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512B1 - 기능성 거울 - Google Patents

기능성 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512B1
KR101767512B1 KR1020160042312A KR20160042312A KR101767512B1 KR 101767512 B1 KR101767512 B1 KR 101767512B1 KR 1020160042312 A KR1020160042312 A KR 1020160042312A KR 20160042312 A KR20160042312 A KR 20160042312A KR 101767512 B1 KR101767512 B1 KR 101767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unit
light source
hea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영
Original Assignee
이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영 filed Critical 이선영
Priority to KR1020160042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5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Sanitary equipment, e.g. mirrors, showers, toilet seats or paper dispens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05B3/845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specially adapted for reflecting surfaces, e.g. bathroom - or rearview mirrors
    • H05B37/0209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거울에 관한 것으로, 거울의 일면에 형성되며, 발열 동작을 통해 상기 거울의 정면에 열을 전달하기 위한 발열 유닛, 상기 거울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거울의 정면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 유닛, 상기 발열 유닛과 상기 광원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 유닛을 포함하는 기능성 거울을 제공하며, 거울의 김서림 현상을 막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거울{FUNCTIONAL MIRROR}
본 발명은 기능성 거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욕실과 같이 수증기가 발생하는 공간에서 거울 표면에 형성되는 김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성 거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욕실 내에는 샤워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샤워를 하는 경우 샤워기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로 인하여 욕실 내부의 온도가 상승한다. 이때, 욕실의 벽면에 설치된 거울 표면의 온도는 상승된 욕실 내부의 온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거울 표면에 김이 서리게 된다.
거울에 김이 서리게 되면 사용자가 거울을 보는데 있어서 시야를 가리기 때문에 거울은 제 역할을 못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거울을 보기 위하여 거울을 손이나 수건을 이용하여 닦아보지만, 금방 다시 김이 서리게 되어 샤워시 욕실 거울을 보는 것은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남성의 경우 거울을 보며 면도를 해야 하지만, 거울에 김이 서린 경우 이 과정이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한편, 욕실에는 내부의 공조를 위한 환풍기가 설치되어 있지만, 거울의 김서림을 근본적으로 해결해주지는 못하고 있다. 요즈음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거울과 욕실 내부의 온도 차를 최소화시켜 거울의 김서림을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04-0107976호(2004.12.23.)가 있으며, 여기에는 친수성 모노머 20~50중량%와, 공중합용 모노머 1~40중량%와, 가교제 0.1~5중량%와, 중합개시제 0.05~5중량%와, 용매 50~80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올리고머 형태의 예비중합 정도에서 반응을 중단한 후, 중합 방지제 0.01~0.2중량%와 중합개시제 0.05~2중량%를 첨가한 후 코팅제를 제조한 다음, 실지 코팅과 열처리 과정을 거쳐서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김서림방지 코팅용 유화중합수지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코팅용 유화중합수지를 이용한 거울의 경우 코팅 및 열처리 과정이 존재하기 때문에 일반인이 이러한 공정을 수행하기 어려우며, 한번 도포된 수지는 제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표면이 날카로운 것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운송시 주의가 요망되며, 파손시 이를 보수하기 위한 공정이 매우 복잡하다.
