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988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988B1
KR102659988B1 KR1020230085832A KR20230085832A KR102659988B1 KR 102659988 B1 KR102659988 B1 KR 102659988B1 KR 1020230085832 A KR1020230085832 A KR 1020230085832A KR 20230085832 A KR20230085832 A KR 20230085832A KR 102659988 B1 KR102659988 B1 KR 102659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device
audio data
display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5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남
강신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Holding-devices for protective discs or for picture masks

Abstract

턴테이블 테마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안되며, 상기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트랜시버; 오디오 데이터의 제어 명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제어 명령을 검출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제1 타입의 제어 명령에 따라 턴테이블의 톤암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제1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제2 타입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턴테이블의 톤암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제2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및 TV 등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새로운 폼 팩터(Form-factor)에 대해 논의되고 있다. 폼 팩터란 제품의 구조화된 형태를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폼 팩터 혁신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배경은, 소비자들의 이동성 증대, 기기 간 융합과 스마트화의 급진전 등으로 인해, 과거 특정 사용 환경에 맞춤화된 전형적 폼 팩터에서 벗어나 사용 환경 조건에 관계 없이 자유롭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폼 팩터에 대한 사용자 니즈가 강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TV를 가로로 본다는 고정관념을 깨고 세로형 TV가 확대되고있다. 세로형 TV는 모바일로 콘텐츠를 즐기는데 익숙한 MZ 세대의 특성을 반영해 스크린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만든 제품이다. SNS나 쇼핑 사이트 이미지를 간편하게 볼 수 있고, 동영상 시청과 동시에 댓글도 함께 읽을 수 있어 간편하다. 특히 세로형 TV는 스마트폰과 근거리무선통신(NFC) 기반의 미러링 기능으로 연동했을 때 장점이 더 빛을 발한다. 일반 TV나 영화를 시청할 때는 가로로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롤러블TV와 폴더블 스마트폰은 모두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란 말 그대로 유연한 전자 소자를 말한다. 유연하기 위해서는 우선 얇아야 한다. 정보를 받아 빛으로 전환하는 기판이 얇고 유연해야, 손상 없이 성능이 오래 지속된다.
유연하다는 것은 충격을 받더라도 크게 영향이 없어야 함을 뜻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휘거나 접혀있는 동안, 접합부에서는 계속해서 압력을 받고 있다. 이러한 압력에 내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내구성이 뛰어나면서도, 압력이 가해졌을때 여유롭게 변형되는 성질이 필요하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OLED를 기반으로 구현된다. OLED는 유기발광물질을 이용한 디스플레이다. 유기물질은 상대적으로 금속과 같은 무기물보다 유연하다. 나아가, OLED는 기판의 두께가 얇아, 다른 디스플레이보다 경쟁력이 있다. 과거 사용되었던 LCD 기판의 경우 따로 액정과 유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TV의 새로운 폼 팩터로서, 실내 및 실외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TV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 전염병 유행으로 인하여, 사용자들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증가하고 있고, 세컨드(second) TV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야외로 캠핑 등 놀러가는 인구 증가로 인하여, 용이하게 소지 및 이동시킬 수 있는 새로운 폼 팩터의 TV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새로운 폼 팩터의 TV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의 회전이 가능하고 음악 감상 등과 같은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자 경험을 좀더 충족시킬 수 있는 제어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나 배경은 비단 TV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영상 또는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장치 대부분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의 설명은 TV에 국한하지 않고 영상 또는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에 대해 모두 적용되며, TV라는 용어 대신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음악 감상을 위한 테마 화면의 표시 및 이를 통한 음원의 제어에 대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회전 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제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턴테이블 테마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안되며, 상기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트랜시버; 오디오 데이터의 제어 명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제어 명령을 검출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제1 타입의 제어 명령에 따라 턴테이블의 톤암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제1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제2 타입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턴테이블의 톤암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제2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턴테이블 테마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며, 상기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트랜시버; 오디오 데이터의 제어 명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제어 명령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제1 타입의 제어 명령에 따라 턴테이블의 톤암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제1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거나,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제2 타입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톤암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제2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 해결방법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음원 감상 앱이나 프로그램의 실행 시에, 다양한 테마 화면 또는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청각적인 만족 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회전 시에 적합한 테마 화면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해상도 열화 없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TV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V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V의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V의 활용 예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V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재생용 테마 화면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재생용 테마 화면의 부분 영역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재생용 테마 화면에 설정된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분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재생용 테마 화면에 설정된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입력의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지칭하지만, 디스플레이 장치는 TV나 멀티미디어 장치 등과 같이 그 명칭이 다양하게 지칭될 수 있으며, 발명의 권리범위가 그 명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1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 입력부(130), 제어부(180), 디스플레이 모듈(150), 오디오 출력부(160) 및/또는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10)는 튜너부(111) 및 복조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면과 달리, 방송 수신부(11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 중,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1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너부(111)는 안테나(미도시) 또는 케이블(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튜너부(111)는 선택된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튜너부(111)는 선택된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튜너부(111)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8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1)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1)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12)는 튜너부(11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12)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1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8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 모듈(15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60)를 통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외부의 변화를 감지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여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음성센서(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습도계, 온도계 등),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센싱부(120)에서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를 점검하고 문제가 발생시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자체적으로 조정하여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제공되는 영상의 컨텐츠, 화질, 사이즈 등을 센싱부에서 감지한 시청자나, 주변의 조도 등에 따라 다르게 제어하여 최적의 시청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진보해감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탑재된 기능이 많아지고 센싱부(20) 또한 그와 함께 증가하고 있다.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30)는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베젤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자체에 외부로 노출된 물리적 형태의 버튼 형태의 입력부(130)는 최소화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많아지고 있다. 대신에 배면이나 측면에 최소의 물리적 버튼이 위치하고 터치패드나 후술할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을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8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40)는 제어부(18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18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등은,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80) 내에 저장부(14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SDRAM 등)나,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인터페이스부(171)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복수의 픽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W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복수의 픽셀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 모듈(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3차원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무안경 방식과 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면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 측면 등을 커버하며 디스플레이 모듈을 패키지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평면에서 더 나아가 곡면의 화면을 구현하기 위해 LED(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와 같이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이용할 수 있다.
