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5737A - 약제 불출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5737A
KR20240055737A KR1020247006259A KR20247006259A KR20240055737A KR 20240055737 A KR20240055737 A KR 20240055737A KR 1020247006259 A KR1020247006259 A KR 1020247006259A KR 20247006259 A KR20247006259 A KR 20247006259A KR 20240055737 A KR20240055737 A KR 20240055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unit
medicine
tablet
tablets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6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후미 오이케
고지 야마시타
요시노리 다니구치
신이치로 오모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40055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5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4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the bottom or a part of th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57Rotating movement in the plane of the rotating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Tablets, capsules, pill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약제를 1개씩 불출구로 불출할 가능성을 높인다. [해결 수단] 약제 불출 카세트(1)가 구비하는 반송부(13)는, 제1 반송부(133)와, 제2 반송부(134)와, 안내부(132)를 구비한다. 제1 반송부로부터 불출구(18)로 안내되는 약제의 제1 속도가, 제2 반송부로부터 제1 반송부로 안내되는 약제의 제2 속도보다도 커지도록, 제1 반송부 및 제2 반송부는 약제를 반송 가능하다.

Description

약제 불출 장치
본 발명은, 약제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중앙부가 약제를 랜덤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움푹 들어가고, 또한 주연부가 약제를 원호상으로 나란히 놓을 수 있도록 플랜지상으로 되어 있는 회전 용기와, 주연부 상으로부터 외부로 약제를 도출물로서 유도하는 도출부를 구비하는 약제 피더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약제 피더는, 도출물의 폭을 규제하는 폭 규제 부재와, 도출물의 높이를 규제하는 높이 규제 부재와, 벨트 이송 기구로 이루어지고, 회전 용기의 주연부의 내측에 이르고 있어, 도출물을 폭 규제 부재와 함께 끼움 지지하여 회전 용기의 회전 시의 주연부보다도 고속으로 이송하는 끼움 지지 송출 기구를 구비한다.
일본 특허 제5950876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약제 피더는, 약제의 샘플의 크기에 맞추어, 폭 규제 부재와 끼움 지지 송출 기구의 폭, 및 회전 용기의 주연부와 높이 규제 부재의 높이를 조정한다. 이에 의해, 약제 피더는, 약제를 도출부로부터 1개씩 낙하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약제의 샘플의 크기가, 회전 용기의 중앙부에 실제로 수용된 약제의 크기와 다른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정의 약제의 경우, 약제의 샘플의 크기와 회전 용기의 중앙부에 실제로 수용된 약제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 1개의 약제를 절반으로 절단함으로써 2개의 반정의 약제가 생성되지만, 1개의 약제가 균등하게 절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반정의 약제의 크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상기 2개의 약제의 크기가 다른 경우, 폭 규제 부재와 끼움 지지 송출 기구의 폭보다도 작은 폭을 갖는 약제가, 폭 규제 부재와 끼움 지지 송출 기구에 의해 끼움 지지되지 않아, 폭 규제 부재와 끼움 지지 송출 기구 사이에 삽입될 우려가 있다. 당해 약제가 폭 규제 부재와 끼움 지지 송출 기구 사이에 삽입된 경우, 당해 약제가 후속의 약제에 눌려, 당해 약제가 후속의 약제와 함께 도출부로부터 낙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약제를 1개씩 불출구로 불출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고, 그 결과, 정확한 수의 약제 불출이 가능한 약제 불출 장치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약제 불출 장치는, 투입된 약제를 불출구까지 반송함으로써, 상기 불출구로부터 상기 약제를 불출하는 약제 불출 장치이며, 상기 약제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원환상의 부분을 갖고, 상기 약제를 상기 불출구로 반송하는 반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부는, 상기 불출구에 인접하고, 상기 약제를 적재한 상태에서, 상기 약제를 반송하는 제1 반송부와, 상기 제1 반송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약제를 적재한 상태에서, 상기 약제를 반송하는 제2 반송부와, 상기 제2 반송부로부터 상기 제1 반송부로 약제를 안내함과 함께, 상기 제1 반송부로부터 상기 불출구로 상기 약제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반송부로부터 상기 불출구로 안내되는 약제의 제1 속도가, 상기 제2 반송부로부터 상기 제1 반송부로 안내되는 약제의 제2 속도보다도 커지도록, 상기 제1 반송부 및 상기 제2 반송부는 상기 약제를 반송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약제 불출 장치는, 투입된 약제를 불출구까지 반송함으로써, 상기 불출구로부터 상기 약제를 불출하는 약제 불출 장치이며, 상기 약제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원환상의 부분을 갖고, 상기 약제를 상기 불출구로 반송하는 반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부는, 상기 불출구에 인접하고, 상기 약제를 적재한 상태에서, 상기 약제를 반송하는 원환상 반송부와, 상기 원환상 반송부로부터 상기 불출구로 상기 약제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원환상 반송부의, 상기 약제를 적재하는 적재면에 있어서, 상기 약제의 반송 경로를 규정하는 적어도 1개의 측벽과, 상기 적재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신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고, 상기 원환상 반송부의, 상기 불출구와 인접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측벽으로부터 일부가 돌출되어 있는 회전판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약제를 1개씩 불출구로 불출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고, 그 결과, 정확한 수의 약제 불출이 가능해진다.
도 1의 부호 1001은 모터 베이스에 약제 불출 카세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부호 1002는 모터 베이스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부호 1003은 카운트 센서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약제 불출 카세트가 불출 대상으로 하는 약제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약제 불출 카세트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의 부호 4001은 커버부를 떼어낸 상태의 약제 불출 카세트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부호 4002는 당해 상태의 약제 불출 카세트의 일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수용부와 반송부의 원환상 반송부와 회전판을 조합한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의 부호 6001은 수용부 및 반송부의 원환상 반송부의 각각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부호 6002는 부호 6001에 나타내는 구조를 다른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반송부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높이 규제체 및 폭 규제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의 부호 9001은 가이드 부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부호 9002는 제1 변위 부재 및 제2 변위 부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약제 불출 카세트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1은 약제 불출 카세트 및 모터 베이스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약제 불출 카세트에 있어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커버부를 떼어낸 상태의 약제 불출 카세트의 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2를 사용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모터 베이스(10)에 약제 불출 카세트(1)(약제 불출 장치)가 설치된 상태에 대하여, 도 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의 부호 1001은, 모터 베이스(10)에 약제 불출 카세트(1)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부호 1002는 모터 베이스(1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부호 1003은 카운트 센서(101)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의 부호 100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베이스(10)에 약제 불출 카세트(1)가 접속됨으로써, 모터 베이스(10)의 제어를 받아 약제 불출 카세트(1)에 의한 약제의 불출 처리가 실현된다. 약제 불출 카세트(1)는, 투입된 약제를 불출구(18)(도 1의 부호 1003 참조)까지 순이송함으로써, 불출구(18)로부터 당해 약제를 불출하는 부재이다. 모터 베이스(10)는, 약제 불출 카세트(1)가 적재됨과 함께 접속됨으로써, 약제 불출 카세트(1)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재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구동 조건의 변경에 의해, 임의의 종류의 약제를 단위량마다(예: 1개씩) 불출하는 약제 불출 카세트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예를 들어 처방전 정보에 따라서 환자가 복용하기 위한 약제를 분포하는 약제 분포 장치에, 미리 결정된 종류의 약제를 불출하는 고정 카세트, 및 약제가 수동 분배되는 수동 분배 유닛 등과 함께 구비되는 약제 불출 카세트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약제 불출 카세트의 기능은, 예를 들어 정제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정제 카운트기, 및 일 처방분의 약제를 1개의 용기에 불출하는 불출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약제 불출 카세트(1) 및 모터 베이스(1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 전에, 약제 불출 카세트(1)가 불출 대상으로 하는 약제의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분할 정제의 구체예〕
약제 불출 카세트(1)가 불출 대상으로 하는 약제는, 주로 정제(내복약)이며, 복용할 수 없는 약제 용기에 수용된 약제(예: 주사약)가 아니라, 복용할 수 없는 약제 용기 등에는 수용되어 있지 않은 약제, 또는, 복용할 수 없는 포장 등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약제 자체를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불출 대상으로 하는 약제는, 분할된 정제(예: 대략 절반으로 분할된 정제(반정))(이후, 분할 정제라 칭함)인 것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약제 불출 카세트(1)는, 분할되어 있지 않은 정제(1정분의 정제) 또는 캡슐을 불출 대상으로 해도 상관없지만, 파손되기 쉽거나, 또는 깨지기 쉬운 약제를 취급하는 경우에 유효하게 기능한다.
도 2는 약제 불출 카세트(1)가 불출 대상으로 하는 약제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부호 2001과, 도 2의 부호 2002는, 당의정의 일례와, 당해 당의정의 분할 정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부호 2002의 당의정은, 분할하였을 때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상면부 및 저면부의 중앙 부분이 평탄하지 않다. 그 때문에, 당의정 또는 당의정의 분할 정제는, 적재면에 적재하였을 때 불안정하여 구르기 쉽다.
도 2의 부호 2003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이며, 또한, 분할하였을 때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상면부 및 저면부가 볼록 형상을 갖는 정제의 일례와, 당해 정제의 분할 정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부호 2004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타원 형상이며, 또한, 분할하였을 때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상면부 및 저면부가 볼록 형상을 갖는 정제의 일례와, 당해 정제의 분할 정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부호 2003 및 부호 2004에 나타내는 정제는, 부호 2002에 나타내는 당의정과 마찬가지로, 분할하였을 때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상면부 및 저면부의 중앙 부분이 평탄하지 않아, 적재면에 적재하였을 때 불안정하여 구르기 쉽다.
도 2의 부호 2005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대략 정사각형이며, 또한, 분할하였을 때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상면부 및 저면부가 대략 평탄하게 되어 있는 정제의 일례와, 당해 정제의 분할 정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부호 2007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육각형이며, 또한, 분할하였을 때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상면부 및 저면부가 대략 평탄하게 되어 있는 정제의 일례와, 당해 정제의 분할 정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부호 2005 및 부호 200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하였을 때의 단면 형상이 대략 평탄하게 되어 있는 정제는, 적재면에 적재하였다고 해도 구르기 어려워 안정되어 있다. 단, 대략 평탄하게 되어 있는 중앙 부분의 영역이 작아지면, 당해 정제를 적재하였을 때의 안정성은 저하된다.
도 2의 부호 2006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대략 삼각형이며, 또한, 분할하였을 때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상면부 및 저면부가 볼록 형상을 갖는 정제의 일례와, 당해 정제의 분할 정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부호 2007에 나타내는 정제는, 분할하였을 때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상면부 및 저면부의 중앙 부분이 평탄하지 않아, 적재면에 적재하였을 때 안정되지 않고 구르기 쉽다.
종래의 약제 불출 카세트를 사용하여 부호 2001에 나타내는 정제 및 분할 정제(단, 대략 평탄한 중앙 부분이 비교적 작은 정제 및 분할 정제), 및 부호 2002 내지 부호 2007에 나타내는 정제 및 분할 정제를 불출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경우, 이들 정제 또는 분할 정제가 약제 불출 카세트로부터 불출구로 불출될 때, 복수의 정제 또는 분할 정제가 연속해서(즉 동시에) 불출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즉, 약제의 형상, 또는 약제를 적재면에 적재하였을 때의 안정성에 따라서는, 복수의 약제가 연속해서 불출구로부터 불출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카운트 센서가 복수의 약제를 1개의 약제로서 계수해 버리게 된다. 또한 이 경우, 목표 정수(불출하는 약제의 수로서 지정된 수)보다도 많은 약제를 불출해 버리게 된다. 약제 불출 카세트(1)는, 상술한 약제의 형상 또는 안정성에 상관없이, 불출구(18)에 약제를 1개씩 불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고, 그 결과, 정확한 수의 불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분할 정제를 불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모터 베이스의 구성〕
모터 베이스(10)는, 도 1의 부호 100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운트 센서(101), 커넥터(102), 구동 부재(103 내지 106)를 구비한다.
