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3798A -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 - Google Patents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3798A
KR20240053798A KR1020220133757A KR20220133757A KR20240053798A KR 20240053798 A KR20240053798 A KR 20240053798A KR 1020220133757 A KR1020220133757 A KR 1020220133757A KR 20220133757 A KR20220133757 A KR 20220133757A KR 20240053798 A KR20240053798 A KR 20240053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intraocular lens
connection support
paragraph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3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섹
주식회사 로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섹, 주식회사 로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섹
Priority to KR1020220133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3798A/ko
Priority to PCT/KR2023/015524 priority patent/WO2024085518A1/ko
Publication of KR20240053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37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62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 A61F2/1664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for manual insertion during surgery, e.g. forceps-lik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는,
캡슐러백의 내부에 삽입되는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캡슐러백(capsular bag)의 적도를 따라 내부에 삽입되는 링형상 구조체로서,
상기 구조체를 시축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에서, 상기 구조체의 벽은 내면 및 외면이 상기 캡슐러백을 향해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벽은 시축방향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구간과, 상기 전방구간으로부터 연장되어 적도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구간, 및 상기 후방구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캡슐러백의 내부방향으로 꺽이는 절곡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Connecting supporter for intraocular lens}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종래에는 존재하지 않던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에 관한 것으로, 캡슐러백으로 전해지는 힘을 안구내렌즈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안구내렌즈를 캡슐러백 내부에 정해진 위치에 잘 안착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의 안구내렌즈 관련 특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843454호 등에는 안구내렌즈 지지체가 공개되어 있다. 안구내렌즈 지지체는 백내장 수술 중 캡슐러백의 원형 윤곽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텐션링과는 달리, 종래 캡슐러 텐션링을 사용하는 경우 캡슐러백의 전낭과 후낭이 붙어버려 안구내렌즈의 수정체두께 조절에 문제가 생기는 점을 해결하고, 진대에서 전달되는 이완과 수축운동에 관련되 힘을 효율적으로 캡슐러백 내부의 안구내 렌즈에 전달하여 안구내렌즈가 천연수정체와 같은 조절력이 뛰어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718075호에는 안구내렌즈 연결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연결수단은 지지체에서 전달되는 힘을 안구내렌즈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안구내렌즈와 지지체사이를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다.
연결수단을 매개함으로써 지지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수술시 백내장의 절개 길이를 감소할 수 있고, 연결수단은 안구내렌즈가 지지체 내에 견고히 연결되면서 힘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지지체와 연결수단은 종래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였으나, 모든 안구내렌즈가 지지체나 연결수단과 결합가능한 형태로 제조되지 않았다. 즉, 지지체와 연결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안구내렌즈와의 호환성이 문제가 되어, 모든 안구내렌즈와 접합될 수 있는 표준화된 지지체와 연결수단이 필요하였다.
한국특허 제 10-084345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안구내렌즈와 결합될 수 있는 표준화된 내면을 가져, 안구내렌즈의 종류에 관계없이 안구내렌즈를 캡슐러백 내부에 안정되게 안착시킬 수 있는는 연결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외부에서 캡슐러백으로 전해지는 힘을 안구내렌즈에 효율적으로 전달하면서도 동시에, 안구내렌즈를 내면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지지체와 연결수단이 일체화된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연결지지체는,
캡슐러백의 내부에 삽입되는 안구내렌즈 삽입을 위해 상기 캡슐러백(capsular bag)의 적도를 따라 내부에 구비되는 링형상 구조체로서,
상기 구조체를 시축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에서, 상기 구조체의 벽은 내면 및 외면이 상기 캡슐러백을 향해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벽은 시축방향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구간과, 상기 전방구간으로부터 연장되어 적도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구간, 및 상기 벽의 내면에 상기 햅틱부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
