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6367A -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6367A
KR20240056367A KR1020220154327A KR20220154327A KR20240056367A KR 20240056367 A KR20240056367 A KR 20240056367A KR 1020220154327 A KR1020220154327 A KR 1020220154327A KR 20220154327 A KR20220154327 A KR 20220154327A KR 20240056367 A KR20240056367 A KR 20240056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weight
parts
mixing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4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주
Original Assignee
유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주 filed Critical 유현주
Publication of KR20240056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636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6Mixtures of anionic, cationic, and 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5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11D3/2086Hydroxy 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3Solv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천연 계면활성제, 점증제, 산도조절제, 중화제, 첨가제, 원두커피추출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 당 상기 원두커피추출물은 15~17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NATURAL DETERGENT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주방세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 성분 및 원두커피추출물을 포함하며,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하며, 세정력이 뛰어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사용되는 주방세제 등은 세정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석유화학 계열의 계면활성제, 방부제, 부동액, 색소 및 향의 소재들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종래의 주방세제에 사용되는 합성 계면활성제는 거품발생 및 세정력이 뛰어난 반면에 헹굼성이 약하고, 발생한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 더 많은 물이 필요하여 하수 배출량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일반 수계에서 생분해 정도가 낮아 수질환경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며, 인체의 피부에도 상당한 자극을 주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최근 소비자들의 환경오염에 대한 문제의식이 높아지고 있고, 가정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의 안전성에 대한 문제의식이 매우 높아져, 환경과 인체에 유해한 제품은 소비자들에게 외면 받고, 환경 친화적인 천연 제품의 소비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천연의 소재를 이용하여 환경 친화적이고, 세정력 및 항균성이 우수하며, 인간의 피부에도 이로운 세제에 대한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한편 천연원료를 이용한 친환경적 세제 중 커피 추출물을 이용하여 인체 피부에 유효한 효과를 부여한 세제가 다수 개시되어 있으나, 커피체리부산물을 활용하거나, 에탄올 추출과 같이 공정이 복잡한 과정을 거쳐 커피 추출물의 유효성분 수득율 또는 생산 효율성이 낮아 커피 추출물의 효율적인 활용과 효과를 극대화하기에 단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커피 부산물의 고형을 그대로 활용한 경우가 대부분으로, 결국 커피 부산물의 고형분이 하수로 흘러 배출될 경우, 분해가 된다고 해도 수질 환경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세척력을 갖고 세제 사용시 인체와 피부에 이로우며, 생산 공정의 복잡성을 개선한 친환경 주방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천연 성분 및 원두커피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방세제 조성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원두커피추출물을 제조함에 유효성분 수득율과 생산 방법의 복잡성을 개선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연 계면활성제, 점증제, 산도조절제, 중화제, 첨가제, 원두커피추출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 당 상기 원두커피추출물은 15~17 중량부가 포함되는,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천연 계면활성제는 상기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 당 34 내지 38 중량부가 포함되되, 비이온계면활성제 29.5~32.5 중량부 및 음이온계면활성제 4.5~5.5 중량부가 포함되는,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이온계면활성제에는 라우릴글루코사이드 25~27 중량부 및 코코글루코사이드 4.5~5.5 중량부가 포함되고, 상기 음이온계면활성제에는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 4.5~5.5 중량부가 포함되는,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천연 