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050A - 아밀로이드 장애 치료를 위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 Google Patents

아밀로이드 장애 치료를 위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8050A
KR20240058050A KR1020237043709A KR20237043709A KR20240058050A KR 20240058050 A KR20240058050 A KR 20240058050A KR 1020237043709 A KR1020237043709 A KR 1020237043709A KR 20237043709 A KR20237043709 A KR 20237043709A KR 20240058050 A KR20240058050 A KR 20240058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seq
amino acid
acid sequence
amyl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3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나단 에스. 월
제임스 에스. 포스터
스펜서 거스리
자우메 폰즈
마이클 엘. 클라인
Original Assignee
유니버시티 오브 테네시 리서치 파운데이션
아트라러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버시티 오브 테네시 리서치 파운데이션, 아트라러스, 인크. filed Critical 유니버시티 오브 테네시 리서치 파운데이션
Publication of KR20240058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805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51/00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 A61K51/02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i.e. characterised by the agent or material covalently linked or complexing the radioactive nucleus
    • A61K51/04Organic compounds
    • A61K51/08Peptides, e.g. proteins, carriers being peptides, polyamino acids, proteins
    • A61K51/10Antibodies or immunoglobulins; Fragments thereof, the carrier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 camelised human single domain antibody or the Fc fragment of an antibody
    • A61K51/1093Antibodies or immunoglobulins; Fragments thereof, the carrier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 camelised human single domain antibody or the Fc fragment of an antibody conjugates with carriers being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00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by chemical synthe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07K14/470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not used
    • C07K14/4711Alzheimer's disease; Amyloid plaque core prot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1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heir source of isolation or production
    • C07K2317/14Specific host cells or culture conditions, e.g. components, pH or 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15Complete light chain, i.e. VL + C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7Internalization into the cel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9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harmaco)kinetic aspects or by stability of the immunoglobu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9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harmaco)kinetic aspects or by stability of the immunoglobulin
    • C07K2317/92Affinity (KD), association rate (Ka), dissociation rate (Kd) or EC50 valu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30Non-immunoglobulin-derived peptide or protein having an immunoglobulin constant or Fc region, or a fragment thereof, attached thereto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요약서
항체에 연계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이 본원에서 제공된다.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투여함으로써 아밀로이드-기반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이 또한 본원에서 제공된다.

Description

아밀로이드 장애 치료를 위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21년 5월 18일에 출원된 U.S. 가출원 번호 63/190,191의 우선원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그 전문이 참조로 포함된다.
ASCII 텍스트 화일로 서열 목록 제출
ASCII 텍스트 파일로 다음과 같이 제출된 내용은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조자료로 편입된다: 서열 목록의 컴퓨터 판독 가능 형태 (CRF)(화일명: 165992000640SEQLIST.TXT, 기록일: 2022년 5월 18일, 크기: 69,104 바이트).
발명의 분야
본 출원은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fibrils)에 결합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계한다.
배경
아밀로이드증은 중요한 기관과 조직에서 단백질성 원섬유와 헤파란 황산염 프로테오글리칸의 응집과 침착을 특징으로 하는 치명적인 단백질-폴딩 장애다 (Merlini, G. et al. (2003) N. Engl. J. Med. 349, 583-596; Merlini, G. et al. (2004) J. Intern. Med. 255, 159-178; De Lorenzi, E. et al. (2004) Curr. Med. Chem. 11, 1065-1084; Merlini, G. (2004) Neth. J. Med. 62, 104-105). 아밀로이드가 끊임없이 축적되면, 기관 기능장애와 심각한 질환 또는 사망을 확실히 초래하게 된다. 상기 침착물은 알츠하이머 질환, 헌팅턴 질환 또는 프리온 질환이 있는 환자들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뇌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경쇄-연합된 (AL) 아밀로이드증, 트랜스티레틴-연합된 (ATTR) 아밀로이드증, 및 유형 2 당뇨병이 있는 환자들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말초에 있을 수 있다. 국소적 또는 전신적 하위-그룹화는 전구체 단백질이 국소적으로(침착 부위에서) 생성되는지, 아니면 혈류를 순환하여, 해부학적으로 먼 부위에 각각 침착되는 지를 나타낸다(Westermark, P. et al. (2007) Amyloid. 14, 179-183). 아밀로이드는 모든 기관이나 또는 조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가족성 또는 특발성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환자의 경우, 신장, 췌장, 간, 비장, 신경 조직 및 심장이 주요 침착 부위를 구성한다. 알츠하이머 질환은 현재 400만 명 이상의 미국인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 수치는 2050년까지 1,600만 명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고아 장애(orphan disorders)로 간주되는 가장 흔한 형태의 아밀로이드증이지만 US에서 추정치로 200,000건이 넘는 사례로 널리 과소진단되고 있다.
이들 중, 주요 말초 아밀로이드증은 트랜스티레틴-연합된 (ATTR) 아밀로이드증이며, 이어서 경쇄-연합된 (AL) 아밀로이드증이다. 전자는 야생형(특발성) 또는 변종 트랜스티레틴(유전성)의 침착으로 인해 발생하며, 임상적으로 말초 신경과 심장에서 주로 현시되지만; 그러나 근골격계 침범은 흔하며, 장기의 침착보다 수십 년이 더 선행될 수 있다. 후자는 면역글로불린 경쇄 단백질로 구성된 원섬유의 침착을 초래하는 특발성 단일클론 형질세포 이형성증이다. AL은 모든 말초 아밀로이드 사례의 약 2/3를 차지하며, 미국에서 연간 100,000명당 ~1.4명의 발생률로 계산되었으며, 이는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및 만성 골수성 백혈병과 비슷하다(Group, U. S. C. S. W. (2007) United States Cancer Statistics: 1999-2003 Incidence and Mortality Web-Based Report,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Cancer Institute, Atlanta). AL은 관련 형질 세포 이혼화증 다발성 골수종보다 1/5만큼 흔하지만, 부분적으로 장기 파괴의 급속한 진행 속성, 효과적인 항-아밀로이드 치료제가 부족하고, 장기 부전이 발생하기 전에 질병을 효과적으로 진단할 수 없는 특성으로 인해 평균 생존 기간이 13.2개월에 불과하여 더 파괴적일 수 있다. 모든 AL 환자의 5% 미만은 진단 시점으로부터 10년 또는 그 이상 생존한다 (Comenzo, R. L. et al. (2002) Blood 99, 4276-4282). 더욱이, 심장 AL 아밀로이드증 환자의 경우, 평균 생존 기간은 5개월 미만이다.
ATTR은 전신성 아밀로이드증의 한 형태다. ATTR 아밀로이드증 환자들의 25%는 진단 후 24개월 이내에 사망한다. (Gertz and Dispenzieri JAMA 324(1)79-89 (2002).) 현재 치료법은 장기 손상을 예방하지 못한다. ATTR 아밀로이드증은 트랜스티레틴 (TTR) 원섬유가 원인이다. 트랜스티레틴은 갑상선 호르몬과 비타민 A를 혈액으로 운반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간에서 생성되는 단백질이다. 일반적으로, TTR은 4개의 단일-쇄 단량체로 구성된 사량체다. 유전성 ATTR 아밀로이드증에서, TTR 유전자 돌연변이는 단백질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사량체가 단량체로 해리되어 아밀로이드 원섬유로 응집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야생형 ATTR 아밀로이드증에서, 정상적인 TTR 단백질은 불아정한 잘못 폴링되어, 아밀로이드 원섬유가 형성된다.
이러한 아밀로이드 원섬유는 신체 전체의 여러 기관, 예를 들면, 손목 터널이라고 불리는 좁은 통로에 축적된다. 이로 인해 손과 팔이 마비되고 얼얼해지는 손목터널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 척추관은 척추 협착(척추 협착증)을 유발할 수 있다. 심부전 및/또는 심방 세동이라는 불규칙한 심장 박동을 유발할 수 있는 심장.
U.S.에서 널리 퍼진 또 다른 말초 아밀로이드증 형태는 염증-연합된 (AA) 아밀로이드증이며, 이는 관절염, 결핵 및 가족성 지중해열과 같은 만성 염증성 질환과 연합된다. AA의 발병률은 유럽의 특정 지역에서 가장 높으며 빈도는 인종 그룹에 따라 다르다 (Buck, F. S. et al. (1989) Mod. Pathol. 2, 372-377). 가족성 지중해열이 만연하고 치료되지 않는 지역에서는 AA 발병률이 100%일 수 있다. 덴마크에서 수행된 부검 연구에 따르면 유럽에서는 발생률이 0.86%로 추산되며 (Lofberg, H. et al. (1987) Acta pathologica, microbiologica, et immunologica Scandinavica 95, 297-302); 그러나, 류마티스나 건선 관절염 환자의 경우 AA 발생률은 26%까지 높을 수 있다. 이러한 높은 유병률은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선별 프로그램을 보장할 수 있다. 아밀로이드 침착은 아밀로이드 원섬유의 전구체인 혈청 아밀로이드 단백질 A (sAA)의 혈장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과 관련있다 (Rocken, C. et al. (2002) Virchows Arch. 440, 111-122). AA는 침착되는 전구체 단백질의 유형이 AL과 다르지만, 둘 다 원섬유 형성 및 침착과 관련된 공통된 기계적 특징을 공유한다 (Rocken, C. et al. (2006) J. Pathol. 210, 478-487; Rocken, C. et al. (2001) Am. J. Pathol. 158, 1029-1038).
아밀로이드의 병인병리가 잘 확립되어 있는 장애 외에, 아밀로이드의 구조적 속성 및 착색 속성을 지닌 원섬유 침전물이 다른 증후군에서도 확인되었지만, 이들의 병 상태와의 관련성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유형 2 당뇨병에서는 랑게르한스 섬에서 섬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IAPP)을 아밀로이드로 침착시킨다 (Jaikaran, E. T. et al. (2001) Biochim. Biophys. Acta 1537, 179-203). IAPP의 응집으로 인해 췌장 세포에 독성이 있는 올리고머 구조가 생성된다 (Lin, C. Y. et al. (2007) Diabetes 56, 1324-1332). 따라서, 제1형 당뇨병 환자에서 IAPP 아밀로이드의 형성은 β 세포 파괴에 기여하고 인슐린 의존성으로의 전환을 안내하는 것으로 제안된다 (Jaikaran, E. T. et al. (2001) Biochim. Biophys. Acta 1537, 179-203). 또다른 실시예에서, 아포리포단백질 A-I로 구성된 아밀로이드 원섬유를 함유한 플라크가 죽상경화성 경동맥 환자의 절반 이상에서 확인되었다(Westermark, P. et al. (1995) Am. J. Pathol. 147, 1186-1192; Mucchiano, G. I. et al. (2001) J. Pathol. 193, 270-275). 이러한 원섬유의 침착은 노인 환자에서 더 흔했지만, apoA-I는 의심할 바 없이 플라크 발생 초기에 존재한다. (Vollmer, E. et al. (1991) Virchows Arch. A. Pathol. Anat. Histopathol. 419, 79-88). 마지막 예로서, 최근 무릎 치환술을 받은 환자에게서 얻은 무릎 관절 반월판에서도 Apo-A-I 아밀로이드가 확인되었으며, 이는 관절의 신체적 악화에 기여할 수 있다 (Solomon, A. et al. (2006) Arthritis Rheum. 54, 3545-3550).
전체적으로 29개 이상의 단백질이 화학적으로나 혈청학적으로 아밀로이드 침전물에 있는 원섬유의 구성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질환을 구별하고, 치료를 결정하고, 예후를 확립하는 것은 이러한 단백질의 특성이다. 아밀로이드 원섬유는 임상적으로 이질적인 질환 그룹과 연관되어 있으며, 구조적으로 구별되고 기능적으로 다양한 전구체 단백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침전물 자체는 원섬유 구조, 원섬유 에피토프 및 헤파란 황산염 프로테오글리칸(HSPGs)을 비롯한 유사한 보조 분자의 발생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매우 유사한 특성을 공유한다. 아밀로이드는 원섬유 외에, 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s), 특히, 페를레칸 HSPG가 내포된 이질성 복합체다 (Ancsin, J. B. (2003) Amyloid 10, 67-79; Ailles, L. et al. (1993) Lab. Invest. 69, 443-448; Kisilevsky, R. (1994) Mol. Neurobiol. 9, 23-24; Kisilevsky, R. (1990) Lab. Invest. 63, 589-591; Snow, A. D. et al. (1987) Lab. Invest. 56, 120-123; Li, J. P. et al. (2005) Proc. Natl. Acad. Sci. U S A 102, 6473-6477).
현재까지, 장기의 기능의 회복을 촉진시키고,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아밀로이드 침착물을 제거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은 면역요법의 수단으로 아밀로이드-반응성 항체를 사용하는 것이다. AL 아밀로이드증 치료용 단일클론성 항체 11-1F4, AL 아밀로이드증이 있는 환자들의 경우 NEOD001, 아밀로이드증의 경우 GSK2398852 (항-SAP 단일클론성 항체), 알츠하이머 질환의 경우 솔라네주맙(Solanezumab), 알츠하이머 질환의 경우 정맥내 IgG (IVIG), 및 알츠하이머 알츠하이머 질환의 경우 바피누주맙(Bapineuzumab)을 비롯한, 아밀로이드-관련된 질환을 위하여 몇 가지 면역요법(항체들)이 개발되었다. 그리고 알츠하이머 질환의 경우 아두카무맙(Aducamumab). 이러한 접근 방식 각각에는 한계가 있거나 또는 후기 단계(단계 2/3상) 임상 시험에서 주요 결과를 충족하지 못했다.
따라서, 아밀로이드증 및 아밀로이드 관련된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요약
항체에 연계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것을 만들고 이용하는 방법들이 본원에 제공된다.
한 측면에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및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된 항체를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이 본원에서 제공되며, 이때 상기 항체는 중쇄 가변 영역 (VH)을 포함하는 중쇄와 경쇄 가변 영역 (VL)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상기 항체는 상기 중쇄 또는 경쇄의 N-말단 단부 또는 C-말단 단부에서 연계되며,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상기 항체는 상기 경쇄의 C-말단 단부에서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서열 식별 번호: 83 및 서열 식별 번호: 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경쇄는 경쇄 불변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쇄는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들 중 임의의 하나의 서열에 대해 적어도 85%, 90%, 95%, 96%, 97%, 98%, 99%, 99.5%, 또는 100%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두 개의 중쇄와 두 개의 경쇄를 포함하며, 이때 각 경쇄는 이의 C-말단에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키메라 항체 또는 인간화된 항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64-7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18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2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1-8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64-7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1-8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64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4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48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5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6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5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5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5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4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6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5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전장 항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Fc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Fc 영역은 IgG1, IgG2, IgG3, 또는 IgG4 아이소형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IgG1 아이소형이다.
또다른 측면에서, 상기 항체의 경쇄를 각각 포함하는 제1 폴리펩티드와 제2 폴리펩티드를 포함하고, 상기 항체의 중쇄를 각각 포함하는 제3 폴리펩티드와 제4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 그리고 상기 경쇄 또는 상기 중쇄의 N-말단 또는 C-말단에서 연계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이 본원에서 제공되며, 이때 상기 제1 폴리펩티드와 제2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폴리펩티드와 제4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펩티드와 제2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8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폴리펩티드와 제4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펩티드와 제2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폴리펩티드와 제4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펩티드와 제2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폴리펩티드와 제4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또다른 측면에서, 서열 식별 번호: 1 또는 서열 식별 번호: 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그리고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를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이 본원에서 제공되며, 이때 상기 항체는 가변 중쇄 (VH) 및 가변 경쇄 (VL)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고,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64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경쇄의 C-말단 단부에 연계되며,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또다른 측면에서, 서열 식별 번호: 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그리고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를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이 본원에서 제공되며, 이때 상기 항체는 가변 중쇄 (VH) 및 가변 경쇄 (VL)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고,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64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경쇄의 C-말단 단부에 연계되며,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아밀로이드 기질에 대해 1.5nM 미만의 EC50를 나타낸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검출가능한 라벨에 접합되며, 이때 상기 검출가능한 라벨은 형광 라벨 또는 방사능라벨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사능라벨은 I-123, I-124, F-18, ZR-89, 또는 Tc-99m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기준 IgG 항체와 비교하였을 때 개선된 생체분포, 범(pan) 아밀로이드 반응성, 및 강화된 식세포작용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생체내 속성들을 나타낸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rVλ6Wil, Aβ, Aβ(1-40), IAAP, ALκ4, Alλl, ATTR, α-시누클레인, 또는 Tau 441 원섬유에 결합한다.
또다른 측면에서, i)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그리고 ii) 항체를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본원에서 제공하며, 이때 상기 항체는 중쇄 가변 영역 (VH)을 포함하는 중쇄와 경쇄 가변 영역 (VL)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경쇄의 C-말단 단부에 연계되며,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 없이, 또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되고; 그리고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적어도 90%는 무손상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전장 항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0%를 넘지 않는 절단 산물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절단 산물은 서열 식별 번호: 8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N-말단 또는 C-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VH,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N-말단 또는 C-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VL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밀로이드 기질에 대한 EC50 결합 친화력을 나타내는데, 이때 EC50 결합 친화력은 1.5nM 미만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한다.
또다른 측면에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본원에서 제공된다. 또다른 측면에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가 본원에서 제공된다. 또다른 측면에서, 상기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가 본원에서 제공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숙주 세포는 포유류 세포, 임의선택적으로 중국 햄스터 난소 (CHO) 세포다.
또다른 측면에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방법이 본원에서 제공되며, 이 방법은 a)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발현에 적합한 관류 세포 배양 조건 하에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를 배양하고; 그리고 b)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대략 매 12-36 시간 마다 회수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i)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그리고 ii) 항체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항체는 중쇄 가변 영역 (VH)을 포함하는 중쇄와 경쇄 가변 영역 (VL)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경쇄의 C-말단 단부에 연계되며,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 없이, 또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상기 항체 경쇄의 불변 도메인의 C 말단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단계 b)에서 회수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체를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에 적용시키고, 상기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으로부터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용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절두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로부터 별개로 용리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숙주 세포는 CHO 세포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순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순도는 도데실 황산 나트륨염 모세관 전기영동(CE-SD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LC), 질량 분석법(MS)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분석 방법들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적어도 90%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로 정제된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생성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이 본원에서 제공된다.
일부 측면들에서, 아밀로이드 침착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 관련된 장애를 갖는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이 본원에서 제공되며, 이 방법은 상기 대상체에게 치료요법적 효과량의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 관련된 장애는 전신 또는 국소화된 아밀로이드증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 관련된 장애는 AL, AH, Aβ2M, ATTR, 트랜스티레틴, AA, AApoAI, AApoAII, AGel, ALys, ALEct2, AFib, ACys, ACal, AMed, AIAPP, APro, AIns, APrP, 파킨슨 질환, 알츠하이머 질환, 또는 Aβ 아밀로이드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 침착은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 의해 옵소닌화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를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로 치료하면 상기 아밀로이드 침착의 식세포작용이 야기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를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로 치료하면 하지 부기, 심한 피로, 심한 허약, 호흡 곤란, 호흡 곤란, 무감각, 손, 손목 또는 발의 통증, 설사, 변비, 의도하지 않은 체중 감소, 혀 비대, 피부 변화, 불규칙한 심장 박동, 어려움 삼키는 것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상적 속성들이 개선된다.
또다른 측면에서, 아밀로이드-기반 질환이 있는 또는 아밀로이드-기반 질환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이 본원에 제공되며, 이 방법은 a) 상기 대상체가 아밀로이드 침착이 있는 지를 판단하고, 이때 판단은 i)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고고,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검출가능한 라벨을 포함하며, 및 ii) 상기 검출가능한 라벨과 연합된 신호가 상기 대상체로부터 검출되는 지를 판단하고; 그리고 b) 만약 상기 신호가 검출된다면, 상기 대상체에게 아밀로이드증 치료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만약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다면, 아밀로이드 침착의 이후 발달에 대해 상기 대상체를 모니터링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신호의 강도를 결정하고, 상기 신호를 임계값과 비교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그 이상이면 상기 이 대상체가 아밀로이드 침착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SPECT/CT 이미징, PET/CT 이미징, 감마 신티그래피, 또는 광학 이미징에 의해 검출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증 치료는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투여로 상기 대상체에서 아밀로이드 침착의 식세포작용이 야기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투여로 상기 대상체에서 상기 아밀로이드 침착이 없어진다.
또다른 측면에서, 대상체에서 아밀로이드 침착을 확인하는 방법이 본원에서 제공되며,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검출가능한 라벨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항체 펩티드 융합 단백질로부터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다른 측면에서, 대상체에서 아밀로이드 제거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이 본원에서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상기 대상체의 아밀로이드 기질에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접촉시키는 단계,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검출가능한 라벨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펩티드는 아밀로이드 기질에 대한 결합 친화력을 보유하며; 그리고 상기 검출가능한 라벨로부터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 이로 인하여 상기 아밀로이드 제거가 탐지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인간이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에 사용을 위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키트가 본원에서 제공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짧고, 뻣뻣한 스페이서를 통하여 경쇄의 N-말단에 융합된 펩티드를 갖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개략도를 보여준다.
도 2는 짧고, 뻣뻣한 스페이서를 통하여 중쇄의 C-말단에 융합된 펩티드를 갖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개략도를 보여준다.
도 3은 짧고, 뻣뻣한 스페이서를 통하여 경쇄의 C-말단에 융합된 펩티드를 갖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개략도를 보여준다.
도 4는 길고, 유연성 스페이서를 통하여 경쇄의 C-말단에 융합된 펩티드를 갖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개략도를 보여준다.
도 5A는 합성 rVλ6Wil 경쇄 아밀로이드-유사 원섬유에 대해 키메라 (c) 11-1F4, 및 인간화된 변이체들, VH10/VL4, VH9/VL4, VH8/VL4, VH7/VL4, 또는 VH6/VL3의 결합을 측정하는 유로피움-연계된 면역흡착 분석 (EuLISA)의 데이터를 보여준다. 도 5B는 rVλ6Wil 원섬유에 대해 VH6/VL3-p5 (6-3-p5), VH6/VL3-p5R (6-3-p5R), c11-1F4, 또는 VH6/VL3의 결합을 측정하는 EuLISA의 데이터를 보여준다. 도 5C는 rVλ6Wil 원섬유, Per125 wtATTR 추출물, Ken ATTR 추출물, SHI ALλ 간 추출물, 또는 TAL ALκ간 추출물에 대한 VH9/VL/4-p5R의 결합을 측정하는 EuLISA의 데이터를 보여준다. 도 5D는 rVλ6Wil 원섬유, Per125 wtATTR 추출물, Ken ATTR 추출물, SHI ALλ 간 추출물, 또는 TAL ALκ간 추출물에 대한 VH9/VL/4-p5의 결합을 측정하는 EuLISA의 데이터를 보여준다. 도 5E는 rVλ6Wil 원섬유에 대한 c11-1F4, m11-1F4, 또는 VH9/VL4의 결합을 측정하는 EuLISA의 데이터를 보여준다. 도 5F는 VH6/VL3-p5가 Sno ATTR 추출물 (짙은 회색 원) 또는 Ken ATTR 추출물(밝은 회색 원)에 결합, 및 c11-1F4가 Sno ATTR 추출물에 결합(검정 사각형)을 측정하는 EuLISA의 데이터를 보여준다. 도 5G는 VH6/VL3-p5R이 Per125 wtATTR (회색 원, 라벨 참고), Sno ATTR 추출물 (짙은 회색 원), 또는 Ken ATTR 추출물 (밝은 회색 원)에 결합, 및 c11-1F4가 Sno ATTR 추출물 (검정 사각형)에 결합을 측정하는 EuLISA의 데이터를 보여준다. 단일클론성 항체의 로그-변환 몰 농도(-log(M)는 x축에 표시되고, 결합 수준(유로피움 펨토몰)은 y축에 표시된다.
도 6은 풀다운 분석에서 조직으로부터 얻은 rVλ6Wil 아밀로이드-유사 원섬유 및 인간 아밀로이드 추출물에 대한 125I-mIgp5 결합를 나타낸다. y축은 결합된 125I-mIgG-p5의 백분율을 표시하고, 각 샘플의 백분율 결합은 히스토그램 막대 위에 표시된다. x-축은 rVλ6Wil 원섬유, SNO 유전적 (h) ATTR, KEN hATTR, Per 125 wtATTR, Per253 야생형 (wt) ATTR, ALκ HIG 추출물, ALκ TAL 추출물, ALλ SHI 추출물, 및 ALλ TYL 추출물을 비롯한 테스트된 아밀로이드 추출물 유형을 나타낸다. 오차 막대는 표준 편차를 나타낸다.
7A는 x-축 상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표시된, 인간 THP-1 대식세포 단독에 의한, 또는 인간 (h) IgG 대조군, ch11-1F4, muIgp5 (expiHEK293 세포주에서 생성된), VH6/VL3-p5, 또는 VH6/VL3-p5R의 존재 하에서 취입된 pHrodo 적색-라벨된 rVλ6Wil 원섬유를 나타낸다. y축은 rVλ6Wil 원섬유 취입 수준(형광 단위로 측정)을 표시하고, 오차 막대는 표준 편차를 나타낸다. 7B는 THP-1 단독 존재하에서, 또는 x-축 상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표시된 hIgG 대조군, c11-1F4, mIgp5, VH9/VL4-p5, 또는 VH9/VL4-p5R 존재 하에서 대식세포에 의한 pHrodo 적색-라벨된 rVλ6Wil 원섬유의 식세포작용을 나타낸다. y축은 식세포작용 (형광 단위)을 표시하고, 오차 막대는 표준 편차를 나타낸다. 7C는 x-축 상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표시된 hIgG 대조군, 5μg의 리투산(Rituxan) (키메라 mAb, 음성 대조군으로써), 5μg의 c11-1F4, 5μg의 VH6/VL3, 5μg의 VH9/VL4, VH6/VL3-p5R, 또는 VH6/VL3-p5 존재 하에서 대식세포에 의한 pHrodo 적색-라벨된 rVλ6Wil 원섬유의 식세포작용을 보여준다. y축은 식세포작용 (pHrodo 형광)을 표시하고, 오차 막대는 표준 편차를 나타낸다.
도 8A는 무손상 VH9-D54E/VL4-N33S-VSPSV-p5R을 생산하는데 이용된 유가식(fed-batch) 및 관류 워크플로우를 보여준다. 각 생산 방법에 대한 순도 (무손상 융합 단백질%)가 표시된다. 도 8B는 rVλWIL상에서 유가식 정제된 FB.1 및 관류 정제된 PF.1의 친화력을 테스트하는 결합 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좌측 y-축 척도는 유가식 정제된 FB.1에 이용되며, 우측 y-축 척도는 관류 정제된 PF.1에 이용된다.
도 9A는 상기 방사능라벨된 (125I) 항체 hIgG1 대조군과 비교하여, 방사능라벨된 (125I) PF.1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겔 분석을 보여준다. 환원된 (Red.) 샘플 및 환원안된 (NR) 샘플을 나타내고, 각 단백질에 대한 IgG, IgH, 및 IgL의 위치를 나타낸다. 유리 방사성요오드 (125I) 또한 라벨된다. 도 9B는 PF.1 또는 125I-hIgG1을 주사한 후 24-시간 시점 이후 전신 AA 아밀로이드증 마우스의 단일 광자 방출 컴퓨터 단층 촬영 (SPECT) 및 컴퓨터 단층촬영(CT) 영상을 보여준다. 도 9C는 주사-후 24 시간 시점에서 AA 마우스의 상이한 조직들 가운데 125I-PF.1 및 125I-hIgG1의 생체분포를 보여준다. 도 9D는 AA 마우스에게 125I-PF.1 또는 125I-hIgG1을 주사-후 24시간 시점에 간 (좌), 비장 (중앙), 및 심장 (우) 조직의 미세자동방사선촬영을 보여준다.
도 10A-10E는 ATTR, AL, ALETC2 또는 Aβ 아밀로이드를 함유하는 상이한 인간 조직 (심장, 신장, 비장, 및 뇌)을 바이오티닐화된 PF.1 및 콩고 레드(Congo red)를 사용한 면역조직학적 착색을 보여준다. 검은색 화살표는 조직 샘플에 결합된 비오티닐화 PF.1을 강조하고, 흰색 화살표는 조직 샘플 내 아밀로이드의 존재를 강조한다(콩고 레드 착색).
도 11A는 pHrodo 적색-라벨이 붙은 아밀로이드를 주사한 후 마우스의 pHrodo 적색에서 정량화된 형광 방출을 보여주는데, 이때 주사된 아밀로이드는 PF.1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 전-항온처리되었다. 형광 방출의 증가는 아밀로이드 식세포작용을 나타낸다. 도 11B는 주사-후 12일차 시점에서 PF.1-처리된 마우스와 대조군-처리된 마우스의 형광 방출을 보여준다.
도 12A-12D는 ALκ, ALλ, ATTRv, 및 ATTRwt, 아밀로이드 추출물에 대해 PF.1 및 인간 IgG1 (hIgG1) 대조군로 시행된 생체-외 식세포작용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식세포작용은 pH 민감성 염료 숙신이미딜-pHrodo 적색 형광단으로 라벨링하여 감지되는데, 이때 형광 방출의 증가는 향상된 식균 작용을 나타낸다. ATTRwt는 야생형 트랜스티레틴 연합된 아밀로이드증이다. ATTRv는 변이체 트랜스티레틴 연합된 아밀로이드증이다.
도 13A는 rVλWIL Aβ(1-40), ATTRwt, ATTRV, ALλ, 및 ALκ아밀로이드 추출물에서 PF.1의 친화력을 테스트하는 결합 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ATTRwt는 야생형 트랜스티레틴 연합된 아밀로이드증이다. ATTRv는 변이체 트랜스티레틴 연합된 아밀로이드증이다. 도 13B는 도 12A에서 이용된 동일한 아밀로이드 추출물 패널에 있어서 인간 IgG1 대조군의 친화력을 테스트하는 결합 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도 14는 합성 아밀로이드-유사 원섬유 α-시누클레인, Tau 441, 및 Aβ(1-40) 상에서 PF.7의 친화력을 테스트하는 결합 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PF.7은 배양 7일차 이후 수집된 VH9-D54E/VL4-N33S-VSPSV-p5R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이다.
도 15는 인간 보체의 공급원으로서 20% 인간 혈청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rVλWIL(WIL) 및 ALκ(TAL)원섬유에 대한 PF.1을 사용하여 수행된 생체외 식세포작용 분석의 결과를 보여준다. +C는 인간 혈청 보체가 존재함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아밀로이드에 결합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을 본원에서 제공한다.
I. 정의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단수형태 "하나("a", "an")" 및 "그것("the")"은 내용상 명확히 달리 언급이 없는 한, 모두 단수 뿐만 아니라 복수를 지칭한다. 약어, "가령"은 라틴어 exempli gratia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기에서 비-제한적인 예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약어 "예를 들면(e.g.)"은 "예를 들면"이라는 용어와 동의어다.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포함하다”는 "내포된다"를 의미한다.