이 때,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후방구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안구의 내부방향으로 꺽이는 절곡구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과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이 만나는 점 주변에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은 곡면이고,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은 직선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과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이 만나는 점에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에서의 접선과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이 이루는 각도는 45 내지 11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과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이 만나는 점 주변에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은 곡면이고, 상기 절곡구간의 곡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과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이 만나는 점에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에서의 접선과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에서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는 45 내지 110°인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체는 일부 구간이 개방구간되고, 상기 개방구간은 중심에서 각도로 1 내지 3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체의 안구의 크기에 따라 전체직경은 9.3 내지 12mm로 다양하게 제작되나, 상기 내직경은 일정하게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체의 외면과 내면사이의 최대두께(x, 단위 : mm)는 0.35≤ x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체의 최대두께는 상기 연결지지체의 경도와 반비례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최대두께(x, mm)와 상기 연결지지체의 경도(y, 쇼아경도)사이에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1)
-196.08x3 + 523.43x2 - 503.5x + 204≤y ≤196.08x3 + 523.43x2 - 503.5x + 207 (이 때, 0.35≤x)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안구내렌즈 어셈블리는,
캡슐러백의 내부에 삽입되는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캡슐러백(capsular bag)의 적도를 따라 내부에 삽입되는 링형상 구조체로서, 상기 구조체를 시축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에서, 상기 구조체의 벽은 내면 및 외면이 상기 캡슐러백을 향해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벽은 시축방향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구간과, 상기 전방구간으로부터 연장되어 적도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구간, 및 상기 벽의 내면에 상기 햅틱부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 및
옵틱부와 햅틱부를 포함하는 안구내렌즈로서, 상기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의 내면에 상기 햅틱부가 접하며, 상기 절곡구간에 상기 햅틱부의 단부가 안착되는 안구내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안구내렌즈 캡슐러백에 진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따라 상기 안구내렌즈의 옵틱부가 전방으로 이동하거나,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는 캡슐러백에서 전해지는 힘을 안구내렌즈에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기능과 별도의 연결수단 없이도 안구내렌즈의 햅틱부가 정해진 위치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기능을 하나로 결합시킴으로써, 안구내렌즈 삽입 수술시 간편하게 시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안구내렌즈를 정해진 위치(즉, 중심)에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연결지지체는 수정체를 변형시키는 힘이 전달 될 때 안구내렌즈의 옵틱부를 받쳐주는 절곡구간에 의해 안구내렌즈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종래 본 발명자가 제안한 지지체가 안구내렌즈를 천연수정체와 같이 우수한 변형력을 가지는 것에 더하여 보다 높은 시력 교정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일측면에 따른 연결지지체는 수술 후 원하는 도수대로 시력교정을 가능하게 한다. 즉, 정해진 도수의 안구내 렌즈를 삽입할 경우 안구내렌즈가 정해진 위치에 삽입되므로 사람마다 다르게 교정시력이 나오는 것이 방지되어 원하는 도수대로 시력을 교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연결지지체는 별도의 조절성을 가지는 안구내렌즈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 안구렌즈를 사용하더라도 조절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의 경도와 최대두께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구내렌즈 지지체에 제1형태의 안구내렌즈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결합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지지체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안구내렌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각각 원거리와 근거리를 주시할 때 안구내렌즈의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 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 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위에/아래에" 또는 "상에/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위에/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연결지지체(100)는 종래에 제안된 지지체와 같이 캡슐러백의 형상을 유지하며, 캡슐러백의 전낭 및 후낭이 붙어버리는 문제를 해결하면서, 동시에 진대의 이완과 수축을 안구내렌즈에 효율적으로 전달하여 안구내렌즈가 천연수정체와 같이 원근감있는 시력을 제공하게 한다.
동시에 본 발명의 연결지지체(100)는 종래 지지체는 가지지 못했던 기능을 가지는 구조체이다. 즉, 연결지지체는 내면의 크기를 일정하게 제공하여 안구내렌즈의 햅틱부의 형상과는 관계없이 크기를 일치시키면 모두 적용될 수 있도록 표준화된 내면을 구비한다. 즉, 표준화된 내면은 하나의 크기를 제공하므로 안구내렌즈를 여러크기로 만들 필요 없이 단일크기로 표준화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연결지지체(100)는 햅틱부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안구내렌즈가 안구의 중심부에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고정수단은 진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한 안구내렌즈를 전방으로의 이동시켜 원거리를 볼 때 탁원한 시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연결지지체(100)는 백내장 수술시 사람의 눈의 캡슐러백 내부공간에 안구내렌즈보다 먼저 삽입되어 외면이 캡슐러백의 적도부에 접하면서 고정되며, 이후 안구내렌즈가 삽입될 때, 연결지지체의 내면에 안구내렌즈의 햅틱부가 안착된다.
