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174B1 - 파이프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174B1
KR102419174B1 KR1020200177826A KR20200177826A KR102419174B1 KR 102419174 B1 KR102419174 B1 KR 102419174B1 KR 1020200177826 A KR1020200177826 A KR 1020200177826A KR 20200177826 A KR20200177826 A KR 20200177826A KR 102419174 B1 KR102419174 B1 KR 102419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huck
connecting sleeve
sliding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7281A (ko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태 filed Critical 김성태
Priority to KR1020200177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174B1/ko
Publication of KR20220087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13/141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crimping or rolling from the out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2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파이프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체 두 개를 압착하여 연결하는 파이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의 연결 작업이 단순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밀폐력이 향상되어 가스켓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는 새로운 방식의 파이프 연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 장치{Pipe Connector}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체 두 개를 압착하여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가정에 공급되는 상수를 비롯하여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배관은 복수의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여 형성한다. 종래의 배관 연결 방법은 파이프의 단부와 단부를 서로 접촉시킨 후 용접하여 연결하는 방법, 파이프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와 플랜지를 볼트-너트로 체결하는 방법 및 커플링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일반 건물, 상수도 및 냉난방 공조 배관에서는 용접 공정을 이용하지 않고 파이프 커플링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용접 공정은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특수한 경우에만 적용되며, 근래에는 대부분 커플링 방식이 이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커플링은 반원호형의 상부커플링(1)과 하부커플링(2)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환형의 가스켓(3)으로 이루어진다. 서로 연결되는 2개의 파이프(A,B)의 단부에는 각각 오목하게 그루브(g)가 형성되어 있다. 두 개의 파이프(A,B)가 맞닿는 부분에 가스켓(3)을 끼워 넣고, 상부커플링(1)과 하부커플링(2)을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덮어 씌운다. 이 때 상하부 커플링(1,2)의 길이방향 단부는 각각 파이프의 그루브(g)에 안착된다. 상하부 커플링(1,2)의 양측 플랜지부(4)에는 각각 관통공(5)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6)가 관통공(5)에 끼워진 후 너트(7)가 체결되면 파이프 커플링이 체결되면서 파이프(A,B)이 상호 연결된다. 상하부 커플링(1,2)이 상호 체결될 때 커플링은 가스켓(3)을 가압하여 파이프 사이가 완전히 밀폐되게 한다.
상기한 구성의 기존의 파이프 커플링은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기존의 파이프 커플링의 설치가 어려운 점은 우선 가스켓의 크기와 관련된다. 가스켓의 내경이 파이프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설치가 어려웠다. 즉 고무 등 신축 소재인 가스켓을 당겨서 늘린 상태로 일측 파이프에 끼워 넣고, 타측 파이프를 일측 파이프에 접촉시킨 후 다시 가스켓을 늘려서 파이프 연결부로 이동시킨 후, 비로소 상부커플링과 하부커플링을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웠다.
