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295B1 - 비데용 동작감지 구동형 컨트롤 패널 구조 - Google Patents

비데용 동작감지 구동형 컨트롤 패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295B1
KR102353295B1 KR1020200038070A KR20200038070A KR102353295B1 KR 102353295 B1 KR102353295 B1 KR 102353295B1 KR 1020200038070 A KR1020200038070 A KR 1020200038070A KR 20200038070 A KR20200038070 A KR 20200038070A KR 102353295 B1 KR102353295 B1 KR 102353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et
mode
motion
sensing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1439A (ko
Inventor
김계환
정만주
Original Assignee
엘에스대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대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대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8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295B1/ko
Publication of KR20210121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데용 동작감지 구동형 컨트롤 패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비데의 컨트롤 패널(20)에 구비된 감지부(40); 상기 감지부(40)에 의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 신호를 수신하여 비데 동작 모드가 선택되도록 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40)는 상기 컨트롤 패널(20)에 감지 영역을 확보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20)의 상기 감지 영역에서 사용자의 신체 동작에 따라 가상 스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비데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데용 동작감지 구동형 컨트롤 패널 구조{Bidet user motion sensing driving type control pad sturcture}
본 발명은 비데용 동작감지 구동형 컨트롤 패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드웨어의 수정이 없이 컨트롤 패널을 쉽게 바꿀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비데용 동작감지 구동형 컨트롤 패널 구조에 관한 것이다.
비데는 화장실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입력설정에 따라 국부적인 세척동작을 다양한 모드로 수행하는 장치로써, 최근에는 비데의 동작을 전자적으로 동작시킨다. 즉, 분출되는 수압의 세기, 온수의 온도, 온풍온도 및 비데 시트의 온도 등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세척 또는 온풍의 시작 및 종료 등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변기는 용변을 받는 변기본체, 용변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탱크, 변기본체에 결합되는 비데본체, 비데본체에 결합되는 시트, 시트에 적층되며 변기의 변기구를 개폐시키는 뚜껑, 비데본체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국부 및 항문을 세정시키기 위한 노즐, 비데본체의 측면에 결합되며 노즐을 작동시키거나 시트 및 뚜껑을 개폐시키도록 조작하는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며, 컨트롤 패널에는 비데 터치키, 세정 터치키, 쾌변 터치키, 건조 터치키 등이 구비되어, 비데 터치키, 세정 터치키, 쾌변 터치키, 건조 터치키 중에서 필요한 터치키를 눌러서 비데를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로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비데 터치키를 눌러서 비데를 비데 모드로 사용하거나 세정 터치키를 눌러서 비데를 세정 모드로 사용하거나 쾌변 터치키를 눌러서 비데를 쾌변 모드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기존의 비데 동작 터치키 방식은 하드웨어적으로 터치키가 동판으로 설계되어 있어서, 비데 동작 터치키를 바꾸려면 하드웨어의 수정이 반드시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기존에는 하드웨어적으로 터치부가 동판으로 설계되어 있어서 하드웨어 수정 없이 쉽게 바꿀 수 없는 구조이다.
또한, 기존에는 비데 동작 터치키를 바꾸어서 컨트롤 패널이 하드웨어적으로 바뀌면 국내 승인 및 해외 승인도 문제가 된다.
