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6664A - 힘 센서 기반의 리모콘 및 이를 구비한 비데 - Google Patents

힘 센서 기반의 리모콘 및 이를 구비한 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6664A
KR20130076664A KR1020120032258A KR20120032258A KR20130076664A KR 20130076664 A KR20130076664 A KR 20130076664A KR 1020120032258 A KR1020120032258 A KR 1020120032258A KR 20120032258 A KR20120032258 A KR 20120032258A KR 20130076664 A KR20130076664 A KR 20130076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orce sensor
sensor
remote controlle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6734B1 (ko
Inventor
안규섭
임병훈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2/00765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100324A1/en
Priority to CN201280064986.8A priority patent/CN104024544B/zh
Publication of KR20130076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힘 센서 기반의 리모콘 및 이를 구비한 비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힘 센서 기반의 리모콘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힘 센서(micro force sensor)를 구비하고, 상기 힘 센서에 대한 입력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제어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힘 센서가 동작하지 않는 절전모드 또는 상기 힘 센서의 동작이 활성화되는 동작모드로 상기 입력부의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힘 센서 기반의 리모콘 및 이를 구비한 비데 {FORCE SENSOR BASED INPUT DEVICE AND BIDE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힘 센서 기반의 리모콘 및 이를 구비한 비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힘 센서를 이용하여 습기가 많은 욕실환경에서도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힘 센서 기반의 리모콘 및 이를 구비한 비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동작모드 전환을 통하여 상기 리모콘에서 소모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힘 센서 기반의 리모콘 및 이를 구비한 비데에 관한 것이다.
국내의 욕실환경은 일본, 유럽, 미주와는 달리 변기와 샤워시설이 분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비데를 개발함에 있어, 예를 들어, 높은 습기, 물의 직접 접촉, 온도의 변화폭 등과 같은 외부 환경적인 요인을 고려한 제품의 개발이 요구된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비데의 경우 IPX4 기준으로 내부에 물의 침투가 불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하는데, 그에 따라 설계시 비용이 상승하고 제작의 애로사항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힘 센서 기반의 리모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힘 센서 기반의 리모콘을 구비하는 비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모콘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힘 센서(micro force sensor)를 구비하고, 상기 힘 센서에 대한 입력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제어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힘 센서가 동작하지 않는 절전모드 또는 상기 힘 센서의 동작이 활성화되는 동작모드로 상기 입력부의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힘 센서는, 서로 마주보는 두 장의 필름과 상기 필름 사이에 위치하는 감압층(Piezo-resistive material)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필름에 인가되는 압력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감압층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상기 힘 센서에 대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인가되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감압층의 저항값을 감지하고, 상기 감압층의 저항값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인가되는 압력의 진행방향에 따라 상기 감압층 저항값이 변화하는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압력의 진행방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는, 복수의 힘 센서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복수의 힘 센서에 대한 압력의 인가순서로부터 상기 압력의 진행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압력의 진행방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드전환부는, 인체의 접근에 따른 정전기의 변화를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정전기의 변화가 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입력부를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드전환부는, 적외선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부로 접근하는 인체와의 거리를 감지하고, 상기 인체와 상기 입력부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입력부를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드전환부는, 상기 리모콘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리모콘의 가속도가 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입력부를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리모콘에 인가되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홀 센서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리모콘이 자석이 구비된 리모콘 거치대에서 탈착하면 상기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입력부를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드전환부는, 별도의 모드전환용 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모드전환용 힘 센서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압력이 인가되면 상기 입력부를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드전환용 힘 센서는, 상기 리모콘에 구비된 손잡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손잡이부를 잡으면 상기 모드전환용 힘 센서에 상기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압력이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드전환부는, 모드전환용 힘 센서, 정전용량센서, 적외선 센서, 가속도 센서 및 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부의 모드전환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리모콘의 하단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통신부와 상기 비데를 연결하는 선은 수직선에 대하여 30 ~ 60도 사이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드전환부는, 상기 동작모드 중에 상기 힘 센서에 대한 