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562A - 비데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비데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8562A
KR20240058562A KR1020220139432A KR20220139432A KR20240058562A KR 20240058562 A KR20240058562 A KR 20240058562A KR 1020220139432 A KR1020220139432 A KR 1020220139432A KR 20220139432 A KR20220139432 A KR 20220139432A KR 20240058562 A KR20240058562 A KR 20240058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bidet
input unit
function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9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우
이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to KR1020220139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8562A/ko
Publication of KR20240058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85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데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비데 조작부를 세정에 관련한 비데 기능 제어의 비접촉 입력부와 비세정에 관련한 비데 기능 제어의 접촉 입력부로 구성하면서 비접촉 입력부와 접촉 입력부에 의한 비데 기능이 사용자 착좌 여부에 따라 제어되도록 구성한 것이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비데 기능 사용에 대한 인체공학적 최적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관계없이 이루어지는 비접촉 입력부 또는 접촉 입력부의 입력 오류에 따른 비데 기능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비데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Bidet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비데(Bidet)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데의 조작부에 접촉 입력부와 비접촉 입력부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비데 기능 사용에 대한 인체공학적 최적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변좌로의 사용자 착좌 여부로 접촉 입력부와 비접촉 입력부의 입력 오류에 따른 비데 기능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비데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는 세정 변좌를 일컫는 것으로 호텔, 여관 등의 숙박업소는 물론 일반 가정내 배변 설비인 좌변기에 설치되어 용변 후 적정 수압의 세정수로 항문 또는 국부와 그 주변을 세정함으로써, 휴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뒷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일종의 위생 설비이다.
상기 비데는 세정수를 공급받아 일정온도로 가열/저장하는 온수탱크, 상기 온수탱크로부터 세정수를 공급받아 사용자의 항문 또는 국부를 세정하는 노즐 어셈블리, 상기 노즐 어셈블리를 전후로 동작시키는 구동장치 등이 수용되는 본체, 그리고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대부분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비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따라 선호하는 세정수의 분사 위치와 수압은 다양할 수 있고, 조작부에 형성되는 입력부의 조작으로 각각의 사용자가 원하는 분사 위치와 수압의 미세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종래에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3554호에서와 같이, 조작부의 측면에 비접촉 방식의 입력부로서 모션센서(적외선 센서)를 적용하면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움직임에 따라 노즐의 위치 또는 밸브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세정수의 분사 위치 또는 수압을 미세 조정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특허는 사용자가 일일이 기능 제어를 위한 모션을 기억해야 하는 단점과 사용자가 정확한 모션을 제공하지 않으면 비데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선행특허는 조작부 측면에 배치한 비접촉 입력부인 상기 모션센서를 습기 또는 물로 이루어진 수분으로부터 보호하는 구조가 적용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오작동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비데가 설치되는 욕실 환경은 항상 수분(습기 또는 물)에 노출될 수 밖에 없지만, 상기 선행특허에서 설명하는 조작부의 측면에 배치되는 상기 모션센서는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는 관계로 수분의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으며, 이에따라 상기 모션센서에서는 손 동작 등의 모션 감지에 오류가 발생하면서 비데 기능이 오작동되거나 또는 수분 접촉을 모션으로 감지하면서 비데 기능이 오작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3554호(공개일 2016.06.2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데 조작부를 세정에 관련한 비데 기능 제어의 비접촉 입력부와 비세정에 관련한 비데 기능 제어의 접촉 입력부로 구성하면서 비접촉 입력부와 접촉 입력부에 의한 비데 기능이 사용자 착좌 여부에 따라 제어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비데 기능 사용에 대한 인체공학적 최적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관계없이 이루어지는 비접촉 입력부 