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7364A - 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 유도체의 신규 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 유도체의 신규 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7364A
KR20240057364A KR1020230141682A KR20230141682A KR20240057364A KR 20240057364 A KR20240057364 A KR 20240057364A KR 1020230141682 A KR1020230141682 A KR 1020230141682A KR 20230141682 A KR20230141682 A KR 20230141682A KR 20240057364 A KR20240057364 A KR 20240057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thyl
dihydro
carbamate
chloro
quinuclid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1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기
주현
고경민
이정애
황윤아
김세용
이준섭
신승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한양행
주식회사 녹십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한양행, 주식회사 녹십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한양행
Publication of KR20240057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736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5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uclidine or iso-quinuclidine ring systems, e.g. quinine alkaloids
    • C07D45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uclidine or iso-quinuclidine ring systems, e.g. quinine alkaloids containing not further condensed quinuclidine r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8Bridg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9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the ring forming part of a bridged ring system, e.g. quinuclid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09/00Sulfonic acids; Halides, esters, or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09/00Sulfonic acids; Halides, esters, or anhydrides thereof
    • C07C309/01Sulfonic acids
    • C07C309/02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09/19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신규 염, 즉 (1S)-(+)-10-캄포술폰산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은 결정형 형태로 얻어지며, 높은 순도, 높은 안정성, 높은 수용해도, 및 낮은 흡습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 유도체의 신규 염 및 이의 제조방법{Novel salt of dimethyl-2,3-dihydro-1H-indene derivative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 유도체의 신규 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개선된 안정성, 용해도, 및 흡습성을 갖는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이소프로폭시페닐)-2,2-디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한 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글루코실세라마이드 합성효소(glucosylceramide synthase, GCS)에 대한 우수한 저해 활성을 갖는 화합물로 알려져 있다(WO 2021/096238).
<화학식 1>
WO 2021/096238은 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하기 반응식 1과 같은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반응식 1>
상기 반응식 1에 따른 제조방법은 최종 단계에서 화학식 5의 화합물(예를 들어, (S)-퀴누클리딘-3-일 (5-브로모-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과 X1, X2, X3, 또는 X4로 치환된 A-W-보론산(예를 들어, 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보론산)과의 스즈키 커플링 반응을 통하여 생성물(예를 들어, 유리 염기 형태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스즈키 커플링 반응은 [1,1'-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페로센]다이클로로팔라듐(II)(Pd(dppf)Cl2) 등의 팔라듐 촉매의 사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WO 2021/096238에 개시된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유리 염기 형태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이 무정형 형태로 얻어진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무정형 형태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이 낮은 순도로 얻어질 뿐만 아니라, 낮은 수용해도를 나타내고, 가속조건에서 형태의 변화를 나타냄으로써 낮은 안정성을 나타내고, 또한 높은 흡습성을 가지므로, 제제화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무정형 형태의 유리 염기로 얻어지는 화학식 1의 화합물, 특히 무정형 형태의 유리 염기로 얻어지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입체이성질체의 물성(낮은 안정성, 낮은 수용해도, 및 높은 흡습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산부가염들을 대상으로 물리화학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입체이성질체(이하, '(R)-화학식 1의 화합물'로도 지칭된다)를 특정 산부가염(즉, (1S)-(+)-10-캄포술폰산염)의 형태로 전환할 경우, 높은 순도로 우수한 안정성, 높은 수용해도, 및 낮은 흡습성을 갖는 결정형 형태로 