내지 제8 와이어 스톱퍼(WS5~WS8) 사이의 배치 간격(d4~d6)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WG1~WG4) 사이의 배치 간격(d1~d3)은 제5 내지 제8 와이어 스톱퍼(WS5~WS8) 사이의 배치 간격(d4~d6)과 실질적으로 동일해질 수 있다. 곡률 가변 부재가 언벤딩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1)이 언벤딩될 수 있다.
곡률 가변 부재의 벤딩 상태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 바텀 샤시(12)의 형상 변형에 의해 제1 이동 제어부(M1)에 의한 힘이 작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곡률 가변 부재의 벤딩이 유지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를 대비해, 본 실시예는 곡률 가변 부재의 언벤딩 상태를 확보하기 위한 보조 와이어 스톱퍼들(WS5~WS8)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유저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모듈(11)의 벤딩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곡률 가변 부재는 와이어(W)를 이동시키는 힘을 이용해, 디스플레이 모듈(11)의 곡률을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수의 와이어 스톱퍼들및 와이어 가이더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 외에도 곡률 가변 부재는 복수의 와이어 가이더들로서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WG1~WG4)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와이어 스톱퍼들로서 제1 및 제2 와이어 스톱퍼(WS1, WS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와이어 스톱퍼(WS1, WS2)는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WG1~WG4) 중 어느 두 와이어 가이더에 각각 대응하여 와이어(W)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곡률 가변 부재는 도 3b에서의 제2 이동 제어부(M2) 대신, 방향 전환 기구(R)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 전환 기구(R)는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힘의 방향을 전환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이동 제어부(M1)가 제1 방향(DR1)으로 와이어(W)를 이동시키더라도, 방향 전환 기구(R)에 의해 와이어(W)는 영역별로 제1 및 제2 방향(DR1, DR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2 방향(DR2)으로 와이어(W)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이동 제어부(M2)는 생략될 수 있다.
와이어(W)의 일단 및 타단은 모두 제1 이동 제어부(M1)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각 와이어 가이더들(WG1~WG4)은 2개의 관통홀들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 와이어 가이더들(WG1~WG4)은 제1 이동 제어부(M1)로부터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와이어(W1)가 관통하기 위한 제1 관통홀들과, 방향 전환 기구(R)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와이어(W2)가 관통하기 위한 제2 관통홀들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또는 제2 방향(DR1, DR2)으로 연장된 와이어(W) 상에 제1 내지 제8 와이어 스톱퍼들(WS1~WS8)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c에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와이어(W2) 상에 제1 내지 제8 와이어 스톱퍼들(WS1~WS8)이 구비된 곡률 가변 부재를 기준으로 도시하였다.
제1 이동 제어부(M1)는 연결된 와이어(W)의 일단 또는 타단을 선택적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제1 내지 제8 와이어 스톱퍼들(WS1~WS8)이 구비된 와이어(W)를 제1 및 제2 방향(DR1, DR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내지 제8 와이어 스톱퍼들(WS1~WS8)이 구비된 와이어(W2)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함에 따라 곡률 가변 부재는 벤딩될 수 있으며, 제2 방향(DR2)으로 이동함에 따라 곡률 가변 부재는 언벤딩될 수 있음은 앞서 도 3a 및 3b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방향 전환 기구(R)는 와이어(W)의 이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방향 전환 기구(R)는 와이어(W)의 이동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 및 수단으로서 곡률 가변 부재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향 전환 기구(R)는 제3 벤딩 영역(R3) 외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이동 제어부(M1)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a는 곡률 유지부를 포함하는, 언벤딩된 곡률 가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곡률 유지부를 포함하는, 벤딩된 곡률 가변 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3c와 