카운트 센서(101)는, 도 1의 부호 100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제 불출 카세트(1)의 원환상 반송부(131)로부터 송출되어, 불출구(18)를 통과(낙하)한 분할 정제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카운트 센서(101)는, 불출구(18)를 통과한 분할 정제를 검출함으로써, 그 개수를 카운트한다. 카운트 센서(101)는, 원환상 반송부(131)로부터 송출된 분할 정제의 통과 경로 상에 대상물의 검출 범위가 형성되도록 배치된다(도 1의 부호 1003에 나타내는 「광축」 참조).
카운트 센서(101)는, 발광부로부터 발해진 광을, 발광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수광부가 수광함(또는 수광하지 않음)으로써, 검출 범위 내의 대상물의 유무를 특정하는, 소위 수광형 센서이다. 단, 카운트 센서(101)는, 발광부로부터 발해진 광이 대상물에서 반사되고, 당해 반사된 광을 수광부에서 수광함으로써, 검출 범위 내의 대상물의 유무를 특정하는, 소위 반사형 센서여도 된다. 이 경우, 발광부와 수광부는 병설된다.
커넥터(102)는, 약제 불출 카세트(1)의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됨으로써, 약제 불출 카세트(1)에 전력을 공급한다. 구동 부재(103 및 104)는, 각각, 약제 불출 카세트(1)의 제1 회전체(121)를 회전시키는 제1 회전 기구, 및 원환상 반송부(131)의 제1 반송부(133)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 기구에 접속되어, 제1 회전 기구 및 제2 회전 기구에 동력을 공급한다. 구동 부재(105 및 106)는, 각각, 약제 불출 카세트(1)의 높이 규제체(14)(도 8 참조)를 이동시키는 높이 규제체 이동 기구, 및 폭 규제체(15)(도 8 참조)를 이동시키는 폭 규제체 이동 기구에 접속되어 있다. 구동 부재(105 및 106)는, 높이 규제체 이동 기구 및 폭 규제체 이동 기구에 동력을 공급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베이스(10)는, 제어부(50) 및 기억부(60)를 구비하는데, 이들 부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모터 베이스(10)가 제어부(50) 및 기억부(60)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50) 및 기억부(60)는, 모터 베이스(10) 및 약제 불출 카세트(1)와는 별도로 마련된, 약제 불출 카세트(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제어 장치는, 모터 베이스(10)에 접속되어, 모터 베이스(1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약제 불출 카세트(1)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약제 불출 카세트(1) 및 모터 베이스(10)는 별도 기구로 되어 있지만, 일체형이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약제 불출 카세트(1)가 카운트 센서(101), 제어부(50) 및 기억부(60)를 구비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약제 불출 카세트의 구성〕
도 3은 약제 불출 카세트(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의 부호 4001은, 커버부(11)를 떼어낸 상태의 약제 불출 카세트(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부호 4002는, 당해 상태의 약제 불출 카세트(1)의 일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당해 상태의 약제 불출 카세트(1)의 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약제 불출 카세트(1)는, 도 3, 도 4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로, 커버부(11), 수용부(12), 반송부(13), 높이 규제체(14), 폭 규제체(15), 가이드 부재(16), 및 반송 보조 기구(17)를 구비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고 있는 개소에 대해서는, 적절히 도 13도 참조하기 바란다.
약제 불출 카세트(1)에서는, 분할 정제는 분할 정제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12)에 투입된다. 그 후, 분할 정제는, 수용부(12)의 제1 회전체(121)의 회전에 의해 이동 영역 Ar1에 있어서 제1 회전체(121)로부터 반송부(13)의 원환상 반송부(131)로 갈아탄다. 그리고, 분할 정제는, 원환상 반송부(131)의 회전 및 반송부(13)의 안내부(132)의 안내에 의해, 원환상 반송부(131) 상으로부터 불출구(18)로 낙하한다. 상기 제1 회전체(121) 및 원환상 반송부(131)의 회전은, 도 13에 있어서 지면 상으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의 회전이며, 후술하는 순이송 동작 시의 회전이다. 또한, 원환상 반송부(131) 상의 분할 정제는, 높이 규제체(14) 및 폭 규제체(15)에 의해 1열로 정렬된다. 이하, 각 부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커버부·불출구>
커버부(11)는, 약제 불출 카세트(1)의 상부(분할 정제의 투입측)에 마련된 하우징의 일부이며, 약제 불출 카세트(1)의 내부를 보호한다. 불출구(18)는, 원환상 반송부(131)에 의해 반송된 분할 정제가 낙하하는 개구부이다.
<수용부·반송부>
수용부(12) 및 반송부(13)는, 투입된 분할 정제를 불출구(18)까지 반송하는 약제 반송 기구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용부(12) 및 반송부(13)는, 순이송의 경우, 투입된 분할 정제를, 불출구(18)를 향하여 반송한다. 역이송의 경우, 반송부(13)는, 반송부(13) 상에 적재된 분할 정제를, 순이송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반송한다. 즉, 반송부(13)는, 분할 정제를 순이송하는 순이송 동작과, 분할 정제를 역이송하는 역이송 동작을 전환 가능하다. 단, 수용부(12)에 대해서도 반송부(13)와 마찬가지로, 순이송 동작과 역이송 동작을 전환 가능해도 상관없다. 또한, 순이송을 정전(正轉), 역이송을 역전이라 칭해도 상관없다.
도 4의 부호 400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12)는, 제1 회전체(121) 및 칸막이벽(122)을 구비한다. 제1 회전체(121)는, 수용부(12)의 저부를 규정하고, 칸막이벽(122)은, 수용부(12)의 측벽을 규정한다.
제1 회전체(121)는, 회전함으로써, 투입된 분할 정제를 외주측(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회전 부재(내원반, 내륜)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체(121)는, 제1 축부(121A)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원반상의 회전 부재이다.
또한, 도 3, 및 도 4의 부호 400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칸막이벽(122)이, 제1 회전체(121)의 외주부를 따라서 기립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투입된 분할 정제가 제1 회전체(121)에 적재된다. 구체적으로는, 투입된 분할 정제는, 제1 회전체(121)와 칸막이벽(122)으로 구획된 수용 공간에 수용된다. 또한, 후술하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칸막이벽(122)은, 칸막이벽(122)의 상부(+Z축 방향)의 외주에 위치하는 복수의 톱니(122A)를 갖는다. 복수의 톱니(122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반송부(134)의 유성 기어(134B 내지 134D)와 끼워 맞추어진다. 칸막이벽(122)은, 복수의 톱니(122A)를 구비함으로써, 유성 기어 기구의 태양 기어로서 기능한다.
제1 회전체(121)는, XY 평면(예: 약제 불출 카세트(1)의 적재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마련되어 있다. 즉, 제1 회전체(121)의 제1 축부(121A)는, Z축 방향(수직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체(121)의 상면에는, 당해 상면에 있어서의, 투입된 분할 정제의 전동을 억제하기 위한 복수의 볼록조부(121B)가 방사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제1 회전체(121)에 투입된 분할 정제는, 제1 회전체(121)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외주부로 이동한다.
각 볼록조부(121B)의 둘레 단부는, 반송부(13)의 제2 반송부(134)의 적재면(134A)과 대략 평행하게 되는 경사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수용부(12)와 반송부(13)의 제2 반송부(134) 사이에서의 분할 정제의 이동 시에, 분할 정제가 파손되어 버릴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특히 역이송 시에 제2 반송부(134)로부터 수용부(12)로 분할 정제가 되돌아갈 때, 분할 정제가 파손되어 버릴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제는, 파손되기 어렵도록, 그 주위에 보호막이 코팅되어 있다. 그러나, 분할 정제의 경우, 분할된 표면에 보호막이 코팅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분할 정제는, 분할되어 있지 않은 정제에 비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약하여, 파손되기 쉽다. 즉, 분할 정제는, 분할된 표면으로부터 가루 또는 조각이 발생하기 쉽다. 그 때문에, 분할 정제를 취급하는 약제 불출 카세트(1)에 있어서, 상기 둘레 단부가 상술한 바와 같은 경사를 갖고 있는 것은 유용하다.
또한, 적어도 이동 영역 Ar1에 있어서 간극이 발생하도록, 제1 회전체(121) 및 반송부(13)의 원환상 반송부(131)의 크기 및 위치 관계가 규정되어 있다. 이동 영역 Ar1이란, 분할 정제가 제1 회전체(121)로부터 반송부(13)의 제2 반송부(134)로 갈아타는 영역이다.
일반적으로, 수용부(12)와 제2 반송부(134) 사이에는, 제1 회전체(121)가 제2 반송부(134)와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간극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동 영역 Ar1에 있어서 약제가 갈아타는 것을 고려하여, 적극적으로 간극을 마련하도록 제1 회전체(121) 및 제2 반송부(134)를 설계하고 있지는 않다. 약제 불출 카세트(1)와 같이 분할 정제를 취급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가루 또는 조각이 발생하기 쉽다. 그 때문에, 적극적으로 간극을 마련함(적어도 종래보다도 크게 마련함)으로써, 당해 가루 또는 조각을 제1 회전체(121)의 하방으로 낙하시켜 회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예를 들어, 분할 정제(제1 분할 정제)를 불출한 후에, 제1 분할 정제와는 종류가 다른 분할 정제(제2 분할 정제)의 불출을 행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간극이 없는 경우, 간극이 있는 경우에 비해, 제1 회전체(121) 및 원환상 반송부(131) 상에 있어서의, 제1 분할 정제의 가루 또는 조각의 잔량이 많아진다. 그 때문에, 간극이 없는 경우, 간극이 있는 경우에 비해, 제1 분할 정제의 가루 또는 조각이 제2 분할 정제와 함께 불출되어 버릴 가능성이 높다. 불출 대상의 분할 정제가 다른 분할 정제의 가루 또는 조각과 함께 불출되는 것은, 안전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그 때문에, 분할 정제를 취급하는 약제 불출 카세트(1)에 있어서, 간극이 마련되어 있는 것은 유용하다. 단, 간극은 분할 정제가 낙하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한정된다.
또한, 약제 불출 카세트(1)는, 제1 회전체(121)를 회전시키는 제1 회전 기구를 내장하고 있다. 제1 회전 기구는, 예를 들어 제1 축부(121A)와, 제1 축부(121A)의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1 축부(121A)를 회전시키는 구동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실현된다. 제1 회전 기구의 구동 부재에 모터 베이스(10)의 구동 부재(103)가 접속됨으로써, 모터 베이스(10)로부터의 동력을 받아 제1 회전체(121)가 회전한다. 또한, 제1 회전 기구의 구동은, 회전체 제어부(51)(도 11 참조)에 의해 제어된다.
제1 회전체(121) 및 원환상 반송부(131)는, 순이송 시에는, 투입된 분할 정제가 불출구(18)를 향하여 반송되도록 동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동 영역 Ar1에서 제1 회전체(121)로부터 원환상 반송부(131)의 제2 반송부(134)로 갈아탄 분할 정제의 적어도 일부는, 불출구(18)까지 순이송된다. 한편, 잔여의 분할 정제는, 높이 규제체(14), 폭 규제체(15) 및 가이드 부재(16)(제1 변위 부재(16A) 및 제2 변위 부재(16B))에 의해, 수용부(12) 측으로 낙하된다.