얻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R)-화학식 1의 화합물의 (1S)-(+)-10-캄포술폰산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R)-화학식 1의 화합물의 (1S)-(+)-10-캄포술폰산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 (a)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및 (1S)-(+)-10-캄포술폰산을, 가온하에서, 용매 중에 용해시켜 용액을 얻는 단계; 및 (b) 단계(a)에서 얻어진 용액을 냉각하여 침전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라, (i)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및 (1S)-(+)-10-캄포술폰산을 5∼30℃에서 용매에 용해시켜 용액을 얻는 단계; 및 (ii) 단계(i)에서 얻어진 용액에 반용매를 첨가하여 침전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라, (p)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및 (1S)-(+)-10-캄포술폰산을 5∼30℃에서 용매에 용해시켜 용액을 얻는 단계; 및 (q) 단계(p)에서 얻어진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R)-화학식 1의 화합물의 (1S)-(+)-10-캄포술폰산염은 높은 순도를 갖는 결정형 형태로 얻어진다. 또한, 상기 (R)-화학식 1의 화합물의 (1S)-(+)-10-캄포술폰산염은 우수한 안정성, 높은 수용해도, 및 낮은 흡습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R)-화학식 1의 화합물의 (1S)-(+)-10-캄포술폰산염은 효과적인 제제화를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WO 2021/096238에 개시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S)-퀴누클리딘-3-일 (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유리 염기 형태)의 XRD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실시예 1)에서 얻어진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의 XRD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3은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화합물(염산염, 타르타르산염, 및 시트르산염의 형태)의 XRD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실시예 1)에서 얻어진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의 DSC 써모그램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실시예 1)에서 얻어진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을 가속조건에서 보관한 후 측정하여 얻어진 XRD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실시예 1)에서 얻어진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을 가속조건에서 보관한 후 관찰된 성상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높은 순도, 높은 안정성, 높은 수용해도, 및 낮은 흡습성을 갖는 (R)-화학식 1의 화합물의 신규 염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a의 화학구조를 갖는,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a>
상기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이 결정형 형태로 얻어진다는 것이 본 발명에 의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결정형 형태를 갖는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결정형 형태를 갖는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은 8.1, 11.0, 및 16.3°2θ ± 0.2°2θ에서, 바람직하게는 8.1, 9.3, 11.0, 16.3, 및 17.6°2θ ± 0.2°2θ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8.1, 9.3, 11.0, 13.0, 13.1, 15.2, 16.3, 17.1, 17.6, 18.4, 18.7, 20.8, 및 22.6°2θ ± 0.2°2θ에서 피크를 갖는 XRD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정형 형태를 갖는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은 도 2의 XRD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결정형 형태를 갖는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은 220∼236℃에서, 바람직하게는 229±2℃에서 흡열 피크(endothermic peak)를 나타내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 써모그램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의 시차 주사 열량계(DSC) 써모그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조방법은 (a)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및 (1S)-(+)-10-캄포술폰산을, 가온하에서, 용매 중에 용해시켜 용액을 얻는 단계; 및 (b) 단계(a)에서 얻어진 용액을 냉각하여 침전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단계(a)는 35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단계(a)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단일용매 또는 혼합용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일용매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C1∼C5 알코올,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아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메틸 t-부틸 에테르,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혼합용매는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아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및 메틸에틸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기용매와 물과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상기 혼합용매 중 유기용매와 물과의 부피비는 3:0.1 내지 30:0.1 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단계(b)의 