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316B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316B1
KR102662316B1 KR1020220029244A KR20220029244A KR102662316B1 KR 102662316 B1 KR102662316 B1 KR 102662316B1 KR 1020220029244 A KR1020220029244 A KR 1020220029244A KR 20220029244 A KR20220029244 A KR 20220029244A KR 102662316 B1 KR102662316 B1 KR 102662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remote control
control device
modul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2113A (ko
Inventor
이혜승
안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9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316B1/ko
Priority to US17/742,501 priority patent/US20230292381A1/en
Priority to EP22173596.2A priority patent/EP4242995A1/en
Publication of KR20230132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3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20Binding and programming of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49Arrangements for indoor wireless networking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실시 예는, 제 1 UWB 모듈 및 제 1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IR 모듈, 제 2 UWB 모듈 및 제 2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페어링(pairing)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 3 UWB 모듈 및 제 3 블루투스 모듈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제 3 UWB 모듈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언페어링(unparing)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페어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REMOTE CONTROLLER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등이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의 일 예로,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시판되고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자발광 소자이기 때문에 액정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하여 백라이트가 없고 응답 속도, 시야각 등에서 장점이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집 안에 여러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보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거실 및 침실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거실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침실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를 개별적으로 구비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원격 제어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 예는, 제 1 UWB 모듈 및 제 1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IR 모듈, 제 2 UWB 모듈 및 제 2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페어링(pairing)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 3 UWB 모듈 및 제 3 블루투스 모듈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제 3 UWB 모듈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언페어링(unparing)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페어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제 2 UWB 모듈을 통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정보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 블루투스 지원 정보 및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지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제 1 UWB 모듈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IR 수신을 블락(block)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제 3 UWB 모듈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IR 수신을 블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제 3 UWB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제 3 UWB 모듈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가이드 창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언페어링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상기 IR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제 3 UWB 모듈 및 상기 제 3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언페어링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상기 IR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NFC 태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NFC 태그 수신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NFC 태그 수신부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언페어링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상기 IR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IR 모듈; UWB 모듈; 블루투스 모듈; NFC 태그;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하고,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언페어링하되,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정보는 네트워크 정보 및 블루투스 지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블루투스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언페어링하고, 상기 IR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NFC 태그 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단계;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언페어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정보는 네트워크 정보 및 블루투스 지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블루투스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언페어링하는 단계; 및 상기 IR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NFC 태그 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블루투스 기능을 제공하지 않거나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가이드 창을 출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이다.
도 14는 도 12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부(11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 입력부(130), 제어부(180), 디스플레이 모듈(150), 오디오 출력부(160) 및/또는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10)는 튜너부(111) 및 복조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면과 달리, 방송 수신부(11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 중,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부(11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너부(111)는 안테나(미도시) 또는 케이블(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튜너부(111)는 선택된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튜너부(111)는 선택된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튜너부(111)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8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1)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1)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12)는 튜너부(11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12)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1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8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 모듈(15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60)를 통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외부의 변화를 감지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여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음성센서(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습도계, 온도계 등),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센싱부(120)에서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상태를 점검하고 문제가 발생시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자체적으로 조정하여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80)에 제공되는 영상의 컨텐츠, 화질, 사이즈 등을 센싱부에서 감지한 시청자나, 주변의 조도 등에 따라 다르게 제어하여 최적의 시청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TV가 진보해감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탑재된 기능이 많아지고 센싱부(20) 또한 그와 함께 증가하고 있다.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30)는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베젤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자체에 외부로 노출된 물리적 형태의 버튼 형태의 입력부(130)는 최소화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많아지고 있다. 대신에 배면이나 측면에 최소의 물리적 버튼이 위치하고 터치패드나 후술할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을 통해 원격 제어장치(20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8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40)는 제어부(18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18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등은,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80) 내에 저장부(14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SDRAM 등)나,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인터페이스부(171)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복수의 픽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8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W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복수의 픽셀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 모듈(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3차원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무안경 방식과 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전면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 측면 등을 커버하며 디스플레이 모듈을 패키지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최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평면에서 더 나아가 곡면의 화면을 구현하기 위해 LED(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와 같이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이용할 수 있다.