입력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없으면, 상기 입력부의 모드를 상기 절전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데는, 비데 몸체; 상기 비데 몸체의 전방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깔고 앉는 시트(seat)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변좌온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시트의 온도를 조절하는 변좌부; 상기 비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입력되는 노즐 제어신호에 따라 분사위치 및 분사 시간을 조절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부;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온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노즐부에 공급하는 세척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급수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힘 센서(micro force sensor)를 구비하여 상기 힘 센서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제어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힘 센서가 동작하지 않는 절전모드 또는 상기 힘 센서의 동작이 활성화되는 동작모드로 상기 입력부의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전환부를 포함하는 리모콘; 및 상기 리모콘이 송신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변좌부, 노즐부 및 급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힘 센서 기반의 리모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는, 힘 센서를 이용하므로, 방수를 위한 별도의 비닐막을 리모콘위에 씌울 필요가 없다. 따라서, 리모콘 제작과 관련하여 비용절감이 가능하고 단순한 구성으로 제작이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힘 센서 기반의 리모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는, 상기 힘 센서에 입력되는 힘의 크기 및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다양한 입력방식으로 편리하게 리모콘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힘 센서 기반의 리모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는, 리모콘의 동작모드에 따라, 리모콘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에너지를 거의 소모하지 않고, 이후 리모콘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에너지를 사용하므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힘 센서 기반의 리모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는, 리모콘의 동작모드 전환을 위하여 별도의 버튼 등을 누를 필요없이, 리모콘을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여 리모콘의 동작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모콘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a)는 힘 센서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2(b)는 상기 힘센서에 인가한 힘에 따른 기준저항의 전압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3은 힘 센서에 인가되는 힘의 크기를 구별하고, 상기 힘의 크기에 따라 생성하는 제어신호를 달리하는 힘 센서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4는 힘 센서에 인가되는 힘의 진행방향을 구별하고, 상기 힘의 진행방향에 따라 생성하는 제어신호를 달리하는 힘 센서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및 상기 리모콘을 구비한 비데의 일 구현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포함하는 비데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모콘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모콘(100)은, 입력부(10), 통신부(20) 및 모드전환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모콘(100)을 설명한다.
입력부(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힘 센서(micro force sensor)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힘 센서에 대한 입력에 따라 피제어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제어장치(200)는 상기 리모콘(100)이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는 장치로서, 비데, TV 등의 가전제품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0)에 구비된 힘 센서에 압력을 가하여 누르는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피제어장치(200)의 동작을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부(10)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피제어장치(2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부(10)는 복수의 힘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힘 센서는 각각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힘 센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비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힘 센서에 대한 입력과 관련하여, 상기 복수의 힘 센서에 대한 입력을 결합하거나, 상기 힘 센서에 대한 압력을 유지하는 입력 시간, 입력하는 압력의 세기 및 입력하는 압력의 진행방향 등을 달리하여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힘 센서의 입력방식에 따라상기 입력부(10)가 생성하는 제어신호가 달라질 수 있다.
입력부(10)는, 상기 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동작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이하 도2를 참조하여 상기 힘 센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2는 상기 힘 센서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힘 센서(11)는 두 장의 필름(11a)이 대층 구조로 서로 마주보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두 장의 필름(11a) 사이에 감압층(感壓層, Piezo-resistive material, 11b)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힘 센서(11)는, 상기 힘 센서(11)에 인가된 힘(F)의 세기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힘 센서(11) 양단의 저항값 또는 전압의 크기을 통하여 상기 인가된 힘(F)을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힘 센서(11)에 힘(F)을 가하게 되면, 상기 두 장의 필름(11a) 간격은 점차 좁아지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감압층(11b)은 서로 맞닿게 된다. 상기 맞닿은 감압층(11b)의 면적은 상기 힘 센서(11)에 가하는 힘(F)의 크기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서, 상기 맞닿는 면적이 넓어질수록 상기 힘 센서(11)의 양단 저항은 점차 작아지게 된다. 이는 압전효과(Piezoresistive effect)에 의한 것으로서, 상기 힘 센서(11)에 인가하는 힘(F)의 크기가 커질수록 상기 힘 센서(11)의 양단 저항은 더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힘센서(11) 양단의 저항값 또는 전압의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힘 센서(11)에 입력된 힘(F)을 감지할 수 있다.
