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3829A - 이동 가능한 tv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가능한 tv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23829A KR20240023829A KR1020220102019A KR20220102019A KR20240023829A KR 20240023829 A KR20240023829 A KR 20240023829A KR 1020220102019 A KR1020220102019 A KR 1020220102019A KR 20220102019 A KR20220102019 A KR 20220102019A KR 20240023829 A KR20240023829 A KR 202400238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tt
- movable
- execution screen
- location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86 memor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phosphor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711573 Coronavi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47571 Visual impair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67 cellular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60 com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475 halogen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923 long-la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24—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 가능한 TV의 제어 방법은, 제1 위치에서 OTT (over-the-top) 서비스를 위한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로그인 정보에 따라, 제1 OTT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상기 제1 OTT 실행 화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있음)와,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상기 TV를 이동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2 위치에서의 AP (access point)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제1 OTT 실행 화면 또는 제2 OTT 실행 화면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multimedia device)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다양한 이동 수단과의 결합을 통해 이동 가능한 TV(television)와 관련된 기술이다.
최근 휴대폰 및 TV 등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새로운 폼 팩터(Form-factor)에 대해 논의되고 있다. 폼 팩터란 제품의 구조화된 형태를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폼 팩터 혁신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배경은, 소비자들의 이동성 증대, 기기 간 융합과 스마트화의 급진전 등으로 인해, 과거 특정 사용 환경에 맞춤화된 전형적 폼 팩터에서 벗어나 사용 환경 조건에 관계 없이 자유롭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폼 팩터에 대한 사용자 니즈가 강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TV를 가로로 본다는 고정관념을 깨고 세로형 TV가 확대되고있다. 세로형 TV는 모바일로 콘텐츠를 즐기는데 익숙한 MZ 세대의 특성을 반영해 스크린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만든 제품이다. SNS나 쇼핑 사이트 이미지를 간편하게 볼 수 있고, 동영상 시청과 동시에 댓글도 함께 읽을 수 있어 간편하다. 특히 세로형 TV는 스마트폰과 근거리무선통신(NFC) 기반의 미러링 기능으로 연동했을 때 장점이 더 빛을 발한다. 일반 TV나 영화를 시청할 때는 가로로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롤러블TV와 폴더블 스마트폰은 모두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란 말 그대로 유연한 전자 소자를 말한다. 유연하기 위해서는 우선 얇아야 한다. 정보를 받아 빛으로 전환하는 기판이 얇고 유연해야, 손상 없이 성능이 오래 지속된다.
유연하다는 것은 충격을 받더라도 크게 영향이 없어야 함을 뜻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휘거나 접혀있는 동안, 접합부에서는 계속해서 압력을 받고 있다. 이러한 압력에 내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내구성이 뛰어나면서도, 압력이 가해졌을때 여유롭게 변형되는 성질이 필요하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OLED를 기반으로 구현된다. OLED는 유기발광물질을 이용한 디스플레이다. 유기물질은 상대적으로 금속과 같은 무기물보다 유연하다. 나아가, OLED는 기판의 두께가 얇아, 다른 디스플레이보다 경쟁력이 있다. 과거 사용되었던 LCD 기판의 경우 따로 액정과 유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마지막으로, TV의 새로운 폼 팩터로서, 실내 및 실외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TV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 전염병 유행으로 인하여, 사용자들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증가하고 있고, 세컨드(second) TV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야외로 캠핑 등 놀러가는 인구 증가로 인하여, 용이하게 소지 및 이동시킬 수 있는 새로운 폼 팩터의 TV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새로운 형태의 폼 팩터를 가지는 TV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실내 및 실외에서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TV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TV가 이동한 위치에 따라, 특정 컨텐츠에 대한 락(lock 또는 parental lock 또는 parental control)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프로세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 가능한 TV의 제어 방법은, 제1 위치에서 OTT 서비스를 위한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로그인 정보에 따라, 제1 OTT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상기 제1 OTT 실행 화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있음)와,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상기 TV를 이동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2 위치에서의 AP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제1 OTT 실행 화면 또는 제2 OTT 실행 화면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P 신호의 RSSI 값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OTT 실행 화면이 아닌 상기 제2 OTT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OTT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와 상기 제1 OTT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임의의 컨텐츠가 재생 중 상기 TV의 움직임 여부를 센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임의의 컨텐츠가 재생된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 또는 총 재생 시간의 50%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TV의 움직임이 센싱된 시점부터, 상기 임의의 컨텐츠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설계한다.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TV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움직이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임의의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옵션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위치에서의 AP 신호의 RSSI 값에 따라, 상기 옵션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 가능한 TV는, 제1 위치에서 OTT 서비스를 위한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는 리모컨 인터페이스와, 상기 수신된 로그인 정보에 따라, 제1 OTT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상기 제1 OTT 실행 화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있음)와,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상기 TV를 이동하는 이동 수단과, 그리고 상기 제2 위치에서의 AP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제1 OTT 실행 화면 또는 제2 OTT 실행 화면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새로운 형태의 폼 팩터를 가지는 TV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실내 및 실외에서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TV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TV가 이동한 위치에 따라, 특정 컨텐츠에 대한 락(lock 또는 parental lock 또는 parental control)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활용 예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TV가 임의의 제1 위치에서 OTT 서비스를 위한 로그인을 한 경우, 디스플레이 되는 스크린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TV가 제2 위치로 이동한 경우, OTT 실행 화면의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TV가 제3 위치로 이동한 경우, OTT 실행 화면의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TV가 제4 위치로 이동한 경우, OTT 실행 화면의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TV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그리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TV가 제1 위치에서 임의의 컨텐츠를 재생하던 중 제2 위치로 이동한 경우 제공되는 다양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활용 예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TV가 임의의 제1 위치에서 OTT 서비스를 위한 로그인을 한 경우, 디스플레이 되는 스크린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TV가 제2 위치로 이동한 경우, OTT 실행 화면의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TV가 제3 위치로 이동한 경우, OTT 실행 화면의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TV가 제4 위치로 이동한 경우, OTT 실행 화면의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TV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그리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TV가 제1 위치에서 임의의 컨텐츠를 재생하던 중 제2 위치로 이동한 경우 제공되는 다양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표시된 상(U), 하(D), 좌(Le), 우(Ri), 전(F), 그리고 후(R)의 방향표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이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헤드(1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10)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헤드(10)는 디스플레이(10) 또는 디스플레이부(10, display unit)라 칭할 수 있다.