<반송부의 상세>
도 3 내지 도 7을 사용하여, 반송부(13)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수용부(12)와 반송부(13)의 원환상 반송부(131)와 회전판(17A)(후술)을 조합한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의 부호 6001은, 수용부(12) 및 반송부(13)의 원환상 반송부(131)의 각각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부호 6002는 부호 6001에 나타내는 구조를 다른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반송부(13)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7의 부호 7001은, 먼저 불출(반송)되는 분할 정제 MD1과, 후속의 분할 정제 MD2가 근접한 상태를 나타내고, 부호 7002는, 먼저 불출되는 분할 정제 MD1과, 후속의 분할 정제 MD2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다.
반송부(13)는, +Z축 방향으로부터 평면에서 본 경우, 수용부(12)의 외측에 위치하는 원환상의 부분을 갖고 있고, 제1 회전체(121)로부터 전달된 분할 정제를 불출구(18)로 반송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부(13)는, 원환상 반송부(131) 및 안내부(132)를 구비한다. 또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환상 반송부(131)는, 제1 반송부(133) 및 제2 반송부(134)를 구비한다. 원환상 반송부(131)는, 불출구(18)에 인접하고, 분할 정제를 적재한 상태에서, 당해 분할 정제를 반송한다.
(제1 반송부)
제1 반송부(133)는, 원환상의 회전 부재이며, ±Z축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반송부(133)는, 분할 정제를 적재하는 적재면(133A)을 갖는다. 제2 반송부(134)의 적재면(134A)으로부터 제1 반송부(133)의 적재면(133A) 상으로 분할 정제가 갈아탐으로써, 제1 반송부(133)의 적재면(133A) 상에 분할 정제가 적재된다. 제1 반송부(133)의 적재면(133A)은, XY 평면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수평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반송부(133)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적재면(133A) 상에 분할 정제를 적재한 상태에서 분할 정제를 반송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반송부(133)는, 불출구(18)에 인접하고 있고, 제1 반송부(133)에 의해 반송되는 적재면(133A) 상의 분할 정제는, 후술하는 안내부(132)로 안내됨으로써 불출구(18)로부터 불출된다. 제1 반송부(133)는, 원환상 반송부(131)의 최외주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1 반송부(133)는, 「최외륜」이라고도 칭해진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반송부(133)는, 제1 반송부(133)의 내주측의 측면(내주면)에, 복수의 제1 톱니(133B)를 갖는다. 복수의 제1 톱니(133B)는, 제2 반송부(134)의 유성 기어(134B 내지 134D)와 끼워 맞추어진다. 제1 반송부(133)는, 유성 기어(134B 내지 134D)를 통해 제2 반송부(134)와 접속되어 있다. 제1 반송부(133)는, 복수의 제1 톱니(133B)를 갖고, 복수의 제1 톱니(133B)가 유성 기어(134B 내지 134D)와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유성 기어 기구의 내기어로서 기능한다.
약제 불출 카세트(1)는, 제1 반송부(133)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 기구를 내장하고 있다. 제2 회전 기구는, 예를 들어 제1 반송부(133)가 갖는 복수의 제2 톱니(133C)(도 5 및 도 6 참조)에 의해 실현된다. 복수의 제2 톱니(133C)는, 구체적으로는, 제1 반송부(133)의, 복수의 제1 톱니(133B)가 마련되는 내주면과는 반대측의 외주측의 측면(외주면)에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제2 톱니(133C)에 모터 베이스(10)의 구동 부재(104)가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모터 베이스(10)로부터 복수의 제2 톱니(133C)에 대하여 부여되는 구동력에 의해 제1 반송부(133)가 회전한다. 그리고, 제1 반송부(133)가 회전함으로써, 제2 반송부(134)도, 제1 반송부(133)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반송부(134)가 회전하는 기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제2 회전 기구의 구동은, 회전체 제어부(51)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도 5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반송부(133)에는, 후술하는 회전판(17A)의 회전축(171)보다 외측의 위치에, 자극이 다른 복수의 제1 자석(133D)이 교호로 마련되어 있다. 「회전축(171)보다 외측의 위치」란, 제1 회전체(121)의 제1 축부(121A)로부터 복수의 제1 자석(133D)까지의 거리가, 제1 축부(121A)로부터 회전축(171)까지의 거리보다도 길게 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자극이 다르다」란, 복수의 제1 자석(133D)에 N극과 S극이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제1 자석(133D)으로서, N극과 S극이 교호로 제1 반송부(133)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자석(133D)은, 예를 들어 제1 반송부(133)의 내부, 또는 적재면(133A)에 대하여 반대측의 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자석(133D)은, 제1 반송부(133)의 전체 둘레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도 5에서는, 제1 반송부(133)의 전체 둘레에 걸쳐 마련되는 복수의 제1 자석(133D) 중 일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단, 제1 자석(133D)은, 제1 반송부(133)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제1 반송부(133)의 일부에 마련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제2 반송부)
제2 반송부(134)는, 원환상의 회전 부재이며, 회전축이 ±Z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반송부(134)는, 제1 반송부(133)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반송부(134)는, 예를 들어 제1 반송부(133)의 내측에 있어서 제1 반송부(133)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반송부(134)는, 분할 정제를 적재하는 적재면(134A)을 갖는다. 제2 반송부(134)의 적재면(134A)은, XY 평면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수평 배치되어 있다. 제2 반송부(134)는, 수용부(12)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제1 반송부(133)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내륜」이라고도 칭해진다.
제2 반송부(134)는, 제1 반송부(133)와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반송부(133)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분할 정제는, 수용부(12)의 제1 회전체(121)로부터, 제1 회전체(121)의 회전에 의해 반송되어, 제2 반송부(134)로 갈아탐으로써, 제2 반송부(134)의 적재면(134A) 상에 적재된다. 그리고, 제2 반송부(134)는, 적재면(134A) 상에 분할 정제를 적재한 상태에서 당해 분할 정제를 반송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반송부(134)는, 유성 기어(134B, 134C, 및 134D)를 구비한다. 또한, 유성 기어는 3개에 한정되지는 않고, 적어도 1개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유성 기어(134B 내지 134D)는, 제2 반송부(134)의 측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구멍(134E)의 내부에 각각 설치된다. 유성 기어(134B 내지 134D)는, 제2 반송부(134)의 측면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1 반송부(133)의 복수의 제1 톱니(133B)와 각각 끼워 맞추어진다.
또한, 유성 기어(134B 내지 134D)는, 제2 반송부(134)의 측면보다도 내측으로 돌출되고, 수용부(12)의 칸막이벽(122)의 외측에 마련되는 복수의 톱니(122A)와 끼워 맞추어진다. 복수의 톱니(122A)는 칸막이벽(122)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칸막이벽(122)은 약제 불출 카세트(1)에 고정되어 있다.
모터 베이스(10)의 구동 부재(104)에 의해 제2 톱니(133C)에 대하여 회전력이 부여됨으로써 제1 반송부(133)가 회전하면, 그 회전에 의해, 복수의 제1 톱니(133B) 및 복수의 톱니(122A)와 끼워 맞추어지는 유성 기어(134B 내지 134D)가 회전한다. 유성 기어(134B 내지 134D)가 회전함으로써, 제2 반송부(134)는, 제1 반송부(133)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제2 반송부(134)는, 유성 기어(134B 내지 134D)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제1 반송부(133)보다도 느린 속도로 회전한다. 제2 반송부(134)는, 예를 들어 제1 반송부(133)의 약 절반의 속도로 회전한다. 이상과 같이, 약제 불출 카세트(1)에서는, 제1 반송부(133)의 회전에 연동시켜, 제2 반송부(134)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반송부(134)의 회전 속도는, 예를 들어 제1 반송부(133)의 복수의 제1 톱니(133B)의 수에 대한 복수의 톱니(122A)의 수의 비율, 및/또는 복수의 제1 톱니(133B)의 피치원 직경에 대한 복수의 톱니(122A)의 피치원 직경의 비율에 의해 결정된다.
이상과 같이, 제2 반송부(134)는, 제1 반송부(133) 및 칸막이벽(122)의 외측에 마련되는 복수의 톱니(122A)와 함께, 유성 기어 기구로서 기능한다. 그 때문에, 제2 반송부(134)는, 제1 반송부(133)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 반송부(133)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2 반송부(134)는, 유성 기어 기구의 일부로서 회전함으로써, 분할 정제를 반송한다. 그 때문에, 모터 베이스(10)가 제2 반송부(134)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유성 기어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간이한 구성으로, 또한 제1 반송부(133)를 구동시키는 것만으로, 제1 반송부(133)와 제2 반송부(134)의 회전 속도가 다르도록,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톱니(122A)는, 유성 기어(134B 내지 134D)와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약제 불출 카세트(1)의 일부를 태양 기어로서 기능시킬 수 있으면 되고, 칸막이벽(122)에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톱니(122A)는, 칸막이벽(122)과는 별체의 부재로서, 약제 불출 카세트(1)의 다른 부분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단, 복수의 톱니(122A)가 칸막이벽(122)의 상부의 외주에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보다 간이한 구성으로, 제1 반송부(133) 및 제2 반송부(13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안내부)
안내부(132)는, 제2 반송부(134)로부터 제1 반송부(133)로 분할 정제를 안내한다. 또한, 안내부(132)는, 제1 반송부(133)로부터 불출구(18)로 분할 정제를 안내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부(132)는, 원환상 반송부(131) 상에 설치된 비변위 부재이며, 통과 경로 Ro를 형성하는 측벽 중, 원환상 반송부(131)의 회전 방향 하류측의 측벽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내부(132)는, 통과 경로 Ro를 규정하는 측벽 중, 후술하는 가이드 부재(16)와 함께, 제1 회전체(121)에 보다 가까운 쪽의 측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통과 경로 Ro는, 적재면(133A 및 134A)에 있어서 분할 정제가 반송되는 반송 경로이다. 구체적으로는, 안내부(132)는, 도 4의 부호 400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폭 규제체(15)의 제2 벽면(15S2)과 대향하는 위치에, 또한 가이드 부재(16)의 제1 변위 부재(16A) 및 제2 변위 부재(16B)보다도 불출구(18) 측에 기립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부(132)는, 제2 벽면(15S2)과 함께, 통과 경로 Ro의 일부를 규정한다. 환언하면, 안내부(132)는, 통과 경로 Ro의 측벽을 규정하는 측벽 부재이다. 후술하는 폭 규제체(15)도 또한, 당해 측벽을 규정하는 측벽 부재라 할 수 있다. 통과 경로 Ro 중, 안내부(132)가 규정하는 영역은, 불출구(18)로 분할 정제가 안내되는, 원환상 반송부(131) 상의 단부 영역(약제 가이드 영역)이라고도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부(132)는, +Z축 방향으로부터 평면에서 본 경우에, 제1 반송부(133) 및 제2 반송부(134)를 횡단하도록 적재면(133A) 및 적재면(134A)의 상방(+Z축 방향)에 배치되어 있고, 불출구(18) 측으로 연신되어 있다. 안내부(132)가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약제 불출 카세트(1)는, 제1 반송부(133) 및 제2 반송부(134)의 회전에 의해, 안내부(132)를 따라서, 제2 반송부(134)로부터 제1 반송부(133)로 분할 정제를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반송부(134)로부터 제1 반송부(133)로 분할 정제가 반송된 후, 제1 반송부(133)로부터 불출구(18)로 분할 정제를 반송할 수 있다.
