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6191A - 브레이크의 하우징 - Google Patents

브레이크의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6191A
KR20240056191A KR1020220136498A KR20220136498A KR20240056191A KR 20240056191 A KR20240056191 A KR 20240056191A KR 1020220136498 A KR1020220136498 A KR 1020220136498A KR 20220136498 A KR20220136498 A KR 20220136498A KR 20240056191 A KR20240056191 A KR 20240056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iston
brake
housing
cla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현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6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6191A/ko
Priority to DE102023207834.1A priority patent/DE102023207834A1/de
Publication of KR20240056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61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5Components of axially engaging 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D65/0068Brake cali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2055/0004Parts or details of disc brakes
    • F16D2055/0016Brake cali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02Fluid pressure
    • F16D2121/04Fluid pressure acting on a piston-type actuator, e.g. for liq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02Fluid-pressure mechanisms
    • F16D2125/04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02Fluid-pressure mechanisms
    • F16D2125/06Pis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브레이크의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피스톤이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피스톤이 배치되도록 일측이 개방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 그리고 상기 바디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적어도 일부 이상을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브레이크의 하우징{BRAKE HOUS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브레이크의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내부에 피스톤이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레이크의 하우징은 내부에 피스톤이 설치되도록 형성된다. 브레이크 하우징은 피스톤이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인출되며 패드를 밀어 디스크와 패드가 맞물려 제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피스톤의 인출입시 피스톤의 중심과 이가 설치된 브레이크 하우징의 내부의 중심이 어긋나는 경우, 패드의 편마모가 발생되어 이의 수명 저하가 발생된다.
또한, 브레이크 하우징의 내부와 피스톤 사이의 충격이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 피스톤 또는 브레이크 하우징 내부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피스톤의 인출입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의 하우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피스톤의 인출입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의 하우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피스톤이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피스톤이 배치되도록 일측이 개방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 그리고 상기 바디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적어도 일부 이상을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내경은 상기 수용부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피스톤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브레이크의 하우징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의 내측에 함몰 형성된 제1 그루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브레이크의 하우징은 상기 제1 그루브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그루브와 상기 수용부를 구획하는 구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부의 내경은 상기 지지부의 내경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브레이크의 하우징은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 그루브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바디의 내측에 함몰 형성된 제2 그루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그루브의 내경은 상기 제1 그루브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폭은 상기 구획부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브레이크의 하우징은 상기 제1 그루브와 인접한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상기 제1 그루브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브레이크의 하우징은 상기 제1 그루브와 인접한 상기 구획부의 측면에 상기 제1 그루브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피스톤이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피스톤이 배치되도록 일측이 개방 형성된 실린더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실린더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을 지지 가능한 제1 영역, 그리고 상기 실린더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영역의 일부의 내주면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을 수용 가능한 제2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의 일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피스톤을 지지 가능한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지지부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을 향해 함몰 형성된 제1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제1 그루브를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와 이격 배치된 구획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그루브의 내주면의 직경은 상기 제2 영역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일단은 상기 피스톤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폭은 상기 구획부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 그루브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1 그루브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도록 제2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의 일부의 내주면은 상기 피스톤과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브레이크 하우징은 피스톤의 인출입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하우징의 실린더의 중심과 피스톤의 중심 사이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어, 이로 인한 브레이크 하우징 또는 피스톤의 파손 그리고 패드의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하우징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브레이크 하우징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일영역의 실린더 내벽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하우징의 캐스팅 일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일영역의 실린더 내벽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의 하우징(101)에 대해 설명한다.
브레이크의 하우징(10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캘리퍼 브레이크의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브레이크의 하우징(101) 내에 배치된 피스톤(150)이 패드가 디스크를 가압하도록 이동시켜 차량에 제동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의 하우징(10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100)와 지지부(210) 그리고 수용부(310)를 포함한다.
바디(100)는 일측이 개방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바디(100)는 내부에 피스톤(150)이 배치되도록 일측이 개방 형성된다.