도2(b)는, 상기 힘센서(11)와 직렬연결된 기준저항의 양단 전압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상기 힘 센서(11)에 인가하는 힘의 크기가 커질수록 상기 기준저항 양단 전압의 크기가 커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힘 센서(11)에 인가되는 힘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힘 센서(11) 양단의 저항값은 감소하므로, 전압분배법칙에 따라 상기 기준저항의 양단 전압의 크기가 커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2(b)의 그래프에 따르면, 상기 기준저항 양단의 전압값은 상기 힘 센서(11)에 인가되는 힘의 세기에 대응하여 증가하므로, 상기 입력부(10)는, 상기 힘 센서(11)로 입력되는 힘의 세기를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10)는, 상기 힘 센서(11)에 단순히 입력이 들어오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 이외에, 상기 힘 센서(11)에 입력되는 힘의 세기에 따라 다양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피제어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힘 센서(11)에 입력되는 힘의 세기에 따른 제어신호 형성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은 힘 센서(11)에 인가되는 힘의 세기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저항 양단 전압의 크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힘 센서(11)에 인가되는 힘의 세기는 그 크기에 따라 3개의 영역(a, b, c)으로 구별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영역들은 각자 해당하는 전압의 범위(p, q, r)를 가지므로, 상기 입력부(10)는 상기 기준저항 양단의 전압값을 감지하여 상기 인가되는 힘의 세기에 해당하는 영역을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10)는 상기 힘 센서(11)의 양단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3개의 영역으로 상기 인가되는 힘의 세기를 구별하고, 상기 구별된 힘의 세기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리모콘을 이용하여 비데의 변좌온도를 설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는 변좌온도버튼을 반복하여 누르는 방식 등을 활용할 수 있으나, 상기 힘 센서를 이용하면 상기 변좌온도버튼을 누르는 힘의 세기에 따라 상기 변좌온도를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즉, 입력부(10)는, 상기 변좌온도 버튼을 누르는 힘의 세기를 "상, 중, 하"로 구별하고 상기 변좌온도를 "고, 중, 저"로 설정한 후, 상기 힘의 세기가 "상"에 해당하면 변좌온도를 "고"로 설정하고, 상기 힘의 세기가 "중"에 해당하면 변좌온도를 "중"으로 설정하며, 상기 힘의 세기가 "하"에 해당하면 변좌온도를 "저"로 설정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힘센서(11)에 인가되는 힘의 세기가 크면 세척수의 분사강도를 강하게 하고, 인가하는 힘의 세기가 작으면 세척수의 분사강도를 약하게 하거나, 세척수의 온도, 비데의 노즐위치 등도 상기 힘의 세기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력부(10)에 의하면, 인가하는 힘의 세기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인가하는 힘의 세기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피제어장치(200)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3에서는 힘의 세기에 따라 3개의 영역으로 나누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힘의 세기에 따라 복수개의 영역으로 나누는 경우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입력부는(10)는, 상기 힘 센서(11)에 인가하는 힘의 진행방향을 감지하여, 상기 힘의 진행방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4(a)는, 입력부(10)에 인가되는 힘의 진행방향을 감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하 도4(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힘 센서(11)는 상기 입력부(10)내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f11-14, f21-f24, f31-f34, f41-f44).
도4(a)의 d1, d2, d3는 상기 입력부(10)에 인가된 힘의 진행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특히, d1은 힘센서 f32에 처음 힘이 인가된 후 순차적으로 f23, f14로 힘이 인가되는 것으로서, f21에 처음 힘이 인가되어 순차적으로 f22, f23, f24로 힘이 인가되는 d2와는 구별된다. 즉, 상기 입력부(10)는 인가되는 힘을 순차적으로 인식하는 힘센서들로부터, 상기 인가되는 힘의 진행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힘의 진행방향에 따라 제어신호를 달리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0)는, 각각의 힘센서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미리 알 수 있으므로, 현재 힘이 인가된 힘센서와, 직전에 힘이 인가된 힘센서로부터 상기 힘 센서의 진행방향을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파악한 힘의 진행방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입력부(10)에서 감지한 상기 힘의 진행방향에 따라서 비데의 노즐위치를 조절하거나, 상기 입력부(10)에서 감지한 힘의 진행방향에 따라 건조팬의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는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4(a)와는 달리, 하나의 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의 힘센서에 인가되는 힘의 진행방향을 상기 힘센서의 저항값의 변화를 측정하여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힘센서의 감압층이 가지는 저항값은 상기 힘이 인가된 영역에 대하여는 낮아지고, 나머지 부분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힘센서의 전류 또는 전압 등의 측정값으로부터 상기 힘 센서 전체의 저항분포를 파악한 후, 주변에 비하여 저항값이 낮아지는 영역을 추출하여 상기 힘의 진행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부(10)를 구성하는 복수의 힘센서(11)를 방향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고, 각각의 방향에 해당하는 영역에 힘이 인가되면 상기 방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부(10)의 영역을 up, down, right, left로 구별한 이후에, 상기 영역에 대하여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up, down, right, left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up에 해당하는 힘 센서에 힘이 인가되면, 비데의 세척수 온도를 상승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거나, right에 해당하는 힘 센서에 힘이 인가되면, 세척수의 분사강도를 높이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도4(b)와 달리, 하나의 힘센서를 방향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고, 상기 방향에 해당하는 영역에 힘이 인가되면 상기 