또한, 기존에는 비데 사용자가 비데 사용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서 컨트롤 패드에서 일일에 해당 비데 사용 모드를 선택하는 터치키를 찾아서 눌러주어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노약자나 장애인과 같이 거동에 있어서 취약한 사람들이 일일이 해당 비데 사용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터치키를 눌러주기가 쉽지 않다. 비데의 컨트롤 패널에는 비데 터치키, 세정 터치키, 쾌변 터치키, 건조 터치키 등이 있는데, 기존에는 사용자가 비데 모드로 비데를 사용하기 위해서 비데 터치키를 찾아서 눌러야 되고, 사용자가 세정 모드로 비데를 사용하기 위해서 세정 터치키를 찾아서 눌러야 되는데, 이러한 터치키를 찾아서 눌러주는 일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노약자나 장애인과 같은 거동이 취약한 사람들은 비데 모드나 세정 모드 등의 터치키를 찾아서 눌러주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는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84239(2008년09월19일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69544호(2012년06월28일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8188호(2013년05월09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드웨어의 수정이 없이 컨트롤 패널을 쉽게 바꿀 수 있고, 국내 승인 및 해외 승인에 있어서도 문제가 될 것이 없는 새로운 구성의 비데용 동작감지 구동형 컨트롤 패널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데의 컨트롤 패널에 구비된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 의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 신호를 수신하여 비데 동작 모드가 선택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동작감지 구동형 컨트롤 패널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컨트롤 패널에 감지 영역을 확보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컨트롤 패드의 상기 감지 영역에서 사용자의 신체 동작에 따라 가상 스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비데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 패드에 구비된 상기 감지부의 비데 모드 동작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제어부가 비데를 선택된 비데 동작 모드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컨트롤 패드에 구비된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와 제3감지부 및 제4감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와 제3감지부 및 제4감지부에 의해 상기 컨트롤 패드에 감지 영역이 확보되어, 상기 컨트롤 패드의 상기 감지 영역에서 사용자의 신체 동작에 의해 상기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와 제3감지부 및 제4감지부의 비율 변화에 따라 가상 스위치를 좌표값으로 계산하여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라 상기 비데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데 동작 모드는, 비데 모드, 세정 모드, 쾌변 모드, 건조 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 패드의 상기 감지 영역에서 사용자의 신체 동작에 의한 상기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와 제3감지부 및 제4감지부의 비율 변화에 따라 정전 용량의 변화가 생기면서 상기 가상 스위치를 좌표값으로 계산하여 상기 비데 모드, 상기 세정 모드, 상기 쾌변 모드, 상기 건조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의 신체 동작은 상기 컨트롤 패드의 감지 영역에서 사용자의 손이 움직이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데의 컨트롤 패널에 구비된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 의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 신호를 수신하여 비데 동작 모드가 선택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손가락 모션 센서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의 동작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가 비데를 선택된 비데 동작 모드로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컨트롤 패드에 손가락 모션 감지 영역이 확보되어, 상기 손가락 모션 감지 영역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의 모션 