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9617A - 연결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제어 밸브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연결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제어 밸브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9617A
KR20240049617A KR1020247010558A KR20247010558A KR20240049617A KR 20240049617 A KR20240049617 A KR 20240049617A KR 1020247010558 A KR1020247010558 A KR 1020247010558A KR 20247010558 A KR20247010558 A KR 20247010558A KR 20240049617 A KR20240049617 A KR 20240049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necting sleeve
wall
section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0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아펑 주
Original Assignee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49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961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2Weld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8Solder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연결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제어 밸브 어셈블리에 있어서, 연결관 어셈블리는 제1 연결관(10), 연결 슬리브(20) 및 제2 연결관(40)을 포함한다. 제1 연결관(10)은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1단 및 제2단을 구비한다. 제1 연결관(10)의 제1단은 연결 슬리브(20) 내에 위치한다. 연결 슬리브(20)는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1단 및 제2단을 구비한다. 연결 슬리브(20)의 제1단은 제1 연결관(10)의 외측벽과 연결된다. 연결 슬리브(20)의 중간부의 내벽과 제1 연결관(10)의 제1단의 외벽 사이에 갭이 구비되며, 갭은 수용 캐비티(30)를 형성한다. 제2 연결관(40)의 일단은 연결 슬리브(20)의 제2단과 연결되고, 제2 연결관(40)의 단부는 연결 슬리브(20) 내에 위치한다. 이러한 연결관 어셈블리는 용접 불량이 제어 밸브의 정상적인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결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제어 밸브 어셈블리
본 출원은 2021년 9월 22일 중국 국가지식재산권국에 제출된 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출원번호는 202122297347.5이고 발명의 명칭은 "연결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제어 밸브 어셈블리"이다.
본 출원은 제어 밸브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제어 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종래의 제어 밸브에는 밸브체 및 연결관이 포함된다. 밸브체에는 밸브관이 설치되며, 연결관은 밸브관을 통해 밸브체와 연통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밸브관과 연결관이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용접 과정에서 땜납을 너무 많이 첨가하거나 삽입 인출 용접을 여러 번 수행하기 때문에 용접 부위에 오버랩과 용접 슬래그가 형성될 수 있다. 오버랩과 용접 슬래그는 밸브관으로부터 밸브체 내로 떨어지기 쉬워, 밸브체 내의 통로를 막을 수 있으며, 이는 제어 밸브의 정상적인 사용에 영향을 미친다.
본 출원의 목적은 연결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제어 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함으로써, 연결관 어셈블리 용접 불량이 제어 밸브의 정상적인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에 있다.
본 출원의 일 양상은 연결관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연결관 어셈블리는 제1 연결관, 연결 슬리브 및 제2 연결관을 포함한다. 제1 연결관은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1단 및 제2단을 구비한다. 제1 연결관의 제1단은 연결 슬리브 내에 위치한다. 연결 슬리브는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1단 및 제2단을 구비한다. 연결 슬리브의 제1단은 제1 연결관의 외측벽과 연결된다. 연결 슬리브의 중간부의 내벽과 제1 연결관의 제1단의 외벽 사이에 갭이 구비되며, 갭은 수용 캐비티를 형성한다. 제2 연결관의 일단은 연결 슬리브의 제2단과 연결되고, 제2 연결관의 단부는 연결 슬리브 내에 위치한다.
상기 구조의 설치를 통해, 제1 연결관의 제1단을 연결 슬리브 내에 설치한다. 또한 연결 슬리브의 중간부의 내벽과 제1 연결관의 제1단의 외벽 사이에는 갭이 구비되며, 갭은 수용 캐비티를 형성한다. 상기 수용 캐비티는 연결 슬리브와 제2 연결관 용접 시 발생하는 오버랩, 용접 슬래그 또는 잉여 땜납을 수용할 수 있다. 이는 오버랩, 용접 슬래그 또는 잉여 땜납이 용접 부위에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어 밸브의 정상적인 사용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슬리브(20)의 벽 두께는 T이고, 상기 갭의 반경 방향에서의 최대 치수는 t이며, 0<t<T이다. 연결 슬리브의 벽 두께는 T로, 갭의 반경 방향에서의 최대 치수를 t로, 0<t<T로 설정하면, 용접 효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제어 밸브의 정상적인 사용을 더욱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관의 연결 슬리브 내에 위치한 단부는 제1 연결관의 제1단과 맞닿는다. 제2 연결관의 연결 슬리브 내에 위치한 단부는 제1 연결관의 제1단의 외벽 및 연결 슬리브의 중간부의 내벽과 서로 맞추어져 수용 캐비티를 폐쇄한다. 이러한 설치는 제1 연결관, 연결 슬리브 및 제2 연결관을 서로 연결하여 수용 캐비티를 폐쇄시킴으로써, 용접 후 오버랩, 용접 슬래그 또는 잉여 땜납이 수용 캐비티로부터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오버랩, 용접 슬래그 또는 잉여 땜납이 제어 밸브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어 밸브 작동 시 안정성을 보장한다.