그리고, 다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70136호(2008.07.30.)가 있으며, 여기에는 욕실에 사용되는 거울(100)의 후면에 고정부착되고, 열을 발산시키는 전열판(110); 및 상기 전열판(110)의 후면에 고정부착되며, 일단은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공급관(1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수전금구(140)에 연결되는 온수관(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온수공급관(130)으로부터 공급받은 온수가 상기 온수관(120)을 통해 상기 전열판(110)으로 온열을 전달시키면서 상기 거울(100)의 표면 온도를 상승시켜 김서림이 제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방지용 거울이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김서림 방지용 거울은 온수관을 배치해야 하는데 온수관의 설치는 공사 기간이 비교적 길며, 온수관이 차지하는 공간 역시 큰 편에 속한다. 따라서, 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공사 기간을 계획하고 충분한 시공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96674호(2004.11.17.)가 있으며, 여기에는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냉온수를 배출하며 소정의 위치에 샤워용 냉온수를 공급하는 공급구를 구비한 급수전; 상기 급수전으로부터 공급받은 냉온수를 분출하는 샤워용 손잡이와 라인으로 구성된 샤워기; 및 상기 급수전과 상기 샤워기 사이에서, 일단은 상기 급수전의 공급구와 연결되고, 욕실 벽면에 밀착고정됨에 따라 욕실 거울의 후면에서 고정부착되며, 타단은 상기 샤워기의 라인의 끝단과 연결되어 냉온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급수전의 공급구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는 욕실 거울의 후면에 설치된 상기 공급관을 통해 욕실 거울의 표면을 욕실 내부 온도와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가 개시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 역시도 냉온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을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공사 기간을 계획하고 충분한 시공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107976호(2004.12.23.)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70136호(2008.07.30.) (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96674호(2004.11.17.)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거울의 김서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 거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울 사용자가 거울에 다가옴을 인식하여 거울의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여 김서림 방지뿐 아니라 사용자의 시야를 명확하게 확보할 수 있는 기능성 거울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울 사용자의 외적 활동 정보와 내적 활동 정보에 따라 거울에 구비된 조명의 조도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성 거울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거울의 일면에 상기 거울의 면적보다 작은 제1 영역으로 형성되며, 발열 동작을 통해 상기 거울의 정면에 열을 전달하기 위한 발열 유닛; 상기 거울의 일면에 상기 제1 영역 이외 제2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거울의 정면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 유닛; 상기 발열 유닛과 상기 광원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의 구동 시점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 유닛을 포함하는 기능성 거울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열 유닛은, 상기 거울의 뒷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에 따라 발열하는 열선부; 및 상기 열선부에 적층되며, 상기 열선부의 발열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에 따라 빛을 발생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와 상기 거울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센서 유닛으로부터 구동 시점 정보를 제공받아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활성화부; 상기 활성화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되며, 사용자의 외적 활동 정보 및 내적 활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 수신부; 상기 정보 수신부에 전달된 정보에 제공받아 상기 광원 유닛을 제어하여 빛의 조도와 색깔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광원 제어부; 상기 거울의 주변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발열 유닛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발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내부에 상기 광원 유닛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열 유닛과 상기 광원 유닛 각각은 다수개 구비되며, 다수개의 발열 유닛과 다수개의 광원 유닛은 각각 선택적으로 구동 여부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열 유닛은, 상기 거울의 전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에 따라 발열하는 열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거울의 전면의 양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거울의 전면 방향이 개방되고, 상기 광원 유닛 둘레에 감싸 형성되는 가림막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거울 표면의 습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 유닛에 제공하기 위한 습도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열 유닛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향을 발산하는 발산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거울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거울의 김서림 현상을 막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거울을 사용함에 있어서 거울의 전방으로 밝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외적 활동 정보와 내적 활동 정보에 따른 맞춤형 조도를 제공해 줌으로써, 사용자의 정서적 안정과 시력 보호를 보정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거울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제어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 내지 도 5 는 도 1 의 실시예 이외에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거울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의 기능성 거울은 거울(10)의 뒷면이 보이도록 도시하였다. 즉, ‘A’ 방향이 거울(10)의 정면에 해당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기능성 거울은 거울(10)의 일면에 상기 거울(10)의 면적보다 작은 제1 영역으로 형성되며, 발열 동작을 통해 상기 거울(10)의 정면에 열을 전달하기 위한 발열 유닛(20); 상기 거울(10)의 일면에 상기 제1 영역의 이외 제2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거울(10)의 정면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 유닛(30); 상기 발열 유닛(20)과 상기 광원 유닛(3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40); 및 상기 제어 유닛(40)의 구동 시점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 유닛(50)을 포함한다.