타입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가 비데를 선택된 비데 동작 모드로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컨트롤 패드에 구비된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와 제3감지부 및 제4감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 패드는 상기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와 제3감지부 및 제4감지부의 안쪽 영역에 상기 손가락 모션 감지 영역이 획보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 패드의 상기 손가락 모션 감지 영역에서 움직이는 사용자의 손가락 모션 타입에 따라 상기 비데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동작 감지 구동형 컨트롤 패드가 제공된
상기 비데 동작 모드는, 비데 모드, 세정 모드, 쾌변 모드, 건조 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 패드의 상기 손가락 모션 감지 영역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모션 타입에 따라 상기 비데 모드, 상기 세정 모드, 상기 쾌변 모드, 상기 건조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감지부는 컨트롤 패널에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와 제3감지부와 제4감지부와 같이 컨트롤 패널에 실제로 있고 나머지는 가상 스위치 위치를 계산하여 스위치 감지하는 방식이므로, 하드웨어를 다시 설계하지 않기 때문에 국내 및 해외 승인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터치키 방식의 비데 컨트롤 패널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비데용 동작감지 구동형 컨트롤 패널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비데용 동작감지 구동형 컨트롤 패널 구조의 비데 작동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데용 동작감지 구동형 컨트롤 패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데용 동작감지 구동형 컨트롤 패널 구조의 비데 작동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비데용 동작감지 구동형 컨트롤 패널 구조는 비데의 컨트롤 패널(20)에 구비된 감지부(40)와, 상기 감지부(40)에 의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 신호를 수신하여 비데 동작 모드가 선택되도록 하는 제어부(30)를 구비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서 감지부(40)는 컨트롤 패널(20)에 감지 영역을 확보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20)의 감지 영역에서 사용자의 신체 동작에 따라 가상 스위치를 계산함으로써, 비데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즉, 컨트롤 패널(20)에 구비된 감지부(40)의 비데 모드 동작의 선택에 의해 제어부(30)가 비데를 선택된 비데 동작 모드로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감지부(40)가 컨트롤 패널(20)의 네 코너부에 구비된 제1감지부(42)와 제2감지부(44)와 제3감지부(46) 및 제4감지부(48)로 구성된다. 즉, 감지부(40)는 감지 부는 “A,B,C,D”로 표시된 위치에 실제로 구비되고 나머지는 가상 스위치 위치를 계산하여 스위치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20)는 네 군데의 제1감지부(42)와 제2감지부(44)와 제3감지부(46) 및 제4감지부(48)의 안쪽 영역에 감지 영역이 확보되고, 상기 컨트롤 패널(20)의 감지 영역에 가상 스위치 위치가 계산된다. 가상 스위치 위치는 각각 비데 가상 스위치, 세정 가상 스위치, 쾌변 가상 스위치, 건조 가상 스위치가 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20)의 감지 영역에서 사용자의 신체 동작에 의해 제1감지부(42)와 제2감지부(44)와 제3감지부(46) 및 제4감지부(48)의 비율 변화가 생기면서 가상 스위치를 좌표값으로 계산하여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라 비데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비데 동작 모드는, 비데 모드, 세정 모드, 쾌변 모드, 건조 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 패널(20)의 감지 영역에서 사용자의 신체 동작에 의한 제1감지부(42)와 제2감지부(44)와 제3감지부(46) 및 제4감지부(48)의 비율 변화에 따라 정전 용량의 변화가 생기면서 가상 스위치를 좌표값으로 계산하여 상기 비데 모드, 세정 모드, 쾌변 모드, 건조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신체 동작은 컨트롤 패널(20)의 감지 영역에서 움직이는 손가락 움직임 동작이다. 상기 컨트롤 패널(20)의 감지 영역에서 손가락의 움직임 동작이 변화함에 따라 비데 모드, 세정 모드, 쾌변 모드, 건조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가 선택된다.
