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075B1 - 안구내 렌즈 조립체 - Google Patents

안구내 렌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075B1
KR101718075B1 KR1020150076716A KR20150076716A KR101718075B1 KR 101718075 B1 KR101718075 B1 KR 101718075B1 KR 1020150076716 A KR1020150076716 A KR 1020150076716A KR 20150076716 A KR20150076716 A KR 20150076716A KR 101718075 B1 KR101718075 B1 KR 101718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intraocular lens
lens assembly
circumferential surface
rea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0279A (ko
Inventor
박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섹
Priority to KR1020150076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075B1/ko
Priority to JP2018514750A priority patent/JP6595102B2/ja
Priority to US15/578,199 priority patent/US10758339B2/en
Priority to CN201580080505.6A priority patent/CN107847313B/zh
Priority to EP15894316.7A priority patent/EP3305250B1/en
Priority to PCT/KR2015/005671 priority patent/WO2016195143A1/ko
Priority to ES15894316T priority patent/ES2928394T3/es
Publication of KR20160140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075B1/ko
Priority to JP2019073263A priority patent/JP6821736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A61F2/1624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having adjustable focus; power activated variable focus means, e.g.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by the ciliary muscle or from the out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A61F2/1624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having adjustable focus; power activated variable focus means, e.g.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by the ciliary muscle or from the outside
    • A61F2/1635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having adjustable focus; power activated variable focus means, e.g.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by the ciliary muscle or from the outside for changing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A61F2/1648Multipart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94Capsular bag sprea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Abstract

본 발명은 진대의 운동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안구내렌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구내렌즈 지지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안구 내에 삽입되는 안구내 렌즈 조립체로서, 상기 안구의 캡슐러색 내부에 삽입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슐러색과 접촉되는 외주면(11)은 상기 캡슐러색의 전면부에 접촉되는 제1 전면 접촉부(11a)와, 상기 캡슐러색의 후면부에 접촉되는 제1 후면 접촉부(11b)를 포함하고, 상기 외주면(11)에 대향되는 내주면(12)은 상기 제1 전면 접촉부(11a)에 대향되는 제2 전면 접촉부(12a)와, 상기 제1 후면 접촉부(11b)에 대향되는 제2 후면 접촉부(12b)를 포함하는 안구내렌즈 지지체(10);와, 상기 제2 전면 접촉부(12a)의 적어도 일구간에 접촉되는 제3 전면 접촉부(52a)와, 상기 제2 후면 접촉부(12b)의 적어도 일구간에 접촉되는 제3 후면 접촉부(52b)와, 상기 제3 전면 접촉부(52a)와 상기 제3 후면 접촉부(52b)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주면(12)과 이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변형촉진홈(52c)을 포함하는 연결수단(50);와, 상기 연결수단(50)에 연결되는 안구내 렌즈(30);로 구성됨으로써, 진대의 운동을 안구내렌즈까지의 원활하게 전달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안구내 렌즈 조립체{LENS ASSEMBLY}
본 발명은 안구내렌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구내 렌즈와, 안구내 렌즈를 지지하는 연결수단 및 지지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안구내 렌즈의 위치이동이나 수축 및 팽창 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구내 렌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백내장과 같이 수정체에 이상이 있는 안과적 질병의 경우의 치료방법으로, 캡슐러 색(capsular sac) 내부에 있는 수정체(lens) 내용물을 제거하고, 그 공간에 인공으로 제조한 안구내렌즈(intraocular lens)를 삽입하는 수술이 현재 널리 시행되고 있다.
안구내렌즈를 삽입할 경우 안구내렌즈는 천연 수정체를 대체하여 환자에게 혼탁없는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안구내렌즈는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안구내렌즈가 삽입된 후 안구내렌즈가 삽입된 캡슐러색(capsular sac)이 수술후 수축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최근에는 안구내렌즈 삽입전에 캡슐러색(capsular sac)의 적도 영역에 캡슐러 텐션링을 삽입하고, 캡슐러 텐션링에 안구내렌즈를 고정시키는 방법이 점차 이용되고 있다.
캡슐러 텐션링은 개방(open) 또는 폐쇄된(closed) 환상체로서, 캡슐러색(capsular sac)의 수축을 일부분 완화하고, 수정체렌즈를 고정시키는 방법이 점차 이용되고 있다.
캡슐러 텐션링은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캡슐러 텐션링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 후낭혼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안구내렌즈 삽입 시술에서 문제점은 수술 후 캡슐러색(capsular sac)의 전낭과 후낭이 서로 붙어버리게 되어, 진대(Zonule of Zinn)의 이완과 수축을 전달하여 수정체의 두께를 조절하는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것이다. 즉, 수술 후 환자의 눈은 보고자하는 물체에 따라 능동적으로 3차원적인 운동을 하여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 아니라, 안구내렌즈에서 정해지는 도수에 따라 수동적인 시야를 확보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도1a 내지 도 4에 기재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인간의 안구 단면도이고, 도 2는 천연수정체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각막(Cornea)(1)은 눈의 가장 바깥쪽에 있는 투명한 무혈관 조직으로 안구를 보호하고, 또한 각막은 수정체와 함께 빛의 굴절을 담당하고, 홍체(Iris)(2)는 눈으로 들어가는 빛의 양을 조절하여 카메라의 조리개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동공(Pupil)(3)은 홍채(2)의 중앙에 나 있는 구멍으로 밝은 불빛 아래에서는 크기가 줄어들고 어두운 곳에서는 커져서 망막(4)에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한다.
수정체(Lens)(5)는 양면이 볼록렌즈 형상의 혈광이 없는 무색 투명한 구조물로서 홍채(2)의 뒤에 위치한다. 각막(1)과 함께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굴절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모양체근(6) 및 이에 연결된 진대(7)의 수축 및 이완에 따라 수정체(5)의 모양이 변화한다.
노안으로 나이가 듦에 따라 수정체(5)의 경도가 매년 증가하여, 모양체 근(6)이 수축을 하여도 수정체(5)의 모양이 변하지 않게 된 상태이고, 백내장은 수정체(5)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혼탁하게 되는 질병이다.
수정체(5)는 캡슐러색(capsular sac)(8) 내부에 채워져 있으며, 캡슐러색(capsular sac)(8)은 전낭(anterior capsule)(8a)과 후낭(posterior capsule)(8b)으로 구성되며, 각각 수정체(5)의 전방면(5a)과 후방면(5b)은 적도(E)에서 서로 연결되며, 각 전방면(5a)과 후방면(5b)은 적도(E)에서의 거리에 따라 중앙부(a)와 적도부(b)로 구분되는데, 전방면(5a)의 중앙부(a)는 후방면(5b)의 중앙부(a)보다 곡률이 작으며, 전방면(5)의 적도부(b)는 후방면(5)의 적도부(b)보다 곡률이 큰 특징이 있다.