상기 발열 유닛(20)은 거울(10)의 뒷면 중앙부에 일정 영역으로 형성된다. 도 1 에서 볼 수 있듯이, 발열 유닛(20)은 거울(10)의 면적보다 작은 제1 영역에 배치된다. 발열 유닛(20)은 거울(10)의 정면에 열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거울(10)의 뒷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어 유닛(40)의 제어에 따라 발열하는 열선부(21); 및 상기 열선부(21)에 적층되며, 상기 열선부(21)의 발열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열선부(21)는 제어 유닛(40)의 제어에 따라 온도 조절이 가능하며, 열선부(21)는 코일 타입의 예컨대, 니크롬선 또는 철크롬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열선부(21)는 발열 동작이 가능하며, 이렇게 발생된 열은 거울(10)의 전방으로 전달되어 거울(10)의 김서림 현상을 막아주는 것이 가능하다. 열선부(21)는 제어 유닛(40)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 유닛(4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온도가 조절된다.
상기 확산부(22)는 열선부(21)가 덮어질 수 있도록 적층되어 형성되며, 열선부(21)에서 발생된 열을 열선부(21) 주변으로 확산시켜주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확산부(22)의 구조를 통해 열선부(21)에서 발생한 열은 거울(10)을 전면에 걸쳐 골고루 전달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상기 광원 유닛(30)은 거울(10)의 뒷면 좌측과 우측에 일정 영역에 형성된다. 도 1 에서 볼 수 있듯이, 광원 유닛(30)은 발열 유닛(20)이 배치되는 제1 영역 이외의 제2 영역에 배치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상 우측에 도시된 광원 유닛(30)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광원 유닛(30)은 거울(10)의 정면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어 유닛(40)의 제어에 따라 빛을 발생하는 광원부(31); 및 상기 광원부(31)와 상기 거울(1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2)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부(31)는 빛을 발생하여 그 빛을 거울(10)의 전면 방향으로 조사하기 위한 구성이다. 광원부(31)는 제어 유닛(40)의 제어에 따라 조도가 제어되거나 색깔이 제어되거나 조도와 색깔이 같이 제어될 수 있다. 광원부(31)에서 발생하는 빛이 거울(10)의 전면 방향으로 조사되는 경우 사용자는 더 밝은 시야가 확보되며 거울에 비친 사용자의 형상을 보다 뚜렷하게 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광원부(31)에 의하여 빛이 조사되면 미약하지만 거울(10)의 표면 온도가 올라갈 수 있다. 그리고, 이는 김서림 방지의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고정부(32)는 거울(10)의 뒷면에 형성되며 광원부(31)를 거울(10)의 뒷면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정부(32)에는 광원부(31)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회로는 제어 유닛(40)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광원부(31)의 조도와 색깔을 제어한다.
이어서, 상기 제어 유닛(40)은 발열 유닛(20)과 광원 유닛(30)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 유닛(40)은 센서 유닛(50)의 제어에 따라 구동 시점이 제어된다. 제어 유닛(40)은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발열 유닛(20)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광원 유닛(30)의 조도와 색깔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센서 유닛(50)은 제어 유닛(40)의 구동 시점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센서 유닛(50)은 예컨대,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로 설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가까워지면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유닛(40)에 전달함으로써, 제어 유닛(40)의 구동 시점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는 사용자가 가까워짐에 따라 발열 유닛(20)과 광원 유닛(30)을 동작시켜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센서 유닛(50)은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를 인식하여 그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어 유닛(40)에 제공해주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만약 외부에서 침입자가 들어오는 경우 이를 판단하여 광원 유닛(30)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광원 유닛(30)은 침입자로 하여금 위기감을 줄 수 있도록 점멸될 수 있다.