또한, 연결 슬리브는 서로 연결된 제1 구간, 제2 구간 및 제3 구간을 포함한다. 연결 슬리브의 제1 구간은 제1 연결관과 연결되고, 연결 슬리브의 제3 구간은 제2 연결관과 연결된다. 제2 구간의 내벽과 제1 연결관의 제1단의 외벽 사이는 수용 캐비티를 형성한다. 제2 구간의 내경은 제1 구간에서 제3 구간으로의 방향으로 점차 증가한다. 상기 설치는 연결 슬리브를 가변 직경 구조로 설치하여, 연결 슬리브와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의 연결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용접 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용접 후 오버랩, 용접 슬래그 또는 잉여 땜납을 수용하는 수용 캐비티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제3 구간의 내경은 D이고, 제1 연결관의 제1단의 외벽의 직경은 d이고, t=(D-d)*0.5이다. 이러한 설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수용 캐비티의 가공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제1 구간의 길이는 L1이고, 연결 슬리브의 제1단의 단면과 제1 연결관의 제1단의 단면 사이의 거리는 L2이다. 수용 캐비티는 축 방향을 따르는 최대 길이가 L이며, L=L2-L1이고 L>0이다. 상기 설치는 수용 캐비티의 용량을 보장하는 동시에 수용 캐비티의 축 방향을 따르는 최대 길이 L을 L=L2-L1이고 L>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연결 슬리브와 제1 연결관의 위치결정에 도움이 되므로, 어셈블리 연결 후의 용접에 유리하다.
또한, 연결 슬리브의 내벽에 위치제한 구조가 설치된다. 위치제한 구조는 제1 연결관의 제1단과 축 방향으로 간격을 갖는다. 위치제한 구조는 제2 연결관의 연결 슬리브 내에서의 축 방향 위치를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위치제한 구조를 통해 제2 연결관과 제1 연결관의 단면 사이에 일정 거리를 둘 수 있다. 이는 수용 캐비티의 수용 면적을 더욱 증가시켜, 더 많은 오버랩, 용접 슬래그 또는 잉여 땜납을 수용할 수 있으므로, 용접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또한, 연결 슬리브의 내벽에 복수의 돌기가 있고, 복수의 돌기는 위치제한 구조를 형성한다. 복수의 돌기는 연결 슬리브의 내벽에 환형으로 이격 설치된다. 상기 설치를 통해, 제2 연결관의 연결 슬리브 내에서의 축 방향 위치를 더욱 제한할 수 있으므로, 제2 연결관과 연결 슬리브 연결의 안정성이 보장된다.
또한, 위치제한 구조는 돌기를 포함한다. 돌기는 연결 슬리브의 내벽에 환형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설치는 돌기와 제2 연결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제2 연결관의 연결 슬리브 내에서의 축 방향 위치를 제한하여, 제2 연결관과 연결 슬리브의 용접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제2 연결관과 연결 슬리브 연결의 안정성을 더욱 보장한다.
본 출원의 다른 일 양상은 제어 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제어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연결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명세서 첨부 도면은 본 출원의 추가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 및 그에 대한 설명은 본 출원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본 출원을 제한하지 않는다. 첨부 도면에 대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연결관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연결관 어셈블리의 치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제어 밸브 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제어 밸브 어셈블리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제어 밸브 어셈블리의 제2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전부가 아닌 일부 실시예일 뿐이다. 이하에서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출원 및 그 응용 또는 사용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작업 없이 당업자에 의해 획득된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 1은 연결관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관 어셈블리는 제1 연결관(10), 연결 슬리브(20) 및 제2 연결관(4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연결관(10)은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1단 및 제2단을 구비한다. 제1 연결관(10)의 제1단은 연결 슬리브(20) 내에 위치한다. 연결 슬리브(20)는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1단 및 제2단을 구비한다. 연결 슬리브(20)의 제1단은 제1 연결관(10)의 외측벽과 연결된다. 연결 슬리브(20)의 중간부의 내벽과 제1 연결관(10)의 제1단의 외벽 사이에 갭이 구비되며, 갭은 수용 캐비티(30)를 형성한다. 제2 연결관(40)의 일단은 연결 슬리브(20)의 제2단과 연결되고, 제2 연결관(40)의 단부는 연결 슬리브(20) 내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연결관은 밸브 포트와 연결되고, 제2 연결관은 외부의 다른 장비와 연결된다.
