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116A - 물걸레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물걸레 세척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걸레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물걸레 세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4116A
KR20240054116A KR1020220134484A KR20220134484A KR20240054116A KR 20240054116 A KR20240054116 A KR 20240054116A KR 1020220134484 A KR1020220134484 A KR 1020220134484A KR 20220134484 A KR20220134484 A KR 20220134484A KR 20240054116 A KR20240054116 A KR 20240054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ray
wet mop
drain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준
이현주
차승용
최인규
한정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4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4116A/ko
Priority to PCT/KR2023/012380 priority patent/WO2024085407A1/ko
Publication of KR20240054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41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물걸레 세척 시스템은 물걸레 청소기와 물걸레 세척장치를 포함한다. 물걸레 세척장치는, 본체,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급수통을 포함한다. 물걸레 세척장치는 세척될 물걸레와 급수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세척트레이로서,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마련되고, 유입된 세척수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벽을 포함하며 가이드벽은 개구를 포함하도록 마련되는 제1바닥을 포함한다. 또한, 세척트레이는 제1바닥보다 낮은 단에 마련되어 개구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를 수용하고 세척수를 세척트레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세척트레이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2바닥을 포함한다. 물걸레 세척장치는 세척트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마련되고 세척트레이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배수트레이를 더 포함하고, 본체에 마련되어 배수트레이의 적어도 일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수용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물걸레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물걸레 세척 시스템{Auto Mop Cleaning Apparatus and Auto Mop Clean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개시는 물걸레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걸레 청소기의 물걸레 세척을 위한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한 세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걸레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의 바닥에 물걸레를 부착하여 사용한다.
최근에는 사용상의 편리성을 강조하여 회전식 걸레 청소기 형태의 청소 도구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본체의 바닥면에 걸레가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 회전식 걸레 청소기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회전식 걸레 청소기는 일반적으로 본체 하우징과, 본체 하우징을 이동 조작할 수 있도록 본체 하우징에 결합되는 조작 지지대와, 본체 하우징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 등으로 구성되며, 회전판의 바닥면에 물걸레 등을 탈부착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회전판의 바닥면에는 물걸레를 부착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벨크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물걸레는 원판 형상으로 일면은 청소가 가능한 직물 재질로 형성되고, 타면은 회전판의 벨크로에 부착할 수 있도록 이에 대응되는 벨크로가 부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탈부착 방식의 물걸레 청소기는, 물걸레가 더러워지면 물걸레를 교체해서 사용하거나 또는 물걸레를 세척한 후 다시 사용하여야 했다.
일례에 따르면, 물걸레 세척장치를 보다 청결하게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는 물걸레 세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척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례에 따르면, 물걸레 세척장치를 보다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는 물걸레 세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척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례에 따르면, 물걸레 청소기의 물걸레를 자동으로 세척 및 탈수할 수 있는 물걸레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세척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례에 따르면, 적정한 양의 세척수를 사용하도록 하여 세척수를 절약할 수 있는 물걸레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세척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례에 따른 물걸레 세척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급수통을 포함한다. 상기 물걸레 세척장치는 세척될 물걸레와 상기 급수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세척트레이로서,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마련되고, 유입된 상기 세척수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벽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벽은 개구를 포함하도록 마련되는 제1바닥과, 상기 제1바닥보다 낮은 단에 마련되어 상기 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세척수를 수용하고 상기 세척수를 상기 세척트레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세척트레이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2바닥을 포함하는 세척트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물걸레 세척장치는 상기 세척트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세척트레이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배수트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물걸레 세척장치는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배수트레이의 적어도 일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수용홈을 포함한다.