캡슐러색(8)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진대(7)가 연결된다. 진대(7)는 모양체근(6)과 캡슐러색(8)을 연결하는 일종의 섬유조직으로서, 캡슐러색(8)의 전낭(8a)과 후낭(8b)이 만나는 적도부 부근에 연결되는 제1소대(小帶)(7a)와 적도부의 주변 부근에 연결되는 제2소대(小帶)(7b)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원거리와 근거리를 주시할 때, 진대, 수정체 및 캡슐러색의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Y축 방향은 수정체의 시축방향이고, X축 방향은 수정체의 적도방향을 의미한다. 수정체(5)의 시축방향은 동공을 통해 수정체(5)로 빛이 입사하는 방향이고, 적도방향이란 시축방향의 수직인 방향으로 수정체의 전낭과 후낭이 만나는 지점을 연결하는 방향이다.
원거리를 주시할 때, 진대(7) 중 캡슐러색(8)의 적도부의 중앙에 연결되는 제1소대(7a)는 팽팽하게 되고, 캡슐러색(8)의 적도부의 주변에 연결되는 제2소대(7b)는 느슨하게 된다. 이로써, 캡슐러색(8)이 수정체(5)의 X방향으로 늘어나게 되어 내부에 위치한 수정체(5)도 같은 방향으로 늘어나게 된다.
근거리를 주시할 때에는 진대(7) 중 캡슐러색(8)의 적도부의 중앙에 연결되는 제1소대(7a)는 느슨하게 되고, 캡슐러색(8)의 적도부의 주변에 연결되는 제2소대(7b)는 팽팽하게 된다. 이로 인해 캡슐러색(8)이 수정체(5)의 Y축방향으로 볼록해지게 되어, 내부에 위치한 수정체(5)도 같은 방향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천연 수정체를 내부에 가진 캡슐러색(8)은 진대(7)에 연결되어 능동적으로 천연수정체의 모양을 변형시키는데 관여하지만, 종래 구조의 안구내 렌즈 및 캡슐러 텐션링을 사용할 경우, 캡슐러색(8)은 수축되어 그 기능을 실질적으로 상실하게 된다.
진대(7)와 연결되어 수정체(5)의 모양 변화에 관여하는 모양체근(6)은 사망시까지 지치지않고 기능을 유지하는 내장근으로서 인위적으로 소멸시키는 종래방식의 개선이 필요한다.
또한, 안구내렌즈를 시술한 경우 지지하는 진대(7)의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힘이 안구내 렌즈에 제대로 전달되어 안구내 렌즈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안구내 렌즈 조립체의 구조개선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3454호(안구내렌즈 지지체. 2008.06.26.)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대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안구내렌즈에 전달시키는 운동전달 능력이 향상된 안구내렌즈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대의 운동이 안구내 렌즈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안구내 렌즈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구내렌즈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수단과 안구내 렌즈 결합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진대의 운동의 복합운동이 안구내 렌즈에 제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안구내 렌즈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안구내렌즈 조립체는 안구 내에 삽입되는 안구내 렌즈 조립체로서, 상기 안구의 캡슐러색 내부에 삽입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슐러색과 접촉되는 외주면은 상기 캡슐러색의 전면부에 접촉되는 제1 전면 접촉부와, 상기 캡슐러색의 후면부에 접촉되는 제1 후면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주면에 대향되는 내주면은 상기 제1 전면 접촉부에 대향되는 제2 전면 접촉부와, 상기 제1 후면 접촉부에 대향되는 제2 후면 접촉부를 포함하는 안구내렌즈 지지체; 상기 제2 전면 접촉부의 적어도 일구간에 접촉되는 제3 전면 접촉부와, 상기 제2 후면 접촉부의 적어도 일구간에 접촉되는 제3 후면 접촉부와, 상기 제3 전면 접촉부와 상기 제3 후면 접촉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주면과 이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변형촉진홈을 포함하는 연결수단; 및 상기 연결수단에 연결되는 안구내 렌즈;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수단의 내주면에는 상기 안구내 렌즈는 옵틱부에서 방상형으로 돌출되는 햅틱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수단의 내주면에는 상기 햅틱부가 고정되는 홈이 구비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햅틱부의 끝단에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구비되고, 상기 홈에는 상기 볼록부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는 볼록부가 구비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수단은 링 형상을 이루는 링부; 상기 링부에서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고 내주면에 상기 홈이 구비된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서 상기 안구내 렌즈 지지체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확장된 단면을 갖도록 돌출되고 적도 부근에 상기 변형촉진홈이 형성된 확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수단의 상기 변형촉진홈이 시작되는 지점은 적도에서 직선거리(L2)가 0.9~1.3mm을 이루는 상기 외주면의 일지점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홈의 저면에서부터 상기 변형촉진홈 까지의 간격이 0.4~1.1mm를 이룬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구내 렌즈 지지체는 상기 제1 전면 접촉부의 일부 구간에 운동 전달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중심부를 향해 함몰된 복합운동 전달면이 구비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운동 전달면은 정면 투영시, 직선단면을 이룬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운동 전달면은 정면 투영시, 호 형상단면을 이룬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구내렌즈 지지체를 상기 캡슐러색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복합운동 전달면은 진대를 이루는 제2소대 부근에 위치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전면 접촉부에 형성되는 상기 복합운동 전달면은 상기 적도에서 0.9mm~1.5mm 길이 구간에 위치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후면 접촉부에 형성되는 상기 복합운동 전달면은 상기 적도에서 1.2mm~1.9mm 길이 구간에 위치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구내렌즈 지지체의 내주면은 상기 적도부를 향해 함몰된 단면형상을 이루고, 상기 내주면은 상기 적도부에서부터 상기 제1 전면 접촉부의 끝단을 향해 적어도 일부 구간이 호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제2 전면 접촉부; 및 상기 적도부에서부터 상기 제1 후면 접촉부의 끝단을 향해 적어도 일부 구간이 호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제2 후면 접촉부;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전면 접촉부, 상기 제1 후면 접촉부, 상기 제2 전면 접촉부, 상기 제2 후면 접촉부의 각 호는 타원의 일부 구간을 이루며, 이때 각 호를 이루는 각 타원의 단축은 제1 전면 접촉부가 제1 후면 접촉부 보다 짧고, 제2 전면 접촉부가 제2 후면 접촉부 보다 짧게 형성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 호를 이루는 각 타원의 단축은 상기 제2 후면 접촉부가 가장 길고, 상기 제1 전면 접촉부가 가장 짧게 형성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후면 접촉부의 일부 구간에는 운동 전달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중심부를 향해 함몰된 복합운동 전달면이 더 포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안구내렌즈 조립체는 모양체근으로부터 발생하여 진대 및 캡슐러색을 통해 전달되는 힘에 의한 복합운동이 안구내 렌즈에 원활하게 전달되므로 안구내 렌즈의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안구내렌즈 조립체는 백내장, 노안, 고도근시 등을 치료하기 위한 안구내렌즈 삽입수술에 적용될 수 있고, 동시에 라식수술이나 ICL(Implantable Contact Lens) 수술의 대체 효과도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안구내 렌즈 조립체는 안구내 렌즈 지지체의 외주면에 요입된 복합운동 전달면을 구비하고, 연결수단과 안구내렌즈 연결부분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진대의 X, Y축 및 Z축 방향으로의 운동까지 포함하는 비틀림 등의 복합운동이 안구내 렌즈에 정확하게 전달되어 안구내 렌즈의 기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인간의 안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천연수정체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3은 원거리를 주시할 경우 진대, 수정체의 상호작용 및 운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근거리를 주시할 경우 진대, 수정체의 상호작용 및 운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안구내렌즈가 장착된 안구내렌즈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안구내 렌즈 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안구내 렌즈 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안구내 렌즈 조립체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안구내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연결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안구내 렌즈 결합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안구내 렌즈 조립체가 장착된 상태에서 원거리를 주시할 경우 진대, 수정체, 안구내 렌즈 조립체의 상호작용 및 운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안구내 렌즈 조립체가 장착된 상태에서 근거기를 주시할 경우 진대, 수정체, 안구내 렌즈 조립체의 상호작용 및 운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안구내 렌즈 지지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연결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안구내렌즈 조립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구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4를 인용한다.