주방세제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두커피추출 단계 와 세제 제작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원두커피추출 단계는, 커피 원두를 로스팅 하되, Agtron사의 M-Basic/E10-CP 분석기기를 사용한 미국스페셜티커피협회(SCAA)의 구분법 기준 #25 이상 로스팅 하는 커피 원두 로스팅 단계; 상기 커피 원두 로스팅 단계 후 로스팅된 상기 커피 원두를 분쇄하는 커피 원두 분쇄 단계; 상기 커피 원수 분쇄 단계 에서 얻어진 커피 원두 분쇄물을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용하여 제1추출물을 추출하는 제 1 추출 단계; 상기 커피 원수 분쇄 단계 에서 얻어진 커피 원두 분쇄물을 채유기를 이용하여 제2추출물을 추출하는 제 2 추출 단계; 및 상기 제1추출물 및 상기 제2추출물을 20:1 내지 50:1 비율 로 혼합하여 상기 원두커피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물 혼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 제작 단계는, 상기 점증제, 상기 산도조절제, 상기 중화제 및 용매를 계량하여 제1배합기에 투입 후 배합하는 제 1 배합 단계; 상기 천연 계면활성제 및 상기 원두커피추출물을 계량하여 제2배합기에 투입 후 배합하는 제 2 배합 단계; 상기 제 1 배합 단계를 완료한 상기 제1배합기에 상기 제 2 배합 단계를 완료한 상기 제2배합기의 배합물을 투입하고, 상기 첨가제를 계량하여 상기 제1배합기에 투입 후 배합하는 제 3 배합 단계; 및 상기 제 3 배합 단계가 완료된 배합물을 세제용 용기에 투입하여 포장하는 완성품 포장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 주방세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배합 단계는 20~30℃에서 믹싱하고; 상기 제 2 배합 단계는 55~65℃에서 배합되되, 50~100 rpm 으로 5분~10분 믹싱하고; 및 상기 제 3 배합 단계는 20~60℃에서 50~100 rpm 으로 3~7분간 믹싱하는 것;을 포함하는, 천연 주방세제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천연 주방세제는 기포력, 세정력, 헹굼성, 분산성, 소취효과 및 피부자극성이 동시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 주방세제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따르면,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은 천연 계면활성제, 점증제, 산도조절제, 중화제, 첨가제, 원두커피추출물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상기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함량이 개시된다.
상기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에는 세정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천연 계면활성제를 34~38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되, 상기 천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계면활성제 29.5~32.5 중량부, 음이온계면활성제 4.5~5.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이온계면활성제가 32.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세정력과 거품형성 능력이 떨어질 수 있고, 다른 성질들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으며, 29.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 음이온계면활성제의 자극성을 완화시키는 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이온계면활성제가 5.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도한 세정력과 자극성으로 사용감이 하락할 수 있으며, 상기 음이온계면활성제가 4.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 주방세제의 거품발생 또는 세정력이 약화될 수 있다.
상기 비이온계면활성제는 생분해성이 우수한 식물성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라우릴글루코사이드 25~27 중량부, 코코글루코사이드 4.5~5.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이온계면활성제는 생분해성이 우수한 식물성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 4.5~5.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에서 상기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이 상기 수치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피부자극성을 최소화하면서 세정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계면활성제인 상기 라우릴글루코사이드와 상기 코코글루코사이드는 pH 9.5 이상인 알칼리성으로, pH 값이 7.0인 중성에 가깝게 되도록 조절하여 사용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산도조절제와 상기 중화제를 활용하여 pH값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산도조절제로는 유기산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구연산(무수)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연산(무수)은 천연재료로서 자연 분해되며, 소취, 살균 작용을 가질 수 있어 친환경적인 세척제로 많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중화제로는 중탄산나트륨, 탄산나트륨 및 탄산수소나트륨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은 액체 상태에서 산성물질을 중화하는 기능이 있으며 수용액은 흡착 및 탈취, 세척 효과가 있고, 식품첨가물로서 이용될 정도로 친환경적 물질이다.
