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382B1 - 반사 저감을 위해 설계된 전자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반사 저감을 위해 설계된 전자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382B1
KR102538382B1 KR1020157035937A KR20157035937A KR102538382B1 KR 102538382 B1 KR102538382 B1 KR 102538382B1 KR 1020157035937 A KR1020157035937 A KR 1020157035937A KR 20157035937 A KR20157035937 A KR 20157035937A KR 102538382 B1 KR102538382 B1 KR 102538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splay
collimating
eye motion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0604A (ko
Inventor
에리코스 아마릴리오
요란다 란데스버그
Original Assignee
엘비트 시스템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비트 시스템스 엘티디. filed Critical 엘비트 시스템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60010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81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altering, e.g. enlarging, the entrance or exit pupi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3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microprismatic or micropyramidal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 G02B2027/01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comprising devices for attenuating parasitic image eff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1Adaptation to the pilot/driv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207/00Coding scheme for general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optical elements and systems of subclass G02B, but not including elements and systems which would be classified in G02B6/00 and subgroups
    • G02B2207/123Optical louvre elements, e.g. for directional light bloc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9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monitoring data relating to the user, e.g. head-tracking, eye-trac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전자 디스플레이로부터의 반사를 저감하는 광학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광학 시스템은 전자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마주하는 관찰자의 아이 모션 박스로 복수의 뷰잉 콘을 조향하여 상기 뷰잉 콘이 아이 모션 박스 평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도록 구성된 광 안내 매체를 포함할 수 있고, 뷰잉 콘은 관찰자가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로부터 나온 빛을 볼 수 있는 범위만의 기하학적 위치이다.

Description

반사 저감을 위해 설계된 전자 디스플레이{ELECTRIC DISPLAY DESIGNED FOR REDUCED REFLECTIONS}
본 발명은 전자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으로부터 저감된 수준의 반사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특정 응용 분야에서 LAD (Large Area Displays, 대영역 디스플레이) 를 도입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LAD 용으로 가장 요구되는 응용 분야 중 하나는 항공기의 조종석에 있다. 비행 정보, 운항 정보, 및 센서와 임무 정보를 나타내고자 하는 요구는 점점 증가하고 지속적이다. 전통적으로, 이와 같은 조종석에 대한 고전적인 해결 수단은 몇몇의 다기능 디스플레이 (Multi-Function-Displays, MFD) 를 이용하는 것이었다. 다수의 디스플레이를 설치한 결과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레이아웃 및 포맷이 매우 융통성없게 되었다.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주어질 때, 정보 포맷이 주어진다. 이러한 방법은 부가적인 이미지를 추가하는 것을 제한할 경향이 있다. 반면에 대영역 디스플레이의 도입은 구체적 요구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의 역동적인 할당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구체적 요구는 비행 단계에 따라 변화한다.
항공기 조종석 내에서 보다 대형의 디스플레이의 설치는 디스플레이에 의해 방출되는 빛을 증가시키고 항공기 캐노피로부터 반사되게 된다. 야간에는, 이러한 반사는 바람직하지 못한데, 상기 반사로 인해서 항공기 캐노피 외부의 어두워진 풍경의 시야가 어수선해지기 때문이다. 조종석 디스플레이 그리고 조종사 눈의 위치 설계 그리고 아이 모션 박스 (eye motion box) 는 디스플레이가 보일 수 있는 뷰잉 콘 (viewing cone) 을 규정한다. 뷰잉 콘을 넘어서 디스플레이로부터 방출된 빛은 차단되거나 심각하게 감소되어서 뷰잉 콘을 넘어서 디스플레이로부터 나온 빛을 보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는 점에 주목하는 것은 중요하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LAD (14) 를 포함하는 조종석 (10) 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LAD (14) 로부터 나온 광선 (14A, 14B, 14C) 은 바람직하지 않게 캐노피 (12) 에 의해 조종석 (10) 에 착석한 조종사 (22) 의 눈으로 반사되고 바람직하지 않은 광 클러터 (light clutter) 를 야기한다. 캐노피 (12) 의 독특한 기하학적 형상으로 인해, 부조종사 또는 항해사 (24) 가 조종사 (22) 와 동승할 때 도면부호 16A 및 16B 와 같은 LAD (12) 로부터의 반사가 보다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점은 보다 심각해지게 된다.