범위는 본 명세서에서 "대략" 하나의 특정 값으로부터 및/또는 "대략" 또다른 특정 값까지 표현될 수 있다. 그러한 범위가 표현되는 경우, 또다른 측면은 범위의 하나의 특정 값 및/또는 범위의 다른 특정 값이 내포된다. 각 범위의 끝점은 다른 끝점과 관련하여, 그리고 다른 끝점과 독립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선행사 "약"을 사용하여 값이 근사치로 표현되는 경우, 특정 값이 또다른 측면을 형성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특정 예시적 구체예들에서, 용어 “약(about)"은 당업계의 정상 내성 범위 내, 예를 들어, 평균의 2 표준 편차 내로 이해된다. 약(about)이란 명시된 값의 10%, 9%, 8%, 7%, 6%, 5%, 4%, 3%, 2%, 1%, 0.5%, 0.1%, 0.05% 또는 0.01% 이내로 이해될 수 있다. 문맥에서 달리 명확하지 않은 한, 여기에 제공된 모든 수치는 약(about)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정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시적인", "구체화된" 등의 용어들은 선호도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 아니고, 이하에서 논의되는 측면은 단지 제시되는 측면의 하나의 예일 뿐임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핵산 또는 폴리펩티드에 대해 주어진 모든 염기 크기 또는 아미노산 크기, 및 모든 분자량 또는 분자량 값은 근사치이며, 설명을 위해 제공됨을 추가로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또는 대등한 임의의 방법들 및 재료들이 본 명세서의 실행 또는 테스트에 이용될 수 있지만, 적절한 방법들 및 재료들이 하기에서 설명된다. 충돌이 있는 경우, 용어 설명을 비롯한 본 명세서의 내용이 우선한다. 또한, 재료, 방법, 그리고 실례는 단지 예시이고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의 검토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정 용어에 대한 다음 설명이 제공된다:
용어 아밀로이드, 아밀로이드 침착물, 아밀로이드 원섬유, 및 아밀로이드 섬유는 특이적 구조적 특성을 공유하는 불용성 섬유질 단백질 응집체를 말한다. 상기 단백질 응집체는 예를 들어, 여러 가지 상이한 단백질의 응집에 의해 형성되고, 섬유 축에 수직으로 쌓인 β시트의 정렬된 배열로 구성된 3차 구조를 갖는다. Sunde et al., J. Mol. Biol. (1997) 273:729-39 참고. 장기에 아밀로이드가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면 아밀로이드증이 발생할 수 있다. 발생하는 방식은 다양하지만, 모든 아밀로이드는 콩고 레드와 같은 특정 염료로 착색되고, 착색-후 편광에서 특징적인 적녹 복굴절 모양을 갖는다는 점에서 공통적인 형태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아밀로이드는 또한 일반적인 미세구조적 특징과 일반적인 X-선 회절 및 적외선 스펙트럼을 공유한다.
아밀로이드증은 아밀로이드 침전물의 존재와 같이 아밀로이드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는 병리학적 상태 또는 질환을 의미한다. “아밀로이드 질환” 또는 “아밀로이드증”은 아밀로이드 원섬유의 형성, 침착, 축적 또는 지속성과 관련된 질환이다. 이러한 질환에는 알츠하이머병, 다운증후군, 네덜란드형 아밀로이드증을 동반한 유전성 뇌출혈, 뇌 베타-아밀로이드 혈관병증이 내포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기타 아밀로이드 질환, 이를 테면 전신 AA 아밀로이드증, AL 아밀로이드증, ATTR 아밀로이드증, ALect2 아밀로이드증, 및 유형 II 당뇨병의 IAPP 아밀로이드증 또한 아밀로이드 질환이다.
아밀로이드 생성성이란 아밀로이드 침착물을 만드는 또는 만드는 경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면, 특정 가용성 단량체 단백질은 광범위한 형태 변화를 거쳐 잘-정렬되고, 가지가 없는, 8~10nm 폭의 원섬유로 응집될 수 있고, 이는 아밀로이드 응집체의 형성으로 정점에 이른다. 예를 들면, 30개 이상의 단백질이 사람에게서 아밀로이드 침전물(또는 아밀로이드)을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면역글로불린 경쇄와 같은 다양한 단백질 클래스에 속하는 모든 단백질이 아밀로이드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가령, 일부 단백질들은 아밀로이드를 형성하지 않는 비-아밀로이드 생성성 단백질이다. 그러나, 같은 클래스의 다른 단백질들은 아밀로이드 침전물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따라서 아밀로이드 생성성이다. 더욱이, 경쇄 단백질 클래스 내에서 일부는 아밀로이드 원섬유를 쉽게 형성한다는 점을 기준으로 다른 단백질보다 "아밀로이드 생성성"이 더 강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특정 경쇄 단백질은 환자에서 또는 시험관 내에서 쉽게 아밀로이드 원섬유를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비-아밀로이드 생성성 또는 아밀로이드 생성성이 약한 것으로 간주된다.
동물: 살아있는 다-세포 척추동물로, 예를 들어, 포유류와 조류가 내포된다. 포유류라는 용어에는 인간 및 비-인간 포유류가 모두 내포된다. 마찬가지로, 용어 “대상체” 에는 인간 및 수의학적 대상체들이 모두 내포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대상체는 대상체, 이를 테면 아밀로이드 질환을 앓고 있는 대상체다.
제거: "깨끗한" 또는 "제거"라는 용어는 측정가능한 정도로 감소하거나 제거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본원에 기술된 아밀로이드 침착물의 제거는 침착물을 측정 가능하거나 또는 식별할 수 있는 정도로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것과 관련있다. 제거란 100% 제거일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오히려, 제거란 100% 미만의 제거, 예를 들어 약 10%, 20%, 30%, 40%, 50%, 60% 또는 그 이상의 제거일 수 있다.
접합체: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접합체"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물질의 커플링 또는 연결 생성물을 의미하며, 생성된 생성물은 적어도 2개의 도메인과 같은 적어도 2개의 별개의 요소를 갖는다. 이렇게 커플링된 재료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커플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계 그룹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단백질 접합체”는 예를 들면, 두 개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의 커플링으로 생성된다. 예를 들어, 두 단백질의 접합체는 개별적으로 연결된 각 단백질에 해당하는 도메인을 갖는 단일 단백질을 생성한다.
본원에서 용어 "항체"는 가장 넓은 의미로 사용되며, 구체적으로 단일클론 항체 (전장의 단일클론 항체 포함), 다중클론 항체, 다중특이성 항체 (예를 들어, 이중특이성 항체), 그리고 원하는 항원 결합 활성을 나타내는 한, 항체 단편을 포괄한다.
"단리된" 항체란 한 성분이 이의 자연적 환경에서 식별되고, 이로부터 분리되고 및/또는 회수된 것이다. 자연 환경에서 오염 성분들은 항체의 연구, 진단 또는 치료요법적 용도를 간섭하는 물질이며, 그리고 효소, 호르몬, 및 다른 단백질성 또는 비-단백질성(proteinaceous) 용질을 함유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항체는 (1) 예를 들면, Lowry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항체 중량의 95% 이상으로 정제되며,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99중량% 이상으로 정제되며; (2) 예를 들면, 스피닝 컵 시퀀터(spinning cup sequenator)의 사용을 통하여 N-말단 또는 내부 아미노산 서열의 적어도 15개 잔기를 수득하는데 충분한 수준으로 정제되고, 또는 (3) 예를 들면, Coomassie 블루 또는 은 착색을 이용하여 환원 또는 비-환원 조건 하에서 SDS-PAGE에 의한 균질성을 갖도록 정제되며, 단리된 항체에는 항체의 자연 환경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재조합 세포 내의 현장 항체가 내포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단리된 항체는 적어도 하나의 정제 단계를 거쳐 준비될 것이다.
"고유 항체들"이란 통상 약 150,000 달톤의 이종사량체 당단백질로써, 2개의 동일한 경쇄 (L)와 2개의 동일한 중쇄(H)로 구성된다. 각 경쇄는 한 개 공유 이황화 결합에 의해 중쇄에 연계되며, 이황화 결합의 수는 상이한 면역글로불린 아이소형의 중쇄 간에 가변적이다. 각 중쇄와 경쇄는 또한 규칙적으로 이격된 쇄내 이황화 결합 다리를 갖는다. 각 중쇄는 한 단부에 가변 도메인 (VH)과 이어서 몇 개의 불변 도메인을 갖는다. 각 경쇄는 한 단부에 가변 도메인(VL)과 이의 다른 단부에 불변 도메인을 갖고; 상기 경쇄의 불변 도메인은 상기 중쇄의 제 1 불변 도메인과 나란히 있으며, 경쇄 가변 도메인은 해당 중쇄의 가변 도메인과 나란히 있다. 특정 아미노산 잔기는 경쇄 및 중쇄 가변 도메인 사이의 계면을 형성한다고 여겨진다.
용어 "불변 영역"이란 면역글로불린의 다른 부분인 항원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가변 도메인에 비해 보다 보존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면역글로불린 분자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불변 영역은 중쇄의 CR1, CR2 및 CR3 도메인들 (또한 CH1, CH2, 및 CH3라고도 함; 집합적으로, CH), 그리고 경쇄의 CHL (또는 CL 또는 CL1) 도메인을 함유한다.
항체의 "가변 영역" 또는 "가변 도메인"이란 항체 중쇄 또는 경쇄의 아미노-말단 도메인을 지칭한다. 중쇄의 가변 도메인은 “VH”로 지칭될 수 있다. 경쇄의 가변 도메인은 “VL”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도메인들은 일반적으로 항체의 가장 가변적인 부분이며, 항원-결합 부위를 함유한다.
용어 "가변"이란 해당 가변 도메인의 특정 일부분이 항체들 간에 서열에서 상당히 상이하며, 이의 특정 항원에 대한 각 특정 항체의 결합 및 특이성에 이용된다는 사실을 지칭한다. 그러나, 가변성(variability)은 가변 도메인에 고르게 분포되지 않는다. 이것은 경쇄- 및 중쇄-가변 도메인 모두에서 상보성-결정 영역 (CDRs)이라고 불리는 3개의 세그먼트에 집중된다. 가변 도메인의 더욱 더 보존된 부분들은 프레임워크 영역 (FR)이라고 불린다. 고유의 중쇄 및 경쇄의 가변 도메인 각각은 베타-시트 형태를 채택한 4 개의 FR 영역, 이에 연결된 3 개의 CDRs, 이때, 이들은 루프 연결되며, 그리고 일부 경우에는 베타-시트 구조의 일부를 형성한다. 각 쇄의 CDRs는 FR 영역에 의해 서로 근접하게 유지되고, 다른 쇄의 CDRs와 함께 항체의 항원-결합 부위의 형성에 기여한다 (Kabat et al.,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Fifth Edition,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Bethesda, Md, (1991) 참고). 상기 불변 도메인은 항체가 항원 결합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지만, 다양한 작동체(effector) 기능, 이를 테면, 항체-의존적 세포 독성에서 항체에 참여와 같은 기능을 나타낸다.
임의의 척추동물 종으로부터의 항체(면역글로블린)의 "경쇄"는 그들의 불변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에 기초하여, 카파 (“κ”) 및 람다(“λ”) 라고 불리는 2 개의 명확하게 구별되는 유형 중 하나로 할당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IgG “아이소형” 또는 “하위클래스”란 불변 영역의 화학적 특성 및 항원적 특성에 의해 특정된 면역글로불린의 하위클래스 중 임의의 것을 의미한다.
이들 중쇄의 불변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에 따라, 항체(면역글로블린)는 상이한 클래스로 할당될 수 있다. 면역글로불린에는 5 가지 주요 클래스가 있다: IgA, IgD, IgE, IgG, 및 IgM, 그리고 이들 중 몇 가지는 하위클래스(이소타입), 예를 들면, IgG1, IgG2, IgG3, IgG4, IgA1, 및 IgA2로 더 세분될 수 있다. 면역글로블린의 상이한 부류에 대응하는 중쇄-불변 도메인은 차례로 α, δ, ε, γ, 및 μ로 불린다. 상이한 부류의 면역 글로불린의 하위단위 구조 및 3 차원 배열은 잘 알려져 있고, 예를 들면, Abbas et al. Cellular and Mol. Immunology, 4th ed. (W.B. Saunders, Co., 2000)에서 전반적으로 기술된다. 항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단백질 또는 펩티드와 항체의 공유 또는 비-공유 연합에 의해 형성된 더 큰 융합 분자의 일부일 수 있다.
용어 "전장 항체", "무손상 항체" 및 "전체 항체"는 상호교환적으로 아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항체 단편이 아니라, 이의 실질적으로 무손상 형태의 항체를 지칭한다. 이 용어들은 Fc 영역을 함유하는 중쇄를 갖는 항체를 구체적으로 지칭한다.
본원의 목적을 위한 “네이키드(naked) 항체”란 세포독성 모이어티 또는 방사능라벨에 접합되지 않은 항체다.
항체 단편”은 무손상 항체의 부분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의 항원 결합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원에서 기술된 항체 단편은 항원-결합 단편이다. 항체 단편의 예로는 Fab, Fab′, F(ab′)2 및 Fv 단편들; 디아바디(diabodies); 선형(linear) 항체; 단일-쇄 항체 분자 그리고 항체 단편들에서 형성된 다중특이성 항체들이 내포된다.
항체의 파파인 절단으로 2개의 동일한 항원-결합 단편들, 소위 “Fab” 단편들-각각은 단일 항원-결합 부위를 가짐-, 그리고 잔류 “Fc” 단편들을 만드는데, 이의 이름은 쉽게 결정화하는 능력을 반영한다. 펩신 처리로 2 개의 항원-복합 부위를 갖고, 여전히 항원을 가교시킬 수 있는 F(ab')2 단편이 생성된다.
"Fv"는 완벽한 항원-결합 부위를 함유하는 최소 항체 단편이다. 한 구체예에서, 2개-쇄 Fv 종은 조밀한 비-공유 연합으로 하나의 중쇄 및 하나의 경쇄 가변 도메인의 이량체로 구성된다. 단일 사슬 Fv(scFv) 종에서, 하나의 중쇄 및 하나의 경쇄 가변 도메인은 유연한 펩티드 링커에 의해 공유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경쇄와 중쇄가 2개-쇄 Fv 종의 구조와 유사한 "이량체" 구조로 연합할 수 있다. 이것은 각 가변 도메인의 3개 CDRs는 상호작용하여 VH-VL 이량체의 표면 상에 항원-결합 부위를 특정하는 형상이다. 집합적으로, 6개의 CDRs는 해당 항체에 항원-결합 특이성을 부여한다. 그러나, 심지어 단일 가변 도메인 (항원에 대해 특이적인 단지 3개의 CDRs만을 포함하는 Fv의 절반)은 전체 결합 부위보다는 더 낮은 친화력을 갖지만, 여전히 항원을 인지하고, 결합하는 능력을 갖는다.
상기 “Fab”단편은 중쇄-가변 영역 및 경쇄-가변 영역을 내포하고, 경쇄의 불변 도메인 및 중쇄의 제 1 불변 도메인 (CHI.) 또한 내포한다. Fab'단편들은 이 항체 힌지 영역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시스테인을 함유하는 중쇄 CHI 도메인의 카르복시 말단에서 몇개의 잔기를 추가함으로써 Fab 단편들과는 상이하다. Fab'-SH는 본원에서 불변 도메인의 시스테인 잔기(들)이 유리(free) 티올기를 갖는 Fab'에 대한 명칭이다. F(ab')2 항체 단편들은 본래 그들 사이에 힌지 시스테인을 갖는 Fab' 단편들의 쌍으로서 생성되었다. 항체 단편들의 다른 화학적 커플링도 알려져 있다.
"단일-쇄 Fv" 또는 "scFv" 항체 단편들은 항체의 VH 및 VL 도메인들을 포함하며, 이때 이들 도메인은 단일 폴리펩티드 쇄로 제시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scFv 폴리펩티드는 VH 도메인과 VL 도메인 사이에 폴리펩티드 링커를 더 포함하고, 이는 상기 scFv가 항원 결합을 위한 바람직한 구조를 만들게 한다. scFv에 관한 검토는 Pluckfhun, in The Pharmacology of Monoclonal Antibodies, vol. 113, Rosenburg and Moore eds., (Springer- Verlag, New York, 1994), pp. 269-315를 참고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단일클론성 항체"는 실질적으로 동질성 항체의 집단으로부터 수득한 항체, 가령, 이러한 집단을 포함하는 개별 항체는 소량으로 존재할 수 있는 돌연변이, 가령, 자연 발생적 돌연변이 경우를 제외하고 동일하다. 따라서, 수식어 "단일클론성"은 다른 별개 항체들의 혼합물이 아닌 것을 항체 특징으로 나타낸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이러한 단일클론성 항체에는 표적에 결합하는 폴리펩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가 내포되며, 이때 상기 표적-결합 폴리펩티드 서열은 다수의 폴리펩티드 서열로부터 단일 표적 결합 폴리펩티드 서열의 선별이 내포된 공정에 의해 획득된다. 예를 들면, 상기 선별 공정은 많은 클론, 이를 테면, 하이브리도마 클론, 파아지 클론, 또는 재조합 DNA 클론의 풀(pool)로부터 특유의 클론을 선별하는 것일 수 있다. 선택된 표적 결합 서열은 예를 들어, 표적에 대한 친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적 결합 서열의 인간화를 위해, 세포 배양에서의 생산 개선을 위해, 생체 내 면역원성 감소를 위해, 다중특이적 항체 생성을 위해, 등등을 위해, 추가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변경된 표적 결합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가 또한 본 발명의 단일클론 항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상이한 결정인자 (에피토프)를 지향하는 상이한 항체들이 전형적으로 내포되는 다중클론성 항체 제조물과 대조적으로, 단일클론성 항체 제조물의 각 단일클론성 항체는 항원 상에서 단일 결정인자를 지향한다. 이들의 특이성 외에도, 단일클론 항체 제조물은 일반적으로 다른 면역글로불린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유익하다.
수식어 "단일클론성"은 실질적으로 동질성 항체 집단으로부터 수득된 것으로서의 항체의 특성을 나타내며, 임의의 특정 방법에 의한 항체의 생산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되는 단클론 항체는 다음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술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이브리도마 방법 (가령, Kohler and Milstein., Nature, 256:495-97 (1975); Hongo et al., Hybridoma, .1.4 (3): 253-260 (.1995), Harlow et al., Antibodies: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2nd ed. 1988); Hammerling et al, in Monoclonal Antibodies and T-Cell Hybridomas 563-681 (Elsevier, N.Y., 1981)), 재조합체 DNA 방법(가령, U.S. 특허 번호 제4,8.16,567호 참고), 파아지-디스플레이 기술 (가령, Clackson et al, Nature, 352: 624-628 (1991); Marks et al, J. Mol. Biol. 222: 581-597 (1992 참고); Sidhu et al, J. Mol. Biol. 338(2): 299-310 (2004); Lee et al, J. Mol. Biol. 340(5): 1073- 1093 (2004); Fellouse, Proc. Natl. Acad. Sci. USA 101(34): 12467- 12472 (2004); 그리고 Lee et al, J. Immunol. Methods 284(1-2): 119-132 (2004)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술, 그리고 인간 면역글로블린 서열을 인코딩하는 인간 면역글로블린 좌 또는 유전자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갖는 동물에서 인간 또는 인간-유사 항체를 생산하는 방법 (가령, WO 1998/24893; WO 1996/34096; WO 1996/33735; WO 1991/10741; Jakobovits 11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0: 2551 (1993); Jakobovits et al, Nature 362: 255-258 (1993); Bruggemann et al, Year in Immunol. 7:33 (1993); U.S. 특허 번호 제5,545,807호; 제5,545,806호; 제5,569,825호; 제5,625,126호; 제5,633,425호; 그리고 제5,661,016호; Marks et al, Bio/Technology 10: 779-783 (1992); Lonberg et al, Nature 368: 856-859 (1994); Morrison, Nature 368: 812-813 (1994); Fishwild et al, Nature Biotechnol. 14: 845-851 (1996); Neuberger, Nature Biotechnol. 14: 826 (1996); 그리고 Lonberg and Huszar, Intern. Rev. Immunol. 13: 65-93 (1995) 참고.
상기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항체는 “키메라” 항체를 특별히 포함하는데, 이때 중쇄 및/또는 경쇄의 부분은 이들이 원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기만 한다면, 특정 종으로부터 유래된 항체 또는 특정 항체 부류 또는 아류에 속하는 항체에서 상응하는 서열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며, 한편, 이 쇄(들)의 나머지는 또다른 종으로부터 유래된 항체 또는 또다른 항체 부류 또는 아류에 속하는 항체, 뿐만 아니라 이러한 항체의 단편에 있는 대응하는 서열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다(가령, U.S. 특허 번호 제4,816,567호; 그리고 Morriso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1:6851-6855 (1984) 참고). 키메라 항체들에는 영장류화된 항체가 내포되며, 여기서 이 항체의 항원 결합 영역은 가령, 마카크 원숭이를 관심 항원으로 면역화하여 생성된 항체로부터 유래된다.
비-인간 (가령, 뮤린) 항체의 "인간화된" 형태는 비-인간 면역글로블린으로부터 유도된 최소 서열을 함유하는 키메라 항체다. 한 구체예에서, 인간화된 항체는 수령자의 CDR의 잔기들이 비-인간 종 (공여자 항체) 이를 테면, 원하는 특이성, 친화력 및/또는 능력을 보유한 마우스, 렛, 토끼 또는 비-인간 영장류의 CDR의 잔기들로 대체된, 인간 면역글로불린 (수령자 항체)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FR 잔기들은 대응하는 비-인간 잔기들로 대체된다. 더욱이, 인간화된 항체들은 수령자 항체 또는 공여자 항체에서 발견되지 않는 잔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항체 수행능을 더 개선하기 위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인간화된 항체는 실질적으로 최소한 하나의, 그리고 전형적으로 2개의 가변 도메인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초가변 루프의 모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것은 비-인간 면역글로블린에 대응하며, FRs의 모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것은 인간 면역글로블린의 서열에 대응한다. 상기 인간화된 항체는 임의선택적으로 면역글로블린 불변 영역 (Fc)의 적어도 일부분, 전형적으로 인간 면역글로블린의 것을 포함할 것이다. 더욱 상세한 내용은 가령, Jones et al, Nature 321:522-525 (1986); Riechmann et al, Nature 332:323-329 (1988); 그리고 Presta, Curr. Op. Struct. Biol 2:593-596 (1992) 참고. 또한, 가령, Vaswani and Hamilton, Ann. Allergy, Asthma & Immunol. 1: 105-115 (1998); Harris, Biochem. Soc. Transactions 23: 1035-1038 (1995); Hurle and Gross, Curr. Op. Biotech. 5:428-433 (1994): 그리고 U.S. 특허 번호 제6,982,321호 및 제7,087,409호 참고.
"인간 항체"란 인간에 의해 생성된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에 상응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보유하고 및/또는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인간 항체를 제조하기 위한 임의의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된 아미노산 서열을 보유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간 항체의 정의에는 비-인간 항원-결합 잔기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는 특별히 배제된다. 인간 항체는 파아지-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를 포함한, 당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이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Hoogenboom and Winter, J. Mol. Biol., 227:381 (1991); Marks et al, J. Mol. Biol., 222:581 (1991). 인간 단일클론성 항체들을 준비하는데 이용가능한 방법들은 Cole et al, Monoclonal Antibodies and Cancer Therapy, Alan R. Liss, p. 77 (1985); Boerner et al, J. Immunol., 147(l):86-95 (1991)에 기술된다. van Dijk and van de Winkel, Curr. Opin. Pharmacol., 5: 368-74 (2001) 또한 참고. 인간 항체는 항원 시험감염(challenge)에 반응하여, 이러한 항체를 생산하도록 변형되었으나, 이의 내생적 좌는 불능화된, 예를 들면, 면역화된 제노마우스(xenomice)와 같은 유전자 삽입 동물에 상기 항원을 투여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가령, XENOMOUSE™ 기술에 대해 U.S. 특허 번호 제6,075,181호 및 제6,150,584호 참고). 예를 들면, 인간 B-세포 하이브리도마 기술을 통하여 만들어진 인간 항체에 대해서 Li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03:3557-3562 (2006)를 또한 참고한다.
용어 “상보성-결정 영역” 또는 “CDR” 이란 본원에서 이용될 때, 에피토프, 이를 테면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가변 도메인의 영역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항체들은 6개의 CDRs: VH에 3개 (H1, H2, H3), 및 VL에 3개 (L1, L2, L3)를 포함한다. 고유 항체에서, H3 및 L3은 6개의 CDRs 중 가장 다양성을 나타내며, 특히 H3은 항체에 미세한 특이성을 부여하는 독특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가령, Xu et al., Immunity 13:37-45 (2000); Johnson and Wu in Methods in Molecular Biology 248:1-25 (Lo, ed., Human Press, Totowa, NJ, 2003) 참고). 실제로, 중쇄만으로 구성된 자연 발생 낙타과 항체는 경쇄가 없을 때, 기능적이고 안정적이다. 가령, Hamers-Casterman et al., Nature 363:446-448 (1993) 및 Sheriff et al., Nature Struct. Biol. 3:733-736 (1996) 참고.
많은 CDR 묘사가 사용되고 있으며, 본 명세서에 포괄되어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CDRs는 서열 가변성에 기초하고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Kabat CDRs일 수 있다 (Kabat et al., supra).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CDRs는 Chothia CDRs일 수 있다. Chothia는 대신, 구조 루프(structural loops)의 위치를 나타낸다 (Chothia and Lesk J. Mol. Biol. 196:901-917 (1987)).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CDRs는 AbM CDRs일 수 있다. 상기 AbM CDRs는 Kabat CDRs와 Chothia 구조 루프 사이의 절충을 나타내며, Oxford Molecular의 AbM 항체-모델링 소프트웨어가 이용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CDRs는 "Contact" CDRs일 수 있다. 상기 “Contact” CDRs는 이용 가능한 복합 결정 구조의 분석에 기초한다. 이들 각 CDRs의 잔기는 하기에 표시된다.
CDRs는 다음과 같이 "연장된 CDRs"을 포함할 수 있다: VL에서 24-36 또는 24-34 (L1), 46-56 또는 50-56 (L2), 및 89-97 또는 89-96 (L3), 그리고 VH에서 26-35(H1), 50-65 또는 49-65 (H2)(바람직한 구체예), 및 93-102, 94-102, 또는 95-102 (H3). 상기 가변-도메인 잔기들은 이들 연장된-CDR 정의 각각에 대해 Kabat et al., supra에 따라 번호매김된다.
"프레임워크" 또는 "FR" 잔기들은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CDR 잔기 이외의 가변 도메인 잔기들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또는 “~에 특이적인”이란 측정가능한, 그리고 재생가능한 상호작용, 이를 테면, 표적과 항체 간 결합을 지칭하며, 이는 생물학적 분자를 포함한 이질적 집단 존재 하에 표적의 존재를 확정한다. 예를 들면, 표적 (에피토프일 수 있음)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는 다른 표적에 결합하는 것과 비교하여 더 큰 친화도, 항원항체결합력(avidity), 더 더욱 즉각적으로, 및/또는 더 오랜 기간 동안 당해 표적에 결합하는 항체다. 한 구체예에서, 무관한 표적에 대한 항체의 결합 정도는 가령, 방사선면역분석법 (RIA)에 의해 측정될 때, 해당 표적에 대한 당해 항체 결합에 대해 약 10% 미만이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표적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는 < 1M, < 100μM, < 10nM, < 1nM, 또는 < 0.1nM의 해리 상수(Kd)를 갖는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항체는 상이한 종의 단백질 중에서 보존된 단백질 상에 있는 에피토프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특이적 결합은 독점적(exclusive) 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효과량 또는 치료요법적 효과량: 임의의 장애 또는 질환의 증상 및/또는 근본 원인을 예방, 치료(예방법 포함), 감소 및/또는 개선하는데, 예를 들어 아밀로이드증을 예방, 억제 및/또는 개선하기에 충분한 제제의 양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효과량”은 질환의 증상을 감소 또는 제거하는데 충분한 양이다. 효과량은 한 번 또는 그 이상의 횟수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펩티드의 효과량은 아밀로이드에 결합하는데 충분한 양이다. 예를 들면, 펩티드는 체중 kg당 약 1μg 이상 ~ 약 30mg/kg의 양으로 비경구 투여될 때 효과적일 수 있다.
억제하다: 측정 가능한 수준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억제는 기능의 완전한 상실이나 측정되는 측면의 완전한 중단을 요구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플라크 형성을 억제한다는 것은 플라크의 추가 성장을 멈추거나, 플라크의 추가 성장을 늦추거나, 플라크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질환을 억제 또는 치료: 질환 또는 상태의 완전한 발달을 억제, 예를 들면, 아밀로이드증을 억제. “치료”는 질환 또는 병리학적 상태가 발생하기 시작한 후의 징후 또는 증상을 개선하는 치료적 개입을 의미한다. 질환 또는 병리학적 상태와 관련하여 용어 "개선시키는"이란 관찰 가능한 치료의 유익한 효과를 의미한다. 유익한 효과는 예를 들어, 취약한 대상체에서 질환의 임상 증상의 지연된 발병, 질병의 일부 또는 모든 임상 증상의 중증도 감소, 질환의 더 느린 진행, 대상체의 전반적인 건강 또는 평안의 개선, 또는 특정 질병에 특이적인 당업계에 잘 알려진 다른 매개변수의 감소에 의해 입증될 수 있다. "예방적" 치료는 병리 발생 위험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해당 질환의 징후를 나타내지 않는 대상체 및/또는 해당 질환의 초기 징후만을 나타내는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치료다.
아밀로이드 침착 형성과 관련하여, "억제"란 예를 들어, 이를 테면, 대조군과 비교할 때 아밀로이드 침착물 형성의 감소를 방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억제는 대조군과 비교하엿을 때, 아밀로이드 침착이 약 10%, 20%, 30%, 40%, 50%, 60% 또는 그 이상 감소되는 결과일 수 있다.
라벨이란 해당 분자의 검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른 분자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된 검출 가능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라벨의 구체적이고 비-제한적인 예시에는 형광 태그, 화학발광 태그, 합텐, 효소 결합 및 방사성 동위원소가 내포된다. 예를 들어, "검출가능하게-라벨된" 단백질은 단백질의 존재가 단백질과 연관된 라벨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단리된: “단리된” 생물학적 구성성분, 이를 테면 펩티드 (예를 들면, 본원에 개시된 펩티드들중 하나 또는 그 이상), 세포, 핵산, 또는 혈청 샘플은 이들 성분들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유기체 세포의 다른 생물학적 구성요소, 예를 들어, 기타 염색체 및 염색체외 DNA와 RNA, 단백질로부터 실질적으로 분리되거나, 이와는 별도로 생산되거나 또는 정제된 것이다. 따라서 “단리된” 핵산, 펩티드 및 단백질들에는 표준 정제 방법에 의해 정제된 핵산 및 단백질들이 내포된다. 이 용어는 또한 세포 내에서 재조합 발현에 의해 제조된 핵산, 펩티드 및 단백질, 뿐만 아니라 화학적으로 합성된 펩티드 및 핵산도 포괄한다. “단리된” 또는 “정제된” 이라는 용어는 절대적인 순도를 요구하지 않으며; 오히려 상대적인 용어로 사용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단리된 펩티드 조제물은 세포 내 자연 환경에 존재하는 펩티드 또는 단백질보다 펩티드 또는 단백질이 더 풍부한 조제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조제물은 이 조제물의 전체 펩티드 또는 단백질 함량의 적어도 50%, 이를 테면 적어도 50%, 적어도 60%, 적어도 70%, 적어도 80%, 적어도 90%, 적어도 95%, 또는 심지어 해당 펩티드 또는 단백질 농도의 적어도 99%를 나타내도록 정제된다.