상기 세척트레이 배출구는 제1 세척트레이 배출구와 제2 세척트레이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벽은 상기 제1바닥에 유입된 상기 세척수가 상기 제1 세척트레이 배출구 측과 상기 제2 세척트레이 배출구 측으로 나뉘어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바닥의 테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세척트레이 및 상기 배수트레이를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상기 수용홈 측에 마련되는 탈거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트레이는 상기 세척트레이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상기 세척수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수트레이는 수용된 상기 세척수를 상기 배수트레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트레이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트레이 배출구는 상기 세척트레이가 상기 배수트레이에 결합되어 상기 세척트레이에 의해 커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은, 상기 배수트레이에서 배출되는 상기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은 상기 세척수를 상기 수용홈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용홈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 배출구는 거름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트레이는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급수통과 상기 유입구를 연통시키는 급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수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수용홈 배출구와 상기 배수통을 연통시키는 배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세척트레이의 일부 및 상기 배수트레이의 일부와 결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세척트레이와 상기 배수트레이를 상기 수용홈 내에 안착시키는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본체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세척트레이와 상기 배수트레이를 상기 수용홈에서 탈거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세척트레이 배출구와 상기 배수트레이 배출구는 각각 거름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트레이는 상기 제2바닥에 방사형 구조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트레이 배출구는 상기 방사형 구조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세척 시스템은, 물걸레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물걸레 청소기를 포함한다. 상기 물걸레 세척 시스템은, 회전하는 상기 물걸레와 접촉하여 상기 물걸레를 세척하도록 마련되는 물걸레 세척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물걸레 세척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급수통 및 상기 물걸레를 수용하고, 상기 급수통과 연통되어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트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트레이는 유입된 상기 세척수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벽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벽은 개구를 포함하도록 마련되는 제1바닥을 포함한다. 상기 세척트레이는 상기 제1바닥보다 낮은 단에 마련되어 상기 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세척수를 수용하고 상기 세척수를 상기 세척트레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세척트레이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2바닥을 포함한다. 상기 물걸레 세척장치는 상기 세척트레이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세척수를 수용하도록 상기 세척트레이의 적어도 일부가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고, 수용된 상기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배수트레이 배출구를 포함하는 배수트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물걸레 세척장치는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배수트레이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세척수를 수용하도록 상기 배수트레이의 적어도 일부가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며, 수용된 상기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수용홈 배출구를 포함하는 수용홈을 포함한다.
상기 세척트레이 배출구는 제1 세척트레이 배출구와 제2 세척트레이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벽은 상기 제1바닥에 유입된 상기 세척수가 상기 제1 세척트레이 배출구 측과 상기 제2 세척트레이 배출구 측으로 나뉘어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바닥의 테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수트레이 배출구는 상기 세척트레이가 상기 배수트레이에 삽입되어 상기 세척트레이에 의해 커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 배출구는 거름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세척트레이의 일부 및 상기 배수트레이의 일부와 결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세척트레이와 상기 배수트레이를 상기 수용홈 내에 안착시키는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본체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세척트레이와 상기 배수트레이를 상기 수용홈에서 탈거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세척트레이는, 상기 제2바닥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트레이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방사형 구조로 배치되고, 각각 상기 돌출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세척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트레이 배출구는 상기 방사형 구조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세척트레이 배출구, 배수트레이 배출구 및 수용홈 배출구에 각각 거름망이 포함되어 물걸레 세척장치를 보다 청결하게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세척트레이, 배수트레이 및 수용홈이 서로 분리되도록 마련되어 물걸레 세척장치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 및 보수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회전하는 물걸레를 물걸레 세척장치와 접촉시켜 자동으로 물걸레를 세척 및 탈수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세척트레이 배출구 주위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에 의해 세척트레이 배출구로 세척수가 유동하는 시간을 조절하도록 하여 세척수를 절약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세척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세척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세척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세척트레이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배수트레이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세척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레버가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세척장치의 급수관과 배수관이 도시되도록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트레이 배출구, 배수트레이 배출구 및 수용부 배출구에 거름망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세척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전", "후", "좌", "우", "상" 및 "하" 등의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구성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뿐 아니라,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회전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 시계방향은 제1 방향,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반시계 방향은 제2 방향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표현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함에 있어 통용될 수 있으나, 이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의 회전방향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세척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세척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물걸레 세척 시스템(A)은 물걸레 청소기(2)와 물걸레 청소기(2)의 물걸레(25)를 세척하기 위한 물걸레 세척장치(1)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도면에서는 물걸레 청소기(2)가 자루형 물걸레 청소기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물걸레 청소기(2)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걸레 청소기(2)는 청소기 본체(21)와, 청소기 본체(2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물걸레(25)를 지지하는 물걸레 장착부(22)와, 청소기 본체(21)의 상부에 사용자가 파지하여 물걸레 청소기(2)를 구동 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손잡이(미도시)와, 청소기 본체(21)와 손잡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24)가 마련될 수 있다.