종래에 주로 이용되던 LCD는 LCD가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어려워 백라이트 유닛을 통해 빛을 공급받았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과 광원에서 공급된 빛을 균일하게 전면에 위치하는 액정에 공급해주는 장치이다. 백라이트 유닛이 점점 얇아지면서 박형의 LCD를 구현할 수 있었으나, 백라이트 유닛을 휘어지는 소재로 구현이 어렵고 백라이트 유닛이 휘어지는 경우 액정에 균일한 빛의 공급이 어려워져 화면의 밝기가 변화하는 문제가 있다.
반면 LED나 OLED의 경우 픽셀을 이루는 소자가 각각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하지 않아 휘어지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각 소자가 자체발광 하므로 이웃하는 소자와의 위치관계가 달라지더라도 자체 밝기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LED나 OLED를 이용하여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구현할 수 있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은 2010년 중반에 본격적으로 등장하여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는 LCD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OLED는 형광성 유기활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자체발광 현상을 이용하여 만든 디스플레이로, 화질 반응 속도가 LCD에 비해 빨라 동영상을 구현할 때 잔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OLED는 자체 발광기능을 가진 적색(Red)과 녹색(Green), 청색(Blue) 등 세 가지의 형광체 유기화합물을 사용하며, 음극과 양극에서 주입된 전자(電子)와 양의 전하를 띤 입자가 유기물 내에서 결합해 스스로 빛을 발하는 현상을 이용한 발광형 디스플레이 제품이므로 색감을 떨어뜨리는 백라이트(후광장치)가 필요 없다.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 패널은 LED소자 하나를 하나의 픽셀로 이용하는 기술로서, 종래에 비해 LED소자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구현할 수 있다. 종래에 LED TV라 불리우던 장치는 LED를 LCD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이용한다는 것이지 LED자체가 화면을 구성하지 못했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표시패널과 표시패널 배면에 위치하는 결합마그넷, 제1 전원 공급부 및 제1 신호모듈을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복수 개의 픽셀들(R, G, 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 G, B)은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과 다수의 게이트라인들이 교차되는 영역마다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 G, B)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 또는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픽셀들(R, G, B)은 적색(Red, 이하 'R') 서브 픽셀, 녹색(Green, 'G') 서브 픽셀 및 청색 (Blue, 'B')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 G, B)은 화이트(White, 이하 'W')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60)는 제어부(18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는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선방식뿐만 아니라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방식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방식의 일 예로 전술한 방송수신부(110)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방송신호뿐만 아니라 이동통신신호 근거리 통신신호, 무선인터넷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다양한 원격 제어 장치(200)와 통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유/무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전력(Bluetooth Low Energy; BLE), 직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와 같은 셀룰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과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는 ASIC과 같은 전용 장치(dedicated device)이거나 다른 하드웨어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튜너부(111), 복조부(112),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60)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튜너부(111)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2D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진폭 편이 변조(Amplitude Shift Keying; ASK)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변조(modulation) 및/또는 복조(demodulation)할 수 있다. 여기서,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은, 데이터 값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을 다르게 하여 신호를 변조하거나, 반송파의 진폭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값으로 복원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하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복조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와 같은 고유 식별자나, TCP/IP와 같은 복잡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영상표시장치와 간편하게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촬영부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 상부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8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80)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8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15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6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부품에 전원을 배분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 전원과 직접연결하여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배터리를 포함하여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유선의 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하며 이동이 어렵거나 이동 범위가 제한된다. 후자의 경우 이동이 자유로우나 배터리만큼의 무게가 증가하고 부피가 커지며 충전을 위해 일정시간 전원케이블과 직접 연결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거치부(미도시)와 결합해야 한다.