이에 따라, 상기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에는 상기 구연산(무수) 1.9~2.1 중량부, 상기 탄산수소나트륨 2.3~2.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연산(무수)이 2.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산도가 높아져 피부에 좋지 않으며 1.9 중량부 미만일 경우 산도조절제의 능력이 감소하거나, 살균능력이 감소하여 충분히 기능을 발휘하지 못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이 2.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함량 과다로 용해 과정에서 포화 현상이 일어나 침전이 일어날 우려가 있으며 2.3 중량부 미만일 경우 산성물질 중화기능과 흡착 및 탈취, 세정 효과가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점증제는 상기 천연 주방세제의 사용성을 위하여 적정한 점도를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증제는 정제소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정제소금은 상기 용매에 상기 음이온계면활성제인 상기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의 용해도를 낮춰 점도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소금은 살균, 지방물 흡착, 중금속 분해, 방사능 물질 흡착, 물 얼룩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에는 상기 정제소금 0.4~0.6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정제소금이 0.6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상기 주방세제의 점도가 높아지거나, 거품의 발생, 세정력 등의 상기 주방세제의 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으며, 0.4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 주방세제의 적절한 점도 확보에 불리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천연 주방세제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는 조성물로서, 예를 들어 글리세린, 식물성 에센셜 오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은, 상기 천연 주방세제에 보습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거품의 유지력, 부동액 효과 및 점도를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에는 상기 글리세린 1.9~2.1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이 2.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상기 천연 주방세제의 점도가 높아지거나, 경제적인 이점에서 불리하며, 1.9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 천연 주방세제의 보습효과 등 글리세린의 효과가 감소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식물성 에센셜 오일은 레몬오일, 레몬그라스오일, 라임오일, 오렌지오일, 오렌지스윗오일, 자몽오일, 만다린오일 및 라임오일(시트리스계열오일 포함)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 선택할 수 있되, 레몬오일 및 레몬그라스오일이 상기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과 어우러져 상승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레몬오일은 기름기제거, 수렴작용(조직이나 혈관의 수축), 세정, 살균, 항균, 소취 작용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레몬그라스오일은 방향, 살균, 항균, 소취 작용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은 상기 식물성 에센셜 오일 0.4~0.6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되, 상기 레몬오일은 0.25~0.35 중량부, 상기 레몬그라스오일은 0.15~0.2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레몬오일이 0.3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도한 향의 발생으로 불쾌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다른 성분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안정화된 주방용 세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없게 되며, 0.25 중량부 미만일 경우 경우에는 방향 및 항균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몬그라스오일이 0.2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도한 향의 발생으로 불쾌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다른 성분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안정화된 주방용 세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없게 되며, 0.15 중량부 미만일 경우 경우에는 방향 및 항균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원두커피추출물은 수용성 물질과, 지용성 물질이 함께 포함되어 있으며, 토코페롤 등 다양한 비타민과, 카페인, 클로로겐산(폴리페놀), 아로마가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이 본 발명의 상기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의 상호작용으로 피부보호, 항산화, 방향, 소취 등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두커피추출물은 도 1을 들어 후술하는 천연 주방세제의 제조방법에서 개시하는 원두커피추출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원두커피추출물 100중량부 당 커피 오일이 1~5%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에는 상기 원두커피추출물 15~17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원두커피추출물이 17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기 천연 주방세제 세정력을 감소시키는 영향을 줄 수 있고, 경제적인 이점에서 불리하며, 1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 원두커피추출물의 유효 효과가 떨어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용매는 정제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정제수는 무균상태의 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계면활성제, 상기 산도조절제, 상기 중화제, 상기 점증제 및 상기 첨가제의 물성에 상기 용매의 불순물로 인해 발생하는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증류수 또는 DI Water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에는 상기 정제수 35~4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정제수가 4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상기 주방세제의 점도나 농도가 낮아져 상기 주방세제의 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으며, 3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 주방세제의 점도나 농도가 높아서 사용성 및 사용감이 나빠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 주방세제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천연 주방세제의 제조방법은 원두커피추출 단계와 세제 제작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두커피추출 단계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커피 원두 로스팅 단계 : 커피 원두를 Agtron사의 M-Basic/E10-CP 분석기기를 사용한 미국스페셜티커피협회(SCAA)의 구분법 기준 #25 이상 로스팅 하는 단계이다. 로스팅이 많이 될수록 상기 커피 원두의 수분함량이 줄어들어, 커피 오일 비율이 올라가 이후 커피 오일 추출 시 유리해질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상기 커피원두는 소비자가 접할 수 있는 종류라면 일반적인 것이든 특별한 것이든 제한이 없지만, 예를 들어 아리비카, 로브스타, 리베리카 종을 들 수 있다.
