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2601A - 세제 및 물 사용량을 절감한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세제 및 물 사용량을 절감한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2601A
KR20240052601A KR1020230006518A KR20230006518A KR20240052601A KR 20240052601 A KR20240052601 A KR 20240052601A KR 1020230006518 A KR1020230006518 A KR 1020230006518A KR 20230006518 A KR20230006518 A KR 20230006518A KR 20240052601 A KR20240052601 A KR 20240052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chamber
clean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6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성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브세이프티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브세이프티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브세이프티코리아
Publication of KR20240052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260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7Energy or water consumption, e.g. by saving energy or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23Water fill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34Drying phases, including dripping-off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6In-sink dishwash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13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using sonic or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5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or tableware, e.g. nature or quant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4Crockery or tableware details, e.g. material, quantit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4Water pressure or flow rate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캐비테이션을 극대화하여 세제 사용량을 줄이고,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세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제1 모드와 제2 모드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세척 단계를 포함하는 세척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모드는, 세척 챔버에 제1 수위로 세척수를 급수하고, 세척 블레이드의 내부 유로로 상기 세척 챔버 내의 세척수를 흡입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상면 분사홀을 통해 세척수를 상측으로 분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세척 챔버에 상기 제1 수위 보다 높은 제2 수위로 세척수를 급수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 유로로 상기 세척 챔버 내의 세척수를 흡입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분사홀을 통해 세척수를 상측으로 분사하고, 진동자를 이용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세제 및 물 사용량을 절감한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DISHWASHER WITH REDUCED DETERGENT AND WATER US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캐비테이션을 극대화하여 세제 사용량을 줄이고,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세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그릇, 접시와 같은 식기를 자동으로 세척하고 건조하는 세척 장치를 통칭한다. 종래에는 식기 세척기를 싱크대 주변의 테이블 등 공간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은 상당한 정도의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여 부엌 공간 활용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식기 세척기의 식기 수용 용량이 커질수록 식기 세척기가 차지하는 공간도 커지기 때문에, 위와 같은 문제는 식기 세척기의 수용 용량을 높이는데 한계로 작용하고 있었다.
KR 20-0298795 Y1 KR 10-2018-0088205 A
싱크대 하부의 공간에 식기 세척기를 매립하여 빌트-인 타입으로 설치할 경우 식기 세척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공간 활용성이 높아질 뿐 아니라 부엌 공간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종래 빌트-인 타입의 식기 세척기는 수평 방향에 위치한 도어를 여닫는 소위 서랍식 식기 세척기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빌트-인의 구현을 위해 식기 세척기를 싱크대 하부 공간에 설치할 경우 서랍식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위치 또한 사람의 허리 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한다. 즉 식기 세척기 내부에 식기를 수납하거나, 식기 세척기로부터 식기를 꺼내기 위해 사용자가 허리나 다리를 굽혀야 하며 이는 식기 세척기의 사용을 불편하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한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척 챔버가 상부 개구를 갖도록 구성하고, 개구를 상측에서 개폐할 수 있는 챔버 도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주로 챔버 내부의 천장 측 등에 세척수의 분사를 위한 분사 노즐, 세척 블레이드 및/또는 기타의 세척을 위한 구조체를 설치한다. 그러나 세척 챔버를 상부 측에서 밀폐하는 챔버 도어의 경우 구조적 한계로 인해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 노즐 등을 설치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높은 세척능을 나타낼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 모드와 제2 모드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세척 단계를 포함하는 세척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모드는, 세척 챔버에 제1 수위로 세척수를 급수하고, 세척 블레이드의 내부 유로로 상기 세척 챔버 내의 세척수를 흡입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상면 분사홀을 통해 세척수를 상측으로 분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세척 챔버에 상기 제1 수위 보다 높은 제2 수위로 세척수를 급수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 유로로 상기 세척 챔버 내의 세척수를 흡입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분사홀을 통해 세척수를 상측으로 분사하고, 진동자를 이용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모드에서는 상기 진동자가 동작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수위는 세척 챔버에 투입된 식기 트레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만 침지되는 높이이고, 상기 제2 수위는 상기 식기 트레이가 완전히 침지되는 높이일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세척수를 상측으로 분사한 후에, 세척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수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세척수를 급수하는 동안 또는 후에, 가열부를 이용해 급수된 세척수를 가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모드에서는 상기 가열부가 동작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진동자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2 모드에서 각 진동자는 20kHz 내지 30kHz로 동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세척 단계 후에 건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건조 단계는 상기 세척 챔버 내부로 열풍을 분사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챔버 도어의 도어 개구를 개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세척수를 