충전거치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와 접속할 수 있고, 또는 무선방식을 이용하여 근접하면 내장된 배터리가 충전될 수도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 제어 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nfrared Radiation) 통신,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위한 블록도일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데, 이동 가능한 형태의 폼팩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우징(210) 내부에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수납된 형태이다. 이때, 하우징(210)은 상단 케이스(210a) 및 하단 케이스(210b)를 포함하며, 상단 케이스(210a)와 하단 케이스(210b)가 열고 닫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단 케이스(210a)에 오디오 출력부(160)가 포함될 수 있고, 하단 케이스(210b)에는 제어부(180)인 메인 보드, 파워보드, 전원 공급부(190), 배터리, 인터페이스부(170), 센싱부(120) 및 입력부(130, 로컬키를 포함) 등이 수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및 NFC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센싱부(120)는 조도 센서, IR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DC-DC 보드, 센서 및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낮은 전압 차등 신호) 변환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탈부착이 가능한 4개의 다리(220a, 220b, 220c, 220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4개의 다리(220a, 220b, 220c, 220d)는 하단 케이스(210b)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의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리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활용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 케이스와 하단 케이스 내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탑재되어 있는 구조로, 상단 케이스와 하단 케이스 닫을 경우, 가방과 같이 들 수 있는 구조로 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단 케이스 또는 하단 케이스 상에 손잡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손잡이(300)는 사용자가 상단 케이스와 하단 케이스가 닫힌 하우징을 들 수 있도록 상단 케이스 또는 하단 케이스 좌우 측면에 부착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손잡이(300)는 가죽 또는 플라스틱 등 사용자가 손에 들기 쉬운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단 케이스 또는 하단 케이스가 닫힌 상태에서, 손잡이(300)를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가 쉽게 들고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하단 케이스를 바닥에 놓고 상단 케이스를 오픈하여, 탑재된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4 및 도 5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단 케이스 측면에 수납 공간(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납 공간(310)에는 도 1에서 상술한 다양한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수납 공간(310)은 터치 펜(touch-pen) 또는 무선 이어폰(wireless earphone)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활용 예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4개의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4개의 다리는 하단 케이스에 부착되어 바닥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격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동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에서 이격되게 고정된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4의 (a) 내지 (d)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다리를 부착하여 고정된 위치에서 사용하는 활용 예를 나타낸다. 이때, 도 4의 (a)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단 케이스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고, 도 4의 (b) 내지 (d)는 상단 케이스를 연 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4의 (b)는 상단 케이스가 열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수납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도 4의 (b)는 상단 케이스가 열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 안에 누워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활성화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에서 편집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편집 모드는 컨텐트에 메모 기능, 그리기 기능 및 음성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거치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통하여 컨텐트를 감상/시청하고자 하는 의도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출력된 컨텐트를 편집하고자 하는 의도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컨텐트를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상단 케이스가 열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가로로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의 (d)는 상단 케이스가 열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세로로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도 4의 (c) 및 (d)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를 발판으로 하여 세워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모터(미도시)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에 수납하거나 거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단 케이스가 오픈되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 상에 가로 또는 세로로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단 케이스가 오픈되면, 일차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 상에 수납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터치하는 신호, 센싱부 또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 상에 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하단 케이스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아래로 누름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 상에 거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5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세로로 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5의 (c) 및 도 5의 (d)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가로로 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의 (a) 및 도 5의 (c)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의 (b) 및 도 5의 (d)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상단 케이스는 오디오 출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도 5의 (a)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세로로 거치되어 있고, 뒷 단에 오디오 출력부(160)를 포함하는 상단 케이스가 있을 수 있다.
도 5의 (b)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에 세로로 거치하기 위하여 지지 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5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측면에서 살펴보면, 지지 부재(500)는 하단 케이스에 포함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세로로 거치하기 위하여 접히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5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터의 제어를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수동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5의 (c)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가로로 거치하고, 뒷 단에 오디오 출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d)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에 가로로 거치하기 위하여 지지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지 부재(500)는 도 5의 (b)와 동일한 지지 부재(500)를 사용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가로로 거치하기 위하여 지지 부재(500)에 포함된 힌지(510)가 더 많이 접힌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사용자의 손에 의해 수동으로 가로로 거치되거나 세로로 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에 기초하여 하단 케이스에 가로로 거치되거나 세로로 거치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제어 신호(센싱부 또는 입력부를 통한 감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가로로 또는 세로로 거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외부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외부 디바이스(700)와 연결되어 오디오 데이터(즉, 음원 데이터, 이하, 간단함을 위해 “음원”이라 지칭함)를 재생 내지 출력하는 모드를 설명한다. 도시된 것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우징 상단의 케이스가 오픈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우징과 결합된 상태이지만, 도 4의 (c)와 (d)처럼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거치된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음원 재생 모드에서, 하우징의 상단 케이스에 부착된 오디오 출력부(160)를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700)에 저장된 음원이나 외부 디바이스(700)가 네트워크 등을 통해 스트리밍 받는 음원을 음향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디바이스(700)로부터 수신한 음원을 출력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모듈(150) 상에 턴테이블과 같은 음향 특화 테마 화면(710)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음향 특화 테마 화면(710)이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출력되는 방식 또는 출력을 위한 제어 방식을 설명한다. 위와 같은 음향 특화 테마 화면(7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700)에 설치된 음원 재생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앱의 실행과 동시에 음원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무선 스트리밍하는 경우 실행될 수 있다. 또는, 위와 같은 음향 특화 테마 화면(7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저장 매체(예컨대, USB)에 저장된 음원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설치된 음원 재생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앱을 통해 재생하고자 경우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의 두 경우 중 어느 하나를 제한하지 않고 음향 특화 테마 화면(710)이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출력되는 방식 또는 출력을 위한 제어 방식 등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도 7은 제안된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50)(이하, “디스플레이”라 함)에 표시되는 영상을 도시한다. 도시된 영상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음원 재생 모드 내지는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나 앱(즉, 서비스)가 실행될 때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음향 특화 테마 화면(710)의 하나로서, 턴테이블 테마를 도시한다. 턴테이블 테마 화면(710)은, 톤암(711), LP 판(712), 음원 재생 제어용 사용자 인터페이스(713), 음원 정보 표시창(714)을 포함하며, 턴테이블로 LP 판을 재생하는 장면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의 (a)는 디스플레이의 가로 모드, 도 7의 (b)는 디스플레이의 세로 모드의 장면을 각각 도시한다. 가로 모드는 디스플레이가 스탠드나 케이스에 가로로 거치된 상태를 말하며, 세로 모드는 디스플레이가 스탠드나 케이스에 세로로 거치된 상태를 말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디바이스(7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 디바이스(700)로부터 음원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경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단독으로 음원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경우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713)를 통해 음원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실제 턴테이블이 동작하는 것처럼, 톤암(711)의 움직임 그리고 LP 판(712)의 회전 동작을 표현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713)를 통해 음원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실제 턴테이블이 동작하는 것처럼, 톤암(711)의 움직임 그리고 LP 판(712)의 회전 동작을 표현하는 영상(즉, 비디오 데이터)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될 수 있다.
