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033A -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033A
KR20240044033A KR1020220123254A KR20220123254A KR20240044033A KR 20240044033 A KR20240044033 A KR 20240044033A KR 1020220123254 A KR1020220123254 A KR 1020220123254A KR 20220123254 A KR20220123254 A KR 20220123254A KR 20240044033 A KR20240044033 A KR 20240044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 code
display device
remote controller
displa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일
안상진
이장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3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033A/ko
Priority to PCT/KR2023/011236 priority patent/WO2024071634A1/ko
Publication of KR20240044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03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84Client identification by a unique number or address, e.g. serial number, MAC address, socket 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주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스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리모트 컨트롤러의 커스텀 코드(custom code)를 변경하기 위한 옵션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옵션의 선택에 따라, 변경된 커스텀 코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변경된 커스텀 코드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DEVICE BEING CONTROLLED BY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에 의해 제어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예를 들어, TV 등등)에 관한 것이다. 특히, 커스텀 코드(custom code)를 사용하여 리모컨 IR 신호를 송수신 하는 어떠한 타입의 디바이스에도 적용 가능하다.
코로나 팬더믹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과 재택 근무와 같은 새로운 작업 환경(Working Style)이 정착됨에 따라, 가정내 TV 보유 대수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방마다 TV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최근 공개된 스탠바이미와 같은 이동형 TV가 거실 TV 주변에 설치되는 경우도 존재한다.
한편, 제조사에서 판매하는 제품에 포함되어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는 해당 제조사의 기기만 인식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특정 커스텀 코드(custom code)를 출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동일한 커스텀 코드를 사용하는 경우, 이로 인하여 동일한 제조사의 기기가 오동작을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L 회사가 판매하는 TV의 전원은 켜기 위해, 리모트 컨트롤러의 파워(power) 키를 누르면, TV 뿐만 아니라 L 회사가 판매하는 다른 TV 또는 모니터의 전원도 동시에 꺼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물론, 최근 TV 및 STB 등의 리모컨 연동 방식은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프로토콜 기반으로 설계되어 있다(그러나, 중저가 TV 리모컨의 경우, 여전히 전통적인 방식의 IR(적외선) 프로토콜 기반 리모컨이 사용된다). 다만, 블루투스 페어링이 가능한 리모컨인 경우에도, TV와 페어링 전에는 모든 버튼이 IR 방식으로 동작하며, 페어링 후에도 전원 버튼은 IR 방식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어떠한 형태의 리모컨이든 동일 회사 제품인 경우, 동일한 커스텀 코드(custom code) 전송으로 의도치 않게 복수개의 디바이스가 함께 제어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하나의 리모컨이 의도치 않게 복수개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당해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커스텀 코드(custom code)는, 예컨대 특정 회사나 제품을 구분하기 위한 명령 코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특정 회사의 TV 리모컨은 (0x04, 0xFB) 또는 “04FB” 커스텀 코드를 실어서 IR 적외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정해진 커스텀 코드는 변하지 않고, 다만 IR 적외선 신호의 특성상 불특정 다수의 디바이스에 전송될 수 있으므로, 근접한 동일 제조사의 제품들이 의도치 않게 동시에 제어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제조사의 제1 TV(110) 및 제2 TV(120)가 근접하여 설치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제1 TV(110)에 대응하는 제1 리모컨(111)을, 제1 TV(110)에 향한 상태로, 임의의 버튼을 누르면, 제1 TV(110) 뿐만 아니라 제2 TV(120)도 동일하게 반응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제2 TV(120)에 대응하는 제2 리모컨(121)을, 제2 TV(120)에 향한 상태로, 임의의 버튼을 누른 경우에도, 제1 TV(110) 뿐만 아니라 제2 TV(120)도 동일하게 반응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블루투스 기능이 탑재된 리모컨의 경우에도, 전원키는 반드시 IR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TV 가 켜져 있으면, 블루투스 등 RF로 동작하지만, TV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BT 블루투스 모듈도 오프되어 있기 때문에, 리모컨의 IR 적외선 신호로만 TV를 켤 수가 있다.
