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4702A - 플렉서블 케이블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케이블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4702A
KR20230134702A KR1020220031807A KR20220031807A KR20230134702A KR 20230134702 A KR20230134702 A KR 20230134702A KR 1020220031807 A KR1020220031807 A KR 1020220031807A KR 20220031807 A KR20220031807 A KR 20220031807A KR 20230134702 A KR20230134702 A KR 20230134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cable
terminal
folded
unit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경
박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1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4702A/ko
Priority to PCT/KR2022/005082 priority patent/WO2023177008A1/ko
Publication of KR20230134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7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금속재질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위치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소정의 갭을 형성하며 형성된 한 쌍의 센서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전극 사이에 전류가 흐르면 결로발생으로 감지하는 결로센서; 및 상기 결로센서에서 결로를 감지하면 구동을 잠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는 결로를 조기에 감지하여 부품의 오작동 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케이블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FLEXIBLE CABLE AND ELECTRIC DEVICE HAVING IT}
본 발명은 결로가 케이블 커넥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 케이블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등이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의 일 예로,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시판되고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자발광 소자이기 때문에 액정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하여 백라이트가 없고 응답 속도, 시야각 등에서 장점이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 받고 있다.
유기발광 디스플레이를 디스플레이 패널로 사용하는 경우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자체는 플렉서블한 재질이기 때문에 이를 지지하는 모듈커버의 강성이 중요하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실내 또는 실외에 거치될 수 있으며, 지역에 따라 기온의 일교차가 크거나 연교차가 큰 지역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고온 다습한 지역에서 사용하는 경우 결로가 발생하고 결로가 부품에 침투하는 경우 불량 및 오작동 발생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결로에 의한 오작동 및 불량을 최소화 하기 위해 결로가 케이블 커넥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 케이블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금속재질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위치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 상에 위치하는 케이블 커넥터; 상기 케이블 커넥터에 단부가 삽입되어 다른 부품과 연결하는 플렉서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은, 신호선이 위치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신호선과 연결되는 전극을 포함하는 단자부; 상기 연결부의 일면에 위치하는 드립 트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드립 트레이는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에 부착되는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에서 연장되어 오목하게 꺾어진 물받이(gutt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는 상기 접착부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꺾어진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1 접힘부에서 꺾어져 상기 제1 접힘부와 V자 형상의 물받이를 구성하는 제2 접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 사이의 각도는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 사이가 이루는 각도의 2배일 수 있다.
상기 단자부는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제1 단자부; 및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는 상기 제1 단자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드립 트레이는 상기 제1 단자부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일면은 상기 케이스를 향할 수 있다.
상기 드립 트레이의 타단은 상기 케이스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드립 트레이는 방수가능하고 경성을 가지는 소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의 타면의 상기 단자부에 인접하여 부착되며 상기 단자부를 커버하는 드립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커넥터에 결합시 상기 케이블 커넥터를 커버할 수 있다.
신호선이 위치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신호선과 연결되는 전극을 포함하는 단자부; 상기 연결부의 일면에 위치하는 드립 트레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드립 트레이는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에 부착되는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에서 연장되어 오목하게 꺾어진 물받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는 상기 접착부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꺾어진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1 접힘부에서 꺾어져 상기 제1 접힘부와 V자 형상의 물받이를 구성하는 제2 접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 사이의 각도는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 사이가 이루는 각도의 2배일 수 있다.
