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6749A - Ahr 효능제 - Google Patents

Ahr 효능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6749A
KR20240056749A KR1020247011803A KR20247011803A KR20240056749A KR 20240056749 A KR20240056749 A KR 20240056749A KR 1020247011803 A KR1020247011803 A KR 1020247011803A KR 20247011803 A KR20247011803 A KR 20247011803A KR 20240056749 A KR20240056749 A KR 20240056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mol
alkyl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ompound according
ox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1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씨에 마리 샤우비네-히네스
크리스찬 알렉산더 클락
더글라스 린 거너트
스티븐 제임스 그린
브라이언 모건 왓슨
Original Assignee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240056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674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215/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having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9Non-condensed quinolines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4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07D215/54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attached in position 3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6Peri-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Epidemi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치환된 AHR 효능제 화합물,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및 면역-매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상기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AHR 효능제
본 발명은 신규 AHR 효능제 화합물,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및 특정 생리학적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상기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AHR)의 활성화를 통한 특정 면역-매개 질환 (IMD), 특히 건선의 치료 분야이다.
IMD는 전세계 인구의 대략 4%에 영향을 미치는 광범위한 만성 및 쇠약성 염증성 상태를 포괄한다. 현재 이용가능한 치료의 제한된 효능의 관점에서, IMD의 치료를 위한 강력하고 선택적이며 안전한 약물에 대한 유의한 미충족 필요가 존재한다.
AHR은 면역학적 기능의 많은 측면, 가장 두드러지게는 적응 면역 반응의 억제를 조절하는 전사 인자이다 (문헌 [Ehrlich et al., Curr. Opin. Toxicol., 2, 72-78 (2017)]). 원형 AHR 효능제는 할로겐화 디벤조디옥신, 예컨대 2,3,7,8-테트라클로로디벤조디옥신 (TCDD), 트립토판 대사물, 예컨대 L-키누레닌, 빌리루빈 및 PGE2를 포함한다. AHR 효능제, 특히 TCDD에 대한 연구로부터의 결과는 면역 억제가 조절 T 세포 (Treg), TH17 세포 및 수지상 세포 (DC)의 AHR-유도된 발현의 결과로서 발생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문헌 [Rothhammer et al., Nat. Rev, Immunol., 19, 184-197 (2019)]). TCDD는 제1형 당뇨병 (문헌 [Kerkvliet et al., Immunotherapy, 1, 539-547 (2009)]), 자가면역 뇌척수염 (문헌 [Quintana et al., Nature, 453, 65-71, (2008)]), 자가면역 포도막망막염 (문헌 [Zhang et al., Invest. Opthalmol. Vis. Sci., 51, 2109-2117 (2010)]), 염증성 장 질환 (문헌 [Takamura et al., Immunol. Cell. Biol., 88, 685-689 (2010), Benson et al., Toxicol. Sci., 120, 68-78 (2011), Singh et al., PLoS One, 6(8), e23522 (2011)]), 뿐만 아니라 이식 내성의 여러 모델 (문헌 [Pauly et al., Toxicol. Environ. Chem., 94, 1175-1187 (2012)]) 및 알레르기성 질환 (문헌 [Schulz et al., Toxicol. Sci., 123, 491-500 (2011), Li et al., PLoS One, 11, e0150551 (2016), Luebke et al., Toxicol. Sci., 62, 71-79 (2001)])을 포함한 IMD의 여러 뮤린 모델의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AHR은 또한 폴리시클릭 방향족 탄화수소 (PAH) 및 다른 방향족 화합물 (예를 들어, 에스트로겐)의 대사를 촉매하는 CYP1A1, CYP1A2 및 CYP1B1의 발현을 조절한다. 일부 경우에 (예를 들어, 벤조[a]피렌의 경우에) 이러한 대사는 반응성 종의 형성을 일으키지만, CYP 유도는 또한 PAH의 해독 및 대사 클리어런스에 결정적인 것으로 여겨지며, 이는 생물활성화, 및 DNA 부가물 형성의 확률을 감소시킨다. 여러 시판 약물은 그의 FDA 승인 후에 AHR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따라서 CYP1A1, CYP1A2 및 CYP1B1을 상향조절함), 그의 장기간 사용은 디옥신-유사 독성과 연관되지 않는다 (문헌 [Ehrlich et al., Curr. Opin. Toxicol., 2, 72-78 (2017)]). 따라서, CYP 유도는 더 이상 요법에서 AHR 효능제의 채택에 대한 장벽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문헌 [Ehrlich et al., Curr. Opin. Toxicol., 2, 72-78 (2017)]).
1% 국소 크림으로서 제제화된 박테리아 스틸베노이드 DMVT-505 (타피나로프)는 현재 성인에서 판상 건선의 치료를 위한 3상 임상 시험 중이다 (NCT04053387). 그럼에도 불구하고, IMD의 치료를 위한 신규 경구, 선택적 및 강력한 AHR 효능제에 대한 필요가 남아있다.
WO 2008/014307은 운데카프레닐 피로포스페이트 신타제의 억제제로서 특정 비시클릭 헤테로아릴 아미드를 개시한다. EP 0059698은 특정 헤테로시클릭 카르복스아미드, 이들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들 조성물을 사용한 치료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AHR의 효능제인 특정 화합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R1은 1-2개의 Ri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 Rk로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6-원 헤테로아릴 및 Rj로 임의로 치환된 C3-C6 시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i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C1-C4 알킬, CF3, OH, O(C1-C4 알킬), O(C1-C3)OCH3 및 NH(C1-C3 알킬)N(CH3)2로부터 선택되고;
Rk는 할로겐, C1-C4 알킬, 니트릴, CF3 및 O(C1-C4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j는 O(C1-C4 알킬)이고;
X는 N 및 -C(R4)-로부터 선택되고;
R2는 C1-C3 알킬이거나, 또는 R4와 함께 5- 내지 6-원 헤테로시클릭 융합된 고리를 형성하고;
R4는 수소, 할로겐, NH(C1-C3 알킬)N(CH3)2이거나, 또는 R2와 함께 5- 내지 6-원 헤테로시클릭 융합된 고리를 형성하고,
R3은 수소, 할로겐, C1-C4 알킬, C3-C6 시클로알킬, NH(C1-C3 알킬), N(C1-C3 알킬)2, NH(C1-C3 알킬)OH, NH(C1-C3 알킬)N(C1-C3 알킬)2 및 O(C1-C3 알킬)OH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은 또한 R1이 Rk로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6-원 헤테로아릴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R1이 5- 내지 6-원 헤테로아릴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X가 CH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R2가 C1-C3 알킬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R2가 CH3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R3이 수소, CH3, NH(CH3), N(CH3)2, N(CH2CH2)OH, N(CH2CH2)N(CH3)2 및 O(CH2CH2)OH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R3이 수소 및 N(CH2CH2)N(CH3)2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기로부터 선택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추가로 제공한다:
Figure pct00002
.