이로 인하여, 실제 가정내에서 다음과 같은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제조사의 TV가 거실과 안방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안방에 설치된 TV만을 조작하고자 리모컨의 버튼을 누른 경우, 안방에 설치된 TV 뿐만 아니라 거실에 설치된 TV도 동일하게 반응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2개 디바이스간 거리가 근접할수록 문제점이 보다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며, 특히 커스텀 코드 변경을 통해, 인접한 복수개의 동일 제품군(예를 들어, 동일한 제조사에서 판매)을 별도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인접하는 복수개의 디바이스들이 서로를 인식하도록 어드버타이징(advertising)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황을 가정하고, 이 때 커스텀 코드를 변경하는 프로세스를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복수개의 디바이스들이 이미 동일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고, 이 때 커스텀 코드를 변경하는 프로세스를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
물론, 당업자는 당해 명세서 전체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주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스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리모트 컨트롤러의 커스텀 코드(custom code)를 변경하기 위한 옵션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옵션의 선택에 따라, 변경된 커스텀 코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변경된 커스텀 코드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예를 들어, 상기 수신된 기기 정보의 커스텀 코드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커스텀 코드가 동일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커스텀 코드를 변경하기 위한 옵션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기 정보는, 예를 들어, 제조사를 식별하기 위한 제1정보 또는 디바이스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제2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주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스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리모트 컨트롤러의 커스텀 코드(custom code)를 변경하기 위한 옵션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와, 그리고 상기 옵션의 선택에 따라, 변경된 커스텀 코드를 설정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변경된 커스텀 코드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멀티리모컨 자동 설정을 활성화 하기 위한 옵션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옵션이 선택된 경우, 동일 네트워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수신된 기기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커스텀 코드가 동일한 특정 그룹의 외부 디바이스에게 변경된 커스텀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그룹에 속하는 외부 디바이스 각각의 커스텀 코드는 모두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동일 네트워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 보다 낮은 맥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멀티리모컨 자동 설정을 활성화 하기 위한 옵션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옵션이 선택된 경우, 동일 네트워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그리고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된 기기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커스텀 코드가 동일한 특정 그룹의 외부 디바이스에게 변경된 커스텀 코드를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고정된 커스텀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커스텀 코드를 적응적으로 변경함으로써, 2대 이상의 동일 제조사 제품이 인접해 있어도 별도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하나의 리모컨이 의도치 않게 복수개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특정 디바이스 및 대응하는 리모컨에 한해 변경된 커스텀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특정 디바이스 및 대응하는 리모컨의 커스텀 코드를 변경하는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S302 단계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디바이스들이 하나의 동일한 네트워크로 연결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황에서, 특정 디바이스 및 대응하는 리모컨의 커스텀 코드를 변경하는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멀티리모컨 자동설정 기능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특정 디바이스 및 대응하는 리모컨에 한해 변경된 커스텀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하면, 리모컨의 커스텀 코드가 예를 들어, 04FB(210)로 고정되어 있고, 판매후 전혀 변경되지 않았다. 따라서, 인접한 2개의 동일 제품(예를 들어, L사 TV, A사 TV 또는 S사 TV 등)이 리모컨 신호에 모두 반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정 상황에서, 리모컨의 커스텀 코드가 디폴트값에서 다른 값인 예를 들어, 04F8(220)로 변경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이다.
다만, 이와 관련된 전반적인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특정 디바이스 및 대응하는 리모컨의 커스텀 코드를 변경하는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TV에 적용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TV가 아닌 다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도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하다.
우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예를 들어, TV)는, 주변에 주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스캔 동작을 수행한다(S30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기기 정보는 예를 들어, 제조사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정보 또는 디바이스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커스텀 코드를 비교 또는 도출 가능한 정보라면, 어떠한 기기 정보도 사용될 수가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커스텀 코드(custom code)를 변경하기 위한 옵션을 디스플레이 한다(S302). 다만,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S302)는 항상 동작하는 것은 아니고, 수신된 기기 정보의 커스텀 코드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커스텀 코드가 동일한 경우에 한하여, S302 단계를 활성화함으로써, 불필요한 그래픽 이미지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인접한 다른 외부 디바이스의 커스텀 코드가 다른 경우(즉, 예를 들어, 다른 제조사 TV)에는, 임의의 리모컨 버튼 푸쉬에 대하여 다른 제조사 TV가 인접해도 같이 반응하지는 않기 때문에, 커스텀 코드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고려한 설계이다.