상기 단자부는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제1 단자부; 및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는 상기 제1 단자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결로가 흐르는 유로를 차단하거나 우회하여 것을 방지하여 케이블 커넥터로 결로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분 유입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플렉서블 케이블에 간단한 구조만 부착하는 것으로 구현가능하여 적용이 쉽고 플렉서블 케이블의 설치 시 기존의 설치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결로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커버버텀 배면에 배치되는 전자 부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플렉서블 케이블을 통한 결로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케이블을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부(11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 입력부(130), 제어부(180), 디스플레이(150), 오디오 출력부(160) 및/또는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10)는 튜너부(111) 및 복조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면과 달리, 방송 수신부(11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 중,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부(11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너부(111)는 안테나(미도시) 또는 케이블(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튜너부(111)는 선택된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튜너부(111)는 선택된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튜너부(111)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8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1)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1)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12)는 튜너부(11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12)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1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8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60)를 통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외부의 변화를 감지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여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음성센서(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습도계, 온도계 등),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센싱부(120)에서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상태를 점검하고 문제가 발생시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자체적으로 조정하여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80)에 제공되는 영상의 컨텐츠, 화질, 사이즈 등을 센싱부에서 감지한 시청자나, 주변의 조도 등에 따라 다르게 제어하여 최적의 시청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TV가 진보해감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탑재된 기능이 많아지고 센싱부(20) 또한 그와 함께 증가하고 있다.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30)는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베젤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자체에 외부로 노출된 물리적 형태의 버튼 형태의 입력부(130)는 최소화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많아지고 있다. 대신에 배면이나 측면에 최소의 물리적 버튼이 위치하고 터치패드나 후술할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을 통해 원격 제어장치(20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8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40)는 제어부(18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18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등은,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80) 내에 저장부(14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SDRAM 등)나,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인터페이스부(171)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복수의 픽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8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W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복수의 픽셀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3차원 디스플레이(150)는 무안경 방식과 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5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60)는 제어부(18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는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선방식뿐만 아니라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방식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방식의 일 예로 전술한 방송수신부(110)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방송신호뿐만 아니라 이동통신신호 근거리 통신신호, 무선인터넷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다양한 원격제어장치(200)와 통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유/무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전력(Bluetooth Low Energy; BLE), 직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와 같은 셀룰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과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는 ASIC과 같은 전용 장치(dedicated device)이거나 다른 하드웨어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튜너부(111), 복조부(112),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15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60)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8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튜너부(111)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2D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진폭 편이 변조(Amplitude Shift Keying; ASK)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변조(modulation) 및/또는 복조(demodulation)할 수 있다. 여기서,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은, 데이터 값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을 다르게 하여 신호를 변조하거나, 반송파의 진폭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값으로 복원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하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복조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와 같은 고유 식별자나, TCP/IP와 같은 복잡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영상표시장치와 간편하게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촬영부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는 디스플레이(150) 상부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8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80)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5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8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5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6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부품에 전원을 배분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 전원과 직접연결하여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배터리를 포함하여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유선의 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하며 이동이 어렵거나 이동 범위가 제한된다. 후자의 경우 이동이 자유로우나 배터리만큼의 무게가 증가하고 부피가 커지며 충전을 위해 일정시간 전원케이블과 직접 연결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거치부(미도시)와 결합해야 한다.
충전거치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접속할 수 있고, 또는 무선방식을 이용하여 근접하면 내장된 배터리가 충전될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nfrared Radiation) 통신,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일 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 영역(SS1)을 제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2 단변 영역(SS2)을 제1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1 장변 영역(LS1)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 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2 장변 영 역(LS2)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3 측면 영역에 대향하는 제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 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 란한 방향이고, 제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1 방향(DR1) 및/또는 제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 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 (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 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 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전면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 측면 등을 커버하며 디스플레이 모듈을 패키지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최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평면에서 더 나아가 곡면의 화면을 구현하기 위해 LED(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와 같이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이용할 수 있다.
종래에 주로 이용되던 LCD는 LCD가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어려워 백라이트 유닛을 통해 빛을 공급받았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과 광원에서 공급된 빛을 균일하게 전면에 위치하는 액정에 공급해주는 장치이다. 백라이트 유닛이 점점 얇아지면선 박형의 LCD를 구현할 수 있었으나, 백라이트 유닛을 휘어지는 소재로 구현이 어렵고 백라이트 유닛이 휘어지는 경우 액정에 균일한 빛의 공급이 어려워져 화면의 밝기가 변화하는 문제가 있다.
