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190B1 -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190B1
KR102394190B1 KR1020170150830A KR20170150830A KR102394190B1 KR 102394190 B1 KR102394190 B1 KR 102394190B1 KR 1020170150830 A KR1020170150830 A KR 1020170150830A KR 20170150830 A KR20170150830 A KR 20170150830A KR 102394190 B1 KR102394190 B1 KR 102394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pl
display
mirroring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4494A (ko
Inventor
천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0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190B1/ko
Priority to US16/058,652 priority patent/US10509618B2/en
Priority to PCT/KR2018/012411 priority patent/WO2019093680A1/en
Priority to CN201880071192.1A priority patent/CN111316657B/zh
Priority to EP18876460.9A priority patent/EP3711305A4/en
Publication of KR20190054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494A/ko
Priority to US16/678,139 priority patent/US1090886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3Detection of image changes, e.g. determination of an index representative of the image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0Mixing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an operation, e.g. adding, o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20Details of the management of multiple sources of imag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말기와 연결하기 위한 통신부,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픽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에 대응하는 미러링 영상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미러링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미러링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미러링 영상의 APL(average picture level) 에 기초하여, 상기 미러링 영상을 비표시 상태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본 발명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지원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미러링 화면의 표시에 따른 소자의 수명 불균형으로 인한 잔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텔레비전뿐만 아니라 각종 스마트 기기 및 고해상도 대형 스크린 등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가 다양해졌다. 특히, 일명 브라운관인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가 개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초박막액정표시장치(TFT-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가 주목 받고 있다.
한편, 전계발광소자는 발광층의 재료에 따라 무기 발광 다이오드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나눌 수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는 형광성 유기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전계 발광현상을 이용하여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발광형 유기물질로서,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가볍고 얇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소자 하나하나가 빛을 내는 발광형이기 때문에, 각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달리 주어 빛을 조절하므로 백라이트가 필요 없다. 따라서, 이러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구현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빠른 응답속도, 선명한 화질, 높은 발광 효율, 초박형 구조 및 넓은 시야각과 같은 장점이 있다.
위와 같은 장점들로 인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전망이 밝으며,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자들 각각이 빛을 냄에 따라, 소자들 각각의 사용 빈도가 달라질 수 있고, 그 결과 소자들의 수명이 서로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단말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말기에서 표시 중인 화면에 대응하는 미러링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스크린 미러링 기능(예컨대, Miracast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러링 영상은 디스플레이부의 기설정된 특정 영역(예컨대, 우측 상단 등)에 고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미러링 영상은, 방송 영상 등에 비해 정지 영상을 포함하는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이 경우, 미러링 영상 내의 고휘도 영역에 대응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는 고휘도의 빛을 지속적으로 방출하게 되므로, 다른 영역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에 비해 수명이 급격히 감소할 수 있다. 상기 고휘도 영역에 대응하는 소자의 수명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우, 소자가 방출하는 빛의 밝기가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그 결과, 다른 영역의 소자와의 밝기 차이로 인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 잔상이 발생하여, 사용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영상 시청 시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이는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주요한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크린 미러링 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영역에 표시되는 미러링 영상에 의해, 상기 특정 영역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수명이 감소함에 따른 잔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미러링 영상의 표시 상태를 자동으로 또는 간편한 조작을 통해 변경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말기와 연결하기 위한 통신부,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픽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에 대응하는 미러링 영상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미러링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미러링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미러링 영상의 APL(average picture level) 에 기초하여, 상기 미러링 영상을 비표시 상태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러링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미러링 영상의 프레임의 APL을 획득하고, 획득된 APL을 이전 획득된 APL과 비교하여 APL 변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APL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미러링 영상을 상기 비표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APL이 기준 APL 이상인 경우, 상기 APL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미러링 영상을 비표시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획득된 APL이 상기 기준 APL 미만인 경우, 상기 미러링 영상의 표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러링 영상의 소정 프레임 간격으로 APL을 획득하고, 획득된 APL과 이전 획득된 APL 간의 APL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미만인 상태를 임계 시간동안 유지하는 경우, 상기 미러링 영상을 상기 비표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방송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미러링 영상을 상기 방송 영상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고, 