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9544A - 비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비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9544A
KR20120069544A KR1020110112034A KR20110112034A KR20120069544A KR 20120069544 A KR20120069544 A KR 20120069544A KR 1020110112034 A KR1020110112034 A KR 1020110112034A KR 20110112034 A KR20110112034 A KR 20110112034A KR 20120069544 A KR20120069544 A KR 20120069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unit
nozzle
bidet
nozz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모
Original Assignee
정영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모 filed Critical 정영모
Priority to PCT/KR2011/00853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086924A2/ko
Publication of KR20120069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5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61Image-producing devices, e.g. surgical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80Implements for cleaning or washing the skin of surgeons or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변좌부와, 상기 변좌부 일측 하단에 위치한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에 위치한 카메라부와, 상기 노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 판넬부와, 상기 조작 판넬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조작 판넬부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부와, 상기 카메라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와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비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BIDE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데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항문 부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비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생세정기(비데)는 용변 후 생식기와 항문 주위를 세척하는 데 쓰이는 기구 또는 의료용으로도 쓰이는 것으로서,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기구 중앙부에서 적당한 온도를 지닌 온수가 분출되어 부드럽게 국부를 세척해주거나 맛사지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비데는 치질, 방광염, 질염, 설사로 인한 쓰라림 등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며, 여성의 월경과 산후조리 시에도 사용된다. 최근에는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비데는 노즐을 통해 분사된 물이 생식기와 항문 주위에 분사시켜 세정을 하는 장치로 이러한 물의 분사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들이 주로 발전하였다. 또한, 비데 내부의 세정을 위한 장치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비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편의를 주려는 기술 개발에는 그 노력이 미비한 단점이 있다.
즉, 사용자는 단지 셋팅된 노즐 분사 특성에 따라 자신의 생식기와 항문 주위의 세척하게 될 뿐, 세척 결과를 확인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노즐에 의해 세정되는 생식기와 항문 주위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수단을 설치하고, 그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 인해 세정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비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좌부와, 상기 변좌부 일측 하단에 위치한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에 위치한 카메라부와, 상기 노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 판넬부와, 상기 조작 판넬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조작 판넬부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부와, 상기 카메라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부에 인접 배치된 광원부와, 상기 노즐부에 냉수 또는 온수를 제공하는 세정수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부는 상기 변좌부 외측 하단에서 중앙 영역으로 돌출된 노즐 몸체와, 상기 노즐 몸체의 끝단에 위치한 노즐과, 상기 노즐 몸체를 관통하여 세정수 공급부와 노즐간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노즐 몸체 내에 위치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부를 포함하거나, 돌출된 카메라 몸체와 상기 카메라 몸체에 위치한 카메라와, 카메라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 커버부는 커버면과 결합면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면이 경사면이거나 곡면이고, 또는 보호 커버부는 링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노즐 몸체 또는 카메라 몸체 내측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카메라를 전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 몸체의 끝단에서 부터 노즐, 카메라부 및 광원부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거나, 상기 노즐 몸체의 끝단이 바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바 영역에 노즐, 카메라부 및 광원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구동 결정부와, 상기 카메라의 줌을 조절하는 줌 조절부와, 상기 카메라를 좌우 방향을 이동시키는 이동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데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조작 판넬부의 조작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조작이 없는 경우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조작이 있는 경우는 해당 조작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한 카메라 구동 명령이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구동 명령이 인가된 경우 카메라와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하여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생식기 및 항문 주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한 세정 노즐 및 카메라 이동 명령이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명령이 인가된 경우에는 세정 노즐 및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 구동 단계 이후, 사용자에 의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의 저장 유무 명령이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저장 명령이 인가된 경우에는 해당 영상 정보를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노즐에 의해 세정되는 생식기와 항문 주위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수단을 설치하고, 그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 인해 세정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도면.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와 카메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7은 변형예에 따른 노즐부와 카메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비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의 구성부들의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상이해질 수 있음을 명확히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와 카메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변형예에 따른 노즐부와 카메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는 변좌부(100)와, 변좌부(100) 일측 하단에 위치한 노즐부(200)와, 상기 노즐부(200)에 위치한 카메라부(300)와, 상기 노즐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 판넬부(400)와, 상기 조작 판넬부(4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500)와, 카메라부(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조작 판넬부(400)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부(600)와, 상기 카메라 제어부(6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3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7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에 인접배치된 광원부(800)와, 상기 노즐부에 냉수 또는 온수를 제공하는 세정수 제공부(900)와, 상기 조작 판넬부(4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접속부 및 건조를 위한 건조 수단, 저장된 영상을 정해진 단말기에 전송하는 영상신호 전송부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원부(8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광원 동작 제어부를 구비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카메라 제어부를 통해 상기 광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변좌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 시트(110)와 변좌 커버(120)를 구비한다. 물론 변좌부(100)로 좌변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변좌 시트(110)는 도면에서와 같이 원형 링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변좌 시트(110)의 내측에 열선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변좌 시트(110)의 일측에는 압력 또는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가 부착되어 사용자가 변좌 시트(110)에 앉는 순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평상시에는 비데 장치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다가 감지 순간부터 정상 동작을 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데 장치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물론 변좌부(100)는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노즐부(200)는 상기 변좌부(100) 내측 하단에 위치한다. 이를 통해 변좌 시트(100)에 앉는 사용자의 생식기 또는 항문 부위에 세정수를 분사하여 해당 부위를 세정한다. 이러한 노즐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부(200) 외측 하단에서 중앙 영역으로 돌출된 노즐 몸체(210)와, 상기 노즐 몸체의 끝단에 위치한 노즐(220)과, 상기 노즐 몸체를 관통하여 세정수 공급부(900)와 노즐(220)간을 연결하는 연결관(230)을 구비한다.