도 3의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감지부(42)와 제2감지부(44)와 제3감지부(46) 및 제4감지부(48)에 각각 정전 용량이 설정되어 있고, 제1감지부(42)의 정전 용량의 변화는 비데 가상 스위치를 스위칭하고, 제2감지부(44)의 정전 용량의 변화는 세정 가상 스위치를 스위칭하고, 제3감지부(46)의 정전 용량의 변화는 쾌변 가상 스위치를 스위칭하고, 제4감지부(48)의 정전 용량의 변화는 건조 가상 스위치를 스위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비데 가상 스위치와 세정 가상 스위치와 쾌변 가상 스위치 및 건조 가상 스위치의 스위칭은 제어부(30)에서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30)에 미리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서 정전 용량 변화율을 좌표값으로 계산함으로써 제어부(30)가 비데 가상 스위치와 세정 가상 스위치와 쾌변 가상 스위치 및 건조 가상 스위치의 스위칭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제1감지부(42)와 제2감지부(44)와 제3감지부(46) 및 제4감지부(48)의 내부 영역인 감지 영역에서 움직일 때, 상기 제1감지부(42)의 정전 용량 변화가 있는지를 좌표값으로 계산한다. 제1감지부(42)의 정전 용량이 변화가 생기면 비데 가상 스위치가 스위칭되어서 비데를 비데 모드로 동작되도록 하고, 제1감지부(42)의 정전 용량의 변화가 생기지 않을 경우, 제2감지부(44)의 정전 용량의 변화가 있는지를 감지한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제1감지부(42)와 제2감지부(44)와 제3감지부(46) 및 제4감지부(48)의 내부 영역인 감지 영역에서 움직일 때, 상기 제2감지부(44)의 정전 용량 변화가 있는지를 좌표값으로 계산한다. 제2감지부(44)의 정전 용량이 변화가 생기면 세정 가상 스위치가 스위칭되어서 비데를 세정 모드로 동작되도록 하고, 제2감지부(44)의 정전 용량의 변화가 생기지 않을 경우, 제3감지부(46)의 정전 용량의 변화가 있는지를 감지한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제1감지부(42)와 제2감지부(44)와 제3감지부(46) 및 제4감지부(48)의 내부 영역인 감지 영역에서 움직일 때, 상기 제3감지부(46)의 정전 용량 변화가 있는지를 좌표값으로 계산한다. 제3감지부(46)의 정전 용량이 변화가 생기면 쾌변 가상 스위치가 스위칭되어서 비데를 쾌변 모드(관장 모드)로 동작되도록 하고, 제3감지부(46)의 정전 용량의 변화가 생기지 않을 경우, 제4감지부(48)의 정전 용량의 변화가 있는지를 감지한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제1감지부(42)와 제2감지부(44)와 제3감지부(46) 및 제4감지부(48)의 내부 영역인 감지 영역에서 움직일 때, 상기 제4감지부(48)의 정전 용량 변화가 있는지를 좌표값으로 계산한다. 제4감지부(48)의 정전 용량이 변화가 생기면 건조 가상 스위치가 스위칭되어서 비데를 건조 모드로 동작되도록 하고, 제4감지부(48)의 정전 용량의 변화가 생기지 않을 경우, 제1감지부(42)의 정전 용량의 변화가 있는지를 감지한다. 이러한 제1감지부(42)와 제2감지부(44)와 제3감지부(46) 및 제4감지부(48)의 정전 용량 변화 여부를 제어부(30)에 프로그랭된 비교 연산부에서 좌표값으로 계산하며, 비데가 비데 모드, 세정 모드, 쾌변 모드, 건조 모드에서 일정 시간 작동한 다음에는 비데의 각 동작 모드를 종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하면, 감지부(40)는 “A,B,C,D” 부분에 제1감지부(42)와 제2감지부(44)와 제3감지부(46)와 제4감지부(48)와 같이 컨트롤 패널(20)에 실제로 있고 나머지는 가상 스위치 위치를 계산하여 스위치 감지하는 방식, 다시 말해, “A,B,C,D” 비율 값에 의해 좌표를 환산하는 방식이므로, 하드웨어를 다시 설계하지 않기 때문에 국내 및 해외 승인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터치키 사출 쪽 인쇄와 소프트웨어만 바꿔도 스위치를 가상적으로 추가가 가능하다. 상기 비데 가상 스위치, 세정 가상 스위치, 쾌변 가상 스위치, 건조 가상 스위치에 더하여서 다른 기능의 가상 스위치를 터치키 사출 쪽 인쇄와 소프트웨어만 바꿔도 가상적으로 추가할 수 있는 것이다. 가상 스위치를 터치키 사출 쪽 인쇄와 소프트웨어만 바꿔도 가상적으로 추가할 수 있어서 비데 컨트롤 패널(20)의 설계시 작업성과 코스트 등의 측면에 있어서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하면, 비데 사용자가 비데 사용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서 컨트롤 패널(20)에서 일일에 해당 비데 사용 모드를 선택하는 터치키를 찾아서 눌러주어야 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데 사용시 번거로움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노약자나 장애인과 같이 거동에 있어서 취약한 사람들이 일일이 해당 비데 사용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터치키를 눌러주지 않고 손가락을 컨트롤 패널(20)의 감지 영역에서 움직이기만 하면 원하는 비데의 사용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비데의 컨트롤 패널(20)에는 비데 터치키, 세정 터치키, 쾌변 터치키, 건조 터치키 등이 있는데, 본 