물걸레 청소기(2)는 연결부(24)와 손잡이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연장관(23)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관(23)은 소정의 강성을 갖는 파이프 또는 플렉시블한 호스로 형성될 수 있다.
청소기 본체(21)는 내부에 물걸레(25)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가 설치된다. 물걸레 장착부(22)는 한 쌍이 청소기 본체(21)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물걸레(25)는 물걸레 장착부(22)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연결부(24)는 청소기 본체(2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24)는 청소기 본체(21)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24)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연결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물걸레 청소기(2)의 손잡이는 연결부(24)를 통해 청소기 본체(21)에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에는 청소기 본체(21)를 구동시키도록 마련되는 버튼등이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 본체(21)가 구동되는 경우, 물걸레 청소기(2)에 장착된 물걸레(25)가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물걸레(25)는 청소기 본체(2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물걸레(25)는 물기가 있게 하여 쓰는 걸레로, 회전가능 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걸레(25)는 회전하면서 바닥을 닦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물걸레(25)는 일반적인 직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물걸레(25)는 청소기 본체(21)의 물걸레 장착부(2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걸레(25)는 물걸레 장착부(22)에 벨크로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물걸레(25)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걸레(25)는 양면 사용이 가능하도록 양면에 걸레 융털이 형성될 수 있다. 물걸레(25)는 물걸레 장착부(2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걸레 융털이 탈부착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벨크로가 마련될 수 있다.
물걸레 청소기(2)에 장착된 물걸레(25)는 물걸레 세척장치(1)를 통해 세척될 수 있다. 물걸레 세척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물걸레 세척장치(1)는 물걸레(25)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제공하는 급수통(12)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통(12) 내부에는 물걸레(25) 세척을 위한 세척수가 수용될 수 있다. 도시에서는 급수통(12)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도시되었으나, 급수통(12)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걸레 세척장치(1)는 물걸레(25) 세척이 끝난 뒤 오염된 세척수를 수용하는 배수통(11)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통(11) 내부에는 물걸레(25) 세척이 종료된 이후의 오염된 세척수가 수용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시에서는 배수통(11)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도시되었으나, 배수통(11)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급수통(12)과 배수통(11)은 물걸레 세척장치(1)의 후면에 마련될 수 있다. 급수통(12)과 배수통(11)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물걸레 세척장치(1)는 물걸레(25)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트레이(100)를 포함할 수 있다.
물걸레 세척장치(1)는 물걸레(25)를 세척하기 위해 물걸레 청소기(2)의 물걸레(25)가 세척트레이(100)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후 물걸레 청소기(2)를 구동시키면 물걸레(25)가 회전하게 되어 세척트레이(100)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물걸레(25)가 세척될 수 있다. 물걸레(25)와 상호작용하는 세척트레이(100)의 구체적인 구성들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본체(10)는 급수관(15)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트레이(100)는 유입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132)와 급수통(12)은 급수관(15)을 통해 연통될 수 있다. 급수관(15)을 통해 세척트레이(100)에는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다.
본체(10)는 배수관(17)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관(17)은 세척이 끝나고 오염된 세척수를 배수통(11)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급수관(15)과 배수관(17)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세척트레이(100)에서 물걸레 청소기(2)가 세척되는 경우, 세척수가 주위로 튀어 물걸레 세척장치(1)가 오염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급수통(12) 및 배수통(11)은 본체(10)에 마련되는 분리벽(13)을 통해 세척트레이(100)와 분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분리벽(13)은 급수통(12) 및 배수통(11)과 세척트레이(10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분리벽(13)은 급수통(12) 및 배수통(11)의 높이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분리벽(13)은 본체(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어서, 분리벽(13)에 튄 세척수들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세척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세척트레이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배수트레이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급수통(12)과 배수통(11)은 본체(10)와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수통(12)이 본체(10)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보다 쉽게 급수통(12)에 세척수를 충전할 수 있다. 배수통(11)이 본체(10)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보다 쉽게 배수통(11)에 담긴 오염된 세척수를 제거할 수 있다.