헤드(10)는 제1 장변(LS1, first long side), 제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2 장변(LS2, second long side),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SS1, first short side), 및 제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2 단변(SS2, second short side)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및 제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 및 제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헤드(10)의 단변(SS1, SS2, short side)과 나란한 방향을 제1 방향(DR1) 또는 상하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헤드(10)의 장변(LS1, LS2, long Side)과 나란한 방향을 제2 방향(DR2) 또는 우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헤드(10)의 장변(LS1, LS2) 및 단변(SS1, SS2)에 수직한 방향을 제3 방향(DR3) 또는 전후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헤드(10)가 화상을 표시하는 방향을 전방(F, z)이라 할 수 있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R)이라 할 수 있다. 제1 단변(SS1) 쪽을 왼쪽(Le, x)이라할 수 있다. 제2 단변(SS2) 쪽을 오른쪽(Ri)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 쪽을 위쪽(U, y)이라 할 수 있다. 제2 장변(LS2) 쪽을 아래쪽(D)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헤드(1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corner)라 칭할 수 있다.
제1 단변(SS1)과 제1 장변(L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일 수 있다. 제1 단변(SS1)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일 수 있다.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일 수 있다. 제2 단변(SS2)과 제1 장변(L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베이스(20), 폴(30, pole), 그리고 모션 모듈(MM)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0)는 전체적으로 납작한 실린더(flat cylinder)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베이스(20)는 지면 상에 놓일 수 있다.
폴(30)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폴(30)의 하단은 베이스(2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폴(30)은 베이스(20)의 상면의 둘레에 인접할 수 있다. 들(39)은 폴(3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폴(30)과 전술한 베이스(20)는 스탠드라 통칭할 수 있다.
모션 모듈(MM)은 폴(3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모션 모듈(MM)의 일측은 헤드(10)의 후측(rear side)에 결합될 수 있다. 모션 모듈(MM)의 타측은 폴(30)의 상단에 인접할 수 있고, 폴(30)에 결합될 수 있다. 관절형 커넥터(40, articulated connector)는 헤드(10)의 후측에 결합될 수 있고, 승강 모듈(60, elevating module)은 폴(3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암(50)은 관절형 커넥터(40)와 승강 모듈(60)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10)는 모션 모듈(MM), 폴(30), 그리고 베이스(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헤드(10)는 디스플레이 패널(11), 미들 캐비닛(12), 프레임(13), 엔드 프레임(14), 그리고 백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헤드(1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1)은 OLED 패널, LCD 패널, 또는 LED 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화상을 복수개의 픽셀들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및 채도를 맞추어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화상이 표시되는 활성 영역(active area)과,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de-active are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제어 신호에 따라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미들 캐비닛(12)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둘레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수평부(12H)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수직부(12V)는 수평부(12H)에 교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 캐비닛(12)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 캐비닛(12)은 사이드 프레임 또는 가이드 패널이라 칭할 수 있다.
프레임(13)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PCB(Printed Circuit Board)와 같은 전자부품들은 프레임(13)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13)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3)은 마운트 플레이트 또는 모듈커버(module cover)라 칭할 수 있다.