반면 LED나 OLED의 경우 픽셀을 이루는 소자가 각각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하지 않아 휘어지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각 소자가 자체발광 하므로 이웃하는 소자와의 위치관계가 달라지더라도 자체 밝기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LED나 OLED를 이용하여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구현할 수 있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은 2010년 중반에 본격적으로 등장하여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는 LCD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OLED는 형광성 유기활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자체발광 현상을 이용하여 만든 디스플레이로, 화질 반응 속도가 LCD에 비해 빨라 동영상을 구현할 때 잔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OLED는 자체 발광기능을 가진 적색(Red)과 녹색(Green), 청색(Blue) 등 세 가지의 형광체 유기화합물을 사용하며, 음극과 양극에서 주입된 전자(電子)와 양의 전하를 띤 입자가 유기물 내에서 결합해 스스로 빛을 발하는 현상을 이용한 발광형 디스플레이 제품이므로 색감을 떨어뜨리는 백라이트(후광장치)가 필요 없다.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 패널은 LED소자 하나를 하나의 픽셀로 이용하는 기술로서, 종래에 비해 LED소자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구현할 수 있다. 종래에 LED TV라 불리우던 장치는 LED를 LCD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이용한다는 것이지 LED자체가 화면을 구성하지 못했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표시패널과 표시패널 배면에 위치하는 결합마그넷, 제1 전원 공급부 및 제1 신호모듈을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복수 개의 픽셀들(R,G,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과 다수의 게이트라인들이 교차되는 영역마다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 또는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적색(Red, 이하 'R') 서브 픽셀, 녹색(Green, 'G') 서브 픽셀 및 청색 (Blue, 'B')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화이트(White, 이하 'W')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도 3은 OLED 패널을 디스플레이 모듈로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분해도이다. OLED는 자체발광 가능하므로 백라이트 유닛이 없어 얇은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150),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전면 둘레를 커버하면서 측면 둘레까지 감싸는 케이스탑(101),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배면을 커버하는 커버버텀(102) 및 커버버텀(102)의 배면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백커버(10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탑(101), 커버버텀(102) 및 백커버(103)를 통칭하여 케이스라 할 수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얇아지면서 케이스도 얇아지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둘레에 위치하는 베젤을 구성하는 케이스탑(101)의 두께도 얇아지거나 생략할 수 있다.
액정패널과 달리 OLED 패널의 경우 백라이트 유닛이 생략되고 측방향으로 노출되는 층상구조가 액정표시패널보다 간략하여 케이스탑(101)을 생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영상이 출력되는 표시패널(151)과 그 배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패널(153)을 포함하고 두 부재는 OCA와 같은 접착부재(152)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표시패널(151)의 단부에서 연장된 플렉서블 기판은 커버버텀(102)에 실장되는 제어기판과 연결하기 위해 배면방향으로 꺾어질 수 있다. 액정패널을 이용하는 경우 패널가이드를 이용하여 광원기판, 광학시트, 액정패널 순서로 안착하여 표시패널(151)을 구성할 수 있다.
벽에 걸어서 거치하는 형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배면에 벽면에 체결하는 구조(미도시)를 포함하고, 바닥에 세워서 거치하는 형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하부로 연장된 스탠드(10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액정 디스플레이가 도시되어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의 경우 영상을 출력하는 액정패널(151)과 그 배면에서 빛을 공급하는 광원이 필요하여 백라이트 유닛(155)를 구비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55)은 빛을 사출하는 광원(1555)으로서 LED가 배열되고, 그 전면에 반사시트(1553), 도광판(1552), 광학시트(1551)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여러장의 필름으로 구성된 백라이트 유닛(155)의 각 층의 위치를 정렬하고 액정패널과 정렬하기 위해 액정패널과 백라이트 유닛(155) 사이에 위치하는 액자형상의 가이드 패널(1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전면에 위치하는 케이스탑(101)과 후면에 위치하는 커버버텀(10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케이스 탑과 커버버텀(102) 사이의 공간이 좁아져서 방열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해 커버버텀(102)은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버텀(102)은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열전도율이 높기 때문에 온도가 주변보다 낮을 수 있다. 특히 밤사이에 기온이 낮아져서 커버버텀(102)의 온도가 낮아진 상태에서 새벽에 기온이 상승하면 주변의 온도보다 커버버텀(102)의 온도가 낮아 결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5는 결로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결로(30)란 물체(102)의 표면온도가 이슬점 이하인 경우 주변의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응결되어 물체의 표면에 맺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슬점은 주변의 온도 및 습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슬점의 온도보다 물체의 표면온도가 낮은 경우 결로 량이 많아지게 된다.