또는 접촉 입력부의 입력 오류에 따른 비데 기능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비데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비데 제어장치는, 변좌와 변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비데 본체에 조작부를 구성하되,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비데 본체의 제 1 비데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비접촉 입력부; 상기 비데 본체의 제 2 비데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접촉 입력부; 상기 비접촉 입력부의 비접촉 조작 여부를 검출하는 비접촉 검출센서; 및, 상기 접촉 입력부의 접촉 조작 여부를 검출하는 접촉 검출센서; 를 구성하고, 상기 비접촉 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비접촉 입력부의 비접촉 조작에 따른 제 1 비데 기능 작동 또는 상기 접촉 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접촉 입력부의 접촉 조작에 따른 제 2 비데 기능 작동은 착좌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변좌로의 사용자 착좌 여부에 따라 비데 메인 마이컴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비데 기능은 세정 작동 기능이고, 상기 제 2 비데 기능은 세정 작동 기능을 제외한 비세정 작동 기능인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작부에 수용되는 상기 기판에는 상기 비접촉 검출센서 및 상기 접촉 검출센서와 직렬 통신하면서 상기 비접촉 검출센서 또는 상기 접촉 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신호를 상기 비데 메인 마이컴으로 전송하는 조작부 제어용 마이컴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비데 메인 마이컴은 상기 조작부 제어용 마이컴과 직렬 통신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작부에는 표시부를 형성하되, 상기 조작부 제어용 마이컴은 상기 비접촉 검출센서 또는 상기 접촉 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점등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결합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기판이 수용되며, 상기 기판에는 상기 비접촉 입력부와 상기 접촉 입력부가 분할 배치되고, 분할 배치되는 상기 비접촉 입력부에는 상기 비접촉 검출센서, 그리고 분할 배치되는 상기 접촉 입력부에는 상기 접촉 검출센서가 접속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의 평면은 상기 비접촉 입력부와 상기 접촉 입력부에 각각 매칭되는 비접촉 영역과 접촉 영역으로 분할하되, 상기 비접촉 영역은 상기 비접촉 입력부와 물리적 접촉이 차단되도록 일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접촉 영역은 상기 접촉 입력부와 물리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비접촉 입력부는 상기 비접촉 영역으로 근접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검출시 주변 전기장에 의한 캐패시턴스의 변화된 값 분석으로 비데 기능을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기판에 다단 배치되는 정전용량식 전극인 것이다.
또한, 상기 비접촉 입력부의 검출 거리는 상기 비접촉 영역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손가락 기준 15mm이내인 것이다.
또한, 상기 접촉 입력부는, 상기 접촉 영역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물리적 접촉시 주변 전기장에 의한 캐패시턴스의 변화된 값 분석으로 비데 기능을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기판에 다단 배치되는 정전용량식 전극인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접촉 영역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물리적으로 접촉시 다단 배치되는 상기 정전용량식 전극에 접촉되는 버튼 구조물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비접촉 입력부는 상기 비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기판의 전방부에 다단 배치되고, 상기 접촉 입력부는 상기 비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기판의 후방부에 다단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수분을 배수시키도록 상기 변좌의 바깥 방향 또는 안쪽 방향으로 5°∼30°범위내로 경사진 평면부를 가지며, 상기 경사진 평면부에 상기 비접촉 영역과 상기 접촉 영역이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비데 제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비데 제어방법은, 조작부 제어용 마이컴은 비접촉 입력부의 비접촉 조작 여부 또는 접촉 입력부의 접촉 조작 여부가 비접촉 또는 접촉 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로부터 상기 비접촉 또는 접촉 검출센서에 의해 상기 비접촉 입력부의 비접촉 조작 또는 상기 접촉 입력부의 조작이 검출시, 비데 메인 마이컴은 착좌센서를 통해 변좌로의 사용자 착좌 여부를 확인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변좌에 사용자가 착좌 중인 것으로 확인시, 상기 조작부 제어용 마이컴은 상기 제 1 단계로부터 검출되는 비접촉 입력부의 비접촉 조작 또는 접촉 입력부의 접촉 조작에 따른 입력값을 기설정된 비데 기능 기준값과 비교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비교 결과로부터 상기 조작부 제어용 마이컴은 기설정된 상기 비데 기능 기준값으로부터 상기 비접촉 조작 또는 상기 접촉 조작에 따른 입력값과 매칭되는 비데 기능을 확인하고, 확인된 결과를 상기 비데 메인 마이컴으로 전송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로부터 상기 비데 메인 마이컴은 확인된 비접촉 조작 또는 접촉 조작에 따른 입력값과 매칭되는 비데 기능을 