방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힘이 인가된 영역에 대하여는 저항값이 낮아지므로, 상기 힘센서 중에서 저항값이 낮은 영역을 추출하여 상기 힘이 인가된 영역으로 판별하고, 이후 상기 힘이 인가된 영역이 해당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도5(a)는 본 발명에 의한 리모콘(100)의 일 구현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리모콘(100)으로 비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상기 "+", "-", "세정", "비데", "건조", "정지", "air", "무브" 등의 버튼 영역에 상기 힘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영역에 구비된 힘 센서 중에서 어느 힘 센서에 힘이 인가되는지에 따라, 상기 리모콘(100)이 생성하는 제어신호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리모콘(100)이 생성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비데의 동작이 달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버튼에 대한 힘의 인가와 관련하여, 상기 "+" 버튼의 경우, 예를들어, 상기 "+" 버튼의 입력횟수나 입력유지시간에 따라 세척수의 온도 또는 변좌의 온도 등이 상승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기 "+" 버튼에 인가하는 힘의 세기에 따라서 상기 세척수의 온도 또는 변좌의 온도 등이 상승하는 정도를 달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앞서 살핀바와 같이, 상기 "+" 버튼은 힘 센서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일 수 있으므로, 상기 "+" 버튼에 인가되는 힘의 세기를 구별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힘의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세척수의 온도 또는 변좌의 온도 등을 설정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상기 "+" 버튼에 대한 힘의 세기를 "상, 중, 하"로 설정한 후, 상기 "상"의 힘의 세기가 입력되면 상기 "세척수의 온도"를 10도 더 올리도록 설정하고, 상기 "상"의 힘의 세기가 입력되면 상기 "세척수의 온도"를 5도 더 올리도록 설정하는 등의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힘 센서에 인가하는 힘의 세기를 감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피제어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세정"버튼의 경우, 상기 "세정"버튼에 인가하는 힘의 진행방향에 따라, 사용자의 국부를 세척하는 상기 세정동작을 달리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세정"버튼을 위에서 아래로 쓸어내리는 방식으로 힘을 인가하면, 노즐의 위치를 뒤로 움직여 세척수가 인체로 분사되는 포인트를 뒤로 옮기도록 하거나, 반대로 아래에서 위로 쓸어올리면 상기 노즐의 위치를 앞으로 움직여 세척수가 인체로 분사되는 포인트를 앞으로 옮기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상기 힘 센서에 인가하는 힘의 진행방향을 감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피제어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모콘(100)은 상기 힘 센서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비닐코팅 등을 하지 않아도 방수가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종래의 리모콘 버튼의 경우에는, 상기 버튼의 하단분에 홈이 구비되어, 상기 버튼에 힘이 가해지면 상기 힘에 의하여 버튼이 아래로 내려가 회로를 단락 또는 개방하는 방식으로 제어신호를 생성하였다. 이 때, 상기 홈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리모콘(100)을 습도가 높거나 물이 많은 장소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비닐코팅 등의 추가적인 방수처리가 필요하였다.
하지만, 상기 힘 센서의 경우에는, 상기 감압층 필름이 맞닿을 수 있도록 하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버튼을 구현하므로 상기 버튼을 입력하기 위한 별도의 홈이 필요없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별도의 비닐코팅 등을 하지 않더라도 물이 상기 리모콘(100)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힘 센서를 이용하는 리모콘(100)은 용이하게 방수처리를 할 수 있으므로, 방수 기능이 필요한 곳에서 널리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물이 많은 욕실 등에서 사용되는 비데에 사용하기 적합할 수 있다.
통신부(20)는, 상기 입력부(10)에서 생성한 제어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피제어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리모콘(100)은 상기 피제어장치(200)와 분리된 별도의 구성이므로, 상기 입력부(10)에서 생성한 제어신호를 상기 피제어장치(200)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피제어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는 구성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기 리모콘(100)은, 리모콘(100)과 피제어장치(200) 사이에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상기 통신부(20)의 구성을 포함하여, 상기 리모콘(100)의 입력부(10)에서 생성한 제어신호를 상기 피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피제어장치(200)에는 상기 통신부(20)가 송신하는 제어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수신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20)는, 상기 리모콘(100)과 상기 피제어장치(200) 사이에 무선통신을 제공하기 위하여, TV 리모콘 등에서 많이 활용되는 적외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이용하여 상기 피제어장치(200)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적외선 통신의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거리가 수 미터 정도로 짧고, 상기 리모콘(100)의 통신부(20)가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피제어장치(200)의 수신부가 전송받을 수 있는 각도에도 제한이 있으므로, 상기 피제어장치(200)와 상기 리모콘(100)의 통신부가 이루는 각도가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부(20)는, 상기 리모콘(100)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20)와 상기 피제어장치(200)를 연결하는 선이 수직선에 대하여 기 설정된 기울기를 가지도록 상기 통신부(20)의 위치 및 구성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피제어장치(200)가 비데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기울기는 30 ~ 60 도 사이의 어느 하나의 각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5도일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비데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100)을 주로 이용하므로, 이러한 사용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통신부(20)의 위치를 설정한 것이다.
