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335A -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335A
KR20190129335A KR1020180053813A KR20180053813A KR20190129335A KR 20190129335 A KR20190129335 A KR 20190129335A KR 1020180053813 A KR1020180053813 A KR 1020180053813A KR 20180053813 A KR20180053813 A KR 20180053813A KR 20190129335 A KR20190129335 A KR 20190129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air cleaner
area
information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1703B1 (ko
Inventor
김학준
김용진
한방우
우창규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53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703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3/166
    • F24F2003/168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는 공기 청정기 내에 배치되어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센서, 공기 청정기의 정격전용면적 값 또는 청정화 능력지수 값과 먼지 센서가 측정한 먼지 농도의 값을 이용하여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에 관한 정보를 계산하는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AIR CLEANER CALCULATING INFORMATION FOR ITS USED SPACE}
본 발명은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실내 공간의 넓이 또는 부피에 관한 정보를 자동으로 구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구한 정보에 따라서 공기 청정기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대기오염 및 건물 에너지 효율 향상 등의 이유로 실내를 외부 환경과 차단시키는 경우가 늘어나는데, 실내에서 발생된 오염 공기가 외부 공기와의 교환 없이 실내에서 계속 순환하면 장시간 실내 활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치명적인 질병 발생을 초래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외부환경과 차단되어 실내 오염물질의 외부배출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실내오염의 저감을 위해 공기 청정기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실내의 공기를 송풍에 의해 강제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 내의 오염물질, 미세분진 등을 필터링 하여 청결해진 공기만을 토출구로 배출하는 공기정화 기기이다.
이러한 공기 청정기는 청정 능력에 따라서 소형, 중형, 대형으로 나뉠 수가 있는데, 제품이 출시되기 전에 공기 청정기의 성능 테스트인 청정화능력 시험을 거쳐 정격전용면적이 표시되어 출시된다.
각 공기 청정기마다 정격전용면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정격전용면적보다 훨씬 큰 공간에서 공기 청정기를 사용하여 공기 청정 효율을 떨어뜨리거나, 정격전용면적보다 훨씬 작은 공간에서 공기 청정기를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높은 전력으로 공기 청정기를 가동하여 전력을 낭비하기도 한다. 또한, 정격전용면적과 유사한 면적의 공간에서 공기 청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가구 등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물품들에 의해 실제 공기 청정기가 작동하는 공간의 크기가 사용자가 생각하는 것과 큰 차이를 가지기도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8736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먼지 센서로부터 측정한 먼지 농도 값을 이용하여 공기 청정기가 실제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에 관한 정보를 구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구한 정보에 따라서 공기 청정기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하여 공기 청정기의 사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공기 청정기 내에 배치되어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센서; 상기 공기 청정기의 정격전용면적(
Figure pat00001
) 값 또는 청정화 능력지수(
Figure pat00002
) 값과 상기 먼지 센서가 측정한 먼지 농도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에 관한 정보를 계산하는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를 포함하는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에 의해 달성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는 공기 청정기의 청정화 능력지수(
Figure pat00003
)를 구하는 식
Figure pat00004
에서, 상기 먼지 농도 센서로부터 측정한 제 1 농도값(
Figure pat00005
)과 상기 제 1 농도값(
Figure pat00006
)을 측정하고 일정 시간(
Figure pat00007
) 경과 후에 측정한 제 2 농도값(
Figure pat00008
)과 상기 청정화 능력지수(
Figure pat00009
)를 대입하여, 상기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에 관한 정보를 계산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는
Figure pat00010
식으로부터 상기 정격전용면적(
Figure pat00011
) 값으로 청정화 능력지수(
Figure pat00012
) 값을 구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가 구한 상기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 신호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가 구한 상기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상기 공기 청정기의 공기 청정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청정기의 정격전용면적(
Figure pat00013
) 값과 상기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가 구한 상기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에 관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공기 청정기의 공기 청정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청정기 내부에서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거나 전기 집진 방식의 상기 공기 청정기 내부의 집진판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 입자를 하전시키기 위한 이온을 발생하는 이온 발생부; 상기 이온에 의해 하전된 입자를 전기적인 힘으로 집진시키는 집진부; 상기 하우징 내외부에서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팬;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센서; 및 공기 청정기의 정격전용면적(