작동시키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5 단계에서의 상기 비데 기능은 세정 작동의 제 1 비데 기능과 세정 작동 기능을 제외한 비세정 작동의 제 2 비데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5 단계에는, 상기 변좌에 사용자가 착좌중인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비접촉 검출센서에 의해 비접촉 조작에 따른 입력값이 확인시 확인된 상기 입력값에 매칭되는 상기 제 1 비데 기능의 작동을 온 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변좌에 사용자가 비착좌중인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비접촉 검출센서에 의해 비접촉 조작에 따른 입력값이 확인시 상기 입력값에 관계없이 상기 제 1 비데 기능의 작동을 오프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5 단계에는, 상기 변좌에 사용자가 비착좌중인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접촉 검출센서에 의해 접촉 조작에 따른 입력값이 확인시 확인된 상기 입력값에 매칭되는 상기 제 2 비데 기능의 작동을 온 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변좌에 사용자가 착좌중인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접촉 검출센서에 의해 접촉 조작에 따른 입력값이 확인시 상기 입력값에 관계없이 상기 제 2 비데 기능의 작동을 오프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데 조작부를 세정에 관련한 비데 기능 제어의 비접촉 입력부와 비세정에 관련한 비데 기능 제어의 접촉 입력부로 구성하면서 비접촉 입력부와 접촉 입력부에 의한 비데 기능이 사용자 착좌 여부에 따라 제어되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비데 기능 사용에 대한 인체공학적 최적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관계없이 이루어지는 비접촉 입력부 또는 접촉 입력부의 입력 오류에 따른 비데 기능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비데 구조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조작부의 분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기판에 형성되는 비접촉 입력부와 접촉 입력부의 분할 구조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비접촉 및/또는 접촉 입력부의 조작여부에 따라 비데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비접촉 및/또는 접촉 입력부의 조작여부에 따라 비데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보인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비데 구조를 보인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조작부의 분해 구조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기판에 형성되는 비접촉 입력부와 접촉 입력부의 분할 구조를 보인 평면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비접촉 및/또는 접촉 입력부의 조작여부에 따라 비데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 제어장치는, 변좌(11)와 변개(1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비데 본체(10)에 조작부(2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20)에는 비접촉 입력부(30), 접촉 입력부(40), 비접촉 검출센서(50), 접촉 검출센서(60) 및/또는 조작부 제어용 마이컴(90)을 구성함은 물론, 상기 변좌(11)에는 착좌센서(70), 그리고 상기 비데 본체(10)에는 비데 메인 마이컴(80)을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조작부(20)는 상기 비데 본체(10)의 일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부 케이스(21)와 하부 케이스(22)의 결합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케이스(21)에는 상면에 비접촉 또는 접촉이 가능한 비접촉 영역(S1)과 접촉 영역(S2)이 형성되면서 내부에는 기판(23)이 수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 케이스(21)는 상기 변좌(11)의 바깥 방향 또는 안쪽 방향으로 5°∼30°범위내로 경사진 평면부(21a)를 가지면서, 상기 평면부(21a)에 상기 비접촉 영역(S1)과 상기 접촉 영역(S2)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 케이스(21)에 상기 경사진 평면부(21a)를 형성하는 이유는, 비데를 청소하면서 수분이 비산되더라도 상기 수분이 중력에 의해 욕실 바닥 으로 낙하시키면서, 상기 상부 케이스(21)를 통해 상기 기판(23)으로 수분이 침투하거나 및/또는 상기 상부 케이스(21)의 표면에 수분이 잔존하는 것을 방지시켜, 상기 상부 케이스(21)의 상기 비접촉 영역(S1)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근접시 상기 비접촉 영역(S1)과 매칭되는 상기 비접촉 입력부(30)의 비접촉 입력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함인 것이다.
더불어, 상기 경사진 평면부(21a)를 상기 변좌(11)의 바깥 또는 안쪽 방향으로 5°이상의 각도(θ1)로 형성하면 지름 20mm의 물방울에 대한 배수가 가능하고, 13°이상의 각도(θ1)로 형성하면 지름 15mm의 물방울에 대한 배수가 가능하며, 이는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비접촉 입력부(30)는 상기 비접촉 영역(S1)으로 근접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검출시 주변 전기장에 의한 캐패시턴스(Capacitance)의 변화된 값 분석으로 비데 제어 기능 중에서 세정의 제 1 비데 기능(예; 세정, 세정강도, 노즐 위치 조정 등)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기판(23)에 다단 배치되는 정전용량식 전극이고, 상기 비접촉 입력부(30)인 정전용량식 전극의 검출 거리는 상기 비접촉 영역(S1)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손가락 기준 15mm이내일 수 있다.