연결되다: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연결", “연결된", “연계되다” 또는 “연계된”이란 단백질들 및/또는 단백질 도메인들을 기능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당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지칭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단백질 도메인은 중간 서열 또는 도메인이 있거나 또는 없이, 재조합 융합 단백질에서와 같이 공유 결합을 통해 다른 단백질 도메인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된다에는 예를 들어, 두 개의 핵산 서열을 동일한 핵산 가닥에 함께 배치되어, 두 서열이 함께 발현되는 것과 같이 두 서열을 함께 통합하는 것도 내포된다.
핵산: 포스포디에스테르 결합을 통해 연계된 뉴클레오티드 단위(리보뉴클레오티드, 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관련된 자연 발생 구조 변이체 및 합성 비-천연 유사체), 관련 자연 발생 구조 변이체 그리고 이의 합성 비천연 유사체로 구성된 중합체. 따라서, 이 용어는 뉴클레오티드 및 이들 사이의 결합이 비천연 발생 합성 유사체, 예를 들어 제한 없이 포스포로티오에이트, 포스포라미데이트, 메틸 포스포네이트, 키랄-메틸 포스포네이트, 2-O-메틸 리보뉴클레오티드, 펩티드-핵산(PNA) 및 이와 유사한 것들이 내포된 뉴클레오티드 중합체들이 내포된다. 이러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예를 들어, 자동화된 DNA 합성기를 사용하여 합성될 수 있다. 용어 “올리고뉴클레오티드”란 일반적으로 약 50개 뉴클레오티드를 넘지 않는, 짧은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전형적으로 지칭한다. 뉴클레오티드 서열뉴클레오티드 서열이 DNA 서열 (즉, A, T, G, C)로 표시되는 경우, 여기에는 RNA 서열 (즉, A, U, G, C)도 내포되며, 이때 “U”는 “T”로 대체됨을 이해할 것이다.
뉴클레오티드에는 피리미딘, 퓨린 또는 이의 합성 유사체와 같은 당에 연계된 염기, 또는 펩티드 핵산(PNA)에서와 같이, 아미노산에 연계된 염기들이 내포된 단량체가 내포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뉴클레오티드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하나의 단량체다.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염기 서열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기술하기 위해 통상적인 표기법이 사용된다: 단일-가닥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왼쪽 단부는 5'-단부이며; 이중-가닥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왼쪽 방향을 5'-방향이라고 한다. 발생기(nascent) RNA 전사체에 뉴클레오티드가 추가되는 5'에서 3' 방향을 전사 방향이라고 한다. mRNA와 동일한 서열을 갖는 DNA 가닥은 해당 DNA에서 전사된 mRNA와 동일한 서열을 갖는 서열을 "코딩 가닥"이라고 하고; 상기 RNA 전사체의 5'-단부에 대해 5'에 위치하고, DNA로부터 전사된 mRNA와 동일한 서열을 갖는 DNA 상의 서열을 "상류 서열”이라고 하고; RNA와 동일한 서열을 가지며, 코딩 RNA 전사체의 3' 단부에 대해 3' 말단에 있는 DNA 가닥의 서열을 "하류 서열"이라고 한다.
cDNA란 단일 가닥 또는 이중 가닥 형태로 mRNA에 상보적이거나 또는 동일한 DNA를 의미한다.
용어 “인코딩(encoding)”이란 생물학적 공정에서 특정된 서열의 뉴클레오티드 (예를 들면, rRNA, tRNA 및 mRNA) 또는 특정된 서열의 아미노산을 갖고, 이로부터 발생되는 생물학적 성질들을 보유하는 임의의 중합체 및 거대 분자를 합성하기 위한 주형으로 기능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이를 테면, 유전자, cDNA, 또는 mRNA에서 특이적 서열의 뉴클레오티드의 고유 성질을 지칭한다. 따라서, 해당 유전자에 의해 생성된 mRNA의 전사 및 해독으로 세포 또는 기타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단백질을 생성하는 경우, 해당 유전자는 단백질을 인코드한다. 코딩 가닥 (이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mRNA 서열과 동일하며, 통상적으로 서열 목록에서 제시됨) 및 비-코딩 가닥(유전자 또는 cDNA의 해독을 위한 주형을 이용)은 모두 이 유전자 또는 cDNA의 단백질 또는 기타 산물을 인코딩하는 것으로 지칭될 수 있다. 명시적인 언급이 없는 한, “아미노산 서열을 인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서로 축퇴 (degenerate) 형태이며,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인코드하는 모든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한다. 단백질들 및 RNA를 인코드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에는 인트론들이 내포된다.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 사용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통상적이다.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by E. W. Martin, Mack Publishing Co., Easton, PA, 19th Edition (1995)에서는 본원에서 기술된 융합 단백질의 약제학적 운반에 적합한 조성물 및 제형이 기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담체의 속성은 사용되는 특정 투여 방식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를 들어, 비경구 제형은 일반적으로 물, 생리 식염수, 균형 잡힌 염 용액, 수성 덱스트로스, 글리세롤 등과 같은 약학적 및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유체를 비히클로서 포함하는 주사가능한 유체를 포함한다. 고체 조성물 (가령, 분말, 알약, 정제 또는 캡슐 형태)의 경우, 통상적인 비-독성 고체 담체에는 예를 들어, 약학적 등급의 만니톨, 락토스, 전분 또는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이 내포될 수 있다. 생물학적으로 중성인 담체 이외에, 투여될 약제학적 조성물은 습윤제 또는 유화제, 보존제, pH 완충제 및 이와 유사한 것들과 같은 소량의 무독성 보조 물질, 예를 들어 아세트산나트륨 또는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를 함유할 수 있다.
폴리펩티드: 단량체가 아미드 결합을 통해 서로 결합된 아미노산 잔기 중합체. 아미노산이 알파-아미노산인 경우, L-광학 이성질체 또는 D-광학 이성질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L-이성질체가 바람직하다. 용어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은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임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괄하고, 당단백질과 같은 변형된 서열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용어 “폴리펩티드”라는 용어는 특히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단백질, 뿐만 아니라 재조합 또는 합성으로 생성된 단백질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펩티드는 본원에 기술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펩티드들이다.
정제된: “정제된” 이라는 용어는 절대적인 순도를 요구하지 않으며; 오히려 상대적인 용어로 사용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정제된 단백질 조제물은 언급된 단백질이 세포 내 또는 생산 반응 챔버(적절한 경우) 내 자연 환경의 단백질보다 더 순수한 것이다.
재조합체: 재조합 핵산은 자연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서열을 갖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분리된 두 개의 서열 세그먼트를 인공적으로 조합하여 만들어진 서열을 갖는 핵산이다. 이러한 인공적인 결합은 종종 화학적 합성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더 일반적으로는 가령, 유전공학 기술과 같은 단리된 핵산 세그먼트의 인공 조작에 의해 달성된다.
서열 동일성: 2개의 핵산 서열, 또는 2개의 아미노산 서열 사이의 유사성은 서열 사이의 유사성, 그렇지 않으면 서열 동일성으로 지칭되는 것으로 표현된다. 서열 동일성은 동일성 (또는 유사성 또는 상동성) 백분율로 측정되는 경우가 많고; 백분율이 높을수록 두 서열 간이 더 유사하다.
비교를 위한 서열 정렬 방법들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다양한 프로그램과 정렬 알고리즘은 다음에 설명되어 있다: Smith & Waterman Adv. Appl. Math. 2: 482, 1981; Needleman & Wunsch J. Mol. Biol. 48: 443, 1970; Pearson & Lipman Proc. Natl. Acad. Sci. USA 85: 2444, 1988; Higgins & Sharp Gene 73: 237-244, 1988; Higgins & Sharp CABIOS 5: 151-153, 1989; Corpet et al. Nuc. Acids Res. 16, 10881-90, 1988; Huang et al. Computer Appls. In the Biosciences 8, 155-65, 1992; 그리고 Pearson et al. Meth. Mol. Bio. 24, 307-31, 1994. Altschul et al. (J. Mol. Biol. 215:403-410, 1990)에서는 서열 정렬 방법 및 상동성 계산에 대한 자세한 고려 사항을 제시한다.
NCBI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BLAST) (Altschul et al. J. Mol. Biol. 215:403-410, 1990)은 서열 분석 프로그램 blastp, blastn, blastx, tblastn 및 tblastx에 관련하여 사용하기 위한 용도로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Bethesda, MD) 및 인터넷을 비롯하여 몇 가지 공급원으로부터 이용가능하다.
작동가능하게 연계된(operably linked): 제 1 핵산 서열이 제 2 핵산 서열과 기능적 상관관계에 위치할 때, 상기 제 1 핵산 서열은 제 2 핵산 서열에 작동가능하도록 연계된다. 가령, 프로모터가 코딩 서열의 전사 또는 발현에 영향을 준다면, 이 프로모터는 해당 코딩 서열에 작동가능하도록 연계된다. 일반적으로, 작동가능하도록 연계된 DNA 서열은 인접하며, 두 개의 단백질-코딩 영역에 연결시킬 필요가 있을 때 동일한 판독 틀 안에서 인접한다.
약제학적 작용제: 대상체 또는 세포에 적절하게 투여될 때, 원하는 치료 효과 또는 예방 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화학적 화합물 또는 조성물.
벡터: 숙주 세포 안으로 도입된 핵산 분자이며, 이로써 형질변환된 숙주 세포가 만들어진다. 재조합 DNA 벡터들은 재조합 DNA를 갖는 벡터들이다. 벡터는 숙주 세포에서 복제를 허용하는 핵산 서열, 이를 테면 복제 원점을 포함할 수 있다. 벡터는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선택가능한 마커 유전자 및 당분야에 공지된 다른 유전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러스 벡터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이러스로부터 유래된 적어도 일부 핵산 서열들을 갖는 재조합 DNA 벡터들이다. 벡터라는 용어에는 플라스미드, 선형 핵산 분자 및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및 아데노바이러스 전반에 걸쳐 설명된 바와 같은 것이 내포된다.
대상체 또는 개체는 포유류, 예를 들면, 인간을 지칭한다. 상기 대상체는 인간 환자일 수 있다. 대상체는 질환이나 병태를 앓고 있거나, 또는 앓고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환자일 수 있으며, 치료나 진단이 필요할 수 있거나 또는 질환이나 병태의 진행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수 있다. 이 환자는 효능의 모니터링이 필요한 치료 요법을 받을 수도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체예들에서, 대상체에는 아밀로이드증, 이를 테면 알츠하이머, 헌팅턴 또는 프리온 질환, 또는 이를 테면 경쇄 (AL) 아밀로이드증 및 유형 2 당뇨병 환자들에서 볼 수 있는 말초 아밀로이드증을 앓고 있는 개체들이 내포된다.
바람직하게는, 동일하지 않는 잔기 위치는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에 의해 상이하다. 용어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은 유사한 측쇄를 갖는 잔기의 상호교환성을 지칭한다. 예를 들면, 지방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 그룹은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이며; 지방족-히드록실기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 그룹은 세린 및 트레오닌이며; 아미드-함유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 그룹은 아스파라긴 및 글루타민이며; 방향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 그룹은 페닐알라닌, 티로신 및 트립토판이며; 염기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 그룹은 리신, 아르기닌 및 히스티딘이며; 그리고 황-함유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 그룹은 시스테인과 메티오닌이다. 바람직한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기는 발린-류신-이소류신, 페닐알라닌-티로신, 리신-아르기닌, 알라닌 발린, 글루탐산-아스파르트산 및 아스파라긴-글루타민이다.
본원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항체 또는 면역글로블린 분자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작은 변이는 이 아미노산 서열의 변이가 최소한 75%,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90%, 95%,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99% 유지된다면, 본 발명 범위내에 있다. 특히, 보존적 아미노산 대체가 고려된다. 보존적 대체는 측쇄와 관련된 아미노산 패밀리 내에서 일어나는 것들이다. 유전적으로 인코딩되는 아미노산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패밀리로 나뉜다: (1) 산성 아미노산은 아스파르테이트, 글루타메이트이고; (2) 염기성 아미노산은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이며; (3) 비-극성 아미노산은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프롤린, 페닐알라닌, 메티오닌, 트립토판이고, 그리고 (4) 하전되지 않은 극성 아미노산은 글리신,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시스테인, 세린, 트레오닌, 티로신이다. 친수성 아미노산은 아르기닌, 아스파라긴, 아스파르테이트, 글루타민, 글루타메이트, 히스티딘, 리신, 세린 및 트레오닌을 포함한다. 소수성 아미노산은 알라닌, 시스테인, 이소류신, 류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프롤린, 트립토판, 티로신 및 발린을 포함한다. 아미노산의 다른 패밀리는 (i) 지방족-히드록시 패밀리인 세린 및 트레오닌; (ii) 아미드 함유 패밀리인 아스파라긴 및 글루타민; (iii) 지방족 패밀리인 알라닌, 발린, 류신 및 이소류신; 그리고 (iv) 방향족 패밀리인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및 티로신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류신을 이소류신 또는 발린으로 치환, 아스파르테이트를 글루탐산염으로 치환, 트레오닌을 세린으로 치환, 또는 아미노산을 구조적으로 관련된 아미노산으로 유사 치환은 특히, 이러한 치환이 프레임워크 부위 내에 아미노산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생성 분자의 결합 또는 성질에 주요한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아미노산 변화가 기능성 펩티드를 초래하는지 여부는 본원에서 상세하기 기술된 폴리펩티드 유도체의 특이적 활성을 분석함으로써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항체 또는 면역 글로불린 분자의 단편 또는 유사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단편 또는 유사체의 바람직한 아미노-말단 및 카르복시-말단은 기능성 도메인의 경계 근처에서 발생한다. 구조적 및 기능적 도메인은 뉴클레오티드 및/또는 아미노산 서열 데이터를 공개된 또는 사적인 서열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산화된 비교 방법은 알려진 구조 및/또는 기능의 다른 단백질에서 발생하는 서열 모티프 또는 예측된 단백질 형태 도메인을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공지된 3-차원 구조로 접히는 단백질 서열을 식별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Bowie et al. Science 253:164 (1991). 따라서, 전술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에 따라 구조적 및 기능적 도메인을 정의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서열 모티프 및 구조적 입체 형태를 인식할 수 있음을 입증한다.
바람직한 아미노산 치환은 다음과 같다: (1) 단백질 분해에 대한 민감성 감소, (2) 산화에 대한 민감성 감소, (3) 단백질 복합체 형성을 위한 결합 친화력 변경, (4) 결합 친화력 변경, 그리고 (4) 그러한 유사체의 다른 물리 화학적 또는 기능적 특성을 부여하거나 변형. 유사체는 자연 발생 펩티드 서열 이외의 서열의 다양한 뮤테인이 내포될 수 있다. 예로써, 단일 또는 다수의 아미노산 치환 (바람직하게는, 보존 적 아미노산 치환)은 자연-발생 서열에서 (바람직하게는, 분자간 접촉을 형성하는 도메인(들) 외부의 폴리펩티드 부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은 부모 서열의 구조적 특성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키지 않아야 한다(가령, 대체 아미노산은 부모 서열에서 발생하는 나선을 파괴하거나, 또는 부모 서열을 특징짓는 다른 유형의 2 차 구조를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당업계에서 인지되된 폴리펩티드 2 차 및 3 차 구조의 예는 Proteins, Structures and Molecular Principles (Creighton, Ed., W. H. Freeman and Company, New York (1984)); Introduction to Protein Structure (C. Branden and J. Tooze, eds., Garland Publishing, New York, N.Y. (1991)); 및 Thornton et al., Nature, 354:105 (1991)에 기술된다.
VH에서 CDR1을 제외하고, CDRs는 초가변 루프를 형성하는 아미노산 잔기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CDRs는 항원과 접촉하는 잔기인 "특이성 결정 잔기(specificity determining residues)" 또는 "SDRs"도 포함한다. SDRs는 약식으로 나타낸 -CDRs 또는 a-CDRs라고 불리는 CDRs의 영역 내에 포함된다. 예시적인 a-CDRs (a-CDR-Ll, a-CDR-L2, a-CDR-L3, a-CDR-Hl, a-CDR-H2, 및 a-CDR-H3)는 LI의 아미노산 잔기 31-34, L2의 아미노산 잔기 50-55, L3의 아미노산 잔기 89-96, HI의 아미노산 잔기 31-35B, H2의 아미노산 잔기 50-58, 및 H3의 아미노산 잔기 95-102에서 발생된다. (Almagro and Fransson, Front. Biosci. 13: 1619-1633 (2008) 참고.)
II.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
아밀로이드를 표적으로 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을 본원에서 제공한다. 이러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에는 예를 들면, 이를 테면 상기 항체의 경쇄 단백질의 N-말단 또는 C-말단 연장, 항체의 단편, 항원 결합 (Fab) 영역을 통하여, 또는 상기 항체의 중쇄 N-말단 또는 C-말단 또는 이를 통하여 항체에 연계되고, 이로 인하여 펩티드-항체 융합이 형성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가 내포되며,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은 아밀로이드증을 가지고 있거나, 또는 아밀로이드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대상체를 치료하는데 이용되는데, 예를 들면, 이를 테면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을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치료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다음을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이 본원에서 제공된다: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그리고 식세포작용을 유도하거나, 또는 옵소닌으로 작용하는 항체.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옵소닌은 표적에 결합하여, 이 표적의 식세포작용을 유도하는 단백질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옵소닌은 항체 또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원에서 제공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은 아밀로이드에 결합하여, 이 아밀로이드의 식세포작용을 촉진시키는 옵소닌으로 작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중쇄 가변 영역 (VH)을 포함하는 중쇄, 그리고 경쇄 가변 영역 (VL)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상기 항체는 상기 경쇄의 N-말단 및/또는 C-말단 단부 및/또는 상기 중쇄의 N-말단 및/또는 C-말단 단부에서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상기 항체에 연계된 하나 이상의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펩티드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경쇄의 N-말단 단부에서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경쇄의 C-말단 단부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경쇄의 N-말단 단부에서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중쇄의 C-말단 단부에서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전장 항체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항체 융합체는 N-말단에서 C-말단 방향으로 다음 순서로 아밀로이드 반응성 펩티드, 스페이서, VH, CH1, CH2, 및 CH3를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항체 융합체는 N-말단에서 C-말단 방향으로 다음 순서로 VH, CH1, CH2, CH3, 스페이서, 및 아밀로이드 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항체 융합체는 N-말단에서 C-말단 방향으로 다음 순서로아밀로이드 반응성 펩티드, 스페이서, VL, 및 CL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항체 융합체는 N-말단에서 C-말단 방향으로 다음 순서로 VL, 및 CL, 스페이서, 및 아밀로이드 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표 1. 예시적인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서열
특정 이론에 얽매이기를 바라지 않고, 대상체에게 투여될 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이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상기 아밀로이드 침착물로 표적화시키는 것으로 본다. 그러면 Fc 도메인은 아밀로이드 부위에서 면역 반응을 촉발하여, 옵소닌화와 같은 방법으로 아밀로이드를 제거하게 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단독 보다는 더 긴 반감기를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면, 인간에서 IgG의 순환 반감기는 약 21일인 반면, 인간에서 아밀로이드 반응성 펩테드 단독의 반감기는 대략 11시간이다. 따라서, 상기 Ig는 순환 중인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반감기를 향상시킨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반감기는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단독의 반감기에 비교하여 약 10%, 20%, 30%, 40%, 50%, 60%, 70%, 80% 또는 그 이상으로 증가된다. 그러면,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대상체에게 투여될 때, 이 단백질은 상기 아밀로이드 부위 침착 부위에서 이의 면역자극 효과를 더 오래 발휘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아밀로이드 부위 침착에서 면역 반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원에서 기술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의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에서 제시된 것들 중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80%, 85%, 90% 또는 그 이상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 이를 테면 서열 식별 번호: 1-13에서 제시된 것들 중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적어도 95%, 적어도 96%, 적어도 97%, 적어도 98%, 적어도 99%, 또는 100%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에 연계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또는 이의 기능적 단편들은 약 10 내지 약 55개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아미노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예를 들면,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또는 55개 아미노산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 아미노산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펩티드는 예를 들면, 국제 특허 출원 WO2016032949 및 WAll et al. (PLoS One. 2013 Jun 4;8(6):e66181)에서 기술되며, 본원에 이의 전체 내용이 편입되어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들 중 임의의 하나에 대해 적어도 80%, 85%, 90%, 95% 또는 그 이상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들 중 임의의 하나에 대해 적어도 80%, 85%, 90%, 95% 또는 그 이상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서열 식별 번호: 1-1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들 중 임의의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항체 또는 이의 단편에 결합된 아밀로이드 반응성 펩티드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형성하는 아미노산은 자연 발생 아미노산, 비-자연 발생 아미노산, 해독-후 변형 아미노산, 효소적으로 합성된 아미노산, 유도체화된 아미노산, 아미노산을 모방하도록 설계된 구조체 및 이와 유사한 것들의 의 입체이성질체 및 변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를 형성하는 아미노산은 자연 발생 단백질에서 발견되는 20개의 일반적인 아미노산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거나, 또는 변형되고 특이한 아미노산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화학적 합성 또는 표준 분자 생물학적 기술을 사용한 재조합 수단을 비롯하여,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은 항체의 1, 2, 3, 4, 5, 또는 6개 CDRs를 포함한다.
표 2. m11-1F4 CDRs의 아미노산 서열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a) 서열 식별 번호: 1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b) 서열 식별 번호: 1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c) 서열 식별 번호: 1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항체이며, 이때 상기 항체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a) 서열 식별 번호: 2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l; (b) 서열 식별 번호: 2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그리고 (c) 서열 식별 번호: 2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하는 항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및 서열 식별 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항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서열 식별 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 식별 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은 하기에서 제공된다.
m11-1F4 VH 서열 식별 번호: 15
QVQLKESGPGLVAPSQSLSITCTVSGFSLSSYGVSWVRQPPGKGLEWLGVIWGDGSTNYHPNLMSRLSISKDISKSQVLFKLNSLQTDDTATYYCVTLDYWGQGTSVTVSS
m11-1F4 VL 서열 식별 번호: 16
DVVMTQTPLSLPVSLGDQASISCRSSQSLVHRNGNTYLHWYLQKPGQSPKLLIYKVSNRFSGVPDRFSGSGSGTDFTLKISRVEAEDLGLYFCFQTTYVPNTFGGGTKLEIK
또다른 측면에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항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는 서열 식별 번호: 1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1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VH;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2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l, 서열 식별 번호: 2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표 1에 열거된 아미노산 서열들 중 임의의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1-13 중 임의의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를 포함한다.
또다른 측면에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항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는 서열 식별 번호: 15에서 제시된 서열을 갖는 VH의 VH CDR1, VH CDR2, 및 VH CDR3,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16에서 제시된 서열을 갖는 VL의 VL CDR1, VL CDR2, 및 VL을 포함하며; 그리고 이때 상기 항체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표 1에 열거된 아미노산 서열들 중 임의의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1-13 중 임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 식별 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경쇄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C-말단 리신 잔기가 없는, 서열 식별 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 식별 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다.
또다른 측면에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표 1에 열거된 아미노산 서열들 중 임의의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1-13 중 임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상기 항체 경쇄의 N-말단 또는 C-말단 또는 중쇄의 N-말단 또는 C-말단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상기 항체 경쇄의 N-말단 또는 C-말단 또는 중쇄의 N-말단 또는 C-말단 사이에 스페이서 아미노산 서열을 또한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펩티드 스페이서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유연성이거나 또는 강직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서열 식별 번호: 83 및 서열 식별 번호: 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서열 식별 번호: 8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상기 경쇄의 C-말단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서열 식별 번호: 2에서 제시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경쇄의 C-말단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하는 항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중쇄는 표 1의 아미노산 서열들 중 임의의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하는 항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중쇄는 서열 식별 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하는 항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중쇄는 서열 식별 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하는 항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중쇄는 서열 식별 번호: 1-13 중 임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경쇄는 표 1의 아미노산 서열들 중 임의의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경쇄는 서열 식별 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경쇄는 서열 식별 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경쇄는 서열 식별 번호: 1-13 중 임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 식별 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경쇄는 표 1의 임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 식별 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경쇄는 서열 식별 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N-말단에서 경쇄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C-말단에서 경쇄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 식별 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경쇄는 서열 식별 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N-말단에서 경쇄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C-말단에서 경쇄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 식별 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경쇄는 서열 식별 번호: 1-13 중 임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N-말단에서 경쇄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C-말단에서 경쇄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고,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융합된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이 본원에서 또한 제공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본원에서 기술된 바의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인간화된 항체는 m11-1F4으로부터 유래된 인간화된 VH 및/또는 VL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국제 출원 번호 PCT/US2020/060596에서 기술된 바의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하며, 이는 이의 전문이 참고자료에 편입된다. 인간화된 VH 영역 및 VL 영역의 예시적인 아미노산 서열들은 하기 표 3-4에서 제공된다. 표 3-4에서, CDR 서열은 밑줄로 표시되며, 상기 인간화된 변이체들 VL4 및 VH9로 도입된 역 돌연변이된 잔기들 및 추가 돌연변이는 굵은 기울기체로 표시된다. VL4 및 VH9로 도입된 추가 돌연변이들은 표 3-4의 IgG 컬럼에 열겨되며; 이들 돌연변이는 상기 VL 또는 VH의 N-말단에 대해 번호매김된다. 변형된 CDRs를 갖는 VL4 및 VH9의 변이체들에 대한 CDR 아미노산 서열은 VL4 및 VH9에 비교하여 하기 표 5 표 6에 제시된다.