상기 구조의 설치를 통해, 제1 연결관(10)의 제1단을 연결 슬리브(20) 내에 설치한다. 또한 연결 슬리브(20)의 중간부의 내벽과 제1 연결관(10)의 제1단의 외벽 사이에는 갭이 구비되며, 갭은 수용 캐비티(30)를 형성한다. 상기 수용 캐비티(30)는 연결 슬리브(20)와 제2 연결관(40) 용접 시 발생하는 오버랩, 용접 슬래그 또는 잉여 땜납을 수용할 수 있다. 이는 오버랩, 용접 슬래그 또는 잉여 땜납이 용접 부위에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어 밸브의 정상적인 사용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슬리브(20)의 벽 두께는 T이고, 상기 갭의 반경 방향에서의 최대 치수는 t이며, 0<t<T이다. 연결 슬리브의 벽 두께는 T로, 갭의 반경 방향에서의 최대 치수를 t로, 0<t<T로 설정하면, 용접 효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제어 밸브의 정상적인 사용을 더욱 보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t>T이면, 장착 과정에서 제2 연결관(40)의 단부가 연결 슬리브(20)의 중간부의 내벽과 제1 연결관(10)의 제1단의 외벽 사이의 갭 내로 연장되기가 쉽다. 이로 인해 제1 연결관(10)과 연결 슬리브(20) 사이에 수용 캐비티(30)를 형성할 수 없으므로, 오버랩, 용접 슬래그 또는 잉여 땜납을 수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는 t를 0 내지 T 사이로 설정하여 제1 연결관(10)과 연결 슬리브(20) 사이에 수용 캐비티(30)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용접 시 땜납은 제2 연결관(40)과 연결 슬리브(20) 사이의 갭을 따라 유동한다. 최종적으로 생성된 오버랩, 용접 슬래그 또는 잉여 땜납은 수용 캐비티(30) 내에 수용되므로, 연결관 어셈블리의 용접 효과가 보장된다. 구체적으로 t는 0.3T, 0.5T 또는 0.8T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연결관(40)의 연결 슬리브(20) 내에 위치한 단부는 제1 연결관(10)의 제1단과 맞닿는다. 제2 연결관의 연결 슬리브(20) 내에 위치한 단부는 제1 연결관(10)의 제1단의 외벽 및 연결 슬리브(20)의 중간부의 내벽과 서로 맞추어져 수용 캐비티(30)를 폐쇄한다. 이러한 설치는 제1 연결관(10), 연결 슬리브(20) 및 제2 연결관을 서로 연결하여 수용 캐비티(30)를 폐쇄시킴으로써, 용접 후 오버랩, 용접 슬래그 또는 잉여 땜납이 수용 캐비티(30) 내에서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오버랩, 용접 슬래그 또는 잉여 땜납이 제어 밸브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어 밸브 작동 시 안정성을 보장한다.