(반송부의 동작예)
이하, 반송부(13)의 동작예, 및 당해 동작에 의한 분할 정제의 반송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모터 베이스(10)의 구동 부재(104)의 동작에 의해, 제1 반송부(133)가 회전하면, 제1 반송부(133)보다도 느린 속도로 제2 반송부(134)도 회전한다. 수용부(12)에 투입된 분할 정제는, 수용부(12)의 제1 회전체(121)로부터, 회전하고 있는 제2 반송부(134)의 적재면(134A) 상으로 갈아탄다. 그리고, 적재면(134A) 상의 분할 정제는, 제2 반송부(134)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반송된다. 제2 반송부(134)에 의해 반송된 분할 정제는, 안내부(132)에 접하면, 제2 반송부(134)의 회전력에 의해 안내부(132)를 따라서 이동하여, 제2 반송부(134)의 적재면(134A)으로부터 제1 반송부(133)의 적재면(133A) 상으로 안내된다. 분할 정제가 제2 반송부(134)로부터 제1 반송부(133)로 안내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제2 반송부(134) 상에서의 분할 정제의 이동 속도를 「제2 속도 P2」라 칭한다.
제1 반송부(133)의 적재면(133A) 상으로 안내된 분할 정제는, 제1 반송부(133)의 회전에 의해, 안내부(132)를 따라서 반송된다. 제1 반송부(133)에 의해 반송된 분할 정제는, 안내부(132)를 따라서 불출구(18) 측으로 이동하여, 불출구(18)로부터 불출된다. 분할 정제가 제1 반송부(133)의 회전에 의해, 안내부(132)를 따라서 이동하여, 제1 반송부(133)로부터 불출구(18)로 안내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제1 반송부(133) 상에서의 분할 정제의 이동 속도를 「제1 속도 P1」이라 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반송부(133)의 회전 속도는, 제2 반송부(134)의 회전 속도보다도 크다. 그 때문에, 제1 속도 P1은 제2 속도 P2보다도 커진다. 환언하면, 제1 반송부(133) 및 제2 반송부(134)는, 제1 속도 P1이 제2 속도 P2보다도 커지도록 분할 정제를 반송할 수 있다.
분할 정제가 불출구(18)로부터 불출될 때, 당해 분할 정제와 후속의 분할 정제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 이들 2개의 분할 정제가 동시에 불출될 가능성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의 부호 700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분할 정제가 서로 접촉 또는 근접한 상태에서 불출구(18) 부근에 도달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1개의 약제가 분할된 분할 정제는, 적재면(133A) 상에 적재되었을 때 안정되지 않고 구르기 쉽기 때문에, 불출구(18) 부근에 도달하였을 때 낙하하기 쉽다. 따라서, 2개의 분할 정제가 서로 접촉 또는 근접한 상태에서 불출구(18) 부근에 도달한 경우, 1개의 분할 정제가 불출되어야 할 타이밍에 2개의 분할 정제가 동시에 불출될 가능성이 높아져, 카운트 오류의 원인이 된다. 불출의 대상이, 상술한 도 2에 도시한 분할 정제(부호 2001에 대해서는 대략 평탄한 중앙 부분이 비교적 작은 분할 정제)인 경우, 절단면 이외의 표면에 있어서, 2개의 분할 정제가 서로 접촉 또는 근접하였을 때는 특히, 2개의 분할 정제가 동시에 불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불출 카세트(1)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반송부(13)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부(13)는, 제1 속도 P1이 제2 속도 P2보다도 커지도록 분할 정제를 반송 가능한 제1 반송부(133) 및 제2 반송부(13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약제 불출 카세트(1)는, 제2 반송부(134)로부터 제1 반송부(133)로, 그리고 제1 반송부(133)로부터 불출구(18)로 분할 정제를 안내하는 안내부(132)를 구비하고 있다.
도 7의 부호 700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구성에 의하면, 제2 반송부(134)로부터 안내부(132)를 따라서 제1 반송부(133)로 안내되는 분할 정제 MD2는, 제2 속도 P2로 반송된다. 이에 반해, 제2 반송부(134) 상으로부터 안내부(132)를 따라서 제1 반송부(133)로 안내된 후의 분할 정제 MD1은, 제2 반송부(134)보다도 고속 회전하는 제1 반송부(133)에 의해 가속된다. 그 결과, 제1 반송부(133)로부터 안내부(132)를 따라서 불출구(18)로 안내되는 분할 정제 MD1은, 제2 속도 P2보다도 큰 제1 속도 P1로 반송된다. 즉, 분할 정제 MD1 및 MD2 중, 먼저 불출되는 분할 정제 MD1은, 제1 반송부(133)에 있어서, 후속의 분할 정제 MD2보다도 빠른 속도로 이동한다. 분할 정제 MD1이 분할 정제 MD2보다도 빠른 속도로 이동함으로써, 분할 정제 MD1은, 단위 시간당 분할 정제 MD2보다도 긴 거리를 이동한다. 그 때문에, 도 7의 부호 700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 정제 MD1과 분할 정제 MD2 사이의 거리가 이격된다. 따라서, 약제 불출 카세트(1)에 의하면, 먼저 불출되는 분할 정제 MD1과 후속의 분할 정제 MD2의 거리가 이격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속하는 2개의 분할 정제간의 거리가 이격될 가능성이 높아짐으로써, 복수의 분할 정제가 동시에 불출될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약제 불출 카세트(1)에 의하면, 보다 정확하게 1개씩 분할 정제를 불출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변형예)
상술한 반송부(13)에 있어서, 모터 베이스(10)에 의해 구동되는 부분은, 제1 반송부(133)가 아니라 제2 반송부(134)여도 된다. 이 경우, 제2 반송부(134)는, 모터 베이스(10)의 구동 부재(도시하지 않음)와 끼워 맞추어지는 복수의 톱니를 구비해도 된다. 이에 의해, 제2 반송부(134)는, 모터 베이스(10)로부터 부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한다. 또한, 제2 반송부(134)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 반송부(133)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2 반송부(134)를 구동시키는 것만으로, 상술한 유성 기어 기구라고 하는 간단한 구조를 사용하여, 제1 반송부(133)와 제2 반송부(134)의 회전 속도가 다르도록, 제1 반송부(133)와 제2 반송부(134)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반송부(13)에 있어서, 제1 반송부(133)와 제2 반송부(134)는, 별개로(독립적으로) 구동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반송부(133)와 제2 반송부(134)는, 각각 모터 베이스(10)의 다른 구동 부재와 끼워 맞추어지고, 이들 구동 부재가 각각 구동됨으로써, 제1 반송부(133) 및 제2 반송부(134)의 각각이 회전해도 된다. 또한, 제1 반송부(133)와 제2 반송부(134)가 별개의 구동 부재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제1 반송부(133) 및 제2 반송부(134)의 회전 속도를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어, 약제 불출 카세트(1)가 분할 정제를 불출하는 경우, 제1 반송부(133)가 제2 반송부(134)보다도 빠른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되어도 된다. 한편, 약제 불출 카세트(1)가 분할되어 있지 않은 정제를 불출하는 경우, 제1 반송부(133)는 제2 반송부(134)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되어도 된다. 또한, 제1 반송부(133)와 제2 반송부(134)가 별개의 구동 부재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예를 들어 제1 반송부(133) 및 제2 반송부(134) 중 한쪽만을 구동시키고, 다른 쪽을 정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높이 규제체·폭 규제체>
도 8도 아울러, 높이 규제체(14) 및 폭 규제체(1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의 부호 8001 및 부호 8002는, 높이 규제체(14) 및 폭 규제체(15)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8에서는, 반송 보조 기구(17)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높이 규제체(14) 및 폭 규제체(15)는, 제1 회전체(121) 및 원환상 반송부(131)에 의해 순이송된 분할 정제의 통과를 그 분할 정제의 크기에 따라서 규제하기 위해 분할 정제의 통과 경로 폭을 규정하고, 또한 통과 경로 폭을 변경하기 위해 이동 가능한 규제체이다. 높이 규제체(14) 및 폭 규제체(15)는, 원환상 반송부(131) 상에, 분할 정제가 일렬로 배열되어 불출구(18)로 반송 가능한, 분할 정제의 통과 경로 Ro를 규정한다.
높이 규제체(높이 가이드)(14)는, 통과 경로 폭으로서, 도 8의 부호 8001에 나타내는 이송 높이 W1을 규제하는 것이다. 폭 규제체(15)는, 통과 경로 폭으로서, 도 4의 부호 4002에 나타내는 이송 폭 W21 및 W22를 규제하는 것이다. 이송 높이 W1은, 높이 규제체(14)의 제1 높이 규제부(14A)의 하면과 원환상 반송부(131)의 상면의 간격이다. 환언하면, 이송 높이 W1은, 높이 규제체(14)의, 통과 경로 Ro의 표면으로부터의 거리이다. 이송 폭 W21은, 원환상 반송부(131)의 내주부로부터, 폭 규제체(15)의 제1 벽면(15S1)까지의 간격이며, 이송 폭 W22는, 가이드 부재(16)로부터, 폭 규제체(15)의 제2 벽면(15S2)까지의 간격이다.
높이 규제체(14)는, 도 8의 부호 8001 및 부호 800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높이 규제부(14A) 및 제2 높이 규제부(14B)를 구비한다. 제1 높이 규제부(14A)는, 순이송 시에, 원환상 반송부(131)에 적재된 분할 정제가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겹친 상태에서 불출구(18)로 반송될 가능성을 저감하는 부재이다. 제1 높이 규제부(14A)는, 이동 영역 Ar1에 대하여, 순이송 시의 분할 정제 이송 방향 하류측에, 또한 원환상 반송부(131)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1 높이 규제부(14A)는, 도 8의 부호 800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환상 반송부(131)의 외주부로부터 내주부에 걸쳐, 또한, 분할 정제 이송 방향을 따라서 연신되어 있다.
높이 규제체(14)는, 원환상 반송부(131)의 상면에 있어서 이송 높이 W1을 규정하기 위해, ±Z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약제 불출 카세트(1)는, 제1 높이 규제부(14A)의 이동을 제어하는 높이 규제체 이동 기구를 내장하고 있다. 높이 규제체 이동 기구는, 예를 들어 나사 부재(14C)를 구비한다. 나사 부재(14C)는, 도 8의 부호 800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 규제체(14)에 형성된 나사 수용부와 걸림 결합하여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나사 부재(14C)가 모터 베이스(10)의 구동 부재(105)에 접속됨으로써, 모터 베이스(10)로부터의 동력을 받아 나사 부재(14C)가 회전하여, 높이 규제체(14)가 ±Z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이송 높이 W1이, 투입된 분할 정제의 크기에 맞추어 조정된다. 높이 규제체 이동 기구의 구동은, 예를 들어 규제체 제어부(52)(도 11 참조)에 의해 제어된다.
제2 높이 규제부(14B)는, 제1 높이 규제부(14A)와 마찬가지로, 순이송 시에, 원환상 반송부(131)에 적재된 분할 정제가 높이 방향으로 겹친 상태에서 불출구(18)로 반송될 가능성을 저감하는 부재이다. 제2 높이 규제부(14B)는, 불출구(18)에 대하여, 순이송 시의 분할 정제 이송 방향 상류측에, 또한 원환상 반송부(131)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마련되어 있다. 즉, 제2 높이 규제부(14B)는, 높이 규제체(14)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폭 규제체(폭 가이드)(15)는, 도 4 및 도 8의 부호 800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 규제체(14)와 함께, 이동 영역 Ar1에 대하여, 순이송 시의 분할 정제 이송 방향 하류측에, 또한 원환상 반송부(131)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마련되어 있다. 폭 규제체(15)는, 도 4의 부호 400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환상 반송부(131)의 내주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1 벽면(15S1)(만곡면)과, 제1 벽면(15S1)의, 순이송 시의 분할 정제 이송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2 벽면(15S2)을 갖는다. 폭 규제체(15)가 대략 ±Y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송 폭 W21 및 W22를 조정할 수 있다. 제1 벽면(15S1)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 있어서 최소의 이송 폭 W21을 형성 가능하도록, 폭 규제체(15)와 원환상 반송부(131)의 위치 관계가 규정된다.