모드전환부(30)는, 상기 힘 센서가 동작하지 않는 절전모드 또는 상기 힘 센서의 동작이 활성화되는 동작모드로 상기 입력부(10)의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모드전환부(30)는, 상기 입력부(10)에 구비된 힘 센서의 활성화 여부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기 힘 센서는 전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활성화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드전환부(30)는, 상기 리모콘(100)이 사용되는 동작모드와 상기 리모콘(100)이 사용되지 않는 절전모드를 구별하여, 상기 리모콘(100)이 사용되는 경우에만 상기 힘 센서에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는 의도하지 않게 상기 힘 센서에 압력을 가한 경우에 상기 피제어장치(200)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힘 센서의 활성화에 따른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특히, 전원으로 배터리를 사용하는 등 상기 리모콘(100)의 동작수명에 제한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부(30)를 이용한 전력 소모 방지를 통하여 상기 리모콘(100)의 동작수명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드전환부(30)는 별도의 센서 또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상기 모드전환을 위한 입력을 받을 수 있으며, 상기 모드전환을 위한 입력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입력부(10)의 모드전환 방식을 설명한다.
상기 모드 전환부(30)는, 인체의 접근에 따른 정전기의 변화를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정전기의 변화가 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입력부(10)를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리모콘(10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리모콘(100)을 손 등 신체의 일부를 이용하여 잡거나 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하면 상기 리모콘(100)으로의 인체 접근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이로부터 사용자의 상기 리모콘(100)을 사용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전용량센서는 인체의 접근에 따른 상기 정전용량센서 내의 정전기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인체의 일부가 접근함에 따라 상기 정전기의 변화량은 점차 커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전기의 변화량이 기 설정값 이상으로 커지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100)의 사용을 위하여 상기 리모콘(100)에 접근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입력부(10)를 상기 절전모드에서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별도의 스위치를 누르는 등 다른 동작을 할 필요없이 상기 리모콘(100)을 잡거나 만지기만 하여도, 자연스럽게 상기 힘센서의 동작이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모드 전환부(30)는, 적외선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부(10)로 접근하는 인체와의 거리를 감지하고, 상기 인체와 상기 입력부(10)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입력부를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인체의 접근여부는 상기 정전용량센서뿐만 아니라, 상기 적외선 센서를 통하여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을 방출하는 발광부와 상기 방출된 적외선이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감지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가 방출한 적외선이 인체에 의하여 반사되어 돌아오면, 상기 수광부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적외선이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시간과 상기 적외선의 속도를 이용하면,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상기 인체까지의 거리를 용이하게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외선 센서로 측정한 상기 인체와의 거리가 점차 근접하여 기 설정된 거리 이하로 좁혀지면, 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100)의 사용을 위하여 상기 리모콘(100)에 접근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모드 전환부(30)는, 상기 입력부(10)를 상기 절전모드에서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외에도, 조도센서, 카메라 등 상기 인체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센서도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가 인체의 리모콘(100) 접근을 판별하면 상기 절전모드에서 동작모드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드 전환부(30)는, 상기 리모콘(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리모콘(100)의 움직임의 변화가 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입력부(10)를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는, 상기 리모콘(100)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변화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속도 센서는 관성식, 자이로식, 실리콘반도체식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리모콘(100)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리모콘(100)은, 별도로 마련된 리모콘 거치대 등에서 상기 리모콘(100)이 탈착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100)을 탈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리모콘(100)은 여러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는 상기 리모콘(100)의 탈착시 발생하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모드 전환부(30)는 상기 입력부(10)의 모드를 상기 절전모드에서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상기 리모콘(100)이 상기 리모콘 거치대에서 탈착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리모콘(100)을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리모콘(100)이 움직여 상기 가속도 센서가 이를 감지하는 경우는 모두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의도하지 않게 상기 리모콘(100)을 건드리는 경우에도 동작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리모콘(100)의 움직임이 상기 기 설정값 이상으로 감지될 때에 한하여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도, 상기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리모콘(100)을 사용할 때 자연스럽게 발생할 수 있는 상기 리모콘(100)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부(10)의 모드를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드 전환부(30)는, 상기 리모콘(100)에 인가되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홀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리모콘(100)이 자석이 구비된 리모콘 거치대에서 탈착하면 상기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입력부(10)를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5(b)에 도시된 비데(200)를 참조하면, 상기 비데(200)에는 리모콘 거치대(2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모콘 거치대(26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모콘(100)이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리모콘 거치대(260)에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석은, 상기 리모콘 거치대(260)와 상기 리모콘(100) 사이에 