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85518A1 -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 - Google Patents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85518A1
WO2024085518A1 PCT/KR2023/015524 KR2023015524W WO2024085518A1 WO 2024085518 A1 WO2024085518 A1 WO 2024085518A1 KR 2023015524 W KR2023015524 W KR 2023015524W WO 2024085518 A1 WO2024085518 A1 WO 202408551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ction
intraocular lens
connection support
paragraph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552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섹
Publication of WO202408551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8551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Definitions

  • connection support for an intraocular lens that did not exist before, which efficiently transmits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capsuler bag to the intraocular lens and secures the intraocular lens at a designated position inside the capsuler bag. It relates to a connecting support for an intraocular lens that simultaneously performs the required functions.
  • an intraocular lens suppor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843454, etc.
  • the intraocular lens support is used to control the lens thickness of the intraocular lens because the anterior and posterior capsules of the capsuler bag are attached when using a conventional capsuler tension ring. The problem was solved, and the force related to the relaxation and contraction movement transmitted from the true lens was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intraocular lens inside the capsule bag, so that the intraocular lens had the same excellent control function as the natural lens. It is done.
  • Korean Patent No. 10-1718075 discloses an intraocular lens connecting means.
  • the connecting means has the function of connecting the intraocular lens and the support in order to efficiently transmit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support to the intraocular lens.
  • the connecting means By using the connecting means, the size of the support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length of the cataract incision during surgery, and the connecting means can transmit force while firmly connecting the intraocular lens to the support.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andardized inner surface that can be combined with an intraocular lens, an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onnection support that can stably seat the intraocular lens inside the capsule bag regardless of the type of intraocular lens. do.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traocular lens integrated with a support and connection means that efficiently transmits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o the capsule bag to the intraocular lens and at the same time performs the function of stably positioning the intraocular lens on the inner surface.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onnecting support.
  • connection suppor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 a ring-shaped structure provided inside along the equator of the capsular bag for insertion of an intraocular lens inserted into the capsular bag
  •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wall of the structure are convex toward the capsule bag, and the wall includes a front section located forward in the direction of the visual axis and extending from the front section to the equator.
  • An intraocular lens connection support body comprising a rear section located at the rear of the unit, and a fixing means for fixing an end of the haptic uni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 the fixing means is preferably a bending section extending from the rear section and ben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eyeball.
  •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section may be a curved surface around the point w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sec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ent section mee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ent section may be a straight surface.
  •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tangent lin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sec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ent section may be 45 to 110°.
  •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section is curved around a point w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sec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ending section meet, and may be a curved surface of the bending section.
  •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tange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section and the tange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nt section may be 45 to 110°.
  • connection support it is preferable that some sections of the connection support are open, and the open sections range from 1 to 30° at an angle from the center.
  • connection support body is manufactured to have a total diameter of 9.3 to 12 mm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eyeball,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diameter is manufactured to be constant.
  • the maximum thickness (x, unit: mm) between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of the connection support is preferably 0.35 ⁇ x.
  • connection suppor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hardness of the connection support.
  • the intraocular lens assembly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raocular lens assembly,
  • the intraocular lens connection support In the intraocular lens connection support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apsular bag, it is a ring-shaped structure inserted inside along the equator of the capsular bag, and in a cross section cu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structure, the wall of the structure
  •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have a convex shape toward the capsule bag, and the wall includes a front section located forward in the visual axis direction, a rear section extending from the front section and located behind the equator, and the inner wall of the wall.
  • An intraocular lens connection support including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end of the haptic portion; and
  • An intraocular lens including an optical portion and a haptic portion, wherein the haptic portion is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intraocular lens connection supporter, and an end of the haptic portion is seated in the bending section.
  • the optical part of the intraocular lens moves forward or backward depending on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bag to the intraocular lens capsule bag.
  • connection support for an intraocular lens has the function of efficiently transmitting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capsule bag to the intraocular lens and the haptic function of the intraocular lens without a separate connecting means.
  • connection support moves the intraocular lens forward by a bending section that supports the optical portion of the intraocular lens when a force that deforms the lens is transmitted. Accordingly, the suppor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or can achieve a higher vision correction effect in addition to having excellent deformability of the intraocular lens like the natural lens.
  • the connecting support enables vision correction at a desired level after surgery.
  • the intraocular lens when inserting an intraocular lens of a certain power, the intraocular lens is inserted in a fixed position, preventing the corrected vision from occurring differently for each person, making it possible to correct the vision according to the desired power.
  • the connecting suppor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justed even when a general eye lens is used instead of an intraocular lens having a separate adjustability.
  •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raocular lens connection suppor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ure 1.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rdness and maximum thickness of the intraocular lens connection support.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intraocular lens of the first type is coupled to the intraocular lens suppo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ifferent directions.