여기서 1)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개략적인 것으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2) 도면은 관찰자의 시선으로 도시되기 때문에 도면을 설명하는 방향이나 위치는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3) 도면 번호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4)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5) 단수로 설명되는 경우 다수로도 해석될 수 있다. 6) 형상, 크기의 비교, 위치 관계 등이 '약, 실질적' 등으로 설명되지 않아도 통상의 오차 범위가 포함되도록 해석된다. 7) '~후, ~전, 이어서, 후속하여, 이때' 등의 용어가 사용되더라도 시간적 위치를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8)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단순히 구분의 편의를 위해 선택적, 교환적 또는 반복적으로 사용되며 한정적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9)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측면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가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10) 부분들이 '~또는'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부분들 단독뿐만 아니라 조합도 포함되게 해석되나, '~또는, ~중 하나'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부분들 단독으로만 해석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안구내렌즈가 장착된 안구내렌즈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안구내 렌즈 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안구내 렌즈 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안구내 렌즈 조립체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안구내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연결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안구내 렌즈 결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안구내 렌즈 조립체가 장착된 상태에서 원거리를 주시할 경우 진대, 수정체, 안구내 렌즈 조립체의 상호작용 및 운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안구내 렌즈 조립체가 장착된 상태에서 근거기를 주시할 경우 진대, 수정체, 안구내 렌즈 조립체의 상호작용 및 운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1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안구내 렌즈 지지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연결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안구내렌즈 지지체(10)가 장착된 안구내렌즈 조립체는 안구내렌즈(30)와, 안구내렌즈(30)를 둘러싸는 안구내렌즈 지지체(10)와, 안구내렌즈(30)를 안구내렌즈 지지체(10)에 고정시키는 연결수단(50)으로 구성된다. 연결수단(50)은 안구내렌즈(30)를 내부에 수용하고, 안구내렌즈 지지체(1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안구내렌즈 지지체(10)는 캡슐러색 내부에 삽입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폐쇄된 링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일측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관하다.
안구내렌즈 지지체(10)는 진대의 움직임에 따른 형상 변형 능력이 커질 수 있도록 외주면(11)과 내주면(12)을 이루는 재질을 부위별로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외주면(11)의 전체 길이는 내주면(12)의 전체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적도부(E) 의 두께가 가장 두껍게 형성되고, 양 끝단을 향할수록 그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구내렌즈 지지체(10)의 직경은 캡슐러색(8)의 내면 직경과 거의 동일하다. 캡슐러색(8)의 직경은 사람에 따라 그 크기가 다르다. 보통 직경은 9mm에서 13mm를 이룬다. 안구내렌즈 지지체(10)의 적도부 직경은 환자 수정체의 적도부 내면 직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안구내렌즈 지지체(10)나 안구내 렌즈(30)의 재질은 실리콘(Silicone), 실리콘 엘라스토머(Silicone elastomer), 실리콘 폴리머(Silicone polymer), 폴리디메틸 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부테스터(Polybutester), PMMA(polymethyl methacrylate ), 마이크로플렉스 PMMA(Microplex PMMA), CQ-UV PMMA, 아크릴수지(Acrylic), 경성 아크릴(Rigid acrylic), 유연성 아크릴(Flexible acrylic), 아크릴 플라스틱(Acrylate plastic), 혐수성 아크릴(Hydrophobic acrylic), 친수성아크릴(Hydrophilic acrylic), 친수성 아크릴 고분자(Hydrophilic acrylic polymer), 자외선 흡수 아크릴레이트(UV absorbing acrylate),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Methacrylate copolymer),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폴리실록산 엘라스토머(Polysiloxane elastomer), 자외선 흡수 폴리실록산(UV absorbing polysiloxane), 콜라겐 코폴리머(Collagen copolymer), 금(Gold), 히드로겔(Hydrogel),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MMA(methyl methacrylate), CAB(cellulose acetate butylate), 2-HAMA(2-hydroxy ethyl methacrylate), NVP(n-vinyl pyrrolidone), PVP(polyvinyl pyrrolidone), MA(methacrylic acid), GMA(glycerol methacrylate), DMS(dimethyl siloxane), PHEMA(polyhydroxyethyl methacrylate), PEGMMA(polyethylenehlycol methacrylate), 폴리 HEMA 히드로겔(Poly HEMA hydrogel), 자외선 흡수 폴리 HEMA 히드로겔(Poly HEMA hydrogel with UV absorption), 실리콘 히드로겔(Silicone hydrogels), GMA/HEMA, HEMA/PVP/MA, PVA, HEMA/PVA/MA, HEMA/PVA/MMA, HEMA/MMA, HEMA/NVP, HEMA/NVP/MA, HEMA/NVP/MMA, HEMA/Acryl, 및 HEMA/PC 등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11)은 캡슐러색(8)의 내면에 적어도 한 지점 이상에서 접하는 면으로서, 외주면(11)은 볼록하게 돌출되는 끝단인 적도(E) 선상을 기준으로 일측방향을 향하는 볼록하게 돌출되고 적어도 일부 구간이 호 형상을 이루는 제1 전면 접촉부(11a)와, 타측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고 적어도 일부 구간이 호 형상을 이루는 제1 후면 접촉부(11b)로 이루어진다. 