세척트레이(100)는 제1바닥(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닥(110)은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마련되고, 유입된 세척수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벽(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닥(110)에 마련되는 가이드벽(102)은 개구(103)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트레이(100)는 제1바닥(110)보다 낮은 단에 마련되어 개구(103)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를 수용하는 제2바닥(120)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132)를 통해 세척트레이(100)로 공급된 세척수는 제1바닥(110)에서 유동할 수 있다. 이후 세척수는 제1바닥(110)에 마련된 가이드벽(102)과 만나 가이드벽(102)을 따라 유동하게 되고, 가이드벽(102)에 마련된 개구(103)를 통해 제1바닥(110)에서 제2바닥(120)으로 낙하할 수 있다.
제2바닥(120)에는 복수의 돌출부(121)가 포함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돌출부(121)가 길게 연장되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돌출부(121)는 방사형 구조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121)의 상면에는 복수의 돌출돌기(122)가 마련될 수 있다. 돌출돌기(122)는 대략 구의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돌출돌기(122)는 돌출부(121)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물걸레 청소기(2)의 물걸레는 복수의 돌출돌기(122)와 마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해당 마찰에 의해 물걸레(25)는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다.
제2바닥(120)은 세척수를 세척트레이(10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세척트레이 배출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트레이 배출구(123)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세척트레이 배출구(123)는 제1 세척트레이 배출구(123a)와 제2 세척트레이 배출구(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트레이 배출구(123)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가이드벽(102)은 제1바닥(110)에 유입된 세척수가 제1 세척트레이 배출구(123a)측과 제2 세척트레이 배출구(123b)측으로 나뉘어 유동할 수 있도록 제1바닥(110)의 테두리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벽(102)이 세척수가 나뉘어 유동하도록 하여 제2바닥(120)에는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세척수가 유동하게 될 수 있다.
세척트레이 배출구(123)는 복수의 돌출부(121)가 형성하는 방사형 구조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트레이 배출구(123)의 수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돌출부(121)가 형성하는 방사형 구조 또한 세척트레이 배출구(123)의 수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121)가 형성하는 방사형 구조는, 그 중심으로 갈수록 세척수가 유동할 수 있는 길이 좁아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방사형 구조의 중심으로는 세척수가 신속하게 유동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세척트레이 배출구(123)가 방사형 구조의 중심에 위치하기 때문에 세척트레이(100)에 수용된 세척수는 신속하게 세척트레이(100)의 외부로 배출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는 세척트레이(100)에 보다 더 오래 수용되어 있을 수 있고, 그러한 세척트레이(100)의 구조 덕에 같은 양의 세척수로도 물걸레(25)와 세척수가 접촉하는 시간이 늘어나게 되어 물걸레(25)를 보다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를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제2바닥(120)에는 청소기 받침부재(124)가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 받침부재(124)에는 물걸레 청소기(2)가 안착될 수 있다.
청소기 받침부재(124)의 높이는 물걸레 청소기(2)의 청소기 본체(21)가 세척수와 접촉하지 않도록 적절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청소기 본체(21)가 세척수와 접촉하지 않아 청소기 본체(21)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물걸레(25)는 물걸레 청소기(2)와 결합된 상태로 세척트레이(100)에 수용되어 세척될 수 있다.
세척트레이(100)는 외주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세척트레이 측벽(130)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트레이(100)에 수용되는 세척수의 양은 세척트레이 측벽(130)의 높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세척트레이 측벽(130)에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32)가 마련되도록 유입로(131)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로(131)는 세척트레이 측벽(130)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물걸레 세척장치(1)는 세척트레이(1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배수트레이(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트레이(200)는 세척트레이(100)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세척트레이(100)에서의 물걸레(25)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는 세척트레이 배출구(123)를 통해 배출되어 배수트레이(200)에 수용될 수 있다.