도 2 는 도 1 의 제어 유닛(40)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 유닛(40)은 상기 센서 유닛(50)으로부터 구동 시점 정보를 제공받아 활성화 신호(EN)를 생성하기 위한 활성화부; 상기 활성화 신호(EN)에 응답하여 구동되며, 사용자의 외적 활동 정보 및 내적 활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 수신부(42); 상기 수신부(42)에 전달된 정보에 제공받아 상기 광원 유닛(30)을 제어하여 빛의 조도와 색깔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광원 제어부(43); 상기 거울(10)의 주변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44); 및 상기 검출부(44)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발열 유닛(20)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발열 제어부(45)를 포함한다.
상기 활성화부(41)는 센서 유닛(50)에서 제공되는 구동 시점 정보를 제공받아 활성화 신호(EN)를 생성한다. 예컨대, 센서 유닛(50)은 사용자가 가까워짐을 검출할 수 있는데, 활성화 신호(EN)는 이 검출 신호에 따라 활성화 신호(EN)를 생성한다. 참고로, 여기서는 센서 유닛(50)이 감지 센서인 것을 일례로 하였지만, 원격으로 제어되는 회로로 설계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활성화부(41)는 사용자에 의하여 활성화 신호(EN)를 생성하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상관없다.
상기 정보 수신부(42)는 활성화 신호(EN)에 응답하여 구동되며, 사용자의 핸드폰(HP)에 저장된 사용자의 외적 활동 정보 및 사용자의 내적 활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외적 활동 정보란 핸드폰 내부에 탑재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이동 거리, 전화 통화 횟수, 통화 시간, 핸드폰(HP)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시간 등이 될 수 있다. 즉, 외적 활동 정보는 특별한 입력에 의한 정보가 아닌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일상적인 행위를 비롯한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내적 활동 정보란 사용자의 맥박과 체온 같은 사용자 신체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광원 제어부(43)는 상기 정보 수신부(42)에 전달된 사용자의 외적 활동 정보 및 사용자의 내적 활동 정보를 제공받아 광원 유닛(30)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광원 제어부(43)는 광원 유닛(30)의 빛의 조도와 색깔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의 외적 활동 정보와 사용자의 내적 활동 정보는 사용자의 피로도와 활동량에 대응될 수 있다. 이는 결국 광원 유닛(30)이 사용자의 피로도나 활동량에 따라 그에 맞는 색깔과 조도를 제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온도 검출부(44)는 거울(10) 주변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온도 검출부(44)는 거울(10) 주변 특히, 거울(10)의 전면부의 주변 공기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발열 제어부(45)에 제공한다.
상기 발열 제어부(45)는 온도 검출부(44)에서 제공되는 온도 정보에 따라 발열 유닛(20)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발열 제어부(45)는 거울(10)의 전면부의 주변 공기 온도에 따라 발열 유닛(20)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거울(10)에 김서림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거울은 습도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습도 센서는 거울(10)의 표면 습도를 검출하고 이를 제어 유닛(40)에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 유닛(40)은 습도 센서에서 제공되는 거울(10)의 표면 습도에 다라 발열 유닛(20)과 광원 유닛(30)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거울(10)에 접근하면 발열 유닛(20)이 발열하여 김서림을 방지하며, 광원 유닛(30) 역시 구동된다. 이때 광원 유닛(30)은 거울(10)의 표면 습도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예컨대, 거울(10)의 표면에 이미 김이 서려있는 경우 광원 유닛(30)의 광량을 높게 하여 발열 유닛(20)과 함께 김서림 동작을 돕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거울(10)의 표면 습도가 낮아지는 경우 그 광량을 줄여 김이 제거되는 동작을 외부에 인식시켜줄 뿐만 아니라, 욕실의 내부의 차분한 분위기를 제공해줄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 는 도 1 의 실시예 이외에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 및 도 3 에는 발열 유닛(20)과 광원 유닛(30)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거울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기능성 거울은 발열 유닛(20)과 다수의 광원 유닛(30_1, 30_2)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광원 유닛(30_1, 30_2)은 LED 와 같은 광원 부재로 거울(10)의 전면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구성이다. 