종래에 주로 이용되던 LCD는 LCD가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어려워 백라이트 유닛을 통해 빛을 공급받았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과 광원에서 공급된 빛을 균일하게 전면에 위치하는 액정에 공급해주는 장치이다. 백라이트 유닛이 점점 얇아지면서 박형의 LCD를 구현할 수 있었으나, 백라이트 유닛을 휘어지는 소재로 구현이 어렵고 백라이트 유닛이 휘어지는 경우 액정에 균일한 빛의 공급이 어려워져 화면의 밝기가 변화하는 문제가 있다.
반면 LED나 OLED의 경우 픽셀을 이루는 소자가 각각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하지 않아 휘어지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각 소자가 자체발광 하므로 이웃하는 소자와의 위치관계가 달라지더라도 자체 밝기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LED나 OLED를 이용하여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구현할 수 있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은 2010년 중반에 본격적으로 등장하여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는 LCD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OLED는 형광성 유기활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자체발광 현상을 이용하여 만든 디스플레이로, 화질 반응 속도가 LCD에 비해 빨라 동영상을 구현할 때 잔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OLED는 자체 발광기능을 가진 적색(Red)과 녹색(Green), 청색(Blue) 등 세 가지의 형광체 유기화합물을 사용하며, 음극과 양극에서 주입된 전자(電子)와 양의 전하를 띤 입자가 유기물 내에서 결합해 스스로 빛을 발하는 현상을 이용한 발광형 디스플레이 제품이므로 색감을 떨어뜨리는 백라이트(후광장치)가 필요 없다.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 패널은 LED소자 하나를 하나의 픽셀로 이용하는 기술로서, 종래에 비해 LED소자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구현할 수 있다. 종래에 LED TV라 불리우던 장치는 LED를 LCD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이용한다는 것이지 LED자체가 화면을 구성하지 못했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표시패널과 표시패널 배면에 위치하는 결합마그넷, 제1 전원 공급부 및 제1 신호모듈을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복수 개의 픽셀들(R,G,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과 다수의 게이트라인들이 교차되는 영역마다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 또는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적색(Red, 이하 'R') 서브 픽셀, 녹색(Green, 'G') 서브 픽셀 및 청색 (Blue, 'B')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화이트(White, 이하 'W')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60)는 제어부(18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는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선방식뿐만 아니라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방식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방식의 일 예로 전술한 방송수신부(110)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방송신호뿐만 아니라 이동통신신호 근거리 통신신호, 무선인터넷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다양한 원격 제어 장치(200)와 통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유/무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전력(Bluetooth Low Energy; BLE), 직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와 같은 셀룰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과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는 ASIC과 같은 전용 장치(dedicated device)이거나 다른 하드웨어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튜너부(111), 복조부(112),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60)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튜너부(111)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2D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진폭 편이 변조(Amplitude Shift Keying; ASK)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변조(modulation) 및/또는 복조(demodulation)할 수 있다. 여기서,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은, 데이터 값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을 다르게 하여 신호를 변조하거나, 반송파의 진폭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값으로 복원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하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복조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와 같은 고유 식별자나, TCP/IP와 같은 복잡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영상표시장치와 간편하게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촬영부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 상부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8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80)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8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15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6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부품에 전원을 배분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 전원과 직접연결하여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배터리를 포함하여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유선의 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하며 이동이 어렵거나 이동 범위가 제한된다. 후자의 경우 이동이 자유로우나 배터리만큼의 무게가 증가하고 부피가 커지며 충전을 위해 일정시간 전원케이블과 직접 연결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거치부(미도시)와 결합해야 한다.