발명은 사용자가 비데 모드로 비데를 사용하기 위해서 비데 터치키를 찾아서 누르거 사용자가 세정 모드로 비데를 사용하기 위해서 세정 터치키를 찾아서 눌러야 되는 경우가 없고, 손가락만 컨트롤 패널(20)의 감지 영역에서 원하는 동작 모드로 움직이기만 하면 되므로, 기존에 터치키를 찾아서 눌러주는 일이 번거로움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노약자나 장애인과 같은 거동이 취약한 사람들이라 하더라도 비데를 비데 모드나 세정 모드 등으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경우, 감지부(40)는 손가락 모션 센서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의 동작 변화에 대응하여 제어부(30)가 비데를 선택된 비데 동작 모드로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감지부(40)에 의해 컨트롤 패널(20)에 손가락 모션 감지 영역이 확보되어, 상기 손가락 모션 감지 영역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의 모션 타입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30)가 비데를 선택된 비데 동작 모드로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컨트롤 패널(20)에 확보된 손가락 모션 감지 영역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움직이는 동작에 대응하여 제어부(30)가 비데를 선택된 비데 동작 모드로 작동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감지부(40)는 컨트롤 패널(20)에 구비된 제1감지부(42)와 제2감지부(44)와 제3감지부(46) 및 제4감지부(48)로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 패널(20)는 제1감지부(42)와 제2감지부(44)와 제3감지부(46) 및 제4감지부(48)의 안쪽 영역에 상기 손가락 모션 감지 영역이 획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감지부(42)와 제2감지부(44)와 제3감지부(46) 및 제4감지부(48)에 의해 상기 컨트롤 패널(20)에 손가락 모션 감지 영역이 확보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20)의 손가락 모션 감지 영역에서 움직이는 사용자의 손가락 모션 타입에 따라 비데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비데 동작 모드는, 비데 모드, 세정 모드, 쾌변 모드, 건조 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컨트롤 패널(20)의 손가락 모션 감지 영역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모션 타입에 따라 비데 모드, 세정 모드, 쾌변 모드, 건조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제어부(30)에서 선택된 모드로 비데가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감지부(40)는 제1감지부(42)와 제2감지부(44)와 제3감지부(46)와 제4감지부(48)가 각각 “A,B,C,D” 영역에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제1감지부(42)와 제2감지부(44)와 제3감지부(46)와 제4감지부(48)의 감도를 올려서 손가락 동작 모션 센서로 구현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컨트롤 패널(20)의 손가락 모션 감지 영역에는 격자형으로 복수개의 모션 감지 센서셀(140)이 구비되어, 비데 사용자의 손가락이 움직이는 모션 타입에 따라서 비데 모드, 세정 모드, 쾌변 모드, 건조 모드, 정지 모드로 비데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비데 동작 모션, 세정 동작 모션, 쾌변 동작 모션, 건조 동작 모션을 입력받는 비교 연산부를 제어부(30)에 구비한다. 비교 연산부는 제어부(30)에 프로그래밍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비데 동작 모션 입력, 세정 동작 모션 입력, 쾌변 동작 모션 입력, 건조 동작 모션은 제어부(30)에 구비된 비교 연산부에 입력됨으로써 제어부(30)에서 비데 모드, 세정 모드, 쾌변 모드, 건조 모드로 선택하여 비데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30)에 미리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비교 연산부에서 비데 동작 모션, 세정 동작 모션, 쾌변 동작 모션, 건조 동작 모션을 입력받아 비데 모드, 세정 모드, 쾌변 모드, 건조 모드 중에서 선택하여 비데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컨트롤 패널(2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손가락을 움직이면 격자형의 복수개의 모션 감지 센서셀(140)이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비데 모드로 비데가 동작하고, 컨트롤 패널(2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손가락을 움직이면 격자형의 복수개의 모션 감지 센서셀(140)이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세정 모드로 비데가 동작하고, 