본 발명은 또한 하기로부터 선택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3
.
본 발명은 임의의 상기 실시양태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면역-매개 질환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임의의 상기 실시양태에 따른 화합물 또는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환자에서 면역-매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건선, 궤양성 결장염, 크론병, 이식편-대-숙주 질환, 및 다발성 경화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임의의 상기 실시양태에 따른 화합물 또는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환자에서 건선, 궤양성 결장염, 크론병, 이식편-대-숙주 질환, 및 다발성 경화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임의의 상기 실시양태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건선, 궤양성 결장염, 크론병, 이식편-대-숙주 질환, 및 다발성 경화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임의의 상기 실시양태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면역-매개 질환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임의의 상기 실시양태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선, 궤양성 결장염, 크론병, 이식편-대-숙주 질환 및 다발성 경화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임의의 상기 실시양태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단독으로 또는 보다 큰 모이어티의 일부로서 사용된,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알킬"은 1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시클로알킬"은 적어도 3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 고리계를 지칭한다. 예시적인 모노시클릭 시클로알킬 고리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및 시클로헵틸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헤테로시클릭"은 적어도 2개의 탄소 원자 및 적어도 1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포화 고리계를 지칭한다. 예시적인 헤테로원자는 산소, 질소 및 황이다. 예시적인 헤테로시클릭 고리는 옥시란, 아지리딘, 옥세탄, 옥솔란, 피롤리딘, 피페리딘 및 모르폴린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헤테로아릴"은 5 내지 10개의 고리 원자, 바람직하게는 5, 6, 9, 또는 10개의 고리 원자를 갖고, 시클릭 배열에 공유된 6, 10, 또는 14개의 π-전자를 갖고, 탄소 원자 이외에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기를 지칭한다. 용어 "헤테로원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을 지칭하고, 질소 또는 황의 임의의 산화된 형태, 및 염기성 질소의 임의의 4급화된 형태를 포함한다. 헤테로아릴 기는, 예를 들어 티에닐, 푸라닐,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옥사디아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피리딜,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및 피라지닐을 포함한다. 용어 "비시클릭 헤테로아릴"은 헤테로아릴 고리가 1개 이상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에 융합된 기를 포함한다. 비제한적 예는 인돌릴, 이소인돌릴, 벤조티에닐, 벤조푸라닐, 디벤조푸라닐, 인다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즈티아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신놀리닐, 프탈라지닐, 퀴나졸리닐 및 퀴녹살리닐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면역-매개 질환"은 세포 항상성에서의 변경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면역 염증성 장애의 군을 포괄한다. 면역-매개 질환은 환경 인자, 식이 습관, 감염원, 및 유전적 소인에 의해 촉발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치료하는"은 기존 증상 또는 장애의 진행 또는 중증도를 저지, 둔화, 정지, 또는 역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환자"는 인간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유효량"은 환자에게 단일 또는 다중 용량 투여 시, 진단 또는 치료 하에 있는 환자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양 또는 용량을 지칭한다.
유효량은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환자에 대한 유효량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다수의 인자,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환자의 종; 그의 크기, 연령 및 전반적 건강; 침범된 구체적 질환 또는 장애; 질환 또는 장애의 침범 정도 또는 중증도; 개별 환자의 반응; 투여되는 특정한 화합물; 투여 방식; 투여되는 제제의 생체이용률 특징; 선택된 용량 요법; 병용 의약의 사용; 및 다른 관련 상황이 고려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넓은 투여량 범위에 걸쳐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1일 투여량은 통상적으로 약 0.1 내지 약 15 mg/kg 체중의 범위 내에 속한다. 일부 경우에, 상기 언급된 범위의 하한치 미만의 투여량 수준이 보다 적절할 수 있는 한편, 다른 경우에 훨씬 더 많은 용량이 허용되는 부작용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투여량 범위는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화합물을 생체이용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경로, 예컨대 경구 및 경피 경로에 의해 투여되는 제약 조성물로서 제제화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조성물은 경구 투여를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약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은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문헌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A. Adejare, Editor, 23rd Edition, Elsevier Academic Press, 2020] 참조).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고 인지된 방법에 의해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이들 제조예 및 실시예의 단계에 적합한 반응 조건은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고, 용매 및 공-시약의 적절한 치환은 관련 기술분야의 기술 내에 있다. 마찬가지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합성 중간체가 필요에 따라 또는 목적하는 바에 따라 다양한 널리 공지된 기술에 의해 단리 및/또는 정제될 수 있고, 빈번하게, 다양한 중간체를 정제 없이 또는 거의 없이 후속 합성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임을 인지할 것이다. 예시로서, 제조예 및 실시예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실리카 겔 정제에 의해 단리되거나, 여과, 또는 결정화에 의해 직접 단리될 수 있다. 또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일부 상황에서 모이어티가 도입되는 순서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단계의 특정한 순서는 합성되는 특정한 화합물, 출발 화합물, 및 치환된 모이어티의 상대적 책임에 좌우되며, 통상의 화학자에 의해 널리 인지된다. 모든 치환기는,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이전에 정의된 바와 같고, 모든 시약은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 및 인지되어 있다.
특정 약어는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BrettPhos Pd G3"은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2'-아미노-1,1'-비페닐)]팔라듐(II) 메탄술포네이트를 지칭하고; "BSA"는 소 혈청 알부민을 지칭하고; "DIEA"는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지칭하고; "DMEM"은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를 지칭하고; "DMSO"는 디메틸 술폭시드를 지칭하고; "DPBS"는 둘베코 포스페이트-완충 염수를 지칭하고; "EGFP"는 증진된 녹색 형광 단백질을 지칭하고; "Et2O"는 디에틸 에테르를 나타내고; "EtOH"는 에틸 알콜을 나타내고; HATU는 (1-[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디늄 3-옥시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를 지칭하고; "hr." 또는 "hrs."는 시간을 지칭하고; "min"은 분을 지칭하고; "Pd2(dba)3"는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을 지칭하고; "SCX"는 강한 양이온 교환을 지칭하고; "TBAF"는 테트라-n-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를 지칭하고; "tBuONa"는 소듐 tert-부톡시드를 지칭하고; "THF"는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지칭하고; "tBuXphos"는 2-디-tert-부틸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을 지칭한다.