TV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옵션에서 임의의 넘버를 선택하면(S303), 예를 들어 1번 선택시 새로운 커스텀 코드인 04F1이 생성된다(S304). 한편, 2번 선택시 새로운 커스텀 코드인 04F2가 생성되고(S305), 그리고 3번 선택시 새로운 커스텀 코드인 04F3가 생성된다(S306). 이와 관련해서는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예를 들어, TV)는, 상기 옵션(S303 내지 S306) 선택에 따라, 변경된 커스텀 코드를 셋팅하도록 설계된다(S307).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예를 들어, TV)는, 상기 변경된 커스텀 코드를 리모컨에 전송한다(S308).
한편, 리모컨은, TV로부터 수신한 커스텀 코드를 메모리에 저장하고(S309), 추후 IR 신호 전송시 이를 새로운 커스텀 코드로 사용한다. 따라서, 동일 제조사의 동일 제품인 TV가 인접하여도 서로 간섭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리모컨은 성공 메시지를 다시 TV에 전송함으로써(S310), 전체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물론, 도 3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만 포함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S302 단계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TV(410) 주변에 동일한 커스텀 코드를 가지는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디바이스 넘버로 구별하기 위한 옵션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 때, 리모컨(420)을 통해 특정 디바이스 넘버를 선택하면, 해당 넘버와 맵핑되어 있는 새로운 커스텀 코드가, TV(410)에서 리모컨(420)으로 전송되고, TV(410) 역시 새로운 커스텀 코드에 반응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이전 도 2 내지 도 4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다시 요약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TV는 주기적인 스캔(Scan)을 통해 주변에 동일한 메이커의 제품(TV)이 있는지 체크를 한다. 이 때, LG TV에 적용해 보면, LG TV는 [LG] webOS TV xxxxx 라는 메시지를 어드버타이징(advertising) 하도록 설계된다.
동일한 메이커의 TV 제품이 검색되지 않을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TV는 기존 디폴트 커스텀 코드(Default custom code)를 유지하고, 반면 동일한 메이커의 TV 제품이 검색되는 경우(예를 들어, [LG] webOS TV xxxxx 라는 메시지가 스캔됨), 커스텀 코드(custom code)를 변경할 수 있는 팝업을 디스플레이 한다(이전 도 4 참조).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TV가 동일한 메이커의 TV 제품을 검색함에 따라, 동일한 커스텀 코드 사용시 간섭으로 인한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TV 화면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TV 화면상에서 숫자 UI가 선택되면, TV는 그에 해당하는 커스컴 코드(custom code)를 인식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MICOM)가 변경 됨과 동시에 해당 커스텀 코드(custom code)로 설정하라는 명령을 리모컨으로 전송한다.
리모컨은 전달 받은 명령대로 커스텀 코드(custom code)로 설정하고 그에 대한 내용을 저장한 후 정상적으로 저장됐음을 TV쪽에 RF(예를 들어, 블루투스 등)로 전송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프로세스를 통해, 해당 리모컨과 TV의 커스텀 코드(custom code)가 1:1 매칭이 되어 근거리에 여러대의 TV가 있을 경우, 리모컨 버튼 조작에 따라 복수개의 TV 등이 동시에 동작하던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다만, 이전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리모컨 등을 통해 커스텀 코드가 선택 및 부여되는 방식이었는데, 커스텀 코드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다른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이하 도 5 내지 도 8(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디바이스들이 하나의 동일한 네트워크로 연결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전에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달리, 도 5는 디바이스들이 하나의 동일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황을 가정한다. 예를 들어, 댁내 설치된 와이파이에 모두 접속하고 있거나, 클라우드 서버에 모두 접속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실 TV(510)는 안방 TV(520), 스탠바이미(540), 프로젝터(530)와 모두 동일한 네트워크(예를 들어, 와이파이 등)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스탠바이미(540)는, 이동 가능한 TV로서 스크린과 연결된 받침대의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가방에 스크린에 삽입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 때, 거실 TV는 동일한 네트워크로 연결된 안방 TV(520), 스탠바이미(540) 및 프로젝터(530) 등으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기기 정보는 예를 들어, xml 파일 포맷일 수 있고, 각 디바이스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 및 적외선 IR 커스텀 코드(Custom code) 등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기기 정보에 포함된 커스텀 코드의 일치 여부에 따라, 각 디바이스의 커스텀 코드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와 관련해서는 이하 도 6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황에서, 특정 디바이스 및 대응하는 리모컨의 커스텀 코드를 변경하는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예를 들어, TV)는, 우선 멀티리모컨 자동 설정을 활성화 한 것으로 가정하겠다. 이와 관련해서는, 이하 도 8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옵션이 선택된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예를 들어, TV)는, 동일 네트워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한다(S601).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예를 들어, TV)는, 수신된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커스텀 코드를 가지는 기기를 분류하고(S602), 가장 낮은 맥 어드레스를 가지는 기기를 마스터 디바이스(Master Device)로 선정한다(S603). 이와 관련해서는, 이하 도 7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여기서는, 안방에 설치된 TV가 마스터 디바이스로 선정된 것을 가정한다.