또한 가스켓을 파이프 연결부로 이동할 때, 파이프 사이의 정중앙에 가스켓을 위치시켜야 하는데 어림짐작으로 가스켓의 위치를 잡다 보니 중앙이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부커플링과 하부커플링이 그루브에 안착된 상태에서 가스켓이 커플링 안으로 들어와야 하는데, 가스켓의 위치가 중앙부를 벗어나면 커플링 내측으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가스켓 위치를 다시 잡아야 하는 문제도 있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의 연결 작업이 단순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밀폐력이 향상되어 가스켓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는 새로운 방식의 파이프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를 연결하는 커넥팅 슬리브를 압착하여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를 밀폐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에 있어서,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커넥팅 슬리브;
상기 커넥팅 슬리브의 외주면을 따라서 복수가 배치되는 물림척;
상기 물림척 밀어 상기 커넥팅 슬리브를 압착시키는 슬라이딩부재(120);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는 밀폐 연결용 파이프 연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커넥팅 슬리브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파이프 또는 상기 제2파이프의 외주면에 압착홈을 형성하며, 상기 압착홈에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커넥팅 슬리브의 상기 내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의 연결 작업이 단순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밀폐력이 향상되어 가스켓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는 새로운 방식의 파이프 연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범용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커플링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가 커넥팅 슬리브의 외주면에 가하는 힘의 방향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의 물림척이 커넥팅 슬리브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배치되어 커넥팅 슬리브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의 물림척이 커넥팅 슬리브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압축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가 커넥팅 슬리브를 가압하여 커넥팅 슬리브의 직경이 줄어들어 커넥팅 슬리브의 돌출부가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의 외주면을 밀고 들어와 압착홈을 형성하면서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가 커넥팅 슬리브의 외주면에 가하는 힘의 방향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의 물림척이 커넥팅 슬리브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배치되어 커넥팅 슬리브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의 물림척이 커넥팅 슬리브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압축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가 커넥팅 슬리브를 가압하여 커넥팅 슬리브의 직경이 줄어들어 커넥팅 슬리브의 돌출부가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의 외주면을 밀고 들어와 압착홈을 형성하면서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는 제1파이프(210)와 제2파이프(210)를 연결하는 커넥팅 슬리브(200)를 압착하여 상기 제1파이프(210)와 상기 제2파이프(210)를 밀폐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는 제1파이프(210)와 제2파이프(210)를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커넥팅 슬리브(200);
커넥팅 슬리브(200)의 외주면을 따라서 복수가 배치되는 물림척(100); 물림척(100) 밀어 커넥팅 슬리브(200)를 압착시키는 슬라이딩부재(120); 및
슬라이딩부재(120)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물림척(100)은 커넥팅 슬리브(200)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방향(D)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커넥팅 슬리브(200)의 외주면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물림척(100)은 콜레트 척과 같은 형태와 방식으로 움직이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에서 물림척(100)의 일단은 뒤로 밀리는 것이 방지되는 스토퍼(미도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림척(100)에 인접해서 슬라이딩부재(120)가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120)는 실시예에 따라서 물림척(100)과 같이 커넥팅 슬리브(200)의 외주면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배열하는 구성일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120)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커넥팅 슬리브(200)를 둘러싼 상태에서 제1방향(P) 또는 제1방향(P)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Q)으로 왕복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슬리이딩부재의 상부면은 가이드부재(130)에 의하여 가이드되고, 하부면은 물림척(100)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1방향(P) 또는 제2방향(Q)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물림척(100)의 상부면은 경사진 제1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부재(120)의 하부면은 경사진 제2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120)의 제2경사면과 물림척(100)의 제1경사면은 대향하는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여 물림척(100)을 방사방향(D)으로 밀어 내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슬라이딩부재(120)가 제1방향(P)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물림척(100)과의 접촉이 해소되며 물림척(100)이 더이상 커넥팅 슬리브(200)를 압착하지 않는다. 