급수하기 전에, 급수량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급수량을 결정하는 것은, 챔버 도어에 구비된 투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의 상기 제1 수위는 미리 지정된 수위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급수량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세척 챔버 및 그 내부의 구성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로드 셀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의 상기 제1 수위는 미리 지정된 수위일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세척 챔버; 상기 세척 챔버의 상부 개구를 밀폐하도록 구성된 도어; 상기 세척 챔버의 바닥부 상에 배치된 세척 블레이드로서, 그 상면에 복수의 분사홀이 형성된 블레이드; 상기 바닥부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진동자; 상기 바닥부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가열부; 상기 세척 챔버에 급수하도록 구성된 급수부; 및 상기 세척 챔버의 바닥부에서 배수하도록 구성된 배수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세척 장치는 적어도 상기 세척 챔버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배치된 로드 셀; 및 상기 세척 도어의 내측면 상에 배치된 광 센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에 식기를 수납하거나, 식기 세척기로부터 세척된 식기를 꺼냄에 있어서 사용자가 허리나 다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어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 캐비테이션 효과를 극대화하여 우수한 세정력 내지는 세척력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더 적은 세제를 사용하거나, 또는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높은 세척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식기뿐 아니라 과일, 채소나 고기 등의 식품, 장난감 등의 생활 물품 또한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가 설치된 싱크대를 포함하는 세척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척 장치의 챔버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척 시스템의 싱크대, 세척 장치 및 트레이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세척 장치의 세척 챔버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세척 장치의 세척 챔버의 바닥부를 표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세척 장치를 부분적으로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세척 시스템의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제1 모드 세척 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제2 모드 세척 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9의 제1 모드 세척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도 10의 제2 모드 세척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즉,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위(above)', '상부(upper)', ‘상(on)’,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그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과 상한으로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낸다. '약' 또는 '대략'은 그 뒤에 기재된 값 또는 수치 범위의 20% 이내의 값 또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를 지칭함에 있어 '제1 구성요소', '제2 구성요소', '제1-1 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적 수식어는 어느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일 뿐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지칭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제2 구성요소로 바꾸어 지칭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로 지칭될 수 있다. 또, 발명의 설명에서 제1 구성요소로 지칭되는 것은 청구항에서 제2 구성요소로 지칭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제1 방향(X)은 평면 내 임의의 일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Y)은 상기 평면 내에서 제1 방향(X)과 교차하거나 수직한 다른 방향을 의미한다. 제3 방향(Z)은 상기 평면과 교차하거나 수직한 또 다른 방향을 의미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평면 시점'은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이 속하는 평면을 바라본 시점을 의미한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두께, 폭, 길이 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가 설치된 싱크대를 포함하는 세척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척 장치의 챔버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척 시스템의 싱크대, 세척 장치 및 트레이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세척 장치의 세척 챔버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세척 장치의 세척 챔버의 바닥부를 표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세척 장치를 부분적으로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세척 시스템의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모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세척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표현하도록 나타낸 단면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 시스템 장치(1)는 싱크대(200), 적어도 부분적으로 싱크대에 삽입되어 매립 설치된 세척 장치(100), 세척 장치(100) 내에 삽입되는 식기 거치 트레이(300) 및 스페이서 트레이(400)를 포함하고, 유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싱크대(200)는 세척 장치(100)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싱크대(200)의 상판은 부분적으로 타공되어 설치 개구(200h)가 형성되고, 세척 장치(100)는 설치 개구(200h)를 통해 싱크대(200)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싱크대가 아닌 다른 가구에 세척 장치(100)가 매립되거나, 또는 세척 장치(100)가 독립형으로 별도 제공될 수도 있다.
세척 장치(100)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세척 챔버(110)를 포함하여 그릇 등의 식기, 또는 과일, 채소, 육류 등의 식품, 또는 장난감과 같은 생활 물품이 세척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세척 장치(100)는 챔버 도어(190), 급수부(181), 배수부(183), 세척 블레이드(130), 진동자(120) 및 가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 챔버(110)(또는 세척조, 또는 배스, 또는 세척 배스)는 상부가 개구된 형상일 수 있다. 즉, 세척 챔버(110)는 바닥부(111), 바닥부(111)로부터 돌출된 측벽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 챔버(110)의 상부 개구(즉, 챔버 개구)는 챔버 도어(190)에 의해 밀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척 챔버(110)의 바닥부(111)는 대략 수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면을 가질 수 있다.
세척 챔버(110)의 바닥부(111) 상에는 초음파 진동자(120), 가열부(140) 및 세척 블레이드(130)가 배치되고, 배수부(183)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닥부(111)의 중앙에는 회전축 및/또는 임펠라 등이 배치되고, 회전축과 결합된 세척 블레이드(130)(또는 세척 날개, 또는 세척 암)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블레이드(130)는 비어 있는 내부 공간 또는 내부 유로를 가질 수 있다. 블레이드(130)의 내부 유로로 유입된 세척수는 블레이드(130)의 상면 상에 형성된 세척수 분사홀(130h)을 통해 분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척수는 블레이드(130)의 적어도 하면 상에 형성된 세척수 유입홀을 통해 블레이드(130)의 내부 유로로 유입될 수 있다.