상기 노즐 몸체(210)의 끝단에 노즐(220)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노즐 몸체(210)의 끝단에 노즐(220)을 위치시킴으로 인해 후술되는 카메라부(300)가 노즐(220)에서 분사된 물에 의한 화질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 몸체(210) 내측에는 상기 조작판넬부(400)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노즐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세정수 공급부(900)는 조작 신호에 따라 노즐(220)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고, 세정수 공급부(900) 내에는 가열 수단이 위치하여 세정수를 가열시킨 후에 분사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는 상기 노즐부(200)의 노즐 인접 영역에 카메라부(300)가 위치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노즐 몸체(210)의 끝단을 기준으로 노즐은 끝단 인접 영역에 위치하고, 카메라부(300)는 끝단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즉, 노즐 몸체(210)가 상기 변좌 시트 중앙영역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정수에 의한 카메라부(300)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좌 시트의 하단에는 건조를 위해 건조한 바람을 분사하는 건조 수단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건조한 바람을 이용한 건조 작업시 카메라부(300)가 노즐 보다 건조 수단에 인접하여 위치하기 때문에 노즐 끝단에 잔류해 있던 세정수에 의한 카메라부(300)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카메라부(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 몸체(210) 내에 위치한 카메라(310)와, 상기 카메라(310)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부(32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메라(310)로 CCTV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와 형태의 영상촬영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310)는 상기 노즐 몸체(210) 내측에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 몸체(210)에 마련된 관통홀을 통해 외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 몸체(210)의 관통홀 상측에는 카메라(310)를 보호하기 위한 투광성의 보호 커버부(329)가 위치한다. 이러한 보호 커버부(320)를 통해 노즐로부터 분사된 세정수가 카메라 방향으로 튈경우, 카메라(310)가 세정수에 의해 피해를 입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상기 보호 커버부(320)는 방수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호 커버부(320)는 커버면과, 결합면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원형 판 형태의 커버면과 커버면의 끝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 형태의 결합면을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커버면의 형상을 원형 이외의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결합면이 상기 관통홀에 나사 결합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끼워 맞춤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보호 커버와 관통홀의 결합시에 이들의 결합면에 방수를 위한 방수 부재가 삽입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보호 커버가 띠 형태로 제작되어 카메라가 위치한 노즐 몸체 영역 전체를 감싸는 구조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커버면이 도 4에서와 같이 경사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노즐과 인접한 영역의 높이가 반대 영역보다 낮은 경사면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노즐에 의해 분사된 세정수가 상기 커버면에 튈 경우에, 세정수가 흘러내리게 되어 카메라(310)로 촬영되는 영역의 화질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면이 오목 렌즈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앞서와 같이 세정수를 흘러내리게 할 뿐만 아니라 오목 렌즈에 의해 카메라를 통해 볼 수 있는 영역이 넓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호 커버를 원형 띠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 앞서와 같이 세정수의 흘러내림을 좋게 하여 화질 저하를 막을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카메라부(3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카메라 제어부(6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310)의 전후 좌우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수단을 더 구비한다. 이를 통해 원하는 영역을 카메라(310)로 촬영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300)의 인접 영역에는 광원부(800)가 위치한다. 이러한 광원부(800)에 의한 발광을 통해 카메라부(300)의 촬영 영상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카메라부(300)에 의해 촬영된 화면이 어두울 경우 광원부(800)를 통해 밝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광원부(800)로 LED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발광 수단을 광원부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부(800)는 카메라부(30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노즐 몸체(210)의 끝단을 기준으로 노즐(220), 카메라부(300) 및 광원부(800)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이때, 상기 카메라부(300)와 광원부(800)의 위치는 상호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300)의 둘레에 다수의 광원부(8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카메라(3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밝기를 밝게 하여 사용자의 식별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 몸체(210)의 끝단 영역이 바 형태로 제작되고, 이 바 영역에 노즐(220), 카메라부(300) 및 광원부(8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노즐이 중앙에 위치하고 그 양측에 카메라부(300) 및 광원부(800)가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노즐(220)과 카메라부(300) 및 광원부(800)가 하나의 이동 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노즐(220)이 조작판넬부(400)의 조작 신호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 카메라부(300)와 광원부(800)도 함께 이동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이동 수단의 개수를 줄여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즐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 판넬부(400)를 구비한다.