연결지지체(100)는 개방 또는 폐쇄된 링형상 구조체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체를 수정체 시축방향(Y방향)의 가상평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상에서 내면과 외면이 모두 외부로 볼록한 벽을 가지며, 벽은 단면상에서 지지체의 적도를 경계로 전방구간(110), 후방구간(120), 고정수단(130)을 포함한다.
전방구간(110)은 연결지지체(100)의 볼록한 정점의 양단을 연결한 선인 적도선보다 전방에 있는 구간이고, 후방구간(120)은 전방구간에서 연장되어 연결지지체의 볼록한 정점의 양단을 연결한 선인 적도선보다 후방에 있는 구간이며, 고정수단(130)은 벽의 일영역에 구비되어 안구내렌즈의 햅틱부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수단이다.
고정수단(130)의 바람직한 예는 절곡구간이다. 절곡구간은 후방구간에서 연장되어 내부방향으로 꺽이는 구간이다. 이 때, 안구내렌즈의 햅틱부의 단부는 후방구간의 내면과 절곡구간의 내면이 만나는 점이거나, 절곡구간의 내면에 안착된다.
후방구간(120)의 내면이 절곡구간(130)의 내면이 만나는 점은 햅틱부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후방구간(120)의 내면과 절곡구간의 내면이 만나서 안착할 수 있는 영역을 형성하기 때문이며, 만약 햅틱부의 길이가 길더라도 경우 이를 지나쳐서 절곡구간의 내면에 안착될 수 있다.
즉, 후방구간(120)의 내면과 상기 절곡구간(130)의 내면이 만나는 점 주변에서 후방구간의 내면은 곡면이고, 절곡구간의 내면은 직선면일 경우, 단면상 후방구간의 내면과 절곡구간의 내면이 만나는 점에서 후방구간의 내면에서의 접선과 절곡구간의 내면이 이루는 각도는 45 내지 110도, 바람직하게 60 내지 100도일 수 있다.
또한, 후방구간(120)의 내면과 절곡구간(130)의 내면이 만나는 점 주변에서 후방구간의 내면은 곡면이고, 절곡구간의 내면은 곡면일 경우, 단면상 후방구간의 내면과 절곡구간의 내면이 만나는 점에서 후방구간의 내면에서의 접선과 절곡구간의 내면에서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는 45 내지 110도, 바람직하게 60 내지 90도 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절곡구간의 내면 또는 후방구간의 내변과 절곡구간의 내면이 만나는 점에 안구내렌즈의 햅틱부 다리가 안착되지 못하며,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햅틱부의 다리가 긴 경우에 만나는 점을 지나쳐서 절곡구간면에 안착될 수 없기 때문이다.
고정수단의 다른 예는 연결체 벽의 내면에 구비되는 돌출부이다. 돌출부는 링형상을 따라 후방구간의 내벽면에서 연장되어 돌출된다는 점에서 절곡구간과 차이가 있으며, 안구내렌즈의 햅틱부 다리를 안착시키는 기능은 절곡구간과 동일하다.
고정수단의 또 다른 예는 전술한 절곡구간에 추가로 안착홈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안착홈을 추가적으로 형성함으로써 햅틱부의 단부가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연결지지체(100)는 수술시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일구간이 개방구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방구간은 중심에서 각도로 1 내지 30°의 범위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미만으로 개방되면 수술시 작게 절개된 부분으로 삽입이 어려워지고, 30°을 초과하면 연결지지체로서 안구내렌즈를 지지하는 능력이 낮아질 수 있다.