상기 미러링 영상이 상기 비표시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방송 영상의 일부를 상기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APL 변화량이 상기 기준 변화량 미만인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미러링 영상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방송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미러링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제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APL 변화량이 상기 기준 변화량 미만인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러링 영상이 상기 비표시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에 화면 보호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러링 영상의 APL을 주기적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APL과 이전 획득된 APL 간의 APL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미만인 경우 카운트를 증가시키고, 상기 카운트가 임계 카운트에 도달하거나 상기 임계 카운트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미러링 영상을 상기 비표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러링 영상이 상기 비표시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미러링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러링 영상의 APL을 소정 프레임 간격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APL과 이전 획득된 APL 간의 APL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미러링 영상을 표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러링 영상이 상기 비표시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단말기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미러링 영상을 표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미러링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더 표시하고, 상기 미러링 영상이 상기 비표시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미러링 메뉴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미러링 영상을 표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에 대응하는 미러링 영상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미러링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미러링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미러링 영상의 APL에 기초하여, 상기 미러링 영상을 비표시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러링 영상의 APL이 소정 시간 이상 변화하지 않는 경우 미러링 영상을 비표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러링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에 위치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들은, 미러링 영상의 APL이 장시간 변화하지 않음에 따라 동일한 빛을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대신, APL이 변화하는 방송 영상 등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다른 영역에 존재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들과 수명 감소 정도가 유사해질 수 있다. 따라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들 간의 수명 차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는 잔상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미러링 영상의 휘도가 높을수록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들 간의 수명 차이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러링 영상의 APL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APL의 변화량에 따라 미러링 영상을 비표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잔상 현상의 방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러링 영상의 APL이나 단말기의 상태에 기초하여 미러링 영상을 자동으로 표시 상태로 변경시키거나,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상기 미러링 영상을 표시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연결된 픽셀에 대한 등가 회로도의 일 실시 예이다.
도 7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간의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위한 구성들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가 미러링 영상의 표시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에 기초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가 미러링 영상을 비표시 상태로 변경하는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실시 예들을 나타내는 예시도들이다.
도 16 내지 도 17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 10 내지 도 15의 실시 예에 의한 비표시 상태의 미러링 영상을 표시 상태로 변경하는 동작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들이다.
도 18 내지 도 19는 도 16 내지 도 17에 도시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예시도들이다.
도 2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 10 내지 도 15의 실시 예에 의한 비표시 상태의 미러링 영상을 표시 상태로 변경하는 동작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근거리 통신부(173),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장치와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테퍼이스부(135)는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근거리 통신부(173)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부(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부(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부(210),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 음성 획득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 획득부(2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291)을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291)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의 구동 원리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일반적인 구조는 유리와 같은 투명기판에 투명한 ITO(Indium Tin Oxide) 양극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수송능력이 다른 여러 유기 유기물의 다층 박막과 Mg-Ag 합금의 음극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구조이다.
양극층은 양극(Anode)과 음극(Cathode)을 포함하고, 양극층은 발광층에서 발생한 빛이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ITO와 같은 투명 전극을 사용하고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전하주입형 발광소자이기 때문에 각 계면간 전하주입효율이 소자의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다음으로, 발광층(Emitting Layer, EML)은 양극을 통과한 정공(Hole, +) 및 음극을 통과한 전하(Electron, -)가 만나서 빛을 발생시키는 층이다.
구체적으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두 전극 사이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정공은 양극으로부터 전자는 음극으로부터 주입되고, 이들이 발광층에 도달하면 전자와 정공이 만나 여기 상태의 엑시톤(excition)을 형성한다. 이 엑시톤의 발광재결합에 의해 빛을 얻게 되고 기저상태(ground state)가 된다. 이 때, 발광파장은 엑시톤의 에너지 즉 HOMO-LUMO 사이의 에너지 차이에 의해 결정되며, 생성된 빛은 투명한 전극(양극)쪽으로 방출된다. 발광층에서 생성된 빛은 적, 척, 녹색의 빛을 내고, 발광층 내의 결합에너지에 따라 스펙트럼이 결정된다. 따라서, 발광색은 발광층 형성재료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전공과 전하가 발광층까지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fer Layer, HTL) 및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fer Layer, ETL)을 포함한다.
