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4779A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4779A
KR20230084779A KR1020210172824A KR20210172824A KR20230084779A KR 20230084779 A KR20230084779 A KR 20230084779A KR 1020210172824 A KR1020210172824 A KR 1020210172824A KR 20210172824 A KR20210172824 A KR 20210172824A KR 20230084779 A KR20230084779 A KR 20230084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terilization operation
voltage
temperature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수
신규호
윤진국
노형수
송명섭
신준오
이기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2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4779A/ko
Priority to PCT/KR2022/014580 priority patent/WO2023106579A1/ko
Priority to CN202280052690.8A priority patent/CN117751262A/zh
Priority to EP22904413.6A priority patent/EP4357684A1/en
Priority to US17/994,802 priority patent/US20230175718A1/en
Publication of KR20230084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47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6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by electric means, e.g. ionisers or electrostatic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마주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고, 공기 중 입자를 포집하도록 마련되는 집진 시트;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자를 포집하는 집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 전극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미리 정해진 제1 온도로 제1 시간 동안 가열하는 제1 살균 동작 또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로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제2 시간 동안 가열하는 제2 살균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살균 동작 또는 상기 제2 살균 동작을 위한 교류 전압을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인가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개시된 발명은 공기 중 입자를 포집하는 전기집진장치의 살균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집, 방, 쇼핑몰, 공장, 사무실 등 밀폐된 공간에서 고농도 에어로졸은 사람들의 건강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에어로졸은 제한된 공간에서 흡연, 요리, 청소, 용접, 그라인딩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나 공기청정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는 에어로졸을 포집할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의 대전 유닛은 공기 중 입자를 대전시킬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의 집진 유닛은 고전압 전극과 저전압 전극으로 구성되며 대전된 공기 중의 입자를 포집할 수 있다. 전극에 포집된 입자들에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알러지 물질과 같은 유해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유해 물질들은 전극에서 증식될 수 있고 실내로 다시 확산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은 전기집진장치를 구성하는 집진 시트의 전극들을 살균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마주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고, 공기 중 입자를 포집하도록 마련되는 집진 시트;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자를 포집하는 집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 전극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미리 정해진 제1 온도로 제1 시간 동안 가열하는 제1 살균 동작 또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로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제2 시간 동안 가열하는 제2 살균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살균 동작 또는 상기 제2 살균 동작을 위한 교류 전압을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인가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집진 시트를 통과한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가스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공기의 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살균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공기의 오염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오염도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살균 동작과 상기 제2 살균 동작의 순차적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을 카운트 하고, 상기 누적 수행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에 도달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살균 동작의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살균 동작의 수행에 기초하여 상기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을 리셋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에 도달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살균 동작의 수행 후 상기 제2 살균 동작의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전극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온도가 상기 제1 살균 동작에 관한 제1 한계 온도 또는 상기 제2 살균 동작에 관한 제2 한계 온도에 도달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교류 전압의 인가를 중지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극 온도 센서는 상기 제1 전극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전극 온도 센서 또는 상기 제2 전극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전극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살균 동작 시 상기 직류 전압의 크기보다 작은 실효값을 갖는 제1 교류 전압을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인가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살균 동작 시 상기 제1 교류 전압보다 높고 상기 직류 전압의 크기보다 작은 실효값을 갖는 제2 교류 전압을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인가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집진 시트는 상기 제1 전극의 일 단과 연결되고, 상기 직류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전원 연결부; 상기 제2 전극의 일 단과 연결되고, 접지되는 제2 전원 연결부; 상기 제2 전극의 타 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을 상기 제1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제1 교류 전압 또는 상기 제2 전극을 상기 제2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제2 교류 전압이 인가되는 제3 전원 연결부; 및 상기 제1 전극의 타 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전극을 상기 제1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제1 교류 전압 또는 상기 제1 전극을 상기 제2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제2 교류 전압이 인가되는 제4 전원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1 전극의 길이 방향인 제1 방향과 직교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집진 시트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집진 시트의 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전원 연결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4 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전원 연결부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공기 중 입자를 포집하는 집진 동작을 위해 상기 제1 전극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미리 정해진 제1 온도로 제1 시간 동안 가열하는 제1 살균 동작 또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로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제2 시간 동안 가열하는 제2 살균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살균 동작 또는 상기 제2 살균 동작을 위한 교류 전압을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인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하는 것은, 가스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집진 시트를 통과한 공기의 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살균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하는 것은, 상기 측정된 공기의 오염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오염도 미만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살균 동작의 수행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하는 것은, 상기 측정된 공기의 오염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오염도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살균 동작과 상기 제2 살균 동작의 순차적 수행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하는 것은, 상기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을 카운트 하고; 상기 누적 수행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에 도달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살균 동작의 수행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은 상기 제2 살균 동작의 수행에 기초하여 리셋 될 수 있다.
상기 결정하는 것은, 상기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을 카운트 하고; 상기 누적 수행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에 도달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살균 동작의 수행 후 상기 제2 살균 동작의 수행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를 측정하고;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측정된 온도가 상기 제1 살균 동작에 관한 제1 한계 온도 또는 상기 제2 살균 동작에 관한 제2 한계 온도에 도달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교류 전압의 인가를 중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것은, 상기 제1 살균 동작 시 상기 직류 전압의 크기보다 작은 실효값을 갖는 제1 교류 전압을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인가하고; 상기 제2 살균 동작 시 상기 제1 교류 전압보다 높고 상기 직류 전압의 크기보다 작은 실효값을 갖는 제2 교류 전압을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인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은, 전기집진장치에 포함되는 집진 시트의 전극들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전기집진장치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개시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은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살균 동작들을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전기집진장치의 청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기집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집진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집진 시트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집진 시트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집진 시트의 벤딩 전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집진 시트의 측단면 확대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집진 시트와 전원 공급부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제1 살균 동작 시 집진 시트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 변화와 전극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제1 살균 동작과 제2 살균 동작의 순차적 수행 시 집진 시트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 변화와 전극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전기집진장치에 의한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에 따라 제2 살균 동작을 수행할 경우 집진 시트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 변화와 전극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시트의 전극의 온도에 따라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이 조절되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0은 공기 오염도에 따라 살균 동작을 수행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1은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에 따라 살균 동작을 수행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각 단계들에 붙여지는 부호는 각 단계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 부호는 각 단계들 상호 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은 두 전극의 전위차를 기준으로 전위가 높은 쪽(high level)을 플러스 전극, 전위가 낮은 쪽(low level)을 마이너스 전극으로 표현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의 하우징(10)은 바디 케이스(11)와, 바디 케이스(11)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패널(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후방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가 마련될 수 있다. 바디 케이스(11)는 프레임(16) 및 전면 패널(4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전면 패널(40)은 프레임(16)에 의해 하우징(10)과 결합될 수 있다.
전면 패널(40)은 복수의 홀(42)을 포함하는 배출 영역(41)과 복수의 홀(42)이 형성되지 않은 차단 영역(4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홀(42)은 전면 패널(40)을 관통할 수 있다. 복수의 홀(42)은 전면 패널(40)의 전체 영역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공기는 복수의 홀(42)을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차단 영역(43)에는 홀이 마련되지 않으므로 공기는 차단 영역(43)을 통과할 수 없다.
바디 케이스(11)에 형성되는 유입구(12)는 바디 케이스(11)의 배면을 관통할 수 있다. 유입구(12)를 통해 외부 공기는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구(12)는 적어도 하나 마련될 수 있고, 설계에 따라 어려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유입구(12)의 형상은 사각형일 수 있다. 유입구(12)의 형상은 설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바디 케이스(11)의 유입구(12)가 형성된 일 부분에 결합되는 흡입그릴(51)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그릴(51)은 유입구(12)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흡입그릴(51)은 복수의 슬릿 또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그릴(51)은 유입구(12)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송풍팬(160)과 전기집진장치(2)가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160)의 동작에 의해 공기가 공기조화기(1)의 내부로 유입되어 전기집진장치(2)를 통과한 후 다시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송풍팬(160)은 적어도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설계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송풍팬(160)이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서 송풍팬(160)은 전기집진장치(2)의 하류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송풍팬(160)은 전기집진장치(2)의 상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는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전기집진장치(2)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교환기(30)는 전기집진장치(2)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3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1)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실외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공기 조화기(1)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 회로 및/또는 제어 회로도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공기청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기조화기(1)는 공기청정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열교환기(30)는 공기조화기(1)의 구성요소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전기집진장치(2)는 대전 유닛(100)과 집진 유닛(200)을 포함한다. 대전 유닛(100)은 먼지 등과 같은 공기 중의 입자들(D)을 대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수의 방전전극(110)과 다수의 대응전극(120)을 포함한다. 한 쌍의 대응전극(120) 사이에는 방전전극(110)이 배치된다. 방전전극(110)과 대응전극(120)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면, 한 개의 방전전극(110)과 한 쌍의 대응전극(120) 사이에 코로나 방전이 발생할 수 있으며, 대전 유닛(100)을 통과하는 공기 중 입자들(D)이 대전될 수 있다.