임의적인 단계에서, 임의의 상기 실시양태에 따른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표준 조건 하에 적합한 용매 중에서 화합물의 적절한 유리 염기와 적절한 제약상 허용되는 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염의 형성은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고 인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문헌 [Gould, P.L., "Salt selection for basic drugs,"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33: 201-217 (1986); Bastin, R.J., et al. "Salt Selection and Optimization Procedures for Pharmaceutical New Chemical Entities," Organic Process Research and Development, 4: 427-435 (2000); and Berge, S.M., et al., "Pharmaceutical Salts,"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66: 1-19, (1977). "Salt selection for basic drugs,"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33: 201-217 (1986)]을 참조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임의의 상기 실시양태에 따른 화합물이 제약상 허용되는 염으로 용이하게 전환되고, 그로서 단리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절차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하기 반응식, 제조예 및 실시예에 예시되어 있다. 기재된 각각의 경로에 대한 구체적 합성 단계는 상이한 방식으로, 또는 상이한 반응식으로부터의 단계와 함께 조합되어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조할 수 있다. 하기 반응식에서의 각각의 단계의 생성물은 추출, 증발, 침전, 크로마토그래피, 여과, 연화처리, 및 결정화를 포함한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 하기 반응식에서,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모든 치환기는 이전에 정의된 바와 같다. 시약 및 출발 물질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입수가능하다.
반응식 1.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반응식
Figure pct00004
반응식 1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반응식을 도시한다.
융합된 2-옥소-1H-피리딘-3-카르복실산 (1)을 아미드 커플링에 적용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브로모-치환된 융합된 2-옥소-1H-피리딘-3-카르복실산 (2)를 먼저 아미드 커플링에 적용하여 (3)을 수득할 수 있고, 이어서 이를 팔라듐-촉매화 커플링 반응에 적용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제조예 및 실시예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추가로 예시한다.
중간체 1
1-메틸-2-옥소-1,8-나프티리딘-3-카르복실산
Figure pct00005
단계 A: 2-아미노-3-피리딘카르복스알데히드 (500 mg, 3.972 mmol), 디에틸 말로네이트 (6 mL, 39.48 mmol) 및 피페리딘 (1.6 mL, 16 mmol)의 혼합물을 EtOH (7 mL, 120 mmol) 중에서 1시간 동안 주위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였다. 고체를 차가운 EtOH로 세척하고, 진공하에 건조시켜, 에틸 2-옥소-1H-1,8-나프티리딘-3-카르복실레이트를 수득하였다 (710 mg, 3.254 mmol, 81.93%) ES/MS (m/z): 219.0 (M+H). 1H NMR (400 MHz, d6-DMSO): 12.40 (s, 1H), 8.61 (dd, J= 1.8, 4.7 Hz, 1H), 8.50 (s, 1H), 8.28 (dd, J= 1.8, 7.8 Hz, 1H), 7.30 (dd, J= 4.7, 7.8 Hz, 1H), 4.29 (q, J= 7.1 Hz, 2H), 3.33 (s, 1H), 1.31 (t, J= 7.1 Hz, 4H).
단계 B: 아이오도메탄 (0.61 mL, 9.8 mmol) 및 탄산칼륨 (372 mg, 2.69167 mmol)을 EtOH (8 mL, 198 mmol)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 (8 mL, 103 mmol) 중 에틸 2-옥소-1H-1,8-나프티리딘-3-카르복실레이트 (710 mg, 3.254 mmol)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켄칭한 반응물을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에틸 1-메틸-2-옥소-1,8-나프티리딘-3-카르복실레이트를 수득하였다 (648 mg, 2.7344 mmol, 84.039% 수율). ES/MS (m/z): 233.0 (M+H). 1H NMR (400 MHz, d6-DMSO): 8.75 (dd, J= 1.9, 4.8 Hz, 1H), 8.51 (s, 1H), 8.35 (dd, J= 1.9, 7.7 Hz, 1H), 7.39 (dd, J= 4.7, 7.8 Hz, 1H), 4.31 (q, J= 7.1 Hz, 2H), 3.70 (s, 3H), 1.32 (t, J= 7.1 Hz, 3H).
단계 C; 중간체 1: 에틸 1-메틸-2-옥소-1,8-나프티리딘-3-카르복실레이트 (648 mg, 2.734 mmol)를 THF (0.2M, 168 mmol) 및 메탄올 (10.94 mmol)의 혼합물 중에 용해시켰다. 수산화리튬의 1M 수용액 (10.94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농축 건조시킨 다음, 물 중에 용해시키고, pH를 HCl의 1M 수용액을 사용하여 1로 조정하였다. 백색 고체를 여과하고, 하우스 진공 하에 밤새 건조시켜 표제 생성물 (532 mg, 2.606 mmol, 95.287%)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6-DMSO): 8.94 (s, 1H), 8.88 (dd, J= 1.9, 4.7 Hz, 1H), 8.54 (dd, J= 1.9, 7.8 Hz, 1H), 7.54 (dd, J= 4.7, 7.8 Hz, 1H), 3.83 (s, 3H).
중간체 2
에틸 7-브로모-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06
단계 A: 2-아미노-4-브로모벤즈알데히드 (3.0 g, 15 mmol), 디에틸 말로네이트 (22 mL, 144.8 mmol) 및 피페리딘 (5.8 mL, 59 mmol)의 혼합물을 EtOH (40 mL, 687 mmol) 중에서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여과하고, 고체를 차가운 EtOH에 이어서 Et2O로 세정하여 에틸 7-브로모-2-옥소-1H-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 (단계 A; 2.71 g, 9.14 mmol, 62%)를 수득하였다. ES/MS (m/z) (79Br/81Br): 297.0/298.0 (M+H). 1H NMR (400 MHz, d6-DMSO): 12.07 (bs, 1H), 8.49 (s, 1H), 7.78 (d, J= 8.5 Hz, 1H), 7.50 (d, J= 1.9 Hz, 1H), 7.40 (dd, J= 1.9, 8.4 Hz, 1H), 4.27 (q, J= 7.1 Hz, 2H), 1.30 (t, J= 7.1 Hz, 3H).