상기 접촉 입력부(40)는 상기 접촉 영역(S2)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물리적으로 접촉시 주변 전기장에 의한 캐패시턴스(Capacitance)의 변화된 값 분석으로 비데 제어 기능 중에서 세정의 제 1 비데 기능을 제외한 비세정의 제 2 비데 기능(예; 노즐 청소, 노즐 살균, 절전 등)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기판(23)에 다단 배치되는 정전용량식 전극일 수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상부 케이스(21)에는 상기 접촉 영역(S2)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물리적으로 접촉시 다단 배치되는 상기 정전용량식 전극에 접촉되는 터치형의 버튼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상부 케이스(21)의 경사진 평면부(21a)는 상기 비접촉 입력부(30)와 상기 접촉 입력부(40)에 각각 매칭되는 비접촉 영역(S1)과 접촉 영역(S2)으로 분할하면서, 상기 비접촉 영역(S1)은 상기 비접촉 입력부(30)와 물리적 접촉이 차단되도록 일정거리 이격되는 것이고, 상기 접촉 영역(S2)은 상기 버튼 구조물을 통해 상기 접촉 입력부(40)와 물리적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접촉 입력부(40)를 정전용량식 전극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접촉 입력부(40)는 상기 상부 케이스(21)에 형성되는 터치형의 버튼 구조물과 접촉되는 물리적 버튼 구조물일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비접촉 입력부(30)는 세정의 제 1 비데 기능, 그리고 상기 접촉 입력부(40)는 비세정의 제 2 비데 기능을 위한 입력부로 설정한 이유는, 사용자가 비데 착좌 후 세정 기능 등을 사용할 때에는 상기 조작부(20)로의 수분 등이 침투할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비접촉 입력을 사용하여도 오작동 가능성이 희박하기 때문이며, 사용자가 비데 세정 기능 등을 사용하지 않는 비세정기능인 노즐 청소, 노즐 살균 기능을 작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물 청소 등으로 상기 조작부(20)에 수분이 침투할 가능성이 있어 상기 접촉 입력부(40)만 활성화시키기 위함인 것이다.
따라서, 상기 비접촉 입력부(30)는 자주 사용하는 세정 기능의 조작 편의성을 위한 인체공학적 최적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확보되도록 상기 비데 본체(10)를 기준으로 상기 기판(23)의 전방부에 다단 배치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접촉 입력부(40)는 간혹 사용하는 비세정 기능이므로 상기 비데 본체(10)를 기준으로 상기 기판(23)의 후방부에 다단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20)에 비접촉 입력부(30)와 접촉 입력부(40)를 분할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상부 케이스(21)와 상기 기판(23)에 각각 비접촉 영역(S1)과 비접촉 입력부(30)만을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비접촉 검출센서(50)는 상기 기판(23)에서 다단 배치되는 전극 구조를 이루는 상기 비접촉 입력부(30)와 접속되는 것으로, 상기 비접촉 입력부(30)에 대한 비접촉 조작 여부를 검출한 후 이를 상기 비데 메인 마이컴(80) 또는 상기 조작부 제어용 마이컴(90)으로 전송하며, 이에따라 상기 비접촉 검출센서(50)는 상기 비데 메인 마이컴(80) 또는 상기 조작부 제어용 마이컴(90)과 직렬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접촉 검출센서(60)는 상기 기판(23)에서 다단 배치되는 전극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접촉 입력부(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상기 접촉 입력부(40)에 대한 접촉 조작 여부를 검출한 후 이를 상기 비데 메인 마이컴(80) 또는 상기 조작부 제어용 마이컴(90)으로 전송하는 것이며, 이에따라 상기 접촉 검출센서(60)는 상기 비데 메인 마이컴(80) 또는 상기 조작부 제어용 마이컴(90)과 직렬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착좌센서(70)는 상기 변좌(11)에 마련되는 것으로, 이는 사용자가 상기 변좌(11)에 착좌시 이를 감지한 후 그 감지신호를 상기 비데 메인 마이컴(80)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 비데 메인 마이컴(80)은 상기 착좌센서(70)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변좌(11)로의 사용자 착좌 여부에 따라 상기 비접촉 검출센서(23)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비접촉 입력부(21)의 비접촉 조작에 따른 제 1 비데 기능 작동 또는 상기 접촉 검출센서(24)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접촉 입력부(22)의 접촉 조작에 따른 제 2 비데 기능 작동을 제어하면서, 상기 비접촉 입력부(30) 또는 상기 접촉 입력부(40)의 입력 오류에 따른 제 1 비데 기능 또는 제 