상기 냉각은 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단계(b)에서 생성되는 상기 침전물, 즉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단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여과(예를 들어, 감압 여과 등)한 후, 건조(예를 들어, 진공 건조 등)함으로써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을 단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b)는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건조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필요할 경우, 여과 후 건조 전에 습윤 케이크(wet cake) 형태의 생성물을 사용된 용매로 세척하는 공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은, 가온 공정 없이 실온을 포함한 온도(예를 들어, 약 5∼30℃)에서, 용매/반용매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i)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및 (1S)-(+)-10-캄포술폰산을 5∼30℃에서 용매에 용해시켜 용액을 얻는 단계; 및 (ii) 단계(i)에서 얻어진 용액에 반용매를 첨가하여 침전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i)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필알콜,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단계(ii)에서 사용되는 반용매는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메틸 t-부틸 에테르, 다이에틸 에테르, 및 헵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다른 구현예에서,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은, 가온 공정 없이 실온을 포함한 온도(예를 들어, 약 5∼30℃)에서, 용해/증발결정화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p)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및 (1S)-(+)-10-캄포술폰산을 5∼30℃에서 용매에 용해시켜 용액을 얻는 단계; 및 (q) 단계(p)에서 얻어진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p)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필알콜,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단계(q)의 상기 증발은 통상의 용매 증발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30℃, 바람직하게는 약 20∼25℃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1S,4R)-7,7-다이메틸-2-옥소바이사이클로[2.2.1]헵탄-1-일)메탄설폰산염의 제조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1 g, 2.07 mmol)를 에틸 아세테이트(20 mL)에 용해시킨 후, (1S)-(+)-10-캄포술폰산(0.48 g, 2.07 mmol)을 정제수(0.2 mL)에 녹인 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약 50 ℃로 가온하여 약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약 25℃로 냉각하고, 약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여과한 후, 얻어진 습윤 케이크(wet cake)를 에틸 아세테이트(3 mL)로 세척하였다. 수득된 고체를 진공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1.2 g을 얻었다. (수율: 81%)
1H-NMR(400MHz, DMSO-d6) δ 9.47(s, 1H), 7.68-7.67(d, 1H), 7.64-7.62 (d, 1H), 7.57-7.54(m, 1H), 7.46-7.44(m, 2H), 7.27-7.22 (m, 2H), 4.93-4.90 (m, 1H), 4.82-4.66(m, 2H), 3.73-3.68(m, 1H), 3.28-3.19(m, 5H), 2.89-2.85(d, 1H), 2.80-2.64(m, 3H), 2.39-2.36(d, 1H), 2.28-2.20(m, 2H), 2.08-2.03(m, 1H), 1.95-1.73 (m, 6H), 1.33-1.31(d, 6H), 1.30-1.26(m, 2H), 1.16 (s, 3H), 1.05(s, 3H), 0.90(s, 3H), 0.74(s, 3H)
실시예 2: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1S,4R)-7,7-다이메틸-2-옥소바이사이클로[2.2.1]헵탄-1-일)메탄설폰산염의 제조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500 mg, 1.04 mmol)를 에틸 아세테이트(10 mL)에 용해시킨 후, (1S)-(+)-10-캄포술폰산(0.24 g, 1.04 mmol)을 정제수(0.04 mL)에 용해한 용액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약 45 ℃로 가온하여 약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약 25℃로 냉각하고, 약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여과한 후, 얻어진 습윤 케이크(wet cake)를 에틸 아세테이트(0.6 mL)로 세척하였다. 수득된 고체를 진공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470 mg을 얻었다. (수율: 63%)
실시예 3: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1S,4R)-7,7-다이메틸-2-옥소바이사이클로[2.2.1]헵탄-1-일)메탄설폰산염의 제조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200 mg, 0.41 mmol)를 아세톤(2 mL)에 용해시킨 후, (1S)-(+)-10-캄포술폰산(100 mg, 0.41 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약 45 ℃로 가온하여 약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약 25℃로 냉각하고, 약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여과한 후, 얻어진 습윤 케이크(wet cake)를 아세톤(0.6 mL)으로 세척하였다. 수득된 고체를 진공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280 mg을 얻었다. (수율: 95%)