이처럼, 실제 턴테이블의 동작을 묘사하는 영상의 출력은 사용자에게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실제 턴테이블 기구를 사용하는 듯한 느낌을 갖게 할 수 있다.
음원 재생 제어용 사용자 인터페이스(713)에는 음원의 재생, 정지, 다음(다음 트랙 재생, 빨리 감기 등), 이전(이전 트랙 재생, 되감기 등) 등의 제어를 위한 조작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음원 재생 제어용 사용자 인터페이스(713)는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와 함께 설정된다. 이를 통해, 음원 재생 제어를 위한 그래픽 UI(user interface)에 해당하는 영역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대응하는 음원 제어 명령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 등에 전달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음원 정보 표시창(714)에는 음원의 제목, 가수, 재생/정지 상태, 재생 시간 또는 재생 잔여 시간 등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제안된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을 도시한다.
도 8의 (a)는 음원의 재생이 정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영상이며, 도 8의 (b)는 음원의 재생이 수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영상이다. 도 8의 (a)에서는, 음원이 정지 상태이므로, 톤암(711)이 초기 위치에 위치하며, 도 8의 (b)에서는, 음원이 재생 상태이므로, 톤암(711)이 LP 판(712) 위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음원의 재생이 정지된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713)를 통해 음원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도 8의 (a)로 표시되던 것이 도 8의 (b)와 같은 장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가 제어된다. 또한, 음원 재생 명령의 입력에 따라, 오디오 출력부(160)는 음원을 출력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음원의 출력 시에 노이즈 음원, 바람직하게는 실제 LP 판의 표면 잡음을 모사한 음원이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음원의 재생이 수행되는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713)를 통해 음원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도 8의 (b)로 표시되던 것이 도 8의 (a)와 같은 장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가 제어된다. 또한, 음원 정지 명령의 입력에 따라, 오디오 출력부(160)는 음원을 출력 중단하도록 한다.
한편, 음원 재생/정지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710)은 동영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음원의 정지 상태에서 음원의 재생 상태로의 전환(또는 반대 방향으로의 전환)을 나타내는 영상이 음원 재생 명령(또는 음원 정지 명령)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이 동영상은 도 8의 (a)의 장면에서 도 8의 (b)의 장면으로 그리고 도 8의 (b)의 장면에서 도 8의 (a)의 장면으로, 톤암(711)의 움직임을 나타내기 위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a)의 장면에서 도 8의 (b) 장면으로 단순히 전환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 턴테이블의 동작과 대응되도록, 상기 동영상은 톤암이 초기 위치에서 리프트(lift)되어 스윙축을 중심으로 스윙궤적을 따라 LP 판(712) 위쪽으로 이동하고, 다시 LP 판(712)을 판독하기 위해 톤암(711)이 다운되는 모습을 표현할 수 있다. 이는, 도 8의 (b) 장면에서 도 8의 (a) 장면으로의 전환 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음원이 재생되는 동안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710)도 동영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음원이 재생되는 상태에 대응하는 톤암(711) 및 LP 판(712)의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는, 해당 동영상은 톤암(711)이 음원의 재생 시간의 흐름에 따라, LP 판(712)의 중심쪽으로 톤암(711)의 스윙 축을 중심으로 스윙궤적을 따라 스윙하거나 LP 판(712)이 회전하는 모습을 포함한다.