정공수송층은 양극으로부터 정공주입이 쉽게 하기 위하여 이온화 포텐셜이 작은 전자공여성 분자가 사용되며, 주로 트리페닐아민을 기본골격으로한 디아민, 트리아민, 테트라 아민 유도체가 사용된다.
전자수송층은 음극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자를 발광층으로 원활히 수송하고 발광층에서 결합하지 못한 정공의 이동을 억제하여 발광층 내의 재결합 기회를 증가시키는 층으로 전자친화성, 음극전극과의 접착성이 우수해야 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연결된 픽셀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연결된 픽셀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트랜지스터와 1개의 커패시터(2TIC)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은 서로 교차하는 데이터라인(Data Line) 및 게이트라인(Gate Line), 스위치 TFT(SW), 구동 TFT(DR)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스위치 TFT(SW)는 게이트라인(Gate Line)으로부터의 스캔 펄스에 응답하여 턴온(turn-on) 됨으로써 자신의 소스전극과 드레인전극 사이의 전류패스를 도통시킨다. 이 스위치 TFT(SW)의 온타임 기간 동안 데이터라인(Data Line)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은 스위치 TFT(SW)의 소스전극과 드레인전극을 경유하여 구동 TFT(DR)의 게이트전극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일측 전극에 인가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데이터 전압과 고전위 구동 전압(VDD) 사이의 차 전압을 저장한 후, 한 프레임 기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구동 TFT(DR)은 자신의 게이트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에 따라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IOLED)를 제어한다.
이러한 TFT의 소스-드레인 전압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VDD)에 의해 결정된다.
도 7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 간의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100; 이하 '디스플레이 장치'라 함)는 단말기(3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Wi-Fi, Wi-Fi Direct, WLAN 등의 공지된 각종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부를 통해 단말기(3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를 의미할 수도 있고, 별도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기(3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각종 이동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단말기(300)를 연결할 수 있다. 스크린 미러링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단말기(300)는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320)에 대응하는 미러링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미러링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러링 영상(720)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미러링 영상(720)은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320)과 대응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크린 미러링 기능과 관련된 메뉴(730)를 미러링 영상(720)의 일 측(예컨대, 상측)에 인접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크린 미러링 기능 실행 시 방송 수신부(13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영상(710)을 표시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영상(710)과 미러링 영상(720)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영상(710)의 일부 영역에 미러링 영상(720)을 오버레이(overlay)하여 표시하거나, 방송 영상(710)과 미러링 영상(720)을 분할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러링 영상(720)을 디스플레이부(180)의 기정의된 영역에 표시하고, 미러링 영상(720)이 표시되는 영역은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미러링 영상(720)은, 방송 영상(710) 등에 비해 정지 영상을 포함하는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이 경우, 미러링 영상(720) 내의 고휘도 영역에 대응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는 고휘도의 빛을 지속적으로 방출하게 되므로, 다른 영역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에 비해 수명이 급격히 감소할 수 있다. 상기 고휘도 영역에 대응하는 소자의 수명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우, 소자가 방출하는 빛의 밝기가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그 결과, 다른 영역의 소자와의 밝기 차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상에 잔상이 발생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한 영상 시청 시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이는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주요한 원인이 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이하 도 8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위한 구성들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들을 디스플레이부(180)에 동시에 표시하도록 상기 영상들을 처리하는 구성들로서, 영상 블렌더(810), 영상 분석부(820), 및 스케일러(83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블렌더(810), 영상 분석부(820), 및 스케일러(8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에 포함되는 일 구성에 해당할 수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제어부(170)와 별도의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8에서, 복수의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의 일례로서 제1 영상(방송 영상)과 제2 영상(미러링 영상)이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영상은 방송 영상 대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저장부(140)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영상에 해당할 수도 있다.
영상 블렌더(810)는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블렌딩(blending)하여, 하나의 블렌딩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블렌더(810)는 제1 영상의 프레임과 제2 영상의 프레임을 하나의 블렌딩 프레임 내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일례로, 영상 블렌더(810)는 제1 영상의 프레임을 블렌딩 프레임의 전체 영역에 배치하고, 제2 영상의 프레임을 제1 영상의 프레임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배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영상 블렌더(810)는 제1 영상의 프레임을 블렌딩 프레임의 일부 영역에 배치하고, 제2 영상의 프레임을 상기 제1 영상의 프레임과 중첩되지 않는 나머지 영역에 배치할 수도 있다.