연결지지체의 전체직경은 안구의 크기에 따라 9.3 내지 12mm로 제작될 수 있으나, 연결지지체의 전체직경이 변화하더라도 연결지지체의 내면과 반대쪽 내면사이의 거리인 내직경은 예를 들면, 8.6mm로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삽입되는 안구내렌즈를 표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연결지지체를 사용하는 경우 모든 안구내렌즈는 연결지지체의 직경에 정해지는 표준화된 크기로 제작될 수 있고, 표준화된 크기에서 여러 도수를 필요에 맞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전체직경이 큰 연결지지체의 내면과 외면사이의 두께(x, mm)는 0.35≤ x인 것이 바람직하다. 0.35mm 미만이면 통상 지름이 12 내지 14mm인 안구내렌즈 삽입시 핵틱부의 길이가 짧아서 전술한 절곡구간에 안착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최대두께(x, mm)는 연결지지체의 경도(y, 쇼아경도)사이에는 반비례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1)
-196.08x3 + 523.43x2 - 503.5x + 204≤y ≤196.08x3 + 523.43x2 - 503.5x + 207 (이 때, 0.35≤x)
식 1에 대한 경도와 최대두께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결지지체의 최대두께와 경도를 반비례로 유지하는 것은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크기가 커지므로 경도를 낮추어서 연성을 유지하여 수술시 유연성을 갖게 하고 절개부위을 적게하기 위함이다.
내면(102)은 매끄러운 면으로서 안구내렌즈의 햅틱부가 잘 미끄러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절곡구간은 햅틱부의 단부가 안착되어 이탈되지 않고 안정하게 고정될 수 있게 절곡되어 있다.
외면(101)은 캡슐러백의 내면에 접하게 되는 면으로서, 적어도 2점 이상에서 접하며, 효과적으로 캡슐러백에 전달되는 힘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외면(101)의 단면상 길이의 적어도 1/2 내지 1의 영역이 캡슐러백과 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때 접하는 영역의 1/2이상은 적도의 주변부에 진대가 연결된 구간을 포함해야 한다. 이는 진대에서 전달되는 힘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함이다.
한편 표 1은 연결지지체의 크기, 두께, 경도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이다.
이에 따르면, 연결지지체의 외직경에 따라서 연결지지체의 외직경은 달라지지만 연결지지체의 내직경은 일정하게 유지되게 설계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연결지지체는 최대두께와 실리콘의 쇼아경도가 서로 반비례하게 설계됨을 알 수 있다.
연결지지체의 외직경 연결지지체의 최대두께 (mm) 연결지지체의 내직경 (mm) 연결지지체의 쇼아 경도
9.3 0.35 8.6 86
9.4 0.4 8.6 75
9.5 0.45 8.6 67
9.6 0.5 8.6 60
9.7 0.55 8.6 55
9.8 0.6 8.6 50
9.9 0.65 8.6 46
10 0.7 8.6 43
10.1 0.75 8.6 40
10.2 0.8 8.6 38
10.3 0.85 8.6 35
10.4 0.9 8.6 33
10.5 0.95 8.6 32
10.6 1 8.6 30
한편, 전술한 연결지지체의 외직경은 전술한 실시예들보다 더 크거나 작을 수 있어서 예를 들어, 외직경은 11.75 내지 12mm일 수 있으며, 이 때 쇼와경도는 30이하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지지체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안구내렌즈의 평면도이고, 도 6은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에 안구내렌즈의 햅틱부가 안착되는 모습의 단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도 5에 제시된 다양한 형상의 안구내렌즈(200)는 통상 옵틱부(210)와 햅틱부(220)로 이루어진다. 옵틱부(210)는 안구내렌즈(200)는 캡슐러백의 내부에 삽입되는 렌즈부분으로서, 주로 볼록렌즈형상(단, 일부 초고도근시환자에서는 오목렌즈형상)을 가진다.
햅틱부(220)는 옵틱부(210)에서 연장되어 옵틱부(210)를 캡슐러백 내부에 위치시키기 위한 다리 부분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된다. 예를 들면, 3개의 방사형 다리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4개의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햅틱부(220)는 옵틱부(210)와 동일평면상에 위치하거나 옵틱부에 대해서 햅틱부가 경사를 이루면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햅틱부의 형상에는 제한되지 않으나, 햅틱부의 전체길이가 내직경보다 커서 햅틱부의 단부가 절곡구간에 안착될 수 있도록 길어야 한다.