Figure pat00014
) 값 또는 청정화 능력지수(
Figure pat00015
) 값과 상기 먼지 센서가 측정한 먼지 농도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에 관한 정보를 계산하는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를 포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이온 발생부에서 발생된 이온은 상기 하우징 바깥으로 분사되고, 상기 하우징 바깥에서 상기 이온에 의해 하전된 입자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집진부에서 집진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이온 발생부의 방전극은 상기 하우징 바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
여기서, 상기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가 구한 상기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 신호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가 구한 상기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상기 팬의 회전속도 또는 상기 집진부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청정기의 정격전용면적(
Figure pat00016
) 값과 상기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가 구한 상기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에 과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팬의 회전속도 또는 상기 집진부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 청정기의 정격전용면적(
Figure pat00017
) 값 보다 상기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가 구한 상기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이 큰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의 회전속도를 높이거나 상기 집진부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높이도록 제어하고, 상기 공기 청정기의 정격전용면적(
Figure pat00018
) 값 보다 상기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가 구한 상기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이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의 회전속도를 낮추거나 상기 집진부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낮추도록 제어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집진부는 판상의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이 제 1 간격으로 복수 개로 서로 반복되도록 형성되는 제 1 집진부와 판상의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이 제 2 간격으로 복수 개로 서로 반복되도록 형성되는 제 2 집진부로 형성되는데, 상기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가 구한 상기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 1 집진부 또는 상기 제 2 집진부에 인가되는 전압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에 따르면 먼지 센서로부터 측정한 먼지 농도 값을 이용하여 공기 청정기가 실제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에 관한 정보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공기 청정기를 최적의 성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집진부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이다.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는 먼지 센서 및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가 있다. 또한, 알림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먼지 센서는 공기 청정기에 장착되어 공기 청정기가 위치하는 공간의 먼지 농도를 측정한다. 이때, 먼지 센서는 빛을 조사하고 입자에 의해 산란된 빛을 수신하여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광학식 먼지 센서, 입자에 의해 전극 사이의 저항 변화를 감지하여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저항식 먼지 센서 등 센싱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모든 종류의 먼지 센서를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도면을 참조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전기 집진 방식의 공기 청정기 일 수가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터 방식의 공기 청정기 및 다른 타입의 공기 청정기에도 적용되어 사용될 수가 있다.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는 먼지 센서가 측정한 먼지 농도 값을 이용하여 공기 청정기가 실제 사용되고 있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에 관한 정보를 계산한다.
공기 청정기는 제품으로 출시되기 전에 공기 청정기의 성능 테스트인 청정화능력 시험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청정화 능력지수 또는 정격전용면적을 표시하며 판매가 된다. 이때, 청정화능력은 다음의 수학식 1으로 산출되는데,
Figure pat00019
<수학식 1>
여기서,
Figure pat00020
는 청정화 능력지수이고,
Figure pat00021
는 시험이 수행되는 공간의 부피,
Figure pat00022
는 초기 먼지 농도,
Figure pat00023
는 시간
Figure pat00024
에서의 먼지 농도이다.
이때, 정격적용면적은 공기 청정기 표준에 따라 공기 청정기를 10분 동안 가동시켜서 실내의 입자 농도를 초기 입자 농도의 50%로 낮출 수 있는 실내의 면적으로 정의한다. 이때, 실내의 천장 높이는 2.4m를 기준으로 산출하는데, 상기 청정화능력에 관한 식에 적용하면, 정격전용면적(
Figure pat00025
)(단위 m2)은
Figure pat00026
의 식으로 구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청정화능력 시험을 통해 제품의 청정 성능을 나타내는 청정화 능력지수 또는 정격전용면적을 구할 수가 있다.