그러나 슬라이딩부재(120)가 제2방향(Q)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가이드부재(130)에 의하여 슬라이딩부재(120)의 방사 방향(F)으로의 이동이 구속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부재(120)의 제2경사면과 물림척(100)의 제1경사면이 서로 접촉하면서 제1경사면을 타고 계속 제2방향(Q)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물림척(100)은 방사방향(D) 즉, 커넥팅 슬리브(200)의 중심선 방향으로 커넥팅 슬리브(200)를 가압하게 된다. 그 결과 커넥팅 슬리브(200)의 외주면을 압착하게 되고 커넥팅 슬리브(200)의 직경이 줄어들면서 제1파이프(210), 제2파이프(210)의 외주면에 압착되면서 제1파이프(210), 제2파이프(210)의 외주면에 압착홈(220)을 형성하며 압착 체결이 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 커넥팅 슬리브(200)의 내주면에는 제1파이프(210) 또는 제2파이프(210)의 외주면에 압착홈(220)을 형성하며, 압착홈(220)에 결합되는 돌출부(20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210)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01)는 물림척(100)이 방사방향(D)으로 커넥팅 슬리브(200)를 가압할 때 제1파이프(210) 또는 제2파이프(210)의 외주면을 압착하여 압착홈(220)을 형성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돌출부(201)가 2개 형성되면 제1파이프(210) 또는 제2파이프(210)의 외주면은 2개의 압착홈(220)이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201)가 3개가 형성되어 있으면 제1파이프(210) 또는 제2파이프(210)의 외주면에는 3개의 압착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압착홈(220)은 돌출부(201)에 의하여 커넥팅 슬리브(200)의 외주면이 눌려지면, 커넥팅 슬리브(200)의 내주면도 함께 눌려지고, 커넥팅 슬리브(200)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제1파이프(210)의 외주면을 누르게 되어 결국 커넥팅 슬리브(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출부(201)에 의하여 커넥팅 슬리브(200)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제1파이프(210)의 외주면에 압착홈(220)이 형성되어 제1파이프(210)와 커넥팅 슬리브(200)가 체결되는 것이다. 제1파이프(210)와 마찬가지로 제2파이프(210)도 같은 방식으로 커넥팅 슬리브(200)와 체결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고하면, 실시예에 따라서 물림척(100) 3개는 커넥팅 슬리브(200)의 외주면을 따라서 방사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딩부재(120)에 의하여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접촉하면서 물림척(100)의 제1경사면을 밀면, 물림척(100)은 방사방향(D)으로 힘을 받아서 이동하게 되고 복수의 물림척(100)이 서로 서로 접촉할 때까지 커넥팅 슬리브(200)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된다. 물림척(100) 3 개가 상호 맞닿아서(도 5를 참조) 더이상 방사방향(D)으로 이동할 수 없을 때까지 가압할 수 있다. 물림척(100)의 사이즈는 설계에 의하여 미리 어느 정도의 직경까지 밀고 들어올 수 있을 것인지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연결하고자 하는 제1파이프(210)와 제2파이프(210)의 직경에 따라서 물림척(100)의 사이즈는 이미 결정될 수 있으며, 제1파이프(210)와 제2파이프(210)의 직경이 크면 물림척(100)의 사이즈도 큰 것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제1파이프(210)와 제2파이프(210)의 직경이 작으면 물림척(100)의 사이즈도 이에 대응하도록 사이즈가 작은 것을 선택하여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커넥팅 슬리브(200)가 압착되면서 커넥팅 슬리브(200)의 돌출부(201)에 의하여 제1파이프(210)에 2개의 압착홈(220)이 형성되었고, 물림척(100)을 열고 다시 제1파이프(210)와 제2파이프(210)의 위치가 바뀌도록 하여 물림척으로 가압함으로써 제2파이프(210)에 2개의 압착홈(220)이 형성되어 총 4개의 압착홈(220)이 형성되었다. 압착홈(220)의 개수가 많을수록 제1파이프(210)와 제2파이프(210)의 연결은 더욱 밀폐력이 높아지고, 더욱 강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물림척
120: 슬라이딩부재
130: 가이드부재
200: 커넥팅 슬리브
210: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
220: 압착홈

Claims (3)

  1. 제1파이프(210)와 제2파이프(210)를 연결하는 커넥팅 슬리브(200)를 압착하여 상기 제1파이프(210)와 상기 제2파이프(210)를 밀폐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에 있어서,
    제1파이프(210)와 제2파이프(210)를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커넥팅 슬리브(200);
    상기 커넥팅 슬리브(200)의 외주면을 따라서 복수가 배치되는 물림척(100);
    상기 물림척(100) 밀어 상기 커넥팅 슬리브(200)를 압착시키는 슬라이딩부재(120);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120)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130);
    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 슬리브(20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파이프(210) 또는 상기 제2파이프(210)의 외주면에 압착홈(220)을 형성하며, 상기 압착홈(220)에 결합되는 돌출부(201)가 형성되며,