처음에는 물체의 표면에 형성된 결로(30)의 크기가 작으나 점점 커지면서 이웃하는 결로(30)와 합쳐지고 지름이 약 2.5mm 이상이 되면 물체의 표면을 따라 중력방향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커버버텀(102) 배면에 배치되는 전자 부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제어를 위해 필요한 전자부품(181a, 181b, 181c, 181d, 182)이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체를 제어하는 메인기판(181a), 전원을 분배하는 파워기판(181b) 그 외에 센서 등 일부 부품이 실장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50)과 연결되는 서브기판(181c) 등의 회로기판(181)이 위치할 수 있다. 각 회로기판에는 각종 IC가 실장되며, 각 기판 사이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케이블이 이용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같은 전자장치는 송수신하는 신호의 양이 많고 안정적으로 전송되어야 하므로,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FC: Flexible Flat Cable)을 이용할 수 있다. FFC는 신호선에 피복하고 수평방향으로 복수개의 신호선을 소정의 피치(예를 들어, 0.3mm, 0.5mm, 1.0mm)로 나란히 배치한 것이 특징이다.
이외에도 회로기판(181a, 181b, 181c, 181d) 사이 또는 각 부품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신호선(케이블)로서 플렉서블 인쇄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가 이용될 수 있다.
플렉서블 인쇄회로 기판은 전도성 회로 패턴이 부착된 얇은 절연 폴리머 필름으로, 도체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폴리머 코팅이 되며, 단층, 양면, 다층의 회로선을 배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플렉서블 케이블(183)은 플렉서블하고 플랫한 형태 케이블을 포괄하는 의미로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및 플렉서블 인쇄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플렉서블 케이블(183)은 회로기판(181) 사이를 연결하여 케이블 커넥터(182)에 접속하는 부재를 모두 포함하여 설명한다. 플렉서블 인쇄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회로기판(181)은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커넥터(182)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블 커넥터(182)에 사용자가 손쉽게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이나, 플렉서블 인쇄회로 기판을 플러그인, 즉 삽입하는 방식으로 연결하고 빼서 분리할 수 있다.
케이블 커넥터(182)는 노출단자를 형성하기 위해 2차 가공이 필요하고 크기가 큰 단점이 있으나 손쉽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여 각 회로기판(181) 사이의 연결 시 이용할 수 있다.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FC: Flexible Flat Cable)이 결합하는 케이블 커넥터(182)는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단자로 물이 유입되면 합선이 일어나 작동불량, 고장 또는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동일한 회로기판(181)내에 부착되어 부품의 경우 분리결합을 거의 하지 않는 경우, 솔더링과 같은 납땜으로 구성을 할 수도 있다. 솔더링을 위해서는 회로기판(181) 표면의 절연물질을 제거하고 동박을 노출시키므로, 동박 노출부위에 물이 유입되면 역시 불량, 고장 및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커버버텀(102) 표면에 실장 된 전자부품은 물의 유입에 취약하므로 하우징(101, 102)은 방수구조를 구비할 수 있으나, 커버버텀(102)과 같은 금속성 부재의 표면에 결로가 생기는 것까지 막기 어렵다.
특히 고온 다습한 지역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커버버텀(102)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고 특히 새벽에 결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결로가 발생한 것을 미리 감지하여 결로를 제거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가이드하고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제한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초로 설명하나,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포함하지 않는 일반 가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커버버텀(102)과 같이 넓은 면적의 금속을 구비하고 있는 바, 결로 위험이 커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적용 시 유용할 수 있다.
도 7은 플렉서블 케이블(183)을 통한 결로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플렉서블 케이블(183)은 신호선이 위치하는 연결부(1831) 및 연결부(1831)의 양 단부에 위치하며 신호선과 연결되는 전극을 포함하는 단자부를 포함한다. 단자부는 제1 단자부(1832)와 제2 단자부(18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자부는 케이블 커넥터(182)에 삽입되어 케이블 커넥터(182)의 전극과 접속될 수 있다.