커피 원두 분쇄 단계 : 상기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0.2~0.5mm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이다. 이때 0.5mm 이상으로 분쇄할 경우, 다음단계에서 추출물이 과소 추출될 수 있으며, 0.2mm 이하로 분쇄할 경우 분쇄 시간 등 작업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분쇄된 커피 원두는 산패가 빨리 진행되어 휘발성 성분이 아로마가 빨리 증발하기 때문에, 분쇄 후 가급적 빠른 시간내에 다음단계로 넘어가는 것이 유리하며, 다음단계 직전에 커피 원두 분쇄 단계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추출 단계 : 상기 커피 원두 분쇄 단계를 거친 분쇄된 커피 원두 일부를 에스프레소 머신을 활용하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제1추출물 이라고 명명한다.
제 2 추출 단계 : 상기 커피 원두 분쇄를 거친 분쇄된 커피 원두 일부를 채유기를 통하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제2추출물 이라고 명명한다. 상기 제2추출물은 대부분 커피 오일로 이루어져 있으며, 커피 원두 100g 당 약 12~17g 정도의 상기 제2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추출 단계는 압착 탈수 단계를 포함하여, 일 예로, 20분 동안 105℃로 템퍼링(tempering)을 수행하여 오일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본 발명의 상기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의 성분들과 상승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추출물 혼합 단계 : 상기 에스프레소 머신 추출 단계 및 상기 채유기 추출 단계를 통하여 추출된 상기 제1추출물 과 상기 2번출물을 20:1 내지 50:1 비율, 예를 들어, 30:1 내지 40:1 비율, 일 예로, 35:1 비율로 혼합하여 원두커피추출물을 획득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상기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과 조화되어 상승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커피 오일 함량을 가진 상기 원두커피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세제 제작 단계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제 1 배합 단계 : 탄산수소나트륨, 구연산(무수), 정제소금을 계량하여 제1배합기에 투입 후 정제수를 투입하여 입자가 녹을 때 까지 20~30℃ 에서 믹싱한다. 이때, 제1배합기는 액상을 믹싱할 수 있는 배합기면 종류에 제한받지 않는다.
제 2 배합 단계 : 라우릴글루코사이드, 알킬글루코시드,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과 상기 원두커피추출물을 계량하여 제2배합기에 투입 후 55 ~ 65℃에서 믹싱한다. 이때, 거품이 과도하게 발생하지 않도록 저속으로, 예를 들어, 50~100 rpm 조건에서 5~10분 믹싱한다. 일 예로, 75 rpm에서 7분간 믹싱할 수 있다.또한, 라우릴글루코사이드가 낮은 온도에서 보관할 때 응어리 지지 않도록 하며 라우릴글루코사이드, 알킬글루코시드,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이 변형되지 않도록 55 ~ 65℃도 사이에서 믹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2배합기는 액상을 믹싱할 수 있는 배합기면 종류에 제한받지 않는다.