방전전극(110)은 와이어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방전전극(110)은 텅스텐 와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대응전극(120)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전성 금속판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대응전극(120)은 알루미늄 판으로 형성할 수 있다.
대전 유닛(100)은 대표적으로 고전압 방전을 이용한 와이어-플레이트(wire-plate) 구조일 수 있으나, 탄소 브러쉬 전극 또는 침상형 전극을 이용한 방전 외에 입자들(D)을 특정 극성으로 대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집진 유닛(200)은 대전 유닛(100)에서 대전된 입자들(D)을 포집할 수 있다. 집진 유닛(200)은 한 장의 시트가 연속하여 벤딩(bending)된 형태의 집진 시트(210)를 포함한다.
집진 시트(210)는 단일의 집진 시트(210)를 지그재그로 연속적으로 벤딩함으로써 형성한 다수의 벤딩부(211)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 시트(210)의 일 측면은 가로방향의 폭보다 세로방향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으며, 세로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연속적으로 벤딩함으로써 다수의 벤딩부(211)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집진 시트(210)의 형상은 예시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가로방향의 길이가 세로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될 수 있다.
집진 유닛(200)은 대전 유닛(100)의 한 쌍의 대응전극(120) 사이에 다수의 벤딩부(211)가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한 쌍의 대응전극(120) 사이에 10개의 벤딩부(211)가 배치되도록 집진 유닛(200)을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 유닛(200)에 유입된 대전된 입자들(D)이 효과적으로 집진 유닛(200)에 흡착될 수 있다. 집진 유닛(20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기집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전기집진장치(2)는 대전 유닛(100)과 대전 유닛(100)에 마주하게 결합된 집진 유닛(200)을 포함한다. 공기는 F 방향으로 대전 유닛(100)으로부터 집진 유닛(20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그에 따라 공기 중 입자들(D)이 집진 유닛(200)에 의해 포집될 수 있다.
대전 유닛(100)은 다수의 방전전극(110)과 다수의 방전전극(110) 사이에 각각 배치된 다수의 대응전극(120)을 포함하며, 다수의 방전전극(110)과 다수의 대응전극(120)을 지지하는 대전커버(130)를 포함한다.
다수의 방전전극(110) 및 다수의 대응전극(120)은 대전커버(130)의 내측에 대전커버(130)의 길이방향(Z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일 수 있으며, 대전커버(130)의 폭방향(X 방향)을 따라 교대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다수의 방전전극(110)은 금속재질의 와이어로서, 예를 들어, 텅스텐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대응전극(120)은 다수의 방전전극(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의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방전전극(110)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방전전극(110)과 대응전극(120)의 코로나 방전을 통해 공기 중에 포함된 입자들을 플러스(+) 극 또는 마이너스(-) 극으로 대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방전전극(110)에 플러스(+) 극의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대전 유닛(110)을 통과하는 공기 중의 입자들이 플러스(+) 극으로 대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대전커버(130)는 다수의 방전전극(110) 및 다수의 대응전극(120)의 양단을 고정하는 프레임의 형상일 수 있으며, 내측에 격자로 형성된 다수의 흡입구(131)를 포함한다. 대전커버(130)의 다수의 흡입구(131)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입자들은 다수의 방전전극(110)과 다수의 대응전극(120) 사이의 코로나 방전을 통해 대전되고, 대전 유닛(100)의 하류에 배치된 집진 유닛(20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집진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집진 유닛(200)은 다수의 벤딩부(211)가 형성된 집진 시트(210)와 집진 시트(210)를 커버하는 제1 커버(220) 및 제2 커버(230)를 포함한다. 제1 커버(220) 및 제2 커버(230)는 집진 시트(210)의 외곽을 둘러싸는 프레임의 형상일 수 있으며, 내측에 형성된 제1 개구부(221)와 제2 개구부(231)를 통해 대전 유닛(100)을 통과한 공기가 집진 시트(210)를 통과할 수 있다.
집진 시트(210)는 단일의 집진 시트(210)가 다수의 벤딩부(211)를 갖도록 지그재그로 벤딩된 형상으로 구성되는바, 제1 커버(220) 및 제2 커버(230)의 내측에는 집진 시트(210)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재(222, 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지지부재(222, 232)는 제1 커버(220)의 제1 개구부(221)와 제2 커버(230)의 제2 개구부(231)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집진 시트(2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집진 유닛(200)의 일 면에는 가스 센서(51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스 센서(510)는 제1 커버(220)에 마련될 수 있다. 가스 센서(510)는 집진 시트(210)를 통과한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가스 센서(510)는 측정한 공기의 오염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후술되는 제어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가스 센서(510)의 위치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스 센서(510)는 열교환기(30)의 하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집진 시트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집진 시트의 측단면도이다.
도 8과 도 9에서는 지그재그로 벤딩된 집진 시트(210)의 세부 구성이 설명된다. 집진 시트(210)는 가로 방향(X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벤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복수의 벤딩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벤딩하기 전 펼쳐진 상태의 집진 시트(210)의 가로 방향(X방향) 길이는 세로 방향(Z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벤딩된 집진 시트(21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2)의 형상에 따라 벤딩 전 집진 시트(210)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으며, 벤딩 전 펼쳐진 상태의 집진 시트(210)의 벤딩 방향 역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집진 시트(210)의 가로방향, 세로방향,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은 보는 방향에 따라 정의되는 상대적인 개념이며, 집진 시트(210)의 가로방향, 세로방향,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은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집진 시트(210)는 벤딩에 의해 교대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1 전극(240)과 다수의 제2 전극(250)을 포함한다. 집진 시트(210)는 한 장의 시트로 구성된 평평한 집진 시트(210)를 지그재그로 벤딩함으로써 다수의 벤딩부(211)를 형성할 수 있다. 집진 시트(210)는 복수의 제1 전극(240)과 복수의 제2 전극(250)이 교차로 배치된 제1 시트(260)와, 제1 시트(260)의 일면에 합지(laminate)되는 제2 시트(270)를 포함한다. 제1 시트(260)와 제2 시트(270)는 후술된다.
다수의 벤딩부(211)는 다수의 제1 전극(240)과 다수의 제2 전극(250)이 서로 마주하도록 집진 시트(210)가 지그재그로 벤딩됨으로써 형성된다. 집진 시트(210)는 벤딩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평면(212, 213)을 포함하며, 다수의 벤딩부(211)는 다수의 평면(212, 213)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평면(212, 213)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2개의 평면(212, 213)을 연결한다.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평면(212, 213)은 제1 평면(212)과 제2 평면(213)으로 호칭될 수 있으며, 집진 시트(210)는 다수의 제1 평면(212)과 다수의 제2 평면(213)이 교대로 평행하게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제1 평면(212)과 제2 평면(213)을 연결하는 벤딩부(211)는 집진 시트(210)가 지그재그로 벤딩됨에 따라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지그재그로 형성된다.
제1 평면(212)에는 제1 전극(240)이 배치되고, 제2 평면(213)에는 제2 전극(250)이 배치됨으로써, 집진 시트(210)의 내부에 교대로 배치된 다수의 제1 전극(240)과 다수의 제2 전극(250)은 다수의 벤딩부(211)에 의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은 집진 시트(210)의 Z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벤딩부(211)는 집진 시트(210)의 제1 평면(201)과 제2 평면(202) 사이가 곡면을 이루도록 구부러진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벤딩부(211)는 제1 평면(212)과 제2 평면(213)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평면의 형상일 수 있으며, 아울러, 집진 시트(210)의 제1 평면(212)과 제2 평면(213) 사이를 직선으로 접음으로써 형성된 에지(edge)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집진 시트(210)의 다수의 벤딩부(211)는 다수의 제1 전극(240)과 다수의 제2 전극(250) 사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벤딩부(211)는 다수의 제1 전극(240)과 다수의 제2 전극(250) 사이에서 집진 시트(210)의 길이 방향(X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형성된다.