도 9에서, 턴테이블 테마 화면(710)의 A 영역은 턴테이블의 동작을 표현하기 위한 영상(동영상)이 출력되는 부분이고, B 영역은 음원 재생 제어용 사용자 인터페이스(713) 및 음원 정보 표시창(714)이 출력되는 부분이다. A 영역은 “영상 파트”로 지칭되며, B 영역은 “정보 및 제어 파트”로 지칭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턴테이블 테마 화면(710)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동안 음원 재생 제어용 사용자 인터페이스(713) 외에도, 또다른 음원 재생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턴테이블 테마 화면(710)의 제1 부분 영역(1711)과 제2 부분 영역(1712)에 각각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정된다. 제1 부분 영역(1711)은 턴테이블의 톤암(7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정될 수 있으며, 제2 부분 영역(1712)은 LP 판(712)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제1 부분 영역(1711)와 제2 부분 영역(1712)에 설정된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음원의 재생 제어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분 영역(1711)와 제2 부분 영역(1712)에 설정된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디스플레이에 이에 대응하는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1은 음원의 재생 상태에 따른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의 입력(이하, “터치 입력”이라 함)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의 (a)는 음원이 재생 정지 상태인 경우의 터치 입력을 나타내고, 도 11의 (b)는 음원이 재생 상태인 경우의 터치 입력을 나타낸다.
음원이 재생 정지 상태인 경우,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제1 부분 영역(1711)에 D1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예컨대, 드래그(drag))이 검출되면, 음원의 재생이 시작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에 도 8의 (b)와 같이, 톤암(711)이 LP 판(712) 위에 위치하는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이 영상은 동영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해당 동영상의 시작 프레임은 도 8의 (a)로, 마지막 프레임은 도 8의 (b)로 구성될 수 있다.
음원이 재생 상태인 경우,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제1 부분 영역(1711)에 D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예컨대, 드래그)이 검출되면, 음원의 재생이 정지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에 도 8의 (a)와 같이, 톤암(711)이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이 영상은 동영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해당 동영상의 시작 프레임은 도 8의 (b)로, 마지막 프레임은 도 8의 (a)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부분 영역(1711)에 대한 터치 입력은 방향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입력에 따른 동작은 음원의 재생 상태(또는 음원의 재생 상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영상)에 따라 음원의 재생 제어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음원이 재생 중인 경우에 제1 부분 영역(1711)에의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이는 음원 정지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고; 음원이 정지 중인 경우에 제1 부분 영역(1711)에의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이는 음원 재생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분 영역(1712)에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음원의 재생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제2 부분 영역(1712)에 R1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예컨대, 드래그)이 검출되면, “다음” 제어 명령으로 인식되며, 음원의 빨리 감기 또는 다음 트랙 재생 등의 음원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음원의 빨리 감기와 다음 트랙 재생의 구분은, 음원의 재생 프로그램(또는 앱)이 해당 기능을 지원하느냐 여부에 따라 결정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설치된 음원 재생 모드를 위한 프로그램이나 앱, 또는 외부의 디바이스(700)와 무선 연결되어 스트리밍되는 음원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출력되는 경우, 외부의 디바이스(700)에 설치된 음원 재생 프로그램 또는 앱에 정의된 기능에 따라 결정된다. 해당 프로그램이나 앱이 빨리 감기 및 다음 트랙 재생에 대한 제어 기능을 모두 지원하면, 구분가능하며, 둘 중 하나만 지원하면 지원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제어가 실행된다.
프로그램이나 앱이 빨리 감기 및 다음 트랙 재생에 대한 제어 기능을 모두 지원하면, 음원의 빨리 감기와 다음 트랙 재생의 구분은 R1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의 지속 시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의 지속 시간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이면 다음 트랙 재생 제어로, 터치 입력의 지속 시간이 미리 설정된 범위보다 길면 빨리 감기 제어로 판단될 수 있다.
도 11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제2 부분 영역(1712)에 R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예컨대, 드래그)이 검출되면, “이전” 제어 명령으로 인식되며, 음원의 되감기 또는 이전 트랙 재생 등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이전” 제어 명령에 대한 구분된 제어 기능은 앞서 “다음” 제어 명령과 마찬가지로, 음원 재생용 프로그램 또는 앱의 지원 기능에 따라 지원될 수도 안될 수도 있다. 음원의 되감기 또는 이전 트랙 재생 제어 등이 지원된다면, 두 제어의 구분은 터치 입력의 지속 시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추가적인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부분영역이 추가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부분영역을 제3 부분영역이라 지칭하도록 한다. 제3 부분영역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실행가능한 다른 앱이나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예컨대, 아이콘)가 설정되고 출력될 수 있다.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가해지면, 해당 앱이나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디스플레이에는 실행된 앱이나 프로그램을 위한 장면이 출력된다.
또한, 음원이 재생되는 경우, 재생되는 음원의 가사 정보가 턴테이블 테마 화면(710) 내 일부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출력되는 가사 정보는 음원의 재생 시간에 동기화되어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예컨대, 재생되는 음원의 소절에 대응되는 가사 정보가 시각적으로 강조됨).
또한, 턴테이블 테마 화면(710)에 표시되는 LP 판(712)의 중심부에는 해당 음원과 관련된 이미지(예컨대, 앨범 자켓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도 12는 제안된 기술을 위한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2에 따른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해당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음원 재생 서비스(예컨대, 앱)이 실행되면 시작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턴테이블 테마를 선택하는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S1210). 턴테이블 테마(7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으며, 디폴트 옵션으로서 복수의 후보 턴테이블 테마 중 어느 하나가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선택되거나 디폴트 옵션으로 설정된 턴테이블 테마(710)(이하, “선택된 턴테이블 테마”로 지칭)와 관련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S1220).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장부(140)에 복수의 후보 턴테이블 테마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그 중 선택된 턴테이블 테마(710)를 디스플레이(150)에 표시하기 위한 준비 절차에 해당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선택된 턴테이블 테마 및 검출된 디스플레이의 회전 상태(예컨대,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에 따른 테마 영상을 설정할 수 있다(S1230).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50)에 선택된 턴테이블 테마의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에 해당하는 초기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가 가로 모드인 경우 도 7의 (a)과 같은 영상이 출력되며, 디스플레이가 세로 모드인 경우 도 7의 (b)와 같은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음원 재생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1240). 음원이 재생 정지 상태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50)에 선택된 턴테이블 테마의 톤암이 제1 위치(즉, 초기 위치)에 있는 영상(즉, 초기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S125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S1230에서 초기 영상을 출력했다면, 그 초기 영상의 출력을 유지한다.