  • Figure 5 is a plan view of various types of intraocular lenses that can be used in the connection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n explanatory diagram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intraocular lens when looking at the far and near distances, respec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s comprise, comprises, and comprise mean to include the mentioned article, step, or group of articles, and steps, and any other article. , it is not used in the sense of excluding a step, a group of objects, or a group of steps.
  • Figure 1 is a plan view of a connecting support for an intraocular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
  • the connecting support 100 maintains the shape of the capsule bag like the support previously proposed, solves the problem of the anterior and posterior capsules of the capsule bag being attached,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relaxation and contraction of the true bag efficiently to the intraocular lens. This allows the intraocular lens to provide perspective vision like the natural lens.
  • the connected suppor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that has functions that conventional supports did not have.
  • the connection support has a standardized inner surface that provides a constant inner size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all if the sizes are matched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haptic portion of the intraocular lens.
  • the standardized inner surface provides one size, allowing intraocular lenses to be standardized to a single size without the need to make them in multiple sizes.
  • connection support body 100 is provided with a means for fixing the haptic portion so that the intraocular lens can be accurately positioned in the center of the eye.
  • fixation means moves the intraocular lens forward us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base, thereby providing a function of securing clear vision when looking at a distance.
  • the connecting support 10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apsule bag of a person's eye during cataract surgery before the intraocular lens and is fixed while its out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equator of the capsule bag. Afterwards, when the intraocular lens is inserted, the connecting support body The haptic portion of the intraocular lens is seated on the inside.
  • connection support 100 is an open or closed ring-shaped structure. As shown in FIG. 2, in a cross-section of the structure along the virtual plane in the visual axis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lens, both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have walls that are convex to the outside. In cross-section, the wall includes a front section 110, a rear section 120, and a fixing means 130 bordering the equator of the support.
  • the front section 110 is a section ahead of the equator line, which is a line connecting both ends of the convex apex of the connection support 100
  • the rear section 120 is a line extending from the front section and connecting both ends of the convex apex of the connection support. It is a section posterior to the equator line, and the fixing means 130 is provided in one area of the wall and is a means for fixing the end of the haptic part of the intraocular lens.
  • a preferred example of the fixing means 130 is a bending section.
  • the bending section is a section that extends from the rear section and bends inward.
  • the end of the haptic portion of the intraocular lens is a point w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posterior sec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ending section meet, or is se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nding section.
  • the point w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section 120 meets the inner surface of the bent section 130 is because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section 120, where the end of the haptic unit can be seate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ent section meet to form an area where the end of the haptic unit can be seated. , even if the length of the haptic part is long, it may pass over and settl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nding section.
  •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section 12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ent section 130 meet,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section is a curved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ent section is a straight sur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sec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ent section are viewed in cross section.
  •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tange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sec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ent section may be 45 to 110 degrees, preferably 60 to 100 degrees.
  •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section is a curved surface
  •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sec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ent section are The angle formed by the tange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section and the tange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nding section at the meeting point may be 45 to 110 degrees, preferably 60 to 90 degrees.
  • the haptic leg of the intraocular lens will not be seated at the point w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bending section or the inner side of the rear section meets the inner side of the bending section. If it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leg of the haptic portion will not be seated at the point where the leg of the haptic portion is long. This is because it cannot be seated on the bending section surface if it goes too far.
  • the fixing means is a protrusion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ody wall.
  • the protrusion differs from the bending section in that it extends and protrudes from the inner wall of the posterior section along a ring shape, and the function of seating the haptic leg of the intraocular lens is the same as the bending section.
  • Another example of the fixing means may be forming additional seating grooves in the aforementioned bending section. By additionally forming a seating groove, the end of the haptic portion can be positioned more stably.
  • connection support 100 preferably has an open section in one section to facilitate insertion during surgery.
  • the open section is preferably open at an angle ranging from 1 to 30° from the center. If the opening is less than 1°, it will be difficult to insert it through a small incision during surgery, and if it is more than 30°, the ability to support the intraocular lens as a connecting support may be reduced.
  • the overall diameter of the connection support can be manufactured to be 9.3 to 12 mm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eye, but even if the overall diameter of the connection support changes, the inner diameter,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support and the opposite inner surface, is constant at, for example, 8.6 mm. It is desirable. This is because the inserted intraocular lenses can be standardized. In other words, when using this connecting support, all intraocular lenses can be manufactured in a standardized size determined by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support, and various powers can be manufactured from the standardized size as needed.
  • the thickness (x, mm)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connection support having a large overall diameter is 0.35 ⁇ x. If it is less than 0.35 mm, when inserting an intraocular lens, which usually has a diameter of 12 to 14 mm, the length of the nucleic part is short and may not be seated in the aforementioned bending section.
  • the maximum thickness (x, mm)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hardness (y, Shore hardness) of the connecting support, and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following equation 1 is satisfied.
  •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ardness and maximum thickness for Equation 1 is shown in Figure 4.
  • the reason why the maximum thickness and hardness of the connecting support are maintained in inverse proportion is to lower the hardness and maintain ductility because the thickness increases as the thickness increases, thereby providing flexibility during surgery and reducing the number of incisions.