또, 바닥부(111)에는 배수부(183)(또는 배수구)가 배치되거나 구비될 수 있다. 배수부(183)는 외부의 유로, 예컨대 하수관(22) 및/또는 유로부(500)와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척 챔버(110) 내부에 충진되거나, 사용된 세척수는 배수부(183)를 통해 세척 챔버(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수부(183)는 거름망 등을 포함하여 세척수는 배수되되, 세척 물품 등은 배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닥부(111)에는 가열부(140)(또는 가열 부재, 또는 가열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가열부(140)는 그 내부에 열선 등의 열원을 내장하고 세척 챔버(110)에 충진된 세척수를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열부(140)는 히팅 플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부(111)는 가열부(1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함몰된 그루브를 가지고, 가열부(140)가 상기 그루브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닥부(111)의 최상면과 가열부(140)의 상면은 유사한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세척 챔버(110)의 바닥부(111) 상에는 안전 플레이트(15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안전 플레이트(150)는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홀을 가질 수 있다. 안전 플레이트(150)는 바닥부(111)와 세척 블레이드(130)의 사이에 배치되되 배수부(183)를 노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안전 플레이트(150)는 가열부(140)를 중력 방향으로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안전 플레이트(150)는 바닥부(111)에 형성된 배수부(183)의 배수홀을 노출하도록 배치되고, 안전 플레이트(15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닥부(111) 상에 맞닿아 배치되되, 안전 플레이트(150)와 바닥부(111)의 그루브 사이에는 가열부(140)가 개재될 수 있다.
안전 플레이트(150)는 가열부(140)를 커버하여 사용자 또는 식기 등의 물품이 가열부(140)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부재로 기능할 수 있다. 또, 안전 플레이트(150)에 형성된 홀을 통해 세척수 등의 유체는 가열부(140)와 접촉하여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안전 플레이트(150)는 가열부(140)에 의해 가열된 세척수가 고르게 퍼지도록 하는 확산판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진동자(120)는 진동 동작을 통해 초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세척 챔버(110)에 세척수가 충진된 상태에서 진동자(120)에 의해 생성된 초음파는 캐비테이션 또는 캐비테이션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캐비테이션에 의해 생성된 미세 기포는 세척 대상, 예컨대 식기 등 표면의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 도기 등과 같이 미세 다공을 갖는 다공성 구조체의 경우 일반적인 세척 방법으로는 다공 내 물질을 제거하기 곤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초음파에 의한 캐비테이션을 이용해 미세 기포를 생성할 경우 미세 기포가 다공성 구조체로 침투하여 세척을 가능케할 수 있다.
진동자(12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2개의 진동자(120)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진동자(120)는 약 10cm 이상, 또는 약 15cm 이상, 또는 약 20cm 이상 이격 배치되어 세척 챔버(110) 내부에 충분한 캐비테이션을 야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진동자(120)의 이격 거리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약 50cm일 수 있다. 진동자(120)는 적어도 약 20kHz 내지 50kHz, 또는 약 23kHz 내지 30kHz, 또는 약 26kHz 내지 29kHz, 또는 약 37kHz 내지 42KHz로 진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닥부(111)는 진동자(120)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함몰된 하나 이상의 그루브를 가지고, 진동자(120)가 상기 각 그루브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닥부(111)의 최상면과 진동자(120)의 상면은 유사한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30)가 회전하도록 구성된 실시예에서, 평면 시점에서, 블레이드(130)가 회전하며 형성하는 원(circle)과 복수의 진동자(120)가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전 가능한 블레이드(130)는 어느 상태에서, 진동자(12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력 방향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분사홀(130h)을 갖는 블레이드(130)를 회전하도록 구성하여 세척 챔버(110)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그리고 다양한 각도로 세척수를 상측으로 분사 가능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블레이드(130)가 회전하며 세척수에 형성하는 흐름에 의해 캐비테이션 효과로 생성된 미세 기포가 퍼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세척 챔버(110)의 측벽부(115)에는 세척수 급수부(181)(또는 유입부, 또는 급수구, 또는 유입구) 및 스팀 공급부(미도시)(또는 열풍 공급부)가 구비될 수 있다. 급수부(181)는 외부의 유로, 예컨대 수전(21) 및/또는 유로부(5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팀 공급부는 세척 챔버(110) 내부 공간으로 가열 증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세척 챔버(110)의 제1 방향(X)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들에는 각각 급수부(181)가 마련되고, 제2 방향(Y) 일측의 측벽부에는 스팀 공급부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수부(181)은 서로 독립적인 유로를 갖는 제1 급수부(181a) 및 제2 급수부(181b)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몇몇 실시예에서, 세척 챔버(110)의 측벽부(115) 상에는 수위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위 센서는 물-접촉식 센서일 수 있다. 즉, 물과 접촉할 경우 저항이 변화하는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수위 센서는 공지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 세척 챔버(110)의 내측면 상에는 세척수의 온도를 검출 데이터로 측정하는 온도 센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챔버 도어(190)는 세척 챔버(110)와 힌지 결합되어 세척 챔버(110)의 상부 개구, 즉 챔버 개구를 밀폐하거나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챔버 도어(190)의 내측면은 세척 챔버(110)의 밀폐 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천장을 형성하는 면을 지칭하고, 챔버 도어(190)의 외측면은 세척 챔버(110)의 밀폐 시 외부에 노출되는 상면을 지칭할 수 있다. 챔버 도어(190)는 그 내부에 터치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챔버 도어(190)의 상면에는 터치 패널을 이용한 조작부, 즉 조작 버튼 또는 조작 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또, 챔버 도어(190)의 상면에는 세척 장치(100)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세척 장치(100)는 챔버 도어(190)의 개폐를 위한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를 이용해 챔버 도어(190)의 개폐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챔버 도어(190)는 광 센서 모듈(195)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센서 모듈(195)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어느 광 센서 모듈(195)은 투광부(emitter)(또는 발광부) 및 수광부(re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투광부는 LED 등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수광부는 포토 다이오드 등의 수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센서 모듈(195)은 챔버 도어(190)의 내측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챔버 도어(190)가 폐쇄된 상태에서, 광 센서 모듈(195)은 세척 챔버(110) 내부에 배치된 물체, 예컨대 세척 대상의 존부 및 거리 등을 검출 데이터로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광부가 발광하는 신호광은 세척 대상에 의해 반사되거나, 산란되고 반사된 반사광을 수광부가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척 챔버(110) 내에 수납된 세척 대상의 적층 높이, 세척 대상의 양 등을 직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급수량 결정에 활용할 수 있다.