수정체 시축방향(Y방향)의 정면 투영시 절단된 단면에서 제1 전면 접촉부(11a)는 제1 후면 접촉부(11b)보다 큰 곡률을 갖는다. 이는 외주면(11)의 정면 투영시 절단된 단면이 천연 수정체렌즈의 적도부 단면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인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정체 중앙부의 전방면은 후방면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고 있지만 적도부로 접근하면서 곡률이 바뀌는 형상이기 때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외주면(11)은 시술 환자 고유의 수정체의 단면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수술전 환자의 수정체의 단면 형상은 초음파 영상, CT 및 MRI 등으로 촬영할 수 있으며, 외주면(11)의 단면형상은 동공의 커지고 작아진 중간 정도의 단면형상이나 3~4mm의 동공크기시의 수정체 단면형상과 일치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외주면(11)은 캡슐러색(8)의 적도부 내면과 형상이 서로 일치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투영시 절단되는 단면에서 외주면(11)은 캡슐러색(8)의 외면에 전방측 제2소대(7b)부터 후방측 제2소대(7b)간의 길이의 3/4~3배의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소대(7b) 간의 간격의 3/4 배보다 작게 형성할 경우에는 진대의 움직임에 따라 전달되는 힘을 안구내렌즈(30)에 효율적으로 전달하지 못하게 되며, 3배를 초과하여 형성하는 경우에는 안구내렌즈(30)의 옵틱부를 가리게 된다. 이러한 배율로 구성하였을 경우 외주면(11)은 총 길이가 2mm 내지 8mm로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투영시 절단되는 단면에서 적도(E)에서 제1 전면 접촉부(11a)의 끝점까지의 연장길이(d1) 및 적도(E)에서 제1 후면 접촉부(11b) 끝점까지의 연장길이(d2)는 통상 1mm 내지 4.2mm일 수 있다. 4.2mm를 초과할 경우에는 수술 시 삽입에 어려움이 발생되고, 옵틱부가 너무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1mm 미만인 경우에는 안구내 렌즈 지지체가 진대의 제2소대(7b)가 캡슐러색(8)에 연결되는 지점보다 안쪽에 구비되어, 모양체근에서 유도된 진대의 움직임에 따라 전달되는 힘을 안구내렌즈(30)에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게 되어, 안구내렌즈(30)의 운동이나 변형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적도(E)에서 연장길이(d1)와 연장길이(d2)는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장길이(d2)가 연장길이(d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외주면(11)은 그 단면이 방사형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안구내렌즈 지지체(10)가 캡슐러색(8)에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그 표면 거칠기를 다른면보다 높게 하거나, 별도의 장착재를 사용할 수 있다. 장착재로는 티슈 글루(Tissie Glue)나 글루(Glue)가 사용된다.
내주면(12)은 적도부를 향해 함몰된 단면형상을 이룬다. 내주면(12)은 적도(E)부에서부터 제1 전면 접촉부(11a) 끝단을 향해 적어도 일부 구간이 호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제2 전면 접촉부(12a)와, 적도(E)부에서부터 제1 후면 접촉부(11b)의 끝단을 향해 적어도 일부 구간이 호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제2 후면 접촉부(12b)로 구성된다. 내주면(12)은 연결수단(50)이 결합되는 면이다.
내주면(12)의 전체 연장길이(d4)는 외주면의 전체 연장길이(d3) 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된다. 연장길이(d4)를 연장길이(d3) 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하는 것은 진대에서 외주면(11)에 가해지는 힘을 내주면(12)으로 전달할 때 증폭 또는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연장길이(d4)를 연장길이(d3)보다 작게 하면 외주면(11)의 움직임에 따라 보다 많은 움직임과 변형이 유도된다. 외주면(11)에 진대로부터 F1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내주면(12)에 전달되는 힘 'F2=k*F1, k≥1'이 되기 때문이다. 이때 k는 연장길이(d3)와 연장길이(d4)의 길이 비율에 따라 결정되는 상수이다. d3와 d4의 길이비율은 환자의 진대의 능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대체로 d4의 길이는 d3 길이의 0.4~1배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전면 접촉부(11a), 제1 후면 접촉부(11b)와 후술할 제2 전면 접촉부(12a), 제2 후면 접촉부(12b)의 각 호는 타원의 일부 구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각 타원들을 동일한 중심축에 위치시키면 긴 방향의 꼭지점이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율을 조정하면, 각 호를 이루는 각 타원의 단축은 제1 전면 접촉부(11a)가 제1 후면 접촉부(111b) 보다 짧고, 제2 전면 접촉부(12a)가 제2 후면 접촉부(12b) 보다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각 호를 이루는 각 타원의 단축 중에서 제2 후면 접촉부(12b)를 이루는 타원의 단축이 가장 길고, 제1 전면 접촉부(11a)를 이루는 단축이 가장 짧게 형성된다.