나아가, TV는, 수신된 기기 정보에 따라, TV와 커스텀 코드가 동일한 특정 그룹의 외부 디바이스에게 변경된 커스텀 코드를 전송한다. 즉, TV에서 맥 어드레스별 커스텀 코드를 생성 후 각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변경된 커스텀 코드를 생성하는 디바이스를 마스터 디바이스로 명명하고, 변경된 커스텀 코드를 수신하는 디바이스를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명명할 수도 있다.
슬레이브 디바이스(안방에 설치된 TV를 제외)는, 안방에 설치된 TV(마스터 디바이스)로부터 커스텀 코드를 수신 및 분석한다(S605).
마스터 디바이스의 커스텀 코드와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전송한 커스텀 코드가 동일하지 여부를 판단한다(S606).
상기 판단 결과(S606) 동일하지 않은 경우, 멀티리모컨 자동 설정을 완료한다(S608). 디바이스별로 커스텀 코드가 다르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 설정이 필요 없기 때문이다.
반면, 상기 판단 결과(S606) 동일한 경우, 각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커스텀 코드가 이미 업데이트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07).
상기 판단 결과(S607) 업데이트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슬레이브 디바이스 및 해당 리모컨의 커스텀 코드를 업데이트 한다(S609).
이와 같이 설계할 경우, 모든 디바이스(동일 제조사에서 생산된 동일한 제품군, 예를 들어 L사의 TV)의 커스텀 코드가 자동으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안방 TV, 거실 TV, 프로젝터, 스탠바이미는 모두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가정한다(이전 도 5 참조). 나아가, 동일 제조사에서 모두 만들었기 때문에, IR 커스텀 코드가 모두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하나의 리모컨으로 특정 디바이스를 조정하려고 해도, 다른 주변 디바이스가 의도치 않게 조작되는 문제가 있다.
이 때, 맥 어드레스(MAC Address) 기준으로, 가장 작은 값을 가지는 디바이스가 마스터 디바이스(Master device)가 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마스터 디바이스가 새롭게 생성한 IR 커스텀 코드를 수신하는 나머지 디바이스들은,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된다.
나아가, 마스터 디바이스인 안방 TV는, 각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맥 어드레스값의 순서에 따라 커스텀 코드에 예를 들어, 1비트값을 추가하여 모두 다른 IR 커스텀 코드값을 가지도록 설계한다.
따라서, 제1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0x04FC 인 커스텀 코드를 가지고, 제2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0x04FD인 커스텀 코드를 가지고, 제3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0x04FE인 커스텀 코드를 가지도록 마스터 디바이스가, 각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변경된 커스텀 코드를 전송한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멀티리모컨 자동설정 기능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자동으로 각 디바이스의 커스텀 코드를 다르게 설정할 수가 있다.
그러나, 사용자에 따라서는 또는 상황에 따라, 하나의 리모컨으로 복수개의 디바이스를 한번에 제어하고자 할 가능성도 있다. 도 8을 이를 고려한 설계이다.