지지부(210)는 바디(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피스톤(150)의 이동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210)는 바디(100)의 내측면의 일영역으로 피스톤(150)의 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지지부(210)는 개방 형성된 바디(100)의 일측에 배치되어 피스톤(150)의 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수용부(310)는 바디(100)의 타측에 형성되어 피스톤(150)의 적어도 일부 이상을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수용부(310)는 바디(100)의 개방 형성된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에 형성되어 피스톤(150)의 적어도 일부 이상을 수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바디(100)의 내측에 배치된 피스톤(150)이 지지부(210)에 의해 이동이 지지되고, 수용부(310)에 의해 피스톤(150)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의 하우징(101)은 피스톤(150)이 안정적으로 이동되어 제동력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10)의 내경(D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310)의 내경(D2)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10)의 내경은 수용부(310)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피스톤(150)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측이 개방 형성된 바디(100)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부(210)의 내경이 수용부(310)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있어, 개방 형성된 일측으로 이동되는 피스톤(150)을 지지부(210)가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지지부(210)의 내경이 수용부(310)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으로, 지지부(210)는 수용부(310)에 비해 피스톤(150)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피스톤(150)의 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10)는 피스톤(150)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10)는 수용부(310)에 비해 피스톤(150)을 향해 돌출 형성됨으로 피스톤(150)의 이동시 피스톤(150)의 외주면과 접촉 가능하다. 이러한 지지부(210)는 피스톤(150)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 이의 거동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지지부(210)는 피스톤(150)의 외주면과 접촉되며 피스톤(15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어 피스톤(150)의 이동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피스톤(150) 중심축 변동에 따른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의 하우징(101)은 제1 그루브(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루브(220)는 지지부(210)와 수용부(3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그루브(220)는 바디(100)의 내측 일영역이 바디(100)의 내주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그루브(220)에는 기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그루브(220)에는 고무 씰과 같은 기밀부재가 수용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그루브(220)는 가공시 툴의 형상에 의해 중심부가 상대적으로 더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그루브(220)는 내에는 기밀부재가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그루브(220)는 피스톤(150) 이동에 따른 수용부(310)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의 하우징(101)은 구획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획부(230)는 제1 그루브(220)와 수용부(3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획부(230)는 제1 그루브(220)와 수용부(310)를 구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획부(230)는 일측이 제1 그루브(220)의 일영역을 형성하고, 타측이 수용부(31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구획부(230)는 바디(100) 내측의 일측과 타측을 구획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부(230)의 내경은 지지부(210)의 내경 이상일 수 있다.
구획부(230)는 제1 그루브(220) 및 수용부(310) 보다 내경이 작게 형성됨으로, 제1 그루브(220) 및 수용부(310)에 비해 바디(100) 내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즉, 구획부(230)는 제1 그루브(220) 및 수용부(310)보다 바디(300)의 중심부와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획부(230)의 내경은 지지부(21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획부(230)의 내경이 지지부(210)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면, 구획부(230)의 일면도 실린더(110)의 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구획부(230) 및 지지부(210)는 피스톤(150)의 외주면을 지지하여, 피스톤(150)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피스톤(150)의 중심이 바디(100)의 내측의 중심과 어긋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의 하우징(101)은 제2 그루브(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그루브(240)는 지지부(210)를 중심으로 제1 그루브(22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 그루브(240)는 바디(100)의 일측의 다른 일영역이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그루브(240)는 바디(100)의 내측에 제1 그루브(22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 그루브(240)는 바디(100)의 개방 형성된 일단에 제1 그루브(220) 보다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그루브(240)는 제1 그루브(220)에 설치된 기밀홈과는 다른 기밀부재가 설치되도록 설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그루브(240)의 내경(D4)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그루브(220)의 내경(D3)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그루브(240)는 제1 그루브(220) 보다 바디(100)의 내측으로 상대적으로 