실시예 4: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1S,4R)-7,7-다이메틸-2-옥소바이사이클로[2.2.1]헵탄-1-일)메탄설폰산염의 제조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200 mg, 0.41 mmol)를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2 mL)에 용해시킨 후, (1S)-(+)-10-캄포술폰산(100 mg, 0.41 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약 45 ℃로 가온하여 약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약 25℃로 냉각하고, 약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여과한 후, 얻어진 습윤 케이크(wet cake)를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0.6 mL)으로 세척하였다. 수득된 고체를 진공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206 mg을 얻었다. (수율: 70%)
실시예 5: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1S,4R)-7,7-다이메틸-2-옥소바이사이클로[2.2.1]헵탄-1-일)메탄설폰산염의 제조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2.9 g, 0.006 mol)를 에틸 아세테이트(58 mL)에 용해시킨 후, (1S)-(+)-10-캄포술폰산(1.4 g, 0.006 mol)을 정제수(0.6 mL)에 용해한 용액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약 50 ℃로 가온하여 약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약 25℃로 냉각하고, 약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여과한 후, 얻어진 습윤 케이크(wet cake)를 에틸 아세테이트(30 mL)로 세척하였다. 수득된 고체를 진공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3.4 g을 얻었다. (수율: 79%)
실시예 6: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1S,4R)-7,7-다이메틸-2-옥소바이사이클로[2.2.1]헵탄-1-일)메탄설폰산염의 제조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200 mg, 0.41 mmol)를 n-부탄올(2 mL)에 용해시킨 후, (1S)-(+)-10-캄포술폰산(96 mg, 0.41 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약 45 ℃로 가온하여 약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약 25℃로 냉각하고, 약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여과한 후, 얻어진 습윤 케이크(wet cake)를 n-부탄올(0.6 mL)로 세척하였다. 수득된 고체를 진공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178 mg을 얻었다. (수율: 60%)
실시예 7: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1S,4R)-7,7-다이메틸-2-옥소바이사이클로[2.2.1]헵탄-1-일)메탄설폰산염의 제조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500 mg, 1.04 mmol)를 메틸에틸케톤(7.5 mL)에 용해시킨 후 약 55 ℃로 가온하였다. (1S)-(+)-10-캄포술폰산(240 mg, 1.04 mmol)을 메틸에틸케톤 2.5 mL에 용해 후 상기 반응액에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약 25℃로 냉각하고, 약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여과한 후, 얻어진 습윤 케이크(wet cake)를 메틸에틸케톤(1.5 mL)로 세척하였다. 수득된 고체를 진공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510 mg을 얻었다. (수율: 69%)
실시예 8: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1S,4R)-7,7-다이메틸-2-옥소바이사이클로[2.2.1]헵탄-1-일)메탄설폰산염의 제조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500 mg, 1.04 mmol)를 2-프로판올(10 mL)에 용해시킨 후, (1S)-(+)-10-캄포술폰산(240 mg, 1.04 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약 55 ℃로 가온하여 약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약 25℃로 냉각하고, 약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여과한 후, 얻어진 습윤 케이크(wet cake)를 2-프로판올(1.5 mL)로 세척하였다. 수득된 고체를 진공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0.51 g을 얻었다. (수율: 69%)
실시예 9: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1S,4R)-7,7-다이메틸-2-옥소바이사이클로[2.2.1]헵탄-1-일)메탄설폰산염의 제조
(1)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농축 잔사
(S)-3-퀴누클리디놀(4.6 g, 0.036 mol), 테트라하이드로퓨란(120 mL), 및 비스(4-나이트로페닐) 카보네이트(11.5 g, 0.038 mol)의 혼합물을 30 ℃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아민(10.0 g, 0.03 mol)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30 m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약 15시간 동안 환류 교반한 다음,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정제수(80 mL)를 가하고, 감압농축한 후, 50% 가성소다(6.1 g, 0.076 mol)를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약 4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고, 감압농축한 다음, 정제수(120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170 mL)를 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한 후, 5%소듐카보네이트 (100 mL) 로 2회 세척한 후, 감압농축하여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농축 잔사 13.5 g을 얻었다. (수율: 92%)
(2)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
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1S,4R)-7,7-다이메틸-2-옥소바이사이클로[2.2.1]헵탄-1-일)메탄설폰산염
상기 (1)에서 얻어진 농축 잔사(13.5 g, 27.9 mmol)를 에틸 아세테이트(20 mL)에 용해시킨 후 (1S)-(+)-10-캄포술폰산(6.5 g, 27.9 mmol)을 상기 용액에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약 50 ℃에서 약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약 25℃로 냉각하고, 약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여과한 후, 얻어진 습윤 케이크(wet cake)를 에틸 아세테이트(30 mL)로 세척하였다. 수득된 고체를 진공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18.3 g을 얻었다. (수율: 92%)