스케일러(830)는 제1 영상과 제2 영상 각각을,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출력 가능한 해상도로 스케일링하여 디스플레이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스케일러(830)는 제1 영상을 스케일링하는 메인 스케일러와, 제2 영상을 스케일링하는 서브 스케일러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820)는, 영상 블렌더(810)로부터 출력되는 블렌딩 영상 중 제2 영상의 APL(average picture level)에 기초하여 제2 영상의 표시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분석부(820)는 APL 획득부(821), APL 변화량 산출부(822), 및 표시 상태 제어부(823)를 포함할 수 있다.
APL 획득부(821)는 상기 블렌딩 영상 중 제2 영상의 APL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블렌더(810)에 의해 제1 영상과 제2 영상이 블렌딩될 때, 제2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APL 획득부(821)는 블렌딩 영상 중 상기 제2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한 APL을 획득함으로써, 상기 제2 영상의 APL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APL은 특정 영역에 대한 평균 휘도값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영상의 프레임 관점에서 볼 때, APL 획득부(821)는 제2 영상의 APL을 주기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즉, APL 획득부(821)는 제2 영상의 프레임들 각각에 대해 APL을 획득하거나, 소정 프레임 간격으로 APL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획득된 APL은 저장부(140) 등에 저장될 수도 있다.
APL 변화량 산출부(822)는, APL 획득부(821)에 의해 획득된 APL을, 이전 획득된 APL과 비교함으로써 APL의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표시 상태 제어부(823)는, 상기 APL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제2 영상의 프레임들 간의 동일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영상을 전송하는 단말기(300)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기(300)가 동작함은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이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함을 의미하고, 단말기(300)가 동작하지 않음은 사용자가 단말기(300)를 조작하지 않음에 따라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이 동일함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단말기(300)를 조작하지 않고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이 동일함은, 사용자가 단말기(300)의 화면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제2 영상을 시청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표시 상태 제어부(823)는, APL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미만(또는 이하)인 경우 제2 영상의 프레임들이 동일한 것으로 감지하고, 소정 시간 또는 소정 카운트 동안 연속적으로 산출되는 APL 변화량들 각각이 기준 변화량 미만(또는 이하)인 경우, 단말기(300)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표시 상태 제어부(823)는 획득된 APL이 기준 APL보다 높은 경우에만 단말기(300)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는 제2 영상의 휘도가 소정 휘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2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에 대한 수명 감소 정도와, 나머지 영역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에 대한 수명 감소 정도의 차이가 높지 않기 때문이다.
표시 상태 제어부(823)는, 소정 시간 또는 소정 카운트동안 연속적으로 산출되는 APL 변화량들 각각이 기준 변화량 미만(또는 이하)인 경우, 제2 영상의 표시 상태가 변경되도록 영상 블렌더(810) 또는 스케일러(8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상태 제어부(823)는 제2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지 않도록 영상 블렌더(810) 또는 스케일러(83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표시 상태 제어부(823)는 APL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미만인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또는 카운트가 증가함에 따라, 제2 영상의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제2 영상의 사이즈를 조절하도록 영상 블렌더(810) 또는 스케일러(8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영상 블렌더(810)는 제2 영상의 투명도를 조절하기 위한 알파 블렌더(alpha blender)를 포함할 수 있다. 알파 블렌더는 제2 영상에 투명도를 적용하여 제1 영상과 합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에는 제1 영상과 제2 영상이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투명도가 증가할수록 제2 영상이 보다 투명해지고, 제1 영상이 보다 선명해질 수 있다.
반면, 표시 상태 제어부(823)는 산출된 APL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상(또는 초과)인 경우, 제2 영상의 표시를 유지하도록 영상 블렌더(810) 및 스케일러(8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영상은 기설정된 영역에 지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가 미러링 영상의 표시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기(300)와 연결되어,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S100).