제 3 배합 단계 : 상기 제1배합기에 상기 제2배합기의 배합물을 투입하고, 글리세린, 레몬오일, 레몬그라스 오일을 계량하여 상기 제1배합기에 투입한 후 20 ~ 60℃조건에서 저속으로, 예를 들어, 50~100 rpm 조건에서 3~7분간 믹싱한다. 일 예로, 75 rpm에서 5분간 믹싱할 수 있다.이때, 제1배합기 온도가 20~60℃로 유지되도록 조절하여 투입된 상기 레몬오일 및 상기 레몬그라스오일이 응어리 지지 않고 잘 혼합되면서 동시에 고온에서 변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완성품 포장 단계 : 상기 제 3 배합 단계가 완료된 배합물을 세제용 용기에 투입하여 천연 주방세제를 제작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천연 주방세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하기 표 1과 같은 성분 및 비율로 천연 주방세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천연 주방세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하기 표 2와 같은 성분 및 비율로 천연 주방세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기포력 및 세정력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의 기포력 및 세정력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돈지로 오염을 제조하여, 접시에 오염(10 g)을 도포하였다. 오염을 도포한 접시에 물기가 없는 스펀지를 놓고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15 중량부와 잔량의 물을 혼합하여 0.15 중량%의 실험용액 도포한 후, 스펀지를 손으로 눌러 발포시킨 후 육안으로 기포량을 평가하였고, 스펀지로 접시의 오염을 직접 세정하여 기포가 없어질 때까지 세정된 접시의 세정력을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매우 우수, ○우수, △보통, ×: 불량)
2) 헹굼성 평가
헹굼성의 평가를 위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15 중량부와 잔량의 물을 혼합하여 0.15 중량%의 실험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실험용액을 스펀지에 묻혀 식기를 세척하고, 상기 식기를 거품이 나지 않을 때까지 물로 헹구어 물의 사용량을 측정하여 평가한다.
(◎양호, △보통, ×: 불량)
4) 소취효과 평가
소취효과의 평가를 위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15 중량부와 잔량의 물을 혼합하여 0.15 중량%의 실험용액을 제조한 후, 김치를 담아 냄새를 흡착시킨 플라스틱 병을 상기 실험용액을 사용하여 세척하고, 냄새의 제거 정도를 5단계로 나누어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 양호, ○: 좋음, △: 보통, × : 미흡)
5) 피부자극성 평가
피부자극성의 평가를 위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15 중량부와 잔량의 물을 혼합하여 0.15 중량%의 실험용액을 제조한 후, 패치 테스트용 첩포에 묻혀 사람의 피부에 붙이고, 24시간이 경과한 후에 떼어내어 피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아무 이상 없음, ○약간 붉은 현상, △알레르기 증상, ×: 특이한 증상)
기포력 세정력 헹굼성 소취효과 피부자극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천연 주방세제는 기포력, 세정력, 헹굼성, 분산성, 소취효과 및 피부자극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에서 원두커피추출물 및 이로부터 추출된 커피 오일이 생략되는 경우 소취효과와 피부자극성이 열악해지는 동시에, 기포력과 헹굼성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에서 원두커피추출물의 함량이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 당 1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기포력과 세정력은 우수하나, 소취효과와 피부자극성이 다소 열악해지는 동시에 헹굼성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에서 첨가제로서 레몬오일 및 레몬그라스오일이 생략되는 경우 세정력과 소취효과가 매우 열악해지는 동시에, 기포력과 헹굼성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에서 음이온계면활성제로서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이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 당 5.5 중량부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기포력과 세정력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헹굼성, 소취효과, 피부자극성이 열악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에서 음이온계면활성제로서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이 생략되는 경우 기포력과 세정력이 급격하게 열악해지고 헹굼성도 다소 열악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5)

  1. 천연 계면활성제, 점증제, 산도조절제, 중화제, 첨가제, 원두커피추출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 당 상기 원두커피추출물은 15~17 중량부가 포함되는,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계면활성제는 상기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100 중량부 당 34 내지 38 중량부가 포함되되,
    비이온계면활성제 29.5~32.5 중량부 및 음이온계면활성제 4.5~5.5 중량부가 포함되는,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계면활성제에는 라우릴글루코사이드 25~27 중량부 및 코코글루코사이드 4.5~5.5 중량부가 포함되고,