관련하여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며, 도 2a 내지 3c와 관련하여 상술한 설명은 본 도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곡면 가변 부재는 특정 벤딩 영역의 곡률을 유지하기 위한 곡률 유지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곡률 유지부(14)는 특정 벤딩 영역(R2)의 곡률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특정 벤딩 영역(R2)을 정의하는 와이어 가이더들(WG2, WG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곡률 유지부(14)는 상기 와이어 가이더들(WG2, WG3) 사이의 배치 간격(d2)을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특정 벤딩 영역(R2)의 곡률을 와이어(W)의 이동과 무관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곡률 유지부(14)의 폭은 와이어 가이더들(WG2, WG3) 사이의 배치 간격(d2)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률 가변 부재는 제2 벤딩 영역(R2)에 제2 및 제3 와이어 가이더(WG2, WG3) 사이의 배치 간격(d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곡률 유지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곡률 유지부(14)는 제2 및 제3 와이어 가이더(WG2, WG3) 사이의 배치 간격(d2)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와이어(W)의 이동과 무관하게 제2 벤딩 영역(R2)의 곡률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제1 이동 제어부(M1)가 와이어(W)를 이동시키는 힘에 의해 제1 및 제3 벤딩 영역(R1, R3)의 곡률(l1, l3)은 줄어드는 반면, 제2 벤딩 영역(R2)의 곡률(l2)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곡률 유지부(14)는 제2 및 제3 와이어 가이더(WG2, WG3)를 통과하는 와이어(W)가 관통하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곡률 가변 부재는 2개의 와이어 스톱퍼들(WS2, WS4)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곡률 가변 부재는 제2 및 제4 와이어 가이더(WG2, WG4)에 각각 대응하는 제2 및 제4 와이어 스톱퍼(WS2, WS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와이어 스톱퍼(WS2)는 제2 벤딩 영역(R2), 제4 와이어 스톱퍼(WS4)는 제3 벤딩 영역(R3)의 외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2 및 제4 와이어 스톱퍼(WS2, WS4)는 와이어(W)의 제1 방향(DR1)으로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곡률 가변 부재를 벤딩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곡률 가변 부재는 2개의 와이어 스톱퍼들(WS2, WS4)로서 제1 및 제3 와이어 가이더(WG1, WG3)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및 제3 와이어 스톱퍼(WS1, WS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할 때, 본 실시예의 곡률 가변 부재는 정면 방향 벤딩 영역(R2)의 곡률은 일정하게 유지한 채, 양측면 방향 벤딩 영역들(R1, R3)의 곡률(l1, l3)이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5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언벤딩된 곡률 가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벤딩된 곡률 가변 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4b와 관련하여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며, 도 2a 내지 4b와 관련하여 상술한 설명은 본 도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곡률 가변 부재는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지지부(15), 지지부(15)의 상측 및 하측에서 이동하는 와이어(W), 이동 제어부(M1), 방향 전환 기구(R), 복수의 와이어 가이더들(WG1~WG8) 및 복수의 와이어 스톱퍼들(WS1~WS8)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곡률 가변 부재는 지지부(1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5)의 일측에는 와이어(W)를 이동시키는 이동 제어부(M1), 타측에는 방향 전환 기구(R)가 구비될 수 있다. 와이어(W)는 방향 전환 기구(R)에 의해 지지부(15)의 상측 및 하측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부(15)의 하측에는 곡률 가변 부재의 벤딩을 위한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WG1~WG4)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5)의 상측에는 곡률 가변 부재의 언벤딩을 위한 제5 내지 제8 와이어 가이더(WG5~WG8) 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5 와이어 가이더(WG1, WG5), 제2 및 제6 와이어 가이더(WG2, WG6), 제3 및 제7 와이어 가이더(WG3, WG7), 제4 및 제8 와이어 가이더(WG4, WG8)는 상하 방향으로 일대일 대응하여 지지부(1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스톱퍼(WS1~WS4)는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WG1~WG4)에 각각 