다수의 광원 유닛(30_1, 30_2)은 발열 유닛(20)이 형성되는 제1 영역 외부에 배치되는 제1 광원 유닛(30_1)과 제1 영역 내부에 배치되는 제2 광원 유닛(30_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기능성 거울은 사용자로 하여금 거울(10)의 중앙 부분에 보다 밝은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거울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기능성 거울은 다수의 발열 유닛(20_1, 20_2, 20_3, 20_4)과 다수의 광원 유닛(30_1, 30_2)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발열 유닛(20_1, 20_2, 20_3, 20_4)은 제어 유닛(40)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 여부가 결정되며, 마찬가지로 다수의 광원 유닛(30_1, 30_2) 역시 제어 유닛(40)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 여부가 결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경우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다수의 발열 유닛(20_1, 20_2, 20_3, 20_4)과 다수의 광원 유닛(30_1, 30_2)이 선택적으로 구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그래서, 예컨대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다수의 발열 유닛(20_1, 20_2, 20_3, 20_4) 중 해당하는 구성만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마찬가지로 다수의 광원 유닛(30_1, 30_2) 중 해당하는 구성만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전력을 효율적으로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의 신장과 같은 정보는 센서 유닛(50)에 제공되는 정보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다. 센서 유닛(50)은 사용자의 기본 정보인 신장 정보를 실질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거울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기능성 거울은 거울(10)의 전면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광원 유닛(30_1, 30_2)과, 제1 및 제2 광원 유닛(30_1, 30_2) 각각을 감싸 형성되는 제1 및 제2 가림막 유닛(60_1, 60_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가림막 유닛(60_1, 60_2)은 거울(10)의 전면 방향이 개방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1 및 제2 광원 유닛(30_1, 30_2)의 빛은 거울(10)의 전면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 을 참조하면, 발열 유닛(20)은 열선부(21)와 확산부(22)를 포함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유닛(20)은 확산부(22)를 제거하고 열선부(21)만을 단독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열선부(21)는 거울(10)의 후면 뿐 아니라 거울(10)의 전면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열선부(21)가 거울(10)의 전면에 부탁되는 경우 해당 열선부(21)는 거울(10)에 비친 사용자의 형상을 보는데 있어서 장해물이 되지 않을 정도의 부재를 사용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기능성 거울은 발열 유닛과 조명 유닛을 이용하여 거울 표면에 발생하는 김서림 현상을 막아주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발열 유닛의 경우 열을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발열 유닛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향을 발산하는 발산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산 유닛은 발열 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발열 유닛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직접적으로 전달받아 향을 발산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또한, 발산 유닛은 발열 유닛과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열 유닛에 발생하는 열을 간접적으로 전달 받아 향을 발산하는 구조를 가지거나, 발열 유닛에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여 뚜껑이 열림으로써 향을 발산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거울은 김서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거울의 전면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여 사용자의 시야를 명확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의 외적 활동 정보와 내적 활동 정보에 따라 거울에 구비된 조명의 조도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정서적 안정과 시력 보호를 보정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거울 20 : 발열 유닛
30 : 광원 유닛 40 : 제어 유닛
50 : 센서 유닛

Claims (10)

  1. 거울의 일면에 상기 거울의 면적보다 작은 제1 영역으로 형성되며, 발열 동작을 통해 상기 거울의 정면에 열을 전달하기 위한 발열 유닛;
    상기 거울의 일면에 상기 제1 영역 이외 제2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거울의 정면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 유닛;
    상기 발열 유닛과 상기 광원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의 구동 시점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센서 유닛으로부터 구동 시점 정보를 제공받아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활성화부;
    상기 활성화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되며, 사용자의 외적 활동 정보 및 내적 활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 수신부;
    상기 정보 수신부에 전달된 정보에 제공받아 상기 광원 유닛을 제어하여 빛의 조도와 색깔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광원 제어부;
    상기 거울의 주변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발열 유닛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발열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거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유닛은,
