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714A - 전기집진장치 및 전기집진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집진장치 및 전기집진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8714A
KR20240058714A KR1020220139761A KR20220139761A KR20240058714A KR 20240058714 A KR20240058714 A KR 20240058714A KR 1020220139761 A KR1020220139761 A KR 1020220139761A KR 20220139761 A KR20220139761 A KR 20220139761A KR 20240058714 A KR20240058714 A KR 20240058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ower
dust collection
sheet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9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수
노형수
송명섭
신규호
신준오
서형준
이기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9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8714A/ko
Priority to PCT/KR2023/011695 priority patent/WO2024090752A1/ko
Priority to US18/237,757 priority patent/US20240139758A1/en
Publication of KR20240058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87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separation of ionising and collec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17Combinations of electrostatic separation with other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08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presence of stationary flat electrodes arranged with their flat surfaces parallel to the gas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B03C3/68Control syste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04Ionising electrode being a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06Ionising electrode being a nee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10Ionising electrode has multiple serrated ends o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는 이물질을 대전시키는 대전 유닛과, 대전 유닛에서 대전된 물질이 집진되는 집진 시트를 포함한다. 집진 시트는 제 1전극과, 제 1전극과 마주하도록 이격 배치되고 대전 유닛을 통과한 이물질이 포집되는 제 2전극과, 제 1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 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전원 연결부와, 제 2전극에 제 1전극과 전위차가 발생되는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 2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전원 연결부와, 제 2전극이 발열되도록 제 2전극과 함께 추가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 전원 연결부를 포함한다. 제 3전원 연결부는 제 1전원 연결부보다 제 2전원 연결부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Description

전기집진장치 및 전기집진장치의 제어방법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살균 기능이 향상된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집, 방, 쇼핑몰, 공장, 사무실 등 밀폐된 공간에서 고농도 에어로졸은 사람들의 건강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에어로졸은 제한된 공간에서 흡연, 요리, 청소, 용접, 그라인딩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는 이러한 에어로졸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공기청정기나 공기청정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에 사용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의 집진유닛은 고전압 전극과 저전압 전극으로 구성되며 대전 유닛을 통해 대전된 공기 중의 이물질이 전기적 작용으로 전극에 포집될 수 있다. 이 때, 전극에 포집된 이물질에는 공기 중 부유 미생물인 바이오 에어로졸이 포함되어 있어 이러한 물질들이 전극에서 증식하여 실내로 다시 확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기진집장치의 전기를 통해 전극에 이물질이 포집되고, 전극이 살균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본 복수의 전극에 연결되는 전원 연결부가 서로 소정의 거리를 가지고 이격 배치되도록 마련되어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집진유닛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극을 집진시트에 일체로 형성하고, 각각의 전극에 집진 및 살균을 위한 전원을 효율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제작의 용이성 및 생산성이 향상된 전기집진장치 및 집진유닛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는 이물질을 대전시키는 대전 유닛과, 상기 대전 유닛에서 대전된 물질이 집진되는 집진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집진 시트는 제 1전극과, 상기 제 1전극과 마주하도록 이격 배치되고 상기 대전 유닛을 통과한 이물질이 포집되는 제 2전극과, 상기 제 1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도록 상기 제 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전원 연결부와, 상기 제 2전극에 상기 제 1전극과 전위차가 발생되는 전압이 인가되도록 상기 제 2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전원 연결부와, 상기 제 2전극이 발열되도록 상기 제 2전극과 함께 추가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 전원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3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 1전원 연결부보다 상기 제 2전원 연결부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전극과 상기 제 2전극은 제 1방향으로 중첩 배치된다.
상기 제 1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상기 집진 시트의 일단에 배치된다.
상기 제 2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 2방향으로 상기 집진 시트의 타단에 배치된다.
상기 제 3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 2방향으로 상기 집진 시트의 타단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전극은 상기 제 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변과 상기 장변을 따라 절개되는 절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전원 연결부는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의 상기 제 2전극의 일측과 연결된다.
상기 제 3전원 연결부는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 3방향으로의 상기 제 2전극의 타측과 연결된다.
상기 제 1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전극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 1전원 공급부와 접촉되는 제 1접촉 영역과, 상기 제 2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연결 영역과 상기 제 1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연결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 2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 3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전극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 2전원 공급부와 접촉되는 제 2접촉 영역과, 상기 제 2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연결 영역과 상기 제 2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연결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 3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 3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전극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 3전원 공급부와 접촉되는 제 3접촉 영역과, 상기 제 2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3연결 영역과 상기 제 2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3연결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 1접촉 영역은 상기 제 2방향으로의 상기 집진 시트의 일단 전체를 따라 상기 제 3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2접촉 영역은 상기 제 2방향으로의 상기 집진 시트의 타단 전체를 따라 상기 제 3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3접촉 영역은 상기 제 2방향으로의 상기 집진 시트의 내측에서 상기 제 3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 2전극은 상기 제 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변과 상기 장변을 따라 절개되는 절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연결 영역은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 3방향으로의 상기 제 2전극의 일측과 연결된다.
상기 제 3연결 영역은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 3방향으로의 상기 제 2전극의 타측과 연결된다.
상기 제 2전극은 상기 제 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변과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3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절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의 상기 제 2전극의 일측과 연결된다.
상기 제 3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 3방향으로의 상기 제 2전극의 타측과 연결된다.
상기 절개부는 제 1절개부와 상기 제 2방향으로 상기 제 1절개부와 이격 배치되는 제 2절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집진시트는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1,2전극의 일면을 커버하는 제 1시트와,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1,2전극의 타면을 커버하는 제 2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전원 연결부와 상기 제 2전원 연결부 및 상기 제 3전원 연결부는 각각 상기 제 2시트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집진시트는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1시트와 상기 제 2시트가 중첩 커버되는 제 1영역과,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2시트 외측에 배치되는 제 2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 1전원 연결부와 상기 제 2연결부 및 상기 제 3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 2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제 2전극은 금속 재질로 마련된다.
상기 제 2전극은 상기 제 1전극보다 전기 저항이 큰 재질로 마련된다.
상기 집진시트는 상기 제 1전극이 배치되는 제 1면과, 상기 제 2전극이 배치되는 제 2면과, 상기 제 1면과 상기 제 2면이 상기 제 1방향으로 마주하도록 벤딩(bending)된 벤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전원 연결부와 상기 제 2전원 연결부 및 상기 제 3전원 연결부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벤딩부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1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 2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 3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전원 연결부와 상기 제 2전원 연결부에 각각 전압이 인가되도록 상기 제 1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 2전원 공급부가 제어되는 제 1모드와 상기 제 2전원 연결부와 상기 제 3전원 연결부에 각각 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제 2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 3전원 공급부가 제어되는 제 2모드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모드로 구동되도록 상기 제 1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 2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 3전원 공급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입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모드가 온이 된 후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1모드가 오프되면, 상기 제 2모드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온이 된 후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는 이물질을 대전시키는 대전 유닛과
상기 대전 유닛에서 대전된 물질이 집진되는 집진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집진 시트는 제 1전극과, 상기 제 1전극과 제 1방향으로 마주하도록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 1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대전 유닛을 통과한 이물질이 포집되는 제 2전극과, 상기 제 1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도록 상기 제 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방향으로 상기 집진 시트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 1전원 연결부와, 상기 제 2전극에 상기 제 1전극과 전위차가 발생되는 전압이 인가되도록 상기 제 2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방향으로 상기 집진 시트의 타단에 배치되는 제 2전원 연결부와, 상기 제 2전극이 발열되도록 상기 제 2전극과 함께 추가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방향으로 상기 집진 시트의 타단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3 전원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전극은 상기 제 2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절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전원 연결부는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의 상기 제 2전극의 일측과 연결된다.