플렉서블 케이블(183)은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 표면에 코팅을 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홈이 형성될 수도 있고, 매끈한 면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플렉서블 케이블(183)을 따라 커버버텀(102)에 맺힌 결로가 이동할 수 있다.
플렉서블 케이블(183)은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플렉서블 케이블(183)을 따라 결로가 이동하여 케이블 커넥터(182)의 전극으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부에 위치하는 단자부를 제1 단자부(1832) 상부에 위치하는 단자부를 제2 단자부(1833)라고 한다.
커버버텀(102)상에 오목하게 인입부(102)를 형성하여 결로가 커버버텀(102)의 표면을 따라 흘러 케이블 커넥터(18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여전히 플렉서블 케이블(183)의 매끈한 표면을 따라 물방울이 이동할 수 있다.
특히 플렉서블 케이블(183)은 부분적으로 커버버텀(102)과 맞닿을 수 있어, 커버버텀(102)의 결로가 모여 플렉서블 케이블(183)을 따라 케이블 커넥터(182)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드립 트레이(1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케이블(183)을 도시한 도면이다. (a)는 플렉서블 케이블(183)의 일면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b)는 플렉서블 케이블(183)의 타면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케이블(183)을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드립 트레이(185)는, 플렉서블 케이블(183)의 연결부(1831) 상에 위치하며, 연결부(1831)를 따라 흘러내리는 물방울을 차단하는 물받이(1852, 1853)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버텀(102)은 회로기판(181)을 안착하기 위해 오목하게 형성된 기판 안착부(102a)를 포함할 수 있으며, 드립 트레이(185)는 기판 안착부와 플렉서블 케이블(183)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물받이(1852, 1853)를 연결부(1831)에 부착하기 위해 드립 트레이(185)는 접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드립 트레이(185)는 방수소재를 포함하며, 일정량의 물방울을 받치기 위해 강성을 가지는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플렉서블 케이블(183)의 설치 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드립 트레이(185)를 구현하기 위해 플라스틱 판재를 꺾어 드립 트레이(185)를 구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라스틱 판재를 2회 꺾어 물받이(1852, 1853)를 구현할 수 있다.
물받이(1852, 1853)는 접착부에서 1차로 꺾어진 제1 접힘부(1852)와 제1 접힘부(1852)에서 더 꺽어져 제1 접힘부(1852)와 V자 모양으로 배치되는 제2 접힘부(18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힘부(1852)와 제2 접힘부(1853)는 대칭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접힘부(1852)와 제2 접힘부(1853)가 이루는 각도(2θ)는 제1 접힘부(1852)와 플렉서블 케이블(183)의 일면이 이루는 각도(θ)의 2배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θ가 90°인 경우, 제1 접힘부(1852)와 제2 접힘부(1853)가 이루는 각도는 90°가 되어, 제1 접힘부(1852)와 제2 접힘부(1853) 사이에 물방울이 고여 제1 단자부(1832)를 향해 흘러내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플라스틱을 꺾어 만든 드립 트레이(185)는 강성이 크지 않으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버텀(102)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단부(1854)가 커버버텀(102)에 맞닿도록 배치할 수 있다.
드립 트레이(185)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립 트레이(185)의 단부(1854)가 닿는 부분에 걸림 돌기(102b)를 형성하거나 드립 트레이(185)의 단부(1854)가 삽입되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드립 트레이(185)는 제2 단자부(1833)에 인접하여 배치하여 가능한 플렉서블 케이블(183)을 따라 흐르는 결로가 케이블 커넥터(18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플렉서블 케이블(183)의 타면을 따라 흐르는 물방울은 커버버텀(102)과 마주하는 일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이 적으나, 역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1 단자부(1832)의 타면을 보호하기 위해 드립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립 트레이(185)는 물이 케이블 커넥터(182)로 가지 못하도록 물을 저장하는 물받이(1852, 1853)가 있는 반면, 드립커버(184)는 물이 케이블 커넥터(182)를 지나 흐르도록 도 9와 같이 케이블 커넥터(182)를 커버한다.