음원이 재생 상태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50)에 선택된 턴테이블 테마의 톤암이 제2 위치(즉, LP 판 위)에 있는 영상(이하, “재생 위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S1252). 이에 앞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톤암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이하, “제1 톤암 이동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재생 위치 영상은 상기 톤암이 제2 위치에서 스윙 축을 중심으로 스윙하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정리하면, 음원이 재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초기 영상, 톤암 이동 영상, 그리고 재생 위치 영상으로 구성되는 총 3개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며, 이 중 일부는 동영상으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50)의 회전 상태가 변경되거나, 새로운 턴테이블 테마가 선택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1260).
새로운 턴 테이블 테마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시 S1220 단계로 돌아가 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의 회전 상태가 변경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시 S1230 단계로 돌아가 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의 회전 상태가 변경되거나, 새로운 턴 테이블 테마가 선택되지 않았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음원의 재생 상태가 변경되었는지 여부 그리고 재생 상태의 변경 양상을 판단할 수 있다(S1270). 음원의 재생 상태의 변경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음원 제어 명령에 의해 결정된다. 음원 제어 명령의 입력은 도 7 내지 11에 도시된 음원 재생 제어용 사용자 인터페이스(713)에 대한 터치 입력이나, 외부 디바이스(7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을 포함한다.
음원의 재생 상태가 재생에서 정지로의 상태 변경이 확인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S1251 단계로 돌아간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50)에 선택된 턴테이블 테마의 톤암이 제1 위치에 있는 영상을 출력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이에 앞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톤암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하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이하, “제2 톤암 이동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정리하면, 음원이 재생에서 정지로 상태 변경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재생 위치 영상, 제2 톤암 이동 영상, 그리고 초기 영상으로 구성되는 총 3개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며, 이 중 일부는 동영상으로 구성된다.
음원의 재생 상태가 정지에서 재생으로의 상태 변경이 확인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S1252 단계로 돌아간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50)에 선택된 턴테이블 테마의 톤암이 제2 위치에 있는 영상(즉, 재생 위치 영상)을 출력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이에 앞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톤암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즉, 제1 톤암 이동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음원의 재생 상태가 변경되지 않았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음원 재생 서비스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40). 음원 재생 서비스가 종료되었다면, 본 방법은 종료된다.
음원 재생 서비스가 종료되지 않았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S1260 단계로 돌아가, 본 방법을 수행한다.
이상으로 도 12에 도시된 순서도를 설명하였는데,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지 않은,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이 제안된 기술을 위한 방법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은 제안된 기술을 위한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커버 UI(user interface) 출력부(181), 제어 UI 출력부(182), 영상 출력부(183), 회전 이벤트 검출부(184), 영상 제어부(185), 터치 UI 제어부(186), 음원 제어부(187)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턴테이블 테마 화면(710)을 디스플레이(150)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턴테이블 테마 화면(710)에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또는 외부 기기(7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에 따라 영상을 디스플레이(150)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을 검출하여 음원의 재생 제어 또는 다른 앱 또는 프로그램의 실행, 그리고 오디오 출력부(160)를 통한 음원의 출력을 제어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에 따른 영상의 출력과 음원의 출력 제어는 상호 연동될 수 있다.
커버 UI 출력부(181)는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턴테이블 테마 화면(710)에 포함된 LP 판(712)의 중심에, 음원과 관련된 이미지(예컨대, 앨범 자켓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 UI 출력부(182)는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사용자와의 상호작용(interaction)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컨대 음원 재생 제어용 사용자 인터페이스(713) 및 음원 정보 표시창(714)을 포함하는 턴테이블의 정보 및 제어 파트에 대한 영상(즉, “영상 파트”, 도 9의 B 영역) 출력한다. 턴테이블 테마 화면(710)이 복수 개가 제공된다면, 턴테이블 테마 화면 별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영상 출력부(183)는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턴테이블 테마 화면(710)에 포함된 톤암(711), LP 판(712) 및 베이스 내지는 플린스로 구성된 턴테이블의 주요부에 대한 영상(즉, “영상 파트”, 도 9의 A 영역)을 출력한다.
회전 이벤트 검출부(184)는 디스플레이(150)의 회전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회전 상태는 디스플레이(150)가 가로 모드 인지 또는 세로 모드 인지에 대한 것이다. 회전 이벤트 검출부(184)는 디스플레이(150)가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회전되는 이벤트와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 회전되는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영상 제어부(185)는 나머지 구성요소, 즉 커버 UI(user interface) 출력부(181), 제어 UI 출력부(182), 회전 이벤트 검출부(184), 영상 제어부(185), 터치 UI 제어부(186), 음원 제어부(187)를 제어할 수 있고, 이를 위해 각 구성 요소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영상 제어부(185)는 디스플레이(150)에 출력되는 영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리고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거나 제어한다.