2 비데 기능의 오작동을 방지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변좌(11)에 사용자가 착좌된 상태에서 상기 비접촉 입력부(30)의 비접촉 조작으로 제 1 비데 기능이 작동하는 것이 정상이지만, 상기 변좌(11)에 사용자가 착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접촉 입력부(40)를 오조작하거나 또는 상기 접촉 입력부(40)가 수분 접촉에 따라 접촉 조작이 이루어지는 입력 오류로 인해 제 2 비데 기능이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일예로, 상기 비접촉 입력부(30)의 비접촉 조작으로부터 제 1 비데 기능(예; 세정)이 작동시 상기 접촉 입력부(40)는 활성화되지 않아야 하지만, 사용자가 상기 접촉 입력부(40)를 실수로 접촉 조작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비데 기능의 작동으로부터 비산되는 세정용 물(예; 물방울)이 상기 접촉 입력부(40)에 접촉되면 이를 상기 접촉 검출센서(24)가 접촉 조작으로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 입력부(40)에 대한 물리적인 오접촉은 물론, 상기 접촉 입력부(40)에 대한 물리적인 접촉이 없더라도 상기 접촉 입력부(40)를 이루는 정전용량식 전극의 주변에서 상기 세정용 물에 의해 전기장에 의한 캐패시턴스값이 변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기 비데 메인 마이컴(80)은 상기 접촉 검출센서(24)로부터 검출되는 접촉의 검출신호에 따라 제 1 비데 기능 작동으로부터 항문 및/또는 국부와 그 주변부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상태에서 제 2 비데 기능을 오작동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비데 메인 마이컴(80)은 상기 제 1 비데 기능이 작동시 상기 제 2 비데 기능이 작동되지 않도록 상기 변좌(11)에 사용자가 착좌되었는지를 우선 상기 착좌센서(70)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를 통해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통해 상기 변좌(11)에 사용자가 착좌하고 있으면, 사용자의 오조작 또는 수분에 의한 상기 접촉 입력부(40)의 접촉 조작이 상기 접촉 검출센서(24)에 의해 검출되더라도, 상기 접촉 입력부(40)의 접촉 조작에 따른 제 2 비데 기능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하면서, 제 2 비데 기능 작동으로 사용자의 항문 및/또는 국부와 그 주변부에 세척용 물에 분사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변좌(11)에 사용자가 착좌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접촉 입력부(40)의 접촉 조작으로 제 2 비데 기능이 작동하는 것이 정상이지만, 상기 변좌(11)에 사용자가 착좌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비접촉 입력부(30)를 오조작하거나 또는 상기 비접촉 입력부(30)가 수분 접촉에 따라 비접촉 조작이 이루어지는 입력 오류로 인해 제 1 비데 기능이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일예로, 상기 접촉 입력부(40)의 접촉 조작으로부터 제 2 비데 기능(예; 노즐 세척)이 작동시 상기 비접촉 입력부(30)는 활성화되지 않아야 하지만, 사용자가 상기 비접촉 입력부(30)를 실수로 접촉 조작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비데 기능의 작동으로부터 비산되는 세척용 물(예; 물방울)이 상기 비접촉 입력부(30)에 접촉되면 이를 상기 비접촉 검출센서(23)가 비접촉 조작으로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비접촉 입력부(30)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실수로 비접촉됨은 물론, 상기 비접촉 입력부(30)에 대한 사용자의 손가락 비접촉이 없더라도 상기 비접촉 입력부(30)를 이루는 정전용량식 전극의 주변에서 상기 세척용 물에 의해 전기장에 의한 캐패시턴스값이 변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기 비데 메인 마이컴(80)은 상기 비접촉 검출센서(23)로부터 검출되는 비접촉의 검출신호에 따라 제 2 비데 기능 작동으로부터 노즐을 세척하는 상태에서 제 1 비데 기능을 오작동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비데 메인 마이컴(80)은 상기 제 2 비데 기능이 작동시 상기 제 1 비데 기능이 작동되지 않도록 상기 변좌(11)에 사용자가 착좌되었는지를 우선 상기 착좌센서(70)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를 통해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통해 상기 변좌(11)에 사용자가 착좌하고 있지 않으면, 사용자의 오조작 또는 수분에 의한 상기 비접촉 입력부(30)의 비접촉 조작이 상기 비접촉 검출센서(23)에 의해 검출되더라도, 상기 비접촉 입력부(30)의 비접촉 조작에 따른 제 1 비데 기능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하면서, 사용자의 항문 및/또는 국부와 그 주변부를 세정하는 제 1 비데 기능의 불필요한 작동을 방지시키는 것이다.