상기 제 3전원 연결부는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 3방향으로의 상기 제 2전극의 타측과 연결된다.
상기 제 1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전극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 1전원 공급부와 접촉되는 제 1접촉 영역과, 상기 제 2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연결 영역과 상기 제 1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연결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 2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 3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전극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 2전원 공급부와 접촉되는 제 2접촉 영역과, 상기 제 2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연결 영역과 상기 제 2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연결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 3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 3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전극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 3전원 공급부와 접촉되는 제 3접촉 영역과, 상기 제 2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3연결 영역과 상기 제 2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3연결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 2연결 영역은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의 상기 제 2전극의 일측과 연결된다.
상기 제 2접촉 영역은 상기 제 2방향으로의 상기 집진 시트의 타단 전체를 따라 상기 제 3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3연결 영역은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의 상기 제 2전극의 타측과 연결된다.
상기 제 3접촉 영역은 상기 제 2방향으로의 상기 집진 시트의 내측에서 상기 제 3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복수의 전극에 집진을 위한 전원 및 전극의 살균을 위해 발열하도록 마련되는 전원을 추가적으로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집진뿐만 아니라 전극의 살균이 가능한 집진유닛이 마련되어 전기집진장치의 청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복수의 전극에 연결되는 전원 연결부가 서로 소정의 거리를 가지고 이격 배치되도록 마련되어 전기집진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집진유닛은 복수의 전극이 집진시트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면서, 일체로 형성되는 집진유닛에 집진 전원과 살균 전원을 용이하게 연결시키도록 마련되어 제조공정이 단순화되고 제조 원가를 절감시켜 전기집진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집진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기집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기집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기집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집진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집진시트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집진시트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집진시트의 벤딩 전 전개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기집진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집진장치의 집진시트와 전원 공급부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집진장치의 제 2전극이 발열될 시의 전류의 흐름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진시트의 벤딩 전 전개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집진장치의 제 2전극이 발열될 시의 전류의 흐름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구성요소는 제 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구성요소도 제 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은 두 전극의 전위차를 기준으로 전위가 높은 쪽(high level)을 플러스 전극, 전위가 낮은 쪽(low level)을 마이너스 전극으로 표현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집진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기집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기집진장치(1)는 대전유닛(100)과 집진유닛(200)을 포함한다.
전기집진장치는(1)는 하우징(미도시) 내에 배치되어 전기집진장치(1)의 상류 또는 하류에 마련된 송풍팬(미도시)을 통해 대전유닛(100)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집진유닛(200)을 지나 외부로 다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기집진장치(1)는 공기청정기로 구현되거나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대전유닛(100)은 먼지 등과 같은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대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수의 방전전극(110)과 다수의 대응전극(120)을 포함한다. 한 쌍의 대응전극(120) 사이에는 방전전극(110)이 배치된다. 따라서, 방전전극(110)과 대응전극(120)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면, 한 개의 방전전극(110)과 한 쌍의 대응전극(120) 사이에 코로나 방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대전유닛(100)을 통과하는 오염물질이 대전될 수 있다.
방전전극(110)은 와이어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방전전극(110)은 텅스텐 와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대응전극(120)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전성 금속판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대응전극(120)은 알루미늄 판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대전유닛(100)은 대표적으로 고전압 방전을 이용한 와이어-플레이트(wire-plate) 구조일 수 있으나, 탄소 브러쉬 전극 또는 침상형 전극을 이용한 방전 외에 오염물질을 특정 극성으로 대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집진유닛(200)은 대전유닛(100)에서 대전된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 장의 시트가 연속하여 벤딩(bending)된 형태의 집진시트(210)를 포함한다.
집진시트(210)는 단일의 집진시트(210)를 지그재그로 연속적으로 벤딩함으로써 형성한 다수의 벤딩부(211)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시트(210)는 도 2를 기준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인 가로방향의 폭보다 세로방향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으며, 도 2를 기준으로의 세로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연속적으로 벤딩함으로써 다수의 벤딩부(211)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집진시트는 이에 제한됨이 없이 가로방향의 길이가 세로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될 수 있으며, 아울러, 집진유닛(200)을 포함한 전기집진장치(1)의 형상에 따라 가로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연속적으로 벤딩됨으로써 형성된 다수의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유닛(200)은 대전유닛(100)의 한 쌍의 대응전극(120) 사이에 다수의 벤딩부(211)가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한 쌍의 대응전극(120) 사이에 10개의 벤딩부(211)가 배치되도록 집진유닛(200)을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유닛(200)에 유입된 대전된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집진유닛(200)에 흡착될 수 있다. 집진유닛(20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기집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기집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집진장치(1)는 대전유닛(100)과 대전유닛(100)에 마주하게 결합된 집진유닛(200)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외부 공기는 도 3에 도시된 F 방향으로 대전유닛(100)으로부터 집진유닛(20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전유닛(100)은 다수의 방전전극(110)과 다수의 방전전극(110) 사이에 각각 배치된 다수의 대응전극(120)을 포함하며, 아울러, 다수의 방전전극(110)과 다수의 대응전극(120)을 지지하는 대전커버(130)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방전전극(110) 및 다수의 대응전극(120)은 대전커버(130)의 내측에 대전커버(130)의 길이방향(도 4의 Z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일 수 있으며, 대전커버(130)의 폭방향(도 4의 X 방향)을 따라 교대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다수의 방전전극(110)은 금속재질의 와이어로서, 예를 들어, 텅스텐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대응전극(120)은 다수의 방전전극(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의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방전전극(110)에 고전압이 인가됨으로써, 방전전극(110)과 대응전극(120)의 코로나 방전을 통해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플러스(+) 극 또는 마이너스(-) 극으로 대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방전전극(110)에 플러스 극의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대전유닛(110)을 통과하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이 플러스 극으로 대전됨을 일 예로서 설명한다.
대전커버(130)는 다수의 방전전극(110) 및 다수의 대응전극(120)의 양단을 고정하는 프레임의 형상일 수 있으며, 내측에 격자로 형성된 다수의 흡입구(131)를 포함한다. 따라서, 대전커버(130)의 다수의 흡입구(131)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은 다수의 방전전극(110)과 다수의 대응전극(120) 사이의 코로나 방전을 통해 대전되어, 대전유닛(100)의 하류에 배치된 집진유닛(20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대전유닛(100)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추가적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집진유닛(2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집진유닛(200)은 다수의 벤딩부(211)가 형성된 집진시트(210)와 집진시트(210)를 커버하는 제 1및 제 2커버(220, 230)를 포함한다.