배수트레이(200)는 배수트레이(200)의 바닥을 형성하는 제1배수면(201)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트레이(200)는 배수트레이(200)의 바닥을 형성하는 제2배수면(2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배수면(202)은 제1배수면(201)의 중앙측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배수면(202)에는 배수트레이 배출구(206)가 마련될 수 있다. 배수트레이(200)에 수용된 세척수는 제1배수면(201)과 제2배수면(202)에서 유동함으로써 배수트레이 배출구(206)를 통해 배수트레이(2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배수면(202)은 제1배수면(201)으로부터 배수트레이 배출구(206)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가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배수면(202)이 배수트레이 배출구(206)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진 덕에 세척수는 배수트레이 배출구(206)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유동할 수 있다.
배수트레이 배출구(206)는 제2배수면(202)의 중심측에 마련될 수 있다. 배수트레이 배출구(206)는 세척트레이(100)가 배수트레이(200)에 결합되어 세척트레이(100)에 의해 커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세척트레이(100)와 배수트레이(200)가 결합한 경우, 세척트레이 배출구(123)를 통해서 배수트레이 배출구(206)가 관찰될 수 없도록 배수트레이 배출구(206)는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트레이 배출구(123)를 통해 배출된 오염된 세척수는 배수트레이 배출구(206)로 바로 유동하지 못하고 제1배수면(201)과 제2배수면(202)상에서 먼저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배수면(201)과 제2배수면(202)을 통해 오염된 세척수가 흐르게 되어 이물질의 상당부분을 제1배수면(201)과 제2배수면(202)에 남겨놓을 수 있어, 배수트레이 배출구(206)로 배출되는 세척수의 오염물질이 일부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트레이 배출구(206)에서 배출된 세척수를 수용하는 수용홈(300)(후술한다)의 오염을 줄일 수 있어, 수용홈(300)이 형성되는 본체(10)의 오염도를 상대적으로 낮추어 관리할 수 있다.
배수트레이(200)는 배수트레이 측벽(203)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트레이 측벽(203)은 제1배수면(201)의 둘레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형태일 수 있다. 배수트레이(200)에 수용될 수 있는 세척수의 양은 배수트레이(200)의 높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배수트레이(200)에는 함몰부(204)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수트레이(200)의 측벽에는 함몰부(204)가 형성될 수 있다. 세척트레이(100)와 배수트레이(200)가 결합하는 경우, 세척트레이(100)의 유입로(131)가 배수트레이(200)의 함몰부(204)에 인입될 수 있다.
배수트레이(200)는 지지대(20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205)는 제1배수면(201)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대(205)는 배수트레이 측벽(203)에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대(205)가 제1배수면(201)에서 돌출되는 높이는 배수트레이 측벽(203)이 제1배수면(201)의 둘레에서 돌출되는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지지대(205)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세척트레이(100)가 배수트레이(200)와 결합하는 경우, 세척트레이(100)가 지지대(205)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트레이(100)의 제2바닥(120)과 배수트레이(200)의 제1배수면(201)은 접촉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는 배수트레이(200)의 적어도 일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수용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홈(300)에는 세척트레이(100)의 적어도 일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수용될 수 있다.