실시예 10: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1S,4R)-7,7-다이메틸-2-옥소바이사이클로[2.2.1]헵탄-1-일)메탄설폰산염의 제조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1.0 g, 2.07 mmol)를 에틸아세테이트(20 mL)에 용해시킨 후, 50℃로 가온하였다. (1S)-(+)-10-캄포술폰산(0.48 g, 2.07 mmol)을 정제수(0.2 ml)에 용해한 용액을 상기 용액에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약 45 ℃에서 약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약 25℃로 냉각하고, 약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여과한 후, 얻어진 습윤 케이크(wet cake)를 에틸아세테이트 (3 mL)으로 세척하였다. 수득된 고체를 진공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1.19 g을 얻었다. (수율: 80%)
실시예 11: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1S,4R)-7,7-다이메틸-2-옥소바이사이클로[2.2.1]헵탄-1-일)메탄설폰산염의 제조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2.9 g, 0.006 mol)를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20 mL)에 용해시킨 후, 50℃로 가온하였다. (1S)-(+)-10-캄포술폰산(1.4 g, 0.006 mol)을 상기 용액에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약 50 ℃에서 약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약 25℃로 냉각하고, 약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여과한 후, 얻어진 습윤 케이크(wet cake)를 에틸 아세테이트(30 mL)로 세척하였다. 수득된 고체를 진공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3.5 g을 얻었다. (수율: 82%)
실시예 12: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1S,4R)-7,7-다이메틸-2-옥소바이사이클로[2.2.1]헵탄-1-일)메탄설폰산염의 제조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1.0 g, 2.07 mmol)를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20 mL)에 용해시킨 후, 55℃로 가온하였다. (1S)-(+)-10-캄포술폰산(0.48 g, 2.07 mmol)을 정제수(0.2 ml)에 용해한 용액을 상기 용액에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약 45 ℃에서 약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약 25℃로 냉각하고, 약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여과한 후, 얻어진 습윤 케이크(wet cake)를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3 mL)로 세척하였다. 수득된 고체를 진공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1.29 g을 얻었다. (수율: 87%)
실시예 13: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1S,4R)-7,7-다이메틸-2-옥소바이사이클로[2.2.1]헵탄-1-일)메탄설폰산염의 제조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1.0 g, 2.07 mmol)를 메틸에틸케톤(20 mL)에 용해시킨 후, 55℃로 가온하였다. (1S)-(+)-10-캄포술폰산(0.48 g, 2.07 mmol)을 정제수(0.2 ml)에 용해한 용액을 상기 용액에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약 55 ℃에서 약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약 5℃로 냉각하고, 약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여과한 후, 얻어진 습윤 케이크(wet cake)를 메틸에틸케톤(3 mL)으로 세척하였다. 수득된 고체를 진공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1.19 g을 얻었다. (수율: 80%)
실시예 14: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1S,4R)-7,7-다이메틸-2-옥소바이사이클로[2.2.1]헵탄-1-일)메탄설폰산염의 제조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를 메탄올(483 mg, 10 mL)에 약 0.1M의 농도로 용해시켰다. (1S)-(+)-10-캄포술폰산을 메탄올(232 mg, 1 mL)에 약 1M의 농도로 용해시켜 얻어진 용액을 상기 용액에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24시간 동안 약 20℃에서 용매를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약 715 mg을 얻었다. (수율: 100%)
실시예 15: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1S,4R)-7,7-다이메틸-2-옥소바이사이클로[2.2.1]헵탄-1-일)메탄설폰산염의 제조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를 에탄올(483 mg, 10 mL)에 약 0.1M의 농도로 용해시켰다. (1S)-(+)-10-캄포술폰산을 메탄올(348 mg, 1.5 mL)에 약 1M의 농도로 용해시켜 얻어진 용액을 상기 용액에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20 mL)를 가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실온에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약 600 mg을 얻었다. (수율: 84%)
실시예 16: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1S,4R)-7,7-다이메틸-2-옥소바이사이클로[2.2.1]헵탄-1-일)메탄설폰산염의 제조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를 에탄올(483 mg, 10 mL)에 약 0.1M의 농도로 용해시켰다. (1S)-(+)-10-캄포술폰산을 메탄올(232 mg, 1 mL)에 약 1M의 농도로 용해시켜 얻어진 용액을 상기 용액에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메틸 t-부틸 에테르(30 mL)를 가하고, 실온에서 약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감압여과하였다. 얻어진 여과물을 메틸 t-부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40℃에서 진공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약 610 mg을 얻었다. (수율: 85%)