또, 몇몇 실시예에서 세척 장치(100)(또는 세척 시스템 장치(1))는 로드 셀 등의 무게 센서(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 셀은 중력에 의해 발생하는 무게를 측정 데이터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로드 셀은 적어도 세척 챔버(110), 세척 챔버(110)와 연결된 챔버 도어(190) 및 세척 챔버(110) 내에 삽입된 물품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드 셀은 싱크대(200)의 상판과 맞닿아 싱크대(200)와 세척 챔버(110)가 결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싱크대(200)의 상판이 형성하는 단차에 배치되어, 싱크대(200) 상판과 세척 챔버(1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표현된 것과 달리 세척 챔버(110)의 하부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로드 셀을 이용해 세척 챔버(110) 내에 수납된 세척 대상의 양 등을 직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급수량 결정에 활용할 수 있다.
세척 장치(100)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상주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구현된 소프트웨어에 따른 명령어를 기초로 본 발명에 따른 발명과 관련된 동작 및/또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프로세서와 연결된 하드웨어적 구성요소 및/또는 소프트웨어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데이터의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는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일부로서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된 명령이나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결과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후술할 제어 방법 등을 수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다른 칩셋(chipset),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에는 상기 방법이 구현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어가 상주(loading)될 수 있다. 또,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소프트웨어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거치 트레이(300)(또는 식기 랙)는 세척 챔버(110) 내에 삽입 또는 인입되거나, 세척 챔버(110)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거치 트레이(300)는 세척 챔버(110)의 측벽부(115)의 위치에 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거치 트레이(300)에는 세척 대상, 예컨대 식기, 식품, 생활 물품 등이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거치 트레이(300)에 식기 등의 세척 대상 물품이 적재되거나, 수납될 수 있다.
거치 트레이(300)는 내부식성과 강성, 강도 등의 물리적 특징이 우수한 재질, 예컨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되 표면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코팅층은 광 흡수층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챔버 도어(190)의 하면 상에는 광 센서 모듈(195)이 배치되고 챔버 도어(190) 내부에 적재된 식기의 적층 높이 등을 검출 데이터로 수집할 수 있다. 이 때 거치 트레이(300)에 의한 광 반사를 최소화하여 식기 등의 세척 대상 물품의 적층 높이를 가급적 근사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거치 트레이(300)의 표면에는 반사 방지층 또는 광 흡수층이 구비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 반사 반지층 또는 광 흡수층이 표면에 형성된 거치 트레이(300)의 가시광선 광에 대한 광 반사율은 약 50% 이하, 또는 약 45% 이하, 또는 약 40% 이하, 또는 약 35% 이하, 또는 약 30% 이하, 또는 약 25% 이하, 또는 약 20% 이하일 수 있다. 거치 트레이(300)의 광 반사율의 하한은 약 1%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세척 챔버(110) 내에는 스페이서 트레이(40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 트레이(400)는 세척 챔버(110) 내에 삽입 또는 인입되거나, 세척 챔버(110)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 트레이(400)는 세척 챔버(110)의 바닥부(111) 상에 놓이고, 스페이서 트레이(400)의 상부에 거치 트레이(300)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 트레이(400)를 이용해 거치 트레이(300)가 바닥부(111), 구체적으로 블레이드(130)와 직접 맞닿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챔버 도어가 측면에서 개방되는 소위 서랍식 구조를 취하고, 이에 따라 세척 블레이드가 챔버의 천장부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인 구조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소위 플립식 구조의 세척 장치(100)는 상부에서 개방되는 구조를 취함에 따라 챔버 도어(190)에 세척 블레이드(130)를 부착하기 곤란하며, 본 실시예는 바닥부(111) 상에 세척 블레이드(130)를 배치하는 구조를 취하였다. 또, 세척 챔버(110) 내부에 수납되는 식기 등의 물품으로 인해 블레이드(130), 진동자(120) 등이 손상되지 않고, 가열부(140)에 의해 물품이 의도치 않게 직접 가열되지 않도록 스페이서 트레이(400)를 이용해 바닥부(111)로부터 물품을 이격시킬 수 있다.