폭 규제체(15)는, 원환상 반송부(131)의 상면에 있어서 이송 폭 W21 및 W22를 규정하기 위해, 대략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약제 불출 카세트(1)는, 폭 규제체(15)의 이동을 제어하는 폭 규제체 이동 기구를 내장하고 있다. 폭 규제체 이동 기구는, 도 4의 부호 400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나사 부재(15A1) 및 피스톤부(15A2)를 구비한다.
피스톤부(15A2)는, 피스톤부(15A2)를 따라서 폭 규제체(15)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나사 부재(15A1)가 모터 베이스(10)의 구동 부재(106)에 접속됨으로써, 모터 베이스(10)로부터의 동력을 받아 나사 부재(15A1)가 회전한다. 피스톤부(15A2)에는, 나사 부재(15A1)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동력이 전달되고, 당해 동력에 의해 피스톤부(15A2)에 접속된 폭 규제체(15)가 이동한다. 이에 의해, 이송 폭 W21 및 W22가, 투입된 분할 정제의 크기에 맞추어 조정된다. 폭 규제체 이동 기구의 구동은, 예를 들어 규제체 제어부(52)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폭 규제체(15)는, 도 8의 부호 800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높이 규제부(14B)가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2 높이 규제부(14B)의 일부를 수용하는 개구부(15B)를 구비한다. 개구부(15B)가 마련됨으로써, 이송 폭 W22의 변동에 상관없이, 통과 경로 Ro 상에 제2 높이 규제부(14B)를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2개의 분할 정제가 겹쳐서 반송된 경우라도, 제2 높이 규제부(14B)에 의해, 상측의 분할 정제를 확실하게 낙하시킬 수 있다.
<가이드 부재>
도 9도 아울러, 가이드 부재(16)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의 부호 9001은, 가이드 부재(16)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부호 9002는, 제1 변위 부재(16A) 및 제2 변위 부재(16B)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9에서는, 반송 보조 기구(17)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불출 카세트(1)는, 불출구(18)의 근방에, 불출구(18)에 접속된, 원환상 반송부(131)에 의해 형성되는 분할 정제의 통과 경로 Ro의 일부를 규정하고, 또한, 불출구(18)로 분할 정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16)를 구비한다. 가이드 부재(16)는, 도 4의 부호 400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규제체(15)의 제2 벽면(15S2)과 대향하는 위치에, 또한, 안내부(132)의, 불출구(18)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서(안내부(132)보다 상류측에 있어서), 안내부(132)와 인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16)는, 제2 벽면(15S2)과 함께, 통과 경로 Ro의 일부를 규정한다. 즉, 가이드 부재(16)는, 안내부(132)와 함께, 통과 경로 Ro를 규정하는 측벽의 일부를 구성한다.
가이드 부재(16)는, 제1 변위 부재(16A), 제2 변위 부재(16B), 및 지지 부재(16D)를 구비한다. 지지 부재(16D)는, 안내부(132)로부터 상류측으로 연신되어 있고, 제1 변위 부재(16A) 및 제2 변위 부재(16B)를 지지 부재(16D)의 하방으로 현수하도록 지지한다. 제1 변위 부재(16A) 및 제2 변위 부재(16B)는, 지지 부재(16D)로부터 현수되어 있음으로써, 원환상 반송부(131)에 의해 반송되는 분할 정제가 접촉함으로써 변위함과 함께, 분할 정제에 대하여 그 변위를 제거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미친다. 이에 의해, 제1 변위 부재(16A) 및 제2 변위 부재(16B)는, 분할 정제의 방향 또는 위치를 조정하여 소정 폭(이송 폭 W22)으로 규정된 하류측(약제 가이드 영역)으로의 분할 정제의 반송을 보조한다.
제1 변위 부재(16A) 및 제2 변위 부재(16B)의 변위(요동)에 의해, 분할 정제에 부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분할 정제가 파손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힘이 분할 정제에 부여됨으로써, 분할 정제의 방향(자세)을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안내부(132)에 의해 분할 정제의 반송이 방해되지 않도록, 분할 정제의 위치도 교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안내부(132)에 있어서의 분할 정제의 막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변위 부재(16A) 및 제2 변위 부재(16B)는, 안내부(132)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순이송되어 온 분할 정제를 안내부(132)에 접촉시키기 전에, 제1 변위 부재(16A) 및 제2 변위 부재(16B)에 접촉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안내부(132)로의 접촉에 의해 분할 정제가 파손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변위 부재(16A) 및 제2 변위 부재(16B)는, 분할 정제가 안내부(132)의 일단(상류측의 일단)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분할 정제의 방향 또는 위치를 변화시킨다. 이와 같이 방향 또는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안내부(132)의 일단으로의 접촉에 의해 분할 정제가 파손될 가능성을 저감하면서, 당해 일단에 있어서의 분할 정제의 막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변위 부재(16A) 및 제2 변위 부재(16B)라고 하는 2개의 변위 부재를 마련하고 있음으로써, 단계적으로 분할 정제의 방향 또는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분할 정제의 막힘 발생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반송 보조 기구>
도 3 내지 도 5에 더하여, 도 10을 사용하여, 반송 보조 기구(17)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회전판(17A)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약제 불출 카세트(1)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0의 부호 10001은, 먼저 불출되는 분할 정제 MD1과, 후속의 분할 정제 MD2가 근접한 상태를 나타내고, 부호 10002는, 먼저 불출되는 분할 정제 MD1과, 후속의 분할 정제 MD2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다.
반송 보조 기구(17)는, 제1 반송부(133)에 적재된 분할 정제에 작용함으로써, 불출구(18)로 불출되는 분할 정제의 반송 속도를 높이는 기구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불출 카세트(1)는, 반송 보조 기구(17)의 일 구체예로서, 회전판(17A)을 구비한다.
회전판(17A)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반송부(133)의 적재면(133A) 및 제2 반송부(134)의 적재면(134A)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Z축 방향)으로 연신되는 회전축(171)을 갖고, 회전축(171)을 중심으로 제1 반송부(133)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회전판(17A)은, 제1 반송부(133)의, 불출구(18)와 인접하는 위치에 있어서, 통과 경로 Ro를 규정하는 측벽으로부터 일부가 돌출되어 있다.
일례로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판(17A)의 일부는, 안내부(132)의 일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회전판(17A)의, 안내부(132)로부터 돌출된 부분은, 제1 반송부(133)의 상방(+Z축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단, 당해 부분 모두가 제1 반송부(133)의 상방에 반드시 위치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당해 부분의 위치는, 제1 반송부(133) 상의 분할 정제와 접촉함으로써 분할 정제의 반송 속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당해 분할 정제에 후속하는 제2 반송부(134) 상의 분할 정제와 이격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회전판(17A) 중, 적어도 안내부(132)로부터 가장 돌출되는 부분이, 제1 반송부(133)의 상방(+Z축 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회전판(17A)의 일부가, 상기 불출구(18)와 인접하는 위치에 있어서, 안내부(132)의 일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간이한 구성에 의해, 불출구(18)로 불출되는 분할 정제의 반송 속도를 높일 수 있다.
회전판(17A)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판(17A)의 원주 방향을 따른 위치이며, 또한 제1 반송부(133)를 회전시켰을 때 제1 자석(133D)과 대향하는 위치에, 자극이 다른 복수의 제2 자석(172)이 교호로 마련되어 있다. 「자극이 다르다」란, 복수의 제2 자석(172)에 N극과 S극이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제2 자석(172)으로서, N극과 S극이 교호로 회전판(17A)에 마련되어 있다. 제1 반송부(133)와 회전판(17A)의 위치 관계는, 제2 자석(172)이 제1 반송부(133)의 제1 자석(133D)과 대향하도록 규정된다.
제1 반송부(133)가 회전하면, 제2 자석(172)은 제1 자석(133D)의 자력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 이에 의해, 회전판(17A)은, 제1 반송부(133)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축(171) 주위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제1 반송부(133)의 회전에 연동시켜, 회전판(17A)을 회전시킬 수 있다. 즉, 간이한 구성에 의해, 회전판(17A)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판(17A)은, 제1 반송부(133)보다도 작은 직경을 갖는다. 이에 의해, 회전판(17A)은, 제1 반송부(133)가 회전하였을 때, 제1 반송부(133)보다도 빠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1 자석(133D) 및 제2 자석(172)을 사용하여 회전판(17A)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면 된다. 즉, 제1 자석(133D) 및 제2 자석(172)이 각각 자극이 다른 복수의 자석에 의해 구성되고, 자극이 다른 자석이 교호로 반드시 마련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133D)이 제1 반송부(133)의 일부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석(172)이 회전판(17A)의 일부에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제1 자석(133D) 및 제2 자석(172) 중 한쪽은, 철판 등의 자성체여도 된다.
도 10의 부호 1000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반송부(133)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분할 정제 MD1은, 회전판(17A)에 접촉한다. 분할 정제 MD1은, 당해 분할 정제 MD1이 회전판(17A)에 접촉한 위치에 있어서의 회전판(17A)의 접선 방향이며, 또한 불출구(18) 측의 방향을 향하는 힘을 회전판(17A)으로부터 받는다. 이때의 회전판(17A)에 있어서의 당해 접선 방향을 따른 속도를 「주속 P3」이라 칭한다. 회전판(17A)은, 제1 반송부(133)보다도 빠른 속도로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주속 P3은 제1 속도 P1보다도 크다. 주속 P3에 있어서의, 통과 경로 Ro가 연신되는 방향의 속도 성분이, 제1 속도 P1에 있어서의, 통과 경로 Ro가 연신되는 방향의 속도 성분보다도 크면 된다.
도 10의 부호 1000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반송부(133)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분할 정제 MD1과 회전판(17A)이 접촉하면, 회전판(17A)의 영향에 의해 분할 정제 MD1은 가속된다. 이에 의해, 분할 정제 MD1은, 제1 속도 P1보다도 큰 주속 P3에 가까운 속도 P4로 이동하여, 불출구(18)로부터 불출된다. 이때, 분할 정제 MD1이 이동하는 속도 P4는, 제1 반송부(133)의 적재면 A 상에 있어서 반송되고 있는 후속의 분할 정제 MD2의 이동 속도인 제1 속도 P1보다도 빠르다. 따라서, 먼저 불출되는 분할 정제 MD1은, 후속의 분할 정제 MD2보다도 긴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도 10의 부호 1000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판(17A)에 접촉한 후의 분할 정제 MD1과 회전판(17A)에 접촉하기 전의 분할 정제 MD2의 거리는 이격된다.