따라서, 청정화 능력지수(
Figure pat00027
)는 공기 청정기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성능값이고, 일정한 시간 간격(
Figure pat00028
)을 두고 먼지 농도(
Figure pat00029
,
Figure pat00030
)를 측정하여 상기 수학식 1에 대입하면,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고 있는 공간의 부피(
Figure pat00031
) 또는 면적(표준의 천장 높이 2.4를 적용하여)을 구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는 공기 청정기가 출시되기 전에 청정화능력 시험을 통해 미리 구한 정격전용면적 값 또는 청정화 능력지수 값과 실제 공기 청정기를 작동시키며 소정의 시간 간격(
Figure pat00032
)으로 먼지 센서를 통해 측정한 먼지 농도의 값(
Figure pat00033
,
Figure pat00034
)을 상기 수학식 1에 대입함으로써, 공기 청정기가 실제 사용되고 있는 공간의 부피 또는 면적에 관한 정보를 계산할 수가 있다.
알림부는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가 구한 공기 청정기가 실제 사용되고 있는 공간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 신호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예를 들어, 공기 청정기의 본체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형성하여 공기 청정기가 실제 사용되고 있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를 표시하거나, 정격전용면적과 비교하여 표시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이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수가 있다. 또한, 이를 음성 메세지나 알람 등의 방법으로 청각적으로 이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가 구한 공기 청정기가 실제 사용되고 있는 공간의 부피 또는 면적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공기 청정기의 청정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공기 청정기의 정격전용면적 값과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가 구한 공기 청정기가 실제 사용되고 있는 공간의 면적과 비교하여 공기 청정기의 청정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공기 청정기의 정격전용면적 값 보다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가 구한 면적의 값이 더 큰 경우, 공기 청정기 내부에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의 회전 속도를 높이거나 전기 집진 방식의 공기 청정기에서 집진부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높이도록 제어하여 공기 청정기의 공기 청정력을 높이도록 제어할 수가 있다. 공기 청정기가 가지는 정격전용면적보다 더 넓은 면적에서 실제 사용하고 있으므로, 공기 청정기의 공기 청정기의 공기 청정력을 높여 동작시킴으로써 좀 더 빠른 시간 안에 실내 공기를 청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정격전용면적 값과 비교하여 사용공간 정보 계산무가 구한 면적의 값이 상대적으로 너무 큰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공기 청정기의 공기 청정력을 높여 동작시킨다고 하더라도 실내 공기를 청정시키는 데 한계가 발생할 수가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알림부를 통해 현재 공기 청정기가 적정의 공간에 배치되어 사용되지 않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반대로 공기 청정기의 정격전용면적 값 보다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가 구한 면적의 값이 더 작은 경우에는 팬의 회전 속도를 낮추거나 집진부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낮추도록 제어하여 공기 청정기의 공기 청정력을 다소 낮추되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줄이도록 제어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의 집진부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이다.
하우징(100)은 공기 청정기의 메인 프레임 역할을 하고, 내부에 후술하는 이온 발생부(110), 집진부(120), 팬(130), 먼지 센서(140) 등의 구성 부품을 내부에 수용하거나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공기 청정기의 전원, 풍량, 동작 모드 등을 제어하는 동작 버튼(105)이 형성될 수가 있으며, 사용자에게 공기 청정기가 제공하는 정보를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106)가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오염된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구(104)가 형성될 수가 있으며, 하우징(100)의 측면 상부의 둘레를 따라서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02)가 형성될 수가 있다.