유로부(500)는 세척 챔버(110)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거나, 세척 챔버(110)로부터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관 등의 유로, 이를 제어하는 밸브(535), 필터 부재(550), 임시 수조(5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로부(500)는 전술한 세척 장치(100)의 배수부(183)와 급수부(181) 중 적어도 하나와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로부(500)는 급수 유로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유로부(510)는 외부의 수전(21)과 급수부(181) 중 적어도 일부, 예컨대 제1 급수부(181a)를 유체 연결할 수 있다. 즉, 수전(21)이 공급하는 정수된 세척수는 제1 급수부(181a)를 통해 세척 챔버(110)에 공급될 수 있다.
또, 유로부(500)는 배출 유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유로부는 연결 유로부(531), 연결 유로부(531)로부터 분기된 제2 배출 유로부(532), 연결 유로부(531)로부터 분기된 제1 배출 유로부(533), 제1 배출 유로부(533)와 유체 연결된 필터 부재(550), 필터 부재(550) 후단의 임시 수조(570) 및 임시 수조(570)와 급수부(181) 중 적어도 일부, 예컨대 제2 급수부(181b)를 유체 연결하는 회수 유로부(534)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유로부(531)는 세척 장치(100)의 배수부(183)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즉, 세척 장치(100)의 배수부(183)를 통해 배출되는 사용한 세척수는 연결 유로부(531)로 유입될 수 있다. 연결 유로부(531)는 제1 배출 유로부(533)와 제2 배출 유로부(532)로 분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 밸브(535)가 구비되어 유체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연결 유로부(531)는 제1 배출 유로부(533)와 제2 배출 유로부(532)에 대한 공통 유로로 기능할 수 있다.
제2 배출 유로부(532)는 외부의 하수관(22)과 유체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배출 유로부(532)를 통해 배출되는 사용한 세척수는 하수도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 연결 유로부(531)에서 제1 배출 유로부(533)로 흐르는 물은 필터 부재(550)를 경유하여 임시 수조(570)에 수용될 수 있다. 필터 부재(550)는 메쉬, 거름망 등의 필터를 포함하고 사용된 세척수에 포함된 고체 상태의 이물질, 또는 굳은 기름 등을 포집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 부재(550)에서 이물질 등이 부분적으로 제거된 사용한 세척수는 임시 수조(570)에 수용될 수 있다.
회수 유로부(534)는 임시 수조(570)와 제2 급수부(181b)를 유체 연결될 수 있다. 즉, 임시 수조(570)에 수용된 사용한 세척수는 제2 급수부(181b)를 통해 다시 세척 챔버(110)에 공급될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유로부(500)는 전술한 유체의 흐름을 야기하기 위한 펌프, 또는 추가적인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부(500)의 작용에 대해서는 세척 장치의 제어 방법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100)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 방법은 제어부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더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세척 단계(S100), 헹굼 단계(S200) 및 건조 및/또는 살균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세척 단계(S100)는 제1 모드로 수행되는 제1 세척 단계(S110) 및 제2 모드로 수행되는 제2 세척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1 세척 단계(S110)와 제2 세척 단계(S12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도 8의 제1 모드 세척 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제2 모드 세척 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9의 제1 모드 세척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도 10의 제2 모드 세척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우선 도 9 및 도 10을 더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드 세척 단계(S110)는 제1 수위(또는 제1 높이, 또는 제1 세척수 양)로 세척수를 세척 챔버(110)에 급수하는 단계(S112), 세척 블레이드(130)의 분사홀(130h)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단계(S114) 및 사용한 세척수를 제1 배출 유로부(533)로 배수하고 임시 수조(570)에 저장하는 단계(S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드 세척 단계(S110)는 애벌 세척과 같이 기능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제2 모드 세척 단계(S120)는 급수량을 결정하는 단계(S121), 제2 수위(또는 제2 높이, 또는 제2 세척수 양)로 세척수를 세척 챔버(110)에 급수하는 단계(S122), 진동자(120) 및 가열부(140)를 동작시키는 단계(S123), 세척 블레이드(130)의 분사홀(130h)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단계(S124) 및 사용한 세척수를 제2 배출 유로부(532)로 배수하는 단계(S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드 세척 단계(S120)는 본 세척과 같이 기능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관련하여 도 11을 더 참조하면, 급수부(181), 구체적으로 제1 급수부(181a)를 통해 제1 수위로 세척수를 공급한다(S112).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급수부(181a)는 급수 유로부(510)를 통해 상수도 수전(21)과 유체 연결되며, 정화된 깨끗한 물이 세척 챔버(110)에 공급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 상기 제1 수위는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 예를 들어 세척 블레이드(130)가 침지되되, 거치 트레이(300)가 침지되지 않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침지되는 높이일 수 있다. 또는, 세척 대상 물품이 침지되지 않거나, 적어도 일부의 세척 대상 물품만이 침지되는 높이일 수 있다. 또, 상기 제1 수위는 미리 지정된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세척 챔버(110)에 수용된 세척 대상 물품의 양과 무관하게 미리 지정된 수위의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2를 더 참조하면, 세척 블레이드(130)를 이용하여 상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한다(S114).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세척 블레이드(130)는 그 하면 등에 형성된 세척수 유입홀을 가지고, 상기 유입홀을 통해 내부 공간으로 주변의 세척수를 흡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면에 형성된 세척수 분사홀(130h)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측으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 대상 물품의 1차적인 수압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세척수가 분사되는 동안에 세척 블레이드(130)는 평면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제1 수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기 때문에, 세척 블레이드(130)에 의해 상측으로 분사되는 세척수의 물줄기는 제1 수위 보다 높은 높이까지 분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 챔버(110)에 충진된 세척수의 수면이 흔들릴 수 있다.