단계 B; 중간체 2: 에틸 7-브로모-2-옥소-1H-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 (2.707 g, 9.142 mmol)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 (30 mL, 388 mmol, 28.4 g)에 용해시켰다. 탄산칼륨 (2.78 g, 20.1 mmol)에 이어서 아이오도메탄 (1.25 mL, 20.1 mmol, 2.85 g)을 첨가하고, 주위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에 붓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x)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0-10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2.58 g, 8.32 mmol, 91.0%)을 수득하였다. ES/MS (m/z) (79Br/81Br): 310.0/311.0 (M+H). 1H NMR (399.80 MHz, DMSO): 8.46 (s, 1H), 7.83 (d, J= 8.4 Hz, 1H), 7.79 (d, J= 1.7 Hz, 1H), 7.51 (dd, J= 1.8, 8.4 Hz, 1H), 4.28 (q, J= 7.1 Hz, 2H), 3.62 (s, 3H), 1.30 (t, J= 7.1 Hz, 3H).
중간체 3
5-브로모-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
Figure pct00007
단계 A: 디에틸 말로네이트 (696 mg, 4.345 mmol) 및 탄산칼륨 (910 mg, 6.519 mmol)을 아세트산 무수물 (10 mL) 중 2-브로모-6-니트로-벤즈알데히드 (1 g, 4.347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80618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물 (20 mL)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 (2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디에틸 2-[(2-브로모-6-니트로-페닐)메틸렌]프로판디오에이트 (1.6 g, 4.3 mmol, 99%)를 수득하였다. ES/MS (m/z) (79Br/81Br): 370.0/372.0 (M+H).
단계 B: 철 (2.4 g, 37 mmol)을 빙초산 (10 mL) 중 디에틸 2-[(2-브로모-6-니트로-페닐)메틸렌]프로판디오에이트 (1.6 g, 4.3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pH를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을 사용하여 pH=8로 조정하였다. 반응물을 디클로로메탄 (5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 (30 mL x 2)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주위 온도에서 20분 동안 메탄올로 연화처리한 다음, 여과하여 에틸 5-브로모-2-옥소-1H-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 (200 mg, 0.540 mmol, 50.28%)를 수득하였다. ES/MS (m/z) (79Br/81Br): 295.0/ 298.0 (M+H).
단계 C: 탄산세슘 (573 mg, 1.76 mmol) 및 아이오도메탄 (0.3 mL, 5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 중 에틸 5-브로모-2-옥소-1H-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 (400 mg, 0.946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5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켄칭하고, 디클로로메탄 (15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염수 (1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0~40%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에틸 5-브로모-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 (150 mg, 0.339 mmol, 100%)를 수득하였다. ES/MS (m/z) (79Br/81Br): 310.0/312.0 (M+H).
단계 D; 중간체 3: 물 (2 mL) 중 수산화리튬 (40 mg, 0.934 mmol)을 THF (2 mL) 중 에틸 5-브로모-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 (100 mg, 0.323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4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pH를 1N 수성 HCl을 사용하여 pH 4로 조정하였다. 혼합물을 물 (5 mL)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 (1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 (1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표제 생성물 (70 mg, 0.248 mmol, 77%)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13 MHz, d6-DMSO): 14.91-14.86 (m, 1H), 8.94 (s, 1H), 7.84-7.76 (m, 3H), 3.80 (s, 3H).
실시예 1
N-(4-메톡시페닐)-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08
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 (418 mg, 2.057 mmol), 4-메톡시아닐린 (304 mg, 2.469 mmol), N,N-디메틸포름아미드 (7 mL, 90.5 mmol), HATU (880 mg, 2.268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8 mL, 10 mmol, 100)을 함께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고, 농축시켰다. 생성된 물질을 0-5% 디클로로메탄/메탄올 구배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Et2O로 연화처리하여 표제 생성물 (548 mg, 1.777 mmol, 86.40%)을 수득하였다. ES/MS (m/z): 309.0 (M+H). 1H NMR (400.13 MHz, d6-DMSO): 11.99 (s, 1H), 8.98 (s, 1H), 8.09 (dd, J= 1.3, 7.9 Hz, 1H), 7.86-7.81 (m, 1H), 7.74-7.67 (m, 3H), 7.46-7.42 (m, 1H), 6.98-6.95 (m, 2H), 3.81 (s, 3H), 3.77 (s, 3H).
표 1의 하기 실시예는 적절한 출발 물질 및 시약을 사용하여 본질적으로 N-(4-메톡시페닐)-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이 합성하였다.
표 1. 실시예 2-39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중간체 4
tert-부틸 4-[4-[(11-옥소-1-아자트리시클로[6.3.1.04,12]도데카-4(12),5,7,9-테트라엔-10-카르보닐)아미노]페닐]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16
표제 중간체를 적절한 출발 물질 및 시약을 사용하여 본질적으로 N-(4-메톡시페닐)-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1)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이 합성하였다. ES/MS (m/z) (M+H) 375.2.
실시예 40
7-브로모-1-메틸-2-옥소-N-페닐-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17
헥산 (0.5 ml, 1.0 mmol) 중 트리메틸알루미늄 (2 M)을 톨루엔 (2.1 mL, 20 mmol) 중 아닐린 (0.10 mL, 1.1 mmol)의 0℃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주위 온도로 가온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7-브로모-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 (0.208 g, 0.671 mmol)를 고체로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밀봉하고,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를 통해 100℃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로쉘 염이 들은 분리 깔때기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x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부를 1N 수성 HCl에 이어서 염수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0-10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0.140 g, 0.392 mmol, 58.4% 수율). ES/MS (m/z) (79Br/81Br): (M+H) 357.0/359.0. 1H NMR (399.80 MHz, CDCl3): 11.96 (s, 1H), 8.97 (s, 1H), 7.80-7.77 (m, 2H), 7.69-7.65 (m, 2H), 7.50 (dd, J= 1.7, 8.3 Hz, 1H), 7.42-7.37 (m, 2H), 7.18-7.14 (m, 1H), 3.83 (s, 3H).
