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9056A - 배관 압착 공구 - Google Patents

배관 압착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9056A
KR20240059056A KR1020220139831A KR20220139831A KR20240059056A KR 20240059056 A KR20240059056 A KR 20240059056A KR 1020220139831 A KR1020220139831 A KR 1020220139831A KR 20220139831 A KR20220139831 A KR 20220139831A KR 20240059056 A KR20240059056 A KR 20240059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pipe
pressing
tongs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9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주희
Original Assignee
신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주희 filed Critical 신주희
Priority to KR1020220139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9056A/ko
Publication of KR20240059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905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압착 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배관 압착 공구는 제1압착부 및 제1회전홈을 포함하는 제1집게부; 제2압착부 및 제2회전홈을 포함하는 제2집게부; 상기 제1압착부 및 제2압착부 각각에 배치되고, 배관의 외주면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착면 및 상기 압착면 상에 배치된 돌기를 포함하는 압착유닛; 및 상기 제1회전홈 및 제2회전홈 각각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상기 제1압착부 및 제2압착부 각각에 배치된 압착유닛이 서로 맞물리도록 상기 제1집게부 및 제2집게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 압착 공구{Pressing tool for connecting pipe}
본 발명은 배관 압착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 예는 서로 다른 두 배관의 연결된 부분을 압착하여 두 배관을 연결하는 공구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사용하는 상하수도관이나, 공장이나 연구소, 병원 등에서 사용하는 액체 및 기체를 이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배관들은 설계에서 요구하는 길이 및 경로에 맞추어 현장에서 시공된다. 이를 위해 작업자들은 여러 개의 배관을 엘보, 유니언, 티, 니플, 플러그 등 다양한 배관 부속(피팅)을 통해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배관 압착 공구는 배관과 배관을 연결하거나, 배관을 배관 부속에 연결하는 공구이다. 일반적으로 배관 압착 공구는 배관을 압착하는 압착유닛을 포함하고 있으며, 유압 또는 전동식 액추에이터를 상기 압착 공구에 결합하여 구동함으로써 배관 및 배관 부속 등을 압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배관을 다른 배관 또는 배관 부속에 끼워 결합한 후, 결합부위를 상기 압착유닛으로 감사도록 배치한 후에, 상기 액추에이터를 작동하여 상기 압착유닛이 상기 결합부위를 압착한다. 그러나, 종래의 배관 압착 공구는 배관과 다른 배관 또는 배관 부속을 압박하여 밀착하는 데 그치기 때문에 연결 후에도 연결부위가 고정되지 않고 회전하거나 빠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5192호
본 발명은 배관 및 배관 부속을 강하게 결합할 수 있는 배관 압착 공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연결된 배관 및 배관 부속이 회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배관 압착 공구는 제1압착부 및 제1회전홈을 포함하는 제1집게부; 제2압착부 및 제2회전홈을 포함하는 제2집게부; 상기 제1압착부 및 제2압착부 각각에 배치되고, 배관의 외주면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착면 및 상기 압착면 상에 배치된 돌기를 포함하는 압착유닛; 및 상기 제1회전홈 및 제2회전홈 각각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상기 제1압착부 및 제2압착부 각각에 배치된 압착유닛이 서로 맞물리도록 상기 제1집게부 및 제2집게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압착유닛은 제1압착면 및 제2압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압착면은 상기 제1압착면보다 돌출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1압착면 및 제2압착면이 단차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제1압착면 및 제2압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배관 압착 공구는 배관 및 배관 부속을 강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연결된 배관 및 배관 부속이 회전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배관 압착 공구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배관 압착 공구의 각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도시한 것으로, (a)는 집게부, (b)는 압착유닛, (c)는 연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배관 압착 공구가 구동공구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배관 압착 공구에 의해 연결된 배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은 서로 다른 실시 예의 압착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배관 압착 공구(100)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배관 압착 공구(100)의 각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도시한 것으로, (a)는 집게부(110), (b)는 압착유닛(120), (c)는 연결부(13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배관 압착 공구(100)는 제1압착부(111a) 및 제1회전홈(111b)을 포함하는 제1집게부(110); 제2압착부(112a) 및 제2회전홈(112b)을 포함하는 제2집게부(110); 상기 제1압착부(111a) 및 제2압착부(112a) 각각에 배치되고, 배관의 외주면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착면(121, 122) 및 상기 압착면(121, 122) 상에 배치된 돌기(123)를 포함하는 압착유닛(120); 및 상기 제1회전홈(111b) 및 제2회전홈(112b) 각각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상기 제1압착부(111a) 및 제2압착부(112a) 각각에 배치된 압착유닛(120)이 서로 맞물리도록, 상기 제1집게부(110) 및 제2집게부(110)를 연결하는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집게부(110) 및 제2집게부(110)는 일반적인 집게와 유사하게 외부의 힘에 의해 서로 맞물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집게부(110) 및 제2집게부(110)는 각각 압착부(111a, 112a)와 회전홈(111b, 112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집게부(110) 및 제2집게부(110)의 간격을 조절하는 스프링 또는 별도의 간격 조절을 위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집게부(110) 및 제2집게부(110)는 도 3과 같이, 외부의 구동공구(20)를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공구(20)의 실린더나 스크류가 늘어나거나 줄어듦에 따라 상기 압착유닛(120) 사이가 벌어지거나(도 3(a) 참조), 맞물릴 수 있다(도 3(b)참조).