컨트롤 패널(20)의 상부에서 하부로 손가락을 움직이면 격자형의 복수개의 모션 감지 센서셀(140)이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쾌변 모드로 비데가 동작하고, 컨트롤 패널(20)의 하부에서 상부로 손가락을 움직이면 격자형의 복수개의 모션 감지 센서셀(140)이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건조 모드로 비데가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을 컨트롤 패널(20)에서 원으로 움직이면 격자형의 복수개의 모션 감지 센서셀(140)이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비데 정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컨트롤 패널(20)의 제1감지부(42)와 제2감지부(44)와 제3감지부(46)와 제4감지부(48)의 안쪽 감지 영역에는 모션 감지 센서셀(140)가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격자형 배치의 복수개의 모션 감지 센서셀(140)이 사용자의 손가락 동작 모션을 센싱함으로써, 상기 비데 모드, 세정 모드, 쾌변 모드, 정지 모드로 비데가 동작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비데 정지 모드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9에서는 비데 사용자의 손가락 동작 패턴을 빗금친 부분으로 표시된 모션 감지 센서셀이 감지한 상태를 보여준다. 즉, 도 5는 비데 모드, 도 6은 세정 모드, 도 7은 쾌변 모드, 도 8은 건조 모드, 도 9는 정지 모드일 때에 복수개의 격자형 모션 감지 센서셀이 비데 사용자의 손가락 동작을 감지한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컨트롤 패널(20)에 구비된 제1감지부(42)와 제2감지부(44)와 제3감지부(46) 및 제4감지부(48) 사이의 감지 영역에서 손가락 동작 모션에 따라 제어부(30)에 프로그랭된 비교 연산부에서 비데 모드, 세정 모드, 쾌변 모드, 건조 모드에서 비데가 일정 시간 작동한 다음에는 비데의 각 동작 모드를 종료하게 된다. 물론, 비데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20)의 감지 영역에서 손가락을 원으로 그리면 비데의 각 동작 모드가 종료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손가락 동작 모션에 따라 복수개의 격자형 모션 감지 센서셀(140)이 비데 모드, 세정 모드, 쾌변 모드, 건조 모드 및 정지 모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 1의 효과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0. 컨트롤 패널 30. 제어부
40. 감지부 42. 제1감지부
44. 제2감지부 46. 제3감지부
48. 제4감지부 140. 모션 감지 센서셀

Claims (12)

  1. 비데의 컨트롤 패널(20)에 구비된 감지부(40);
    상기 감지부(40)에 의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 신호를 수신하여 비데 동작 모드가 선택되도록 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감지부(40)는 손가락 모션 센서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의 동작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30)가 비데를 선택된 비데 동작 모드로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부(40)에 의해 상기 컨트롤 패널(20)에 손가락 모션 감지 영역이 확보되어, 상기 손가락 모션 감지 영역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의 모션 타입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30)가 비데를 선택된 비데 동작 모드로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부(40)는 상기 컨트롤 패널(20)에 구비된 제1감지부(42)와 제2감지부(44)와 제3감지부(46) 및 제4감지부(48)로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 패널(20)는 상기 제1감지부(42)와 제2감지부(44)와 제3감지부(46) 및 제4감지부(48)의 안쪽 영역에 상기 손가락 모션 감지 영역이 획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감지부(42)와 제2감지부(44)와 제3감지부(46) 및 제4감지부(48)에 의해 상기 컨트롤 패널(20)에 손가락 모션 감지 영역이 확보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20)의 상기 손가락 모션 감지 영역에서 움직이는 사용자의 손가락 모션 타입에 따라 상기 비데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비데 동작 모드는, 비데 모드, 세정 모드, 쾌변 모드, 건조 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 패널(20)의 상기 손가락 모션 감지 영역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모션 타입에 따라 상기 비데 모드, 상기 세정 모드, 상기 쾌변 모드, 상기 건조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 패널(20)의 손가락 모션 감지 영역에는 격자형으로 복수개의 모션 감지 센서셀(140)이 구비되어, 비데 사용자의 손가락이 움직이는 모션 타입에 따라서 비데 모드, 세정 모드, 쾌변 모드, 건조 모드, 정지 모드로 비데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고,