조작 판넬부(400)는 노즐의 동작 유무를 제어하는 노즐 제어부(410)와, 세정수의 강도를 조절하는 강도 조절부(420)와, 세정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430)와, 노즐을 이동시키는 노즐 이동부(440)를 구비한다. 물론 도시 및 기재되지 않았지만, 조작 판넬부(400)에는 비데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와 부가 구비되어있다.
상술한 조작 판넬부(400)는 다수의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상태를 표시하는 다수의 표시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 판넬부(400)의 일측에 카메라부(300)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00)와,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600)가 위치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로 평판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바람직하게는 LCD 또는 OLED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로 터치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카메라 제어부(600)는 카메라(310) 및 디스플레이부(500)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구동 결정부(610)와, 카메라의 줌을 조절하는 줌 조절부(620)와, 카메라(310)를 좌우 방향을 이동시키는 이동 조절부(630)를 구비한다. 카메라(3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700)를 구비한다.
따라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구동 결정부(610)가 동작하여 동작 신호를 생성하면 카메라(310)와 디스플레이부(500)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를 통해 카메라부(3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500)에 실시간으로 보여지게 된다. 카메라부(300)는 노즐부(200)에 인접배치되기 때문에 노즐부(200)에 의해 세정수가 분사되는 생식기와 항문 영역을 촬영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촬영된 생식기와 항문 주변 영역이 디스플레이부(500)에 의해 실시간으로 보이기 때문에 세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생식기와 항문 주변의 질병 유무등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줌 조절부(620)에 의해 카메라의 줌을 조절하여 세밀한 관찰이 가능하고, 이동 조절부(630)를 통해 카메라의 초점 위치를 이동시킴으로 인해 사용자 마다 그 위치가 다른 생식기와 항문의 위치를 디스플레이부(500) 중앙 영역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영상 저장부(700)를 두어 생식기와 항문 영상을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이 저장된 데이터를 단말기 또는 지정된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병원등의 진료시 제공하여 의사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질병에 대한 빠른 대처가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저장부(700)에 의해 저장된 영상을 영상 신호 전송부를 통해 사용자가 지정한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별도의 연결 커넥터 없이 촬영되고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통신은 무선 통신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비데 구조는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데 구조는 노즐부(200)에 노즐 몸체가 돌출되지 않고, 변좌 시트의 하단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노즐 몸체의 중앙 영역에 노즐이 위치하는 공간부가 마련되고, 이 공간부 내에 카메라부(30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이 형성된 노즐 몸체와 카메라가 위치한 카메라 몸체가 각기 분리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카메라의 제어와 노즐의 제어를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구조의 비데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조작 판넬부의 조작이 있었는지 판단한다(S110).
판단 결과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대기 상태에 있고(S120), 판단 결과 조작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조작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130).
이어서, 카메라 제어부에 의해 사용자가 카메라를 구동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40). 판단 결과 구동하지 않은 경우에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판단 결과 구동시킨 경우에는 카메라와 디스플레이부가 구동하여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생식기 및 항문 주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S150).
이어서, 사용자에 의한 세정 노즐 이동 또는 카메라 이동 명령이 인가되었는지 판단한다(S160).
판단 결과 인가되지 않았으면 기존 동작을 수행하고, 판단 결과 인가된 경우에는 세정 노즐 또는 카메라를 이동시킨다(S170).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의 저장 유무 명령이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저장 명령이 인가된 경우에는 해당 영상 정보를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물론 저장된 영상 정보가 기 설정된 단말기에 즉시 전송될 수 있다.