    상기 물림척(100)은 상기 커넥팅 슬리브(200)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방향(D)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커넥팅 슬리브(200)의 외주면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물림척(100)은 콜레트 척과 같은 형태와 방식으로 움직이는 것이고, 상기 물림척(100)의 일단에는 뒤로 밀리는 것이 방지되는 스토퍼 구성이 있고, 상기 물림척(100)에 인접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120)가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120)는 상기 물림척(100)과 같이 상기 커넥팅 슬리브(200)의 외주면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배열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120)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커넥팅 슬리브(200)를 둘러싼 상태에서 제1방향(P) 또는 상기 제1방향(P)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Q)으로 왕복 직선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부재(120)는 상기 슬라이딩부재(120)의 상부면은 상기 가이드부재(130)에 의하여 가이드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120)의 하부면은 상기 물림척(100)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방향(P) 또는 상기 제2방향(Q)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고,
    상기 물림척(100)의 상부면은 경사진 제1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부재(120)의 하부면은 경사진 제2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딩부재(120)의 상기 제2경사면과 상기 물림척(100)의 상기 제1경사면은 대향하는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여 상기 물림척(100)을 방사방향(D)으로 밀어 내는 기능을 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딩부재(120)가 상기 제1방향(P)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물림척(100)과의 접촉이 해소되며 상기 물림척(100)이 더이상 상기 커넥팅 슬리브(200)를 압착하지 않고, 상기 슬라이딩부재(120)가 상기 제2방향(Q)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부재(130)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재(120)의 방사 방향(F)으로의 이동이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120)의 상기 제2경사면과 상기 물림척(100)의 상기 제1경사면이 서로 접촉하면서 상기 제1경사면을 타고 계속 상기 제2방향(Q)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물림척(100)은 방사방향(D) 즉, 상기 커넥팅 슬리브(200)의 중심선 방향으로 상기 커넥팅 슬리브(200)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커넥팅 슬리브(200)의 외주면을 압착하게 되고 상기 커넥팅 슬리브(200)의 직경이 줄어들면서 상기 제1파이프(210)와 상기 제2파이프(210)의 외주면에 압착되면서 상기 제1파이프(210)와 상기 제2파이프(210)의 외주면에 상기 압착홈(220)을 형성하며 압착 체결이 되는 밀폐 연결용 파이프 연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슬리브의 상기 내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연결용 파이프 연결 장치.
KR1020200177826A 2020-12-17 2020-12-17 파이프 연결 장치 KR102419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826A KR102419174B1 (ko) 2020-12-17 2020-12-17 파이프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826A KR102419174B1 (ko) 2020-12-17 2020-12-17 파이프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281A KR20220087281A (ko) 2022-06-24
KR102419174B1 true KR102419174B1 (ko) 2022-07-07

Family

ID=82215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826A KR102419174B1 (ko) 2020-12-17 2020-12-17 파이프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1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5706A (ja) * 1999-12-02 2003-05-07 ゼル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ー.カーゲー 管連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5706A (ja) * 1999-12-02 2003-05-07 ゼル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ー.カーゲー 管連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281A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55863B2 (ja) 押圧ジョー、分離不能管継手の製作方法、結合具、および押圧ジョーと結合具とから成るシステム
US5553902A (en) Leak-proof coupling
US6832791B2 (en) Connection means for interconnecting two duct elements
US6893051B1 (en) Pipe coupling
US4896697A (en) Coupling for connecting liquid conduits
CA3061531C (en) Quick-insertion coupling joint
US4487437A (en) Threadless connector
US20190072216A1 (en) Grooved joint adapter
GB2172365A (en) Coded fluid coupling
KR102419174B1 (ko) 파이프 연결 장치
AU675584B2 (en) Pipe connector
US5379798A (en) Hydraulic coupling
US2207518A (en) Pipe joint
KR200451357Y1 (ko) 관 연결구
US3177011A (en) Neuter coupling
US20100148495A1 (en) Device, method and kit of parts for forming a press-fit connection with a tube
CN216344609U (zh) 一种三通快拆接头
CN108662327B (zh) 一种软管快速锁紧密封装置
WO2019204951A1 (zh) 一种管件连接结构
CN211118120U (zh) 一种压缩空气管道的快速连接接头
KR102574825B1 (ko) 플레어부를 가지는 배관 결합 소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211693893U (zh) 防脱接头用涨紧压圈
CN213982429U (zh) 一种高压快速装夹外接头
CN218439250U (zh) 一种隔热耐腐蚀的碳化硅涂料油管
KR200179786Y1 (ko) 호스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