이온 발생부(110)는 먼지와 같은 입자상 물질이 극성을 가지도록 하전시키는 이온을 발생시킨다. 이때, 이온 발생부(110)는 극세사 방전극(110)으로 형성되어, 고전압에 의해 양 이온 또는 음 이온을 발생시키며, 이를 하우징(100) 바깥으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하우징(100) 바깥의 실내 공간의 먼지 입자들은 이온 발생부(110)에서 발생된 이온에 의해 음극 또는 양극으로 하전될 수가 있다. 극세사 방전극(110)은 탄소 섬유 또는 써스(SUS) 재질로 이루어진 극세사로 구성될 수가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극에 고정안이 인가되었을 때 고농도의 이온이 발생할 수가 있고 오존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이온 발생부(110)를 구성하며 이온을 발생시키는 방전극(11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하우징(100) 바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전극(110)이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하고 소정의 토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하는 경우 하우징(100) 내부에서 이온이 소멸되어 많은 양의 이온이 실내 공간의 대기 중으로 배출되지 않는다는 것을 실험으로 확인할 수가 있었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방전극(120)을 하우징(100) 바깥으로 돌출 형성하여 많은 양의 이온을 외부로 퍼져 나가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간의 대기 중에 있는 먼지입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전시킬 수가 있다. 도면에서는 하우징(100)의 일측에만 이온 발생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둘레를 따라 다른 측면에도 이온 발생부(110)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팬(130)은 하우징(100) 내외에서의 공기의 유동을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하우징(100) 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실내 공간의 공기를 하우징(100) 아래의 유입구(104)를 통해 유입시키고, 집진부(120)를 거쳐 하우징(100)에 형성된 토출구(102)를 통해 배출시키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온 발생부(110)에 의해 실내 공간의 대기 중으로 방사되는 이온들은 실내 공간의 입자들을 하전시키고, 하전된 입자들은 팬(130)이 형성하는 공기의 유동에 의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어 필터(150) 및 집진부(120)를 거쳐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는 토출구(102)를 통해 배출될 수가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비교적 입자의 크기가 큰 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150) 또는 악취의 제거를 위한 기능성 필터(150) 등이 장착될 수가 있고, 필터(150)의 상부에는 이온에 의해 하전된 입자를 전기적인 힘으로 집진시키는 집진부(120)가 형성된다.
집진부(12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 1 전극(121)과 제 2 전극(122)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켜, 양 또는 음으로 하전된 입자를 반대의 극성을 가지는 전극으로 전기장의 힘에 의해 유도하여 집진시킨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제 1 전극(121)과 제 2 전극(122)을 하전된 입자의 이동 경로와 평행하게 서로 반복되도록 형성하여 집진 효율을 더욱 높일 수가 있다.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미도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 청정기의 정격전용면적 값 또는 청정화 능력지수 값과, 먼지 센서(140)가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측정한 먼지 농도 값을 이용하여 공기 청정기가 실제 사용되고 있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에 관한 정보를 계산한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미도시)는 공기 청정기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 청정기의 정격전용면적 값과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가 구한 공기 청정기가 실제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에 관한 정보를 비교하여 팬(130)의 회전속도 또는 집진부(12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가 있다.
도 3 및 도 4는 전술한 집진부(120)의 변형례를 도시하는데, 집진부(120)는 판상의 제 1 전극(121)과 제 2 전극(122)이 복수 개로 서로 반복되도록 배치되는 제 1 집진부(120a)와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제 1 집진부(120a)와 이웃하는 공간에 제 1 집진부(120a)와 같은 형태로 제 1 전극(121)과 제 2 전극(122)이 복수 개로 서로 반복되도록 배치되는 제 2 집진부(120b)로 구성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집진부(120a)와 제 2 집진부(120b)에서 제 1 전극(121)과 제 2 전극(122) 사이의 간격의 폭은 서로 다를 수가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하부에 위치하는 제 1 집진부(120a)에서 두 전극(121, 122) 사이의 간격은 제 2 집진부(120b)에서 두 전극(121, 122) 사이의 간격과 비교하여 간격의 크기가 크게 형성할 수가 있다.