실시예 41
N-(5-메틸-2-피리딜)-11-옥소-1-아자트리시클로[6.3.1.04,12]도데카-4(12),5,7,9-테트라엔-10-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18
DIEA (0.12 mL, 0.66 mmol)를 에틸 아세테이트 (0.39 mL, 0.66 mmol, 1.67 mol/L) 및 디클로로메탄 (2 mL) 중 4-옥소-1,2-디히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5-카르복실산 (0.075 g, 0.33 mmol), 2-아미노-5-메틸피리딘 (0.041 g, 0.36 mmol) 및 1-프로판포스폰산 무수물 (50 질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8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수성 포화 염화암모늄으로 세척하였다. 유기부를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 중 0-10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3.9 mg, 0.013 mmol, 3.9%). ES/MS (m/z): 306.0 (M+H). 1H NMR (399.80 MHz, d6-DMSO): 12.54 (s, 1H), 9.05 (s, 1H), 8.24-8.22 (m, 2H), 7.82 (dd, J= 0.7, 8.0 Hz, 1H), 7.72-7.68 (m, 1H), 7.63-7.61 (m, 1H), 7.33 (dd, J= 7.3, 8.0 Hz, 1H), 4.51-4.47 (m, 2H), 3.49 (t, J= 7.9 Hz, 2H), 2.29 (s, 3H).
표 2의 하기 실시예는 적절한 출발 물질 및 시약을 사용하여 본질적으로 N-(5-메틸-2-피리딜)-11-옥소-1-아자트리시클로[6.3.1.04,12]도데카-4(12),5,7,9-테트라엔-10-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41)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이 합성하였다.
표 2. 실시예 42 및 43
Figure pct00019
표 3의 하기 중간체는 적절한 출발 물질 및 시약을 사용하여 본질적으로 N-(5-메틸-2-피리딜)-11-옥소-1-아자트리시클로[6.3.1.04,12]도데카-4(12),5,7,9-테트라엔-10-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41)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이 합성하였다.
표 3. 중간체 5-9
Figure pct00020
중간체 10
5-브로모-1-메틸-2-옥소-N-(2-피리딜)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21
피리딘 (255 mg, 3.224 mmol) 및 POCl3 (200 mg, 1.3044 mmol)를 디클로로메탄 (5 mL) 중 5-브로모-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 (500 mg, 1.7725 mmol) 및 피리딘-2-아민 (205 mg, 2.178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주위 온도에서 10분 동안 메탄올로 연화처리한 다음, 여과하여 5-브로모-1-메틸-2-옥소-N-(2-피리딜)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600 mg, 1.675 mmol, 94.50% 수율)를 수득하였다. ES/MS (m/z) (79Br/81Br): 357.9/359.9 (M+H).
표 4의 하기 중간체는 적절한 출발 물질 및 시약을 사용하여 본질적으로 5-브로모-1-메틸-2-옥소-N-(2-피리딜)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10)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이 합성하였다.
표 4. 중간체 11-17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실시예 44
N-(4-메톡시페닐)-1,7-디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24
7-브로모-N-(4-메톡시페닐)-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0.100 g, 0.258 mmol)를 1,4-디옥산 (1.5 mL, 18 mmol)에 용해시켰다. 메틸 보론산 (0.038 g, 0.62 mmol) 및 탄산세슘 (0.165 g, 0.506 mmol)을 첨가하였다. 질소를 반응 혼합물을 통해 5분 동안 버블링하고,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 디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 복합체 (0.036 g, 0.043 mmol)를 첨가한 다음, 밀봉하고, 마이크로웨이브를 통해 100℃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조 반응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0-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0.015 g, 0.047 mmol, 18% 수율)을 수득하였다. ES/MS (m/z) (M+H): 323.0. 1H NMR (399.80 MHz, CDCl3): 12.02-11.96 (m, 1H), 8.99 (s, 1H), 7.74-7.71 (m, 3H), 7.27 (m, 1H), 7.21 (d, J= 7.7 Hz, 1H), 6.94 (d, J= 8.8 Hz, 2H), 2.59 (s, 3H), 1.59 (s, 3H).
실시예 45
7-시클로프로필-N-(4-메톡시페닐)-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25
표제 화합물을 적절한 출발 물질 및 시약을 사용하여 본질적으로 N-(4-메톡시페닐)-1,7-디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44)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이 합성하였다. ES/MS (m/z) (79Br/81Br): (M+H) 349.0.
실시예 46
N-(4-메톡시페닐)-1-메틸-7-(메틸아미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26
7-브로모-N-(4-메톡시페닐)-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0.154 g, 0.398 mmol)를 톨루엔 (2 mL)에 용해시켰다. 나트륨 tert-부톡시드 (0.100 g, 1.01 mmol)를 첨가하였다. 질소를 반응 혼합물을 통해 10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테트라히드로푸란 (0.600 mL, 1.2 mmol) 중 메틸아민 (2.0 mol/L)을 첨가하고, 이어서 (R)-(+)-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0.035 g, 0.055 mmol)에 이어서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0.040 g, 0.04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밀봉하고, 마이크로웨이브를 통해 80℃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조 반응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0-10% (메탄올 중 7 N NH3)/디클로로메탄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1:1 메탄올/디클로로메탄에 이어서 메탄올에 이어서 메탄올 중 7 N 암모니아 (x2)로 헹군 SCX이온 교환 칼럼으로 정제하였다. 헹굼액을 함유하는 암모니아를 진공 하에 농축시켜 표제 생성물 (33 mg, 0.0978 mmol, 24.6%)을 수득하였다. ES/MS (m/z) (M+H) 338.0. 1H NMR (399.80 MHz, CDCl3): 11.99 (s, 1H), 8.82 (s, 1H), 7.73-7.70 (m, 2H), 7.54 (d, J= 8.7 Hz, 1H), 6.93-6.91 (m, 2H), 6.62 (dd, J= 2.0, 8.6 Hz, 1H), 6.34 (d, J= 1.9 Hz, 1H), 3.83 (s, 3H), 3.77 (s, 3H).
표 5의 하기 실시예는 적절한 출발 물질 및 시약을 사용하여 본질적으로 N-(4-메톡시페닐)-1-메틸-7-(메틸아미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46)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이 합성하였다.
표 5. 실시예 47-56
Figure pct00027
Figure pct00028
표 6의 하기 중간체는 적절한 출발 물질 및 시약을 사용하여 본질적으로 N-(4-메톡시페닐)-1-메틸-7-(메틸아미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46)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이 합성하였다.