  • the inner surface 102 is preferably a smooth surface so that the haptic part of the intraocular lens can slide easily, and the bent section is bent so that the end of the haptic part can be seated and stably fixed without being separated.
  • the outer surface 101 is a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psule bag, and is in contact at at least two points.
  • an area of at least 1/2 to 1 of the cross-sectional length of the outer surface 101 is required. It is desirable to contact the capsuleer back, and at this time, more than 1/2 of the contact area should include a section where the belt is connected to the periphery of the equator. This is to efficiently transmit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base.
  • Table 1 is an example showing the size, thickness, and hardness of the connection support.
  •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support varies depending o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support, but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support is designed to remain constant.
  • the connection support is designed so that the maximum thickness and the Shore hardness of silicon are inversely proportional to each other.
  • connection support Maximum thickness of connection support (mm) Inner diameter of connection support (mm) Shore hardness of the connecting support 9.3 0.35 8.6 86 9.4 0.4 8.6 75 9.5 0.45 8.6 67 9.6 0.5 8.6 60 9.7 0.55 8.6 55 9.8 0.6 8.6 50 9.9 0.65 8.6 46 10 0.7 8.6 43 10.1 0.75 8.6 40 10.2 0.8 8.6 38 10.3 0.85 8.6 35 10.4 0.9 8.6 33 10.5 0.95 8.6 32 10.6 One 8.6 30
  • the outer diameter of the above-described connecting support may be larger or smaller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for example, the outer diameter may be 11.75 to 12 mm, and in this case, the Showa hardness may be 30 or less.
  • Figure 5 is a plan view of various types of intraocular lenses that can be used in the connection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ptic portion of the intraocular lens being seated on the connection support for the intraocular lens.
  • the intraocular lens 200 of various shapes shown in FIG. 5 usually consists of an optical portion 210 and a haptic portion 220.
  • the optical part 210 is a lens part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apsule bag, and the intraocular lens 200 mainly has a convex lens shape (however, in some ultra-high myopia patients, it has a concave lens shape).
  • the haptic part 220 extends from the optical part 210 and is a leg part for positioning the optical part 210 inside the capsule bag, and is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three radial legs or in the shape of four squares. Additionally, the haptic unit 220 may be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optical unit 210 or may be connected to the optical unit at an ang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haptic part is not limited, but the overall length of the haptic part must be longer than the inner diameter so that the end of the haptic part can be seated in the bending section.
  • the combined length of the optical and haptic parts of commercialized intraocular lenses is 12 to 14 mm.
  • Commercialized intraocular lenses are first inserted in a folded state with the capsuler tension ring inserted, and then unfolded so that the legs forming the haptic part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psuler and are elastically fixed.
  •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connection support is 0.35 ⁇ It extends until it reaches section 130.
  • the legs of the haptic portion extend while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supporter, and the ends are seated in the bending section. Therefore, the haptic portion 220 of the intraocular lens 200 extends while touch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support, so that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support can be well transmitted, and since both ends are seated in the bending section, centering can be easily performed. There will be.
  • Figure 6(a) shows a flat haptic unit
  • Figures 6(b) and 6(c) show a state in which an inclined intraocular lens is inserted.
  • the haptic portion 220 when the haptic portion 220 is flat, the haptic portion is bent while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support, and the end is se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nt section 130 or the point where the bent section 130 and the rear section 120 meet. .
  • connection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even in the case of an intraocular lens in which the haptic portion 220 is inclin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 the forward movement of the optical part 210 can be very powerful.
  • Figure 7 is an explanatory diagram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intraocular lens when looking at the far and near distances, respec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otal length of the intraocular lens 200 is mad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support, and a bent end is formed at the end of the wall of the connecting support 100, so that the optical part of the intraocular lens 200 is forward of the equator line. It can be located in .
  • the optical unit 210 is located ahead of the equator line,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capsuler back to the connection support changes the haptic unit 220 to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capsuler back when looking at a distance, and the optical unit can move forward. By moving the optical unit 210 forward, the correction effect to increase vision can be maximized.
  • the thickness is very thin, so even if force is transmitted,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curvature of the intraocular lens, making it difficult to obtain a controlled correction effect.
  • the artificial lens forward by moving the artificial lens forward, a high correction effect can be obtained.