도 2a 및 도 2b 는 종래기술에 따른 앞서 언급한 반사에 대한 해결 과제를 설명하는 공지의 일 해결책을 도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20) 에서, 빛은 광 조향 요소 (light steering element) 에 의해 디스플레이로부터 기규정된 뷰잉 엔벨로프 (viewing envelope, 40) 로 조향된다. 전형적으로, 도 2b 에서 나타나는 뷰잉 콘은, 관찰자 (예를 들어, 조종사) 의 가능한 눈의 위치를 규정하는 아이 모션 박스 (30) 으로부터의 디스플레이 (20) 의 시야각 (φ1, φ2) 을 나타내는 가장 최악의 경우로 규정된다. 상기 뷰잉 콘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모든 단일 지점에 적용되고, 따라서 도 2b 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20) 로부터 방출된 빛은 아이 모션 박스 (30) 에 필요한 최소한 보다 더 큰 콘 (40) 을 지나가게 된다. 앞서 언급한 해결책은 단지 디스플레이 말단 영역 간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은 기존의 소영역 디스플레이에 대해 만족스럽게 제공될 수 있다.
도 3a 는 종래기술에 따른 반사 문제에 대한 또 다른 해결책을 나타낸다. 한 다발의 말단 형태의 예를 들어 도면부호 301, 302, 303 으로 나타나는 광섬유로 구성될 수 있는 광 조향 매체 (300) 가 뷰잉 콘 A, B, 및 C (304, 305, 306) 로 빛을 조향하기 위해 이용된다. 보이는 바와 같이, 좌측에서 디스플레이로부터 나온 빛 (또는 백라이트) 은 콘을 통해 우측의 관찰자로 조향되고 있다. 그러나, 광섬유를 통과하는 빛 유동의 개각도 (opening angle) 에서 제한적인 광섬유의 이용 및 광 조향 매체 (300) 의 최소 폭에 기인하여, 디스플레이가 LAD 인 경우 지정된 아이 모션 박스에서 콘 A, B, 및 C 의 오버랩을 얻는 것은 불가능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표면의 각 지점 상에서 상이한 뷰잉 각 (viewing angle) 으로 빛을 방출하고 실제 뷰잉 각으로 빛을 향하게 하는 것은 조종석에 위치한 LAD 에 있어서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에서 비롯되고 디스플레이를 둘러싼 캐노피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을 저감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은 전자 디스플레이, 및 복수의 뷰잉 콘을 지정된 치수를 갖는 아이 모션 박스로 조향하여 상기 뷰잉 콘이 아이 모션 박스 평면에서 중첩되도록 구성된 광 안내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그리고 어떻게 실시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전적으로 예시에 의한 것으로, 도면부호와 같은 부호가 해당 요소 또는 영역을 지정하는 첨부 도면에 참조 부호가 이하 마련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 양상을 도시하는 대영역 디스플레이의 예시적 환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 및 2b 는 종래기술에 따른 양상들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며;
도 3a 는 종래기술에 따른 일 양상을 도시하는 블럭도이고;
도 3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 양상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며;
도 4a 및 4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상들을 도시하는 블럭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양상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양상을 도시하는 블럭도이고;
도 7a 및 7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상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그리고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또 다른 양상을 나타내는 광학 도면이다.
도면과 함께 이하 상세한 설명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이 어떻게 실시될 수 있는지를 명확하게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구체적으로 참조하여, 개시된 세부 사항은 예시에 의한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도시적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리고 본 발명의 원리 및 개념적 측면의 설명을 가장 유용하고 용이하게 이해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것을 제공하기 위해 설명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초적인 이해를 위해 필요한 정도에 비해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구조적인 상세를 나타내고자 하는 어떠한 시도도 이루어져서는 안되며, 도면과 함께 상세한 설명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어떻게 본 발명의 다양한 유형이 실제로 실시될 수 있는지를 명확하게 할 것이다.