극성이 다른 두 전극(121, 122) 사이의 전기장의 크기는 전압의 크기에 비례하고 두 전극(121, 122)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하는데, 따라서 두 전극(121, 122) 사이의 거리가 좁으면 좁을수록 집진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미도시)는 공기 청정기의 정격전용면적 값과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가 구한 공기 청정기가 실제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에 관한 정보를 비교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팬(130)의 회전속도 또는 집진부(120)에 인가되는 전압이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 1 집진부(120a) 또는 제 2 집진부(120b)에 인가되는 전압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청정기의 정격전용면적 값과 비교하여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가 구한 공기 청정기가 실제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이 큰 경우에는, 제어부는 집진력이 큰 제 2 집진부(120b)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시키고 제 1 집진부(120a)에 인가되는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제 1 집진부(120a)와 제 2 집진부(120b)에 인가되는 전원을 모두 온시켜 하전된 입자를 집진시키도록 하여 집진력을 높일 수가 있다. 반대로, 공기 청정기의 정격전용면적 값과 비교하여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가 구한 공기 청정기가 실제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이 작은 경우에는, 제어부는 제 2 집진부(120b)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집진력이 약한 제 1 집진부(120a)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시키고 제 2 집진부(120b)에 인가되는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하여 전력을 소비하며 최소화하며 집진을 수행하도록 제어부는 공기 청정기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가 있다. 참고로, 도 4에서는 제 1 집진부(120a)에만 전원을 인가시켜 제 1 집진부(120a)에 하전된 입자를 집신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하우징 102: 토출구
104: 유입구 105: 동작 버튼
106: 디스플레이 장치 110: 이온 발생부, 방전극
120: 집진부 121: 제 1 전극
122: 제 2 전극 130: 팬
140: 먼지 센서 150: 필터

Claims (15)

  1. 공기 청정기 내에 배치되어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센서;
    상기 공기 청정기의 정격전용면적(
    Figure pat00035
    ) 값 또는 청정화 능력지수(
    Figure pat00036
    ) 값과 상기 먼지 센서가 측정한 먼지 농도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에 관한 정보를 계산하는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를 포함하는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는
    공기 청정기의 청정화 능력지수(
    Figure pat00037
    )를 구하는 식
    Figure pat00038
    에서, 상기 먼지 농도 센서로부터 측정한 제 1 농도값(
    Figure pat00039
    )과 상기 제 1 농도값(
    Figure pat00040
    )을 측정하고 일정 시간(
    Figure pat00041
    ) 경과 후에 측정한 제 2 농도값(
    Figure pat00042
    )과 상기 청정화 능력지수(
    Figure pat00043
    )를 대입하여, 상기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에 관한 정보를 계산하는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는
    Figure pat00044
    식으로부터 상기 정격전용면적(
    Figure pat00045
    ) 값으로 청정화 능력지수(
    Figure pat00046
    ) 값을 구하는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가 구한 상기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 신호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가 구한 상기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상기 공기 청정기의 공기 청정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청정기의 정격전용면적(
    Figure pat00047
    ) 값과 상기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가 구한 상기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에 관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공기 청정기의 공기 청정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청정기 내부에서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거나 전기 집진 방식의 상기 공기 청정기 내부의 집진판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
  8. 하우징;
    입자를 하전시키기 위한 이온을 발생하는 이온 발생부;
    상기 이온에 의해 하전된 입자를 전기적인 힘으로 집진시키는 집진부;
    상기 하우징 내외부에서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팬;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센서; 및
    공기 청정기의 정격전용면적(
    Figure pat00048
    ) 값 또는 청정화 능력지수(
    Figure pat00049
    ) 값과 상기 먼지 센서가 측정한 먼지 농도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에 관한 정보를 계산하는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를 포함하는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부에서 발생된 이온은 상기 하우징 바깥으로 분사되고, 상기 하우징 바깥에서 상기 이온에 의해 하전된 입자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집진부에서 집진되는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부의 방전극은 상기 하우징 바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가 구한 상기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 신호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가 구한 상기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상기 팬의 회전속도 또는 상기 집진부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청정기의 정격전용면적(
    Figure pat00050
    ) 값과 상기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가 구한 상기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에 과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팬의 회전속도 또는 상기 집진부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기의 정격전용면적(