드립커버(184)는 드립 트레이(185)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물받이(1852, 1853)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제1 단자부(1832)에 인접하여 연결부(1831)의 타면에 부착되고, 제1 단자부(1832)를 커버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결로가 흐르는 유로를 차단하거나 우회하여 것을 방지하여 케이블 커넥터(182)로 결로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분 유입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플렉서블 케이블(183)에 간단한 구조만 부착하는 것으로 구현가능하여 적용이 쉽고 플렉서블 케이블(183)의 설치 시 기존의 설치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 가능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1: 케이스탑
102: 커버버텀
103: 백커버
110: 방송수신부
120: 센싱부
130: 입력부
140: 저장부
150: 디스플레이 모듈
160: 오디오 출력부
170: 인터페이스부
17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17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73: 사용장비력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81: 회로기판
182: 케이블 커넥터
183: 플렉서블 케이블
185: 드립 트레이
184: 드립커버
190: 전원 공급부
200: 원격 제어장치

Claims (15)

  1. 금속재질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위치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 상에 위치하는 케이블 커넥터;
    상기 케이블 커넥터에 단부가 삽입되어 다른 부품과 연결하는 플렉서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은,
    신호선이 위치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신호선과 연결되는 전극을 포함하는 단자부;
    상기 연결부의 일면에 위치하는 드립 트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 트레이는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에 부착되는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에서 연장되어 오목하게 꺾어진 물받이(gut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는
    상기 접착부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꺾어진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1 접힘부에서 꺾어져 상기 제1 접힘부와 V자 형상의 물받이를 구성하는 제2 접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 사이의 각도는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 사이가 이루는 각도의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제1 단자부; 및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는 상기 제1 단자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 트레이는 상기 제1 단자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일면은 상기 케이스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 트레이의 타단은 상기 케이스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 트레이는 방수가능하고 경성을 가지는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의 타면의 상기 단자부에 인접하여 부착되며 상기 단자부를 커버하는 드립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커넥터에 결합시 상기 케이블 커넥터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1. 신호선이 위치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신호선과 연결되는 전극을 포함하는 단자부;
    상기 연결부의 일면에 위치하는 드립 트레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 트레이는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에 부착되는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에서 연장되어 오목하게 꺾어진 물받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는
    상기 접착부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꺾어진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1 접힘부에서 꺾어져 상기 제1 접힘부와 V자 형상의 물받이를 구성하는 제2 접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 사이의 각도는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 사이가 이루는 각도의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제1 단자부; 및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는 상기 제1 단자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KR1020220031807A 2022-03-15 2022-03-15 플렉서블 케이블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KR20230134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807A KR20230134702A (ko) 2022-03-15 2022-03-15 플렉서블 케이블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PCT/KR2022/005082 WO2023177008A1 (ko) 2022-03-15 2022-04-08 플렉서블 케이블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807A KR20230134702A (ko) 2022-03-15 2022-03-15 플렉서블 케이블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702A true KR20230134702A (ko) 2023-09-22

Family

ID=88023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807A KR20230134702A (ko) 2022-03-15 2022-03-15 플렉서블 케이블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34702A (ko)
WO (1) WO202317700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214B1 (ko) * 2005-01-07 2012-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제품의 플렉시블 케이블용 노이즈 방지구조
JP2006290299A (ja) * 2005-04-14 2006-10-26 Fujikura Ltd スライドドア給電装置
KR102046937B1 (ko) * 2019-06-19 2019-11-21 주식회사 삼성산업 해저케이블 보호를 위한 조립식 플렉시블 매트리스용 블록
KR20210121978A (ko) * 2020-03-31 2021-10-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케이블, 이를 포함하는 진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211879090U (zh) * 2020-06-04 2020-11-06 西隆电缆有限公司 一种全阻水柔性中压电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77008A1 (ko)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86932B2 (ja) 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KR20230134702A (ko) 플렉서블 케이블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KR102662317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74539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4134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4212984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3042940A1 (ko) 결로센서를 구비한 전자장치
KR102674540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WO2023182544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4325868A2 (en) Movable tv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40011433A (ko) 전자기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2024001134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805610B2 (en) Display device
WO2023191118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044799A (ko) 음향출력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0921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0921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1833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82539A1 (ko) 디스플레이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59342A (ko) 마이크로 led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2023011300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1890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4690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16688A (ko)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2023012147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