또한, 연결 슬리브(20)는 서로 연결된 제1 구간(21), 제2 구간(22) 및 제3 구간(23)을 포함한다. 연결 슬리브(20)의 제1 구간(21)은 제1 연결관(10)과 연결되고, 연결 슬리브(20)의 제3 구간(23)은 제2 연결관과 연결된다. 제2 구간(22)의 내벽과 제1 연결관(10)의 제1단의 외벽 사이는 수용 캐비티(30)를 형성한다. 제2 구간(22)의 내경은 제1 구간(21)에서 제3 구간(23)으로의 방향으로 점차 증가한다. 상기 설치는 연결 슬리브(20)를 가변 직경 구조로 설치하여, 연결 슬리브(20)와 제1 연결관(10) 및 제2 연결관(40)의 연결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용접 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용접 후 오버랩, 용접 슬래그 또는 잉여 땜납을 수용하는 수용 캐비티(30)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구간(23)의 내경은 D이고, 제1 연결관(10)의 제1단의 외벽의 직경은 d이고, t=(D-d)*0.5이다. 이러한 설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수용 캐비티(30)의 가공을 용이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제3 구간(23)의 길이는 제1 구간(21)의 길이보다 길다. 이러한 설치는 제3 구간(23)과 제2 연결관의 연결 면적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연결 슬리브(20)와 제2 연결관의 용접을 용이하게 하고, 용접 후 이들 둘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제1 구간(21)의 길이는 L1이고, 연결 슬리브(20)의 제1단의 단면과 제1 연결관(10)의 제1단의 단면 사이의 거리는 L2이다. 수용 캐비티(30)는 축 방향을 따르는 최대 길이가 L이며, L=L2-L1이고 L>0이다. 상기 설치는 수용 캐비티(30)의 용량을 보장하는 동시에 수용 캐비티(30)의 축 방향을 따르는 최대 길이 L을 L=L2-L1이고 L>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연결 슬리브(20)와 제1 연결관(10)의 위치결정에 도움이 되므로, 어셈블리 연결 후의 용접에 유리하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 2는 연결관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실시예 1과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즉, 연결 슬리브(20)의 내벽에 위치제한 구조(24)가 설치된다. 위치제한 구조(24)는 제1 연결관(10)의 제1단과 축 방향으로 간격이 있다. 위치제한 구조(24)는 제2 연결관의 연결 슬리브(20) 내에서의 축 방향 위치를 제한하는 데 사용된다. 위치제한 구조(24)를 통해 제2 연결관과 제1 연결관(10)의 단면 사이에 일정 거리를 둘 수 있다. 이는 수용 캐비티(30)의 수용 면적을 더욱 증가시켜, 더 많은 오버랩, 용접 슬래그 또는 잉여 땜납을 수용할 수 있으므로, 용접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또한, 연결 슬리브(20)의 내벽에는 복수의 위치제한 구조(24)가 있다. 복수의 위치제한 구조(24)는 연결 슬리브(20)의 내벽에 환형으로 설치된다. 상기 설치를 통해, 제2 연결관의 연결 슬리브(20) 내에서의 축 방향 위치를 더욱 제한할 수 있으므로, 제2 연결관과 연결 슬리브(20) 연결의 안정성이 보장된다.
또한, 위치제한 구조(24)는 돌기를 포함한다. 돌기는 연결 슬리브(20)의 내벽에 환형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설치는 돌기와 제2 연결관(4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제2 연결관(40)의 연결 슬리브(20) 내에서의 축 방향 위치를 제한하여, 제2 연결관(40)과 연결 슬리브(20)의 용접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제2 연결관(40)과 연결 슬리브(20) 연결의 안정성을 더욱 보장한다.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는 제어 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른 기술적 해결책을 통해, 제1 연결관(10)의 제1단을 연결 슬리브(20) 내에 설치한다. 또한 연결 슬리브(20)의 중간부의 내벽과 제1 연결관(10)의 제1단의 외벽 사이에 갭이 구비되며, 갭은 수용 캐비티(30)를 형성한다. 상기 수용 캐비티(30)는 연결 슬리브(20)와 제2 연결관(40) 용접 시 발생하는 오버랩, 용접 슬래그 또는 잉여 땜납을 수용할 수 있다. 이는 오버랩, 용접 슬래그 또는 잉여 땜납이 용접 부위에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접 효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제어 밸브의 정상적인 사용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슬리브(20)의 내벽에 위치제한 구조(24)가 설치되어, 제2 연결관(40)과 연결 슬리브(20) 연결의 안정성이 보장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에 유의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문맥상 달리 해석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은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포함" 및/또는 "포괄"은 특징, 단계, 조작, 장치, 구성 요소 및/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의미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구체적인 설명이 없는 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부재와 단계의 상대적인 배치, 숫자 표현식 및 수치는 본 출원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첨부 도면에 도시된 각 부분의 크기는 실제 비례 관계에 따라 제도된 것이 아님에 유의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술, 방법 및 설비는 상세하게 논의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적절한 상황에서 상기 기술, 방법 및 설비는 공인된 명세서의 일부분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원에 도시되고 논의된 모든 예시에 있어서, 임의의 구체적인 값은 한정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한 참조 번호와 문자는 하기의 첨부 도면에서 유사한 항목을 나타낸다. 따라서 하나의 항목이 하나의 첨부 도면에서 정의되면, 이후의 첨부 도면에서 이에 대해 추가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없음에 유의한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전, 후, 상, 하, 좌, 우", "횡방향, 종방향, 수직, 수평" 및 "꼭대기, 바닥" 등과 같이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가리키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통상적으로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를 기반으로 한다. 