수용홈(300)은 배수트레이(200)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다. 수용홈(300)은 세척수를 수용홈(30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용홈 배출구(301)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세척트레이(100) 및 배수트레이(200)를 수용홈(300)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수용홈(300)측에 마련되는 탈거홈(1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탈거홈(14)은 세척트레이(100) 및 배수트레이(200)가 수용홈(3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들을 잡아서 수용홈(300)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용이하도록 본체(10)에 마련되는 홈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탈거홈(14)이 수용홈(300)의 양측에 함몰된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사용자가 세척트레이(100)와 배수트레이(200)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면 그 형태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는 유입로 안착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로 안착부(302)는 수용홈(300)측에 마련될 수 있다. 수용홈(300)에 세척트레이(100)와 배수트레이(200)가 수용되는 경우, 세척트레이(100)의 돌출된 유입로(131)가 본체(10)의 유입로 안착부(302)에 삽입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세척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레버가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세척장치의 급수관과 배수관이 도시되도록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체(10)는 레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140)는 세척트레이(100)의 일부와 결합될 수 있다. 레버(140)는 배수트레이(200)의 일부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버(140)는 세척트레이(100)와 배수트레이(20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부러지거나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세척트레이(100)와 배수트레이(200)가 수용홈(300)에 수용된 경우, 레버의 일단(140a)은 세척트레이(100)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레버의 타단(140b)은 수용홈(300)의 바닥면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세척트레이(100)와 배수트레이(200)가 수용홈(300)에 수용된 경우, 레버의 일단(140a)이 세척트레이(100)의 유입로(131)와 접촉하고, 레버의 타단(140b)이 배수트레이(200)의 하면과 접촉하는 방식으로 세척트레이(100) 및 배수트레이(200)를 수용할 수 있다.
급수관(15)의 타단은 레버의 일단(140a)과 접촉하면서 유입구(132) 측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레버(140)는 회전축(141)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140)는 회전축(141)의 일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레버(140)는 본체(10) 내에서 회전축(141)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레버(140)를 회전시킴으로서 세척트레이(100)와 배수트레이(200)를 수용홈(30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레버의 일단(140a)을 밀어 회전축(141)을 기준으로 레버(1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레버(140)가 회전하는 경우, 레버의 일단(140a)이 세척트레이(100)의 유입로(13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레버(140)가 회전함으로써 레버의 타단(140b)이 배수트레이(200)의 하면을 수용홈(30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밀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레버(140)의 회전을 통해 세척트레이(100)와 배수트레이(200)를 수용홈(300)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본체(10)는 급수통(12)과 유입구(132)를 연통시키는 급수관(15)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15)의 일단은 급수통(12)과 연통될 수 있다. 급수관(15)의 타단은 유입구(132)와 연통될 수 있다. 급수관(15)에는 급수펌프(16)가 마련될 수 있다. 급수펌프(16)가 작동하면 급수통(12)에 담긴 세척수가 급수관(15)을 타고 유입구(132)로 분사될 수 있다.
본체(10)는 수용홈 배출구(301)와 배수통(11)을 연통시키는 배수관(17)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관(17)의 일단은 수용홈 배출구(301)와 연통될 수 있다. 배수관(17)의 타단은 배수통(11)과 연통될 수 있다. 배수관(17)에는 배수펌프(18)가 마련될 수 있다. 배수펌프(18)가 작동하면 수용홈 배출구(301) 측의 오염된 세척수가 배수관(17)을 타고 배수통(11)으로 유동하여 수용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트레이 배출구, 배수트레이 배출구 및 수용홈 배출구에 거름망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세척트레이 배출구(123)에는 거름망(125a, 125b)이 마련될 수 있다. 물걸레(25)가 세척된 뒤 세척수에 존재하는 큰 부피의 이물질은 세척트레이 배출구(123)를 통과하지 못하고 거름망(125a, 125b)에 걸러질 수 있다.
배수트레이 배출구(206)에는 거름망(207)이 마련될 수 있다. 세척트레이 배출구(123)에서 배출된 세척수를 수용하고, 이를 배수트레이 배출구(206)로 배출시키는 경우, 배수트레이 배출구(206)에 마련된 거름망(207)으로 이물질을 다시한번 거를 수 있다.