대응하여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WG1~WG4)를 통과하는 와이어(W2)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제5 내지 제8 와이어 스톱퍼(WS5~WS8)는 제5 내지 제8 와이어 가이더(WG5~WG8)에 각각 대응하여 제5 내지 제8 와이어 가이더(WG5~WG8)를 통과하는 와이어(W1)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와이어 스톱퍼(WS1~WS4) 사이의 배치 간격은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WG1~WG4) 사이의 배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5 내지 제8 와이어 스톱퍼(WS5~WS8) 사이의 배치 간격은 제5 내지 제8 와이어 가이더(WG5~WG8) 사이의 배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와이어 스톱퍼(WS1~WS4)는 곡률 가변 부재를 벤딩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5 내지 제8 와이어 스톱퍼(WS5~WS8)는 곡률 가변 부재를 언벤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제어부(M1)가 상측의 와이어(W1)를 제1 방향(DR1), 하측의 와이어(W2)를 제2 방향(DR2)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5 내지 제8 와이어 가이더(WG5~WG8)를 통과하지 못하는 제5 내지 제8 와이어 스톱퍼(WS5~WS8)에 의해 곡률 가변 부재는 언벤딩될 수 있다. 이동 제어부(M1)가 상측의 와이어(W1)를 제2 방향(DR2), 하측의 와이어(W2)를 제1 방향(DR1)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WG1~WG4)를 통과하지 못하는 제1 내지 제4 와이어 스톱퍼(WS1~WS4)에 의해 곡률 가변 부재는 디스플레이 모듈(11)의 정면 방향으로 오목하게 벤딩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반대 방향으로의 벤딩을 위하여 제5 내지 제8 와이어 스톱퍼(WS5~WS8) 사이의 배치 간격은 제5 내지 제8 와이어 가이더(WG5~WG8) 사이의 배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이동 제어부(M1)가 상측의 와이어(W1)를 제1 방향(DR1), 하측의 와이어(W2)를 제2 방향(DR2)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5 내지 제8 와이어 가이더(WG5~WG8)를 통과하지 못하는 제5 내지 제8 와이어 스톱퍼(WS5~WS8)에 의해 곡률 가변 부재는 디스플레이 모듈(11)의 정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벤딩될 수 있다.
도 6a 내지 6c는 복수의 곡률 가변 부재를 포함하는 바텀 샤시의 정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2개의 곡률 가변 부재들(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곡률 가변 부재들(13-1, 13-2)은 바텀 샤시(12)의 중심에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 곡률 가변 부재들은 하나의 이동 제어부(M1)를 공유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제어부(M1)가 곡률 가변 부재들의 각 와이어(W1, W2)를 이동시키는 힘에 의해 곡률이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곡률 가변 부재들(13-1, 13-2)은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1)이 수평 방향을 따라 벤딩될 수 있다. 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곡률 가변 부재들(13-1, 13-2)이 바텀 샤시(12)의 중심에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1)은 수직 방향을 따라 벤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4개의 곡률 가변 부재들(13-1~13-4)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2개의 곡률 가변 부재들(13-1, 13-2)은 바텀 샤시(12)의 상측에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나머지 2개의 곡률 가변 부재들(13-3, 13-4)은 바텀 샤시(12)의 하측에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4개의 곡률 가변 부재들(13-1~13-4) 역시 하나의 이동 제어부(M1)를 공유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제어부(M1)가 곡률 가변 부재들(13-1~13-4)의 각 와이어(W1~W4)를 이동시키는 힘에 의해 곡률이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곡률 가변 부재들(13-1~13-4)이 상/하 측에 각각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1)이 수평 방향을 따라 벤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곡률 가변 부재들(13-1~13-4)은 디스플레이 모듈(11)의 베젤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장치(10)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10)도 도 6b의 실시예와 같이, 4개의 곡률 가변 부재들(13-1~13-4)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곡률 가변 부재들은 도 6b의 실시예와 달리, ‘X’자 형상으로 바텀 샤시(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곡률 가변 부재들(13-1~13-4)이 벤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1)은 구 형상으로 벤딩될 수 있다.