  • the optical unit 210 moves backward again, and the mechanism is opposite to when the optical unit 210 moves forwar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는, 캡슐러백의 내부에 삽입되는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캡슐러백(capsular bag)의 적도를 따라 내부에 삽입되는 링형상 구조체로서, 상기 구조체를 시축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에서, 상기 구조체의 벽은 내면 및 외면이 상기 캡슐러백을 향해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벽은 시축방향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구간과, 상기 전방구간으로부터 연장되어 적도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구간, 및 상기 후방구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캡슐러백의 내부방향으로 꺽이는 절곡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종래에는 존재하지 않던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에 관한 것으로, 캡슐러백으로 전해지는 힘을 안구내렌즈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안구내렌즈를 캡슐러백 내부에 정해진 위치에 잘 안착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의 안구내렌즈 관련 특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843454호 등에는 안구내렌즈 지지체가 공개되어 있다. 안구내렌즈 지지체는 백내장 수술 중 캡슐러백의 원형 윤곽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텐션링과는 달리, 종래 캡슐러 텐션링을 사용하는 경우 캡슐러백의 전낭과 후낭이 붙어버려 안구내렌즈의 수정체두께 조절에 문제가 생기는 점을 해결하고, 진대에서 전달되는 이완과 수축운동에 관련되 힘을 효율적으로 캡슐러백 내부의 안구내 렌즈에 전달하여 안구내렌즈가 천연수정체와 같은 조절력이 뛰어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718075호에는 안구내렌즈 연결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연결수단은 지지체에서 전달되는 힘을 안구내렌즈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안구내렌즈와 지지체사이를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다.
연결수단을 매개함으로써 지지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수술시 백내장의 절개 길이를 감소할 수 있고, 연결수단은 안구내렌즈가 지지체 내에 견고히 연결되면서 힘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지지체와 연결수단은 종래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였으나, 모든 안구내렌즈가 지지체나 연결수단과 결합가능한 형태로 제조되지 않았다. 즉, 지지체와 연결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안구내렌즈와의 호환성이 문제가 되어, 모든 안구내렌즈와 접합될 수 있는 표준화된 지지체와 연결수단이 필요하였다.
(종래특허문헌 1) 한국특허 제 10-084345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안구내렌즈와 결합될 수 있는 표준화된 내면을 가져, 안구내렌즈의 종류에 관계없이 안구내렌즈를 캡슐러백 내부에 안정되게 안착시킬 수 있는는 연결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외부에서 캡슐러백으로 전해지는 힘을 안구내렌즈에 효율적으로 전달하면서도 동시에, 안구내렌즈를 내면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지지체와 연결수단이 일체화된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연결지지체는,
캡슐러백의 내부에 삽입되는 안구내렌즈 삽입을 위해 상기 캡슐러백(capsular bag)의 적도를 따라 내부에 구비되는 링형상 구조체로서,
상기 구조체를 시축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에서, 상기 구조체의 벽은 내면 및 외면이 상기 캡슐러백을 향해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벽은 시축방향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구간과, 상기 전방구간으로부터 연장되어 적도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구간, 및 상기 벽의 내면에 상기 햅틱부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
이 때,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후방구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안구의 내부방향으로 꺽이는 절곡구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과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이 만나는 점 주변에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은 곡면이고,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은 직선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과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이 만나는 점에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에서의 접선과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이 이루는 각도는 45 내지 11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과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이 만나는 점 주변에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은 곡면이고, 상기 절곡구간의 곡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과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이 만나는 점에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에서의 접선과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에서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는 45 내지 110°인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체는 일부 구간이 개방구간되고, 상기 개방구간은 중심에서 각도로 1 내지 3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체의 안구의 크기에 따라 전체직경은 9.3 내지 12mm로 다양하게 제작되나, 상기 내직경은 일정하게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체의 외면과 내면사이의 최대두께(x, 단위 : mm)는 0.35≤ x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체의 최대두께는 상기 연결지지체의 경도와 반비례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최대두께(x, mm)와 상기 연결지지체의 경도(y, 쇼아경도)사이에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1)
-196.08x3 + 523.43x2 - 503.5x + 204≤y ≤196.08x3 + 523.43x2 - 503.5x + 207 (이 때, 0.35≤x)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안구내렌즈 어셈블리는,
캡슐러백의 내부에 삽입되는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캡슐러백(capsular bag)의 적도를 따라 내부에 삽입되는 링형상 구조체로서, 상기 구조체를 시축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에서, 상기 구조체의 벽은 내면 및 외면이 상기 캡슐러백을 향해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벽은 시축방향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구간과, 상기 전방구간으로부터 연장되어 적도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구간, 및 상기 벽의 내면에 상기 햅틱부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 및
옵틱부와 햅틱부를 포함하는 안구내렌즈로서, 상기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의 내면에 상기 햅틱부가 접하며, 상기 절곡구간에 상기 햅틱부의 단부가 안착되는 안구내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안구내렌즈 캡슐러백에 진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따라 상기 안구내렌즈의 옵틱부가 전방으로 이동하거나,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는 캡슐러백에서 전해지는 힘을 안구내렌즈에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기능과 별도의 연결수단 없이도 안구내렌즈의 햅틱부가 정해진 위치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기능을 하나로 결합시킴으로써, 안구내렌즈 삽입 수술시 간편하게 시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안구내렌즈를 정해진 위치(즉, 중심)에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연결지지체는 수정체를 변형시키는 힘이 전달 될 때 안구내렌즈의 옵틱부를 받쳐주는 절곡구간에 의해 안구내렌즈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종래 본 발명자가 제안한 지지체가 안구내렌즈를 천연수정체와 같이 우수한 변형력을 가지는 것에 더하여 보다 높은 시력 교정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일측면에 따른 연결지지체는 수술 후 원하는 도수대로 시력교정을 가능하게 한다. 즉, 정해진 도수의 안구내 렌즈를 삽입할 경우 안구내렌즈가 정해진 위치에 삽입되므로 사람마다 다르게 교정시력이 나오는 것이 방지되어 원하는 도수대로 시력을 교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연결지지체는 별도의 조절성을 가지는 안구내렌즈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 안구렌즈를 사용하더라도 조절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의 경도와 최대두께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구내렌즈 지지체에 제1형태의 안구내렌즈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결합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지지체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안구내렌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각각 원거리와 근거리를 주시할 때 안구내렌즈의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 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 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위에/아래에" 또는 "상에/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위에/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연결지지체(100)는 종래에 제안된 지지체와 같이 캡슐러백의 형상을 유지하며, 캡슐러백의 전낭 및 후낭이 붙어버리는 문제를 해결하면서, 동시에 진대의 이완과 수축을 안구내렌즈에 효율적으로 전달하여 안구내렌즈가 천연수정체와 같이 원근감있는 시력을 제공하게 한다.