제 1및 제 2커버(220, 230)는 집진시트(210)의 외곽을 둘러싸는 프레임의 형상일 수 있으며, 내측에 형성된 개구부(221, 231)를 통해 대전유닛(100)을 통과한 공기가 집진시트(210)를 통과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집진시트(210)는 단일의 집진시트(210)가 다수의 벤딩부를 갖도록 지그재그로 벤딩된 형상으로 구성되는바, 제 1및 제 2커버(220, 230)의 내측에는 집진시트(210)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재(222, 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지지부재(222, 232)는 제 1및 제 2커버(220, 230)의 개구부(221, 231)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집진시트(2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및 제 2커버(220, 230) 상에는 집진시트(210)와 연결되어 집진시트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연결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집진시트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집진시트의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지그재그로 벤딩된 집진시트(210)의 세부 구성에 대해 상술한다. 이에 앞서, 도 6에 도시된 집진시트(210)는, 벤딩 전 가로방향의 길이가 세로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의 집진시트(210)를 가로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벤딩함으로써 다수의 벤딩부(211)를 가지도록 형성한 것을 일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집진시트(210)는 전기집진장치(1)의 형상에 따라 벤딩 전 집진시트(210)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으며, 벤딩 전 펼쳐진 상태의 집진시트(210)의 벤딩 방향 역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집진시트(21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집진시트(210)를 90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의 측단면도로 도시하였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집진시트(210)의 가로방향, 세로방향,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은 보는 방향에 따라 정의되는 상대적인 개념이며, 집진시트(210)의 가로방향, 세로방향,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은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제 1전극(240)과 제 2전극(250)이 중첩되는 방향을 제 1방향(X), 제 1전극(240)과 제 2전극(250)의 길이 방향을 제 2방향(Z), 제 1방향(X)과 제 2방향(Z)에 대해 각각 직교되고 제 1전극(240)과 제 2전극(250)의 너비 방향을 제 3방향(Y)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시트(210)는 내부에 교대로 배치된 다수의 제 1전극(240)과 다수의 제 2전극(250)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집진시트(210)는 한 장의 시트로 구성된 평평한 집진시트(210)를 지그재그로 벤딩함으로써 다수의 벤딩부(211)를 형성할 수 있으며, 다수의 제 1전극(240)과 다수의 제 2전극(250)이 일면에 배치된 제 1시트(도 8의 260)의 일면에 제 2시트(도 8의 270)를 합지(laminate)함으로써 단일의 집진시트(210)를 구성할 수 있다. 제 1및 제 2시트(260, 270)를 포함하는 집진시트(210)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수의 벤딩부(211)는 다수의 제 1전극(240)과 다수의 제 2전극(250)이 서로 마주하도록 집진시트(210)가 지그재그로 벤딩됨으로써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집진시트(210)는 벤딩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다수의 평면(212, 213)을 포함하며, 다수의 벤딩부(211)는 다수의 평면(212, 213)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평면(212, 213)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2개의 평면(212, 213)을 연결한다.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평면(212, 213)은 제 1평면(212)과 제 2평면(213)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집진시트(210)는 다수의 제 1평면(212)과 다수의 제 2평면(213)이 교대로 평행하게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제 1평면(212)과 제 2평면(213)을 연결하는 벤딩부(211)는 집진시트(210)가 지그재그로 벤딩됨에 따라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지그재그로 형성된다.
아울러, 제 1평면(212)에는 제 1전극(240)이 배치되고, 제 2평면(213)에는 제 2전극(250)이 배치됨으로써, 집진시트(210)의 내부에 교대로 배치된 다수의 제 1전극(240)과 다수의 제 2전극(250)은 다수의 벤딩부(211)에 의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집진시트(210)의 내부에 교대로 배치된 다수의 제 1전극(240)과 다수의 제 2전극(250)은 제 2방향(Z)을 따라 길게 형성된 대략적인 직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부(211)는 집진시트(210)의 제 1평면(201)과 제 2평면(202) 사이가 곡면을 이루도록 구부러진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벤딩부(211)는 제 1평면(212)과 제 2평면(213)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평면의 형상일 수 있으며, 아울러, 집진시트(210)의 제 1평면(212)과 제 2평면(213) 사이를 직선으로 접음으로써 형성된 에지(edge)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집진시트(210)의 다수의 벤딩부(211)는 다수의 제 1전극(240)과 다수의 제 2전극(250) 사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벤딩부(211)는 다수의 제 1전극(240)과 다수의 제 2전극(250) 사이에서 제 1방향(X)을 따라 지그재그로 형성된다.
벤딩부(211)의 일측에는 제 1전극(240)을 내부에 포함한 제 1평면(212)이 배치되며, 벤딩부(211)의 타측에는 제 2전극(250)을 내부에 포함한 제 2평면(213)이 제 1평면(212)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다수의 제 1전극(240)과 다수의 제 2전극(250)은 제 1방향(X)을 따라 교대로 적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전극(240)을 내측에 포함한 제 1평면(212), 벤딩부(211) 및 제 2전극(250)을 내측에 포함한 제 2평면(213)은 연속적으로 배치됨으로써, 다수의 제 1평면(212)과 다수의 제 2평면(213)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다.
집진시트(210)는 다수의 벤딩부(211)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개구(215)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집진시트(210)는 대전유닛(100)을 지나 일측으로 유입된 공기를 다수의 개구(215)를 통해 통과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 1평면(212)과 다수의 제 2평면(213)은 서로 마주하는바, 다수의 제 1평면(212)과 다수의 제 2평면(213) 사이에는 공기가 지나갈 수 있는 간극(G)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간극(G)으로 대전유닛(100)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간극(G)을 지나는 공기는 간극(G)과 대응되는 벤딩부(211)에 형성된 개구(215)를 통해 집진시트(210)를 통과할 수 있다.
아울러, 다수의 벤딩부(211)는 지그재그로 형성되는바, 벤딩부(211)에 형성된 개구(215)로 대전유닛(100)을 통과한 공기가 먼저 유입되고, 개구(215)로 유입된 공기는 대응되는 간극(G)을 지나 집진시트(210)를 통과할 수도 있다.
이처럼, 집진시트(210)는 제 1평면(212)과 제 2평면(213) 사이에 형성된 간극(G)과 벤딩부(211)에 형성된 개구(215)를 통해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다.
서로 마주하는 다수의 제 1평면(212)과 다수의 제 2평면(213)의 내부에 각각 배치된 다수의 제 1전극(240)과 다수의 제 2전극(250)에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제 1전극(240)과 제 2전극(250)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제 1전극(240)은 고전압 전극으로 구성하고, 다수의 제 2전극(250)은 제 1전극(240)보다 전압이 낮은 저전압 전극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제 1전극(240)에는 고전압의 전원을 인가하고, 다수의 제 2전극(250)은 그라운드 시킴으로써 제 1전극(240)과 제 2전극(250) 사이의 전압차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제 1전극(240)에는 플러스 극의 전원을 인가하고, 다수의 제 2전극(250)에는 마이너스 극의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제 1전극(240)과 제 2전극(250)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제 1전극(240)에는 플러스 극의 고전압을 인가하고 제 2전극(250)은 그라운드 시킴으로써 제 1전극(240)과 제 2전극(250)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대전유닛(100)을 통과함으로써 플러스 극으로 대전된 오염물질은 제 1평면(212)과 제 2평면(213) 사이의 간극(G)을 통과하는 동안 마이너스 전극인 제 2전극(250)에, 즉, 제 2전극(250)을 내부에 포함한 제 2평면(213)상에 흡착될 수 있다.(도 1참고)
아울러, 방전전극(110)에 마이너스 극의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대전유닛(100)을 통과한 오염물질을 마이너스 극으로 대전시키는 경우, 집진유닛(200)의 다수의 제 1전극(240)에 마이너스 극의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플러스 전극인 다수의 제 2전극(250)을 내부에 포함한 제 2평면(213)상에 오염물질을 흡착시킬 수 있다.