벤딩부(211)의 일 측에는 제1 전극(240)을 포함하는 제1 평면(212)이 배치되며, 벤딩부(211)의 타 측에는 제2 전극(250)을 포함하는 제2 평면(213)이 제1 평면(212)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다수의 제1 전극(240)과 다수의 제2 전극(250)은 집진 시트(210)의 길이 방향(X 방향)을 따라 교대로 적층될 수 있다.
제1 전극(240)을 포함하는 제1 평면(212), 벤딩부(211) 및 제2 전극(250)을 포함하는 제2 평면(213)은 연속적으로 배치됨으로써, 다수의 제1 평면(212)과 다수의 제2 평면(213)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입자들이 용이하게 포집될 수 있다.
집진 시트(210)는 다수의 벤딩부(211)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개구(215)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대전 유닛(100)을 지나 일 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다수의 개구(215)를 통해 집진 시트(210)를 통과할 수 있다. 다수의 제1 평면(212)과 다수의 제2 평면(213)은 서로 마주하는바, 다수의 제1 평면(212)과 다수의 제2 평면(213) 사이에는 공기가 지나갈 수 있는 간극(G)이 형성된다. 대전 유닛(100)을 통과한 공기는 간극(G)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간극(G)을 지나는 공기는 간극(G)과 대응되는 벤딩부(211)에 형성된 개구(215)를 통해 집진 시트(210)를 통과할 수 있다.
다수의 벤딩부(211)는 지그재그로 형성되는바, 대전 유닛(100)을 통과한 공기는 벤딩부(211)에 형성된 개구(215)로 먼저 유입되고, 개구(215)로 유입된 공기는 대응되는 간극(G)을 지나 집진 시트(210)를 통과할 수도 있다. 이처럼, 집진 시트(210)는 제1 평면(212)과 제2 평면(213) 사이에 형성된 간극(G)과 벤딩부(211)에 형성된 개구(215)를 통해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다.
서로 마주하는 다수의 제1 평면(212)과 다수의 제2 평면(213)에 각각 배치된 다수의 제1 전극(240)과 다수의 제2 전극(250) 사이에는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극(240)은 고전압 전극으로 구성되고, 제2 전극(250)은 제1 전극(240)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인가되는 저전압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전극(240)에는 고전압이 인가되고, 제2 전극(250)은 접지될 수도 있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전위차에 의해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240)에는 플러스 극의 전원을 인가하고, 제2 전극(250)에는 마이너스 극의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인가되는 전압은 설계에 따라 변경되거나 공기조화기(1)의 동작 모드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대전 유닛(100)을 통과하면서 대전된 공기 중 입자들은 제1 평면(212)과 제2 평면(213) 사이의 간극(G)을 통과하는 동안 제2 전극(250)을 포함하는 제2 평면(213) 상에 흡착될 수 있다. 따라서 집진 시트(210)를 통과하는 공기는 정화될 수 있다.
또한, 집진 시트(210)는 제1 평면(212)과 제2 평면(213)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간극(G)의 높이(또는 크기; H)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간격유지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간격유지부재(미도시)는 제1 평면(212)과 제2 평면(213) 사이에 배치되어 제1 평면(212)과 제2 평면(213)을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간격유지부재(미도시)의 높이를 다양하게 구성함으로써 간격유지부재의 높이와 대응되는 간극(G)의 높이(H)를 설정할 수 있다.
간격유지부재(미도시)는 핫 멜트(hot melt)와 같은 열 융해성 접착제로서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갖도록 집진 시트(2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갖는 양면 접착제를 집진 시트(210)에 부착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집진 시트(210)를 벤딩하기 전에 펼쳐진 집진 시트(210)의 일 면에 간격유지부재를 연속적으로 도포하고, 집진 시트(210)를 지그재그로 벤딩하여 벤딩부(211)를 형성할 수 있다. 서로 접하는 2개의 간격유지부재의 높이의 합이 미리 설정된 간극(G)의 높이(H)와 동일하게 되도록, 간격유지부재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펼쳐진 집진 시트(210)의 양 면에 간극(G) 높이(H)의 1/2의 높이를 갖는 간격유지부재를 형성하면, 집진 시트(210)의 벤딩에 의해 서로 마주하는 제1 평면(212)과 제2 평면(213)은 간격유지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평면(212)과 제2 평면(213) 사이에 형성된 간극(G)의 높이(H)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핫 멜트로 구성된 간격유지부재 외에도 간격유지부재는 탄성이 있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거나 제1 평면(212)과 제2 평면(213) 사이에 배치된 점 또는 기둥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간극(G)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 사이의 전기장 형성을 방해하지 않도록, 간격유지부재는 가능한 균일하고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집진 시트의 벤딩 전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집진 시트(210)의 벤딩 전, 펼쳐진 상태의 집진 시트(210)를 보여준다. 도 10에 도시된 집진 시트(210)의 평면도는 도 8에 도시된 집진 시트(210)를 90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전개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집진 시트(210)의 가로방향, 세로방향,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은 보는 방향에 따라 정해지는 상대적인 개념이며, 집진 시트(210)의 가로방향, 세로방향,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은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집진 시트(210)는 제1 시트(260)와 제1 시트(260)에 합지된 제2 시트(270)를 포함한다. 제1 시트(260)와 제2 시트(270)는 일체로서 한 장의 집진 시트(210)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시트(260)에는 다수의 제1 전극(240)과 다수의 제2 전극(250)이 X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다. 다수의 제1 전극(240)과 다수의 제2 전극(250)이 배치된 제1 시트(260)의 일 면에 제2 시트(270)가 결합됨으로써, 제1 시트(260)와 제2 시트(270) 사이에 다수의 제1 전극(240)과 다수의 제2 전극(250)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시트(260)와 제2 시트(270)는 접착제를 통해 합지될 수 있다.
제1 시트(260)는 바람직하게 내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의 필름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시트(270)는 바람직하게 내열 EVA(Ethylene Vinyl Acetate) 재질의 필름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은 제1 시트(260)의 일 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X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 각각의 길이는 제1 시트(260) 상에서 Z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은 제1 시트(260)의 일 면에 인쇄되거나 증착된 전도성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도성의 카본 잉크를 제1 시트(260)의 일 면에 인쇄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은 카본 필름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전도성의 금속으로 마련되어 제1 시트(260)에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시트(260)의 일 면에는, 제1 전극(240)과 연결되는 제1 전원 연결부(281) 및 제2 전극(250)과 연결되는 제2 전원 연결부(28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원 연결부(281) 및 제2 전원 연결부(282)는 제1 전극(240) 및 제2 전극(250)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1 시트(260)의 일 면에 인쇄되거나 증착되는 전도성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전원 연결부(281) 및 제2 전원 연결부(282)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집진 시트(2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시트(260)의 폭(W1)은 제2 시트(270)의 폭(W2)보다 크게 구성되며, 제1 전원 연결부(281)는 제1 시트(260)의 일 측단에 배치되고, 제2 전원 연결부(282)는 제1 시트(260)의 타 측단에 배치된다.
제2 시트(270)는 제1 시트(260)의 일 면의 중앙부에 결합됨으로써 제1 전원 연결부(281) 및 제2 전원 연결부(282)는 제1 시트(26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제1 전원 연결부(281) 및 제2 전원 연결부(282)에 각각 연결된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은 제1 시트(260)와 제2 시트(2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집진 동작 시 제1 전원 연결부(281)에는 고전압이 인가되므로 제1 전극(240)은 고전압 전극으로 호칭될 수 있고, 제2 전원 연결부(282)는 접지되므로 제2 전극(250)은 저전압 전극으로 호칭될 수 있다.
집진 시트(210)는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 사이에 형성된 슬릿(S)을 포함한다. 다수의 슬릿(S)은 집진 시트(210)를 관통하는 절개부일 수 있다. 다수의 슬릿(S)은 다수의 벤딩부(203) 각각에 형성되어 집진 시트(210)의 벤딩에 의해 벌어질 수 있고,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개구(215)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슬릿(S)은 펼쳐진 상태의 집진 시트(210)에서 일정한 면적을 차지하는 구멍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 사이를 벤딩함으로써 벤딩부(211)가 형성되므로, 슬릿(S)은 집진 시트(210) 상의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 사이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슬릿(S)은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길이 방향(Z 방향)을 따라 제1 전극(240) 및 제2 전극(250)과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벤딩부(211)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벤딩부(211)의 중앙부에 개구(215)가 형성될 수 있다.