도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구내렌즈 지지체(10)의 외주면(11)에는 복합운동 전달면(20)이 구비된다. 복합운동 전달면(20)은 제1 전면 접촉부(11a)와 제1 후면 접촉부(11b)의 일부 구간에 형성되어, 진대의 운동(특히 제2소대의 운동)을 안구내렌즈(30)에 전달시키는 운동 전달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중심부를 향해 함몰된 형태를 이룬다. 복합운동 전달면(20)은 정면 투영 시, 호 형상의 단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안구내렌즈 지지체(1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투영시, 직선단면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호 형상을 이루거나 직선단면 형상을 이루는 복합운동 전달면(20)은 각각 진대를 이루는 제2소대(7b) 부근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복합운동 전달면(20)의 위치는 제2소대(7b) 부근으로만 한정하지 않고, 제1소대(7a)와 제2소대(7b)의 사이 어느 위치에 형성되어도 무관하며, 이 상태에서 제2소대(7b)와 일부분이라도 겹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운동 전달면(20)이 형성되는 안구내렌즈 지지체(10)는 복합운동 전달면(20)이 함몰형성되면서 끝단을 향할수록 점점 그 단면이 축소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전면 접촉부(11a)에 형성되는 복합운동 전달면(20)은 적도(E) 지점에서부터 0.9mm~1.5mm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적도(E) 지점에서 복합운동 전달면(20)의 시작점(21)까지 거리는 0.9mm를 이루고, 적도(E) 지점에서 복합운동 전달면(20)의 끝점(22)까지 거리는 1.5mm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후면 접촉부(11b)에 형성되는 복합운동 전달면(20)은 적도(E) 지점에서부터 1.2mm~1.9mm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적도(E) 지점에서 복합운동 전달면(20)의 시작점(23)까지 거리는 1.2mm를 이루고, 적도(E) 지점에서 복합운동 전달면(20)의 끝점(24)까지 거리는 1.9mm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합운동 전달면(20)은 전체적으로 볼록한 형상을 이루는 외주면에서 일부분 함몰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X축이나 Y축 어느 한방향으로만 힘이 작용하지 않고, 동시에 X축, Y축, Z축 삼축 방향으로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진대의 운동이 연결수단(50)과 안구내렌즈(30)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복합운동 전달면(20)을 통해 안구내렌즈(30)는 이동이나 부피 변화가 좀 더 세밀하게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진대의 운동에 의한 미묘한 움직임이나 비틀림 등의 복합운동을 전달하는 힘이 복합운동 전달면(20)을 통해 연결수단(50)과 안구내렌즈(30)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또한, 복합운동 전달면(20)은 복합운동 전달면(20)의 형성된 지점의 두께가 주변부보다 형성되는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진대의 운동에 의해 좀더 부드럽게 변형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진대의 힘이나 변형을 보다 쉽게 연결수단(50)과 안구내렌즈(30)에 전달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구내렌즈(30)는 연결수단(50)을 통해 안구내렌즈 지지체(10)에 고정된다. 안구내 렌즈(30)는 안구내렌즈 지지체(10)의 내주면(12)과 연결수단(50)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안구내렌즈(30)의 햅틱부(32)가 연결수단(5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홈(54)에 고정된다. 안구내렌즈(30)는 연결수단(50)의 링형상 내부에 위치하고, 연결수단(50)은 안구내렌즈 지지체(10)의 링형상 내부에 위치한다.
안구내렌즈(30)는 동공의 후방에 위치하는 옵틱부(31)와, 옵틱부(31)에서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연결수단(50)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햅틱부(32)로 구성된다. 옵틱부(31)는 안구내 렌즈(30)는 캡슐러색의 내부에 삽입되는 인공수정체 렌즈로서, 하드렌즈 중 동공의 후방에 위치하는 천연수정체의 렌즈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주로 볼록렌즈형상(단, 일부 초고도근시환자에서는 오목렌즈형상)을 가진다.
안구내렌즈(30)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특정형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햅틱부(32)는 옵틱부(31)의 둘레면에서 방사형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가지 형상을 이룬다. 바람직하게는 120도 간격을 두고 세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햅틱부(32)의 끝단은 링형상으로 서로 연결되는 지지대가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햅틱부(32)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링 형태를 이루는 지지대가 형성되면 진대의 운동을 전달하는 힘이 지지대와 햅틱부(32)를 통해 안구내 렌즈(30)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햅틱부(32)는 안구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동공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돌출된다. 햅틱부(32)는 옵틱부(31)의 둘레면에서 돌출된 길이보다 돌출되는 폭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된 길이보다 돌출되는 폭이 작은 경우 3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비틀림 등의 힘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돌출되는 길이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는 것은 운동 전달성능 향상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햅틱부(32)는 돌출될수록 그 폭이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햅틱부(32)의 끝단에는 옵틱부(31)와 평행을 이루도록 돌출된 고정부(33)가 구비된다. 고정부(33)는 옵틱부(31)의 평면을 기준으로 동공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돌출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적은 힘으로도 동공 방향을 향해 위치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고정부(33)는 돌출되는 끝단에 다수개의 오목부(33a)와 볼록부(33b)가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영역에 오목부(33a)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볼록부(33b)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33b)와 접촉되는 양 측면부(33c)는 라운드 형상을 이룬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측면부(33c)에도 오목부와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33a)와 볼록부(33b)가 구비된 고정부(33)가 햅틱부(32)의 끝단에 구비됨으로써, X축, Y축 뿐만 아니라 Z 축으로도 작용하는 힘을 전달하는 운동전달 능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즉, 오목부(33b) 및 볼록부(33a)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고정부(33)와 홀(54)이 접촉되는 지점에서 미끄러짐 등이 발생되어 힘의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나, 오목부(33a) 및 볼록부(33b)가 구비됨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운동전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연결수단(50)은 링 형상을 이루는 링부(51)와, 링부(51)에서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는 안착부(53)와, 안착부(53)에서 안구내 지지체(10)의 내주면(12)에 밀착되도록 확장된 단면을 갖도록 돌출된 확장부(52)로 이루어진다. 링부(51)의 내측에 안구내 렌즈(30)가 위치하도록 조립된다. 확장부(52)의 내측에는 고정부(33)가 삽입되는 홈(54)이 구비된다. 홈(54)의 고정부(33)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내측면을 갖는다. 즉, 고정부(33)의 측면부(33c)가 밀착되는 측면부(54c)와, 볼록부(33b)가 밀착되는 오목부(54a)와, 오목부(33a)가 밀착되는 볼록부(54b)로 구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부(33)와 홈(54)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 볼록이 구비되어 밀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상호 미끄럼이 방지되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운동 전달 능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확장부(52)는 내주면(12)의 제2 전면 접촉부(12a)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는 제3 전면 접촉부(52a)와, 내주면(12)의 제1 전면 접촉부(12b)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는 제3 후면 접촉부(52b)로 구성되고, 제3 전면 접촉부(52a)와 제3 후면 접촉부(52b)가 접하는 중앙영역에는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는 변형촉진홈(52c)이 구비된다. 안착부(53)이 상하면은 확장부(52)의 양 끝단을 향해 라운드를 이루는 단면형상으로 연결된다. 안구내렌즈 지지체(10)의 내주면(12)은 확장부(52)의 둘레면에 밀착되면서 운동 전달능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촉진홈(52c)은 적도를 기준으로 전면부측과 후면부측의 곡률이 서로 같게 형성될 수도 있고, 제3 전면 접촉부(52a)와 제3 후면 접촉부(52b)의 곡률 비율처럼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변형촉진홈(52c)의 전면부측과 후면부측의 곡률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구조는 제1 전면 접촉부(11a)와 제1 후면 접촉부(11b)의 곡률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구조와 유사하다.