본 발명의 1 이상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이전에, 본 발명은 그 적용에 있어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제시되거나 도면에서 도시되는 구성 및 구성 요소의 배치의 상세 사항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 적용가능하거나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 또는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된 어법 및 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이고 제한적인 것으로서 여겨져서는 안된다는 점은 이해되어야 한다.
도 3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 양상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광 조향 매체를 갖는 디스플레이 (310) 가 전방에서 아이 모션 박스 (70) 를 향하는 뷰잉 콘 A', B' 및 C' 에서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콘은 상기 콘의 베이스에서 오버랩된다. 디스플레이 광 방출 각은 디스플레이 표면에서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표면 상의 모든 지점은 아이 모션 박스 (70) 와 일치하는 기규정된 각으로 빛을 방출한다. 명백히, 개별 뷰잉 콘 외부에서 빛이 최소화 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의 모든 빛은 조종사의 눈에 조명되고 최소의 빛이 캐노피에 닿게 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아이 모션 박스 (70) 과 일치되도록 공간적으로 다양하게 조명되는 디스플레이 콘이 디스플레이 표면을 넘어 제공된다. 이와 같은 개념의 다양한 구현예가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은 이해되어야 한다. 몇몇 비한정적 예시는 광 안내 포일, 또는 빛을 향하게 하는 백라이트의 사용을 포함한다.
도 4a 및 4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상들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디스플레이의 광 조향 매체 배열 (110A) 은 각각 지정된 각도로 기울어진 미세 루버 (120, micro louver) (연장된 표면이지만, 통상 직사각형일 필요는 없다) 의 1 차원 배열로서 실시될 수 있어 디스플레이로부터 나온 빛은 루버에 의해 각각 지정된 각 이외에서는 차단된다. 만약 루버가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따라 변화하는 뷰잉 각으로 이루어진다면 변화하는 뷰잉 각이 달성될 수 있다. 미세 루버 (120) 의 배열은 백라이트 (110) 및 LCD 셀 (130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아이 모션 박스 (70) 는 참고를 위해 나타내었다.
루버 크기, 위치 및 상이한 뷰잉 각의 방향성의 정확한 설계는 디스플레이 표면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루버는 매우 작고, 포일의 총 두께는 10분의 1 밀리미터 수준인 것은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축과 함께 층층이 중첩된 광 방출을 제어하기 위해 2 개의 (또는 그 이상의) 포일을 겹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광 방출의 제어는 몇몇의 축 (예를 들어 수직 및 수평) 내에 있게 된다.
루버와 유사한 방식으로 배치된 특별한 미세 프리즘 및 몇몇의 다른 광 안내 기법으로 빛을 안내하기 위한 별도의 방법이 달성될 수 있다.
전체 뷰잉 콘은 수평 및 수직 뷰잉 콘 모두에서 만족될 수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이는 1 이상의 광 안내 포일 층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시 설명하면, 2 개의 상이한 루버 포일, 즉 수직으로 빛을 안내하는 것 및 수평으로 안내하는 것은 요구되는 전체 뷰잉 콘 광 안내를 달성한다.
유익하게도, 완전히 최적화되고, 연속적으로 다양한 뷰잉 각에 대한 해결책의 이용은 구획별로 일정하게 광을 안내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디스플레이 표면은 2 이상의 구획으로 분할되고, 각 구획에서 상이한 광 안내가 실시될 수 있다.
루버에 대한 이전 예시에서, 루버 포일은 선택된 영역에 위치할 수 있고, 따라서 구획별로 광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광 안내 포일의 사용은 추가적으로 다양한 공간적 밝기를 갖는 백라이트로 보상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적으로 조정된 뷰잉 콘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은 2 개의 요소, 유효 시준 매체 (collimating medium) 및 이미징 광학계 조향 매체로 구성된 구조이다.
도 4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양상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여기서, 광학 채널 요소의 배열 (120A) 은 미세 루버의 2 차원적 배열이다. 배열 (120A) 은 평행 미세 루버의 제 1 세트 및 제 1 세트에 직교하는 평행 미세 루버의 제 2 세트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에서 나온 빛을 2 차원에서 아이 모션 박스 (130A) 로 안내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각각의 미세 루버는 지정된 각으로 기울어져 있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로부터 나온 빛은 루버에 의해 각각 지정된 각 이외에서는 차단되고 따라서 시준 매체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양상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광학 배치 (500) 는 광 경로를 나타내기 위해 이격된 요소들을 도시한다. 광학 레이아웃 (500) 은 이미징 광학계 (530) (광 조향 매체) 에 결합된 시준 매체 (520) 에 결합된 백라이트 매체 (510) 및 모두 아이 모션 박스 (70) 를 향하는 LCD 셀을 포함한다.