동시에 본 발명의 연결지지체(100)는 종래 지지체는 가지지 못했던 기능을 가지는 구조체이다. 즉, 연결지지체는 내면의 크기를 일정하게 제공하여 안구내렌즈의 햅틱부의 형상과는 관계없이 크기를 일치시키면 모두 적용될 수 있도록 표준화된 내면을 구비한다. 즉, 표준화된 내면은 하나의 크기를 제공하므로 안구내렌즈를 여러크기로 만들 필요 없이 단일크기로 표준화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연결지지체(100)는 햅틱부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안구내렌즈가 안구의 중심부에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고정수단은 진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한 안구내렌즈를 전방으로의 이동시켜 원거리를 볼 때 탁원한 시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연결지지체(100)는 백내장 수술시 사람의 눈의 캡슐러백 내부공간에 안구내렌즈보다 먼저 삽입되어 외면이 캡슐러백의 적도부에 접하면서 고정되며, 이후 안구내렌즈가 삽입될 때, 연결지지체의 내면에 안구내렌즈의 햅틱부가 안착된다.
연결지지체(100)는 개방 또는 폐쇄된 링형상 구조체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체를 수정체 시축방향(Y방향)의 가상평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상에서 내면과 외면이 모두 외부로 볼록한 벽을 가지며, 벽은 단면상에서 지지체의 적도를 경계로 전방구간(110), 후방구간(120), 고정수단(130)을 포함한다.
전방구간(110)은 연결지지체(100)의 볼록한 정점의 양단을 연결한 선인 적도선보다 전방에 있는 구간이고, 후방구간(120)은 전방구간에서 연장되어 연결지지체의 볼록한 정점의 양단을 연결한 선인 적도선보다 후방에 있는 구간이며, 고정수단(130)은 벽의 일영역에 구비되어 안구내렌즈의 햅틱부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수단이다.
고정수단(130)의 바람직한 예는 절곡구간이다. 절곡구간은 후방구간에서 연장되어 내부방향으로 꺽이는 구간이다. 이 때, 안구내렌즈의 햅틱부의 단부는 후방구간의 내면과 절곡구간의 내면이 만나는 점이거나, 절곡구간의 내면에 안착된다.
후방구간(120)의 내면이 절곡구간(130)의 내면이 만나는 점은 햅틱부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후방구간(120)의 내면과 절곡구간의 내면이 만나서 안착할 수 있는 영역을 형성하기 때문이며, 만약 햅틱부의 길이가 길더라도 경우 이를 지나쳐서 절곡구간의 내면에 안착될 수 있다.
즉, 후방구간(120)의 내면과 상기 절곡구간(130)의 내면이 만나는 점 주변에서 후방구간의 내면은 곡면이고, 절곡구간의 내면은 직선면일 경우, 단면상 후방구간의 내면과 절곡구간의 내면이 만나는 점에서 후방구간의 내면에서의 접선과 절곡구간의 내면이 이루는 각도는 45 내지 110도, 바람직하게 60 내지 100도일 수 있다.
또한, 후방구간(120)의 내면과 절곡구간(130)의 내면이 만나는 점 주변에서 후방구간의 내면은 곡면이고, 절곡구간의 내면은 곡면일 경우, 단면상 후방구간의 내면과 절곡구간의 내면이 만나는 점에서 후방구간의 내면에서의 접선과 절곡구간의 내면에서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는 45 내지 110도, 바람직하게 60 내지 90도 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절곡구간의 내면 또는 후방구간의 내변과 절곡구간의 내면이 만나는 점에 안구내렌즈의 햅틱부 다리가 안착되지 못하며,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햅틱부의 다리가 긴 경우에 만나는 점을 지나쳐서 절곡구간면에 안착될 수 없기 때문이다.