상기 조작부 제어용 마이컴(90)은 상기 조작부(20)에 수용되는 상기 기판(23)에는 실장되면서 상기 비접촉 검출센서(30) 및 상기 접촉 검출센서(40), 그리고 상기 비데 메인 마이컴(80)과 직렬 통신하는 것으로, 상기 비접촉 검출센서(30) 또는 상기 접촉 검출센서(40)에 의해 검출되는 신호를 상기 비데 메인 마이컴(80)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작부(20)에는 상기 조작부 제어용 마이컴(90)에 의해 제어되는 표시부(100)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비접촉 검출센서(50) 또는 상기 접촉 검출센서(60)에 의해 상기 비접촉 입력부(30)의 비접촉 조작 또는 상기 접촉 입력부(40)의 접촉 조작이 검출시 그 검출 상태를 표시하도록 점등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 제어장치는 첨부된 도 5의 비데 제어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제 1 단계로서 조작부(20)에 구성되는 조작부 제어용 마이컴(90)은 비접촉 입력부(30)의 비접촉 조작 여부 또는 접촉 입력부(40)의 접촉 조작 여부가 비접촉 또는 접촉 검출센서(50 또는 60)에 의해 검출되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다음의 제 2 단계로서, 상기 조작부 제어용 마이컴(90)은 상기 비접촉 또는 접촉 검출센서(50 또는 60)에 의해 검출되는 비접촉 또는 접촉 조작의 검출신호를 비데 본체(10)에 구성되는 비데 메인 마이컴(80)에 전송하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비데 메인 마이컴(80)은 착좌센서(70)를 통해 변좌(11)로의 사용자 착좌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다음의 제 3 단계로서, 상기 조작부 제어용 마이컴(90)은 상기 제 1 단계로부터 검출되는 비접촉 입력부(30)의 비접촉 조작 또는 접촉 입력부(40)의 접촉 조작에 따른 입력값을 기설정된 비데 기능 기준값과 비교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비데 기능 기준값은 제 1 비데 기능에 포함되는 항문 및/또는 국부와 그 주변부에 대한 세정과 세정시의 세정수 분사 강도 그리고 노즐의 인출 치 조정 등을 포함하는 것이고, 이는 조작부(20)내 기판(23)에 다단 배치되는 정전용량식 전극에 각각 매칭되는 것이다.
다음의 제 4 단계로서, 상기 조작부 제어용 마이컴(90)은 기설정된 상기 비데 기능 기준값으로부터 상기 비접촉 입력부(30)의 비접촉 조작 또는 상기 접촉 입력부(40)의 접촉 조작에 따른 입력값과 매칭되는 비데 기능을 확인하고, 확인된 결과를 상기 비데 메인 마이컴(80)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의 제 5 단계로서, 상기 비데 메인 마이컴(80)은 확인된 비접촉 조작 또는 접촉 조작에 따른 입력값과 매칭되는 비데 기능으로서, 세정 작동의 제 1 비데 기능 또는 세정 작동 기능을 제외한 비세정 작동의 제 2 비데 기능을 작동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비데 메인 마이컴(80)은 착좌센서(70)를 통해 상기 변좌(11)에 사용자가 착좌중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비접촉 검출센서(50)에 의해 비접촉 조작에 따른 입력값이 확인시 확인된 상기 입력값에 매칭되는 상기 제 1 비데 기능의 작동을 온 시키는 것이고, 상기 접촉 검출센서(60)에 의해 접촉 조작에 따른 입력값이 확인되더라도 상기 입력값에 관계없이 상기 제 2 비데 기능의 작동은 오프시키면서, 사용자의 항문 및/또는 국부와 그 주변부의 세정만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반면, 상기 비데 메인 마이컴(80)은 착좌센서(70)를 통해 상기 변좌(11)에 사용자가 비착좌중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접촉 검출센서(60)에 의해 접촉 조작에 따른 입력값이 확인시 확인된 상기 입력값에 매칭되는 상기 제 2 비데 기능의 작동을 온 시키고, 상기 비접촉 검출센서(50)에 의해 비접촉 조작에 따른 입력값이 확인되더라도 상기 입력값에 관계없이 상기 제 1 비데 기능의 작동을 오프시키면서, 비데 구성장치에 대한 세척만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욕실 환경에서는 물을 자주 사용하게 되면서 물방울 형태로 물이 튀거나 또는 습기 등의 수분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수분은 욕실내에 설치되는 비데 본체(10)의 조작부(20)에도 존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작부(20)의 상면 즉, 상부 케이스(21)의 상면에 형성되는 비접촉 영역(S1)과 접촉 영영(S2)에 수분이 존재하면, 상기 수분은 상기 상부 케이스(21)와 하부 케이스(22)의 측면 결합부위로 흘러 내리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21, 22)의 내부에 수용되는 기판(23)에 형성되는 비접촉 입력부(30) 및 접촉 입력부(40)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상부 케이스(21)의 비접촉 영역(S1)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비접촉에 따른 상기 비접촉 입력부(30)의 조작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케이스(21)가 변좌(11)의 바깥 또는 안쪽 방향으로 5°∼30°범위내로 경사진 평면부(21a)를 가지도록 하면서, 상기 경사진 평면부(21a)는 표면의 수분을 욕실 바닥으로 낙하시키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상부 케이스(21)의 비접촉 영역(S1)에서 수분이 잔존하는 것을 방지시킴은 물론, 상기 수분이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21, 22)의 측면 결합부위를 통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시키게 되면서, 상기 상부 케이스(21)의 비접촉 영역(S1),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21, 22)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기판(23)은 수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비접촉 영역(S1)으로 15mm 이내로 근접시키면서 상기 기판(23)에 형성되는 비접촉 입력부(30)를 조작하여 세정이나 세정 강도는 물론 노즐 위치 조정 등의 세정 기능을 작동시키거나, 또는 손가락을 상기 접촉 영역(S2)에 접촉시키면서 상기 기판(23)에 형성되는 접촉 입력부(40)를 조작하여 노즐 청소나 노즐 살균은 물론 절전 등의 비세정 기능을 작동시킬 때 그 작동은 오작동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 비데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비데 본체 11; 변좌