표 3. 인간화된 경쇄 가변 영역 서열의 아미노산 서열
표 4. 인간화된 중쇄 가변 영역 서열의 아미노산 서열
표 5. VL4 CDRs의 아미노산 서열
표 6. VH9 CDRs의 아미노산 서열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경쇄 가변 영역 (VL) 및 중쇄 가변 영역 (VH)을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2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18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인간화된 항체는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은 항체의 1, 2, 3, 4, 5, 또는 6개 CDRs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인간화된 항체는 각각 차례로, 서열 식별 번호: 15에서 제시된 서열을 갖는 VH의 CDR-H1, CDR-H2, 및 CDR-H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CDR-H2, 및 CDR-H3;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16에서 제시된 서열을 갖는 VL의 CDR-L1, CDR-L2, 및 CDR-L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각각 포함하는 CDR-L1, CDR-L2, 및 CDR-L3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경쇄 가변 영역 (VL) 및 중쇄 가변 영역 (VH)을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VL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서열 식별 번호: 2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서열 식별 번호: 18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인간화된 항체는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항체의 1, 2, 3, 4, 5, 또는 6개 CDRs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인간화된 항체는 각각 차례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서열 식별 번호: 15에서 제시된 서열을 갖는 VH의 CDR-H1, CDR-H2, 및 CDR-H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CDR-H2, 및 CDR-H3; 그리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서열 식별 번호: 16에서 제시된 서열을 갖는 VL의 CDR-L1, CDR-L2, 및 CDR-L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각각 포함하는 CDR-L1, CDR-L2, 및 CDR-L3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64-7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18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인간화된 항체는 서열 식별 번호: 2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1-8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64-70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64-70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64-70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64-70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4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64-70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64-70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6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64-70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64-70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8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64-70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64-70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8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64-70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8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64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71-81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6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71-81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66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71-81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6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71-81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68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71-81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6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71-81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7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71-81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64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 및 서열 식별 번호: 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 또는 서열 식별 번호: 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세트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세트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8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서열 식별 번호: 2에서 제시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전장 항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IgG1 아이소형을 보유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 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다음 순서로 VL, CL, 스페이서, 및 아밀로이드 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경쇄의 C-말단에 융합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표 3에 나타낸 VL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인간화된 항체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VL2, VL3, VL4, VL4-N33S, VL4-N33Q, VL4-N33E, VL4-N33A, VL4-N33H, VL4-G34A, 또는 VL4-G34V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VL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2-42로 구성된 군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표 4에 나타낸 VH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인간화된 항체는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VH2, VH3, VH4, VH5, VH6, VH7, VH8, VH9, VH10, VH9-D54S, VH9-D54Q, VH9-D54E, VH9-D54A, VH9-D54H, VH9-G55A, VH9-G55V, VH9-M64V, VH9-M64I, VH9-M64L, 또는 VH9-M64A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VH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H은 서열 식별 번호: 43-63로 구성된 군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43-6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43-6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4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43-6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43-6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6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43-6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43-6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8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43-6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43-6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4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43-6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4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43-6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4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43-6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2-4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4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2-4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44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2-4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4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2-4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46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2-4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4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2-4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48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2-4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4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2-4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5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2-4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5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2-4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5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2-4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5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2-4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54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2-4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5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2-4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56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2-4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5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2-4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58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2-4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5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2-4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6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2-4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6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2-4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6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2-4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6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4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48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51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52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50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49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6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55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경쇄의 C-말단에 융합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 및 서열 식별 번호: 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 또는 서열 식별 번호: 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세트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세트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8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서열 식별 번호: 2에서 제시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표 3에서 제시된 VL4의 VL과 표 4에서 제시된 VH9의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51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표 3에서 제시된 VL4-N33S의 VL과 표 4에서 제시된 VH9-D54E의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6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55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표 3에서 제시된 VL3의 VL과 표 4에서 제시된 VH6의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4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48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표 3에서 제시된 VL4의 VL과 표 4에서 제시된 VH10의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52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표 3에서 제시된 VL4의 VL과 표 4에서 제시된 VH8의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50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표 3에서 제시된 VL4의 VL과 표 4에서 제시된 VH7의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3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69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표 1에 나타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펩티드를 포함한다. 특정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세트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세트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인간화된 항체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경쇄의 N-말단에 융합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상기 경쇄의 C-말단에 융합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인간화된 항체는 경쇄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에 의해 경쇄의 N-말단에 융합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인간화된 항체는 경쇄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경쇄의 C-말단에 융합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펩티드 스페이서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유연성 스페이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글리신 잔기와 세린 잔기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GGGYS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서열 식별 번호: 2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견고한 스페이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전하를 띄지 않는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인간화된 항체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중쇄의 N-말단에 융합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중쇄의 C-말단에 융합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인간화된 항체는 중쇄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에 의해 중쇄의 N-말단에 융합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인간화된 항체는 중쇄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에 의해 중쇄의 C-말단에 융합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펩티드 스페이서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유연성 스페이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견고한 스페이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전하를 띄지 않는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는 경쇄의 C-말단 또는 N-말단 또는 중쇄의 C-말단 또는 N-말단과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사이에 스페이서 아미노산 서열이 내포되어 있을 수 있다. 특정 구체예들에서, 상기 펩티드-Ig 접합체에는 펩티드의 N-말단과 시약을 발현시키는 세포로부터 Ig-펩티드의 분비에 필요한 리더 서열 사이에 스페이서 아미노산 서열이 내포되어 있을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유연성 스페이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견고한 스페이서 펩티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전하를 띄지 않는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스페이서 펩티드는 약 3개 내지 약 55개 아미노산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페이서 펩티드는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또는 55개 아미노산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핵산 서열 또는 아미노산 서열은 이러한 핵산 서열 또는 아미노산 서열이 서열에서 서로 근접해 있는 경우, 또다른 핵산 서열 또는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인접"해 있다. 예를 들면, 두 개의 핵산 서열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할 수 있지만 여전히 개재된(intervening) 스페이서 서열이 내포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펩티드는 하기 표 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표 7. 예시적인 스페이서 서열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표 1에 나타낸 펩티드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펩티드는 경쇄의 C-말단 또는 N-말단 단백질 또는 중쇄의 C-말단 또는 N-말단을 통하여 인간화된 항체 또는 이의 기능적 단편에 연계되고, 이로 인하여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이 형성될 수 있다. 하기 표 1에서 확인된 임의의 서열은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형성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상기 인간화된 항체의 중쇄 또는 경쇄 또는 이의 기능적 단편에 연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아미노산 서열을 인간화된 항체 경쇄의 N-말단에 연계시키거나, 또는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아미노산 서열을 인간화된 항체 경쇄의 C-말단에 연결시킴으로써, 단일 항체에 연계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경쇄 불변 영역 (가령, CL1을 포함하는)을 포함하는 경쇄, 및 중쇄 불변 영역 (가령, CH1, CH2, 및 CH3을 포함하는)을 포함하는 중쇄를 더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두 개의 경쇄와 두 개의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경쇄와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경쇄는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L 및 CL1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L은 본원에서 기술된 상기 VLs 중 임의의 하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H, CH1, CH2, 및 CH3을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H은 본원에서 기술된 상기 VHs 중 임의의 하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으로부터 C-말단 방향으로 아밀로이드 반응성 펩티드, 스페이서, 가변 경쇄 영역, 및 불변 경쇄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경쇄, 그리고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H, CH1, CH2, 및 CH3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중쇄를 포함하며, 이때 제1 중쇄와 제2 중쇄의 CH2와 CH3은 이량체를 형성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경쇄를 포함하는 경쇄 및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경쇄는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L 및 CL1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L은 본원에서 기술된 상기 VLs 중 임의의 하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H, CH1, CH2, 및 CH3을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H은 본원에서 기술된 상기 VHs 중 임의의 하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으로부터 C-말단 방향으로 가변 경쇄 영역, 불변 경쇄 영역, 스페이서, 및 아밀로이드 반응성 펩티드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경쇄, 그리고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H, CH1, CH2, 및 CH3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중쇄를 포함하며, 이때 제1 중쇄와 제2 중쇄의 CH2와 CH3은 이량체를 형성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스페이서 펩티드를 포함하는 경쇄, 및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경쇄는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L 및 CL1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L은 본원에서 기술된 상기 VLs 중 임의의 하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H, CH1, CH2, 및 CH3을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H은 본원에서 기술된 상기 VHs 중 임의의 하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으로부터 C-말단 방향으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스페이서, VL, 및 CL1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경쇄, 그리고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H, CH1, CH2, 및 CH3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중쇄를 포함하며, 이때 제1 중쇄와 제2 중쇄의 CH2와 CH3은 이량체를 형성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경쇄, 스페이서 펩티드를 포함하는 경쇄, 및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경쇄는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L 및 CL1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L은 본원에서 기술된 상기 VLs 중 임의의 하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H, CH1, CH2, 및 CH3을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H은 본원에서 기술된 상기 VHs 중 임의의 하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으로부터 C-말단 방향으로 VL, CL1, 스페이서, 및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경쇄, 그리고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H, CH1, CH2, 및 CH3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중쇄를 포함하며, 이때 제1 중쇄와 제2 중쇄의 CH2와 CH3은 이량체를 형성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분비성 리더 펩티드, 제1 스페이서 펩티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제2 스페이서 펩티드, 및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제1 및/또는 제2 스페이서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경쇄는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L 및 CL1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L은 본원에서 기술된 상기 VLs 중 임의의 하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H, CH1, CH2, 및 CH3을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H은 본원에서 기술된 상기 VHs 중 임의의 하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H은 본원에서 기술된 상기 VHs 중 임의의 하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분비성 리더 펩티드, 제1 스페이서 펩티드, 경쇄, 제2 스페이서 펩티드, 및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제1 및/또는 제2 스페이서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경쇄는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L 및 CL1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L은 본원에서 기술된 상기 VLs 중 임의의 하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H, CH1, CH2, 및 CH3을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H은 본원에서 기술된 상기 VHs 중 임의의 하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H은 본원에서 기술된 상기 VHs 중 임의의 하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L 및 CL1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L은 본원에서 기술된 상기 VLs 중 임의의 하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VH, CH1, CH2, 및 CH3을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H는 본원에서 기술된 상기 VHs 중 임의의 하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L, 및 CL1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경쇄, 그리고 N-말단에서 C-말단으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VH, CH1, CH2, 및 CH3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중쇄를 포함하고, 이때 제1 중쇄와 제2 중쇄의 CH2와 CH3은 이량체를 형성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L 및 CL1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L은 본원에서 기술된 상기 VLs 중 임의의 하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H, CH1, CH2, CH3, 및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H은 본원에서 기술된 상기 VHs 중 임의의 하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L, 및 CL1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경쇄, 그리고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H, CH1, CH2, CH3, 및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중쇄를 포함하며, 이때 제1 중쇄와 제2 중쇄의 CH2와 CH3은 이량체를 형성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L 및 CL1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L은 본원에서 기술된 상기 VLs 중 임의의 하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스페이서 펩티드, VH, CH1, CH2, 및 CH3을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H은 본원에서 기술된 상기 VHs 중 임의의 하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L, 및 CL1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경쇄, 그리고 N-말단에서 C-말단으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스페이서, VH, CH1, CH2, 및 CH3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중쇄를 포함하며, 이때 제1 중쇄와 제2 중쇄의 CH2와 CH3은 이량체를 형성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L 및 CL1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L은 본원에서 기술된 상기 VLs 중 임의의 하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H, CH1, CH2, CH3, 스페이서 펩티드, 및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VH은 본원에서 기술된 상기 VHs 중 임의의 하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L, 및 CL1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경쇄, 그리고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H, CH1, CH2, CH3, 스페이서, 및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중쇄를 포함하며, 이때 제1 중쇄와 제2 중쇄의 CH2와 CH3은 이량체를 형성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스페이서 펩티드를 포함하는 경쇄, 및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서열 식별 번호: 8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경쇄는 서열 식별 번호: 3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VH, CH1, CH2, 및 CH3을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중쇄는 서열 식별 번호: 5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8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경쇄,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의 경쇄 N-말단에 연계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제1 폴리펩티드와 제2 폴리펩티드, 그리고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의 중쇄를 포함하는 제3 폴리펩티드 및 제4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1 폴리펩티드와 제2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3 폴리펩티드와 제4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도 1에서 제시된 구조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중쇄, 스페이서 펩티드, 및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서열 식별 번호: 8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경쇄는 서열 식별 번호: 3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중쇄는 서열 식별 번호: 5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88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경쇄,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9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의 경쇄를 포함하는 제1 폴리펩티드와 제2 폴리펩티드, 그리고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의 중쇄 C-말단에 연계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제3 폴리펩티드 및 제4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1 폴리펩티드와 제2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8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3 폴리펩티드와 제4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도 2에 나타낸 구조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 펩티드 융합체는 N-말단에서 C-말단 방향으로 가변 경쇄 영역, 불변 경쇄 영역, 스페이서, 및 아밀로이드 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서열 식별 번호: 8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경쇄는 서열 식별 번호: 3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중쇄는 서열 식별 번호: 5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8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경쇄,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의 경쇄 C-말단에 연계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제1 폴리펩티드와 제2 폴리펩티드, 그리고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의 중쇄를 포함하는 제3 폴리펩티드 및 제4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1 폴리펩티드와 제2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3 폴리펩티드와 제4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도 3에서 제시된 구조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N-말단에서 C-말단으로, 경쇄, 스페이서 펩티드를 포함하는 경쇄, 및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서열 식별 번호: 8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경쇄는 서열 식별 번호: 3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중쇄는 서열 식별 번호: 5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9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경쇄,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의 경쇄 C-말단에 연계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제1 폴리펩티드와 제2 폴리펩티드, 그리고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의 중쇄를 포함하는 제3 폴리펩티드 및 제4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1 폴리펩티드와 제2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3 폴리펩티드와 제4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도 4에서 제시된 구조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항체의 경쇄를 각각 포함하는 제1 폴리펩티드 및 제2 폴리펩티드, 그리고 상기 항체의 중쇄를 각각 포함하는 제3 폴리펩티드 및 제4 폴리펩티드를 포함하고,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상기 경쇄 또는 중쇄의 N-말단 또는 C-말단에 연계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펩티드 및 제2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3 폴리펩티드 및 제4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펩티드와 제2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8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폴리펩티드와 제4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펩티드 및 제2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3 폴리펩티드 및 제4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펩티드와 제2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폴리펩티드와 제4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 또는 서열 식별 번호: 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세트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세트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8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서열 식별 번호: 2에서 제시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1 또는 서열 식별 번호: 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가변 중쇄 (VH) 및 가변 경쇄 (VL) 이때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고,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64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경쇄의 C-말단 단부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 펩티드 융합체는 N-말단에서 C-말단 방향으로 가변 경쇄 영역, 불변 경쇄 영역, 스페이서, 및 아밀로이드 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서열 식별 번호: 8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은 아밀로이드 침착물 또는 원섬유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아밀로이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밀로이드 생성성 펩티드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에 의해 결합된 아밀로이드는 아밀로이드 생성성 λ6 가변 도메인 단백질 (Vλ6Wil) 또는 아밀로이드 생성성 면역글로불린 경쇄 (AL), Aβ(1-40) 아밀로이드-유사 원섬유 또는 아밀로이드 생성성 Aβ전구체 단백질, 또는 혈청 아밀로이드 단백질 A (AA)를 포함한다. 기타 구체예들에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에 의해 결합된 아밀로이드는 면역글로불린 중쇄 (AH), β2-마이크로글로불린 (Aβ2M), 트랜스티레틴 변이체들 (ATTR), 아포리포단백질 AI (AApoAI), 아포리포단백질 AII (AApoAII), 겔솔린 (AGel), 리소자임 (ALys), 백혈구 화학주성 인자 (ALect2), 피브리노겐 변이체들 (AFib), 시스타틴 변이체들 (ACys), 칼시토닌 (ACal), 락타에드헤린 (AMed), 섬(islet) 아밀로이드 폴리펩티드 (AIAPP), 프로락틴 (APro), 인슐린 (AIns), 프라이어 단백질 (APrP); α-시누클레인 (AαSyn), tau (ATau), 심방 나트륨 이뇨 인자 (AANF), 또는 IAAP, ALκ4, ALλ1 기타 아밀로이드 생성성 펩티드의 아밀로이드 생성성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에 의해 결합된 아밀로이드 생성성 펩티드는 단백질, 단백질 단편, 또는 단백질 도메인일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 침착물 또는 아밀로이드 원섬유는 재조합 아밀로이드 생성성 단백질들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는 질환의 병리학의 일부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원에서 제공된 항체들은 아밀로이드 경쇄 원섬유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각종 아밀로이드 원섬유 이를 테면 아밀로이드 생성성 λ6 가변 도메인 단백질 (Vλ6Wil) 또는 아밀로이드 생성성 면역글로불린 경쇄 (AL), Aβ(1-40) 아밀로이드-유사 원섬유 또는 아밀로이드 생성성 Aβ전구체 단백질, 또는 혈청 아밀로이드 단백질 A (AA)에 결합한다. 기타 구체예들에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에 의해 결합된 아밀로이드는 면역글로불린 중쇄 (AH), β2-마이크로글로불린 (Aβ2M), 트랜스티레틴 변이체들 (ATTR), 아포리포단백질 AI (AApoAI), 아포리포단백질 AII (AApoAII), 겔솔린 (AGel), 리소자임 (ALys), 백혈구 화학주성 인자 (ALect2), 피브리노겐 변이체들 (AFib), 시스타틴 변이체들 (ACys), 칼시토닌 (ACal), 락타에드헤린 (AMed), 섬(islet) 아밀로이드 폴리펩티드 (AIAPP), 프로락틴 (APro), 인슐린 (AIns), 프라이어 단백질 (APrP); α-시누클레인 (AαSyn), tau (ATau), 심방 나트륨 이뇨 인자 (AANF), 또는 IAAP, ALκ4, ALλ1 기타 아밀로이드 생성성 펩티드의 아밀로이드 생성성 형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헤파란 황산염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은 아밀로이드 침착물 또는 원섬유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 침착물 또는 원섬유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기에 위치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 침착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직 유형에 위치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 침착물 또는 원섬유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 비장, 심장, 신장, 뇌, 근육, 췌장, 위, 상부 소장, 하부 소장, 및 혈액에 위치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은 적어도 1, 2, 3, 4, 5, 6, 7, 8, 9, 또는 10개 장기 또는 조직 유형에 위치한 아밀로이드 침착물 또는 원섬유에 위치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은 범(pan) 아밀로이드 반응성을 나타낸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은 간, 비장, 심장, 신장, 뇌, 근육, 췌장, 위, 상부 소장, 하부 소장, 및/또는 혈액 내 위치한 아밀로이드 침착물 또는 원섬유를 지향하는 반응성을 나타낸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1 또는 서열 식별 번호: 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 펩티드 융합체는 N-말단에서 C-말단 방향으로 가변 경쇄 영역, 불변 경쇄 영역, 스페이서, 및 아밀로이드 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가변 중쇄 (VH) 및 가변 경쇄 (VL) 이때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고,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64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경쇄의 C-말단 단부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서열 식별 번호: 8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범 아밀로이드 반응성을 나타낸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간, 비장, 심장, 신장, 뇌, 근육, 췌장, 위, 상부 소장, 하부 소장, 및/또는 혈액 내 위치한 아밀로이드 침착물 또는 원섬유를 지향하는 반응성을 나타낸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은 높은 결합 친화력으로 아밀로이드 침착물 또는 원섬유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은 높은 결합 친화력으로 아밀로이드 기질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결합 친화력은 500nM, 400nM, 300nM, 200nM, 100nM, 50nM, 40,nM, 30nM, 20nM, 10nM, 5nM, 4nM, 3nM, 2nM, 또는 1.5nM 미만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결합 친화력은 500nM 미만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결합 친화력은 100nM 미만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결합 친화력은 10nM 미만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결합 친화력 1.5nM 미만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결합 친화력은 0.05nM 내지 100nM, 0.1nM 내지 50nM, 0.2nM 내지 25nM, 0.3nM 내지 10nM, 0.4nM 내지 5nM, 0.5nM 내지 2nM, 0.6nM 내지 1nM, 또는 0.2nM 내지 1.5nM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결합 친화력은 상이한 아밀로이드 기질에 대해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결합 친화력은 인간 아밀로이드 기질에 대해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결합 친화력은 합성 아밀로이드 기질에 대해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1 또는 서열 식별 번호: 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가변 중쇄 (VH) 및 가변 경쇄 (VL) 이때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고,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64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경쇄의 C-말단 단부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서열 식별 번호: 8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은 EC50 결합 친화력에 의해 설명되는 결합 친화력으로 아밀로이드 침착물 또는 원섬유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은 EC50 결합 친화력에 의해 설명되는 결합 친화력으로 아밀로이드 기질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EC50 결합 친화력은 500nM, 400nM, 300nM, 200nM, 100nM, 50nM, 40,nM, 30nM, 20nM, 10nM, 5nM, 4nM, 3nM, 2nM, 또는 1.5nM 미만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EC50 결합 친화력은 10nM 미만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EC50 결합 친화력 1.5nM 미만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EC50 결합 친화력은 상이한 아밀로이드 기질에 대해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EC50 결합 친화력은 인간 아밀로이드 기질에 대해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EC50 결합 친화력은 합성 아밀로이드 기질에 대해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다.
당업자가 인지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단편 항원 결합 (또는 Fab 영역)은 표적 항원과 자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항체의 머리다. Fab 영역의 성분들은 예를 들어, 항체가 특정 리간드에 결합할 수 있게 하고, 이러한 상호 작용을 통해 면역 체계를 더욱 활성화시킨다. IgG, IgA, IgD, IgE, 및 IgM 항체 아이소유형의 경우, 이 Ig는 두 개의 단백질, 중쇄 및 경쇄로 구성되며, 이들은 쌍으로 상호작용하여 2개 중쇄 및 2개 경쇄를 포함하는 무손상 Ig를 형성한다. 중쇄와 경쇄는 모두 가변 도메인과 불변 도메인으로 더 나뉘는데-Fab 기능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 및 중쇄 가변 도메인, 그리고 세포 수용체 및 보체와 상호작용하는 단편 결정성(Fc) 도메인을 형성하는 중쇄로 나뉜다. Ig의 Fc 영역들은 매우 보존된 N-당화 부위를 품고 있다.
특정 예시적 구체예들에서, 하기 표 1에 나타낸 펩티드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펩티드는 경쇄의 C-말단 또는 N-말단 단백질 또는 중쇄의 C-말단 또는 N-말단을 통하여 인간화된 항체 또는 이의 기능적 단편에 연계되고, 이로 인하여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이 형성될 수 있다. 하기 표 1에서 확인된 임의의 서열은 펩티드-항체 접합체를 형성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상기 항체의 중쇄 또는 경쇄 또는 이의 기능적 단편에 연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아미노산 서열이 Ig 경쇄 단백질들의 N-말단에 연결됨으로써, 단일 항체에 연계될 수 있다.
특정 예시적 구체예들에서, 본 발명의 펩티드를 인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클로닝되고, Ig 경쇄에 융합되고, 발현 벡터로 융합되고, 적절한 숙주 세포로 형질전환되거나 형질감염되고, 적합한 또는 발현 조건 하에서 배양되는 재조합 DNA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펩티드-Ig 경쇄 융합체가 단리된다. 유리하게도, 당업자라면 본 개시 내용을 고려하여 이해할 수 있듯이, 본원에 기술된 방법을 사용하여 임의의 펩티드 서열을 항체에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가 상기 항체에 연계된 펩티드의 예시로 이용되는 한편, 다양한 상이한 펩티드의 경우, 이들 펩티드를 이들 항체에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항체 -이를 테면, 상기 경쇄 단백질의 N 및/또는 C-말단 단부 및/또는 Ig 중쇄 단백질의 N 및/또는 C-말단 단부-에 펩티드를 연계시키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특정 예시적 구체예들에서, 다중의 동일한 또는 상이한 펩티드가 단일 항체 또는 이의 기능적 단편에 연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발현 벡터에는 펩티드 A를 인코딩하는 핵산 서열에 통합된 경쇄 핵산 서열이 내포될 수 있으며, 펩티드 A의 핵산 서열은 이 펩티드 A가 상기 경쇄 단백질의 N-말단에 연계되어 발현되도록 이 벡터에 위치한다. 더욱이, 제2 발현 벡터에는 펩티드 B를 인코딩하는 핵산 서열에 통합된 중쇄 핵산 서열이 내포될 수 있으며, 펩티드 B의 핵산 서열은 이 펩티드 B가 상기 중쇄 단백질의 N-말단에 연계되어 발현되도록 이 벡터에 위치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구체예들에서, 두 발현 벡터들이 동일한 세포에서 발현될 때, 상기 생성된 Ig 단백질은 각 경쇄의 N-말단 상에 펩티드 A 서열을 보유하고(총합 두 개의 펩티드 A) 및 상기 중쇄의 N-말단 상에 펩티드 B를 보유할 수 있다. 특정 예시적 구체예들에서, 상기 벡터에는 C-말단 단부 상에 펩티드 C가 내포되고, 이로 인하여 두 개의 펩티드 A 서열 (각 경쇄 상에 하나씩), 상기 중쇄의 N-말단 단부 상에 펩티드 B, 및 상기 중쇄의 C-말단 단부에 연계된 펩티드 C 서열을 가지는 항체가 생성된다. 따라서, 당업자는 본 개시내용에 기초하여 발현 벡터를 맞춤화하여, 면역글로불린이 동일하거나 상이한 단백질 조합을 갖도록 변형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이용하는 특이적 예시로써,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는 두 개의 p5 단백질들 서열 (서열 식별 번호: 1), 즉, 각 경쇄 N-말단 단부에 하나씩이 내포될 수 있다. 기타 예시적인 구체예들에서, 면역글로불린에 연계된 펩티드는 리간드에 대해 친화력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이 리간드를 검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Fc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Fc는 IgG1, IgG2, IgG3, 또는 IgG4 아이소형의 것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Fc-매개된 항체 작동체 기능을 촉진시킨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항체-의존적 세포의 식세포작용을 촉진시킨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약 100, 10, 1, 0.1, 0.01μM 미만의 해리 상수(Kd)로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약 0.01, 0.05, 0.1, 0.2, 0.3, 0.4, 0.5, 0.6, 0.7, 0.8, 0.9, 1, 2, 3, 4, 5, 6, 7, 8, 9, 10, 15, 20, 25, 50, 75, 또는 100μM 및 이들 값 사이의 임의의 값 또는 범위를 갖는 Kd로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500, 100, 10, 또는 1nM 미만의 Kd로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약 5,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250, 500, 750, 1000, 2000, 또는 2200nM 미만의 Kd로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약 5,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250, 500, 750, 1000, 2000, 또는 2200nM, 및 이들 값 사이의 임의의 값 또는 범위를 갖는 Kd로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약 40-50nM의 Kd로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40-50nM의 Kd로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50nM 미만인 Kd로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c11-1F4의 Kd 보다 적은 Kd로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약 0.01, 0.1, 또는 1μM 미만인 항체 농도 (EC50)에서 최대결합-절반으로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약 0.001, 0.01, 0.05, 0.1, 0.2, 0.3, 0.4, 0.5, 0.6, 0.7, 0.8, 0.9, 1, 2, 3, 4, 5, 6, 7, 8, 9, 또는 10 μM, 및 이들 값 사이의 임의의 값 또는 범위의 항체 농도 (EC50)에서 최대결합-절반으로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약 1, 10, 100, 또는 1000nM 미만인 항체 농도(EC50)에서 최대결합-절반으로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약 1,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100, 100, 250, 500, 750, 또는 1000nM, 및 이들 값 사이의 임의의 값 또는 범위를 갖는 항체 농도(EC50)에서 최대결합-절반으로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약 17nM, 7nM, 16nM, 75nM, 또는 95nM인 항체 농도(EC50)에서 최대결합-절반으로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약 10nM, 20nM, 80nM, 또는 100nM 미만의 항체 농도(EC50)에서 최대결합-절반으로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c11-1F4가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EC50보다 더 적은 항체 농도(EC50)에서 최대결합-절반으로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한다.
해리 상수 및 EC50s을 계산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표면 플라스몬 공명 및 유로퓨움 결합 면역흡착 분석(EuLISAs)이 내포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해리 상수는 Len(1-22) 단량체 펩티드에 결합을 측정하여, 예를 들면,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결정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EC50 EuLISA를 이용하여 결정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EC50은 rVλ6Wil 원섬유, Per125 wtATTR 추출물, Ken ATTR 추출물, SHI ALλ 간 추출물, 또는 TAL ALκ 간 추출물에 대한 결합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EuLISA를 이용하여 결정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검출가능한 라벨에 접합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검출가능한 라벨은 방사능핵종 (가령, I-125, I-123, I-124, I-131, Zr-89, Tc-99m, Cu-64, Br-76, F-18); 효소 (양고추냉이 과산화효소); 바이오틴; 그리고 형광단, 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단백질을 검출가능하게 라벨링하기 위한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이 본원에 기술된 방법과 함께 사용 및/또는 사용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은 방사능동위원소로 방사능라벨링될 수 있거나, 또는 형광 테그 또는 화학적발광 테그로 라벨링될 수 있다. 예시적인 방사능동위원소에는 예를 들면, 18F, 111In, 99mTc, 및 123I, 및 125I가 내포된다. 이들 및 기타 방사성 동위원소는 킬레이트제, 이를 테면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경쇄 단백질에 공유적으로 연계된 DTPA 또는 DOTA의 사용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는, 잘 공지된 화학을 사용하여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 부착될 수 있다. 예시적인 형광 또는 화학발광 태그에는 리신, 시스테인,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 측쇄와의 반응에 의해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 접합될 수 있는 플루오레세인, 텍사스 레드, 로다민, 알렉사 염료 및 루시퍼라제가 내포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라벨은 사용되는 테그에 적합한 여기(excitation) 및 방출 파장을 사용하는 형광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 또는 형광계를 사용하여 감지된다. 방사성 라벨은 예를 들어, 방사성 방출 유형에 따라, 감마 또는 섬광 계수기를 사용하고, 특이적 방사능 핵종의 정확한 검출에 적합한 에너지 창을 사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그러나, 방사능동위원소 검출에 적합한 다른 기술도 상기 라벨 검출에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검출가능한 라벨은 125I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rVλ6Wil 원섬유, Per125 wtATTR 추출물, KEN hATTR 추출물, SHI ALλ 간 추출물, 및/또는 TAL ALκ 간 추출물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은 아밀로이드 침착물 또는 원섬유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아밀로이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밀로이드 생성성 펩티드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 결합된 아밀로이드는 아밀로이드 생성성 λ6 가변 도메인 단백질 (Vλ6Wil) 또는 아밀로이드 생성성 면역글로불린 경쇄 (AL), Aβ(1-40) 아밀로이드-유사 원섬유 또는 아밀로이드 생성성 Aβ전구체 단백질, 또는 혈청 아밀로이드 단백질 A (AA)이다. 기타 구체예들에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에 의해 결합된 아밀로이드는 면역글로불린 중쇄 (AH), β2-마이크로글로불린 (Aβ2M), 트랜스티레틴 변이체들 (ATTR), 아포리포단백질 AI (AApoAI), 아포리포단백질 AII (AApoAII), 겔솔린 (AGel), 리소자임 (ALys), 백혈구 화학주성 인자 (ALect2), 피브리노겐 변이체들 (AFib), 시스타틴 변이체들 (ACys), 칼시토닌 (ACal), 락타에드헤린 (AMed), 섬(islet) 아밀로이드 폴리펩티드 (AIAPP), 프로락틴 (APro), 인슐린 (AIns), 프라이어 단백질 (APrP); α-시누클레인 (AαSyn), tau (ATau), 심방 나트륨 이뇨 인자 (AANF), 또는 IAAP, ALκ4, Alλ1 기타 아밀로이드 생성성 펩티드의 아밀로이드 생성성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 의해 결합된 아밀로이드 생성성 펩티드는 단백질, 단백질 단편, 또는 단백질 도메인일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 침착물 또는 아밀로이드 원섬유는 재조합 아밀로이드 생성성 단백질들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는 질환의 병리학의 일부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이 인간 아밀로이드에 결합함으로써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의 식세포작용이 촉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를 옵소닌화시킨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rVλ6Wil 원섬유를 옵소닌화시킨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대식세포의 존재 하에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를 본 명세서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과 접촉시켜 대식세포에 의한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의 흡수를 촉진시킨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대식세포의 존재 하에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를 본 명세서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과 접촉시켜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의 옵소닌화를 촉진시킨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이 인간 아밀로이드에 결합함으로써 대조군 항체 (가령, hIgG 및/또는 c11-1F4)에 대등한 수준 또는 그 이상으로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의 식세포작용을 촉진시킨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항체-의존적 세포의 식세포작용을 촉진시킨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기준 항체와 비교하였을 때 개선된 생체분포, 범(pan) 아밀로이드 반응성, 및 강화된 식세포작용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생체내 속성들을 나타낸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기준 항체와 비교하여 개선된 생체분포를 나타내며,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신체를 통한 기관에서 검출가능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개선된 생체분포를 나타내며,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 비장, 심장, 신장, 뇌, 근육, 췌장, 위, 상부 소장, 하부 소장, 및 혈액에서 검출가능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기준 항체와 비교하여 범 아밀로이드 반응성을 나타내며,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생체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별개의 아밀로이드 기질을 향하여 반응성을 나타낸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간, 비장, 심장, 신장, 뇌, 근육, 췌장, 위, 상부 소장, 하부 소장, 및 혈액에서 아밀로이드 기질로 반응성이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기준 항체와 비교하였을 때 강화된 식세포작용을 나타내고, 이때 아밀로이드 기질이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 생체내 접촉함으로써 식세포작용 수준이 증가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아밀로이드 기질이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 생체내 접촉함으로써 상기 아밀로이드 기질이 제거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아밀로이드 기질이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 생체내 접촉함으로써 아밀로이드 기질의 강화된 식세포작용 및 제거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아밀로이드 기질이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 접촉함으로써 아밀로이드 관련된 장애를 갖는 개체에게 치료요법적 이익이 제공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기준 항체는 아밀로이드 기질에 결합하도록 조작되지 않는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기준 항체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기준 항체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융합되지 않는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기준 항체는 음성 대조군으로 작용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기준 항체는 IgG 항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기준 항체는 IgG1, IgG2, IgG3, 또는 IgG4 아이소형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기준 항체는 IgG1 아이소형이다.