엔드 프레임(14)은 헤드(10)의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수평부(14H)는 미들 캐비닛(12)의 수평부(12H)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수직부(14V)는 미들 캐비닛(12)의 수직부(12V)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엔드 프레임(14)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백커버(15)는 헤드(1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백커버(15)는 프레임(13)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고, 프레임(13)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110)은 디스플레이 패널(11)과 프레임(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1)은 LCD 패널이라 칭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10)은 광학층(111)과 광학시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층(111)은 기판(111a), 적어도 하나의 광원(111b), 반사시트(111c), 그리고 확산판(111d)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1a)은 프레임(13)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기판(111a)은 플레이트 형상을 지니거나, 수직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스트랩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광원(111b)은 기판(111a)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111b)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와 광원(111b)을 연결하기 위한 전극 패턴은 기판(111a)에 형성될 수 있다. 반사시트(111c)는 기판(111a)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시트(111c)는 광원(111b)이 위치하는 홀(111h)을 구비할 수 있다. 확산판(111d)은 반사시트(111c)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스페이서(111s)는 반사시트(111c)와 확산판(111d) 사이에서 확산판(111d)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광학시트(112)는 확산판(111d)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시트(112)의 후면은 확산판(111d)에 밀착될 수 있고, 광학시트(112)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면에 밀착되거나 인접할 수 있다. 광학시트(112)는 확산시트 또는 프리즘시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12d)는 광학시트(112)의 적어도 하나의 엣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111b)의 빛은 확산판(111d)과 광학시트(112)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전술한 백라이트 유닛(110)이 필요하지 않은 OLED 패널이거나 다른 종류의 패널일 수도 있다.
도 3 및 5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110')은 디스플레이 패널(11)과 프레임(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1)은 LCD 패널이라 칭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10')은 광학층(111')과 광학시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층(111')은 기판(111a'), 적어도 하나의 광원(111b'), 반사시트(111f), 그리고 도광판(111e)을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38)은 프레임(13)과 광학시트(1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기판(111a')은 도광판(38)의 둘레에 인접할 수 있고, 프레임(13)에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광원(111b')은 기판(111a')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111b')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와 광원(111b')을 연결하기 위한 전극 패턴은 기판(111a')에 형성될 수 있다. 반사시트(111f)는 프레임(13)과 도광판(111e)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111b')의 빛은 도광판(111e)과 광학시트(112)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전술한 백라이트 유닛(110')이 필요하지 않은 OLED 패널이거나 다른 종류의 패널 일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부품은 프레임(13)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고, 복수개의 보드들(PSU, MB, TC)과 스피커(SPKa, SPKb)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 보드(PSU, power supply board)는 제2 단변(SS2)보다 제1 단변(SS1)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3)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 보드(PSU)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 구성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워 서플라이 보드(PSU)는 백라이트 유닛(110, 110')의 광원(111b, 111b', 도 4 및 5 참조)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 보드(PSU)는 LED 드라이버라 칭할 수 있다.
메인 보드(MB, main board)는 제1 단변(SS1)보다 제2 단변(SS2)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3)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메인 보드(MB)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TC, timing controller board)는 파워 서플라이 보드(PSU)와 메인 보드(MB)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3)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TC)는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 도 3 참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에 영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스피커(SPKa, SPKb)는 복수개의 보드들(PSU, MB, TC)의 위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3)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스피커(SPKa)는 제2 단변(SS2)보다 제1 단변(SS1)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측방으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측 스피커(SPKb)는 제1 단변(SS1)보다 제2 단변(SS2)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측방으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락킹 유닛(18, locking unit)은 프레임(13)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락킹 유닛(18)은 프레임(13)의 중앙부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백커버(15)는 프레임(13)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고, 프레임(13)에 결합될 수 있다. 백커버(15)에 형성된 스피커 홀(15a, 15b)의 위치는 프레임(13)에 장착된 스피커(SPKa, SPKb, 도 6 참조)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고정부(13H)는 프레임(13)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부(13H)는 팸넛일 수 있다. 고정부(13H)와 락킹 유닛(18)은 백커버(15)의 중앙에 형성된 홀(15h)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7 및 8를 참조하면, 고정 플레이트(41)는 백커버(15)의 홀(15h)에 대응하는 원판(circular plate) 형상을 지닐 수 있다.
고정홀(41H)은 고정 플레이트(41)에 형성될 수 있고, 고정부(13H)에 정렬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는 고정홀(41H)을 통해 고정부(13H)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플레이트(41)는 프레임(13)에 결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암(50)은 헤드(10)와 폴(30)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암(50)은 관절형 커넥터(40)와 승강 모듈(60)을 연결할 수 있다. 승강 모듈(60)의 제2 회전 유닛(68)과 수직부재(61)는 제2 연결부(611)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611)는 폴(30)을 관통할 수 있다.