상기 압착부(111a, 112a)는 상기 압착유닛(120)이 배치되는 곳이다. 상기 압착부(111a, 112a) 및 압착유닛(120)은 핀, 볼트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결합 방법을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압착부(111a, 112a)는 각각 3면을 가진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압착부(111a) 및 제2압착부(112a)가 맞물린 상태에서 6각형의 중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압착부(111a) 및 제2압착부(112a)는 상기 각각의 압착유닛(120)에 고른 압력을 가할 수 있고, 압착 중에 상기 압착유닛(120)이 이탈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홈(111b, 112b)은 상기 연결부(130)와 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130)의 집게연결홈(13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회전홈(111b, 112b) 및 집게연결홈(131)은 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홈(111b) 및 제2회전홈(112b)은 각각 상기 제1집게부(110) 및 제2집게부(110)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압착유닛(120)은 배관을 압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압착유닛(120)은 상기 제1압착부(111a) 및 제2압착부(112a)에 각각 배치되도록 2개 이상으로 분리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압착부(111a) 및 제2압착부(112a) 각각에서도 2개 이상으로 분리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유닛(120)은 상기 제1압착부(111a) 및 제2압착부(112a) 상에서 조금씩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있도록 핀으로 결합되거나 짐벌구조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압착 공정 시 압착유닛(120)이 배관의 형상이나 크기에 맞추어 조금씩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배관의 전 표면을 고르게 압착할 수 있다.
상기 압착유닛(120)의 외부면은 상기 제1압착부(111a) 및 제2압착부(112a)의 내부면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압착유닛(120)의 외부면 형상은 상기 제1압착부(111a) 및 제2압착부(112a)의 내부면 형상인 6각형일 수 있다. 상기 압착유닛(120)의 외부면은 원형일 수 있다. 이는 배관 및 배관부속의 외주면 형상이 원형이기 때문이다.
상기 압착유닛(120)은 적어도 하나의 압착면(121, 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착면(121, 122)은 배관의 외주면에 맞닿아 상기 배관을 압착하는 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압착면(121, 122)은 2개 또는 3개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구분된 압착면(121, 122)은 상기 제1압착부(111a) 및 제2압착부(112a)의 내부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압착부(111a) 및 제2압착부(112a)의 내부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짧은 면을 제1압착면(121)이라하고, 상기 제1압착부(111a) 및 제2압착부(112a)의 내부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면을 제2압착면(122)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즉, 제1압착면(121) 및 제2압착면(122)은 단차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압착면(121) 및 제2압착면(122)의 배치는 배관의 형상에 따른 것이다. 제1배관(11)의 위로 삽입되는 제2배관(12) 중 돌출된 부분의 아래쪽으로 립(lip)이 더 형성된 경우(도 4(a))에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제1압착면(121)의 아래 및 위에 각각 제2압착면(122)이 배치될 수 있고, 제1배관(11)의 위로 삽입되는 제2배관(12) 중 돌출된 부분의 아래쪽으로 립(lip)이 없는 경우(도 4(b))에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제1압착면(121)의 아래 및 위 중 어느 한쪽에만 제2압착면(12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착유닛(120)은 상기 압착면(121, 122) 상에 배치된 돌기(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123)는 배관의 외부면에 홈을 형성하여 배관과 배관 또는 배관 부속이 강하게 결합하도록 하고, 결합 후에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돌기(123)는 적어도 하나의 면 상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으며, 형상 및 높이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돌기(123)는 제1압착면(121) 및 제2압착면(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돌기(123)는 제1압착면(121)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돌기(123)는 제2압착면(1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기 돌기(123)는 제1압착면(121) 상에 배치된 것이다. 이를 통해 상기 돌기(123)가 배관의 돌출된 부분을 압착하여 홈을 형성하여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a)는 도 5의 압착유닛(120)으로 배관(11, 12)을 압착한 것이고, 도 4(b)는 도 7의 압착유닛(120)으로 배관(11, 12)을 압착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에서 제2배관(12)의 돌출된 부분에 홈(12a)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제1집게부(110) 및 제2집게부(110)를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상기 제1집게부(110) 및 제2집게부(110)가 벌어지고 맞물리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제1집게부(110) 및 제2집게부(110)의 제1회전홈(111b) 및 제2회전홈(112b)에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집게연결홈(131)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홈(111b), 제2회전홈(112b) 및 집게연결홈(131) 각각은 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0)는 외부의 구동공구(20)와 연결하기 위한 공구연결홈(1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상기 공구연결홈(132)은 핀 등을 이용하여 구동공구(2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배관 압착 공구(100)를 구동공구(20)에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0)는 'T'자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ㅡ' 형상의 일단 및 타단 부분에 2개의 집게연결홈(131)이 배치될 수 있으며, 'ㅣ'자 부분에 공구연결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연결부(130)는 단순한 구조로서 안정적으로 상기 제1집게부(110), 제2집게부(110) 및 구동공구(20)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배관 압착 공구, 110: 집게부, 111: 제1집게, 111a: 제1압착부, 111b: 제1회전홈, 112: 제2집게, 112a: 제2압착부, 112b: 제2회전홈, 113: 지지부, 120: 압착유닛, 121: 제1압착면, 122: 제2압착면, 123: 돌기, 130: 연결부, 131: 집게연결홈, 132: 공구연결홈, 11: 제1배관, 12: 제2배관, 12a: 홈, 20: 구동공구