이는 본 출원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상반된 설명이 없는 한, 이처럼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그 가리키는 장치 또는 요소가 반드시 특정한 방위를 갖거나 특정한 방위로 구성되고 조작됨을 나타내거나 암시하지 않으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 "내부, 외부"는 각 부재 자체에 대해 상대적인 윤곽의 내부와 외부를 의미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의 위", "~의 상방", "~의 상표면", "~의 상면" 등과 같이 본원에 사용된 공간의 상대적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하나의 장치 또는 특징과 다른 장치 또는 특징의 공간적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공간의 상대적 용어라 함은 장치가 도면에서 설명된 방향 이외에도 사용 또는 작동 중의 상이한 방향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첨부 도면 중의 장치가 도치되는 경우 "다른 장치 또는 구조의 상방" 또는 "다른 장치 또는 구조의 위"의 장치로 설명한 후 "다른 장치 또는 구조의 하방" 또는 "다른 장치 또는 구조의 아래"로 정의된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의 상방"에는 "~의 상방"과 "~의 하방"의 두 가지 방위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기타 상이한 방식으로 위치가 결정될 수도 있으며(90도 회전하거나 기타 방위에 놓임), 여기에서 사용된 공간의 상대적 설명에 상응하는 해석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하여 구성 요소를 제한하는 것은, 상응하는 구성 요소를 용이하게 구분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상기 용어에는 특별한 의미가 없으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없다.
상기 내용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출원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이 속한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사상과 원칙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동등한 대체, 개선 등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첨부 도면에는 하기의 참조 부호가 포함된다.
10-제1 연결관;
20-연결 슬리브, 21-제1 구간, 22-제2 구간, 23-제3 구간, 24-위치제한 구조;
30-수용 캐비티;
40-제2 연결관.

Claims (10)

  1. 연결관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 연결관(10), 연결 슬리브(20) 및 제2 연결관(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관(10)은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1단 및 제2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관(10)의 제1단은 상기 연결 슬리브(20) 내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 슬리브(20)는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1단 및 제2단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 슬리브(20)의 제1단은 상기 제1 연결관(10)의 외측벽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 슬리브(20)의 중간부의 내벽과 상기 제1 연결관(10)의 제1단의 외벽 사이에 갭이 구비되고, 상기 갭은 수용 캐비티(30)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연결관(40)의 일단은 상기 연결 슬리브(20)의 제2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관(40)의 단부는 상기 연결 슬리브(20)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관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슬리브(20)의 벽 두께는 T이고, 상기 갭은 반경 방향에서의 최대 치수가 t이고, 0<t<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관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관(40)의 상기 연결 슬리브(20) 내에 위치한 단부는 상기 제1 연결관(10)의 제1단과 맞닿고, 상기 제2 연결관(40)의 상기 연결 슬리브(20) 내에 위치한 단부는 상기 제1 연결관(10)의 제1단의 외벽 및 상기 연결 슬리브(20)의 중간부의 내벽과 서로 맞추어져 상기 수용 캐비티(30)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관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슬리브(20)는 서로 연결된 제1 구간(21), 제2 구간(22) 및 제3 구간(23)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슬리브(20)의 제1 구간(21)은 상기 제1 연결관(10)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 슬리브(20)의 제3 구간(23)은 상기 제2 연결관(40)과 연결되고, 상기 제2 구간(22)의 내벽과 상기 제1 연결관(10)의 제1단의 외벽 사이는 수용 캐비티(30)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구간(22)의 내경은 상기 제1 구간(21)에서 상기 제3 구간(23)으로의 방향으로 점차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관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간(23)의 내경은 D이고, 상기 제1 연결관(10)의 제1단의 외벽의 직경은 d이고, t=(D-d)*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관 어셈블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21)의 길이는 L1이고, 상기 연결 슬리브(20)의 제1단의 단면과 상기 제1 연결관(10)의 제1단의 단면 사이의 거리는 L2이고, 상기 수용 캐비티(30)는 축 방향을 따르는 최대 길이가 L이며, L=L2-L1이고 L>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관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슬리브(20)의 내벽에 위치제한 구조(24)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제한 구조(24)는 상기 제1 연결관(10)의 제1단과 축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상기 위치제한 구조(24)는 상기 제2 연결관(40)의 상기 연결 슬리브(20) 내에서의 축 방향 위치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관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슬리브(20)의 내벽에 복수의 돌기가 있고, 복수의 상기 돌기는 상기 위치제한 구조(24)를 형성하고, 복수의 상기 돌기는 상기 연결 슬리브(20)의 내벽에 환형으로 이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관 어셈블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 구조(24)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연결 슬리브(20)의 내벽에 환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관 어셈블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결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어셈블리.