수직부재(61)는 폴(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직부재(61)는 폴(3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폴(30)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수직부재(61)를 둘러쌀 수 있다. 복수개의 리브들(30a, 30b, 30c, 30d)은 폴(30)의 내주면에서 수직부재(61)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폴(30)의 원주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리브(30a), 제2 리브(30b), 제3 리브(30c), 그리고 제4 리브(30d)는 폴(30) 내부의 임의의 사각형의 꼭짓점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폴(30)의 삽입부(31)는 베이스(20)의 상면에 형성된 포트(21, port)에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헤드(10)는 베이스(20)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헤드(10)를 피벗시킬 수 있다. 피벗 축은 헤드(10)의 중심을 지나며 헤드(10)에 직교할 수 있다. 도 10의 왼쪽 그림을 참조하면, 헤드(10)는 가로 모드에 놓일 수 있다. 도 10의 오른쪽 그림을 참조하면, 헤드(10)는 세로모드에 놓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헤드(10)를 틸트시킬 수 있다. 틸트 축은 헤드(10)의 중심의 후방에 위치하며 헤드(10)와 나란한 수평 축일 수 있다. 사용자는 헤드(10)를 스위블시킬 수 있다. 제1 스위블 축은 암(50)의 일단에 인접한 수직 축일 수 있다. 제2 스위블 축은 암(50)의 타단에 인접한 수직 축일 수 있다. 사용자는 헤드(10)를 폴(30)에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전술한 헤드(10)의 피벗, 틸트, 스위블, 및 엘리베이팅 동작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10)는 +90도 ~ -90도 범위 내에서 피벗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10)는 +25도 ~ -25도 범위 내에서 틸트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10)는 +65 ~ -65도 범위 내에서 스위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10)는 가로 모드 기준, 베이스(20) 또는 지면으로부터 1,065 ~ 1,265 mm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베이스(20)는 모션 모듈(MM)을 통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다양한 모션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 베이스(20)는 휠 어셈블리(29, 도 34 참조)를 통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무빙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 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부(121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 입력부(130), 제어부(180), 디스플레이 모듈(150), 오디오 출력부(160) 및/또는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210)는 튜너부(1211) 및 복조부(12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면과 달리, 방송 수신부(121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 중,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부(11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너부(1211)는 안테나(미도시) 또는 케이블(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튜너부(1211)는 선택된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튜너부(1211)는 선택된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튜너부(1211)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21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8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211)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211)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12)는 튜너부(121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12)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1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8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 모듈(15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60)를 통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외부의 변화를 감지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여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음성센서(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습도계, 온도계 등),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센싱부(120)에서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상태를 점검하고 문제가 발생시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자체적으로 조정하여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80)에 제공되는 영상의 컨텐츠, 화질, 사이즈 등을 센싱부에서 감지한 시청자나, 주변의 조도 등에 따라 다르게 제어하여 최적의 시청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TV가 진보해감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탑재된 기능이 많아지고 센싱부(20) 또한 그와 함께 증가하고 있다.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30)는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베젤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자체에 외부로 노출된 물리적 형태의 버튼 형태의 입력부(130)는 최소화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많아지고 있다. 대신에 배면이나 측면에 최소의 물리적 버튼이 위치하고 터치패드나 후술할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을 통해 원격 제어장치(20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8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40)는 제어부(18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18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등은,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2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80) 내에 저장부(14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SDRAM 등)나,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인터페이스부(171)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복수의 픽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8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W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복수의 픽셀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 모듈(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3차원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무안경 방식과 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전면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 측면 등을 커버하며 디스플레이 모듈을 패키지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최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평면에서 더 나아가 곡면의 화면을 구현하기 위해 LED(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와 같이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이용할 수 있다.
종래에 주로 이용되던 LCD는 LCD가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어려워 백라이트 유닛을 통해 빛을 공급받았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과 광원에서 공급된 빛을 균일하게 전면에 위치하는 액정에 공급해주는 장치이다. 백라이트 유닛이 점점 얇아지면서 박형의 LCD를 구현할 수 있었으나, 백라이트 유닛을 휘어지는 소재로 구현이 어렵고 백라이트 유닛이 휘어지는 경우 액정에 균일한 빛의 공급이 어려워져 화면의 밝기가 변화하는 문제가 있다.
반면 LED나 OLED의 경우 픽셀을 이루는 소자가 각각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하지 않아 휘어지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각 소자가 자체발광 하므로 이웃하는 소자와의 위치관계가 달라지더라도 자체 밝기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LED나 OLED를 이용하여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구현할 수 있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은 2010년 중반에 본격적으로 등장하여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는 LCD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OLED는 형광성 유기활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자체발광 현상을 이용하여 만든 디스플레이로, 화질 반응 속도가 LCD에 비해 빨라 동영상을 구현할 때 잔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OLED는 자체 발광기능을 가진 적색(Red)과 녹색(Green), 청색(Blue) 등 세 가지의 형광체 유기화합물을 사용하며, 음극과 양극에서 주입된 전자(電子)와 양의 전하를 띤 입자가 유기물 내에서 결합해 스스로 빛을 발하는 현상을 이용한 발광형 디스플레이 제품이므로 색감을 떨어뜨리는 백라이트(후광장치)가 필요 없다.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 패널은 LED소자 하나를 하나의 픽셀로 이용하는 기술로서, 종래에 비해 LED소자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구현할 수 있다. 종래에 LED TV라 불리우던 장치는 LED를 LCD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이용한다는 것이지 LED자체가 화면을 구성하지 못했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표시패널과 표시패널 배면에 위치하는 결합마그넷, 제1 전원 공급부 및 제1 신호모듈을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복수 개의 픽셀들(R,G,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과 다수의 게이트라인들이 교차되는 영역마다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 또는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적색(Red, 이하 'R') 서브 픽셀, 녹색(Green, 'G') 서브 픽셀 및 청색 (Blue, 'B')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화이트(White, 이하 'W')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60)는 제어부(18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는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선방식뿐만 아니라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방식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방식의 일 예로 전술한 방송수신부(110)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방송신호뿐만 아니라 이동통신신호 근거리 통신신호, 무선인터넷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다양한 원격제어장치(200)와 통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유/무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전력(Bluetooth Low Energy; BLE), 직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와 같은 셀룰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과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는 ASIC과 같은 전용 장치(dedicated device)이거나 다른 하드웨어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튜너부(111), 복조부(112),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60)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튜너부(111)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2D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진폭 편이 변조(Amplitude Shift Keying; ASK)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변조(modulation) 및/또는 복조(demodulation)할 수 있다. 여기서,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은, 데이터 값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을 다르게 하여 신호를 변조하거나, 반송파의 진폭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값으로 복원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하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복조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와 같은 고유 식별자나, TCP/IP와 같은 복잡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영상표시장치와 간편하게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촬영부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 상부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8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80)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8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15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6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부품에 전원을 배분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 전원과 직접연결하여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배터리를 포함하여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유선의 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하며 이동이 어렵거나 이동 범위가 제한된다. 후자의 경우 이동이 자유로우나 배터리만큼의 무게가 증가하고 부피가 커지며 충전을 위해 일정시간 전원케이블과 직접 연결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거치부(미도시)와 결합해야 한다.