변형촉진홈(52c)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를 향해 함몰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외주면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적도(E)를 기준으로 변형촉진홈(52c)이 시작되는 지점은 적도(E)에서 진대(7)를 이루는 제1소대(7b)가 형성되는 지점과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즉, 외주면(11) 선상에서 적도에서 직선거리(L2)가 1.1mm을 이루는 지점과 대향되는 지점이 변형촉진홈(52c)이 시작되는 지점을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때 직선거리(L2)는 지름(L1)의 크기에 따라 1.1±0.2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변형촉진홈(52c)에 의해 연결수단(50)의 변형량이 증가되어 안구내렌즈 지지체(10)에 전달된 진대의 힘을 안구내 렌즈(30)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시킬 수 있다. 즉,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촉진홈(52c)에 의해 연결수단(50)은 X축 방향으로의 압축변형과 Y축 방향으로의 팽창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결수단(50)의 내측면에서 요입되는 홈(54)의 깊이(d1)는 대략 0.55 mm로 이루어지는 바람직하나, 홈(54)의 깊이는 지름(L1)의 크기에 따라 0.55±0.2mm 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홈(54)의 저면에서 변형촉진홈(52c)까지의 간격(d2)는 지름(L1)의 크기에 따라 0.4~1.1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연결수단(50)의 지름이 변경되더라도, 깊이(d1)와 직선거리(L2)는 그 길이를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변형촉진홈(52c)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를 향해 함몰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예를 들어 변형촉진홈(52c)의 곡률은 연결수단(50)의 지름(L1)이 9.8mm 경우 거의 직선에 가까운 형태를 이룬다. 연결수단(50)의 지름(L1)이 9.8mm 이상인 경우에는 변형촉진홈(52c)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를 향해 함몰된 형태를 이루고, 연결수단(50)의 지름(L1)이 9.8mm 이하인 경우에는 변형촉진홈(52c)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상을 기준으로 외주면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직선거리(L2)와 깊이(d1)를 각각 대략 1.1mm와 0.55mm로 유지하기 위해서 변형촉진홈(52c)의 중심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지, 외주면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는지가 결정된다. 이는 간격(d2)가 너무 작으면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너무 크면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촉진홈(52c)이 형성된 연결수단(50)을 사용하는 경우 복합운동 전달면(20)이 형성되지 않은 안구내렌즈 지지체(10)와 결합되더라도 변형촉진홈(52c)에 의해 진대의 운동이 안구내렌즈 지지체(10)와 연결수단(50)을 통해 안구내 렌즈(30)에 잘 전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합운동 전달면(20)이 형성된 안구내렌즈 지지체(10)와 변형촉진홈(52c)이 형성되지 않은 연결수단(10)이 결합되더라도 복합운동 전달면(20)에 의해 진대의 운동이 안구내렌즈 지지체(10)와 연결수단(50)을 통해 안구내 렌즈(30)에 잘 전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합운동 전달면(20)이 구비된 안구내렌즈 지지체(10)와 변형촉진홈(52c)이 구비된 연결수단(50)이 조합을 이루는 것이 진대의 운동을 안구내 렌즈(30)에 가장 잘 전달시킨다.
변형촉진홈(52c)으로 인해 발생되는 연결수단(50)과 안구내렌즈 지지체(10) 사이의 틈새로는 안구 내에 존재하는 방수(섬모체가 생산하는 눈안의 눈물)가 채워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안구내렌즈 조립체가 작동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거리를 주시할 때 캡슐러색(8)의 제1소대(7a)는 팽팽하게 되고, 제2소대(7b)는 느슨하게 된다. 이로써 캡슐러색(8)의 적도부가 X방향으로 늘어나는 힘을 받게 되고, 캡슐러색(8)의 내부에 위치한 탄성을 가진 안구내렌즈(30)도 같은 방향으로 늘어나서, 그 두께가 얇아지거나, 위치이동이 발생된다. 이때, 진대(7)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X축 한 방향으로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X, Y, Z 삼축 방향의 벡터가 조합된 복합운동을 이루며, 이러한 복합운동(비틀림 포함)은 복합운동 전달면(20)을 통해 보다 더 효율적으로 연결수단(50)의 확장부(52)에 전달되고, 이때 연결수단(50)에 형성된 변형촉진홈(52c)에 의해 연결수단(50)은 복합운동에 따른 변형량이 증가된다. 그리고 복합운동(비틀림포함)은 다시 홈(54)과 고정부(33) 및 햅틱부(32)를 거쳐 안구내 렌즈(30)의 옵틱부(31)에 전달된다. 이때 복합운동 전달면(20)의 역할과, 변형촉진홈(52c)의 역할과, 내주면(12)과 확장부(52)의 역할과, 홈(54)과 고정부(33)의 역할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를 주시할 때 캡슐러색(8)의 제1소대(7a)는 느슨하게 되고, 제2소대(7b)는 팽팽하게 된다. 이로써 캡슐러색(8)의 적도부가 Y방향으로 늘어나는 힘을 받게 되고, 캡슐러색(8)의 내부에 위치한 탄성을 가진 안구내렌즈(30)도 같은 방향으로 늘어나면서 그 두께가 두꺼워지거나, 위치이동이 발생된다. 이때, 진대(7)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단순하게 Y축 한 방향으로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X, Y, Z 삼축 방향의 벡터가 조합된 복합운동을 이루며, 이러한 복합운동(비틀림 포함)은 복합운동 전달면(20)을 통해 보다 더 효율적으로 연결수단(50)의 확장부(52)에 전달되고, 이때 연결수단(50)에 형성된 변형촉진홈(52c)에 의해 연결수단(50)은 복합운동에 따른 변형량이 증가된다. 그리고 복합운동(비틀림포함)은 다시 홈(54)과 고정부(33) 및 햅틱부(32)를 거쳐 안구내 렌즈(30)의 옵틱부(31)에 전달된다. 