이어서 도 13을 더 참조하면, 배수부(183)를 통해 세척 챔버(110) 내의 사용한 세척수를 배수한다(S115).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배수부(183)를 통해 배수된 세척수는 연결 유로부(531), 제1 배출 유로부(533)를 따라 배출되며, 필터 부재(550)에서 배수 중에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 부재(550)에 의해 이물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된 사용 후의 세척수는 임시 수조(570)에 수용 보관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모드 세척 단계(S110), 구체적으로 급수부(181)를 이용해 세척수가 세척 챔버(110)에 공급되고, 사용한 세척수가 세척 챔버(110)로부터 배수되는 과정 동안에, 진동자(120), 가열부(140) 등은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모드 세척 단계(S120)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프로세서는 급수량을 결정한다(S121). 급수량의 결정 내지는 판단은 세척 챔버(110) 내에 수납된 세척 대상 물품의 양, 및/또는 적재 높이 등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챔버 도어(190)의 하면 상에 배치된 광 센서 모듈(195)을 이용해 적층된 세척 대상 물품의 높이를 직간접적으로 검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적절한 급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측정 정밀성을 높이기 위해 적어도 거치 트레이(300)의 표면, 또는 세척 챔버(110)의 내측면에 반사 반지 코팅 또는 광 흡수 코팅이 형성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른 예를 들어, 무게 센서(160)를 이용해 세척 챔버(110), 챔버 도어(190), 세척 챔버(110) 내에 배치된 거치 트레이(300), 스페이서 트레이(400), 및/또는 세척 대상 물품의 무게를 직간접적으로 검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적절한 급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무게 센서(160)는 세척 챔버(110)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세척 챔버(110)와 기구적으로 연결되거나 그 내부 공간에 배치된 물품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4 및 도 15를 더 참조하면, 급수부(181), 구체적으로 제1 급수부(181a) 및 제2 급수부(181b)를 통해 제2 수위로 세척수를 공급한다(S122).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급수부(181a)는 급수 유로부(510)를 통해 상수도 수전(21)과 유체 연결되며 깨끗한 물이 세척 챔버(110)에 공급될 수 있다. 또, 제2 급수부(181b)는 회수 유로부(534)를 통해 임시 수조(570)와 유체 연결되며, 앞서 설명한 제1 모드 세척 단계(S110)에서 사용 후 여과된 물이 세척 챔버(110)에 공급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모드 세척 단계(S120)에서 제2 수위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제1 모드 세척 단계(S110)에서 사용 후에 임시 수조(570)에 보관된 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은 수직 플립 방식의 세척 장치(100)는 서랍식 세척 장치에 비해 더 많은 물 사용량을 요구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모드 세척 단계(S110)에서 사용한 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혼합 사용하여 물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 상기 제2 수위는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 예를 들어 거치 트레이(300)가 완전히 침지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침지되는 높이일 수 있다. 또는, 세척 대상 물품들이 완전히 침지되는 높이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단계에서 공급되는 세척수의 제2 수위는 급수량의 결정 단계(S121)에서 결정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세척 챔버(110)에 투입되는 세척 대상 물품이 적을 경우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세척수를 사용하고, 세척 대상 물품이 많을 경우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세척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세척수가 상기 제2 수위로 공급된 후, 또는 세척수가 급수되는 도중에 진동자(120) 및/또는 가열부(140)가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자(120)는 소정 주파수로 진동하며 세척수에 캐비테이션을 야기할 수 있다. 상기 진동수는 약 20kHz 내지 50kHz, 또는 약 23kHz 내지 30kHz, 또는 약 26kHz 내지 29kHz, 또는 약 37kHz 내지 42KHz로 동작할 수 있다.