영상 제어부(18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턴테이블 테마 선택이나 디폴트 옵션으로 설정된 턴테이블 테마에 따른 턴테이블 테마 영상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제어부(185)는 설정된 턴테이블 테마 영상이 디스플레이(150)에 출력되도록 영상 출력부(183)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제어부(185)는 터치 UI 제어부(186)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영상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150)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영상 제어부(185)는 음원 제어부(187)로 검출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음원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영상 제어부(185)는 회전 이벤트 검출부(184)에 의해 검출된 디스플레이(150)의 회전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150)에 출력할 선택된 턴테이블 테마의 영상(즉, 가로 모드의 영상 또는 세로 모드의 영상)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선택된 턴테이블 테마의 영상이 디스플레이(15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터치 UI 제어부(186)는 디스플레이(150)에 출력되는 턴테이블 테마의 영상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50)의 특정 영역에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예컨대, 도 10의 713, 1711, 1712)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터치 UI 제어부(186)는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즉, 터치 입력)을 영상 제어부(185)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입력은 음원 재생의 제어를 위한 입력으로서, 예를 들어, 음원의 재생, 정지, 다음(다음 트랙 재생, 빨리 감기 등), 이전(이전 트랙 재생, 되감기 등) 등이 포함된다.
음원 제어부(187)는 터치 입력에 따른 음원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그에 따라 음원의 재생을 제어 (예컨대, 재생, 정지, 다음(다음 트랙 재생, 빨리 감기 등), 이전(이전 트랙 재생, 되감기 등) 등)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음원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700)로부터 수신(즉, 스트리밍)받고 이를 오디오 출력부(160)를 통해 음향 신호로 출력하는 경우, 음원 제어부(187)는 터치 입력에 따른 음원 제어 명령을 외부 디바이스(7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700)는 수신된 음원 제어 명령에 따라 음원의 재생을 제어하고, 그 결과로서 재생 상태 정보(예컨대, 재생/정지, 재생 시간 정보 등)를 다시 음원 제어부(187)로 전송할 수 있다. 음원 제어부(187)는 수신된 재생 상태 정보를 제어 UI 출력부(182) 및/또는 영상 제어부(185) 등으로 전달하여 그에 상응하는 영상이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제어부(180)가 커버 UI 출력부(181), 제어 UI 출력부(182), 영상 출력부(183), 회전 이벤트 검출부(184), 영상 제어부(185), 터치 UI 제어부(186), 음원 제어부(187)를 포함하여, 각 구성요소가 발명을 실시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이를 기초로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커버 UI 출력부(181), 제어 UI 출력부(182), 영상 출력부(183), 회전 이벤트 검출부(184), 영상 제어부(185), 터치 UI 제어부(186), 음원 제어부(187)의 기능이나 동작 등이 제어부(180)에 통합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본 제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50), 오디오 출력부(16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출력부(160)는 스피커로 지칭되며, 제어부(180)는 컨트롤러로 지칭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7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디스플레이(150)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피커(160)는 음원을 음향 신호로 출력한다.
컨트롤러(180)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의 제어 명령을 검출한다. 여기서, 오디오 데이터의 제어 명령은 재생, 정지, 이전, 다음 등과 같은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제어를 위한 것이며, 각각을 특정 타입의 제어 명령이라 지칭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타입의 제어 명령, 제2 타입의 제어 명령 등으로 지칭할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의 제1 타입의 제어 명령에 따라 톤암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150)에 출력한다. 또한, 컨트롤러(180)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의 제2 타입의 제어 명령에 따라 톤암을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하는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150)에 출력한다.