동작에 있어서, 시준 매체 (520) 는 백라이트 (510) 로부터 평행한 (시준된) 빛으로 광선을 조향시키거나 휘게 한다. 이미징 광학계 (530) 는 평행한 (시준된) 빛을 수용하고 이를 렌즈와 같은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자 (조종사) 를 향해 "초점을 맞추게 된다". 시준 요소는 유효하게 시준된 (평행한) 광선을 생성하는 어떠한 매체도 될 수 있다. 미세 렌즈 배열 포일 또는 플레이트와 같이, 백라이트 방출 구조로부터의 렌즈 거리와 동일한 초점거리를 갖는 렌즈와 같이 기능하는 어떠한 구조도 이를 달성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소수의 구멍을 갖는 광섬유 플레이트 또는 급격한 컷오프 각을 갖는 직교 루버 포일의 중첩 및 기타 등등과 같은 배면 (backside) 에 따른 출구 각을 제한하는 표준 구조로 생성될 수도 있다. 실제로, 시준은 소정의 분산을 허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아이 모션 박스로부터의 시야는 전체 디스플레이의 시야를 허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양상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여기서, 관찰자의 선택에 반응하거나 항공기 진로, 빛의 상태, 및 관찰자 선호도 또는 프로파일과 같은,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기규정된 파라미터에 자동적으로 기초하여, 관찰자 평면 (viewer plane) 이 시간에 따라 조정되거나 완전히 변화될 수 있는 것에 따라 동적 실시예가 제안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시스템은 광학 채널 요소 (620) 를 동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 (610A, 610B) 을 더 포함하고 그에 따라 이들을 통과한 빛은 제 2 관찰자 평면에 감지된다. 이는 원래의 관찰자 평면의 조정 또는 원래의 아이 모션 박스와 완전히 중첩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동적 실시예의 실시를 제한하지 않는 일례는 전자기계적 드라이버 (610A, 610B) 형태로 광 채널을 동적으로 변화하기 위한 수단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미세 루버 형태의 광학 채널 요소와 함께하는 것이다.
도 7a 및 7b 는 광 조향 매체를 실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상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광 안내와 관련한 분야에서 알려진 방법은 루버 포일 (700A, 700B) 의 이용이다. 이 포일은 빛을 특정 각도로만 통과시키도록 하는 불투명의 미세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빛은 루버 표면 (120) 에 대해 각도 φ 를 통해서만 통과할 수 있다. 루버의 치수가 뷰잉 각을 규정한다. 전형적인 루버 포일은 범용적으로 적용가능하고 일정하다. 따라서 방출된 빛은 디스플레이 표면을 통해 뷰잉 각으로만 안내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또 다른 양상을 나타내는 광학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미징 광학계 (830) 는 특별한 미세 구조화된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요소는 일반적으로 요소의 표면으로부터 지정된 거리 및 각도로 빛을 모을 수 있다. 이는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프레넬 렌즈 (Fresnel lens) 일 수 있고, 백라이트 표면 (810) 및 시준 매체 (820) 에 중심정렬되거나, 또는 수평적으로 또는 수직적으로 또는 양자 모두로 오프셋 될 수 있다. 보다 정교한 적용으로서 이는 1 이상의 초점 영역을 생성하는, 타원형, 쌍곡선형, 포물선형 및 기타 등등과 같은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홀로그래픽 포일과 같이, 동일한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다른 이미징 광학계가 역시 사용될 수도 있다. LCD 셀은 이미징 광학계 (830) 및 아이 모션 박스 (70) 사이에 위치한다.