상용화된 안구내렌즈들의 옵틱부와 햅틱부를 합친 길이는 12 내지 14mm이다. 상용화된 안구내렌즈들은 먼저 캡슐러텐션링이 삽입한 상태에서 접힌 상태 삽입되며, 이후 펴지면서 햅틱부를 이루는 다리가 캡슐러색의 내면에 접하게 되면서 탄성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안구내렌즈를 직접 캡슐러백에 삽입하는 경우 이 경우 안구내렌즈의 센터링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안구내렌즈는 진대의 힘을 전혀 전달받지 못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연결지지체를 사용할 경우 연결지지체의 최대두께가 0.35≤ x ≤1이므로 내부공간의 크기상 안구내렌즈는 햅틱부(220)의 다리가 펴지지 못하고, 휘어지면서 연결지지체의 꺽여진 절곡구간(130)에서 닿을 때까지 뻗치게 된다.
이로써, 도 6와 같이 햅틱부의 다리는 연결지지체의 내면에 접하면서 연장되다가 단부는 절곡구분에 안착되게 된다. 따라서 안구내렌즈(200)는 햅틱부(220)는 연결지지체의 내면에 닿으면서 연장되어 연결지지체에 전달된 힘을 잘 전달받을 수 있으며, 양쪽 단부가 절곡구간에 안착되므로 센터링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6(a)는 햅틱부가 평평한 것, 도 6(b), 도 6(c)는 경사져 있는 안구내렌즈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에 따르면 햅틱부(220)가 평평한 경우, 햅틱부가 연결지지체의 내면에 접하면서 구부러지고, 단부는 절곡구간(130)의 내면 또는 절곡구간(130)과 후방구간(120)이 만나는 점에 안착된다.
햅틱부(220)가 경사진 안구내렌즈의 경우에도 방향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따른 연결지지체는 적용가능함을 보인다. 특히 도 6(b)와 같이 햅틱부의 경사가 전방으로 향하게 한 후 다시 후방으로 꺽는 구조인 경우 전방으로 옵틱부(210)의 전방이동을 매우 강력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각각 원거리와 근거리를 주시할 때 안구내렌즈의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구내렌즈(200)의 전체길이를 연결지지체의 내직경보다 크게하고, 연결지지체(100)의 벽의 단부에 절곡단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안구내렌즈(200)의 옵틱부는 적도선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옵틱부(210)가 적도선보다 전방에 위치함으로써, 캡슐러백에서 연결지지체에 전달되는 힘은 원거리를 볼 때 캡슐러백에서 전달되는 힘에 햅틱부(220)가 변경되며 옵틱부는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전방으로 옵틱부(210)가 이동함으로써 시력을 높이는 교정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즉, 안구내렌즈(IOL)의 경우 두께가 매우 얇아서 힘이 전달되더라도 안구내렌즈의 곡률을 높이기 어려워 조절되는 교정효과를 얻기 어려웠지만 인공수정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높은 교정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반대로 근거리를 볼 때에는 옵틱부(210)는 다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메커니즘은 옵틱부(21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와 반대가 된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연결지지체
101 : 외면
102 : 내면
110 : 전방구간
120 : 후방구간
130 : 고정수단(절곡구간)
200 : 안구내렌즈
210 : 옵틱부
220 : 햅틱부

Claims (13)

  1. 캡슐러백의 내부에 삽입되는 안구내렌즈 삽입을 위해 상기 캡슐러백(capsular bag)의 적도를 따라 내부에 구비되는 링형상 구조체로서,
    상기 구조체를 시축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에서, 상기 구조체의 벽은 내면 및 외면이 상기 캡슐러백을 향해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벽은 시축방향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구간과, 상기 전방구간으로부터 연장되어 적도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구간, 및 상기 벽의 내면에 상기 햅틱부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후방구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안구의 내부방향으로 꺽이는 절곡구간인 연결지지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과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이 만나는 점 주변에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은 곡면이고,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은 직선면인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과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이 만나는 점에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에서의 접선과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이 이루는 각도는 45 내지 110°인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과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이 만나는 점 주변에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은 곡면이고, 상기 절곡구간의 곡면인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과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이 만나는 점에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에서의 접선과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에서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는 45 내지 110°인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체는 일부 구간이 개방구간되고, 상기 개방구간은 중심에서 각도로 1 내지 30°의 범위인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체의 안구의 크기에 따라 전체직경은 9.3 내지 12mm로 다양하게 제작되나, 상기 내직경은 일정하게 제조되는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체의 외면과 내면사이의 최대두께(x, 단위 : mm)는 0.35≤ x 인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체의 최대두께는 상기 연결지지체의 경도와 반비례 관계에 있는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두께(x, mm)와 상기 연결지지체의 경도(y, 쇼아경도)사이에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연결지지체.