벤딩부(211)는 서로 인접한 제1 전극(240)의 일 측 모서리와 제2 전극(250)의 일 측 모서리 사이로 구획될 수 있으며,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 사이의 중앙부에 형성된 슬릿(S)을 기준으로 집진 시트(210)가 벤딩됨으로써 제1 평면(212), 벤딩부(211) 및 제2 평면(213)이 구획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각각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어 전위차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제2 전극(250) 및/또는 제2 평면(213) 상에 대전된 입자들이 포집될 수 있다.
한편, 제2 전극(250) 및/또는 제2 평면(213)에 포집된 입자들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알러지 물질과 같은 유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포집된 유해 물질들이 실내로 다시 확산될 수 있으므로 집진 시트(210)의 살균이 필요하다. 종래 기술 중에는 자외선과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하여 집진 시트를 살균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는 오존과 같은 유해한 부산물을 생성하였다. 또한 별도의 발열 장치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살균하는 종래 방식은 별도의 발열 장치를 마련해야 하므로 부품수가 많고 전력 소모가 큰 단점을 갖는다.
그러나 개시된 전기집진장치(2)는 전기장을 이용해 대전 입자를 집진하기 위한 구조를 유지하면서, 집진 시트(210)의 전극들(240, 250)이 발열하도록 함으로써 집진 시트(210)의 살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2 전극(250)이 발열함에 따라, 제2 전극(250)에 포집된 입자들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250)에 포집된 유기물들의 단백질 변성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극(250)이 살균될 수 있다.
즉, 개시된 전기집진장치(2)의 살균 방법은 유해한 부산물을 생성하지 않으면서 집진 시트(210)의 살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개시된 전기집진장치(2)의 살균 방법은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지 않고, 제1 전극(240) 및/또는 제2 전극(250)이 직접 발열하므로, 소비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시트(270) 상에는, 제2 전극(250)과 연결되고 제2 전극(250)을 가열하기 위한 교류 전압이 인가되는 제3 전원 연결부(291) 및 제1 전극(240)과 연결되고 제1 전극(240)을 가열하기 위한 교류 전압이 인가되는 제4 전원 연결부(29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250)에 교류 전압이 인가되면 제2 전극(250)이 발열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2 전극(250)이 살균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전극(240)에 교류 전압이 인가되면 제1 전극(240)이 발열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1 전극(240)이 살균될 수 있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은 열을 발생시키기 위해 전기 저항이 높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집진 시트(210)의 살균 방법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된다.
제1 전원 연결부(281)는 제1 전극(240)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전원 연결부(281)는 제1 전극(240)과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원 연결부(281)는 카본 필름으로 형성되어 제1 시트(260)에 증착되거나 카본 잉크로 제1 시트(260)에 패터닝될 수 있다. 제1 전원 연결부(281)는 집진 시트(210)가 밴딩되기 전 전개된 상태에서 제1 전극(240)의 길이 방향인 제1 방향(Z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전원 연결부(281)는 X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제1 전극들(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원 연결부(282)는 제2 전극(250)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전원 연결부(282)는 제2 전극(250)과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2 전원 연결부(282)는 카본 필름으로 형성되어 제1 시트(260)에 증착되거나 카본 잉크로 제1 시트(260)에 패터닝될 수 있다. 제2 전원 연결부(282)는 집진 시트(210)가 밴딩되기 전 전개된 상태에서 제2 전극(250)의 길이 방향인 제1 방향(Z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전원 연결부(282)는 제1 전원 연결부(282)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원 연결부(282)는 X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제2 전극들(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전원 연결부(291)는 제2 전극(250)과 별도의 구성으로서, 제2 시트(270)의 제1 연결 홀(271)을 통해 제2 전극(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전원 연결부(291)는 카본 필름으로 형성되어 제2 시트(270)에 증착되거나 카본 잉크로 제2 시트(270)에 패터닝될 수 있다. 제3 전원 연결부(291)는 집진 시트(210)가 밴딩되기 전 전개된 상태에서 제1 전원 연결부(281)의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전원 연결부(291)는 X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제2 전극들(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4 전원 연결부(292)는 제1 전극(240)과 별도의 구성으로서, 제2 시트(270)의 제2 연결 홀(272)을 통해 제1 전극(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전원 연결부(292)는 카본 필름으로 형성되어 제2 시트(270)에 증착되거나 카본 잉크로 제2 시트(270)에 패터닝될 수 있다. 제4 전원 연결부(292)는 집진 시트(210)가 밴딩되기 전 전개된 상태에서 제2 전원 연결부(282)의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4 전원 연결부(292)는 X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제1 전극들(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시트(260)의 폭(W1)은 제2 시트(270)의 폭(W2)보다 크게 구성되며, 제2 시트(270)는 제1 시트(260)의 일 면의 중앙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전원 연결부(281)와 제2 전원 연결부(282)는 제1 시트(26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은 제1 시트(260)와 제2 시트(270)가 중첩되는 집진 시트(210)의 제1 영역(216)에 배치되고, 제1 전원 연결부(281)와 제2 전원 연결부(282)는 제1 시트(260)와 제2 시트(270)가 중첩되지 않는 집진 시트(210)의 제2 영역(217)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전원 연결부(291)는 제1 시트(260)와 제2 시트(270) 사이에 배치되지 않으며, 제3 전원 연결부(291)의 일부는 제2 시트(270)를 관통할 수 있다. 제3 전원 연결부(291)는 집진 시트(2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전원 공급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전원 연결부(291)는 제2 시트(270)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4 전원 연결부(292)도 제1 시트(260)와 제2 시트(270) 사이에 배치되지 않으며, 제4 전원 연결부(292)의 일부는 제2 시트(270)를 관통할 수 있다. 제4 전원 연결부(292)는 집진 시트(2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전원 공급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4 전원 연결부(292)는 제2 시트(270)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집진 시트(210)에는 제1 전극(240) 또는 제2 전극(250)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전극 온도 센서(520)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극 온도 센서(520)는 제1 전극(240)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제1 전극 온도 센서(521) 또는 제2 전극(250)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제2 전극 온도 센서(52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 온도 센서(521)는 제1 전극(240)의 온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전극 온도 센서(522)는 제2 전극(250)의 온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 시트(210)에 마련되는 제1 전원 연결부(281), 제2 전원 연결부(282), 제3 전원 연결부(291) 및 제4 전원 연결부(292)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00)는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00)는 제어부(400)의 제어 하에 집진 시트(210)의 제1 전원 연결부(281), 제2 전원 연결부(282), 제3 전원 연결부(291) 및 제4 전원 연결부(292) 각각에 독립적인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원 공급을 중지할 수 있다. 즉, 전원 공급부(300)는 제1 전원 연결부(281), 제2 전원 연결부(282), 제3 전원 연결부(291) 및/또는 제4 전원 연결부(292)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 공급부(300)는 제1 전원 연결부(281), 제2 전원 연결부(282), 제3 전원 연결부(291) 및 제4 전원 연결부(292) 각각과 연결되는 복수의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위치 각각의 동작에 따라 제1 전극(240)에 직류 전압 또는 교류 전압이 인가될 수 있고, 제2 전극(250)이 접지되거나 제2 전극(250)에 교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의 제어부(400)는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 동작 또는 살균 동작을 위해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공기 중 입자를 포집하기 위한 집진 동작 시, 전원 공급부(300)는 제1 전원 연결부(281)를 통해 제1 전극(240)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고, 제2 전원 연결부(282)를 접지시킴으로써 제2 전극(250)을 접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 사이에 전위차가 생길 수 있고, 대전된 입자가 제2 전극(250)을 포함하는 제2 평면(213) 상에 포집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 동작이 계속되면 제2 전극(250)에 입자들이 계속 쌓이고, 입자들에 포함된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알러지 물질과 같은 유해물질이 증식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조화기(1)의 제어부(400)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전기집진장치(2)의 살균 동작의 수행을 결정할 수 있고, 전기집진장치(2)의 살균 동작을 위해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400)는 집진 시트(210)를 통과한 공기의 오염도 또는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기집진장치(2)의 제1 살균 동작 또는 제2 살균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살균 동작 시에는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이 미리 정해진 제1 온도로 제1 시간 동안 가열될 수 있다. 제2 살균 동작 시에는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이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로 제1 시간보다 짧은 제2 시간 동안 가열될 수 있다.