Claims (3)

  1. 제1압착부 및 제1회전홈을 포함하는 제1집게부;
    제2압착부 및 제2회전홈을 포함하는 제2집게부;
    상기 제1압착부 및 제2압착부 각각에 배치되고, 배관의 외주면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착면 및 상기 압착면 상에 배치된 돌기를 포함하는 압착유닛; 및
    상기 제1회전홈 및 제2회전홈 각각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상기 제1압착부 및 제2압착부 각각에 배치된 압착유닛이 서로 맞물리도록 상기 제1집게부 및 제2집게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배관 압착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유닛은 제1압착면 및 제2압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압착면은 상기 제1압착면보다 돌출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1압착면 및 제2압착면이 단차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인,
    배관 압착 공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제1압착면 및 제2압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된 것인,
    배관 압착 공구.

KR1020220139831A 2022-10-27 2022-10-27 배관 압착 공구 KR202400590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831A KR20240059056A (ko) 2022-10-27 2022-10-27 배관 압착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831A KR20240059056A (ko) 2022-10-27 2022-10-27 배관 압착 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9056A true KR20240059056A (ko) 2024-05-07

Family

ID=91078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9831A KR20240059056A (ko) 2022-10-27 2022-10-27 배관 압착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905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5192A (ko) 2010-08-11 2012-02-21 배승범 압착형 연결배관의 압착공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5192A (ko) 2010-08-11 2012-02-21 배승범 압착형 연결배관의 압착공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55863B2 (ja) 押圧ジョー、分離不能管継手の製作方法、結合具、および押圧ジョーと結合具とから成るシステム
US6893051B1 (en) Pipe coupling
RU2472057C2 (ru) Зажимное кольцо для фиттинга
JPS6188090A (ja) ねじ込み型管継手
WO1993017270A1 (en) Conduit coupling
JP3360702B2 (ja) 圧送管の連結装置
KR20240059056A (ko) 배관 압착 공구
JP2020051580A (ja) 管継手とパイプの接続構造体及び接続方法
JP4198189B1 (ja) つば出し管用管継手
KR20120053691A (ko) 파이프 압착 체결기
CN103097795B (zh) 带有径向密封的卫生夹具联接器
JP2006521523A5 (ko)
KR200425951Y1 (ko) 관 이음용 압착공구
KR100448252B1 (ko) 연결관로 접속용 클램핑 장치
JP3961489B2 (ja) パイプ連結具
JP4740219B2 (ja) パイプの連結構造
US20080022748A1 (en) Crimping tool for pipe fittings
KR102419174B1 (ko) 파이프 연결 장치
CN212028851U (zh) 一种可快速拆换的管路接头
KR200280086Y1 (ko) 파이프 연결구
CN210484904U (zh) 一种凸管型管道连接器
CN213672390U (zh) 一种管道冷连接压合夹具
KR101327373B1 (ko) 파이프 압착 체결기의 원호블럭
KR102574825B1 (ko) 플레어부를 가지는 배관 결합 소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212361168U (zh) 一种便于操作的薄型外壳高压软管接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