접착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자석에 의한 자기장을 이용하여 상기 리모콘(100)의 사용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모콘(100)에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모콘(100)이 상기 리모콘 거치대(260)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리모콘 거치대(260)에 구비된 상기 자석에 의하여 일정한 크기의 자기장이 계속하여 상기 리모콘(100)에 인가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100)을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리모콘(100)을 상기 리모콘 거치대(260)에서 탈착하게 되면 상기 리모콘(100)에는 더 이상 상기 자석에 의한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으며, 상기 홀 센서는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리모콘(100)을 상기 리모콘 거치대(260)에서 탈착하는 것은 상기 리모콘(100)을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상기 홀 센서가 상기 리모콘(100)의 탈착을 감지하면, 상기 입력부(10)의 모드를 상기 절전모드에서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드 전환부(30)는, 별도의 모드전환용 힘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모드전환용 힘 센서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압력이 인가되면, 상기 입력부(10)를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0)가 절전모드일 때는 상기 모드전환용 힘 센서만 활성화하여, 상기 모드전환용 힘 센서에 압력이 인가되면 상기 입력부(10)를 동작모드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동작모드에서 상기 모드전환용 힘 센서를 누르면 상기 절전모드로 다시 전환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모드전환용 힘 센서가 비활성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드전환용 힘센서는, 상기 리모콘(100)에 구비된 손잡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리모콘(100)에는 상기 리모콘(100)를 잡기 편하도록 별도의 손잡이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에 상기 모드전환용 힘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모콘(100)을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부를 잡게 되면, 동시에 상기 모드전환용 힘 센서를 누를 수 있으므로, 상기 리모콘(100)은 동작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손잡이부에 위치하는 상기 모드전환용 힘 센서는, 상기 기 설정된 크기의 압력을 상기 손잡이부를 잡는 정도의 압력의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에 상기 모드전환용 힘 센서 대신에 조도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리모콘(100)의 모드를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를 잡으면 상기 조도센서에 빛이 차단될 수 있으므로, 상기 빛의 차단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잡은 것을 판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모드전환부(30)는, 상기 모드전환용 힘 센서, 정전용량센서, 적외선 센서, 가속도 센서, 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부(10)의 모드전환여부를 판별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모드전환부(30)에는, 상기 모드전환용 힘 센서, 정전용량센서, 적외선 센서, 가속도 센서 및 홀 센서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개의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모드전환부(30)는 상기 복수개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부(10)의 모드를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드전환부(30)는, 상기 입력부(10)를 동작모드에서 절전모드로도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별도의 버튼이나 스위치 등을 상기 리모콘(100)에 구비할 수도 있으나, 상기 모드전환부(30)는, 상기 상기 힘 센서에 대한 입력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없으면, 상기 입력부(10)의 모드를 상기 동작모드에서 상기 절전모드로 다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시간동안 사용자의 입력이 없으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피제어장치(200)의 사용을 마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기 동작모드를 유지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작모드를 상기 절전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리모콘(100)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모콘(100)은, TV, 에어컨 등 상기 리모콘(100)이 활용될 수 있는 제품이나 장소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비데 등과 같이 습기가 많은 장소 등에서 사용되는 가전제품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을 구비한 비데의 일 구현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모콘을 포함하는 비데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5(b) 및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데는, 좌변기(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비데 몸체(210), 변좌부(220), 노즐부(230), 급수부(240), 리모콘(10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변좌부(220)는, 상기 비데 몸체(2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깔고 앉는 시트(seat)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변좌온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시트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변좌부(220)의 시트 내부에는 상기 시트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열선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변좌부(220)는, 상기 변좌온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열선을 통하여 상기 시트를 가열하는 시간 및/또는 가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좌온도 제어신호는 상기 제어부(25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노즐부(230)는, 상기 비데 몸체(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입력되는 노즐 제어신호에 따라 분사강도, 분사위치 및 분사 시간을 조절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230)는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여 사용자의 국부를 세척하는 것으로서, 상기 노즐제어신호는 상기 제어부(25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급수부(240)는,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온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노즐부(230)에 공급하는 세척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40)는, 상수도 등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상기 노즐부(230)에서 사용하는 세척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급수부(240)에는 히터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를 이용하여 상기 세척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리모콘(10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변좌온도 제어신호, 노즐 제어신호 및 온수 제어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리모콘(100)은, 앞서 그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250)는, 상기 리모콘(100)이 