제1 온도는 예를 들면 30℃부터 50℃까지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2 온도는 예를 들면 50℃부터 80℃까지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1 시간은 예를 들면 10분부터 30분까지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고, 제2 시간은 예를 들면 3분부터 5분까지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입자들에 포함된 단백질은 대략 40℃부터 변성이 일어난다. 집진 시트(210)의 전극들(240, 250)의 발열 온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하는 제1 살균 동작은 균 증식 억제 동작으로 호칭될 수도 있다. 집진 시트(210)의 전극들(240, 250)의 발열 온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하는 제2 살균 동작은 강력 살균 동작으로 호칭될 수도 있다.
집진 시트(210)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 동작 시, 전원 공급부(300)는 제2 전원 연결부(282)와 제3 전원 연결부(291)를 통해 제2 전극(250)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고, 제1 전원 연결부(281)와 제4 전원 연결부(292)를 통해 제1 전극(240)에 교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교류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은 발열할 수 있다.
살균 동작 시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인가되는 교류 전압의 실효값은, 집진 동작 시 제1 전극(240)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나, 살균 동작 시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인가되는 교류 전류의 실효값은 집진 동작 시 제1 전극(240)에 인가되는 직류 전류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집진 동작 시에는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발열 없이 전기장을 형성해야 하므로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고전압과 저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살균 동작 시에는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저전압과 고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이 발열하게 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2)의 제1 살균 동작 시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인가되는 제1 교류 전압의 제1 실효값은, 집진 동작 시 제1 전극(240)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2)의 제2 살균 동작 시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인가되는 제2 교류 전압은, 제1 살균 동작의 제1 교류 전압보다 높으나, 제2 교류 전압의 제2 실효값은 집진 동작 시 제1 전극(240)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 동작이 종료된 후 자동으로 전기집진장치(2)의 살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400)는 입력부(5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 또는 미리 정해진 스케줄에 기초하여 전기집진장치(2)의 살균 동작이 독립적으로 수행되도록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집진 시트의 측단면 확대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전극(250)은 집진 시트(210)의 제1 시트(260)와 제2 시트(270) 사이에 마련된다. 집진 시트(210)의 제2 시트(270)는 제2 전극(25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제1 연결 홀(27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홀(271)은 제1 시트(260)와 제2 시트(270) 사이에 배열되는 제2 전극(25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연결 홀(271)은 집진 시트(210) 상에서 제2 전원 연결부(282)가 배치되는 측의 반대측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 홀(271)은 제2 전원 연결부(282)보다 제1 전원 연결부(281)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250)의 일 단은 제2 전원 연결부(282)와 연결되므로, 제2 전극(250)의 타 단에 제3 전원 연결부(291)를 연결하기 위해 제2 전원 연결부(282)의 타 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연결 홀(271)이 마련될 수 있다.
제3 전원 연결부(291)는 카본 필름 또는 카본 잉크를 통해 제2 시트(270) 상에 증착될 수 있다. 제3 전원 연결부(291)가 제2 시트(270) 상에 증착될 때 제1 연결 홀(271)을 커버하는 제3 전원 연결부(291)의 일부(291a)가 제1 연결 홀(271)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전극(250)은 제1 연결 홀(271)에 삽입된 제3 전원 연결부(291)의 일부(291a)와 접촉됨으로써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240)과 제4 전원 연결부(292)는 제2 시트(270)의 제2 연결 홀(272)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홀(272)은 제1 연결 홀(271)과 동일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전극(240)의 일부는 제2 연결 홀(27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연결 홀(272)의 개수는 제1 전극(24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연결 홀(272)은 집진 시트(210) 상에서 제1 전원 연결부(281)가 배치되는 측의 반대측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연결 홀(272)은 제1 전원 연결부(281)보다 제2 전원 연결부(282)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240)의 일 단은 제1 전원 연결부(281)와 연결되므로, 제1 전극(240)의 타 단에 제4 전원 연결부(292)를 연결하기 위해 제1 전원 연결부(281)의 타 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연결 홀(272)이 마련될 수 있다.
제4 전원 연결부(292)는 카본 필름 또는 카본 잉크를 통해 제2 시트(270) 상에 증착될 수 있다. 제4 전원 연결부(292)가 제2 시트(270) 상에 증착될 때 제2 연결 홀(272)을 커버하는 제4 전원 연결부(292)의 일부가 제2 연결 홀(272)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전극(240)은 제2 연결 홀(272)에 삽입된 제4 전원 연결부(292)의 일부와 접촉됨으로써 연결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2)의 살균 동작 시 제2 전극(250)의 일 단에 연결된 제2 전원 연결부(282)와 제2 전극(250)의 타 단에 연결된 제3 전원 연결부(291)를 통해 제2 전극(250)에 교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240)의 일 단에 연결된 제1 전원 연결부(281)와 제1 전극(240)의 타 단에 연결된 제4 전원 연결부(292)를 통해 제1 전극(240)에 교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이 발열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집진 시트와 전원 공급부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부(300)는 제1 전원 연결부(281)와 접촉되는 제1 접촉부(311), 제2 전원 연결부(282)와 접촉되는 제2 접촉부(321), 제3 전원 연결부(291)와 접촉되는 제3 접촉부(331) 및 제4 전원 연결부(292)와 접촉되는 제4 접촉부(3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부(311)는 제1 전원 연결부(281)의 일부와 접촉되고, 제2 접촉부(321)는 제2 전원 연결부(282)의 일부와 접촉되고, 제3 접촉부(331)는 제3 전원 연결부(291)의 일부와 접촉되며, 제4 접촉부(341)는 제4 전원 연결부(292)의 일부와 접촉될 수 있다.
집진 시트(210)의 벤딩으로 인해, 제1 전원 연결부(281), 제2 전원 연결부(282), 제3 전원 연결부(291) 및 제4 전원 연결부(292) 각각의 일부는 벤딩부(2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접촉부(311), 제2 접촉부(321), 제3 접촉부(331) 및 제4 접촉부(341) 각각은 벤딩부(211)에 위치하는 제1 전원 연결부(281), 제2 전원 연결부(282), 제3 전원 연결부(291) 및 제4 전원 연결부(292) 각각의 일부와 접촉될 수 있다.
집진 시트(210)에 마련되는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은 복수의 전원 연결부(281, 282, 291, 292)와 복수의 접촉부(311, 321, 331, 341)를 통해 전원 공급부(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전기집진장치(2), 송풍팬(160), 전원 공급부(300), 제어부(400), 입력부(530) 및 디스플레이(5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2)는 대전 유닛(100), 집진 유닛(200), 가스 센서(510) 및 전극 온도 센서(5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프로세서(410)와 메모리(42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의 구성요소들은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어부(400)의 제어 하에 동작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00)는 전기집진장치(2)에 전원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공기조화기(1)의 모든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1)가 열교환기(30)를 포함하는 경우, 공기조화기(1)는 실외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기 청정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마련되어 열교환기(30)를 포함하지 않는 공기조화기(1)는 실외기(미도시)와 연결되지 않는다.