예컨대,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단말기(300)를 소정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시키고, 단말기(300)의 화면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기 위한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크린 미러링 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미러링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미러링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S110).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미러링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미러링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의 소정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방송 영상 등의 다른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상기 미러링 영상을 상기 다른 영상의 특정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다른 영상과 상기 미러링 영상을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러링 영상의 APL을 주기적으로 획득하여 APL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S120).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미러링 영상 데이터로부터, 프레임들 각각 또는 소정 프레임 간격으로 미러링 영상의 APL을 획득하고, 획득된 APL과 이전 획득된 APL을 비교함으로써 APL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제어부(170)는 미러링 영상의 APL을 비주기적으로 획득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된 APL 변화량에 기초하여, 미러링 영상의 표시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S130).
S120 단계와 S130 단계에 대해서는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러링 영상의 APL을 획득할 수 있다(S121).
예컨대, 제어부(170)는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미러링 영상 데이터로부터, 현재 프레임에 대한 APL을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된 APL과 이전 획득된 APL 간의 APL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S122).
제어부(170)는 현재 프레임에 대해 획득된 APL을, 이전 프레임 또는 소정 개수 이전의 프레임으로부터 획득된 APL과 비교함으로써, APL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된 APL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미만(또는 이하)인 경우(S123의 YES), 미러링 영상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고 카운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S124).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APL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미만이고, S121 단계에서 획득된 APL이 기준 APL보다 높은(또는 같거나 높은) 경우 카운트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는, S121 단계에서 획득된 APL이 기준 APL보다 낮은(또는 같거나 낮은) 경우에는 S122 단계와 S123 단계가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고, 이 경우 미러링 영상의 표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카운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타이머(미도시)에 의해 측정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고, 이 경우 임계 카운트는 기설정된 임계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운트가 기설정된 임계 카운트를 초과(또는 임계 카운트에 도달)하는 경우(S125의 YES), 미러링 영상을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이하, '비표시 상태'라 함)할 수 있다(S131). 반면, 카운트가 기설정된 임계 카운트보다 낮은 경우, 미러링 영상의 다음 프레임 또는 소정 개수 이후의 프레임에 대해 S121 단계 내지 S123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임계 카운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 8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300)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카운트가 상기 임계 카운트를 초과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기(300)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S123 단계에서 APL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상(또는 초과)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운트를 초기화하고 미러링 영상을 지속 표시할 수 있다(S132). 즉, APL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상인 경우, 제어부(170)는 단말기(300)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미러링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S131 단계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APL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미만인 상태를 유지하는 카운트 또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미러링 영상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고, 상기 카운트 또는 시간이 임계 카운트 또는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미러링 영상을 비표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5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에 기초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가 미러링 영상을 비표시 상태로 변경하는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실시 예들을 나타내는 예시도들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제1 영상(1110)과 제2 영상(1120)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영상(1110)은 방송 수신부(13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영상(1110)인 것으로 가정한다. 제2 영상(1120)은 스크린 미러링 기능의 실행에 따라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미러링 영상(1120)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방송 영상(1110)을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체 영역에 표시하고, 미러링 영상(1120)을 방송 영상(1110)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스크린 미러링 기능과 관련된 메뉴 또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미러링 메뉴(1130)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미러링 메뉴(1130)은 미러링 영상(1120)의 일 측(예컨대, 상측)에 인접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미러링 영상(1120)에 대해 주기적으로 APL을 산출하고, 미러링 영상(1120)의 APL 변화량이 임계 시간 또는 임계 카운트동안 기준 변화량 미만인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미러링 영상(1120)을 비표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러링 영상(1120)이 표시되던 영역(R)에는 방송 영상(1110)이 표시될 수 있다. 미러링 영상(1120)이 비표시 상태로 변경되더라도, 스크린 미러링 기능이 종료되지는 않은 상태이므로, 미러링 메뉴(1130)는 지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미러링 영상(1120)이 비표시 상태로 변경됨에 따라, 미러링 영상(1120)이 표시되던 영역(R)에는 방송 영상(1110)의 일부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영역(R)에 위치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들은 미러링 영상(1120)의 APL이 장시간 변화하지 않음에 따라 동일한 빛을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대신, APL이 변화하는 방송 영상(1110)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상기 영역(R) 이외의 다른 영역에 존재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들과 수명 감소 정도가 유사해질 수 있다. 따라서, 수명 차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에 나타나는 잔상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2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APL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미만인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또는 카운트에 기초하여, 미러링 영상(1220)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APL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미만인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이 제1 시간인 경우,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도가 제1 투명도로 조절된 미러링 영상(1221)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APL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미만인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이 제2 시간으로 증가(즉, 제2 시간은 제1 시간보다 많음)하는 경우,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도가 제1 투명도보다 높은 제2 투명도로 조절된 미러링 영상(1222)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투명도가 증가할수록, 미러링 영상(1220~1222)은 투명해지고, 미러링 영상(1220~1222)과 중첩되는 영역의 방송 영상(1210)은 선명해질 수 있다.