12; 변개 20; 조작부
21; 상부 케이스 21a; 경사진 평면부
22; 하부 케이스 23; 기판
30; 비접촉 입력부 40; 접촉 입력부
50; 비접촉 검출센서 60; 접촉 검출센서
70; 착좌센서 80; 비데 메인 마이컴
90; 조작부 제어용 마이컴 100; 표시부
S1; 비접촉 영역 S2; 접촉 영역

Claims (17)

  1. 변좌와 변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비데 본체에 조작부를 구성하되,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비데 본체의 제 1 비데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비접촉 입력부; 상기 비데 본체의 제 2 비데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접촉 입력부; 상기 비접촉 입력부의 비접촉 조작 여부를 검출하는 비접촉 검출센서; 및, 상기 접촉 입력부의 접촉 조작 여부를 검출하는 접촉 검출센서; 를 구성하고,
    상기 비접촉 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비접촉 입력부의 비접촉 조작에 따른 제 1 비데 기능 작동 또는 상기 접촉 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접촉 입력부의 접촉 조작에 따른 제 2 비데 기능 작동은 착좌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변좌로의 사용자 착좌 여부에 따라 비데 메인 마이컴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데 기능은 세정 작동 기능이고, 상기 제 2 비데 기능은 세정 작동 기능을 제외한 비세정 작동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 수용되는 상기 기판에는 상기 비접촉 검출센서 및 상기 접촉 검출센서와 직렬 통신하면서 상기 비접촉 검출센서 또는 상기 접촉 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신호를 상기 비데 메인 마이컴으로 전송하는 조작부 제어용 마이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데 메인 마이컴은 상기 조작부 제어용 마이컴과 직렬 통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제어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는 표시부를 형성하되, 상기 조작부 제어용 마이컴은 상기 비접촉 검출센서 또는 상기 접촉 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점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결합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기판이 수용되며, 상기 기판에는 상기 비접촉 입력부와 상기 접촉 입력부가 분할 배치되고, 분할 배치되는 상기 비접촉 입력부에는 상기 비접촉 검출센서, 그리고 분할 배치되는 상기 접촉 입력부에는 상기 접촉 검출센서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제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평면은 상기 비접촉 입력부와 상기 접촉 입력부에 각각 매칭되는 비접촉 영역과 접촉 영역으로 분할하되, 상기 비접촉 영역은 상기 비접촉 입력부와 물리적 접촉이 차단되도록 일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접촉 영역은 상기 접촉 입력부와 물리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제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입력부는 상기 비접촉 영역으로 근접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검출시 주변 전기장에 의한 캐패시턴스의 변화된 값 분석으로 비데 기능을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기판에 다단 배치되는 정전용량식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제어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입력부의 검출 거리는 상기 비접촉 영역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손가락 기준 15mm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제어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입력부는 상기 접촉 영역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물리적 접촉시 주변 전기장에 의한 캐패시턴스의 변화된 값 분석으로 비데 기능을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기판에 다단 배치되는 정전용량식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제어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접촉 영역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물리적으로 접촉시 다단 배치되는 상기 정전용량식 전극에 접촉되는 버튼 구조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제어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입력부는 상기 비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기판의 전방부에 다단 배치되고, 상기 접촉 입력부는 상기 비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기판의 후방부에 다단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제어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수분을 배수시키도록 상기 변좌의 바깥 또는 안쪽 방향으로 5°∼30°범위내로 경사진 평면부를 가지며, 상기 경사진 평면부에 상기 비접촉 영역과 상기 접촉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제어장치.