실시예 17: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1S,4R)-7,7-다이메틸-2-옥소바이사이클로[2.2.1]헵탄-1-일)메탄설폰산염의 제조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를 아세톤(483 mg, 10 mL)에 약 0.1M의 농도로 용해시켰다. (1S)-(+)-10-캄포술폰산을 메탄올(232 mg, 1 mL)에 약 1M의 농도로 용해시켜 얻어진 용액을 상기 용액에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메틸 t-부틸 에테르(20 mL)를 가하고, 약 5℃에서 약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약 5℃를 유지하면서 감압여과하였다. 얻어진 여과물을 메틸 t-부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실온에서 진공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약 600 mg을 얻었다. (수율: 84%)
비교예 1: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이소프로폭시페닐)-2,2-디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염산염의 제조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를 메탄올(483 mg, 10 mL)에 약 0.1M의 농도로 용해시켰다. 1M 염산 용액(36 mg, 1 mL)을 상기 용액에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메틸 t-부틸 에테르(40 mL)를 가하고, 약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감압여과하였다. 얻어진 여과물(고체)을 실온에서 진공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450 mg을 얻었다. (수율: 87%)
비교예 2: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이소프로폭시페닐)-2,2-디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타르타르산염의 제조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를 메탄올(483 mg, 10 mL)에 약 0.1M의 농도로 용해시켰다. 1M 타르타르산 용액(150 mg, 1 mL)을 상기 용액에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메틸 t-부틸 에테르(40 mL)를 가하고, 약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감압여과하였다. 얻어진 여과물(고체)을 실온에서 진공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505 mg을 얻었다. (수율: 80%)
비교예 3: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이소프로폭시페닐)-2,2-디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시트르산염의 제조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를 메탄올(483 mg, 1 mL)에 약 1M의 농도로 용해시켰다. 1M 시트르산 용액(192 mg, 1 mL)을 상기 용액에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메틸 t-부틸 에테르(20 mL)를 가하고, 약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감압여과하였다. 얻어진 여과물(고체)을 실온에서 진공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530 mg을 얻었다. (수율: 79%)
시험예 1: 특성분석
(1) XRD 분석
X-선 회절(XRD) 분석은 Bruker사의 D8 Advance X-선 분말 회절기를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40mA, 40kV에서 조작되는 CuKα1선(λα1=1.54060Å)을 사용하여 4 내지 40˚의 2θ 값 사이를 1 step 당 0.1초의 스캔 속도로 측정하였다.
WO 2021/096238에 개시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S)-퀴누클리딘-3-일 (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WO 2021/096238의 화합물', 유리 염기 형태)의 XRD 분석 결과는 도 1과 같다. 도 1의 결과로부터, WO 2021/096238에 개시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유리 염기는 무정형 형태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화합물의 XRD 분석 결과는 도 2와 같다. 도 2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화합물은 결정형 형태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화합물의 주요 XRD 피크(2θ)는 8.1, 9.3, 11.0, 13.0, 13.1, 15.2, 16.3, 17.1, 17.6, 18.4, 18.7, 20.8, 및 22.6°2θ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화합물의 XRD 분석 결과는 도 3과 같다. 도 3의 결과로부터, 염산염, 타르타르산염, 및 시트르산염 형태의 화합물은 무정형 형태로 얻어짐을 알 수 있다.
(2) 시차 주사 열량계(DSC) 써모그램 분석
시차 주사 열량계(DSC) 분석은 Mettler Toledo사의 DSC1 시차 주사 열량계를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시작온도 30℃, 종료온도 300℃, 승온속도 10℃/분, 질소기체 공급속도 50 mL/분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화합물의 DSC 분석 결과는 도 4와 같다. 도 4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화합물은 229±2℃에서 흡열 피크(endothermic peak)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3) 수분함량 분석
칼피셔법(Karl fischer titration)으로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화합물의 수분 함량을 측정한 결과, 약 0.3∼0.5 %의 범위의 낮은 수분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안정성 평가
(1) 안정성 시험(가속조건)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화합물을 안정성 시험 챔버((Stability test chamber, CARON)에서 가속조건(40±2 ℃, 75±5% RH) 하에서 0, 1, 3개월 동안 보관하면서, 안정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순도(HPLC 순도) 및 수분함량(칼피셔법으로 측정)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 표 1과 같다.