고정수단의 다른 예는 연결체 벽의 내면에 구비되는 돌출부이다. 돌출부는 링형상을 따라 후방구간의 내벽면에서 연장되어 돌출된다는 점에서 절곡구간과 차이가 있으며, 안구내렌즈의 햅틱부 다리를 안착시키는 기능은 절곡구간과 동일하다.
고정수단의 또 다른 예는 전술한 절곡구간에 추가로 안착홈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안착홈을 추가적으로 형성함으로써 햅틱부의 단부가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연결지지체(100)는 수술시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일구간이 개방구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방구간은 중심에서 각도로 1 내지 30°의 범위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미만으로 개방되면 수술시 작게 절개된 부분으로 삽입이 어려워지고, 30°을 초과하면 연결지지체로서 안구내렌즈를 지지하는 능력이 낮아질 수 있다.
연결지지체의 전체직경은 안구의 크기에 따라 9.3 내지 12mm로 제작될 수 있으나, 연결지지체의 전체직경이 변화하더라도 연결지지체의 내면과 반대쪽 내면사이의 거리인 내직경은 예를 들면, 8.6mm로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삽입되는 안구내렌즈를 표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연결지지체를 사용하는 경우 모든 안구내렌즈는 연결지지체의 직경에 정해지는 표준화된 크기로 제작될 수 있고, 표준화된 크기에서 여러 도수를 필요에 맞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전체직경이 큰 연결지지체의 내면과 외면사이의 두께(x, mm)는 0.35≤ x인 것이 바람직하다. 0.35mm 미만이면 통상 지름이 12 내지 14mm인 안구내렌즈 삽입시 핵틱부의 길이가 짧아서 전술한 절곡구간에 안착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최대두께(x, mm)는 연결지지체의 경도(y, 쇼아경도)사이에는 반비례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1)
-196.08x3 + 523.43x2 - 503.5x + 204≤y ≤196.08x3 + 523.43x2 - 503.5x + 207 (이 때, 0.35≤x)
식 1에 대한 경도와 최대두께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결지지체의 최대두께와 경도를 반비례로 유지하는 것은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크기가 커지므로 경도를 낮추어서 연성을 유지하여 수술시 유연성을 갖게 하고 절개부위을 적게하기 위함이다.
내면(102)은 매끄러운 면으로서 안구내렌즈의 햅틱부가 잘 미끄러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절곡구간은 햅틱부의 단부가 안착되어 이탈되지 않고 안정하게 고정될 수 있게 절곡되어 있다.
외면(101)은 캡슐러백의 내면에 접하게 되는 면으로서, 적어도 2점 이상에서 접하며, 효과적으로 캡슐러백에 전달되는 힘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외면(101)의 단면상 길이의 적어도 1/2 내지 1의 영역이 캡슐러백과 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때 접하는 영역의 1/2이상은 적도의 주변부에 진대가 연결된 구간을 포함해야 한다. 이는 진대에서 전달되는 힘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함이다.
한편 표 1은 연결지지체의 크기, 두께, 경도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이다.
이에 따르면, 연결지지체의 외직경에 따라서 연결지지체의 외직경은 달라지지만 연결지지체의 내직경은 일정하게 유지되게 설계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연결지지체는 최대두께와 실리콘의 쇼아경도가 서로 반비례하게 설계됨을 알 수 있다.
연결지지체의 외직경 연결지지체의 최대두께 (mm) 연결지지체의 내직경 (mm) 연결지지체의 쇼아 경도
9.3 0.35 8.6 86
9.4 0.4 8.6 75
9.5 0.45 8.6 67
9.6 0.5 8.6 60
9.7 0.55 8.6 55
9.8 0.6 8.6 50
9.9 0.65 8.6 46
10 0.7 8.6 43
10.1 0.75 8.6 40
10.2 0.8 8.6 38
10.3 0.85 8.6 35
10.4 0.9 8.6 33
10.5 0.95 8.6 32
10.6 1 8.6 30
한편, 전술한 연결지지체의 외직경은 전술한 실시예들보다 더 크거나 작을 수 있어서 예를 들어, 외직경은 11.75 내지 12mm일 수 있으며, 이 때 쇼와경도는 30이하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지지체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안구내렌즈의 평면도이고, 도 6은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에 안구내렌즈의 햅틱부가 안착되는 모습의 단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도 5에 제시된 다양한 형상의 안구내렌즈(200)는 통상 옵틱부(210)와 햅틱부(220)로 이루어진다. 옵틱부(210)는 안구내렌즈(200)는 캡슐러백의 내부에 삽입되는 렌즈부분으로서, 주로 볼록렌즈형상(단, 일부 초고도근시환자에서는 오목렌즈형상)을 가진다.