  14. 조작부 제어용 마이컴은 비접촉 입력부의 비접촉 조작 여부 또는 접촉 입력부의 접촉 조작 여부가 비접촉 또는 접촉 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로부터 상기 비접촉 또는 접촉 검출센서에 의해 상기 비접촉 입력부의 비접촉 조작 또는 상기 접촉 입력부의 조작이 검출시, 비데 메인 마이컴은 착좌센서를 통해 변좌로의 사용자 착좌 여부를 확인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변좌에 사용자가 착좌 중인 것으로 확인시, 상기 조작부 제어용 마이컴은 상기 제 1 단계로부터 검출되는 비접촉 입력부의 비접촉 조작 또는 접촉 입력부의 접촉 조작에 따른 입력값을 기설정된 비데 기능 기준값과 비교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비교 결과로부터 상기 조작부 제어용 마이컴은 기설정된 상기 비데 기능 기준값으로부터 상기 비접촉 조작 또는 상기 접촉 조작에 따른 입력값과 매칭되는 비데 기능을 확인하고, 확인된 결과를 상기 비데 메인 마이컴으로 전송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로부터 상기 비데 메인 마이컴은 확인된 비접촉 조작 또는 접촉 조작에 따른 입력값과 매칭되는 비데 기능을 작동시키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에서의 상기 비데 기능은 세정 작동의 제 1 비데 기능과 세정 작동 기능을 제외한 비세정 작동의 제 2 비데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에는,
    상기 변좌에 사용자가 착좌중인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비접촉 검출센서에 의해 비접촉 조작에 따른 입력값이 확인시 확인된 상기 입력값에 매칭되는 상기 제 1 비데 기능의 작동을 온 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변좌에 사용자가 비착좌중인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비접촉 검출센서에 의해 비접촉 조작에 따른 입력값이 확인시 상기 입력값에 관계없이 상기 제 1 비데 기능의 작동을 오프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제어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에는,
    상기 변좌에 사용자가 비착좌중인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접촉 검출센서에 의해 접촉 조작에 따른 입력값이 확인시 확인된 상기 입력값에 매칭되는 상기 제 2 비데 기능의 작동을 온 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변좌에 사용자가 착좌중인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접촉 검출센서에 의해 접촉 조작에 따른 입력값이 확인시 상기 입력값에 관계없이 상기 제 2 비데 기능의 작동을 오프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제어방법.
KR1020220139432A 2022-10-26 2022-10-26 비데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KR202400585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432A KR20240058562A (ko) 2022-10-26 2022-10-26 비데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432A KR20240058562A (ko) 2022-10-26 2022-10-26 비데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562A true KR20240058562A (ko) 2024-05-03

Family

ID=91077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9432A KR20240058562A (ko) 2022-10-26 2022-10-26 비데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856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554A (ko) 2014-12-17 2016-06-27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554A (ko) 2014-12-17 2016-06-27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3370B2 (ja) 操作入力装置及び吐水装置
RU2351533C2 (ru) Разда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питков и устройство тревоги для раздаточ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напитков
JP2003105817A (ja) 給水制御装置
KR20240058562A (ko) 비데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KR200423761Y1 (ko) 인체감지거리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비데
KR20240058561A (ko) 비데의 조작부 입력장치
KR20120006041U (ko) 감지 및 터치 혼용 자동수전
KR200483572Y1 (ko) 좌변기용 자동 개폐장치
KR20240077273A (ko) 비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07399U (ko) 노즐의 분사위치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비데
KR102353295B1 (ko) 비데용 동작감지 구동형 컨트롤 패널 구조
KR101000416B1 (ko) 손 세척장치
KR102577283B1 (ko) 비데의 비접촉 조작장치
CN101056511B (zh) 遥控装置
JP2002168966A (ja) 光センサによる物体検知方法
KR20220135476A (ko) 온수세정기 제어방법
KR20230059502A (ko) 비데의 비접촉 조작장치
KR102596856B1 (ko) 비데의 비접촉 조작장치
JP7342546B2 (ja) 便座装置
KR102424321B1 (ko) 투웨이 방식 센서를 구비하는 직수 양변기
KR20050005873A (ko) 식기세척기의 고온경보장치
KR20230078094A (ko) 비데의 비접촉 조작장치
KR101392374B1 (ko) 여성 전용 화장실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220160880A (ko) 비데 동작 제어방법
JPH11154441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とこれを有するトイレ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