    Figure pat00051
    ) 값 보다 상기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가 구한 상기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이 큰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의 회전속도를 높이거나 상기 집진부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높이도록 제어하고, 상기 공기 청정기의 정격전용면적(
    Figure pat00052
    ) 값 보다 상기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가 구한 상기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이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의 회전속도를 낮추거나 상기 집진부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낮추도록 제어하는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판상의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이 제 1 간격으로 복수 개로 서로 반복되도록 형성되는 제 1 집진부와 판상의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이 제 2 간격으로 복수 개로 서로 반복되도록 형성되는 제 2 집진부로 형성되는데,
    상기 사용공간 정보 계산부가 구한 상기 공기 청정기가 사용되는 공간의 면적 또는 부피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 1 집진부 또는 상기 제 2 집진부에 인가되는 전압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
KR1020180053813A 2018-05-10 2018-05-10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 KR102171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813A KR102171703B1 (ko) 2018-05-10 2018-05-10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813A KR102171703B1 (ko) 2018-05-10 2018-05-10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335A true KR20190129335A (ko) 2019-11-20
KR102171703B1 KR102171703B1 (ko) 2020-10-30

Family

ID=68729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813A KR102171703B1 (ko) 2018-05-10 2018-05-10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7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32926A (zh) * 2020-09-01 2020-12-04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空调滤网更换提醒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288426B1 (ko) * 2021-01-21 2021-08-12 주식회사 리벤츠 공기질 관리기, 이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의 방법
KR20210138196A (ko) * 2020-05-11 2021-11-19 주식회사 올테크코리아 옷장용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9618A (ko) * 1992-10-28 1994-05-20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20040107263A (ko) * 2003-06-13 2004-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정화기 제어가 가능한 티브이 및 그 제어 방법
JP2006017343A (ja) * 2004-06-30 2006-0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清浄機
KR101778736B1 (ko) 2016-09-29 2017-09-14 주식회사 미지에너텍 공기 청정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9618A (ko) * 1992-10-28 1994-05-20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20040107263A (ko) * 2003-06-13 2004-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정화기 제어가 가능한 티브이 및 그 제어 방법
JP2006017343A (ja) * 2004-06-30 2006-0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清浄機
KR101778736B1 (ko) 2016-09-29 2017-09-14 주식회사 미지에너텍 공기 청정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8196A (ko) * 2020-05-11 2021-11-19 주식회사 올테크코리아 옷장용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CN112032926A (zh) * 2020-09-01 2020-12-04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空调滤网更换提醒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288426B1 (ko) * 2021-01-21 2021-08-12 주식회사 리벤츠 공기질 관리기, 이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703B1 (ko) 2020-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7996B1 (ko) 분리형 공기정화장치
KR102171703B1 (ko) 사용공간 정보를 구하는 공기 청정기
CN203183842U (zh) 一种具有颗粒传感器的空气净化器
WO2007145330A1 (ja) 集塵装置
JP7199353B2 (ja) 静電粒子フィルタリング
US10518272B2 (en) Air cleaner
KR101957095B1 (ko) 전기집진 기능을 갖는 소형 공기청정기
KR20200056092A (ko) 공기 청정기 및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KR20180043561A (ko) 정전기 에어필터
KR102219778B1 (ko) 자동세척형 전기집진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정화기
KR102024565B1 (ko) 먼지 측정 장치 및 방법
JPS61209062A (ja) 多段集塵ユニツトを有する電気集塵装置
JP2628531B2 (ja) 粉塵濃度検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清浄機
JP2006116492A (ja) 空気清浄装置
CN103586130B (zh) 静电空气净化装置
JP5817776B2 (ja) 電界生成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空気清浄機、送風機
KR102305801B1 (ko) 공기정화기
JP6508356B2 (ja) 放電デバイス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2020157195A (ja) 空気清浄装置
JP3155955B2 (ja) 空気清浄装置
KR20240039537A (ko)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89342B1 (ko) 유전영동 방식의 입자분리모듈이 구비된 집진장치
JP2015182000A (ja) 空気浄化装置
KR20220049688A (ko)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실내외 공기질 데이터 센싱을 기반으로 한 지능형 집진기와 환기시스템
JPH0633936Y2 (ja) 空気清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