햅틱부(220)는 옵틱부(210)에서 연장되어 옵틱부(210)를 캡슐러백 내부에 위치시키기 위한 다리 부분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된다. 예를 들면, 3개의 방사형 다리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4개의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햅틱부(220)는 옵틱부(210)와 동일평면상에 위치하거나 옵틱부에 대해서 햅틱부가 경사를 이루면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햅틱부의 형상에는 제한되지 않으나, 햅틱부의 전체길이가 내직경보다 커서 햅틱부의 단부가 절곡구간에 안착될 수 있도록 길어야 한다.
상용화된 안구내렌즈들의 옵틱부와 햅틱부를 합친 길이는 12 내지 14mm이다. 상용화된 안구내렌즈들은 먼저 캡슐러텐션링이 삽입한 상태에서 접힌 상태 삽입되며, 이후 펴지면서 햅틱부를 이루는 다리가 캡슐러색의 내면에 접하게 되면서 탄성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안구내렌즈를 직접 캡슐러백에 삽입하는 경우 이 경우 안구내렌즈의 센터링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안구내렌즈는 진대의 힘을 전혀 전달받지 못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연결지지체를 사용할 경우 연결지지체의 최대두께가 0.35≤ x ≤1이므로 내부공간의 크기상 안구내렌즈는 햅틱부(220)의 다리가 펴지지 못하고, 휘어지면서 연결지지체의 꺽여진 절곡구간(130)에서 닿을 때까지 뻗치게 된다.
이로써, 도 6와 같이 햅틱부의 다리는 연결지지체의 내면에 접하면서 연장되다가 단부는 절곡구분에 안착되게 된다. 따라서 안구내렌즈(200)는 햅틱부(220)는 연결지지체의 내면에 닿으면서 연장되어 연결지지체에 전달된 힘을 잘 전달받을 수 있으며, 양쪽 단부가 절곡구간에 안착되므로 센터링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6(a)는 햅틱부가 평평한 것, 도 6(b), 도 6(c)는 경사져 있는 안구내렌즈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에 따르면 햅틱부(220)가 평평한 경우, 햅틱부가 연결지지체의 내면에 접하면서 구부러지고, 단부는 절곡구간(130)의 내면 또는 절곡구간(130)과 후방구간(120)이 만나는 점에 안착된다.
햅틱부(220)가 경사진 안구내렌즈의 경우에도 방향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따른 연결지지체는 적용가능함을 보인다. 특히 도 6(b)와 같이 햅틱부의 경사가 전방으로 향하게 한 후 다시 후방으로 꺽는 구조인 경우 전방으로 옵틱부(210)의 전방이동을 매우 강력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각각 원거리와 근거리를 주시할 때 안구내렌즈의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구내렌즈(200)의 전체길이를 연결지지체의 내직경보다 크게하고, 연결지지체(100)의 벽의 단부에 절곡단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안구내렌즈(200)의 옵틱부는 적도선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옵틱부(210)가 적도선보다 전방에 위치함으로써, 캡슐러백에서 연결지지체에 전달되는 힘은 원거리를 볼 때 캡슐러백에서 전달되는 힘에 햅틱부(220)가 변경되며 옵틱부는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전방으로 옵틱부(210)가 이동함으로써 시력을 높이는 교정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즉, 안구내렌즈(IOL)의 경우 두께가 매우 얇아서 힘이 전달되더라도 안구내렌즈의 곡률을 높이기 어려워 조절되는 교정효과를 얻기 어려웠지만 인공수정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높은 교정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반대로 근거리를 볼 때에는 옵틱부(210)는 다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메커니즘은 옵틱부(21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와 반대가 된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 연결지지체
101 : 외면
102 : 내면
110 : 전방구간
120 : 후방구간
130 : 고정수단(절곡구간)
200 : 안구내렌즈
210 : 옵틱부
220 : 햅틱부

Claims (13)

  1. 캡슐러백의 내부에 삽입되는 안구내렌즈 삽입을 위해 상기 캡슐러백(capsular bag)의 적도를 따라 내부에 구비되는 링형상 구조체로서,
    상기 구조체를 시축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에서, 상기 구조체의 벽은 내면 및 외면이 상기 캡슐러백을 향해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벽은 시축방향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구간과, 상기 전방구간으로부터 연장되어 적도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구간, 및 상기 벽의 내면에 상기 햅틱부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후방구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안구의 내부방향으로 꺽이는 절곡구간인 연결지지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과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이 만나는 점 주변에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은 곡면이고,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은 직선면인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과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이 만나는 점에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에서의 접선과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이 이루는 각도는 45 내지 110°인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과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이 만나는 점 주변에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은 곡면이고, 상기 절곡구간의 곡면인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과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이 만나는 점에서 상기 후방구간의 내면에서의 접선과 상기 절곡구간의 내면에서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는 45 내지 110°인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체는 일부 구간이 개방구간되고, 상기 개방구간은 중심에서 각도로 1 내지 30°의 범위인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체의 안구의 크기에 따라 전체직경은 9.3 내지 12mm로 다양하게 제작되나, 상기 내직경은 일정하게 제조되는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체의 외면과 내면사이의 최대두께(x, 단위 : mm)는 0.35≤ x 인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체의 최대두께는 상기 연결지지체의 경도와 반비례 관계에 있는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두께(x, mm)와 상기 연결지지체의 경도(y, 쇼아경도)사이에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연결지지체.