예를 들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리모컨 자동 설정 옵션을 활성화 상태(810)로 설정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가 다른 커스텀 코드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모든 디바이스와 리모컨은 자동으로 1:1 맵핑이 되고, 안방 TV의 리모컨 버튼이 인가되었을 때, 다른 TV 들(동일 제조사)은 전혀 반응하지 않는다.
반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리모컨 자동 설정 옵션을 비활성화 상태(811)로 설정한 경우, 동일한 제조사의 디바이스에 대해 커스텀 코드를 변경하는 프로세스가 진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 유저는 하나의 리모컨에 대한 버튼 푸쉬로, 주변 디바이스들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도 5 내지 도 8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를 요약 정리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SSDP 프로토콜로 전송되는 기기정보(XML파일)에 해당 제품의 IR 프로토콜의 커스텀 코드(Custom Code) 정보까지 전송하도록 설계한다.
그리고, 동일 네트워크 망에 동일 커스텀 코드(Custom Code)를 가진 동일한 제조사 제품들이 존재할 경우, 마스터 디바이스가 본인의 커스텀 코드(Custom Code) 기준 비트 추가(Bit Addition)를 통해 망에 존재하는 기기 대수만큼의 중복되지 않는 신규 커스텀 코드(Custom Code)를 생성 후 각각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그리고, 슬레이브 디바이스들은, 본인에게 할당된 커스텀 코드(Custom Code)에 따라 해당 디바이스 및 리모컨의 커스텀 코드를 모두 업데이트 하도록 설계된다(예를 들어, Flash Memory Write).
한편, 만약 신규 기기가 추가될 경우, 커스텀 코드(Custom Code)가 업데이트된 기기는 제외하고, 신규 기기에 한해 마스터 디바이스가 신규 커스텀 코드(Custom Code)를 발행하고, 업데이트를 유도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리모컨 자동 설정” 메뉴를 추가하여, 해당 메뉴를 활성화할 경우 같은 망에 존재하는 동일한 IR 커스텀 코드(Custom Code)를 가진 디바이스들이 각자 고유(Unique)한 커스텀 코드(Custom Code)를 가지게 됨에 따라 동시에 다수의 제품들이 동작하는 불편함을 제거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반면, 만약 리모컨 하나로 다수 TV를 제어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멀티 리모컨 자동 설정” 메뉴를 비활성화 시킨다(도 8의 (b) 참조).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부(11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 입력부(130), 제어부(180), 디스플레이 모듈(150), 오디오 출력부(160) 및/또는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10)는 튜너부(111) 및 복조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면과 달리, 방송 수신부(11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 중,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부(11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너부(111)는 안테나(미도시) 또는 케이블(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튜너부(111)는 선택된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튜너부(111)는 선택된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튜너부(111)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8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1)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1)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12)는 튜너부(11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12)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1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8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 모듈(15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60)를 통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외부의 변화를 감지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여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음성센서(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습도계, 온도계 등),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센싱부(120)에서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상태를 점검하고 문제가 발생시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자체적으로 조정하여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80)에 제공되는 영상의 컨텐츠, 화질, 사이즈 등을 센싱부에서 감지한 시청자나, 주변의 조도 등에 따라 다르게 제어하여 최적의 시청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TV가 진보해감에 따라 TV에 탑재된 기능이 많아지고 센싱부(20) 또한 그와 함께 증가하고 있다.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30)는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베젤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자체에 외부로 노출된 물리적 형태의 버튼 형태의 입력부(130)는 최소화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많아지고 있다. 대신에 배면이나 측면에 최소의 물리적 버튼이 위치하고 터치패드나 후술할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을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8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40)는 제어부(18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18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등은,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80) 내에 저장부(14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SDRAM 등)나,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인터페이스부(171)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복수의 픽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8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W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복수의 픽셀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 모듈(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3차원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무안경 방식과 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전면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 측면 등을 커버하며 디스플레이 모듈을 패키지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최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평면에서 더 나아가 곡면의 화면을 구현하기 위해 LED(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와 같이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이용할 수 있다.