아밀로이드 반응성-펩티드와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를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또한 본원에서 제공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중쇄 가변 영역 (VH)을 포함하는 중쇄, 그리고 경쇄 가변 영역 (VL)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중쇄의 N-말단 단부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중쇄의 C-말단 단부에서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경쇄의 N-말단 단부에서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경쇄의 C-말단 단부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 없이, 또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적어도 80%는 무손상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적어도 80%, 85%,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또는 99.5%는 무손상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단백질 분해를 거치지 않았던 단백질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전장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로 구성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87-9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전장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전장 항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이 조성물 안에 존재하는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양에 의해 특정되는 순도를 갖는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단백질 분해를 거치지 않았던 단백질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전장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로 구성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87-9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전장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80%의 순도를 갖는다. 예를 들면, 상기 80%의 순도를 갖는 상기 조성물은 80%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80%, 85%,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또는 99.5%의 순도를 갖는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전장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로 구성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87-9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밀로이드 반응성-펩티드와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중쇄 가변 영역 (VH)을 포함하는 중쇄, 그리고 경쇄 가변 영역 (VL)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중쇄의 N-말단 단부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중쇄의 C-말단 단부에서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경쇄의 N-말단 단부에서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경쇄의 C-말단 단부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 없이, 또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은 20%를 넘지 않는 절단 산물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N-말단 또는 C-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은 N-말단에서 C-말단 방향으로, 가변 경쇄 영역, 불변 경쇄 영역, 스페이서, 및 아밀로이드 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경쇄를 만든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C-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 또는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N 말단 또는 C 말단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잔기들이 결여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은 N-말단에서 C-말단 방향으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스페이서, 가변 경쇄 영역, 및 불변 경쇄 영역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N-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N-말단 또는 C-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은 20%, 15%, 12%, 10%, 9%, 8%, 7%, 6%, 5%, 4%, 3%, 2%, 1%, 또는 0.5%를 넘지 않는 절단 산물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은 20%를 넘지 않는 절단 산물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서열 식별 번호: 87-9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N-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서열 식별 번호: 8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였을 때 N-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서열 식별 번호: 87-9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C-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서열 식별 번호: 89-9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였을 때 C-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서열 식별 번호: 91-9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N-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서열 식별 번호: 91-9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C-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서열 식별 번호: 9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였을 때 C-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N-말단 또는 C-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경쇄 또는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은 20%, 15%, 12%, 10%, 9%, 8%, 7%, 6%, 5%, 4%, 3%, 2%, 1%, 또는 0.5%를 넘지 않는 절단 산물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은 20%를 넘지 않는 절단 산물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서열 식별 번호: 8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N-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서열 식별 번호: 8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C-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C-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아밀로이드 반응성 펩티드에 융합된 항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 반응성 펩티드는 1, 2, 3, 4, 5, 6, 7, 8, 9, 10, 또는 15개 아미노산이 절두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N-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상기 무손상 융합 단백질과 비교하였을 때, N-말단 또는 C-말단에서 적어도 1, 2, 3, 4, 5, 6, 7, 8, 9, 10, 또는 15개 아미노산이 결여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C-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은 20%, 15%, 12%, 10%, 9%, 8%, 7%, 6%, 5%, 4%, 3%, 2%, 1%, 또는 0.5%를 넘지 않는 절단 산물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은 20%를 넘지 않는 절단 산물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서열 식별 번호: 8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N-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N-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서열 식별 번호: 8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C-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N-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C-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은 20%, 15%, 12%, 10%, 9%, 8%, 7%, 6%, 5%, 4%, 3%, 2%, 1%, 또는 0.5%를 넘지 않는 절단 산물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은 20%를 넘지 않는 절단 산물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서열 식별 번호: 88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N-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서열 식별 번호: 88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C-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서열 식별 번호: 9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N-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서열 식별 번호: 9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C-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C-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은 20%, 15%, 12%, 10%, 9%, 8%, 7%, 6%, 5%, 4%, 3%, 2%, 1%, 또는 0.5%를 넘지 않는 절단 산물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은 20%를 넘지 않는 절단 산물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서열 식별 번호: 9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N-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서열 식별 번호: 9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C-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C-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N-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C-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은 20%, 15%, 12%, 10%, 9%, 8%, 7%, 6%, 5%, 4%, 3%, 2%, 1%, 또는 0.5%를 넘지 않는 절단 산물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밀로이드 기질에 대한 EC50 결합 친화력을 나타낸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EC50 결합 친화력은 500nM, 400nM, 300nM, 200nM, 100nM, 50nM, 40,nM, 30nM, 20nM, 10nM, 5nM, 4nM, 3nM, 2nM, 또는 1.5nM 미만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EC50 결합 친화력은 대략 100nM이거나 또는 이 미만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EC50 결합 친화력은 대략 10nM이거나 또는 이 미만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EC50 결합 친화력은 대략 1.5nM이거나 또는 이 미만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EC50 결합 친화력은 상이한 아밀로이드 기질에 대해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EC50 결합 친화력은 인간 아밀로이드 기질에 대해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EC50 결합 친화력은 합성 아밀로이드 기질에 대해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기준 항체와 비교하였을 때, 개선된 생체분포, 범(pan) 아밀로이드 반응성, 및 강화된 식세포작용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생체내 속성들을 나타낸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기준 항체와 비교하여 개선된 생체분포를 나타내며,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신체를 통한 기관에서 검출가능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개선된 생체분포를 나타내며,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 비장, 심장, 신장, 뇌, 근육, 췌장, 위, 상부 소장, 하부 소장, 및 혈액에서 검출가능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기준 항체와 비교하여 범 아밀로이드 반응성을 나타내며,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생체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별개의 아밀로이드 기질을 향하여 반응성을 나타낸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간, 비장, 심장, 신장, 뇌, 근육, 췌장, 위, 상부 소장, 하부 소장, 및 혈액에서 아밀로이드 기질로 반응성이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기준 항체와 비교하였을 때 강화된 식세포작용을 나타내고, 이때 아밀로이드 기질이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 생체내 접촉함으로써 식세포작용 수준이 증가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아밀로이드 기질이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 생체내 접촉함으로써 상기 아밀로이드 기질이 제거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아밀로이드 기질이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 생체내 접촉함으로써 아밀로이드 기질의 강화된 식세포작용 및 제거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아밀로이드 기질이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 접촉함으로써 아밀로이드 관련된 장애를 갖는 개체에게 치료요법적 이익이 제공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기준 항체는 아밀로이드 기질에 결합하지 않는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기준 항체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기준 항체는 IgG 항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기준 항체는 IgG1, IgG2, IgG3, 또는 IgG4 아이소형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기준 항체는 IgG1 아이소형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는 액체 또는 고체 충전제, 희석제, 부형제, 용매 또는 캡슐화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다양한 구체예들에서,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은 임의의 투여 경로를 통하여 전달되도록 제형화된다. 여기에는 에어로졸, 비강, 경구, 경점막, 경피, 비경구 또는 장내 투여가 내포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투여는 정맥내 또는 피하 투여다.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항체가 내포된 약제학적 제형이 제공된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 및 제형에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임의선택적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가 내포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조성물에는 적어도 한 가지 추가 치료요법제가 내포된다.
용어 “약제학적 제형”이란 이 조성물 안에 포함된 활성 성분의 생물학적 활성이 효과가 있도록 하기 위한 형태의 제형을 지칭하며, 이러한 제제가 투여되는 대상체에게 수용불가능한 독성을 주는 추가 성분들은 함유하지 않는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활성 성분 이외에 약학 제제 안에 있는 성분을 말하며, 대상체에게 비독성이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완충액, 부형제, 안정화제, 또는 보존제다.
일부 측면들에서, 상기 조성물에 완충제가 내포된다. 적합한 완충제에는 예를 들어, 시트르산, 시트르산 나트륨, 인산, 인산 칼륨 및 다양한 다른 산 및 염이 내포된다. 일부 측면들에서, 두 개의 또는 그 이상의 완충제의 혼합물이 이용된다. 완충제 또는 이의 혼합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의 약 0.001% ~ 약 4%의 양으로 전형적으로 존재한다. 투여가능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예시적인 방법들은 예를 들면,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1st ed. (May 1, 2005)에 상세히 기술된다.
본원에 기술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들이 본원에서 또한 제공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한다.
특정 예시적 구체예들에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단리 또는 정제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단백질 정제 기술에는 한 가지 수준에서 세포, 조직 또는 기관을 펩티드 및 비-펩티드 분획으로 균질화하고 조분별하는 작업이 연루된다. 기타 단백질 정제 기술에는 예를 들면, 황산암모늄,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항체들 및 이와 유사한 것들에 의한 침전, 또는 열 변성에 이어 원심분리; 크로마토그래피 단계, 이를 테면 이온 교환, 겔 여과, 역상, 수산화인회석 및 친화력 크로마토그래피; 등전위 포커싱; 겔 전기영동,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 그리고 이들 및 기타 기술들의 조합들이 내포된다.
각종 크로마토그래피 기술에는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겔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면역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및 역상 크로마토그래피가 내포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펩티드를 정제하는 특히 효율적인 방법은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FPLC) 또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이다. 특정 예시적 구체예들에서, 상기 Fc 도메인은 GGGYS 링커 서열 (서열 식별 번호: 27)을 경유하여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될 수 있다.
III. 진단 및 검출 방법
대상체에서 아밀로이드 침착을 식별해내는 방법들이 본원에 또한 제공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대상체에서 아밀로이드 침착을 확인하는 방법이 본원에서 제공되며, 본원에 기술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 중 임의의 하나를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검출가능한 라벨을 포함하고, 상기 항체 펩티드 융합 단백질로부터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기술된 검출가능하도록-라벨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 중 임의의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아밀로이드가 없거나, 또는 상세 불명의 단일클론 감마병증 (MGUS), 다발성 골수종 (MM),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관련된 형질 세포 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결정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서열 식별 번호: 1 또는 서열 식별 번호: 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가변 중쇄 (VH) 및 가변 경쇄 (VL) 이때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고,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64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경쇄의 N-말단 단부 또는 C-말단 단부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중쇄의 N-말단 단부 또는 C-말단 단부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서열 식별 번호: 8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전장 항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리간드를 검출하는 방법이 본원에서 제공되며,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리간드에 본원에 기술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 중 임의의 하나에 접촉시키는 단계,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검출가능한 라벨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펩티드는 상기 리간드에 대한 결합 친화력을 가지고, 상기 검출가능한 라벨을 측정하고, 이에 의해 상기 리간드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기술된 검출가능하도록-라벨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 중 임의의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은 생체내 분석 및 시험관내 분석, 이를 테면 상기 융합 펩티드가 정제된 후, 이들의 탐지를 허용하기 위해 각종 시약으로 라벨될 수 있다. 제한 없이, 여기에는 방사능핵종 (가령, I-125, I-123, I-131, Zr-89, Tc-99m, Cu-64, Br-76, F-18); 효소 (양고추냉이 과산화효소); 바이오틴; 형광단, 등등이 내포될 수 있다. 단백질을 검출가능하게 라벨링하기 위한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이 본원에 기술된 방법과 함께 사용 및/또는 사용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항체들 또는 이의 단편들, 및/또는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방사능동위원소로 방사능라벨될 수 있거나, 또는 형광 테그 또는 화학적발광 테그로 라벨될 수 있다 예시적인 방사능동위원소에는 예를 들면, 18F, 111In, 99mTc, 및 123I, 및 125I가 내포된다. 이들 및 기타 방사성 동위원소는 킬레이트제, 이를 테면 상기 항체의 경쇄 단백질에 공유적으로 연계된 DTPA 또는 DOTA의 사용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는, 잘 공지된 화학을 사용하여 단리된 면역글로불린 경쇄에 부착될 수 있다. 예시적인 형광 또는 화학발광 태그에는 리신, 시스테인,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 측쇄와의 반응에 의해 단백질에 접합될 수 있는 플루오레세인, 텍사스 레드, 로다민, 알렉사 염료 및 루시퍼라제가 내포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라벨은 사용되는 테그에 적합한 여기(excitation) 및 방출 파장을 사용하는 형광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 또는 형광계를 사용하여 감지된다. 방사성 라벨은 예를 들어, 방사성 방출 유형에 따라, 감마 또는 섬광 계수기를 사용하고, 특이적 방사능 핵종의 정확한 검출에 적합한 에너지 창을 사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그러나, 방사능동위원소 검출에 적합한 다른 기술도 상기 라벨 검출에 사용될 수 있다.
아밀로이드증에 있어서, 이러한 라벨링은 예를 들면, 아밀로이드 존재를 진단하고, 상기 아밀로이드 단백질 부하를 결정하고, 특정 대상체 내에서 아밀로이드에 결합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능력을 모니터하고, 아밀로이드증의 진행을 모니터하고, 및/또는 아밀로이드 치료를 모니터 (상기 대상체에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투여와 연합된 치료에 반응을 모니터하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검출가능한 라벨로 라벨되며, 아밀로이드-기반 질환 (가령, 아밀로이드증, 상세 불명의 단일클론성 감마병증 (MGUS), 다발성 골수종 (MM), 또는 관련된 형질 세포 질환)을 앓고 있는 또는 앓고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대상체에게 주사된다. 그 이후,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의 존재를 탐지하기 위해 대상체를 영상촬영할 수 있다.
특정 예시적 구체예들에서, 검출가능하도록-라벨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로부터 나온 신호를 정량화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대상체에서 아밀로이드 침착 수준의 지표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신호 강도는 표준 신호 역치와 비교될 수 있고, 이때 이 역치보다 높은 것은 아밀로이드증이 존재하는 것이며, 이보다 낮은 경우 아밀로이드증이 없거나 낮은 수준이다. 상기 대상체는 아밀로이드가 있는 것으로 진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화학 요법, 이를 테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약물 (레날리도마이드 또는 탈리도마이드) 및/또는 보르테조밉(Velcade)과 같은 치료법이 투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본원에 기술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대상체를 치료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예시적 구체예들에서, 상기 대상체는 낮은 아밀로이드 부하, 중간 아밀로이드 부하, 또는 높은 아밀로이드 부하와 같은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계층화되고, 그에 따라 치료될 수 있다. 치료 진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이 대상체에게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재-투여하고, 이에 따라 아밀로이드 부하에 대해 재평가할 수 있다.
IV. 치료 방법
아밀로이드 관련된 장애를 갖는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들이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며, 이 방법은 상기 대상체에게 본 명세서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효과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치료요법적 효과량의 본원에 기술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 중 임의의 단백질의 치료요법적 효과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 질환 (가령, 아밀로이드증)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기타 구체예들에서, 상기 아밀로이드증은 전신 아밀로이드증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증은 가족성 아밀로이드증이다. 기타 구체예들에서, 상기 아밀로이드증은 특발성 아밀로이드증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증 또는 아밀로이드-관련된 질환은 AA 아밀로이드증, AL 아밀로이드증, AH 아밀로이드증, Aβ 아밀로이드증, ATTR 아밀로이드증, hATTR 아밀로이드증, ALect2 아밀로이드증, 및 유형 II 당뇨병의 IAPP 아밀로이드증, 알츠하이머 질환, 다운증후군, 네덜란드형 아밀로이드증을 동반한 유전성 뇌출혈, 뇌 베타-아밀로이드혈관병증, 해면상 뇌할로병증, 갑상선종양, 파킨슨병, 루이스 소체 치매, 타우병증, 헌팅턴병, 노인성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가족성 혈액투석, 노인성 전신성 노화, 노화성 뇌하수체 장애, 의인성 증후군, 해면상 뇌병증, 반응성 만성 염증, 갑상선 종양, 골수종 또는 기타 형태의 암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 관련된 질환은 AL, AH, Aβ2M, ATTR, 트랜스티레틴, AA, AApoAI, AApoAII, AApoAIV, AApoCII, AApoCII, AGel, ALys, ALEct2, AFib, ACys, ACal, AMed, AIAPP, APro, AIns, APrP, ASPC, AGal7, ACor, Aker, ALac, AOAPP, ASem1, AEnf, 또는 Aβ 아밀로이드증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이용한 치료로 아밀로이드가 제거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정상적인 노화와 관련된 아밀로이드에 결합한다. 기타 구체예들에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대상체에서 아밀로이드증 또는 아밀로이드-관련된 질환의 진단, 치료 또는 예후에 이용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 관련된 질환은 국소화된 아밀로이드증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피내, 피내, 피하, 근육내, 심장내, 혈관내, 정맥내, 안구내, 동맥내, 경막외, 척수내, 체외, 척수강내, 복강내, 흉막내, 관강내, 유리체내, 해면내, 뇌실내, 뼈-내, 관절-내, 세포내 또는 폐 경로를 통하여 투여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면역체계 세포 (가령, 대식세포)에 의한 아밀로이드의 식세포작용을 유도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투여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포유류, 이를 테면, 영장류, 소, 설치류 또는 돼지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인간이다.
제거용 아밀로이드 침착을 표적화시키는 방법이 또한 본원에서 제공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아밀로이드 침착에 본 명세서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 침착물은 질환의 병리학에 원인일 수 있다. 기타 구체예들에서, 상기 아밀로이드 침착물은 대상체에서 아밀로이드증 또는 아밀로이드-관련된 질환의 표지일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아밀로이드증을 갖는 대상체 내 아밀로이드에 결합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증은 특이적인 조직 또는 장기, 이를 테면 간, 심장, 또는 중추 신경계에 국소화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 침착은 제거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 침착은 깨끗해진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 침착은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 의해 옵소닌화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이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함으로써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의 식세포작용 및 상기 아밀로이드 침착의 제거가 촉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를 옵소닌화시키고, 이로 인하여 상기 아밀로이드 침착이 제거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rVλ6Wil 원섬유를 옵소닌화시킨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이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함으로써 대조군 항체 (가령, mIgp5 및/또는 c11-1F4)에 대등한 수준 또는 그 이상으로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의 식세포작용 및/또는 옵소닌화를 촉진시킨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아밀로이드-관련된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 본원에서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검출가능한 라벨에 접합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투여하고, 이 라벨을 탐지하고, 그리고 만약 상기 대상체에게서 상기 신호가 검출된다면 아밀로이드증 치료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검출가능한 라벨은 방사능 라벨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검출가능한 라벨은 I125, Tc99 라벨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검출가능한 라벨은 형광 라벨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검출가능한 라벨은 효소 라벨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라벨은 양 고추냉이 과산화효소 또는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다. 라벨에는 특정 동족의 검출가능한 부분, 예를 들어, 라벨된 아비딘에 대한 결합을 통해 검출될 수 있는 비오틴과 같은 화학적 부분이 추가로 내포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 침착은 상기 대상체의 간, 비장, 또는 혈액에서 확인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증 치료는 본원에서 제공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아밀로이드 침착을 확인하는 방법이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며,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는 검출가능한 라벨에 접합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로부터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검출가능한 라벨은 방사능 라벨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검출가능한 라벨은 I125, Tc99 라벨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검출가능한 라벨은 형광 라벨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검출가능한 라벨은 효소 라벨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라벨은 양 고추냉이 과산화효소 또는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다. 라벨에는 특정 동족의 검출가능한 부분, 예를 들어, 라벨된 아비딘에 대한 결합을 통해 검출될 수 있는 비오틴과 같은 화학적 부분이 추가로 내포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 침착은 상기 대상체의 간, 비장, 또는 혈액에서 확인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검출가능한 라벨에 접합된 항체-펩티드 융합체를 상기 리간드에 접촉시키고, 상기 검출가능한 라벨로부터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간드를 검출하는 방법이 본원에서 제공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검출가능한 라벨은 방사능 라벨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검출가능한 라벨은 I125, Tc99 라벨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검출가능한 라벨은 형광 라벨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검출가능한 라벨은 효소 라벨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라벨은 양 고추냉이 과산화효소 또는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다. 라벨에는 특정 동족의 검출가능한 부분, 예를 들어, 라벨된 아비딘에 대한 결합을 통해 검출될 수 있는 비오틴과 같은 화학적 부분이 추가로 내포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검출은 시험관내 검출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검출은 생체내 검출이다.
V. 핵산, 벡터들, 숙주 세포, 및 펩티드-항체 융합 단백질들을 만드는 방법
본 명세서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핵산(들)이 본원에 또한 제공된다.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본원에 기술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 중 임의의 단백질일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본원에서 제공된 핵산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벡터들 안에 있다. 예를 들면,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항체의 중쇄 및 경쇄를 포함하는 벡터가 본원에서 제공되며, 이때 상기 경쇄는 펩티드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펩티드에 연계된 중쇄 및 경쇄는 상이한 벡터들 안에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벡터는 본 명세서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핵산(들)을 포함한다.
항체 생산을 위해, 펩티드 발현 벡터들에 연계된 중쇄 및 경쇄는 당분야에 공지된 적합한 생산 세포주 내로 도입될 수 있다. 발현 벡터의 도입은 전기천공을 통한 공동-형질감염 또는 당업계에서 이용가능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질전환 기술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 항체 생산 세포주를 선택할 수 있고, 확장시킬 수 있고, 항체를 정제할 수 있다. 상기 정제된 항체는 SDS-PAGE와 같은 표준 기술로 분석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 중 임의의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숙주 세포가 또한 제공된다. 항체-인코딩된 벡터의 클로닝 또는 발현에 적합한 숙주 세포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원핵 세포들 또는 진핵 세포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특히 글리코실화 및 Fc 작동체 기능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박테리아에서 항체를 생성시킬 수 있다. 박테리아에서 항체 단편 및 폴리펩티드의 발현에 관해서 가령, U.S. 특허 번호 5,648,237, 5,789,199 및 5,840,523을 참조. (대장균(E. coli)에서 항체 단편들의 발현을 설명하는 Charlton, Methods in Molecular Biology, Vol. 248 (B.K.C. Lo, ed., Humana Press, Totowa, NJ, 2003), pp. 245-254 또한 참고). 발현 후, 상기 펩티드에 연계된 항체는 박테리아 세포 페이스트로부터 가용성 분획으로 단리되며, 추가 정제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숙주 세포는 본 명세서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핵산(들)을 포함하는 벡터를 포함한다.
당화된 항체의 발현에 적합한 숙주 세포들은 다세포 유기체 (무척추동물 및 척추동물)로부터 또한 유도된다. 무척추동물 세포들의 예로는 식물 및 곤충 세포들이 포함된다. 스포도프테라 푸르기페르다(Spodoptera frugiperda) 세포들의 형질감염을 위하여 곤충 세포들과 병용될 수 있는 많은 베큘로바이러스 균주들이 확인되었다.
식물 세포 배양물은 또한 숙주로 이용될 수 있다. 가령, US 특허 번호 제5,959,177호, 제6,040,498호, 제6,420,548호, 제7,125,978호, 및 제6,417,429호 참고 (유전자삽입 식물에서 항체를 생산하기 위한 PLANTIBODIESTM 을 설명).
척추동물 세포들은 또한 숙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탁액에서 성장하도록 개조시킨 포유동물 세포주들이 유용할 수 있다. 유용한 포유류 숙주 세포주의 다른 예로는 SV40에 의해 형질변환된 원숭이 신장 CVl 세포주 (COS-7); 인간 배아 신장 세포주 (예로써, Graham et al., J. Gen Virol. 36:59 (1977)에서 설명된 293 또는 293 세포들); 아기 햄스터 신장 세포들 (BHK); 마우스 세르톨리 세포들 (예로써, Mather, Biol. Reprod. 23:243-251 (1980)에서 설명된 TM4 세포들); 원숭이 신장 세포들 (CVl); 아프리카 녹색 원숭이 신장 세포들 (VERO-76); 인간 경부 암종 세포들 (HELA); 갯과 신장 세포들 (MDCK; 버팔로 렛 간 세포들 (BRL 3A); 인간 폐 세포들 (W138); 인간 간 세포들 (Hep G2); 마우스 유방 종양 (MMT 060562); 예로써, Mather et al., Annals N Y. Acad. Sci. 383:44-68 (1982)에서 설명된 TRI 세포들; MRC 5 세포들; 그리고 FS4 세포들이다. 다른 유용한 포유동물 숙주 세포계통에는 DHFR-CHO 세포들 (Urlaub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77:4216 (1980))을 포함하는 중국 헴스터 난소(CHO) 세포; 그리고 골수종 세포계통, 이를 테면, Y0, NS0 및 Sp2/0이 내포된다. 항체 생산에 적합한 특정 포유류 숙주 세포주의 검토는 예로써, Yazaki and Wu, Methods in Molecular Biology, Vol. 248 (B.K.C. Lo, ed., Humana Press, Totowa, NJ), pp. 255-268 (2003)를 참고한다.
VI. 정제 방법
본 명세서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방법이 또한 본원에서 제공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벡터 발현에 적합한 조건 하에서 본 명세서의 숙주 세포를 배양하고,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방법은 i)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발현에 적합한 관류 세포 배양 조건 하에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를 배양하고 그리고 ii)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대략 매 12-36 시간 마다 회수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항체는 중쇄 가변 영역 (VH)을 포함하는 중쇄와 경쇄 가변 영역 (VL)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경쇄의 N-말단 단부 또는 C-말단 단부에 연계시키고,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 없이, 또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중쇄의 N-말단 단부 또는 C-말단 단부에 연계시키고,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 없이, 또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경쇄의 C-말단 단부에 연계되며,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 없이, 또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전장 항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유가식 배양 방법을 이용하여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것을 포함한다. 유가식 배양은 세포 배양물에 신선한 배지를 보충하고, 즉, 사용된 배지를 제거하지 않으면서 새로운 배지를 보충하는 세포를 배양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유가식(fed-batch)" 배양 공정은 생물반응기에서 수행되며, 배양 공정 개시 후 일정 시점에 추가 성분(가령, 영양 보충제)이 배양물에 첨가된다. 영양소의 첨가를 조절하면, 배양의 성장 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과잉 대사산물의 축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Wlaschin, K. F. et al., "Fedbatch culture and dynamic nutrient feeding," Cell Culture Engineering, 101:43-74 (2006) 그리고 Lee, J. et al., "Control of fed-batch fermentations," Biotechnol. Adv., 17:29-48 (1999) 참고). 유가식 배양은 일반적으로 특정 시점에서 종료되고, 배지 내 세포 및/또는 성분이 수확되고, 그리고 임의선택적으로 정제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관류 배양 방법을 이용하여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것을 포함한다. 관류는 추가의 신선한 배지를 배양물에 제공하고, 사용한 배지를 배양물로부터 제거하는 세포 배양 방법을 의미한다. 관류는 배양물을 접종한 후 시작되며, 일정 기간 동안 원하는 대로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관류 중에 첨가된 신선한 배지는 일반적으로 배양 과정에서 고갈된 세포에 영양 보충제를 제공한다. 관류는 또한 세포 배양에서 세포 폐기물과 독성 부산물을 제거할 수 있다. 관류는 세포의 성장 단계 동안 수행되지만, 세포가 유가식 세포 배양으로 옮겨진 후에도 지속될 수도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방법은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발현에 적합한 관류 세포 배양 조건 하에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생산을 위해 유가식 배양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생산을 위해 관류 배양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항체는 중쇄 가변 영역 (VH)을 포함하는 중쇄와 경쇄 가변 영역 (VL)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경쇄의 N-말단 단부 또는 C-말단 단부에 연계시키고,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 없이, 또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중쇄의 N-말단 단부 또는 C-말단 단부에 연계시키고,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 없이, 또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경쇄의 C-말단 단부에 연계되며,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 없이, 또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전장 항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방법은 연속 세포 배양 방법을 더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관류 조건 하에서 세포를 배양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대략 매 12-36 시간마다 회수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대략 매 12-24 시간 마다 회수되며,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대략 매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또는 24 시간 마다 회수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대략 매 24-36 시간 마다 회수되며,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대략 매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또는 36 시간 마다 회수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대략 매 12 ~ 16 시간, 14 ~ 18 시간, 16 ~ 20 시간, 16 ~ 24 시간, 20 ~ 32 시간, 18 ~ 36 시간, 24 ~ 32 시간, 또는 16 ~ 28 시간 마다 회수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12, 16, 20, 24, 28, 32, 또는 36 시간을 넘기 않고 회수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대략 매일 회수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대략 매 1, 2, 3, 4, 5, 6, 또는 7 일 마다 회수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대략 매 1-4 일, 2-5 일, 3-6 일, 1-5 일, 3-7 일, 또는 1-7 일 마다 회수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1, 2, 3, 4, 5, 6, 또는 7 일을 넘기 않고 회수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항체는 중쇄 가변 영역 (VH)을 포함하는 중쇄와 경쇄 가변 영역 (VL)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경쇄의 N-말단 단부 또는 C-말단 단부에 연계시키고,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 없이, 또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중쇄의 N-말단 단부 또는 C-말단 단부에 연계시키고,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 없이, 또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경쇄의 C-말단 단부에 연계되며,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 없이, 또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전장 항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방법은 회수 단계에서 회수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체를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에 적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을 이용하여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단리시킨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을 이용하여 상기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로부터 절두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분리시킨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회수된 항체-펩티드 융합체를 상기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에 적용시킨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을 용해된 염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완충액으로 세척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을 저-염 완충액으로 세척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을 고-염 완충액으로 세척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을 우선 저-염 완충액으로 세척하고, 이어서 고-염 완충액 용리 완충액을 적용시킨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저-염 완충액으로 상기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으로부터 절두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용리시킨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고-염 완충액으로 상기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으로부터 상기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용리시킨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상기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에 적용시키고, 그 다음 이 컬럼을 저-염 농도를 함유하는 제1 완충액으로 세척하고, 그 다음 상기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고-염 농도를 함유하는 제2 완충액으로 용리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절두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로부터 별개로 용리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으로 상기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이 농축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으로 단리된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로부터 절두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이 제거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상기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에 적용시키고, 그 다음 이 컬럼을 저-염 농도를 함유하는 제1 완충액으로 세척하고, 그 다음 고-염 농도를 함유하는 제2 완충액을 적용시키면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이 단리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상기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에 적용시키고, 그 다음 이 컬럼을 저-염 농도를 함유하는 제1 완충액으로 세척하고, 그 다음 고-염 농도를 함유하는 제2 완충액으로 세척시키면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이 단리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이 커럼을 저-염 농도를 함유하는 제1 완충액으로 세척하면 상기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으로부터 상기 절두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이 용리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저-염 농도를 포함하는 제1 완충액은 200mM, 210mM, 220mM, 230mM, 240mM, 250mM, 260mM, 270mM, 280mM, 290mM, 또는 300mM을 넘지 않는 염 농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저-염 농도를 포함하는 제1 완충액은 200mM ~ 300mM, 210mM ~ 280mM, 220mM ~ 260mM, 210mM ~ 290mM, 240mM ~ 270mM, 또는 230mM ~ 260mM의 염 농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저-염 농도를 포함하는 제1 완충액은 약 220mM, 240mM, 260mM, 또는 280mM 또는 이들 값 사이의 임의의 범위인 염 농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제1 완충액은 약 200mM ~ 약 300mM, 또는 약 220mM ~ 약 280mM의 염 농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저-염 농도를 포함하는 제1 완충액은 약 260mM인 염 농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이 컬럼을 저-염 농도를 함유하는 제1 완충액으로 세척한 후, 고-염 농도를 함유하는 제2 완충액으로 세척하면 상기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으로부터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이 용리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고-염 농도를 포함하는 제2 완충액은 350mM, 360mM, 370mM, 380mM, 390mM, 400mM, 410mM, 420mM, 430mM, 440mM, 또는 450mM 미만의 염 농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고-염 농도를 포함하는 제2 완충액은 350mM ~ 450mM, 360mM ~ 430mM, 370mM ~ 410mM, 360mM ~ 440mM, 390mM ~ 420mM, 또는 380mM ~ 410mM 또는 이들 값 사이의 임의의 범위 염농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제2 완충액은 350mM ~ 450mM 또는 380mM ~ 420mM 염 농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저 -염 농도를 포함하는제1 완충액은 약 380mM, 400mM, 420mM, 또는 440mM인 염 농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저-염 농도를 포함하는 제1 완충액은 약 400mM인 염 농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제1 완충액 및 제2 완충액의 pH는 4.5 ~ 6.5, 4.7 ~ 6.3, 5.1 ~ 5.7, 4.7 ~ 6.1, 5.5 ~ 5.9, 또는 5.3 ~ 5.7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제1 완충액 및 제2 완충액의 pH는 약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또는 6.0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제1 완충액 및 제2 완충액의 pH는 약 5.5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제1 완충액 및 제2 완충액의 pH는 동일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제1 완충액 및 제2 완충액의 pH는 상이하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생산 방법은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상기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에 적용시키고, 그 다음 이 컬럼을 저-염 농도를 함유하는 제1 완충액으로 세척하고, 그 다음 고-염 농도를 함유하는 제2 완충액으로 용리시키면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이 단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로딩 밀도로 상기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에 적용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로딩 밀도는 수지 L당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그램 (g/L)으로 정의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로딩 밀도는 20, 25, 30, 35, 40, 45, 50, 또는 55g/L, 이들 사이의 임의의 범위를 넘지 않는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로딩 밀도는 적어도 15, 20, 25, 30, 35, 40, 45, 또는 50g/L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로딩 밀도는 15 ~ 55, 20 ~ 45, 25 ~ 50, 20 ~ 35, 30 ~ 40, 35 ~ 50, 또는 20 ~ 50g/L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로딩 밀도는 50g/L이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방법은 숙주 세포, 이때 상기 숙주 세포는 포유류 세포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숙주 세포는 CHO 세포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숙주 세포는 본원에 기술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중 임의의 단백질을 비롯하여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벡터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방법은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순도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CE-SDS(도데실 황산나트륨염 모세관 전기영동)는 단일클론 항체의 정량 분석을 포함하여 단백질의 순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분석 방법이다. 항체 샘플은 교체 가능한 SDS-겔 완충액과 혼합된 후, SDS-겔로 채워진 모세관을 통해 전기영동된다. 샘플은 고전압을 사용하여 모세관 입구 모세관에 주입된다. 분리 매트릭스를 통한 단백질 이동은 양극 방향으로 발생하며, UV 흡광도 검출 시스템을 사용하여 모세관의 원위 말단 근처에서 정량적 검출은 일어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순도는 도데실 황산나트륨염 모세관 전기영동(CE-SD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LC), 질량 분석법(MS)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분석 방법들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순도는 도데실 황산나트륨염 모세관 전기영동 (CE-SDS)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순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적어도 80%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이 되도록 정제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존재하는 상기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양으로 정의되는 순도를 갖는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전장의 항체-펩티드 융합체로 구성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적어도 80%의 순도를 갖는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적어도 80%, 85%,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또는 99.5%의 순도를 갖는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80% ~ 100%, 82% ~ 96%, 85% ~ 90%, 84% ~ 92%, 80% ~ 88%, 90% ~ 98%, 또는 95% ~ 100%의 순도를 갖는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순도는 아밀로이드 기질 결합에 대해 양(positively)의 상관관계가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순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적어도 80%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이 되도록 정제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존재하는 상기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양으로 정의되는 순도를 갖는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전장의 항체-펩티드 융합체로 구성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20%를 넘지 않는 절단 산물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N-말단 또는 C-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단 산물은 N-말단 또는 C-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20%, 15%, 12%, 10%, 9%, 8%, 7%, 6%, 5%, 4%, 3%, 2%, 1%, 또는 0.5%를 넘지 않는 절단 산물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20% ~ 0%, 15% ~ 2%, 12% ~ 4%, 15% ~ 8%, 10% ~ 1%, 5% ~ 2%, 또는 2% ~ 0%의 절단 산물을 포함한다.