이처럼, 대전된 오염물질을 포함한 공기는 집진시트(210)가 지그재그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된 다수의 간극(G)을 지나는 동안, 다수의 제 2전극(250)에 오염물질이 흡착됨으로써 정화될 수 있다.
또한, 집진시트(210)는 제 1평면(212)과 제 2평면(213)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간극(G)의 높이(또는 크기; H)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간격유지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격유지부재는 제 1평면(212)과 제 2평면(213) 사이에 배치되어 제 1평면(212)과 제 2평면(213)을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간격유지부재의 높이를 다양하게 구성함으로써 간격유지부재의 높이와 대응되는 간극(G)의 높이(H)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간격유지부재는 핫 멜트(hot melt)와 같은 열 융해성 접착제로서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갖도록 집진시트(2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갖는 양면 접착제를 집진시트(210)에 부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집진시트(210)를 벤딩하기 전에 간격유지부재를 펼쳐진 집진시트(210)의 일면에 연속적으로 도포하고, 집진시트(210)를 지그재그로 벤딩하여 벤딩부(211)를 형성할 때, 서로 접하는 2개의 간격유지부재의 높이의 합이 미리 설정된 간극(G)의 높이(H)와 동일하게 되도록 간격유지부재의 높이를 정할 수 있다.
즉, 펼쳐진 집진시트(210)의 상면에 간극(G) 높이(H)의 1/2의 높이를 갖는 간격유지부재를 형성하면, 집진시트(210)를 벤딩하였을 때, 서로 마주하는 제 1평면(212)과 제 2평면(213)은 간격유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므로, 제 1평면(212)과 제 2평면(213) 사이에 형성된 간극(G)의 높이(H)를 원하는 간격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핫 멜트로 구성된 간격유지부재 외에도 간격유지부재는 탄성이 있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거나 제 1평면(212)과 제 2평면(213) 사이에 배치된 점 또는 기둥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간격유지부재는 간극(G)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며, 제 1전극(240)과 제 2전극(250) 사이의 전기장 형성을 방해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가능한 균일하고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집진시트(210)는 도 8에 도시된 펼쳐진 상태의 집진시트(210)를 우선적으로 제조한 뒤, 이를 지그재그로 벤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제 1및 제 2시트(250, 260)를 포함한 집진시트(210)의 구조에 대해 상술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집진시트의 벤딩 전 전개도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기집진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집진시트(210)의 평면도는 도 6에 도시된 집진시트(210)를 90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전개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집진시트(210)의 가로방향, 세로방향,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은 보는 방향에 따라 정해지는 상대적인 개념이며, 이하에서도 제 1방향(X), 제 2방향(Z) 및 제 3방향(Y)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집진시트(210)는 제 1시트(260)와 제 1시트(260)에 합지된 제 2시트(270)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제 1및 제 2시트(260, 270)가 일체로서 한 장의 집진시트(210)를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시트(260)의 일면에는 다수의 제 1전극(240)과 다수의 제 2전극(250)이 교대로 배치되며, 다수의 제 1전극(240)과 다수의 제 2전극(250)이 배치된 제 1시트(260)의 일면에는 제 2시트(270)가 결합됨으로써, 제 1시트(260)와 제 2시트(270) 사이에 다수의 제 1전극(240)과 다수의 제 2전극(250)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시트(260)와 제 2시트(270)는 접착제를 통해 합지될 수 있다.
제 1시트(260)는 바람직하게 PET 재질로 마련되는 필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시트(270)는 바람직하게 EVA(Ethylene Vinyl Acetate) 재질로 마련되는 필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수의 제 1및 제 2전극(240, 250)은 제 1시트(260)의 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교대로 배치된다. 다수의 제 1및 제 2전극(240, 250)은 제 1시트(260)의 일면에 인쇄되거나 증착된 전도성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도성의 카본 잉크를 제 1시트(260)의 일면에 인쇄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2전극(240,250)은 카본 필름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전도성의 금속으로 마련되어 제 1시트(260)에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시트(260)의 일면에는, 다수의 제 1전극(24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제 1전극(240)과 연결된 제 1전원 연결부(281) 및 다수의 제 2전극(25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제 2전극(250)과 연결된 제 2전원 연결부(282)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및 제 2연결부(281, 282)는 다수의 제 1및 제 2전극(240, 250)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 1시트(260)의 일면에 인쇄되거나 증착된 전도성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및 제 2전원 연결부(281, 282)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집진시트(2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를 위해, 제 1시트(260)의 폭(W1)은 제 2시트(270)의 폭(W2)보다 크게 구성되며, 제 1전원 연결부(281)는 제 2방향(Z)으로 제 1시트(260)의 일측단에 배치되고, 제 2전원 연결부(282)는 제 2방향(Z)으로 제 1시트(260)의 타측단에 배치된다.
아울러, 제 2시트(270)는 제 1시트(260)의 일면의 중앙부에 결합됨으로써 제 1및 제 2전원 연결부(281, 282)는 제 1시트(260) 상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제 1및 제 2전원 연결부(281, 282)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제 1전극(240)과 다수의 제 2전극(212)은 제 1시트(260)와 제 2시트(2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전원 연결부(281)에는 외부로부터 고전압의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다수의 제 1전극(240)을 고전압 전극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 2전원 연결부(282)는 그라운드 됨으로써 다수의 제 2전극(250)을 저전압 전극으로 구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 1시트(260)상에는 제 2전극(250)이 가열되도록 제 2전극(250)과 연결되고 제 2전극(25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마련되는 제3 전원 연결부(29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전극(250)에 추가적인 전원이 인가되어 제 2전극(250)이 발열되게 되고 제 2전극(250)에 포집된 이물질이 살균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집진시트(210)는 다수의 제 1전극(240)과 다수의 제 2전극(250) 사이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슬릿(S)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슬릿(S)은 집진시트(210)를 관통하는 절개부일 수 있으며, 다수의 슬릿(S)은 다수의 벤딩부(203)에 각각 형성되어 집진시트(210)의 벤딩에 의해 벌어짐으로써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개구(215)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슬릿(S)은 펼쳐진 상태의 집진시트(210)에서 일정한 면적을 차지하는 구멍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집진시트(210)는 다수의 제 1전극(240)과 다수의 제 2전극(250) 사이를 벤딩함으로써 다수의 벤딩부(211)를 구성하므로, 다수의 슬릿(S)은 집진시트(210) 상의 제 1전극(240)과 제 2전극(250) 사이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집진시트(210)는 다수의 제 1전극(240)과 다수의 제 2전극(250) 사이를 중심으로 지그재그로 벤딩함으로써, 제 1전극(240)과 제 2전극(250)이 마주하도록 다수의 벤딩부(211)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다수의 슬릿(S)은 제 2방향(Z)을 따라 제 1및 제 2전극(240, 250)과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벤딩부(211)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벤딩부(211)의 중앙부에 개구(21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부(211)는 서로 인접한 제 1전극(240)의 일측 모서리와 제 2전극(250)의 일측 모서리 사이로 구획될 수 있으며, 제 1전극(240)과 제 2전극(250) 사이의 중앙부에 형성된 슬릿(S)을 기준으로 집진시트(210)가 벤딩됨으로써 제 1평면(212), 벤딩부(211) 및 제 2평면(213)이 구획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전극(240)과 제 2전극(250)에 각각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어 전위차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제 2전극(250) 또는 제 2면(213) 상에 대전유닛(100)을 통과함에 따라 대전된 이물질이 포집될 수 있다.(도 1참고)