충전거치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접속할 수 있고, 또는 무선방식을 이용하여 근접하면 내장된 배터리가 충전될 수도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 제어 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nfrared Radiation) 통신,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위한 블록도일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후술하는 실시 예들은 원격 제어 장치가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2대 이상인 경우를 설명한다. 즉, 한 가정 내에 여러 대(다른 모델)의 TV를 보유한 사용자들이 늘어남에 따라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로 다른 공간에 위치한 TV를 각각 제어할 필요가 생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블루투스 기술, NFC 기술 및 UWB(Ultra Wide Band, 초광대역 무선기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블루투스 기술과 NFC 기술은 가까운 거리의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기술로 원격 제어 장치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NFC 기술은 원격 제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핸드오버(handover) 기술로써 사용될 수 있다. 또한, UWB 기술은 기존 주파수 대역에 비해 넓은 대역에 걸쳐 낮은 전력으로 대용량의 정보를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로 원격 제어 장치의 위치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기술, NFC 기술 및 UWB 기술에 대하여는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기재하지 않으나 이는 공지된 기술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시스템 내에서, 원격 제어 장치(200),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 및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의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는 UWB 기능 및 블루투스 기능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해당하고,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UWB 기능만이 작용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 및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각각 다른 기능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는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NFC 태그, UWB 모듈, 블루투스 모듈, IR 모듈, 메모리,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만,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모듈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NFC 태그는 NFC 통신 기술을 수행하기 위한 태그에 대응할 수 있다. NFC 통신 기술은, 근거리에서 이루어지는 태깅(Tagging) 방식을 이용하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수행하고, NFC는 무선태그 기술 중 하나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이다.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해 주목 받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 기술이고, 데이터 읽기와 쓰기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등 기존의 근거리 통신 기술과 비슷하지만 블루투스처럼 기기 간 설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UWB 모듈은 사무실이나 가정과 같은 한정된 공간에서 PC, 주변기기, 가전제품과 무선으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기술을 말한다. UWB 모듈은 특성상 짧은 펄스를 이용하여 통신하며, 매우 낮은 전력 밀도와 500MHz 내외의 넓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10m 이내의 근거리에서 수백 Mbps의 초고속 정보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블루투스 모듈은, 원격 제어 장치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블루투스는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의 하나로, 2.45GHz 주파수를 이용하여 반경 10~100m 범위 안에서 각종 전자, 정보통신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제어하는 기술규격을 말한다. 가정이나 사무실 내에 있는 컴퓨터, 프린터, 휴대폰, PDA 등 정보통신기기는 물론 각종 디지털 가전제품 간의 통신에 물리적인 케이블 없이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후술하는 페어링을 수행하는 동작은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수행됨을 전제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은 IR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고, 메모리는 원격 제어 장치가 NFC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 및 블루투스 정보 등을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정보 및 제어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 도 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또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 및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한 것을 전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원격 제어 장치(200)가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에게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하면,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의 블루투스 수신부(203)는 블루투스 커널(204)을 통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의 여러가지 신호를 각각의 모듈에게 전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버튼 입력 신호, 커서 입력 신호에 대한 제어 신호는 MRCU 서비스 모듈(MRCU service module, 205)을 통하여 인풋 매니저(input manager, 209)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에서, MRCU는 매직 모션 리모컨(magic motion remote controller) 또는 매직 리모컨(magic remote controller)이라고 부르며, PC 마우스처럼 커서나 휠 동작으로 동작을 인식하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의미한다. 특히,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음성 인식이 가능하며, 아마존 알렉사(amazon alexa), 구글 어시스턴트(google assistant), 엘지 씽큐(LG ThinQ)와 같은 음성 인식이 가능하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한 음성 인식의 경우,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의 보이스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마이크 부분에 제어 명령어를 발화하고, 해당 명령어가 보이스 컨덕터(207) 및 보이스 퍼포머(voice performer, 208)를 통하여 CIS(content interaction service, 210)가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서, 보이스 퍼포머(208)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는 보이스 인풋 모듈(voice input module, 206)을 통하여 보이스 컨덕터(voice conductor, 207)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의 보이서 퍼포머(208) 및 인풋 매니저(209)를 통하여 CIS(210)에 전달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의 CIS(21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의 CIS(211)에게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CIS(211)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에게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는 포함된 다양한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제어 신호를 판단 및 분석하며, 이 결과를 네트워크를 통해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수신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와 페어링된 원격 제어 장치(200)를 제어하는 것으로써 페어링되지 않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를 제어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이는 후술하는 실시 예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원격 제어 장치(200)는 UWB 통신, 블루투스 통신 및 NFC 통신이 모두 가능한 상태를 가정한다.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만이 UWB 통신 여부, 블루투스 통신 여부 및 NFC 통신 여부가 달라지게 되며, 각각의 경우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200)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설명하는 TV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한 종류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상황을 가정한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는 거실에 위치하고,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침실에 위치한 경우를 가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는 UWB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고,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 역시 UWB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한 상태를 가정한다.
즉,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가 모두 UWB 통신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이다.
이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와 원격 제어 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페어링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가 UWB 모듈을 통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를 감지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감지하는 경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의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원격 제어 장치(200)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해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를 향해 아무 버튼이나 누를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의 정보는 네트워크 정보, 블루투스 지원 정보 및 원격 제어 장치(200) 지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UWB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원격 제어 장치(200)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로부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의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와의 페어링을 위해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와 페어링을 해제, 즉, 언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원격 제어 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 및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의 거리에 기초하여 어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언페어링을 수행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언페어링은 페어링을 해제하는 동작과 동일하다.