또, 가열부(140)는 세척수의 온도가 약 40℃ 내지 80℃, 또는 약 50℃ 내지 70℃ 범위에 있도록 가열될 수 있다. 세척수의 가열 온도는 세척 대상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식기 등의 경우 약 65℃ 내지 75℃로 가열되고, 과일, 채소, 육류 등의 경우 약 45℃ 내지 55℃로 가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6을 더 참조하면, 세척 블레이드(130)를 이용하여 상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한다(S124).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세척 블레이드(130)는 세척수 유입홀을 통해 내부 공간으로 주변의 세척수를 흡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세척수 분사홀(130h)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세척수가 분사되는 동안에 세척 블레이드(130)는 평면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제2 수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갖기 때문에, 세척 블레이드(130)에 의해 상측으로 분사되는 세척수는 중력 방향으로 세척수의 유동을 야기할 수 있다. 세척 챔버(110)에 충진된 세척수에 형성된 유동은 가열부(140)에 의해 제공된 열을 고르게 전달하고, 진동자(120)에 의해 형성된 캐비테이션을 극대화하며, 미세 기포를 세척 대상 물품에 균일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캐비테이션에 의한 미세 기포는 계면활성제와 같이 기능하여 세척 대상 물품의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되는 세제의 사용량을 절감하고, 세척 후의 잔류 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세척 대상 물품이 도기 등과 같이 미세한 다공을 갖는 물품의 경우, 단순히 닦는 것만으로는 다공 내 오염물을 제거하기 곤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캐비테이션을 극대화하여 다공성 식기 등의 세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진동수로 진동하는 진동자(120)에 의해 형성된 초음파는 이온 물질을 중성화시킬 수 있다. 이 또한 세제의 사용량 저감에 기여하며, 세척 후의 잔류 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7을 더 참조하면, 배수부(183)를 통해 세척 챔버(110) 내의 사용한 세척수를 배수한다(S125).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배수부(183)를 통해 배수된 세척수는 연결 유로부(531) 및 제2 배출 유로부(532)를 통해 하수관(22)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 다음,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헹굼 단계(S200) 및 건조/멸균 단계(S300)가 수행될 수 있다.
헹굼 단계(S200)는 수전(21), 급수 유로부(510), 제1 급수부(181a)를 통해 공급된 신규한 세척수를 이용해 수행될 수 있다. 세척 챔버(110)에 급수된 세척수를 세척 블레이드(130)를 이용해 분사하며 헹굼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헹굼 단계(S200)는 급수량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급수량, 예컨대 상기 제2 수위로 세척수를 급수하는 단계, 진동자(120) 및/또는 가열부(140)를 동작시키는 단계, 세척 블레이드(130)를 이용해 세척수를 상측으로 분사하는 단계 및 배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급수량을 결정하는 단계, 진동자(120) 및/또는 가열부(140)를 동작하는 단계, 및 세척 블레이드(130)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단계는 전술한 제2 모드 세척 단계(S120)와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헹굼 단계(S200)에서, 제2 수위로 세척수를 급수하는 단계는 제1 급수부(181a)를 통해 제2 수위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급수부(181a)는 급수 유로부(510)를 통해 상수도 수전(21)과 유체 연결되며, 정화된 깨끗한 물이 세척 챔버(110)에 공급될 수 있다.
또, 헹굼 단계(S200)에서 배수하는 단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배출 유로부(533)를 통해 배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배출 유로부(532)를 통해 배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헹굼 단계(S200)에서 배수되는 배수는 제1 배출 유로부(533), 필터 부재(550)를 통해 배수되며 임시 수조(570)에 보관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임시 수조(570)에 보관된 물은 스팀 공급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지정된 필요한 양의 물을 임시 수조(570)에 보관하고, 나머지 배수는 제2 배출 유로부(532) 및 하수관(22)을 통해 배출할 수 있다.
또, 건조 및/또는 멸균 단계(S300)는 스팀 공급부를 이용해 수행될 수 있다. 스팀 공급부는 적어도 임시 수조(570)에 보관된 물을 증기화하여 분사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임시 수조(570)에 보관된 물이 아니라 수전(21)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증기화하여 분사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건조 및/또는 멸균 단계(S300)는 고열 스팀을 분사하는 단계, 열풍을 분사하는 단계, 및 한번 이상 챔버 도어(190)를 개방하고, 및/또는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고열 스팀은 물을 증기화하여 고온의 증기를 세척 챔버(110)에 충진하고 세척 대상 물품을 살균/멸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세척 대상을 고온 가열하여 살균 또는 멸균할 수 있다. 미리 지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고열 스팀 분사 단계가 수행된 후, 세척 챔버(110)에 마련된 공기 순환구(미도시)를 통해 가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또, 열풍을 분사하는 단계는 증기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열된 공기를 분사하여 건조를 수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열풍을 분사하여 세척 대상을 건조시킬 수 있다. 미리 지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건조 단계가 수행된 후, 세척 챔버(110)에 마련된 공기 순환구(미도시)를 통해 가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스팀 및/또는 열풍을 이용한 세척 대상 물품의 살균 및 건조가 수행된 후, 프로세서는 챔버 도어(190)를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 및 건조 단계 종료 후 미리 지정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챔버 도어(190)를 개방하고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또, 챔버 도어(190)를 개방한 후 미리 지정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챔버 도어(190)를 다시 폐쇄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및 멸균 단계(S300)는 건조와 멸균에 필요한 공정을 수행한 후 자동으로 챔버 도어(190)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단계를 교번적으로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 단계가 종료된 후 챔버 도어(190)를 개방하고, 개방 상태를 약 10분간(예컨대, 제1 기간) 유지한 후 다시 챔버 도어(190)를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챔버 도어(190)가 폐쇄된 후 3시간(예컨대, 제2 기간) 경과 후 챔버 도어(190)를 다시 개방하고, 개방 상태를 약 10분간 유지한 후 다시 챔버 도어(190)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통해 세척이 완료된 세척 대상 물품을 더욱 쾌적하게 보관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상에서 예시된 기술 사상의 변경물, 균등물 내지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제1 모드와 제2 모드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세척 단계를 포함하는 세척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모드는,