유익하게도, 전자 디스플레이의 영역은 아이 모션 박스에 비해 10 배 이상 크다. 전자 디스플레이 및 관찰자 평면 사이에서 고 영역 비율을 유지함으로써, 반사의 저감은 가능하게 된다. 단지 관찰자의 눈에 의해 규정된 지역으로 관찰자 평면을 제한하기 위해 (작아진 관찰자 평면은 실용적이지 못하다), 더 높은 비율이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크기의 LCD 에 실용적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이점은 특히 항공기 조종석과 같은 높은 반사 환경에서의 LAD 에서 가장 두드러진다. 본 발명이 효과적일 수 있는 크기 비율은, 예를 들어, 1:10 및 그 이상이다 (아이 모션 박스 및 LCD 영역 간의 비를 나타낸다).
상기 설명에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또는 실시를 말한다. "일 실시예", "소정의 실시예" 또는 "몇몇 실시예" 와 같은 다양한 양태는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언급하는 것일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이 단일 실시예의 맥략으로 설명되었다고 할지라도, 상기 특징들은 역시 개별적으로 분할되거나 또는 소정의 적절한 조합으로 될 수 있다. 역으로, 여기서 명확성을 위해 분리된 실시예의 맥락으로 설명되었다고 할지라도, 본 발명은 물론 단일 실시예로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와 연결되어 설명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의미하는, "몇몇 실시예", "소정의 실시예", "일 실시예" 또는 "타 실시예" 에 대한 명세서 내의 참조부호는 본 발명의 적어도 몇몇 실시예에 포함되고, 모든 실시예에 포함될 필요는 없다.
여기에서 채용된 어법 및 용어는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단지 설명을 위한 목적이라는 점은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교시에 대한 원리 및 용법은 수반된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예시를 참조하여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시된 상세 사항은 본 발명의 적용에 대한 한정 사항으로 해석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 또는 실행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강조된 것 이외의 실시예로 실시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포함하다", "가지다", "구성하다" 라는 용어 및 이의 문법적 변화는 1 이상의 구성요소, 특징, 단계, 또는 정수 (integer) 또는 이들 집합의 부가를 제한하지 않으며 상기 용어는 구성요소, 특징, 단계 또는 정수를 명확히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또는 청구항에서 "추가적인" 요소를 언급한다면, 이는 하나의 추가적 요소 보다 더 많이 있는 것을 제한하지 않는다.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서 "어느 (a, an)" 라는 요소를 언급할 때 이러한 어구는 해당 요소가 단지 하나만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명세서에서 구성요소,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포함 "가능하다", 포함 "될 수 있다" 또는 포함 "할 수 있다" 라고 설명할 때, 특정 구성요소,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반드시 포함될 필요는 없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청구항 및 명세서에서 나타낸 설명, 예시, 방법 및 소재는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단지 설명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기술적 그리고 과학적 용어의 의미는,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것과 균등하거나 유사한 방법 및 소재로 시험 또는 연습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한된 수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다른 가능한 변형예, 수정예, 및 적용예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3)

  1. 백라이트, 시준 매체, 프레넬 렌즈 및 액정 표시 (LCD) 셀을 포함하는 전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준매체는 미세 렌즈 배열 또는 미세 루버 배열을 포함하고, 상기 시준매체는 상기 백라이트로부터의 거리와 동일한 초점 거리를 갖고 상기 백라이트 상에 초점을 갖고, 상기 시준 매체는,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를 마주하는 관찰자의 아이 모션 박스의 지정된 치수에 맞게 상기 백라이트의 출구각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백라이트에서 나온 빛을 시준된 빛의 콘으로 조향하고,
    상기 시준 매체는 시준된 빛의 콘의 분산을 허용하도록 설계되어, 상기 아이 모션 박스로부터의 시야가 전체 디스플레의 빛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프레넬 렌즈는 상기 시준 매체와 상기 LCD 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프레넬 렌즈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및 각도로 시준된 빛의 콘의 초점을 맞추도록 설계되고, 상기 아이 모션 박스의 평면이 그 경계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시준된 빛의 콘이 상기 아이 모션 박스에 의해 규정된 경계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을 보장하고,