종래의 경우 제 2전극(250)과 대응되는 전극에 대전된 이물질과 같은 입자가 포집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전극 표면에 포집된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알러지 물질 등이 유지 또는 증식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다. 전극 표면에 포집된 입자의 일부가 경우에 따라 재탈착, 재비산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의 바이오 에어로졸이 실내로 확산될 수 있으므로 제 2전극(250)과 대응되는 포집 영역에 대한 살균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UV 및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한 살균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가 개시되었는데 이 경우 오존 등의 유해한 부산물 발생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또한 발열체를 이용한 살균 방식의 경우 상술한 UV 등의 방전 대비 유해한 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전기집진장치를 통과하는 공기 전체를 가열하여 살균할 경우 전력 소모가 매우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는 전기장을 이용해 하전 입자를 집진하는 포집의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입자가 포집되는 제 2전극(250)이 발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제 2전극(25) 표면 또는 제 2면(213)의 표면이 살균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발열을 통한 입자 살균으로 유해한 부산물이 생성되지 않으면서도 제 2전극(250) 표면의 살균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발명을 통한 살균과 같이 전기집진장치(1)의 내부 가열을 통해 유동 중인 공기 전체를 가열하지 않고 제 2전극(250)만 가열함에 따라 가열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전기집진장치(1)의 효율성이 상승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집진 시트(210)는 제 1전극(240)과 제 2전극(250)을 포함하고, 제 1,2전극(240,250)이 배열되는 제 1시트(260)와 제 2시트(2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집진 시트(210)는 제 2전극(250)에 대전 입자가 포집되도록 제 1전극(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전원 열결부(281)와 제 2전극(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전원 연결부(282)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집진 시트(210)는 제 2전극(250)이 발열되도록 제 2전극(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전원 연결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2전극(250)에 제 1전극(240)과 함께 전기장이 발생되도록 마련되는 제 2전원 연결부(282)와 제 2전극(250)이 발열되도록 마련되는 제 3전원 연결부(290)를 모두 연결함에 따라 제 2전극(250)은 이물질을 포집하고 포집된 이물질의 발열 살균이 가능할 수 있다.
제 1전원 연결부(281)은 제 1전극(240)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전극(240)과 별도의 구성이 합지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 1전원 연결부(28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카본 필름 등으로 형성되어 제 1시트(270)에 증착되거나 카본 잉크로 제 1시트(270)에 패터닝될 수 있다.
제 1전원 연결부(281)는 집진 시트(210)가 밴딩되기 전 전개된 상태에서 제 3방항(Y)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후술할 전원 공급부(300)와 접촉되는 제 1접촉 영역(281a)과 복수의 제 1전극(240)과 제 1접촉 영역(281a)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 1연결 영역(28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접촉 영역(281a)이 제 3방향(Y)으로 연장되면서 복수의 제 1전극(240)과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접촉영역(281a)은 제 2방향(Z)으로의 집진 시트(210)의 일단(210a) 전체를 따라 제 3방향(Y)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연결 영역(281b)은 제 1접촉 영역(281a)에서부터 제 1전극(240)까지 제 2방향(Z)을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전원 연결부(282)은 제 2전극(250)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전극(250)과 별도의 구성이 합지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 2전원 연결부(28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카본 필름 등으로 형성되어 제 1시트(270)에 증착되거나 카본 잉크로 제 1시트(270)에 패터닝될 수 있다.
제 2전원 연결부(282)는 집진 시트(210)가 밴딩되기 전 전개된 상태에서 제 3방항(Y)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전원 공급부(300)와 접촉되는 제 2접촉 영역(282a)과 복수의 제 2전극(250)과 제 2접촉 영역(282a)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 2연결 영역(28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접촉 영역(282a)이 제 3방향(Y)으로 연장되면서 복수의 제 2전극(250)과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접촉영역(282a)은 제 2방향(Z)으로의 집진 시트(210)의 타단(210b) 전체를 따라 제 3방향(Y)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연결 영역(282b)은 제 2접촉 영역(282a)에서부터 제 2전극(250)까지 제 2방향(Z)을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3전원 연결부(290)는 카본 필름 등으로 형성되어 제 2시트(280)에 증착되거나 카본 잉크로 제 1시트(280)에 패터닝될 수 있다.
제 3전원 연결부(290)는 집진 시트(210)가 밴딩되기 전 전개된 상태에서 제 3방항(Y)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전원 공급부(300)와 접촉되는 제 3접촉 영역(290a)과 복수의 제 2전극(250)과 제 3접촉 영역(290a)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 3연결 영역(29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접촉영역(290a)은 제 2방향(Z)으로의 집진 시트(210)의 타단(210b)과 인접한 위치에서 제 3방향(Y)으로 적어도 일부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3연결 영역(290b)은 제 3접촉 영역(290a)에서부터 제 2전극(250)까지 제 2방향(Z)을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3접촉 영역(290a)이 제 3방향(Y)으로 연장되면서 복수의 제 2전극(250)과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전원 연결부(281)와 제 2전원 연결부(281282) 및 제 3전원 연결부(290)가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제 1시트(260)의 폭(W1)은 제 2시트(270)의 폭(W2)보다 크게 구성되며, 제 2시트(270)는 제 1시트(260)의 일면의 중앙부에 결합됨으로써 1전원 연결부(281)와 제 2전원 연결부(281282) 및 제 3전원 연결부(290)는 제 1시트(260) 상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집진 시트(210)에 있어서 제 1전극(240)과 제 2전극(250)이 마주하는 방향으로 제 1시트(260)와 제 2시트(270)가 중첩적으로 배치되는 영역을 제 1영역(216)이라고하고, 동일 방향으로 제 1시트(260)와 제 2시트(270)가 중첩적으로 배치되는 않는 영역, 즉 제 2시트(270)의 외측 영역을 제 2영역(217)이라고 가정할 때, 1전원 연결부(281)와 제 2전원 연결부(281282) 및 제 3전원 연결부(290)는 각각 제 2영역(217)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후술할 전원 공급부(300)와 전기적으로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집진장치(1)는 각각의 전원 연결부(281,282,29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마련되는 전원 공급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연결부(300)는 제 1전원 연결부(28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전원 공급부(310)와, 제 2전원 연결부(28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전원 공급부(320)와, 제 3전원 연결부(2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전원 공급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전원 공급부(310,320,330)는 전기집진장치(1)가 집진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제 1전원부(미도시)와 전기집진장치(1)가 살균을 위해 제 2전극(250)가 발열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제 2전원부(미도시)에 다양한 회로를 통해 연결되는 구성이다.