실시예 1의 화합물((1S)-(+)-10-캄포술폰산염)
초기 1개월 3개월
HPLC 순도 98.6% 98.6% 98.6%
수분 0.48% 0.32% 1.28%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1S)-(+)-10-캄포술폰산염 형태의 화합물은 가속조건에서 순도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고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였으며, 수분 함량의 변화도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음(1.0 % 이내)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가속조건에서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화합물에 대한 XRD 분석 결과(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는 도 5와 같으며, 성상을 측정한 결과는 도 6과 같다. 도 5 및 도 6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1S)-(+)-10-캄포술폰산염 형태의 화합물은 가속조건에서 우수한 안정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2) 광안정성 시험
ICH 가이드라인 Q1B에 근거하여 광안정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즉,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화합물을 각각 UV 10시간 (20 W/m2) 및 가시광선 40 시간 (30,000 lux) 동안 빛에 노출시켜 안정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순도(HPLC 순도) 및 수분함량(칼피셔법으로 측정)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 표 2와 같다.
실시예 1의 화합물((1S)-(+)-10-캄포술폰산염)
초기 빛 노출
(UV 10시간 / 가시광선 40 시간)
HPLC 순도 98.6% 98.6%
수분 0.48% 0.31%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1S)-(+)-10-캄포술폰산염 형태의 화합물은 우수한 광안정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흡습성 평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화합물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화합물에 대한 흡습성을 수분흡착분석기(Dynamic Vapor Sorption, DV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수분흡착분석기(Surface Measurement System, DVS intrinsic)에서, WO 2021/096238의 화합물,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화합물,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화합물을 각각 실온(약 25℃), RH 80%에서 24시간 동안 노출시킨 뒤, 무게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3과 같다.
수분 흡수율(%)
비교예 1 (염산염) 15.6
비교예 2 (타르타르산염) 11.6
비교예 3 (시트르산염) 12.2
실시예 1 ((1S)-(+)-10-캄포술폰산염) 2.3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1S)-(+)-10-캄포술폰산염 형태의 화합물은 현저하게 낮은 흡습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용해도 평가
WO 2021/096238에 개시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S)-퀴누클리딘-3-일 (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WO 2021/096238의 화합물', 유리 염기 형태) 및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화합물에 대한 20℃에서의 수용해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4와 같다.
용해도 (20℃)
실시예 1 ((1S)-(+)-10-캄포술폰산염) 1.7 mg/mL
WO 2021/096238의 화합물(유리 염기 형태) < 0.01 mg/mL
상기 표 4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1S)-(+)-10-캄포술폰산염 형태의 화합물은 현저하게 우수한 수용해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Claims (20)

  1.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
  2. 제1항에 있어서, 결정형 형태를 갖는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이 8.1, 11.0, 및 16.3°2θ ± 0.2°2θ에서 피크를 갖는 XRD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이 도 2의 XRD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이 220∼236℃에서 흡열 피크(endothermic peak)를 나타내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 써모그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이 도 4의 시차 주사 열량계(DSC) 써모그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
  7. (a)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및 (1S)-(+)-10-캄포술폰산을, 가온하에서, 용매 중에 용해시켜 용액을 얻는 단계; 및
    (b) 단계(a)에서 얻어진 용액을 냉각하여 침전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단계(a)가 35 내지 7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단계(a)가 40 내지 6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C1∼C5 알코올,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아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메틸 t-부틸 에테르,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기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아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및 메틸에틸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기용매와 물과의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와 물과의 부피비가 3:0.1 내지 30:0.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이 0 내지 3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이 5 내지 25℃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단계(b)가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건조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방법.