수용홈 배출구(301)에는 거름망(303)이 마련될 수 있다. 세척트레이 배출구(123)에 마련되는 거름망(125a, 125b)과 배수트레이 배출구(206)에 마련되는 거름망(207)에서 걸러진 세척수를 수용홈 배출구(301)에 마련된 거름망(303)으로 한 번 더 거름으로써 배수관(17)이 이물질 등에 의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척트레이(100)와 배수트레이(200)에서 오염된 세척수의 이물질이 상당부분 제거되기 때문에 본체(10)를 비교적 청결하게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걸레 세척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물걸레 세척 시스템(B)은 물걸레 청소기(4)와 물걸레 청소기(4)의 물걸레(25)를 세척하기 위한 물걸레 세척장치(3)를 포함한 것으로 정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물걸레 청소기(4)는 로봇청소기에 적용된 물걸레 청소기(4)를 포함한다. 즉, 물걸레 청소기(4)는 자루형 물걸레 청소기뿐만 아니라 로봇청소기형 물걸레 청소기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도면에는 물걸레 청소기(4)가 로봇청소기형 물걸레 청소기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물걸레 청소기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물걸레 세척장치
2: 물걸레 청소기
10: 본체
11: 배수통
12: 급수통
21: 청소기 본체
25: 물걸레
100: 세척트레이
110: 제1바닥
120: 제2바닥
123: 세척트레이 배출구
140: 레버
200: 배수트레이
201: 제1배수면
202: 제2배수면
206: 배수트레이 배출구
300: 수용홈
301: 수용홈 배출구
A: 물걸레 세척 시스템
B: 물걸레 세척 시스템

Claims (20)

  1. 본체;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급수통;
    세척될 물걸레와 상기 급수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세척트레이로서,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마련되고, 유입된 상기 세척수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벽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벽은 개구를 포함하도록 마련되는 제1바닥과, 상기 제1바닥보다 낮은 단에 마련되어 상기 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세척수를 수용하고 상기 세척수를 상기 세척트레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세척트레이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2바닥을 포함하는 세척트레이;
    상기 세척트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세척트레이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배수트레이;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배수트레이의 적어도 일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수용홈; 을 포함하는 물걸레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트레이 배출구는 제1 세척트레이 배출구와 제2 세척트레이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벽은 상기 제1바닥에 유입된 상기 세척수가 상기 제1 세척트레이 배출구측과 상기 제2 세척트레이 배출구 측으로 나뉘어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바닥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물걸레 세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세척트레이 및 상기 배수트레이를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상기 수용홈 측에 마련되는 탈거홈을 더 포함하는 물걸레 세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트레이는 상기 세척트레이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상기 세척수를 수용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배수트레이는 수용된 상기 세척수를 상기 배수트레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트레이 배출구를 포함하는 물걸레 세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트레이 배출구는 상기 세척트레이가 상기 배수트레이에 결합되어 상기 세척트레이에 의해 커버되도록 배치되는 물걸레 세척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배수트레이에서 배출되는 상기 세척수를 수용하고,
    상기 세척수를 상기 수용홈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용홈 배출구를 포함하는 물걸레 세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 배출구는 거름망을 포함하는 물걸레 세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트레이는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급수통과 상기 유입구를 연통시키는 급수관을 더 포함하는 물걸레 세척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수통 및
    상기 수용홈 배출구와 상기 배수통을 연통시키는 배수관을 더 포함하는 물걸레 세척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세척트레이의 일부 및 상기 배수트레이의 일부와 결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세척트레이와 상기 배수트레이를 상기 수용홈 내에 안착시키는 레버를 더 포함하는 물걸레 세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본체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세척트레이와 상기 배수트레이를 상기 수용홈에서 탈거시키도록 마련되는 물걸레 세척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트레이 배출구와 상기 배수트레이 배출구는 각각 거름망을 포함하는 물걸레 세척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트레이는 상기 제2바닥에 방사형 구조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트레이 배출구는 상기 방사형 구조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물걸레 세척장치.