충전거치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접속할 수 있고, 또는 무선방식을 이용하여 근접하면 내장된 배터리가 충전될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nfrared Radiation) 통신,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위한 블록도일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이전 도 1 내지 도 12에서 도시한 TV의 새로운 폼 팩터는 주로 실내에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야외에서 장거리로 이동 시키거나 또는 야외 캠핑장 등에 적합한 TV의 새로운 폼 팩터에 대해서는 이하 도 13 내지 도 16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도 13 내지도 16에 도시된 디바이스에 포함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하우징(210) 내부에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수납된 형태이다. 이때, 하우징(210)은 상단 케이스(210a) 및 하단 케이스(210b)를 포함하며, 상단 케이스(210a)와 하단 케이스(210b)가 열고 닫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상단 케이스(210a)에 오디오 출력부(160)가 포함될 수 있고, 하단 케이스(210b)에는 제어부(180)인 메인 보드, 파워보드, 전원 공급부(190), 배터리, 인터페이스부(170), 센싱부(120) 및 입력부(130, 로컬키를 포함) 등이 수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및 NFC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센싱부(120)는 조도 센서, IR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DC-DC 보드, 센서 및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낮은 전압 차등 신호) 변환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탈부착이 가능한 4개의 다리(220a, 220b, 220c, 220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4개의 다리(220a, 220b, 220c, 220d)는 하단 케이스(210b)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4의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다리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활용 예를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 케이스와 하단 케이스 내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탑재되어 있는 구조로, 상단 케이스와 하단 케이스 닫을 경우, 가방과 같이 들 수 있는 구조로 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단 케이스 또는 하단 케이스 상에 손잡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손잡이(300)는 사용자가 상단 케이스와 하단 케이스가 닫힌 하우징을 들 수 있도록 상단 케이스 또는 하단 케이스 좌우 측면에 부착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손잡이(300)는 가죽 또는 플라스틱 등 사용자가 손에 들기 쉬운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단 케이스 또는 하단 케이스가 닫힌 상태에서, 손잡이(300)를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가 쉽게 들고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하단 케이스를 바닥에 놓고 상단 케이스를 오픈하여, 탑재된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15 및 도 16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하단 케이스 측면에 수납 공간(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납 공간(310)에는 도 12에서 상술한 다양한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수납 공간(310)은 터치 펜(touch-pen) 또는 무선 이어폰(wireless earphone)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활용 예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4개의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4개의 다리는 하단 케이스에 부착되어 바닥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격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동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에서 이격되게 고정된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5의 (a) 내지 (d)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다리를 부착하여 고정된 위치에서 사용하는 활용 예를 나타낸다. 이때, 도 15의 (a)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상단 케이스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고, 도 15의 (b) 내지 (d)는 상단 케이스를 연 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15의 (b)는 상단 케이스가 열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수납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도 15의 (b)는 상단 케이스가 열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 안에 누워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활성화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에서 편집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편집 모드는 컨텐트에 메모 기능, 그리기 기능 및 음성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거치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통하여 컨텐트를 감상/시청하고자 하는 의도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출력된 컨텐트를 편집하고자 하는 의도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컨텐트를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의 (c)는 상단 케이스가 열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가로로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5의 (d)는 상단 케이스가 열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세로로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도 15의 (c) 및 (d)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를 발판으로 하여 세워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모터(미도시)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에 수납하거나 거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단 케이스가 오픈되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 상에 가로 또는 세로로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단 케이스가 오픈되면, 일차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 상에 수납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터치하는 신호, 센싱부 또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 상에 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하단 케이스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아래로 누름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 상에 거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16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6의 (a) 및 도 16의 (b)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세로로 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6의 (c) 및 도 16의 (d)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가로로 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6의 (a) 및 도 16의 (c)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의 (b) 및 도 16의 (d)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상단 케이스는 오디오 출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도 16의 (a)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세로로 거치되어 있고, 뒷 단에 오디오 출력부(160)를 포함하는 상단 케이스가 있을 수 있다.