깊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그루브(240)의 깊이가 제1 그루브(220)의 깊이 보다 상대적으로 깊이 형성되어 기밀부재가 설치되도록 설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그루브(240)에 설치되는 기밀부재는 피스톤(150)의 이동시 함께 바디(100)로부터 신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그루브(240)는 피스톤(150)의 이동시 함께 신장 가능한 기밀부재의 일측이 수용되도록 설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2 그루브(240)에 일측이 수용되는 기밀부재는 피스톤(150)과 바디(100)의 개방된 영역을 커버하여 피스톤(150)의 이동에 따라 외부의 이물질이 바디(10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예로, 제2 그루브(240)에는 부트(Boot)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의 하우징(101)의 지지부(210)가 피스톤(150)을 지지하는 폭(W1)은 제2 그루브(240)의 폭(W3)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150)을 지지하는 지지부(210)의 일단의 폭(W1)(피스톤(15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은 제2 그루브(240)의 폭(W3)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210)는 피스톤(150)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의 하우징(10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경사부(2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부(221)는 제1 그루브(220)와 인접한 지지부(2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경사부(221)는 제1 그루브(2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경사부(221)는 제1 그루브(220)를 형성하는 일측면의 일영역이 지지부(210)의 일단으로 인접한 방향으로 갈수록 제1 그루브(220)의 개방된 일영역의 폭이 확경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경사부(221)는 제1 그루브(220)를 형성하는 일측면의 일영역이 피스톤(150)이 바디(100)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경사부(221)는 제1 그루브(220)에 삽입되는 기밀부재가 피스톤(150)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경사부(221)는 제1 그루브(220)에 삽입되는 기밀부재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의 하우징(10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경사부(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경사부(231)는 제1 그루브(220)와 인접한 구획부(23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경사부(231)는 제1 그루브(2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경사부(231)는 제1 그루브(220)를 형성하는 타측면의 일영역이 구획부(230)의 일단으로 인접한 방향으로 갈수록 제1 그루브(220)의 개방된 일영역의 폭이 확경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경사부(231)는 제1 그루브(220)를 형성하는 타측면의 일영역이 피스톤(150)이 바디(100)로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경사부(231)는 제1 경사부(221)와 경사진 상태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경사부(231)는 제1 그루브(220)에 삽입되는 기밀부재가 피스톤(150)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2 경사부(231)는 제1 그루브(220)에 삽입되는 기밀부재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의 하우징(101)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110)가 형성된 바디(100)와 제1 영역(200)과 제2 영역(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200)과 제2 영역(300)은 실린더(110)의 내주에 형성된다.
바디(100)에는, 도 4 및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 형성되어 중공형으로 형성된 실린더(11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실린더(110) 내에 피스톤(150)이 배치된다.
제1 영역(200)은 실린더(110)의 일측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영역(200)의 일부의 내주면은 적어도 피스톤(150)을 지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200)은 실린더(110)의 개방 형성된 일측에 배치된다.
즉, 제1 영역(200)의 일부의 내주면은 제2 영역(300)의 내주면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갖고 형성되고, 제1 영역(200)의 일부의 내주면은 피스톤(150)과 접촉되며 피스톤(150)의 인출입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200)의 일부의 내주면은 앞서 서술한 지지부(210)일 수 있다.
제2 영역(300)은 실린더(110)의 타측에 배치된다. 또한, 제2 영역(300)은 피스톤(15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하다. 그리고 제2 영역(300)은 제1 영역(200)보다 실린더(110)의 개방된 면과 상대적으로 멀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300)의 내경은 제1 영역(200)의 일부의 내주면의 지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200)의 일부는 제2 영역(300)의 내경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200)의 일부는 제2 영역(300)보다 실린더(110)의 중심을 향해 돌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영역(300)에는 수용부(310)가 형성되고, 피스톤(15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실린더(110) 전체의 영역 중 제2 영역(300)의 범위가 제1 영역(200)의 범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제2 영역(300)의 내경은 피스톤(150)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스팅 등을 통해 서로 단차지게 형성된 제1 영역(200)과 제2 영역(300)이 형성된 브레이크의 하우징(101)을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영역(200)보다 내경이 함몰 형성된 제2 영역(300)에 의해 종래에 비해 본 발명의 브레이크의 하우징(101)의 무게 절감 및 이로 인한 재료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후, 실린더(110) 내부의 가공을 통해, 제1 영역(200)에,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그루브(220)와 제2 그루브(240)를 가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200)에 제1 그루브(220)와 제2 그루브(240) 그리고 피스톤(150)을 지지 가능한 지지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200)에 구획부(230)도 배치될 수 있다.
