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3554A - 비데 - Google Patents

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3554A
KR20160073554A KR1020140181992A KR20140181992A KR20160073554A KR 20160073554 A KR20160073554 A KR 20160073554A KR 1020140181992 A KR1020140181992 A KR 1020140181992A KR 20140181992 A KR20140181992 A KR 20140181992A KR 20160073554 A KR20160073554 A KR 20160073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ment
hand
motion sensor
motion
deg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한영
최인규
이병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1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3554A/ko
Publication of KR20160073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03D9/085Hand-held spray heads for bidet use or for cleaning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는 변기의 일 측면에 배치되어 동작모드의 입력을 제공받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일 측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모션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센서,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유입되는 물을 방사하며, 이동 가능한 노즐부 및 상기 모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노즐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데 {BIDET}
본 발명은 비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Bidet)는, 용변 후, 휴지를 사용하지 않고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정수로 용변자의 항문이나 여성의 국부를 세정한 후, 항문이나 국부 주위에 잔존하는 물기를 건조기에서 공급되는 온풍으로 건조시키는 장치로, 최근에는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남녀노소 모두가 폭넓게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비데는 세정/비데 동작시 노즐이 비데 몸체로부터 분사위치로 신장되어 동작하며, 분사위치에서의 미세 위치 조절 및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수압은 조작부의 버튼 조작을 통해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비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따라 선호하는 분사위치와 수압은 다양할 수 있고, 단계별 버튼 조작으로 각각의 사용자가 원하는 분사위치와 수압의 미세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은 좌변기용 비데에 관한 것이나, 상술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384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따라 노즐의 위치 또는 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분사위치 또는 수압을 미세 조정할 수 있는 비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는 변기의 일 측면에 배치되어 동작모드의 입력을 제공받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일 측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모션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센서,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유입되는 물을 방사하며, 이동 가능한 노즐부 및 상기 모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노즐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션 센서는 상기 모션 센서의 감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모션 감지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손의 움직임 방향을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움직임 방향에 따라 상기 노즐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의 움직임의 방향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상기 노즐부의 위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션 센서는, 적외선 모션 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는 변기의 일 측면에 배치되어 동작모드의 입력을 제공받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일 측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모션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센서,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유입되는 물을 방사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 및 상기 모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폐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션 센서는, 상기 모션 센서의 감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모션 감지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손의 움직임 방향을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움직임 방향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의 움직임의 방향이 상방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상기 노즐부를 통해 방사하는 물의 수압이 높아지도록 상기 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의 움직임의 방향이 하방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상기 노즐부를 통해 방사하는 물의 수압이 낮아지도록 상기 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션 센서는, 적외선 모션 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는 변기의 일 측면에 배치되어 동작모드의 입력을 제공받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일 측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모션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센서,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유입되는 물을 방사하며, 이동 가능한 노즐부, 상기 노즐부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 및 상기 모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노즐부의 위치 또는 상기 밸브의 개폐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션 센서는, 상기 모션 센서의 감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모션 감지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손의 움직임 방향을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움직임 방향에 따라 상기 노즐부의 위치 또는 상기 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의 움직임의 방향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손의 움직임의 방향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상기 노즐부의 위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션 센서는 적외선 모션 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움직임의 방향 및 움직임 정도에 따라 노즐의 위치 또는 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분사위치와 수압을 미세 조정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 모션 센서를 조작부의 측면에 배치함으로써 조명과 같은 광원에 의한 오동작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설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가 사용될 것이며,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설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100)는 조작부(110), 모션 센서(120), 노즐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10)는, 도 1에서와 같이, 변기(10)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동작모드의 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동작모드는 세정모드, 비데모드, 건조모드, 살균모드 등이 있을 수 있다. 