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6218A -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6218A
KR20240056218A KR1020220136566A KR20220136566A KR20240056218A KR 20240056218 A KR20240056218 A KR 20240056218A KR 1020220136566 A KR1020220136566 A KR 1020220136566A KR 20220136566 A KR20220136566 A KR 20220136566A KR 20240056218 A KR20240056218 A KR 20240056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irbag
airbag system
head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호
박성영
김성하
Original Assignee
국립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립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36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6218A/ko
Publication of KR20240056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62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이 개시된다.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수납부 및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다가 차량의 충격 시 가스가 주입되어 수납부 외부로 팽창하여 차량의 천장을 향하여 T자형으로 전개되는 에어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Airbag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s}
본 발명은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 시스템은 자동차 충돌 시에 운전자와 스티어링 휠 사이 또는 조수석의 승객과 인스트러먼트 패널 사이에 순간적으로 에어백(공기 주머니)을 부풀게 하여 차량 탑승자의 부상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한 장치이다.
운전자용 에어백은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어 있으며, 시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운전자를 고려하여 대형 에어백을 사용하는 시스템과 3점식 벨트의 착용을 전제로 한 SRS 에어백 시스템이라고 불리우는 2종류의 에어백 시스템이 있다.
그리고, 에어백을 부풀게 하는 방식에는, 센서가 충돌을 전기적으로 감지하여 인플레이터를 통전 및 착화시키는 전기식 및 감지장치가 충돌을 감지하여 점화제를 발화시키는 기계식이 있다.
최근에는, 자율주행차량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자율주행차량의 내부 구조는 서로를 마주보는 등의 형태를 띠고 있다. 이러한 자율주행차량에 충돌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차량 내부에서 탑승자들 간의 충돌을 막아줄 에어백 기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18728호(2015.05.01)
본 발명은 차량 사고 시 충격으로 인한 차량 승객의 부상을 최소화하는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다가 상기 차량의 충격 시 가스가 주입되어 상기 수납부 외부로 팽창하여 상기 차량의 천장을 향하여 T자형으로 전개되는 에어백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백은, 매트 형태의 머리부 및 상기 수납부에 하부가 고정되며, 상기 머리부의 하부에 상부가 연결되어 상기 머리부를 지지하는 기둥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둥부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의 하부의 중앙에 연결된다.
상기 기둥부는 벽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를 좌우로 이등분하도록 상기 머리부에 연결된다.
상기 머리부의 상부에는, 상기 천장과 머리부가 밀착되도록 벨크로(Velcro)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 사고 시 충격으로 인한 차량 승객의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차량의 전복사고와 같이 승객이 차량의 천장에 세게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차량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10)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수납부(100) 및 수납부(100)에 수납되어 있다가 차량(10)의 충격 시 가스가 주입되어 수납부(100) 외부로 팽창하여 차량(10)의 천장을 향하여 T자형으로 전개되는 에어백(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납부(100)는 수납부(100)에 수납되어 있던 에어백(200)이 차량(10) 내부의 바닥으로부터 천장까지 원활하게 부풀어 올라 천장을 덮도록,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 내부의 바닥에서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수납부(100)의 상부에는, 에어백(200)의 팽창 시에 에어백(200)이 배출되는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백(200)은 차량이 다른 차량이나 장애물에 충돌하였을 때에 팽창할 수 있도록 접힌 상태로 수납부(100)에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백(200)은 일반적으로 나일론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인플레이터(inflator)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팽창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백(200)은 차량의 충돌이 발생하였을 때 탑승자와 차량(10) 내부 구조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200)이 차량(10)의 가운데를 가로지르도록 전개된 다음, 차량(10)의 천장 즉, 탑승자의 머리 위에 전개되기 때문에, 차량(10) 내부의 가운데 공간에서 발생하는 충돌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전복사고와 같이 차량(10)의 천장에 의하여 탑승자의 머리에 충격이 가해지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의 에어백(200)은 팽창하는 경우, 매트 형태의 머리부(210) 및 수납부(100)에 하부가 고정되며, 머리부(210)의 하부에 상부가 연결되어 머리부(210)를 지지하는 기둥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머리부(210)는 차량(10)의 천장의 형상 및 크기에 상응하는 매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리부(210)의 상부 즉, 차량(10)의 천장과 접촉하는 면에는 차량(10)의 천장과 머리부(210)가 밀착되도록 벨크로(Velcro)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기둥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과 같은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머리부(210)의 하부의 중앙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의 에어백(200)은, 기둥부(220)가 벽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기둥부(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210)를 좌우로 이등분하도록 머리부(21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래서,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200)은 팽창하였을 때, 기둥부(220)가 차량(10) 내부의 좌석을 좌우로 분리하여 좌측 탑승객과 우측 탑승객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차량
100: 수납부
200: 에어백
210: 머리부
220: 기둥부

Claims (5)

  1.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다가 상기 차량의 충격 시 가스가 주입되어 상기 수납부 외부로 팽창하여 상기 차량의 천장을 향하여 T자형으로 전개되는 에어백을 포함하는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매트 형태의 머리부; 및
    상기 수납부에 하부가 고정되며, 상기 머리부의 하부에 상부가 연결되어 상기 머리부를 지지하는 기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의 하부의 중앙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벽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를 좌우로 이등분하도록 상기 머리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의 상부에는, 상기 천장과 머리부가 밀착되도록 벨크로(Velcro)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KR1020220136566A 2022-10-21 2022-10-21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KR202400562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566A KR20240056218A (ko) 2022-10-21 2022-10-21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566A KR20240056218A (ko) 2022-10-21 2022-10-21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6218A true KR20240056218A (ko) 2024-04-30

Family

ID=90884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566A KR20240056218A (ko) 2022-10-21 2022-10-21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62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96894B (zh) 车辆气囊系统
US10023148B2 (en) Curtain airbag for vehicle
US6851706B2 (en) Side-impact, variable thickness vehicular airbag
JP6172165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6265190B2 (ja) 自動車用乗員保護装置
EP3640093B1 (en) Occupant protection system
US6932380B2 (en) Overhead airbag having an external side cushion panel
US20050029781A1 (en) Dual cushion passenger airbag
US20170174171A1 (en) Support surface for primary airbag in vehicle
US9211860B2 (en) Knee side face restraint airbag device
JP6629984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5000279B2 (ja) 自動車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取付構造
KR101250413B1 (ko) 통합형 에어백 모듈
US11865991B1 (en) Overhead airbag cushions and related systems
KR20210037039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US11772592B2 (en) Seat airbag device for vehicle
US6464252B1 (en) Vehicular impact protection device
KR20240056218A (ko) 자율주행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KR20050029833A (ko) 자동차의 후석용 에어백
JP2018171988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2022547086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アセンブリ
KR101081701B1 (ko)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JPH09207702A (ja)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JP4051155B2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6043712A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