이후,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에게 페어링을 요청할 수 있고,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이에 응답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도중,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IR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IR 신호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IR 모듈을 통하여 생성된 신호이며, 블루투스 통신과 무관하기 때문에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 및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가 모두 I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의 UWB 모듈이 원격 제어 장치(200)를 감지하는 경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IR 수신을 블락할 수 있다. 반면,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의 UWB 모듈이 원격 제어 장치(200)를 감지하는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는 IR 수신을 블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UWB 모듈은 원격 제어 장치(200)가 근처에 있는지 알 수 있기 때문에,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 근처에 원격 제어 장치(200)가 있는 경우에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IR 수신을 블락하여, 사용자가 실수로 IR 신호(예를 들어, 전원 버튼)를 전송하더라도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에는 영향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이다. 이하,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401)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원격 제어 장치는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402)에서, 원격 제어 장치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향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 신호는 원격 제어 장치에 포함된 버튼을 누르거나 포인팅을 하는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단계(S403)에서,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UWB 모듈을 통하여 원격 제어 장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원격 제어 장치에게 네트워크 정보, 블루투스 지원 정보, 원격 제어 장치 지원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S404)에서, 원격 제어 장치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블루투스 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확인하는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게 언페어링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S405)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원격 제어 장치는 언페어링을 수행한다.
단계(S406)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언페어링된 원격 제어 장치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게 페어링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S407)에서,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원격 제어 장치에게 요청된 페어링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고, 단계(S408)에서,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원격 제어 장치는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의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상황을 가정한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는 거실에 위치하고,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침실에 위치한 경우를 가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는 UWB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고,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UWB 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나,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 경우를 가정한다. 또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와 원격 제어 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페어링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UWB 모듈을 통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가 UWB 모듈을 통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를 감지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감지하는 경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의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와 원격 제어 장치(200)는 페어링 가능 여부를 확인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게 네트워크 연결 여부 정보를 전송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원격 제어 장치(200)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가 동일한 와이파이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 만약,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을 요청하는 가이드 창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7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에 대한 제어 신호를 통해,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한 좌표, 키, 음성 신호 등을 패킷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 및 원격 제어 장치(200)와의 관계에서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의 해상도에 맞는 도메인의 (x, y) 좌표를 가지고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한 커서를 출력한다. 이때,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와 원격 제어 장치(200)는 상대 좌표로 동작하기 때문에,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는 그 좌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는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이에 따라, 실제로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에게 전달하여 커서를 출력하고,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지만,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하여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를 직접 제어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원격 제어 장치(200)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를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를 통하여 제어하고 있는 경우에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IR 신호(전원 버튼)를 통하여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의 전원이 꺼지더라도,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는 네트워크 기능은 사용할 수 있는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 또는 AR 모드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이다. 이하,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S601)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원격 제어 장치는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602)에서, 원격 제어 장치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향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 신호는 원격 제어 장치에 포함된 버튼을 누르거나 포인팅을 하는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단계(S603)에서,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UWB 모듈을 통하여 원격 제어 장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원격 제어 장치에게 네트워크 정보, 블루투스 지원 정보, 원격 제어 장치 지원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원격 제어 장치에게 블루투스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S604)에서,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를 설명하는 가이드 창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7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S605)에서, 원격 제어 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게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로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S606)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일한 네트워크(동일한 액세스 포인트)를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S606)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일한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단계(S607)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바이패스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바이패스 모드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무시하고, 단계(S608)와 같이,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단계(S608)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정보(예를 들어, 커서 좌표, 키, 음성 신호 등)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가이드 창을 출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특히, 도 7의 (a)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가이드 창(70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창(700)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이드 창(700)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해당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로부터 Yes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를 연결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설정 메뉴(701)를 통하여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설정을 미리 입력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기존의 설정 메뉴 중 one remote control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one remote control 메뉴를 활성화해 놓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자동으로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의 실시 예는 도 5와 달리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8를 참조하면,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는 원격 제어 장치(200)와 페어링을 수행한다. 이후,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가 UWB 모듈을 통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를 감지하는 경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게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가 블루투스 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며, 네트워크에도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게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알릴 수 있다.