도 16의 (b)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에 세로로 거치하기 위하여 지지 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16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측면에서 살펴보면, 지지 부재(500)는 하단 케이스에 포함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을 세로로 거치하기 위하여 접히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5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모터의 제어를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수동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6의 (c)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가로로 거치하고, 뒷 단에 오디오 출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의 (d)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에 가로로 거치하기 위하여 지지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지 부재(500)는 도 16의 (b)와 동일한 지지 부재(500)를 사용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가로로 거치하기 위하여 지지 부재(500)에 포함된 힌지(510)가 더 많이 접힌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사용자의 손에 의해 수동으로 가로로 거치되거나 세로로 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제어에 기초하여 하단 케이스에 가로로 거치되거나 세로로 거치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제어 신호(센싱부 또는 입력부를 통한 감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가로로 또는 세로로 거치할 수 있다.
한편, 새로운 폼 팩터에 따른 TV의 경우 이동 가능하다는 점에서, 성인 컨텐츠를 출력 중이던 TV를 어린이가 자기 방으로 가지고 와서 시청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TV는 오직 로그인 정보에 기초해서만 성인 컨텐츠를 필터링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된 솔루션은, 이하 도 17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TV가 임의의 제1 위치에서 OTT 서비스를 위한 로그인을 한 경우, 디스플레이 되는 스크린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이동 가능한 TV(1700)가 임의의 제1 위치에서 위치한 상태에서, OTT (over-the-top) 서비스를 위한 로그인 정보를 수신한 것으로 가정해 보겠다. 도 17에서는 OTT 서비스의 일예로 넷플릭스(NETFLIX)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어떠한 OTT 서비스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때, 로그인 정보는 예를 들어, 성인에 대한 ID 및 패스워드 등을 포함하고 있어서, 성인만 시청할 수 있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옵션(1710)이 OTT 실행 화면에 표시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TV는 고정된 위치에서만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TV의 이동성을 전혀 고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OTT 서비스에 대한 로그인 이후 어린이방으로 TV가 이동한 경우, 성인 관련 컨텐츠를 블로킹 하기 위한 솔루션이 요구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가능한 TV와 AP(access point)의 신호세기, 예를 들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값에 따라 특정 컨텐츠의 잠금(parental lock)이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주요 특징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 가능한 TV는, AP로부터 수신한 RSSI 신호 세기가 일정 레벨 이상 또는 이하인 경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잠금/해제를 자동으로 수행한다.
그리고, 이동 가능한 TV의 위치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고 선택 가능한 컨텐츠를 다양하게 미리 정의하는 것도 본 발명의 일특징 중 하나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TV가 제2 위치로 이동한 경우, OTT 실행 화면의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에 도시된 이동 가능한 TV(1700)가, 제1 위치(예를 들어, 침실 2)에 위치하고 있다가,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한 TV(1800)가 제2 위치(예를 들어, 침실 2내 다른 위치)로 이동한 것으로 가정해 보겠다.
이 때, 이동 가능한 TV가 표시하는 OTT 실행 화면은 도 18의 (b)와 같다. 즉, 도 17에 도시된 OTT 실행 화면(1710)과 동일하게 성인에 대한 컨텐츠를 포함하여 모든 컨텐츠를 표시한다. 그 이유는, TV가 침실2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 RSSI 값의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이동 가능한 TV가 AP로부터 수신하는 RSSI 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이동 가능한 TV가 다른 공간(예를 들어, 거실, 침실 1, 침실 2, 화장실, 부엌 등등)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한다.
물론, 실내에 측위 센서를 부가하거나 또는 이동 가능한 TV에 위치 감지 센서 등을 부가하여, 이동 가능한 TV가 이동한 위치를 판단하는 방식도 본 발명의 다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이전 도 18에서는 이동 가능한 TV가 동일한 공간(ex: 침실 2) 내에서만 움직여서, OTT 실행 화면이 변경되지 않는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반면, 이동 가능한 TV가 전혀 다른 공간에 위치한 경우, 동일한 로그인 정보임에도 불구하고 OTT 실행 화면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실시예들에 대하여, 이하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TV가 제3 위치로 이동한 경우, OTT 실행 화면의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에 도시된 이동 가능한 TV(1700)가, 제1 위치(예를 들어, 침실 2)에 위치하고 있다가,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한 TV(1900)가 제3 위치(예를 들어, 거실)로 이동한 것으로 가정해 보겠다.
이 때, 이동 가능한 TV가 표시하는 OTT 실행 화면은 도 19의 (b)와 같다. 즉, 도 17에 도시된 OTT 실행 화면(1710)과 다르게, 성인에 대한 컨텐츠(1910)를 리스팅 하지만, 선택할 수 없는 상태로 변경한다. 또는, 성인에 대한 컨텐츠(1910)를 선택할 수는 있으나, 도 17과 다르게 선택시 바로 실행되지 않고, 성인에 대한 컨텐츠(1910) 선택시, 비밀 번호 등을 추가적으로 요구하는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설계한다.