각각의 전원 공급부(310,320,330)는 제 1,2전원부(미도시)의 구동 및 회로 상의 스위치의 온/오프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각각의 전원 연결부(281,282,2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1전원 공급부(310)와 제 2전원 공급부(320)는 제 1전원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 2전원 공급부(320)는 그라운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전극(240)과 제 2전극(250)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제 2전원 공급부(320)와 제 3전원 공급부(330)는 제 2전원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 2전원 공급부(320)는 스위치 등의 다양한 구성을 통해 제 1전원부(미도시)와 제 2전원부(미도시)와 선택적으로 전기적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전극(250)에 제 2전원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으며 제 2전극(250)이 발열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1)는 각각의 전원 공급부(310,320,33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에 의해 전기집진장치(1)는 집진 모드와 살균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구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각각의 전원 공급부(310,320,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전원 공급부(310,320,330)의 온/오프를 구동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1)가 집진 모드로 구동될 시 제어부(400)는 제 1전원 공급부(310)와 제 2전원 공급부(320)가 구동되도록 제 1전원 공급부(310)와 제 2전원 공급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에 의해 제 1전원 공급부(310)와 제 2전원 공급부(320)에 일정 크기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제 2전극(250) 상에 이물질이 포집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1)의 집진 모드가 계속될 시 제 2전극(250)이 배치되는 제 2면(213) 상에 이물질이 지속적으로 포집되고 이물질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알러지 물질과 같은 유해물질이 지속적으로 존재하거나 증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00)는 일정 기간동안 집진 모드가 구동될 시, 제 1전원 공급부(310)와 제 2전원 공급부(320)가 구동되는 것을 오프하도록 제 1전원 공급부(310)와 제 2전원 공급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될 시 전기집진장치(1)의 집진 모드가 종료되고 살균모드로 전환되도록 각각의 전원 공급부(310,320,3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400)는 제 2전극(250) 상에 포집된 이물질의 살균을 위해 전기집진장치(1)가 살균 모드로 구동되도록 전기집진장치(1)를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어부(400)는 제 2전원 공급부(320)와 제 3전원 공급부(330)가 구동되도록 제 2전원 공급부(320)와 제 3전원 공급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 2전극(250)에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제 2전극(250)이 발열되도록 적정한 전원이 제 2전극(250)에 인가되도록 제 2전원 공급부(320)와 제 3전원 공급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2전극(250)은 대략 40도에서 80도 사이의 열이 발생되도록 발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전극(250)은 전기 저항이 높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1)의 살균 모드가 계속될 시 제 2전극(250)이 일정 기간 동안 발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2면(213) 상에 포집된 이물질의 살균이 완료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일정 기간 동안 살균 모드가 구동될 시, 제 2전원 공급부(320)와 제 3전원 공급부(330)가 구동되는 것을 오프하도록 제 2전원 공급부(320)와 제 3전원 공급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될 시 전기집진장치(1)의 살균 모드가 종료되고 집진 모드로 전환되도록 각각의 전원 공급부(310,320,3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경우 한 쌍의 전극에서 발생되는 전기장에 의해 이물질을 포집하는 전기 집진 방식의 집진 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에 지속적으로 포집되는 이물질의 바이오 에어로졸이 비산되면서 발생되는 오염을 방지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는 제 2전극(250)에 추가적으로 제 2전극(250)의 발열을 위한 제 3전원 공급부(330)를 연결하여 제 2전극(250)이 발열 살균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전기집진장치(1)가 용이하게 집진 모드와 살균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집진장치(1)는 제 2전극(250)에 포집된 이물질에 의해 전기집진장치(1)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포집된 이물질의 일부가 비산되면서 실내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제 2전극(250)을 발열시키기 위해 제 3전원 연결부(290)가 추가적으로 제 2전극(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제 1전극(240)과 제2전극(250)은 서로 반대 극성의 전원이 인가되고 있어, 제 3 전원 연결부(290)와 제 1 전원 연결부(281)에 인가된 전위차가 매우 크므로 서로 가까이 배치될 시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 3전원 연결부(290)의 적어도 일부가 제 2시트(270)에 커버되어 제 2시트(270)가 제 1전원 연결부(281)와 제 3전원 연결부(290) 사이를 블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직사각형 형상의 제 2시트(270)에 있어서 제 2시트(270)의 일부가 제 3전원 연결부(290)를 커버하는 돌출 형상이 포함되도록 제 2시트(27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시트(270)가 돌출 형상을 포함하도록 재단되는 공정이 추가로 필요할 수 있으며 제 2시트(270)를 제 1시트(260)로 합지할 시 돌출 형상이 제 3전원 연결부(290)와 정렬되도록 마련되는 추가 공정이 필요하여 집진 시트(210)의 제작 난이도가 상승되고 제 2시트(270)를 추가 가공함에 따라 제작 원가가 상승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 3전원 연결부(290)는 제 2방향(Z)으로 제 1전원 연결부(281)와 최대한 멀리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3전원 연결부(290)는 제 2방향(Z)으로 집진 시트(210)의 타단(210b)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전원 연결부(281)가 제 2방향(Z)으로 집진 시트(210)의 일단(210a)에 배치되는 바 각각의 구성의 이격을 최대화하기 위함이다.
제 1전원 연결부(281)와 제 3전원 연결부(290) 사이의 거리를 제 1거리(d1)으로 정의하고 제 3전원 연결부(290)와 제 2전원 연결부(282) 사이의 거리를 제 2거리(d2)라고 정의할 시 제 2거리(d2)가 제 1거리(d1)보다 더 짧도록 제 3전원 연결부(29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3 전원 연결부(290)를 제 1 전원 연결부(281)의 반대쪽에 배치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집진 시트(210)가 집진기능 동작 시 제 1전원 연결부(281)와 제 3전원 연결부(290)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스파크의 가능성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시트(270)가 추가적으로 제 3전원 연결부(290)를 커버하는 것이 불필요함에 따라 제 2시트(270) 복잡한 형상으로 재단되지 않고 직사각형으로 재단하여 그대로 제 1시트(260)에 합지되어 집진 시트(210)의 제작 공정을 단순화 하고, 제작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집진장치의 집진시트와 전원 공급부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전원 연결부(281,282,290)는 벤딩이 되기 전에 집진 시트(210) 상에서 제 1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 시트(210)가 벤딩될 시 각각의 전원 연결부(281,282,290)의 적어도 일부는 벤딩부(2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전원 공급부(310)는 제 1전원 연결부(281)와 접촉되는 제 1접촉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전원 공급부(320)는 제 2전원 연결부(282)와 접촉되는 제 2접촉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전원 공급부(330)는 제 3전원 연결부(290)와 접촉되는 제 3접촉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접촉부(311,321,331)은 벤딩부(211) 상에 배치되는 각각의 전원 연결부(281,282,290)의 접촉 영역(281a,282a,290a)과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집진시트(210)가 벤딩될 시, 제 1면(212)과 제 3면(213) 상에 배치되는 각각의 전원 연결부(281,282,390)가 벤딩에 의해 형성된 집진시트(210)의 요철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와 접촉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벤딩부(211) 상에 배치되는 각각의 전원 연결부(281,282,290)의 접촉 영역(281a,282a,290a)은 외부를 통해 용이하게 노출될 수 있어 외부에서부터 연장되는 각각의 접촉부(311,321,331)과 용이하여 접촉될 수 있다.