생성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변좌부(220), 노즐부(230) 및 급수부(2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리모콘(100)의 통신부(20)가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50)가 상기 리모콘(100)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리모콘(100)으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직접 상기 변좌부(220), 노즐부(230) 및 급수부(240)로 전송하여 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50)가 상기 리모콘(100)으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별도의 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기 변좌부(220), 노즐부(230) 및 급수부(240) 등을 제어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데는, 리모콘 거치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모콘 거치대(260)는 상기 리모콘(100)을 받쳐 놓는 구성으로서, 도5(b)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비데가 위치하는 욕실벽이나 문, 바닥 등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 좌변기 100: 리모콘
10: 입력부 11a: 필름
11b: 감압층 20: 통신부
30: 모드전환부 200: 비데
210: 비데몸체 220: 변좌부
230: 노즐부 240: 급수부
250: 제어부 260: 리모콘 거치대
270: 커버

Claims (15)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힘 센서(micro force sensor)를 구비하고, 상기 힘 센서에 대한 입력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제어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힘 센서가 동작하지 않는 절전모드 또는 상기 힘 센서의 동작이 활성화되는 동작모드로 상기 입력부의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전환부를 포함하는 리모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힘 센서는
    서로 마주보는 두 장의 필름과 상기 필름 사이에 위치하는 감압층(Piezo-resistive material)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필름에 인가되는 압력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감압층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상기 힘 센서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는 리모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인가되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감압층의 저항값을 감지하고, 상기 감압층의 저항값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리모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인가되는 압력의 진행방향에 따라 상기 감압층 저항값이 변화하는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저항값이 변화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리모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복수의 힘센서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복수의 힘센서에 대한 압력의 인가순서로부터 상기 압력의 진행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압력의 진행방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리모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부는
    인체의 접근에 따른 정전기의 변화를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정전기의 변화가 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입력부를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리모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부는
    적외선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부로 접근하는 인체와의 거리를 감지하고, 상기 인체와 상기 입력부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입력부를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리모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부는
    상기 리모콘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리모콘의 가속도가 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입력부를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리모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리모콘에 인가되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홀 센서를 구비하여, 자석이 구비된 리모콘 거치대에서 상기 리모콘을 탈착하면 상기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입력부를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리모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부는
    별도의 모드전환용 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모드전환용 힘 센서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압력이 인가되면 상기 입력부를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리모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용 힘 센서는
    상기 리모콘에 구비된 손잡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손잡이부를 잡으면 상기 모드전환용 힘 센서에 상기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압력이 인가되는 리모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부는
    모드전환용 힘 센서, 정전용량센서, 적외선 센서, 가속도 센서 및 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부의 모드전환여부를 판별하는 리모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리모콘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통신부와 상기 비데를 연결하는 선은 수직선에 대하여 30 ~ 60도 사이의 기울기를 가지는 리모콘.
  14. 제1항 내지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부는
    상기 동작모드 중에 상기 힘 센서에 대한 입력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없으면, 상기 입력부의 모드를 상기 절전모드로 전환하는 리모콘.
  15. 비데 몸체;
    상기 비데 몸체의 전방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깔고 앉는 시트(seat)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변좌온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시트의 온도를 조절하는 변좌부;
    상기 비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입력되는 노즐 제어신호에 따라 분사위치 및 분사 시간을 조절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부;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온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노즐부에 공급하는 세척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급수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힘 센서(micro force sensor)를 구비하여 상기 힘 센서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제어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힘 센서가 동작하지 않는 절전모드 또는 상기 힘 센서의 동작이 활성화되는 동작모드로 상기 입력부의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전환부를 포함하는 리모콘; 및
    상기 리모콘이 송신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변좌부, 노즐부 및 급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데.