즉,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 및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 중 적어도 하나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 및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와 원격 제어 장치(200)는 언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원격 제어 장치(200)는 IR 모듈을 이용하여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를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IR 신호밖에 남지 않았기 때문에,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와의 페어링을 끊고,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를 IR 신호로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이다. 이하,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S901)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원격 제어 장치는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902)에서, 원격 제어 장치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향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S903)에서,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UWB 모듈을 통하여 원격 제어 장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원격 제어 장치에게 네트워크 정보, 블루투스 지원 정보, 원격 제어 장치 지원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원격 제어 장치에게 블루투스 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알릴 수 있다.
단계(S904)에서,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도 7의 (a) 또는 (b)와 같은 가이드 창을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할 것을 요청하거나 one remote control 메뉴를 통하여 원격 제어 장치를 공유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S905)에서, 원격 제어 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게 one remote control을 요청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 제어 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게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사용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S906)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 예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S907)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원격 제어 장치와 언페어링할 수 있다.
단계(S908)에서, 원격 제어 장치는 IR 신호를 이용하여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의 실시 예는 상술한 실시 예와 달리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가 UWB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를 가정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는 원격 제어 장치(200)와 페어링을 수행한다. 이때,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UWB 모듈이 없기 때문에 원격 제어 장치(200)를 감지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음을 원격 제어 장치(200)에게 알릴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도 5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에 대한 제어 신호를 통해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이다. 이하,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S1101)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원격 제어 장치는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원격 제어 장치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듈이 없기 때문에, 단계(S1102)에서, 도 7의 (a) 또는 (b)와 같은 가이드 창을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사용자에게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할 것을 요청하거나 one remote control 메뉴를 통하여 원격 제어 장치를 공유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도 11의 실시 예는 사용자가 one remote control 메뉴를 통하여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단계(S1103)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one remote control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단계(S1104)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의 실시 예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S1104)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일한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단계(S1105)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바이패스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단계(S1106)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정보(예를 들어, 커서 좌표, 키, 음성 신호 등)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의 실시 예는 도 10과 달리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는 원격 제어 장치(200)와 페어링을 수행한다.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UWB 모듈이 없기 때문에 원격 제어 장치(200)를 감지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게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알릴 수 있다. 즉,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 및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 중 적어도 하나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 및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와 원격 제어 장치(200)는 언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원격 제어 장치(200)는 IR 모듈을 이용하여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를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IR 신호밖에 남지 않았기 때문에,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와의 페어링을 끊고,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를 IR 신호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하, 도 13은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네트워크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의 연결이 끊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도 14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은 도 12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이다. 이하,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S1301)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원격 제어 장치는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원격 제어 장치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듈이 없기 때문에, 단계(S1302)에서, 도 7의 (a) 또는 (b)와 같은 가이드 창을 출력할 수 있다.
단계(S1303)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one remote control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단계(S1304)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2의 실시 예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S1305)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원격 제어 장치와 언페어링할 수 있고, 단계(S1306)에서, 원격 제어 장치는 IR 신호를 이용하여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13의 실시 예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던 도중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진 것으로,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진 것을 원격 제어 장치가 알 수 있기 때문에,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을 해제하고, IR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2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이다. 이하,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계(S1401)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원격 제어 장치는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1402)에서,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원격 제어 장치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듈이 없기 때문에, 도 7의 (b)와 같은 가이드 창을 출력할 수 있다.
단계(S1403)에서,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S1404)에서,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에게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언페어링을 가이드하는 창을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직접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에게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원격 제어 장치를 언페어링할 수 없다. 따라서,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원격 제어 장치와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언페어링 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S1405)에서, 원격 제어 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게 언페어링을 요청할 수 있다. 이후, 단계(S1406)에서, 원격 제어 장치는 IR 신호를 이용하여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5의 실시 예에서, 원격 제어 장치(200)는 NFC 태그를 포함하고,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NFC 태그 수신부를 포함하는 실시 예를 가정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와 원격 제어 장치(200)는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의 NFC 태그 수신부에 태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뒷면에 NFC 태그 수신부가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감지할 수 있고, 원격 제어 장치(200)에게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게 네트워크 연결 여부를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에 대한 제어 신호를 통해,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6은 도 15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이다. 이하,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계(S1601)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원격 제어 장치는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1602)에서, 원격 제어 장치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NFC 태그 수신부에 NFC를 태깅할 수 있다.