표 6. 중간체 18-25
Figure pct00029
Figure pct00030
실시예 57
5-[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N-(5-플루오로피리미딘-2-일)-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31
BrettPhos Pd G3 (75 mg, 0.0786 mmol), Pd2(dba)3 (73 mg, 0.0797 mmol)를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 (185 mg, 1.994 mmol) 중 5-브로모-N-(5-플루오로피리미딘-2-일)-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100 mg, 0.2651 mmol), 2-(4,4-디플루오로-1-피페리딜)에탄아민 (150 mg, 0.3977 mmol) 및 t-BuONa (117 mg, 1.1930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3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0-5% 메탄올/디클로로메탄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20℃에서 5분 동안 MeOH로 연화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표제 생성물 (17.74 mg, 0.0357 mmol, 8.973%)을 수득하였다. ES/MS (m/z) (M+H) 385.2. 1H NMR (400.14 MHz, d6-DMSO): 12.93 (s, 1H), 9.28 (s, 1H), 8.82 (s, 2H), 7.64-7.59 (m, 1H), 7.20-7.13 (m, 1H), 6.87 (d, J= 8.5 Hz, 1H), 6.66-6.62 (m, 1H), 3.73 (s, 3H), 3.66-3.63 (m, 2H), 3.47-3.45 (m, -2H), 2.84 (s, 6H).
실시예 57에 대한 대안적 합성
5-[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N-(5-플루오로피리미딘-2-일)-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32
BrettPhos Pd G3 (75 mg, 0.0786 mmol), Pd2(dba)3 (73 mg, 0.0797 mmol)를 DMF (4 mL) 중 5-브로모-N-(5-플루오로피리미딘-2-일)-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100 mg, 0.2651 mmol),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 (185 mg, 1.994 mmol) 및 t-BuONa (117 mg, 1.1930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3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0-5% 메탄올/디클로로메탄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MeOH로 20℃에서 5분 동안 연화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표제 생성물 (17.74 mg, 0.0357 mmol, 8.973%)을 수득하였다. ES/MS (m/z) (M+H) 385.2. 1H NMR (400.14 MHz, d6-DMSO): 12.93 (s, 1H), 9.28 (s, 1H), 8.82 (s, 2H), 7.64-7.59 (m, 1H), 7.20-7.13 (m, 1H), 6.87 (d, J= 8.5 Hz, 1H), 6.66-6.62 (m, 1H), 3.73 (s, 3H), 3.66-3.63 (m, 2H), 3.47-3.45 (m, -2H), 2.84 (s, 6H).
중간체 26
6-[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미노]-N-(5-플루오로-2-피리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33
BrettPhos Pd G3 (32 mg, 0.033 mmol)을 THF (5 mL) 중 6-브로모-N-(5-플루오로-2-피리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250 mg, 0.6313 mmol), 2-(4,4-디플루오로-1-피페리딜)에탄아민 (150 mg, 0.3977 mmol) 및 t-BuONa (75 mg, 0.765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0-70%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200 mg, 0.2975 mmol, 47.12%)을 수득하였다. ES/MS (m/z) (M+H) 471.2. 1H NMR (400.14 MHz, d6-DMSO): 12.83 (s, 1H), 8.81 (s, 1H), 8.36-8.31 (m, 3H), 7.83-7.75 (m, 1H), 7.46 (d, J= 9.3 Hz, 1H), 7.21 (dd, J= 2.6, 9.1 Hz, 1H), 7.06 (d, J= 2.6 Hz, 1H), 5.82 (t, J= 5.9 Hz, 1H), 3.74-3.70 (m, 6H), 3.20 (q, J= 5.9 Hz, 2H), 0.83 (s, 10H), -0.00 (s, 6H).
중간체 26에 대한 대안적 합성
6-[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미노]-N-(5-플루오로-2-피리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34
BrettPhos Pd G3 (32 mg, 0.033 mmol)을 THF (5 mL) 중 6-브로모-N-(5-플루오로-2-피리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250 mg, 0.6313 mmol), 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탄아민 (335 mg, 1.91 mmol) 및 t-BuONa (75 mg, 0.765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0-300%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200 mg, 0.2975 mmol, 47.12%)을 수득하였다. ES/MS (m/z) (M+H) 471.2. 1H NMR (400.14 MHz, d6-DMSO): 12.83 (s, 1H), 8.81 (s, 1H), 8.36-8.31 (m, 3H), 7.83-7.75 (m, 1H), 7.46 (d, J= 9.3 Hz, 1H), 7.21 (dd, J= 2.6, 9.1 Hz, 1H), 7.06 (d, J= 2.6 Hz, 1H), 5.82 (t, J= 5.9 Hz, 1H), 3.74-3.70 (m, 6H), 3.20 (q, J= 5.9 Hz, 2H), 0.83 (s, 10H), -0.00 (s, 6H).
실시예 58
6-(2-히드록시에톡시)-1-메틸-2-옥소-N-페닐-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35
단계 A: 6-브로모-1-메틸-2-옥소-N-페닐-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2.005 g, 5.052 mmol) 및 1,4-디옥산(10 mL)을 함께 첨가하였다. 이어서, 물 (10 mL, 555.1 mmol) 중 트리스디벤질리덴디팔라듐(0) (465 mg, 0.508 mmol), tBuXphos (443 mg, 1.012 mmol) 및 수산화칼륨 (876 mg, 15.15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주위 온도로 냉각시켰다. 물 (100 mL)을 냉각된 반응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 x 3)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0-50%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6-히드록시-1-메틸-2-옥소-N-페닐-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1 g, 3.058 mmol, 60.54%)를 수득하였다. ES/MS (m/z) (M+H) 370.2. 1H NMR (400.15 MHz, d6-DMSO): 12.38 (s, 1H), 8.79 (s, 1H), 7.74 (d, J= 7.6 Hz, 2H), 7.52 (d, J= 9.3 Hz, 1H), 7.39 (t, J= 7.9 Hz, 2H), 7.30-7.25 (m, 1H), 7.23 (d, J= 2.6 Hz, 1H), 7.15-7.11 (m, 1H), 3.76 (s, 3H).