이외에도, 표시 장치(10)의 다양한 벤딩 형상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곡률 가변 부재가 다양한 형상으로 바텀 샤시(12) 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표시 장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표시 장치
11: 디스플레이 모듈
12: 바텀 샤시
13: 곡률 가변 부재

Claims (18)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을 조절하는, 곡률 가변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납하며, 상기 곡률 가변 부재가 구비된, 바텀 샤시; 를 포함하되,
    상기 곡률 가변 부재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제1 이동 제어부;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며, 상기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의 이동 경로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와이어 가이더들; 및
    상기 와이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와이어 스톱퍼들; 을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 가이더들 사이의 배치 간격은 상기 와이어 스톱퍼들 사이의 배치 간격보다 큰,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와이어 가이더들은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관통홀을 구비한,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크기는 상기 각 와이어 스톱퍼들의 크기보다 작은,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제어부가 상기 와이어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에 의해 상기 곡률 가변 부재가 벤딩되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 가변 부재는 상기 복수의 와이어 가이더들에 의해 제1 내지 제3 벤딩 영역으로 구획되는,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와이어 가이더들은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와이어 스톱퍼들은 상기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 와이어 스톱퍼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벤딩 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가이더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제2 벤딩 영역은 상기 제2 및 제3 와이어 가이더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제3 벤딩 영역은 상기 제3 및 제4 와이어 가이더에 의해 정의되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스톱퍼는 상기 제1 벤딩 영역에,
    상기 제2 와이어 스톱퍼는 상기 제2 벤딩 영역에,
    상기 제3 와이어 스톱퍼는 상기 제3 벤딩 영역에,
    상기 제4 와이어 스톱퍼는 상기 제3 벤딩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벤딩 영역의 곡률은 상기 제1 내지 제4 와이어 스톱퍼 사이의 배치 간격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벤딩 영역의 곡률은 상기 제1 내지 제4 와이어 스톱퍼 사이의 배치 간격에 비례하는, 표시 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 가변 부재는,
    상기 각 와이어 가이더들에 대응하며, 상기 와이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보조 와이어 스톱퍼들; 및
    상기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제2 이동 제어부; 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 가이더들 사이의 배치 간격은 상기 보조 와이어 스톱퍼들 사이의 배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크기는 상기 각 보조 와이어 스톱퍼들의 크기보다 작은,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제어부가 상기 와이어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에 의해 상기 곡률 가변 부재가 언벤딩되는,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와이어 스톱퍼들은, 상기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에 각각 대응하는 제5 내지 제8 와이어 스톱퍼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5 와이어 스톱퍼는 상기 제1 와이어 가이더를 중심으로 대향하며,
    상기 제2 및 제6 와이어 스톱퍼는 상기 제2 와이어 가이더를 중심으로 대향하며,
    상기 제3 및 제7 와이어 스톱퍼는 상기 제3 와이어 가이더를 중심으로 대향하며,
    상기 제4 및 제8 와이어 스톱퍼는 상기 제4 와이어 가이더를 중심으로 대향하는, 표시 장치.
  1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을 조절하는, 곡률 가변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납하며, 상기 곡률 가변 부재가 구비된, 바텀 샤시; 를 포함하되,
    상기 곡률 가변 부재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이동 제어부;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며, 상기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의 이동 경로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 및
    상기 제2 및 제3 와이어 가이더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곡률 유지부;
    상기 와이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및 제2 와이어 스톱퍼;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 가변 부재는 상기 제1 내지 제4 와이어 가이더에 의해 제1 내지 제3 벤딩 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이동 제어부가 상기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힘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가이더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제1 벤딩 영역, 및 상기 제3 및 제4 와이어 가이더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제3 벤딩 영역의 곡률은 줄어들며, 상기 제2 및 제3 와이어 가이더에 의해 정의되는 제2 벤딩 영역의 곡률은 유지되는, 표시 장치.
  18.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을 조절하는, 곡률 가변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납하며, 상기 곡률 가변 부재가 구비된, 바텀 샤시; 를 포함하되,
    상기 곡률 가변 부재는,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측 및 하측에서 이동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이동 제어부;
    상기 와이어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 기구;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며, 상기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의 상면 및 하면에 일정한 배치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와이어 가이더들;
    상기 와이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와이어 스톱퍼들; 을 포함하되,
    각 와이어 스톱퍼들은 상기 복수의 와이어 가이더들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된 와이어 스톱퍼들 사이의 배치 간격은 상측에 배치된 와이어 가이더들 사이의 배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배치된 와이어 스톱퍼들 사이의 배치 간격은 하측에 배치된 와이어 가이더들 사이의 배치 간격보다 작은, 표시 장치.