VII. 키트
본 명세서는 본 명세서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함유하는 키트를 또한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키트에는 정제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용기들이 내포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상기 키트에는 본 명세서의 방법에 따른 사용 지침이 추가 내포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이들 지침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방법에 따라, 아밀로이드 질환 치료를 위해 본원에서 기술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투여 설명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상기 지침은 예를 들면 대상체에서, 조직 샘플에서, 또는 세포에서 아밀로이드 침착을 어떻게 검출하는 지에 대한 설명을 포함한다. 상기 키트는 해당 개체가 본원에서 기술된 아밀로이드 질환을 갖는지, 그리고 이 질환 단계를 확인하는 것을 기반으로, 치료에 적합한 개체를 선별하는 설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라벨 또는 패키지 삽입물에는 이 조성물이 본 명세서의 질환의 치료에 이용된다는 것이 명시되어 있다. 여기에 설명된 방법들중 임의의 하나를 실행하기 위한 지침이 제공될 수 있다.
VIII. 실시예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더 설명하지만, 이의 범위를 어떤 식 으로든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 및 당해 분야의 일반적인 기술 수준을 고려하여, 다음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현재 개시된 주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수정 및 변경이 채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명세서 및 개시 내용의 통합 부분으로 간주되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1.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들의 디자인
다음 실시예는 예시적인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항체 융합 단백질 구조체들의 디자인을 설명한다. 예시적인 구조체들의 구조는 도 1-4에서 제공된다. 상기 구조체들의 아미노산 서열은 하기 표 E1표 E2에서 제공된다. 표 E1-E2에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p5R의 아미노산 서열은 굵게, 스페이서 서열은 밑줄과 기울기체로 나타낸다.
표 E1.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경쇄 서열
표 E2.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중쇄 서열
실시예 2. Len(1-22) 단량체 펩티드에 대한 인간화된 항-아밀로이드 항체들의 결합 친화력
인간화된 항-아밀로이드 항체들의 결합 친화력은 예를 들면, 국제 출원 번호 PCT/US2020/060596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결정되었다. 하기 표 E3은 상기 인간화된 항-아밀로이드 항체들이 Len(1-22) 단량체 펩티드에 결합을 측정하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 (SPR)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표 E3의 "리간드" 컬럼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추가적인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또는 이러한 치환 없는 인간화된 VH9 서열 및 VL4 서열을 테스트하였다.
표 E3. Len(1-22) 단량체 펩티드에 인간화된 항체들의 결합을 분석하는 예시적인 SPR 분석
실시예 3. rVλ6Wil 원섬유에 인간화된 항-아밀로이드 항체들의 결합 친화력
rVλ6Wil 원섬유에 결합하는 인간화된 항-아밀로이드 항체들의 능력은 키메라 항체 c11-1F4와 비교하여 예를 들면, 유로피움-연걔된 면역흡착 분석 (EuLISA)에 의해 테스트되었다 (도 5A). 도 5A에서 제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c11-1F4는 ~72nM의 EC50 값으로 결합하였고, VH10/VL4는 17nM의 EC50 값으로 결합하였고, VH9/VL4는 7nM의 EC50 값으로 결합하였고, VH8/VL4는 16nM의 EC50 값으로 결합하였고, VH7/VL4는 75nM의 EC50 값으로 결합하였고, 그리고 VH6/VL3는 95nM의 EC50 값으로 결합하였다. VH9/VL4는 c11-1F4에 비교하여 결합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도 5A). 상기 VH9/VL4 항체는 VH6/VL3보다는 더 큰 수준으로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였다 (도 5A).
PCT/US2020/060596 (이의 전문이 본원의 참고자료에 편입됨)에서 추가 기술된 바와 같이, 펩티드 p5 및 p5R은 VH9/VL4 및 VH6/VL3을 갖는 인간화된 항체들의 경쇄 N-말단에 추가되었다. 도 5B에 나타낸 것과 같이, 펩티드 p5 및 p5R을 VH6/VL3의 경쇄 N-말단에 추가하면 rVλ6Wil 원섬유에 대한 상기 결합이 ~30-배 강화되었다 (EC50에 기초하여). 도 5B에서 제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VH6/VL3-p5는 3nM의 EC50 값으로 결합하였고, VH6/VL3-p5R은 3nM의 EC50 값으로 결합하였고, c11-1F4는 ~100nM의 EC50 값으로 결합하였고, 및 VH6/VL3은 95nM의 EC50 값으로 결합하였다.
일반적으로, 아르기닌 변이체 p5 (p5R)을 갖는 변이체들이 p5 변이체들 보다 더 우수하다 (도 5C F도 5D).
도 5E에 나타낸 것과 같이, VH9/VL4는 rVλ6Wil 원섬유에 대해 뮤린 부모와 동일한 반응성을 갖는다.
도 5E 도 5F에 나타낸 것과 같이, VH6/VL3-p5 및 VH6/VL3-p5R은 hATTR 아밀로이드 추출물에 대해 결합을 나타내었다. 도 5E 도 5F에 나타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VH6/VL3-p5는 50nM의 EC50 값으로 Sno hATTR 추출물에 결합하였고, 90nM의 EC50 값으로 Ken ATTR 추출물에 결합하였고, 그리고 VH6/VL3-p5R은 47nM의 EC50 값으로 Sno ATTR 추출물에 결합하였고, 70nM의 EC50 값으로 Ken ATTR 추출물에 결합하였고, 그리고 85nM의 EC50값으로 Per125 wtATTR에 결합하였다.
하기 표 E4에서는 mIgp5, hIgG1, c11-1F4, m11-1F4, VH6/VL3-p5, VH9/VL4-p5, 및 VH9/VL4-p5R이 rVλ6Wil 원섬유, Per125 wtATTR 추출물, KEN hATTR 추출물, SHI ALλ 간 추출물, 및 TAL ALκ 간 추출물에 결합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EuLISAs의 결과를 제공한다. 항체 및 기질의 각 조합의 경우, 이 분석에서 Log-변환된 EC50, EC50, 및 결합의 최대 수준을 나타낸다. “na”가 붙은 상태는 테스트되지 않았다. 표 E4에 나타낸 것과 같이, p5 또는 p5R에 융합된 인간화된 항-아밀로이드 항체들은 각종 아밀로이드 원섬유 및 아밀로이드 추출물에 결합할 수 있었다. VH6/VL3-p5, VH9/VL4-p5, 및 VH9/VL4-p5R은 m11-1F4 및 모든 기타 대조군 항체들보다 더 높은 친화력(EC50 측정을 기반으로 하여)으로 테스트된 모든 원섬유 및 추출물에 결합하였다. VH9/VL4-p5R은 일반적으로 VH9/VL4-p5 보다 더 낮은 EC50들을 보였고, VH9/VL4-p5는 일반적으로 VH6/VL3-p5 보다 더 낮은 EC50들을 보였다.
표 E4. 예시적인 EuLISA 데이터
실시예 4. 인간화된 항-아밀로이드 항체들에 의해 Wil 원섬유 기질 풀 다운
PCT/US2020/060596에 기술된 바와 같이 기질을 풀 다운시키는 항-아밀로이드 항체들의 능력을 검사하였다. mIgG-p5는 풀다운 검사에서 Wil 원섬유 및 아밀로이드 추출물에 우수한 결합을 나타내었다 (도 6). 상기 VH9/VL4 부모 및 변이체들의 기질 풀다운 능력은 하기 표 E5에 나타낸 것과 같이, mIgp5에 비교하여 상당히 감소되었다. 표 E5에서, 표시된 값은 결합된 백분율이며, 데이터가 없는 셀은 테스트되지 않은 항체/기질 조합을 나타낸다.
표 E5. 예시적인 풀다운 실험 요약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대한 옵소닌으로 작용하는 (가령, 아밀로이드 원섬유의 식세포작용을 촉진시키는) 인간화된 항-아밀로이드 항체들의 능력은 PCT/US2020/060596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테스트되었다. VH9/VL4-p5 and VH9/VL4-p5R은 VH6/VL3-p5 및 VH6/VL3-p5R보다 rVλ6Wil 원섬유 취입을 더 잘 촉진시키고, 이는 위에서 기술된 ELISA 결합 데이터에서의 차이와 일치한다 (도 7A 도 7B). 펩티드 없는 VH9/VL4는 p5 또는 p5R이 부착된 VH6/VL3 만큼 대략적으로 양호하며, 펩티드 없는 VH6/Vl3 보다는 몇 배 더 우수하다(도 7C에 나타냄). VH9/VL4 단독은 c11-1F4 보다 더 우수한 옵소닌이다(도 7B). VH6/VL3-p5 및 VH6/VL3-p5R은 mIgp5에 대한 대등한 원섬유 취입 수준으로 촉진시키고, c11-1F4 보다는 더 우수한 수행능을 가진다 (도 7A). VH9/VL4-p5 및 VH9/VL4-p5R 또한 mIgp5에 대한 대등한 원섬유 취입 수준으로 촉진시키고, c11-1F4 보다는 더 우수한 수행능을 가진다 (도 7B). 놀랍게도, p5 또는 p5R 펩티드에 접합된 상기 인간화된 항-아밀로이드 항체들은 c11-1F4보다 상당히 더 나은 옵소닌화를 제공하였다.
실시예 5. VH9-D54E/VL4-N33S-p5R의 유가식 생산 및 관류 생산;아밀로이드 기질의 결합
유가식 배양 방법 및 기타 반-연속성 배양 방법은 높은 배양 밀도, 높은 제품 수율 및 유연한 생산성 적용으로 인해 재조합 단백질 및 항체 생산에 자주 사용된다. 그러나, 고-밀도 배양은 전체 생산 수율이나 전략에 해로울 수 있는 억제 효소 및 독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포유동물 세포에 의한 초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구조물의 발현을 평가한 결과, 융합 단백질은 아마도 숙주 세포 유래 프로테아제에 의한 절단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류는 고-밀도 배양 방법(가령, 유가식)과 관련된 문제를 방지하는 연속 배양 방법의 한 가지 유형이지만, 관류는 생산 수율이 낮고 복잡성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VH9-D54E/VL4-N33S-p5R (VSPSV 스페이서와 함께)은 도 8A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예시적인 유가식 배양 방법 및 관류 모드 배양 방법을 이용하여 단리되었고, 순도에 대해 평가되었다 (무손상 융합 단백질 퍼센트). 유가식 배양 방법 및 관류 모드 배양 방법을 이용하여 생산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결합 친화력이 테스트되었고, 이때 기질은 아밀로이드 유사 원섬유 rVλ6WIL이다 (도 8B).
중국 헴스터 난소 세포는 유가식 모드 배양 방법 및 관류 모드 배양 방법에 의한 단백질 생산에 이용되었다. 세포를 0.1-2 x 106 세포/mL의 밀도로 3 - 15cm 플레이트에 신선한 배양 배지(화학적으로 정의된, 단백질-없는)를 사용하여 120RPM으로 소용돌이치면서 플레이팅하고 37℃(5% CO2)에서 배양했다. VH9-D54E/VL4-N33S-VSPSV-p5R 생산을 위해, VH9-D54E를 포함하는 항체 중쇄를 인코딩하는 플라스미드와 VL4-N33S-VSPSV-p5R을 포함하는 항체 경쇄를 인코딩하는 또다른 플라스미드로 형질감염 전날, 50-200 x 106 세포를 1 x 106 세포/mL로 새로운 배지에서 계대시켰다. 유가식 모드 배양 또는 관류 모드 배양을 위해 세포를 세척하였고, 새로운 배지로 이동시켰다. 분비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VH9-D54E/VL4-N33S-VSPSV-p5R)를 대략 7일 후 유가식 배양물로부터 수집하였다. 수집된 항체 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단백질 A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에 적용한 후,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에 적용시켰다. 음이온 교환 컬럼으로부터의 용출액을 수집하였고, 이 유가식 배양 방법으로부터 분리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FB.1(유가식 1)로 지정했다.
표 E6은 대체 유가식 배양 방법을 사용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질량 분석 순도 분석을 보여준다.
표 E6. 대체 유가식 모드 배양 방법 이후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질량 분석 (MS) 순도 분석
유가식 세포 배양 중에 관찰된 절두를 해결하기 위해 관류 세포 배양을 평가했다. 관류 세포를 생물반응기에서 성장시켰는데, 여기서 세포 배양물은 세포를 보유하지만, 그러나 세포 및 세포 파편으로부터 단백질의 통과는 허용하는 막 카트리지를 통해 통과되었다. 1일 또는 7일차 이후 분비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VH9-D54E/VL4-N33S-VSPSV-p5R)을 수집하였고, 샘플 프로세싱을 위해 즉시 준비되었다. 분비된 항체 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단백질 A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에 적용한 후,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에 적용시켰다. 음이온 교환 컬럼으로부터의 용출액을 수집하였고, 추가로 양이온 교환(CEX)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했는데, 이때 상기 샘플을 수지 L 당 20.0~50.0g 사이의 로딩 밀도로 로딩하였고, 260mM NaCl(pH 5.5)을 포함하는 세척 완충액으로 세척하였고, 그런 다음 400mM NaCL(pH 5.5)을 포함하는 용출 완충액으로 용출했다.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CEX 컬럼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로부터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절두된 형태가 분리할 수 있었다. 절단된 형태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세척 완충액을 사용한 세척 단계 동안 제거되었다.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용리 완충액으로 용리되었다. CEX 컬럼으로부터의 용출액을 수집하였고, 도데실 황산나트륨염 모세관 전기영동(CE-SDS)을 분석하여 분리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순도를 결정했다. CEX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관류법을 이용하여 99% 이상의 순도를 달성하였다 (표 E7). 이 용출액은 PF.1(관류 1)로 지정되었으며, 아밀로이드 기질 결합 분석을 위해 준비되었다.
표 E7. CEX 크로마토그래피 이후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순도 분석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순도의 기능적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유가식 모드 생산 방식 또는 관류 방식 생산 방식을 통해 얻은 FB.1 및 PF.1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아밀로이드 기질 결합 분석을 위해 준비했다. 아밀로이드 유사 원섬유 rVλ6WIL은 FB.1 또는 PF.1의 결합 친화력 조사를 위한 기질로 이용되었다. FB.1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100nM에서 시작하여 2배 연속 희석하여 웰에 첨가했고, PF.1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5nM에서 시작하여 2배 연속 희석하여 웰에 첨가했다. 결합된 FB.1 또는 PF.1의 검출은 바이오티닐화된 염소 항-인간 Fc-반응성 이차 항체 및 스트렙타비딘-유로피움 접합체를 첨가한 후, 시간-분석형(time-resolved) 형광을 측정하여 평가했다. 3회 반복 실험의 평균 및 표준 편차(SD)를 계산하였고, 로그 x축(Prism)이 있는 S-자형 4-매개변수 로지스틱(4PL) 방정식을 사용한 후 효능(EC50)을 결정했다(도 8B).
rVλ6WIL에 대한 FB.1의 결합의 추정 효능(EC50) 값은 13.4nM이었고, 한편 rVλ6WIL에 대한 PF.1의 결합에 대한 EC50 값은 0.15nM이었다.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방법 (PF.1)을 이용하였을 때, 관류 모드 배양에 의해 생성된 고순도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유가식 배양 방법 (FB.1)에 의해 생산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보다 rVλ6WIL 아밀로이드 기질에 대하여 상당히 더 높은 결합 친화력을 가지고 있음이 이들 데이터가 설명한다. 이후 모든 실시예에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관류 배양을 이용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이 기술된다.
실시예 6. 마우스에서 PF.1 (VH9-D54E/VL4-N33S-p5R)의 생체 분포
본 연구를 위해, VSPSV 스페이서를 갖는 PF.1 (VH9-D54E/VL4-N33S-p5R)은 안정적으로 형질감염된 CHO 세포에 의해 발현되었으며, 1일 동안 관류 조직 배양 방법에 의해 생산되었다. PF.1 항체-펩티드 융합체는 실시예 5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단백질 A 및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되었다. PF.1 항체-펩티드 융합체 및 대조군 hIgG1은 티로신 측쇄에 산화적 결합을 통해 요오드-125로 방사성라벨링을 했다. 유리 방사성 요오드를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고, SDS-PAGE 및 자가방사선 촬영으로 방사선순도를 평가했다 (도 9A). 시약의 중쇄 단백질 및 경쇄 단백질 모두 방사성 라벨링되었으며, 유리 방사성 요오드의 증거는 없었다. PF.1의 경쇄는 균일했고(단일 종), p5R 펩티드의 존재로 인해 대조군 IgG1에 비해 눈에 띄게 더 높은 분자량을 보유했다.
주로 간과 비장이 관련된 전신 AA 아밀로이드증이 있는 마우스의 측면 꼬리 정맥으로 약 100μCi(10μg 시약)를 정맥 내(IV) 주입했다. 주사-후 24시간 시점에, 마우스(그룹당 n=3)를 이소플루란 과다복용으로 안락사시키고, SPECT/CT 이미지를 획득했다 (도 9B). 125I-PF.1 이미지는 AA 마우스의 간, 비장 및 위장관에서 방사능의 보유를 나타냈는데, 이는 주사-후 24시간 시점에 AA 마우스의 125I-hIgG1 이미지와 대조적이다. 추가로, 대조군 시약과 비교하여 125I-PF.1을 투여한 동물의 마우스 심장 심방 영역에서 시각적으로 더 많은 방사능이 있었고, 이는 이 마우스 모델에서 더 큰 혈액 풀(pool) 방사능을 나타내거나 또는 거의 없는 심장 아밀로이드 침전물에 대한 결합을 나타낼 수 있다.
그 직후, 기관 내 시약의 생체분포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조직 관련 방사능을 측정하기 위해 샘플 또는 기관과 혈액을 수집했고, 이때 생체분포는 조직 그램당 측정된 주입 용량의 백분율로 정의된다. 그룹당 3마리의 마우스를 검사하였고, 표준편차(SD)를 포함한 평균 생체분포를 계산했다. 장기 분석에는 근육, 간, 췌장, 비장, 좌 신장, 우 신장, 위, 상부 소장, 하부 소장, 심장, 폐, 및 혈액이 내포되어 있었다. 이 분석에서는 대조군 hIgG1에 비해 간, 비장, 신장 및 위에서 125I-PF.1의 보유가 상당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9C). 이는 PF.1 시약이 이들 기관의 아밀로이드에 의해 선택적으로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 다음, 마우스 기관 내 방사성라벨링된 시약의 분포를 미세자동방사선촬영을 사용하여 평가했다. 간단히 말하면, 조직 샘플을 10% 완충 포르말린에 24시간 동안 고정하였고, 파라핀 블록에 매립한 다음 유리 슬라이드에 준비된 6μm-두께의 조직 편을 만들었다. 슬라이드를 3일 동안 사진 유제에 노출시킨 후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H&E) 염색으로 대비염색했다. 조직에 방사능이 존재한다는 것은 검은 은 알갱이의 침착으로 입증되었다. 평가된 모든 기관에서 125I-PF.1의 결합은 조직의 아밀로이드 침전물과 관련하여 관찰되었고, 이는 간, 비장 및 심장의 대표적인 부분을 보여주는 병리학에 대한 특이적 결합을 나타낸다 (도 9D) (막대 = 500 μm). 대조적으로, 125I-hIgG1 대조군의 유지는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7. 인간 조직 내 아밀로이드에 PF.1의 결합
ATTR (도 10A), AL (도 10B10C), 또는 ALETC2 (도 10D) 아밀로이드를 함유하는 몇 가지 인간 조직으로부터 포르말린 고정 파라핀 매립된 절편을 제작했다. 알츠하이머 질환 환자의 추가 뇌 조직 샘플도 또한 평가되었다 (도 10E). 상기 조직을 표준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오티닐화된 PF.1(VSPSV 스페이서 포함한 VH9-D54E/VL4-N33S-p5R로 착색했고; PBS내 2μg/mL), 디아미노벤지딘 첨가 후 시각화시켰다 (검정실선 화살표). 동일한 조직의 슬라이드에 있는 아밀로이드의 존재는 조직을 알칼리성 콩고 레드 용액으로 착색한 후, 콩고 레드 형광으로 시각화했다(흰색 화살표).
PF.1은 ATTRv 아밀로이드증의 두 샘플(T60A KEN 및 T60A SNO)(도 10A) 및 AL 아밀로이드증의 두 샘플(ALκ TAL 및 ALκ BAB)(도 10B)에서 심근세포를 둘러싸는 심장 아밀로이드 침착물에 특이적으로 결합했다. 유사하게, 신장의 AL 아밀로이드 침착물(ALκ HUN 및 ALκ JON)에서 아밀로이드와의 특이적 결합이 관찰되었다 (도 10C). ALECT2 아밀로이드에 대한 PF.1의 특이적 결합이 신장 및 비장 조직 샘플에서 관찰되었다 (도 10D). 마지막으로, 알츠하이머 질환 환자의 뇌에서 Aβ 아밀로이드로 구성된 확산 및 중심부 플라크가 PF.1로 양성 착색되었다 (도 10E).
이러한 데이터는 다양한 조직에서 다양한 유형의 조직 아밀로이드 침전물과 PF.1의 특정 반응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p5R 펩티드에 의해 매개되는 PF.1의 범 아밀로이드 반응성은 아밀로이드 관련 질병의 가장 일반적인 4가지 형태의 조직을 사용한 면역조직화학적 착색에 의해 입증된다.
실시예 8. 생체내 PF.1에 의한 인간 AL 아밀로이드 추출물의 식세포작용
인간 AL(BAL) 아밀로이드 추출물 샘플은 pH 민감성 염료 숙신이미딜-pHrodo 적색 형광단으로 라벨링되었다. pHrodo 레드는 pH 7.5에서 약한 형광을 나타내지만, 식세포작용-후 대식세포의 포식용해소체에서 발견되는 것처럼 pH가 더욱 산성이 될수록 형광이 강화된다. 인간 AL (BAL) 아밀로이드 추출물 (대략 10% w/w pHrodo 적색-라벨된 물딜)을 VSPSV 스페이서를 갖는 PF.1 (VH9-D54E/VL4-N33S-p5R; 2 mg의 AL 추출물 당 500μg의 PF.1)와 함께 대략적으로 30분 동안 사전-항온처리했다. 대조군으로써, AL 추출물은 PF.1 없이 유사한 용적의 PBS 에서 항온처리되었다. 면역절충된 (NU/NU) 마우스 (그룹당 n=4)의 등 피하로 2 mg의 PF.1-피복된 AL 추출물을 투여하였다. pHrodo 적색-라벨된 아밀로이드로부터의 형광 방출은 이소플루란(공기 중 1-2%) 마취 하에 마우스의 광학 영상화에 의해 검출되었다. 아밀로이드 주입-후 1일, 5일, 7일, 10일, 12일 후에 마우스를 영상화하고, 형광 방출을 정량화했다.
아밀로이드를 PF.1과 함께 사전 배양하면, pHrodo 적색 형광 방출의 증가로 입증되는 바와 같이, 주입-후 12일차에 걸쳐 아밀로이드의 식세포작용이 빠르고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도 11A). 대조적으로, 상기 아밀로이드 추출물 단독 (대조군)으로부터 형광 방출은 상당히 더 낮았다 (도 11A). 주사-후 12일차 시점에서 PF.1-처리된 그룹과 대조군 그룹 간의 차이는 처리된 그룹 (도 11B에서 나타낸 대표 마우스)에서 시각적으로 강화되었다.
이러한 데이터는 아밀로이드 결합 PF.1이 식균 세포, 주로 생체내 대식세포에 의한 아밀로이드의 식세포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입증한다.
실시예 9. 시험관내 PF.1에 의한 인간 AL 아밀로이드 추출물의 식세포작용
인간 AL 추출물 (ALκ 또는 ALλ) 및 인간 ATTR (v 또는 wt) 아밀로이드 추출물을 생체-외 식세포작용 분석에 사용하기 위해 pH 민감성 염료 숙신이미딜-pHrodo 적색 형광단으로 라벨링되었다. 인간 THP-1 세포는 포르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PMA)를 첨가하여 활성화되었고, 24-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의 웰에 씨딩했다. PF.1 (VSPSV 스페이서를 갖는 VH9-D54E/VL4-N33S-p5R) 또는 대조군 hIgG1 항체 (6nM, 20nM, 60nM, 및 200nM)의 양을 증가시키면서 웰에 20-μg 중량의 아밀로이드 추출물을 첨가하였고, 1 시간 동안 37℃에서 항온처리했다. 역-형광 현미경(Keyance BZ X800)과 각 웰에 대해 캡처된 4개의 디지털 이미지(4x 대물렌즈)를 사용하여 웰을 관찰했다. 스펙트럼 분할을 사용하여, 각 이미지의 형광을 정량화하고 4개 이미지의 평균 및 표준 편차(SD)를 결정했다 (도 12A-12D).
이들 결과에서 PF.1은 활성화된 인간 THP-1 대식세포에 의한 다양한 아밀로이드 추출물의 식균작용을 용량-의존적 방식으로 향상시키며, 이들 분석에서 최대 효과는 ALκ추출물 (도 12A), ALλ 추출물 (도 12B), ATTRv 추출물 (도 12C), 및 ATTRwt 추출물 (도 12D)에 대해 대략적으로 60nM PF.1에서 관찰되었음이 증명되었다. 아밀로이드 기질의 증가된 식세포작용으로 인한 형광 방출의 향상은 모든 경우에 대조군 hIgG1보다 상당히 더 컸다.
이러한 데이터는 PF.1에 의한 인간 아밀로이드의 옵소닌화가 인간 대식세포에 의한 물질의 상당한 식세포작용을 초래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실시예 10. PF.1에 의한 다양한 아밀로이드 기질의 잠재적 결합
합성 아밀로이드 유사 원섬유 (rVλ6WIL 및 Aβ(1-40)) 뿐만 아니라 인간 AL 추출물 (ALλ 또는 ALκ) 그리고 인간 ATTRV 및 ATTRwt 아밀로이드 추출물을 PF.1의 결합 친화력 평가를 위한 기질로 이용하였다. 상기 항체-펩티드 접합체를 100nM에서 시작하여 2배 연속 희석하여 웰에 첨가했다. rVλ6WIL을 함유하는 웰들의 경우, 상기 항체-펩티드 접합체를 5nM에서 시작하여 2-배 연속 희석하여 웰에 첨가했다. 결합된 PF.1 (VSPSV 스페이서를 갖는 VH9-D54E/VL4-N33S-p5R)의 검출은 바이오티닐화된 염소 항-인간 Fc-반응성 이차 항체 및 스트렙타비딘-유로피움 접합체를 첨가한 후, 시간-분석형 형광을 측정하여 평가했다. 3회 반복 실험의 평균 및 표준 편차(SD)를 계산하였고, 로그 x축(Prism)이 있는 S-자형 4-매개변수 로지스틱(4PL) 방정식을 사용한 후 효능(EC50)을 결정했다 (도 13A). 비-반응성 hIgG1을 병행 분석에서 음성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도 13B).
아밀로이드 기질에 대한 PF.1의 결합에 대한 추정 효능(EC50) 값의 범위는 합성 원섬유의 경우 0.15nM에서 ALκ(GRA) 아밀로이드 추출물의 경우 0.6nM이다 (표 E8). 이들 데이터는 합성 원섬유 및 인간 AL 및 ATTR 아밀로이드 추출물에 대한 PF.1의 높은 친화성 결합을 입증한다.
표 E8. 다양한 아밀로이드 기질에 대한 PF.1 결합의 EC50 값
Aβ(1-40), Aβ의 40개 아미노산 형태; wt, 야생형; v, 변이체 유형; T60A, 트랜스티레틴에서 돌연변이. 125, KEN, SHI, TAL, BAL, 및 GRA는 Alκ및 ALλ 원섬유에 대한 환자 샘플 명칭이다.
실시예 11. 시험관내 PF.7에 의한 합성 아밀로이드 기질 결합
본 연구를 위해, VH9-D54E/VL4-N33S-p5R (VSPSV 스페이서를 갖는)을 CHO 세포에서 발현시켰고, PF.1 경우에 기술된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7일 동안 관류 조직 배양 방법에 의해 생산되었다. 항체-펩티드 융합체는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단백질 A 및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되었고 - 상기 단리된 물질을 PF.7로 명명하였다. PF.7 결합 분석의 경우 기질로써 합성 아밀로이드 유사 원섬유 (Tau 441, α-시누클레인, 및 Aβ(1-40))를 이용하였다. PF.7을 100nM에서 시작하여 2배 연속 희석하여 웰에 첨가했다. 결합된 PF.7의 검출은 바이오티닐화된 염소 항-인간 Fc-반응성 이차 항체 및 스트렙타비딘-유로피움 접합체를 첨가한 후, 시간-분석형 형광을 측정하여 평가했다. 3회 반복 실험의 평균 및 표준 편차(SD)를 계산하였고, 로그 x축(Prism)이 있는 S-자형 4-매개변수 로지스틱(4PL) 방정식을 사용한 후 효능(EC50)을 결정했다 (도 14). 비-반응성 hIgG1을 병행 분석에서 음성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도 13B).
상이한 원섬유 기질에 대한 PF.7의 결합 추정 효능(EC50)은 α-시누클레인, Tau 441, 및 Aβ(1-40)에 대해 127nM, 1.3 uM, 및 0.4nM이었다 (표 E9).
표 E9. 합성 원섬유 기질에 대한 PF.7의 EC50 값
실시예 12. 시험관내 PF.1에 의한 인간 AL 아밀로이드 추출물의 식세포작용은 인간 혈청에 의해 강화된다 .
합성 rVλ6WIL (Wil) 원섬유 및 인간 ALκ(TAL) 아밀로이드 추출물을 생체-외 식세포작용 분석에 사용하기 위해 pH 민감성 염료 숙신이미딜-pHrodo 적색 형광단으로 라벨링되었다. 인간 THP-1 세포는 포르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PMA)를 첨가하여 활성화되었고, 24-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의 웰에 씨딩했다. 20-μg 중량의 아밀로이드 추출물을 보체 원천으로 20% 인간 혈청 존재하에서 또는 부재하에서, 60nM PF.1 (VSPSV 스페이서를 갖는 VH9-D54E/VL4-N33S-p5R)과 함께 웰에 추가하였다. 상기 플레이트를 1 시간 동안 37℃에서 항온처리했다. 역-형광 현미경(Keyance BZ X800)과 각 웰에 대해 캡처된 4개의 디지털 이미지(4x 대물렌즈)를 사용하여 웰을 관찰했다. 스펙트럼 분할을 사용하여, 각 이미지의 형광을 정량화하고 4개 이미지의 평균 및 표준 편차(SD)를 결정했다 (도 15).