단계(S1603)에서,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NFC 태그 수신부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를 인식하고,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S1604)에서,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one remote control 가이드 창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단계(S1605)에서, 원격 제어 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게 one remote control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S1606)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일한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단계(S1607)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바이패스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단계(S1608)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정보(예를 들어, 커서 좌표, 키, 음성 신호 등)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7은 도 15와 달리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와 원격 제어 장치(200)는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의 NFC 태그 수신부에 태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감지할 수 있고, 원격 제어 장치(200)에게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알릴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에게 네트워크 연결 여부를 알릴 수 있다. 이후,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는 원격 제어 장치와 페어링을 해제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1)와 페어링이 해제된 원격 제어 장치(200)는 IR 신호를 이용하여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7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이다. 이하,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단계(S1801)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원격 제어 장치는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1802)에서, 원격 제어 장치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NFC 태그 수신부에 NFC를 태깅할 수 있다.
단계(S1803)에서,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NFC 태그 수신부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를 인식하고,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원격 제어 장치에게 알릴 수 있다.
단계(S1804)에서, 원격 제어 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게 one remote control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S1805)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S1806)에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원격 제어 장치와 언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1807)에서, 원격 제어 장치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IR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를 통하여, 하나의 원격 제어 장치만으로 여러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마다 원격 제어 장치를 별도로 페어링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원격 제어 장치의 매직 리모컨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매직 리모컨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0: 방송수신부
111: 튜너부
112: 복조부
120: 센싱부
130: 입력부
140: 저장부
150: 디스플레이 모듈
160: 오디오 출력부
170: 인터페이스부
171: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
17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73: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
190: 전원 공급부
200: 원격 제어 장치

Claims (19)

  1. 제 1 UWB 모듈 및 제 1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IR 모듈, 제 2 UWB 모듈 및 제 2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제 3 UWB 모듈을 포함하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페어링(pairing)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제 3 UWB 모듈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감지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제 2 UWB 모듈을 통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정보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 블루투스 지원 정보 및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지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 3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언페어링(unparing)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페어링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제 3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요청 신호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제 1 UWB 모듈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IR 수신을 블락(block)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제 3 UWB 모듈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IR 수신을 블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가이드 창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언페어링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상기 IR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NFC 태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NFC 태그 수신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NFC 태그 수신부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언페어링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상기 IR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12. IR 모듈;
    UWB 모듈;
    블루투스 모듈;
    NFC 태그;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하고,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언페어링하되,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정보는 네트워크 정보 및 블루투스 지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블루투스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블루투스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요청 신호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다비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언페어링하고,
    상기 IR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NFC 태그 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16.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단계;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언페어링하되,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정보는 네트워크 정보 및 블루투스 지원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블루투스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단계;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블루투스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요청 신호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다비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7. 삭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언페어링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IR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NFC 태그 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20029244A 2022-03-08 2022-03-0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KR102662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244A KR102662316B1 (ko) 2022-03-08 2022-03-0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US17/742,501 US20230292381A1 (en) 2022-03-08 2022-05-12 Remote controller and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EP22173596.2A EP4242995A1 (en) 2022-03-08 2022-05-16 Remote controller and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244A KR102662316B1 (ko) 2022-03-08 2022-03-0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113A KR20230132113A (ko) 2023-09-15
KR102662316B1 true KR102662316B1 (ko) 2024-04-30

Family

ID=8210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244A KR102662316B1 (ko) 2022-03-08 2022-03-0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92381A1 (ko)
EP (1) EP4242995A1 (ko)
KR (1) KR10266231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82017A1 (en) * 2020-03-06 2021-09-09 Sling Media Pvt. Lt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remote control units and paired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8501A (ko) * 2013-09-06 2015-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 방법
KR102482549B1 (ko) * 2016-01-11 2022-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20220023592A (ko) * 2020-08-21 2022-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및 그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82017A1 (en) * 2020-03-06 2021-09-09 Sling Media Pvt. Lt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remote control units and paired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92381A1 (en) 2023-09-14
EP4242995A1 (en) 2023-09-13
KR20230132113A (ko) 202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75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채널 설정방법
KR102508148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컬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662316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KR2023017164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40044033A (ko)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2147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432909B2 (en) Digital signage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same
KR20240016688A (ko)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20240025308A (ko) 전자 장치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EP4212984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75646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6599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20240064461A1 (en) Movable tv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4001890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30094106A1 (en) Sound output equipment and display device
KR20240012847A (ko) 메타버스 기반 플랫폼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KR20240013775A (ko)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1833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0921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1134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0921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59342A (ko) 마이크로 led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20230075624A (ko)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23829A (ko) 이동 가능한 tv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4690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