송풍팬(160)은 공기조화기(1)의 하우징(10) 내부에서 전기집진장치(2)의 상류 또는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160)의 동작에 의해, 외부 공기는 공기조화기(1)의 내부로 유입되고, 전기집진장치(2)를 통과한 공기는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송풍팬(160)은 설계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조화기(1)가 냉방 모드, 난방 모드 또는 공기 청정 모드로 동작 시 송풍팬(160)이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 동작은 공기조화기(1)가 냉방 모드, 난방 모드 또는 공기 청정 모드로 동작할 때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 동작은 송풍팬(160)의 동작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 입자들을 포집하기 위해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 동작이 수행된다. 송풍팬(160)의 동작이 정지되면,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 동작도 정지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2)의 살균 동작은 바람직하게는 집진 동작이 종료된 후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메모리(42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및/또는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1)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하드웨어로서, 논리 회로와 연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메모리(420)로부터 제공된 프로그램 및/또는 인스트럭션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메모리(420)와 프로세서(410)는 하나의 제어 회로로 구현되거나 복수의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420)는, 공기조화기(1)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기억/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20)는, 공기조화기(1)의 동작에 필요한 인스트럭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20)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와,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530)는 사용자로부터 공기조화기(1)의 동작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53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전압 또는 전류)를 프로세서(41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입력부(530)로부터 전송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530)는 공기조화기(1)의 하우징(10) 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530)는 냉방 모드, 난방 모드 또는 공기 청정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운전 모드 버튼, 전기집진장치(2)의 살균을 실행하기 위한 살균 모드 버튼, 바람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풍향 버튼 및/또는 바람의 세기(송풍팬의 회전 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풍량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들은 사용자가 누르는 것에 의하여 작동되는 푸시 스위치(push switch), 멤브레인 스위치(membrane switch) 및/또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접촉에 의하여 작동되는 터치 스위치(touch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530)는 공기조화기(1)와 별도로 마련되는 원격 제어기와, 원격 제어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40)는 공기조화기(1)의 상태와 동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40)는 공기조화기(1)의 작동과 관련된 정보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40)는 하우징(10)의 프레임(16) 또는 전면 패널(40)에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5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과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및/또는 마이크로 LED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540)는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집진 시트(210)를 통과한 공기의 오염도 또는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기집진장치(2)의 제1 살균 동작 또는 제2 살균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1 살균 동작 또는 제2 살균 동작을 위한 교류 전압을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인가하도록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열교환기(3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1)의 경우, 전기집진장치(2)와 열교환기(30)는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전기집진장치(2)의 살균 동작으로 인해 발생되는 열은 열교환기(30)를 건조시킬 수도 있다. 즉,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 시트(210)에서 발생되는 열은 열교환기(30)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고, 열교환기(30)의 표면에 존재하는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30)의 오염으로 인한 악취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살균 동작 시에는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이 미리 정해진 제1 온도로 제1 시간 동안 가열될 수 있다. 제2 살균 동작 시에는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이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로 제1 시간보다 짧은 제2 시간 동안 가열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2)의 제1 살균 동작 시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인가되는 제1 교류 전압의 제1 실효값은, 집진 동작 시 제1 전극(240)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2)의 제2 살균 동작 시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인가되는 제2 교류 전압은, 제1 살균 동작의 제1 교류 전압보다 높으나, 제2 교류 전압의 제2 실효값은 집진 동작 시 제1 전극(240)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가스 센서(510)는 집진 시트(210)를 통과한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가스 센서(510)는 측정한 공기의 오염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후술되는 제어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가스 센서(510)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오염도에 기초하여 집진 시트(210)를 살균하기 위한 제1 살균 동작 또는 제2 살균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공기조화기(1)의 운전이 시작되면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도록 가스 센서(510)를 제어할 수 있다. 공기의 오염도는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주기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가스 센서(510)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오염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오염도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제1 살균 동작과 제2 살균 동작의 순차적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공기의 오염도가 기준 오염도 이상인 것은 집진 시트(210)에 유해 물질을 포함하는 입자들이 상대적으로 많이 포집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오염도가 높을 경우 제1 살균 동작으로 집진 시트(210)를 건조시킨 후 제2 살균 동작으로 집진 시트(210)를 강력하게 살균함으로써 집진 시트(210)를 청결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가스 센서(510)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오염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오염도 미만인 것에 기초하여 제1 살균 동작의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공기 오염도가 기준 오염도보다 낮을 경우 전기집진장치(2)의 제2 살균 동작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공기 오염도가 기준 오염도보다 낮은 것은 집진 시트(210)에 입자들이 상대적으로 적게 포집된 것을 의미하므로, 균 증식 억제를 위한 제1 살균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살균 동작이 생략되므로 에너지 소비가 절감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을 카운트 할 수 있다.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은, 공기조화기(1)가 냉방 운전, 난방 운전 또는 공기 청정 운전을 수행한 누적 운전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에 도달하는 것에 기초하여 집진 시트(210)의 제2 살균 동작의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이 12시간에 도달하면, 제어부(400)는 집진 시트(210)의 제2 살균 동작을 위해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하거나, 집진 시트(210)의 제1 살균 동작과 제2 살균 동작의 순차적 수행을 위해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2)의 살균 동작은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전기집진장치(2)의 제2 살균 동작의 수행에 기초하여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을 리셋할 수 있다. 즉,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은 제2 살균 동작으로 진입 시 0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은 제2 살균 동작 이후 다음 집진 동작부터 다시 카운트 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 동작이 수행된 시간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집진 시트(210)를 살균함으로써 전기집진장치(2)의 청결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전극 온도 센서(520)는 집진 시트(210)의 제1 전극(240) 또는 제2 전극(250)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전극 온도 센서(520)는 제1 전극(240) 또는 제2 전극(250)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전극 온도 센서(520)는 측정된 온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극 온도 센서(520)는 제1 전극(240)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제1 전극 온도 센서(521) 또는 제2 전극(250)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제2 전극 온도 센서(52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 온도 센서(521)는 제1 전극(240)의 온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전극 온도 센서(522)는 제2 전극(250)의 온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극 온도 센서(520: 521, 522)는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 값이 변화하는 서미스터(thermistor)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외에도, 공기조화기(1)는 다양한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조화기(1)가 배치된 실내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유입구(12)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또는 전면 패널(40)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전극 온도 센서(520)에 의해 측정된 전극들(240, 250)의 온도가 집진 시트(210)의 제1 살균 동작에 관한 제1 한계 온도 또는 집진 시트(210)의 제2 살균 동작에 관한 제2 한계 온도에 도달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교류 전압의 인가를 중지하도록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집진장치(2)의 제1 살균 동작 시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은 30℃부터 50℃까지 범위 내의 제1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온도가 계속 증가하여 제1 온도보다 높은 제1 한계 온도까지 도달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면, 제1 살균 동작의 목적과 다른 결과가 발생할 수 있고,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살균 동작 시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온도가 제1 한계 온도에 도달하면, 제어부(400)는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교류 전압의 인가를 중지하도록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2)의 제2 살균 동작 시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은 50℃부터 80℃까지 범위 내의 제2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온도가 계속 증가하여 제2 온도보다 높은 제2 한계 온도까지 도달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온도가 제2 한계 온도를 초과하게 되면,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살균 동작 시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온도가 제2 한계 온도에 도달하면, 제어부(400)는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교류 전압의 인가를 중지하도록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전극 온도 센서(520)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인가되는 교류 전압을 조절하도록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400)는 전극 온도 센서(520)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거나 교류 전압의 인가를 중지하도록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인가되는 교류 전압의 크기가 조절될 수도 있다.
도 14에 도시된 공기조화기(1)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이외의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공기조화기(1)는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가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제1 살균 동작 시 집진 시트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 변화와 전극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t0 시점부터 t1 시점까지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 동작이 수행된다. 즉, 공기조화기(1)는 t0 시점부터 t1 시점까지 송풍팬(160)을 동작시키면서 냉방 운전, 난방 운전 또는 공기 청정 운전을 수행한다.
공기 중 입자들을 포집하는 집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400)는 대전 유닛(1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하고, 전기집진장치(2)에 포함된 집진 시트(210)의 제1 전극(240)에 직류 전압(Vdc)를 인가하도록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집진 시트(210)의 제2 전극(250)이 접지되도록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전위차가 발생하고, 전기장이 형성된다. 대전 유닛(100)에서 대전된 공기 중 입자들은 제2 전극(250)에 포집될 수 있다.
집진 동작이 수행되는 t0 시점부터 t1 시점까지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온도는 상온(ET0)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집진 동작 시에는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이 가열되지 않는다.