각각의 접촉부(311,321,331)와 각각의 전원 연결부(281,282,290)의 접촉 영역(281a,282a,290a)이 접촉됨에 따라 각각의 전원 공급부(310,320,33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제 1전극(240)과 제 2전극(25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2전극(250)의 발열에 대한 특징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집진장치의 제 2전극이 발열될 시의 전류의 흐름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전극(250)은 제 2전극(250)이 연장되는 장변(250a)을 따라 절개되는 절개부(25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절개부(251)는 제 2방향(Z)으로 절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절개부(251)는 제 3방향(Y)으로 제 2전극(250)의 중심부에서 제 2방향(Z)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전극(250)은 제 3방향(Y)으로 절개부(251)를 중심으로 2개의 부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 2전극(250)은 제 3방향(Y)으로 절개부(251)를 중심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제 1부분(252)과 하측에 배치되는 제 2부분(2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부분(252)과 제 2부분(253)은 절개부(251)에 의해 구획되나 서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2방향(Z)으로의 제 2전극(250)의 일단은 절개부(251)에 의해 제 1부분(252)과 제 2부분(253)이 분리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 2방향(Z)으로의 제 2전극(250)의 타단(250b)은 서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2전원 연결부(282)는 제 2전극(250)의 제 2부분(253)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3전원 연결부(290)는 제 2전극(250)의 제 1부분(252)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3전원 연결부(290)는 제 2전극(250)의 제 1부분(252)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전원 연결부(282)는 제 2전극(250)의 제 2부분(253)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3전원 연결부(290)는 제 3방향(Y)으로의 제 2전극(250)의 일측(252a)과 연결될 수 있다. 제 2전원 연결부(282)는 제 3방향(Y)으로의 제 2전극(250)의 타측(253a)과 연결될 수 있다.
일측(252a)은 제 1부분(252)에 있어서 제 2방향(Z)으로의 일단 상에 배치되는 어느 일 영역일 수 있다. 타측(253a)은 제 2부분(253)에 있어서 제 2방향(Z)으로의 일단 상에 배치되는 어느 일 영역일 수 있다.
일 예로 제 3연결 영역(290b)은 제 2방향(Z)으로 일측(252a)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2연결 영역(282b)은 제 2방향(Z)으로 타측(253a)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전극(250)이 발열되도록 제 2전원 공급부(320)와 제 3전원 공급부(330)가 구동될 시 제 2전원 연결부(282)와 제 3전원 연결부(290)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되도록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제 2전원 연결부(282)와 제 3전원 연결부(290)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되어 제 2전원 연결부(282)와 제 3전원 연결부(290)와 연결된 제 2전극(250) 상에 전류가 흐르게될 수 있다.
일 예로 전류가 제 3전원 연결부(290)에서 제 2전원 연결부(282)로 흐른다고 가정될 시, 전류는 제 3접촉 영역(290a)과 제 3연결 영역(290b)과 일측(252a)을 통해 제 1부분(252)으로 흐르게 될 수 있다.
제 1부분(252)과 제 2부분(253)은 절개부(251)에 의해 구획되도록 마련되었으며 제 2방향(Z)으로 제 2전극(250)의 타단(250b)측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바 전류는 일측(252a)에서부터 제 1부분(252)을 통해 제 2전극(250)의 타단(250b)으로 흐르고 제 2부분(253)으로 흘러 타측(253a)과 제 2연결영역(282b)과 제 2접촉 영역(282a)을 통해 제 2전원 연결부(282)로 이동될 수 있다.
전류가 제 3 전원 연결부(290)에서부터 제 2 전극(250) 일단을 통과하여 제 2전극(250)의 타단(250b)을 거쳐 제 2 전원 연결부(282)로 돌아오는 경로로 흐르도록 하기 위해 제 3방향(Y)으로 제 2 전극(250)의 중심에 절개부(251)를 배치하여 제 2전극(250)이 U 자 형태의 폐 회로가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이에 따라 제2 전극(250)의 모든 영역이 균일하게 발열할 수 있다.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시트(210)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 2전극(250')외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시트(210)와 모두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진시트의 벤딩 전 전개도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집진장치의 제 2전극이 발열될 시의 전류의 흐름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전극(250')은 장변(250a')과 직교되는 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절개부(25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절개부(251')는 제 3방향(Y)을 따라 절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절개부(251')는 제 1절개부(251a')와 제 2방향(Z)으로 제 1절개부(251a')와 이격 배치되는 제 2절개부(251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절개부(251')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 2전극(250')은 제 3방향(Y)으로 제 2전극(250')의 중심을 기준으로 2개의 부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 2전극(250')은 제 3방향(Y)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제 1부분(254')과 하측에 배치되는 제 2부분(25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부분(254')과 제 2부분(255')은 절개부(251')에 의해 제 2방향(Z)으로 일부 구획되나 서로 제 3방향(Y)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2전원 연결부(282)는 제 2전극(250')의 제 2부분(255')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3전원 연결부(290)는 제 2전극(250')의 제 1부분(254')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3전원 연결부(290)는 제 2전극(250')의 제 1부분(254')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전원 연결부(282)는 제 2전극(250')의 제 2부분(255')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3연결 영역(290b)은 제 2방향(Z)으로 제 1부분(254')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2연결 영역(282b)은 제 2방향(Z)으로 제 2부분(255')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전극(250')이 발열되도록 제 2전원 공급부(320)와 제 3전원 공급부(330)가 구동될 시 제 2전원 연결부(282)와 제 3전원 연결부(290)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되도록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제 2전원 연결부(282)와 제 3전원 연결부(290)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되어 제 2전원 연결부(282)와 제 3전원 연결부(290)와 연결된 제 2전극(250) 상에 전류가 흐르게될 수 있다.
일 예로 전류가 제 3전원 연결부(290)에서 제 2전원 연결부(282)로 흐른다고 가정될 시, 전류는 제 3접촉 영역(290a)과 제 3연결 영역(290b)을 통해 제 1부분(254')으로 흐르게 될 수 있다.