조작부(110)는 동작모드의 입력을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모션 센서(120)는 조작부(110)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감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모션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모션은 손의 움직임일 수 있으며, 모션 센서(120)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손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는 적외선 모션 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모션 센서(120)는 적외선 모션 센서 이외에도 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떤 모션 센서라도 가능하다. 모션 센서(120)는 생성된 모션 감지 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노즐부(130)는 조작부(110)를 통해 입력된 동작모드에 기초한 제어부(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입되는 물을 방사할 수 있으며,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즐부(130)는 대기위치와 분사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며, 모션 감지 신호에 따른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분사위치에서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조작부(110)로부터의 동작모드의 입력에 따라 노즐부(130)의 동작을 제어하되, 모션 센서(120)로부터의 모션 감지 신호에 따라 노즐부(1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조작부(110)로부터 세정 또는 비데 모드의 입력을 수신하면, 노즐부(130)의 위치를 분사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노즐부(130)가 상기 분사 위치에서 물을 방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세정 또는 비데 모드의 경우, 모션 센서(120)로부터 수신한 모션 감지 신호를 기초로 방사위치에 있는 노즐부(13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먼저, 모션 센서(120)로부터 수신한 모션 감지 신호를 기초로 하여, 손의 움직임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도 1에서와 같이, 모션 센서(120)로부터 수신되는 모션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손의 움직임 방향을 전(1), 후(2), 상(3), 하(4) 방향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상기 판단된 손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노즐부(130)의 위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손의 움직임 방향이 전방(1)으로 판단되는 경우, 손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노즐부(130)의 위치를 전방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어부(140)는 손의 움직임 방향이 후방(2)으로 판단되는 경우, 손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노즐부(130)의 위치를 후방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모션 센서(120)에 의해 손이 인식되는 최초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감지되는 손의 위치의 변화를 이용하여 움직임 방향 및 움직임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움직임의 변화량에 따라 노즐부(130)의 위치 조절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100)는 조작부(110), 모션 센서(120), 노즐부(130), 제어부(140) 및 밸브(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150)는 노즐부(130)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모션 감지 신호에 따라 밸브(150)의 개폐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노즐부(130)를 통해 분사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세정 또는 비데 모드의 경우, 모션 센서(120)로부터 수신한 모션 감지 신호를 기초로 노즐부(130)를 통해 분사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먼저, 모션 센서(120)로부터 수신한 모션 감지 신호를 기초로 하여, 손의 움직임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도 1에서와 같이, 모션 센서(120)로부터 수신되는 모션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손의 움직임 방향을 상(3), 하(4) 방향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상기 판단된 손의 움직임 방향 및 정도에 따라 밸브(150)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수압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손의 움직임 방향이 상방(3)으로 판단되는 경우, 손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밸브(150)를 개방하여 노즐부(130)를 통해 방사되는 물의 수압이 높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어부(140)는 손의 움직임 방향이 하방(4)으로 판단되는 경우, 손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밸브(150)를 닫아 노즐부(130)를 통해 방사되는 물의 수압이 낮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모션 센서(120)에 의해 손이 인식되는 최초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감지되는 손의 위치의 변화를 이용하여 움직임 방향 및 움직임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움직임의 변화량에 따라 밸브(150)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의 실시예는 기본적인 구성은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모션 센서(120)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노즐부(130)의 위치와 노즐부(130)를 통해 방사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모션 센서(120)로부터 수신한 모션 감지 신호를 기초로 하여 손의 움직임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손의 움직임 방향 및 움직임 정도에 따라 노즐부(130)의 위치와 밸브(150)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모션 감지 신호를 기초로 손의 위치변화에 따른 움직임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움직임 방향은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다. 예를 들면, 상기 움직임 방향은 전방 대각선 위쪽방향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상기 손의 위치가 전방의 대각선 위쪽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움직임의 전방 성분과 상방 성분을 추출하여 각각의 방향으로의 움직임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상기 추출된 전방 성분의 움직임 정도만큼 노즐부(130)의 위치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방 성분의 움직임 정도만큼 밸브(150)를 개방하여 수압을 높일 수 있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비데
110: 조작부
120: 모션 센서
130: 노즐부
140: 제어부
150: 밸브