    (화학식 1)
    -196.08x3 + 523.43x2 - 503.5x + 204≤y ≤196.08x3 + 523.43x2 - 503.5x + 207 (이 때, 0.35≤x)
  12. 캡슐러백의 내부에 삽입되는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캡슐러백(capsular bag)의 적도를 따라 내부에 삽입되는 링형상 구조체로서, 상기 구조체를 시축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에서, 상기 구조체의 벽은 내면 및 외면이 상기 캡슐러백을 향해서 볼록한 형상이고, 상기 벽은 시축방향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구간과, 상기 전방구간으로부터 연장되어 적도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구간, 및 상기 벽의 내면에 상기 햅틱부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 및
    옵틱부와 햅틱부를 포함하는 안구내렌즈로서, 상기 안구내렌즈 연결지지체의 내면에 상기 햅틱부가 접하며, 상기 절곡구간에 상기 햅틱부의 단부가 안착되는 안구내렌즈를 포함하는 안구내렌즈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내렌즈 캡슐러백에 진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따라 상기 안구내렌즈의 옵틱부가 전방으로 이동하거나, 후방으로 이동하는 안구내렌즈 어셈블리.
PCT/KR2023/015524 2022-10-18 2023-10-10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 WO202408551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757A KR20240053798A (ko) 2022-10-18 2022-10-18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
KR10-2022-0133757 2022-10-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5518A1 true WO2024085518A1 (ko) 2024-04-25

Family

ID=90737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5524 WO2024085518A1 (ko) 2022-10-18 2023-10-10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3798A (ko)
WO (1) WO202408551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4503A (ja) * 2000-03-02 2003-08-19 アドバンスト メディカル オプ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眼内レンズ用ホルダ
KR100843454B1 (ko) * 2007-03-08 2008-07-03 박경진 안구내렌즈 지지체
US20130304206A1 (en) * 2012-05-10 2013-11-14 Ioannis Pallikaris Intraocular Device to Restore Natural Capsular Tension after Cataract Surgery
KR101718075B1 (ko) * 2015-05-29 2017-04-04 주식회사 로섹 안구내 렌즈 조립체
JP2019535362A (ja) * 2016-10-21 2019-12-12 オメガ オフサルミックス エルエルシーOmega Ophthalmics Llc 人工水晶体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4503A (ja) * 2000-03-02 2003-08-19 アドバンスト メディカル オプ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眼内レンズ用ホルダ
KR100843454B1 (ko) * 2007-03-08 2008-07-03 박경진 안구내렌즈 지지체
US20130304206A1 (en) * 2012-05-10 2013-11-14 Ioannis Pallikaris Intraocular Device to Restore Natural Capsular Tension after Cataract Surgery
KR101718075B1 (ko) * 2015-05-29 2017-04-04 주식회사 로섹 안구내 렌즈 조립체
JP2019535362A (ja) * 2016-10-21 2019-12-12 オメガ オフサルミックス エルエルシーOmega Ophthalmics Llc 人工水晶体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3798A (ko) 202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95143A1 (ko) 안구내 렌즈 조립체
US20190358025A1 (en)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es
US4551864A (en) Anterior chamber lens
US4249272A (en) Intraocular lens
US5152789A (en) Fixation member for an intraocular lens
EP0165652A1 (en) Intraocular lens
US5192319A (en) Intraocular refractive lens
US4451938A (en) Intraocular lens and method of positioning the same in an eye
CA2530033A1 (en) Intraocular lens system
US6475240B1 (en) An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 and methods for reducing pupil ovalling
BR0111161A (pt) Lente intraocular dobrável fixada a iris
CA2580331A1 (en) Intraocular lens system
EP0451158A4 (en) Intraocular lens assembly
JP2002507451A (ja) 柔軟なモノブロックの眼内レンズ
IL93557A0 (en) Goggle lenses
WO2024085518A1 (ko) 안구내렌즈용 연결지지체
BR0111162A (pt) Lente intraocular injetável fixada a iris
US6616693B1 (en) Flexible fixation members for angle-supported an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es
WO2021049689A1 (ko) 과신전을 방지하는 슬관절 임플란트
US20030018386A1 (en) Anterior chamber angle-supported intraocular lenses with flexible optic and rigid fixation members
EP0177143B1 (en) Intraocular lens with a vaulted optic
EP0962196B1 (en) Intraocular lens
EP1502561B1 (en) Intraocular lens
WO2019208979A1 (ko) 트로카
KR20240053797A (ko) 안구내렌즈용 연결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