    세척 챔버에 제1 수위로 세척수를 급수하고,
    세척 블레이드의 내부 유로로 상기 세척 챔버 내의 세척수를 흡입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상면 분사홀을 통해 세척수를 상측으로 분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세척 챔버에 상기 제1 수위 보다 높은 제2 수위로 세척수를 급수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 유로로 상기 세척 챔버 내의 세척수를 흡입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분사홀을 통해 세척수를 상측으로 분사하고,
    진동자를 이용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는 상기 진동자가 동작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수위는 세척 챔버에 투입된 식기 트레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만 침지되는 높이이고, 상기 제2 수위는 상기 식기 트레이가 완전히 침지되는 높이이며,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세척수를 상측으로 분사한 후에, 세척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수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세척수를 급수하는 동안 또는 후에, 가열부를 이용해 급수된 세척수를 가열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모드에서는 상기 가열부가 동작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진동자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2 모드에서 각 진동자는 20kHz 내지 30kHz로 동작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단계 후에 건조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건조 단계는
    상기 세척 챔버 내부로 열풍을 분사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챔버 도어의 도어 개구를 개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세척수를 급수하기 전에, 급수량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급수량을 결정하는 것은, 챔버 도어에 구비된 투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의 상기 제1 수위는 미리 지정된 수위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세척수를 급수하기 전에, 급수량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급수량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세척 챔버 및 그 내부의 구성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로드 셀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의 상기 제1 수위는 미리 지정된 수위인, 방법.
  7.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세척 챔버;
    상기 세척 챔버의 상부 개구를 밀폐하도록 구성된 도어;
    상기 세척 챔버의 바닥부 상에 배치된 세척 블레이드로서, 그 상면에 복수의 분사홀이 형성된 블레이드;
    상기 바닥부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진동자;
    상기 바닥부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가열부;
    상기 세척 챔버에 급수하도록 구성된 급수부; 및
    상기 세척 챔버의 바닥부에서 배수하도록 구성된 배수부를 포함하는 세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세척 챔버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배치된 로드 셀; 및
    상기 세척 도어의 내측면 상에 배치된 광 센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세척 장치.
KR1020230006518A 2022-10-14 2023-01-17 세제 및 물 사용량을 절감한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526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31890 2022-10-14
KR1020220131890 2022-10-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2601A true KR20240052601A (ko) 2024-04-23

Family

ID=90881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6518A KR20240052601A (ko) 2022-10-14 2023-01-17 세제 및 물 사용량을 절감한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260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795Y1 (ko) 2002-09-26 2002-12-27 고세록 초음파 자동 싱크대
KR20180088205A (ko) 2017-01-26 2018-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싱크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795Y1 (ko) 2002-09-26 2002-12-27 고세록 초음파 자동 싱크대
KR20180088205A (ko) 2017-01-26 2018-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싱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36894B (zh) 一种家用超声波清洗机
ES2913491T3 (es) Lavavajillas en forma de lavadora de utensilios comercial o lavavajillas diseñado como lavavajillas por lotes
US8551255B2 (en) Rapid heat system for a multi-tub dishwasher
US9265398B2 (en) Dishwasher with separate sump for concentrated fluid supply
WO2015100700A1 (zh) 水槽式清洗机
US8968486B2 (en) Rinse aid release detection method
CN107580468A (zh) 呈商用器具洗涤器形式的洗碗机或设计为批量洗碗机的洗碗机
CN113520259A (zh) 洗碗机
CN111050624B (zh) 洗碗机
KR20240052601A (ko) 세제 및 물 사용량을 절감한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541170B1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CN116687300A (zh) 一种洗碗机及其控制方法
KR101141388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제어 방법
JP6868768B2 (ja) 食器洗い機
JP4600526B2 (ja) 食器洗い機
JP4600527B2 (ja) 食器洗い機
KR20030080961A (ko) 업소용 식기 세척기 시스템
KR20220005211A (ko) 식기 세척기
JP7004602B2 (ja) 食器洗浄機
JP2010051670A (ja) 食器洗い機
US8337631B2 (en) Dishwasher with separate sump for concentrated fluid supply
CN212234362U (zh) 自动洗碗机
JP6712546B2 (ja) 洗浄機
JP7205759B2 (ja) 洗浄器
CN210541417U (zh) 一种蒸气洗碗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