이상과 같이, 회전판(17A)은, 불출구(18)로부터 불출되는 분할 정제 MD1의 속도를 보다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당해 분할 정제 MD1과 후속의 분할 정제 MD2의 거리를 이격시킬 가능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1정씩의 정확한 불출이 가능해진다. 즉, 안내부(132)에 마련된 회전판(17A)의 위치까지 반송된 약제가 회전판(17A)과 접촉함으로써, 당해 약제의 불출구(18)의 방향으로의 반송 속도가 높아진 결과, 1정씩의 정확한 불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5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판(17A)의 측면(분할 정제와 접촉하는 측면)에는, 회전축(171)과 대략 평행인 방향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전판(17A)과 분할 정제 사이의 마찰력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회전판(17A)의 회전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할 정제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의 부호 1000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 정제의 형상 및 연속하는 2개의 분할 정제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는, 제1 반송부(133)에 복수의 분할 정제가 적재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하는 분할 정제 MD1의 절단면이 폭 규제체(15)와 대향하고, 후속의 분할 정제 MD2의 절단면이 가이드 부재(16) 및 안내부(132)와 대향하고 있는 상태를 생각해 보자. 이 상태에 있어서, 도 7의 부호 700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면 이외의 표면에 있어서 분할 정제 MD1 및 MD2가 서로 접촉 또는 근접하고 있는 경우, 분할 정제 MD2가 제1 반송부(133)에 적재되기 전에, 분할 정제 MD1이 제1 반송부(133)에 적재된다. 그 때문에, 도 7의 부호 700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 정제 MD1이 회전판(17A)에 접촉하지 않더라도, 분할 정제 MD1과 분할 정제 MD2 사이를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하는 분할 정제 MD1의 절단면이 가이드 부재(16) 및 안내부(132)와 대향하고, 후속의 분할 정제 MD2의 절단면이 폭 규제체(15)와 대향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이 상태에 있어서, 도 10의 부호 1000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면 이외의 표면에 있어서 분할 정제 MD1 및 MD2가 서로 접촉 또는 근접하고 있는 경우, 분할 정제 MD1이 제1 반송부(133)에 적재된 직후에, 분할 정제 MD2도 제1 반송부(133)에 적재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분할 정제 MD1 및 MD2 사이를 충분히 이격할 수 없어, 분할 정제 MD1 및 MD2가 동시에 불출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반송부(133)의 상방에 있어서 회전판(17A)의 일부가 안내부(132)로부터 돌출됨으로써, 도 10의 부호 1000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행하는 분할 정제 MD1의 반송 속도를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분할 정제 MD1과 함께 후속의 분할 정제 MD2가 제1 반송부(133)에 적재된 경우라도, 분할 정제 MD1과 분할 정제 MD2 사이를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제1 반송부(133)에 복수의 분할 정제가 적재된 경우라도, 먼저 반송되고 있는 분할 정제만 반송 속도를 높임으로써, 당해 분할 정제만을 불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하게, 분할 정제를 1개씩 불출구(18)로 불출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종래의 약제 불출 카세트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분할 정제가 복수 동시에 불출될 가능성이 있었다. 특히, 도 2의 부호 200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당의정을 분할한 분할 정제는, 절단면에 있어서 상면부 및 저면부의 중앙 부분이 평탄하지 않기 때문에, 평면 상에 적재한 경우에 안정되지 않고 구르기 쉽다. 또한, 부호 2001 또는 부호 200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중앙에 볼록함이 있는 형상의 정제를 분할한 분할 정제에 대해서도, 절단면이 원형에 가까운 형상이 되기 때문에, 평면 상에 적재한 경우에 안정되지 않고 구르기 쉽다. 그 때문에, 1개의 분할 정제가 불출될 때, 후속의 분할 정제도 불출구로부터 굴러 떨어질 가능성이 있었다. 단, 부호 2001에 나타내는 정제에 대해서는, 대략 평탄하게 되어 있는 중앙 부분의 영역이 작은 정제를 분할한 분할 정제인 경우에,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부호 2003, 부호 2004, 및 부호 200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중앙부에 대하여 단부가 가늘게 되어 있는 정제가 분할된 분할 정제는, 연속하여 불출될 때, 선행하는 분할 정제와 후속의 분할 정제가 보다 가까이에 위치할 가능성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7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분할 정제에 대하여, 분할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단부끼리가 엇갈리도록 위치하면, 선행하는 분할 정제와 후속의 분할 정제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이격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종래의 약제 불출 카세트에 있어서는, 이들 분할 정제 사이의 거리를 이격하기 위한 기구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복수의 분할 정제가 동시에 불출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부호 2005 또는 부호 200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다각형 정제를 분할한 분할 정제를 불출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불출 카세트(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반송부(133) 및 제2 반송부(134)를 갖는 반송부(13)와, 회전판(17A)을 구비한다. 제1 반송부(133)는 제2 반송부(134)보다도 빠른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먼저 반송되어, 제1 반송부(133)에 적재된 분할 정제와, 그 후에 반송되어, 제2 반송부(134)에 적재되어 있는 분할 정제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판(17A)은, 제1 반송부(133)보다도 빠른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판(17A)에 접촉한 분할 정제는, 제1 반송부(133) 상에서 반송되었을 때의 반송 속도보다도 더 가속된다. 그 때문에, 제1 반송부(133)에 동시에 2개의 분할 정제가 적재되었다고 해도, 이들 분할 정제간의 거리를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약제 불출 카세트(1)는, 반송되는 분할 정제간의 거리를 이격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구르기 쉬운 분할 정제, 또는, 서로 접촉 혹은 근접하기 쉬운 분할 정제를 불출하는 경우라도, 분할 정제간의 거리를 충분히 이격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복수의 분할 정제가 동시에 불출될 가능성을 저감하여, 보다 정확하게, 분할 정제를 1개씩 불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예)
회전판(17A)은, 약제 불출 카세트(1)에 복수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회전판(17A)은, 통과 경로 Ro를 따라서 2개 이상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회전판(17A)은, Z축 방향으로 겹친 상태에서 2개 이상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회전판(17A)은, 통과 경로 Ro를 규정하는 측벽의 일부에 마련되어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폭 규제체(15)의 제2 제2 벽면(15S2)에 있어서, 안내부(132)에 대향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회전판(17A)은, 통과 경로 Ro를 규정하는 적어도 1개의 측벽으로부터 일부가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반송 보조 기구(17)는 분할 정제에 작용함으로써, 불출구(18)로 불출되는 분할 정제의 반송 속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예를 들어, 반송 보조 기구(17)는, 제1 반송부(133)에 적재된 분할 정제에 대하여 불출구(18)를 향하는 방향의 바람을 송풍 가능한 송풍부여도 된다.
또한, 회전판(17A)은, 제1 반송부(133)와는 별도로 구동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회전판(17A)은, 모터 베이스(10)의, 제1 반송부(133)를 구동하는 구동 부재와는 다른 구동 부재에 접속된다. 또한, 이 경우, 제1 반송부(133)는 제1 자석(133D)을, 회전판(17A)은 제2 자석(172)을 각각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회전판(17A)은, 제1 반송부(133)와는 별도로 구동할 수 있음으로써, 예를 들어 정제의 종류에 따라서, 회전판(17A)의 회전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복수의 분할 정제가 동시에 낙하하기 쉬운 정제에 대해서는 회전판(17A)의 회전 속도를 규정의 속도보다도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파손되기 쉬운 정제에 대해서는 회전판(17A)의 회전 속도를 규정의 속도보다도 느리게 할 수 있다. 규정의 속도는, 예를 들어 제1 자석(133D) 및 제2 자석(172)에 의해 제1 반송부(133)에 연동하여 회전할 때의 회전판(17A)의 회전 속도여도 된다.
〔모터 베이스(제어부·기억부)의 구성〕
도 11에 기초하여, 모터 베이스(10)의 제어부(50) 및 기억부(6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약제 불출 카세트(1) 및 모터 베이스(1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모터 베이스(1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구성 외에, 제어부(50) 및 기억부(60)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50)는, 모터 베이스(10) 및 약제 불출 카세트(1)의 각 부를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50)의 기능은, 기억부(60)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되어도 된다. 기억부(60)는, 제어부(50)가 실행하는 각종 프로그램, 및 당해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50)는, 주로, 회전체 제어부(51), 규제체 제어부(52), 및 계시부(53)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체 제어부(51)는, 구동 부재(103)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제1 회전 기구를 구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1 회전체(121)의 회전을 제어한다. 또한, 회전체 제어부(51)는, 구동 부재(104)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제2 회전 기구를 구동시킨다. 이에 의해, 원환상 반송부(131)의 제1 반송부(133)의 회전을 제어한다. 회전체 제어부(51)는, 예를 들어 제1 회전체(121) 및 원환상 반송부(131)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회전체 제어부(51)는, 제1 회전체(121) 및 원환상 반송부(131)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회전체 제어부(51)는, 제1 회전체(121)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분할 정제의 불출 처리 중, 상시 순이송 방향으로, 또한 일정 속도로 회전시킨다. 한편, 원환상 반송부(131)에 대해서는, 순이송 동작과 역이송 동작을 전환한다. 또한, 제1 반송부(133)의, 순이송 시의 회전 속도, 및 역이송 시의 회전 속도는, 개별로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순이송 시의 회전 속도 및 역이송 시의 회전 속도는, 각각 복수 단계(예: 7단계)로 설정 가능하다. 또한, 순이송 시의 회전 속도는, 분할 정제의 크기(분할 정제의 직경)에 따라서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순이송 시의 회전 속도는, 분할 정제의 크기가 커질수록 커지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회전체 제어부(51)는, 카운트 센서(101)가 분할 정제를 소정 시간(제1 소정 시간) 검출하지 않은 경우, 순이송 동작을 일시적으로 역이송 동작으로 전환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2 반송부(134)는, 제1 거리분 역이송되어도 된다. 즉, 예를 들어 제2 반송부(134)는, 통과 경로 Ro 상의 분할 정제를 제1 거리분 역이송시켜도 된다. 이때의 전환 동작을, 제1 전환 동작(역전 동작 1)이라 칭한다.
제1 거리는, 제1 변위 부재(16A)로부터 제2 변위 부재(16B)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이다. 회전체 제어부(51)는, 예를 들어 제1 반송부(133)를 통해 제2 반송부(134)를, 회전축의 주위를 약 15° 회전시킴으로써, 제1 거리분의 역이송 동작을 실현한다. 또한, 제1 소정 시간으로서는, 순이송 시의 제1 반송부(133)의 회전 속도가 가장 저속인 경우에, 제1 변위 부재(16A) 부근에 존재하는 분할 정제가 불출구(18)로부터 불출되는 데 충분한 시간이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제1 소정 시간의 계시는, 예를 들어 원환상 반송부(131)의 순이송 동작(정전 동작) 개시 시, 또는, 카운트 센서(101)가 1개 전에 불출된 분할 정제를 검출하였을 때 개시되어도 된다.
또한, 회전체 제어부(51)는, 카운트 센서(101)가 분할 정제를 또한 소정 시간(제2 소정 시간) 검출하지 않은 경우, 순이송 동작을 일시적으로 역이송 동작으로 전환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2 반송부(134)는, 제1 거리보다도 긴 제2 거리분 역이송되어도 된다. 즉, 예를 들어 제2 반송부(134)는, 통과 경로 Ro 상의 분할 정제를 제2 거리분 역이송시켜도 된다. 이때의 전환 동작을, 제2 전환 동작(역전 동작 2)이라 칭한다.
회전체 제어부(51)가 제1 전환 동작 및 제2 전환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안내부(132)에 기인한 분할 정제의 막힘이 발생한 경우에, 제1 변위 부재(16A) 및 제2 변위 부재(16B)를 사용하여, 분할 정제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당해 분할 정제의 막힘이 해소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회전체 제어부(51)는, 카운트 센서(101)가 분할 정제를 제1 소정 시간 내에 검출한 경우도, 순이송 동작을 일시적으로 역이송 동작으로 전환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2 반송부(134)는, 제3 거리분 역이송되어도 된다. 즉, 예를 들어 제2 반송부(134)는, 통과 경로 Ro 상의 분할 정제를 제3 거리분 역이송시켜도 된다. 이때의 전환 동작을, 제3 전환 동작(역전 동작 3)이라 칭한다.