  14. 물걸레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물걸레 청소기; 와
    회전하는 상기 물걸레와 접촉하여 상기 물걸레를 세척하도록 마련되는 물걸레 세척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물걸레 세척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급수통;
    상기 물걸레를 수용하고, 상기 급수통과 연통되어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트레이로서,
    유입된 상기 세척수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벽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벽은 개구를 포함하도록 마련되는 제1바닥과, 상기 제1바닥보다 낮은 단에 마련되어 상기 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세척수를 수용하고 상기 세척수를 상기 세척트레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세척트레이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2바닥을 포함하는 세척트레이;
    상기 세척트레이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세척수를 수용하도록 상기 세척트레이의 적어도 일부가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고, 수용된 상기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배수트레이 배출구를 포함하는 배수트레이;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배수트레이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세척수를 수용하도록 상기 배수트레이의 적어도 일부가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며, 수용된 상기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수용홈 배출구를 포함하는 수용홈; 을 포함하는 물걸레 세척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트레이 배출구는 제1 세척트레이 배출구와 제2 세척트레이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벽은 상기 제1바닥에 유입된 상기 세척수가 상기 제1 세척트레이 배출구 측과 상기 제2 세척트레이 배출구 측으로 나뉘어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바닥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물걸레 세척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트레이 배출구는 상기 세척트레이가 상기 배수트레이에 삽입되어 상기 세척트레이에 의해 커버되도록 배치되는 물걸레 세척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 배출구는 거름망을 포함하는 물걸레 세척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세척트레이의 일부 및 상기 배수트레이의 일부와 결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세척트레이와 상기 배수트레이를 상기 수용홈 내에 안착시키는 레버를 더 포함하는 물걸레 세척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본체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세척트레이와 상기 배수트레이를 상기 수용홈에서 탈거시키도록 마련되는 물걸레 세척 시스템.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트레이는,
    상기 제2바닥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방사형 구조로 배치되고, 각각 상기 돌출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세척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트레이 배출구는 상기 방사형 구조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물걸레 세척 시스템.
KR1020220134484A 2022-10-18 2022-10-18 물걸레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물걸레 세척 시스템 KR2024005411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484A KR20240054116A (ko) 2022-10-18 2022-10-18 물걸레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물걸레 세척 시스템
PCT/KR2023/012380 WO2024085407A1 (ko) 2022-10-18 2023-08-22 물걸레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물걸레 세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484A KR20240054116A (ko) 2022-10-18 2022-10-18 물걸레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물걸레 세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4116A true KR20240054116A (ko) 2024-04-25

Family

ID=90737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484A KR20240054116A (ko) 2022-10-18 2022-10-18 물걸레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물걸레 세척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4116A (ko)
WO (1) WO202408540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1369A1 (zh) * 2019-12-19 2021-06-24 追创科技(苏州)有限公司 擦地机及擦地机清洁坞
CN111214186A (zh) * 2020-03-17 2020-06-02 河北洁仕宝日用塑料制品有限公司 储水式电动拖把清洁工具
CN213606159U (zh) * 2020-10-09 2021-07-06 苏州亿倍智能清洁股份有限公司 一种净污水分离的擦地机清洁装置
CN215605485U (zh) * 2021-07-15 2022-01-25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清洁基站及清洁装置
CN215305591U (zh) * 2021-07-15 2021-12-28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清洁基站及清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5407A1 (ko) 202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3090B2 (en) Dishwasher
JPH0910162A (ja) 食器洗浄器の洗浄水浄化装置
KR20150089762A (ko) 식기 세척기
JPH09108158A (ja) キッチン用洗浄機
KR20240054116A (ko) 물걸레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물걸레 세척 시스템
KR20060037185A (ko) 건습식 복합형 업라이트 청소기
US10426314B2 (en) Fluid pump volute diversion system, solids collec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s for a washing machine
WO2003065869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leaning apparatus
KR20190014896A (ko) 식기세척기
EP1973459B1 (en) Dish washer
KR960010941B1 (ko) 식기세정기
KR100618646B1 (ko) 물을 이용한 청소기 및 물청소용 브러시
US2764169A (en) Dishwashing machine
JPH11320408A (ja) 玉摺機の研削泡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JP3219934B2 (ja) ハイクリーン床面洗浄機
KR20060101082A (ko)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100269466B1 (ko) 일체형 펌프를 가진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의 장착구조
CN220713859U (zh) 清洗组件及洗碗机
KR20120129259A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섬프 청소장치
JP6994625B2 (ja) 食器洗い機
JP7307634B2 (ja) 洗浄機システム
JP4753746B2 (ja) 食器洗浄乾燥機
KR20240030125A (ko) 청소기 스테이션
KR20220016627A (ko) 물걸레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한 세척 시스템
KR20240002875A (ko) 식기세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