KR1020120032258A 2011-12-28 2012-03-29 힘 센서 기반의 리모콘 및 이를 구비한 비데 KR101936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7658 WO2013100324A1 (en) 2011-12-28 2012-09-24 Force sensor-based input device and bidet having the same
CN201280064986.8A CN104024544B (zh) 2011-12-28 2012-09-24 基于力传感器的输入设备和具有这种输入设备的坐浴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651 2011-12-28
KR20110144651 2011-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664A true KR20130076664A (ko) 2013-07-08
KR101936734B1 KR101936734B1 (ko) 2019-01-11

Family

ID=48990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258A KR101936734B1 (ko) 2011-12-28 2012-03-29 힘 센서 기반의 리모콘 및 이를 구비한 비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6734B1 (ko)
CN (1) CN10402454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7685A (ko)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엔씨엠 비데용 리모컨에서의 현재온도 전송방법
KR20210145517A (ko) * 2020-05-25 2021-12-02 엘에스대원 주식회사 비데용 컨트롤 패널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18268A (zh) * 2015-08-27 2015-12-02 苏州市新瑞奇节电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滤波节电遥控器
CN106609554B (zh) * 2017-01-20 2022-06-07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坐便器手柄安装结构和智能坐便器
CN111263297A (zh) * 2020-02-07 2020-06-09 深圳市博电电子技术有限公司 智能马桶的电能控制方法、装置以及智能马桶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2813B2 (ja) * 1988-08-30 1999-11-29 小糸工業株式会社 ワイヤレスリモコン操作式着座センサ付衛生処理装置
JPH0693646A (ja) * 1992-09-14 1994-04-05 Aisin Seiki Co Ltd トイレ用衛生装置
TW373047B (en) * 1997-04-02 1999-11-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pparatus for washing human private
TW522375B (en) * 1999-09-10 2003-03-0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Remote control device
JP2001152523A (ja) * 1999-11-30 2001-06-05 Hitachi Chem Co Ltd 人体局部洗浄装置
KR100939144B1 (ko) * 2002-01-15 2010-01-28 파나소닉 주식회사 위생 세정 장치
JP4222921B2 (ja) * 2003-10-01 2009-02-12 シャープ株式会社 リモコン装置、これを用いた被制御装置及びこれらの装置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CN1619073A (zh) * 2004-12-09 2005-05-25 谭启仁 具有遥控功能的臀部自净式活塞控制自动冲水坐便器装置
US7649522B2 (en) * 2005-10-11 2010-01-19 Fish & Richardson P.C. Human interface input acceleration system
WO2009026963A1 (en) * 2007-08-30 2009-03-05 Tomtom International B.V. Remote control system
JP2009141625A (ja) * 2007-12-05 2009-06-25 Toshiba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7685A (ko)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엔씨엠 비데용 리모컨에서의 현재온도 전송방법
KR20210145517A (ko) * 2020-05-25 2021-12-02 엘에스대원 주식회사 비데용 컨트롤 패널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24544A (zh) 2014-09-03
CN104024544B (zh) 2016-12-28
KR101936734B1 (ko) 2019-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734B1 (ko) 힘 센서 기반의 리모콘 및 이를 구비한 비데
US20100083430A1 (en) Touch Control Toilet Seat Device
US20130133131A1 (en) Toilet seat
TWI547623B (zh) 多感應場智慧馬桶
WO2016156096A1 (en) A hot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decreased stand-by energy consumption
WO2012027086A3 (en) Touch and hover switching
US20150020298A1 (en) Smart urinal with multi sensing electric fields
WO2016078499A1 (zh) 衣物护理机的控制方法、控制系统和衣物护理机
US20160032571A1 (en) Piezoelectric Touch-Controlled Faucet
KR200457304Y1 (ko) 대기전력 절감을 위한 스위치 장치
CN107992185A (zh) 一种智能电水壶及其控制方法
JP2010065463A (ja) 自動水栓システム
KR20110021100A (ko) 비데제어센서부가 구비된 비데 및 그 제어방법
KR101217068B1 (ko) 헤어고데기 및 그 구동방법
KR101301299B1 (ko) 수도꼭지 개폐 조절용 급수밸브 제어방법 및 그 제어방법을 이용한 풋센서 스위치 장치
CN103126600B (zh) 便座装置
TW201317952A (zh) 整合式遙控器
CN208659260U (zh) 一种可手势控制的洗碗机控制系统
KR101510409B1 (ko) 무선통신기능을 가진 인체감지센서와 플러그를 이용한 절전형 전력제어 시스템
CN105902258B (zh) 一种自动开启血压测量的方法以及电子血压计
WO2013100324A1 (en) Force sensor-based input device and bidet having the same
CN210769429U (zh) 手持风扇
CN209082635U (zh) 智能马桶
CN104180532B (zh) 热水器系统、地面铺设装置、热水器及其控制方法
CA2990995A1 (en) Thermostat for heating, air-conditioning and/or ventila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