이와 같은 설계가 가능한 이유는,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실은 AP가 위치한 침실 2와 1개의 벽으로 가로 막혀 있기 때문이다. 즉, 침실 2에 이동 가능한 TV가 AP로부터 수신하는 RSSI 값에 비해, 거실에 위치한 이동 가능한 TV는 AP로부터 수신하는 RSSI값이 예컨대, 10% 정도 감소한다는 점을 고려한 설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TV가 제4 위치로 이동한 경우, OTT 실행 화면의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에 도시된 이동 가능한 TV(1700)가, 제1 위치(예를 들어, 침실 2)에 위치하고 있다가,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한 TV(2000)가 제4 위치(예를 들어, 침실 1)로 이동한 것으로 가정해 보겠다.
이 때, 이동 가능한 TV가 표시하는 OTT 실행 화면은 도 20의 (b)와 같다. 즉, 도 17에 도시된 OTT 실행 화면(1710)과 다르게, 성인에 대한 컨텐츠 자체가 보이지 않도록 설계한다.
이와 같은 설계가 가능한 이유는,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실 1은 AP가 위치한 침실 2와 2개의 벽으로 가로 막혀 있기 때문이다. 즉, 침실 2에 이동 가능한 TV가 AP로부터 수신하는 RSSI 값에 비해, 침실 1에 위치한 이동 가능한 TV는 AP로부터 수신하는 RSSI값이 예컨대, 20% 정도 감소한다는 점을 고려한 설계이다.
AP를 기준으로 이동 가능한 TV가 거실에 위치하는지 여부 및 침실 1에 위치하는지 여부는 벽의 개수 차이로, 이동 가능한 TV가 AP로부터 수신하는 RSSI 신호 세기 차이로 구별할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가능한 TV가 AP로부터 수신하는 RSSI 신호 세기가 달라진다는 특징을 이용하여, 다양한 위치(예를 들어, 아이 방, 거실, 부부 침실, 주방 등등)를 구별하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설정된 위치(장소)별로, 시청 등급 제한 레벨을 변경 설정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이동 가능한 TV가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 시청 제한 레벨이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고, 업데이트된 시청 제한 레벨은 각각의 OTT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전달된다.
그리고, 업데이트 되는 시청 제한 레벨에 따라, 이동 가능한 TV의 화면에 표시되고 선택 가능한 컨텐츠가 자동으로 변화되도록 설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모든 컨텐츠가 표시되는 제1 모드가 특정 장소에 맵핑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이전 도 18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다른 예로서, 특정 컨텐츠(성인용)가 표시는 되지만 선택이 제한되는 제2 모드가 특정 장소에 맵핑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이전 도 19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또 다른 예로서, 특정 컨텐츠(성인용)가 아예 표시 조차 되지 않는 제3 모드가 특정 장소에 맵핑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이전 도 20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TV는, 현재 TV의 위치에 따라 업데이트 되는 시청 제한 레벨을 OTT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고, 전달 받은 OTT 어플리케이션은 업데이트된 레벨에 따라 화면을 전환시키거나 또는 특정 모드(예를 들어, 키즈 모드)로 자동 전환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TV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도 21을 보충 해석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우선,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 가능한 TV는, 제1 위치에서 OTT 서비스를 위한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계된다(S2110).
나아가, 이동 가능한 TV는, 상기 수신된 로그인 정보에 따라, 제1 OTT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OTT 실행 화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 가능한 TV는, 종래 기술과 달리,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S2130).
그리고, 이동 가능한 TV는, 제2 위치에서의 AP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제1 OTT 실행 화면 또는 제2 OTT 실행 화면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계된다(S2140).
상기 AP 신호의 RSSI 값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이동 가능한 TV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OTT 실행 화면이 아닌 상기 제2 OTT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종래 기술과 달리, 동일한 로그인 정보가 입력된 상태에서도, 위치에 따라 OTT 실행 화면(첫 홈스크린)이 변경된다. 따라서, 아이가 자기 방에서, 성인용 컨텐츠를 시청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상기 제2 OTT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와 상기 제1 OTT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관련된 실시예는 이전 도 18 및 도 20을 참조할 수가 있다.
한편, 도 21은 주로 방법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를 이동 가능한 TV의 물건 발명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도 12 및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동 가능한 TV의 리모컨 인터페이스는, 제1 위치에서 OTT 서비스를 위한 로그인 정보를 수신한다. 리모컨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73)에 대응한다.
이동 가능한 TV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수신된 로그인 정보에 따라, 제1 OTT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제1 OTT 실행 화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대응한다.
이동 가능한 TV의 이동 수단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TV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이동 수단은, 도 1 등에 도시된 베이스(20)에 포함된 바퀴(미도시) 등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이동 가능한 TV의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위치에서의 AP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제1 OTT 실행 화면 또는 제2 OTT 실행 화면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컨트롤러는,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제어부(180)에 대응한다.
그리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TV가 제1 위치에서 임의의 컨텐츠를 재생하던 중 제2 위치로 이동한 경우 제공되는 다양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도시하고 있다.