회전체 제어부(51)는, 예를 들어 카운트 센서(101)로부터 분할 정제를 카운트한 취지의 검출 결과를 취득하면, 제3 전환 동작을 실행한다. 이에 의해, 원환상 반송부(131)는, 일시적으로 역이송으로 되기 때문에, 다음 불출 대상인 분할 정제가, 불출된 분할 정제와 함께, 불출구(18)로부터 낙하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카운트 오류의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3 거리는, 실험 등을 거쳐, 상술한 카운트 오류가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거리로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체 제어부(51)는, 예를 들어 제1 반송부(133)를 통해 제2 반송부(134)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약 5° 회전시킴으로써, 제3 거리분의 역이송 동작을 실현한다. 단, 회전체 제어부(51)는, 제3 전환 동작을 실행하지 않고, 순이송 동작하고 있는 원환상 반송부(131)의 회전을 정지시켜도 된다.
또한, 제3 전환 동작을 행할지 여부는, 약제의 종류마다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3 전환 동작은, 카운트 센서(101)가 불출된 분할 정제를 카운트할 때마다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불출된 분할 정제를 복수회 카운트할 때마다(복수의 분할 정제가 불출될 때마다)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회전체 제어부(51)는, 제1 반송부(133), 제2 반송부(134) 및 회전판(17A)이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한 경우, 제1 반송부(133), 제2 반송부(134) 및 회전판(17A)의 각각의 구동을 제어해도 된다.
규제체 제어부(52)는, 구동 부재(105)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높이 규제체 이동 기구를 구동시킨다. 이에 의해, 높이 규제체(14)의 ±Z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어한다. 또한, 규제체 제어부(52)는, 구동 부재(106)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폭 규제체 이동 기구를 구동시킨다. 이에 의해, 폭 규제체(15)의, 피스톤부(15A2)가 연신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어한다. 규제체 제어부(52)는, 분할 정제의 불출 처리의 전처리로서, 이송 높이 W1, 이송 폭 W21 및 W22를 조정할 때, 높이 규제체(14) 및 폭 규제체(15)의 이동을 제어한다. 또한, 규제체 제어부(52)는, 높이 규제체(14) 및 폭 규제체(15)의 이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계시부(53)는, 제1 소정 시간 또는 제2 소정 시간을 계측해도 된다. 계시부(53)는, 예를 들어 카운트 센서(101)가 분할 정제를 검출하고 나서의 시간을 계측한다. 또한, 계시부(53)는, 제1 소정 시간, 또는 제2 소정 시간을 계측한 경우에, 이들 시간이 경과한 것을 회전체 제어부(51)에 통지해도 된다.
〔약제 불출 카세트에 있어서의 동작〕
다음으로, 도 12에 기초하여, 약제 불출 카세트(1)에 있어서의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약제 불출 카세트(1)에 있어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반송부(133)의 회전 속도는, 단계 1(최저속) 내지 단계 7(최고속)의 7단계로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분할 정제가 제1 회전체(121)(내륜)에 투입된 후, 분할 정제의 불출 처리가 개시되면, 규제체 제어부(52)는, 높이 규제체(14) 및 폭 규제체(15)를 제어함으로써, 이송 높이 W1과 이송 폭 W21 및 W22를 조정한다. 그 후, 회전체 제어부(51)는, 제1 회전체(121)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회전체(121)로부터 원환상 반송부(131)(외륜)로 분할 정제를 갈아타게 하는, 분할 정제의 끌어올림 동작을 개시한다(S1).
그 후, 회전체 제어부(51)는, 원환상 반송부(131)를 순이송시킨다. 회전 속도는, 투입된 분할 정제의 크기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단계 1 내지 단계 3 중 어느 것으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체 제어부(51)는, 모터 베이스(10)의 구동 부재(104)를 구동시킴으로써, 제1 반송부(133)를 회전(정전)시킨다(S2). 제1 반송부(133)가 회전함으로써, 유성 기어(134B 내지 134D)가 회전하고, 제2 반송부(134)가 제1 반송부(133)보다도 느린 속도로 회전(정전)한다(S3). 또한, 제1 반송부(133)가 회전함으로써, 제1 자석(133D)과 제2 자석(172)이 작용하여, 회전판(17A)이 회전(정전)한다(S4).
수용부(12)에 있어서 끌어올려진 분할 정제는, 제1 회전체(121)로부터 제2 반송부(134)로 갈아탄다. 분할 정제가 제2 반송부(134)의 적재면(134A) 상으로 갈아타면, 제2 반송부(134)의 회전에 의해 분할 정제가 통과 경로 Ro를 따라서 반송된다. 분할 정제가 안내부(132)에 도달하면, 당해 분할 정제는, 안내부(132)를 따라서 이동하여, 제2 속도 P2로 제2 반송부(134)로부터 제1 반송부(133)로 갈아탄다. 그 후, 제1 반송부(133)로 갈아탄 분할 정제는, 제1 속도 P1로 반송된다. 이에 의해, 제1 반송부(133) 상에서 반송되는 분할 정제와 제2 반송부(134) 상의 분할 정제의 거리가 이격된다. 그 후, 제1 반송부(133) 상에서 반송되는 분할 정제는, 불출구(18) 부근에 도달한다. 불출구(18) 부근에 도달한 분할 정제는, 회전판(17A)에 접촉한다. 회전판(17A)의 회전의 작용에 의해, 당해 분할 정제는 가속되어, 제1 속도 P1보다도 큰 주속 P3에 가까운 속도로 이동하여, 불출구(18)로부터 불출된다. 이에 의해, 회전판(17A)에 접촉한 분할 정제와 후속의 분할 정제 사이의 거리가 보다 크게 이격된 상태에서 불출이 행해진다. 또한, 연속하여 반송되는 2개의 분할 정제가 충분히 이격되지 않고, 제1 반송부(133)로 반송된 경우라도, 회전판(17A)의 회전의 작용에 의해, 당해 2개의 분할 정제를 이격시킬 수 있다.
회전체 제어부(51)는, 카운트 센서(101)가 제1 반송부(133)로부터 불출구(18)로 낙하한 분할 정제를 검출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5). 회전체 제어부(51)는, 카운트 센서(101)가 분할 정제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취득한 경우, 불출구(18)로 낙하한 분할 정제를 검출하였다고 판정한다. 회전체 제어부(51)는, 불출구(18)로 낙하한 분할 정제를 검출하였다고 판정한 경우(S5에서 "예"), 제3 전환 동작을 실행한다. 즉, 회전체 제어부(51)는, 제2 반송부(134)를 제3 거리분(예: 5°분) 역이송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체 제어부(51)는, 구동 부재(104)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제1 반송부(133)의 회전 방향을 역전시킨다(S6). 제1 반송부(133)의 회전 방향이 역전됨으로써, 제2 반송부(134)의 회전 방향도 역전된다(S7). 이때, 회전판(17A)의 회전 방향도 역전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역이송 시의 회전 속도는, 일률적으로 단계 7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회전체 제어부(5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전환 동작을 실행하지 않고, 제1 반송부(133)의 회전을 정지시켜도 된다. S7 후, 회전체 제어부(51)는, 지정된 수의 분할 정제를 불출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고(S8), 불출하지 않은 경우(S8에서 "아니오"), 다시 S2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회전체 제어부(51)는, 카운트 센서(101)가 불출구(18)로 낙하한 분할 정제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S5에서 "아니오"), 카운트 센서(101)가 분할 정제를 검출할 때까지, S4의 순이송 동작(정전 동작)을 계속한다. S5에서 "아니오"의 경우, 회전체 제어부(51)는, 카운트 센서(101)가 분할 정제를 제1 소정 시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1 전환 동작을 실행해도 된다. 또한, 카운트 센서(101)가 분할 정제를 또한 제2 소정 시간 검출하지 않은 경우, 제2 전환 동작을 실행해도 된다.
회전체 제어부(51)는, 지정된 수의 분할 정제를 불출할 때까지, S2 내지 S8의 처리를 반복한다. 약제 불출 카세트(1)는, 지정된 수의 분할 정제를 불출하면(S8에서 "예"), 불출 동작 처리를 종료한다.
〔변형예〕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약제 불출 카세트(1)에 의해 불출되는 분할 정제는, OD(Orally Disitegration)정을 분할한 정제여도 된다. OD정은, 분할되면 부서져 미세한 조각을 발생시킨다. 그 때문에, 약제 불출 카세트(1)를 사용하여 OD정의 분할 정제의 불출을 행하는 경우, 당해 분할 정제를 체로 걸러, 조각을 제거해 두어도 된다.
불출되는 분할 정제가 OD정을 분할한 것인 경우, 분할에 의해 발생한 조각이 분할 정제로서 판독되어, 카운트 오류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분할된 OD정을 미리 체로 거름으로써, 조각을 제거한 후 약제 불출 카세트(1)의 수용부(12)에 투입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약제 불출 카세트(1)는, 조각의 영향을 저감하여 불출을 행할 수 있다.
OD정의 분할 정제를 체로 거른 경우, 조각이 제거됨으로써 분할 정제 전체의 중량은 감소되는, 즉 결손이 발생하지만, 당해 결손은, OD정을 분할하는 경우의 결손보다도 적다. 그 때문에, OD정의 분할 정제를 체로 걸렀다고 해도, 중량에 대한 영향은 비교적 작다. 즉, 조각을 분할 정제로서 카운트 오류를 할 가능성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약제 불출 카세트(1)에 의한 OD정의 분할 정제의 불출을 위해, 당해 분할 정제를 체로 거르는 것은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할하고, 체로 거른 OD정을, 약제 불출 카세트(1)를 사용하여 불출함으로써, OD정의 분할 정제를, 보다 정확하게 1개씩 불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사용하여 OD정의 분할 정제를 불출하는 경우, 약제 불출 카세트(1)는, 불출 가능한 분할 정제 중, 95% 이상의 분할 정제를 정확하게 1개씩 불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약제 불출 카세트(1)에 의해 불출되는 약제는, 분할 정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당해 약제는, 분할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정제(정수 정)여도 된다. 이 경우, 약제 불출 카세트(1)는, 가이드 부재(16)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도 2의 부호 200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당의정 등, 분할되어 있지 않은 정제여도, 구르기 쉬워 카운트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정제는 존재한다. 약제 불출 카세트(1)는, 이와 같은 구르기 쉬운 정수 정에 대해서도, 선행하는 정수 정과 후속의 정수 정의 거리를 이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약제 불출 카세트(1)는, 이와 같은 정수 정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1개씩 불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2의 부호 2004 및 부호 2006과 같은 정수 정에 대해서는, 선행하는 정수 정과 후속의 정수 정의 접촉 또는 근접 상태에 따라서는, 당해 2개의 정수 정이 동시에 불출될 우려도 있다. 또한, 정수 정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도, 당해 2개의 정수 정이 동시에 불출될 우려도 있다. 약제 불출 카세트(1)는, 반송부(13) 및 반송 보조 기구(17)를 구비함으로써, 선행하는 정수 정과 후속의 정수 정의 어떤 접촉 또는 근접 상태라도, 또한, 정수 정이 비교적 작은 경우라도, 당해 2개의 정수 정이 동시에 불출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약제 불출 카세트(1)는, 제1 반송부(133) 및 제2 반송부(134)와, 반송 보조 기구(17) 중 어느 한쪽만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약제 불출 카세트(1)는, 반송 보조 기구(17)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라도, 약제 불출 카세트(1)는, 제1 반송부(133) 및 제2 반송부(134)의 속도차에 의한 제1 속도 P1과 제2 속도 P2의 차에 의해, 연속하는 2개의 분할 정제를 이격시킬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당해 구성을 채용한 경우, 제1 반송부(133)는, 회전판(17A)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자석(133D)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단, 약제 불출 카세트(1)는, 제1 반송부(133) 및 제2 반송부(134)와, 반송 보조 기구(17)의 양쪽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제1 반송부(133)에 동시에 복수의 분할 정제가 적재되었다고 해도, 회전판(17A)에 의해, 선행하는 분할 정제가 가속된다. 그 때문에, 약제 불출 카세트(1)는, 각 분할 정제간의 거리를 이격시켜, 보다 정확하게 분할 정제를 1개씩 불출할 수 있다.