이때 복합운동 전달면(20)의 역할과, 내주면(12)과 확장부(52)의 역할과, 홈(54)과 고정부(33)의 역할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안구내 렌즈 조립체는 햅틱부(32)의 끝단에 오목부(33a) 및 볼록부(33b)가 구비된 고정부(33)가 형성되고, 연결수단(50)에는 고정부(33)의 오목부(33a) 및 볼록부(33b)와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갖는 볼록부(54b)와 오목부(54a)가 구비된 홈(54)이 형성된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고정부(33)가 홈(54)에 안착되어 운동전달 능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연결수단(50)의 확장부(52)가 안구내렌즈 지지체(10)의 내주면(12)에 밀착되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운동전달 능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변형촉진홈(52c)가 구비됨으로써 연결수단(50)의 운동전달능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안구내렌즈 지지체(10)에 복합운동 전달면(20)을 형성하는 경우, 진대의 미세한 운동이나 3축 방향으로 동시에 작용하는 복합운동이 보다 효과적으로 안구내렌즈 지지체(10)를 거쳐 연결수단(50) 및 안구내렌즈(30)에 전달되므로, 안구내렌즈(30)가천연수정체와 같이 그 두께조절이나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천연적인 수정체가 진대에 연결된 캡슐러색의 작용으로 그 두께가 미세하게 조절되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안구내렌즈 지지체를 사용하는 안구내렌즈 또한 두께변화나 위치이동이나 형상변경이 천연적인 수정체처럼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안구내렌즈 지지체 11 : 외주면
11a : 제1 전면 접촉부 11b : 제1 후면 접촉부
12 : 내주면 12a : 제2 전면 접촉부
12b : 제2 후면 접촉부 20 : 복합운동 전달면
30 : 안구내 렌즈 31 : 옵틱부
32 : 햅틱부 33 : 고정부
33a : 오목부 33b : 볼록부
33c : 측면부 50 : 연결수단
51 : 링부 52 : 확장부
53 : 안착부 54 : 홈

Claims (15)

  1. 안구 내에 삽입되는 안구내 렌즈 조립체로서,
    상기 안구의 캡슐러색 내부에 삽입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슐러색과 접촉되는 외주면(11)은 상기 캡슐러색의 전면부에 접촉되는 제1 전면 접촉부(11a)와, 상기 캡슐러색의 후면부에 접촉되는 제1 후면 접촉부(11b)를 포함하고, 상기 외주면(11)에 대향되는 내주면(12)은 상기 제1 전면 접촉부(11a)에 대향되는 제2 전면 접촉부(12a)와, 상기 제1 후면 접촉부(11b)에 대향되는 제2 후면 접촉부(12b)를 포함하는 안구내렌즈 지지체(10);
    상기 제2 전면 접촉부(12a)의 적어도 일구간에 접촉되는 제3 전면 접촉부(52a)와, 상기 제2 후면 접촉부(12b)의 적어도 일구간에 접촉되는 제3 후면 접촉부(52b)와, 상기 제3 전면 접촉부(52a)와 상기 제3 후면 접촉부(52b)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주면(12)과 이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변형촉진홈(52c)을 포함하는 연결수단(50); 및
    상기 연결수단(50)에 연결되는 안구내 렌즈(30);를 포함하는 안구내 렌즈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내 렌즈(30)는 옵틱부(31)에서 방사형으로 돌출되는 햅틱부(32)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수단(50)의 내주면에는 상기 햅틱부(32)가 고정되는 홈(54)이 구비되는 안구내 렌즈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부(32)의 끝단에는 볼록부(33b)와 오목부(33a)가 구비되고, 상기 홈(54)에는 상기 볼록부(33b)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는 오목부(54a)와 상기 오목부(33a)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는 볼록부(54b)가 구비되는 안구내 렌즈 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50)은
    링 형상을 이루는 링부(51);
    상기 링부(51)에서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고 내주면에 상기 홈(54)이 구비된 안착부(53);
    상기 안착부(53)에서 상기 안구내 렌즈 지지체(1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확장된 단면을 갖도록 돌출되고 적도 부근에 상기 변형촉진홈(52c)가 형성된 확장부(52);를 포함하는 안구내 렌즈 조립체.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50)의 상기 변형촉진홈(52c)이 시작되는 지점은 적도에서 직선거리(L2)가 0.9~1.3mm을 이루는 상기 외주면(11)의 일지점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홈(54)의 저면에서부터 상기 변형촉진홈(52c) 까지의 간격(d2)이 0.4~1.1mm를 이루는 안구내 렌즈 조립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내 렌즈 지지체(10)는 상기 제1 전면 접촉부(11a)의 일부 구간에 운동 전달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중심부를 향해 함몰된 복합운동 전달면(20)이 구비되는 안구내렌즈 조립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운동 전달면(20)은 정면 투영시, 직선단면을 이루는 안구내렌즈 조립체.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운동 전달면(20)은 정면 투영시, 호 형상단면을 이루는 안구내렌즈 조립체.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내렌즈 지지체(10)를 상기 캡슐러색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복합운동 전달면(20)은 진대의 제2소대(7b) 부근에 위치하는 안구내렌즈 조립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면 접촉부(11a)에 형성되는 상기 복합운동 전달면(20)은 상기 안구내렌즈 조립체의 적도에서 0.9mm~1.5mm 길이 구간에 위치하는 안구내렌즈 조립체.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면 접촉부(11b)에 형성되는 상기 복합운동 전달면(20)은 상기 안구내렌즈 조립체의 적도에서 1.2mm~1.9mm 길이 구간에 위치하는 안구내렌즈 조립체.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내렌즈 지지체의 내주면(12)은 상기 안구내렌즈 조립체의 적도를 향해 함몰된 단면형상을 이루고, 상기 내주면(12)은 상기 적도에서부터 상기 제1 전면 접촉부(11a)의 끝단을 향해 적어도 일부 구간이 호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제2 전면 접촉부(12a); 및
    상기 적도에서부터 상기 제1 후면 접촉부(11b)의 끝단을 향해 적어도 일부 구간이 호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제2 후면 접촉부(12b);를 포함하는 안구내렌즈 조립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면 접촉부(11a), 상기 제1 후면 접촉부(11b), 상기 제2 전면 접촉부(12a), 상기 제2 후면 접촉부(12b)의 각 호는 타원의 일부 구간을 이루며,
    이때 각 호를 이루는 각 타원의 단축은 제1 전면 접촉부(11a)가 제1 후면 접촉부(11b) 보다 짧고, 제2 전면 접촉부(12a)가 제2 후면 접촉부(12b) 보다 짧게 형성되는 안구내렌즈 조립체.
  14. 제 13항에 있어서, 각 호를 이루는 각 타원의 단축은 상기 제2 후면 접촉부(12b)가 가장 길고, 상기 제1 전면 접촉부(11a)가 가장 짧게 형성되는 안구내렌즈 조립체.
  15.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면 접촉부(11b)의 일부 구간에는 운동 전달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중심부를 향해 함몰된 복합운동 전달면(20)이 더 포함되는 안구내렌즈 조립체.