종래에 주로 이용되던 LCD는 LCD가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어려워 백라이트 유닛을 통해 빛을 공급받았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과 광원에서 공급된 빛을 균일하게 전면에 위치하는 액정에 공급해주는 장치이다. 백라이트 유닛이 점점 얇아지면서 박형의 LCD를 구현할 수 있었으나, 백라이트 유닛을 휘어지는 소재로 구현이 어렵고 백라이트 유닛이 휘어지는 경우 액정에 균일한 빛의 공급이 어려워져 화면의 밝기가 변화하는 문제가 있다.
반면 LED나 OLED의 경우 픽셀을 이루는 소자가 각각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하지 않아 휘어지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각 소자가 자체발광 하므로 이웃하는 소자와의 위치관계가 달라지더라도 자체 밝기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LED나 OLED를 이용하여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구현할 수 있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은 2010년 중반에 본격적으로 등장하여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는 LCD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OLED는 형광성 유기활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자체발광 현상을 이용하여 만든 디스플레이로, 화질 반응 속도가 LCD에 비해 빨라 동영상을 구현할 때 잔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OLED는 자체 발광기능을 가진 적색(Red)과 녹색(Green), 청색(Blue) 등 세 가지의 형광체 유기화합물을 사용하며, 음극과 양극에서 주입된 전자(電子)와 양의 전하를 띤 입자가 유기물 내에서 결합해 스스로 빛을 발하는 현상을 이용한 발광형 디스플레이 제품이므로 색감을 떨어뜨리는 백라이트(후광장치)가 필요 없다.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 패널은 LED소자 하나를 하나의 픽셀로 이용하는 기술로서, 종래에 비해 LED소자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구현할 수 있다. 종래에 LED TV라 불리우던 장치는 LED를 LCD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이용한다는 것이지 LED자체가 화면을 구성하지 못했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표시패널과 표시패널 배면에 위치하는 결합마그넷, 제1 전원 공급부 및 제1 신호모듈을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복수 개의 픽셀들(R, G, 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 G, B)은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과 다수의 게이트라인들이 교차되는 영역마다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 G, B)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 또는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픽셀들(R, G, B)은 적색(Red, 이하 'R') 서브 픽셀, 녹색(Green, 'G') 서브 픽셀 및 청색 (Blue, 'B')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 G, B)은 화이트(White, 이하 'W')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60)는 제어부(18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는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선방식뿐만 아니라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방식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방식의 일 예로 전술한 방송수신부(110)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방송신호뿐만 아니라 이동통신신호 근거리 통신신호, 무선인터넷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다양한 원격 제어 장치(200)와 통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유/무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전력(Bluetooth Low Energy; BLE), 직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와 같은 셀룰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과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는 ASIC과 같은 전용 장치(dedicated device)이거나 다른 하드웨어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튜너부(111), 복조부(112),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60)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튜너부(111)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2D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진폭 편이 변조(Amplitude Shift Keying; ASK)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변조(modulation) 및/또는 복조(demodulation)할 수 있다. 여기서,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은, 데이터 값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을 다르게 하여 신호를 변조하거나, 반송파의 진폭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값으로 복원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하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복조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와 같은 고유 식별자나, TCP/IP와 같은 복잡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영상표시장치와 간편하게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촬영부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 상부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8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80)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8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15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6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부품에 전원을 배분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 전원과 직접연결하여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배터리를 포함하여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유선의 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하며 이동이 어렵거나 이동 범위가 제한된다. 후자의 경우 이동이 자유로우나 배터리만큼의 무게가 증가하고 부피가 커지며 충전을 위해 일정시간 전원케이블과 직접 연결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거치부(미도시)와 결합해야 한다.
충전거치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를 통해 TV와 접속할 수 있고, 또는 무선방식을 이용하여 근접하면 내장된 배터리가 충전될 수도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 제어 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nfrared Radiation) 통신,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위한 블록도일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특히, 도 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이전에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다른 일실시예를 구현하는 물건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우선, 도 2 내지 도 4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리모트 컨트롤러(200)에 의해 제어된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2), 디스플레이(150) 및 컨트롤러(18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2)는, 주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스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한다.