결과에서 보체의 공급원인 인간 혈청이 활성화된 인간 THP-1 대식세포에 의한 PF.1에 의한 옵소닌화 후, 아밀로이드 기질의 식세포작용을 유의적으로 향상시켰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들 데이터에서 PF.1에 의한 인간 아밀로이드의 옵소닌화 및 인간 대식세포에 의한 식세포작용은 보체 원천으로 인간 혈청에 의해 유의적으로 강화될 수 있음을 입증한다.
IX. 예시적인 구체예들
1. 다음을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그리고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 이때 항체는 중쇄 가변 영역 (VH)을 포함하는 중쇄와 경쇄 가변 영역 (VL)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또는 스페이서 없이 상기 경쇄의 C-말단 단부에 연계된다.
2. 구체예 1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경쇄의 C-말단 단부에 연계된다.
3. 구체예 1 또는 구체예 2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스페이서는 펩티드 스페이서다.
4. 선행 구체예들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경쇄는 경쇄 불변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쇄는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5. 선행 구체예들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두 개의 경쇄와 두 개의 중쇄를 포함한다.
6. 선행 구체예들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스페이서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및 83-8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7. 다음을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그리고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 이때 항체는 중쇄 가변 영역 (VH)을 포함하는 중쇄와 경쇄 가변 영역 (VL)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상기 항체는 상기 경쇄의 N-말단 및/또는 C-말단 단부 및/또는 상기 중쇄의 N-말단 및/또는 C-말단 단부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되며, 이때 상기 스페이서는 서열 식별 번호: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8. 구체예 7의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상기 항체는 상기 경쇄의 N-말단 단부 또는 상기 중쇄의 N-말단 단부에 연계된다.
9. 구체예 7의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상기 항체는 상기 경쇄의 C-말단 단부 또는 중쇄의 C-말단 단부에 연계된다.
10. 구체예 7-9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경쇄는 경쇄 불변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쇄는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11. 구체예 7-10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두 개의 경쇄 및 두 개의 중쇄를 포함한다.
12. 선행 구체예들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들 중 임의의 하나에 대해 적어도 85%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13. 선행 구체예들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적어도 두 개의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동일한 펩티드 또는 상이한 펩티드이다.
14. 선행 구체예들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2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18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한다.
15. 선행 구체예들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항체는 키메라 항체 또는 인간화된 항체이다.
16. 구체예 1-13 및 15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a)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64-7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CDR-L3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CDR-H1, 서열 식별 번호: 18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CDR-H3을 포함하고; b)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2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CDR-L;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CDR-L3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CDR-H1, 서열 식별 번호: 71-8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CDR-H2;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CDR-H3을 포함하고; 또는 c)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64-7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CDR-L3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CDR-H1, 서열 식별 번호: 71-8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CDR-H2;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 CDR-H3을 포함한다.
17. 구체예14-16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2-42으로 구성된 군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18. 구체예 14-17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43-63으로 구성된 군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19. 구체예 14-18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a)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4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48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b)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5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c)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6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5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d)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5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e)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5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는 f)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6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20. 구체예 14-19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4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48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21. 구체예 14-19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5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22. 구체예 14-19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6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5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23. 선행 구체예들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항체는 전장 항체, Fab 단편, 또는 scFv이다.
24. 선행 구체예들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항체는 Fc 영역을 포함한다.
25. 구체예 24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Fc 영역은 IgG1, IgG2, IgG3, 또는 IgG4 아이소형의 영역이다.
26. 다음을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a)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의 경쇄 N-말단에 연계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제1 폴리펩티드와 제2 폴리펩티드, 그리고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의 중쇄를 포함하는 제3 폴리펩티드 및 제4 폴리펩티드, 이때 상기 제1 폴리펩티드와 제2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3 폴리펩티드와 제4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b)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의 경쇄를 포함하는 제1 폴리펩티드와 제2 폴리펩티드, 그리고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의 중쇄의 C-말단에 연계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제3 폴리펩티드 및 제4 폴리펩티드, 이때 상기 제1 폴리펩티드와 제2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8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세트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3 폴리펩티드와 제4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세트를 포함하고; c)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의 경쇄의 C-말단에 연계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제1 폴리펩티드와 제2 폴리펩티드, 그리고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의 중쇄를 포함하는 제3 폴리펩티드 및 제4 폴리펩티드, 이때 상기 제1 폴리펩티드와 제2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세트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3 폴리펩티드와 제4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세트를 포함하고; 또는 d)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의 경쇄의 C-말단에 연계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제1 폴리펩티드와 제2 폴리펩티드, 그리고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의 중쇄를 포함하는 제3 폴리펩티드 및 제4 폴리펩티드, 이때 상기 제1 폴리펩티드와 제2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세트를 포함하고, 및 상기 제3 폴리펩티드와 제4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세트를 포함한다.
27. 선행 구체예들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는 검출가능한 라벨에 접합된다.
28. 선행 구체예들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rVλ6Wil, Aβ, Aβ(1-40), IAAP, ALκ4, Alλ1, 또는 ATTR 원섬유에 결합한다.
29. 구체예 1-28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30. 구체예 1-28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핵산(들).
31. 구체예 30의 핵산(들)을 포함하는 벡터.
32. 구체예 31의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
33. 구체예 32의 숙주 세포에서, 이때 상기 숙주 세포는 포유류 세포, 임의선택적으로 중국 헴스터 난소 (CHO) 세포다.
34.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벡터의 발현에 적합한 조건 하에서 구체예 32 또는 구체예 33의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것을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만드는 방법.
35. 구체예 34의 방법에서, 이때 상기 방법은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36. 아밀로이드 관련된 장애를 갖는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에서, 이 방법은 상기 대상체에게 구체예 1-28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치료요법적 효과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37. 구체예 36의 방법에서,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 관련된 장애는 전신 또는 국소화된 아밀로이드증이다.
38. 구체예 36의 방법에서,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 관련된 장애는 AL, AH, Aβ2M, ATTR, AA, AApoAI, AApoAII, AGel, ALys, ALECT2, AFib, ACys, ACal, AMed, AIAPP, APro, AIns, APrP, 또는 Aβ 아밀로이드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39. 구체예 36-38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방법에서,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이용한 치료로 아밀로이드가 제거된다.
40. 구체예 36-39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방법에서, 이때 상기 대상체는 인간이다.
41. 제거할 아밀로이드 침착물을 표적화시키는 방법에서, 이 방법은 구체예 1-28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42. 구체예 41의 방법에서,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 침착물이 제거된다.
43. 구체예 41 또는 42의 방법에서,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 침착물은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 의해 옵소닌화된다.
44. 아밀로이드-기반 질환을 앓고 있는, 또는 앓고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에서, 이 방법은 a) i) 구체예 1-28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이 대상체가 아밀로이드 침착물을 보유하는 지를 결정하고,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검출가능한 라벨을 포함하고, 그리고 ii) 상기 검출가능한 라벨과 연합된 신호가 상기 대상체로부터 검출될 수 있는 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b) 만약 상기 신호가 검출된다면, 상기 대상체에게 아밀로이드증 치료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45. 구체예 44의 방법에서, 이때, 만약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다면, 아밀로이드 침착이 나중에 발생하는 지에 대해 상기 대상체를 모니터링한다.
46. 구체예 45의 방법에서, 상기 신호의 강도를 결정하고, 상기 신호를 임계값과 비교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이 대상체가 아밀로이드 침착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47. 구체예 44-46 중 임의의 하나의 방법에서,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증 치료는 구체예 1-28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48. 구체예 47의 방법에서,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투여로 상기 대상체에서 아밀로이드 침착이 없어진다.
49. 대상체에서 아밀로이드 침착을 확인하는 방법에서, 구체예 1-28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고, 그리고 상기 항체 펩티드 융합 단백질로부터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검출가능한 라벨을 포함한다.
50. 구체예 44-49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방법에서, 이때 상기 대상체는 아밀로이드가 없거나, 또는 상세 불명의 단일클론 감마병증 (MGUS), 다발성 골수종 (MM),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관련된 형질 세포 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결정된다.
51. 리간드를 검출하는 방법에서, 이 방법은 상기 리간드에 구체예 1-28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 접촉시키고, 그리고 상기 검출가능한 라벨로부터 신호를 결정하고, 이로 인하여 이 리간드가 검출되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검출가능한 라벨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펩티드는 이 리간드에 대해 결합 친화력을 갖는다.
52. 구체예 36-51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에서 사용하기 위한 용도로 구체예 1-28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키트.
1A. 다음을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그리고
식세포작용을 유도하고, 옵소닌으로 작용할 수 있는 항체, 이때 상기 항체는 중쇄 가변 영역 (VH)을 포함하는 중쇄와 경쇄 가변 영역 (VL)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상기 항체는 상기 중쇄 또는 경쇄의 N-말단 단부 또는 C-말단 단부에 연계되고,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2A. 구체예 1A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경쇄는 경쇄 불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쇄는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3A. 구체예 1A 또는 2A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상기 항체는 상기 경쇄의 C-말단 단부에 연계된다.
4A. 구체예 1A 또는 2A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스페이서는 서열 식별 번호: 83 및 서열 식별 번호: 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5A. 구체예 1A-4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들 중 임의의 하나에 대해 적어도 85%, 90%, 95%, 96%, 97%, 98%, 99%, 99.5%, 또는 100%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6A. 구체예 1A-5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두 개의 중쇄 및 두 개의 경쇄를 포함하고, 이때 각 경쇄는 C-말단 단부에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된다.
7A. 구체예 1A-6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항체는 키메라 항체 또는 인간화된 항체다.
8A. 구체예 1A-7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항체는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한다.
9A. 구체예 1A-8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a)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64-7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18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고;
b)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2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1-8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고; 또는
c)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64-7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1-8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한다.
10A. 구체예 1A-8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64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한다.
11A. 구체예 1A-8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a)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4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48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b)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5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c)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6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5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d)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5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e)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5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는
f)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4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12A. 구체예 1A-11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6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5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13A. 구체예 1A-12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항체는 전장 항체다.
14A. 구체예 13A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Fc 영역은 of IgG1 아이소형의 영역이다.
15A. 다음을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항체의 경쇄를 각각 포함하는 제1 폴리펩티드 및 제2 폴리펩티드, 그리고 상기 항체의 중쇄를 각각 포함하는 제3 폴리펩티드 및 제4 폴리펩티드를 포함하고,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 그리고
상기 경쇄 또는 중쇄의 N-말단 또는 C-말단에 연계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이때
a) 상기 제1 폴리펩티드 및 제2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3 폴리펩티드 및 제4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b) 상기 제1 폴리펩티드 및 제2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8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3 폴리펩티드 및 제4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c) 상기 제1 폴리펩티드 및 제2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3 폴리펩티드 및 제4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또는
d) 상기 제1 폴리펩티드 및 제2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3 폴리펩티드 및 제4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16A. 다음을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서열 식별 번호: 1 또는 서열 식별 번호: 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그리고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 이때 상기 항체는 가변 중쇄 (VH) 및 가변 경쇄 (VL)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고,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64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경쇄의 C-말단 단부에 연계되며,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17A. 다음을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서열 식별 번호: 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그리고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 이때 상기 항체는 가변 중쇄 (VH) 및 가변 경쇄 (VL)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고,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64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경쇄의 C-말단 단부에 연계되며,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18A. 구체예 1A-17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아밀로이드 기질에 대해 1.5nM 미만의 EC50를 나타낸다.
19A. 구체예 1A-18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는 검출가능한 라벨에 접합되며, 이때 상기 검출가능한 라벨은 형광 라벨 또는 방사능라벨을 포함한다.
20A. 구체예 19A의 방법에서, 이때 상기 방사능라벨은 I-123, I-124, F-18, ZR-89, 또는 Tc-99m이다.
21A. 구체예 1A-20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기준 IgG 항체와 비교하였을 때 개선된 생체분포, 범(pan) 아밀로이드 반응성, 및 강화된 식세포작용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생체내 속성들을 나타낸다.
22A. 구체예 1A-21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서,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rVλ6Wil, Aβ, Aβ(1-40), IAAP, ALκ4, Alλ1, ATTR, α-시누클레인, 또는 Tau 441 원섬유에 결합한다.
23A.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물:
다음을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i)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그리고
ii) 식세포작용을 유도하고, 옵소닌으로 작용할 수 있는 항체, 이때 상기 항체는 중쇄 가변 영역 (VH)을 포함하는 중쇄와 경쇄 가변 영역 (VL)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상기 항체는 상기 중쇄 또는 경쇄의 N-말단 단부 또는 C-말단 단부에 연계되고,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 없이, 또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되고; 그리고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적어도 90%는 무손상이다.
24A. 구체예 23A의 조성물에서, 이때 상기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구체예 1A-22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25A. 구체예 23A의 조성물에서, 이때 상기 조성물은 10%를 넘지 않는 절단 산물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절단 산물은 서열 식별 번호: 8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N-말단 또는 C-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중쇄,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N-말단 또는 C-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경쇄를 포함한다.
26A. 구체예 23A-25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조성물에서,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밀로이드 기질에 대한 EC50 결합 친화력을 나타내는데, 이때 EC50 결합 친화력은 1.5nM 미만이다.
27A. 구체예 23A-26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조성물에서,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한다.
28A. 구체예 1A-22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29A. 구체예 28A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30A. 구체예 29A의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
31A. 구체예 30A의 숙주 세포에서, 이때 상기 숙주 세포는 포유류 세포, 임의선택적으로 중국 헴스터 난소 (CHO) 세포다.
32A. 다음을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방법:
a)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발현에 적합한 관류 세포 배양 조건 하에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를 배양하고; 그리고
b) 대략 매 12-36 시간마다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회수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i)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그리고
ii) 식세포작용을 유도하고, 옵소닌으로 작용할 수 있는 항체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항체는 중쇄 가변 영역 (VH)을 포함하는 중쇄와 경쇄 가변 영역 (VL)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경쇄의 C-말단 단부에 연계되며,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 없이, 또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33A. 구체예 32A의 방법에서, 단계 b)에서 회수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체를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에 적용시키고, 상기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으로부터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용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34A. 구체예 33A의 방법에서,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절두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로부터 별개로 용리된다.
35A. 구체예 32A-34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방법에서,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구체예 1A-22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36A. 구체예 32A-35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방법에서, 이때 상기 숙주 세포는 CHO 세포이다.
37A. 구체예 32A-36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방법에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순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순도는 도데실 황산 나트륨염 모세관 전기영동(CE-SD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LC), 질량 분석법(MS)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분석 방법들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38A. 구체예 32A-37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방법에서,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적어도 90%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로 정제된다.
39A. 구체예 32A-38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40A. 아밀로이드 침착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 관련된 장애를 갖는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에서, 이 방법은 상기 대상체에게 구체예 1A-22A 및 39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및 구체예 23A-27A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조성물의 치료요법적 효과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41A. 구체예 40A의 방법에서,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 관련된 장애는 전신 또는 국소화된 아밀로이드증이다.
42A. 구체예 40A 또는 41A의 방법에서,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 관련된 장애는 AL, AH, Aβ2M, ATTR, 트랜스티레틴, AA, AApoAI, AApoAII, AGel, ALys, ALEct2, AFib, ACys, ACal, AMed, AIAPP, APro, AIns, APrP, 파킨슨 질환, 알츠하이머 질환, 또는 Aβ 아밀로이드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43A. 구체예 40A-42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방법에서,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 침착은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 의해 옵소닌화된다.
44A. 구체예 40A-43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방법에서, 이때 상기 대상체를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로 치료하면 아밀로이드 침착의 식세포작용이 일어난다.
45A. 대상체 아밀로이드-기반 질환이 있는 또는 아밀로이드-기반 질환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에서, 다음을 포함하는 방법:
a) i) 상기 대상체에게 구체예 1A-22A 및 39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및 구체예 23A-27A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이 대상체가 아밀로이드 침착을 보유하는 지를 결정하고,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검출가능한 라벨, 그리고
ii) 상기 검출가능한 라벨과 연합된 신호가 이 대상체로부터 검출될 수 있는 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b) 만약 상기 신호가 검출된다면, 상기 대상체에게 아밀로이드증 치료를 투여한다.
46A. 구체예 45A의 방법에서, 이때, 만약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다면, 아밀로이드 침착이 나중에 발생하는 지에 대해 상기 대상체를 모니터링한다.
47A. 구체예 45A 또는 46A의 방법에서, 상기 신호의 강도를 결정하고, 상기 신호를 임계값과 비교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이 대상체가 아밀로이드 침착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48A. 구체예 45A-47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방법에서,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SPECT/CT 이미징, PET/CT 이미징, 감마 신티그래피, 또는 광학 이미징에 의해 검출된다.
49A. 구체예 45A-48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방법에서,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증 치료는 구체예 1A-22A 및 39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또는 구체예 23A-27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조성물을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50A. 대상체에서 아밀로이드 침착을 확인하는 방법에서, 구체예 1A-22A 및 39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또는 구체예 23A-27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조성물을 투여하고, 그리고 상기 항체 펩티드 융합 단백질로부터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검출가능한 라벨을 포함한다.
51A. 대상체에서 아밀로이드 제거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서, 다음을 포함하는 방법:
상기 대상체 내 아밀로이드 기질에 구체예 1A-22A 및 39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또는 구체예 23A-27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조성물을 접촉시키고,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검출가능한 라벨을 포함하며, 그리고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펩티드는 아밀로이드 기질에 대한 결합 친화력을 보유하고; 그리고
상기 검출가능한 라벨로부터 신호를 결정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아밀로이드 제거가 검출된다.
52A. 구체예 40A-51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방법에서, 이때 상기 대상체는 인간이다.
53A. 구체예 40A-52A 중 임의의 하나의 방법에 사용을 위한 용도로 구체예 1A-22A 및 39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또는 구체예 23A-27A 중 임의의 하나의 구체예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
예시적인 서열
모든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5'→3 방량으로 나타낸다. 모든 폴리펩티드 서열은 N-말단에서 C-말단 방향으로 나타낸다.
SEQUENCE LISTING <110> Attralus, Inc.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Foundation <120> ANTIBODY-PEPTIDE FUSION PROTEINS FOR TREATING AMYLOID DISORDERS <130> 16599-20006.40 <140> Not Yet Assigned <141> Concurrently Herewith <150> US 63/190,191 <151> 2021-05-18 <160> 92 <170> FastSEQ for Windows Version 4.0 <210> 1 <211> 2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1 Lys Ala Gln Lys Ala Gln Ala Lys Gln Ala Lys Gln Ala Gln Lys Ala 1 5 10 15 Gln Lys Ala Gln Ala Lys Gln Ala Lys Gln 20 25 <210> 2 <211> 2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2 Arg Ala Gln Arg Ala Gln Ala Arg Gln Ala Arg Gln Ala Gln Arg Ala 1 5 10 15 Gln Arg Ala Gln Ala Arg Gln Ala Arg Gln 20 25 <210> 3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3 Lys Ala Lys Ala Lys Ala Lys Ala Lys Ala Lys Ala Lys Ala Lys 1 5 10 15 <210> 4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4 Lys Ala Gln Ala Lys Ala Gln Ala Lys Ala Gln Ala Lys Ala Gln Ala 1 5 10 15 Lys Ala Gln Ala Lys Ala Gln Ala Lys Ala Gln Ala Lys 20 25 <210> 5 <211> 2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5 Lys Ala Gln Gln Ala Gln Ala Lys Gln Ala Gln Gln Ala Gln Lys Ala 1 5 10 15 Gln Gln Ala Gln Ala Lys Gln Ala Gln Gln 20 25 <210> 6 <211> 2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6 Gln Ala Gln Lys Ala Gln Ala Gln Gln Ala Lys Gln Ala Gln Gln Ala 1 5 10 15 Gln Lys Ala Gln Ala Gln Gln Ala Lys Gln 20 25 <210> 7 <211> 2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7 Lys Ala Gln Lys Ala Gln Ala Lys Gln Ala Lys Gln Ala Gln Lys Ala 1 5 10 15 Gln Lys Ala Gln Ala Lys Gln Ala Lys Gln 20 25 <210> 8 <211> 2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8 Lys Thr Val Lys Thr Val Thr Lys Val Thr Lys Val Thr Val Lys Thr 1 5 10 15 Val Lys Thr Val Thr Lys Val Thr Lys Val 20 25 <210> 9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9 Val Tyr Lys Val Lys Thr Lys Val Lys Thr Lys Val Lys Thr Lys Val 1 5 10 15 Lys Thr <210> 10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10 Ala Gln Ala Tyr Ser Lys Ala Gln Lys Ala Gln Ala Lys Gln Ala Lys 1 5 10 15 Gln Ala Gln Lys Ala Gln Lys Ala Gln Ala Lys Ala Lys Gln 20 25 30 <210> 11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11 Ala Gln Ala Tyr Ala Arg Ala Gln Arg Ala Gln Ala Arg Gln Ala Arg 1 5 10 15 Gln Ala Gln Arg Ala Gln Arg Ala Gln Ala Arg Gln Ala Arg Gln 20 25 30 <210> 12 <211> 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12 Lys Ala Gln Lys Ala Gln Ala Lys Gln Ala Lys Gln Ala Gln Lys Ala 1 5 10 15 Gln Lys Ala Gln Ala Lys Gln Ala Lys Gln Ala Gln Lys Ala Gln Lys 20 25 30 Ala Gln Ala Lys Gln Ala Lys Gln 35 40 <210> 13 <211> 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13 Arg Ala Gln Arg Ala Gln Ala Arg Gln Ala Arg Gln Ala Gln Arg Ala 1 5 10 15 Gln Arg Ala Gln Ala Arg Gln Ala Arg Gln Ala Gln Arg Ala Gln Arg 20 25 30 Ala Gln Ala Arg Gln Ala Arg Gln 35 40 <210> 14 <400> 14 000 <210> 15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15 Gln Val Gln Leu Lys Glu Ser Gly Pro Gly Leu Val Ala Pro Ser Gln 1 5 10 15 Ser Leu Ser Ile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Ser Ser Tyr 20 25 30 Gly Val Ser Trp Val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Val Ile Trp Gly Asp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50 55 60 Ser Arg Leu Ser Ile Ser Lys Asp Ile Ser Lys Ser Gln Val Leu Phe 65 70 75 80 Lys Leu Asn Ser Leu Gln Thr Asp Asp Thr Ala Thr Tyr Tyr Cys Val 85 90 95 Thr Leu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16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16 Asp Val Val Met Thr Gln Thr Pro Leu Ser Leu Pro Val Ser Leu Gly 1 5 10 15 Asp Gln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Arg 20 25 30 Asn Gly Asn Thr Tyr Leu His Trp Tyr Leu Gln Lys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Lys Leu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Leu Gly Leu Tyr Phe Cys Phe Gln Thr 85 90 95 Thr Tyr Val Pro Asn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17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17 Gly Phe Ser Leu Ser Ser Tyr Gly Val Ser 1 5 10 <210> 18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18 Val Ile Trp Gly Asp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Ser 1 5 10 15 <210> 19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19 Leu Asp Tyr 1 <210> 20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20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Arg Asn Gly Asn Thr Tyr Leu His 1 5 10 15 <210> 21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21 Lys Val Ser Asn Arg Phe Ser 1 5 <210> 22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22 Phe Gln Thr Thr Tyr Val Pro Asn Thr 1 5 <210> 23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23 Ala Gln Ala Gly Gln Ala Gly Gln Ala Gln Gly Gly Gly Tyr Ser 1 5 10 15 <210> 24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24 Val Thr Pro Thr Val 1 5 <210> 25 <211> 15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25 Ala Gln Ala Gly Gln Ala Gly Gln Ala Gln Gly Gly Gly Tyr Ser Lys 1 5 10 15 Ala Gln Lys Ala Gln Ala Lys Gln Ala Lys Gln Ala Gln Lys Ala Gln 20 25 30 Lys Ala Gln Ala Lys Gln Ala Lys Gln Val Thr Pro Thr Val Asp Val 35 40 45 Val Met Thr Gln Thr Pro Leu Ser Leu Pro Val Ser Leu Gly Asp Gln 50 55 60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Arg Asn Gly 65 70 75 80 Asn Thr Tyr Leu His Trp Tyr Leu Gln Lys Pro Gly Gln Ser Pro Lys 85 90 95 Leu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Ser Gly Val Pro Asp Arg 100 105 110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Ser Arg 115 120 125 Val Glu Ala Glu Asp Leu Gly Leu Tyr Phe Cys Phe Gln Thr Thr Tyr 130 135 140 Val Pro Asn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45 150 155 <210> 26 <211> 14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26 Lys Ala Gln Lys Ala Gln Ala Lys Gln Ala Lys Gln Ala Gln Lys Ala 1 5 10 15 Gln Lys Ala Gln Ala Lys Gln Ala Lys Gln Val Thr Pro Thr Val Asp 20 25 30 Val Val Met Thr Gln Thr Pro Leu Ser Leu Pro Val Ser Leu Gly Asp 35 40 45 Gln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Arg Asn 50 55 60 Gly Asn Thr Tyr Leu His Trp Tyr Leu Gln Lys Pro Gly Gln Ser Pro 65 70 75 80 Lys Leu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Ser Gly Val Pro Asp 85 90 95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Ser 100 105 110 Arg Val Glu Ala Glu Asp Leu Gly Leu Tyr Phe Cys Phe Gln Thr Thr 115 120 125 Tyr Val Pro Asn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30 135 140 <210> 27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27 Gly Gly Gly Tyr Ser 1 5 <210> 28 <211> 10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8 Asp Val Val Met Thr Gln Ser Pro Leu Ser Leu Pro Val Thr Leu Gly 1 5 10 15 Gln Pro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Ser 20 25 30 Asp Gly Asn Thr Tyr Leu Asn Trp Phe Gln Gln Arg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Arg Arg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Asp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Val Gly Val Tyr Tyr Cys Met Gln Gly 85 90 95 Thr His Trp Pro Pro 100 <210> 29 <211> 112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9 Asp Val Val Met Thr Gln Ser Pro Leu Ser Leu Pro Val Thr Leu Gly 1 5 10 15 Gln Pro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Ser 20 25 30 Asp Gly Asn Thr Tyr Leu Asn Trp Phe Gln Gln Arg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Arg Arg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Asp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Val Gly Val Tyr Tyr Cys Phe Gln Thr 85 90 95 Thr Tyr Val Pro Asn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30 <211> 9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0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Gly Ser Ile Ser Ser Tyr 20 25 30 Tyr Trp Ser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Tyr Ile Tyr Thr Ser Gly Ser Thr Asn Tyr Asn Pro Ser Leu Lys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Val Asp Thr Ser Lys Asn Gln Phe Ser Leu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Arg <210> 31 <211> 11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1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Gly Ser Ile Ser Ser Tyr 20 25 30 Tyr Trp Ser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Tyr Ile Tyr Thr Ser Gly Ser Thr Asn Tyr Asn Pro Ser Leu Lys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Val Asp Thr Ser Lys Asn Gln Phe Ser Leu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Arg Leu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32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32 Asp Val Val Met Thr Gln Ser Pro Leu Ser Leu Pro Val Thr Leu Gly 1 5 10 15 Gln Pro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Arg 20 25 30 Asn Gly Asn Thr Tyr Leu His Trp Phe Gln Gln Arg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Arg Arg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Val Gly Val Tyr Tyr Cys Phe Gln Thr 85 90 95 Thr Tyr Val Pro Asn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33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33 Asp Val Val Met Thr Gln Ser Pro Leu Ser Leu Pro Val Thr Leu Gly 1 5 10 15 Gln Pro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Arg 20 25 30 Asn Gly Asn Thr Tyr Leu His Trp Tyr Leu Gln Arg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Arg Arg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Val Gly Val Tyr Tyr Cys Phe Gln Thr 85 90 95 Thr Tyr Val Pro Asn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34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34 Asp Val Val Met Thr Gln Ser Pro Leu Ser Leu Pro Val Thr Leu Gly 1 5 10 15 Gln Pro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Arg 20 25 30 Asn Gly Asn Thr Tyr Leu His Trp Tyr Leu Gln Arg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Arg Leu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Val Gly Leu Tyr Phe Cys Phe Gln Thr 85 90 95 Thr Tyr Val Pro Asn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35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35 Asp Val Val Met Thr Gln Ser Pro Leu Ser Leu Pro Val Thr Leu Gly 1 5 10 15 Gln Pro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Arg 20 25 30 Asn Gly Asn Thr Tyr Leu His Trp Phe Gln Gln Arg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Arg Leu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Val Gly Val Tyr Phe Cys Phe Gln Thr 85 90 95 Thr Tyr Val Pro Asn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36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36 Asp Val Val Met Thr Gln Ser Pro Leu Ser Leu Pro Val Thr Leu Gly 1 5 10 15 Gln Pro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Arg 20 25 30 Ser Gly Asn Thr Tyr Leu His Trp Phe Gln Gln Arg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Arg Leu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Val Gly Val Tyr Phe Cys Phe Gln Thr 85 90 95 Thr Tyr Val Pro Asn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37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37 Asp Val Val Met Thr Gln Ser Pro Leu Ser Leu Pro Val Thr Leu Gly 1 5 10 15 Gln Pro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Arg 20 25 30 Gln Gly Asn Thr Tyr Leu His Trp Phe Gln Gln Arg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Arg Leu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Val Gly Val Tyr Phe Cys Phe Gln Thr 85 90 95 Thr Tyr Val Pro Asn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38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38 Asp Val Val Met Thr Gln Ser Pro Leu Ser Leu Pro Val Thr Leu Gly 1 5 10 15 Gln Pro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Arg 20 25 30 Glu Gly Asn Thr Tyr Leu His Trp Phe Gln Gln Arg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Arg Leu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Val Gly Val Tyr Phe Cys Phe Gln Thr 85 90 95 Thr Tyr Val Pro Asn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39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39 Asp Val Val Met Thr Gln Ser Pro Leu Ser Leu Pro Val Thr Leu Gly 1 5 10 15 Gln Pro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Arg 20 25 30 Ala Gly Asn Thr Tyr Leu His Trp Phe Gln Gln Arg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Arg Leu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Val Gly Val Tyr Phe Cys Phe Gln Thr 85 90 95 Thr Tyr Val Pro Asn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40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40 Asp Val Val Met Thr Gln Ser Pro Leu Ser Leu Pro Val Thr Leu Gly 1 5 10 15 Gln Pro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Arg 20 25 30 His Gly Asn Thr Tyr Leu His Trp Phe Gln Gln Arg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Arg Leu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Val Gly Val Tyr Phe Cys Phe Gln Thr 85 90 95 Thr Tyr Val Pro Asn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41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41 Asp Val Val Met Thr Gln Ser Pro Leu Ser Leu Pro Val Thr Leu Gly 1 5 10 15 Gln Pro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Arg 20 25 30 Ala Gly Asn Thr Tyr Leu His Trp Phe Gln Gln Arg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Arg Leu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Val Gly Val Tyr Phe Cys Phe Gln Thr 85 90 95 Thr Tyr Val Pro Asn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42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42 Asp Val Val Met Thr Gln Ser Pro Leu Ser Leu Pro Val Thr Leu Gly 1 5 10 15 Gln Pro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Arg 20 25 30 Val Gly Asn Thr Tyr Leu His Trp Phe Gln Gln Arg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Arg Leu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Val Gly Val Tyr Phe Cys Phe Gln Thr 85 90 95 Thr Tyr Val Pro Asn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43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43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Ser Ser Tyr 20 25 30 Gly Val Ser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Val Ile Trp Gly Asp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Val Asp Thr Ser Lys Asn Gln Phe Ser Leu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Arg Leu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44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44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Ser