제 1부분(254')으로 이동된 전류는 절개부(251')가 아닌 제 2전극(250') 상에서 이동되어 제 2부분(255')으로 이동되고 제 2연결영역(282b)과 제 2접촉 영역(282a)을 통해 제 2전원 연결부(282)로 이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전기집진장치 100; 대전유닛
200: 집진유닛 210; 집진시트
240; 제 1전극 250; 제 2전극
260; 제 1시트 270; 제 2시트
281; 제 1전원 연결부 282; 제 2전원 연결부
290; 제 3전원 연결부 310; 제 1전원 공급부
320; 제 2전원 공급부 330; 제 3전원 공급부
400; 제어부

Claims (20)

  1. 이물질을 대전시키는 대전 유닛;
    상기 대전 유닛에서 대전된 물질이 집진되는 집진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 시트는
    제 1전극과,
    상기 제 1전극과 마주하도록 이격 배치되고 상기 대전 유닛을 통과한 이물질이 포집되는 제 2전극과,
    상기 제 1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도록 상기 제 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전원 연결부와,
    상기 제 2전극에 상기 제 1전극과 전위차가 발생되는 전압이 인가되도록 상기 제 2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전원 연결부와,
    상기 제 2전극이 발열되도록 상기 제 2전극과 함께 추가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 1전원 연결부보다 상기 제 2전원 연결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기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극과 상기 제 2전극은 제 1방향으로 중첩 배치되고,
    상기 제 1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상기 집진 시트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 2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 2방향으로 상기 집진 시트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 3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 2방향으로 상기 집진 시트의 타단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기집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전극은 상기 제 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변과 상기 장변을 따라 절개되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전원 연결부는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의 상기 제 2전극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 3전원 연결부는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 3방향으로의 상기 제 2전극의 타측과 연결되는 전기집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전극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 1전원 공급부와 접촉되는 제 1접촉 영역과,
    상기 제 2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연결 영역과 상기 제 1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 3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전극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 2전원 공급부와 접촉되는 제 2접촉 영역과,
    상기 제 2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연결 영역과 상기 제 2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3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 3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전극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 3전원 공급부와 접촉되는 제 3접촉 영역과,
    상기 제 2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3연결 영역과 상기 제 2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3연결 영역을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접촉 영역은 상기 제 2방향으로의 상기 집진 시트의 일단 전체를 따라 상기 제 3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접촉 영역은 상기 제 2방향으로의 상기 집진 시트의 타단 전체를 따라 상기 제 3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3접촉 영역은 상기 제 2방향으로의 상기 집진 시트의 내측에서 상기 제 3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전기집진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전극은 상기 제 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변과 상기 장변을 따라 절개되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연결 영역은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 3방향으로의 상기 제 2전극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 3연결 영역은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 3방향으로의 상기 제 2전극의 타측과 연결되는 전기집진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전극은 상기 제 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변과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3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의 상기 제 2전극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 3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 3방향으로의 상기 제 2전극의 타측과 연결되는 전기집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제 1절개부와 상기 제 2방향으로 상기 제 1절개부와 이격 배치되는 제 2절개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시트는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1,2전극의 일면을 커버하는 제 1시트와,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1,2전극의 타면을 커버하는 제 2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전원 연결부와 상기 제 2전원 연결부 및 상기 제 3전원 연결부는 각각 상기 제 2시트의 외측에 배치되는 전기집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시트는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1시트와 상기 제 2시트가 중첩 커버되는 제 1영역과,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2시트 외측에 배치되는 제 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전원 연결부와 상기 제 2연결부 및 상기 제 3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 2영역에 배치되는 전기집진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전극은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전기집진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전극은 상기 제 1전극보다 전기 저항이 큰 재질로 마련되는 전기집진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시트는 상기 제 1전극이 배치되는 제 1면과, 상기 제 2전극이 배치되는 제 2면과, 상기 제 1면과 상기 제 2면이 상기 제 1방향으로 마주하도록 벤딩(bending)된 벤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전원 연결부와 상기 제 2전원 연결부 및 상기 제 3전원 연결부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벤딩부 상에 배치되는 전기집진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 2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 3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전원 연결부와 상기 제 2전원 연결부에 각각 전압이 인가되도록 상기 제 1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 2전원 공급부가 제어되는 제 1모드와 상기 제 2전원 연결부와 상기 제 3전원 연결부에 각각 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제 2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 3전원 공급부가 제어되는 제 2모드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모드로 구동되도록 상기 제 1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 2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 3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전기집진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입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모드가 온이 된 후 오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모드가 오프되면, 상기 제 2모드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온이 된 후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전기집진장치.
  16. 이물질을 대전시키는 대전 유닛;
    상기 대전 유닛에서 대전된 물질이 집진되는 집진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 시트는
    제 1전극과,
    상기 제 1전극과 제 1방향으로 마주하도록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 1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대전 유닛을 통과한 이물질이 포집되는 제 2전극과,
    상기 제 1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도록 상기 제 1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방향으로 상기 집진 시트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 1전원 연결부와,
    상기 제 2전극에 상기 제 1전극과 전위차가 발생되는 전압이 인가되도록 상기 제 2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방향으로 상기 집진 시트의 타단에 배치되는 제 2전원 연결부와,
    상기 제 2전극이 발열되도록 상기 제 2전극과 함께 추가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방향으로 상기 집진 시트의 타단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3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전극은 상기 제 2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전원 연결부는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의 상기 제 2전극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 3전원 연결부는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 3방향으로의 상기 제 2전극의 타측과 연결되는 전기집진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전극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 1전원 공급부와 접촉되는 제 1접촉 영역과,
    상기 제 2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연결 영역과 상기 제 1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 3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전극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 2전원 공급부와 접촉되는 제 2접촉 영역과,
    상기 제 2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연결 영역과 상기 제 2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3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 3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전극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 3전원 공급부와 접촉되는 제 3접촉 영역과,
    상기 제 2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3연결 영역과 상기 제 2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3연결 영역을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결 영역은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의 상기 제 2전극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 2접촉 영역은 상기 제 2방향으로의 상기 집진 시트의 타단 전체를 따라 상기 제 3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기집진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연결 영역은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의 상기 제 2전극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 3접촉 영역은 상기 제 2방향으로의 상기 집진 시트의 내측에서 상기 제 3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전기집진장치.
KR1020220139761A 2022-10-26 2022-10-26 전기집진장치 및 전기집진장치의 제어방법 KR20240058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761A KR20240058714A (ko) 2022-10-26 2022-10-26 전기집진장치 및 전기집진장치의 제어방법
PCT/KR2023/011695 WO2024090752A1 (ko) 2022-10-26 2023-08-08 전기집진장치 및 전기집진장치의 제어방법
US18/237,757 US20240139758A1 (en) 2022-10-26 2023-08-24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761A KR20240058714A (ko) 2022-10-26 2022-10-26 전기집진장치 및 전기집진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714A true KR20240058714A (ko) 2024-05-03

Family

ID=90831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9761A KR20240058714A (ko) 2022-10-26 2022-10-26 전기집진장치 및 전기집진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139758A1 (ko)
KR (1) KR20240058714A (ko)
WO (1) WO202409075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8348B2 (ja) * 2012-03-14 2016-11-16 富士電機株式会社 電気集塵装置
KR102336514B1 (ko) * 2017-03-06 2021-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및 집진유닛의 제조방법
KR102047762B1 (ko) * 2018-02-05 2019-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집진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
KR102407747B1 (ko) * 2020-04-20 2022-06-14 한국기계연구원 전기 집진 장치
KR102589978B1 (ko) * 2020-08-14 2023-10-16 (주)동일기연 전기집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0752A1 (ko) 2024-05-02
US20240139758A1 (en) 202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6514B1 (ko) 전기집진장치 및 집진유닛의 제조방법
WO2007145330A1 (ja) 集塵装置
JP2007007589A (ja) 電気集塵デバイス及びこれを組込んだ空気清浄装置
CN202590958U (zh) 高吸附型静电净化器和具有该静电净化器的空气净化装置
KR20160090459A (ko) 공기체류시간을 연장한 공기청정기
WO2017042992A1 (ja) 放電装置、空気清浄機、及び換気装置
KR102221407B1 (ko) 공기정화장치용 플라즈마 방전셀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553563B1 (ko) 입형 공기청정기
KR20240058714A (ko) 전기집진장치 및 전기집진장치의 제어방법
KR102504398B1 (ko) 공기조화기용 입자 하전 장치
EP4316666A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 control method
KR20230043449A (ko) 전기집진장치 및 전기집진장치의 제어방법
JP3368444B2 (ja) 空気清浄装置
JP5696718B2 (ja) 放電ユニット及び空気清浄機
JP3038757U (ja) 電気集塵ユニット
CN112762560A (zh) 一种臭氧还原模块及空气净化器
JP2007196199A (ja) 放電装置並びに該放電装置を備えた空気浄化装置及び起風装置
JPH06142549A (ja) 電気集塵装置
JP5293774B2 (ja) 空気調和機
JP3709449B1 (ja) ガス処理装置
JP7475115B2 (ja) 放電ユニット、及び空気清浄機
WO2017090086A1 (ja) 放電デバイス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KR20240025860A (ko) 전기 집진 장치
KR20030077156A (ko) 공기청정기의 전기식 집진장치
KR2023008477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