제어부(400)는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 동작이 종료된 후 전기집진장치(2)의 제1 살균 동작을 기본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t1 시점에, 공기조화기(1)의 냉방 운전, 난방 운전 또는 공기 청정 운전의 종료에 따라 송풍팬(160)이 정지되고,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 시트(210)를 살균하기 위한 제1 살균 동작이 시작될 수 있다. 제1 살균 동작은 제1 시간 동안(t1시점부터 t2시점까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t1 시점부터 t2 시점까지의 제1 시간은 10분일 수 있다. 제1 시간은 10분부터 30분까지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2)의 제1 살균 동작을 위해, 제어부(400)는 집진 시트(210)의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제1 교류 전압(Vac1)을 인가하도록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t1 시점부터 t2 시점까지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제1 교류 전압(Vac1)을 인가하고, t2 시점에 제1 교류 전압(Vac1)의 인가를 중지하도록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제1 교류 전압(Vac1)이 인가됨에 따라,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은 발열할 수 있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온도는 t1 시점부터 상승하여 제1 온도(ET1)에 도달할 수 있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온도는 t2 시점까지 제1 온도(ET1)로 유지될 수 있다. 제1 온도(ET1)는 예를 들면 30℃부터 50℃까지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t2 시점부터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음에 따라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온도는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t3 시점에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온도가 다시 상온(ET0)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집진장치(2)의 제1 살균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집진 시트(210)에 포집된 입자들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될 수 있고, 입자들에 포함된 균 증식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제1 살균 동작과 제2 살균 동작의 순차적 수행 시 집진 시트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 변화와 전극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t0 시점부터 t1 시점까지는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 동작이 수행된다. 즉, 공기조화기(1)는 t0 시점부터 t1 시점까지 송풍팬(160)을 동작시키면서 냉방 운전, 난방 운전 또는 공기 청정 운전을 수행한다. 제어부(400)는 공기조화기(1)가 운전하는 동안 전기집진장치(2)를 통과하는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도록 가스 센서(5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집진 시트(210)를 통과한 공기의 오염도 또는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기집진장치(2)의 제1 살균 동작 또는 제2 살균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t0 시점부터 t1 시점 사이에 측정된 공기의 오염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오염도 이상일 경우, 제어부(400)는 제1 살균 동작과 제2 살균 동작의 순차적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공기의 오염도가 기준 오염도 이상인 것은 집진 시트(210)에 유해 물질을 포함하는 입자들이 상대적으로 많이 포집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오염도가 높을 경우 제1 살균 동작으로 집진 시트(210)를 건조시킨 후 제2 살균 동작으로 집진 시트(210)를 강력하게 살균함으로써 집진 시트(210)를 청결하게 만들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 동작이 종료되는 t1 시점부터 전기집진장치(2)의 제1 살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t1 시점부터 t2 시점까지의 제1 시간 동안 집진 시트(210)의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제1 교류 전압(Vac1)을 인가하도록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은 발열하고,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온도는 t2 시점까지 제1 온도(ET1)로 유지될 수 있다. 제1 온도는 예를 들면 30℃부터 50℃까지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1 살균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집진 시트(210)에 포집된 입자들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될 수 있다.
t2 시점부터 t4 시점까지의 제2 시간 동안에는 전기집진장치(2)의 제2 살균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제2 시간은 제1 시간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제2 시간은 예를 들면 3분부터 5분까지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2 시간 동안 제1 교류 전압(Vac1)보다 높은 제2 교류 전압(Vac2)를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인가하도록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은 제2 시간 동안 제1 온도(ET1)보다 높은 제2 온도(ET2)로 가열될 수 있다. 제2 온도(ET2)는 예를 들면 50℃부터 80℃까지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2 살균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집진 시트(210)에 포집된 입자들에 포함된 유기물들의 단백질 변성이 일어나고, 그에 따라 집진 시트(210)가 살균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t4 시점부터 제2 교류 전압(Vac2)의 인가를 중지하도록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t4시점부터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음에 따라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온도는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t5 시점에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온도가 다시 상온(ET0)이 될 수 있다.
도 17은 전기집진장치에 의한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에 따라 제2 살균 동작을 수행할 경우 집진 시트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 변화와 전극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t0 시점부터 t6 시점까지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 동작이 수행된다. 즉, 공기조화기(1)는 t0 시점부터 t6 시점까지 송풍팬(160)을 동작시키면서 냉방 운전, 난방 운전 또는 공기 청정 운전을 수행한다. 제어부(400)는 전기집진장치(2)에 의한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Tc)을 확인할 수 있다.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Tc)은, 공기조화기(1)가 냉방 운전, 난방 운전 또는 공기 청정 운전을 수행한 누적 운전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누적 수행 시간(Tc)은 t0 시점 이전에 수행된 집진 동작의 수행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t6 시점까지 수행된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Tc)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에 도달하는 것에 기초하여 집진 시트(210)의 제2 살균 동작의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t6 시점까지 카운트 된 누적 수행 시간(Tc)이 12시간인 경우, 제어부(400)는 집진 시트(210)의 제2 살균 동작을 위해 t6시점 이후부터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제2 교류 전압(Vac2)을 인가하도록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는 t6 시점부터 t7 시점까지의 제2 시간 동안 제2 교류 전압(Vac2)이 인가될 수 있다. 제2 시간은 예를 들면 3분부터 5분까지 범위 내일 수 있다. 따라서 전기집진장치(2)의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은 제2 시간 동안 50℃부터 80℃까지 범위 내의 제2 온도(ET2)로 가열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t7 시점부터 제2 교류 전압(Vac2)의 인가를 중지하도록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t7시점부터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음에 따라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온도는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t8 시점에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온도가 다시 상온(ET0)이 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전기집진장치(2)의 제2 살균 동작의 수행에 기초하여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Tc)을 리셋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Tc)은 제2 살균 동작으로 진입하는 t6 시점에 0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Tc)은 제2 살균 동작 이후 다음 집진 동작부터 다시 카운트 될 수 있다. 즉, t8 시점부터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 동작이 다시 수행될 수 있고, 집진 동작을 위해 t8 시점부터 제1 전극(240)에 직류 전압(Vdc)이 다시 인가될 수 있다. 집진 동작은 t9 시점까지 수행될 수 있으며, 제어부(400)는 t8 시점부터 t9 시점까지 집진 동작의 수행 시간을 카운트한다. 제어부(400)는 t9 시점까지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Tc)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에 도달하면, t9 시점 이후부터 제2 살균 동작의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t9 시점부터 t10 시점까지 집진 시트(210)의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제2 교류 전압(Vac2)이 인가되고,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은 제2 온도(ET2)로 가열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t10 시점부터 제2 교류 전압(Vac2)의 인가를 중지하도록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집진장치(2)의 살균 동작은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Tc)에 따라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7에서 전기집진장치(2)의 제2 살균 동작이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예가 설명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400)는 t6 시점까지 수행된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Tc)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에 도달하는 것에 기초하여 집진 시트(210)의 제1 살균 동작과 제2 살균 동작의 순차적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도 16에서 설명된 제1 살균 동작과 제2 살균 동작이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Tc)에 따라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시트의 전극의 온도에 따라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이 조절되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어부(400)는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전극 온도 센서(520)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인가되는 교류 전압을 조절하도록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400)는 전극 온도 센서(520)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거나 교류 전압의 인가를 중지하도록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인가되는 교류 전압의 크기가 조절될 수도 있다.
제어부(400)는 전극 온도 센서(520)에 의해 측정된 전극들(240, 250)의 온도가 집진 시트(210)의 제1 살균 동작에 관한 제1 한계 온도 또는 집진 시트(210)의 제2 살균 동작에 관한 제2 한계 온도에 도달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교류 전압의 인가를 중지하도록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집진장치(2)의 제1 살균 동작 시, 집진 시트(210)의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은 제1 온도(ET1)로 가열될 수 있다. 그런데,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온도가 계속 상승하여 제1 온도(ET1)보다 높은 제1 한계 온도(ET_H)까지 도달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면, 제1 살균 동작의 목적과 다른 결과가 발생할 수 있고,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살균 동작 시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온도가 제1 한계 온도(ET_H)에 도달하면(ta 시점), 제어부(400)는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제1 교류 전압(Vac1)의 인가를 중지하도록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음에 따라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온도는 감소할 수 있다.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온도가 제1 온도(ET1)보다 낮은 하한 온도(ET_L)까지 내려가면(tb 시점), 제어부(400)는 다시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제1 교류 전압(Vac1)을 인가하도록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온도 변화에 기초하여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교류 전압의 인가를 조절함으로써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온도가 제1 온도(ET1)를 추종하도록 제1 교류 전압(Vac1)의 인가가 조절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2)의 제1 살균 동작에 관련된 제1 한계 온도(ET_H)와 하한 온도(ET_L)의 중간값은 제1 온도(ET1)가 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2)의 제2 살균 동작 시에도 도 18에서 설명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0은 공기 오염도에 따라 살균 동작을 수행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1은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에 따라 살균 동작을 수행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 입자들을 포집하기 위해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 동작은 공기조화기(1)가 냉방 모드, 난방 모드 또는 공기 청정 모드로 동작할 때 수행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의 제어부(400)는 공기 중 입자를 포집하는 집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전기집진장치(2)에 포함된 집진 시트(210)의 제1 전극(240)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도록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1901).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 동작 시 집진 시트(210)의 제2 전극(250)은 접지될 수 있다.