  16. (i)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및 (1S)-(+)-10-캄포술폰산을 5∼30℃에서 용매에 용해시켜 용액을 얻는 단계; 및
    (ii) 단계(i)에서 얻어진 용액에 반용매를 첨가하여 침전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필알콜,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반용매가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메틸 t-부틸 에테르, 다이에틸 에테르, 및 헵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9. (p)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 및 (1S)-(+)-10-캄포술폰산을 5∼30℃에서 용매에 용해시켜 용액을 얻는 단계; 및
    (q) 단계(p)에서 얻어진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S)-퀴누클리딘-3-일 ((R)-5-(3-클로로-4-아이소프로폭시페닐)-2,2-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카바메이트의 (1S)-(+)-10-캄포술폰산염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필알콜,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230141682A 2022-10-24 2023-10-23 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 유도체의 신규 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573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37675 2022-10-24
KR1020220137675 2022-10-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7364A true KR20240057364A (ko) 2024-05-02

Family

ID=90831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1682A KR20240057364A (ko) 2022-10-24 2023-10-23 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 유도체의 신규 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7364A (ko)
WO (1) WO202409091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600683D0 (sv) * 1996-02-23 1996-02-23 Astra Ab Azabicyclic esters of carbamic acids useful in therapy
US6953855B2 (en) * 1998-12-11 2005-10-11 Targacept, Inc. 3-substituted-2(arylalkyl)-1-azabicycloalkan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12129084A2 (en) * 2011-03-18 2012-09-27 Genzyme Corporation Glucosylceramide synthase inhibitors
WO2019079626A1 (en) * 2017-10-19 2019-04-25 Samumed, Llc 6- (HETEROARYL 5-CHAIN) ISOQUINOLIN-3-YL CARBOXAMIDE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CA3154313A1 (en) * 2019-11-15 2021-05-20 Dong-Hoon Kim Novel derivatives having 2,3-dihydro-1h-indene or 2,3-dihydrobenzofuran moiety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0917A1 (en) 202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3065C2 (ru) Соли 4-метил-n-[3-(4-метилимидазол-1-ил)-5-трифторметилфенил]-3-(4-пиридин-3-илпиримидин-2-иламино) бензамида
US8501753B2 (en) Useful pharmaceutical salts of 7-[(3R, 4R)-3-Hydroxy-4-hydroxymethyl-pyrrolidin-1-ylmethyl]-3, 5-dihydro-pyrrolo [3, 2-D] pyrimidin-4-one
TW202002969A (zh) 製備方法
JP2019509308A (ja) 1−(5−(2,4−ジフルオロフェニル)−1−((3−フルオロフェニル)スルホニル)−4−メトキシ−1h−ピロール−3−イル)−n−メチルメタンアミン塩の新規な結晶形
EP4046687A1 (en) Method for producing centanafadine
KR20240057364A (ko) 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 유도체의 신규 염 및 이의 제조방법
NO317997B1 (no) Fremgangsmate for fremstilling av et naftyridinkarboksylsyrederivat (metansulfonat-sesquihydrat)
EP3398946B1 (en) Salt of morpholine derivative and crystalline form thereof, as well as preparation method,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use of the same
EP2220082B1 (en) Stable crystalline salt of (r)-3-fluorophenyl-3,4,5-trifluorobenzylcarbamic acid 1-azabiciyclo [2.2.2]oct-3-yl ester
KR20160078359A (ko) (2R)-4-옥소-4-[3-(트리플루오로메틸)-5,6-디하이드로[1,2,4]트리아졸로[4,3-α]피라진-7(8H)-일]-1-(2,4,5-트리플루오로페닐)부탄-2-아민과 L-타르타르산의 염의 안정한 다형체
AU2007248282B2 (en) Crystalline (3-cyano-1H-indol-7-yl)-[4-(4-fluorophenethyl)piperazin-1-yl]methanone phosphate
BR112018006850B1 (pt) Forma cristalina a de composto e processos para preparação da mesma
KR20240057365A (ko) 다이메틸-2,3-다이하이드로-1h-인덴 유도체의 개선된 제조방법
TW202313599A (zh) 式i化合物的晶型及其製備和應用
KR20230062916A (ko) 피마살탄 무수물 a형 결정다형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62917A (ko) 피마살탄 일수화물 b형 결정다형 및 그 제조방법
EP3303329B1 (en) Processes to make indazole derivatives
WO2024088928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logabat
CN116745303A (zh) 盐晶体
Zhang et al. A new variant of Knorr's pyrrole synthesis
KR20190131983A (ko) 다이아미노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산부가염의 신규의 제조방법
KR20100101051A (ko) 조피클론 결정성 다형체, 이들의 제조 공정 및 이들의 약제 조성물
KR20190005679A (ko) 1-[2-(2,4-디메틸페닐설파닐)페닐]피페라진의 신규염 및 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