    상기 프레넬 렌즈의 중심은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의 중심에 대해 오프셋되고,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는 대영역 디스플레이 (LAD) 인,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 모션 박스의 상기 지정된 치수는 제어가능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 모션 박스의 상기 지정된 치수는 기규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제어되는,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규정된 파라미터는 관찰자 선호도, 외부 빛의 상태, 및 항공기 진로를 포함하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 (LCD) 인,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준 매체는 각각이 지정된 각도로 기울어진 미세 루버의 1 차원 배열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로부터 나온 빛은 루버에 의해 각각 지정된 각 이외에서는 차단되는,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준 매체는 평행 미세 루버의 제 1 세트 및 상기 제 1 세트에 직교하는 평행 미세 루버의 제 2 세트를 포함하는 미세 루버의 2 차원 배열을 포함하고, 각각의 미세 루버는 지정된 각도로 기울어져 디스플레이로부터 나온 빛은 루버에 의해 각각 지정된 각 이외에서는 차단되는,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준 매체는 미세 프리즘 배열을 포함하고 각각의 미세 프리즘은 디스플레이로부터 나온 빛을 지정된 각도로 꺾도록 구성되어 디스플레이로부터 나온 빛은 관찰자 평면만으로 안내되는,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준 매체는 광 전환 요소 및 상기 광 전환 요소를 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요소 및 수단을 통해 안내된 빛은 동적으로 제어된 치수를 가지는 상기 아이 모션 박스에 감지되는, 시스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준 매체의 총 두께는 10분의 1 밀리미터인,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은 상기 아이 모션 박스의 영역에 비해 10배 이상 큰, 시스템.
KR1020157035937A 2013-05-19 2014-05-18 반사 저감을 위해 설계된 전자 디스플레이 KR102538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L226434A IL226434A (en) 2013-05-19 2013-05-19 Electronic display with reduced refunds
IL226434 2013-05-19
PCT/IL2014/050433 WO2014188411A1 (en) 2013-05-19 2014-05-18 Electronic display designed for reduced reflec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604A KR20160010604A (ko) 2016-01-27
KR102538382B1 true KR102538382B1 (ko) 2023-05-31

Family

ID=49328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937A KR102538382B1 (ko) 2013-05-19 2014-05-18 반사 저감을 위해 설계된 전자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33978B2 (ko)
EP (1) EP2999994A4 (ko)
JP (2) JP2016526184A (ko)
KR (1) KR102538382B1 (ko)
BR (1) BR112015026575B1 (ko)
IL (1) IL226434A (ko)
WO (1) WO20141884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2348B (en) * 2015-09-15 2019-04-17 Ford Global Tech Llc Windscreen display system
US10918322B2 (en) 2017-02-13 2021-02-16 Apple Inc. Light restriction designs in optical sensing applications having shared windows
DE102017120598A1 (de) 2017-09-07 2019-03-07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Head-up Display mit Diffusor für ein Fahrzeug
US10489613B2 (en) 2017-11-15 2019-11-26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light emissions of displays
US20190189062A1 (en) * 2017-12-19 2019-06-20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Light Emissions of Displays
US10684507B2 (en) 2018-03-19 2020-06-16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light emissions of displays
US11346993B1 (en) * 2020-04-22 2022-05-31 National Technology & Engineering Solutions Of Sandia, Llc Micro-lensed fiber optic plate and methods of forming thereof
EP4227932A1 (en) * 2020-09-29 2023-08-16 Mui Lab, Inc. Display panel and operation display panel
GB2624013A (en) * 2022-11-04 2024-05-08 Envisics Ltd Display system and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3951A (ja) * 2005-06-24 2007-01-11 Nec Corp 光学部材、光源装置、表示装置及び端末装置
JP2009217259A (ja) * 2008-02-21 2009-09-24 Sharp Corp 単一ビューディスプレイ
WO2009158647A2 (en) * 2008-06-26 2009-12-30 American Panel Corporation Channelized plate
US20110216407A1 (en) * 2008-11-10 2011-09-08 Seereal Technologies S.A. Lighting device for an autostereoscopic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5866A (en) 1980-12-10 1982-12-28 Invisible Optics Inc. Light masking device
JPH0623817B2 (ja) * 1985-07-18 1994-03-30 旭光学工業株式会社 液晶投写型画像表示装置
US4807965A (en) * 1987-05-26 1989-02-28 Garakani Reza G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viewing
CA2023264C (en) 1989-08-31 1995-03-21 John J. Ferrer Louvered reflective head-up display for automobiles