단계 B: 6-히드록시-1-메틸-2-옥소-N-페닐-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101 mg, 0.309 mmol)를 디메틸포름아미드 (2 mL)에 용해시켰다. 2-(2-브로모에톡시)테트라히드로피란 (101 mg, 0.483 mmol) 및 탄산세슘 (403 mg, 1.237 mmol). 혼합물을 8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주위 온도로 냉각시켰다. 물 (50 mL)을 냉각된 반응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x 3)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0-100%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1-메틸-2-옥소-N-페닐-6-(2-테트라히드로피란-2-일옥시에톡시)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60 mg, 0.128 mmol, 41.38%)를 수득하였다. ES/MS (m/z) (M+H) 423.2. 1H NMR (400.14 MHz, CDCl3): 12.24-12.20 (m, 1H), 8.97 (s, 1H), 7.82 (d, J= 7.8 Hz, 2H), 7.42-7.38 (m, 3H), 7.18-7.14 (m, 1H), 4.75 (dd, J= 3.2, 3.8 Hz, 1H), 4.31-4.27 (m, 2H), 4.17-4.12 (m, 2H), 3.86 (s, 6H), 3.62-3.57 (m, 1H), 1.93-1.91 (m, 2H), 1.73-1.71 (m, 4H), 1.30-1.27 (m, 1H).
단계 C; 실시예 58:1-메틸-2-옥소-N-페닐-6-(2-테트라히드로피란-2-일옥시에톡시)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60 mg, 0.1278 mmol)를 에틸 아세테이트 (2 mL) 중 1M 염산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주위 온도에서 10분 동안 메탄올 (10 mL)로 연화처리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표제 생성물 (실시예 81; 14 mg, 0.0398 mmol, 31.14%)을 수득하였다. ES/MS (m/z) (M+H) 339.3. 1H NMR (400.15 MHz, d6-DMSO): 12.27 (s, 1H), 8.96 (s, 1H), 7.75 (d, J= 7.6 Hz, 2H), 7.69-7.65 (m, 2H), 7.47 (dd, J= 2.9, 9.3 Hz, 1H), 7.40 (t, J= 7.9 Hz, 2H), 7.14 (t, J= 7.4 Hz, 1H), 4.10 (t, J= 4.9 Hz, 2H), 3.80-3.76 (m, 5H).
표 7의 하기 실시예는 적절한 출발 물질 및 시약을 사용하여 본질적으로 6-(2-히드록시에톡시)-1-메틸-2-옥소-N-페닐-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58)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이 합성하였다.
표 7. 실시예 59-61
Figure pct00036
실시예 62
6-(2-히드록시에틸아미노)-1-메틸-2-옥소-N-페닐-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37
6-[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아미노]-1-메틸-2-옥소-N-페닐-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140 mg, 0.275 mmol)를 THF (1.5 mL)에 용해시켰다. 0℃에서 THF 중 1M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0.38 mL)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주위 온도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 (30 mL)에 붓고, 주위 온도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0mL x 3)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 (30 mL x 3)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10 mg, 0.0288 mmol, 10.45%)을 수득하였다. ES/MS (m/z) (M+H) 338.1. 1H NMR (400.14 MHz, CDCl3): 12.33-12.29 (m, 1H), 8.92 (s, 1H), 7.84-7.81 (m, 2H), 7.41-7.31 (m, 3H), 7.18-7.12 (m, 2H), 6.97-6.95 (m, 1H), 4.28-4.26 (m, 1H), 4.01-3.93 (m, 2H), 3.84 (s, 3H), 3.43-3.37 (m, 2H), 1.76-1.74 (m, 1H).
표 8의 하기 실시예는 적절한 출발 물질 및 시약을 사용하여 본질적으로 6-(2-히드록시에틸아미노)-1-메틸-2-옥소-N-페닐-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62)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이 합성하였다.
표 8. 실시예 63-70
Figure pct00038
Figure pct00039
hAHR 핵 전위 검정
안정한 세포주를 점프-인(Jump-In)™ T-렉스(T-REx)™ HEK293 재표적화 키트 (라이프 테크놀로지스(Life Technologies))를 사용하여 확립하였다. 인간 AhR cDNA를 pJTI R4 CMV-TO EGFP 벡터 내로 클로닝하였다. EGFP를 AHR의 C-말단에 클로닝하여 AhR-EGFP 키메라를 형성하였다. pJTI R4 CMV-TO AhR-EGFP 벡터를 퓨진(FuGENE)® HD를 사용하여 점프-인™ T-렉스™ HEK293 세포 내로 형질감염시켰다. 형질감염된 세포를 2.5 mg/ml G418을 사용하여 10 내지 14일 동안 선택한 다음, 확장시키고, 수거하고, 동결 배지 (8% DMSO 함유 FBS) 중에 2 x 107 세포/ml로 현탁시키고, 분취물을 액체 질소 중에 저장하였다. 검정일자 1일 전에, 세포를 해동시키고, 1 ug/ml 독시시클린의 존재 하에 5% FBS를 함유하는 DMEM 중에 재현탁시키고, 웰당 12,000 내지 15,000개 세포로 폴리-L-리신 코팅된 셀캐리어(CELLCARRIER)-384 울트라 마이크로플레이트 (퍼킨 엘머(Perkin Elmer))에 플레이팅하고, 37℃ 및 5% CO2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검정일에, 화합물을 음향 분배 (ECHO)를 사용하여 DMSO를 함유하는 384-웰 눈크 플레이트 내로 연속 희석하였다 (1:2). 용량 반응은 20-포인트 곡선이었다. 화합물을 40 μl의 DMEM + 0.1% BSA에 재현탁시켰다. 배양 배지를 축축하게 하고, DMEM + 0.1% BSA 25 μl를 첨가한 다음, DMEM + 0.1% BSA 중 화합물 25 μl를 세포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세포를 37℃ 및 5% CO2에서 45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최종 DMSO 농도는 0.2%였다. 45분 인큐베이션 후에 배지를 축축하게 하였다. 세포를 40 μl의 차가운 메탄올 (-20℃)로 20분 동안 고정시켰다. 메탄올을 축축하게 하고, 1 μg/ml 호흐스트를 함유하는 DPBS 50 μl를 세포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20x 워터 오브젝티브(Water Objective) 및 웰당 5개의 필드를 갖는 오페라 페닉스(OPERA PHENIX)® 또는 오페레타(Operetta)TM 고효율 영상 시스템 (퍼킨 엘머)을 사용하여 EGFP의 강도를 정량화하였다. 세포질에 대한 핵에서의 EGFP 형광 강도의 비를 4-파라미터 비선형 로지스틱 방정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여 AhR 효능제의 효력을 결정하였다.
표 9는 예시된 화합물에 대한 hAHR 핵 전위 검정 EC50 값을 나타낸다.