KR1020150025955A 2015-02-24 2015-02-24 표시 장치 KR102292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955A KR102292955B1 (ko) 2015-02-24 2015-02-24 표시 장치
US14/804,955 US9516775B2 (en) 2015-02-24 2015-07-21 Flexibl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curvature changing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955A KR102292955B1 (ko) 2015-02-24 2015-02-24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600A KR20160103600A (ko) 2016-09-02
KR102292955B1 true KR102292955B1 (ko) 2021-08-26

Family

ID=5669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955A KR102292955B1 (ko) 2015-02-24 2015-02-24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16775B2 (ko)
KR (1) KR1022929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8076B (zh) * 2015-08-03 2020-01-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102511590B1 (ko) * 2016-05-02 2023-03-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607438B2 (en) * 2018-07-26 2020-03-31 Igt Electronic gaming machine with movable display device
KR102615050B1 (ko) * 2019-01-16 2023-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89783A (ko) 2019-01-17 2020-07-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90966A (ko) * 2020-12-23 2022-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89076A (ko) * 2021-12-13 202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55655A1 (en) 2011-12-19 2013-06-20 Moungyoub Lee Display apparatus
US20140268584A1 (en) 2013-03-18 2014-09-18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US20150009635A1 (en) 2013-07-02 2015-01-08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6710B2 (ja) 1996-07-12 1999-02-10 日本電気移動通信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20130100392A1 (en) 2010-06-29 2013-04-25 Sharp Kabushiki Kaisha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display device
KR101401196B1 (ko) * 2011-12-19 2014-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14283B1 (ko) 2012-04-17 2018-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률형 표시장치의 곡률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408301B2 (ja) 2012-06-29 2014-02-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048360B1 (ko) * 2013-05-02 2019-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가변 부재
WO2015160099A1 (en) * 2014-04-15 2015-10-22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CN103971608B (zh) * 2014-05-26 2016-05-1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曲面液晶显示装置
KR102293491B1 (ko) * 2014-07-23 2021-08-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377576B2 (en) * 2014-08-19 2016-06-28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Composite back cover and backlight module with adjustable curvature
US9690144B2 (en) * 2014-10-21 2017-06-27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Curved liquid crystal panel wherein stage differences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photo-spacers decrease from a center to boundaries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55655A1 (en) 2011-12-19 2013-06-20 Moungyoub Lee Display apparatus
US20140268584A1 (en) 2013-03-18 2014-09-18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US20150009635A1 (en) 2013-07-02 2015-01-08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49475A1 (en) 2016-08-25
US9516775B2 (en) 2016-12-06
KR20160103600A (ko) 2016-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2955B1 (ko) 표시 장치
KR102219510B1 (ko) 표시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곡률가변장치
EP2940552B1 (en) Adjustable display device
US10025347B2 (en) Display apparatus
KR10198998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98162B1 (ko) 롤러블 표시장치
US10458636B2 (en) Backlight sour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 backlight module, and a display device
US9454037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3915043B (zh) 显示器件
KR102293491B1 (ko) 표시 장치
KR102538382B1 (ko) 반사 저감을 위해 설계된 전자 디스플레이
KR20150125140A (ko) 가변형 표시장치 및 이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
US20140340856A1 (en) Display apparatus
JP2013257564A (ja) 表示装置
US9762844B2 (en) Display device and multi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493079B1 (ko) 표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16507765A (ja) 軸外配列内に編成された光変調画素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
US9684111B2 (en) Display apparatus
KR102246666B1 (ko) 가변형 표시장치
KR2014011718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04444B1 (ko)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35087B1 (ko)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4836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가변 부재
KR20160036154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303802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