    상기 음이온계면활성제에는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 4.5~5.5 중량부가 포함되는,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4. 천연 주방세제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두커피추출 단계 와 세제 제작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원두커피추출 단계는,
    커피 원두를 로스팅 하되, Agtron사의 M-Basic/E10-CP 분석기기를 사용한 미국스페셜티커피협회(SCAA)의 구분법 기준 #25 이상 로스팅 하는 커피 원두 로스팅 단계;
    상기 커피 원두 로스팅 단계 후 로스팅된 상기 커피 원두를 분쇄하는 커피 원두 분쇄 단계;
    상기 커피 원수 분쇄 단계 에서 얻어진 커피 원두 분쇄물을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용하여 제1추출물을 추출하는 제 1 추출 단계;
    상기 커피 원수 분쇄 단계 에서 얻어진 커피 원두 분쇄물을 채유기를 이용하여 제2추출물을 추출하는 제 2 추출 단계; 및
    상기 제1추출물 및 상기 제2추출물을 20:1 내지 50:1 비율 로 혼합하여 상기 원두커피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물 혼합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 제작 단계는,
    상기 점증제, 상기 산도조절제, 상기 중화제 및 용매를 계량하여 제1배합기에 투입 후 배합하는 제 1 배합 단계;
    상기 천연 계면활성제 및 상기 원두커피추출물을 계량하여 제2배합기에 투입 후 배합하는 제 2 배합 단계;
    상기 제 1 배합 단계를 완료한 상기 제1배합기에 상기 제 2 배합 단계를 완료한 상기 제2배합기의 배합물을 투입하고, 상기 첨가제를 계량하여 상기 제1배합기에 투입 후 배합하는 제 3 배합 단계; 및
    상기 제 3 배합 단계가 완료된 배합물을 세제용 용기에 투입하여 포장하는 완성품 포장 단계;
    를 포함하는,
    천연 주방세제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합 단계는 20~30℃에서 믹싱하고;
    상기 제 2 배합 단계는 55~65℃에서 배합되되, 50~100 rpm 으로 5분~10분 믹싱하고; 및
    상기 제 3 배합 단계는 20~60℃에서 50~100 rpm 으로 3~7분간 믹싱하는 것;
    을 포함하는, 천연 주방세제 제조방법.
KR1020220154327A 2022-10-21 2022-11-17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2400563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199 2022-10-21
KR20220136199 2022-10-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6367A true KR20240056367A (ko) 2024-04-30

Family

ID=90884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4327A KR20240056367A (ko) 2022-10-21 2022-11-17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63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78379B (zh) 一种强效去油去污的天然洗涤制品及其制备方法
KR101660304B1 (ko) 시금치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방용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32601B1 (ko) 마유 정제방법 및 정제마유 및 정제마유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60827B1 (ko) 진피-메밀 복합 발효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천연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KR100917337B1 (ko) 친환경성 세제 조성물
KR102225070B1 (ko) 무환자나무 열매추출물을 이용한 세탁세제 조성물 제조방법
CN107418754A (zh) 一种植物餐具洗涤剂及其制备方法
KR102226774B1 (ko) 황기, 황정 및 솔잎 추출물이 포함되는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975896B1 (ko) 커피 부산물을 포함하는 천연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5027B1 (ko) 천연 세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199882A (zh) 一种天然手工皂
CN105296234B (zh) 山茶籽内衣专用皂
KR101269647B1 (ko) 마늘 및 양파의 발효추출액을 포함하는 천연 주방 세제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3019325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
KR20240056367A (ko) 천연 주방세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JPH07197087A (ja) 米からの洗浄助剤
CN112999126A (zh) 一种含植物祛异味成份的厨房泡沫洗手液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970743B1 (ko) 천연 토코페롤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제조된 천연 토코페롤 비누
KR101875036B1 (ko) 기능성 비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비누
CN109431947A (zh) 一种保湿型洗手液及其制备方法
CN111973503A (zh) 一种无患子洁面泡沫及其制备方法
JP2003119499A (ja) 柿の葉粉末を配合した固形石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295942B1 (ko) 무환자나무 열매추출물을 이용한 주방세제 조성물 제조방법
KR101425024B1 (ko) 기포력·세척력·소취력이 우수한 저온 용해성 태블릿-타입 세제 조성물
KR102575807B1 (ko) 시금치, 녹차, 굴패각 및 송진을 이용한 친환경 세제의 제조방법과 그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