KR1020150076716A 2015-05-29 2015-05-29 안구내 렌즈 조립체 KR101718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716A KR101718075B1 (ko) 2015-05-29 2015-05-29 안구내 렌즈 조립체
JP2018514750A JP6595102B2 (ja) 2015-05-29 2015-06-05 眼内レンズ組立体
US15/578,199 US10758339B2 (en) 2015-05-29 2015-06-05 Intraocular lens assembly
CN201580080505.6A CN107847313B (zh) 2015-05-29 2015-06-05 人工晶状体组件
EP15894316.7A EP3305250B1 (en) 2015-05-29 2015-06-05 Intraocular lens assembly
PCT/KR2015/005671 WO2016195143A1 (ko) 2015-05-29 2015-06-05 안구내 렌즈 조립체
ES15894316T ES2928394T3 (es) 2015-05-29 2015-06-05 Conjunto de lente intraocular
JP2019073263A JP6821736B2 (ja) 2015-05-29 2019-04-08 眼内レンズ組立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716A KR101718075B1 (ko) 2015-05-29 2015-05-29 안구내 렌즈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279A KR20160140279A (ko) 2016-12-07
KR101718075B1 true KR101718075B1 (ko) 2017-04-04

Family

ID=5744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716A KR101718075B1 (ko) 2015-05-29 2015-05-29 안구내 렌즈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58339B2 (ko)
EP (1) EP3305250B1 (ko)
JP (2) JP6595102B2 (ko)
KR (1) KR101718075B1 (ko)
CN (1) CN107847313B (ko)
ES (1) ES2928394T3 (ko)
WO (1) WO20161951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518A1 (ko) * 2022-10-18 2024-04-25 주식회사 로섹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4594B2 (en) 2014-06-19 2018-06-26 Omega Ophthalmics Llc Prosthetic capsula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10561493B2 (en) 2015-04-03 2020-02-1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A Body Corporate Lens capsule tension devices
WO2016160456A1 (en) 2015-04-03 2016-10-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A Body Corporate Devices and methods for stabilization of an ocular lens capsule and preventing artificial intraocular lens implant rotation post cataract surgery
CA3026494C (en) 2016-06-06 2022-06-07 Omega Ophthalmics Llc Prosthetic capsula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10548719B2 (en) * 2017-03-01 2020-02-04 Eye-Pcr B.V. Devices for reconstruction of a lens capsule after cataract surgery
JP2021065250A (ja) * 2019-10-17 2021-04-30 株式会社Mirai Eye 調節眼内レンズ
KR102306886B1 (ko) * 2019-10-18 2021-09-30 주식회사 로섹 안구내렌즈
WO2021209955A1 (en) * 2020-04-16 2021-10-21 Alcon Inc. Multi-part iol with stable iol base design to support a second optic
CA3198430A1 (en) * 2020-10-12 2022-04-21 Omega Ophthalmics Llc Prosthetic capsula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940B1 (ko) 2007-03-08 2008-02-28 박경진 안구내렌즈
US20130304203A1 (en) 2012-05-10 2013-11-14 Z Lens LLC Accommodative-Dis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3101A (en) * 1994-11-21 2000-01-11 Acuity (Israel) Limited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implant
US5628798A (en) * 1996-03-18 1997-05-13 Harry C. Eggleston Adjustable and removable intraocular lens implant
FR2784575B1 (fr) * 1998-10-15 2000-12-22 Megaoptic Gmbh Implant intraoculaire accommodatif
US20050085907A1 (en) * 2000-02-16 2005-04-21 Humanoptics Ag Intraocular implant and an artificial lens device
US6960231B2 (en) * 2003-07-14 2005-11-01 Alcon, Inc. Intraocular lens system
KR20080065579A (ko) * 2005-07-01 2008-07-14 비젼 멤브레인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조정 가능한 지지부를 구비한 접을 수 있는 안 내부 렌즈
US20120330415A1 (en) * 2011-06-23 2012-12-27 Anew Optics, Inc. Haptic devices for intraocular lens
US8034106B2 (en) * 2007-02-02 2011-10-11 Adoptics Ag Interfacial refraction accommodating lens (IRAL)
KR100807939B1 (ko) * 2007-03-08 2008-02-28 박경진 안구내렌즈 조립체
KR100843454B1 (ko) * 2007-03-08 2008-07-03 박경진 안구내렌즈 지지체
US8414646B2 (en) * 2007-12-27 2013-04-09 Forsight Labs, Llc Intraocular, accommodating lens and methods of use
CN104146797B (zh) * 2009-01-09 2018-03-30 力景公司 适应性调节眼内晶状体
WO2010091420A1 (en) * 2009-02-09 2010-08-12 Whitsett Jeffrey C Exchangeable intraocular lens device and method of use
CA2766654C (en) * 2009-06-26 2017-10-10 Abbott Medical Optics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es
US9186243B2 (en) * 2011-05-31 2015-11-17 Novartis Ag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and method of implantation
DE102012016893A1 (de) * 2012-08-24 2014-05-15 Be Innovative Gmbh Intraokularlinse, insbesondere Kapselsackintraokularlinse
US9339375B2 (en) * 2012-12-17 2016-05-17 Novartis Ag Capsule expande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inhibiting capsular opacification and stabilizing the capsule
JP5481588B1 (ja) * 2013-05-13 2014-04-23 株式会社Frontier Vision 調節眼内レン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940B1 (ko) 2007-03-08 2008-02-28 박경진 안구내렌즈
US20130304203A1 (en) 2012-05-10 2013-11-14 Z Lens LLC Accommodative-Dis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518A1 (ko) * 2022-10-18 2024-04-25 주식회사 로섹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928394T3 (es) 2022-11-17
EP3305250A4 (en) 2019-03-13
CN107847313B (zh) 2020-12-01
JP2019130376A (ja) 2019-08-08
CN107847313A (zh) 2018-03-27
JP6821736B2 (ja) 2021-01-27
JP2018519981A (ja) 2018-07-26
JP6595102B2 (ja) 2019-10-23
EP3305250B1 (en) 2022-07-20
US20180147049A1 (en) 2018-05-31
KR20160140279A (ko) 2016-12-07
EP3305250A1 (en) 2018-04-11
US10758339B2 (en) 2020-09-01
WO2016195143A1 (ko) 201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075B1 (ko) 안구내 렌즈 조립체
KR100843454B1 (ko) 안구내렌즈 지지체
US8603166B2 (en) Intraocular lens assembly
KR100807940B1 (ko) 안구내렌즈
US8048156B2 (en) Multifocal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6423094B1 (en) Accommodative lens formed from sheet material
EP0901354B1 (en) An ocular implant
KR102493628B1 (ko) 순응형 안내 렌즈
KR101718074B1 (ko) 안구내렌즈 지지체
CN102711668A (zh) 提供假性调节的眼内弦月形透镜
AU2007342023B2 (en) Multifocal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