Ser Tyr 20 25 30 Gly Val Ser Trp Val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Val Ile Trp Gly Asp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Val Asp Thr Ser Lys Asn Gln Phe Ser Leu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Arg Leu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45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45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Ser Ser Tyr 20 25 30 Gly Val Ser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Val Ile Trp Gly Asp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50 55 60 Ser Arg Leu Ser Ile Ser Val Asp Thr Ser Lys Asn Gln Phe Ser Leu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Thr Tyr Tyr Cys Val 85 90 95 Thr Leu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46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46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Ser Ser Tyr 20 25 30 Gly Val Ser Trp Val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Val Ile Trp Gly Asp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50 55 60 Ser Arg Leu Ser Ile Ser Val Asp Thr Ser Lys Asn Gln Phe Ser Leu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Arg Leu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47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47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Ser Ser Tyr 20 25 30 Gly Val Ser Trp Val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Val Ile Trp Gly Asp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50 55 60 Ser Arg Leu Ser Ile Ser Val Asp Thr Ser Lys Asn Gln Phe Ser Leu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Val 85 90 95 Thr Leu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48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48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Ser Ser Tyr 20 25 30 Gly Val Ser Trp Val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Val Ile Trp Gly Asp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50 55 60 Ser Arg Leu Ser Ile Ser Lys Asp Thr Ser Lys Asn Gln Phe Ser Leu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Thr Tyr Tyr Cys Val 85 90 95 Thr Leu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49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49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Ser Ser Tyr 20 25 30 Gly Val Ser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Val Ile Trp Gly Asp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Lys Asp Thr Ser Lys Asn Gln Val Leu Leu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Val 85 90 95 Thr Leu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50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50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Ser Ser Tyr 20 25 30 Gly Val Ser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Val Ile Trp Gly Asp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Lys Asp Thr Ser Lys Ser Gln Phe Ser Leu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Val 85 90 95 Thr Leu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51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51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Ser Ser Tyr 20 25 30 Gly Val Ser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Val Ile Trp Gly Asp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Val Asp Thr Ser Lys Ser Gln Val Leu Phe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Thr Leu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52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52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Ser Ser Tyr 20 25 30 Gly Val Ser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Val Ile Trp Gly Asp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50 55 60 Ser Arg Leu Ser Ile Ser Lys Asp Thr Ser Lys Ser Gln Val Leu Leu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Val 85 90 95 Thr Leu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53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53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Ser Ser Tyr 20 25 30 Gly Val Ser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Val Ile Trp Gly Ser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Val Asp Thr Ser Lys Ser Gln Val Leu Phe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Thr Leu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54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54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Ser Ser Tyr 20 25 30 Gly Val Ser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Val Ile Trp Gly Gln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Val Asp Thr Ser Lys Ser Gln Val Leu Phe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Thr Leu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55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55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Ser Ser Tyr 20 25 30 Gly Val Ser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Val Ile Trp Gly Glu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Val Asp Thr Ser Lys Ser Gln Val Leu Phe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Thr Leu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56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56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Ser Ser Tyr 20 25 30 Gly Val Ser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Val Ile Trp Gly Ala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Val Asp Thr Ser Lys Ser Gln Val Leu Phe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Thr Leu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57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57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Ser Ser Tyr 20 25 30 Gly Val Ser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Val Ile Trp Gly His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Val Asp Thr Ser Lys Ser Gln Val Leu Phe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Thr Leu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58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58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Ser Ser Tyr 20 25 30 Gly Val Ser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Val Ile Trp Gly Asp Ala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Val Asp Thr Ser Lys Ser Gln Val Leu Phe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Thr Leu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59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59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Ser Ser Tyr 20 25 30 Gly Val Ser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Val Ile Trp Gly Asp Val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Val Asp Thr Ser Lys Ser Gln Val Leu Phe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Thr Leu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60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60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Ser Ser Tyr 20 25 30 Gly Val Ser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Val Ile Trp Gly Asp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Val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Val Asp Thr Ser Lys Ser Gln Val Leu Phe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Thr Leu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61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61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Ser Ser Tyr 20 25 30 Gly Val Ser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Val Ile Trp Gly Asp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Ile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Val Asp Thr Ser Lys Ser Gln Val Leu Phe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Thr Leu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62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62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Ser Ser Tyr 20 25 30 Gly Val Ser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Val Ile Trp Gly Asp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Leu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Val Asp Thr Ser Lys Ser Gln Val Leu Phe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Thr Leu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63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63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Ser Ser Tyr 20 25 30 Gly Val Ser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Val Ile Trp Gly Asp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Ala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Val Asp Thr Ser Lys Ser Gln Val Leu Phe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Thr Leu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64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64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Arg Ser Gly Asn Thr Tyr Leu His 1 5 10 15 <210> 65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65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Arg Gln Gly Asn Thr Tyr Leu His 1 5 10 15 <210> 66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66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Arg Glu Gly Asn Thr Tyr Leu His 1 5 10 15 <210> 67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67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Arg Ala Gly Asn Thr Tyr Leu His 1 5 10 15 <210> 68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68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Arg His Gly Asn Thr Tyr Leu His 1 5 10 15 <210> 69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69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Arg Asn Ala Asn Thr Tyr Leu His 1 5 10 15 <210> 70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70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Arg Asn Val Asn Thr Tyr Leu His 1 5 10 15 <210> 71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71 Val Ile Trp Gly Ser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Ser 1 5 10 15 <210> 72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72 Val Ile Trp Gly Gln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Ser 1 5 10 15 <210> 73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73 Val Ile Trp Gly Glu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Ser 1 5 10 15 <210> 74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74 Val Ile Trp Gly Ala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Ser 1 5 10 15 <210> 75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75 Val Ile Trp Gly His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Ser 1 5 10 15 <210> 76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76 Val Ile Trp Gly Asp Ala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Ser 1 5 10 15 <210> 77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77 Val Ile Trp Gly Asp Val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Ser 1 5 10 15 <210> 78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78 Val Ile Trp Gly Asp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Val Ser 1 5 10 15 <210> 79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79 Val Ile Trp Gly Asp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Ile Ser 1 5 10 15 <210> 80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80 Val Ile Trp Gly Asp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Leu Ser 1 5 10 15 <210> 81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81 Val Ile Trp Gly Asp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Ala Ser 1 5 10 15 <210> 82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82 Asp Val Val Met Thr Gln Thr Pro 1 5 <210> 83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83 Val Ser Pro Ser Val 1 5 <210> 84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84 Val Ser Pro Ser Val Val Ser Pro Ser Val 1 5 10 <210> 85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85 Gly Gly Ser Gly Gly 1 5 <210> 86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86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1 5 10 <210> 87 <211> 25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87 Ala Pro Gly Gly Gly Arg Ala Gln Arg Ala Gln Ala Arg Gln Ala Arg 1 5 10 15 Gln Ala Gln Arg Ala Gln Arg Ala Gln Ala Arg Gln Ala Arg Gln Val 20 25 30 Ser Pro Ser Val Asp Val Val Met Thr Gln Ser Pro Leu Ser Leu Pro 35 40 45 Val Thr Leu Gly Gln Pro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Gln Ser 50 55 60 Leu Val His Arg Ser Gly Asn Thr Tyr Leu His Trp Phe Gln Gln Arg 65 70 75 80 Pro Gly Gln Ser Pro Arg Leu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85 90 95 Ser Gly Val Pro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100 105 110 Thr Leu Lys Ile Ser Arg Val Glu Ala Glu Asp Val Gly Val Tyr Phe 115 120 125 Cys Phe Gln Thr Thr Tyr Val Pro Asn Thr Phe Gly Gly Gly Thr Lys 130 135 140 Leu Glu Ile Lys Arg Thr Val Ala Ala Pro Ser Val Phe Ile Phe Pro 145 150 155 160 Pro Ser Asp Glu Gln Leu Lys Ser Gly Thr Ala Ser Val Val Cys Leu 165 170 175 Leu Asn Asn Phe Tyr Pro Arg Glu Ala Lys Val Gln Trp Lys Val Asp 180 185 190 Asn Ala Leu Gln Ser Gly Asn Ser Gln Glu Ser Val Thr Glu Gln Asp 195 200 205 Ser Lys Asp Ser Thr Tyr Ser Leu Ser Ser Thr Leu Thr Leu Ser Lys 210 215 220 Ala Asp Tyr Glu Lys His Lys Val Tyr Ala Cys Glu Val Thr His Gln 225 230 235 240 Gly Leu Ser Ser Pro Val Thr Lys Ser Phe Asn Arg Gly Glu Cys 245 250 255 <210> 88 <211> 2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88 Asp Val Val Met Thr Gln Ser Pro Leu Ser Leu Pro Val Thr Leu Gly 1 5 10 15 Gln Pro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Arg 20 25 30 Ser Gly Asn Thr Tyr Leu His Trp Phe Gln Gln Arg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Arg Leu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Val Gly Val Tyr Phe Cys Phe Gln Thr 85 90 95 Thr Tyr Val Pro Asn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Arg Thr Val Ala Ala Pro Ser Val Phe Ile Phe Pro Pro Ser Asp Glu 115 120 125 Gln Leu Lys Ser Gly Thr Ala Ser Val Val Cys Leu Leu Asn Asn Phe 130 135 140 Tyr Pro Arg Glu Ala Lys Val Gln Trp Lys Val Asp Asn Ala Leu Gln 145 150 155 160 Ser Gly Asn Ser Gln Glu Ser Val Thr Glu Gln Asp Ser Lys Asp Ser 165 170 175 Thr Tyr Ser Leu Ser Ser Thr Leu Thr Leu Ser Lys Ala Asp Tyr Glu 180 185 190 Lys His Lys Val Tyr Ala Cys Glu Val Thr His Gln Gly Leu Ser Ser 195 200 205 Pro Val Thr Lys Ser Phe Asn Arg Gly Glu Cys 210 215 <210> 89 <211> 25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89 Asp Val Val Met Thr Gln Ser Pro Leu Ser Leu Pro Val Thr Leu Gly 1 5 10 15 Gln Pro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Arg 20 25 30 Ser Gly Asn Thr Tyr Leu His Trp Phe Gln Gln Arg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Arg Leu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Val Gly Val Tyr Phe Cys Phe Gln Thr 85 90 95 Thr Tyr Val Pro Asn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Arg Thr Val Ala Ala Pro Ser Val Phe Ile Phe Pro Pro Ser Asp Glu 115 120 125 Gln Leu Lys Ser Gly Thr Ala Ser Val Val Cys Leu Leu Asn Asn Phe 130 135 140 Tyr Pro Arg Glu Ala Lys Val Gln Trp Lys Val Asp Asn Ala Leu Gln 145 150 155 160 Ser Gly Asn Ser Gln Glu Ser Val Thr Glu Gln Asp Ser Lys Asp Ser 165 170 175 Thr Tyr Ser Leu Ser Ser Thr Leu Thr Leu Ser Lys Ala Asp Tyr Glu 180 185 190 Lys His Lys Val Tyr Ala Cys Glu Val Thr His Gln Gly Leu Ser Ser 195 200 205 Pro Val Thr Lys Ser Phe Asn Arg Gly Glu Cys Val Ser Pro Ser Val 210 215 220 Arg Ala Gln Arg Ala Gln Ala Arg Gln Ala Arg Gln Ala Gln Arg Ala 225 230 235 240 Gln Arg Ala Gln Ala Arg Gln Ala Arg Gln 245 250 <210> 90 <211> 25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90 Asp Val Val Met Thr Gln Ser Pro Leu Ser Leu Pro Val Thr Leu Gly 1 5 10 15 Gln Pro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Arg 20 25 30 Ser Gly Asn Thr Tyr Leu His Trp Phe Gln Gln Arg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Arg Leu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Val Gly Val Tyr Phe Cys Phe Gln Thr 85 90 95 Thr Tyr Val Pro Asn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Arg Thr Val Ala Ala Pro Ser Val Phe Ile Phe Pro Pro Ser Asp Glu 115 120 125 Gln Leu Lys Ser Gly Thr Ala Ser Val Val Cys Leu Leu Asn Asn Phe 130 135 140 Tyr Pro Arg Glu Ala Lys Val Gln Trp Lys Val Asp Asn Ala Leu Gln 145 150 155 160 Ser Gly Asn Ser Gln Glu Ser Val Thr Glu Gln Asp Ser Lys Asp Ser 165 170 175 Thr Tyr Ser Leu Ser Ser Thr Leu Thr Leu Ser Lys Ala Asp Tyr Glu 180 185 190 Lys His Lys Val Tyr Ala Cys Glu Val Thr His Gln Gly Leu Ser Ser 195 200 205 Pro Val Thr Lys Ser Phe Asn Arg Gly Glu Cys Gly Gly Gly Gly Ser 210 215 220 Gly Gly Gly Gly Ser Arg Ala Gln Arg Ala Gln Ala Arg Gln Ala Arg 225 230 235 240 Gln Ala Gln Arg Ala Gln Arg Ala Gln Ala Arg Gln Ala Arg Gln 245 250 255 <210> 91 <211> 44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91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Ser Ser Tyr 20 25 30 Gly Val Ser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Val Ile Trp Gly Glu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Val Asp Thr Ser Lys Ser Gln Val Leu Phe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Thr Leu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Ala 100 105 110 Ser Thr Lys Gly Pro Ser Val Phe Pro Leu Ala Pro Ser Ser Lys Ser 115 120 125 Thr Ser Gly Gly Thr Ala Ala Leu Gly Cys Leu Val Lys Asp Tyr Phe 130 135 140 Pro Glu Pro Val Thr Val Ser Trp Asn Ser Gly Ala Leu Thr Ser Gly 145 150 155 160 Val His Thr Phe Pro Ala Val Leu Gln Ser Ser Gly Leu Tyr Ser Leu 165 170 175 Ser Ser Val Val Thr Val Pro Ser Ser Ser Leu Gly Thr Gln Thr Tyr 180 185 190 Ile Cys Asn Val Asn His Lys Pro Ser Asn Thr Lys Val Asp Lys Lys 195 200 205 Val Glu Pro Lys Ser Cys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Pro 210 215 220 Ala Pro Glu Leu Leu Gly Gly Pro Ser Val Phe Leu Phe Pro Pro Lys 225 230 235 240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Thr Pro Glu Val Thr Cys Val 245 250 255 Val Val Asp Val Ser His Glu Asp Pro Glu Val Lys Phe Asn Trp Tyr 260 265 270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Thr Lys Pro Arg Glu Glu 275 280 285 Gln Tyr Asn Ser Thr Tyr Arg Val Val Ser Val Leu Thr Val Leu His 290 295 300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Cys Lys Val Ser Asn Lys 305 310 315 320 Ala Leu Pro Ala Pro Ile Glu Lys Thr Ile Ser Lys Ala Lys Gly Gln 325 330 335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Pro Ser Arg Asp Glu Leu 340 345 350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Leu Val Lys Gly Phe Tyr Pro 355 360 365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Gly Gln Pro Glu Asn Asn 370 375 380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Ser Asp Gly Ser Phe Phe Leu 385 390 395 400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Ser Arg Trp Gln Gln Gly Asn Val 405 410 415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Ala Leu His Asn His Tyr Thr Gln 420 425 430 Lys Ser Leu Ser Leu Ser Pro Gly Lys 435 440 <210> 92 <211> 47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92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Ser Ser Tyr 20 25 30 Gly Val Ser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Val Ile Trp Gly Glu Gly Ser Thr Asn Tyr His Pro Asn Leu Met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Val Asp Thr Ser Lys Ser Gln Val Leu Phe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Thr Leu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Ser Ser Ala 100 105 110 Ser Thr Lys Gly Pro Ser Val Phe Pro Leu Ala Pro Ser Ser Lys Ser 115 120 125 Thr Ser Gly Gly Thr Ala Ala Leu Gly Cys Leu Val Lys Asp Tyr Phe 130 135 140 Pro Glu Pro Val Thr Val Ser Trp Asn Ser Gly Ala Leu Thr Ser Gly 145 150 155 160 Val His Thr Phe Pro Ala Val Leu Gln Ser Ser Gly Leu Tyr Ser Leu 165 170 175 Ser Ser Val Val Thr Val Pro Ser Ser Ser Leu Gly Thr Gln Thr Tyr 180 185 190 Ile Cys Asn Val Asn His Lys Pro Ser Asn Thr Lys Val Asp Lys Lys 195 200 205 Val Glu Pro Lys Ser Cys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Pro 210 215 220 Ala Pro Glu Leu Leu Gly Gly Pro Ser Val Phe Leu Phe Pro Pro Lys 225 230 235 240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Thr Pro Glu Val Thr Cys Val 245 250 255 Val Val Asp Val Ser His Glu Asp Pro Glu Val Lys Phe Asn Trp Tyr 260 265 270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Thr Lys Pro Arg Glu Glu 275 280 285 Gln Tyr Asn Ser Thr Tyr Arg Val Val Ser Val Leu Thr Val Leu His 290 295 300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Cys Lys Val Ser Asn Lys 305 310 315 320 Ala Leu Pro Ala Pro Ile Glu Lys Thr Ile Ser Lys Ala Lys Gly Gln 325 330 335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Pro Ser Arg Asp Glu Leu 340 345 350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Leu Val Lys Gly Phe Tyr Pro 355 360 365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Gly Gln Pro Glu Asn Asn 370 375 380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Ser Asp Gly Ser Phe Phe Leu 385 390 395 400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Ser Arg Trp Gln Gln Gly Asn Val 405 410 415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Ala Leu His Asn His Tyr Thr Gln 420 425 430 Lys Ser Leu Ser Leu Ser Pro Gly Lys Val Ser Pro Ser Val Arg Ala 435 440 445 Gln Arg Ala Gln Ala Arg Gln Ala Arg Gln Ala Gln Arg Ala Gln Arg 450 455 460 Ala Gln Ala Arg Gln Ala Arg Gln 465 470

Claims (53)

  1. 다음을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그리고
    식세포작용을 유도하고, 옵소닌으로 작용할 수 있는 항체, 이때 상기 항체는 중쇄 가변 영역 (VH)을 포함하는 중쇄와 경쇄 가변 영역 (VL)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상기 항체는 상기 중쇄 또는 경쇄의 N-말단 단부 또는 C-말단 단부에 연계되고,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때 상기 경쇄는 경쇄 불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쇄는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상기 항체는 상기 경쇄의 C-말단 단부에 연계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이때 상기 스페이서는 서열 식별 번호: 83 및 서열 식별 번호: 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5. 청구항 1-4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1-1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들 중 임의의 하나에 대해 적어도 85%, 90%, 95%, 96%, 97%, 98%, 99%, 99.5%, 또는 100%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6. 청구항 1-5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두 개의 중쇄 및 두 개의 경쇄를 포함하고, 이때 각 경쇄는 C-말단 단부에서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에 연계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7. 청구항 1-6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상기 항체는 키메라 항체 또는 인간화된 항체인,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8. 청구항 1-7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상기 항체는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9. 청구항 1-8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a)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64-7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18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고;
    b)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2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1-8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고; 또는
    c)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64-7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1-8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10. 청구항 1-8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64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11. 청구항 1-8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a)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4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48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b)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5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c)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6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5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d)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5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e)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5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또는
    f)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4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12. 청구항 1-11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36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55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13. 청구항 1-12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상기 항체는 전장 항체인,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이때 상기 Fc 영역은 IgG1 아이소형의 영역인,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15. 다음을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항체의 경쇄를 각각 포함하는 제1 폴리펩티드 및 제2 폴리펩티드, 그리고 상기 항체의 중쇄를 각각 포함하는 제3 폴리펩티드 및 제4 폴리펩티드를 포함하고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 그리고
    상기 경쇄 또는 중쇄의 N-말단 또는 C-말단에 연계된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를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이때
    a) 상기 제1 폴리펩티드 및 제2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3 폴리펩티드 및 제4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b) 상기 제1 폴리펩티드 및 제2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8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3 폴리펩티드 및 제4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c) 상기 제1 폴리펩티드 및 제2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3 폴리펩티드 및 제4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또는
    d) 상기 제1 폴리펩티드 및 제2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0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3 폴리펩티드 및 제4 폴리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16. 다음을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서열 식별 번호: 1 또는 서열 식별 번호: 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그리고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 이때 상기 항체는 가변 중쇄 (VH) 및 가변 경쇄 (VL)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고,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64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경쇄의 C-말단 단부에 연계되며,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23-24, 27, 83-8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17. 다음을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서열 식별 번호: 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그리고
    인간 아밀로이드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 이때 상기 항체는 가변 중쇄 (VH) 및 가변 경쇄 (VL)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VH는 서열 식별 번호: 17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서열 식별 번호: 7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서열 식별 번호: 1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고, 상기 VL은 서열 식별 번호: 64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서열 식별 번호: 2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서열 식별 번호: 22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경쇄의 C-말단 단부에 연계되며,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서열 식별 번호: 83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18. 청구항 1-17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아밀로이드 기질에 대해 1.5nM 미만의 EC50를 나타내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19. 청구항 1-18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는 검출가능한 라벨에 접합되며, 이때 상기 검출가능한 라벨은 형광 라벨 또는 방사능라벨을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이때 상기 방사능라벨은 I-123, I-124, F-18, ZR-89, 또는 Tc-99m인, 방법.
  21. 청구항 1-20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기준 IgG 항체와 비교하였을 때 개선된 생체분포, 범(pan) 아밀로이드 반응성, 및 강화된 식세포작용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생체내 속성들을 나타내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22. 청구항 1-21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rVλ6Wil, Aβ, Aβ(1-40), IAAP, ALκ4, Alλ1, ATTR, α-시누클레인, 또는 Tau 441 원섬유에 결합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23.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물:
    다음을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i)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그리고
    ii) 식세포작용을 유도하고, 옵소닌으로 작용할 수 있는 항체, 이때 상기 항체는 중쇄 가변 영역 (VH)을 포함하는 중쇄와 경쇄 가변 영역 (VL)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상기 항체는 상기 중쇄 또는 경쇄의 N-말단 단부 또는 C-말단 단부에 연계되고,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 없이, 또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되고; 그리고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적어도 90%는 무손상이다.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이때 상기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청구항 1-22 중 임의의 하나의 항에 따른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25. 청구항 23에 있어서, 이때 상기 조성물은 10%를 넘지 않는 절단 산물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절단 산물은 서열 식별 번호: 89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N-말단 또는 C-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중쇄, 그리고 서열 식별 번호: 91에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N-말단 또는 C-말단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들이 결여된 경쇄를 포함하는, 조성물.
  26. 청구항 23-25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밀로이드 기질에 대한 EC50 결합 친화력을 나타내는데, 이때 EC50 결합 친화력은 1.5nM 미만인, 조성물.
  27. 청구항 23-26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28. 청구항 1-22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29. 청구항 28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30. 청구항 29의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
  31. 청구항 30에서, 이때 상기 숙주 세포는 포유류 세포, 임의선택적으로 중국 헴스터 난소 (CHO) 세포인, 숙주 세포.
  32. 다음을 포함하는,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방법:
    a)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발현에 적합한 관류 세포 배양 조건 하에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를 배양하고; 그리고
    b) 대략 매 12-36 시간마다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회수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i)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 그리고
    ii) 식세포작용을 유도하고, 옵소닌으로 작용할 수 있는 항체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항체는 중쇄 가변 영역 (VH)을 포함하는 중쇄와 경쇄 가변 영역 (VL)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와 항체는 상기 경쇄의 C-말단 단부에 연계되며,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반응성 펩티드는 스페이서 없이, 또는 스페이서를 통하여 상기 항체에 연계된다.
  33. 청구항 32에 있어서, 단계 b)에서 회수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체를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에 적용시키고, 상기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으로부터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용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절두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로부터 별개로 용리되는, 방법.
  35. 청구항 32-34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청구항 1-22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방법.
  36. 청구항 32-35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상기 숙주 세포는 CHO 세포인, 방법.
  37. 청구항 32-36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순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순도는 도데실 황산 나트륨염 모세관 전기영동(CE-SD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LC), 질량 분석법(MS)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분석 방법들을 이용하여 결정되는, 방법.
  38. 청구항 32-37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적어도 90% 무손상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로 정제된, 방법.
  39. 청구항 32-38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산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40. 아밀로이드 침착을 포함하는 아밀로이드 관련된 장애를 갖는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에게 청구항 1-22 및 39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또는 청구항 23-27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치료요법적 효과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41. 청구항 40에 있어서,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 관련된 장애는 전신 또는 국소화된 아밀로이드증인, 방법.
  42. 청구항 40 또는 41에 있어서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 관련된 장애는 AL, AH, Aβ2M, ATTR, 트랜스티레틴, AA, AApoAI, AApoAII, AGel, ALys, ALEct2, AFib, ACys, ACal, AMed, AIAPP, APro, AIns, APrP, 파킨슨 질환, 알츠하이머 질환, 또는 Aβ 아밀로이드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43. 청구항 40-42 중 임의의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 침착은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에 의해 옵소닌화되는, 방법.
  44. 청구항 40-43 중 임의의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이때 상기 대상체를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로 치료하면 상기 아밀로이드 침착의 식세포작용이 일어나는, 방법.
  45. 대상체 아밀로이드-기반 질환이 있는 또는 아밀로이드-기반 질환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에서, 다음을 포함하는 방법:
    a) i) 청구항 1-22 및 39 중 임의의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또는 청구항 23-27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상기 대상체가 아밀로이드 침착을 갖는 지를 결정하고,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검출가능한 라벨을 포함하며, 그리고
    ii) 상기 검출가능한 라벨과 연합된 신호가 이 대상체로부터 검출될 수 있는 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b) 만약 상기 신호가 검출된다면, 상기 대상체에게 아밀로이드증 치료를 투여한다.
  46. 청구항 45에 있어서, 이때, 만약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다면, 아밀로이드 침착의 이후 발달에 대해 상기 대상체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47. 청구항 45 또는 46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강도를 결정하고, 상기 신호를 임계값과 비교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이 대상체가 아밀로이드 침착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방법.
  48. 청구항 45-47 중 임의의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SPECT/CT 이미징, PET/CT 이미징, 감마 신티그래피, 또는 광학 이미징에 의해 검출되는, 방법.
  49. 청구항 45-48 중 임의의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이때 상기 아밀로이드증 치료는 청구항 1-22 및 39 중 임의의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항체-펩티드 단백질 또는 청구항 23-27 중 임의의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조성물을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0. 대상체에서 아밀로이드 침착을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1-22 및 39 중 임의의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항체-펩티드 단백질 또는 청구항 23-27 중 임의의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하고, 상기 항체 펩티드 융합 단백질로부터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검출가능한 라벨을 포함하는, 방법.
  51. 대상체에서 아밀로이드 제거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서, 다음을 포함하는 방법:
    상기 대상체 내 아밀로이드 기질에 청구항 1-22 및 39 중 임의의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항체-펩티드 단백질 또는 청구항 23-27 중 임의의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조성물을 접촉시키고,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은 검출가능한 라벨을 포함하며, 그리고 이때 상기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의 펩티드는 아밀로이드 기질에 대한 결합 친화력을 보유하고; 그리고
    상기 검출가능한 라벨로부터 신호를 결정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아밀로이드 제거가 검출된다.
  52. 청구항 40-51 중 임의의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이때 상기 대상체는 인간인, 방법.
  53. 청구항 40-52 중 임의의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방법에 사용을 위한 용도로 청구항 1-22 및 39 중 임의의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항체-펩티드 단백질 또는 청구항 23-27 중 임의의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
KR1020237043709A 2021-05-18 2022-05-18 아밀로이드 장애 치료를 위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KR202400580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90191P 2021-05-18 2021-05-18
US63/190,191 2021-05-18
PCT/US2022/072413 WO2022246433A1 (en) 2021-05-18 2022-05-18 Antibody-peptide fusion proteins for treating amyloid disord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050A true KR20240058050A (ko) 2024-05-03

Family

ID=84141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3709A KR20240058050A (ko) 2021-05-18 2022-05-18 아밀로이드 장애 치료를 위한 항체-펩티드 융합 단백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416347A1 (ko)
EP (1) EP4340880A1 (ko)
JP (1) JP2024521082A (ko)
KR (1) KR20240058050A (ko)
CN (1) CN117915949A (ko)
AU (1) AU2022277951A1 (ko)
CA (1) CA3219124A1 (ko)
IL (1) IL308005A (ko)
WO (1) WO20222464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0478A1 (en) 2022-09-02 2024-03-07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Foundation Chimeric antigen receptors for removal of amyloid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7882A1 (en) * 1998-05-21 2003-08-07 Alan Solomon Methods for amyloid removal using anti-amyloid antibodies
US10076570B2 (en) * 2009-08-07 2018-09-18 Transgene S.A. Composition for treating HBV infection
US20140079691A1 (en) * 2012-09-20 2014-03-20 Anaptysbio, Inc. Thermostable antibody framework regions
US9683017B2 (en) * 2014-07-17 2017-06-20 University Tennessee Research Foundation Inhibitory peptides of viral infection
CA2956820A1 (en) * 2014-08-26 2016-03-03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Foundation Targeting immunotherapy for amyloidosis
CN110382522A (zh) * 2017-01-30 2019-10-25 加拿大国家研究委员会 血脑屏障穿过化合物及其用途
US11382974B2 (en) * 2017-08-01 2022-07-12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amyloid deposition diseases
US20210253702A1 (en) * 2018-06-14 2021-08-19 Bioatla, Inc. Multi-specific antibody constructs
IL292903A (en) * 2019-11-15 2022-07-01 Univ Tennessee Res Found Derivatives of immunoglobulins for the detection of amyloid depos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40880A1 (en) 2024-03-27
AU2022277951A1 (en) 2023-11-16
US20230416347A1 (en) 2023-12-28
CA3219124A1 (en) 2022-11-24
WO2022246433A1 (en) 2022-11-24
JP2024521082A (ja) 2024-05-28
CN117915949A (zh) 2024-04-19
IL308005A (en) 202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47595B (zh) 特异性针对过度磷酸化τ蛋白的抗体及其使用方法
CN110582511B (zh) 抗N3pGlu淀粉状蛋白β肽抗体及其用途
US10646568B2 (en) Targeting immunotherapy for amyloidosis
CN109618556B (zh) 特异性针对过度磷酸化τ蛋白的抗体及其使用方法
TWI769570B (zh) 抗甲狀腺素運送蛋白抗體
TW201713687A (zh) 抗-tau抗體及使用方法
JP2018506277A (ja) 抗トランスサイレチン抗体
US20230265178A1 (en) Modified immunoglobulins for targeting amyloid deposits
JP2020537128A (ja) トランスサイレチンを検出する方法
JP2018509889A (ja) 抗トランスサイレチン抗体
JP2019530428A (ja) 抗トランスサイレチン抗体
US20230068507A1 (en) Chimeric antigen receptors for removal of amyloid
TW201908342A (zh) 用於治療之藥劑、用途及方法
TW202104255A (zh) 用於治療及診斷之新穎分子
US20230416347A1 (en) Antibody-peptide fusion proteins for treating amyloid disorders
KR20240063809A (ko) 아밀로이드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펩타이드-Fc 융합체
EA039569B1 (ru) Антитела, специфичные к гиперфосфорилированному тау-белку,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JP2024512002A (ja) 抗tmem106b抗体、及び、その使用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