Claims (16)

  1. 변기의 일 측면에 배치되어 동작모드의 입력을 제공받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일 측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모션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센서;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유입되는 물을 방사하며, 이동 가능한 노즐부; 및
    상기 모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노즐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비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센서는,
    상기 모션 센서의 감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비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모션 감지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손의 움직임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 방향에 따라 상기 노즐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비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의 움직임의 방향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상기 노즐부의 위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절하는 비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센서는,
    적외선 모션 센서인 비데.
  6. 변기의 일 측면에 배치되어 동작모드의 입력을 제공받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일 측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모션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센서;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유입되는 물을 방사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 및
    상기 모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폐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비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센서는,
    상기 모션 센서의 감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비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모션 감지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손의 움직임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 방향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비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의 움직임의 방향이 상방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상기 노즐부를 통해 방사하는 물의 수압이 높아지도록 상기 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비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의 움직임의 방향이 하방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상기 노즐부를 통해 방사하는 물의 수압이 낮아지도록 상기 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비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센서는,
    적외선 모션 센서인 비데.
  12. 변기의 일 측면에 배치되어 동작모드의 입력을 제공받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일 측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모션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센서;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유입되는 물을 방사하며, 이동 가능한 노즐부;
    상기 노즐부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 및
    상기 모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노즐부의 위치 또는 상기 밸브의 개폐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비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센서는,
    상기 모션 센서의 감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비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모션 감지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손의 움직임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 방향에 따라 상기 노즐부의 위치 또는 상기 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비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의 움직임의 방향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하고,
    상기 손의 움직임의 방향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상기 노즐부의 위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절하는 비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센서는,
    적외선 모션 센서인 비데.

KR1020140181992A 2014-12-17 2014-12-17 비데 KR20160073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992A KR20160073554A (ko) 2014-12-17 2014-12-17 비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992A KR20160073554A (ko) 2014-12-17 2014-12-17 비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554A true KR20160073554A (ko) 2016-06-27

Family

ID=56344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992A KR20160073554A (ko) 2014-12-17 2014-12-17 비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355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9503A (ko)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비데의 비접촉 조작장치
KR20230059502A (ko)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비데의 비접촉 조작장치
KR20230078093A (ko)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비데의 비접촉 조작장치
KR20240058561A (ko) 2022-10-26 2024-05-03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비데의 조작부 입력장치
KR20240058562A (ko) 2022-10-26 2024-05-03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비데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3848A (ko) 2013-03-15 2014-09-25 코웨이 주식회사 좌변기용 비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3848A (ko) 2013-03-15 2014-09-25 코웨이 주식회사 좌변기용 비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9503A (ko)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비데의 비접촉 조작장치
KR20230059502A (ko)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비데의 비접촉 조작장치
KR20230078093A (ko)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비데의 비접촉 조작장치
KR20240058561A (ko) 2022-10-26 2024-05-03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비데의 조작부 입력장치
KR20240058562A (ko) 2022-10-26 2024-05-03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비데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3554A (ko) 비데
JP6175723B2 (ja) 水栓装置
KR200382786Y1 (ko) 오토 샤워기
JP2007321440A (ja)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US10478027B2 (en) Toilet seat device and toilet device equipped therewith
JP2010174565A (ja) トイレ装置
JP2009063347A (ja) 自動装置
JP5588400B2 (ja) カラン
JP2007309084A (ja) 人体感知距離の自動調節機能を有するビデ
JP2011050586A (ja) 便座装置
KR102490253B1 (ko) 비데
JP2017150129A (ja) 吐水装置
JP4411973B2 (ja) 人体検知装置
JP2005105546A5 (ko)
KR102011712B1 (ko) 절수형 자동 수전
KR101523885B1 (ko) 샤워기용 토수제어장치
JP2016199852A (ja) 自動水栓
KR20160077590A (ko)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
KR200423145Y1 (ko) 온수세정기용 착좌센서구조
JP2010233793A (ja) 暖房便座装置
JP2005273284A (ja) 衛生洗浄装置
JP6519914B2 (ja) 自動水栓
KR20070025848A (ko) 자기센서를 이용한 비데용 온수탱크 수위감지 장치
JP7004249B2 (ja) トイレ装置
JP7000949B2 (ja) 便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