최종적으로, APL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미만인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이 임계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링 영상을 더 이상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30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 시간동안 조작이 없는 경우 잠금 상태로 전환되고, 이 경우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잠금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소정 시간이 상술한 임계 시간보다 짧은 경우, 제어부(170)가 미러링 영상을 비표시 상태로 변경하기 이전에 단말기(300)의 화면이 잠금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단말기(300)의 잠금 화면에 대응하는 미러링 영상을 표시하는 대신, 단말기(300)가 잠금 상태임을 나타내는 잠금 아이콘(1320)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300)는 잠금 상태로 전환 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상기 잠금 상태로 전환됨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170)는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단말기(300)가 잠금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부(170)는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미러링 영상 대신, 잠금 아이콘(1320)을 방송 영상(1310)과 함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잠금 아이콘(1320)의 표시 위치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잠금 아이콘(1320)은 디스플레이부(180)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이동되며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체 영역(1400)에 방송 영상(1410)과 미러링 영상(1420)을 분할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방송 영상(1410)은 디스플레이부(180)의 제1 영역에 표시되고, 미러링 영상(1420)은 디스플레이부(180)의 제2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영상(1410)과 미러링 영상(1420)의 비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의 일부 영역에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방송 영상(1410)과 미러링 영상(1420)이 분할되어 표시됨에 따라, 방송 영상(1410)의 사이즈는 도 11에서 표시되는 방송 영상(1110)의 사이즈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제어부(170)는 미러링 영상(1420)의 APL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미만인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또는 카운트가 임계 시간 또는 임계 카운트에 도달하는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링 영상(1420)을 비표시 상태로 변경하고, 미러링 영상(1420)이 표시되던 영역에 화면 보호기 영상(1421)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화면 보호기 영상(1421)은 정지 영상이 아닌 동영상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5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미러링 영상(1520)의 APL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미만인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또는 카운트가 증가함에 따라, 미러링 영상(1520)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APL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미만인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이 제1 시간인 경우,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즈가 제1 사이즈로 조절된 미러링 영상(1521)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APL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미만인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이 제2 시간으로 증가(즉, 제2 시간은 제1 시간보다 많음)하는 경우,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즈가 제1 사이즈보다 작은 제2 사이즈로 조절된 미러링 영상(1522)을 표시할 수 있다. 미러링 영상(1520~1522)의 사이즈가 작아질수록, 방송 영상(1510)의 사이즈는 증가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APL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미만인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이 임계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미러링 영상을 더 이상 표시하지 않고, 방송 영상(1510)을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체 영역(150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러링 영상의 APL이 소정 시간 이상 변화하지 않는 경우 미러링 영상을 비표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러링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에 위치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들은, 미러링 영상의 APL이 장시간 변화하지 않음에 따라 동일한 빛을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대신, APL이 변화하는 방송 영상 등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다른 영역에 존재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들과 수명 감소 정도가 유사해질 수 있다. 따라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들 간의 수명 차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에 나타나는 잔상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7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 10 내지 도 15의 실시 예에 의한 비표시 상태의 미러링 영상을 표시 상태로 변경하는 동작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들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미러링 영상(미러링 영상 데이터)의 APL을 획득할 수 있다(S1600).
즉, 미러링 영상이 비표시 상태인 경우에도, 스크린 미러링 기능이 종료되지는 않은 상태이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기(300)로부터 미러링 영상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수신된 미러링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러링 영상의 APL을 획득(예컨대, 소정 프레임 간격으로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된 APL과 이전 획득된 APL 간의 APL 변화량을 산출하고(S1610), 산출된 APL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을 초과(또는 이상)하는 경우(S1620의 YES), 미러링 영상을 다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630).