    (화학식 1)
    -196.08x3 + 523.43x2 - 503.5x + 204≤y ≤196.08x3 + 523.43x2 - 503.5x + 207 (이 때, 0.35≤x)
  12. 캡슐러백의 내부에 삽입되는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캡슐러백(capsular bag)의 적도를 따라 내부에 삽입되는 링형상 구조체로서, 상기 구조체를 시축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에서, 상기 구조체의 벽은 내면 및 외면이 상기 캡슐러백을 향해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벽은 시축방향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구간과, 상기 전방구간으로부터 연장되어 적도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구간, 및 상기 벽의 내면에 상기 햅틱부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 및
    옵틱부와 햅틱부를 포함하는 안구내렌즈로서, 상기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의 내면에 상기 햅틱부가 접하며, 상기 절곡구간에 상기 햅틱부의 단부가 안착되는 안구내렌즈를 포함하는 안구내렌즈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내렌즈 캡슐러백에 진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따라 상기 안구내렌즈의 옵틱부가 전방으로 이동하거나, 후방으로 이동하는 안구내렌즈 어셈블리.









KR1020220133757A 2022-10-18 2022-10-18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 KR2024005379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757A KR20240053798A (ko) 2022-10-18 2022-10-18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
PCT/KR2023/015524 WO2024085518A1 (ko) 2022-10-18 2023-10-10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757A KR20240053798A (ko) 2022-10-18 2022-10-18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3798A true KR20240053798A (ko) 2024-04-25

Family

ID=90737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3757A KR20240053798A (ko) 2022-10-18 2022-10-18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3798A (ko)
WO (1) WO202408551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454B1 (ko) 2007-03-08 2008-07-03 박경진 안구내렌즈 지지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7004B1 (en) * 2000-03-02 2004-09-28 Advanced Medical Optics, Inc. Holders for intraocular lenses
US20130304206A1 (en) * 2012-05-10 2013-11-14 Ioannis Pallikaris Intraocular Device to Restore Natural Capsular Tension after Cataract Surgery
KR101718075B1 (ko) * 2015-05-29 2017-04-04 주식회사 로섹 안구내 렌즈 조립체
EP3954326A1 (en) * 2016-10-21 2022-02-16 Omega Ophthalmics LLC Prosthetic capsular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454B1 (ko) 2007-03-08 2008-07-03 박경진 안구내렌즈 지지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5518A1 (ko) 202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3949B2 (en)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es
US6475240B1 (en) An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 and methods for reducing pupil ovalling
CN110945408B (zh) 具有变形正弦相移结构的眼科透镜
KR101304044B1 (ko) 얇은 인공수정체
US4863464A (en) Intraocular lens
KR20080084815A (ko) 원근 조절형 안내 렌즈
JP2002507451A (ja) 柔軟なモノブロックの眼内レンズ
JP7440417B2 (ja) 眼内レンズ、及び周縁部の安定化方法
US20240081977A1 (en) Intraocular lens having hinged haptic structures
US8470033B2 (en) Flexible intraocular implant with circular haptic
CN111491589B (zh) 触觉力分布得到改善的眼内透镜平台
KR20240053798A (ko)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
US20030018386A1 (en) Anterior chamber angle-supported intraocular lenses with flexible optic and rigid fixation members
KR20240053797A (ko) 안구내렌즈용 연결체
US20210121286A1 (en) Intraocular lenses having closed-loop ring haptic structures
US11103343B2 (en) Intraocular lenses having open-loop haptic structures
CN114786619B (zh) 人工晶状体
KR20220157357A (ko) 굴절성 파킥 안내 렌즈 및 방법
CN114423380A (zh) 人工晶状体
MXPA00010832A (en) Intraocular lens having a design for controlling its axial displacement after impla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