US5479276A (en) * 1994-07-19 1995-12-26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Sunlight enhanced backlight system for cockpit display
JPH08304741A (ja) * 1995-05-09 1996-11-22 Olympus Optical Co Ltd 回折光学素子を含む光学系
JP2002311425A (ja) * 2001-04-12 2002-10-23 Omron Corp 液晶表示装置
JP3733889B2 (ja) * 2001-10-05 2006-01-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4177924A (ja) * 2002-07-30 2004-06-24 Olympus Corp 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WO2004106982A2 (en) 2003-05-22 2004-12-09 Optical Research Associates Optical combiner designs and head mounted displays
JP2005234096A (ja) 2004-02-18 2005-09-02 Fuji Photo Film Co Ltd 表示装置
JP4924941B2 (ja) * 2006-10-13 2012-04-25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光学素子、照明光学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656055B2 (ja) * 2009-09-29 2015-01-21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光学素子の製造方法、光学素子用露光装置、光学素子、照明光学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8308329B1 (en) 2009-12-18 2012-11-13 Rockwell Collins, Inc. Directionalizing fiber optic plate
US8651726B2 (en) * 2010-11-19 2014-02-18 Reald Inc. Efficient polarized directional backlight
DE112012002308T5 (de) * 2011-05-31 2014-02-2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intergrundbeleuchtung und Flüssigkristallanzeigevorrichtung
US9505487B2 (en) * 2013-03-15 2016-11-29 The Boeing Company Control panel for use in controlling a large area displa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3951A (ja) * 2005-06-24 2007-01-11 Nec Corp 光学部材、光源装置、表示装置及び端末装置
JP2009217259A (ja) * 2008-02-21 2009-09-24 Sharp Corp 単一ビューディスプレイ
WO2009158647A2 (en) * 2008-06-26 2009-12-30 American Panel Corporation Channelized plate
US20110216407A1 (en) * 2008-11-10 2011-09-08 Seereal Technologies S.A. Lighting device for an autostereoscopic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26434A (en) 2015-02-26
BR112015026575A8 (pt) 2020-01-07
JP6995900B2 (ja) 2022-01-17
JP2020098362A (ja) 2020-06-25
JP2016526184A (ja) 2016-09-01
US11933978B2 (en) 2024-03-19
KR20160010604A (ko) 2016-01-27
US20160062114A1 (en) 2016-03-03
BR112015026575A2 (pt) 2017-07-25
WO2014188411A1 (en) 2014-11-27
EP2999994A4 (en) 2016-12-28
EP2999994A1 (en) 2016-03-30
IL226434A0 (en) 2013-09-30
BR112015026575B1 (pt)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8382B1 (ko) 반사 저감을 위해 설계된 전자 디스플레이
KR102348588B1 (ko) 멀티빔 회절 격자-기반 니어-아이 디스플레이
US10490140B2 (en) Light deflector and display apparatus
CN108323187B (zh) 广角成像定向背光源
US9097849B2 (en) Display device
EP3274761B1 (en) Display device with directional control of the output, and a backlight for such a display device and a light direction method
US919001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EP3243101A1 (en) Two-dimensional/three-dimensional (2d/3d) switchable display backlight and electronic display
US10171798B2 (en) Liquid crystal lenticular lens element, driving method therefor,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terminal device
WO2018123686A1 (ja) 画像表示装置
CN106062620B (zh) 用于定向背光源的光输入
US9599815B2 (en) Head-up display device
CN104247414A (zh) 自动立体显示设备和驱动方法
US10732407B1 (en) Near eye head up display system and method with fixed combiner
KR20210090281A (ko) 시프트 가능한 수렴 평면을 갖는 멀티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30779A (ko) 정적-이미지 증강 사생활보호 디스플레이, 모드-전환가능 사생활보호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KR101955333B1 (ko) 광 편향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10620362B2 (en) Display device with lightproof medium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EP4327157A1 (en) Hud system with reduced reflection and a method of reducing the reflection of a hud system
JP2019164289A (ja) 液晶素子、液晶装置及び表示装置
KR20190080311A (ko)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