예컨대, 사용자가 단말기(300)를 조작하거나, 단말기(300)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단말기(300)의 화면이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미러링 영상의 APL 또한 변화할 수 있고, 제어부(170)는 APL의 변화에 응답하여 미러링 영상을 비표시 상태에서 표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단말기(300)는 소정 시간 이상 사용자의 조작이 없거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슬립(sleep)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S1700). 상기 슬립 상태는, 단말기(300)가 미러링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나, 기타 다른 동작을 수행하지는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단말기(300)는 슬립 상태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S1710). 예컨대, 사용자의 입력 또는 기타 이벤트의 발생에 의해, 슬립 상태의 단말기(300)는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단말기(300)는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고(S172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미러링 영상을 다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730).
단말기(300)가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됨은, 단말기(300)가 특정 동작을 수행함을 의미하고,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기(300)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미러링 영상을 비표시 상태에서 표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기(300)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미러링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다시 표시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19는 도 16 내지 도 17에 도시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예시도들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러링 영상이 비표시 상태인 경우에도, 스크린 미러링 기능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 단말기(300)로부터 단말기(300)에 표시 중인 화면(340)에 대응하는 미러링 영상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미러링 영상이 비표시 상태이므로, 상기 미러링 영상이 표시되던 영역(R)에 미러링 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방송 영상(1810)의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단말기(300)를 조작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예컨대,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단말기(300)가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에 따라, 단말기(300)에 표시되는 화면(342)이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300)가 전송하는 미러링 영상 데이터 또한 변경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수신된 미러링 영상 데이터로부터 APL을 획득하고, 획득된 APL과 이전 획득된 APL을 비교할 수 있다. 이 경우, APL 변화량은 기준 변화량보다 높을 것이고, 제어부(170)는 단말기(300)가 다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미러링 영상(1920)을 비표시 상태에서 표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부(180)에 미러링 영상(1920)이 다시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300)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슬립 상태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미러링 영상(1920)을 비표시 상태에서 표시 상태로 변경하고, 그 결과 디스플레이부(180)에 미러링 영상(1920)이 다시 표시될 수 있다.
도 2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 10 내지 도 15의 실시 예에 의한 비표시 상태의 미러링 영상을 표시 상태로 변경하는 동작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예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미러링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거나, 스크린 미러링 기능의 재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S2000), 미러링 화면을 다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010).
이와 관련하여 도 21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미러링 영상이 비표시 상태인 경우에도, 스크린 미러링 기능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 미러링 메뉴(213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소정 영역(R)에 표시되던 미러링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를 조작하여 포인터(205)를 미러링 메뉴(2130)가 표시된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특정 메뉴 아이콘(2131)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미러링 메뉴(2130)의 특정 메뉴 아이콘(2131)을 선택하는 입력에 응답하여, 도 2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링 영상(2120)을 비표시 상태에서 표시 상태로 전환하고, 그 결과 미러링 영상(212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다시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16 내지 도 21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러링 영상의 APL에 기초하여 미러링 영상을 자동으로 표시 상태로 변경시키거나,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상기 미러링 영상을 표시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단말기와 연결하기 위한 통신부;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픽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에 대응하는 미러링 영상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미러링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미러링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미러링 영상의 APL(average picture level)에 기초하여, 상기 미러링 영상을 비표시 상태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러링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미러링 영상의 프레임의 APL을 획득하고,
    획득된 APL을 이전 획득된 APL과 비교하여 APL 변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APL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미러링 영상을 상기 비표시 상태로 변경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APL이 기준 APL 이상인 경우, 상기 APL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미러링 영상을 비표시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획득된 APL이 상기 기준 APL 미만인 경우, 상기 미러링 영상의 표시 상태를 유지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러링 영상의 소정 프레임 간격으로 APL을 획득하고,
    획득된 APL과 이전 획득된 APL 간의 APL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미만인 상태를 임계 시간동안 유지하는 경우, 상기 미러링 영상을 상기 비표시 상태로 변경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방송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미러링 영상을 상기 방송 영상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고,