또한, 약제 불출 카세트(1)가 제1 반송부(133) 및 제2 반송부(134)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반송부(13)의 원환상 반송부(131)는, 분할 정제의 순이송 동작 또는 역이송 동작을 실현하는 1개의 원환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수용부(12)로부터 원환상 반송부(131)로 분할 정제가 갈아타고, 원환상 반송부(131)의 회전에 의해 통과 경로 Ro를 따라서 반송된다. 또한, 당해 분할 정제는, 안내부(132)에 의해 안내되어, 회전하는 회전판(17A)에 접촉함으로써 가속되어, 불출구(18)로부터 불출된다.
단, 약제 불출 카세트(1)는, 제1 반송부(133) 및 제2 반송부(134)와, 반송 보조 기구(17)의 양쪽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회전판(17A)에 의한 가속뿐만 아니라, 제1 반송부(133)와 제2 반송부(134)의 속도차에 의해 각 분할 정제간의 거리를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약제 불출 카세트(1)는, 보다 정확하게 분할 정제를 1개씩 불출할 수 있다.
정리하면, 약제 불출 카세트(1)는, 제1 반송부(133) 및 제2 반송부(134)와, 반송 보조 기구(17) 중 어느 한쪽만을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이 경우, 약제 불출 카세트(1)는, 다양한 형상의 약제에 대하여, 불출구(18)로 불출되는 약제를, 당해 약제에 후속하는 약제로부터 이격시킬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약제를 1개씩 불출구(18)로 불출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단, 약제 불출 카세트(1)는, 제1 반송부(133) 및 제2 반송부(134)와, 반송 보조 기구(17)의 양쪽을 구비하는 경우, 불출구(18)로 불출되는 약제를, 당해 약제에 후속하는 약제로부터 이격시킬 가능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이 경우, 약제 불출 카세트(1)는, 보다 정확하게 약제를 1개씩 불출구(18)로 불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1개의 약제가 불출구(18)로부터 낙하한 경우, 회전체 제어부(51)는, 원환상 반송부(131)를 역전 또는 정지시킨다. 그러나, 연속하는 2개의 약제가 접근 또는 근접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약제의 형상에 따라서는, 이 역전 또는 정지 전의 순이송 방향의 회전에 의해, 불출구(18)로부터 낙하한 약제에 후속하는 약제가 타성으로 순이송 방향으로 굴러가 버릴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선행하는 약제의 낙하 직후에 후속의 약제가 낙하하여, 카운트 센서(101)가 2개의 약제를 1개의 약제로서 카운트 오류를 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약제 불출 카세트(1)에 의하면, 선행하는 약제와 후속하는 약제를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타성에 의해 후속의 약제가 다소 굴렀다고 해도, 후속의 약제를 원환상 반송부(131) 상에 잡아 두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후속의 약제의 구름에 의해 카운트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약제 불출 카세트(1)는, 이상과 같이, 비교적 간이한 구성에 의해 약제의 정확한 불출을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의 목표 12 「만드는 책임 사용하는 책임」 등의 달성에 공헌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에 의한 실현예〕
약제 불출 카세트(1)(이하, 「장치」라 칭함)의 기능은, 당해 장치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며, 당해 장치의 각 제어 블록(특히 제어부(50)에 포함되는 각 부)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치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하드웨어로서, 적어도 1개의 제어 장치(예를 들어 프로세서)와 적어도 1개의 기억 장치(예를 들어 메모리)를 갖는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어 장치와 기억 장치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각 기능이 실현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일시적이 아니라, 컴퓨터 판독 가능한, 1개 또는 복수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어도 된다. 이 기록 매체는, 상기 장치가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후자의 경우, 상기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의 임의의 전송 매체를 통해 상기 장치에 공급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제어 블록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논리 회로에 의해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각 제어 블록으로서 기능하는 논리 회로가 형성된 집적 회로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이 밖에도, 예를 들어 양자 컴퓨터에 의해 상기 각 제어 블록의 기능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기 사항〕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약제 불출 카세트(약제 불출 장치)
12: 수용부
13: 반송부
15: 폭 규제체(측벽)
16: 가이드부(측벽)
17: 반송 보조 기구
17A: 회전판
18: 불출구
122: 칸막이벽(수용부의 측벽)
122A: 복수의 톱니
131: 원환상 반송부
132: 안내부(측벽)
133: 제1 반송부
133A: 적재면
133B: 제1 톱니
133C: 제2 톱니
133D: 제1 자석
134: 제2 반송부
134A: 적재면
134B 내지 134D: 유성 기어
171: 회전축
172: 제2 자석
P1: 제1 속도
P2: 제2 속도
P3: 주속
Ro: 통과 경로(반송 경로)

Claims (12)

  1. 투입된 약제를 불출구까지 반송함으로써, 상기 불출구로부터 상기 약제를 불출하는 약제 불출 장치이며,
    상기 약제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원환상의 부분을 갖고, 상기 약제를 상기 불출구로 반송하는 반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부는,
    상기 불출구에 인접하고, 상기 약제를 적재한 상태에서, 상기 약제를 반송하는 제1 반송부와,
    상기 제1 반송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약제를 적재한 상태에서, 상기 약제를 반송하는 제2 반송부와,
    상기 제2 반송부로부터 상기 제1 반송부로 약제를 안내함과 함께, 상기 제1 반송부로부터 상기 불출구로 상기 약제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반송부로부터 상기 불출구로 안내되는 약제의 제1 속도가, 상기 제2 반송부로부터 상기 제1 반송부로 안내되는 약제의 제2 속도보다도 커지도록, 상기 제1 반송부 및 상기 제2 반송부는 상기 약제를 반송 가능한, 약제 불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부의 회전 속도는, 상기 제2 반송부의 회전 속도보다도 큰, 약제 불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송부는, 적어도 하나의 유성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반송부는, 상기 유성 기어와 끼워 맞추어지는 복수의 제1 톱니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톱니에 의해 내기어로서 기능하고,
    상기 제2 반송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유성 기어와 끼워 맞추어지는 복수의 톱니를 갖는 태양 기어를 더 구비하는, 약제 불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 기어로서 기능하는 상기 복수의 톱니는, 상기 수용부의 측벽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약제 불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부는, 상기 복수의 제1 톱니와는 반대측의 위치에 복수의 제2 톱니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반송부 및 상기 제2 반송부는, 상기 복수의 제2 톱니에 대하여 부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약제 불출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부 및 상기 제2 반송부는, 상기 약제를 적재하는 적재면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1 반송부 및 상기 제2 반송부를 횡단하도록 상기 적재면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약제 불출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부에 적재된 약제에 작용함으로써, 상기 불출구로 불출되는 약제의 반송 속도를 높이는 반송 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약제 불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보조 기구는, 상기 불출구로 불출되는 약제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판인, 약제 불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부 및 제2 반송부의, 상기 약제를 적재하는 적재면에 있어서, 상기 약제의 반송 경로를 규정하는 적어도 1개의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적재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신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고, 상기 제1 반송부의, 상기 불출구와 인접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측벽으로부터 일부가 돌출되어 있는, 약제 불출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주속은, 상기 제1 속도보다도 큰, 약제 불출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부는, 상기 약제를 적재하는 적재면을 갖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적재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신되는 회전축을 갖고,
    상기 제1 반송부에는, 상기 회전축보다 외측의 위치에, 제1 자석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회전판의 원주 방향을 따른 위치이며, 또한 상기 제1 반송부 또는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켰을 때 상기 제1 자석과 대향하는 위치에, 제2 자석이 마련되어 있는, 약제 불출 장치.
  12. 투입된 약제를 불출구까지 반송함으로써, 상기 불출구로부터 상기 약제를 불출하는 약제 불출 장치이며,
    상기 약제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원환상의 부분을 갖고, 상기 약제를 상기 불출구로 반송하는 반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부는,
    상기 불출구에 인접하고, 상기 약제를 적재한 상태에서, 상기 약제를 반송하는 원환상 반송부와,
    상기 원환상 반송부로부터 상기 불출구로 상기 약제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원환상 반송부의, 상기 약제를 적재하는 적재면에 있어서, 상기 약제의 반송 경로를 규정하는 적어도 1개의 측벽과,
    상기 적재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신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고, 상기 원환상 반송부의, 상기 불출구와 인접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측벽으로부터 일부가 돌출되어 있는 회전판을 구비하는, 약제 불출 장치.
KR1020247006259A 2021-09-03 2022-08-31 약제 불출 장치 KR202400557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44238 2021-09-03
JP2021144238 2021-09-03
PCT/JP2022/032828 WO2023033063A1 (ja) 2021-09-03 2022-08-31 薬剤払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5737A true KR20240055737A (ko) 2024-04-29

Family

ID=85411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6259A KR20240055737A (ko) 2021-09-03 2022-08-31 약제 불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23033063A1 (ko)
KR (1) KR20240055737A (ko)
CN (1) CN117715609A (ko)
WO (1) WO202303306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0876U (ja) 1982-09-29 1984-04-04 日野自動車株式会社 車輪のスプラツシユ防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0876B2 (ja) * 2013-07-25 2016-07-13 株式会社トーショー 薬剤フィーダ
EP3047836A4 (en) * 2013-09-18 2017-05-10 Yuyama Mfg. Co., Ltd. Drug cassette and drug packaging device
JP6503525B1 (ja) * 2017-08-17 2019-04-17 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整列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0876U (ja) 1982-09-29 1984-04-04 日野自動車株式会社 車輪のスプラツシユ防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715609A (zh) 2024-03-15
JPWO2023033063A1 (ko) 2023-03-09
WO2023033063A1 (ja)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21325B (zh) 药物供给器
JP6736075B1 (ja) 薬剤フィーダ
JP2014120015A (ja) コインホッパ
JP5363936B2 (ja) フィーダ
JP6736074B1 (ja) 薬剤フィーダ
KR20240055737A (ko) 약제 불출 장치
JP7063183B2 (ja) 薬剤払出装置および薬剤払出方法
JP7389395B2 (ja) 薬剤払出装置
JP2001204795A (ja) 錠剤の自動高速計数装置
WO2023181610A1 (ja) 薬剤フィーダ及び錠剤分包機
JP7424634B2 (ja) 薬剤フィーダ
WO2021161890A1 (ja) 錠剤放出装置、錠剤放出装置を有する薬剤分包機、錠剤分類装置
WO2021246422A1 (ja) 錠剤放出装置、錠剤放出装置を有する薬剤分包機
CN115038422A (zh) 药剂供给器
JP6997447B2 (ja) 固形薬剤供給装置及び固形薬剤払出し装置
JP2021164631A (ja) 錠剤供給保管放出装置、錠剤供給保管放出装置を組み込んだ薬剤分包機
JP7193128B2 (ja) 薬剤供給装置
WO2022102638A1 (ja) 錠剤払出装置、及び分包機
JP2022135599A (ja) 薬剤フィーダ
JP2023021169A (ja) 薬剤供給装置
JPS6351927B2 (ko)
JP2006151416A (ja) 薬剤分包装置
JP2022189888A (ja) 薬剤供給装置
JP2022100541A (ja) 薬剤フィーダ
JP2022171796A (ja) 薬剤供給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