즉, 실린더(110) 내부의 내주면에는 제1 영역(200)과 제2 영역(300)이 형성되고, 제1 영역(200)에는 제1 그루브(220)와 제2 그루브(240)와 지지부(210) 그리고 구획부(230)가 형성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영역(200)에는 제1 그루브(220)를 중심으로 지지부(210)와 구획부(230)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200)에는 지지부(210)를 중심으로 제1 그루브(220)와 제2 그루브(240)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부(230)의 폭(W2)은 피스톤(150)을 지지하는 지지부(210)폭(W1)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구획부(230)의 폭이 구획부(230)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있어, 구획부(230)는 실린더(110)로부터 인출입 되는 피스톤(150)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획부(230)의 폭은 제2 그루브(24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의 하우징(101)은 제1 영역(200)의 일부가 피스톤(150)의 이동을 지지할 수 있어 피스톤(150)의 거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브레이크의 하우징(101)은 피스톤(150)의 거동 불안전에 따라 피스톤(150)이 가압하는 패드의 편마모의 문제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바디 101: 브레이크의 하우징
110: 실린더 150: 피스톤
200: 제1 영역 210: 지지부
220: 제1 그루브 221: 제1 경사부
230: 구획부 231: 제2 경사부
240: 제2 그루브
300: 제2 영역 310: 수용부

Claims (20)

  1. 내부에 피스톤이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하우징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피스톤이 배치되도록 일측이 개방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바디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적어도 일부 이상을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된 수용부
    를 포함하는 브레이크의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내경은 상기 수용부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의 하우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피스톤과 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의 하우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의 내측에 함몰 형성된 제1 그루브를 더 포함하는 브레이크의 하우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그루브와 상기 수용부를 구획하는 구획부를 더 포함하는 브레이크의 하우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의 내경은 상기 지지부의 내경 이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의 하우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 그루브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바디의 내측에 함몰 형성된 제2 그루브를 더 포함하는 브레이크의 하우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루브의 내경은 상기 제1 그루브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의 하우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폭은 상기 구획부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의 하우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와 인접한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상기 제1 그루브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브레이크의 하우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와 인접한 상기 구획부의 측면에 상기 제1 그루브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브레이크의 하우징.
  12. 내부에 피스톤이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하우징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피스톤이 배치되도록 일측이 개방 형성된 실린더가 형성된 바디;
    상기 실린더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을 지지 가능한 제1 영역; 및
    상기 실린더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영역의 일부의 내주면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을 수용 가능한 제2 영역
    을 포함하는 브레이크의 하우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일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피스톤을 지지 가능한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의 하우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지지부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을 향해 함몰 형성된 제1 그루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의 하우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제1 그루브를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와 이격 배치된 구획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의 하우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의 내주면의 직경은 상기 제2 영역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의 하우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단은 상기 피스톤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의 하우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폭은 상기 구획부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의 하우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 그루브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1 그루브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도록 제2 그루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의 하우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일부의 내주면은 상기 피스톤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의 하우징.
KR1020220136498A 2022-10-21 2022-10-21 브레이크의 하우징 KR20240056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498A KR20240056191A (ko) 2022-10-21 2022-10-21 브레이크의 하우징
DE102023207834.1A DE102023207834A1 (de) 2022-10-21 2023-08-15 Bremsengehä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498A KR20240056191A (ko) 2022-10-21 2022-10-21 브레이크의 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6191A true KR20240056191A (ko) 2024-04-30

Family

ID=90628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498A KR20240056191A (ko) 2022-10-21 2022-10-21 브레이크의 하우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6191A (ko)
DE (1) DE102023207834A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3207834A1 (de) 202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5585B1 (ko) 원반브레이크용 수축시일(円盤brake用 收縮seal)
JP6103349B2 (ja) 流体圧シリンダ
US20070241515A1 (en) Sealing Device
US9347506B2 (en) Disc brake
US8276994B2 (en) Sealing member for master cylinder and master cylinder having the same
US11965567B2 (en) Disc brake
EP1643152B1 (en) Hydraulic vehicular disc brake
JP6595492B2 (ja) ピンとボアとの間の空気を排出させる摺動キャリパ・ディスク・ブレーキ
US10688980B2 (en) Electromagnetic brake calliper comprising a reduced friction piston guide
KR20240056191A (ko) 브레이크의 하우징
US20240133437A1 (en) Brake housing
JP6345321B1 (ja) チャック機構
JP4637595B2 (ja) マスタシリンダ
US11148649B2 (en) Master cylinder
US8347622B2 (en) Master cylinder
JPH11344120A (ja) ロッドのシール装置
US11459812B2 (en) Damper
JP2009101483A (ja) 旋回式クランプ装置
KR20160061360A (ko) 멀티 챔버 타이어
JPH11280805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101652955B1 (ko) 차량용 마스터 실린더
JP5771491B2 (ja) マスタシリンダ
KR101747138B1 (ko) 스터드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US20220056968A1 (en) Disc brake boot and disc brake including the same
JP4022653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