    상기 거울의 뒷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에 따라 발열하는 열선부; 및
    상기 열선부에 적층되며, 상기 열선부의 발열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거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에 따라 빛을 발생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와 상기 거울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거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적 활동 정보는 사용자의 이동 거리, 전화 통화 횟수, 통화 시간, 핸드폰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내적 활동 정보는 사용자의 맥박, 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성 거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내부에 상기 광원 유닛이 배치되는
    기능성 거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유닛과 상기 광원 유닛 각각은 다수개 구비되며, 다수개의 발열 유닛과 다수개의 광원 유닛은 각각 선택적으로 구동 여부가 결정되는
    기능성 거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유닛은,
    상기 거울의 전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에 따라 발열하는 열선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거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거울의 전면의 양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거울의 전면 방향이 개방되고, 상기 광원 유닛 둘레에 감싸 형성되는 가림막 유닛을 더 포함하는
    기능성 거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 표면의 습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 유닛에 제공하기 위한 습도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기능성 거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유닛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향을 발산하는 발산 유닛을 더 포함하는
    기능성 거울
KR1020160042312A 2016-04-06 2016-04-06 기능성 거울 KR101767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312A KR101767512B1 (ko) 2016-04-06 2016-04-06 기능성 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312A KR101767512B1 (ko) 2016-04-06 2016-04-06 기능성 거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7512B1 true KR101767512B1 (ko) 2017-08-11

Family

ID=59651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312A KR101767512B1 (ko) 2016-04-06 2016-04-06 기능성 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5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363Y1 (ko) * 2017-11-25 2018-09-06 김성호 거울 김 서림 방지장치
KR20190040481A (ko) * 2017-10-10 2019-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러 캐비닛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5114A (ja) * 2007-11-20 2009-06-11 Toyota Motor Corp 化粧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5114A (ja) * 2007-11-20 2009-06-11 Toyota Motor Corp 化粧ユニッ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481A (ko) * 2017-10-10 2019-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러 캐비닛 장치
KR102602911B1 (ko) * 2017-10-10 2023-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러 캐비닛 장치
KR200487363Y1 (ko) * 2017-11-25 2018-09-06 김성호 거울 김 서림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3621B2 (en) Smart water supply valv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3143344B1 (en) Illumination device simulating the natural illumination and including an infrared light source
KR101767512B1 (ko) 기능성 거울
RU2624526C2 (ru) Система обогрева для обогрева живого существа
TWI346516B (en) Radiator apparatus
US20190392739A1 (en) Projection system and projection method
JPWO2013146919A1 (ja) 車両の制御構造
JP6439517B2 (ja) 浴室暖房システム
JP4218226B2 (ja) 浴室用暖房機
JP4490356B2 (ja) スイッチ入力装置
JP4752890B2 (ja) 浴室用暖房機
JP4631952B2 (ja) 浴室用暖房機
JP4463450B2 (ja) 状態検出装置
CN109398034A (zh) 带有用于温度反馈控制的红外传感器的辐射加热系统
JP2015218969A (ja) 給湯機リモコン及び給湯機
JP2002098772A (ja) センサー付照明器具
WO2014067964A1 (en) Infra-red device for focused heating
AU2008320093A1 (en) Hot water supply device
JP7162217B2 (ja) 仮眠システム
TWM583957U (zh) 馬桶殺菌系統
JP5288593B2 (ja) 透光性表示装置
JP5074975B2 (ja) トイレ室の暖房制御システム及び暖房制御方法
JP2017032314A (ja) 人体部分検出センサ
JP2005036992A (ja) 空気調和機
JP2002054835A (ja) 室内冷暖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