이전 도면들에서는, 임의의 OTT 서비스에 대한 로그인 하였을 때, 최초 OTT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주로 설명하였다. 반면, 이하 도 22에서는, 임의의 컨텐츠를 실행하다가, TV가 이동하는 경우의 솔루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TV가 임의의 컨텐츠를 재생 중, TV의 움직임 여부를 센싱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베이스(20)의 하단에 부착된 바퀴(미도시)의 움직임 여부를 통해 TV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TV가 이동하는 중에는 재생 중이던 컨텐츠를 사용자가 편하게 시청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임의의 컨텐츠가 재생된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0분) 이상인 경우 또는 총 재생 시간의 50% 이상인 경우, TV의 움직임이 센싱된 시점부터, 상기 임의의 컨텐츠를 메모리에 자동으로 저장하도록 설계된다.
그리고, 컨텐츠를 최초 재생하던 제1 위치가 아닌, 제2 위치에서 TV가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5초) 이상 움직이지 않은 경우, TV는 메모리에 저장된 임의의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옵션(2200)을,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TV가 이동한 제2 위치가 성인 컨텐츠를 시청할 수 없는 레벨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즉, 상기 제2 위치에서의 AP 신호의 RSSI 값에 따라), TV는 도 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옵션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거나, 성인 컨텐츠를 이어서 시청할 수 없다는 가이드 메시지(2210)를 디스플레이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10: 방송 수신부
171: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
17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40: 저장부
173: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
130: 입력부
180: 제어부
150: 디스플레이 모듈
160: 오디오 출력부
190: 전원 공급부
1210: 방송 수신부
171: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
17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40: 저장부
173: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
130: 입력부
180: 제어부
150: 디스플레이 모듈
160: 오디오 출력부
190: 전원 공급부
Claims (14)
- 이동 가능한 TV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위치에서 OTT (over-the-top) 서비스를 위한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로그인 정보에 따라, 제1 OTT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상기 제1 OTT 실행 화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있음-;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상기 TV를 이동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위치에서의 AP (access point)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제1 OTT 실행 화면 또는 제2 OTT 실행 화면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TV의 제어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P 신호의 RSSI 값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OTT 실행 화면이 아닌 상기 제2 OTT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TV의 제어 방법.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OTT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와 상기 제1 OTT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TV의 제어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임의의 컨텐츠가 재생 중 상기 TV의 움직임 여부를 센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TV의 제어 방법.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컨텐츠가 재생된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 또는 총 재생 시간의 50% 이상인 경우,
상기 TV의 움직임이 센싱된 시점부터, 상기 임의의 컨텐츠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TV의 제어 방법.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TV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움직이지 않은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임의의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옵션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TV의 제어 방법.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의 AP 신호의 RSSI 값에 따라, 상기 옵션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TV의 제어 방법. - 이동 가능한 TV에 있어서,
제1 위치에서 OTT 서비스를 위한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는 리모컨 인터페이스;
상기 수신된 로그인 정보에 따라, 제1 OTT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상기 제1 OTT 실행 화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있음-;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상기 TV를 이동하는 이동 수단; 그리고
상기 제2 위치에서의 AP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제1 OTT 실행 화면 또는 제2 OTT 실행 화면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TV.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AP 신호의 RSSI 값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OTT 실행 화면이 아닌 상기 제2 OTT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TV.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OTT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와 상기 제1 OTT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TV. - 제8 항에 있어서,
임의의 컨텐츠가 재생 중 상기 TV의 움직임 여부를 센싱하는 모션 센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TV.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컨텐츠가 재생된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 또는 총 재생 시간의 50% 이상인 경우,
상기 TV의 움직임이 센싱된 시점부터, 상기 임의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TV.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TV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움직이지 않은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임의의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옵션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TV.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위치에서의 AP 신호의 RSSI 값에 따라, 상기 옵션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TV.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2019A KR20240023829A (ko) | 2022-08-16 | 2022-08-16 | 이동 가능한 tv 및 그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2019A KR20240023829A (ko) | 2022-08-16 | 2022-08-16 | 이동 가능한 tv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23829A true KR20240023829A (ko) | 2024-02-23 |
Family
ID=90041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02019A KR20240023829A (ko) | 2022-08-16 | 2022-08-16 | 이동 가능한 tv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23829A (ko) |
-
2022
- 2022-08-16 KR KR1020220102019A patent/KR2024002382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40023829A (ko) | 이동 가능한 tv 및 그 제어 방법 | |
EP4325868A2 (en) | Movable tv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2705315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40028124A (ko) | 이동 가능한 tv 및 그 제어 방법 | |
KR20240024855A (ko) | 케이스에 삽입 가능한 배터리 내장형 tv 및 그 제어 방법 | |
US12100327B2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2659988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
EP4429228A1 (en) | Display device | |
US20240348883A1 (en) | Portabl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
KR102722280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705314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KR20240011347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US11682329B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20230292381A1 (en) | Remote controller and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 |
KR20240020501A (ko) | 이동 가능한 tv 및 이동 가능한 tv의 제어 방법 | |
EP4425911A1 (en) | Display device | |
US20230179948A1 (en) | Bend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230075624A (ko) |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40152711A (ko) | 이동 가능한 tv 및 이동 가능한 tv의 제어 방법 | |
KR20240016688A (ko) |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 |
KR20240013775A (ko) |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40151182A (ko) | 디스플레이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30118337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KR20240149920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40009217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