표 9. hAHR 핵 전위 검정 EC50
Figure pct00040
본 검정의 결과는 예시된 화합물이 AhR 효능제임을 입증한다.

Claims (15)

  1.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41

    R1은 1-2개의 Ri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 Rk로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6-원 헤테로아릴 및 Rj로 임의로 치환된 C3-C6 시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i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C1-C4 알킬, CF3, OH, O(C1-C4 알킬), O(C1-C3)OCH3 및 NH(C1-C3 알킬)N(CH3)2로부터 선택되고;
    Rk는 할로겐, C1-C4 알킬, 니트릴, CF3 및 O(C1-C4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j는 O(C1-C4 알킬)이고;
    X는 N 및 -C(R4)-로부터 선택되고;
    R2는 C1-C3 알킬이거나, 또는 R4와 함께 5- 내지 6-원 헤테로시클릭 융합된 고리를 형성하고;
    R4는 수소, 할로겐, NH(C1-C3 알킬)N(CH3)2이거나, 또는 R2와 함께 5- 내지 6-원 헤테로시클릭 융합된 고리를 형성하고,
    R3은 수소, 할로겐, C1-C4 알킬, C3-C6 시클로알킬, NH(C1-C3 알킬), N(C1-C3 알킬)2, NH(C1-C3 알킬)OH, NH(C1-C3 알킬)N(C1-C3 알킬)2 및 O(C1-C3 알킬)OH로부터 선택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이 Rk로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6-원 헤테로아릴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1이 5- 내지 6-원 헤테로아릴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가 CH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가 C1-C3 알킬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가 CH3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이 수소, CH3, NH(CH3), N(CH3)2, N(CH2CH2)OH, N(CH2CH2)N(CH3)2 및 O(CH2CH2)OH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이 수소 및 N(CH2CH2)N(CH3)2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42
    .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
    Figure pct00043
    .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12. 면역-매개 질환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제11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서 면역-매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13. 건선, 궤양성 결장염, 크론병, 이식편-대-숙주 질환 및 다발성 경화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제11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환자에서 건선, 궤양성 결장염, 크론병, 이식편-대-숙주 질환 및 다발성 경화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15.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선, 궤양성 결장염, 크론병, 이식편-대-숙주 질환 및 다발성 경화증으로부터 선택된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KR1020247011803A 2021-09-13 2022-09-13 Ahr 효능제 KR202400567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61118P 2021-09-13 2021-09-13
US63/261,118 2021-09-13
US202163261794P 2021-09-29 2021-09-29
US63/261,794 2021-09-29
PCT/US2022/043299 WO2023039275A1 (en) 2021-09-13 2022-09-13 Ahr agonis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6749A true KR20240056749A (ko) 2024-04-30

Family

ID=83508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1803A KR20240056749A (ko) 2021-09-13 2022-09-13 Ahr 효능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59493A1 (ko)
KR (1) KR20240056749A (ko)
AU (1) AU2022341311A1 (ko)
CA (1) CA3230941A1 (ko)
WO (1) WO20230392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29284B (zh) * 2023-11-10 2024-02-06 上海泽德曼医药科技有限公司 三环稠杂环类化合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E52670B1 (en) 1981-03-03 1988-01-20 Leo Ab Heterocyclic carboxamides,compositions containing such compounds,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SE0002320D0 (sv) * 1999-10-25 2000-06-21 Active Biotech Ab Malignant tumors
EP1403255A4 (en) * 2001-06-12 2005-04-06 Sumitomo Pharma INHIBITORS OF RHO KINASE
MX2009000943A (es) 2006-07-26 2009-02-04 Novartis Ag Inhibidores de undecaprenil pirofosfato sintasa.
GB201205654D0 (en) * 2012-03-29 2012-05-16 Syngenta Ltd Herbicidal compounds
WO2014086737A1 (de) * 2012-12-06 2014-06-12 Bayer Cropscience Ag Kondensierte 2-pyridon-3-carboxamide und ihre verwendung als herbizide
WO2015050379A1 (ko) * 2013-10-01 2015-04-09 광주과학기술원 신규한 퀴놀리논 유도체 및 이의 용도
EP3847159A2 (en) * 2018-09-04 2021-07-14 Magenta Therapeutics, Inc. Aryl hydrocarbon receptor antagonists and methods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230941A1 (en) 2023-03-16
AU2022341311A1 (en) 2024-03-21
US20230159493A1 (en) 2023-05-25
TW202328072A (zh) 2023-07-16
WO2023039275A1 (en)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L259711B (en)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rotein kinase inhibitors and their medical use
TW201331194A (zh) 雜芳基化合物及其用途
WO2017071516A1 (zh) 一种蛋白激酶抑制剂及其制备方法和医药用途
KR20200051646A (ko) Ahr 억제제 및 이의 용도
RU2730500C2 (ru) Производное хиназолинона,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и применения
TWI829325B (zh) Ahr促效劑
JP2020143161A (ja) CaMKII阻害剤及びその使用
JP2010505797A (ja) Hcv阻害剤として有用なカルボキシアミド4−[(4−ピリジル)アミノ]ピリミジン
WO2021107023A1 (ja) シクロアルキルウレア誘導体
CN116249683A (zh) 氘甲基取代吡嗪并吡嗪并喹啉酮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JP2019509272A (ja) 脊髄性筋萎縮症の治療のための併用療法
TW202321247A (zh) 用於治療杭丁頓氏舞蹈症的雜芳基化合物
KR20240056749A (ko) Ahr 효능제
JP2016512198A (ja) CaMKII阻害剤及びその使用
JP2022515309A (ja) 置換アリール化合物、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TW201400458A (zh) (2-雜芳基胺基)琥珀酸衍生物
CN117653636B (zh) 含稠合双环类化合物的抗癌药及该化合物的制药用途
TWI838849B (zh) Ahr促效劑
EP4308564A1 (en) Polycyclic inhibitors of plasma kallikrein
CA3173787A1 (en) Expanded dosage regimens for integrin inhibitors
CN115427407A (zh) 一种新型n-杂环bet溴结构域抑制剂、其制备方法及医药用途
CN111108083B (zh) 氨基亚甲基环己烷1,3-二酮化合物的用途
CN116390923A (zh) 杂环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4014842A (zh) 一种杂环酮类化合物与其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493469A (zh) 可作为免疫调节剂的化合物、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