KR1020247010558A 2021-09-22 2022-09-21 연결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제어 밸브 어셈블리 KR202400496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2297347.5U CN216158525U (zh) 2021-09-22 2021-09-22 连接管组件及具有其的控制阀组件
CN202122297347.5 2021-09-22
PCT/CN2022/120311 WO2023045984A1 (zh) 2021-09-22 2022-09-21 连接管组件及具有其的控制阀组件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9617A true KR20240049617A (ko) 2024-04-16

Family

ID=80853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0558A KR20240049617A (ko) 2021-09-22 2022-09-21 연결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제어 밸브 어셈블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49617A (ko)
CN (1) CN216158525U (ko)
WO (1) WO20230459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6158525U (zh) * 2021-09-22 2022-04-01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连接管组件及具有其的控制阀组件
CN219139966U (zh) * 2022-10-26 2023-06-06 浙江盾安禾田金属有限公司 针阀连接结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91966A (en) * 1931-12-22 1933-05-11 Arthur La Rue Park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oldered joints
CN205781507U (zh) * 2016-05-24 2016-12-07 浙江同星制冷有限公司 铜铝异形管防电化学连接装置
US10591092B2 (en) * 2017-03-07 2020-03-17 Swagelok Company Hybrid hose assembly
CN109519389A (zh) * 2018-12-06 2019-03-26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管组件、压缩机
AT522120B1 (de) * 2019-01-16 2022-08-15 Helmut Jannach Rohrkoppelsystem
CN111594669A (zh) * 2019-02-21 2020-08-28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管件连接结构
US20210285579A1 (en) * 2020-03-13 2021-09-16 Steere Enterprises, Inc. Duct connector
CN113236879B (zh) * 2021-04-21 2023-07-28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管件、空调管路及空调器
CN216158525U (zh) * 2021-09-22 2022-04-01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连接管组件及具有其的控制阀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6158525U (zh) 2022-04-01
WO2023045984A1 (zh)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49617A (ko) 연결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제어 밸브 어셈블리
CN105332986B (zh) 固定件
KR20240065196A (ko) 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사방 밸브
KR20240070685A (ko) 메인 밸브 시트 및 사방 밸브
CN207690512U (zh) 一种燃料组件骨架连接结构及燃料组件骨架
CN202726550U (zh) 一种定位夹具
CN105719711A (zh) 一种压水堆核电厂堆内构件吊具抗震支撑结构
CN215806405U (zh) 阀座及具有其的电子膨胀阀
CN211116993U (zh) 一种十字连接结构的升降杆
CN204780886U (zh) 用于卡接式连接件的插接头
CN211395632U (zh) 一种导管架定位装置及导管架
CN209086493U (zh) Sc单工一体卡式适配器
CN103792624B (zh) 光纤接口组件的组装工具及组装工艺
CN212358319U (zh) 一种钢筋笼钢筋连接结构
KR20130050212A (ko) 강도가 보강된 파이프
CN214465365U (zh) 一种花架开口三通连接件
CN205688785U (zh) 一种异径交叉管道连接固定装置
CN218837824U (zh) 一种机器人臂的关节壳体
CN212959812U (zh) 活塞组件及具有其的电磁阀
EP2995843B1 (en) Fluid passage structure
CN203774063U (zh) 一种非晶合金变压器的器身定位结构
CN211360495U (zh) 一种多角度钢丝输送稳定配件
CN204010543U (zh) 一种可拆卸的支架
CN220556562U (zh) 线圈骨架及具有其的线圈组件
CN218728179U (zh) 一种光纤连接器的尾柄