만일 명령이 인가되지 않았으면 기존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변좌부 200 : 노즐부
220 : 노즐 300 : 카메라부
310 : 카메라 320 : 보호 커버부
400 : 조작 판넬부 500 : 디스플레이부
600 : 카메라 제어부 700 : 영상 저장부
800 : 광원부 900 : 세정수 제공부

Claims (10)

  1. 변좌부와,
    상기 변좌부 일측 하단에 위치한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에 위치한 카메라부와,
    상기 노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 판넬부와,
    상기 조작 판넬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조작 판넬부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부와,
    상기 카메라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에 인접 배치된 광원부와,
    상기 노즐부에 냉수 또는 온수를 제공하는 세정수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변좌부 외측 하단에서 중앙 영역으로 돌출된 노즐 몸체와, 상기 노즐 몸체의 끝단에 위치한 노즐과, 상기 노즐 몸체를 관통하여 세정수 공급부와 노즐간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노즐 몸체 내에 위치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부를 포함하거나,
    돌출된 카메라 몸체와 상기 카메라 몸체에 위치한 카메라와, 카메라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부는 커버면과 결합면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면이 경사면이거나 곡면이고, 또는 보호 커버부는 링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노즐 몸체 또는 카메라 몸체 내측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카메라를 전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몸체의 끝단에서 부터 노즐, 카메라부 및 광원부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거나,
    상기 노즐 몸체의 끝단이 바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바 영역에 노즐, 카메라부 및 광원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구동 결정부와, 상기 카메라의 줌을 조절하는 줌 조절부와, 상기 카메라를 좌우 방향을 이동시키는 이동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9. 비데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조작 판넬부의 조작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조작이 없는 경우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조작이 있는 경우는 해당 조작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한 카메라 구동 명령이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구동 명령이 인가된 경우 카메라와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하여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생식기 및 항문 주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한 세정 노즐 및 카메라 이동 명령이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명령이 인가된 경우에는 세정 노즐 및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구동 단계 이후,
    사용자에 의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의 저장 유무 명령이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저장 명령이 인가된 경우에는 해당 영상 정보를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10112034A 2010-12-20 2011-10-31 비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200695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8539 WO2012086924A2 (ko) 2010-12-20 2011-11-10 비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0423 2010-12-20
KR1020100130423 2010-1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544A true KR20120069544A (ko) 2012-06-28

Family

ID=46687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034A KR20120069544A (ko) 2010-12-20 2011-10-31 비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954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828B1 (ko) * 2011-07-20 2013-02-08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노즐 주변부의 영상 확인이 가능한 온수세정기
CN105518230B (zh) * 2013-09-05 2017-02-08 I·迪亚盖伊 使用可视对象识别软件对净身盆进行电子自动调节
KR20210121439A (ko) 2020-03-30 2021-10-08 엘에스대원 주식회사 비데용 동작감지 구동형 컨트롤 패널 구조
KR20210145517A (ko) 2020-05-25 2021-12-02 엘에스대원 주식회사 비데용 컨트롤 패널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828B1 (ko) * 2011-07-20 2013-02-08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노즐 주변부의 영상 확인이 가능한 온수세정기
CN105518230B (zh) * 2013-09-05 2017-02-08 I·迪亚盖伊 使用可视对象识别软件对净身盆进行电子自动调节
KR20210121439A (ko) 2020-03-30 2021-10-08 엘에스대원 주식회사 비데용 동작감지 구동형 컨트롤 패널 구조
KR20210145517A (ko) 2020-05-25 2021-12-02 엘에스대원 주식회사 비데용 컨트롤 패널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9544A (ko) 비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5518230B (zh) 使用可视对象识别软件对净身盆进行电子自动调节
JP2004536648A5 (ko)
CN101082227A (zh) 卫生洗净装置及冲厕装置
EP30966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eliminating image motion blur in a multiple viewing elements endoscope
JP2007209642A (ja)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WO2012086924A2 (ko) 비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8202282A (ja) 洗浄便座及び洗浄便座用局部表示装置
JP2008025288A (ja) 洋風便器装置
JP2008075357A (ja) 便器装置
JP4490356B2 (ja) スイッチ入力装置
JP7025686B2 (ja) リモコン及びトイレ装置
CN106618332A (zh) 一种蹲厕洁身器
KR101767512B1 (ko) 기능성 거울
KR20130101373A (ko) 촬영기능을 갖춘 비데
CN106725266A (zh) 一种能够根据焦距定位的口腔内窥镜
JP7375839B2 (ja) トイレ装置
JP7435639B2 (ja) トイレ装置
KR101231828B1 (ko) 노즐 주변부의 영상 확인이 가능한 온수세정기
JP4838003B2 (ja) 化粧設備
JP2007325906A (ja) 便座装置
JP2019117278A (ja) 撮像装置及びアタッチメント
JP2004285567A (ja) トイレ装置
CN214321069U (zh) 一种球幕清洗装置
KR101294775B1 (ko) 온수세정기용 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914

Effective date: 2014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