또한, 전기집진장치(2)에 포함된 집진 시트(210)를 살균하기 위한 전기집진장치(2)의 살균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의 제어부(400)는 집진 시트(210)의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도록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1902). 전술된 바와 같이, 제어부(400)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전기집진장치(2)의 제1 살균 동작 또는 제2 살균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 동작이 종료된 후 자동으로 전기집진장치(2)의 살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400)는 입력부(5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 또는 미리 정해진 스케줄에 기초하여 전기집진장치(2)의 살균 동작이 독립적으로 수행되도록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 동작이 종료된 후(2001), 집진 시트(210)를 통과한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도록 가스 센서(510)를 제어할 수 있다(2002).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어부(400)는 공기조화기(1)의 운전이 시작되면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도록 가스 센서(5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400)는 가스 센서(510)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오염도에 기초하여 집진 시트(210)를 살균하기 위한 제1 살균 동작 또는 제2 살균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가스 센서(510)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오염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오염도 미만인 것에 기초하여 제1 살균 동작의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공기 오염도가 기준 오염도보다 낮을 경우 전기집진장치(2)의 제2 살균 동작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2003, 2004). 제어부(400)는 가스 센서(510)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오염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오염도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제1 살균 동작과 제2 살균 동작의 순차적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2003, 2005).
도 21을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 동작이 수행되도록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하고(2101),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2102).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은, 공기조화기(1)가 냉방 운전, 난방 운전 또는 공기 청정 운전을 수행한 누적 운전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에 도달하는 것에 기초하여 집진 시트(210)의 제2 살균 동작의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집진 시트(210)의 제2 살균 동작을 위해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하거나, 집진 시트(210)의 제1 살균 동작과 제2 살균 동작의 순차적 수행을 위해 전원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2103, 2104).
또한, 제어부(400)는 전기집진장치(2)의 제2 살균 동작의 수행에 기초하여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을 리셋할 수 있다(2105). 즉,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은 제2 살균 동작으로 진입 시 0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은 제2 살균 동작 이후 다음 집진 동작부터 다시 카운트 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2)의 집진 동작이 수행된 시간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집진 시트(210)를 살균함으로써 전기집진장치(2)의 청결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시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은, 전기집진장치에 포함되는 집진 시트의 전극들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전기집진장치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개시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은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살균 동작들을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전기집진장치의 청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전기집진장치 100; 대전 유닛
200: 집진 유닛 210; 집진시트
240; 제1 전극 250; 제2 전극
260; 제1 시트 270; 제2 시트
300: 전원 공급부
400; 제어부

Claims (20)

  1.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마주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고, 공기 중 입자를 포집하도록 마련되는 집진 시트;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자를 포집하는 집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 전극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미리 정해진 제1 온도로 제1 시간 동안 가열하는 제1 살균 동작 또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로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제2 시간 동안 가열하는 제2 살균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살균 동작 또는 상기 제2 살균 동작을 위한 교류 전압을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인가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시트를 통과한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가스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공기의 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살균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공기의 오염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오염도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살균 동작과 상기 제2 살균 동작의 순차적 수행을 결정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을 카운트 하고,
    상기 누적 수행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에 도달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살균 동작의 수행을 결정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살균 동작의 수행에 기초하여 상기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을 리셋 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에 도달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살균 동작의 수행 후 상기 제2 살균 동작의 수행을 결정하는 공기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전극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온도가 상기 제1 살균 동작에 관한 제1 한계 온도 또는 상기 제2 살균 동작에 관한 제2 한계 온도에 도달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교류 전압의 인가를 중지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온도 센서는
    상기 제1 전극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전극 온도 센서 또는 상기 제2 전극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전극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살균 동작 시 상기 직류 전압의 크기보다 작은 실효값을 갖는 제1 교류 전압을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인가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살균 동작 시 상기 제1 교류 전압보다 높고 상기 직류 전압의 크기보다 작은 실효값을 갖는 제2 교류 전압을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인가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시트는
    상기 제1 전극의 일 단과 연결되고, 상기 직류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전원 연결부;
    상기 제2 전극의 일 단과 연결되고, 접지되는 제2 전원 연결부;
    상기 제2 전극의 타 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을 상기 제1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제1 교류 전압 또는 상기 제2 전극을 상기 제2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제2 교류 전압이 인가되는 제3 전원 연결부; 및
    상기 제1 전극의 타 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전극을 상기 제1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제1 교류 전압 또는 상기 제1 전극을 상기 제2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제2 교류 전압이 인가되는 제4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1 전극의 길이 방향인 제1 방향과 직교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집진 시트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집진 시트의 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전원 연결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4 전원 연결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전원 연결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2.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마주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집진 시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공기 중 입자를 포집하는 집진 동작을 위해 상기 제1 전극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미리 정해진 제1 온도로 제1 시간 동안 가열하는 제1 살균 동작 또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로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제2 시간 동안 가열하는 제2 살균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살균 동작 또는 상기 제2 살균 동작을 위한 교류 전압을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인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것은,
    가스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집진 시트를 통과한 공기의 오염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살균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것은,
    상기 측정된 공기의 오염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오염도 미만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살균 동작의 수행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것은,
    상기 측정된 공기의 오염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오염도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살균 동작과 상기 제2 살균 동작의 순차적 수행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것은,
    상기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을 카운트 하고;
    상기 누적 수행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에 도달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살균 동작의 수행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은
    상기 제2 살균 동작의 수행에 기초하여 리셋 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것은
    상기 집진 동작의 누적 수행 시간을 카운트 하고;
    상기 누적 수행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에 도달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살균 동작의 수행 후 상기 제2 살균 동작의 수행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온도가 상기 제1 살균 동작에 관한 제1 한계 온도 또는 상기 제2 살균 동작에 관한 제2 한계 온도에 도달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교류 전압의 인가를 중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것은,
    상기 제1 살균 동작 시 상기 직류 전압의 크기보다 작은 실효값을 갖는 제1 교류 전압을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인가하고;
    상기 제2 살균 동작 시 상기 제1 교류 전압보다 높고 상기 직류 전압의 크기보다 작은 실효값을 갖는 제2 교류 전압을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인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20210172824A 2021-12-06 2021-12-06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84779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824A KR20230084779A (ko) 2021-12-06 2021-12-06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2/014580 WO2023106579A1 (ko) 2021-12-06 2022-09-28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N202280052690.8A CN117751262A (zh) 2021-12-06 2022-09-28 空气调节器及其控制方法
EP22904413.6A EP4357684A1 (en) 2021-12-06 2022-09-28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7/994,802 US20230175718A1 (en) 2021-12-06 2022-11-28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824A KR20230084779A (ko) 2021-12-06 2021-12-06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4779A true KR20230084779A (ko) 2023-06-13

Family

ID=86730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824A KR20230084779A (ko) 2021-12-06 2021-12-06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84779A (ko)
WO (1) WO202310657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7045B2 (ja) * 1999-11-26 2006-07-12 三菱電機株式会社 集菌殺菌装置
JP2002177816A (ja) * 2000-12-11 2002-06-25 Diamond Electric Mfg Co Ltd 空気清浄機
WO2015040910A1 (ja) * 2013-09-18 2015-03-26 三菱電機株式会社 加湿装置、及び加湿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KR102336514B1 (ko) * 2017-03-06 2021-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및 집진유닛의 제조방법
JP7205135B2 (ja) * 2018-09-25 2023-01-17 富士電機株式会社 電気集塵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6579A1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6514B1 (ko) 전기집진장치 및 집진유닛의 제조방법
JP4657168B2 (ja) 空気処理装置
KR20210061317A (ko) 공기조화장치
KR10208582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US20060278074A1 (en) Electrostatic air purifier with a laterally removable collection grid module
JP2010007871A (ja) 換気装置
EP3666383B1 (en) Electrical appliance with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device using carbon fiber
JP6409979B2 (ja) 放電装置、空気清浄機、及び換気装置
JP2015016405A (ja) 空気清浄ユニット
KR2023008477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EP4357684A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129335A (ko)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
KR102200401B1 (ko) 공기조화장치
JP5817776B2 (ja) 電界生成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空気清浄機、送風機
US20230097963A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40039537A (ko)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US20240139758A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043449A (ko) 전기집진장치 및 전기집진장치의 제어방법
JP6508356B2 (ja) 放電デバイス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2017090040A (ja) 微生物抑制用空気調和システム
KR20200073964A (ko) 탄소섬유를 이용한 정전집진장치를 구비한 가전기기
JP6269704B2 (ja) 放電電界生成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空気清浄機並びに送風機
JP2015016413A (ja) 空気清浄ユニット
JP6508363B2 (ja) 空気清浄装置
US20230149948A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