컨트롤러(180)는 오디오 데이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이 지속되는 동안, 제3 영상을 디스플레이(150)에 출력한다. 제3 영상은 음원의 재생 시간의 흐름에 따라, 톤암이 톤암의 스윙 축을 중심으로 스윙궤적을 따라 스윙하는 모습을 표현하는 영상이다. 또한, 제3 영상은 LP 판이 회전하는 모습을 표현할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디스플레이(150)의 출력 영역을 적어도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컨트롤러(180)는 두 개의 영역 중 제1 영역에 LP 판이 올려진 턴테이블 영상을 출력하고, 제2 영역에 음원의 재생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컨트롤러(180)는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음원의 가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디스플레이(180)의 두 개의 영역 중 제1 영역에 출력되는 턴테이블 영상(즉, 제1 내지 제3 영상 중 어느 하나)의 톤암에 대응하는 제1 부분영역에 제1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고, 제1 영역에 출력되는 턴테이블 영상의 LP 판에 대응하는 제2 부분영역에 제2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제1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방향으로의 터치가 검출되면 톤암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제1 위치로 이동하는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150)에 출력하고, 제1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방향으로의 터치가 검출되면 톤암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15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80)는 제2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제1 방향으로의 터치의 검출에 따라 미리 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제1 재생 제어, 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713)의 “다음” 입력에 대응하는 음원 제어 명령)을 제어하고, 제2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제2 방향으로의 터치의 검출에 따라 미리 정의된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제2 재생 제어, 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713)의 “이전” 입력에 대응하는 음원 제어 명령)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80)는 디스플레이(150)의 제3 부분영역에 다른 앱 실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는 영역에는 터치 UI 영역이 설정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검출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컨트롤러(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설치된 다른 앱을 실행하고, 이에 따라 실행되는 앱을 위한 영상을 디스플레이(15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80)는 제1 영역에 표시되는 LP 판의 중심부에 음원의 커버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80)는 제1 영상의 출력과 함께, 음원의 음향 신호를 스피커(160)에 출력하고, 제2 영상의 출력과 함께, 음원의 음향 신호를 스피커(160)에 출력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80)는 디스플레이(150)에 제3 영상을 출력하면서 스피커(160)를 통해 음원과 함께 노이즈 음원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8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의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의 제1 타입의 제어 명령 또는 제2 타입의 제어 명령 등이 입력되며, 이에 따라 컨트롤러(180)는 디스플레이(150)에 제1 영상 내지 제3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aspect)로서, 앞서 설명한 제안 또는 발명의 동작이 "컴퓨터"(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에 의해 구현, 실시 또는 실행될 수 있는 코드 또는 상기 코드를 저장 또는 포함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product) 등으로도 제공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상기 코드 또는 상기 코드를 저장 또는 포함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확장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Claims (20)

  1. 턴테이블 테마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트랜시버;
    오디오 데이터의 제어 명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제어 명령을 검출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제1 타입의 제어 명령에 따라 턴테이블의 톤암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제1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제2 타입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턴테이블의 톤암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제2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상기 제2 타입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스피커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이 지속되는 동안, 제3 영상을 출력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적어도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영역 중 제1 영역에 상기 제1 영상 또는 상기 제2 영상을 출력하고, 제2 영역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제어 명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의 일부 영역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가사 정보를 출력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영상 또는 상기 제2 영상의 톤암에 대응하는 제1 부분영역에 제1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고, 상기 제1 영상 또는 상기 제2 영상의 LP 판에 대응하는 제2 부분영역에 제2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1 방향으로의 터치의 검출에 따라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2 방향으로의 터치의 검출에 따라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3 부분영역에 다른 앱 실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영상 또는 상기 제2 영상에 표시되는 LP 판의 중심부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상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기 톤암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스윙 축을 중심으로 스윙궤적을 따라 스윙하고, LP 판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표현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회전 상태에 따른 영상을 설정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복수의 턴테이블 테마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턴테이블 테마를 위한 영상을 설정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은,
    상기 턴테이블의 톤암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제1 부분영상, 상기 톤암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제2 부분영상, 및 상기 턴테이블의 톤암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제3 부분영상을 포함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턴테이블의 톤암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제1 부분영상, 상기 톤암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제2 부분영상, 및 상기 턴테이블의 톤암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제3 부분영상을 포함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영상의 출력과 함께,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영상의 출력과 함께,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에 출력하지 않도록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제1 방향으로의 터치의 검출에 따라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제2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제2 방향으로의 터치의 검출에 따라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3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면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함께 노이즈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7. 턴테이블 테마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트랜시버; 오디오 데이터의 제어 명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제어 명령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제1 타입의 제어 명령에 따라 턴테이블의 톤암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제1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거나,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제2 타입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톤암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제2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상기 제2 타입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스피커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이 지속되는 동안, 제3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두 개의 영역 중 제1 영역에 상기 제1 영상 또는 상기 제2 영상을 출력하고, 제2 영역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제어 명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또는 상기 제2 영상의 톤암에 대응하는 제1 부분영역에 설정된 제1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입력이 제1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면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상기 터치 입력이 제2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이면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30085832A 2023-04-13 2023-07-03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659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8626 2023-04-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9988B1 true KR102659988B1 (ko) 2024-04-24

Family

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32838A1 (en) 2009-06-16 2013-05-23 Kyran Daisy Virtual phonograph
US20220277041A1 (en) 2019-09-25 2022-09-01 Meta Platfor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ly fetching music content
JP2022164895A (ja) 2009-09-30 2022-10-27 ロヴィ ガイ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双方向メディアガイダンスアプリケーションを使用してオーディオコンテンツを識別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32838A1 (en) 2009-06-16 2013-05-23 Kyran Daisy Virtual phonograph
JP2022164895A (ja) 2009-09-30 2022-10-27 ロヴィ ガイ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双方向メディアガイダンスアプリケーションを使用してオーディオコンテンツを識別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220277041A1 (en) 2019-09-25 2022-09-01 Meta Platfor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ly fetching music cont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651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7002402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providing content
KR1026599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1175646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30179948A1 (en) Bend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40016688A (ko)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US11682329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3022294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40064461A1 (en) Movable tv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40020501A (ko) 이동 가능한 tv 및 이동 가능한 tv의 제어 방법
KR20240023829A (ko) 이동 가능한 tv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292381A1 (en) Remote controller and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KR20240024855A (ko) 케이스에 삽입 가능한 배터리 내장형 tv 및 그 제어 방법
KR102662316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KR2023011833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240155784A1 (en) Display device
KR2023011833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2147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1890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1300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4690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25308A (ko) 전자 장치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4001134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13775A (ko)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075624A (ko)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