디스플레이(150)는,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커스텀 코드(custom code)를 변경하기 위한 옵션을 디스플레이 한다. 디스플레이된 옵션은 이전 도 4에서 예시한 바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80)는, 상기 옵션의 선택에 따라, 변경된 커스텀 코드를 설정한다. 나아가, 상기 컨트롤러(180)는, 상기 변경된 커스텀 코드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200)에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2)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면, 도 5 내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리모트 컨트롤러(200)에 의해 제어된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2), 디스플레이(150) 및 컨트롤러(18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50)는, 멀티리모컨 자동 설정을 활성화 하기 위한 옵션을 디스플레이 한다. 이와 관련해서는 이전 도 8에서 예시한 바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2)는, 상기 옵션이 선택된 경우, 동일 네트워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계된다. 여기서의 기기 정보는, 예를 들어 적어도 IR 커스텀 코드값 등을 포함한다.
컨트롤러(180)는, 상기 수신된 기기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커스텀 코드가 동일한 특정 그룹의 외부 디바이스에게 변경된 커스텀 코드를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2)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방송 수신부
120: 센싱부
130: 입력부
140: 저장부
150: 디스플레이
160: 오디오 출력부
170: 인터페이스부
180: 컨트롤러
200: 리모컨

Claims (12)

  1.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주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스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리모트 컨트롤러의 커스텀 코드(custom code)를 변경하기 위한 옵션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옵션의 선택에 따라, 변경된 커스텀 코드를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변경된 커스텀 코드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기기 정보의 커스텀 코드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커스텀 코드가 동일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커스텀 코드를 변경하기 위한 옵션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정보는,
    제조사를 식별하기 위한 제1정보 또는 디바이스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제2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4.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멀티리모컨 자동 설정을 활성화 하기 위한 옵션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옵션이 선택된 경우, 동일 네트워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신된 기기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커스텀 코드가 동일한 특정 그룹의 외부 디바이스에게 변경된 커스텀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그룹에 속하는 외부 디바이스 각각의 커스텀 코드는 모두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동일 네트워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 보다 낮은 맥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7.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주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스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리모트 컨트롤러의 커스텀 코드(custom code)를 변경하기 위한 옵션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그리고
    상기 옵션의 선택에 따라, 변경된 커스텀 코드를 설정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변경된 커스텀 코드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수신된 기기 정보의 커스텀 코드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커스텀 코드가 동일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커스텀 코드를 변경하기 위한 옵션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정보는,
    제조사를 식별하기 위한 제1정보 또는 디바이스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제2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멀티리모컨 자동 설정을 활성화 하기 위한 옵션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옵션이 선택된 경우, 동일 네트워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그리고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된 기기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커스텀 코드가 동일한 특정 그룹의 외부 디바이스에게 변경된 커스텀 코드를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그룹에 속하는 외부 디바이스 각각의 커스텀 코드는 모두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동일 네트워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 보다 낮은 맥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20123254A 2022-09-28 2022-09-28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4403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254A KR20240044033A (ko) 2022-09-28 2022-09-28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3/011236 WO2024071634A1 (ko) 2022-09-28 2023-08-01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254A KR20240044033A (ko) 2022-09-28 2022-09-28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033A true KR20240044033A (ko) 2024-04-04

Family

ID=9047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254A KR20240044033A (ko) 2022-09-28 2022-09-28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4033A (ko)
WO (1) WO202407163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9214B2 (ja) * 2002-12-11 2009-11-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Avシステム
KR20110012256A (ko) * 2009-07-30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모컨 코드 포맷 변경 방법,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원격 제어 장치
KR101931938B1 (ko) * 2012-03-29 2018-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모트 컨트롤러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20150028501A (ko) * 2013-09-06 2015-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 방법
US11510261B2 (en) * 2019-09-26 2022-11-22 Qualcomm Incorporated Address translation for multi-link oper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1634A1 (ko)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651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94190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40044033A (ko)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662316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KR102674539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367833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3041070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682329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3017164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674540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2023012147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25308A (ko) 전자 장치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40016688A (ko)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US20240064461A1 (en) Movable tv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6599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4001890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0921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62317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1833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0921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11433A (ko) 전자기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2023011300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56915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40013775A (ko)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30177133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