    비데 동작 모션, 세정 동작 모션, 쾌변 동작 모션, 건조 동작 모션을 입력받는 비교 연산부를 상기 제어부(30)에 구비하고,
    상기 비데 동작 모션 입력, 세정 동작 모션 입력, 쾌변 동작 모션 입력, 건조 동작 모션은 제어부(30)에 구비된 비교 연산부에 입력됨으로써 상기 제어부(30)에서 비데 모드, 세정 모드, 쾌변 모드, 건조 모드로 선택하여 비데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동작 감지 구동형 컨트롤 패널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00038070A 2020-03-30 2020-03-30 비데용 동작감지 구동형 컨트롤 패널 구조 KR102353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070A KR102353295B1 (ko) 2020-03-30 2020-03-30 비데용 동작감지 구동형 컨트롤 패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070A KR102353295B1 (ko) 2020-03-30 2020-03-30 비데용 동작감지 구동형 컨트롤 패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439A KR20210121439A (ko) 2021-10-08
KR102353295B1 true KR102353295B1 (ko) 2022-01-19

Family

ID=78115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070A KR102353295B1 (ko) 2020-03-30 2020-03-30 비데용 동작감지 구동형 컨트롤 패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2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094A (ko)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비데의 비접촉 조작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5166A (ja) * 2011-03-16 2012-10-11 Lixil Corp 操作入力装置
JP2013096070A (ja) * 2011-10-28 2013-05-20 Panasonic Corp トイレ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239A (ko) 2007-03-15 2008-09-19 이준호 다수의 사용자 전원 버튼을 포함하는 비데 제어 장치
KR20120069544A (ko) 2010-12-20 2012-06-28 정영모 비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30048188A (ko) 2011-11-01 2013-05-09 코웨이 주식회사 전지로 작동될 수 있는 비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5166A (ja) * 2011-03-16 2012-10-11 Lixil Corp 操作入力装置
JP2013096070A (ja) * 2011-10-28 2013-05-20 Panasonic Corp トイレ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439A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128696A1 (en) Household appliance having concealable user interface
KR102353295B1 (ko) 비데용 동작감지 구동형 컨트롤 패널 구조
CN103807973A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
JP2011156244A (ja) 洗濯機、洗濯機の操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721162A (zh) 具有触控控制功能的马桶座
WO2009117795A2 (en) Household appliance with function-selection touch-screen
KR200423761Y1 (ko) 인체감지거리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비데
JP2005168719A (ja) トイレ装置
CN112704459A (zh) 洗碗机操控结构和洗碗机
JP6890574B2 (ja) スマート便座装置
JP2019082012A (ja) トイレ装置
JP5909646B2 (ja) 食器洗い機
JP2014147441A (ja) 操作装置及び洗濯機
CN109744965B (zh) 一种清洗机及其界面操作方法
CN109744967B (zh) 一种洗碗机界面操作方法
KR200469572Y1 (ko) 이원 센서가 구현된 사용자 지향적 세정장치
CN209082635U (zh) 智能马桶
JP2020078478A (ja) 洗濯機
EP2515739B1 (en) A dishwasher comprising a single button
CN109610134A (zh) 一种触控按钮、洗衣机控制方法及装置
JP5263706B2 (ja) 局部洗浄装置
CN111094643A (zh) 具有传感器的家用器具
JPH07102608A (ja) トイレ装置
JP2002317482A (ja) 衛生洗浄装置
JP3603146B2 (ja) 便座の着座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