    상기 미러링 영상이 상기 비표시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방송 영상의 일부를 상기 일부 영역에 표시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방송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미러링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제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APL 변화량이 상기 기준 변화량 미만인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방송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미러링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제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미러링 영상이 상기 비표시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에 화면 보호기 영상을 표시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러링 영상의 APL을 주기적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APL과 이전 획득된 APL 간의 APL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미만인 경우 카운트를 증가시키고,
    상기 카운트가 임계 카운트에 도달하거나 상기 임계 카운트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미러링 영상을 상기 비표시 상태로 변경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러링 영상이 상기 비표시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미러링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러링 영상의 APL을 소정 프레임 간격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APL과 이전 획득된 APL 간의 APL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미러링 영상을 표시 상태로 변경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러링 영상이 상기 비표시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단말기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웨이크-업 신호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미러링 메뉴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미러링 영상을 표시 상태로 변경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70150830A 2017-11-13 2017-11-13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94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830A KR102394190B1 (ko) 2017-11-13 2017-11-13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6/058,652 US10509618B2 (en) 2017-11-13 2018-08-08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PCT/KR2018/012411 WO2019093680A1 (en) 2017-11-13 2018-10-19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201880071192.1A CN111316657B (zh) 2017-11-13 2018-10-19 有机发光二极管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EP18876460.9A EP3711305A4 (en) 2017-11-13 2018-10-19 ORGANIC LIGHT-DIODE DISPLAY DEVICE AND ITS OPERATING PROCEDURE
US16/678,139 US10908866B2 (en) 2017-11-13 2019-11-08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830A KR102394190B1 (ko) 2017-11-13 2017-11-13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494A KR20190054494A (ko) 2019-05-22
KR102394190B1 true KR102394190B1 (ko) 2022-05-09

Family

ID=66431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830A KR102394190B1 (ko) 2017-11-13 2017-11-13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509618B2 (ko)
EP (1) EP3711305A4 (ko)
KR (1) KR102394190B1 (ko)
CN (1) CN111316657B (ko)
WO (1) WO20190936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11697A1 (en) * 2016-12-01 2019-10-10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system comprising same
CN111831243A (zh) 2019-04-18 2020-10-27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用户终端装置、以及装置的控制方法
KR20220028698A (ko) 2020-08-31 202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38830A1 (en) * 2008-12-03 2012-02-16 Flores Emigdio Z Dynamic contrast on displays using average picture level and histogram analysi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7100A (ja) * 2005-09-22 2007-04-05 Victor Co Of Japan Ltd 電子機器システム
US20070266345A1 (en) * 2006-05-15 2007-11-15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driving display with reduced aging
JP4650381B2 (ja) * 2006-09-08 2011-03-1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電子機器
US10796622B2 (en) * 2009-06-16 2020-10-06 Ignis Innovation Inc. Display system with compensation techniques and/or shared level resources
KR101329966B1 (ko) * 2009-09-22 2013-1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62922B1 (ko) * 2013-05-24 2020-01-07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방송 수신 장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 및 장치
KR20150031098A (ko) * 2013-09-13 2015-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미러링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
KR102245365B1 (ko) * 2014-08-11 2021-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613591B2 (en) * 2014-08-29 2017-04-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moving image sticking in display device
KR102345610B1 (ko) 2015-02-27 2021-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크린 미러링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KR102232544B1 (ko) * 2015-03-05 2021-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번-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38830A1 (en) * 2008-12-03 2012-02-16 Flores Emigdio Z Dynamic contrast on displays using average picture level and histogram analy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11305A4 (en) 2021-12-22
EP3711305A1 (en) 2020-09-23
US20200073622A1 (en) 2020-03-05
US10908866B2 (en) 2021-02-02
US10509618B2 (en) 2019-12-17
KR20190054494A (ko) 2019-05-22
US20190146744A1 (en) 2019-05-16
WO2019093680A1 (en) 2019-05-16
CN111316657A (zh) 2020-06-19
CN111316657B (zh) 2022-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651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036258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1090886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523747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90114969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1085413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408001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67833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62192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200081174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CN114554122B (zh) 图像显示设备
US11812093B2 (en) Luminance decrease for same thumbnail images
US20220020319A1 (en)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